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7582A -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7582A
KR20210127582A KR1020200088464A KR20200088464A KR20210127582A KR 20210127582 A KR20210127582 A KR 20210127582A KR 1020200088464 A KR1020200088464 A KR 1020200088464A KR 20200088464 A KR20200088464 A KR 20200088464A KR 20210127582 A KR20210127582 A KR 20210127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aod
mode
driving circui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운기
김민식
박현수
이종혁
임현욱
장우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110326418.1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3539180A/zh
Priority to US17/221,461 priority patent/US11817067B2/en
Publication of KR20210127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75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가 개시된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고, 노멀 모드 및 노멀 모드보다 소비전력이 낮은 AOD 모드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수신된 메인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 노멀 모드에서는 제1 부가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AOD 모드에서는 제2 부가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 제2 메모리에 저장된 제1 부가 이미지 데이터에 따라 노멀 모드로 동작하는 노멀 모드 컨트롤러, 및 제1 메모리에 저장된 메인 이미지 데이터 및 제2 메모리에 저장된 제2 부가 이미지 데이터에 따라, AOD 모드로 동작하는 AOD 모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DISPLAY DRIVING CIRCUIT}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에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프로세서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의 데이터 라인에 인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OLED(Organic LED) 디스플레이, AMOLED(Active Matrix OLED) 디스플레이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IT 기술이 발전하면서 소형 전자 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소형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 태플릿 PC(Tablet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및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등을 포함한다. 대부분의 소형 전자 장치는 배터리로부터의 전력에 기초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소형 전자 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비 전력을 줄이는 것도 중요하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노멀(normal) 모드 및 AOD(Always On Display) 모드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고, 노멀(normal) 모드 및 노멀 모드보다 소비전력이 낮은 AOD(Always on display) 모드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수신된 메인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 노멀 모드에서는 제1 부가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AOD 모드에서는 제2 부가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 제2 메모리에 저장된 제1 부가 이미지 데이터에 따라 노멀 모드로 동작하는 노멀 모드 컨트롤러, 및 제1 메모리에 저장된 메인 이미지 데이터 및 제2 메모리에 저장된 제2 부가 이미지 데이터에 따라, AOD 모드로 동작하는 AOD 모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고, 노멀 모드 및 노멀 모드보다 소비전력이 낮은 AOD 모드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에 있어서, 노멀 모드에서 제1 메인 이미지 데이터 및 AOD 모드에서 제2 메인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 제1 메모리로부터 제1 메인 이미지 데이터 및 제2 메인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제1 메인 이미지 데이터 및 제2 메인 이미지 데이터를 분배하는 분배기, 분배기로부터 제1 메인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제1 메인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코더, 디코딩된 제1 메인 이미지 데이터에 따라 노멀 모드로 동작하는 노멀 모드 컨트롤러, 및 분배기로부터 제2 메인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메인 이미지 데이터에 따라 AOD 모드로 동작하는 AOD 모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수신된 병합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 병합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부가 이미지 데이터를 추출하고 메인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미지 수정 회로, 클락 신호 및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내부 시간 정보를 생성하는 내부 시간 정보 생성 회로, 및 메인 이미지 데이터, 부가 이미지 데이터, 및 내부 시간 정보에 따라 AOD 모드로 동작하는 AOD 모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AOD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메모리를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전용 메모리 사용으로 인한 비용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노멀 모드에서는 인코딩된 메인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AOD 모드에서는 인코딩되지 않은 메인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AOD 모드에서 배경 이미지 데이터인 메인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동작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디코딩 동작에 필요한 전력 소모가 감소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외부의 오실레이터에서 생성된 클락 신호를 사용함으로써, 내부 시간 보정을 위한 프로세서의 웨이크 업(Wake Up)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프로세서로부터 전달된 병합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내에서 자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에 AOD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이미지 신호들을 생성하므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프로세서가 AOD 모드를 위한 별도의 부가 이미지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전력 소모를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AOD 모드를 위한 전용 메모리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비용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 실제로 표시된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AOD 영역의 휘도를 조절하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예시적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0)은 이미지 표시기능을 가지는 전자 장치에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카메라(camera),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냉장고, 에어컨,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로봇, 드론, 각종 의료기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vanced Drivers Assistance System; ADAS), 차량용 장치, 가구 또는 각종 계측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은 프로세서(100),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또는 디스플레이 구동 집적 회로라고 함), 및 디스플레이 패널(30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 및 디스플레이 패널(300)은 하나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모듈은 디스플레이 장치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가 TCP(Tape Carrier Package), COF(Chip On Film), FPC(Flexible Print Circuit) 등과 같은 회로 필름에 실장되어, TAB(Tape Automatic Bonding)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부착되거나, COG(Chip On Glass) 또는 COP(Chip On Plastic)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패널(300)의 비표시 영역 상에 실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10)은 노멀 모드 및 노멀 모드보다 전력 소모가 작은 AOD(Always On Display)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노멀 모드는, 프로세서(100)가 활성 상태(active state)에 있는 동안 디스플레이 패널(300)을 통해 화면을 표시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고, 프로세서(100)에 정상 전력(steady state power)이 제공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노멀 모드에서는 프로세서(100)가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를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300)을 통해 이미지를 표시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AOD 모드는, 프로세서(100)가 비활성 상태(inactive state)에 있는 동안 디스플레이 패널(300)을 통해 화면을 표시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비활성 상태는, 활성 상태로의 전환을 위해 부팅(booting)을 요구하는 턴-오프(turn-off)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비활성 상태는 프로세서(100)에 제공되는 전력이 제한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노멀 모드에서 제공되는 전력보다 낮은 전력이 제공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는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표시될 이미지 데이터(MIDT, AIDT)를 생성하고, 이미지 데이터(MIDT, AIDT), 시간 정보(TI) 및 커맨드(예를 들어, 모드 변경 커맨드(MCMD))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에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프로세서, 멀티미디어 프로세서, 그래픽 프로세서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 있어서, 프로세서(100)는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IC))로 구현될 수 있으며, 모바일 AP(Application Processor) 또는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00)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을 노멀 모드로부터 AOD 모드로 변경할 것인지 여부를 식별하거나, 또는 AOD 모드에서 노멀 모드로 변경할 것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0)는, 지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이 검출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지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이 검출됨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노멀 모드로 유지하고, 지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이 검출되지 않음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AOD 모드로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100)는, 디스플레이 패널(300)을 비활성화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검출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디스플레이 패널(300)을 비활성화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검출됨을 확인하는 것에 기반하여 노멀 모드로부터 AOD 모드로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는 모드 변경을 위한 모드 변경 커맨드(MCMD)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는 모드 변경 커맨드(MCMD)에 응답하여, 노멀 모드에서 AOD 모드로 모드를 변경하여 동작할 수 있고, 또는 AOD 모드에서 노멀 모드로 모드를 변경하여 동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는 프로세서(10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 데이터(MIDT, AIDT)를 디스플레이 패널(300)을 구동하기 위한 이미지 신호들(IS)로 변환하고, 변환된 이미지 신호들(IS)을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공급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노멀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는 프로세서(100)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300) 전체에 대응되는 풀 프레임(Full Frame) 이미지 데이터인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를 수신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300) 중 일부 영역에 대응되는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를 수신할 수 있다. 반면, AOD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는 프로세서(100)로부터 배경 이미지 데이터인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를 수신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300) 중 AOD 영역(310)에 대응되는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는 AOD 모드 컨트롤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AOD 모드 컨트롤러(230)는 배경 이미지 데이터인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 및 시간 정보(TI)를 이용하여 AOD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OD 모드 컨트롤러(230)는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 및 시간 정보(TI)를 이용하여, 배경 이미지 및 부가 이미지가 결합된 AOD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표시되도록 제어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300)은 실제 이미지가 표시되는 표시부이며,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ile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 전기적으로 전달되는 이미지 신호들(IS)을 입력 받아 2차원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 중 하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300)은 다른 종류의 평판 디스플레이 또는 플랙서블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AOD 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300)의 AOD 영역(310)에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AOD 영역(310)은 디스플레이 패널(300)의 일부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AOD 영역(310)은 디스플레이 시스템(10)이 AOD 모드(또는 저전력 모드)로 동작할 때, 이미지가 표시되는 일 영역일 수 있다. AOD 영역(310)은 디스플레이 패널(300) 상의 고정된 영역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패널(300) 상에서 AOD 영역(310)의 위치, 사이즈, 개수 등이 시간에 따라서 또는 구동 조건 등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는, 노멀 모드에서 수신된 부가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에, AOD 모드에서 수신된 부가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AOD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메모리를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전용 메모리 사용으로 인한 비용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는, 노멀 모드에서는 인코딩된 배경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AOD 모드에서는 인코딩되지 않은 배경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AOD 모드에서 배경 영상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동작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디코딩 동작에 필요한 전력 소모가 감소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 실제로 표시된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300)은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로부터 AOD 이미지 신호(AIS)를 수신할 수 있다. AOD 이미지 신호(AIS)는 배경 이미지 신호(BIS) 및 부가 이미지 신호(AAIS)를 포함할 수 있고, 배경 이미지 신호(BIS) 및 부가 이미지 신호(AAIS)가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300)은 AOD 이미지 신호(AIS)에 따른 실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부가 이미지 신호(AAIS)에 따른 부가 이미지는 예를 들어, 시계일 수 있다. 도 2에서는 부가 이미지 신호(AAIS)에 따른 이미지가 디지털 시계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2에서는 부가 이미지 신호(AAIS)에 따른 이미지는 아날로그 시계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OD 모드 컨트롤러(230)는 AOD 모드에서, 숫자의 폰트 및/또는 콜론(:)의 폰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 및 현재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시간 정보(TI)를 이용하여, 디지털 시계 형상의 부가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표시되도록 제어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AOD 모드 컨트롤러(230)는 AOD 모드에서, 시침, 분침, 및 초침의 형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 및 현재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시간 정보(TI)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시계 형상의 부가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표시되도록 제어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도 1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일 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은 프로세서(100),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 및 디스플레이 패널(30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는 인코더(110) 및 선택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코더(110)에 의해 인코딩됨으로써 압축된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가 프로세서(100)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프로세서(100)는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를 전송할 수 있고, 선택기(120)의 선택 동작에 의해, 노멀 모드에서는 제1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_N)를 전송하고, AOD 모드에서는 제2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_A)를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선택기(120)는 멀티플렉서로 구현될 수 있고, 동작 모드가 변경됨에 따라 출력하는 신호가 달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는 프로세서(100)로부터 수신되는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 및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를 수신하고,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 및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를 디스플레이 패널(300)을 구동하기 위한 이미지 신호들(IS)로 변환할 수 있다. 변환된 이미지 신호들(IS)을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공급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_N)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300)의 이미지는 디스플레이 패널(300)의 라운디드 코너 디스플레이(rounded corner display)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_A)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300)의 이미지는 디스플레이 패널(300)의 AOD 영역(310)에 표시되는 부가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는 인터페이스 회로(IFC), 제1 메모리(210), 디코더(220), AOD 모드 컨트롤러(230), 제2 메모리(240), 분배기(250), 노멀 모드 컨트롤러(260), 및 내부 시간 정보 생성 회로(270)를 포함할 수 있다. AOD 모드 컨트롤러(230)는 AOD 모드를 수행하는 제어 로직 회로일 수 있고, 노멀 모드 컨트롤러(260)는 노멀 모드를 수행하는 제어 로직 회로일 수 있다. 다만, 도 3은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의 예시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는 도 3에 나타나지 않은 다른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는 도 3에 나타낸 인터페이스 회로(IFC), 제1 메모리(210), 디코더(220), AOD 모드 컨트롤러(230), 제2 메모리(240), 분배기(250), 노멀 모드 컨트롤러(260), 및 내부 시간 정보 생성 회로(270) 중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인터페이스 회로(IFC)는 채널을 통해 프로세서(100)로부터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 시간 정보(TI) 및 모드 변경 커맨드(MCMD)를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회로(IFC)는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 시간 정보(TI) 및 모드 변경 커맨드(MCMD)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 내부의 다른 구성 요소들로 송신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인터페이스 회로(IFC)는 RGB 인터페이스, CPU 인터페이스, 시리얼 인터페이스(serial interface), MDDI(Mobile Display Digital Interface), I2C(Inter Integrated Circuit) 인터페이스,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MCU(Micro Controller Unit) 인터페이스,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eDP(embedded Display Port) 인터페이스, D-sub(D-subminiature),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인터페이스 회로(IFC)는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Secure Digital) 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인터페이스 회로(IFC)는 노멀 모드에서 AOD 모드로 모드가 변경되면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 및 시간 정보(TI)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100)와 연결되는 채널을 일정 시간 동안 차단할 수 있다.
제1 메모리(210)는 인터페이스 회로(IFC)를 통해 수신된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를 저장하고, 디코더(220)로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를 전송할 수 있다. 디코더(220)는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를 디코딩할 수 있고, AOD 모드에서 디코딩된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_D)를 배경 이미지 데이터로서 AOD 모드 컨트롤러(2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코더(220)는 노멀 모드에서 디코딩된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_D)를 풀 프레임 이미지 데이터로서 노멀 모드 컨트롤러(26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2 메모리(240)는 인터페이스 회로(IFC)를 통해 수신된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를 저장하고, 분배기(250)로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메모리(240)는 노멀 모드에서 제1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_N)를 저장하고 분배기(250)로 제1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_N)를 전송할 수 있다. 반면, 제2 메모리(240)는 AOD 모드에서 제2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_A)를 저장하고 분배기(250)로 제2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_A)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메모리(210) 및 제2 메모리(24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1 메모리(210) 및 제2 메모리(240) 각각은 휘발성 메모리(DRAM, SRAM, SDRAM), 비휘발성 메모리(PROM, EP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제1 메모리(210)는 그래픽 램(graphic RAM, GRAM)일 수 있고, 제2 메모리(240)는 SRAM일 수 있다.
분배기(250)는 모드 선택 신호(MS)에 응답하여, 수신된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를 AOD 모드 컨트롤러(230) 및 노멀 모드 컨트롤러(260) 중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모드 선택 신호(MS)는 모드 변경 커맨드(MCMD)에 따라 변경되는 신호일 수 있다. 분배기(250)는 모드 선택 신호(MS)에 응답하여, 노멀 모드에서 제1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_N)를 노멀 모드 컨트롤러(260)로 전송할 수 있고, AOD 모드에서 제2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_A)를 AOD 모드 컨트롤러(23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분배기(250)는 디멀티플렉서로 구현될 수 있고, 동작 모드가 변경됨에 따라 출력하는 신호를 서로 다른 구성으로 전송할 수 있다.
내부 시간 정보 생성 회로(270)는 인터페이스 회로(IFC)를 통해 시간 정보(TI)를 수신할 수 있다. AOD 모드에서 내부 시간 정보 생성 회로(270)는 시간 정보(TI) 및 클락 신호(CLK)에 따라 내부 시간 정보(ITI)를 생성할 수 있다. 내부 시간 정보 생성 회로(270)는 내부 시간 정보(ITI)를 AOD 모드 컨트롤러(23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는 클락 신호(CLK)를 생성하는 오실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시간 정보 생성 회로(270)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 내부에서 생성된 클락 신호(CLK)를 이용하여 내부 시간 정보(ITI)를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00)는 노멀 모드에서 AOD 모드로 변경되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로 시간 정보(TI)를 전송할 수 있고, 이후의 일정 시간 동안의 AOD 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는 시간 정보(TI)의 수신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시간 정보 생성 회로(270)는 수신된 시간 정보(TI)를 기준으로 클락 신호(CLK)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내부 시간 정보(ITI)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AOD 모드 컨트롤러(230)는 배경 이미지 데이터로서 디코딩된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_D)를 디코더(220)로부터 수신하고, 분배기(250)로부터 제2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_A)를 수신하고, 내부 시간 정보 생성 회로(270)로부터 내부 시간 정보(ITI)를 수신할 수 있다. AOD 모드 컨트롤러(230)는 디코딩된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_D), 제2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_A) 및 내부 시간 정보(ITI)를 이용하여, AOD 모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AOD 모드 컨트롤러(230)는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_D), 제2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_A) 및 내부 시간 정보(ITI)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AOD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 신호들(예를 들어, 도 4의 CTRL1, CTRL2)을 생성할 수 있다.
노멀 모드 컨트롤러(260)는 풀 프레임 이미지 데이터로서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_D)를 디코더(220)로부터 수신하고, 분배기(250)로부터 제1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_N)를 수신할 수 있다. 노멀 모드 컨트롤러(260)는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_D) 및 제1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_N)를 이용하여 노멀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노멀 모드 컨트롤러(260) 및 AOD 모드 컨트롤러(230)는 서로 다른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므로, 서로 배타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는 서로 배타적으로 동작하는 컨트롤러들, 예를 들어, AOD 모드 컨트롤러(230) 및 노멀 모드 컨트롤러(260)가 동일한 메모리인 제2 메모리(240)를 공유할 수 있다. 즉, AOD 모드 또는 노멀 모드에 따라 제2 메모리(240)는 AOD 모드 컨트롤러(230)에서 이용되는 제2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_A)가 저장될 수 있고, 또는 노멀 모드 컨트롤러(260)에서 이용되는 제1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_N)가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는 AOD 모드의 동작 시에 제2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_A)를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메모리를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전용 메모리 사용으로 인한 비용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 및 디스플레이 패널(300)을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는 컨트롤러(CT), 데이터 라인 드라이버(DDRV) 및 스캔 라인 드라이버(SDRV)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는 스캔 라인 드라이버(SDRV)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고, 스캔 라인 드라이버(SDRV)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와 별개의 구성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300)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픽셀(PX)들을 포함하며, 복수의 픽셀들 각각이 시각적인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프레임 단위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300)은 행방향으로 배열된 스캔 라인들(SL0~SLN), 열방향으로 배열된 데이터 라인들(DL1~DLm) 및 상기 스캔 라인들(SL0~SLN) 및 데이터 라인들(DL1~DLm)의 교차 지점에 형성된 픽셀(PX)들을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패널(300)은 복수의 수평 라인(또는 행)을 포함하며, 하나의 수평 라인은 하나의 게이트 라인에 연결되는 픽셀(PX)들로 구성된다.
스캔 라인 드라이버(SDRV)는 컨트롤러(CT)로부터 제공되는 제1 제어 신호(CTRL1)에 응답하여, 스캔 라인들(SL0~SLN)에 순차적으로 게이트 온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스캔 라인들(SL0~SLN)을 순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스캔 라인 드라이버(SDRV)로부터 출력되는 게이트-온 신호에 따라, 스캔 라인들(SL0~SLN)이 순차적으로 선택되고, 선택된 스캔 라인에 연결된 픽셀(PX)들에 데이터 라인들(DL1~DLm)을 통해 픽셀(PX)들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스캔 라인들(SL0~SLN)에 게이트 온 신호가 공급되지 않는 기간에는 게이트 오프 신호(예를 들어, 논리 하이 레벨의 게이트 전압)가 스캔 라인들(SL0~SLN)에 공급될 수 있다.
데이터 라인 드라이버(DDRV)는 제2 제어 신호(CTRL2)에 응답하여, 이미지 데이터(DATA)를 아날로그 신호인 이미지 신호들로 변환하고, 이미지 신호들을 데이터 라인들(DL1~DLn)에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라인 드라이버(DDRV)는 복수의 채널 엠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채널 엠프들 각각은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라인에 이미지 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컨트롤러(CT)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CT)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컨트롤러(CT)는 이하의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디지털 로직 회로들 및 레지스터들로 구현될 수 있다. 컨트롤러(CT)는 서로 다른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는 AOD 모드 컨트롤러(230) 및 노멀 모드 컨트롤러(2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도 4의 노멀 모드 컨트롤러(260)는, 도 3 및 도 5의 노멀 모드 컨트롤러(260), 및 도 6의 노멀 모드 컨트롤러(260B)에 대응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도 4의 AOD 모드 컨트롤러(230)는, 도 3 및 도 5의 AOD 모드 컨트롤러(230), 도 6의 AOD 모드 컨트롤러(230B), 도 8의 AOD 모드 컨트롤러(230C), 도 9의 AOD 모드 컨트롤러(230D), 및 도 10의 AOD 모드 컨트롤러(230E)에 대응될 수 있다.
AOD 모드 컨트롤러(230)는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 제2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_A) 및 내부 시간 정보(ITI)를 이용하여, AOD 모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AOD 모드 컨트롤러(230)는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_D), 제2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_A) 및 내부 시간 정보(ITI)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AOD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 신호들(CTRL1, CTRL2)을 생성할 수 있다.
도 5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도 1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일 예이다. 도 5에 대한 설명에서는 도 3에서와 동일한 부호에 대해 중복 설명을 생략하겠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A)은 프로세서(100A),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A), 디스플레이 패널(300) 및 오실레이터(400)를 포함할 수 있다. 오실레이터(400)는 클락 신호(CLK)를 생성할 수 있고, 클락 신호(CLK)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A)로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오실레이터(400)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A)에 포함된 센서 허브에 포함된 구성일 수 있다. 센서 허브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허브는, 예를 들어, 온/습도 센서, 생체 센서, 기압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A)는 내부 시간 정보 생성 회로(270A)를 포함할 수 있고, 내부 시간 정보 생성 회로(270A)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A) 외부의 오실레이터(400)에서 생성된 클락 신호(CLK)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시간 정보 생성 회로(270A)는 인터페이스 회로(IFC)를 통해 클락 신호(CLK)를 수신할 수 있다. 내부 시간 정보 생성 회로(270A)는 클락 신호(CLK)를 이용하여 내부 시간 정보(ITI)를 생성할 수 있고, AOD 모드 컨트롤러(230)로 내부 시간 정보(ITI)를 제공할 수 있다. AOD 모드 컨트롤러(230)는 내부 시간 정보(ITI)에 기초하여, 부가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이미지 신호들(IS)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오실레이터(400)는 프로세서(100A)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CS)에 응답하여 클락 신호(CLK)를 생성할 수 있고, 클락 신호(CLK)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A)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A)는 노멀 모드에서 AOD 모드로 모드가 변경되면, 오실레이터(400)로 제어 신호(CS)를 전송할 수 있고, AOD 모드가 수행됨에 따라 오실레이터(400)는 클락 신호(CLK)를 생성할 수 있다. 반면, 오실레이터(400)는 노멀 모드에서는 클락 신호(CLK)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오실레이터(400)는 노멀 모드 및 AOD 모드를 수행함에 따라 클락 신호(CLK)를 생성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A)로 클락 신호(CLK)를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A)는 노멀 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A) 내부에 포함된 오실레이터에서 생성된 내부 클락 신호를 이용하여 내부 시간 정보(ITI)를 생성할 수 있고, AOD 모드에서는 외부의 오실레이터(400)에서 생성된 클락 신호(CLK)를 이용하여 내부 시간 정보(ITI)를 생성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A) 내부에 클락 신호를 생성하는 오실레이터를 구비하는 것과 비교하여,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A)가 AOD 모드에서 외부의 클락 신호(CLK)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성능이 좋은 오실레이터에서 생성된 클락 신호(CLK)를 이용하여 내부 시간 정보(ITI)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A)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A) 외부의 오실레이터(400)에서 생성된 클락 신호(ELCK)를 이용하여 내부 시간 정보(ITI)를 생성함으로써, 내부 시간 정보(ITI)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프로세서가(100) 주기적으로 시간 정보(TI)를 전송하는 웨이크 업(Wake Up) 동작의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웨이크 업 동작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도 1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일 예이다. 도 6에 대한 설명에서는 도 3에서와 동일한 부호에 대해 중복 설명을 생략하겠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B)은 프로세서(100B),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B), 및 디스플레이 패널(30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B)는 인코더(130) 및 선택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선택기(140)는 멀티플렉서로 구현될 수 있고, 동작 모드가 변경됨에 따라 출력하는 신호가 달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00B)는 노멀 모드에서, 인코더(130)를 통해 인코딩된 제1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_N)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B)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00B)는 AOD 모드에서, 인코더(130)를 통하지 않고 인코딩되지 않은, 즉, 압축되지 않은 무압축의 제2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_A)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B)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1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_N)는 디스플레이 패널(300)의 풀 프레임 이미지 데이터일 수 있고, 제2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_A)는 AOD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배경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배경 이미지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멀 모드에서 선택기(140)는 인코더(130)로부터 수신된 압축된 내부 메인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고, 프로세서(100B)는 압축된 내부 메인 이미지 데이터를 제1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_N)로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B)로 전송할 수 있다. AOD 모드에서 선택기(140)는 인코더(130)를 통하지 않은 무압축의 내부 메인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고, 프로세서(100B)는 무압축의 내부 메인 이미지 데이터를 제2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_A)로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B)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B)는 AOD 모드에서 배경 이미지의 유의미한 영역(예를 들어, 전체 영역의 1/3 영역)만을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영역에 해당하는 배경 이미지 데이터를 인코더(130)를 통하지 않고, 무압축 상태로 제2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_A)로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B)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된 유의미한 영역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크기는, 프로세서(100B)로부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B)로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를 전송하는 채널의 대역폭(Bandwidth)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00B)는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B)로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도 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00B)는 노멀 모드에서는 제1 부가 이미지 데이터(예를 들어, 도 3의 AIDT_N)를 전송하고, AOD 모드에서는 제2 부가 이미지 데이터(예를 들어, 도 3의 AIDT_A)를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B)는 프로세서(100B)로부터 수신되는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 및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를 수신하고,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 및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를 디스플레이 패널(300)을 구동하기 위한 이미지 신호들(IS)로 변환할 수 있다. 변환된 이미지 신호들(IS)을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공급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B)는 인터페이스 회로(IFC), 제1 메모리(210B), 분배기(215B), 디코더(220B), 노멀 모드 컨트롤러(260B), AOD 모드 컨트롤러(230B), 제2 메모리(240B) 및 내부 시간 정보 생성 회로(270)를 포함할 수 있다. AOD 모드 컨트롤러(230B)는 AOD 모드를 수행하는 제어 로직 회로일 수 있고, 노멀 모드 컨트롤러(260B)는 노멀 모드를 수행하는 제어 로직 회로일 수 있다.
제1 메모리(210B)는 인터페이스 회로(IFC)를 통해 수신된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를 저장하고, 분배기(215B)로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메모리(210B)는 노멀 모드에서 제1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_N)를 저장할 수 있고, AOD 모드에서 제2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_A)를 저장할 수 있다.
분배기(215B)는 모드 선택 신호(MS)에 응답하여, 수신된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를 AOD 모드 컨트롤러(230B) 및 노멀 모드 컨트롤러(260B) 중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모드 선택 신호(MS)는 모드 변경 커맨드(MCMD)에 따라 변경되는 신호일 수 있다. 분배기(215B)는 모드 선택 신호(MS)에 응답하여, 노멀 모드에서 제1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_N)를 디코더(220B)로 전송할 수 있고, AOD 모드에서 제2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_A)를 AOD 모드 컨트롤러(230B)로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분배기(215B)는 디멀티플렉서로 구현될 수 있고, 동작 모드가 변경됨에 따라 출력하는 신호를 서로 다른 구성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디코더(220B)는 제1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_N)를 디코딩할 수 있고, 디코딩된 제1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_ND)를 풀 프레임 이미지 데이터로서 노멀 모드 컨트롤러(260B)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메모리(240B)는 프로세서(100B)로부터 전송된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를 저장하고, AOD 모드 컨트롤러(230B)로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를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도 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메모리(240B)는 노멀 모드에서는 제1 부가 이미지 데이터(예를 들어, 도 3의 AIDT_N)를 저장하고, AOD 모드에서는 제2 부가 이미지 데이터(예를 들어, 도 3의 AIDT_A)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제1 메모리(210B)는 그래픽 램(graphic RAM)일 수 있고, 제2 메모리(240B)는 SRAM일 수 있다.
내부 시간 정보 생성 회로(270)는 인터페이스 회로(IFC)를 통해 시간 정보(TI)를 수신할 수 있다. AOD 모드에서 내부 시간 정보 생성 회로(270)는 시간 정보(TI) 및 클락 신호(CLK)에 따라 내부 시간 정보(ITI)를 생성할 수 있다. 클락 신호(CLK)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B) 내부의 오실레이터에서 생성된 것일 수도 있고, 도 5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B) 외부의 오실레이터에서 생성된 것일 수도 있다.
AOD 모드 컨트롤러(230B)는 배경 이미지 데이터로서 제2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_A)를 분배기(215B)로부터 수신하고, 제2 메모리(240B)로부터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_A)를 수신하고, 내부 시간 정보 생성 회로(270)로부터 내부 시간 정보(ITI)를 수신할 수 있다. AOD 모드 컨트롤러(230B)는 제2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_A),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_A), 및 내부 시간 정보(ITI)를 이용하여 AOD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_A)는 디스플레이 패널(300)에서 표시가 불필요한 부분에 대한 데이터가 제거된 데이터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AOD 모드 컨트롤러(230B)는 제2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_A)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00)에서 표시가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영역에 대해서는 디스플레이 패널(300)에서 표시되지 않도록 데이터 라인 드라이버(예를 들어, 도 4의 DDRV)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B)는 AOD 모드에서 압축되지 않은 무압축의 배경 이미지 데이터인 제2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_A)를 전송하므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B)는 제2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_A)를 디코딩하지 않고, 바로 AOD 모드 컨트롤러(230B)에서 처리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B)는 AOD 모드에서, 배경 이미지 데이터로서 인코딩되지 않은 제2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_A)를 제공받음으로써, 배경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데에 필요한 전력 소모가 감소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C)은 프로세서(100C),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C), 및 디스플레이 패널(30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C) 및 디스플레이 패널(300)은 하나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10C)은 복수의 동작 모드들로 동작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노멀 모드 및 AOD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C)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C)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C)는 AOD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표시될 병합 이미지 데이터(MD)를 생성하고, 병합 이미지 데이터(MD) 및 시간 정보(TI)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C)에 전송할 수 있다.
병합 이미지 데이터(MD)는 배경 이미지 데이터인 메인 이미지 데이터 및 부가 이미지 데이터가 병합된 데이터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00C)는 메인 이미지 데이터 및 부가 정보 데이터를 병합 시에, 메인 이미지 데이터에서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데이터 영역, 예를 들어, AOD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블랙 처리되어 표시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데이터 영역에, AOD 모드 수행을 위해 필요한 부가 이미지 데이터를 병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C)는 AOD 모드에서 프로세서(100C)로부터 수신되는 병합 이미지 데이터(MD)를 디스플레이 패널(300)을 구동하기 위한 이미지 신호들(IS)로 변환하고, 변환된 이미지 신호들(IS)을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공급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C)는 이미지 수정 회로(225C) 및 AOD 모드 컨트롤러(230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수정 회로(225C)는 병합 이미지 데이터(MD)로부터 메인 이미지 데이터 및 부가 이미지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AOD 모드 컨트롤러(230C)는 이미지 수정 회로(225C)에서 출력된 메인 이미지 데이터 및 부가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경 이미지 및 부가 이미지가 결합된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300)을 구동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C)는, 프로세서(100C)로부터 전달된 병합 이미지 데이터(MD)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C) 내에서 자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AOD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이미지 신호들(IS)을 생성하므로, 프로세서(100C)가 AOD 모드를 위한 별도의 부가 이미지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전력 소모를 방지 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도 7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일 예들이다. 도 8 및 도 9에서는 도 3에서와 동일한 부호에 대해 중복 설명을 생략하겠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C)은 프로세서(100C),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C), 및 디스플레이 패널(30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C)는 AOD 모드에서 메인 이미지 데이터 및 부가 이미지 데이터가 병합된 병합 이미지 데이터(MD)를 출력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C)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C)는 병합 이미지 데이터(MD)에서 병합된 부가 이미지 데이터의 위치를 지시하는 어드레스(ADDR)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C)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00C)는 어드레스(ADDR)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C)로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고, 프로세서(100C)와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C) 각각은 병합 이미지 데이터(MD)에서 부가 이미지 데이터의 위치가 미리 서로 약속(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수정 회로(225C)에, 병합 이미지 데이터(MD)에서 부가 이미지 데이터의 위치를 지시하는 어드레스(ADDR)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00C)는 인코더(150)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100C)에서 출력되는 병합 이미지 데이터(MD)는 프로세서(100C)와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C)를 연결하는 채널의 대역폭에 대응하도록 인코딩된 데이터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프로세서(100C)는 병합 이미지 데이터(MD) 채널의 대역폭에 따라 압축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면은 무압축의 병합 이미지 데이터(MD)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00C)는 메인 이미지 데이터 및 부가 이미지 데이터를 병합 시에, 메인 이미지 데이터에서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데이터 영역에 AOD 모드 수행을 위해 필요한 부가 이미지 데이터를 병합함으로써, 병합 이미지 데이터(MD)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메인 이미지 데이터에서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데이터 영역은, 예를 들어, AOD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블랙 처리되어 표시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데이터 영역일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300)에서 AOD 영역(310)을 제외한 영역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C)는 인터페이스 회로(IFC), 제1 메모리(210C), 디코더(220C), 이미지 수정 회로(225C), AOD 모드 컨트롤러(230C), 제2 메모리(240C) 및 내부 시간 정보 생성 회로(27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제1 메모리(210B)는 그래픽 램(graphic RAM)일 수 있고, 제2 메모리(240B)는 SRAM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00C)에서 무압축의 병합 이미지 데이터(MD)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C)는 디코더(220C)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메모리(210C)는 인터페이스 회로(IFC)를 통해 수신된 병합 이미지 데이터(MD)를 저장하고, 디코더(220C)로 병합 이미지 데이터(MD)를 전송할 수 있다. 디코더(220C)는 압축된 데이터인 병합 이미지 데이터(MD)를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병합 이미지 데이터(MD_D)를 이미지 수정 회로(225C)로 전송할 수 있다.
이미지 수정 회로(225C)는 디코딩된 병합 이미지 데이터(MD_D)로부터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를 추출할 수 있다. 이미지 수정 회로(225C)는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를 제2 메모리(240C)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메모리(240C)는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를 저장할 수 있고, AOD 모드 컨트롤러(230C)로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를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이미지 수정 회로(225C)는 인터페이스 회로(IFC)를 통해 어드레스(ADDR)를 수신할 수 있다. 이미지 수정 회로(225C)는 어드레스(ADDR)에 기초하여, 디코딩된 병합 이미지 데이터(MD_D)로부터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를 추출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C)는 어드레스(ADDR)를 따로 수신하지 않을 수 있고, 디코딩된 병합 이미지 데이터(MD_D)에서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의 위치를 지시하는 어드레스가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C) 내부에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
이미지 수정 회로(225C)는 디코딩된 병합 이미지 데이터(MD_D)에서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가 추출된 데이터 영역을 블랙 처리 영역으로 설정하여 배경 이미지 데이터인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를 생성할 수 있다. 이미지 수정 회로(225C)는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를 AOD 모드 컨트롤러(230C)로 전송할 수 있다.
내부 시간 정보 생성 회로(270)는 인터페이스 회로(IFC)를 통해 시간 정보(TI)를 수신할 수 있다. AOD 모드에서 내부 시간 정보 생성 회로(270)는 시간 정보(TI) 및 클락 신호(CLK)에 따라 내부 시간 정보(ITI)를 생성할 수 있다. 클락 신호(CLK)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C) 내부의 오실레이터에서 생성된 것일 수도 있고, 도 5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C) 외부의 오실레이터에서 생성된 것일 수도 있다.
AOD 모드 컨트롤러(230D)는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 및 내부 시간 정보(ITI)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AOD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300)을 구동할 수 있다. AOD 모드 컨트롤러(230C)는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에 대응하는 이미지 신호들(IS)을 디스플레이 패널(300)로 제공할 수 있고,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에 대응하는 이미지 신호들(IS)을 디스플레이 패널(3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AOD 모드 컨트롤러(230C)는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의 일부를 변형한 후, 변형된 데이터에 따른 이미지 신호들(IS)을 디스플레이 패널(3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가 이미지(예를 들어, 시간을 나타내는 시계의 이미지)의 크기, 위치, 또는 휘도가 변경되도록 추출된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를 변형할 수 있고, 또는, 부가 이미지가 이동하거나 회전(rotating)하도록 추출된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를 변형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C)는, 프로세서(100C)로부터 전달된 병합 이미지 데이터(MD)를 이용하여 AOD 이미지를 구성하므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내에서 자체적으로 AOD 이미지를 구성하는 것 대비 고화질의 AOD 이미지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0C)는 병합 이미지 데이터(MD)를 전송하므로 전력 소모가 감소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8의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C)와 비교하여,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D)는 제2 메모리를 포함하지 않고, 인터페이스 회로(IFC), 제1 메모리(210C), 디코더(220C), 이미지 수정 회로(225D), AOD 모드 컨트롤러(230D) 및 내부 시간 정보 생성 회로(2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수정 회로(225D)는 디코딩된 병합 이미지 데이터(MD_D)로부터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를 추출하여 AOD 모드 컨트롤러(230D)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D)는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를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제2 메모리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AOD 모드 컨트롤러(230D)를 위한 전용 메모리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D)의 제조 비용이 감소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서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C, 200D)가 병합 이미지 데이터(MD)를 디코딩한 후, 디코딩된 병합 이미지 데이터(MD)에서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를 추출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C, 200D)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수신된 병합 이미지 데이터(MD)가 디코딩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C, 200D)는 수신된 병합 이미지 데이터(MD)를 디코딩하지 않고,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를 추출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C, 200D)는 수신된 병합 이미지 데이터(MD)로부터 메인 이미지 데이터 및 부가 이미지 데이터를 추출한 후에 디코딩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도 7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일 예들이다. 도 10에서는 도 3 및 도 8에서와 동일한 부호에 대해 중복 설명을 생략하겠다.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E)은 프로세서(100E),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E), 및 디스플레이 패널(30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E)는 AOD 모드에서 메인 이미지 데이터 및 부가 이미지 데이터가 병합된 병합 이미지 데이터(MD')를 출력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E)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E)는 병합 이미지 데이터(MD')에서 병합된 부가 이미지 데이터의 위치를 지시하는 어드레스(ADDR)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E)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00E)는 어드레스(ADDR)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E)로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고, 프로세서(100E)와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E) 각각은 병합 이미지 데이터(MD)에서 병합된 부가 이미지 데이터의 위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00E)는 인코더(150E)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100E)는 인코더(150E)를 통해 메인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인코딩한 후, 부가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인코딩된 데이터에 병합하여 병합 이미지 데이터(MD')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0E)는 인터페이스 회로(IFC), 제1 메모리(210E), 디코더(220E), 이미지 수정 회로(225E), AOD 모드 컨트롤러(230E), 및 내부 시간 정보 생성 회로(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모리(210E)는 인터페이스 회로(IFC)를 통해 수신된 병합 이미지 데이터(MD')를 저장하고, 이미지 수정 회로(225E)로 병합 이미지 데이터(MD')를 전송할 수 있다.
이미지 수정 회로(225E)는 병합 이미지 데이터(MD')로부터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를 추출할 수 있다. 이미지 수정 회로(225E)는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를 AOD 모드 컨트롤러(230E)에 전송할 수 있다. 이미지 수정 회로(225E)는 병합 이미지 데이터(MD')에서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가 추출된 데이터 영역을 블랙 처리 영역으로 설정하여 배경 이미지 데이터인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를 생성할 수 있다. 이미지 수정 회로(225E)는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를 디코더(220E)로 전송할 수 있다. 디코더(220E)는 압축된 데이터인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를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_D)를 AOD 모드 컨트롤러(230E)로 전송할 수 있다.
AOD 모드 컨트롤러(230D)는 디코딩된 메인 이미지 데이터(MIDT_D), 부가 이미지 데이터(AIDT), 및 내부 시간 정보(ITI)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00)에 AOD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300)을 구동할 수 있다.
도 11은 AOD 영역의 휘도를 조절하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 내지 도 10에서 설명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00, 100A, 100B, 100C, 100D, 100E)는 시간에 따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AOD 영역(310)의 휘도를 증가 및 감소시키기 위하여 AOD 영역(310)에 표시될 부분의 픽셀 데이터 값들을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업스케일링 및 다운스케일링 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AOD 영역(310)의 휘도가 시간에 따라 증가 및 감소(예를 들어, 점멸)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t1 시점 및 t3 시점에 AOD 영역(310)의 휘도가 높고, t2 시점 및 t4 시점에 AOD 영역(310)의 휘도가 낮게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00, 100A, 100B, 100C, 100D, 100E)는 AOD 영역(310)에서 부가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부가 이미지의 크기 또는 위치가 시간에 따라 달라지도록 디스플레이 패널(300)을 구동할 수도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00, 100A, 100B, 100C, 100D, 100E)는 AOD 영역(310)에서 부가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부가 이미지가 시간에 따라 회전(rotating)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300)을 구동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 모듈(200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0), 편광판(2010), 터치 패널(2030), 터치 컨트롤러(2040) 및 윈도우 글라스(2020)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10), 인쇄 기판(1020) 및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030)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030)는 도 1 및 도 14에서 설명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00, 100A, 100B, 100C, 100D, 100E)일 수 있다.
윈도우 글라스(2020)는 아크릴이나 강화유리 등의 소재로 제작되어, 외부 충격이나 반복적인 터치에 의한 긁힘으로부터 터치 스크린 모듈(2000)을 보호할 수 있다. 편광판(2010)은 디스플레이 패널(1010)의 광학적 특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10)은 인쇄 기판(1020) 상에 투명 전극이 패터닝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10)은 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030)는 노멀 모드 및 AOD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모듈(2000)은 사용자의 터치가 일정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으면, 노멀 모드에서 AOD 모드로 모드를 변경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030)는 디스플레이 패널(1010)의 AOD 영역에 AOD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이미지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2000)은 터치 패널(2030) 및 터치 컨트롤러(20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2030)은 유리기판이나 PET(Polyethylene Terephthlate) 필름 위에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투명 전극이 패터닝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 있어서, 터치 패널(2030)은 디스플레이 패널(10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2030)의 픽셀은 디스플레이 패널(1010)의 픽셀과 병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터치 컨트롤러(2040)는 터치 패널(2030)상의 터치 발생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계산하여 호스트(예를 들어, 프로세서)로 전달할 수 있다. 터치 컨트롤러(2040)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1030)와 하나의 반도체 칩에 집적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고, 노멀(normal) 모드 및 상기 노멀 모드보다 소비전력이 낮은 AOD(Always on display) 모드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수신된 메인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
    상기 노멀 모드에서는 제1 부가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AOD 모드에서는 제2 부가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1 부가 이미지 데이터에 따라 상기 노멀 모드로 동작하는 노멀 모드 컨트롤러; 및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메인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2 부가 이미지 데이터에 따라, 상기 AOD 모드로 동작하는 AOD 모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2. 제1 항에 있어서,
    클락 신호 및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클락 신호 및 상기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내부 시간 정보를 생성하는 내부 시간 정보 생성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AOD 모드 컨트롤러는 상기 내부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AOD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클락 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멀 모드에서 동작하는 상기 노멀 모드 컨트롤러 및 상기 AOD 모드에서 동작하는 상기 AOD 모드 컨트롤러는 서로 배타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4.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고, 노멀 모드 및 상기 노멀 모드보다 소비전력이 낮은 AOD 모드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에 있어서,
    상기 노멀 모드에서 제1 메인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AOD 모드에서 제2 메인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
    상기 제1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1 메인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제2 메인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메인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제2 메인 이미지 데이터를 분배하는 분배기;
    상기 분배기로부터 상기 제1 메인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제1 메인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코더;
    디코딩된 제1 메인 이미지 데이터에 따라 상기 노멀 모드로 동작하는 노멀 모드 컨트롤러; 및
    상기 분배기로부터 상기 제2 메인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메인 이미지 데이터에 따라 상기 AOD 모드로 동작하는 AOD 모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AOD 모드에서 제1 부가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AOD 모드 컨트롤러는 상기 제2 메인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제1 부가 이미지 데이터에 따라 상기 AOD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모리는 상기 노멀 모드에서 제2 부가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노멀 모드 컨트롤러는 상기 디코딩된 제1 메인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제2 부가 이미지 데이터에 따라 상기 노멀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7.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수신된 병합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
    상기 병합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부가 이미지 데이터를 추출하고, 메인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미지 수정 회로;
    클락 신호 및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내부 시간 정보를 생성하는 내부 시간 정보 생성 회로; 및
    상기 메인 이미지 데이터, 상기 부가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내부 시간 정보에 따라 AOD 모드로 동작하는 AOD 모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모리로부터 상기 병합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병합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이미지 수정 회로로 전송하는 디코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수정 회로는 상기 디코딩된 병합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상기 부가 이미지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수정 회로로부터 상기 부가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부가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AOD 모드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제2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수정 회로는,
    상기 병합 이미지 데이터에서 상기 부가 이미지 데이터를 추출한 후, 상기 병합 이미지 데이터에서 상기 부가 이미지 데이터가 추출된 데이터 영역을 블랙 처리 영역으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메인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KR1020200088464A 2020-04-14 2020-07-16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KR2021012758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326418.1A CN113539180A (zh) 2020-04-14 2021-03-26 显示驱动电路
US17/221,461 US11817067B2 (en) 2020-04-14 2021-04-02 Display driving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45439 2020-04-14
KR1020200045439 2020-04-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582A true KR20210127582A (ko) 2021-10-22

Family

ID=78275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464A KR20210127582A (ko) 2020-04-14 2020-07-16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75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93324A (zh) * 2021-11-18 2022-02-25 广州国显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的驱动电路及显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93324A (zh) * 2021-11-18 2022-02-25 广州国显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的驱动电路及显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3492B2 (en) Display driver,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US10199005B2 (en) Display driving circuit configured to secure sufficient time to stabilize channel amplifiers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11817067B2 (en) Display driving circuit
US10157574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169169B1 (ko)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US20160109934A1 (en) Display driver circuit including high power/low power interfaces and display system
KR102426668B1 (ko)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및 디스플레이 장치
WO2015149526A1 (zh) 一种显示模组测试与展示系统及其使用方法
US9305483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timing controller with a self-recovery block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10269284B2 (en) Timing controller and display driving circuit including the same
KR102420590B1 (ko) 디스플레이 구동 ic 및 전자 장치
KR20160109905A (ko) 게이트 드라이버,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15273765A (zh) 用于显示装置的驱动模块及相关的驱动方法
KR102212208B1 (ko) 표시장치용 데이터 구동장치와 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20130286027A1 (en) Graphics to universal serial bus conversion
KR102449326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10127582A (ko)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KR20160030761A (ko)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52751B1 (ko) 터치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40046844A (ko)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것의 구동 방법
JP2012198287A (ja) 集積回路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6011385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구동 보드
KR102466286B1 (ko) 터치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10753878B (zh) 用于基于tir的图像显示器的驱动静态图像和视频的方法和装置
US11112864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