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7541A -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용기를 이용한 분산 도말 방법 - Google Patents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용기를 이용한 분산 도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7541A
KR20210127541A KR1020200045562A KR20200045562A KR20210127541A KR 20210127541 A KR20210127541 A KR 20210127541A KR 1020200045562 A KR1020200045562 A KR 1020200045562A KR 20200045562 A KR20200045562 A KR 20200045562A KR 20210127541 A KR20210127541 A KR 20210127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ontainer
dispensing
container body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5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9224B1 (ko
Inventor
김형민
윤병수
김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송
Priority to KR1020200045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224B1/ko
Publication of KR20210127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7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4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pierceable, e.g. films,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72Integrated piercing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81Fil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용기를 이용한 분산 도말방법에 관한 것으로, 검사를 실시하는 액상세포를 상부가 밀봉된 용기몸체부에 수납하는 단계; 분주필터부와 채취부를 삽입 결합하고, 상기 채취부에 흡입 장치를 삽입 설치한 상태로 상기 용기몸체부의 밀봉부분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뒤집어 상기 분주필터부에서 밀봉을 해제하면서 상기 용기몸체부를 삽입 설치하는 단계; 상기 용기몸체부가 상기 분주필터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 장치의 작동으로 흡입하면 상기 분주필터부와 상기 용기몸체부의 삽입 지지되는 부분에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면서 상기 용기몸체부와 상기 분주필터부에서 각각 필터링되면서 상기 채취부로 분주하는 단계; 상기 채취부에 분주를 마치면 상기 용기몸체부와 상기 분주필터부를 상기 채취부에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채취부의 상부에 슬라이드를 접촉하여 도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용기를 이용한 분산 도말 방법 {Distributed Smear Method Using Filter Container for Liquid Base Cytology}
본 발명은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용기를 이용한 분산 도말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상세포를 슬라이드에 도말 하는 용기와 필터의 구조를 개선하고, 개선된 구조에 따라 도말을 위해서 검체 주입 시에 흡입 펌프의 흡입 시간 및 정지 시간, 흡입 횟수를 조절하면서 외부 공기의 유입으로 역 분산에 의해 세포를 정렬한 상태에서 채취 하여 도말을 실시함에 따라 검사 효율성을 향상 시키는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용기를 이용한 분산 도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세포검사에서 암 및 질병 유무를 검사하기 위하여 신체 검사 부위에 해당하는 세포를 채취하고, 채취된 세포를 보존 시약이 담겨진 보존시약 용기에 보존한 후 검진센터로 이송한다.
이후, 표본 가공기와 필터용기를 이용하여 검체의 이물질을 제거 하고, 검사에 필요한 세포와 필요 물질을 슬라이드 글라스에 부착시킨 후 염색 단계를 거쳐 현미경으로 세포의 이상 상태를 판독함으로써, 암 및 질병 유무를 판별 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보존시약에 담긴 검체를 필터 용기에 주입하기 전에 뭉쳐 있는 검체의 세포와 이물질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보존시약 용기를 손으로 흔들어 주거나, 별도의 교반장비를 이용하여 분산 시킨다.
이후, 뚜껑을 열어 필터 용기에 검체를 부어 넣고, 필터의 아래에 흡입 기구를 밀착시켜 검체를 흡입한다. 필터용기에 부착된 1차 메쉬에서 점액질 및 이물질을 걸러주고 5~10um pore의 멤브레인 막에 수집된 세포들을 슬라이드 글라스에 부착 하게 되는데, 점액질 및 이물질이 많은 검체는 1차 메쉬를 막히게 하여 부어 넣은 검체가 충분히 흡입되지 못하고 필터 용기에 남아있게 된다.
세포가 걸러진 멤브레인 막을 슬라이드에 접근시키기 위해 필터 용기를 분리하게 되면 흡입되지 못하고 남겨진 혼합액들이 중력에 의해 아래로 쏟아져 소실되게 된다.
또한, 보존시약 용기로부터 슬라이드 글라스에 세포를 부착 하는 과정이 일일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 되고, 검체 농도에 따른 주입량을 사용자가 판단해야 하기 때문에 소실되는 검체의 양이 많으며, 뚜껑을 열고 검체를 부어 넣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슬라이드글라스로 오염 물질이나 불순물이 옮겨질 수 있어서 세포 검사의 정확성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종래 기술의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용기는 슬라이드글라스에 도말을 실시하기 위해서 보존시약과 세포로 이루어진 검체가 담겨진 용기, 용기내 검체의 점액질 및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포 및 필요 물질을 수집 하는 필터, 및 필터에 수집된 세포를 슬라이드 글라스에 도말 하는 도말 장치가 각각 독립적으로 떨어져 있고, 보존시약 뚜껑의 개폐, 검체 주입, 필터 장착, 필터 분리 등 수작업으로 인한 오차와 각 위치별로 이동 되는 장치가 소요됨으로써, 장치를 많이 차지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된 필터는 검체의 주입에 의해 필터링 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검체의 농도에 따라 검체를 부어 넣어야 하며, 적게 부어 넣으면 검경을 위한 충분한 세포가 수집되지 않으며, 농도기 진한 검체를 많이 부어 넣었을 경우에는 필터의 메쉬가 점액질 및 이물질들로 막히게 되어 흡입되지 못하고 소실 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검체를 흡입하여 채취함에 있어 세포가 슬라이드에 분포되는 세포의 분포량이 일정하게 분산되지 않고 집중 되어 있어 세포의 중첩 또는 적은 세포양으로 인해 검사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용기를 이용한 분산 도말방법은 필터와 채취 부분이 상호 분리가 가능하게 구비되어 액상세포가 담겨지는 용기를 뒤집어 장착한 상태에서 흡입 장치에 의해 검체 흡입을 실시하고, 흡입 시 외부 공기가 유입되면서 흡입하는 주기를 조절하여 도말 효율을 향상시키는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용기를 이용한 분산 도말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용기를 이용한 분산 도말방법은 검사를 실시하는 액상세포를 상부가 밀봉된 용기몸체부에 수납하는 단계; 분주필터부와 채취부를 삽입 결합하고, 상기 채취부에 흡입 장치를 삽입 설치한 상태로 상기 용기몸체부의 밀봉부분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뒤집어 상기 분주필터부에서 밀봉을 해제하면서 상기 용기몸체부를 삽입 설치하는 단계; 상기 용기몸체부가 상기 분주필터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 장치의 작동으로 흡입하면 상기 분주필터부와 상기 용기몸체부의 삽입 지지되는 부분에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면서 상기 용기몸체부와 상기 분주필터부에서 각각 필터링되면서 상기 채취부로 분주하는 단계; 상기 채취부에 분주를 마치면 상기 용기몸체부와 상기 분주필터부를 상기 채취부에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채취부의 상부에 슬라이드를 접촉하여 도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용기몸체부에 수납하는 단계에서, 검사를 실시하는 액상세포를 상기 용기몸체부의 용기몸체에 수납한 후 중앙에 밀봉체를 가지는 용기개폐체로 상기 용기몸체의 상부를 폐쇄하여 수납을 완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몸체부를 삽입 설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용기몸체를 뒤집어 상기 밀봉체가 상기 분주필터부의 밀봉해제돌기에 의해 파괴되면서 삽입되면 상기 용기몸체 내에 설치된 용기필터체로 일차로 필터링하고, 상기 분주필터부의 분주필터몸체 내부에 위치한 필터체에서 2차로 필터링한 후 상기 채취부에 분주하기 위해서 상기 용기몸체를 상기 분주필터몸체에 삽입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채취부로 분주하는 단계에서, 상기 흡입 장치로 흡입을 실시하게 되면 상기 용기몸체부에 수납된 액상세포가 상기 분주필터부의 분주필터몸체 내에 설치된 필터체에서 필터링되고, 필터링된 액상세포를 삽입된 상기 채취부로 분주하도록 구비하되, 상기 용기몸체부로 삽입 지지되는 상기 분주필터부의 상부로 돌출된 분주지지몸체에 삽입되는 위치에 홈 형태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통홈을 구비하여 상기 흡입 장치의 흡입으로 인한 진공화를 회피하면서 분주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채취부로 분주하는 단계에서, 상기 흡입 장치의 흡입 중 기설정된 주기별로 흡입을 정지하여 외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용기몸체부의 내부로 유입되어 흡입에 의해 상기 용기몸체부 내에서 일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용기필터체와 상기 분주필터부 내에서 이차로 필터링하는 필터체의 흡입되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외부공기가 공급되어 불순물을 제거하면서 상기 용기몸체부의 내부에서 집중되어 있는 세포들이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역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취부로 분주하는 단계에서, 상기 채취부의 채취몸체 내부에 삽입 설치된 상기 흡입 장치로 흡입압력을 제공하면 공간이 나뉘어진 흡입지지체에 형성된 복수의 통공 형태의 흡입공을 통해서 흡입압력을 전달하고, 상기 분주필터부를 통해서 유입되는 액상세포가 흡입되면 상기 흡입지지체에 지지된 채취맴브레인이 감싸고 있는 채취폼에 세포가 안착되어 채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주필터부를 상기 채취부에서 분리하는 단계; 후에, 상기 채취부의 상면에 액상세포가 위치한 상태에서 세포를 잔존시키고, 용액을 배출하도록 이차로 흡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용기를 이용한 분산 도말 방법은 필터와 채취 부분이 상호 분리가 가능하게 구비되어 액상세포가 담겨지는 용기를 뒤집어 장착한 상태에서 흡입 장치에 의해 검체 흡입을 실시하고, 흡입 시에 필터에 형성된 개방 공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되면서 검체를 흡입함으로써 흡입을 방해하는 용기의 내부 진공 압력 증대를 방지하고, 흡입을 정지 하면 외부 공기가 검체 용기 내로 진입 하여, 검체 세포를 역 분산 시키면서 가압 흡입과 역 분산을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메쉬에 부착되어 있는 점액질 및 이물질을 분리 해주고 세포 채취를 균일하게 하여 검사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용기를 이용한 분산 도말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용기를 이용한 분산 도말방법 중에 액상기체 수납단계에서 액상세포가 용기몸체부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용기를 이용한 분산 도말방법 중에 용기몸체부 설치단계에서 용기몸체부가 분기필터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용기를 이용한 분산 도말방법에 분기필터부의 주요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용기를 이용한 분산 도말방법 중에 채취부 분주 단계에서 흡입에 의해 액상세포가 분주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6은 도 1의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용기를 이용한 분산 도말방법 중에 채취부 분주 단계에서 흡입을 정지하여 역분산이 발생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7은 도 1의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용기를 이용한 분산 도말방법 중에 도말단계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용기를 이용한 분산 도말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용기를 이용한 분산 도말방법은 액상세포의 용액과 세포를 분리하여 도말을 실시함에 있어 용기와 필터링하는 부분과 채취하는 부분을 각각 분리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제공하고, 흡입 압력에 의해 흡입 분주를 실시하되,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진공화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흡입과 정지를 주기적으로 반복되도록 조절하여 정지 시 외부공기가 용기에 유입되어 역분산에 의해 세포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균일한 세포를 도말하여 도말 효율성이 향상되는 방법이다.
이런,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용기를 이용한 분산 도말방법은 액상기체 수납단계(S10), 용기몸체부 설치단계(S20), 채취부 분주단계(S30), 채취부 분리단계(S40), 이차흡입단계(S50) 및 도말단계(S60)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용기를 이용한 분산 도말방법 중에 액상기체 수납단계에서 액상세포가 용기몸체부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여기서, 도 2를 참고하면, 액상기체 수납단계(S10)는 검사를 실시하는 액상세포를 상부가 밀봉된 용기몸체부(110)에 수납하는 단계이다.
이런, 액상기체 수납단계(S10)는 검사를 실시하는 액상세포를 용기몸체부(110)의 용기몸체(111)에 수납한 후 중앙에 밀봉체(113)를 가지는 용기개폐체(112)로 용기몸체(111)의 상부를 폐쇄하여 수납을 완료하는 단계이다.
즉, 상부가 개방된 용기몸체(111)는 액상세포를 수납한 후 외력에 의해 파괴되는 밀봉체(113)가 중앙에 형성된 용기개폐체(112)로 상부를 폐쇄하여 액상세포의 수납을 완료한다.
도 3은 도 1의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용기를 이용한 분산 도말방법 중에 용기몸체부 설치단계에서 용기몸체부가 분기필터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용기몸체부 설치단계(S20)는 분주필터부(120)와 채취부(130)를 삽입 결합하고, 채취부(130)에 흡입 장치를 삽입 설치한 상태로 용기몸체부(110)의 밀봉부분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뒤집어 분주필터부(120)에서 밀봉을 해제하면서 용기몸체부(110)를 삽입 설치하는 단계이다.
이런, 용기몸체부 설치단계(S20)는 용기몸체(111)를 뒤집어 밀봉체(113)가 분주필터부(120)의 밀봉해제돌기(122)에 의해 파괴되면서 삽입되면 용기몸체(111) 내에 설치된 용기필터체(114)로 일차로 필터링하고, 분주필터부(120)의 분주필터몸체(121) 내부에 위치한 필터체(123)에서 2차로 필터링한 후 채취부(130)에 분주하기 위해서 용기몸체(111)를 분주필터몸체(121)에 삽입 설치하는 단계이다.
즉, 용기몸체(111)의 내부에 액상세포를 수납한 상태에서 뒤집어 밀봉체(113)를 가지는 용기개폐체(112)를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분주필터몸체(121)로 삽입 지지한다. 용기개폐체(112)가 삽입 지지되면 분주필터몸체(121)의 상부 중앙에 돌출된 밀봉해제돌기(122)가 밀봉체(113)를 파괴하면서 삽입되어 하부로 수납된 액상세포를 공급하도록 설치된다.
이렇게 용기몸체(111)가 분주필터몸체(121)에 삽입 체결하면 액상세포가 용기필터체(114)로 일차로 필터링 한 후에 밀봉해제돌기(122)를 통해서 분주필터몸체(121)로 유입되고, 유입된 액상세포는 필터체(123)를 통해서 이차로 필터링되어 채취부(130)로 공급된다.
도 4는 도 3의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용기를 이용한 분산 도말방법에 분기필터부의 주요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용기를 이용한 분산 도말방법 중에 채취부 분주 단계에서 흡입에 의해 액상세포가 분주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며, 도 6은 도 1의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용기를 이용한 분산 도말방법 중에 채취부 분주 단계에서 흡입을 정지하여 역분산이 발생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채취부 분주단계(S30)는 용기몸체부(110)가 분주필터부(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흡입 장치의 작동으로 흡입하면 분주필터부(120)와 용기몸체부(110)의 삽입 지지되는 부분에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면서 용기몸체부(110)와 분주필터부(120)에서 각각 필터링되면서 채취부(130)로 분주하는 단계이다.
이런, 채취부 분주단계(S30)는 흡입 장치로 흡입을 실시하게 되면 용기몸체부(110)에 수납된 액상세포가 용기몸체부(110) 내에 설치된 용기필터체(114)에서 일차로 필터링되고, 분주필터부(120)의 분주필터몸체() 내에 설치된 필터체(123)에서 이차로 필터링되며, 필터링된 액상세포를 삽입된 채취부(130)로 분주하도록 구비하되, 용기몸체부(110)로 삽입 지지되는 분주필터부(120)의 상부로 돌출된 분주지지몸체(124)에 삽입되는 위치에 홈 형태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통홈(125)을 구비하여 흡입 장치의 흡입으로 인한 진공화를 회피하면서 분주 압력을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채취부 분주단계(S30)는 흡입 장치의 흡입 중 기설정된 주기별로 흡입을 정지하여 외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용기몸체부(110)의 내부로 유입되어 흡입에 의해 용기몸체부(110) 내에서 일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용기필터체(114)와 분주필터부(120) 내에서 이차로 필터링하는 필터체(123)의 흡입되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외부공기가 공급되어 불순물을 제거하면서 용기몸체부(110)의 내부에서 집중되어 있는 세포들이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역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채취부 분주단계(S30)는 채취부(130)의 채취몸체(131) 내부에 삽입 설치된 흡입 장치로 흡입압력을 제공하면 공간이 나뉘어진 흡입지지체(132)에 형성된 복수의 통공 형태의 흡입공(133)을 통해서 흡입압력을 전달하고, 분주필터부(120)를 통해서 유입되는 액상세포가 흡입되면 흡입지지체(132)에 지지된 채취맴브레인(134)이 감싸고 있는 채취폼(135)에 세포가 안착되어 채취할 수 있다.
즉, 채취부(130)에 액상세포를 분주함에 있어 흡입 장치에 작동으로 흡입을 실시하면 흡입지지체(132)의 흡입공(133)을 통해서 흡입압력이 전달되어 필터체(123)에서 필터링된 액상세포가 채취맴브레인(134)으로 감싸져 있는 채취폼(135)으로 분주된다.
이때, 흡입 장치의 흡입에 의해 압력이 지속적으로 높아져 진공압에 도달하게 되면 압력에 의해 분주가 정지됨에 따라 분주필터몸체(121)의 상부에 돌출되어 용기개폐체(112)에 삽입 지지되는 분주지지몸체(124)의 삽입 부분으로 형성된 공기유통홈(125)을 통해서 공기가 유입되어 진공압에 도달하여 흐름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흡입 장치의 흡입 작동과 정지하는 주기를 반복적으로 조절하여 정지 시에 공기유통홈(125)을 통해서 유입되는 공기가 용기몸체(111)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흡입에 의해 세포가 집중화되어 채취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세포의 분포도를 균일화하여 채취 시 균일한 세포층을 가지도록 역분산 현상이 발생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압 흡입과 역분산을 반복적으로 실시하게 되면 용기개폐체(112) 내에서 일차적으로 필터링을 하는 용기필터체(114)에 부착되는 점액질과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고, 균일화된 세포를 채취부(130)로 공급하게 되어 검사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채취부 분리단계(S40)는 채취부(130)에 분주를 마치면 용기몸체부(110)와 분주필터부(120)를 채취부(130)에서 분리하는 단계이다.
이차흡입단계(S50)는 채취부(130)의 상면에 액상세포가 위치한 상태에서 세포를 잔존시키고, 용액을 배출하도록 이차로 흡입하는 단계이다.
즉, 흡입압력을 조절하면서 액상세포가 채취부에 분주를 마치면 분주필터몸체(121)와 채취몸체(131)를 상호 분리하여 슬라이드로 채취맴브레인(134)에 액상세포가 분주된 상태에서 이차로 흡입을 실시하게 되면 잔존한 용액을 흡입 배출한 상태에서 균일한 세포 분포를 가질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용기를 이용한 분산 도말방법 중에 도말단계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도말단계(S60)는 채취부(130)의 상부에 슬라이드를 접촉하여 도말하는 단계이다.
즉, 채취맴브레인(134)의 상부에 슬라이드를 접촉하면서 도말을 실시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필터용기 110 : 용기몸체부
111 : 용기몸체 112 : 용기개폐체
113 : 밀봉체 114 : 용기필터체
120 : 분주필터부 121 : 분주필터몸체
122 : 밀봉해제돌기 123 : 필터체
124 : 분주지지몸체 125 : 공기유통홈
130 : 채취부 131 : 채취몸체
132 : 흡입지지체 133 : 흡입공
134 : 채취맴브레인 135 : 채취폼

Claims (7)

  1. 검사를 실시하는 액상세포를 상부가 밀봉된 용기몸체부에 수납하는 단계;
    분주필터부와 채취부를 삽입 결합하고, 상기 채취부에 흡입 장치를 삽입 설치한 상태로 상기 용기몸체부의 밀봉부분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뒤집어 상기 분주필터부에서 밀봉을 해제하면서 상기 용기몸체부를 삽입 설치하는 단계;
    상기 용기몸체부가 상기 분주필터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 장치의 작동으로 흡입하면 상기 분주필터부와 상기 용기몸체부의 삽입 지지되는 부분에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면서 상기 용기몸체부와 상기 분주필터부에서 각각 필터링되면서 상기 채취부로 분주하는 단계;
    상기 채취부에 분주를 마치면 상기 용기몸체부와 상기 분주필터부를 상기 채취부에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채취부의 상부에 슬라이드를 접촉하여 도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용기를 이용한 분산 도말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부에 수납하는 단계에서,
    검사를 실시하는 액상세포를 상기 용기몸체부의 용기몸체에 수납한 후 중앙에 밀봉체를 가지는 용기개폐체로 상기 용기몸체의 상부를 폐쇄하여 수납을 완료하는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용기를 이용한 분산 도말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부를 삽입 설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용기몸체를 뒤집어 상기 밀봉체가 상기 분주필터부의 밀봉해제돌기에 의해 파괴되면서 삽입되면 상기 용기몸체 내에 설치된 용기필터체로 일차로 필터링하고, 상기 분주필터부의 분주필터몸체 내부에 위치한 필터체에서 2차로 필터링한 후 상기 채취부에 분주하기 위해서 상기 용기몸체를 상기 분주필터몸체에 삽입 설치하는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용기를 이용한 분산 도말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부로 분주하는 단계에서,
    상기 흡입 장치로 흡입을 실시하게 되면 상기 용기몸체부에 수납된 액상세포가 상기 용기몸체부 내에 설치된 용기필터체에서 일차로 필터링되고, 상기 분주필터부의 분주필터몸체 내에 설치된 필터체에서 이차로 필터링되며, 필터링된 액상세포를 삽입된 상기 채취부로 분주하도록 구비하되, 상기 용기몸체부로 삽입 지지되는 상기 분주필터부의 상부로 돌출된 분주지지몸체에 삽입되는 위치에 홈 형태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통홈을 구비하여 상기 흡입 장치의 흡입으로 인한 진공화를 회피하면서 분주 압력을 조절하는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용기를 이용한 분산 도말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부로 분주하는 단계에서,
    상기 흡입 장치의 흡입 중 기설정된 주기별로 흡입을 정지하여 외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용기몸체부의 내부로 유입되어 흡입에 의해 상기 용기몸체부 내에서 일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용기필터체와 상기 분주필터부 내에서 이차로 필터링하는 필터체의 흡입되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외부공기가 공급되어 불순물을 제거하면서 상기 용기몸체부의 내부에서 집중되어 있는 세포들이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역분산하는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용기를 이용한 분산 도말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부로 분주하는 단계에서,
    상기 채취부의 채취몸체 내부에 삽입 설치된 상기 흡입 장치로 흡입압력을 제공하면 공간이 나뉘어진 흡입지지체에 형성된 복수의 통공 형태의 흡입공을 통해서 흡입압력을 전달하고, 상기 분주필터부를 통해서 유입되는 액상세포가 흡입되면 상기 흡입지지체에 지지된 채취맴브레인이 감싸고 있는 채취폼에 세포가 안착되어 채취하는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용기를 이용한 분산 도말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주필터부를 상기 채취부에서 분리하는 단계; 후에,
    상기 채취부의 상면에 액상세포가 위치한 상태에서 세포를 잔존시키고, 용액을 배출하도록 이차로 흡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용기를 이용한 분산 도말방법.
KR1020200045562A 2020-04-14 2020-04-14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용기를 이용한 분산 도말 방법 KR102399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562A KR102399224B1 (ko) 2020-04-14 2020-04-14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용기를 이용한 분산 도말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562A KR102399224B1 (ko) 2020-04-14 2020-04-14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용기를 이용한 분산 도말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541A true KR20210127541A (ko) 2021-10-22
KR102399224B1 KR102399224B1 (ko) 2022-05-18

Family

ID=78275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562A KR102399224B1 (ko) 2020-04-14 2020-04-14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용기를 이용한 분산 도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22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6531A (ja) * 2001-10-19 2005-03-03 モノジェ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複数の液体ベース検体を処理するための自動式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579717B1 (ko) * 2015-04-14 2015-12-23 (주)셀트라존 액상검체 도말 처리장치
KR101685459B1 (ko) * 2016-03-11 2016-12-13 (주)알엠바이오 피펫이 포함된 시료용기를 이용한 자동 도말장치
KR101687348B1 (ko) * 2015-02-12 2016-12-16 (주)로봇앤드디자인 액상세포 검사를 위한 멤브레인 필터 용기
KR20180052197A (ko) * 2016-11-10 2018-05-18 (주)알엠바이오 피펫이 포함된 시료용기를 이용한 세포 추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동 도말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6531A (ja) * 2001-10-19 2005-03-03 モノジェ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複数の液体ベース検体を処理するための自動式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5506537A (ja) * 2001-10-19 2005-03-03 モノジェ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汎用顕微鏡スライドカセット
KR101687348B1 (ko) * 2015-02-12 2016-12-16 (주)로봇앤드디자인 액상세포 검사를 위한 멤브레인 필터 용기
KR101579717B1 (ko) * 2015-04-14 2015-12-23 (주)셀트라존 액상검체 도말 처리장치
KR101685459B1 (ko) * 2016-03-11 2016-12-13 (주)알엠바이오 피펫이 포함된 시료용기를 이용한 자동 도말장치
KR20180052197A (ko) * 2016-11-10 2018-05-18 (주)알엠바이오 피펫이 포함된 시료용기를 이용한 세포 추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동 도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9224B1 (ko) 202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9085B1 (ko) 세포 채취용 필터 용기
JP5894142B2 (ja) 複数の細胞懸濁物を調製及び解析する自動プロセス及び自動化デバイス
KR101035427B1 (ko) 솔루션 용기
EP3176576B1 (en) Preprocessing apparatus using a preprocessing kit to preprocess sample
US20200300880A1 (en) Waste liquid chamber, waste liquid treatment apparatus, and sample analyzer
KR101366657B1 (ko) 검체 용기
KR100437740B1 (ko) 유해액체,특히고체입자로충진된유해액체의샘플링장치
KR101317311B1 (ko) 블로윙 방식을 이용한 검진 대상물 착상 장치
CN218878032U (zh) 一种样本盒、样本分析仪
KR100661488B1 (ko) 각종 암검사를 위한 액상세포검진장치
US20070287193A1 (en) Vial Assembly, Samp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Liquid-Based Specimens
KR102399224B1 (ko)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용기를 이용한 분산 도말 방법
KR101046833B1 (ko) 액상세포의 도말방법
KR20050094604A (ko) 침전방식과 음압을 이용한 액상 세포 검사용 세포 필터링 장치 및 그 방법
KR101409333B1 (ko) 세포 검사 도말을 위한 검체 처리 용기
KR102369962B1 (ko) 액상세포 도말용 필터 용기
KR101687348B1 (ko) 액상세포 검사를 위한 멤브레인 필터 용기
CN101787345B (zh) 一种用于细胞检查的体液样本收集、分离装置和方法
KR102273536B1 (ko) 액상 세포 도말용 필터용기
CN208000240U (zh) 组织切片用染色洗脱一体盒
CN206730668U (zh) 带有阀门流出溶液的砂芯抽滤装置
KR102375491B1 (ko) 세포도말용 진공 흡입 장치
KR100614809B1 (ko) 액상세포 보존 및 검사를 위한 용기
CN211122542U (zh) 一种农产品农药残留检测用取样器
US5251496A (en) Surface sampling te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