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6570A - 정보 처리 장치, 이동체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이동체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6570A
KR20210126570A KR1020217024257A KR20217024257A KR20210126570A KR 20210126570 A KR20210126570 A KR 20210126570A KR 1020217024257 A KR1020217024257 A KR 1020217024257A KR 20217024257 A KR20217024257 A KR 20217024257A KR 20210126570 A KR20210126570 A KR 20210126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over
processing
base station
appl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4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료타 기무라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26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65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5Determin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4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and infrastructures, e.g. vehicle-to-cloud [V2C] or vehicle-to-home [V2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low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04W36/3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by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정보 처리 장치는, 이동체 장치에 무선 통신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기능을 제공하는 처리 장치가 적어도 하나 접속된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네트워크 통신부와,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소정의 처리 장치가 실행하고 있거나 혹은 자기 자신이 실행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처리 장치에 인계시키기 위한 제1 핸드오버의 처리를 실행하는 핸드오버 처리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이동체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
본 개시는, 정보 처리 장치, 이동체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상의 처리 장치(예를 들어, 서버 장치)와 유저 단말기가 연계하여 처리를 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이 늘어나고 있다. 네트워크상의 처리 장치가 애플리케이션의 처리의 일부를 행하는 경우, 네트워크상에서 유저 단말기와 처리 장치가 정보의 교환을 해야 하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처리 지연이 발생한다. 그러나, 애플리케이션의 용도에 따라서는, 긴 처리 지연을 허용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근년, 저지연의 처리를 실현하는 기술로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장치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네트워크상의 처리 장치에 처리를 행하게 하는 에지 컴퓨팅이 알려지기 시작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5847호 공보
그러나, 단순히 가까운 위치에 있는 처리 장치에 처리를 행하게 한 것만으로는, 저지연이 실현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장치가, 자동차나 휴대 단말기 등의 이동 가능한 장치(이하, '이동체 장치'라고 함)라고 하자. 이 경우, 이동체 장치의 이동에 수반하여 이동체 장치와 처리 장치의 네트워크상의 거리가 변화되므로, 저지연의 실현이 곤란해질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개시에서는, 저지연의 처리를 실현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 이동체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개시에 따른 일 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는, 이동체 장치에 무선 통신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기능을 제공하는 처리 장치가 적어도 하나 접속된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네트워크 통신부와,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소정의 처리 장치가 실행하고 있거나 혹은 자기 자신이 실행하고 있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처리 장치에 인계시키기 위한 제1 핸드오버의 처리를 실행하는 핸드오버 처리부를 구비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체적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관리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로컬 서버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이동체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이동 기능, 통신 기능 및 애플리케이션 기능이 장치로서 일체화한 이동체 장치(5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이동 기능을 갖지 않는 이동체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기지국 장치가 갖는, 다른 기지국 장치에 관한 정보 리스트의 예이다.
도 11은 기지국 장치에 관한 정보 리스트를 네트워크 N1 내에서 집중 관리하는 예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도 12는 기지국 장치에 관한 정보 리스트를 네트워크 N1 내에서 분산 관리하는 예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도 13은 무선 핸드오버와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개시 기준의 조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a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수속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4b는 도 14a에 도시한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에 이어서 행해지는 무선 핸드오버의 수속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5는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한 핸드오버에 따른 기지국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한 핸드오버에 따른 이동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핸드오버 수신지가 되는 기지국 장치의 선택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이동체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구성의 변경 판단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애플리케이션 구성의 변경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0은 이동체 장치가 자기 자신이 애플리케이션 (재)구성을 판단하는 경우의 애플리케이션 구성의 변경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1은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수속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한 핸드오버에 따른 기지국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3a는 도 21에 도시한 핸드오버에 따른 이동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3b는 도 21에 도시한 핸드오버에 따른 이동체 장치의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4는 추가 정보의 송신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5는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가 에지 기능을 갖지 않는 경우의 핸드오버의 수속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26은 핸드오버 수신지의 기지국 장치가 에지 기능을 갖지 않는 경우의 핸드오버의 수속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27은 핸드오버 소스와 핸드오버 수신지가 모두 에지 기능을 갖지 않는 경우의 핸드오버의 수속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28은 핸드오버 수신지의 장치가 복수로 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 시에, 핸드오버 소스의 장치로부터 핸드오버 수신지의 장치로 주고받는 정보(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복수의 구성 요소를, 동일한 부호의 뒤에 다른 숫자를 붙여 구별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복수의 구성을, 필요에 따라 기지국 장치(201 및 202)와 같이 구별한다. 단,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복수의 구성 요소의 각각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동일 부호만을 붙인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1 및 202)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단순히 기지국 장치(20)라고 칭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항목 순서에 따라서 본 개시를 설명한다.
1. 서론
2.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
2-1.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
2-2. 관리 장치의 구성
2-3. 기지국 장치(에지 기능 있음)의 구성
2-4. 기지국 장치(에지 기능 없음)의 구성
2-5. 로컬 서버 장치의 구성
2-6. 이동체 장치의 구성
3. 정보 리스트의 관리에 대하여
3-1. 정보 리스트에 대하여
3-2. 정보 리스트의 관리 방법(집중 관리)
3-3. 정보 리스트의 관리 방법(분산 관리)
4.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에 대하여
5. 핸드오버 처리(양쪽이 에지 기능을 갖는 경우 (1))
5-1. 핸드오버 수속
5-2. 기지국 장치의 동작예
5-3. 이동체 장치의 동작예
5-4. 핸드오버 수신지의 선택 처리
5-5. 애플리케이션 구성의 변경 처리
6. 핸드오버 처리(양쪽이 에지 기능을 갖는 경우 (2))
6-1. 핸드오버 수속
6-2. 기지국 장치의 동작예
6-3. 이동체 장치의 동작예
6-4. 차분 정보의 송신 처리
7. 핸드오버 처리(에지 기능을 갖지 않는 기지국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7-1. 핸드오버 소스가 에지 기능을 갖지 않는 경우
7-2. 핸드오버 수신지가 에지 기능을 갖지 않는 경우
7-3. 양쪽이 에지 기능을 갖지 않는 경우
8. 변형예
8-1. 핸드오버 처리의 수순에 관한 변형예
8-2. 애플리케이션 단위의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
8-3. 애플리케이션의 구체예
8-4. 기타 변형예
9. 결론
<<1. 서론>>
종래, 이동체 통신 시스템은 휴대 전화,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기용에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근년에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은 자동차, 드론, 로봇 등, 모바일 단말기와는 다른 타입의 이동체를 위한 통신도 서포트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근년, 이동체 통신 시스템은 자동차용 통신으로서, V2V (Vehicle-to-Vehicle), V2I(Vehicle-to-Infrastructure), V2N(Vehicle-to-Network), V2P(Vehicle-to-Pedestrian) 등의 V2X(Vehicle-to-Everything)를 서포트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근년, 이동체 통신 시스템은, 자동차용 통신으로서,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등에 의해 실현되는 노차간 통신을 서포트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들 이동체를 위한 통신에서는, 다양한 용도나 애플리케이션에 통신이 사용되는 것이 상정된다. 예를 들어, 이동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용도(예를 들어, 자동 운전, 원격 제어, 군 제어 등)에 통신이 사용되는 것이 상정된다.
이동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용도 등, 다양한 용도로, 통신의 높은 스루풋화에 더하여, 통신의 저지연화가 중요해질 것이 상정된다. 통신의 저지연화를 위해서는, (1) 장치 간의 통신(무선 통신뿐만 아니라 유선 통신도 포함함)에 걸리는 시간, (2) 장치에서의 신호 처리·애플리케이션 처리에 걸리는 시간의 각각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상기 (1)의 문제의 일부에 대해서는, 5G 등으로 저지연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1)의 일부나 (2)의 문제를 포함한 통신의 저지연화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과제가 존재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는,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등의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동체 장치에 무선 통신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실행 기능(예를 들어, 에지 기능)을 제공한다. 정보 처리 장치는, 이동체 장치에 제공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당해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을 구비한 다른 처리 장치에 인계시키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를 실행한다.
이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처리가 이동체 장치에 네트워크상에서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는 처리 장치로 차례차례 인계되므로, 이동체 장치의 이동에 수반하여,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 장치와 이동체 장치의 네트워크상의 거리가 크게 이격되는 것이 억제된다.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경우에서, 애플리케이션 처리가 이동체 장치에 네트워크상에서 가까운 위치에서 실행되게 되므로, 저지연의 처리가 실현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와 「처리 장치」는 동일한 의미이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처리(애플리케이션 처리를 다른 처리 장치에 인계시키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실행 주체가 되는 장치를 「정보 처리 장치」, 그 실행 주체로부터 볼 때 다른 정보 처리 장치가 되는 장치를 「처리 장치」로서 구별한다.
<<2.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
이하,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1)을 설명한다. 정보 처리 시스템(1)은, 애플리케이션 처리 서비스의 제공 기능(예를 들어, 에지 기능)을 구비한 복수의 기지국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이다. 정보 처리 시스템(1)은, 무선 통신을 통해 유저가 조작하는 이동체 장치(예를 들어, 자동차나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소정의 무선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시스템(1)은,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인스톨된 이동체 장치에 대하여, 무선 통신을 통해 당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요구하는 정보 처리(이하, '애플리케이션 처리'라고 함)의 실행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기지국 장치가 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처리는, 예를 들어 화상 중의 물체의 인식 처리 등, 이동체 장치가 구비하는 프로그램(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요구에 기초하여 행해지거나, 혹은 당해 프로그램과 연계해서 행해지는 애플리케이션층 레벨의 정보 처리이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가 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처리는, 에지 컴퓨팅에서 말하는 에지 처리이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처리는, OSI 참조 모델에서 말하는, 물리층, 데이터 링크층, 네트워크층, 트랜스포트층, 세션층 및 프리젠테이션층 레벨의 처리와는 다르다. 그러나, 화상 인식 처리 등의 애플리케이션층 레벨의 처리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면, 애플리케이션 처리에는, 물리층 내지 프리젠테이션층 레벨의 처리가 보조적으로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동체 장치가 구비하는 프로그램으로부터의 요구에 기초하여 네트워크상의 장치(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나 서버 장치)가 행하는 애플리케이션층 레벨의 정보 처리, 혹은 이동체 장치가 구비하는 프로그램과 연계해서 네트워크상의 장치가 행하는 애플리케이션층 레벨의 정보 처리를 「애플리케이션 처리」라고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네트워크상의 장치가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처리 데이터를 이동체 장치에 제공하는 것, 또는 네트워크상의 장치가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처리 기능(혹은 처리 서비스)을 이동체 장치에 제공하는 것을,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제공」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1)은, 소정의 무선 액세스 기술(RAT: Radio Access Technology)을 사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시스템(1)은,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LTE(Long Term Evolution), NR(New Radio) 등의 무선 액세스 기술을 사용한 셀룰러 통신 시스템이다. 이때, 셀룰러 통신 시스템은, 휴대 전화 통신 시스템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이어도 된다. 또한, 정보 처리 시스템(1)은, 셀룰러 통신 시스템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시스템, 항공 무선 시스템, 우주 무선 통신 시스템 등의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이어도 된다.
정보 처리 시스템(1)은, LTE, NR 등의 무선 액세스 기술을 사용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체 장치에 대하여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실행 기능(예를 들어, 에지 기능)을 제공한다. LTE 및 NR은, 셀룰러 통신 기술의 일종이며, 기지국 장치가 커버하는 에어리어를 셀형으로 복수 배치함으로써 이동체 장치의 이동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LTE」에는, LTE-A(LTE-Advanced), LTE-A Pro(LTE-Advanced Pro) 및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가 포함되도록 한다. 또한, NR에는, NRAT(New Radio Access Technology) 및FEUTRA(Further EUTRA)가 포함되도록 한다. 또한, 단일의 기지국은 복수의 셀을 관리해도 된다. LTE에 대응하는 셀은 LTE 셀이라고 칭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NR에 대응하는 셀은 NR 셀이라고 칭해지는 경우가 있다.
NR은, LTE의 다음 세대(제5세대)의 무선 액세스 기술(RAT)이다. NR은,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및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를 포함하는 다양한 유스케이스에 대응할 수 있는 무선 액세스 기술이다. NR은, 이들 유스케이스에 있어서의 이용 시나리오, 요구 조건 및 배치 시나리오 등에 대응하는 기술 프레임 워크를 목표로 하여 검토되고 있다.
또한, LTE의 기지국은, eNodeB(Evolved Node B) 또는 eNB라고 칭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NR의 기지국은, gNodeB 또는 gNB라고 칭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LTE 및 NR에서는, 이동체 장치는 UE(User Equipment)라고 칭해지는 경우가 있다.
<2-1.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정보 처리 시스템(1)은, 관리 장치(10)와, 기지국 장치(20)와, 기지국 장치(30)와, 로컬 서버 장치(40)와, 이동체 장치(50)를 구비한다. 또한, 도 2는, 정보 처리 시스템(1)의 구체적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정보 처리 시스템(1)은, 상기 구성에 추가하여, 라우터 장치 RT와, 게이트웨이 장치 GW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정보 처리 시스템(1)은, 클라우드 서버 장치 CS를 갖고 있어도 된다.
정보 처리 시스템(1)을 구성하는 이들 복수의 장치에 의해, 네트워크 N1이 구성되어 있다. 네트워크 N1은,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N1은, LTE, NR 등의 무선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여 구성되는 이동체 통신 네트워크이다. 네트워크 N1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RAN과 코어 네트워크 CN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면 중의 장치는, 논리적인 의미에서의 장치라고 생각해도 된다. 즉, 상기 도면의 장치의 일부가 가상 머신(VM: Virtual Machine), 컨테이너(Container), 도커(Docker) 등으로 실현되고, 그것들이 물리적으로 동일한 하드웨어상에서 실장되어도 된다.
(게이트웨이 장치)
게이트웨이 장치는, 네트워크 N1과 네트워크 N1과는 다른 네트워크(예를 들어, 네트워크 N2)의 출입구의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게이트웨이 장치 GW는, 예를 들어 S-GW(Serving Gateway)나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 혹은 Home-Gateway이다. 네트워크 N1에 접속된 복수의 장치는, 게이트웨이 장치 GW 및 네트워크 N2를 통해 네트워크 N1의 외부의 장치와 접속 가능하다. 도 2의 예에서는, 네트워크 N1에 접속된 복수의 장치는, 게이트웨이 장치 GW 및 네트워크 N2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 장치 CS와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N2는, 예를 들어 인터넷, 지역 IP(Internet Protocol)망, 전화망(예를 들어, 유선 전화망, 휴대 전화망) 등의 통신 네트워크이다.
(클라우드 서버 장치)
클라우드 서버 장치 CS는, 네트워크 N1의 외부의 처리 장치(예를 들어, 서버 장치)이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 장치 CS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예를 들어, 이동체 장치(50))로부터의 요구를 처리하는 서버용 호스트 컴퓨터이다. 클라우드 서버 장치 CS는, PC 서버여도 되고, 미드레인지 서버여도 되며, 메인 프레임 서버여도 된다. 클라우드 서버 장치 CS는,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실행 기능을 갖고 있으며, 이동체 장치(50)에 대하여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제공한다. 클라우드 서버 장치는 서버 장치, 처리 장치(혹은 정보 처리 장치)로 바꿔 말할 수 있다.
(라우터 장치)
라우터 장치 RT는, 데이터를 네트워크 간에서 중계하는 장치이다. 라우터 장치 RT는, 기지국 장치(20, 30)로부터의 데이터를 로컬 서버 장치(40) 등으로 중계한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실선은 유선 회선에 의한 접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치 간은 직접적으로 접속되지 않아도 되며, 라우터, 스위치 등을 통해 접속되어도 된다.
(관리 장치)
관리 장치(10)는, 무선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관리 장치(10)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나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로서 기능하는 장치이다. 관리 장치(10)는, 게이트웨이 장치 GW와 함께, 코어 네트워크 CN의 일부를 구성한다. 코어 네트워크 CN은, 이동체 통신 사업자 등의 소정의 엔티티(주체)가 갖는 네트워크이다.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 CN은, EPC(Evolved Packet Core)나 5GC(5G Core network)이다. 또한, 소정의 엔티티는, 기지국 장치(20, 30)를 이용, 운용, 및/또는 관리하는 엔티티와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또한, 관리 장치(10)는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가 EPC이면, 관리 장치(10)는, S-GW나 P-GW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코어 네트워크가 5GC이면, 관리 장치(10)는, UPF(User Plane Function)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관리 장치(10)는 반드시 코어 네트워크 CN을 구성하는 장치가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 CN이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나 cdma2000(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의 코어 네트워크인 것으로 한다. 이때, 관리 장치(10)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로서 기능하는 장치여도 된다.
관리 장치(10)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20) 및 복수의 기지국 장치(30) 각각과 접속된다. 관리 장치(10)는, 기지국 장치(20) 및 기지국 장치(30)의 통신을 관리한다. 예를 들어, 관리 장치(10)는, 네트워크 N1 내의 이동체 장치(50)가, 어느 기지국 장치(혹은 어느 셀)에 접속하고 있는지, 어느 기지국 장치(혹은 어느 셀)의 통신 에어리어 내에 존재하고 있는지 등을 이동체 장치(50)마다 파악해서 관리한다. 셀은, 예를 들어 pCell(Primary Cell)이나 sCell(Secondary Cell)이다. 셀은, 셀마다 이동체 장치(50)를 사용할 수 있는 무선 자원(예를 들어, 주파수 채널,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등)이 달라도 된다. 또한, 하나의 기지국 장치가 복수의 셀을 제공해도 된다.
(기지국 장치)
기지국 장치(20)는, 이동체 장치(50)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이다. 기지국 장치(20)는 통신 장치의 일종이다. 기지국 장치(20)는, 예를 들어 무선 기지국(Base Station, Node B, eNB, gNB, 등)이나 무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에 상당하는 장치이다. 기지국 장치(20)는, 무선 릴레이국이어도 된다. 기지국 장치(20)는, RSU(Road Side Unit) 등의 노상 기지국 장치여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20)는, RRH(Remote Radio Head)라고 불리는 광 확장 장치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을 기지국 장치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기지국 장치(20)는, 다른 기지국 장치(20) 및 기지국 장치(30)와 무선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20)가 사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은, 셀룰러 통신 기술이어도 되고, 무선 LAN 기술이어도 된다. 물론, 기지국 장치(20)가 사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은, 이들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이어도 된다.
기지국 장치(20)는, 다른 기지국 장치(20) 및 기지국 장치(30)와 무선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기지국 장치(20)는,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실행 기능을 구비한다.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실행 기능은, 예를 들어 에지 기능이다. 에지 기능으로서는, 예를 들어 에지 컴퓨팅(Edge Computing), MEC(Mobile Edge Computing), 포그 컴퓨팅(Fog Computing), 캐시(Cache)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에지 기능이란, 이동체 장치(50)가 향수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한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가리킨다. 특히, 에지 기능은, 본래는 클라우드 서버 장치 CS가 실시하는 연산 처리(또는, 클라우드 서버 장치 CS가 실시하는 연산 처리의 일부)를 실시하는 기능, 혹은 어떤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처리를, 클라우드 서버 장치 CS와 분담해서 처리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에지 기능은,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데이터의 캐시를 보유하는 기능을 포함해도 된다.
기지국 장치(30)는, 이동체 장치(50)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이다. 기지국 장치(30)는,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실행 기능(예를 들어, 에지 기능)을 구비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기지국 장치(20)와는 다르다. 기지국 장치(30)는, 기지국 장치(20)와 마찬가지로, 통신 장치의 일종이다. 기지국 장치(30)는, 예를 들어 무선 기지국(Base Station, Node B, eNB, gNB, 등)이나 무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에 상당하는 장치이다. 기지국 장치(30)는, 무선 릴레이국이어도 된다. 기지국 장치(30)는, RSU(Road Side Unit) 등의 노상 기지국 장치여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20)는, RRH(Remote Radio Head)라고 불리는 광 확장 장치여도 된다. 기지국 장치(30)는, 다른 기지국 장치(30) 및 기지국 장치(20)와 무선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30)가 사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은, 셀룰러 통신 기술이어도 되고, 무선 LAN 기술이어도 된다. 물론, 기지국 장치(20)가 사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은, 이들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이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20, 30)는, 기지국 장치-코어 네트워크 간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S1 Interface 등)를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해도 된다. 이 인터페이스는, 유선 및 무선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는, 기지국 장치 간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X2 Interface, S1 Interface 등)를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해도 된다. 이 인터페이스는, 유선 및 무선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기지국 장치(20, 30)는, 다양한 엔티티(주체)에 의해 이용, 운용, 및/또는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티티로서는, 이동체 통신 사업자(MNO: Mobile Network Operator), 가상 이동체 통신 사업자(MVNO: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가상 이동체 통신 인에이블러(MVNE: Mobile Virtual Network Enabler), 뉴트럴 호스트 네트워크(NHN: Neutral Host Network) 사업자, 엔터프라이즈, 교육 기관(학교 법인, 각 자치 단체 교육 위원회 등), 부동산(빌딩, 아파트 등) 관리자, 개인 등이 상정될 수 있다. 물론, 기지국 장치(20, 30)의 이용, 운용, 및/또는 관리의 주체는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기지국 장치(20, 30)는 한 사업자가 설치 및/또는 운용을 행하는 것이어도 되고, 한 개인이 설치 및/또는 운용을 행하는 것이어도 된다. 물론, 기지국 장치(20)의 설치·운용 주체는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 30)는, 복수의 사업자 또는 복수의 개인이 공동으로 설치·운용을 행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20, 30)는, 복수의 사업자 또는 복수의 개인이 이용하는 공용 설비여도 된다. 이 경우, 설비의 설치 및/또는 운용은 이용자와는 다른 제3자에 의해 실시되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기지국'이라고도 함)라고 하는 개념에는, 도너 기지국뿐만 아니라, 릴레이 기지국('중계국', 혹은 '중계국 장치'라고도 함)도 포함된다. 또한, 기지국이라고 하는 개념에는, 기지국의 기능을 구비한 구조물(Structure)뿐만 아니라, 구조물에 설치되는 장치도 포함된다. 구조물은, 예를 들어 고층 빌딩, 가옥, 철탑, 역 시설, 공항 시설, 항만 시설, 스타디움 등의 건물이다. 또한, 구조물이라고 하는 개념에는, 건물뿐만 아니라, 터널, 교량, 댐, 담장, 쇠기둥 등의 구축물(Non-building structure)이나, 크레인, 문, 풍차 등의 설비도 포함된다. 또한, 구조물이라고 하는 개념에는, 육상(협의의 지상) 또는 땅속의 구조물뿐만 아니라, 부두, 메가 플로트 등의 수상의 구조물이나, 해양 관측 설비 등의 수중의 구조물도 포함된다. 기지국 장치는, 처리 장치(혹은 정보 처리 장치)로 바꿔 말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20, 30)는, 고정국이어도 되고,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기지국 장치(이동국)여도 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 30)는, 이동체에 설치되는 장치여도 되고, 이동체 그 자체여도 된다. 예를 들어, 이동 능력(Mobility)을 갖는 릴레이국 장치는, 이동국으로서의 기지국 장치(20, 30)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드론, 스마트폰 등, 원래 이동 능력이 있는 장치이며, 기지국 장치의 기능(적어도 기지국 장치의 기능 일부)을 탑재한 장치도, 이동국으로서의 기지국 장치(20, 30)에 해당한다.
여기서, 이동체는, 스마트폰이나 휴대 전화 등의 모바일 단말기여도 된다. 또한, 이동체는, 육상(협의의 지상)을 이동하는 이동체(예를 들어, 자동차, 자전거, 버스, 트랙, 자동 이륜차, 열차, 자기부상열차 등의 차량)여도 되고, 지중(예를 들어, 터널내)을 이동하는 이동체(예를 들어, 지하철)여도 된다. 또한, 이동체는, 수상을 이동하는 이동체(예를 들어, 여객선, 화물선, 공기부양선 등의 선박)여도 되고, 수중을 이동하는 이동체(예를 들어, 잠수정, 잠수함, 무인잠수기 등의 잠수선)여도 된다. 또한, 이동체는, 대기권 내를 이동하는 이동체(예를 들어, 비행기, 비행선, 드론 등의 항공기)여도 되고, 대기권 외를 이동하는 이동체(예를 들어, 인공위성, 우주선, 우주 스테이션, 탐사기 등의 인공 천체)여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20, 30)는, 지상에 설치되는 지상 기지국 장치(지상국 장치)여도 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 30)는, 지상의 구조물에 배치되는 기지국 장치여도 되고, 지상을 이동하는 이동체에 설치되는 기지국 장치여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 장치(20, 30)는, 빌딩 등의 구조물에 설치된 안테나 및 그 안테나에 접속하는 신호 처리 장치여도 된다. 물론, 기지국 장치(20, 30)는, 구조물이나 이동체 그 자체여도 된다. 「지상」은, 육상(협의의 지상)뿐만 아니라, 지중, 수상, 수중도 포함하는 광의의 지상이다. 또한, 기지국 장치(20, 30)는, 지상 기지국 장치로 한정되지 않는다. 기지국 장치(20, 30)는, 공중 또는 우주를 부유 가능한 비지상 기지국 장치(비지상국 장치)여도 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 30)는, 항공기국 장치나 위성국 장치여도 된다.
항공기국 장치는, 항공기 등, 대기권 내를 부유 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이다. 항공기국 장치는, 항공기 등에 탑재되는 장치여도 되고, 항공기 그 자체여도 된다. 또한, 항공기라고 하는 개념에는, 비행기, 글라이더 등의 중항공기뿐만 아니라, 기구, 비행선 등의 경항공기도 포함된다. 또한, 항공기라고 하는 개념에는, 중항공기나 경항공기 뿐만 아니라, 헬리콥터나 오토자이로우 등의 회전익기도 포함된다. 또한, 항공기국 장치(또는, 항공기국 장치가 탑재되는 항공기)는, 드론 등의 무인 항공기여도 된다. 또한, 무인 항공기라고 하는 개념에는, 무인 항공 시스템(UAS: Unmanned Aircraft Systems), 연결 무인 항공 시스템(tethered UAS)도 포함된다. 또한, 무인 항공기라고 하는 개념에는, 경무인 항공 시스템(LTA: Lighter than Air UAS), 중무인 항공 시스템(HTA: Heavier than Air UAS)이 포함된다. 그 밖에, 무인 항공기라고 하는 개념에는, 고고도 무인 항공 시스템 플랫폼(HAPs: High Altitude UAS Platforms)도 포함된다.
위성국 장치는, 대기권 외를 부유 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이다. 위성국 장치는, 인공위성 등의 우주 이동체에 탑재되는 장치여도 되고, 우주 이동체 그 자체여도 된다. 위성국 장치가 되는 위성은, 저궤도(LEO: Low Earth Orbiting) 위성, 중궤도(MEO: Medium Earth Orbiting) 위성, 정지(GEO: Geostationary Earth Orbiting) 위성, 고타원 궤도(HEO: Highly Elliptical Orbiting) 위성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물론, 위성국 장치는, 저궤도 위성, 중궤도 위성, 정지 위성, 또는 고타원 궤도 위성에 탑재되는 장치여도 된다.
기지국 장치(20, 30)의 커버리지의 크기는, 매크로셀과 같은 큰 것으로부터, 피코 셀과 같은 작은 것이어도 된다. 물론, 기지국 장치(20, 30)의 커버리지의 크기는, 펨토셀과 같은 극히 작은 것이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20, 30)는 빔 포밍의 능력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기지국 장치(20, 30)는 빔마다 셀이나 서비스 에어리어가 형성되어도 된다.
(로컬 서버 장치)
로컬 서버 장치(40)는, 네트워크 N1에 접속된 처리 장치(예를 들어, 서버 장치)이다. 예를 들어, 로컬 서버 장치(40)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예를 들어, 이동체 장치(50))로부터의 요구를 처리하는 서버용 호스트 컴퓨터이다. 로컬 서버 장치(40)는, PC 서버여도 되고, 미드레인지 서버여도 되며, 메인 프레임 서버여도 된다. 로컬 서버 장치(40)는, 서버 장치, 처리 장치(혹은 정보 처리 장치)로 바꿔 말할 수 있다.
로컬 서버 장치(40)는,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실행 기능(예를 들어, 에지 기능)을 구비한다. 로컬 서버 장치(40)는,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실행 기능(애플리케이션의 연산 처리 기능)을 갖는다고 하는 의미에서는 클라우드 서버 장치 CS와 동일하다. 그러나, 로컬 서버 장치(40)는, 네트워크 N1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며, 클라우드 서버 장치 CS는 네트워크 N1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고 하는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체 장치(50)로부터 보면, 로컬 서버 장치(40)와의 통신은 지연이 짧고, 클라우드 서버 장치 CS와의 통신에는 비교적 긴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이동체 장치)
이동체 장치(50)는, 기지국 장치(20) 혹은 기지국 장치(20)와 무선 통신하는 이동 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이다. 이동체 장치(50)는, 예를 들어 휴대 전화, 스마트 디바이스(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퍼스널 컴퓨터이다. 이동체 장치(50)는, M2M(Machine to Machine) 디바이스, 또는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여도 된다. 또한, 이동체 장치(50)는, 이동체에 설치되는 무선 통신 장치여도 되고, 이동체 그 자체여도 된다. 예를 들어, 이동체 장치(50)가 자동차, 버스, 트랙, 자동 이륜차 등의 도로상을 이동하는 차량(Vehicle), 혹은 당해 차량에 탑재된 무선 통신 장치여도 된다. 이동체 장치(50)는, 다른 이동체 장치(50)와 통신(사이드링크)이 가능해도 된다.
또한, 「이동체 장치」는, 통신 장치의 일종이며, 이동국, 이동국 장치, 단말 장치, 또는 단말기라고도 칭해진다. 「이동체 장치」라고 하는 개념에는,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통신 장치뿐만 아니라, 통신 장치가 설치된 이동체도 포함된다. 이때, 이동체는, 모바일 단말기여도 되고, 육상(협의의 지상), 지중, 수상, 혹은 수중을 이동하는 이동체여도 된다. 또한, 이동체는, 드론, 헬리콥터 등의 대기권 내를 이동하는 이동체여도 되고, 인공위성 등의 대기권 외를 이동하는 이동체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신 장치라고 하는 개념에는, 휴대 단말기 등의 운반 가능한 이동체 장치(단말 장치)뿐만 아니라, 구조물이나 이동체에 설치되는 장치도 포함된다. 구조물이나 이동체 그 자체를 통신 장치로 간주해도 된다. 또한, 통신 장치라고 하는 개념에는, 이동체 장치(단말 장치, 자동차 등)뿐만 아니라, 기지국 장치(도너 기지국, 릴레이 기지국 등)도 포함된다. 통신 장치는,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장치의 일종이다.
이동체 장치(50)와 기지국 장치(20, 30)는, 무선 통신(예를 들어, 전파 또는 광 무선)으로 서로 접속한다. 이동체 장치(50)가, 어떤 기지국 장치의 통신 에어리어(또는 셀)로부터 다른 기지국 장치의 통신 에어리어(또는 셀)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핸드오버(또는 핸드오프)를 실시한다.
이동체 장치(50)는, 동시에 복수의 기지국 장치 또는 복수의 셀과 접속하여 통신을 실시해도 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기지국 장치가 복수의 셀(예를 들어, pCell, sCell)을 통해 통신 에어리어를 서포트하고 있는 경우에,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 Carrier Aggregation) 기술이나 듀얼 커넥티비티(DC: Dual Connectivity) 기술, 멀티 커넥티비티(MC: Multi-Connectivity) 기술에 의해, 그것들 복수의 셀을 묶어 이동체 장치(50)와 기지국 장치로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다른 기지국 장치의 셀을 통해 협조 송수신(CoMP: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기술에 의해, 이동체 장치(50)와 그것들 복수의 기지국 장치가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동체 장치(50)는, 반드시 사람이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장치일 필요는 없다. 이동체 장치(50)는, 소위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와 같이, 공장의 기계 등에 설치되는 센서여도 된다. 또한, 이동체 장치(50)는, M2M(Machine to Machine) 디바이스, 또는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여도 된다. 또한, 이동체 장치(50)는, D2D(Device to Device)나 V2X(Vehicle to everything)로 대표되는 바와 같이, 릴레이 통신 기능을 구비한 장치여도 된다. 또한, 이동체 장치(50)는, 무선 백홀 등에서 이용되는 CPE(Client Premises Equipment)라고 불리는 기기여도 된다.
이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1)을 구성하는 각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2-2. 관리 장치의 구성>
관리 장치(10)는, 무선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관리 장치(10)는 기지국 장치(20, 30)의 통신을 관리하는 장치이다. 코어 네트워크 CN이 EPC이면, 관리 장치(10)는, 예를 들어 MME로서의 기능을 갖는 장치이다. 또한, 코어 네트워크 CN이 5GC이면, 관리 장치(10)는, 예를 들어 AMF로서의 기능을 갖는 장치이다. 관리 장치(10)는,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실행 기능(예를 들어, 에지 기능)을 구비하고, 로컬 서버 장치(40)로서 기능해도 된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관리 장치(1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관리 장치(10)는, 네트워크 통신부(11)와, 기억부(12)와, 제어부(13)를 구비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구성은 기능적인 구성이며, 하드웨어 구성은 이와는 달라도 된다. 또한, 관리 장치(10)의 기능은, 복수의 물리적으로 분리된 구성으로 분산하여 실장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관리 장치(10)는, 복수의 서버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네트워크 통신부(11)는,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네트워크 통신부(11)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여도 되고, 기기 접속 인터페이스여도 된다. 네트워크 통신부(11)는, 네트워크 N1에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접속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통신부(11)는, NIC(Network Interface Card) 등의 LAN(Local Area Network)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USB(Universal Serial Bus) 호스트 컨트롤러, USB 포트 등에 의해 구성되는 USB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네트워크 통신부(11)는, 유선 인터페이스여도 되고, 무선 인터페이스여도 된다. 네트워크 통신부(11)는, 관리 장치(10)의 통신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네트워크 통신부(11)는, 제어부(13)의 제어에 따라서 기지국 장치(20, 30)와 통신한다.
기억부(12)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의 데이터 읽고 쓰기 가능한 기억 장치이다. 기억부(12)는, 관리 장치(10)의 기억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기억부(12)는, 예를 들어 이동체 장치(50)의 접속 상태를 기억한다. 예를 들어, 기억부(12)는, 이동체 장치(50)의 RRC(Radio Resource Control)의 상태나 ECM(EPS Connection Management)의 상태를 기억한다. 기억부(12)는, 이동체 장치(50)의 위치 정보를 기억하는 홈 메모리로서 기능해도 된다.
제어부(13)는, 관리 장치(10)의 각 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controller)이다. 제어부(13)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등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현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는, 관리 장치(10) 내부의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각종 프로그램을, 프로세서가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을 작업 영역으로 해서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제어부(13)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집적 회로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CPU, MPU, ASIC 및 FPGA는 모두 컨트롤러로 간주할 수 있다.
<2-3. 기지국 장치(에지 기능 있음)의 구성>
다음으로, 기지국 장치(20)의 구성을 설명한다. 기지국 장치(20)는, 이동체 장치(50)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이다. 기지국 장치(20)는, 예를 들어 무선 기지국, 무선 릴레이국, 무선 액세스 포인트 등으로서 기능하는 장치이다. 이때, 기지국 장치(20)는, RSU 등의 노상 기지국 장치여도 되고, RRH 등의 광 확장 장치여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 장치(20)는,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실행 기능(예를 들어, 에지 기능)을 구비하고, 이동체 장치(50)에 대하여 애플리케이션 처리(예를 들어, 에지 처리)를 제공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기지국 장치(20)가 갖는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실행 기능은 에지 기능인 것으로서 설명하지만,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실행 기능은 에지 기능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 장치(2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지국 장치(20)는, 무선 통신부(21)와, 기억부(22)와, 네트워크 통신부(23), 제어부(24)를 구비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구성은 기능적인 구성이며, 하드웨어 구성은 이와는 달라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20)의 기능은, 복수의 물리적으로 분리된 구성으로 분산하여 실장되어도 된다.
무선 통신부(21)는, 다른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어, 이동체 장치(50), 기지국 장치(30), 다른 기지국 장치(20))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무선 통신부(21)는, 제어부(24)의 제어에 따라서 동작한다. 또한, 무선 통신부(21)는 복수의 무선 액세스 방식에 대응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21)는, NR 및 LTE의 양쪽에 대응하고 있어도 된다. 무선 통신부(21)는, NR이나 LTE 외에, W-CDMA나 cdma2000에 대응하고 있어도 된다. 물론, 무선 통신부(21)는, NR, LTE, W-CDMA나 cdma2000 이외의 무선 액세스 방식에 대응하고 있어도 된다.
무선 통신부(21)는, 수신 처리부(211), 송신 처리부(212), 안테나(213)를 구비한다. 무선 통신부(21)는, 수신 처리부(211), 송신 처리부(212) 및 안테나(213)를 각각 복수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무선 통신부(21)가 복수의 무선 액세스 방식에 대응하는 경우, 무선 통신부(21)의 각 부는, 무선 액세스 방식마다 개별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처리부(211) 및 송신 처리부(212)는, LTE와 NR로 개별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수신 처리부(211)는, 안테나(213)를 통해 수신된 상향 링크 신호의 처리를 행한다. 수신 처리부(211)는, 무선 수신부(211a)와, 다중 분리부(211b)와, 복조부(211c)와, 복호부(211d)를 구비한다.
무선 수신부(211a)는, 상향 링크 신호에 대하여, 다운 컨버트, 불필요한 주파수 성분의 제거, 증폭 레벨의 제어, 직교 복조, 디지털 신호로의 변환, 가드 인터벌의 제거, 고속 푸리에 변환에 의한 주파수 영역 신호의 추출 등을 행한다. 다중 분리부(211b)는, 무선 수신부(211a)로부터 출력된 신호로부터,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등의 상향 링크 채널 및 상향 링크 참조 신호를 분리한다. 복조부(211c)는, 상향 링크 채널의 변조 심볼에 대하여,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등의 변조 방식을 이용하여 수신 신호의 복조를 행한다. 복조부(211c)가 사용하는 변조 방식은,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64QAM, 또는 256QAM이어도 된다. 복호부(211d)는, 복조된 상향 링크 채널의 부호화 비트에 대하여, 복호 처리를 행한다. 복호된 상향 링크 데이터 및 상향 링크 제어 정보는 제어부(24)로 출력된다.
송신 처리부(212)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 및 하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처리를 행한다. 송신 처리부(212)는, 부호화부(212a)와, 변조부(212b)와, 다중부(212c)와, 무선 송신부(212d)를 구비한다.
부호화부(212a)는, 제어부(24)로부터 입력된 하향 링크 제어 정보 및 하향 링크 데이터를, 블록 부호화, 컨볼루션 부호화, 터보 부호화 등의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부호화를 행한다. 변조부(212b)는, 부호화부(212a)로부터 출력된 부호화 비트를 BPSK, QPSK, 16QAM, 64QAM, 256QAM 등의 소정의 변조 방식으로 변조한다. 다중부(212c)는, 각 채널의 변조 심볼과 하향 링크 참조 신호를 다중화하여, 소정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배치한다. 무선 송신부(212d)는, 다중부(212c)로부터의 신호에 대하여, 각종 신호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무선 송신부(212d)는, 고속 푸리에 변환에 의한 시간 영역으로의 변환, 가드 인터벌의 부가, 기저 대역의 디지털 신호의 생성, 아날로그 신호로의 변환, 직교 변조, 업컨버트, 여분의 주파수 성분의 제거, 전력의 증폭 등의 처리를 행한다. 송신 처리부(212)로 생성된 신호는, 안테나(213)로부터 송신된다.
기억부(22)는, DRAM, SRAM, 플래시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의 데이터 읽고 쓰기 가능한 기억 장치이다. 기억부(22)는, 기지국 장치(20)의 기억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기억부(22)는, 정보 리스트, 애플리케이션 정보 등을 기억한다. 정보 리스트는, 기지국 장치(20) 자신의 주변에 존재하는 다른 기지국 장치(20, 30)에 관한 정보이다. 애플리케이션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계속에 필요한 정보이다. 정보 리스트 및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네트워크 통신부(23)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관리 장치(10), 다른 기지국 장치(20), 기지국 장치(30), 로컬 서버 장치(40), 게이트웨이 GW, 클라우드 서버 CS 등)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네트워크 통신부(23)는, 네트워크 N1에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접속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통신부(23)는, NIC 등의 LAN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또한, 네트워크 통신부(23)는, 유선 인터페이스여도 되고, 무선 인터페이스여도 된다. 네트워크 통신부(23)는, 기지국 장치(20)의 네트워크 통신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네트워크 통신부(23)는, 제어부(24)의 제어에 따라서 다른 장치(예를 들어, 관리 장치(10), 로컬 서버 장치(40), 게이트웨이 GW, 클라우드 서버 CS 등)와 통신한다. 네트워크 통신부(23)의 구성은, 관리 장치(10)의 네트워크 통신부(11)와 마찬가지여도 된다.
제어부(24)는, 기지국 장치(20)의 각 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controller)이다. 제어부(24)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등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현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24)는, 기지국 장치(20) 내부의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각종 프로그램을, 프로세서가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을 작업 영역으로 해서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제어부(24)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집적 회로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CPU, MPU, ASIC 및 FPGA는 모두 컨트롤러로 간주할 수 있다.
제어부(24)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득부(241)와, 핸드오버 처리부(242)와, 송신부(243)와, 애플리케이션 처리부(244)를 구비한다. 제어부(24)를 구성하는 각 블록(취득부(241) 내지 애플리케이션 처리부(244))은 각각 제어부(24)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이다. 이들 기능 블록은 소프트웨어 블록이어도 되고, 하드웨어 블록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상술한 기능 블록이, 각각, 소프트웨어(마이크로프로그램을 포함함)로 실현되는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이어도 되고, 반도체 칩(다이) 위의 하나의 회로 블록이어도 된다. 물론, 각 기능 블록이 각각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집적 회로여도 된다. 기능 블록의 구성 방법은 임의이다. 또한, 제어부(24)는 상술한 기능 블록과는 다른 기능 단위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어부(24)를 구성하는 각 블록(취득부(241) 내지 애플리케이션 처리부(244))의 동작은,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2-4. 기지국 장치(에지 기능 없음)의 구성>
다음으로, 기지국 장치(30)의 구성을 설명한다. 기지국 장치(30)는, 이동체 장치(50)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이다. 기지국 장치(30)는, 예를 들어 무선 기지국, 무선 릴레이국, 무선 액세스 포인트 등으로서 기능하는 장치이다. 이때, 기지국 장치(30)는, RSU 등의 노상 기지국 장치여도 되고, RRH 등의 광 확장 장치여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 장치(30)는,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실행 기능(예를 들어, 에지 기능)을 갖지 않는다는 점에서 기지국 장치(20)와는 다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 장치(3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지국 장치(30)는, 무선 통신부(31)와, 기억부(32)와, 네트워크 통신부(33)와, 제어부(34)를 구비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구성은 기능적인 구성이며, 하드웨어 구성은 이와는 달라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30)의 기능은, 복수의 물리적으로 분리된 구성으로 분산하여 실장되어도 된다.
무선 통신부(31)는, 다른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어, 이동체 장치(50), 기지국 장치(20), 다른 기지국 장치(30))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무선 통신부(31)는, 제어부(34)의 제어에 따라서 동작한다. 무선 통신부(31)는, 수신 처리부(311), 송신 처리부(312), 안테나(313)를 구비한다. 무선 통신부(31)(수신 처리부(311), 송신 처리부(312) 및 안테나(313))의 구성은, 기지국 장치(20)의 무선 통신부(21)(수신 처리부(211), 송신 처리부(212) 및 안테나(213))와 마찬가지이다.
기억부(32)는, DRAM, SRAM, 플래시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의 데이터 읽고 쓰기 가능한 기억 장치이다. 기억부(32)는, 기지국 장치(30)의 기억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기억부(32)의 구성은, 기지국 장치(20)의 기억부(22)와 마찬가지이다.
네트워크 통신부(33)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관리 장치(10), 기지국 장치(20), 다른 기지국 장치(30), 로컬 서버 장치(40), 게이트웨이 GW, 클라우드 서버 CS 등)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네트워크 통신부(33)는, 네트워크 N1에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접속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통신부(33)는, NIC 등의 LAN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또한, 네트워크 통신부(33)는, 유선 인터페이스여도 되고, 무선 인터페이스여도 된다. 네트워크 통신부(33)는, 기지국 장치(30)의 네트워크 통신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네트워크 통신부(33)의 구성은, 기지국 장치(20)의 네트워크 통신부(23)와 마찬가지이다.
제어부(34)는, 기지국 장치(30)의 각 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이다. 제어부(34)는, 예를 들어 CPU, MPU 등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현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34)는, 기지국 장치(30) 내부의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각종 프로그램을, 프로세서가 RAM 등을 작업 영역으로 해서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제어부(34)는, ASIC나 FPGA 등의 집적 회로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CPU, MPU, ASIC 및 FPGA는 모두 컨트롤러로 간주할 수 있다.
제어부(34)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득부(341)와, 핸드오버 처리부(342)와, 송신부(343)를 구비한다. 제어부(34)를 구성하는 각 블록(취득부(341) 내지 송신부(343))은 각각 제어부(34)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이다. 이들 기능 블록은 소프트웨어 블록이어도 되고, 하드웨어 블록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상술한 기능 블록이, 각각, 소프트웨어(마이크로프로그램을 포함함)로 실현되는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이어도 되고, 반도체 칩(다이) 위의 하나의 회로 블록이어도 된다. 물론, 각 기능 블록이 각각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집적 회로여도 된다. 기능 블록의 구성 방법은 임의이다. 또한, 제어부(34)는 상술한 기능 블록과는 다른 기능 단위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어부(34)의 각 블록의 동작은, 후에 설명하는 제어부(24)의 각 블록(취득부(241) 내지 송신부(243))의 동작과 마찬가지여도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등장하는 취득부(241) 내지 송신부(243)의 기재는, 적절히 취득부(341) 내지 송신부(343)로 치환 가능하다.
<2-5. 로컬 서버 장치의 구성>
다음으로, 로컬 서버 장치(40)의 구성을 설명한다. 로컬 서버 장치(40)는, 네트워크 N1에 접속된 처리 장치이다. 예를 들어, 로컬 서버 장치(40)는, PC 서버, 미드레인지 서버, 메인 프레임 서버 등의 서버 장치이다. 로컬 서버 장치(40)는,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실행 기능(예를 들어, 에지 기능)을 구비하고, 이동체 장치(50)에 대하여 애플리케이션 처리(예를 들어, 에지 처리)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로컬 서버 장치(40)는, 네트워크 N1의 내부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클라우드 서버 장치 CS와는 다르다. 관리 장치(10)가 로컬 서버 장치(40)로서 기능해도 된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로컬 서버 장치(4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로컬 서버 장치(40)는, 무선 통신부(41)와, 기억부(42)와, 네트워크 통신부(43)와, 제어부(44)를 구비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구성은 기능적인 구성이며, 하드웨어 구성은 이와는 달라도 된다. 또한, 로컬 서버 장치(40)의 기능은, 복수의 물리적으로 분리된 구성으로 분산하여 실장되어도 된다.
무선 통신부(41)는, 다른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어, 이동체 장치(50), 기지국 장치(20), 기지국 장치(30))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무선 통신부(41)는, 제어부(44)의 제어에 따라서 동작한다. 로컬 서버 장치(40)는, 반드시 무선 통신부(41)를 구비하지는 않아도 된다. 무선 통신부(41)의 구성은, 기지국 장치(20)의 무선 통신부(21)와 마찬가지이다.
기억부(42)는, DRAM, SRAM, 플래시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의 데이터 읽고 쓰기 가능한 기억 장치이다. 기억부(42)는, 로컬 서버 장치(40)의 기억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기억부(42)의 구성은, 기지국 장치(20)의 기억부(22)와 마찬가지이다.
네트워크 통신부(43)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관리 장치(10), 기지국 장치(20), 기지국 장치(30), 다른 로컬 서버 장치(40), 게이트웨이 GW, 클라우드 서버 CS 등)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네트워크 통신부(43)는, 네트워크 N1에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접속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통신부(43)는, NIC 등의 LAN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또한, 네트워크 통신부(43)는, 유선 인터페이스여도 되고, 무선 인터페이스여도 된다. 네트워크 통신부(43)는, 로컬 서버 장치(40)의 네트워크 통신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네트워크 통신부(43)의 구성은, 기지국 장치(20)의 네트워크 통신부(23)와 마찬가지이다.
제어부(44)는, 로컬 서버 장치(40)의 각 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이다. 제어부(34)는, 예를 들어 CPU, MPU 등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현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44)는, 로컬 서버 장치(40) 내부의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각종 프로그램을, 프로세서가 RAM 등을 작업 영역으로 해서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제어부(44)는, ASIC나 FPGA 등의 집적 회로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CPU, MPU, ASIC 및 FPGA는 모두 컨트롤러로 간주할 수 있다.
제어부(44)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득부(441)와, 핸드오버 처리부(442)와, 송신부(443)와,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44)를 구비한다. 제어부(44)를 구성하는 각 블록(취득부(441) 내지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44))은 각각 제어부(44)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이다. 이들 기능 블록은 소프트웨어 블록이어도 되고, 하드웨어 블록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상술한 기능 블록이, 각각, 소프트웨어(마이크로프로그램을 포함함)로 실현되는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이어도 되고, 반도체 칩(다이) 위의 하나의 회로 블록이어도 된다. 물론, 각 기능 블록이 각각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집적 회로여도 된다. 기능 블록의 구성 방법은 임의이다. 또한, 제어부(44)는 상술한 기능 블록과는 다른 기능 단위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어부(44)를 구성하는 각 블록의 동작은,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2-6. 이동체 장치의 구성>
다음으로, 이동체 장치(50)의 구성을 설명한다. 이동체 장치(50)는, 이동 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이다. 예를 들어, 이동체 장치(50)는, 자동차 등의 차량(Vehicle), 혹은 당해 차량에 탑재된 무선 통신 장치이다. 이동체 장치(50)는, 휴대 전화, 스마트 디바이스 등의 이동 가능한 단말 장치여도 된다. 이동체 장치(50)는, 기지국 장치(20) 및 기지국 장치(3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이동체 장치(5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동체 장치(50)는, 무선 통신부(51)와, 기억부(52)와, 네트워크 통신부(53)와, 입출력부(54)와, 제어부(55)를 구비한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구성은 기능적인 구성이며, 하드웨어 구성은 이와는 달라도 된다. 또한, 이동체 장치(50)의 기능은, 복수의 물리적으로 분리된 구성으로 분산하여 실장되어도 된다.
무선 통신부(51)는, 다른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 및 기지국 장치(30))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무선 통신부(51)는, 제어부(55)의 제어에 따라서 동작한다. 무선 통신부(51)는 1개 또는 복수의 무선 액세스 방식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51)는, NR 및 LTE의 양쪽에 대응한다. 무선 통신부(51)는, NR이나 LTE에 추가하여, W-CDMA나 cdma2000에 대응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무선 통신부(21)는, NOMA를 사용한 통신에 대응하고 있다. NOMA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무선 통신부(51)는, 수신 처리부(511), 송신 처리부(512), 안테나(513)를 구비한다. 무선 통신부(51)는, 수신 처리부(511), 송신 처리부(512) 및 안테나(513)를 각각 복수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무선 통신부(51)가 복수의 무선 액세스 방식에 대응하는 경우, 무선 통신부(51)의 각 부는, 무선 액세스 방식마다 개별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처리부(511) 및 송신 처리부(512)는, LTE와 NR로 개별로 구성되어도 된다.
수신 처리부(511)는, 안테나(513)를 통해 수신된 하향 링크 신호의 처리를 행한다. 수신 처리부(511)는, 무선 수신부(511a)와, 다중 분리부(511b)와, 복조부(511c)와, 복호부(511d)를 구비한다.
무선 수신부(511a)는, 하향 링크 신호에 대하여, 다운 컨버트, 불필요한 주파수 성분의 제거, 증폭 레벨의 제어, 직교 복조, 디지털 신호로의 변환, 가드 인터벌의 제거, 고속 푸리에 변환에 의한 주파수 영역 신호의 추출 등을 행한다. 다중 분리부(511b)는, 무선 수신부(511a)로부터 출력된 신호로부터, 하향 링크 채널, 하향 링크 동기 신호 및 하향 링크 참조 신호를 분리한다. 하향 링크 채널은, 예를 들어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의 채널이다. 복조부(211c)는, 하향 링크 채널의 변조 심볼에 대하여, BPSK, QPSK, 16QAM, 64QAM, 256QAM 등의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수신 신호의 복조를 행한다. 복호부(511d)는, 복조된 하향 링크 채널의 부호화 비트에 대하여, 복호 처리를 행한다. 복호된 하향 링크 데이터 및 하향 링크 제어 정보는 제어부(55)로 출력된다.
송신 처리부(512)는, 상향 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처리를 행한다. 송신 처리부(512)는, 부호화부(512a)와, 변조부(512b)와, 다중부(512c)와, 무선 송신부(512d)를 구비한다.
부호화부(512a)는, 제어부(55)로부터 입력된 상향 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 링크 데이터를, 블록 부호화, 컨볼루션 부호화, 터보 부호화 등의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부호화를 행한다. 변조부(512b)는, 부호화부(512a)로부터 출력된 부호화 비트를 BPSK, QPSK, 16QAM, 64QAM, 256QAM 등의 소정의 변조 방식으로 변조한다. 다중부(512c)는, 각 채널의 변조 심볼과 상향 링크 참조 신호를 다중화하여, 소정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배치한다. 무선 송신부(512d)는, 다중부(512c)로부터의 신호에 대하여, 각종 신호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무선 송신부(512d)는, 역고속 푸리에 변환에 의한 시간 영역으로의 변환, 가드 인터벌의 부가, 기저 대역의 디지털 신호의 생성, 아날로그 신호로의 변환, 직교 변조, 업컨버트, 여분의 주파수 성분의 제거, 전력의 증폭 등의 처리를 행한다. 송신 처리부(512)로 생성된 신호는, 안테나(513)로부터 송신된다.
기억부(52)는, DRAM, SRAM, 플래시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의 데이터 읽고 쓰기 가능한 기억 장치이다. 기억부(52)는, 이동체 장치(50)의 기억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네트워크 통신부(53)는,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통신부(53)는, NIC 등의 LAN 인터페이스이다. 네트워크 통신부(53)는, 네트워크 N1에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접속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네트워크 통신부(53)는, 유선 인터페이스여도 되고, 무선 인터페이스여도 된다. 네트워크 통신부(53)는, 이동체 장치(50)의 네트워크 통신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네트워크 통신부(53)는, 제어부(55)의 제어에 따라서, 다른 장치와 통신한다.
입출력부(54)는, 유저와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입출력부(54)는, 키보드, 마우스, 조작 키, 터치 패널 등, 유저가 각종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 장치이다. 또는, 입출력부(54)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EL 디스플레이(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등의 표시 장치이다. 입출력부(54)는, 스피커, 버저 등의 음향 장치여도 된다. 또한, 입출력부(54)는, LED(Light Emitting Diode) 램프 등의 점등 장치여도 된다. 입출력부(54)는, 이동체 장치(50)의 입출력 수단(입력 수단, 출력 수단, 조작 수단 또는 통지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제어부(55)는, 이동체 장치(50)의 각 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이다. 제어부(55)는, 예를 들어 CPU, MPU 등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현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55)는, 이동체 장치(50) 내부의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각종 프로그램을, 프로세서가 RAM 등을 작업 영역으로 해서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제어부(55)는, ASIC나 FPGA 등의 집적 회로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CPU, MPU, ASIC 및 FPGA는 모두 컨트롤러로 간주할 수 있다.
제어부(55)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득부(551)와, 핸드오버 처리부(552)와, 송신부(553)와, 애플리케이션 처리부(554)와, 애플리케이션 구성 변경부(555)를 구비한다. 제어부(55)를 구성하는 각 블록(취득부(551) 내지 애플리케이션 구성 변경부(555))은 각각 제어부(55)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이다. 이들 기능 블록은 소프트웨어 블록이어도 되고, 하드웨어 블록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상술한 기능 블록이, 각각, 소프트웨어(마이크로프로그램을 포함함)로 실현되는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이어도 되고, 반도체 칩(다이) 위의 하나의 회로 블록이어도 된다. 물론, 각 기능 블록이 각각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집적 회로여도 된다. 기능 블록의 구성 방법은 임의이다. 또한, 제어부(55)는 상술한 기능 블록과는 다른 기능 단위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어부(44)를 구성하는 각 블록의 동작은,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동체 장치(50)는 이동 기능을 갖고 있어도 된다. 도 8은, 이동 기능, 통신 기능 및 애플리케이션 기능이 장치로서 일체화한 이동체 장치(5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이동체 장치(50)는 이동부를 갖고, 자신의 동력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 8에 도시한 이동체 장치(50)는, 예를 들어 자동차 등에 통신 칩, CPU, GPU 등이 내장되어 있는 경우에 상당한다.
또한, 이동체 장치(50)는 이동 기능을 갖지 않아도 된다. 도 9는, 이동 기능을 갖지 않는 이동체 장치(5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한 이동체 장치(50)는 이동부를 갖지 않아, 자신의 힘으로 이동할 수는 없다. 도 9에 도시한 이동체 장치(50)는, 이동 기능을 갖는 장치(예를 들어, 자동차 등의 차량)에 대하여, 통신 기능 및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외부 장착(후 장착)하는 장치의 일례이다. 도 9에 도시한 이동체 장치(50)는,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시스템 장치, 휴대 전화 장치, 스마트폰 장치를, 자동차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상당한다.
<<3. 정보 리스트의 관리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 장치(20, 30)는, 자신의 주변에 존재하는 다른 기지국 장치에 관한 정보(정보 리스트)를 갖고 있다. 이하, 정보 리스트의 관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3-1. 정보 리스트에 대하여>
도 10은, 기지국 장치(20, 30)가 갖는, 다른 기지국 장치에 관한 정보 리스트의 예이다. 정보 리스트에는, 다른 기지국 장치(20, 30)마다 「기지국 장치 ID」, 「기지국 호스트명」, 「기지국 장치 어드레스」, 「기지국 장치의 위치 정보」, 「에지 기능의 유무」, 「에지 기능이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수」, 에지 기능이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ID」, 「기지국 장치가 제공하는 셀 수」, 기지국 장치가 제공하는 셀의 「셀 ID」가 기록되어 있다.
「기지국 장치 어드레스」는, 기지국 장치의 네트워크상의 어드레스이다. 기지국 장치 어드레스는, 예를 들어 그 기지국 장치의 IPv4 어드레스 또는 IPv6 어드레스이다.
「기지국 장치의 위치 정보」는, 기지국 장치의 물리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의 위치 정보는, 그 기지국 장치(또는 그 기지국 장치의 안테나)가 부설되어 있는 장소의 위도, 경도, 및/또는 고도의 정보이다. 또한, 위도 및 경도에 대해서는 필수적인 정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지 기능의 유무」는, 기지국 장치가 에지 기능을 갖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시스템(1)은, 에지 기능을 갖는 기지국 장치(20)와 에지 기능을 갖지 않는 기지국 장치(30)가 혼재하는 것을 허용한다. 그 때문에, 에지 기능의 유무를 나타내 둠으로써, 핸드오버의 동작을 적절하게 선택·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에지 기능을 갖는 기지국 장치에 대해서는, 그 에지 기능이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수나, 그것들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ID를 기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에 도시한 「에지 기능이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수」는, 에지 기능을 갖는 기지국 장치의 에지 기능이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수이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애플리케이션 ID」는, 에지 기능이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이다. 또한,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은 다른 기지국 장치의 사이에 중복되어도 된다. 혹은, 어떤 애플리케이션을 복수의 기지국 장치의 에지 기능이 제공해도 된다. 그 때문에, 그 애플리케이션 ID도 중복되어도 된다.
또한, 정보 리스트에는, 기지국 장치가 제공하는 셀 수나 셀 ID도 기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에 도시한 「기지국 장치가 제공하는 셀 수」는 기지국 장치가 제공하는 셀의 수이다. 도 10에 도시한 「셀 ID」는, 기지국 장치가 제공하는 셀의 식별 정보이다. 셀 ID에 대해서는, 무선 링크나 통신 에어리어를 적절하게 제어·관리한다는 관점에서, 기본적으로 다른 기지국 장치 간에서는 다른 셀 ID를 갖는 것(즉, 다른 기지국 장치의 사이에 셀 ID의 중복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기지국 장치에 관한 정보 리스트는, 기지국 장치(20, 30) 이외의 장치도 보유해도 된다. 예를 들어, 로컬 서버 장치(40), 관리 장치(10), 게이트웨이 장치 GW 등이 기지국 장치에 관한 정보 리스트를 보유해도 된다. 또한, 이동체 장치(50)가 기지국 장치에 관한 정보 리스트를 보유하고 있어도 된다.
정보 리스트의 관리 방법에 대해서는,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방법과, 분산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이 고려된다.
<3-2. 정보 리스트의 관리 방법(집중 관리)>
처음에, 정보 리스트를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기지국 장치에 관한 정보 리스트, 또는 정보 리스트에 기록된 일부 혹은 전부의 정보를 「기지국 정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도 11은, 기지국 장치에 관한 정보 리스트를 네트워크 N1 내에서 집중 관리하는 예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정보 리스트를 집중 관리하는 경우, 그 관리를 하는 장치를 네트워크 N1 내에서 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의 예는, 관리 장치(10)가 정보 리스트의 집중 관리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물론, 정보 리스트의 집중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는 관리 장치(10)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정보 리스트의 집중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는, 기지국 장치(20), 기지국 장치(30), 로컬 서버 장치(40) 및 게이트웨이 장치 GW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도 11의 예에서는, 로컬 서버 장치(40)로서 로컬 서버 장치(401)가 도시되어 있지만, 로컬 서버 장치(40)는 로컬 서버 장치(401)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11의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20)로서 기지국 장치(201, 202)가 도시되어 있지만, 기지국 장치(20)는 기지국 장치(201, 202)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기지국 장치는, 모두 기지국 장치(20)로 되어 있지만, 기지국 장치(30)여도 된다. 「기지국 장치(20)」의 기재는 적절히 「기지국 장치(30)」로 치환 가능하다. 또한, 도 11의 예에서는, 이동체 장치(50)로서 이동체 장치(501)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동체 장치(50)는 이동체 장치(501)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동체 장치(501)는, 기지국 장치(201)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우선, 기지국 장치(20)는, 소정의 타이밍에 관리 장치(10)에 대하여, 기지국 장치의 등록/삭제/변경의 요구를 송신한다. 소정의 타이밍으로서는, 이하의 (A) 내지 (C)의 타이밍이 상정된다.
(A1) 전원 ON의 후(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가 네트워크 N1 내에 새롭게 부설되었을 때, 메인터넌스로부터 복구할 때 등)
(A2) 전원 OFF의 전(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가 네트워크 N1 내로부터 철거될 때, 메인터넌스에 들어갈 때 등)
(A3)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처리에 변경이 발생할 때(예를 들어, 에지 기능을 개시할 때, 에지 기능을 종료할 때,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애플리케이션수가 증가할 때,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애플리케이션 수가 줄어들 때, 제공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애플리케이션 구성이 바뀔 때 등)
(전원 ON)
처음에, (A1)의 전원 ON의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의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202)가, 전원 ON을 실행하고 있다(스텝 S2001). 그 후, 기지국 장치(202)는, 관리 장치(10)에 대하여, 자신의 등록 요구를 송신하고 있다(스텝 S2002). 기지국 장치(202)의 등록 요구를 수신한 관리 장치(10)는,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기지국 정보를, 요구에 맞춰서 갱신한다(스텝 S2003). 갱신을 종료한 관리 장치(10)는, 기지국 장치(202)에 등록 응답을 송신한다(스텝 S2004). 또한, 관리 장치(10)는, 갱신 후의 기지국 정보를, 네트워크 N1 내의 다른 장치로 제공한다(스텝 S2005a 내지 S2005d). 이때, 관리 장치(10)는, 기지국 정보를 송신하는 다른 장치 중에, 이동체 장치(50)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체 장치(50)에 대한 기지국 정보의 제공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관리 장치(10)는, 복수의 다른 장치에 개별로 기지국 정보를 송신(유니캐스트)해도 되고, 복수의 다른 장치로 구성되는 소정의 그룹 단위로 기지국 정보를 송신(멀티캐스트)해도 되고, 모든 다른 장치에 대하여 기지국 정보를 일제히 송신(브로드캐스트)해도 된다.
이동체 장치(50)에 대한 기지국 정보의 제공은, 그 시점에서, 이동체 장치(50)가 접속하고 있는 기지국 장치(20, 30)로부터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의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201)가 이동체 장치(501)에 대하여 기지국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스텝 S2006). 이때, 기지국 장치(20, 30)는, 관리하의 이동체 장치(50)로 개별로 기지국 정보를 유니캐스트해도 되고, 관리하의 이동체 장치(50)의 그룹에 대하여 기지국 정보를 멀티캐스트해도 된다. 또는, 기지국 장치(20, 30)는, 자신이 제공하는 통신 에어리어에 기지국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20, 30)는, 관리 장치(10)로부터 기지국 정보가 제공될 때마다, 이동체 장치(50)로 기지국 정보를 제공해도 된다. 또는, 기지국 장치(20, 30)는, 소정의 타이밍(예를 들어 정기적)에 이동체 장치(50)에 기지국 정보를 제공해도 된다. 기지국 장치로부터 정기적으로 기지국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기지국 장치(20, 30)는, 기지국 정보의 갱신이 발생하지 않을 때에는, 이동체 장치(50)에 대한 정보 제공을 스킵해도 된다.
(전원 OFF)
계속해서, (A2)의 전원 OFF의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의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202)가 전원을 OFF하는 기지국 장치이다.
우선, 기지국 장치(202)는, 전원 OFF의 전에, 관리 장치(10)에 대하여, 자신의 삭제 요구를 송신한다(스텝 S2007). 기지국 장치(202)의 삭제 요구를 수신한 관리 장치(10)는,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기지국 정보를, 요구에 맞춰서 갱신한다(스텝 S2008). 갱신을 종료한 관리 장치(10)는, 기지국 장치(202)에 삭제 응답을 송신한다(스텝 S2009). 기지국 장치(202)는 삭제 응답을 수취하면, 전원 OFF를 실행한다(스텝 S2010). 관리 장치(10)는, 갱신 후의 기지국 정보를, 네트워크 N1 내의 다른 장치로 제공한다(스텝 S2011a 내지 S2011c). 관리 장치(10)로부터 기지국 정보를 수취한 기지국 장치(201)는, 이동체 장치(501)에 대하여, 기지국 정보를 제공한다(스텝 S2012).
(애플리케이션의 갱신)
계속해서, (A3)의 애플리케이션의 갱신의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기지국 장치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애플리케이션 수 등의 변경을, 단순히 「애플리케이션의 갱신」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도 11의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201)가 애플리케이션의 갱신을 행하고 있다(스텝 S2013). 애플리케이션의 갱신 후, 기지국 장치(201)는, 관리 장치(10)에 대하여, 기지국 정보의 갱신 요구를 송신한다(스텝 S2014). 기지국 장치(201)의 갱신 요구를 수신한 관리 장치(10)는,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기지국 정보를, 요구에 맞춰서 갱신한다(스텝 S2015). 갱신을 종료한 관리 장치(10)는, 기지국 장치(201)에 갱신 응답을 송신한다(스텝 S2016). 또한, 관리 장치(10)는, 갱신 후의 기지국 정보를, 네트워크 N1 내의 다른 장치로 제공한다(스텝 S2017a 내지 S2017d). 관리 장치(10)로부터 기지국 정보를 수취한 기지국 장치(201)는, 이동체 장치(501)에 대하여, 기지국 정보를 제공한다(스텝 S2018).
<3-3. 정보 리스트의 관리 방법(분산 관리)>
다음으로, 정보 리스트를 분산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기지국 장치에 관한 정보 리스트를 네트워크 N1 내에서 분산 관리 하는 예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분산 관리의 경우, 기지국 장치(20, 30) 각각이 자신 및 다른 기지국 장치의 기지국 정보를 자신 내에서 관리하게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의 등록이나 삭제의 요구를 내보내고자 하는 장치는, 특정의 하나의 장치에 그 요구를 내보내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장치에 요구를 내보내도 된다. 요구는 브로드캐스트나 멀티캐스트로 송신되어도 된다. 요구를 받은 장치는, 그 요구의 송신자인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기지국 정보에 추가나 삭제를 실행한다. 또한, 요구를 받은 장치는, 그 요구의 송신자인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요구를 접수하였음을 응답(ACK/NACK)해도 된다. 또한, 요구의 송신은, 기지국 장치(20, 30)만을 대상으로 할 필요는 없다. 요구의 송신은, 로컬 서버 장치(40), 관리 장치(10), 게이트웨이 장치 GW 등도 대상으로 행해져도 된다. 도 12의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20)에 추가하여, 로컬 서버 장치(40), 관리 장치(10) 및 게이트웨이 장치 GW가 기지국 정보를 관리하고 있다.
또한, 도 12의 예에서는, 로컬 서버 장치(40)로서 로컬 서버 장치(401)가 도시되어 있지만, 로컬 서버 장치(40)는 로컬 서버 장치(401)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11의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20)로서 기지국 장치(201, 202)가 도시되어 있지만, 기지국 장치(20)는 기지국 장치(201, 202)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기지국 장치는, 모두 기지국 장치(20)로 되어 있지만, 기지국 장치(30)여도 된다. 「기지국 장치(20)」의 기재는 적절히 「기지국 장치(30)」로 치환 가능하다. 또한, 도 12의 예에서는, 이동체 장치(50)로서 이동체 장치(501)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동체 장치(50)는 이동체 장치(501)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동체 장치(501)는, 기지국 장치(201)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우선, 기지국 장치(20)는, 소정의 타이밍에 네트워크 N1 내의 다른 장치에 대하여, 기지국 장치의 등록/삭제/변경의 요구를 송신한다. 소정의 타이밍으로서는, 상술한 (A1) 내지 (B3)의 타이밍이 상정된다.
(전원 ON)
처음에, (A1)의 전원 ON의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의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202)가, 전원 ON을 실행하고 있다(스텝 S2001). 그 후, 기지국 장치(202)는, 네트워크 N1상의 다른 장치(로컬 서버 장치(40), 관리 장치(10), 게이트웨이 장치 GW 및 기지국 장치(201))에 대하여, 자신의 등록 요구를 송신하고 있다(스텝 S2002a 내지 S2002d). 기지국 장치(202)의 등록 요구를 수신한 다른 장치는,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기지국 정보를, 요구에 맞춰서 갱신한다(스텝 S2003a 내지 S2003d). 이때, 기지국 장치(202)도 자신의 기지국 정보를 갱신한다(스텝 S2003e). 갱신을 종료한 다른 장치는, 기지국 장치(202)에 등록 응답을 송신한다(스텝 S2004a 내지 S2004d). 기지국 정보를 갱신한 기지국 장치(201)는, 이동체 장치(501)에 대하여, 기지국 정보를 제공한다(스텝 S2006).
(전원 OFF)
계속해서, (A2)의 전원 OFF의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의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202)가 전원을 OFF하는 기지국 장치이다. 우선, 기지국 장치(202)는, 전원 OFF 전에, 네트워크 N1상의 다른 장치에 대하여, 자신의 삭제 요구를 송신한다(스텝 S2007a 내지 S2007d). 기지국 장치(202)의 삭제 요구를 수신한 다른 장치는,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기지국 정보를, 요구에 맞춰서 갱신한다(스텝 S2008a 내지 S2008d). 이때, 기지국 장치(202)도 자신의 기지국 정보를 갱신한다(스텝 S2008e). 갱신을 종료한 다른 장치는, 기지국 장치(202)에 삭제 응답을 송신한다(스텝 S2009a 내지 S2009d). 기지국 장치(202)는 삭제 응답을 수취하면, 전원 OFF를 실행한다(스텝 S2010). 기지국 정보를 갱신한 기지국 장치(201)는, 이동체 장치(501)에 대하여, 기지국 정보를 제공한다(스텝 S2012).
(애플리케이션의 갱신)
계속해서, (A3)의 애플리케이션의 갱신의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의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201)가 애플리케이션의 갱신을 행하고 있다(스텝 S2013). 애플리케이션의 갱신 후, 기지국 장치(201)는, 네트워크 N1상의 다른 장치에 대하여, 기지국 정보의 갱신 요구를 송신한다(스텝 S2014a 내지 S2014d). 기지국 장치(201)의 갱신 요구를 수신한 다른 장치는,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기지국 정보를, 요구에 맞춰서 갱신한다(스텝 S2015a 내지 S2015d). 이때, 기지국 장치(202)도 자신의 기지국 정보를 갱신한다(스텝 S2015e). 갱신을 종료한 다른 장치는, 기지국 장치(201)에 갱신 응답을 송신한다(스텝 S2016a 내지 S2016d). 기지국 정보를 받아 갱신한 기지국 장치(201)는, 이동체 장치(501)에 대하여, 기지국 정보를 제공한다(스텝 S2018).
<<4.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핸드오버에 대하여 2종류의 핸드오버를 고려한다. 하나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제1 핸드오버)이며, 무선 핸드오버(제2 핸드오버)이다.
여기서, 무선 핸드오버란, 이동체 장치(50)가 다른 기지국 장치와의 사이에서 무선 링크의 접속을 유지하기 위한 핸드오버이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란, 소정의 네트워크(예를 들어, 네트워크 N1)에 접속된 애플리케이션 처리 장치가 실행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애플리케이션 처리 장치에 인계시키기 위한 처리이다. 예를 들어, 이동체 장치(50)의 다른 애플리케이션 처리 장치와의 사이에서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의 접속을 유지하기 위한 핸드오버이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처리 장치는, 무선 접속된 기지국 장치(20)여도 되고, 무선 접속되어 있지 않은 장치(예를 들어, 로컬 서버 장치(40), 혹은 무선 접속되어 있지 않은 기지국 장치(20))여도 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처리 장치는,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이동체 장치(50)에 제공하는 처리 장치(혹은 정보 처리 장치)이다. 애플리케이션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에지 기능을 갖는 기지국 장치, 로컬 서버 장치, 혹은 인터넷상의 클라우드 서버 장치이다. 물론, 애플리케이션 처리 장치는 이 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에 주안을 두어 설명한다.
도 13은, 무선 핸드오버와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개시 기준(트리거)의 조합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지국 장치는, 각각의 측정값(판단 재료)을 기준으로 하여, 무선 핸드오버와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실행을 판단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는, 동일한 측정값(판단 재료)을 기준으로 하여, 무선 핸드오버와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실행 판단을 해도 된다.
무선 핸드오버는, 기본적으로는, 복수인 기지국 장치 각각의 무선 신호 품질(또는 무선 통신 품질)의 측정값을 기준으로 하여 판단한다. 이 측정값의 예로서는, 수신 신호 강도,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신호대 잡음 전력비(SNR: Signal-to-Noise Power Ratio), 신호대 간섭 전력비(SIR: Signal-to-Interference Power Ratio), 신호대 간섭 잡음 전력비 (SINR: Signal-to-Interference-and-Noise Power Ratio), 채널 상태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스루풋(Throughput), 비트 레이트(Bit Rate)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에 대해서는, 복수인 기지국 장치 각각의 신호품(또는 통신 품질)의 측정값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와, 이동체 장치(50)의 이동 상황의 측정값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가 고려된다. 후자의 측정값의 예로서는, 이동 속도(예를 들어, 절대 속도, 수평 방향 속도, 수직 방향 속도 등), 이동 방향(예를 들어, 수평 방향의 방위, 각도, 수직 방향의 방위, 각도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이동체 장치(50)에 설치된 자이로스코프(자이로 센서), 3축 가속도 센서 등으로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이동체 장치(50)의 이동 상황에는, 이동체 장치(50)의 현재 위치(예를 들어, 셀 내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 등)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5. 핸드오버 처리(양쪽이 에지 기능을 갖는 경우 (1))>>
다음으로, 이동체 장치(50)가, 에지 기능을 갖는 기지국 장치 간을 이동하는 경우의 핸드오버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하는 핸드오버 처리는, 이동체 장치(50)의 이동 상황(위치 정보, 이동 정보 등)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예이다.
<5-1. 핸드오버 수속>
도 14a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수속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4a는, 이동체 장치(50)의 이동 상황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예이다. 도 14a의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20)는, 무선 핸드오버의 개시 기준과는 다른 기준으로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처리를 개시한다.
또한, 도 14a의 예에서는, 로컬 서버 장치(40)로서 로컬 서버 장치(401)가 도시되어 있지만, 로컬 서버 장치(40)는 로컬 서버 장치(401)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14a의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20)로서 기지국 장치(201, 202)가 도시되어 있지만, 기지국 장치(20)는 기지국 장치(201, 202)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14a의 예에서는, 이동체 장치(50)로서 이동체 장치(501)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동체 장치(50)는 이동체 장치(501)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동체 장치(501)는, 현재, 기지국 장치(201)에 접속되어 있으며, 다음으로 기지국 장치(202)에 접속되는 것으로 한다. 도 14a의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201) 및 기지국 장치(202)가, 각각 에지 기능을 갖고 있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이동체 장치(501)가 현재 접속하고 있는 기지국 장치(201)가, 그 이동체 장치(501)의 위치 정보(또는 이동 정보)를 취득하고, 그 정보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실시 트리거를 거는 것으로 한다.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의 접속이 끊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트리거)는, 무선 핸드오버보다도 먼저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 및 무선 핸드오버는, 이동체 장치(50)마다 개별로 판단·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이동체 장치(501)가 현재 접속하고 있는 기지국 장치(201)는, 이동체 장치(501)에 대하여, 위치 정보 또는 이동 정보를 피드백하도록 요구를 보낸다(스텝 S101). 기지국 장치(201)는, 이동체 장치(50)에 대하여 그때마다 요구를 보내도 되며, 정기적으로 위치 정보 또는 이동 정보를 피드백하도록 이동체 장치(50)에 대하여 사전에 설정(Configuration 또는 Pre-configuration)해도 된다.
이 요구를 받은 이동체 장치(501)는, 자신의 위치 정보 또는 이동 정보를 측정한다(스텝 S102). 그리고, 이동체 장치(501)는, 측정 결과를 기지국 장치(201)로 통지(피드백)한다(스텝 S103).
기지국 장치(201)는, 통지된 측정 결과를 기초로,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4). 도면 중 「A-HO」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를 나타낸다.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기지국 장치(201)는, 대상의 이동체 장치(501)가 핸드오버해야 할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 수신지 후보의 기지국 장치(202)로, 이동체 장치(501)를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시키고 싶다는 취지의 리퀘스트를 통지한다(스텝 S105).
핸드오버 수신지 후보의 기지국 장치(202)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리퀘스트를 수용할지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S106), 수용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리퀘스트를 수용할 것을 응답한다(스텝 S107).
리퀘스트를 수용 가능하다고 통지된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201)는, 이동체 장치(501)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준비를 하고(스텝 S108), 핸드오버 수신지의 기지국 장치(202)로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를 실시한다(스텝 S109).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로 전달되는 정보의 구체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201)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받은 기지국 장치(201)는, 대상의 이동체 장치(501)의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혹은 재구축)한다(스텝 S110). 애플리케이션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계속에 필요한 정보이다. 애플리케이션 정보는, 예를 들어 유저 ID, 장치 ID, 포트, 캐시, 쿠키, 세션, 시계열 정보, 공간 정보, 위치 정보, VM/Container 정보, 계산 경과 정보이다. 물론, 애플리케이션 정보는 이 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애플리케이션의 (재)구축이 완료되면, 기지국 장치(202)는, 완료되었다는 취지를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201)로 통지한다(스텝 S111).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201)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준비가 완료되었다는 취지를 대상의 이동체 장치(501)로 통지한다(스텝 S112). 그리고, 이동체 장치(501)는,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의 (재)구축을 실시한다(스텝 S113). 이동체 장치(501)는, 애플리케이션의 (재)구축이 완료되면, 그 취지를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201)로 통지한다(스텝 S114).
기지국 장치(202), 이동체 장치(501)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준비가 완료되면, 기지국 장치(201)는, 정보 처리 시스템(1) 내의 다른 장치(기지국 장치(202), 관리 장치(10), 게이트웨이 장치 GW 등)로, 데이터 전송의 패스(루트)를 구성하도록 각각 통지한다(스텝 S115 내지 S119). 이미 이동체 장치(501)와 기지국 장치(202)의 무선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 이상으로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가 완료가 된다.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가 완료된 후에는 계속해서, 무선의 핸드오버 프로세스에 들어가도 된다. 도 14b는, 도 14a에 도시한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에 이어서 행해지는 무선 핸드오버의 수속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우선, 이동체 장치(501)는, 기지국 장치(20)로부터 무선 신호 품질 측정을 위한 참조 신호를 수신한다(스텝 S201a 내지 S201b). 그리고, 이동체 장치(501)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20) 각각의 무선 신호 품질을 측정한다(스텝 S202). 이동체 장치(501)는, 측정 결과를 현재 접속하고 있는 기지국 장치(201)로 통지(피드백)한다(스텝 S203).
기지국 장치(201)는, 통지된 측정 결과를 기초로, 무선 핸드오버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04). 도면 중 「W-HO」는, 무선 핸드오버를 나타낸다. 무선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기지국 장치(201)는, 대상의 이동체 장치(501)가 핸드오버해야 할 새로운 무선 핸드오버 수신지 후보의 기지국 장치(202)로, 이동체 장치(501)를 무선 핸드오버시키고 싶다는 취지의 리퀘스트를 통지한다(스텝 S205).
핸드오버 수신지 후보의 기지국 장치(202)는, 무선 핸드오버의 리퀘스트를 수용할지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S206), 수용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리퀘스트를 수용할 것을 응답한다(스텝 S207). 리퀘스트를 수용 가능하다고 통지된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201)는, 이동체 장치(501)에 기지국 장치(202)로의 무선 핸드오버를 실행하도록 명령한다(스텝 S208). 명령을 받아, 이동체 장치(501)와 기지국 장치(202)는, 초기 액세스의 수속(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수속)을 실행한다(스텝 S209 내지 S211).
이동체 장치(501)의 접속이 완료되면, 기지국 장치(202)는, 정보 처리 시스템(1) 내의 다른 장치(관리 장치(10), 게이트웨이 장치 GW 등)로, 데이터 전송의 패스(루트)를 구성하도록 각각 통지한다(스텝 S212 내지 S215). 이상으로 무선 핸드오버가 완료가 된다.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가 완료된 시점에서 이동체 장치(501)와 기지국 장치(202)의 무선 접속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무선 핸드오버에 의해 이동체 장치(501)와 기지국 장치(202)의 무선 접속이 확립하게 된다. 이 경우, 무선 접속이 확립될 때까지의 동안, 기지국 장치(201)가 아니라 기지국 장치(201)가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실행하게 되지만, 이 동안에,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실행을 받아서 애플리케이션 정보가 변화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 수신지의 기지국 장치(202)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201)에 대하여, 기지국 장치(201)가 애플리케이션을 송신하고 나서 현재까지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변화(차분)가 없는지를 문의한다(스텝 S120). 기지국 장치(201)는,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변화가 없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21). 변화가 있는 경우, 기지국 장치(201)는, 기지국 장치(202)에 대하여, 그 차분의 정보와 함께,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변화가 있다는 취지를 통지한다(스텝 S122). 이상으로,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도 완료가 된다.
도 14a 및 도 14b의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201)는, 무선 핸드오버의 개시 기준과는 다른 기준으로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처리를 개시한다. 그 때문에, 기지국 장치(201)는, 이동체 장치(501)와의 무선 접속 상태에 구애되지 않고, 애플리케이션 처리에 최적인 처리 장치에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기능을 제공시킬 수 있다.
<5-2. 기지국 장치의 동작예>
다음으로, 기지국 장치(2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5는,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한 핸드오버에 따른 기지국 장치(2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에 도시한 핸드오버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여도 되고, 무선 핸드오버여도 된다. 도 15에 도시한 핸드오버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와 무선 핸드오버의 양쪽이어도 된다. 이하의 처리는, 예를 들어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20)에 의해 실행된다.
우선, 기지국 장치(20)의 취득부(241)는, 무선 접속된 이동체 장치(50)로부터 핸드오버의 트리거(판단)에 사용하는 측정값을 취득한다(스텝 S301). 그리고, 기지국 장치(20)의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핸드오버의 트리거를 체크한다(스텝 S302). 핸드오버의 개시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스텝 S303: 아니오),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핸드오버를 실행하지 않고 스텝 S301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핸드오버의 개시 기준을 충족한 경우(스텝 S303: 예),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핸드오버의 처리를 개시한다(스텝 S304). 그리고,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핸드오버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별한다(스텝 S305). 핸드오버가 완료된 경우(스텝 S305: 예),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처리를 종료한다.
핸드오버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스텝 S305: 아니오),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핸드오버를 재시도할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306). 재시도하는 경우(스텝 S306: 예),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스텝 S304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재시도하지 않는 경우(스텝 S306: 아니오),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스텝 S301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5-3. 이동체 장치의 동작예>
다음으로, 이동체 장치(5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6은,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한 핸드오버에 따른 이동체 장치(5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에 도시한 핸드오버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여도 되고, 무선 핸드오버여도 된다. 도 16에 도시한 핸드오버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와 무선 핸드오버의 양쪽이어도 된다. 이하의 처리는, 예를 들어 이동체 장치(50)에 의해 실행된다.
우선, 이동체 장치(50)의 송신부(553)는, 현재 무선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 장치(20)에 핸드오버의 트리거(판단)에 사용하는 측정값을 송신한다(스텝 S401). 그리고, 이동체 장치(50)의 취득부(551)는, 핸드오버의 지시가 기지국 장치(20)로부터 통지되었는지를 판별한다(스텝 S402). 핸드오버의 지시가 통지되지 않은 경우(스텝 S402: 아니오), 이동체 장치(50)의 핸드오버 처리부(552)는, 핸드오버를 실행하지 않고 스텝 S401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핸드오버의 지시가 통지되어 있는 경우(스텝 S402: 예), 핸드오버 처리부(552)는, 핸드오버의 처리를 개시한다(스텝 S403). 그리고, 핸드오버 처리부(552)는, 핸드오버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별한다(스텝 S404). 핸드오버가 완료된 경우(스텝 S404: 예), 핸드오버 처리부(552)는, 처리를 종료한다.
핸드오버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스텝 S404: 아니오), 핸드오버 처리부(552)는, 핸드오버를 재시도할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405). 재시도하는 경우(스텝 S405: 예), 핸드오버 처리부(552)는, 스텝 S403으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재시도하지 않는 경우(스텝 S405: 아니오), 이동체 장치(50)의 송신부(553)는, 핸드오버가 완료되지 않았다는 취지를 기지국 장치(20)로 통지하고(스텝 S406), 처리를 종료한다.
<5-4. 핸드오버 수신지의 선택 처리>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핸드오버 수신지가 되는 기지국 장치에 대해서는, 도 14a의 스텝 S104에 예시한 바와 같이,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가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은, 핸드오버 수신지가 되는 기지국 장치의 선택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의 처리는, 예를 들어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20)에 의해 실행된다.
우선, 기지국 장치(20)의 취득부(241)는, 현재 무선 접속되어 있는 이동체 장치(50)로부터 이동체 장치(50)의 이동 상황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예를 들어, 취득부(241)는, 이동체 장치(50)의 이동 정보(예를 들어, 이동 속도, 이동 방향 등)와 이동체 장치(50)의 현재 위치의 정보를 취득한다.
이동 상황의 정보를 취득하면, 기지국 장치(20)의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체 장치(50)의 이동 상황을 해석한다(스텝 S501). 이때,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이동체 장치(50)의 현재 위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정되는 이동 수신지를, 이동체 장치(50)의 이동 상황으로서 특정해도 된다. 이동 수신지의 정보는, 경도·위도 등의 정보여도 되고, 기지국 장치가 형성하는 셀의 식별 정보여도 된다.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상정되는 이동 수신지에 존재하는 기지국 장치를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핸드오버 수신지 후보로서 선정한다(스텝 S502). 또한, 선정된 기지국 장치(20) 중에 에지 기능을 갖는 기지국 장치(2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상정된다. 그 때문에,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로컬 서버 장치(40) 등의 서버 장치를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핸드오버 수신지 후보로서 선정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20, 30)의 정보는 앞에서의 설명과 같이, 사전에 공유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선정한 기지국 장치 중에,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가 가능한 기지국 장치(예를 들어, 에지 기능을 갖는 기지국 장치(20))가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503).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가 가능한 기지국 장치가 있으면(스텝 S503: 예), 그 중에서 핸드오버 수신지의 기지국 장치(20)를 선택한다(스텝 S504). 후보가 복수인 경우에는,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수신지가 되는 기지국 장치(20)를 선택해도 된다. 소정의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어 이하의 (B1) 내지 (B3)의 조건이 상정된다.
(B1) 통신 지연이나 거리 간에 따른 조건
(B2) 무선 신호 품질에 따른 조건
(B3) 장치의 성능에 따른 조건
(B1)의 통신 지연이나 거리 간에 따른 조건은, 예를 들어 대상의 이동체 장치(50)와의 물리적 거리가 가장 가까운 기지국 장치(20), 경로상의 홉 수가 가장 적은 기지국 장치(20), 통신 지연 시간이 가장 짧은 기지국 장치(20) 등이다.
(B2)의 무선 신호 품질에 따른 조건은, 예를 들어 가장 높은 무선 신호 품질을 제공 가능한 기지국 장치, 스루풋이 가장 높은 기지국 장치(20), 패킷 손실이 가장 적은 기지국 장치(20), 패킷 손실률이 가장 적은 기지국 장치(20) 등이다.
(B3)의 장치의 성능에 따른 조건은, 예를 들어 계산 처리 능력이 가장 높은 기지국 장치(20), 동작 가능한 CPU 수, GPU 수, 스레드 수 등이 가장 많은 기지국 장치(20), 애플리케이션 대응수가 가장 많은 기지국 장치(20),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서포트하고 있는 기지국 장치(20) 등이다.
그리고,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스텝 S504에서 선택된 기지국 장치(20)에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요구를 내보낸다(스텝 S505).
한편, 스텝 S502에서 선정한 기지국 장치 중에,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가 가능한 기지국 장치(20)가 없는 경우(스텝 S503: 아니오),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선정한 서버 장치 중에,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가 가능한 로컬 서버 장치(40)가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506).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가 가능한 로컬 서버 장치(40)가 있으면(스텝 S506: 예),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그 중에서 핸드오버 수신지의 로컬 서버 장치(40)를 선택한다(스텝 S507). 후보가 복수인 경우에는,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수신지가 되는 기지국 장치(20)를 선택해도 된다. 소정의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B1)이나 (B3)의 조건이 상정된다.
그리고,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스텝 S506에서 선택된 로컬 서버 장치(40)에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요구를 내보낸다(스텝 S505). 이 경우, 무선 핸드오버도 동시에 실시하는 것이라면, 무선 핸드오버의 핸드오버 수신지와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핸드오버 수신지는 다른 장치가 된다.
한편, 선정한 서버 장치 중에,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가 가능한 로컬 서버 장치(40)가 없는 경우(스텝 S507: 아니오),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를 유보한다(스텝 S508). 이 경우,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20)의 애플리케이션 처리부(244)가,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유지한 상태 그대로로 해도 된다.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요구를 통지하거나, 혹은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를 유보하면,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처리를 종료한다.
<5-5. 애플리케이션 구성의 변경 처리>
이동체 장치(50)가 실시하는 애플리케이션 (재)구성 처리(예를 들어, 도 14a의 스텝 S113)로서는, 예를 들어 이동체 장치(50)로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버퍼 사이즈의 조정을 들 수 있다. 핸드오버에 의해 접속 수신지가 바뀜으로써, 장치 간의 통신의 지연 시간에 변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 변화에 의한 영향을 흡수하기 위해서, 버퍼 사이즈를 조정하여, 이동체 장치(50) 및 그 엔드 유저의 체험(User Experience)에 문제를 일으키지 않도록 한다.
(기지국 장치측의 처리)
애플리케이션 (재)구성 처리의 일례로서, 기지국 장치(20)로부터 이동체 장치(50)로 애플리케이션 (재)구성의 명령을 내리는 처리를 들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구성(예를 들어, 버퍼 사이즈의 변경)의 평가는, 핸드오버 수신지의 기지국 장치(20)가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8은, 이동체 장치(50)의 애플리케이션 구성의 변경 판단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기지국 장치(20)가 이하의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하지만, 기지국 장치(30), 로컬 서버 장치(40) 등, 다른 장치가 이하의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또한, 이하의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는, 핸드오버 수신지의 장치여도 되고, 핸드오버 소스의 장치여도 된다.
우선, 기지국 장치(20)의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대상이 되는 이동체 장치(50)의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20)(또는 로컬 서버 장치(40))와 이동체 장치(50) 사이의 통신 지연(도면 중의 지연 A)을 평가한다(스텝 S601). 또한, 핸드오버 소스의 장치가 로컬 서버 장치(40)가 되는 경우의 예로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20)가 에지 기능을 갖지 않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또한,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이동체 장치(50)의 핸드오버 수신지가 되는 기지국 장치(20)(또는 로컬 서버 장치(40))와 이동체 장치(50) 사이의 통신 지연(도면 중의 지연 B)을 평가한다(스텝 S602). 또한, 핸드오버 수신지의 장치가 로컬 서버 장치(40)가 되는 경우의 예로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무선 핸드오버 수신지의 기지국 장치(20)가 에지 기능을 갖지 않는 경우를 들 수 있다.
그리고,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지연 A와 지연 B의 대소 관계를 비교하여, 대상의 이동체 장치의 버퍼 사이즈를 어떻게 할지를 판단한다. 버퍼 사이즈에 대해서는, 지연이 길 때는 버퍼 사이즈를 크게 하고, 지연이 짧아도 되는 경우에는 버퍼 사이즈도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8의 예에서는,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X를 판단하기 위한 계수(X>=1.0)로 하고, 「지연 B>=X*지연 A」의 관계가 성립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603). 관계가 성립되는 경우(스텝 S603: 예),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애플리케이션의 버퍼 사이즈를 크게 하도록 명령을 세팅한다(스텝 S604).
관계가 성립되지 않는 경우(스텝 S603: 아니오),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Y를 판단하기 위한 다른 계수(Y>=1.0)로 하고, 「지연 B<=(1/Y)*지연 A」의 관계가 성립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605). 관계가 성립되는 경우(스텝 S605: 예),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애플리케이션의 버퍼 사이즈를 작게 하도록 명령을 세팅한다(스텝 S606). 관계가 성립되지 않는 경우(스텝 S605: 아니오),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애플리케이션의 버퍼 사이즈를 현상 그대로 유지하도록 명령을 세팅한다(스텝 S607).
또한,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버퍼 사이즈를 바꾸도록 판단하는 경우, 그 변경량(증가량, 감소량)에 대해서도 명령에 포함해도 된다. 기지국 장치(20)의 송신부(243)는, 세팅한 명령(애플리케이션 구성 명령)을 이동체 장치(50)로 통지한다(스텝 S608).
이동체 장치(5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구성의 변경 완료 통지를 취득하면, 기지국 장치(20)의 애플리케이션 처리부(244)는,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구성을 전제로 하여, 이동체 장치(50)의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실행한다.
(이동체 장치측의 처리)
도 19는, 애플리케이션 구성의 변경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의 처리는, 예를 들어 이동체 장치(50)에 의해 실행된다.
이동체 장치(50)의 취득부(551)는, 애플리케이션 (재)구성 명령을 수신한다(스텝 S701). 그리고, 이동체 장치(50)의 애플리케이션 구성 변경부(555)는, 애플리케이션 (재)구성 명령 중에, 버퍼 사이즈에 관한 명령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702).
버퍼 사이즈에 관한 명령이 있는 경우(스텝 S702: 예), 애플리케이션 구성 변경부(555)는, 그 명령 내용에 따라서 파라미터(도 19의 예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의 버퍼 사이즈)의 구성을 변경한다(스텝 S703). 또한, 버퍼 사이즈를 바꾸는 경우의 변경량은, 명령에 포함되어 있으면 그것에 따르기로 한다. 변경량까지는 명령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소정의 양의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버퍼 사이즈의 최솟값은 제로이며, 제로 미만으로는 되지 않는다. 버퍼 사이즈의 최댓값은 이동체 장치(50)의 성능에 따라 상한이 정해지므로, 최댓값을 초과해 설정할 수도 없다. 이 경우, 애플리케이션 구성 변경부(555)는, 이동체 장치(50)마다 미리 정해진 상한 혹은 하한을 버퍼 사이즈로 해도 된다.
한편, 버퍼 사이즈에 관한 명령이 없는 경우(스텝 S702: 아니오), 애플리케이션 구성 변경부(555)는, 파라미터(도 19의 예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의 버퍼 사이즈)를 유지한다(스텝 S704).
변경 혹은 유지를 완료하면, 이동체 장치(50)의 송신부(553)는, 애플리케이션 (재)구성 완료의 통지를 회신한다(스텝 S705). 통지가 완료되면, 이동체 장치(50)는, 애플리케이션 구성의 변경 처리를 종료한다.
이동체 장치(50)의 애플리케이션 처리부(554)는, 변경되거나 혹은 유지된 애플리케이션 구성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처리를 계속한다.
또한, 도 18 및 도 19의 예와는 달리, 핸드오버 중 또는 핸드오버 후에 이동체 장치(50)가 자기 자신이 애플리케이션 (재)구성을 판단해도 된다.
도 20은, 이동체 장치(50)가 자기 자신이 애플리케이션 (재)구성을 판단하는 경우의 애플리케이션 구성의 변경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0의 예에서는, 이동체 장치(50)는, 이동체 장치(50)와 기지국 장치(20)(또는 로컬 서버 장치(40)) 사이의 지연에 따라서 자기 자신이 버퍼 사이즈를 바꾸고 있다.
우선, 이동체 장치(50)의 애플리케이션 구성 변경부(555)는,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20)(또는 로컬 서버 장치(40))와 이동체 장치(50) 사이의 통신 지연(도면 중의 지연 A)을 평가한다(스텝 S801). 또한, 애플리케이션 구성 변경부(555)는, 핸드오버 수신지가 되는 기지국 장치(20)(또는 로컬 서버 장치(40))와 이동체 장치(50) 사이의 통신 지연(도면 중의 지연 B)을 평가한다(스텝 S802).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구성 변경부(555)는, X를 판단하기 위한 계수(X>=1.0)로 하고, 「지연 B>=X*지연 A」의 관계가 성립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803). 관계가 성립되는 경우(스텝 S803: 예), 애플리케이션 구성 변경부(555)는, 애플리케이션의 버퍼 사이즈를 크게 한다(스텝 S804).
관계가 성립되지 않는 경우(스텝 S803: 아니오), 애플리케이션 구성 변경부(555)는, Y를 판단하기 위한 다른 계수(Y>=1.0)로 하고, 「지연 B<=(1/Y)*지연 A」의 관계가 성립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805). 관계가 성립되는 경우(스텝 S805: 예), 애플리케이션 구성 변경부(555)는, 애플리케이션의 버퍼 사이즈를 작게 한다(스텝 S806). 관계가 성립되지 않는 경우(스텝 S805: 아니오), 애플리케이션 구성 변경부(555)는, 애플리케이션의 버퍼 사이즈를 현상 그대로 유지한다(스텝 S807).
이동체 장치(50)의 애플리케이션 처리부(554)는, 변경되거나 혹은 유지된 애플리케이션 구성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처리를 계속한다.
(지연의 평가에 대하여)
평가 장치(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 기지국 장치(30), 로컬 서버 장치(40), 또는 이동체 장치(50) 등)는, 장치 간의 통신의 지연 시간을 직접적으로 평가해도 된다. 또한, 평가 장치는, 직접적인 지연 시간의 평가 대신에, 지연 시간과 관련된 지표를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지연 시간을 평가해도 된다.
예를 들어, 평가 장치는, 장치 간의 물리적인 거리를 지연 시간으로 바꾸는 지표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평가 장치는, 거리가 길수록 지연 시간도 긴 것으로서 평가해도 된다. 물리적인 거리에 대해서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평가 장치 등이, 기지국 장치(20), 기지국 장치(30) 및 로컬 서버 장치(40)를 관리하는 시점에서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있기 때문에, 산출이 가능하다.
또한, 평가 장치는, 장치 간의 통신 경로상의 홉 수를 지표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평가 장치는, 홉 수가 많을수록 지연 시간이 긴 것으로서 평가해도 된다. 홉 수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tracert, traceroute와 같은 커맨드나,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와 같은 프로토콜로부터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평가 장치는, 장치 간의 스루풋값을 지표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평가 장치는, 스루풋이 작을수록 지연 시간이 긴 것으로서 평가해도 된다. 또한, 평가 장치는, 장치 간의 패킷 손실을 지표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평가 장치는, 패킷 손실이 많거나, 또는 패킷 손실률이 높을수록 지연 시간이 긴 것으로 해도 된다. 이들 지표에 대해서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부터 직접적으로 측정하여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애플리케이션 (재)구성의 파라미터 예)
버퍼 사이즈 이외의 애플리케이션 (재)구성의 파라미터의 예로서,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20)(또는 로컬 서버 장치(40))와 핸드오버 수신지의 기지국 장치(20)(또는 로컬 서버 장치(40))의 사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변화가 발생한 경우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드오버 수신지에서, 지금까지 대응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이 새롭게 대응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동체 장치(50)가 그 해당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핸드오버 수신지에서, 지금까지 대응되고 있었던 애플리케이션이 대응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동체 장치(50)는 그 해당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정지(일시적인 정지를 포함)시키는 것이 고려된다.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이나 애플리케이션의 정지도 애플리케이션 구성의 변경이다.
이와 같은 버퍼 사이즈 이외의 애플리케이션 (재)구성에 대해서도, 도 18, 도 19 및 도 20과 같이, 기지국 장치(20)가 판단한 명령 내용에 따라서 구성을 변경하는 경우와, 이동체 장치(50)로 구성의 변경을 판단하는 경우가 고려된다.
<<6. 핸드오버 처리(양쪽이 에지 기능을 갖는 경우 (2))>>
다음으로, 이동체 장치(50)가, 에지 기능을 갖는 기지국 장치 간을 이동하는 경우의 핸드오버 처리의 다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하는 핸드오버 처리는, 이동체 장치(50)가 기지국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신호의 품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예이다. 기지국 장치(20)는, 무선 접속이 전환된 후에 접속 수신지의 기지국 장치(20)가 바로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처리의 일부 혹은 전부를 실행한 후에, 무선 핸드오버의 처리를 실행한다.
<6-1. 핸드오버 수속>
도 21은,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수속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21은, 기지국 장치(20)의 신호 품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예이다. 도 21의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20)는, 무선 핸드오버의 개시 기준과 동일한 기준으로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처리를 개시한다. 또한, 도 21의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20)는, 무선 핸드오버의 핸드오버 수신지가 되는 기지국 장치와 동일한 기지국 장치를 핸드오버 수신지로 하여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를 실행한다.
또한, 도 21의 예에서는, 도 14a 및 도 14b의 예와 마찬가지로, 로컬 서버 장치(40)로서 로컬 서버 장치(401)가 도시되어 있지만, 로컬 서버 장치(40)는 로컬 서버 장치(401)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21의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20)로서 기지국 장치(201, 202)가 도시되어 있지만, 기지국 장치(20)는 기지국 장치(201, 202)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21의 예에서는, 이동체 장치(50)로서 이동체 장치(501)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동체 장치(50)는 이동체 장치(501)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동체 장치(501)는, 현재, 기지국 장치(201)에 접속되어 있으며, 다음으로 기지국 장치(202)에 접속되는 것으로 한다. 도 21의 예에서는, 도 14a 및 도 14b의 예와 마찬가지로, 기지국 장치(201) 및 기지국 장치(202)가, 각각 에지 기능을 갖고 있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이동체 장치(501)가 현재 접속하고 있는 기지국 장치(201)가, 그 이동체 장치(501)의 무선 신호 품질의 측정 결과를 취득하고, 그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실시 트리거를 걸도록 한다.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는, 이동체 장치(50)마다 개별로 판단·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무선 신호 품질은, 무선 링크의 핸드오버 판단 기준이나 트리거로서 이용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무선 신호 품질을, 무선 링크의 핸드오버뿐만 아니라,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트리거(판단)에도 이용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동일한 트리거에, 무선 핸드오버와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를 결부시킨다.
무선 신호 품질은, 완전히 비례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동체 장치와 기지국 장치 사이의 위치 관계에 관련이 있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무선 신호 품질은, 무선 핸드오버의 트리거(판단)뿐만 아니라,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트리거(판단)에도 적합하다고 말할 수 있다. 무선 핸드오버와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판단 재료를 공통화함으로써, 측정값 항목의 삭감 및 효율화나, 무선 링크가 안정된 상태(혹은 안정될 것을 기대할 수 있는 상태)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가 가능해진다.
우선, 이동체 장치(501)는, 기지국 장치(20)로부터 무선 신호 품질 측정을 위한 참조 신호를 수신한다(스텝 S201a 내지 S201b). 그리고, 이동체 장치(501)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20) 각각의 무선 신호 품질을 측정한다(스텝 S202). 이동체 장치(501)는, 측정 결과를 현재 접속하고 있는 기지국 장치(201)로 통지(피드백)한다(스텝 S203).
기지국 장치(201)는, 통지된 측정 결과를 기초로, 무선 핸드오버 및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4A). 도면 중 「A-HO」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를 나타낸다. 또한, 도면 중 「W-HO」는, 무선 핸드오버를 나타낸다. 핸드오버(무선 핸드오버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기지국 장치(201)는, 대상의 이동체 장치(501)가 핸드오버해야 할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 수신지 후보의 기지국 장치(202)로, 이동체 장치(501)를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시키고 싶다는 취지의 리퀘스트를 통지한다(스텝 S105).
핸드오버 수신지 후보의 기지국 장치(202)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리퀘스트를 수용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S106), 수용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리퀘스트를 수용할 것을 응답한다(스텝 S107). 리퀘스트를 수용 가능하다고 통지된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201)는,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현재의 카피 정보를 핸드오버 수신지의 기지국 장치(202)가 얻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 장치(201)는, 이동체 장치(501)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준비를 하고(스텝 S108), 기지국 장치(202)로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를 실행한다(스텝 S109).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201)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받은 기지국 장치(202)는, 대상의 이동체 장치(501)의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혹은 재구축)한다(스텝 S110). 애플리케이션의 (재)구축이 완료되면, 기지국 장치(202)는 완료되었다는 취지를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201)로 통지한다(스텝 S111).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201)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준비가 완료되었다는 취지를 대상의 이동체 장치(501)로 통지한다(스텝 S112). 그리고, 이동체 장치(501)는,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의 (재)구축을 실행한다(스텝 S113). 이동체 장치(501)는, 애플리케이션의 (재)구축이 완료되면, 그 취지를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201)로 통지한다(스텝 S114).
이미 이동체 장치(501)와 기지국 장치(202) 사이의 무선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상으로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가 완료가 된다. 이미 이동체 장치(501)와 기지국 장치(202) 사이의 무선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로서는, 예를 들어 이동체 장치(501)의 무선 통신부(21)가 복수의 기지국 장치와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고, 이동체 장치(501)가 기지국 장치(201)뿐만 아니라, 기지국 장치(202)와도 접속되어 있는 경우가 상정된다.
이동체 장치(501)와 기지국 장치(202) 사이의 무선 접속이 확립되지 않은 경우에는, 계속해서, 무선의 핸드오버 프로세스에 들어간다. 이동체 장치(501), 기지국 장치(201) 및 기지국 장치(202)는 무선 핸드오버를 실행한다(스텝 S205 내지 스텝 S215). 스텝 S205 내지 스텝 S215의 처리는, 도 14b에 도시한 스텝 S205 내지 스텝 S215와 마찬가지이다. 루트 구축 응답(스텝 S215)에 의해 무선 핸드오버는 완료된다.
무선 핸드오버의 동안, 기지국 장치(202)가 아니라 기지국 장치(201)가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실행하게 되지만, 이 동안에, 애플리케이션 정보가 변화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 수신지의 기지국 장치(202)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201)에 대하여, 기지국 장치(201)가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송신하고 나서 현재까지의 동안에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변화(차분)가 없는지를 문의한다(스텝 S120).
기지국 장치(201)는,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21). 변화가 있는 경우, 기지국 장치(201)는, 스텝 S109에서 송신한 카피 정보와 현재의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차분 정보를 기지국 장치(202)가 얻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 장치(201)는, 기지국 장치(202)에 대하여, 차분 정보를 송신함과 함께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변화가 있다는 취지를 통지한다(스텝 S122). 이상으로,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는 완료된다.
도 21의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201)는,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현재의 카피 정보를 기지국 장치(202)로 송신한 후에, 무선 핸드오버의 처리를 실행하고, 그리고, 카피 정보 송신 후의 애플리케이션 처리에 의해 추가의 애플리케이션 정보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추가의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기지국 장치(202)로 송신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적어도 카피 정보의 송신 후에 추가의 애플리케이션 처리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지국 장치(201)는, 무선 핸드오버 시에 긴 지연을 일으키지 않고, 기지국 장치(202)에 대하여, 이동체 장치(501)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제공을 실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기지국 장치(201)가 기지국 장치(202)에 송신하는 정보는 카피 정보이므로, 기지국 장치(201)에 오리지널 정보는 남아 있다. 그 때문에, 무선 핸드오버 등의 핸드오버 실패 시에는, 기지국 장치(201)가 오리지널 정보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계속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기지국 장치(201)는, 핸드오버 실패 시에도, 긴 지연을 일으키지 않고, 이동체 장치(501)에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추가의 애플리케이션 정보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기지국 장치(201)는, 카피 정보와 현재의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차분 정보를 기지국 장치(202)에 송신하고 있다. 송신되는 정보가 차분 정보이므로, 예를 들어 추가의 애플리케이션 정보가 발생하여도, 기지국 장치(201)는, 지연을 짧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장치(201)는, 무선 핸드오버의 핸드오버 수신지가 되는 기지국 장치(20)와 동일한 기지국 장치(20)를 핸드오버 수신지로 하여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처리를 실행한다. 그 때문에, 기지국 장치(201)는, 이동체 장치(501)에 가장 가까운 장치(무선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 장치(20))에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기능을 제공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저지연의 처리가 실현된다.
<6-2. 기지국 장치의 동작예>
다음으로, 기지국 장치(2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한 핸드오버에 따른 기지국 장치(2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2에 도시한 제1 핸드오버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이며, 제2 핸드오버는 무선 핸드오버이다.
제1 핸드오버와 제2 핸드오버가 결부되어 있는 경우, 제1 핸드오버에 대해서는, 제2 핸드오버의 트리거에 사용하는 측정값이 트리거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2의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20)는, 제2 핸드오버에 사용하는 측정 결과를 받아서, 제1 핸드오버를 우선 실행한다. 물론, 기지국 장치(20)는, 제1 핸드오버에 사용하는 측정 결과를 받아서, 제2 핸드오버보다 먼저, 제1 핸드오버를 실행해도 된다. 이하의 처리는, 예를 들어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20)에 의해 실행된다.
우선, 기지국 장치(20)의 취득부(241)는, 무선 접속된 이동체 장치(50)로부터 제2 핸드오버의 트리거(판단)에 사용하는 측정값을 취득한다(스텝 S901). 그리고, 기지국 장치(20)의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제2 핸드오버의 트리거를 체크한다(스텝 S902). 제2 핸드오버의 개시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스텝 S903: 아니오),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스텝 S901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한편, 제2 핸드오버의 개시 기준을 충족한 경우(스텝 S903: 예),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제2 핸드오버가 아니라, 우선, 제1 핸드오버의 처리를 개시한다(스텝 S904). 예를 들어,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카피 정보를 핸드오버 수신지의 장치가 수취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제1 핸드오버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별한다(스텝 S905). 제1 핸드오버가 완료된 경우(스텝 S905: 예),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제2 핸드오버(스텝 S907이후)로 처리를 이행시킨다.
한편, 제1 핸드오버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스텝 S905: 아니오),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제1 핸드오버를 재시도할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906). 재시도하는 경우(스텝 S906: 예),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스텝 S904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재시도하지 않는 경우(스텝 S906: 아니오),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제1 핸드오버를 포기하고, 제2 핸드오버(스텝 S907 이후)로 처리를 이행시킨다.
계속해서,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제2 핸드오버의 처리를 개시한다(스텝 S907). 그리고,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제2 핸드오버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별한다(스텝 S908). 제2 핸드오버가 완료된 경우(스텝 S908: 예),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자신이 보유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삭제하고(스텝 S909), 처리를 종료한다.
제2 핸드오버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스텝 S908: 아니오), 기지국 장치(20)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핸드오버를 재시도할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910). 재시도할 경우(스텝 S910: 예),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스텝 S907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재시도하지 않는 경우(스텝 S907: 아니오),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제1 핸드오버를 철회한다(스텝 S911). 또한, 스텝 S906에서 "아니오"라고 판정된 경우 (즉, 핸드오버 처리부(242)가 제1 핸드오버를 포기한 경우), 핸드오버 처리부(242)는, 반드시 제1 핸드오버의 철회 처리를 실행하지는 않아도 된다.
<6-3. 이동체 장치의 동작예>
다음으로, 이동체 장치(5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3a는, 도 21에 도시한 핸드오버에 따른 이동체 장치(5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2의 예와 마찬가지로, 도 23a에 도시한 제1 핸드오버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이며, 제2 핸드오버는 무선 핸드오버이다. 이하의 처리는, 예를 들어 이동체 장치(50)에 의해 실행된다.
우선, 이동체 장치(50)의 송신부(553)는, 현재 무선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 장치(20)에 핸드오버의 트리거(판단)에 사용하는 측정값을 송신한다(스텝 S1001). 그리고, 이동체 장치(50)의 취득부(551)는, 제2 핸드오버의 지시가 기지국 장치(20)로부터 통지되었는지를 판별한다(스텝 S1002). 제1 핸드오버의 지시가 통지 되지 않은 경우(스텝 S1002: 아니오), 이동체 장치(50)의 핸드오버 처리부(552)는, 제1 핸드오버를 실행하지 않고 스텝 S1001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제1 핸드오버의 지시가 통지되어 있는 경우(스텝 S1002: 예), 핸드오버 처리부(552)는, 제1 핸드오버의 처리를 개시한다(스텝 S1003). 그리고, 핸드오버 처리부(552)는, 제1 핸드오버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별한다(스텝 S1004). 제1 핸드오버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스텝 S1004: 아니오), 핸드오버 처리부(552)는, 제1 핸드오버가 완료될 때까지 스텝 S1004를 반복한다. 제1 핸드오버가 완료된 경우(스텝 S1004: 예), 이동체 장치(50)의 송신부(553)는, 제1 핸드오버의 완료를 기지국 장치(20)로 통지한다(스텝 S1005).
계속해서, 핸드오버 처리부(552)는, 제2 핸드오버의 처리를 개시한다(스텝 S1006). 제2 핸드오버의 처리가 완료되면(스텝 S1007), 이동체 장치(50)는 처리를 종료한다.
도 23a의 예에서는, 제2 핸드오버(무선 핸드오버)가 실패하지 않고 완료되었지만, 제2 핸드오버가 실패하는 것, 혹은 철회되는 것도 상정된다. 이 경우, 제1 핸드오버(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도 철회되는 것이 상정된다. 이 경우, 제1 핸드오버에 관계하여 이동체 장치(50)측에서 애플리케이션 구성이 변경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동체 장치(50)는 애플리케이션 구성 변경 전의 구성으로 애플리케이션 구성을 되돌릴 필요가 있다.
이하, 제2 핸드오버가 실패 혹은 철회되고, 제1 핸드오버가 철회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이동체 장치(5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3b는, 도 21에 도시한 핸드오버에 따른 이동체 장치(50)의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2의 예와 마찬가지로, 도 23b에 도시한 제1 핸드오버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이며, 제2 핸드오버는 무선 핸드오버이다. 이하의 처리는, 예를 들어 이동체 장치(50)에 의해 실행된다.
우선, 이동체 장치(50)의 송신부(553)는, 현재 무선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 장치(20)에 핸드오버의 트리거(판단)에 사용하는 측정값을 송신한다(스텝 S1001). 그리고, 이동체 장치(50)의 취득부(551)는, 제2 핸드오버의 지시가 기지국 장치(20)로부터 통지되었는지를 판별한다(스텝 S1002). 제1 핸드오버의 지시가 통지 되지 않은 경우(스텝 S1002: 아니오), 이동체 장치(50)의 핸드오버 처리부(552)는, 제1 핸드오버를 실행하지 않고 스텝 S1001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제1 핸드오버의 지시가 통지되어 있는 경우(스텝 S1002: 예), 핸드오버 처리부(552)는, 제1 핸드오버의 처리를 개시한다(스텝 S1003). 그리고, 핸드오버 처리부(552)는, 제1 핸드오버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별한다(스텝 S1004). 제1 핸드오버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스텝 S1004: 아니오), 핸드오버 처리부(552)는, 제1 핸드오버가 완료될 때까지 스텝 S1004를 반복한다.
제1 핸드오버가 완료된 경우(스텝 S1004: 예), 이동체 장치(50)의 송신부(553)는, 제1 핸드오버의 완료를 기지국 장치(20)로 통지한다(스텝 S1005). 또한, 제1 핸드오버가 실패 혹은 철회 없이 완료된 경우, 이동체 장치(50)의 애플리케이션 구성 변경부(555)는 애플리케이션 구성을 변경해도 된다. 이때, 애플리케이션 구성 변경부(555)는, 제1 핸드오버가 완료 후, 제2 핸드오버가 완료되기 전에 (혹은 제2 핸드오버를 개시하기 전에), 애플리케이션 구성의 변경을 행해도 된다. 제2 핸드오버가 완료 후, 중단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고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계속할 수 있다.
계속해서, 핸드오버 처리부(552)는, 제2 핸드오버의 처리를 개시한다(스텝 S1006). 그리고, 핸드오버 처리부(552)는, 제2 핸드오버의 처리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008). 제2 핸드오버의 처리가 실패 혹은 철회 없이 완료되면(스텝 S1008: 예), 이동체 장치(50)는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제2 핸드오버의 처리가 완료되지 않는 경우, 즉, 제2 핸드오버의 처리가 실패 혹은 철회된 경우(스텝 S1008: 아니오), 이동체 장치(50)의 애플리케이션 구성 변경부(555)는, 스텝 S1003의 제1 핸드오버에 관련하여 애플리케이션 구성을 변경 완료하였는지를 판별한다(스텝 S1009). 변경 완료가 아닌 경우(스텝 S1009: 아니오), 이동체 장치(50)는 처리를 종료한다.
변경 완료의 경우(스텝 S1009: 예), 애플리케이션 구성 변경부(555)는 애플리케이션 구성을 변경 전의 상태로 되돌린다(스텝 S1010).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구성 변경부(555)는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에 애플리케이션 구성을 원래로 되돌렸다는 취지를 통지한다(스텝 S1011). 이에 의해, 이동체 장치(50)는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제공을 받아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계속할 수 있다. 통지가 완료되면, 이동체 장치(50)는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먼저 실행되는 핸드오버는 제1 핸드오버(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인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먼저 실행되는 핸드오버는 제2 핸드오버(무선 핸드오버)여도 된다. 이 경우, 제1 핸드오버의 트리거에 사용하는 측정값을 제2 핸드오버의 트리거로 해도 된다. 그리고, 기지국 장치(20)는, 제1 핸드오버의 트리거에 사용하는 측정 결과를 받아서, 제1 핸드오버보다 먼저, 제2 핸드오버를 실행해도 된다. 물론, 기지국 장치(20)는, 제2 핸드오버에 사용하는 측정 결과를 받아서, 제1 핸드오버보다 먼저, 제2 핸드오버를 실행해도 된다.
<6-4. 차분 정보의 송신 처리>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 시에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카피 정보를 핸드오버 수신지에 송신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를 완료하고 나서 무선 핸드오버를 개시 또는 완료될 때까지의 동안에,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20)가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처리를 추가로 실시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이동체 장치(50)가 새로운 핸드오버 수신지의 기지국 장치(20)에 접속한 시점에서, 이동체 장치(50)가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와 핸드오버 수신지의 기지국 장치(20)가 갖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미스매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서,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20)와 핸드오버 수신지의 기지국 장치(20)의 사이에서 무선 핸드오버가 개시 또는 완료되었을 때, 추가의 애플리케이션 정보(이하, '추가 정보'라고 함)의 송신을 실시한다. 추가 정보로서는, 이하의 (C1) 또는 (C2)가 상정된다. 추가 정보를 (C1)의 차분 정보로 하는 경우, 송신이 필요한 정보량의 삭감을 기대할 수 있다.
(C1)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 시에 카피한 애플리케이션 정보로부터의 차분의 정보(차분 정보)
(C2) 추가 정보를 송신하는 타이밍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재카피/무브
도 24는, 추가 정보의 송신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4에 도시한 처리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실행 후에 실행된다. 예를 들어, 도 24에 도시한 처리는, 도 14a의 스텝 S119의 후, 혹은 도 21의 스텝 S114의 후에,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20)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도 14a 및 도 21의 예에서는, 스텝 S109에서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20)로부터 핸드오버 수신지의 기지국으로 애플리케이션 정보가 송신된다. 또한, 도 14b 및 도 21의 예(스텝 S120 내지 S122)에서는, 추가 정보는 차분 정보로 되어 있지만, 추가 정보는 재 카피나 재 무브의 정보여도 된다.
우선, 기지국 장치(20)의 핸드오버 처리부(342)는, 무선 핸드오버를 실행한다(스텝 S1101). 스텝 S1101은, 예를 들어 도 21에 도시한 시퀀스도의 스텝 S205 내지 S215에 상당하는 처리이다. 그리고, 핸드오버 처리부(342)는, 무선 핸드오버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102). 무선 핸드오버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스텝 S1102: 아니오), 핸드오버 처리부(342)는, 무선 핸드오버가 완료될 때까지, 스텝 S1101 내지 S1102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무선 핸드오버가 완료된 경우(스텝 S1102: 예),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20)는, 핸드오버 수신지의 기지국 장치(20)에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송신하고 나서 무선 핸드오버가 완료될 때까지의 동안에 애플리케이션 정보로 변경이 있었는지를 판별한다(스텝 S1103). 변경이 없는 경우(스텝 S1103: 아니오), 기지국 장치(20)의 송신부(243)는,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변경이 없다는 취지를 핸드오버 수신지의 기지국 장치(20)로 송신한다(스텝 S1104).
한편,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변경이 있는 경우(스텝 S1103: 예), 기지국 장치(20)의 송신부(243)는, 추가의 애플리케이션 정보(추가 정보)가 있다는 취지를 핸드오버 수신지의 기지국 장치(20)로 통지한다(스텝 S1105). 그리고, 송신부(243)는, 추가 정보를 핸드오버 수신지의 기지국 장치(20)로 통지한다(스텝 S1106). 추가 정보는 차분 정보여도 된다. 추가 정보의 송신이 완료되면, 기지국 장치(20)는 처리를 종료한다.
<<7. 핸드오버 처리(에지 기능을 갖지 않는 기지국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무선 네트워크에서는, 모든 기지국 장치가 에지 기능(애플리케이션 처리 기능)을 갖고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와 같은 경우에도, 애플리케이션 서비스가 정체되지 않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에지 기능을 갖지 않는 기지국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로서, 다음의 경우를 들 수 있다.
(D1) 무선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가 에지 기능을 갖지 않는 경우
(D2) 무선 핸드오버 수신지의 기지국 장치가 에지 기능을 갖지 않는 경우
(D3) 무선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 무선 핸드오버 수신지의 기지국 장치가 모두 에지 기능을 갖지 않는 경우
<7-1. 핸드오버 소스가 에지 기능을 갖지 않는 경우>
처음에, (D1)의 무선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가 에지 기능을 갖지 않는 경우의 처리를 설명한다. (D1)의 경우, 대상의 이동체 장치(50)의 애플리케이션 정보가 이미 무선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의 밖(예를 들어, 로컬 서버 장치(40) 등)에 있는 상태로 된다.
도 25는,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가 에지 기능을 갖지 않는 경우의 핸드오버의 수속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25의 예에서는, 무선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30)는, 무선 핸드오버의 개시 기준과 동일한 기준으로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처리를 개시한다. 또한, 또한, 도 25의 예에서는, 무선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30)는, 무선 핸드오버의 핸드오버 수신지가 되는 기지국 장치와 동일한 처리 장치를 핸드오버 수신지로 하여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를 실행한다. 그러나, 무선 핸드오버 소스가 되는 처리 장치와 애플리케이션 소스가 되는 처리 장치는 다르다.
또한, 도 25의 예에서는, 로컬 서버 장치(40)로서 로컬 서버 장치(401)가 도시되어 있지만, 로컬 서버 장치(40)는 로컬 서버 장치(401)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25의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30)로서 기지국 장치(301)가 도시되어 있지만, 기지국 장치(30)는 기지국 장치(301)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25의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20)로서 기지국 장치(203)가 도시되어 있지만, 기지국 장치(20)는 기지국 장치(203)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25의 예에서는, 이동체 장치(50)로서 이동체 장치(503)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동체 장치(50)는 이동체 장치(503)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동체 장치(503)는, 현재, 기지국 장치(301)에 접속되어 있으며, 다음으로 기지국 장치(203)에 접속되는 것으로 한다. 도 25의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301)는 에지 기능을 갖지 않고, 기지국 장치(203)는 에지 기능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동체 장치(503)는, 현재, 로컬 서버 장치(401)로부터 에지 기능의 제공을 받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25의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30) 등에 의해 실행되는 핸드오버는, 기지국 장치의 신호 품질에 따른 핸드오버로 되어 있지만, 이동체 장치(50)의 이동 상황(위치 정보, 이동 정보 등)에 따른 핸드오버여도 된다.
또한, 도 25의 예에서는, 무선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는, 에지 기능을 갖지 않는 기지국 장치(30)로 되어 있지만, 무선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를 에지 기능을 갖는 기지국 장치(20)로 하는 변형예도 고려된다.
우선, 이동체 장치(503)는, 기지국 장치(20, 30)로부터 무선 신호 품질 측정을 위한 참조 신호를 수신한다(스텝 S201a 내지 S201b). 그리고, 이동체 장치(503)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20, 30) 각각의 무선 신호 품질을 측정한다(스텝 S202). 이동체 장치(503)는, 측정 결과를 현재 접속하고 있는 기지국 장치(301)로 통지(피드백)한다(스텝 S203).
기지국 장치(301)는, 통지된 측정 결과를 기초로, 무선 핸드오버 및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4B). 핸드오버(무선 핸드오버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기지국 장치(301)는, 이동체 장치(503)가 핸드오버해야 할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 수신지 후보의 기지국 장치(203)로, 이동체 장치(503)를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시키고 싶다는 취지의 리퀘스트를 통지한다(스텝 S105).
핸드오버 수신지 후보의 기지국 장치(203)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리퀘스트를 수용할지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S106), 수용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리퀘스트를 수용할 것을 응답한다(스텝 S107).
리퀘스트를 수용 가능하다고 통지된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301)는,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현재의 카피 정보를 핸드오버 수신지의 기지국 장치(203)가 얻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 장치(301)는, 현재, 이동체 장치(503)에 에지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 로컬 서버 장치(401)에 대하여, 기지국 장치(203)를 핸드오버 수신지로 하여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를 실행하도록 명령을 한다(스텝 S108B1). 이 명령은, 예를 들어 로컬 서버 장치(401)의 취득부(441)에 의해 취득된다.
명령을 받은 로컬 서버 장치(401)는, 이동체 장치(503)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준비를 한다(스텝 S108B2). 그리고, 로컬 서버 장치(401)는, 핸드오버 수신지의 기지국 장치(203)에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를 실행한다(스텝 S109B). 이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처리는, 예를 들어 로컬 서버 장치(401)의 핸드오버 처리부(442)에 의해 실행된다. 이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처리는, 상술한 기지국 장치(20)의 핸드오버 처리부(242)가 실행하는 처리(예를 들어, 도 15나 도 22에 도시한 처리)와 마찬가지여도 된다. 도 15나 도 22에 도시한 핸드오버 처리부(242)의 기재는 적절히 핸드오버 처리부(442)로 치환한다.
로컬 서버 장치(401)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받은 기지국 장치(203)는, 이동체 장치(503)의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혹은 재구축)한다(스텝 S110). 애플리케이션의 (재)구축이 완료되면, 기지국 장치(202)는, 완료되었다는 취지를 기지국 장치(301)로 통지한다(스텝 S111).
기지국 장치(301)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준비가 완료되었다는 취지를 이동체 장치(503)로 통지한다(스텝 S112). 그리고, 이동체 장치(503)는, 애플리케이션의 (재)구축을 실행한다(스텝 S113). 이동체 장치(503)는, 애플리케이션의 (재)구축이 완료되면, 그 취지를 기지국 장치(301)로 통지한다(스텝 S114). 이미 이동체 장치(503)와 기지국 장치(203) 사이의 무선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상으로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가 완료가 된다.
이동체 장치(503)와 기지국 장치(203) 사이의 무선 접속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계속해서, 무선의 핸드오버 프로세스에 들어간다. 이동체 장치(503), 기지국 장치(301) 및 기지국 장치(203)는 무선 핸드오버를 실행한다(스텝 S205 내지 스텝 S215). 스텝 S205 내지 스텝 S215의 처리는, 도 14b에 도시한 스텝 S205 내지 스텝 S215와 마찬가지이다. 이때, 「기지국 장치(201)」의 기재는 「기지국 장치(301)」로, 「기지국 장치(202)」의 기재는 「기지국 장치(203)」로 치환한다. 루트 구축 응답(스텝 S215)에 의해 무선 핸드오버는 완료된다.
무선 핸드오버의 동안, 기지국 장치(203)가 아니라 로컬 서버 장치(401)의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44)가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실행하게 되지만, 이 동안에, 애플리케이션 정보가 변화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 수신지의 기지국 장치(203)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 소스의 로컬 서버 장치(401)에 대하여, 로컬 서버 장치(401)가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기지국 장치(203)에 송신하고 나서 현재까지의 동안에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변화(차분)가 없는지를 문의한다(스텝 S120B). 이 문의는, 기지국 장치(301)의 제어하에서 행해져도 되고, 기지국 장치(301)가 행해도 된다. 물론, 기지국 장치(203)가 로컬 서버 장치(401)에 직접 문의를 행해도 된다.
로컬 서버 장치(401)는,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21B). 변화가 있는 경우, 로컬 서버 장치(401)는, 기지국 장치(203)에 대하여, 추가 정보(예를 들어, 차분 정보)와 함께,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변화가 있다는 취지를 통지한다(스텝 S122B). 추가 정보(예를 들어, 차분 정보)의 송신은, 기지국 장치(301)의 제어하에서 행해져도 되고, 기지국 장치(301)를 통해 행해져도 된다. 물론, 로컬 서버 장치(401)가 기지국 장치(203)에 직접 송신해도 된다. 또한, 로컬 서버 장치(401)가 송신하는 추가 정보는, 카피 정보나 무브 정보여도 된다. 이상으로,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는 완료된다.
도 25의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301)는,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현재의 카피 정보를 로컬 서버 장치(401)에 송신시킨 후에, 무선 핸드오버의 처리를 실행하고 있다. 그리고, 기지국 장치(301)는, 카피 정보 송신 후의 애플리케이션 처리에 의해 추가의 애플리케이션 정보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추가의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로컬 서버 장치(401)에 송신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적어도 카피 정보의 송신 후에 추가의 애플리케이션 처리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지국 장치(301)는, 무선 핸드오버 시에 긴 지연을 일으키지 않고, 기지국 장치(203)에 대하여, 이동체 장치(501)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제공을 실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로컬 서버 장치(401)가 기지국 장치(203)에 송신하는 정보는 카피 정보이므로, 로컬 서버 장치(401)에 오리지널 정보는 남아 있다. 그 때문에, 핸드오버 실패 시에는, 로컬 서버 장치(401)가 오리지널 정보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계속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기지국 장치(201)는, 핸드오버 실패 시에도, 긴 지연을 일으키지 않고, 이동체 장치(501)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제공을 계속시킬 수 있다.
또한, 추가의 애플리케이션 정보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지국 장치(301)는, 카피 정보와 현재의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차분 정보를 로컬 서버 장치(401)에 송신시키고 있다. 송신되는 정보가 차분 정보이므로, 예를 들어 추가의 애플리케이션 정보가 발생하여도, 기지국 장치(301)는, 지연을 짧은 것으로 할 수 있다.
<7-2. 핸드오버 수신지가 에지 기능을 갖지 않는 경우>
다음으로, (D2)의 무선 핸드오버 수신지의 기지국 장치가 에지 기능을 갖지 않는 경우의 처리를 설명한다. (D2)에 대해서는, 이하의 2가지 대응이 더 고려된다.
(D2-1) 무선 핸드오버 수신지의 기지국 장치와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로컬 서버 장치(40) 등)에 대하여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를 행한다.
(D2-1)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를 하지 않는다.
이하, (D2-1)의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6은, 핸드오버 수신지의 기지국 장치가 에지 기능을 갖지 않는 경우의 핸드오버의 수속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26의 예에서는, 무선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20)는, 무선 핸드오버의 개시 기준과 동일한 기준으로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처리를 개시한다. 또한, 도 26의 예에서는, 무선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20)는, 무선 핸드오버의 핸드오버 수신지가 되는 기지국 장치와는 다른 처리 장치를 핸드오버 수신지로 하여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를 실행하고 있다.
또한, 도 26의 예에서는, 로컬 서버 장치(40)로서 로컬 서버 장치(401)가 도시되어 있지만, 로컬 서버 장치(40)는 로컬 서버 장치(401)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26의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20)로서 기지국 장치(203)가 도시되어 있지만, 기지국 장치(20)는 기지국 장치(203)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26의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30)로서 기지국 장치(302)가 도시되어 있지만, 기지국 장치(30)는 기지국 장치(302)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26의 예에서는, 이동체 장치(50)로서 이동체 장치(505)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동체 장치(50)는 이동체 장치(505)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26의 예에서는, 무선 핸드오버 수신지의 기지국 장치는, 에지 기능을 갖지 않는 기지국 장치(30)로 되어 있지만, 무선 핸드오버 수신지의 기지국 장치를 에지 기능을 갖는 기지국 장치(20)로 하는 변형예도 고려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동체 장치(505)는, 현재, 기지국 장치(203)에 접속되어 있으며, 다음으로 기지국 장치(302)에 접속되는 것으로 한다. 도 26의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203)는 에지 기능을 갖고 있으며, 기지국 장치(302)는 에지 기능을 갖고 있지 않다. 그리고, 이동체 장치(505)는, 현재, 기지국 장치(203)로부터 에지 기능의 제공을 받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26의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20)등에 의해 실행되는 핸드오버는, 기지국 장치의 신호 품질에 따른 핸드오버로 되어 있지만, 이동체 장치(50)의 이동 상황(위치 정보, 이동 정보 등)에 따른 핸드오버여도 된다.
우선, 이동체 장치(505)는, 기지국 장치(20, 30)로부터 무선 신호 품질 측정을 위한 참조 신호를 수신한다(스텝 S201a 내지 S201b). 그리고, 이동체 장치(505)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20, 30) 각각의 무선 신호 품질을 측정한다(스텝 S202). 이동체 장치(505)는, 측정 결과를 현재 접속하고 있는 기지국 장치(203)로 통지(피드백)한다(스텝 S203).
기지국 장치(203)는, 통지된 측정 결과를 기초로, 무선 핸드오버 및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4C). 핸드오버(무선 핸드오버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기지국 장치(203)는, 이동체 장치(505)가 핸드오버해야 할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 수신지 후보의 로컬 서버 장치(401)로, 이동체 장치(505)를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시키고 싶다는 취지의 리퀘스트를 통지한다(스텝 S105C). 이 통지는, 예를 들어 로컬 서버 장치(401)의 취득부(441)에 의해 취득된다.
핸드오버 수신지 후보의 로컬 서버 장치(401)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리퀘스트를 수용할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6C). 그리고, 수용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로컬 서버 장치(401)는, 리퀘스트를 수용할 것을 응답한다(스텝 S107C).
리퀘스트를 수용 가능하다고 통지된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203)는,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현재의 카피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 수신지의 로컬 서버 장치(401)가 얻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 장치(203)는, 이동체 장치(505)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준비를 하고(스텝 S108C), 핸드오버 수신지의 로컬 서버 장치(401)로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를 실행한다(스텝 S109C). 이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처리는,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3)의 핸드오버 처리부(242)에 의해 실행된다. 이 경우, 도 15나 도 23에 도시한 처리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 수신지가 기지국 장치(20)가 아니라, 로컬 서버 장치(40)로 된다.
기지국 장치(203)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받은 로컬 서버 장치(401)는, 이동체 장치(505)의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혹은 재구축)한다(스텝 S110C). 애플리케이션의 (재)구축이 완료되면, 로컬 서버 장치(401)는, 완료되었다는 취지를 기지국 장치(203)로 통지한다(스텝 S111C).
기지국 장치(203)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준비가 완료되었다는 취지를 이동체 장치(505)로 통지한다(스텝 S112). 그리고, 이동체 장치(505)는, 애플리케이션의 (재)구축을 실행한다(스텝 S113). 이동체 장치(505)는, 애플리케이션의 (재)구축이 완료되면, 그 취지를 기지국 장치(203)로 통지한다(스텝 S114). 이미 이동체 장치(505)와 로컬 서버 장치(401) 사이의 무선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상으로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가 완료가 된다.
이동체 장치(505)와 로컬 서버 장치(401) 사이의 무선 접속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계속해서, 무선의 핸드오버 프로세스에 들어간다. 이동체 장치(505), 기지국 장치(203) 및 기지국 장치(302)는 무선 핸드오버를 실행한다(스텝 S205 내지 스텝 S215). 스텝 S205 내지 스텝 S215의 처리는, 도 14b에 도시한 스텝 S205 내지 스텝 S215와 마찬가지이다. 이때, 「기지국 장치(201)」의 기재는 「기지국 장치(203)」로, 「기지국 장치(202)」의 기재는 「기지국 장치(302)」로 치환한다. 루트 구축 응답(스텝 S215)에 의해 무선 핸드오버는 완료된다.
무선 핸드오버의 동안, 로컬 서버 장치(401)가 아니라 기지국 장치(203)가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실행하게 되지만, 이 동안에, 애플리케이션 정보가 변화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 수신지의 로컬 서버 장치(401)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203)에 대하여,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송신으로부터 현재까지의 동안에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변화(차분)가 없는지를 문의한다(스텝 S120C).
기지국 장치(203)는,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21C). 변화가 있는 경우, 기지국 장치(203)는, 스텝 S109C에서 송신한 카피 정보와 현재의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차분 정보를 로컬 서버 장치(401)가 얻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 장치(203)는, 로컬 서버 장치(401)에 대하여, 추가 정보(예를 들어, 차분 정보)와 함께,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변화가 있다는 취지를 통지한다(스텝 S122B). 또한, 기지국 장치(203)가 송신하는 추가 정보는, 카피 정보나 무브 정보여도 된다. 이상으로,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는 완료된다.
도 26의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203)는,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현재의 카피 정보를 로컬 서버 장치(401)에 송신한 후에, 무선 핸드오버의 처리를 실행하고 있다. 그리고, 기지국 장치(203)는, 카피 정보 송신 후의 애플리케이션 처리에 의해 추가의 애플리케이션 정보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추가의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로컬 서버 장치(401)에 송신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적어도 카피 정보의 송신 후에 추가의 애플리케이션 처리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지국 장치(203)는, 무선 핸드오버 시에 긴 지연을 일으키지 않고, 로컬 서버 장치(401)에 대하여, 이동체 장치(501)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제공을 실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기지국 장치(203)가 로컬 서버 장치(401)에 송신하는 정보는 카피 정보이므로, 기지국 장치(203)에 오리지널 정보는 남아 있다. 그 때문에, 핸드오버 실패 시에는, 기지국 장치(203)가 오리지널 정보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계속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기지국 장치(201)는, 핸드오버 실패 시에도, 긴 지연을 일으키지 않고, 이동체 장치(501)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제공을 계속할 수 있다.
또한, 추가의 애플리케이션 정보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기지국 장치(203)는, 카피 정보와 현재의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차분 정보를 로컬 서버 장치(401)에 송신하고 있다. 송신하는 정보가 차분 정보이므로, 예를 들어 추가의 애플리케이션 정보가 발생하여도, 기지국 장치(203)는, 지연을 짧은 것으로 할 수 있다.
<7-3. 양쪽이 에지 기능을 갖지 않는 경우>
다음으로, (D3)의 무선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 무선 핸드오버 수신지의 기지국 장치가 모두 에지 기능을 갖지 않는 경우의 처리를 설명한다. (D3)의 경우,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는 기지국 장치와는 다른 장치끼리(예를 들어, 로컬 서버 장치(40)끼리) 실행되게 된다. 이에 의해, 이동체 장치(50)가 에지 기능을 갖지 않는 기지국 장치(30) 사이를 이동하는 경우에도, 에지 기능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도 27은, 핸드오버 소스와 핸드오버 수신지가 모두 에지 기능을 갖지 않는 경우의 핸드오버의 수속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27의 예에서는, 무선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30)는, 무선 핸드오버의 개시 기준과 동일한 기준으로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처리를 개시한다. 또한, 도 27의 예에서는, 무선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30)는, 무선 핸드오버의 핸드오버 수신지가 되는 기지국 장치와는 다른 처리 장치를 핸드오버 수신지로 하여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를 실행한다. 무선 핸드오버 소스가 되는 처리 장치와 애플리케이션 소스가 되는 처리 장치도 다르다.
또한, 도 27의 예에서는, 로컬 서버 장치(40)로서 로컬 서버 장치(401)가 도시되어 있지만, 로컬 서버 장치(40)는 로컬 서버 장치(401)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27의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30)로서 기지국 장치(302, 303)가 도시되어 있지만, 기지국 장치(30)는 기지국 장치(302, 303)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27의 예에서는, 이동체 장치(50)로서 이동체 장치(506)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동체 장치(50)는 이동체 장치(506)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동체 장치(506)는, 현재, 기지국 장치(302)에 접속되어 있으며, 다음으로 기지국 장치(303)에 접속되는 것으로 한다. 도 27의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302, 303)는 모두 에지 기능을 갖고 있지 않고, 로컬 서버 장치(401, 402)가 에지 기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이동체 장치(506)는, 현재, 로컬 서버 장치(401)로부터 에지 기능의 제공을 받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27의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20) 등에 의해 실행되는 핸드오버는, 기지국 장치의 신호 품질에 따른 핸드오버로 되어 있지만, 이동체 장치(50)의 이동 상황(위치 정보, 이동 정보 등)에 따른 핸드오버여도 된다.
또한, 도 27의 예에서는, 무선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 및 무선 핸드오버 수신지의 기지국 장치는, 모두, 에지 기능을 갖지 않는 기지국 장치(30)로 되어 있지만, 무선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 및 무선 핸드오버 수신지의 기지국 장치의 한쪽 혹은 양쪽을, 에지 기능을 갖는 기지국 장치(20)로 하는 변형예도 고려된다.
우선, 이동체 장치(506)는, 기지국 장치(20, 30)로부터 무선 신호 품질 측정을 위한 참조 신호를 수신한다(스텝 S201a 내지 S201b). 그리고, 이동체 장치(506)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20, 30) 각각의 무선 신호 품질을 측정한다(스텝 S202). 이동체 장치(506)는, 측정 결과를 현재 접속하고 있는 기지국 장치(302)로 통지(피드백)한다(스텝 S203).
기지국 장치(302)는, 통지된 측정 결과를 기초로, 무선 핸드오버 및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4D). 핸드오버(무선 핸드오버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기지국 장치(302)는, 이동체 장치(506)가 핸드오버해야 할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 수신지 후보의 로컬 서버 장치(402)로, 이동체 장치(506)를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시키고자 하는 취지의 리퀘스트를 통지한다(스텝 S105D).
핸드오버 수신지 후보의 로컬 서버 장치(402)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리퀘스트를 수용할지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S106D), 수용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리퀘스트를 수용할 것을 응답한다(스텝 S107D).
리퀘스트를 수용 가능하다고 통지된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302)는,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현재의 카피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 수신지의 로컬 서버 장치(402)가 얻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 장치(302)는, 현재, 이동체 장치(506)에 에지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 로컬 서버 장치(401)에 대하여, 로컬 서버 장치(402)를 핸드오버 수신지로 하여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를 실행하도록 명령을 한다(스텝 S108D1).
명령을 받은 로컬 서버 장치(401)는, 이동체 장치(506)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준비를 하고(스텝 S108D2), 핸드오버 수신지의 로컬 서버 장치(402)에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를 실행한다(스텝 S109D). 이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처리는, 예를 들어 로컬 서버 장치(401)의 핸드오버 처리부(442)에 의해 실행된다. 도 15나 도 22에 도시한 핸드오버 처리부(242)의 기재는 적절히 핸드오버 처리부(442)로 치환한다. 또한, 이 경우, 도 15나 도 23에 도시한 처리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 수신지가 기지국 장치(20)가 아니라, 로컬 서버 장치(402)로 된다.
로컬 서버 장치(401)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받은 로컬 서버 장치(402)는, 이동체 장치(506)의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혹은 재구축)한다(스텝 S110D). 애플리케이션의 (재)구축이 완료되면, 로컬 서버 장치(402)는, 완료되었다는 취지를 기지국 장치(302)로 통지한다(스텝 S111D).
기지국 장치(302)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준비가 완료되었다는 취지를 이동체 장치(506)로 통지한다(스텝 S112). 그리고, 이동체 장치(506)는, 애플리케이션의 (재)구축을 실행한다(스텝 S113). 이동체 장치(506)는, 애플리케이션의 (재)구축이 완료되면, 그 취지를 기지국 장치(302)로 통지한다(스텝 S114). 이미 이동체 장치(506)와 로컬 서버 장치(402) 사이의 무선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는, 이상으로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가 완료가 된다.
이동체 장치(506)와 로컬 서버 장치(402) 사이의 무선 접속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계속해서, 무선의 핸드오버 프로세스에 들어간다. 이동체 장치(506), 기지국 장치(302) 및 기지국 장치(303)는 무선 핸드오버를 실행한다(스텝 S205 내지 스텝 S215). 스텝 S205 내지 스텝 S215의 처리는, 도 14b에 도시한 스텝 S205 내지 스텝 S215와 마찬가지이다. 이때, 「기지국 장치(201)」의 기재는 「기지국 장치(302)」로, 「기지국 장치(202)」의 기재는 「기지국 장치(303)」로 치환한다. 루트 구축 응답(스텝 S215)에 의해 무선 핸드오버는 완료된다.
무선 핸드오버의 동안, 로컬 서버 장치(402)가 아니라 로컬 서버 장치(401)가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실행하게 되지만, 이 동안에, 애플리케이션 정보가 변화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 수신지의 로컬 서버 장치(402)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 소스의 로컬 서버 장치(401)에 대하여, 로컬 서버 장치(401)가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송신하고 나서 현재까지의 동안에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변화(차분)가 없는지를 문의한다(스텝 S120D). 이 문의는, 기지국 장치(302)의 제어하에서 행해져도 되고, 기지국 장치(302)가 행해도 된다. 물론, 로컬 서버 장치(402)가 로컬 서버 장치(401)에 직접 문의를 행해도 된다.
로컬 서버 장치(401)는,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S121D), 변화가 있는 경우, 로컬 서버 장치(401)는, 로컬 서버 장치(402)에 대하여, 추가 정보(예를 들어, 차분 정보)와 함께,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변화가 있다는 취지를 통지한다(스텝 S122D). 추가 정보(예를 들어, 차분 정보)의 송신은, 기지국 장치(302)의 제어하에서 행해져도 되고, 기지국 장치(302)를 통해 행해도 된다. 물론, 로컬 서버 장치(401)가 로컬 서버 장치(402)에 직접 송신해도 된다. 또한, 로컬 서버 장치(401)가 송신하는 추가 정보는, 카피 정보나 무브 정보여도 된다. 이상으로,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는 완료된다.
도 27의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302)는,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현재의 카피 정보를 로컬 서버 장치(401)에 송신시킨 후에, 무선 핸드오버의 처리를 실행하고 있다. 그리고, 기지국 장치(302)는, 카피 정보 송신 후의 애플리케이션 처리에 의해 추가의 애플리케이션 정보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추가의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로컬 서버 장치(401)에 송신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적어도 카피 정보의 송신 후에 추가의 애플리케이션 처리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지국 장치(302)는, 무선 핸드오버 시에 긴 지연을 일으키지 않고, 로컬 서버 장치(402)에 대하여, 이동체 장치(501)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제공을 실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로컬 서버 장치(401)가 로컬 서버 장치(402)에 송신하는 정보는 카피 정보이므로, 로컬 서버 장치(401)에 오리지널 정보는 남아 있다. 그 때문에, 핸드오버 실패 시에는, 로컬 서버 장치(401)가 오리지널 정보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계속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기지국 장치(201)는, 핸드오버 실패 시에도, 긴 지연을 일으키지 않고, 이동체 장치(501)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제공을 계속시킬 수 있다.
또한, 추가의 애플리케이션 정보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기지국 장치(302)는, 카피 정보와 현재의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차분 정보를 로컬 서버 장치(401)에 송신시키고 있다. 송신되는 정보가 차분 정보이므로, 예를 들어 추가의 애플리케이션 정보가 발생하여도, 기지국 장치(201)는, 지연을 짧은 것으로 할 수 있다.
<<8. 변형예>>
상술한 실시 형태는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다양한 변경 및 응용이 가능하다.
<8-1. 핸드오버 처리의 수순에 관한 변형예>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핸드오버 수신지 후보의 처리 장치는 하나였다. 그러나, 핸드오버 수신지 후보의 장치는 복수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무선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현재의 카피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 수신지 후보/무선 핸드오버 수신지 후보가 되는 복수의 처리 장치가 각각 얻기 위한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그리고, 무선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는, 복수의 처리 장치 중의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 수신지/무선 핸드오버 수신지로서 결정된 하나의 처리 장치를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 수신지로 하여 무선 핸드오버의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그 후, 무선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는, 카피 정보와 현재의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차분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 수신지로서 결정된 처리 장치가 얻기 위한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이에 의해, 무선 핸드오버 수신지가 결정하는 타이밍보다 빠른 타이밍에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일부의 처리(카피 정보의 송신)를 선행하여 실행할 수 있으므로, 기지국 장치는, 무선 핸드오버의 개시 기준을 충족한 후 빠르게 핸드오버를 완료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저지연이 실현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기지국 장치(20) 등의 정보 처리 장치(혹은 처리 장치)는, 무선 핸드오버와 함께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를 실행하였다. 그러나, 정보 처리 장치(혹은 처리 장치)는, 반드시 무선 핸드오버와 함께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를 동시에 실행하지는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는, 이동체 장치(50)의 무선 통신에 관한 신호 품질이 소정의 기준을 충족한 경우에는, 무선 핸드오버와 함께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를 실행한다. 한편, 기지국 장치(20)는, 신호 품질이 소정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를 실행하지 않고 무선 핸드오버를 실행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와 이동체 장치(50)의 무선 신호 품질이 나빠 조만간 무선 접속이 끊어질 것 같은 경우 등, 무선 핸드오버에 추가하여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를 실행할 여유가 없는 경우라도, 기지국 장치(20)는, 기지국 장치와 이동체 장치(50)의 무선 접속을 끊어진 상태로 두지 않고,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제공을 계속할 수 있다.
혹은, 기지국 장치(20)는,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되는 이동체 장치(50)의 이동 상황이 소정의 기준을 충족한 경우에는, 무선 핸드오버와 함께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를 실행한다. 한편, 기지국 장치(20)는, 이동 상황이 소정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를 실행하지 않고 무선 핸드오버를 실행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이동체 장치(50)가 고속으로 이동하고 있어 조만간 무선 접속이 끊어질 것 같은 경우 등, 무선 핸드오버에 추가하여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를 실행할 여유가 없는 경우라도, 기지국 장치(20)는, 기지국 장치와 이동체 장치(50)의 무선 접속을 끊어진 상태로 두지 않고,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제공을 계속할 수 있다.
<8-2. 애플리케이션 단위의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 수신지는 하나의 기지국 장치(20) 또는 로컬 서버 장치(40)로 하였다. 즉, 상술한 실시 형태는, 애플리케이션의 관점에서, 하나의 이동체 장치(50)가 하나의 기지국 장치(20) 또는 로컬 서버 장치(40)에 접속하는 상태였다.
그러나, 애플리케이션의 관점에서, 하나의 이동체 장치(50)가 복수의 기지국 장치(20) 또는 로컬 서버 장치(40)에 접속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는, 애플리케이션 단위로 접속하는 기지국 장치(20) 또는 로컬 서버 장치(40)를 선택한다. 그리고,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를 애플리케이션 단위로 실시해도 된다.
예를 들어,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 수신지의 기지국 장치(20) 또는 로컬 서버 장치(40)를 선택하는 흐름(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한 처리)을, 애플리케이션마다 독립적으로 실시한다. 그 때, 선택의 지표·기준에 대하여, 애플리케이션별로 다른 지표·기준을 채용해도 된다. 그 결과로서,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 수신지의 기지국 장치(20) 또는 로컬 서버 장치(40)가 복수의 장치로 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도 28은, 핸드오버 수신지의 장치가 복수로 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의 예에서는, 이동체 장치(50)에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제공하는 장치는, 무선 접속된 기지국 장치(20)뿐만 아니라, 로컬 서버 장치(401), 로컬 서버 장치(402), 로컬 서버 장치(403)로 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핸드오버 수신지 혹은 핸드오버 소스의 장치는, 애플리케이션 (재)구성의 실시에 대하여, 애플리케이션마다(접속 수신지의 처리 장치마다) 이동체 장치(50)에 대한 명령을 설정한다. 또한, 이동체 장치(50)는, 애플리케이션마다(접속 수신지의 처리 장치마다) 파라미터의 설정·변경을 실시한다.
또한, 도 28의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20), 로컬 서버 장치(401), 로컬 서버 장치(402) 및 로컬 서버 장치(403)는, 각각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이동체 장치(50)에 제공하고 있다. 이때,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는, 핸드오버 수신지가 되는 장치의 특성에 합치한 애플리케이션을 핸드오버 수신지의 장치에 할당해도 된다.
예를 들어,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는, 짧은 지연 시간이 요구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처리는, 기지국 장치(20)에 할당하고, 작은 패킷 손실이 요구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처리는, 패킷 손실이 작은 로컬 서버 장치(401)에 할당한다. 또한,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는, 멀티스레드가 요구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처리는, 스레드 수가 많은 처리가 가능한 로컬 서버 장치(402)에 할당하고, 높은 스루풋이 요구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처리는, 높은 스루풋이 기대되는 로컬 서버 장치(403)에 할당한다.
<8-3. 애플리케이션의 구체예>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에서 대상으로 될 수 있는 것의 예를 든다. 우선, 본 실시 형태의 애플리케이션은, 스테이트풀(Stateful)의 애플리케이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캐시, 쿠키, 세션 등을 이용하는 것, 시계열 정보, 공간 정보(위치 정보)를 보유하여 이용하는 것, 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한 계산이며, 에지 기능으로 계산이 실시되는 것, 가상 머신(VM: Virtual Machine)·컨테이너(Container) 등이 애플리케이션에 결부되어 기동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도 29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 시에, 핸드오버 소스의 장치로부터 핸드오버 수신지의 장치에 주고받는 정보(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의 예에서는,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 시에, 핸드오버 소스의 기지국 장치(201)로부터 핸드오버 수신지의 기지국 장치(202)로 송신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애플리케이션 정보는, 예를 들어 유저 ID, 장치 ID, 포트, 캐시, 쿠키, 세션, 시계열 정보, 공간 정보, 위치 정보, VM/Container 정보, 계산 경과 정보 등,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제공을 위해서 필요한 정보이다. 물론, 애플리케이션 정보는 이 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교환은,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카피 또는 무브로 실현이 가능하다.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카피에서는, 핸드오버 소스의 장치에도 애플리케이션 정보가 남고,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무브에서는, 핸드오버 소스의 장치에는 애플리케이션 정보가 남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카피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핸드오버가 완료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그 경우에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를 취소하거나 혹은 철회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이다.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를 취소할 경우, 핸드오버 소스의 장치에 남아 있는 정보를 기초로 하여, 대상의 이동체 장치(50)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제공을 계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 및 이동체 장치(50)가 관계되는 시스템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의 예로서, 동적인 지도 정보(Dynamic Map)를 들 수 있다. 동적 지도는, 예를 들어 이동체 장치(50)의 자동 운전(사람이 조작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램이나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는 이동)에 있어서의 주변 환경의 인식을 돕는 것으로서 활용된다. 동적 지도는, 도로 그 자체, 건물 등, 비교적 시간 변화가 작은(또는 시간 변화가 없는) 것의 정보(정적 대상물(Static Objects))와, 대상이 되는 이동체 장치(50)의 주변에 관계되는 것(주위의 다른 이동체 장치(50), 사람, 동물, 교통 정보 등), 날씨(일광, 비, 바람, 온도 등)와 같이 비교적 시간 변화가 큰 것(또는 시간 변화가 있는 것)의 정보(동적 대상물(Dynamic Objects))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로 된다(대상물의 구분은, 정적, 동적의 2레벨뿐만 아니라, 3레벨 이상의 구분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대상물의 구분을 4레벨(정적 대상물(Static Object), 시간 단위 정도로의 변화를 수반하는 준정적 대상물(Semi-Static Object), 분단위 정도로의 변화를 수반하는 준동적 대상물(Semi-Dynamic Object), 초단위 정도로의 변화를 수반하는 동적 대상물(Dynamic Object))로 해도 됨). 또한, 이동체 장치(50) 고유의 설정(Setting이나 Preference, 예를 들어 도달 시간을 우선하는, 고속도로를 사용하거나, 유료도로를 사용하는, 반드시 통과하고자 하는 통과 포인트 등)도 동적 지도에 포함된다.
이와 같은 정보 중, 정적 대상물의 정보는, 시간 변화가 없으므로, 예를 들어 네트워크 클라우드나 클라우드상의 서버 장치(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 장치 CS)가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간적 변화가 없는 것, 적은 것은, 빈번히 갱신할 필요성이 낮아, 취득·갱신을 위한 통신에 어느 정도 지연이 발생해도 허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정적 대상물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서 이동체 장치(50)가 그 클라우드나 서버 장치에 액세스하는 빈도는 그다지 높지 않다. 또는, 이동체 장치(50) 자신의 기록 영역에 사전에(예를 들어 제조 시에) 기입 또는 보존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이것에 의한 불필요한 다운로드의 실행을 회피할 수 있음).
한편, 동적 대상물의 정보는, 대상의 이동체 장치(50)의 이동과 함께 추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지금까지의 설명과 같이, 이동체 장치(50)와의 거리(물리적 거리)가 비교적 가깝고, 에지 기능이나 지도 데이터(애플리케이션 데이터)의 기억 보유 기능을 갖는 장치(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나 로컬 서버 장치(40))로 동적 대상물 정보를 배치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도의 갱신 등을 기지국 장치(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나 네트워크 장치(예를 들어, 로컬 서버 장치(40))측에서 처리하는 경우, 이동체 장치(50)마다의 설정 정보도 대상의 이동체 장치(50)와 함께 추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동적 지도를 제공하기 위해서, 지도를 구성하는 데이터의 개개의 특징을 감안하면서, 그것들을 다른 복수의 개소(논리적인 개소)로 분산해서 배치하여 제공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전체로서의 부하나 지연의 허용량을 완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 및 이동체 장치(50)가 관계되는 시스템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의 다른 예로서, 동화상·음성 등(이하, '동화상'이라 함)의 배신·소재 전송을 들 수 있다. 이 애플리케이션 중에서는, 동화상을 적절한 코덱, 포맷, 대역(데이터 레이트, 비트 레이트), 품질 등을 충족하도록 부호화·복호화·편집 등을 할 필요가 있다. 종래라면, 동화상의 부호화·복호화를 취급하는 것은, 클라우드측의 애플리케이션 서버 장치(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 장치 CS), 유저측의 이동체 장치(50)(단말 장치)(소위 End-to-End)로 실시되고 있었지만, 저지연에서의 배신·소재 전송을 실현하려고 하는 경우, 통신 네트워크 경로 내의 무선·유선 네트워크의 통신 품질을 감안하는 등의 미세한 제어가 필요해진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 중에서는, 에지 기능으로서 부호화·복호화·편집 등을 제공한다.
네트워크로부터 이동체 장치(50)로의 다운로드에 있어서는, 기지국(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 30))과 이동체 장치(50) 사이의 무선 네트워크의 상황을 감안하여 동화상의 대역을 제어하면서 에지 기능을 갖는 장치가 부호화·복호화를 실시하거나, 동화상 내 필요한 부분만을 이동체 장치(50)에 송신하고, 불필요한 부분을 파기하거나, 필요한 부분과 불필요한 부분에서 부호화 등의 파라미터를 바꾸는(예를 들어, 필요한 부분에 고품위의 부호화 처리를 실시하고, 불필요한 부분은 필요한 부분보다 저품위의 부호화 처리를 실시) 등을 하게 된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정보로서, 제어한 결과의 대역, 코덱, 포맷, 부호화 방법 등의 파라미터를 이동체 장치(50)로 통지한다. 이동체 장치(50)는, 통지를 받은 파라미터에 따라서 동화상의 복호를 실시하게 된다.
이동체 장치(50)로부터 네트워크 및 서버 장치로의 소재 업로드에 대해서도, 무선 네트워크의 상황을 감안하면서, 이동체 장치(50)가 이용해야 할 대역, 코덱, 포맷, 부호화 방법 등의 파라미터를 통지·지정한다. 이동체 장치(50)는, 통지·지정된 파라미터에 의해, 업로드할 동화상을 부호화 등을 하도록 한다. 특히 소재 업로드의 경우에는, 소재 수집 후에 어떠한 용도로 동화상을 이용할지를 정하는 경우도 있어서, 코덱으로서, 무압축 혹은 가역 압축이 가능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체 장치(50)가 기지국 간을 이동하여 핸드오버를 할 때에는, 에지 기능을 갖는 장치의 사이에서도 제어에 사용하고 있던 파라미터나 동화상의 소재를 애플리케이션 정보로서 이동(카피/무브)을 함으로써, 핸드오버 전후에서도 원활한 동화상의 배신·소재 수집을 실현한다.
<8-4. 기타 변형예>
본 실시 형태의 관리 장치(10), 기지국 장치(20), 기지국 장치(30), 로컬 서버 장치(40), 또는 이동체 장치(50)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는, 전용의 컴퓨터 시스템으로 실현해도 되고, 범용의 컴퓨터 시스템으로 실현해도 된다.
예를 들어, 상술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광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자기 테이프, 플렉시블 디스크 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해서 배포한다. 그리고, 예를 들어 해당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인스톨하고, 상술한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제어 장치를 구성한다. 이때, 제어 장치는, 관리 장치(10), 기지국 장치(20), 기지국 장치(30), 로컬 서버 장치(40), 또는 이동체 장치(50)의 외부의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여도 된다. 또한, 제어 장치는, 관리 장치(10), 기지국 장치(20), 기지국 장치(30), 로컬 서버 장치(40), 또는 이동체 장치(50)의 내부 장치(예를 들어, 제어부(13), 제어부(24), 제어부(34), 제어부(44), 또는 제어부(55))여도 된다.
또한, 상기 통신 프로그램을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상의 서버 장치가 구비하는 디스크 장치에 저장해 두고, 컴퓨터에 다운로드 등을 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기능을, OS(Operating System)와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협동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OS 이외의 부분을 매체에 저장하여 배포해도 되며, OS 이외의 부분을 서버 장치에 저장해 두고, 컴퓨터에 다운로드 등을 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각 처리 중, 자동적으로 행해지는 것으로서 설명한 처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동적으로 행할 수도 있으며, 혹은 수동적으로 행해지는 것으로서 설명한 처리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공지된 방법으로 자동적으로 행할 수도 있다. 이밖에, 상기 문서 중이나 도면 중에 나타낸 처리 수순, 구체적 명칭, 각종 데이터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정보에 대해서는, 특기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도면에 나타낸 각종 정보는, 도시한 정보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시한 각 장치의 각 구성 요소는 기능 개념적인 것이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을 것을 요하지는 않는다. 즉, 각 장치의 분산·통합의 구체적 형태는 도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그 전부 또는 일부를, 각종 부하나 사용 상황 등에 따라 임의의 단위로 기능적 또는 물리적으로 분산·통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는, 처리 내용을 모순시키지 않는 영역에서 적절히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시퀀스도 혹은 흐름도에 나타내어진 각 스텝은, 적절히 순서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9. 결론>>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정보 처리 장치(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는, 이동체 장치(50)에 무선 통신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기능을 제공하는 처리 장치(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 로컬 서버 장치(40))가 적어도 하나 접속된 네트워크 N1에 접속하고 있다. 정보 처리 장치는, 네트워크 N1에 접속된 소정의 처리 장치가 실행하고 있거나 혹은 자기 자신이 실행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네트워크 N1에 접속된 다른 처리 장치에 인계시키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핸드오버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처리가 이동체 장치(50)에 네트워크 N1상에서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는 처리 장치(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로 차례차례로 인계된다. 그 때문에, 이동체 장치(50)의 이동에 수반하여,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 장치와 이동체 장치(50)의 네트워크상의 거리가 크게 이격되는 것이 억제된다. 그 결과, 대부분의 경우에서, 애플리케이션 처리가 이동체 장치(50)에 네트워크상에서 가까운 위치에서 실행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저지연의 처리가 실현된다.
이상, 본 개시의 각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각 실시 형태 그대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개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 걸치는 구성 요소를 적절히 조합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지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른 효과가 있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도 취할 수 있다.
(1)
이동체 장치에 무선 통신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기능을 제공하는 처리 장치가 적어도 하나 접속된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네트워크 통신부와,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소정의 처리 장치가 실행하고 있거나 혹은 자기 자신이 실행하고 있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처리 장치에 인계시키기 위한 제1 핸드오버의 처리를 실행하는 핸드오버 처리부
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는, 소정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이며,
상기 정보 처리 장치 및 상기 다른 처리 장치는, 각각,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상기 이동체 장치와 무선 접속 가능한 기지국 장치이며,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상기 제1 핸드오버의 처리에 추가하여, 상기 이동체 장치와 상기 기지국 장치의 무선 접속을 상기 이동체 장치와 다른 기지국 장치의 무선 접속으로 전환하는 제2 핸드오버의 처리를 실행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3)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상기 제1 핸드오버의 처리의 일부 혹은 전부를 실행한 후에, 상기 제2 핸드오버의 처리를 실행하는
상기 (2)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4)
상기 제1 핸드오버의 처리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계속에 필요한 정보인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다른 처리 장치가 얻기 위한 처리가 포함되고,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현재의 카피 정보를 상기 다른 처리 장치가 얻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 후에, 상기 제2 핸드오버의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카피 정보를 상기 다른 처리 장치가 얻기 위한 처리 후의 상기 애플리케이션 처리에 의해 추가의 애플리케이션 정보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추가의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다른 처리 장치가 얻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는
상기 (3)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5)
상기 제1 핸드오버의 처리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계속에 필요한 정보인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다른 처리 장치가 얻기 위한 처리가 포함되고,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현재의 카피 정보를 상기 다른 처리 장치가 얻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 후에, 상기 제2 핸드오버의 처리를 실행하고, 그 후, 상기 카피 정보와 현재의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차분 정보를 상기 다른 처리 장치가 얻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는
상기 (3)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6)
상기 제1 핸드오버의 처리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계속에 필요한 정보인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핸드오버 수신지 후보가 되는 처리 장치가 얻기 위한 처리가 포함되고,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현재의 카피 정보를 핸드오버 수신지 후보가 되는 복수의 처리 장치가 각각 얻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 후, 상기 복수의 처리 장치 중의 핸드오버 수신지로서 결정된 상기 다른 처리 장치를 핸드오버 수신지로 하여 상기 제2 핸드오버의 처리를 실행하고, 그 후, 상기 카피 정보와 현재의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차분 정보를 상기 다른 처리 장치가 얻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는
상기 (3)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7)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상기 제2 핸드오버의 핸드오버 수신지가 되는 처리 장치와 동일한 처리 장치를 핸드오버 수신지로 하여 상기 제1 핸드오버의 처리를 실행하는
상기 (2)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8)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상기 제2 핸드오버의 핸드오버 수신지가 되는 처리 장치와는 다른 처리 장치를 핸드오버 수신지로 하여 상기 제1 핸드오버의 처리를 실행하는 상기 (2)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9)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상기 제2 핸드오버의 개시 기준과 동일한 기준으로 상기 제1 핸드오버의 처리를 개시하는
상기 (2)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0)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상기 제2 핸드오버의 개시 기준과는 다른 기준으로 상기 제1 핸드오버의 처리를 개시하는
상기 (2) 내지 (8) 중 어느 하나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1)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상기 이동체 장치의 무선 통신에 관한 신호 품질이 소정의 기준을 충족한 경우에는, 상기 제2 핸드오버와 함께 상기 제1 핸드오버를 실행하고, 상기 신호 품질이 소정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제1 핸드오버를 실행하지 않고 상기 제2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상기 (2)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2)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상기 이동체 장치의 이동 상황이 소정의 기준을 충족한 경우에는, 상기 제2 핸드오버와 함께 상기 제1 핸드오버를 실행하고, 상기 이동 상황이 소정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제1 핸드오버를 실행하지 않고 상기 제2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상기 (2)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3)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상기 이동체 장치의 현재 위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되는 상기 이동체 장치의 이동 상황이 소정의 기준을 충족한 경우에는, 상기 제2 핸드오버와 함께 상기 제1 핸드오버를 실행하고, 상기 이동체 장치의 현재 위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되는 상기 이동체 장치의 이동 상황이 소정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제1 핸드오버를 실행하지 않고 상기 제2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상기 (12)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4)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상기 이동체 장치의 이동 상황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핸드오버의 핸드오버 수신지가 되는 처리 장치를 선택하는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5)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상기 이동체 장치의 현재 위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핸드오버의 핸드오버 수신지가 되는 처리 장치를 선택하는
상기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6)
상기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상기 제1 핸드오버의 처리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처리부가 실행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상기 다른 처리 장치에 인계시키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는
상기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7)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상기 제1 핸드오버의 처리로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는 다른 상기 소정의 처리 장치가 실행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 및 상기 소정의 처리 장치 중 어느 것과도 다른 상기 다른 처리 장치에 인계시키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는
상기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8)
이동체 장치에 무선 통신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기능을 제공하는 처리 장치가 적어도 하나 접속된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네트워크 통신부와,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소정의 처리 장치가 실행되어 있거나 혹은 정보 처리 장치 자신이 실행하고 있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처리 장치에 인계시키기 위한 제1 핸드오버의 처리를 실행하는 핸드오버 처리부를 구비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제1 핸드오버가 실행된 경우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기능의 제공을 받아서 처리를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구성을 변경하는 애플리케이션 구성 변경부
를 구비하는 이동체 장치.
(19)
애플리케이션 구성의 변경 명령을 취득하는 취득부를 구비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성 변경부는, 애플리케이션 구성의 변경 명령에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구성을 변경하는
상기 (18)에 기재된 이동체 장치.
(20)
상기 취득부는, 상기 다른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성의 변경 명령을 취득하는
상기 (19)에 기재된 이동체 장치.
(21)
상기 취득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성의 변경 명령으로서 애플리케이션의 버퍼 사이즈의 변경 명령을 취득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성 변경부는, 버퍼 사이즈의 변경 명령에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의 버퍼 사이즈를 변경하는
상기 (19) 또는 (20)에 기재된 이동체 장치.
(22)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성 변경부는, 스스로 판단한 구성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성을 하는
상기 (18)에 기재된 이동체 장치.
(23)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성의 변경은, 애플리케이션의 버퍼 사이즈의 변경이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성 변경부는, 상기 다른 처리 장치와 통신으로 발생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통신 지연에 기초하여 버퍼 사이즈를 변경하는
상기 (22)에 기재된 이동체 장치.
(24)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는, 소정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이며,
상기 정보 처리 장치 및 상기 다른 처리 장치는, 각각,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상기 이동체 장치와 무선 접속 가능한 기지국 장치이며,
상기 제1 핸드오버의 처리에 추가하여, 상기 이동체 장치와 상기 기지국 장치의 무선 접속을 상기 이동체 장치와 다른 기지국 장치로 전환하는 제2 핸드오버의 처리를 실행하는 핸드오버 처리부를 구비하는
상기 (18)에 기재된 이동체 장치.
(25)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상기 제1 핸드오버의 처리의 일부 혹은 전부를 실행한 후에, 상기 제2 핸드오버의 처리를 실행하는
상기 (24)에 기재된 이동체 장치.
(26)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성 변경부는, 상기 제1 핸드오버의 처리의 일부 혹은 전부를 실행한 후, 상기 제2 핸드오버의 처리가 완료되기 전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성을 변경하는
상기 (25)에 기재된 이동체 장치.
(27)
상기 제2 핸드오버가 실패한 경우, 혹은 상기 제2 핸드오버가 철회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성 변경부는 애플리케이션 구성을 변경 전의 상태로 되돌리는
상기 (26)에 기재된 이동체 장치.
(28)
이동체 장치에 무선 통신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기능을 제공하는 처리 장치가 적어도 하나 접속된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소정의 처리 장치가 실행하고 있거나 혹은 자기 자신이 실행하고 있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처리 장치에 인계시키기 위한 제1 핸드오버의 처리를 실행하는
정보 처리 방법.
(29)
컴퓨터를,
이동체 장치에 무선 통신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기능을 제공하는 처리 장치가 적어도 하나 접속된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네트워크 통신부,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소정의 처리 장치가 실행하고 있거나 혹은 자기 자신이 실행하고 있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처리 장치에 인계시키기 위한 제1 핸드오버의 처리를 실행하는 핸드오버 처리부
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정보 처리 프로그램.
1: 정보 처리 시스템
10: 관리 장치
20, 30: 기지국 장치
40: 로컬 서버 장치
50: 이동체 장치
11, 23, 33, 43, 53: 네트워크 통신부
12, 22, 32, 42, 52: 기억부
13, 24, 34, 44, 55: 제어부
21, 31, 41, 51: 무선 통신부
54: 입출력부
211, 311, 511: 수신 처리부
212, 312, 512: 송신 처리부
213, 313, 513: 안테나
241, 341, 441, 551: 취득부
242, 342, 442, 552: 핸드오버 처리부
243, 343, 443, 553: 송신부
244, 444, 554: 애플리케이션 처리부
555: 애플리케이션 구성 변경부

Claims (20)

  1. 이동체 장치에 무선 통신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기능을 제공하는 처리 장치가 적어도 하나 접속된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네트워크 통신부와,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소정의 처리 장치가 실행하고 있거나 혹은 자기 자신이 실행하고 있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처리 장치에 인계시키기 위한 제1 핸드오버의 처리를 실행하는 핸드오버 처리부
    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는, 소정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이며,
    상기 정보 처리 장치 및 상기 다른 처리 장치는, 각각,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상기 이동체 장치와 무선 접속 가능한 기지국 장치이며,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상기 제1 핸드오버의 처리에 추가하여, 상기 이동체 장치와 상기 기지국 장치의 무선 접속을 상기 이동체 장치와 다른 기지국 장치와의 무선 접속으로 전환하는 제2 핸드오버의 처리를 실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상기 제1 핸드오버의 처리의 일부 혹은 전부를 실행한 후에, 상기 제2 핸드오버의 처리를 실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핸드오버의 처리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계속에 필요한 정보인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다른 처리 장치가 얻기 위한 처리가 포함되고,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현재의 카피 정보를 상기 다른 처리 장치가 얻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 후에, 상기 제2 핸드오버의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카피 정보를 상기 다른 처리 장치가 얻기 위한 처리 후의 상기 애플리케이션 처리에 의해 추가의 애플리케이션 정보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추가의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다른 처리 장치가 얻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핸드오버의 처리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계속에 필요한 정보인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다른 처리 장치가 얻기 위한 처리가 포함되고,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현재의 카피 정보를 상기 다른 처리 장치가 얻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 후에, 상기 제2 핸드오버의 처리를 실행하고, 그 후, 상기 카피 정보와 현재의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차분 정보를 상기 다른 처리 장치가 얻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핸드오버의 처리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계속에 필요한 정보인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핸드오버 수신지 후보가 되는 처리 장치가 얻기 위한 처리가 포함되고,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현재의 카피 정보를 핸드오버 수신지 후보가 되는 복수의 처리 장치가 각각 얻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 후, 상기 복수의 처리 장치 중의 핸드오버 수신지로서 결정된 상기 다른 처리 장치를 핸드오버 수신지로 하여 상기 제2 핸드오버의 처리를 실행하고, 그 후, 상기 카피 정보와 현재의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차분 정보를 상기 다른 처리 장치가 얻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상기 제2 핸드오버의 핸드오버 수신지가 되는 처리 장치와 동일한 처리 장치를 핸드오버 수신지로 하여 상기 제1 핸드오버의 처리를 실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상기 제2 핸드오버의 핸드오버 수신지가 되는 처리 장치와는 다른 처리 장치를 핸드오버 수신지로 하여 상기 제1 핸드오버의 처리를 실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상기 제2 핸드오버의 개시 기준과 동일한 기준으로 상기 제1 핸드오버의 처리를 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상기 제2 핸드오버의 개시 기준과는 다른 기준으로 상기 제1 핸드오버의 처리를 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상기 이동체 장치의 무선 통신에 관한 신호 품질이 소정의 기준을 충족한 경우에는, 상기 제2 핸드오버와 함께 상기 제1 핸드오버를 실행하고, 상기 신호 품질이 소정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제1 핸드오버를 실행하지 않고 상기 제2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상기 이동체 장치의 이동 상황이 소정의 기준을 충족한 경우에는, 상기 제2 핸드오버와 함께 상기 제1 핸드오버를 실행하고, 상기 이동 상황이 소정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제1 핸드오버를 실행하지 않고 상기 제2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상기 이동체 장치의 현재 위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되는 상기 이동체 장치의 이동 상황이 소정의 기준을 충족한 경우에는, 상기 제2 핸드오버와 함께 상기 제1 핸드오버를 실행하고, 상기 이동체 장치의 현재 위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되는 상기 이동체 장치의 이동 상황이 소정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제1 핸드오버를 실행하지 않고 상기 제2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상기 이동체 장치의 이동 상황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핸드오버의 핸드오버 수신지가 되는 처리 장치를 선택하는
    정보 처리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상기 이동체 장치의 현재 위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핸드오버의 핸드오버 수신지가 되는 처리 장치를 선택하는
    정보 처리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상기 제1 핸드오버의 처리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처리부가 실행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상기 다른 처리 장치에 인계시키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처리부는, 상기 제1 핸드오버의 처리로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는 다른 상기 소정의 처리 장치가 실행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 및 상기 소정의 처리 장치 중 어느 것과도 다른 상기 다른 처리 장치에 인계시키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
  18. 이동체 장치에 무선 통신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기능을 제공하는 처리 장치가 적어도 하나 접속된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네트워크 통신부와,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소정의 처리 장치가 실행되어 있거나 혹은 정보 처리 장치 자신이 실행하고 있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처리 장치에 인계시키기 위한 제1 핸드오버의 처리를 실행하는 핸드오버 처리부를 구비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제1 핸드오버가 실행된 경우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기능의 제공을 받아서 처리를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구성을 변경하는 애플리케이션 구성 변경부
    를 구비하는 이동체 장치.
  19. 이동체 장치에 무선 통신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기능을 제공하는 처리 장치가 적어도 하나 접속된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소정의 처리 장치가 실행하고 있거나 혹은 자기 자신이 실행하고 있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처리 장치에 인계시키기 위한 제1 핸드오버의 처리를 실행하는
    정보 처리 방법.
  20. 컴퓨터를,
    이동체 장치에 무선 통신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처리의 기능을 제공하는 처리 장치가 적어도 하나 접속된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네트워크 통신부,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소정의 처리 장치가 실행하고 있거나 혹은 자기 자신이 실행하고 있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처리를,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처리 장치에 인계시키기 위한 제1 핸드오버의 처리를 실행하는 핸드오버 처리부
    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정보 처리 프로그램.
KR1020217024257A 2019-02-15 2020-02-05 정보 처리 장치, 이동체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 KR202101265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26094 2019-02-15
JPJP-P-2019-026094 2019-02-15
PCT/JP2020/004439 WO2020166461A1 (ja) 2019-02-15 2020-02-05 情報処理装置、移動体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570A true KR20210126570A (ko) 2021-10-20

Family

ID=72044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4257A KR20210126570A (ko) 2019-02-15 2020-02-05 정보 처리 장치, 이동체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24576A1 (ko)
EP (1) EP3927018A4 (ko)
JP (1) JP7480713B2 (ko)
KR (1) KR20210126570A (ko)
CN (1) CN113412646A (ko)
WO (1) WO20201664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84305B1 (en) * 2020-03-19 2022-03-22 T-Mobile Innov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buffer modification based on application category
JPWO2022138232A1 (ko) * 2020-12-23 2022-06-30
WO2022215549A1 (ja) * 2021-04-08 2022-10-13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処理システム、並びに、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WO2023062673A1 (ja) * 2021-10-11 2023-04-20 日本電気株式会社 管理システム、管理装置、及び管理方法
JP2024016723A (ja) * 2022-07-26 2024-02-07 エヌ・ティ・ティ・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WO2024069872A1 (ja) * 2022-09-29 2024-04-04 楽天モバイル株式会社 クラウド間を移動する端末装置の制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5847A (ja) 2006-07-07 2008-01-24 Hitachi Ltd 交通情報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14449A1 (ja) * 2007-03-20 2008-09-25 Fujitsu Limited ハンドオーバ処理による転送遅延を軽減できる基地局及びその方法
JPWO2009157171A1 (ja) * 2008-06-24 2011-12-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ハンドオーバ処理方法、その方法で用いられる移動端末及び接続管理装置
US8625532B2 (en) * 2010-07-08 2014-01-07 Microsoft Corporation Soft handoffs in networks
JP6096552B2 (ja) 2013-03-26 2017-03-15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端末、無線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2015220696A (ja) 2014-05-21 2015-12-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通信システムの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および基地局
WO2017130494A1 (ja) * 2016-01-27 2017-08-03 ソニー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無線通信装置
WO2018042572A1 (ja) 2016-08-31 2018-03-08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及び制御情報送信方法
JP6953706B2 (ja) * 2016-11-22 2021-10-27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基地局
WO2019011408A1 (en) * 2017-07-10 2019-01-17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C APPLICATION TRANSFER
JP7034682B2 (ja) * 2017-11-27 2022-03-1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11917483B2 (en) * 2019-01-30 2024-02-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plication in a cloud environ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5847A (ja) 2006-07-07 2008-01-24 Hitachi Ltd 交通情報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0166461A1 (ja) 2021-12-16
WO2020166461A1 (ja) 2020-08-20
JP7480713B2 (ja) 2024-05-10
EP3927018A4 (en) 2022-04-06
US20220124576A1 (en) 2022-04-21
EP3927018A1 (en) 2021-12-22
CN113412646A (zh) 2021-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8071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7452437B2 (ja) 通信装置、通信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WO2021117373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端末装置、基地局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21044819A1 (ja)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US20220046640A1 (en) Base station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base station device, termina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erminal device
WO2020031593A1 (ja) 通信装置
CN113347557A (zh) 用于改进连接可靠性的未来定位估计
EP4169177A1 (en) Methods, communictions devices, and non-terrestrial infrastructure equipment
WO2022138232A1 (ja)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CN112005564A (zh) 增强通信
WO2021132194A1 (ja) 端末装置、管理装置及び通信方法
EP42975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using sidelink information
WO2023276382A1 (ja)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WO2022050044A1 (ja) 管理装置、管理方法、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WO2021111751A1 (ja) 制御装置、基地局装置、制御方法および接続方法
WO2021192946A1 (ja) 基地局装置、アプリケーションファンクションノード及び通信方法
WO2021098479A1 (zh) 一种用于无线通信的通信节点中的方法和装置
US20220330334A1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21192930A1 (ja) アプリケーションファンクションノード及び通信方法
JP2023160637A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及び通信方法
CN116648957A (zh) 通信设备,通信方法和通信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