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6911A - Document editing device that hides some shapes by setting dependencies between the shapes inserted in the electronic docu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ocument editing device that hides some shapes by setting dependencies between the shapes inserted in the electronic docu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6911A
KR20210126911A KR1020200044573A KR20200044573A KR20210126911A KR 20210126911 A KR20210126911 A KR 20210126911A KR 1020200044573 A KR1020200044573 A KR 1020200044573A KR 20200044573 A KR20200044573 A KR 20200044573A KR 20210126911 A KR20210126911 A KR 20210126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line
parent
sub
figures
hidd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45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66704B1 (en
Inventor
손재연
박준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Priority to KR1020200044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704B1/en
Publication of KR20210126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69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7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Abstract

Disclosed are a document editing device for hiding some figures by setting a subordinate relationship between figures inserted in an electronic document,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t least one connection line connecting any two of a plurality of figures inserted in an electronic document by a user is inputted, a figure from which each of the at least one connection line is started is set to a parent figure, and a figure targeted by each of the at least one connection line is set to a child figure, and then, when a hiding command for a first figure of the plurality of figures is received from the user, at least one subordinate figure in a lower layer of the first figure is checked, and then, the first figure and the at least one subordinate figure are hidden together, and,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an operation of hiding some figures by setting a subordinate relationship between figures inserted in an electronic document.

Description

전자 문서에 삽입된 도형들 간의 종속 관계 설정을 통해 일부 도형의 숨김 처리를 수행하는 문서 편집 장치 및 그 동작 방법{DOCUMENT EDITING DEVICE THAT HIDES SOME SHAPES BY SETTING DEPENDENCIES BETWEEN THE SHAPES INSERTED IN THE ELECTRONIC DOCU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A document editing device that performs hiding processing of some figures by setting a dependency relationship between figures inserted in an electronic document,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문서에 삽입된 도형들 간의 종속 관계 설정을 통해 일부 도형의 숨김 처리를 수행하는 문서 편집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cument edit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for hiding some figures by setting a dependency relationship between figures inserted in an electronic document.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이 휴대가 간편한 전자 단말 장치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이러한 전자 단말 장치에서 문서의 열람이나 편집을 지원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Recently, as portable electronic terminal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have become widespread, research into technologies for supporting reading or editing of documents in such electronic terminal devices is being actively conducted.

이러한 전자 문서 관련 프로그램들로는 기본적인 문서의 작성, 편집 등을 지원하는 워드프로세서, 데이터의 입력, 산술연산, 데이터 관리를 보조하는 스프레드시트, 발표자의 발표를 보조하기 위한 프레젠테이션 프로그램들이 있다.These electronic document-related programs include a word processor supporting basic document creation and editing, a spreadsheet supporting data input, arithmetic operations, and data management, and presentation programs supporting a presenter's presentation.

관련해서, 사용자는 전자 문서 관련 프로그램을 통해 오픈된 전자 문서 상에 서로 다른 형태와 크기를 갖는 다양한 도형들을 삽입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연결선을 이용하여 삽입된 도형들을 연결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관계도 또는 순서도를 작성할 수 있다.In relation to this, the user may insert various figures having different shapes and sizes on an electronic document opened through an electronic document-related program, and by connecting the inserted figures using various types of connecting lines, a desired shape by the user You can create a relationship diagram or a flowchart of

이때, 연결선이 타겟하는 도형을 연결선이 시작되는 도형의 하위 계층에 있는 도형으로 설정함으로써, 연결선 각각에 의해 연결된 도형 간의 종속 관계를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면, 다수의 계층으로 구성된 복잡한 관계도 또는 순서도에서 특정 도형에 대해 숨김 처리를 하는 경우, 특정 도형의 하위 계층에 있는 도형들에 대해서도 함께 숨김 처리를 할 수 있어, 계층에 기반한 일부 도형의 숨김 처리가 가능할 것이다. At this time, if it is supported to set a dependency relationship between figures connected by each connecting line by setting the figure targeted by the connecting line to a figure in the lower layer of the figure from which the connecting line starts, in a complex relationship diagram or flowchart composed of multiple hierarchies When the hiding process is performed on a specific figure, the hiding process can also be performed on figures in a lower layer of the specific figure, so that hiding processing of some figures based on the hierarchy will be possible.

이 경우, 사용자는 관계도 또는 순서도를 손쉽게 요약하여 표시할 수 있어, 빠른 문서 편집이 가능할 것이고, 복잡한 관계도나 순서도에서 계층에 기반한 일부 도형의 숨김 또는 펼침 기능을 활용함으로써, 계층 구조를 쉽게 파악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this case, the user can easily summarize and display the relationship chart or flowchart, enabling quick document editing. There will be.

따라서, 전자 문서에 삽입된 도형들 간의 종속 관계 설정을 통해 일부 도형을 숨김으로써, 문서의 내용을 간략히 표현할 수 있는 문서 편집 기술에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tudy related to a document editing technique capable of briefly expressing the contents of a document by hiding some figures through setting a dependency relationship between figures inserted in an electronic document.

본 발명에 따른 문서 편집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전자 문서에 삽입된 복수의 도형들 중 어느 두 도형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 각각이 시작되는 도형을 부모 도형으로 설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 각각이 타겟하는 도형을 자식 도형으로 설정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도형들 중 제1 도형에 대한 숨김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도형의 하위 계층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도형을 확인하여,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위 도형을 함께 숨김으로써, 전자 문서에 삽입된 도형들 간의 종속 관계 설정을 통해 일부 도형의 숨김 처리를 지원하고자 한다.In a document editing apparatus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t least one connecting line connecting any two figures among a plurality of figures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is input by a user, the figure from which each of the at least one connecting line starts is displayed. When a parent figure is set, a figure targeted by each of the at least one connection line is set as a child figure, and a hiding command for a first figure among the plurality of figures is received from the user, the lower level of the first figure is set By checking at least one sub-figure in the hierarchy and hiding the first figure and the at least one sub-figure together, it is intended to support the hiding process of some figures by setting a dependency relationship between figures inserted in an electronic document.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에 삽입된 도형들 간의 종속 관계 설정을 통해 일부 도형의 숨김 처리를 수행하는 문서 편집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전자 문서에 삽입된 복수의 도형들 중 어느 두 도형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 각각이 시작되는 도형을 부모(parent) 도형으로 설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 각각이 타겟하는 도형을 각 연결선에 대응되는 부모 도형에 종속된 자식(child) 도형으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 각각에 의해 연결된 도형 간의 종속 관계를 설정하는 관계 설정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도형들 중 어느 하나인 제1 도형에 대한 숨김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도형에 종속된 자식 도형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1 도형에 종속된 자식 도형으로 제1 자식 도형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자식 도형에 종속된 또 다른 자식 도형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상기 제1 도형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종속되어 있는 자식 도형들에 대해 연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1 도형의 하위 계층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을 확인하는 하위 도형 확인부, 상기 제1 도형에 대한 부모 도형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1 도형에 대한 부모 도형으로 제1 부모 도형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제1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을 숨긴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 각각을 타겟하는 연결선을 추가로 숨기는 숨김 처리부 및 상기 제1 부모 도형의 하위 계층에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이 숨김 처리되어 있음을 지시하는 숨김 아이콘을 생성한 후 상기 숨김 아이콘을 상기 제1 부모 도형 상의 미리 정해진 아이콘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숨김 아이콘 표시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ocument editing apparatus for hiding some figures by setting a dependency relationship between figures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play any two figures among a plurality of figures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by a user. When at least one connecting line is input, a figure from which each of the at least one connecting line starts is set as a parent figure, and a figure targeted by each of the at least one connecting line is set to a parent figure corresponding to each connecting line A relationship setting unit for setting a 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figures connected by each of the at least one connecting line by setting them as dependent child figures, and a hiding command for a first figure that i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gures from the user is received, it is checked whether a child figure subordinate to the first figure exists, and if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child figure exists as a child figure subordinate to the first figure, another child figure dependent on the first figure is determined. A lower level for checking at least one first lower figure in a lower hierarchy of the first figure by sequentially performing a process of checking whether a child figure exists on child figures sequentially dependent from the first figure A figure confirming unit checks whether a parent figure for the first figure exists,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a first parent figure exists as a parent figure for the first figure, the first figure and the first figure are targeted a hiding processing unit that further hides the at least one first sub-figure and a connecting line targeting each of the at least one first sub-figure after hiding the connecting line, and the first figure and the at least one in a lower layer of the first parent figure and a hidden icon display unit for generating a hidden icon indicating that the first sub figure of ' is hidden, and displaying the hidden icon on a predetermined icon display area on the first parent figur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에 삽입된 도형들 간의 종속 관계 설정을 통해 일부 도형의 숨김 처리를 수행하는 문서 편집 장치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전자 문서에 삽입된 복수의 도형들 중 어느 두 도형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 각각이 시작되는 도형을 부모 도형으로 설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 각각이 타겟하는 도형을 각 연결선에 대응되는 부모 도형에 종속된 자식 도형으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 각각에 의해 연결된 도형 간의 종속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도형들 중 어느 하나인 제1 도형에 대한 숨김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도형에 종속된 자식 도형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1 도형에 종속된 자식 도형으로 제1 자식 도형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자식 도형에 종속된 또 다른 자식 도형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상기 제1 도형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종속되어 있는 자식 도형들에 대해 연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1 도형의 하위 계층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도형에 대한 부모 도형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1 도형에 대한 부모 도형으로 제1 부모 도형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제1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을 숨긴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 각각을 타겟하는 연결선을 추가로 숨기는 단계 및 상기 제1 부모 도형의 하위 계층에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이 숨김 처리되어 있음을 지시하는 숨김 아이콘을 생성한 후 상기 숨김 아이콘을 상기 제1 부모 도형 상의 미리 정해진 아이콘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document editing apparatus for hiding some figures by setting a dependency relationship between figures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by a user. When at least one connecting line connecting any two figures is input, a figure from which each of the at least one connecting line starts is set as a parent figure, and a figure targeted by each of the at least one connecting line is set as a parent corresponding to each connecting line Setting a dependency relationship between figures connected by each of the at least one connecting line by setting the figure as a child figure dependent on the figure; , check whether a child figure dependent on the first figure exists, and if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child figure exists as a child figure dependent on the first figure, another child figure dependent on the first child figure is confirming at least one first sub-figure in a lower hierarchy of the first figure by sequentially performing a process of checking whether there is a subordinate figure sequentially from the first figure; It is checked whether a parent figure for the first figure exists, and if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parent figure exists as the parent figure for the first figure, after hiding the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first figure and the first figure, the at least additionally hiding one first subfigure and a connecting line targeting each of the at least one first subfigure, and hiding the first figure and the at least one first subfigure in a lower layer of the first parent figure and displaying the hidden icon in a predetermined icon display area on the first parent figure after generating a hidden icon indicating that the process has been performed.

본 발명에 따른 문서 편집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전자 문서에 삽입된 복수의 도형들 중 어느 두 도형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 각각이 시작되는 도형을 부모 도형으로 설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 각각이 타겟하는 도형을 자식 도형으로 설정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도형들 중 제1 도형에 대한 숨김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도형의 하위 계층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도형을 확인하여,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위 도형을 함께 숨김으로써, 전자 문서에 삽입된 도형들 간의 종속 관계 설정을 통해 일부 도형의 숨김 처리를 지원할 수 있다.In a document editing apparatus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t least one connecting line connecting any two figures among a plurality of figures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is input by a user, the figure from which each of the at least one connecting line starts is displayed. When a parent figure is set, a figure targeted by each of the at least one connection line is set as a child figure, and a hiding command for a first figure among the plurality of figures is received from the user, the lower level of the first figure is set By identifying at least one sub-figure in the hierarchy and hiding the first figure and the at least one sub-figure together, the hiding process of some figures can be supported by setting a dependency relationship between figures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에 삽입된 도형들 간의 종속 관계 설정을 통해 일부 도형의 숨김 처리를 수행하는 문서 편집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에 삽입된 도형들 간의 종속 관계 설정을 통해 일부 도형의 숨김 처리를 수행하는 문서 편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에 삽입된 도형들 간의 종속 관계 설정을 통해 일부 도형의 숨김 처리를 수행하는 문서 편집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document editing apparatus for hiding some figures by setting a dependency relationship between figures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o 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document editing apparatus that performs a hiding process of some figures by setting a dependency relationship between figures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document editing apparatus for hiding some figures by setting a dependency relationship between figures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으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se description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describing each drawing,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and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refer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has the same meaning as i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who have it.

본 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고,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In this document,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components, functional blocks or means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sub-components, and the electrical, electronic, and mechanical functions performed by each component are electronic. A circuit, an integrated circuit, an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etc.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well-known devices or mechanical elements, and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or two or more may be integrated into one.

한편, 첨부된 블록도의 블록들이나 흐름도의 단계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등 데이터 프로세싱이 가능한 장비의 프로세서나 메모리에 탑재되어 지정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instructions)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은 컴퓨터 장치에 구비된 메모리 또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블록도의 블록들 또는 흐름도의 단계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이를 수행하는 명령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물로 생산될 수도 있다. 아울러,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가능한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정해진 순서와 달리 실행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거나, 역순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일부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생략된 채로 수행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locks in the accompanying block diagram or steps in the flowchart ar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that are loaded in a processor or memory of equipment capable of data processing, such as a general-purpose computer, a special-purpose computer, a portable notebook computer, and a network computer, and perform specified functions.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Since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stored in a memory provided in a computer device or in a memory readable by a computer,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blocks of the block diagrams or the steps of the flowcharts are produced as articles of manufacture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same. could be In addition, each block or each step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comprising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the specified logical function(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it is also possible for the functions recited in blocks or steps to be executed out of the prescribed order. For example, two blocks or steps shown one after another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in the reverse order, and in some cases, some blocks or steps may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에 삽입된 도형들 간의 종속 관계 설정을 통해 일부 도형의 숨김 처리를 수행하는 문서 편집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document editing apparatus for hiding some figures by setting a dependency relationship between figures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에 삽입된 도형들 간의 종속 관계 설정을 통해 일부 도형의 숨김 처리를 수행하는 문서 편집 장치(110)는 관계 설정부(111), 하위 도형 확인부(112), 숨김 처리부(113) 및 숨김 아이콘 표시부(114)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a document editing apparatus 110 that performs hiding processing of some figures by setting a dependency relationship between figures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lationship setting unit 111, a lower It includes a figure confirmation unit 112 , a hidden processing unit 113 , and a hidden icon display unit 114 .

관계 설정부(111)는 사용자에 의해 전자 문서에 삽입된 복수의 도형들 중 어느 두 도형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 각각이 시작되는 도형을 부모(parent) 도형으로 설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 각각이 타겟하는 도형을 각 연결선에 대응되는 부모 도형에 종속된 자식(child) 도형으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 각각에 의해 연결된 도형 간의 종속 관계를 설정한다.When at least one connecting line connecting any two figures among a plurality of figures inserted by a user is input by the user, the relationship setting unit 111 sets the figure from which each of the at least one connecting line starts as a parent. By setting a figure as a figure, and setting a figure targeted by each of the at least one connecting line as a child figure dependent on a parent figure corresponding to each connecting line, a dependency relationship between figures connected by each of the at least one connecting line is set do.

예컨대, 도 2의 도면부호 210과 같이, 전자 문서에 삽입된 복수의 도형들(211, 212, 213, 214, 215)로 '도형 1'(211), '도형 2'(212), '도형 3'(213), '도형 4'(214) 및 '도형 5'(215)가 존재하고, 사용자에 의해 복수의 도형들(211, 212, 213, 214, 215) 중 어느 두 도형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216, 217, 218, 219)으로 '도형 1'(211)과 '도형 2'(212)를 연결하는 '연결선 1'(216), '도형 2'(212)와 '도형 3'(213)을 연결하는 '연결선 2'(217), '도형 2'(212)와 '도형 4'(214)를 연결하는 '연결선 3'(218) 및 '도형 3'(213)과 '도형 5'(215)를 연결하는 '연결선 4'(219)가 입력되었다고 가정하자.For example,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210 of FIG. 2 , a plurality of figures 211 , 212 , 213 , 214 , and 215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are 'Figure 1' 211, 'Figure 2' 212, and 'Figure 1'. 3' (213), 'Figure 4' (214), and 'Figure 5' (215) exist, and the user connects any two figures among the plurality of figures 211, 212, 213, 214, and 215. 'Connecting line 1' 216, 'Figure 2' 212 and 'Figure 1' 211 connecting 'Figure 1' 211 and 'Figure 2' 212 with at least one connecting line 216, 217, 218, 219 'Connecting line 2' (217) connecting 3' (213), 'Connecting line 3' (218) and 'Figure 3' (213) connecting 'Figure 2' (212) and 'Figure 4' (214) It is assumed that a 'connection line 4' 219 connecting the 'figure 5' 215 is input.

이때, 관계 설정부(111)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216, 217, 218, 219) 중 '연결선 1'(216)이 시작되는 '도형 1'(211)을 부모 도형으로 설정하고, '연결선 1'(216)이 타겟하는 '도형 2'(212)를 '도형 1'(211)에 종속된 자식 도형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연결선 2'(217)가 시작되는 '도형 2'(212)를 부모 도형으로 설정하고, '연결선 2'(217)가 타겟하는 '도형 3'(213)을 '도형 2'(212)에 종속된 자식 도형으로 설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lationship setting unit 111 sets the 'Figure 1' 211 where the 'connection line 1' 216 starts among the at least one connection line 216, 217, 218, and 219 as a parent figure, and the 'connection line 1' '(216) can set 'Figure 2' (212) targeted by 'Figure 1' (211) as a child figure subordinate to 'Figure 1' (211), and 'Figure 2' (212) from which 'connection line 2' (217) starts It may be set as a parent figure, and 'figure 3' 213 targeted by 'connection line 2' 217 may be set as a child figure subordinate to 'figure 2' 212 .

또한, 관계 설정부(111)는 '연결선 3'(218)이 시작되는 '도형 2'(212)를 부모 도형으로 설정하고, '연결선 3'(218)이 타겟하는 '도형 4'(214)를 '도형 2'(212)에 종속된 자식 도형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연결선 4'(219)가 시작되는 '도형 3'(213)을 부모 도형으로 설정하고, '연결선 4'(219)가 타겟하는 '도형 5'(215)를 '도형 3'(213)에 종속된 자식 도형으로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lationship setting unit 111 sets the 'Figure 2' 212 where the 'connection line 3' 218 starts as the parent figure, and the 'Figure 4' 214 that the 'connection line 3' 218 targets. can be set as a child figure subordinate to 'Figure 2' (212), 'Figure 3' (213), where 'connection line 4' (219) starts, is set as a parent figure, and 'connection line 4' (219) is set as a parent figure. The target 'figure 5' 215 may be set as a child figure subordinate to the 'figure 3' 213 .

이렇게, 관계 설정부(111)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216, 217, 218, 219) 각각에 의해 연결된 도형 간의 종속 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relationship setting unit 111 may set a subordinate relationship between figures connected by each of the at least one connection line 216 , 217 , 218 , and 219 .

하위 도형 확인부(112)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도형들 중 어느 하나인 제1 도형에 대한 숨김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도형에 종속된 자식 도형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1 도형에 종속된 자식 도형으로 제1 자식 도형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자식 도형에 종속된 또 다른 자식 도형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상기 제1 도형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종속되어 있는 자식 도형들에 대해 연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1 도형의 하위 계층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을 확인한다.When a hiding command for a first figure, which is one of the plurality of figures, is received from the user, the lower figure check unit 112 checks whether a child figure subordinate to the first figure exists, and the first figur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child figure exists as a child figure dependent on At least one first sub-figure in a lower layer of the first figure is identified by performing sequentially on the first figure.

예컨대, 전술한 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도형들(211, 212, 213, 214, 215) 중 '도형 2'(212)에 대한 숨김 명령이 수신되었다고 가정하면, 하위 도형 확인부(112)는 '도형 2'(212)에 종속된 자식 도형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고, 도면부호 2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형 2'(212)에 종속된 자식 도형으로 '도형 3'(213)과 '도형 4'(214)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도형 3'(213)과 '도형 4'(214) 각각에 종속된 또 다른 자식 도형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도형 2'(212)로부터 순차적으로 종속되어 있는 자식 도형들에 대해 연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it is assumed that a hiding command for 'Figure 2' 212 among the plurality of figures 211, 212, 213, 214, and 215 is received from the us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the lower figure confirmation unit 112 ) can check whether there is a child figure dependent on 'Figure 2' (212), and as shown in reference numeral 210, as a child figure dependent on 'Figure 2' (212), 'Figure 3' (213) When it is confirmed that and 'Figure 4' 214 exist, the process of checking whether another child figure subordinated to each of 'Figure 3' (213) and 'Figure 4' (214) exists is 'Figure 2' ( 212), sequentially dependent child figures can be sequentially performed.

즉, 하위 도형 확인부(112)는 '도형 3'(213)에 종속된 또 다른 자식 도형으로 '도형 5'(215)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도형 4'(214)에 종속된 또 다른 자식 도형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도형 5'(215)에 종속된 또 다른 자식 도형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고, '도형 5'(215)에 종속된 또 다른 자식 도형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최종적으로, '도형 2'(212)의 하위 계층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으로 '도형 3'(213), '도형 4'(214) 및 '도형 5'(215)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at is, the lower figure confirmation unit 112 confirms that 'Figure 5' 215 exists as another child figure subordinate to 'Figure 3' (213), and 'Figure 4' (214) subordinated or If it is confirmed that other child figures do not exist, it can be checked whether another child figure dependent on 'Figure 5' 215 exists, and another child figure dependent on 'Figure 5' 215 does not exist. 'Figure 3' (213), 'Figure 4' (214) and 'Figure 5' (215) as at least one first sub-figure in the lower layer of 'Figure 2' (212) It can be confirmed that there is

숨김 처리부(113)는 상기 제1 도형에 대한 부모 도형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1 도형에 대한 부모 도형으로 제1 부모 도형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제1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을 숨긴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 각각을 타겟하는 연결선을 추가로 숨긴다.The hiding processing unit 113 checks whether a parent figure for the first figure exists,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parent figure exists as a parent figure for the first figure, the hiding processing unit 113 separates the first figure and the first figure. After hiding the target connecting line, the at least one first sub-figure and the connecting line targeting each of the at least one first sub-figure are further hidden.

숨김 아이콘 표시부(114)는 상기 제1 부모 도형의 하위 계층에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이 숨김 처리되어 있음을 지시하는 숨김 아이콘을 생성한 후 상기 숨김 아이콘을 상기 제1 부모 도형 상의 미리 정해진 아이콘 표시 영역에 표시한다.The hidden icon display unit 114 generates a hidden icon indicating that the first figure and the at least one first lower figure are hidden in a lower layer of the first parent figure, and then displays the hidden icon in the first It is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icon display area on the parent figure.

예컨대, 전술한 예에 따르면, 숨김 처리부(113)는 '도형 2'(212)에 대한 부모 도형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고, '도형 2'(212)에 대한 부모 도형으로 '도형 1'(211)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도형 2'(212)와 '도형 2'(212)를 타겟하는 '연결선 1'(216)을 숨긴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인 '도형 3'(213), '도형 4'(214) 및 '도형 5'(215)와 '도형 3'(213)을 타겟하는 '연결선 2'(217), '도형 4'(214)를 타겟하는 '연결선 3'(218) 및 '도형 5'(215)를 타겟하는 '연결선 4'(219)를 추가로 숨길 수 있다.For exampl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the hiding processing unit 113 may check whether a parent figure for 'Figure 2' 212 exists, and 'Figure 1' 211 as a parent figure for 'Figure 2' 212. ), after hiding the 'connection line 1' 216 targeting the 'Figure 2' 212 and the 'Figure 2' 212, the at least one first sub-figure 'Figure 3' ( 213), 'connection line 2' 217 targeting 'Figure 4' 214 and 'Figure 5' 215 and 'Figure 3' 213, 'connection line 3 targeting 'Figure 4' 214 '218 and 'connection line 4' 219 targeting 'Figure 5' 215 may be further hidden.

이후, 숨김 아이콘 표시부(114)는 '도형 1'(211)의 하위 계층에 '도형 2'(212), '도형 3'(213), '도형 4'(214) 및 '도형 5'(215)가 숨김 처리되어 있음을 지시하는 숨김 아이콘(221)을 생성한 후 숨김 아이콘(221)을 '도형 1'(211) 상의 점선으로 표시된 미리 정해진 아이콘 표시 영역(222)에 표시할 수 있다.Thereafter, the hidden icon display unit 114 displays 'Figure 2' (212), 'Figure 3' (213), 'Figure 4' (214) and 'Figure 5' (215) in the lower layer of 'Figure 1' (211). ), the hidden icon 221 may be generated, and then the hidden icon 221 may be displayed in the predetermined icon display area 222 indicated by a dotted line on the 'Figure 1' 211 .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숨김 처리부(113)는 상기 제1 도형에 대한 부모 도형이 존재하는지 확인한 결과, 상기 제1 도형에 대한 부모 도형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제1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을 숨기지 않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만을 숨길 수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ding processing unit 113 checks whether a parent figure for the first figure exists,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parent figure for the first figure does not exist, the first figure Without hiding the figure and the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first figure, only the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and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may be hidden.

이때, 숨김 아이콘 표시부(114)는 상기 제1 도형이 최상위 계층에 있는 도형이므로 숨김 처리될 수 없음을 지시하는 제1 안내 메시지를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제1 도형의 하위 계층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이 숨김 처리되어 있음을 지시하는 상기 숨김 아이콘을 생성한 후 상기 숨김 아이콘을 상기 제1 도형 상의 상기 아이콘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hidden icon display unit 114 displays a first guide message indicating that the first figure cannot be hidden because it is a figure in the uppermost layer on the screen, and the at least one After generating the hidden icon indicating that the first sub figure of ' is hidden, the hidden icon may be displayed on the icon display area of the first figure.

예컨대, 전술한 예와 달리, 도 2의 도면부호 210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도형들(211, 212, 213, 214, 215) 중 '도형 1'(211)에 대한 숨김 명령이 수신되었다고 가정하면, 하위 도형 확인부(112)는 '도형 1'(211)의 하위 계층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으로 '도형 1'(211)에 종속된 자식 도형인 '도형 2'(212), '도형 2'(212)에 종속된 또 다른 자식 도형인 '도형 3'(213)과 '도형 4'(214), '도형 3'(213)에 종속된 또 다른 자식 도형인 '도형 5'(215)를 확인할 수 있다. For example, unlike the above example, it is assumed that a hiding command for 'Figure 1' 211 among the plurality of figures 211, 212, 213, 214, and 215 is received from the user at reference numeral 210 of FIG. , the lower figure confirmation unit 112 is at least one first lower figure in the lower layer of 'Figure 1' (211), 'Figure 2' (212), which is a child figure subordinate to 'Figure 1' (211), 'Figure 3' 213, which is another child figure subordinate to 'Figure 2' (212), 'Figure 4' (214), and 'Figure 5' which is another child figure subordinate to 'Figure 3' (213) (215) can be seen.

이때, 숨김 처리부(113)는 '도형 1'(211)에 대한 부모 도형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고, '도형 1'(211)에 대한 부모 도형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도형 1'(211)과 '도형 1'(211)을 타겟하는 연결선을 숨기지 않고, 도면부호 220과 같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인 '도형 2'(212), '도형 3'(213), '도형 4'(214) 및 '도형 5'(215)와 '도형 2'(212)를 타겟하는 '연결선 1'(216), '도형 3'(213)을 타겟하는 '연결선 2'(217), '도형 4'(214)를 타겟하는 '연결선 3'(218), '도형 5'(215)를 타겟하는 '연결선 4'(219)만을 숨길 수 있다.At this time, the hiding processing unit 113 may check whether a parent figure for 'Figure 1' 211 exists, and if it is confirmed that the parent figure for 'Figure 1' 211 does not exist, 'Figure 1' ( 211) and 'Figure 1' (211), as shown in reference numeral 220, 'Figure 2' (212), 'Figure 3' (213), 'Figure 2' (212), 'Figure 3' (213), ' 'Connecting line 1' 216 targeting 'Figure 4' 214 and 'Figure 5' 215 and 'Figure 2' 212, 'Connecting line 2' 217 targeting 'Figure 3' 213 , 'connection line 3' 218 targeting 'figure 4' 214 and 'connection line 4' 219 targeting 'figure 5' 215 may be hidden.

그러면, 숨김 아이콘 표시부(114)는 '도형 1'(211)이 최상위 계층에 있는 도형이므로 숨김 처리될 수 없음을 지시하는 제1 안내 메시지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고, '도형 1'(211)의 하위 계층에 '도형 2'(212), '도형 3'(213), '도형 4'(214) 및 '도형 5'(215)가 숨김 처리되어 있음을 지시하는 숨김 아이콘(221)을 생성한 후 숨김 아이콘(221)을 '도형 1'(211) 상의 점선으로 표시된 아이콘 표시 영역(222)에 표시할 수 있다.Then, the hidden icon display unit 114 may display a first guide message indicating that 'Figure 1' 211 is a figure in the uppermost layer and thus cannot be hidden on the screen, and 'Figure 1' (211) ), a hidden icon 221 indicating that 'Figure 2' (212), 'Figure 3' (213), 'Figure 4' (214), and 'Figure 5' (215) are hidden in the lower layer. After creation, the hidden icon 221 may be displayed in the icon display area 222 indicated by a dotted line on the 'Figure 1' 211 .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숨김 처리부(113)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도형이 상기 제1 도형에 대한 부모 도형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도형, 상기 제1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에 대해 숨김 처리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ding processing unit 113 is configured to, when at least one figure among the at least one first sub-figure is set as a parent figure for the first figure, the first figure, The hiding process may not be performed on the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first figure,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and the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이때, 숨김 아이콘 표시부(114)는 상기 제1 도형, 상기 제1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에 대해 숨김 처리가 수행되지 않으면, 상기 숨김 아이콘을 상기 제1 부모 도형 상의 상기 아이콘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대신, 양방향 종속 관계 설정으로 인해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이 숨김 처리될 수 없음을 지시하는 제2 안내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hidden icon display unit 114 performs hiding processing on the first figure, a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first figure,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and a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Otherwise, instead of displaying the hidden icon in the icon display area on the first parent figure, indicating that the first figure and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cannot be hidden due to a bidirectional dependency relationship setting A second guide message may be displayed.

예컨대, 도 3과 같이, 전술한 예에서 사용자에 의해 '도형 5'(215)와 '도형 2'(212)를 연결하는 '연결선 5'(311)가 추가로 입력되어, 관계 설정부(111)에 의해 '연결선 5'(311)가 시작되는 '도형 5'(215)가 부모 도형으로 설정되었고, '연결선 5'(311)가 타겟하는 '도형 2'(212)가 '도형 5'(215)에 종속된 자식 도형으로 설정되었으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도형들(211, 212, 213, 214, 215) 중 '도형 2'(212)에 대한 숨김 명령이 수신됨에 따라, 하위 도형 확인부(112)에 의해, '도형 2'(212)의 하위 계층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으로 '도형 3'(213), '도형 4'(214) 및 '도형 5'(215)가 확인되었다고 가정하자.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 a 'connection line 5' 311 connecting the 'Figure 5' 215 and the 'Figure 2' 212 is additionally input by the user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the relationship setting unit 111 ( 215), and as a hiding command for 'Figure 2' (212) among the plurality of figures (211, 212, 213, 214, 215) is received from the user, the lower figure confirmation unit By 112, 'Figure 3' 213, 'Figure 4' 214 and 'Figure 5' 215 are at least one first sub-figure in the lower layer of 'Figure 2' 212. Let's assume it's confirmed.

이렇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인 '도형 3'(213), '도형 4'(214) 및 '도형 5'(215) 중 어느 하나인 '도형 5'(215)가 '도형 2'(212)에 대한 부모 도형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숨김 처리부(113)는 '도형 2'(212), '도형 2'(212)를 타겟하는 '연결선 1'(216),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인 도형 3'(213), '도형 4'(214) 및 '도형 5'(215), '도형 3'(213)을 타겟하는 '연결선 2'(217), '도형 4'(214)를 타겟하는 '연결선 3'(218) 및 '도형 5'(215)를 타겟하는 '연결선 4'(219)에 대해 숨김 처리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In this way, 'Figure 5' 215, which is any one of 'Figure 3' 213, 'Figure 4' 214, and 'Figure 5' 215, which is the at least one first sub-figure, is 'Figure 2' When it is set as the parent figure for the 212, the hiding processing unit 113 performs the 'figure 2' 212, the 'connection line 1' 216 targeting the 'figure 2' 212, and the at least one second 1 'Connecting line 2' (217), 'Figure 4' ( The hiding process may not be performed on the 'connection line 3' 218 targeting 214 and the 'connection line 4' 219 targeting the 'figure 5' 215 .

그리고, 숨김 아이콘 표시부(114)는 '도형 2'(212), '도형 2'(212)를 타겟하는 '연결선 1'(216), 도형 3'(213), '도형 4'(214) 및 '도형 5'(215), '도형 3'(213)을 타겟하는 '연결선 2'(217), '도형 4'(214)를 타겟하는 '연결선 3'(218), '도형 5'(215)를 타겟하는 '연결선 4'(219)에 대해 숨김 처리가 수행되지 않으면, 전술한 예의 숨김 아이콘(221)을 '도형 1'(211) 상의 아이콘 표시 영역(222)에 표시하는 대신, 양방향 종속 관계 설정으로 인해 '도형 2'(212), '도형 3'(213), '도형 4'(214) 및 '도형 5'(215)가 숨김 처리될 수 없음을 지시하는 제2 안내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idden icon display unit 114 includes 'Figure 2' 212, 'Connecting Line 1' 216, Figure 3' 213, 'Figure 4' 214 and 'Figure 5' 215, 'Connect 2' 217 targeting 'Figure 3' 213, 'Connecting Line 3' 218 targeting 'Figure 4' 214, 'Figure 5' 215 ), if the hiding process is not performed on the 'connection line 4' 219, instead of displaying the hidden icon 221 of the above-described example in the icon display area 222 on the 'Figure 1' 211, two-way dependency A second guide message indicating that 'Figure 2' (212), 'Figure 3' (213), 'Figure 4' (214) and 'Figure 5' (215) cannot be hidden due to relationship setting is displayed can do.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문서 편집 장치(110)는 펼침 처리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cument editing apparatus 110 may further include an unfold processing unit 115 .

펼침 처리부(115)는 상기 숨김 아이콘이 상기 제1 부모 도형 상의 상기 아이콘 표시 영역에 표시된 이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숨김 아이콘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에 대한 펼침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제1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을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 각각을 타겟하는 연결선을 추가로 화면 상에 표시한 후 상기 숨김 아이콘을 제거한다.After the hidden icon is displayed in the icon display area on the first parent figure, the unfolding processing unit 115 is configured to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first figure and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as the hidden icon is selected by the user. When an unfold command is received, the first figure and a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first figure ar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a connecting line targeting each of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and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is added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n the hidden icon is removed.

예컨대, 도 2의 도면부호 220과 같이, 숨김 아이콘(221)이 '도형 1'(211) 상의 점선으로 표시된 아이콘 표시 영역(222)에 표시된 이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숨김 아이콘(221)이 선택됨에 따라 '도형 2'(212)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인 '도형 3'(213), '도형 4'(214) 및 '도형 5'(215)에 대한 펼침 명령이 수신되면, 펼침 처리부(115)는 도면부호 210과 같이, '도형 2'(212)와 '도형 2'(212)를 타겟하는 '연결선 1'(216)을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고, '도형 3'(213), '도형 4'(214) 및 '도형 5'(215)와 '도형 3'(213)을 타겟하는 '연결선 2'(217), '도형 4'(214)를 타겟하는 '연결선 3'(218) 및 '도형 5'(215)를 타겟하는 '연결선 4'(219)를 추가로 화면 상에 표시한 후 숨김 아이콘(221)을 제거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reference numeral 220 of FIG. 2 , after the hidden icon 221 is displayed in the icon display area 222 indicated by a dotted line on the 'Figure 1' 211, the hidden icon 221 is selected by the user. Accordingly, when an unfold command for 'Figure 2' 212 and the at least one first sub-figure 'Figure 3' 213, 'Figure 4' 214 and 'Figure 5' 215 is received, expand The processing unit 115 may display the 'connection line 1' 216 targeting the 'Figure 2' 212 and the 'Figure 2' 212 on the screen,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210, and the 'Figure 3' ( 213), 'connection line 2' 217 targeting 'Figure 4' 214 and 'Figure 5' 215 and 'Figure 3' 213, 'connection line 3 targeting 'Figure 4' 214 After the 'connection line 4' 219 targeting the '218 and the 'Figure 5' 215 is additionally displayed on the screen, the hidden icon 221 may be removed.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문서 편집 장치(110)는 크기 변경부(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cument editing apparatus 110 may further include a size changer 116 .

크기 변경부(116)는 펼침 처리부(115)를 통해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제1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 각각을 타겟하는 연결선이 화면 상에 표시된 이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도형의 크기가 변경되면, 상기 제1 도형의 크기 변경 비율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 각각의 크기를 변경한다.The size change unit 116 includes a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first figure and the first figure through the unfolding processing unit 115 and a connecting line targeting each of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and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After being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the size of the first figure is changed by the user, the size of each of the at least one first sub-figur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change ratio of the first figure.

예컨대, 전술한 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도형들(211, 212, 213, 214, 215) 중 '도형 2'(212)에 대한 숨김 명령이 수신되었고, 하위 도형 확인부(112)에 의해, '도형 2'(212)의 하위 계층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으로 '도형 3'(213), '도형 4'(214) 및 '도형 5'(215)가 확인되었다고 가정하자.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 hiding command for 'Figure 2' 212 among the plurality of figures 211, 212, 213, 214, and 215 is received from the user, and is , 'Figure 3' 213, 'Figure 4' 214, and 'Figure 5' 215 are identified as at least one first sub-figure in a lower layer of 'Figure 2' 212.

이때, 펼침 처리부(115)를 통해 숨겨진 도형이 모두 펼쳐진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도형 2'(212)의 크기가 도면부호 411과 같이 변경되면, 크기 변경부(116)는 '도형 2'(212)의 크기 변경 비율에 대응하여 '도형 3'(213)의 크기를 도면부호 412와 같이 변경하고, '도형 4'(214)의 크기를 도면부호 413과 같이 변경하며, '도형 5'(215)의 크기를 도면부호 414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At this time, after all hidden figures are unfolded through the unfolding processing unit 115, as shown in FIG. 4, when the size of the 'figure 2' 212 is changed by the user as shown in reference numeral 411, the size change unit 116 Changes the size of 'Figure 3' (213) as shown in reference numeral 412 in response to the size change rate of 'Figure 2' (212), and changes the size of 'Figure 4' (214) as shown in reference numeral 413, , the size of the 'Figure 5' 215 may be changed as shown in reference numeral 414 .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문서 편집 장치(110)는 도형 삭제부(117) 및 관계 재설정부(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cument editing apparatus 110 may further include a figure deleting unit 117 and a relationship resetting unit 118 .

도형 삭제부(117)는 펼침 처리부(115)를 통해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제1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 각각을 타겟하는 연결선이 화면 상에 표시된 이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도형에 대한 삭제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도형, 상기 제1 도형으로부터 시작되는 연결선 및 상기 제1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을 삭제한다.The figure deleting unit 117 includes a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first figure and the first figure through the unfolding processing unit 115 and a connecting line targeting each of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and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After being displayed on this screen, when a deletion command for the first figure is received from the user, the first figure, a connecting line starting from the first figure, and a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first figure are deleted.

관계 재설정부(118)는 상기 제1 도형, 상기 제1 도형으로부터 시작되는 연결선 및 상기 제1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이 삭제되면, 상기 제1 도형에 대한 부모 도형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1 도형에 대한 부모 도형으로 상기 제1 부모 도형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부모 도형을 상기 제1 자식 도형에 대한 부모 도형으로 재설정하고, 상기 제1 자식 도형을 상기 제1 부모 도형에 종속된 자식 도형으로 재설정한 후 상기 제1 부모 도형으로부터 시작되어 상기 제1 자식 도형을 타겟하는 신규 연결선을 생성하여 화면 상에 표시한다.When the first figure, a connecting line starting from the first figure, and a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first figure are deleted, the relationship resetting unit 118 checks whether a parent figure of the first figure exists, and the first figur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parent figure exists as a parent figure for a figure, the first parent figure is reset as a parent figure for the first child figure, and the first child figure is subordinated to the first parent figure After resetting to the designated child figure, a new connection line starting from the first parent figure and targeting the first child figure is genera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예컨대, 전술한 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도형들(211, 212, 213, 214, 215) 중 '도형 2'(212)에 대한 숨김 명령이 수신되었고, 하위 도형 확인부(112)에 의해, '도형 2'(212)에 종속된 자식 도형으로 '도형 3'(213)과 '도형 4'(214)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도형 3'(213)에 종속된 또 다른 자식 도형으로 '도형 5'(215)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가정하자.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 hiding command for 'Figure 2' 212 among the plurality of figures 211, 212, 213, 214, and 215 is received from the user, and is , 'Figure 3' (213) and 'Figure 4' (214) are confirmed to exist as child figures subordinate to 'Figure 2' (212), and another child figure dependent on 'Figure 3' (213) Assume that 'Figure 5' 215 is confirmed to exist.

이때, 펼침 처리부(115)를 통해 숨겨진 도형이 모두 펼쳐진 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도형 2'(212)에 대한 삭제 명령이 수신되었다고 가정하면, 도형 삭제부(117)는 '도형 2'(212), '도형 2'(212)로부터 시작되는 '연결선 2'(217), '도형 2'(212)로부터 시작되는 '연결선 3'(218) 및 '도형 2'(212)를 타겟하는 '연결선 1'(216)을 삭제할 수 있다.At this time, assuming that a delete command for 'Figure 2' 212 is received from the user after all hidden figures are unfolded through the unfolding processing unit 115, the figure deleting unit 117 performs the 'Figure 2' (212), 'Connecting Line 2' 217 starting from 'Figure 2' 212, 'Connecting Line 3' 218 starting from 'Figure 2' 212 and 'Connecting Line 1' targeting 'Figure 2' 212 (216) may be deleted.

이렇게, '도형 2'(212), '도형 2'(212)로부터 시작되는 '연결선 2'(217), '도형 2'(212)로부터 시작되는 '연결선 3'(218) 및 '도형 2'(212)를 타겟하는 '연결선 1'(216)이 삭제되면, 관계 재설정부(118)는 '도형 2'(212)에 대한 부모 도형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도형 2'(212)에 대한 부모 도형으로 '도형 1'(211)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도형 1'(211)을 '도형 3'(213)과 '도형 4'(214) 각각에 대한 부모 도형으로 재설정하고, '도형 3'(213)과 '도형 4'(214) 각각을 '도형 1'(211)에 종속된 자식 도형으로 재설정한 후 '도형 1'(211)로부터 시작되어 '도형 3'(213)을 타겟하는 '신규 연결선 1'(511)과 '도형 1'(211)로부터 시작되어 '도형 4'(214)를 타겟하는 '신규 연결선 2'(512)를 생성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In this way, 'Figure 2' 212, 'connection line 2' 217 starting from 'Figure 2' 212, 'connecting line 3' 218 and 'Figure 2' starting from 'Figure 2' 212 When the 'connection line 1' 216 targeting the 212 is deleted, the relationship resetting unit 118 checks whether a parent figure for the 'Figure 2' 212 exists,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Figure 1' 211 exists as a parent figure, 'Figure 1' 211 is reset as a parent figure for each of 'Figure 3' 213 and 'Figure 4' 214, and ' After resetting each of Figure 3' (213) and 'Figure 4' (214) as child figures subordinate to 'Figure 1' (211), 'Figure 3' (213) is formed starting from 'Figure 1' (211). Starting from the 'new connection line 1' 511 and the 'figure 1' 211 that target, a 'new connection line 2' 512 that targets the 'figure 4' 214 is generated, and the screen as shown in FIG. can be displayed on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에 삽입된 도형들 간의 종속 관계 설정을 통해 일부 도형의 숨김 처리를 수행하는 문서 편집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document editing apparatus for hiding some figures by setting a dependency relationship between figures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S610)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전자 문서에 삽입된 복수의 도형들 중 어느 두 도형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 각각이 시작되는 도형을 부모 도형으로 설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 각각이 타겟하는 도형을 각 연결선에 대응되는 부모 도형에 종속된 자식 도형으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 각각에 의해 연결된 도형 간의 종속 관계를 설정한다.In step S610, when at least one connecting line connecting any two figures among a plurality of figures inserted into the electronic document by the user is input, a figure starting from each of the at least one connecting line is set as a parent figure, By setting a figure targeted by each of the at least one connecting line as a child figure subordinate to a parent figure corresponding to each connecting line, a dependency relationship between figures connected by each of the at least one connecting line is established.

단계(S620)에서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도형들 중 어느 하나인 제1 도형에 대한 숨김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도형에 종속된 자식 도형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1 도형에 종속된 자식 도형으로 제1 자식 도형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자식 도형에 종속된 또 다른 자식 도형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상기 제1 도형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종속되어 있는 자식 도형들에 대해 연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1 도형의 하위 계층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을 확인한다.In step S620, when a hiding command for a first figure, which i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gures, is received from the user, it is checked whether a child figure subordinate to the first figure exists, and the first figure is subordinated to the first figur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child figure exists as the child figure, the process of checking whether another child figure subordinated to the first child figure exists is chained to the child figures sequentially dependent from the first figure By performing , at least one first sub-figure in a lower layer of the first figure is identified.

단계(S630)에서는 상기 제1 도형에 대한 부모 도형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1 도형에 대한 부모 도형으로 제1 부모 도형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제1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을 숨긴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 각각을 타겟하는 연결선을 추가로 숨긴다.In step S630, it is checked whether a parent figure for the first figure exists, and if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parent figure exists as a parent figure for the first figure, the first figure and the first figure are targeted. After hiding the connecting line to the at least one first sub-figure, the at least one first sub-figure and a connecting line targeting each of the at least one first sub-figure are further hidden.

단계(S640)에서는 상기 제1 부모 도형의 하위 계층에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이 숨김 처리되어 있음을 지시하는 숨김 아이콘을 생성한 후 상기 숨김 아이콘을 상기 제1 부모 도형 상의 미리 정해진 아이콘 표시 영역에 표시한다.In step S640, a hidden icon indicating that the first figure and the at least one first lower figure are hidden in a lower layer of the first parent figure is created, and then the hidden icon is set to the first parent figure It is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icon display area on the top.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문서 편집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숨김 아이콘이 상기 제1 부모 도형 상의 상기 아이콘 표시 영역에 표시된 이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숨김 아이콘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에 대한 펼침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제1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을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 각각을 타겟하는 연결선을 추가로 화면 상에 표시한 후 상기 숨김 아이콘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document editing apparatus, after the hidden icon is displayed in the icon display area on the first parent figure, the hidden icon is selected by the user. When a first figure and an unfold command for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are received, a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first figure and the first figure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and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are displayed on the scree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a connecting line targeting each of the at least one first sub-figure on the screen and then removing the hidden icon.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630)에서는 상기 제1 도형에 대한 부모 도형이 존재하는지 확인한 결과, 상기 제1 도형에 대한 부모 도형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제1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을 숨기지 않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만을 숨길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S630 ,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parent figure of the first figure does not exist as a result of checking whether the parent figure of the first figure exists, the first figure Without hiding the figure and the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first figure, only the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and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may be hidden.

이때, 단계(S640)에서는 상기 제1 도형이 최상위 계층에 있는 도형이므로 숨김 처리될 수 없음을 지시하는 제1 안내 메시지를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제1 도형의 하위 계층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이 숨김 처리되어 있음을 지시하는 상기 숨김 아이콘을 생성한 후 상기 숨김 아이콘을 상기 제1 도형 상의 상기 아이콘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step S640, a first guide message indicating that the first figure cannot be hidden because it is a figure in the uppermost lay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at least one second message is displayed in the lower layer of the first figure. After generating the hidden icon indicating that the first sub figure is hidden, the hidden icon may be displayed in the icon display area of the first figur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630)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도형이 상기 제1 도형에 대한 부모 도형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도형, 상기 제1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에 대해 숨김 처리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S630, if any one or more figures among the at least one first sub-figure are set as a parent figure of the first figure, the first figure, the The hiding process may not be performed on the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first figure,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and the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이때, 단계(S640)에서는 상기 제1 도형, 상기 제1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에 대해 숨김 처리가 수행되지 않으면, 상기 숨김 아이콘을 상기 제1 부모 도형 상의 상기 아이콘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대신, 양방향 종속 관계 설정으로 인해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이 숨김 처리될 수 없음을 지시하는 제2 안내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step S640, if the hiding process is not performed on the first figure, the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first figure,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and the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 a second indicating that the first figure and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cannot be hidden due to bidirectional dependency relationship setting instead of displaying the hidden icon in the icon display area on the first parent figure A guide message can be displaye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문서 편집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숨김 아이콘을 제거하는 단계를 통해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제1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 각각을 타겟하는 연결선이 화면 상에 표시된 이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도형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1 도형의 크기 변경 비율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 각각의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document editing apparatus, a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first figure and the first figure and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through the step of removing the hidden icon and when the size of the first figure is changed by the user after a connecting line targeting each of the at least one first sub-figure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at least on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hanging the size of each of the first sub-figures of .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문서 편집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숨김 아이콘을 제거하는 단계를 통해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제1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 각각을 타겟하는 연결선이 화면 상에 표시된 이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도형에 대한 삭제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도형, 상기 제1 도형으로부터 시작되는 연결선 및 상기 제1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을 삭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도형, 상기 제1 도형으로부터 시작되는 연결선 및 상기 제1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이 삭제되면, 상기 제1 도형에 대한 부모 도형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1 도형에 대한 부모 도형으로 상기 제1 부모 도형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부모 도형을 상기 제1 자식 도형에 대한 부모 도형으로 재설정하고, 상기 제1 자식 도형을 상기 제1 부모 도형에 종속된 자식 도형으로 재설정한 후 상기 제1 부모 도형으로부터 시작되어 상기 제1 자식 도형을 타겟하는 신규 연결선을 생성하여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document editing apparatus, a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first figure and the first figure and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through the step of removing the hidden icon and a connection line that targets each of the at least one first sub-figure ar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n when a deletion command for the first figure is received from the user, the first figure and a connecting line starting from the first figure and deleting a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first figure, and when the first figure, a connecting line starting from the first figure, and a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first figure are deleted, a parent figure of the first figure exists and if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parent figure exists as a parent figure for the first figure, the first parent figure is reset to a parent figure for the first child figure, and the first child figure is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fter resetting the first parent figure to a child figure subordinate to the first parent figure, generating a new connection line starting from the first parent figure and targeting the first child figure and displaying it on the screen.

이상,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에 삽입된 도형들 간의 종속 관계 설정을 통해 일부 도형의 숨김 처리를 수행하는 문서 편집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에 삽입된 도형들 간의 종속 관계 설정을 통해 일부 도형의 숨김 처리를 수행하는 문서 편집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 전자 문서에 삽입된 도형들 간의 종속 관계 설정을 통해 일부 도형의 숨김 처리를 수행하는 문서 편집 장치(110)의 동작에 대한 구성과 대응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above, an operation method of a document editing apparatus for performing hiding processing of some figures by setting a dependency relationship between figures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Here, the operating method of the document edit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hiding process of some figures by setting the dependency relationship between figures inserted into the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electronic docu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 Since it may correspon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of the document editing apparatus 110 that performs hiding processing of some figures by setting the dependency relationship between the inserted figures,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에 삽입된 도형들 간의 종속 관계 설정을 통해 일부 도형의 숨김 처리를 수행하는 문서 편집 장치의 동작 방법은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operating a document editing apparatus for performing hiding processing of some figures by setting a dependency relationship between figures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is a computer stored in a storage medium for execution through combination with a computer. It can be implemented as a program.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문서에 삽입된 도형들 간의 종속 관계 설정을 통해 일부 도형의 숨김 처리를 수행하는 문서 편집 장치의 동작 방법은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operating a document editing apparatus for performing hiding processing of some figures by setting a dependency relationship between figures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uter program command for executing through combination with a computer. It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such as floppy disks. - include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carry out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se are only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se descriptions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all those with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o the claims will be said to belong to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110: 전자 문서에 삽입된 도형들 간의 종속 관계 설정을 통해 일부 도형의 숨김 처리를 수행하는 문서 편집 장치
111: 관계 설정부 112: 하위 도형 확인부
113: 숨김 처리부 114: 숨김 아이콘 표시부
115: 펼침 처리부 116: 크기 변경부
117: 도형 삭제부 118: 관계 재설정부
110: A document editing device that performs hiding processing of some figures by setting a dependency relationship between figures inserted in an electronic document
111: relationship setting unit 112: lower figure confirmation unit
113: hidden processing unit 114: hidden icon display unit
115: expand processing unit 116: size change unit
117: figure deletion unit 118: relationship resetting unit

Claims (14)

사용자에 의해 전자 문서에 삽입된 복수의 도형들 중 어느 두 도형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 각각이 시작되는 도형을 부모(parent) 도형으로 설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 각각이 타겟하는 도형을 각 연결선에 대응되는 부모 도형에 종속된 자식(child) 도형으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 각각에 의해 연결된 도형 간의 종속 관계를 설정하는 관계 설정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도형들 중 어느 하나인 제1 도형에 대한 숨김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도형에 종속된 자식 도형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1 도형에 종속된 자식 도형으로 제1 자식 도형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자식 도형에 종속된 또 다른 자식 도형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상기 제1 도형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종속되어 있는 자식 도형들에 대해 연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1 도형의 하위 계층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을 확인하는 하위 도형 확인부;
상기 제1 도형에 대한 부모 도형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1 도형에 대한 부모 도형으로 제1 부모 도형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제1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을 숨긴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 각각을 타겟하는 연결선을 추가로 숨기는 숨김 처리부; 및
상기 제1 부모 도형의 하위 계층에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이 숨김 처리되어 있음을 지시하는 숨김 아이콘을 생성한 후 상기 숨김 아이콘을 상기 제1 부모 도형 상의 미리 정해진 아이콘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숨김 아이콘 표시부
를 포함하는 전자 문서에 삽입된 도형들 간의 종속 관계 설정을 통해 일부 도형의 숨김 처리를 수행하는 문서 편집 장치.
When at least one connecting line connecting any two figures among a plurality of figures inserted into the electronic document by a user is input, a figure starting from each of the at least one connecting line is set as a parent figure, and the at least one connecting line is set as a parent figure. a relationship setting unit for setting a dependency relationship between figures connected by each of the at least one connecting line by setting a figure targeted by each one of the connecting lines as a child figure dependent on a parent figure corresponding to each connecting line;
When a hiding command for a first figure, which is one of the plurality of figures, is received from the user, it is checked whether a child figure subordinate to the first figure exists, and a first figure subordinated to the first figure is a child figure. When it is confirmed that a child figure exists, a process of confirming whether another child figure subordinate to the first child figure exists is sequentially performed on the child figures sequentially dependent from the first figure, whereby the a lower figure checking unit for identifying at least one first lower figure in a lower layer of the first figure;
After checking whether a parent figure for the first figure exists,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parent figure exists as a parent figure for the first figure, the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first figure and the first figure is hidden a hiding processing unit for further hiding the at least one first sub-figure and a connecting line targeting each of the at least one first sub-figure; and
After generating a hidden icon indicating that the first figure and the at least one first lower figure are hidden in a lower layer of the first parent figure, the hidden icon is displayed as a predetermined icon on the first parent figure Hidden icon display part to be displayed in the area
A document editing device for hiding some figures by setting a dependency relationship between figures inserted in an electronic document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숨김 아이콘이 상기 제1 부모 도형 상의 상기 아이콘 표시 영역에 표시된 이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숨김 아이콘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에 대한 펼침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제1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을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 각각을 타겟하는 연결선을 추가로 화면 상에 표시한 후 상기 숨김 아이콘을 제거하는 펼침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전자 문서에 삽입된 도형들 간의 종속 관계 설정을 통해 일부 도형의 숨김 처리를 수행하는 문서 편집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hidden icon is displayed in the icon display area on the first parent figure, as the hidden icon is selected by the user, an unfold command for the first figure and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is received, Displaying the first figure and a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first figure on a screen, and further displaying a connecting line targeting each of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and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on the screen After that, the unfolding processing unit removes the hidden icon
A document editing device for performing hiding processing of some figures by setting a dependency relationship between figures inserted in an electronic document furth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숨김 처리부는
상기 제1 도형에 대한 부모 도형이 존재하는지 확인한 결과, 상기 제1 도형에 대한 부모 도형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제1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을 숨기지 않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만을 숨기며,
상기 숨김 아이콘 표시부는
상기 제1 도형이 최상위 계층에 있는 도형이므로 숨김 처리될 수 없음을 지시하는 제1 안내 메시지를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제1 도형의 하위 계층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이 숨김 처리되어 있음을 지시하는 상기 숨김 아이콘을 생성한 후 상기 숨김 아이콘을 상기 제1 도형 상의 상기 아이콘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전자 문서에 삽입된 도형들 간의 종속 관계 설정을 통해 일부 도형의 숨김 처리를 수행하는 문서 편집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idden processing unit
As a result of checking whether the parent figure of the first figure exists, if it is confirmed that the parent figure of the first figure does not exist, the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first figure and the first figure is not hidden, and the at least one Hiding only the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first sub-figure and the at least one first sub-figure,
The hidden icon display unit
Since the first figure is a figure in the uppermost layer, a first guide message indicating that it cannot be hidden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at least one first lower figure is hidden in the lower layer of the first figure. After generating the hidden icon indicating that there is a document, the hidden icon is displayed in the icon display area on the first figure. Document editing for performing hiding processing of some figures through setting a dependency relationship between figures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숨김 처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도형이 상기 제1 도형에 대한 부모 도형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도형, 상기 제1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에 대해 숨김 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숨김 아이콘 표시부는
상기 제1 도형, 상기 제1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에 대해 숨김 처리가 수행되지 않으면, 상기 숨김 아이콘을 상기 제1 부모 도형 상의 상기 아이콘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대신, 양방향 종속 관계 설정으로 인해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이 숨김 처리될 수 없음을 지시하는 제2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는 전자 문서에 삽입된 도형들 간의 종속 관계 설정을 통해 일부 도형의 숨김 처리를 수행하는 문서 편집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idden processing unit
When at least one figure among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is set as a parent figure for the first figure, the first figure, a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first figure, and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and without performing hiding processing on the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at least one first sub-figure,
The hidden icon display unit
When the hiding process is not performed on the first figure, the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first figure,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and the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the hidden icon is displayed as the second figure. 1 Electronic document displaying a second guide message indicating that the first figure and the at least one first sub-figure cannot be hidden due to a bidirectional dependency relationship setting instead of being displayed in the icon display area on a parent figure A document editing device that performs hiding processing of some figures by setting the dependency relationship between figures inserted in the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펼침 처리부를 통해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제1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 각각을 타겟하는 연결선이 화면 상에 표시된 이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도형의 크기가 변경되면, 상기 제1 도형의 크기 변경 비율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 각각의 크기를 변경하는 크기 변경부
를 더 포함하는 전자 문서에 삽입된 도형들 간의 종속 관계 설정을 통해 일부 도형의 숨김 처리를 수행하는 문서 편집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fter the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first figure and the first figure and the connecting line targeting each of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and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are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the unfolding processing unit, the user When the size of the first figure is changed by
A document editing device for performing hiding processing of some figures by setting a dependency relationship between figures inserted in an electronic document further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펼침 처리부를 통해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제1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 각각을 타겟하는 연결선이 화면 상에 표시된 이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도형에 대한 삭제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도형, 상기 제1 도형으로부터 시작되는 연결선 및 상기 제1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을 삭제하는 도형 삭제부; 및
상기 제1 도형, 상기 제1 도형으로부터 시작되는 연결선 및 상기 제1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이 삭제되면, 상기 제1 도형에 대한 부모 도형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1 도형에 대한 부모 도형으로 상기 제1 부모 도형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부모 도형을 상기 제1 자식 도형에 대한 부모 도형으로 재설정하고, 상기 제1 자식 도형을 상기 제1 부모 도형에 종속된 자식 도형으로 재설정한 후 상기 제1 부모 도형으로부터 시작되어 상기 제1 자식 도형을 타겟하는 신규 연결선을 생성하여 화면 상에 표시하는 관계 재설정부
를 더 포함하는 전자 문서에 삽입된 도형들 간의 종속 관계 설정을 통해 일부 도형의 숨김 처리를 수행하는 문서 편집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fter the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first figure and the first figure and the connecting line targeting each of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and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are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the unfolding processing unit, the user a figure deletion unit configured to delete the first figure, a connecting line starting from the first figure, and a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first figure when a deletion command for the first figure is received from the figure; and
When the first figure, a connecting line starting from the first figure, and a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first figure are deleted, it is checked whether a parent figure for the first figure exists, and the first figure is selected as the parent figure for the first figur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parent figure exists, the first parent figure is reset as a parent figure for the first child figure, and the first child figure is reset to a child figure subordinate to the first parent figure. A relationship resetting unit for generating a new connection line starting from the first parent figure and targeting the first child figure and displaying it on the screen
A document editing device for performing hiding processing of some figures by setting a dependency relationship between figures inserted in an electronic document further comprising a.
사용자에 의해 전자 문서에 삽입된 복수의 도형들 중 어느 두 도형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 각각이 시작되는 도형을 부모(parent) 도형으로 설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 각각이 타겟하는 도형을 각 연결선에 대응되는 부모 도형에 종속된 자식(child) 도형으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 각각에 의해 연결된 도형 간의 종속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도형들 중 어느 하나인 제1 도형에 대한 숨김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도형에 종속된 자식 도형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1 도형에 종속된 자식 도형으로 제1 자식 도형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자식 도형에 종속된 또 다른 자식 도형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상기 제1 도형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종속되어 있는 자식 도형들에 대해 연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1 도형의 하위 계층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도형에 대한 부모 도형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1 도형에 대한 부모 도형으로 제1 부모 도형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제1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을 숨긴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 각각을 타겟하는 연결선을 추가로 숨기는 단계; 및
상기 제1 부모 도형의 하위 계층에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이 숨김 처리되어 있음을 지시하는 숨김 아이콘을 생성한 후 상기 숨김 아이콘을 상기 제1 부모 도형 상의 미리 정해진 아이콘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문서에 삽입된 도형들 간의 종속 관계 설정을 통해 일부 도형의 숨김 처리를 수행하는 문서 편집 장치의 동작 방법.
When at least one connecting line connecting any two figures among a plurality of figures inserted into the electronic document by a user is input, a figure starting from each of the at least one connecting line is set as a parent figure, and the at least one connecting line is set as a parent figure. setting a dependency relationship between figures connected by each of the at least one connecting line by setting a figure targeted by each of the connecting lines as a child figure dependent on a parent figure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line;
When a hiding command for a first figure, which is one of the plurality of figures, is received from the user, it is checked whether a child figure subordinate to the first figure exists, and a first figure subordinated to the first figure is a child figure. When it is confirmed that a child figure exists, a process of confirming whether another child figure subordinate to the first child figure exists is sequentially performed on the child figures sequentially dependent from the first figure, whereby the identifying at least one first lower figure in a lower layer of the first figure;
After checking whether a parent figure for the first figure exists,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parent figure exists as a parent figure for the first figure, the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first figure and the first figure is hidden further hiding the at least one first sub-figure and a connecting line targeting each of the at least one first sub-figure; and
After generating a hidden icon indicating that the first figure and the at least one first lower figure are hidden in a lower layer of the first parent figure, the hidden icon is displayed as a predetermined icon on the first parent figure Steps to mark the area
A method of operating a document editing apparatus for performing a hiding process of some figures through setting a dependency relationship between figures inserted in an electronic document compris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숨김 아이콘이 상기 제1 부모 도형 상의 상기 아이콘 표시 영역에 표시된 이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숨김 아이콘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에 대한 펼침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제1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을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 각각을 타겟하는 연결선을 추가로 화면 상에 표시한 후 상기 숨김 아이콘을 제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 문서에 삽입된 도형들 간의 종속 관계 설정을 통해 일부 도형의 숨김 처리를 수행하는 문서 편집 장치의 동작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After the hidden icon is displayed in the icon display area on the first parent figure, as the hidden icon is selected by the user, an unfold command for the first figure and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is received, Displaying the first figure and a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first figure on a screen, and further displaying a connecting line targeting each of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and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on the screen then removing the hidden icon
A method of operating a document editing apparatus for performing a hiding process of some figures through setting a dependency relationship between figures inserted in an electronic document further compris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 각각을 타겟하는 연결선을 추가로 숨기는 단계는
상기 제1 도형에 대한 부모 도형이 존재하는지 확인한 결과, 상기 제1 도형에 대한 부모 도형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제1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을 숨기지 않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만을 숨기며,
상기 아이콘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도형이 최상위 계층에 있는 도형이므로 숨김 처리될 수 없음을 지시하는 제1 안내 메시지를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제1 도형의 하위 계층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이 숨김 처리되어 있음을 지시하는 상기 숨김 아이콘을 생성한 후 상기 숨김 아이콘을 상기 제1 도형 상의 상기 아이콘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전자 문서에 삽입된 도형들 간의 종속 관계 설정을 통해 일부 도형의 숨김 처리를 수행하는 문서 편집 장치의 동작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tep of further hiding the at least one first sub-figure and a connecting line targeting each of the at least one first sub-figure includes:
As a result of checking whether the parent figure of the first figure exists, if it is confirmed that the parent figure of the first figure does not exist, the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first figure and the first figure is not hidden, and the at least one Hiding only the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first sub-figure and the at least one first sub-figure,
The step of displaying in the icon display area is
Since the first figure is a figure in the uppermost layer, a first guide message indicating that it cannot be hidden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at least one first lower figure is hidden in the lower layer of the first figure. After generating the hidden icon indicating that there is a document, the hidden icon is displayed in the icon display area on the first figure. Document editing for performing hiding processing of some figures through setting a dependency relationship between figures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How the device work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 각각을 타겟하는 연결선을 추가로 숨기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도형이 상기 제1 도형에 대한 부모 도형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도형, 상기 제1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에 대해 숨김 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아이콘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도형, 상기 제1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에 대해 숨김 처리가 수행되지 않으면, 상기 숨김 아이콘을 상기 제1 부모 도형 상의 상기 아이콘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대신, 양방향 종속 관계 설정으로 인해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이 숨김 처리될 수 없음을 지시하는 제2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는 전자 문서에 삽입된 도형들 간의 종속 관계 설정을 통해 일부 도형의 숨김 처리를 수행하는 문서 편집 장치의 동작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tep of further hiding the at least one first sub-figure and a connecting line targeting each of the at least one first sub-figure includes:
When at least one figure among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is set as a parent figure for the first figure, the first figure, a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first figure, and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and without performing hiding processing on the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at least one first sub-figure,
The step of displaying in the icon display area is
When the hiding process is not performed on the first figure, the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first figure,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and the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the hidden icon is displayed as the second figure. 1 Electronic document displaying a second guide message indicating that the first figure and the at least one first sub-figure cannot be hidden due to a bidirectional dependency relationship setting instead of being displayed in the icon display area on a parent figure A method of operating a document editing device that performs hiding processing of some figures by setting a dependency relationship between figures inserted in the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숨김 아이콘을 제거하는 단계를 통해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제1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 각각을 타겟하는 연결선이 화면 상에 표시된 이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도형의 크기가 변경되면, 상기 제1 도형의 크기 변경 비율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 각각의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 문서에 삽입된 도형들 간의 종속 관계 설정을 통해 일부 도형의 숨김 처리를 수행하는 문서 편집 장치의 동작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rough the step of removing the hidden icon, a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first figure and the first figure and a connecting line targeting each of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and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are displayed on the screen Thereafter, when the size of the first figure is changed by the user, changing the size of each of the at least one first sub-figure in response to a size change ratio of the first figure
A method of operating a document editing apparatus for performing a hiding process of some figures through setting a dependency relationship between figures inserted in an electronic document further compris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숨김 아이콘을 제거하는 단계를 통해 상기 제1 도형과 상기 제1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하위 도형 각각을 타겟하는 연결선이 화면 상에 표시된 이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도형에 대한 삭제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도형, 상기 제1 도형으로부터 시작되는 연결선 및 상기 제1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을 삭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도형, 상기 제1 도형으로부터 시작되는 연결선 및 상기 제1 도형을 타겟하는 연결선이 삭제되면, 상기 제1 도형에 대한 부모 도형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1 도형에 대한 부모 도형으로 상기 제1 부모 도형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부모 도형을 상기 제1 자식 도형에 대한 부모 도형으로 재설정하고, 상기 제1 자식 도형을 상기 제1 부모 도형에 종속된 자식 도형으로 재설정한 후 상기 제1 부모 도형으로부터 시작되어 상기 제1 자식 도형을 타겟하는 신규 연결선을 생성하여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 문서에 삽입된 도형들 간의 종속 관계 설정을 통해 일부 도형의 숨김 처리를 수행하는 문서 편집 장치의 동작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rough the step of removing the hidden icon, a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first figure and the first figure and a connecting line targeting each of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and the at least one first sub figure are displayed on the screen thereafter, when a deletion command for the first figure is received from the user, deleting the first figure, a connecting line starting from the first figure, and a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first figure; and
When the first figure, a connecting line starting from the first figure, and a connecting line targeting the first figure are deleted, it is checked whether a parent figure for the first figure exists, and the first figure is selected as the parent figure for the first figur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parent figure exists, the first parent figure is reset as a parent figure for the first child figure, and the first child figure is reset to a child figure subordinate to the first parent figure. generating a new connection line starting from the first parent figure and targeting the first child figure and displaying it on a screen;
A method of operating a document editing apparatus for performing a hiding process of some figures through setting a dependency relationship between figures inserted in an electronic document further comprising: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13.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7 to 12 through combination with a computer.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storage mediu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7 to 12 through combination with a computer.
KR1020200044573A 2020-04-13 2020-04-13 Document editing device that hides some shapes by setting dependencies between the shapes inserted in the electronic docu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4667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573A KR102466704B1 (en) 2020-04-13 2020-04-13 Document editing device that hides some shapes by setting dependencies between the shapes inserted in the electronic docu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573A KR102466704B1 (en) 2020-04-13 2020-04-13 Document editing device that hides some shapes by setting dependencies between the shapes inserted in the electronic docu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911A true KR20210126911A (en) 2021-10-21
KR102466704B1 KR102466704B1 (en) 2022-11-15

Family

ID=78269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573A KR102466704B1 (en) 2020-04-13 2020-04-13 Document editing device that hides some shapes by setting dependencies between the shapes inserted in the electronic docu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6704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0366A (en) * 1988-08-04 1990-03-29 Xerox Corp Interactive type graphic retrieval substituting method
KR20160065704A (en) * 2014-12-01 2016-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KR20180101879A (en) * 2017-03-06 2018-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displaying an icon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200004173A (en) * 2018-07-03 2020-01-13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Electronic device for changing state of user interface including a plurality of object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00051167A (en) * 2018-11-05 2020-05-13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Electronic terminal device supporting easy undo processing of electronic docu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0366A (en) * 1988-08-04 1990-03-29 Xerox Corp Interactive type graphic retrieval substituting method
KR20160065704A (en) * 2014-12-01 2016-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KR20180101879A (en) * 2017-03-06 2018-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displaying an icon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200004173A (en) * 2018-07-03 2020-01-13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Electronic device for changing state of user interface including a plurality of object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00051167A (en) * 2018-11-05 2020-05-13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Electronic terminal device supporting easy undo processing of electronic docu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ubinana, "How to Use and Use the Tree Grid Well - Tree Grid Cell Control Guide." [Online], [URL: https://www.playnexacro.com/#show:learn:91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6704B1 (en) 202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71688B (en) Cross-platform program frame
US10223076B1 (en) Generating code based on user interactions with a user interface element in a code editor
KR20110132248A (en) Display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O2014028324A2 (en) Enterprise application development tool
EP2816475A1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202202295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ototype of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10126171A1 (en) Dynamic native editor code view facade
US10235351B2 (en) Electronic document editing apparatus capable of inserting memo into paragraph,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144351B1 (en) Electronic terminal device supporting easy undo processing of electronic docu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H08212106A (en)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system test
KR102067504B1 (en) Spreadsheet document editing apparatus for performing an automatic filter function through the creation of a temporary head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466704B1 (en) Document editing device that hides some shapes by setting dependencies between the shapes inserted in the electronic docu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053079B1 (en) Electronic document editing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caption-based reference object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902179B2 (en) Modification of file graphic appearance within a collection canvas
KR102300437B1 (en) Electronic document editing apparatus that enables the insertion of special characters at specific locations on the electronic document based on the entered character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281437B2 (en) User interface design platform,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consistent look and feel
KR102107449B1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content of merged cell in spreadsheet docu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507487B1 (en) Electronic apparatus which generates the dedicated document file for supporting fast editing of the pages comprising of a document,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507482B1 (en) Electronic apparatus which is able to convert the format of annotations inserted into a pdf document fast to the format editable by the application editing tools and then load the annotations,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TW201617832A (en) Command surface drill-in control
KR102417764B1 (en) Electronic device that enables easy selection of targeted object among objects inserted in an electronic docu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144343B1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security object on cell of spreadsheet docu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300434B1 (en) Electronic device that enables the display of objects outside the slide area on the slide show screen of a presentation docu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447555B1 (en) Table input control based electronic document edi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107452B1 (en) Electric document editing apparatus for maintaining resolution of image objec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