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7841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7841A
KR20210127841A KR1020200045189A KR20200045189A KR20210127841A KR 20210127841 A KR20210127841 A KR 20210127841A KR 1020200045189 A KR1020200045189 A KR 1020200045189A KR 20200045189 A KR20200045189 A KR 20200045189A KR 20210127841 A KR20210127841 A KR 20210127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locking
blocking member
color conversion
pixel area
colo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5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시완
김정기
안재헌
이명종
홍석준
황태형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5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7841A/ko
Priority to US17/220,531 priority patent/US20210318474A1/en
Priority to CN202110399727.1A priority patent/CN113540143A/zh
Publication of KR20210127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78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6Shielding, e.g. light-blocking means over the TF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 H01L27/153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 H01L27/15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two-dimensional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H01L27/3272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3Light absorb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1Filters in the form of arrays
    • H01L27/3211
    • H01L27/32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16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forming hybrid circuits
    • H01L25/167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forming hybrid circuits comprising optoelectronic devices, e.g. LED, photo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01L33/501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e.g. binder
    • H01L33/502Wavelength conversion materials
    • H01L33/504Elements with two or more wavelength conversion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에 위치하는 제1 화소 영역, 제2 화소 영역 및 제3 화소 영역, 상기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차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화소 영역 사이에 제1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1 차광 부재 및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 비연속적으로 위치하는 제2 차광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제3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차광 부재의 폭과 상기 제2 차광 부재의 폭은 동일하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개시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색변환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광 소자는, 양극(anode)으로부터 공급되는 정공(hole)과 음극(cathode)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자(electron)가 양극과 음극 사이에 형성된 발광층 내에서 결합하여 엑시톤(exciton)이 형성되고, 이 엑시톤이 안정화되면서 광을 방출하는 소자이다.
발광 소자는 넓은 시야각, 빠른 응답 속도, 얇은 두께, 낮은 소비 전력 등의 여러 가지 장점들을 가지기 때문에 텔레비전, 모니터, 휴대폰 등의 다양한 전기 및 전자 장치들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최근 고효율의 표시 장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색변환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색변환층은 발광 소자에서 발광된 광을 색변환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색변환층의 혼색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웃하는 색변환층 사이에 차광 부재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공정 과정에서 이러한 차광 부재의 폭을 정확하게 계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시예들은 공정 과정에서 차광 부재의 폭을 정확하게 측정 및 제어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에 위치하는 제1 화소 영역, 제2 화소 영역 및 제3 화소 영역, 상기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차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화소 영역 사이에 제1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1 차광 부재, 및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 비연속적으로 위치하는 제2 차광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제3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차광 부재의 폭과 상기 제2 차광 부재의 폭은 동일하다.
상기 기판에 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제1 화소 영역에 중첩하는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화소 영역에 중첩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3 컬러 필터, 상기 제1 개구부에 위치하는 제1 컬러 필터 및 상기 제2 개구부에 위치하는 제2 컬러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컬러 필터와 중첩하여 위치하는 제1 색변환층, 상기 제2 컬러 필터와 중첩하여 위치하는 제2 색변환층 및 상기 제3 컬러 필터와 중첩하여 위치하는 투과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에 상기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3 차광 부재, 상기 서로 이격된 제3 차광 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화소 영역과 중첩하는 제1 컬러 필터, 상기 제2 화소 영역과 중첩하는 제2 컬러 필터, 및 상기 제3 화소 영역과 중첩하는 제3 컬러 필터, 상기 제1 컬러 필터와 중첩하여 위치하는 제1 색변환층, 상기 제2 컬러 필터와 중첩하여 위치하는 제2 색변환층 및 상기 제3 컬러 필터와 중첩하여 위치하는 투과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화소 영역은 적색광을 방출하고, 상기 제2 화소 영역은 녹색광을 방출하고, 상기 제3 화소 영역은 청색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차광 부재는 상기 제2 화소 영역 및 제3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차광 부재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2 화소 영역 사이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3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차광 부재는 상기 제2 화소 영역 및 상기 제3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차광 부재와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2 화소 영역 사이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3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차광 부재는 상기 제2 화소 영역 및 상기 제3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차광 부재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차광 부재는 상기 제2 화소 영역 및 상기 제3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차광 부재와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화소 영역 및 상기 제3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차광 부재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1 화소 영역 사이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3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화소 영역 및 상기 제3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차광 부재와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1 화소 영역 사이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3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차광 부재와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1 화소 영역 사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2 화소 영역 사이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3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기판과 중첩하는 표시 기판 및 상기 표시 기판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화소 영역과 각각 중첩하며, 상기 발광 소자는 청색광을 발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에 위치하며 제1 방향으로 각각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1 색변환층, 제2 색변환층 및 투과층 및 상기 제1 색변환층, 상기 제2 색변환층 및 상기 투과층에 위치하는 차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색변환층, 상기 제2 색변환층, 및 상기 투과층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위치하며, 상기 제1 색변환층, 상기 제2 색변환층 및 상기 투과층 사이의 이격 공간을 채우는 제1 차광 부재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2 차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차광 부재의 폭과 상기 제2 차광 부재의 폭은 동일하다.
상기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투과층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차광 부재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색변환층 또는 상기 제2 색변환층 상에도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차광 부재와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색변환층 또는 상기 제2 색변환층 상에도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색변환층은 청색광을 적색으로 색변환하고, 상기 제2 색변환층은 청색광을 녹색으로 색변환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공정 과정에서 차광 부재의 폭을 정확하게 측정 및 제어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패널(3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과 동일한 평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7의 VIII-VII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7과 동일한 평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 9의 X-X'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과 동일한 평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도 11의 XII-XI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1과 동일한 평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도 13의 XIV-XIV'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3과 동일한 평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도 15의 XVI-XV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과 동일한 평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도 17의 XVIII- XVII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7과 동일한 평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도 19의 XX-XX'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9와 동일한 평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2는 도 21의 XXII-XXII'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3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9와 동일한 평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4는 도 23의 XXIV-XXIV'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5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23과 동일한 평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6은 도 25의 XXVI-XXVI'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3과 동일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8과 동일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0과 동일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2와 동일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4와 동 일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6과 동 일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8과 동 일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20과 동 일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22와 동 일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24와 동 일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26과 동 일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 쪽으로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그러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색변환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로, 표시 패널에서 발광된 빛이 색변환 패널을 투과하여 방출된다. 구체적인 구조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패널(3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에는 차광 부재(220)와 제1 컬러 필터(230R), 제2 컬러 필터(230G) 및 제3 컬러 필터(230B)를 포함하는 컬러 필터(230)의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였다.
도 1을 참고로 하면, 제3 컬러 필터(230B)는 제1 컬러 필터(230R)와 중첩하는 제1 개구부(231) 및 제2 컬러 필터(230G)와 중첩하는 제2 개구부(232)를 제외한 기판의 전면에 위치한다.
제1 컬러 필터(230R)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속적으로 위치하고, 제2 컬러 필터(230G) 또한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속적으로 위치한다. 제1 컬러 필터(230R)와 제2 컬러 필터(230G)는 가장자리에서 일부 중첩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로 하면, 제3 컬러 필터(230B)의 제1 개구부(231)와 제1 컬러 필터(230R)가 중첩하는 영역을 제1 화소 영역(PX1), 제3 컬러 필터(230B)의 제2 개구부(232)와 제2 컬러 필터(230G)가 중첩하는 부분은 제2 화소 영역(PX2), 도 1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제3 화소 영역(PX3)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화소 영역은 컬러 필터(230) 및 색변환층 또는 투과층이 기판에 수직한 방향으로 중첩되어 있으며 외부로 광을 발광하는 영역이다.
각 화소 사이에는 차광 부재(220)가 위치한다. 차광 부재(220)는 제1 방향(DR1)으로 나란하게 위치하는 제1 차광 부재(220a) 및 제2 방향(DR2)으로 나란하게 위치하는 제2 차광 부재(220b)를 포함한다.
제1 차광 부재(220a)는 각 화소 영역 사이에 모두 위치하지만, 제2 차광 부재(220b)의 경우 일부 화소 영역 사이에만 위치한다. 도 1을 참고로 하면, 제2 차광 부재(220b)는 제2 화소 영역(PX2)과 제3 화소 영역(PX3)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차광 부재(220a)로부터 뻗어 나와, 제2 방향(DR2)으로 위치한다. 이때, 제2 차광 부재(220b)는 제1 방향(DR1)으로 이웃하는 제2 화소 영역(PX2) 사이 및 제1 방향(DR1)으로 이웃하는 제3 화소 영역(PX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차광 부재(220b)의 제2 방향(DR2)으로의 길이는 하나의 화소 영역의 제2 방향(DR2)으로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도 1에는 제2 차광 부재(220b)가 제1 차광 부재(220a)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제2 차광 부재(220b)는 제1 차광 부재(220a)와 이격되어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는 제2 차광 부재(220b)가 제3 화소 영역(PX3) 및 제2 화소 영역(PX2)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제2 차광 부재(220b)는 다양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는 이후 별도로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2 방향(DR2)으로 위치하는 제2 차광 부재(220b)를 포함함으로써, 제조 과정에서 차광 부재(220)의 폭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공정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다만 제2 차광 부재(220b)는 일부 화소에만 위치하는 것으로,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속적으로 위치하지 않는다. 즉 전체 화소 중 일부 화소에만 제2 차광 부재(220b)가 위치하며, 모든 화소에 제2 차광 부재(220b)가 위치하는 것은 아니다. 이후 상세하게 설명하겠으나 제2 차광 부재(220b)는 제1 차광 부재(220a)의 형성 폭을 제어하기 위한 측정 영역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제2 차광 부재(220b)는 전체 화소 중 1% 내지 20% 에만 위치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 구체적인 단면도와 함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변환 패널(3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즉 도 2는 화소 영역(PX1, PX2, PX3)과 중첩하는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3은 화소 영역(PX1, PX2, PX3)과 중첩하지 않는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동시에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고로 하면, 색변환 기판(310)에 제3 컬러 필터(230B)가 위치한다. 제3 컬러 필터(230B)는 제1 개구부(231) 및 제2 개구부(232)를 제외한 기판의 전면에 위치한다. 색변환 기판(310)은 색변환 패널(300)을 구성하는 기판을 의미한다. 색변환 기판(310)은 플라스틱 또는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컬러 필터(230B) 위에 제3 차광 부재(220c)가 위치한다. 제3 차광 부재(220c)는 제3 컬러 필터(230B) 위에 위치하며, 제3 컬러 필터(230B)에 의한 외광 반사를 감소시킨다.
다음, 제1 개구부(231)와 중첩하여 제1 컬러 필터(230R)가 위치한다. 제1 컬러 필터(230R)는 제3 컬러 필터(230B) 및 제3 차광 부재(220c)와 일부 중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1 개구부(231)에서 제1 컬러 필터(230R)는 색변환 기판(310)과 직접 접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로 하면 제1 컬러 필터(230R)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속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다음, 제2 개구부(232)와 중첩하여 제2 컬러 필터(230G)가 위치한다. 제1 컬러 필터(230R)는 제1 컬러 필터(230R), 제3 컬러 필터(230B) 및 제3 차광 부재(220c)와 일부 중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2 개구부(232)에서 제2 컬러 필터(230G)는 색변환 기판(310)과 직접 접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로 하면 제2 컬러 필터(230G)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속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제1 컬러 필터(230R)는 적색 컬러 필터이고, 제2 컬러 필터(230G)는 녹색 컬러 필터이고, 제3 컬러 필터(230B)는 청색 컬러 필터일 수 있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색변환 기판(310)에 제3 차광 부재(220c)가 아닌 제1 컬러 필터(230R), 제2 컬러 필터(230G) 및 제3 컬러 필터(230B)가 직접 접한다. 따라서 색변환 기판(310)에 차광 부재가 위치하고 차광 부재 사이에 컬러 필터가 위치하는 구조에 비하여 발광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각 컬러 필터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컬러 필터(230B) 상에 제3 차광 부재(220c)가 위치하는바 외광 반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 제1 컬러 필터(230R), 제2 컬러 필터(230G) 및 제3 컬러 필터(230B) 위에 차단막(250)이 위치한다.
차단막(250) 상에 제1 컬러 필터(230R)와 중첩하여 제1 색변환층(330R)이 위치한다. 또한 제2 컬러 필터(230G)와 중첩하여 제2 색변환층(330G)이 위치하고, 제3 컬러 필터(230B)와 중첩하여 투과층(330B)이 위치한다. 이때 제1 색변환층(330R) 또한 제1 컬러 필터(230R)와 같이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속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제2 색변환층(330G) 및 투과층(330B)도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속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제1 색변환층(330R)은 공급되는 청색광을 적색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색변환층(330R)은 적색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색 형광체는 (Ca, Sr, Ba)S, (Ca, Sr, Ba)2Si5N8, (CaAlSiN3), CaMoO4, Eu2Si5N8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일 수 있다. 또한 제1 색변환층(330R)은 양자점을 포함할 수 있다. 양자점은 입사된 청색광을 적색광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제2 색변환층(330G)은 공급되는 청색광을 녹색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제2 색변환층(330G)은 녹색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녹색 형광체는 이트륨 알루미늄 가닛(yttrium aluminum garnet, YAG), (Ca, Sr, Ba)2SiO4, SrGa2S4, BAM, 알파 사이알론(α-SiAlON), 베타 사이알론(β-SiAlON), Ca3Sc2Si3O12, Tb3Al5O12, BaSiO4, CaAlSiON, (Sr1-xBax)Si2O2N2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일 수 있다. 이때 상기 x는 0 내지 1 사이의 임의의 수일 수 있다. 또한 제2 색변환층(330G)은 양자점을 포함할 수 있다. 양자점은 입사된 청색광을 녹색광으로 변환할 수 있다.
투과층(330B)은 입사되는 청색광을 투과시킨다. 투과층은 투명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공급된 청색광이 투과하며 청색을 나타낸다. 청색을 출광하는 영역에 해당하는 투과층(330B)은 별도의 형광체 또는 양자점 없이 입사된 청색을 출광하는 물질을 포함하며, 산란체를 포함할 수 도 있다.
제1 색변환층(330R), 제2 색변환층(330G) 및 투과층(330B) 사이에는 차광 부재(220)가 위치한다. 차광 부재(2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DR1)으로 위치하는 제1 차광 부재(220a) 및 제2 방향(DR2)으로 위치하는 제2 차광 부재(220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제1 차광 부재(220a)를 포함하는 단면이다. 도 2를 참고로 하면, 제1 차광 부재(220a)는 서로 이격된 제1 색변환층(330R), 제2 색변환층(330G) 및 투과층(330B) 사이를 채우면서 위치한다.
즉, 제1 색변환층(330R), 제2 색변환층(330G) 및 투과층(330B)의 제조 과정에서 각 색변환층 및 투과층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위치하고, 상기 공간을 제1 차광 부재(220a)가 채운다.
이렇게 빈 공간을 채우면서 제1 차광 부재(220a)가 형성되기 때문에, 제1 차광 부재(220a)의 폭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즉, 각 색변환층(330R, 330G)과 투과층(330B) 사이의 이격 공간이 달라지는 경우에 형성되는 제1 차광 부재(220a)의 폭은 달라질 수 있다.
공정 과정에서 차광 부재(220)의 폭을 균일하게 제어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차광 부재(220)의 폭이 적절하게 제어되지 않는 경우 이웃하는 색변환층 또는 투과층 사이에서 혼색이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도 2에서와 같이 색변환층과 투과층 사이의 이격 공간에 의해 제1 차광 부재(220a)의 폭이 달라질 수 있는바, 제1 차광 부재(220a)의 폭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공정 중 차광 부재(220)의 폭을 적절하게 제어하기 어렵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이웃하는 색변환층(330R, 330G)과 투과층(330B) 사이가 아닌 비표시 영역에 제2 차광 부재(220b)를 위치시켰다. 따라서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는 제2 차광 부재(220b)의 폭 측정을 통해 차광 부재의 폭을 제어하도록 하였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고로 하면, 색변환 기판(310)과 제3 컬러 필터(230B)가 접한다. 제3 컬러 필터(230B) 상에 제3 차광 부재(220c)가 위치하고, 이웃하는 제3 차광 부재(220c) 사이에 각각 제1 컬러 필터(230R) 및 제2 컬러 필터(230G)가 위치한다.
도 3 은 화소 영역이 아닌 비표시 영역의 단면이다. 도 3을 참고로 하면, 제2 색변환층(330G) 및 투과층(330B)과 중첩하여 제2 차광 부재(220b)가 위치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색변환층(330G) 및 투과층(330B)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차광 부재(220a)는 비표시 영역에서 제2 방향(DR2)으로 뻗어 나온 제2 차광 부재(220b)를 포함한다. 제2 차광 부재(220b)는 제2 색변환층(330G) 및 투과층(330B)과 각각 색변환 기판(310)에 수직한 방향으로 중첩한다. 공정 과정에서 제2 차광 부재(220b)의 폭을 측정하여 차광 부재의 폭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광 부재(220a)는 인접하는 색변환층 또는 투과층 사이의 이격 공간을 채우면서 형성되는바 그 폭이 일정하지 않지만,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차광 부재(220b)는 하나의 색변환층(330G) 또는 투과층(330B) 위에 위치하는바 그 폭이 일정하게 형성되고 따라서 공정 과정에서 제2 차광 부재(220b)의 폭을 측정하여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폭은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측정한 너비를 의미한다. 즉, 도 1을 참고로 하면 제1 차광 부재(220a)의 폭은 제2 방향(DR2)으로 측정한 제1 차광 부재(220a)의 너비이며, 제2 차광 부재(220b)의 폭은 제1 방향(DR1)으로 측정한 제2 차광 부재(220b)의 너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에서 어두운 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제1 차광 부재(220a)에 해당하는 영역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로 하면 제1 차광 부재(220a)의 폭이 나란한 다른 제1 차광 부재(220a)와 동일하지 않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형성과정에서 차광 부재가 이동(shift)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차광 부재(220a)의 폭을 측정하여 차광 부재의 형성을 제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본 실시예예 따른 표시 장치는 이웃하는 색변환층 또는 투과층 사이가 아니라, 하나의 색변환층 또는 투과층 상에 위치하는 제2 차광 부재(220b)를 포함하는바 제2 차광 부재(220b)의 폭 측정을 통해 차광 부재의 형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차광부재의 폭은 길이 방향과 수직한 너비를 의미한다. 즉, 제1 차광 부재(220a)의 폭은 제2 방향(DR2)으로의 너비이며, 제2 차광 부재(220b)의 폭은 제1 방향(DR1)으로의 너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차광 부재(220b)는 제1 차광 부재(220a)의 폭을 계측하기 위한 수단인바, 제1 차광 부재(220a)의 폭과 제2 차광 부재(220b)의 폭은 동일하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의 의미는 공정 산포 등을 고려하였을 때 차이가 10%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즉 제1 차광 부재(220a)의 제2 방향(DR2)으로의 너비와, 제1 차광 부재(220b)의 제1 방향(DR1)으로의 너비의 차이가 10% 이하일 때, 제1 차광 부재(220a)의 폭과 제2 차광 부재(220b)의 폭은 동일한 것으로 한다.
그러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색변환 패널(300)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고로 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색변환 패널(300) 및 표시 패널(100)을 포함한다. 색변환 패널(300)에 대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바 생략한다.
표시 패널(100)은 표시 기판(110)을 포함한다. 표시 기판(110)에 트랜지스터(TFT) 및 이와 연결된 제1 전극(191)이 위치하고, 제1 전극(191)과 표시 기판(110) 사이에 절연막(180)이 위치한다.
절연막(180)의 개구부(185)에서 제1 전극(191)이 트랜지스터(TFT)와 연결된다. 다시 도 6을 참고하면, 제1 전극(191)에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격벽(350)이 위치하고, 격벽(350)에 제2 전극(270)이 위치한다. 격벽(350)의 개구부에는 발광 소자층(370)이 위치한다. 발광 소자층(370)은 제1 전극(191)과 제2 전극(270)의 전압 공급에 의해 발광한다.
발광 소자층(370)은 청색광을 발광한다. 각 발광 소자층(370)에서 발광된 청색광은 색변환층(330R, 330G)을 통과하면서 각각의 색변환층에서 적색, 녹색으로 색변환되거나 투과층(330B)에서 청색으로 투과된다.
제1 전극(191), 제2 전극(270) 및 발광 소자층(370)은 발광 소자(LED)를 구성한다.
제2 전극(270) 상에 봉지층(390)이 위치할 수 있다. 봉지층(390)은 무기막 및 유기막을 모두 포함하는 다층 구조일 수 있다.
도 6에서 트랜지스터(TFT) 및 발광 소자(LED)의 구성은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트랜지스터(TFT)의 다양한 배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색변환 패널(300)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3에서와 동일한 바 생략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의 발광 소자(LED)에서 발광된 청색광이, 색변환 패널(300)의 색변환층(330R, 330G)을 통과하면서 적색, 녹색으로 색변환되거나 투과층(330B)에서 청색으로 투과되어 영상을 표시한다.
도 7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과 동일한 평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7의 VIII-VII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고로 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2 차광 부재(220b)가 제1 차광 부재(220a)와 이격된 섬형이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차광 부재(220b)를 도트 형태의 섬형으로 형성하더라도, 제2 차광 부재(220b)의 폭을 측정하여 차광 부재의 형성 공정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제2 차광 부재(220b)를 도트 형태로 형성하는 경우, 서로 이격된 제2 차광 부재(220b)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다른 구조물의 형성 공정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도 7 및 도 8에서 제2 색변환층(330G) 상에 위치하는 제2 차광 부재(220b)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웃하는 다른 제2 색변환층(330G) 상에 위치하는 제2 차광 부재(220b)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각 색변환층 및 투과층이 적절한 너비로 형성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색변환층(330G) 상에 위치하는 제2 차광 부재(220b)와 투과층(330B) 상에 위치하는 제2 차광 부재(220b)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2 색변환층(330G) 및 투과층(330B)이 적절한 너비로 형성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7과 동일한 평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 9의 X-X'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로 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2 차광 부재(220b)가 제2 방향(DR2)으로의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이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7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렇게 제2 차광 부재(220b)가 막대 형상을 갖는 경우, 제2 차광 부재(220b) 형성시 공정 안정성이 증가하며 따라서 제2 차광 부재(220b)의 폭을 안정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도 11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과 동일한 평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도 11의 XII-XI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을 참고로 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2 차광 부재(220b)가 투과층(330B) 위에만 위치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즉 제2 차광 부재(220b)는 투과층(330B) 위에만 위치하고 제1 색변환층(330R) 및 제2 색변환층(330G) 위에는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렇게 제2 차광 부재(220b)가 투과층(330B) 위에만 위치하더라도 제2 차광 부재(220b)의 폭을 측정하여 차광 부재의 형성 공정을 제어할 수 있다. 투과층(330B)은 하부에 제3 컬러 필터(230B)만 위치하는바 투과층(330B)의 상면은 균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투과층(330B) 상부에 제2 차광 부재(220b)가 균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차광 부재(220b)의 폭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13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1과 동일한 평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도 13의 XIV-XIV'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고로 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2 차광 부재(220b)가 제1 차광 부재(220a)와 이격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1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3과 동일한 평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도 15의 XVI-XV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고로 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2 차광 부재(220b)가 제1 차광 부재(220a)와 이격되어 있으며, 도트 형상이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3 및 도 14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과 동일한 평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도 17의 XVIII- XVII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고로 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2 차광 부재(220b)가 투과층(330B) 및 제1 색변환층(330R) 상에 위치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즉, 도 1의 경우 제2 차광 부재(220b)가 투과층(330B) 및 제2 색변환층(330G)상에 위치하는 구성이 도시되었으나, 도 17 및 도 18에서와 같이 제2 차광 부재(220b)가 투과층(330B) 및 제1 색변환층(330R) 상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9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7과 동일한 평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도 19의 XX-XX'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고로 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2 차광 부재(220b)가 투과층(330B) 및 제1 색변환층(330R) 상에 위치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7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즉, 도 7의 경우 제2 차광 부재(220b)가 투과층(330B) 및 제2 색변환층(330G)상에 위치하는 구성이 도시되었으나, 도 19 및 도 20에서와 같이 제2 차광 부재(220b)가 투과층(330B) 및 제1 색변환층(330R) 상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21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9와 동일한 평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2는 도 21의 XXII-XXII'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고로 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2 차광 부재(220b)가 투과층(330B) 및 제1 색변환층(330R) 상에 위치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9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즉, 도 9의 경우 제2 차광 부재(220b)가 투과층(330B) 및 제2 색변환층(330G)상에 위치하는 구성이 도시되었으나, 도 21 및 도 22에서와 같이 제2 차광 부재(220b)가 투과층(330B) 및 제1 색변환층(330R) 상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23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9와 동일한 평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4는 도 23의 XXIV-XXIV'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3 및 도 24를 참고로 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2 차광 부재(220b)가 투과층(330B), 제1 색변환층(330R) 및 제2 색변환층(330G) 상에 위치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9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차광 부재(220b)가 도 9의 실시예보다 더 많은 영역에 위치한다.
도 25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23과 동일한 평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6은 도 25의 XXVI-XXVI'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5 및 도 26을 참고로 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2 차광 부재(220b)가 막대 형상이 아닌 도트 형상이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23 및 도 24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색변환 패널(300)의 색변환 기판(310)에 제1 컬러 필터(230R), 제2 컬러 필터(230G) 및 제3 컬러 필터(230B)가 접하고 제3 차광 부재(220c)는 직접 접하지 않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일 예시일 뿐이며, 컬러 필터의 구조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3과 동일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7을 참고로 하면 본 실시예예 따른 표시 장치는 색변환 기판(310) 상에 서로 이격된 제4 차광 부재(230c)가 위치하고, 각 제4 차광 부재(230c) 사이에 제1 컬러 필터(230R), 제2 컬러 필터(230G) 및 제3 컬러 필터(230B)가 위치한다. 즉 도 1의 실시예의 경우 제3 컬러 필터(230B)가 제1 개구부(231) 및 제2 개구부(232)를 제외하고 색변환 기판(310)의 전면에 위치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 제3 컬러 필터(230B)는 청색이 발광되는 영역에 위치하고 전면에 위치하지 않는다. 제2 차광 부재(220b)에 대한 설명은 도 1에서와 동일한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8과 동일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제1 컬러 필터(230R), 제2 컬러 필터(230G) 및 제3 컬러 필터(230B)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도 8의 실시예와 동일한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0과 동일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제1 컬러 필터(230R), 제2 컬러 필터(230G) 및 제3 컬러 필터(230B)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도 10의 실시예와 동일한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2와 동일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제1 컬러 필터(230R), 제2 컬러 필터(230G) 및 제3 컬러 필터(230B)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도 12의 실시예와 동일한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4와 동 일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제1 컬러 필터(230R), 제2 컬러 필터(230G) 및 제3 컬러 필터(230B)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도 14의 실시예와 동일한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6과 동 일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제1 컬러 필터(230R), 제2 컬러 필터(230G) 및 제3 컬러 필터(230B)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도 16의 실시예와 동일한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8과 동 일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제1 컬러 필터(230R), 제2 컬러 필터(230G) 및 제3 컬러 필터(230B)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도 18의 실시예와 동일한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20과 동 일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제1 컬러 필터(230R), 제2 컬러 필터(230G) 및 제3 컬러 필터(230B)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도 20의 실시예와 동일한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22와 동 일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제1 컬러 필터(230R), 제2 컬러 필터(230G) 및 제3 컬러 필터(230B)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도 22의 실시예와 동일한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24와 동 일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제1 컬러 필터(230R), 제2 컬러 필터(230G) 및 제3 컬러 필터(230B)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도 24의 실시예와 동일한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26과 동 일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제1 컬러 필터(230R), 제2 컬러 필터(230G) 및 제3 컬러 필터(230B)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도 26의 실시예와 동일한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0)

  1. 기판;
    상기 기판에 위치하는 제1 화소 영역, 제2 화소 영역 및 제3 화소 영역; 및
    상기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차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화소 영역 사이에 제1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1 차광 부재, 및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 비연속적으로 위치하는 제2 차광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제3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차광 부재의 폭과 상기 제2 차광 부재의 폭은 동일한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기판에 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제1 화소 영역에 중첩하는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화소 영역에 중첩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3 컬러 필터;
    상기 제1 개구부에 위치하는 제1 컬러 필터; 및
    상기 제2 개구부에 위치하는 제2 컬러 필터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제1 컬러 필터와 중첩하여 위치하는 제1 색변환층;
    상기 제2 컬러 필터와 중첩하여 위치하는 제2 색변환층; 및
    상기 제3 컬러 필터와 중첩하여 위치하는 투과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기판에 상기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3 차광 부재;
    상기 서로 이격된 제3 차광 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화소 영역과 중첩하는 제1 컬러 필터, 상기 제2 화소 영역과 중첩하는 제2 컬러 필터, 및 상기 제3 화소 영역과 중첩하는 제3 컬러 필터;
    상기 제1 컬러 필터와 중첩하여 위치하는 제1 색변환층;
    상기 제2 컬러 필터와 중첩하여 위치하는 제2 색변환층; 및
    상기 제3 컬러 필터와 중첩하여 위치하는 투과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제1 화소 영역은 적색광을 방출하고, 상기 제2 화소 영역은 녹색광을 방출하고, 상기 제3 화소 영역은 청색광을 방출하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제1 차광 부재는 상기 제2 화소 영역 및 제3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차광 부재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2 화소 영역 사이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3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7. 제5항에서,
    상기 제1 차광 부재는 상기 제2 화소 영역 및 상기 제3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차광 부재와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2 화소 영역 사이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3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8. 제5항에서,
    상기 제1 차광 부재는 상기 제2 화소 영역 및 상기 제3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차광 부재와 연결되어 있는 표시 장치.
  9. 제5항에서,
    상기 제1 차광 부재는 상기 제2 화소 영역 및 상기 제3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차광 부재와 이격되어 있는 표시 장치.
  10. 제5항에서,
    상기 제1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화소 영역 및 상기 제3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차광 부재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1 화소 영역 사이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3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1. 제5항에서,
    상기 제1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화소 영역 및 상기 제3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차광 부재와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1 화소 영역 사이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3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2. 제5항에서,
    상기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차광 부재와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1 화소 영역 사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2 화소 영역 사이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3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3. 제1항에서,
    상기 기판과 중첩하는 표시 기판; 및
    상기 표시 기판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화소 영역과 각각 중첩하며,
    상기 발광 소자는 청색광을 발광하는 표시 장치.
  14. 기판;
    상기 기판에 위치하며 제1 방향으로 각각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1 색변환층, 제2 색변환층 및 투과층; 및
    상기 제1 색변환층, 상기 제2 색변환층 및 상기 투과층에 위치하는 차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색변환층, 상기 제2 색변환층, 및 상기 투과층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위치하며, 상기 제1 색변환층, 상기 제2 색변환층 및 상기 투과층 사이의 이격 공간을 채우는 제1 차광 부재;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2 차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차광 부재의 폭과 상기 제2 차광 부재의 폭은 동일한 표시 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투과층 상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6. 제15항에서,
    상기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차광 부재와 연결되어 있는 표시 장치.
  17. 제16항에서,
    상기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색변환층 또는 상기 제2 색변환층 상에도 위치하는 표시 장치.
  18. 제15항에서,
    상기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차광 부재와 이격되어 있는 표시 장치.
  19. 제18항에서,
    상기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제1 색변환층 또는 상기 제2 색변환층 상에도 위치하는 표시 장치.
  20. 제1항에서,
    상기 제1 색변환층은 청색광을 적색으로 색변환하고,
    상기 제2 색변환층은 청색광을 녹색으로 색변환하는 표시 장치.
KR1020200045189A 2020-04-14 2020-04-14 표시 장치 KR2021012784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189A KR20210127841A (ko) 2020-04-14 2020-04-14 표시 장치
US17/220,531 US20210318474A1 (en) 2020-04-14 2021-04-01 Display device
CN202110399727.1A CN113540143A (zh) 2020-04-14 2021-04-14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189A KR20210127841A (ko) 2020-04-14 2020-04-14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841A true KR20210127841A (ko) 2021-10-25

Family

ID=78006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189A KR20210127841A (ko) 2020-04-14 2020-04-14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318474A1 (ko)
KR (1) KR20210127841A (ko)
CN (1) CN11354014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56322A (zh) * 2021-11-29 2022-03-08 湖北长江新型显示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2718B1 (ko) * 2018-09-14 2023-08-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컬러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1119375B1 (en) * 2020-05-19 2021-09-14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18474A1 (en) 2021-10-14
CN113540143A (zh) 2021-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5695B1 (ko) 색변환 표시판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US10690961B2 (en) Partial drive-type light source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same
KR20200051912A (ko) Led 모듈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43483B1 (ko) 표시 장치
KR102255809B1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20100041122A (ko) 액정 표시 장치
JP6884837B2 (ja) 自発光表示装置
KR20150131962A (ko) 표시 장치
US11796851B2 (en) Color conversion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7423252B2 (ja) 光学部材及びそれを包含する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60028580A (ko) 컬러 변환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471687B1 (ko) 발광모듈 및 표시장치
KR102449980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WO2013099744A1 (ja) 表示装置
KR20210127841A (ko) 표시 장치
US20200124786A1 (en) Display devices using led backlight units and led packages for the backlight units
TWI640075B (zh) 像素發光裝置
KR102086473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JP2016072076A (ja) バックライト装置
US20230161096A1 (en) Surface light source
US11934003B2 (en) Planar light source
US11709312B2 (en) Planar light source including light adjustment members
US11709394B2 (en) Light-emitting module and planar light source
US20230116946A1 (en) Light emitting module and planar light source
US11536883B2 (en) Color conversion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