KR20210128143A - 휴먼인터페이스가 적용된 이동 블록 조립체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먼인터페이스가 적용된 이동 블록 조립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8143A
KR20210128143A KR1020200045967A KR20200045967A KR20210128143A KR 20210128143 A KR20210128143 A KR 20210128143A KR 1020200045967 A KR1020200045967 A KR 1020200045967A KR 20200045967 A KR20200045967 A KR 20200045967A KR 20210128143 A KR20210128143 A KR 20210128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witch
block assembly
knob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5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4396B1 (ko
Inventor
임세혁
서예찬
이석
우덕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45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4396B1/ko
Publication of KR20210128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2Mechanical, electrical, optical, pneumatic or hydraulic arrangements;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63H17/36Steering-mechanisms for toy vehicles
    • A63H17/38Steering-mechanisms for toy vehicles actuated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63H30/04Electrical arrange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rotation, e.g. of bayonet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2Perforated strips or the like assembled by rods, bol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200/00Computerized interactive toys, e.g. d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을 제공받아 이동 가능한 구동블록과, 상기 구동블록에 탑재된 일반블록을 구비하는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 상기 블록 조립 부재에 탑재되어 1인칭 시점의 영상을 획득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전송하는 영상 제공부; 상기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의 움직임을 원격으로 조종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영상 제공부로부터 제공받은 영상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블록 조립체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먼인터페이스가 적용된 이동 블록 조립체 시스템{MOBILE BLOCK ASSEMBLY SYSTEM USING HUMAN INTERFACE}
본 발명은 이동 블록 조립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구동기와 제어/통신부가 내장된 블록들을 이용하여 이동 가능하며 휴먼인터페이스 시스템이 적용된 이동 블록 조립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토이는 로봇, 인공지능,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등의 차세대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이 접목된 장난감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음악게임, 움직이는 그림책, 어린이 친화형 컴퓨터 등의 장난감에는 빛이나 위치변화, 소리, 접촉 따위를 '인지'할 수 있도록 갖가지 유형의 센서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모터가 탑재된 장난감을 작동시키거나 조종할 수 있다.
기존의 장난감에 비하여, 스마트 토이는, 유아들의 몰입도가 높으며 최근에는 이공계 학습을 위한 코딩교육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등과 연동시켜서 유아뿐 아니라 성인들도 즐기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토이 블록은 고정된 밑판에 블록을 쌓아올리는 형태이므로 움직이지 않는 모형만을 만들 수 있었기에, 움직이는 건축물이나 자동차 같은 다양한 동적모형을 만들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원격조종 자동차 장난감의 경우, 별도의 전자/기계장치, 일례로, 조이스틱나 조이패드 등을 사용하거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원격조종 자동차 장난감의 경우, 대부분 3인칭 시점에서 장난감을 조종하는 방식이어서, 원격조종을 하는 사용자들에게 '자동차 장난감의 1인칭 시점' 을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등록 특허 공보 제10-1739029호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움직이는 건축물이나 자동차 같은 다양한 동적모형을 구현할 수 있는 이동 블록 조립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유아들에게 스스로 구조물을 설계하고 제작하면서 창의성을 육성시키도록 센서블록을 조립하여 원격조종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이동 블록 조립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원격조종을 하는 사용자들게 '자동차 장난감의 1인칭 시점' 을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블록 조립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이동 블록 조립체 시스템은, 동력을 제공받아 이동 가능한 구동블록과, 상기 구동블록에 탑재된 일반블록을 구비하는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 상기 블록 조립 부재에 탑재되어 1인칭 시점의 영상을 획득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전송하는 영상 제공부; 상기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의 움직임을 원격으로 조종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영상 제공부로부터 제공받은 영상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가 구동블록에는 상기 일반블록을 이동 가능하게 하도록, 회전 가능한 바퀴가 설치되고, 상기 영상 제공부는, 상기 일반블록에 탑재된다.
상기 일반블록은, 상기 영상 제공부를 결합 가능하게 하는 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영상 제공부의 양 측을 지지하는 파지부; 또는 음압을 발생시켜 상기 영상 제공부를 접촉시키는 음압제공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놉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놉블록은,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의 조향 또는 속도를 제어 가능하게 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스위치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블록은,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와, 가압됨에 따라 상기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의 조향 또는 속도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놉블록은 2개로 구비되고, 일 놉블록은 사용자에 의해 회전 가능한 놉레버를 구비하여 상기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의 조향 또는 속도를 제어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스위치블록은 2개로 구비되고, 상기 놉블록은 적어도 1개로 구비되고, 제1스위치블록을 누른 뒤에, 제2스위치블록이 기 결정된 시간 이내에 눌려지면 상기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는 정해진 속도로 전진하고, 상기 제1 및 제2스위치블록이 함께 눌려진 후 기 결정된 시간이 지나면 상기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는 후진하며, 상기 놉블록의 회전 각도에 근거하여 상기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는, 좌방향 및 우방향의 조향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스위치블록은 2개로 구비되고, 상기 놉블록은 적어도 1개로 구비되고, 제3스위치블록 및 제4스위치블록은 연결부재의 양 측에 각각 결합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3스위치블록 및 제4스위치블록의 상대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놉블록은 상기 제3스위치블록 및 제4스위치블록 간에 회전되는 각을 측정하고, 상기 제3스위치블록 및 제4스위치블록가 정속으로 이동하면, 상기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는 전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스위치블록의 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가 왼쪽으로 회전하여 이동하고, 제4스위치블록의 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가 오른쪽으로 회전하여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복수의 막대가 조인트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조립된 구조이고, 상기 복수의 막대는 상기 조인트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 블록 조립체 시스템은, 바닥에서 이동하는 소형동물의 시점을 영상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체험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이동 블록 조립체 시스템은,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는, 원격조종장치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구성에 의해 모터구동기와 제어/통신부가 내장된 블록들을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 블록 조립체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2a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스마트폰이 설치된 예를 도시하는 사진.
도 2b는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에 스마트폰이 설치된 예를 도시하는 사진.
도 3은 디스플레이부를 탑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가 조종되는 예를 도시하는 사진.
도 4a는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4b는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도 5a는 영상제공부가 브라켓의 파지부에 결합된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5a는 영상제공부가 브라켓의 음압제공부에 결합된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6a는 제1 및 제2놉블록으로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진.
도 6b는 도 6a에서, 제1 및 제2놉블록이 서로 상대 회전되도록 조종된 예를 도시하는 사진.
도 7a는 제1 및 제2스위치블록과 놉블록으로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사진.
도 7b는 도 7a에서, 제1 및 제2스위치블록이 놉블록을 기준으로 상대 회전되도록 조종된 예를 도시하는 사진.
도 8a는 제3 및 제4스위치블록과 놉블록으로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사진.
도 8b는 도 8a에서, 제3 및 제4스위치블록이 놉블록을 기준으로 상대 회전되도록 조종된 예를 도시하는 사진.
도 9는 복수의 놉블록 및 스위치블록 각각이 구동블록들과 RF 통신하는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 블록 조립체 시스템(100)을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 2a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에 스마트폰이 설치된 예를 도시하는 사진이다. 또한, 도 2b는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10)에 스마트폰이 설치된 예를 도시하는 사진이고, 도 3은 디스플레이부(40)를 탑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가 조종되는 예를 도시하는 사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이동 블록 조립체 시스템(100)에 대하여 서술한다.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이동 블록 조립체 시스템(100)은,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10), 영상 제공부(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 및 디스플레이부(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동 블록 조립체 시스템(100)은, 바닥에서 이동하는 소형동물의 시점을 영상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체험할 수 있는 시스템(100)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모터구동기와 제어/통신부가 내장된 블록들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10)의 구성과, 사용자 입력을 받는 다양한 센서들이 내장된 블록들을 이용하는 원격조종장치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의 구성과, 1인칭시점 원격조종을 위한 영상을 획득하여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40)의 구성에 대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는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10)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4b는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10)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이하,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10)에 대하여 서술한다.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10)는 동력을 제공받아 이동 가능한 구동블록(12)과, 상기 구동블록(12)에 탑재된 일반블록(14)을 구비한다.
구동블록(12)에는 회전 가능한 바퀴(15)가 설치될 수 있는데, 바퀴(15)의 회전에 의해 일반블록(14)은 이동되게 된다. 도 4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바퀴(15)는 구동블록(12)의 모터에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형 바퀴(15a)와, 직접적으로 동력을 제공받지는 않으며 구동형 바퀴(15a)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수동형 바퀴(15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블록(12)은, 도면에서 명백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구동형 바퀴(15a)에 전달하는 기어부재, 구동블록(12)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부 및 모터, 제어부와 무선 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구동블록, 놉블록(31, 32, 35, 39) 또는 스위치블록(33, 34, 36, 37)이 구비하는 무선 통신부는, 구동블록(12)의 모터 또는 제어부와 놉블록(31, 32, 35, 39) 또는 스위치블록(33, 34, 36, 37)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는, 구동블록(12), 놉블록(31, 32, 35, 39) 또는 스위치블록(33, 34, 36, 37)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블록(12)의 전면에는 구동블록(12)의 균형을 잡아주기 위한 볼케스터가 설치될 수도 있다.
영상 제공부(20)는,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10)에 탑재되어 1인칭 시점의 영상을 획득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전송한다.
영상 제공부(20)는,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10)의 일반블록(14)에 탑재될 수 있다.
일례로, 영상 제공부(20)는, 카메라가 내장된 스마트폰 또는 카메라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일반블록(14)은 영상 제공부(20)를 결합 가능하게 하는 브라켓(16)을 구비할 수 있다.
도 5a는 영상 제공부(20)가 브라켓(16)의 파지부(16a)에 결합된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5a는 영상 제공부(20)가 브라켓(16)의 음압제공부(16b)에 결합된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구동블록(12)의 상부에 연결되는 브라켓(16)의 예가 도시된다.
브라켓(16)은, 영상 제공부(20)의 양 측을 지지하는 파지부(16a) 또는 읍압을 발생시킴으로 영상 제공부(20)를 밀착 접촉시켜 브라켓(16)에 결합시키는 읍압제공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a에는 브라켓(16)에 파지부(16a)가 구비되어 영상 제공부(20)의 양 측을 지지하는 파지부(16a)가 구비되는 예가 도시된다.
도 5b에는 브라켓(16)에 음압제공부(16b)가 구비되어 영상 제공부(20)를 브라켓(16)에 결합시키는 예가 도시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는,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10)의 움직임을 원격으로 조종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는, 놉블록(31, 32, 35, 39)을 포함할 수 있다.
놉블록(31, 32, 35, 39)은,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조향 또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놉블록(31, 32, 35, 39)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모터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구동블록(12)의 무선 통신부와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는, 스위치블록(33, 34, 36, 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블록(33, 34, 36, 37)은,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와, 가압됨에 따라 조향 또는 속도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블록(33, 34, 36, 37)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모터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구동블록(12)의 무선 통신부와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는, 놉블록(31, 32, 35, 39) 및 스위치블록(33, 34, 36, 37) 등을 조립하여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10)의 움직임을 원격으로 조종할 수 있게 되는데, 이하, 도 6a 내지 8b를 참조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의 형태 및 조종방법에 대하여 서술한다.
도 6a는 제1 및 제2놉블록(31, 32)으로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진이고, 도 6b는 도 6a에서, 제1 및 제2놉블록(31, 32)이 서로 상대 회전되도록 조종된 예를 도시하는 사진이다. 또한, 도 7a는 제1 및 제2스위치블록(33, 34)과 놉블록(35)으로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사진이고, 도 7b는 도 7a에서, 제1 및 제2스위치블록(33, 34)이 놉블록(35)을 기준으로 상대 회전되도록 조종된 예를 도시하는 사진이다. 한편, 도 8a는 제3 및 제4스위치블록(36, 37)과 놉블록(39)으로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사진이고, 도 8b는 도 8a에서, 제3 및 제4스위치블록(36, 37)이 놉블록(39)을 기준으로 상대 회전되도록 조종된 예를 도시하는 사진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의 일례로서,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놉블록(31, 32)은 2개로 구성되어, 2개의 놉블록(31, 32)이 각각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10)의 조향과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a 및 6b에서의 2개의 놉블록(31, 32)을 각각 제1놉블록(31) 및 제2놉블록(32)으로 명명할 수 있다.
제1놉블록(31) 및 제2놉블록(32)에 의해 제어되는 조향은 좌방향 및 우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놉블록(31) 및 제2놉블록(32)에 의해 제어되는 속도는 전진 방향 및 후진 방향으로의 속도일 수 있다.
도 6a 및 6b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놉블록(31, 32) 각각은 놉레버(32a)를 구비할 수 있다. 제2놉블록(32)의 놉레버(32a)가 사용자의 손에 의해 직접 회전되거나, 제2놉블록(32)이 제1놉블록(31)의 놉레버에 조립되어, 제2놉블록(32)의 놉레버(32a)를 사용자가 쥐고 회전함에 따라 제1놉블록(31)의 놉레버는 회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의 다른 일례로서, 도 7a 및 7b를 참조하면, 스위치블록 2개와, 놉블록 적어도 1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a 및 7b에서의 2개의 스위치블록을 각각 제1스위치블록(33) 및 제2스위치블록(34)으로 명명할 수 있다.
제1스위치블록(33)을 누른 뒤에, 제2스위치블록(34)이 1초 이내에 눌려지면 정해진 속도로 전진하고, 제1 및 제2스위치블록(33, 34)이 함께 눌려진 후 2초가 지나면 후진할 수 있다. 또한, 놉블록(35)의 회전 각도에 따라서 좌방향 및 우방향의 조향이 결정되게 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의 또 다른 일례로서, 도 8a 및 8b를 참조하면, 스위치블록 2개와, 놉블록 적어도 1개로 구성될 수 있는데, 2개의 스위치블록을 각각 제3스위치블록 및 제4스위치블록(36, 37)으로 명명할 수 있다. 제3스위치블록 및 제4스위치블록(36, 37)은 도 8a 및 8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연결부재(38)의 양 측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연결부재(38)의 형상은 양 측에 결합된 제3 및 제4스위치블록(36, 37)을 쥔 사용자에 의해 직사각형의 형상에서 평행사변의 형상으로 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부재(38)는 도 8a 및 8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막대가 조인트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조립된 구조이고, 복수의 막대는 조인트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도 8a 및 8b에서 제4스위치블록(37)의 대각선 꼭지점에는 놉블록(39)이 설치되는 예가 도시된다. 연결부재(38)가 평행사변의 형상이 되도록 제3 및 제4스위치블록(36, 37)의 상대 위치를 전후로 변경하게 되면, 놉블록(39)에서 제3스위치블록 및 제4스위치블록(36, 37) 간에 회전되는 각도를 측정하는데, 이것이 변화하는 동안에 정속으로 움직이면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10)는 전진하게 된다. 또한, 제3 및 제4스위치블록(36, 37) 각각의 스위치에 의해 조향이 결정될 수 있는데, 일례로 제3스위치블록(36)의 스위치를 누르면 왼쪽으로 회전하여 이동하고, 제4스위치블록(37)의 스위치를 누르면 오른쪽으로 회전하여 이동하게 된다.
디스플레이부(40)는, 영상 제공부(20)로부터 제공받은 영상을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일례로, 디스플레이부(40)는, 영상 제공부(2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하여 1인칭 시점의 영상을 제공받아 저장하는 컴퓨터, 컴퓨터에 저장된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 및 투사된 영상이 맺히는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0)는 도 2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에 설치되는 스마트폰일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40)의 스크린 또는 영상 제공부(20)를 보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의 놉블록(31, 32, 35, 39)과 스위치블록(33, 34, 36, 37)을 조작하여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10)의 움직임을 원격으로 제어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이동 블록 조립체 시스템(100)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이동 블록 조립체 시스템
10: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 12:구동블록 12a:모터
12b:기어부재 12c:제어부 12d:무선 통신부 12e:배터리
14:일반블록 15:바퀴 15a:구동형 바퀴 15b:수동형 바퀴
16:브라켓 16a:파지부 16b:음압제공부
20:영상 제공부
30:사용자 인터페이스부 31,32:제1 및 제2놉블록
32a:놉레버 33, 34:제1스위치블록 및 제2스위치블록
35:놉블록 36, 37:제3스위치블록 및 제4스위치블록
38:연결부재 39:놉블록
40:디스플레이부 41:컴퓨터 44:프로젝터 47:스크린

Claims (10)

  1. 동력을 제공받아 이동 가능한 구동블록과, 상기 구동블록에 탑재된 일반블록을 구비하는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
    상기 블록 조립 부재에 탑재되어 1인칭 시점의 영상을 획득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전송하는 영상 제공부;
    상기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의 움직임을 원격으로 조종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영상 제공부로부터 제공받은 영상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블록 조립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가 구동블록에는 상기 일반블록을 이동 가능하게 하도록, 회전 가능한 바퀴가 설치되고, 상기 영상 제공부는, 상기 일반블록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블록 조립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상기 일반블록은, 상기 영상 제공부를 결합 가능하게 하는 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영상 제공부의 양 측을 지지하는 파지부; 또는
    음압을 발생시켜 상기 영상 제공부를 접촉시키는 음압제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블록 조립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놉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놉블록은,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의 조향 또는 속도를 제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블록 조립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스위치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블록은,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와, 가압됨에 따라 상기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의 조향 또는 속도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블록 조립체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놉블록은 2개로 구비되고, 일 놉블록은 사용자에 의해 회전 가능한 놉레버를 구비하여 상기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의 조향 또는 속도를 제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블록 조립체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블록은 2개로 구비되고, 상기 놉블록은 적어도 1개로 구비되고,
    제1스위치블록을 누른 뒤에, 제2스위치블록이 기 결정된 시간 이내에 눌려지면 상기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는 정해진 속도로 전진하고, 상기 제1 및 제2스위치블록이 함께 눌려진 후 기 결정된 시간이 지나면 상기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는 후진하며, 상기 놉블록의 회전 각도에 근거하여 상기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는, 좌방향 및 우방향의 조향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블록 조립체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블록은 2개로 구비되고, 상기 놉블록은 적어도 1개로 구비되고,
    제3스위치블록 및 제4스위치블록은 연결부재의 양 측에 각각 결합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3스위치블록 및 제4스위치블록의 상대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놉블록은 상기 제3스위치블록 및 제4스위치블록 간에 회전되는 각을 측정하고, 상기 제3스위치블록 및 제4스위치블록가 정속으로 이동하면, 상기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는 전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블록 조립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스위치블록의 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가 왼쪽으로 회전하여 이동하고, 제4스위치블록의 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모바일 블록 조립 부재가 오른쪽으로 회전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블록 조립체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복수의 막대가 조인트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조립된 구조이고, 상기 복수의 막대는 상기 조인트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블록 조립체 시스템.
KR1020200045967A 2020-04-16 2020-04-16 휴먼인터페이스가 적용된 이동 블록 조립체 시스템 KR102424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967A KR102424396B1 (ko) 2020-04-16 2020-04-16 휴먼인터페이스가 적용된 이동 블록 조립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967A KR102424396B1 (ko) 2020-04-16 2020-04-16 휴먼인터페이스가 적용된 이동 블록 조립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143A true KR20210128143A (ko) 2021-10-26
KR102424396B1 KR102424396B1 (ko) 2022-07-21

Family

ID=78268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967A KR102424396B1 (ko) 2020-04-16 2020-04-16 휴먼인터페이스가 적용된 이동 블록 조립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43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7877A (ja) * 2006-09-13 2008-03-27 Nintendo Co Ltd 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KR101739029B1 (ko) 2015-09-25 2017-05-2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스마트 토이 플랫폼
US20170173485A1 (en) * 2015-02-12 2017-06-22 Geeknet, Inc. Reconfigurable brick building system and structure
CN206698299U (zh) * 2017-05-23 2017-12-01 刘宇 旧手机再利用遥控车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7877A (ja) * 2006-09-13 2008-03-27 Nintendo Co Ltd 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US20170173485A1 (en) * 2015-02-12 2017-06-22 Geeknet, Inc. Reconfigurable brick building system and structure
KR101739029B1 (ko) 2015-09-25 2017-05-2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스마트 토이 플랫폼
CN206698299U (zh) * 2017-05-23 2017-12-01 刘宇 旧手机再利用遥控车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아이폰 카(iPhone Car), [online], 2009년02월06일, [2022년01월24일 검색], 인터넷: <https://www.youtube.com/watch?v=i-erynm307k>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4396B1 (ko)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01203B2 (en) Self propelled device with magnetic coupling
US20200257283A1 (en) Self-propelled device with center of mass drive system
US10678235B2 (en) Self-propelled device with actively engaged drive system
US9594502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control, and remote-controlled user interface
JP6028113B2 (ja) トランスフォーマー車おもちゃ
US20090088248A1 (en) Game controlling apparatus for pedaling motion
US20040198159A1 (en) Mobile roly-poly-type apparatus and method
US20110231013A1 (en) Magnetic spherical balancing robot drive
KR101097761B1 (ko) 완구용 로봇 제어 시스템 및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제어되는 완구용 로봇
CN103926940A (zh) 控制装置、及其应用的云台以及控制云台的方法
WO2015198634A1 (ja) ゲームシステム
KR102424396B1 (ko) 휴먼인터페이스가 적용된 이동 블록 조립체 시스템
KR20160092953A (ko)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이동형 전자 블록 및 그 구동 방법
US20150031459A1 (en) Projecting unit having function of game platform
KR20180009834A (ko) 피지컬 컴퓨팅 학습을 위한 조립 키트
CN1991691B (zh) 交互式控制平台系统
KR101871989B1 (ko)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Ioi et al. Experiments and simulations of wall running and transferring of a climbing robot
WO2020250434A1 (ja) 薄型携帯通信端末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WO2019163312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00085644A (ko) 텔레로봇 시스템
JP2008100287A (ja) ロボットシステム
KR101706507B1 (ko) 단말기 연동 이동체, 단말기 연동 이동체 구동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TW201444604A (zh) 以智能裝置控制之遙控車系統
Gu Semi-autonomous mobile phone communication avatar for enhanced intera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