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4725A -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구조를 갖는 현상기 - Google Patents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구조를 갖는 현상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24725A KR20210124725A KR1020200042118A KR20200042118A KR20210124725A KR 20210124725 A KR20210124725 A KR 20210124725A KR 1020200042118 A KR1020200042118 A KR 1020200042118A KR 20200042118 A KR20200042118 A KR 20200042118A KR 20210124725 A KR20210124725 A KR 202101247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veloper
- developing
- shutter
- positioning member
- contact portion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92—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a slidable sealing member, e.g. shut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개시된 현상기는, 현상 롤러, 상기 현상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현상 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현상실과, 상기 현상실과 나란한 교반실과, 상기 현상실과 상기 교반실을 구분하며 상기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상기 현상실과 상기 교반실을 연통시키는 제1, 제2연통구가 마련된 격벽을 포함하는 현상제 이송부, 상기 현상제 이송부로부터 상기 현상 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현상제 이송부로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가 마련된 현상제 공급부, 상기 현상제 이송부로부터 상기 현상 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잉여 현상제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련된 현상제 배출부, 상기 제1, 제2연통구 중 상기 현상제 배출부에 인접한 제1연통구에 설치되어 상기 제1연통구의 개구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이동가능한 셔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체 상에 가시적인 토너화상을 형성하고, 이 토너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한 후, 전사된 토너화상을 인쇄매체에 정착시켜 기록 매체에 화상을 인쇄한다. 현상기는 토너를 수용하며, 토너를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감광체 상에 가시적인 토너화상을 형성한다.
도 1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현상기의 일 실시예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 4는 현상기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구조의 일 실시예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위치 결정 부재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은 도 4의 X1-X1' 단면도들이다.
도 8은 현상기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구조의 일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9는 현상기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구조의 일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위치 결정 부재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현상기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구조의 일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3은 현상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현상기의 일 실시예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 4는 현상기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구조의 일 실시예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위치 결정 부재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은 도 4의 X1-X1' 단면도들이다.
도 8은 현상기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구조의 일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9는 현상기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구조의 일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위치 결정 부재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현상기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구조의 일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3은 현상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진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칼라화상을 인쇄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현상기(10), 노광기(50), 전사기, 정착기(80)를 구비한다.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제가 수용된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는 복수의 현상기(10)와 각각 연결되며,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에 수용된 현상제는 복수의 현상기(10)로 각각 공급된다.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와 복수의 현상기(10)는 본체(1)에 착탈가능하며, 개별적으로 교체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복수의 현상기(10)는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토너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는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로 공급하기 위한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된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C)(20M)(20Y)(20K)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특별히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참조부호에 C, M, Y, K가 붙은 경우에는 각각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현상제를 현상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현상기(10)의 일 실시예의 A-A'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현상기(10)는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 드럼(14)과, 현상제를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가시적인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키는 현상 롤러(13)를 포함할 수 있다. 감광 드럼(14)은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의 일 예로서, 도전성 금속 파이프와 그 외주에 형성되는 감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대전롤러(15)는 감광 드럼(14)이 균일한 표면전위를 갖도록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대전롤러(15) 대신에 대전 브러쉬, 코로나 대전기 등이 채용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현상기(10)는 대전롤러(15)에 부착된 현상제나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대전롤러클리너, 후술하는 중간전사과정 후에 감광 드럼(14) 표면에 잔류되는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17), 감광 드럼(14)와 현상 롤러(13)가 대면된 영역으로 공급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폐현상제는 폐현상제 수용부(17a)에 수용될 수 있다. 클리닝 부재(17)는 예를 들어 감광 드럼(14)의 표면에 접촉되어 현상제를 긁어내는 클리닝 블레이드일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클리닝 부재(17)는 회전되면서 감광 드럼(14)의 표면에 접촉되어 현상제를 긁어내는 클리닝 브러쉬일 수도 있다.
현상제 카트리지(20)에 수용된 현상제, 즉 토너와 캐리어는 현상기(10)로 공급된다. 현상 롤러(13)는 감광 드럼(14)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된다. 현상 롤러(13)의 외주면과 감광 드럼(14)의 외주면과의 간격은 예를 들어, 수십 내지 수백 미크론 정도일 수 있다. 현상 롤러(13)는 회전되는 현상 슬리브 내에 마그넷이 배치된 형태일 수도 있다. 현상기(10) 내에서 토너가 캐리어와 혼합되며, 토너는 자성 캐리어의 표면에 부착된다. 자성 캐리어는 현상 롤러(13)의 표면에 부착되어 감광 드럼(14)과 현상 롤러(13)가 대면된 현상영역으로 운반된다. 규제부재(16)는 현상영역으로 운반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한다. 현상 롤러(13)와 감광 드럼(14) 사이에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토너만이 감광 드럼(14)로 공급되어 감광 드럼(14)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현상시킨다. 본 실시예의 현상기(10)는 에이디알(ADR: Automatic Developer Replenishment) 방식을 채용한다. 현상기(10) 내의 현상제 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잉여 현상제는 현상기(10)의 외부로 배출된다.
노광기(50)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감광 드럼(14)에 조사하여 감광 드럼(14)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대표적인 예로서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SU(laser scanning unit)나 LED(light emitting diode)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ED노광기 등이 있다.
전사기는 감광 드럼(14)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인쇄매체(P)에 전사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전사방식 전사기가 채용된다. 일 예로서, 전사기는 중간 전사 벨트(60), 중간 전사 롤러(61)와, 전사롤러(70)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전사 벨트(60)는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의 감광 드럼(14) 상에 현상된 토너화상을 일시적으로 수용한다. 중간 전사 벨트(60)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의 감광 드럼(14)과 대면되는 위치에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61)가 배치된다.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61)에는 감광 드럼(14) 상에 현상된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 벨트(60)로 중간전사시키기 위한 중간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중간 전사 롤러(61) 대신에 코로나 전사기나 핀 스코로트론(pin scorotron)방식의 전사기가 채용될 수도 있다.
전사롤러(70)는 중간 전사 벨트(60)와 대면되게 위치된다. 전사롤러(70)에는 중간 전사 벨트(60)에 전사된 토너화상을 인쇄매체(P)로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정착기(80)는 인쇄매체(P)로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 및/또는 압력을 가하여 인쇄매체(P)에 정착시킨다. 정착기(80)의 형태는 도 1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노광기(50)는 각 색상의 화상정보에 대등하여 변조된 복수의 광을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의 감광 드럼(14)에 주사하여 감광 드럼(14)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C)(20M)(20Y)(20K)로부터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로 공급된 C, M, Y, K 현상제에 의하여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의 감광 드럼(14)의 정전잠상이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현상된다. 현상된 토너화상들은 중간 전사 벨트(60)로 순차로 중간전사된다. 급지수단(90)에 적재된 인쇄매체(P)는 급지경로(91)를 따라 이송되어 전사롤러(70)와 중간 전사 벨트(60) 사이로 이송된다. 전사롤러(70)에 인가되는 전사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중간 전사 벨트(60) 위에 중간전사된 토너화상은 인쇄매체(P)로 전사된다. 인쇄매체(P)가 정착기(80)를 통과하면, 토너화상은 열과 압력에 의하여 인쇄매체(P)에 고착된다. 정착이 완료된 인쇄매체(P)는 배출롤러(92)에 의하여 배출된다,
현상제 카트리지(20)에 수용된 현상제는 현상기(10)로 공급된다. 현상제 카트리지(20)의 내부에 수용된 현상제가 모두 소모되면, 현상제 카트리지(20)는 새로운 현상제 카트리지(20)로 교체될 수 있으며, 새로운 현상제가 현상제 카트리지(20)에 충전될 수도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제 공급유닛(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현상제 공급유닛(30)은 현상제 카트리지(20)로부터 현상제를 받아서 현상기(10)로 공급한다. 현상제 공급유닛(30)은 공급 관로(40)에 의하여 현상기(10)와 연결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현상제 공급유닛(30)이 생략되고, 공급 관로(40)는 현상제 카트리지(20)와 현상기(10)를 직접 연결할 수도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현상기(10)는 현상 프레임(110)과, 현상 프레임(110)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되는 현상 롤러(13)를 구비한다. 현상 프레임(110)에는 현상제가 수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현상제는 현상제 카트리지(20)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현상 프레임(110)은 현상제 이송부(200)를 형성한다. 현상제는 현상제 이송부(200)를 따라 운반되며, 교반된다. 현상 롤러(13)는 현상제 이송부(200)에 설치된다. 현상제 이송부(200)는 현상실(210)과 교반실(220)을 포함할 수 있다.
현상실(210)에는 감광 드럼(14)을 향하여 개구된 개구부(120)가 마련된다. 현상 롤러(13)는 현상실(210)에 설치된다. 현상 롤러(13)는 개구부(120)를 통하여 부분적으로 현상실(210) 외부로 노출되며, 현상 롤러(13)의 노출된 부분은 감광 드럼(14)과 대향된다. 현상 롤러(13)는 현상실(210)에 수용된 토너를 개구부(120)를 통하여 감광 드럼(14)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킨다. 교반실(220)은 격벽(230)에 의하여 현상실(210)과 구분된다.
현상실(210)과 교반실(220)에는 각각 제1, 제2운반부재(241)(242)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제2운반부재(241)(242)는 각각 현상실(210)과 교반실(220) 내부의 현상제를 현상 롤러(13)의 길이방향(L)으로 운반하면서 토너와 캐리어를 교반시킨다. 제1, 제2운반부재(241)(242)는 예를 들어 나선형 날개를 구비하는 오거(auger)일 수 있다. 제1, 제2운반부재(241)(242)는 현상제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운반한다. 예를 들어, 제1, 제2운반부재(241)(242)는 각각 현상제를 제1, 제2방향(D1)(D2)으로 운반한다. 격벽(230)의 길이방향(L)의 양단부에는 제1, 제2연통구(231)(232)가 각각 마련되어, 현상실(210)과 교반실(220)을 연통시킨다. 제1운반부재(241)에 의하여 현상실(210) 내의 현상제는 제2연통구(232)로부터 제1방향(D1)으로 운반된다. 현상제는 격벽(230)의 제1방향(D1)의 단부에 마련된 제1연통구(231)를 통하여 교반실(220)로 운반된다. 제2운반부재(242)에 의하여 교반실(220) 내의 현상제는 제1연통구(231)로부터 제2방향(D2)으로 운반된다. 현상제는 격벽(230)의 제2방향(D2)의 단부에 마련된 제2연통구(232)를 통하여 현상실(210)로 운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현상제는 현상실(210)-제1연통구(231)-교반실(220)-제2연통구(232)-현상실(210)에 의하여 형성되는 순환 경로를 따라 순환된다. 현상실(210) 내에서 제1방향(D1)으로 운반되는 현상제 중 일부는 현상 롤러(13)에 부착되며, 현상제 중의 토너는 감광 드럼(14)으로 공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현상기(10)는 현상기(10) 내에 새로운 현상제를 공급하고 잉여 현상제를 현상기(10)로부터 배출하는 에이디알(ADR: Automatic Developer Replenishment) 방식을 채용한다. 본 실시예의 현상기(10)는 현상제 공급구(250)와 현상제 배출구(260)를 구비한다.
현상제 공급구(250)를 통하여 현상제 카트리지(20)로부터 현상제가 현상기(10) 내부, 즉 현상제 이송부(200)로 공급된다. 현상제 공급구(250)는 현상 롤러(13)의 유효 화상 영역(C)의 외측에 위치된다. 유효 화상 영역(C)이란, 현상 롤러(13)의 길이 중 화상형성에 유효하게 사용되는 영역을 말한다. 유효 화상 영역(C)의 길이는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최대 크기의 인쇄 매체(P)의 폭보다 약간 길 수 있다. 유효 화상 영역(C)은 제1연통구(231)와 제2연통구(232)의 내측일 수 있다. 현상제 공급구(250)는 제1연통구(231)와 제2연통구(232)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현상기(10)는 현상제 이송부(200)로부터 현상 롤러(1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현상제 공급부(221)를 구비할 수 있다. 현상제 공급구(250)는 현상제 공급부(221)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상제 공급부(221)는 교반실(220) 내부에서의 현상제의 흐름 방향, 즉 제2방향(D2)을 기준으로 하여 교반실(220)의 상류측으로부터 제1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운반부재(242)는 현상제 공급부(221)의 내측으로 연장된다. 현상제 공급구(250)를 통하여 교반실(220)로 공급된 현상제는 제2운반부재(242)에 의하여 제2방향(D2)으로 운반된다.
현상제 배출구(260)를 통하여 잉여 현상제가 현상기(10)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된 잉여 현상제는 도시되지 않은 폐현상제 용기에 수용될 수 있다. 현상제 배출구(260)는 현상 롤러(13)의 유효 화상 영역(C)의 외측에 위치된다. 현상제 배출구(260)는 제1연통구(231)와 제2연통구(232)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현상기(10)는 현상제 이송부(200)로부터 현상 롤러(1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현상제 배출부(211)를 구비할 수 있다. 현상제 배출구(260)는 현상제 배출부(211)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상제 배출부(211)는 현상실(210) 내부에서의 현상제의 흐름 방향, 즉 제1방향(D1)을 기준으로 하여 현상실(210)의 하류측으로부터 제1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운반부재(241)는 현상제 배출부(211)의 내측으로 연장된다. 잉여 현상제는 제1운반부재(241)에 의하여 운반되어 현상제 배출구(260)를 통하여 현상기(10)의 외부로 배출된다.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속도가 빨라질수록 현상 롤러(13)의 회전속도가 빨라지며, 외부로부터 현상제 이송부(200)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 속도 및 양이 증가될 수 있다. 현상제 이송부(200) 내부 및 이와 연결된 현상제 배출부(211) 내부의 압력이 올라간다. 높은 내부 압력은 현상제 배출구(260)를 통한 현상제의 배출 속도를 증가시켜, 현상제가 과도하게 배출될 수 있다. 현상제의 과도한 배출은 현상제 이송부(200) 내의 현상제 량을 과도하게 감소시켜, 현상제 이송부(200) 내의 현상제 량이 부족해질 수 있다. 이는, 화상 농도 저하, 오거 마크 등의 화상 불량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속도가 느려질수록 현상 롤러(13)의 회전속도가 느려지며, 외부로부터 현상제 이송부(200)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 속도 및 양이 감소될 수 있다. 현상제 이송부(200) 내부 및 이와 연결된 현상제 배출부(211) 내부의 압력이 내려간다. 내부 압력이 저하되면, 현상제 배출구(260)를 통하여 배출되는 현상제의 양이 적어져서 현상제 이송부(200) 내부의 현상제 양이 과도하게 증가되며, 현상제 공급구(250)를 통하여 유입되는 신선한 현상제가 교반실(220)로 용이하게 공급되지 않아서 못할 현상제 이송부(200) 내부의 현상제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현상제 공급구(250)를 통하여 현상제 이송부(200)로 공급된 신선한 현상제와 현상제와의 혼합(mixing)이 불충분해질 수 있다. 그러면, 토너가 현상기(10) 외부로 비산되어 현상기(10) 및/또는 화상형성장치 내부를 오염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현상기(10)에는 인쇄 속도에 따라서 현상기(10)의 내부 압력을적정 내부 압력으로 조절하는 구조가 채용된다. 이에 의하여, 현상제 배출구(260)를 통하여 배출되는 현상제의 양이 조절되므로, 다양한 인쇄 속도에서 안정적으로 동작되는 현상기(10)가 구현될 수있다.
도 4는 현상기(10)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구조의 일 실시예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위치 결정 부재(500)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은 도 4의 X1-X1' 단면도들이다. 도 4 내지 도 7에서는 제1, 제2운반부재(241)(242), 및 현상 롤러(13)는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본체(1)와, 본체(1)에 착탈되는 현상기(1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현상기(10)는, 현상 롤러(13), 현상 롤러(13)가 설치되고 현상 롤러(13)의 길이방향(L)으로 연장된 현상실(210)과 현상실(210)과 나란한 교반실(220)과 현상실(210)과 교반실(220)을 구분하며 길이방향(L)`의 양단부에 현상실(210)과 교반실(220)을 연통시키는 제1, 제2연통구(231)(232)가 마련된 격벽(230)을 포함하는 현상제 이송부(200), 현상제 이송부(200)로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공급구(251)가 마련된 현상제 공급부(221), 현상제 이송부(200)로부터 잉여 현상제가 배출되는 현상제 배출구(260)가 마련된 현상제 배출부(211), 제1, 제2연통구(231)(232) 중 현상제 배출구(260)에 인접한 제1연통구(231)에 제1연통구(231)의 개구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셔터(30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쇄 속도가 빨라지면 현상제 이송부(200)의 압력이 높아져서 현상제 배출구(260)를 통하여 배출되는 현상제의 양이 많아지며, 인쇄 속도가 느려지면 현상제 이송부(200) 내부의 압력이 낮아져서 현상제 배출구(260)를 통하여 배출되는 현상제의 양이 적어진다. 인쇄 속도에 따라 적절한 양의 현상제가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는, 인쇄 속도에 따라서 현상제 이송부(200)의 내부 압력을 과도하게 증가되거나 과도하게 낮아지지 않도록 조절할 필요가 있다. 현상제 배출구(260) 부근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현상제 배출량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현상기(10)에 따르면, 셔터(300)를 이용하여 현상제 배출부(211), 즉 현상제 배출구(260)에 인접한 제1연통구(231)의 개구량을 조절함으로써, 현상제 배출부(211) 부근의 압력을 조절한다. 따라서, 현상제 배출구(260)를 통한 현상제 배출량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연통구(231)의 개구량이 크면 제1연통구(231)를 통하여 현상실(210)로부터 교반실(220)로 현상제와 공기가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으므로 현상제 배출부(211)의 부근의 압력이 낮아지고, 현상제 배출구(260)를 통한 현상제 배출량이 줄어든다. 반대로, 제1연통구(231)의 개구량이 작으면 현상실(210)로부터 교반실(220)로 현상제 및 공기의 이동이 상대적으로 원활하지 않으므로 현상제 배출부(211)의 부근의 압력이 높아지고, 현상제 배출구(260)를 통한 현상제 배출량이 증가된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가 고속기인 경우에는 셔터(300)를 이동시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통구(231)의 개구량을 크게 하여, 현상제 배출부(211)의 부근의 압력의 과도한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가 저속기인 경우에는 셔터(300)를 이동시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통구(231)의 개구량을 작게 하여, 현상제 배출부(211)의 부근의 압력의 과도한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셔터(300)는 현상제 이송부(200)를 형성하는 현상 프레임(110)에 길이 방향(L)으로 이동될 수 있게 지지된다. 일 실시예로서, 셔터(300)는 현상실(210)에 길이 방향(L)으로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셔터(300)는 현상실(210)에 설치된 제1운반 부재(241)가 현상실(210)을 넘어서 현상제 배출부(211)로 연장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셔터(300)는 제1연통구(231)를 부분적으로 가림으로써 개방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원통형의 셔터부(310)와, 셔터부(310)로부터 연장된 연장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연장부(320)는 길이방향(L)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3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프레임(1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연장부(320)는 현상 프레임(1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연장부(320)를 길이방향(L)으로 눌러서 셔터(300)를 길이방향(L)으로 이동시켜 제1연통구(231)의 개구량 즉 개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현상기(10)는 셔터(300)에 제1연통구(231)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400)와, 현상 프레임(110)에 결합되며 셔터(300)에 접촉되어 셔터(300)의 탄성력의 방향으로의 이동량을 제한하는 위치 결정 부재(500)를 구비할 수 있다. 위치 결정 부재(500)는 연장부(320)에 접촉되어 셔터(300)의 탄성력의 방향으로의 이동량을 제한함으로써 셔터(300)의 길이방향(L)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위치 결정 부재(500)는 셔터(300)에 접촉되며 셔터(300) 쪽으로의 돌출량이 서로 다른 다수의 접촉부(521)(522)(523)(524)를 구비할 수 있다. 위치 결정 부재(500)는 다수의 접촉부(521)(522)(523)(524) 중 하나를 셔터(300)와 접촉시키도록 현상 프레임(1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위치 결정 부재(500)는 현상 프레임(110)에 회전될 수 있게 결합된다. 위치 결정 부재(500)는 몸체(510)와, 몸체(510)로부터 셔터(300) 쪽으로의 돌출량이 서로 다른 다수의 접촉부(521)(522)(523)(524)를 구비한다. 위치 결정 부재(500)는 현상 프레임(110)에 결합될 수 있다. 몸체(510)에는 길이방향(L)으로 연장되어 현상 프레임(110)의 측부에 마련된 결합홀(112)에 삽입되는 회전축(501)이 마련될 수 있다. 결합홀(112)은 셔터(300)의 연장부(320)로부터 편심되게 위치될 수 있다. 회전축(501)에는 길이방향(L)으로 절개된 절개부(502)가 마련된다. 절개부(502)에 의하여 회전축(501)은 서로 이격된 두 부분으로 구분된다. 회전축(501)의 단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503)가 마련된다. 회전축(501)을 결합홀(112)과 정렬시켜 길이방향(L)으로 밀면 회전축(501)을 형성하는 두 부분이 반경 방향으로 서로 가까워지도록 휘어지면서 돌기부(503)가 결합홀(112)에 삽입된다. 돌기부(503)가 결합홀(112)을 통과하면 회전축(501)을 형성하는 두 부분이 반경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확장되면서 돌기부(503)가 현상 프레임(110)에 걸린다. 따라서, 위치 결정 부재(500)가 결합홀(112)에 회전될 수 있게 결합될 수 있다.
다수의 접촉부(521)(522)(523)(524)는 회전축(501)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다. 위치 결정 부재(500)를 회전시킴으로써 다수의 접촉부(521)(522)(523)(524) 중 하나를 셔터(300), 다시 말하면 연장부(320)에 접촉시킬 수 있다. 몸체(510)에는 회전축(501)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손잡이(530)가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530)를 손으로 또는 적절한 도구로 잡고 위치 결정 부재(500)를 회전축(501)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다수의 접촉부(521)(522)(523)(524) 중 하나를 연장부(320)에 접촉시킬 수 있다. 다수의 접촉부(521)(522)(523)(524)는 몸체(510)로부터의 돌출량이 서로 다르다. 다수의 접촉부(521)(522)(523)(524)의 몸체(510)로부터의 돌출량은 점차로 커질 수 있다. 즉, 접촉부(521)의 돌출량이 가장 작고 접촉부(524)의 돌출량이 가장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접촉부(521)(522)(523)(524)는 각각 인쇄 속도 70PPM(page per minute), 60PPM, 50PPM, 40PPM에 해당되는 돌출량을 가질 수 있다.돌출량이 가장 작은 접촉부(521)가 셔터(300)의 연장부(320)와 정렬된다. 셔터(300)는 탄성 부재(400)의 탄성력에 의하여 위치 결정 부재(500) 쪽으로 가장 가깝게 이동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통구(231)의 개방 길이가 가장 커진다. 예를 들어, 이 경우의 제1연통구(231)의 개방 길이는 약 10mm일 수 있다. 제1연통구(231)의 개방 길이가 커지면 현상실(210)로부터 교반실(220)로 회수되는 현상제의 양이 많아지므로 현상제 배출구(260)로 배출되는 현상제의 양이 줄어든다. 따라서, 현상제의 과도한 배출이 억제되어 현상제 이송부(200) 내부의 현상제의 양이 적정량으로 유지되며, 높은 인쇄 속도를 갖는 고속 화상형성이 가능하다. 접촉부(522)는 접촉부(521)보다 예를 들어 1mm 더 돌출될 수 있다. 접촉부(522)가 셔터(300)의 연장부(320)와 정렬되면, 셔터(300)는 탄성 부재(400)의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밀려서 제1연통구(231)의 개방 길이가 약 9mm가 될 수 있다. 접촉부(523)는 접촉부(522)보다 예를 들어 1mm 더 돌출될 수 있다. 접촉부(523)가 셔터(300)의 연장부(320)와 정렬되면, 셔터(300)는 탄성 부재(400)의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밀려서 제1연통구(231)의 개방 길이가 약 8mm가 될 수 있다. 접촉부(524)는 접촉부(523)보다 1mm 더 돌출될 수 있다. 접촉부(524)가 연장부(320)와 정렬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300)는 탄성 부재(400)의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위치 결정 부재(500)로부터 가장 멀리 이동되며, 제1연통구(231)의 개방량이 가장 작은 약 7mm가 된다. 따라서, 현상실(210)을 따라 이송된 현상제 중에서 현상제 배출구(260) 쪽으로 이송되는 현상제의 양이 증가되어 현상제 이송부(200)에 과도하게 현상제가 쌓이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몸체(510)에는 다수의 접촉부(521)(522)(523)(524)에 대응되는 위치에 인쇄 속도 70PPM(page per minute), 60PPM, 50PPM, 40PPM를 표시하는 문자 또는 기호가 형성될 수 있다. 현상기(10) 또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조시에 인쇄 속도에 맞추어 다수의 접촉부(521)(522)(523)(524) 중 하나를 셔터(300)의 연장부(320)와 정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속도에 따라서 다수의 접촉부(521)(522)(523)(524) 중 적절한 하나를 연장부(320)와 정렬시킴으로써 제1연통구(231)의 개방 길이를 변화시켜 현상제 배출부(211) 부근의 압력을 적절한 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동일한 현상기(10)를 인쇄 속도가 다른 화상형성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인쇄 속도에 따라서 다른 현상기(10)를 개발하여야 하는 부담이 줄어들며, 화상형성장치의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위치 결정 부재(500)는, 다수의 접촉부(521)(522)(523)(524) 사이에 위치되며 다수의 접촉부(521)(522)(523)(524)보다 돌출량이 큰 다수의 돌출부(541)(542)(543)(544)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인접하는 두 접촉부 사이에 두 접촉부보다 돌출량이 큰 돌출부가 마련된다. 이에 의하여, 위치 결정 부재(500)를 회전시킬 때에 돌출부(541)(542)(543)(544)에 의하여 셔터(300)가 탄성 부재(400)의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약간 밀렸다가 다시 연장부(320)가 다수의 접촉부(521)(522)(523)(524) 중 하나에 접촉되는 위치로 탄력적으로 복귀된다. 따라서, 위치 결정 부재(500)를 회전시킬 때에 클릭감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돌출부(541)(542)(543)(544)에 의하여,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위치 결정 부재(500)가 비의도적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8은 현상기(10)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구조의 일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다수의 위치 결정 부재(500-1)(500-2)(500-3)(500-4)는 접촉부(521)(522)(523)(524)를 각각 가진다. 현상기(10)가 적용되는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속도에 맞추어 다수의 위치 결정 부재(500-1)(500-2)(500-3)(500-4) 중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현상기(10)의 현상 프레임(1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현상기(10)를 인쇄 속도가 다른 화상형성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도 9는 현상기(10)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구조의 일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위치 결정 부재(500a)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본체(1)와, 본체(1)에 착탈되는 현상기(1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현상기(10)의 현상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위치 결정 부재(500) 또는 위치 결정 부재(500-1)(500-2)(500-3)(500-4) 대신에 현상기(10)를 본체(1)에 고정시키는 브라켓(600)에 설치되는 위치 결정 부재(500a)를 구비하는 점에서 전술한 화상형성장치와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현상기(10)의 구조는 전술한 구조와 동일하다. 현상기(10)는 현상 롤러(13), 현상 롤러(13)가 설치되고 현상 롤러(1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현상실(210)과 현상실(210)과 나란한 교반실(220)과 현상실(210)과 교반실(220)을 구분하며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현상실(210)과 교반실(220)을 연통시키는 제1, 제2연통구(231)(232)가 마련된 격벽(230)을 포함하는 현상제 이송부(200), 현상제 이송부(200)로부터 현상 롤러(1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현상제 이송부(200)로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251)가 마련된 현상제 공급부(221), 현상제 이송부(200)로부터 현상 롤러(1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잉여 현상제가 배출되는 현상제 배출구(260)가 마련된 현상제 배출부(211), 제1, 제2연통구(231)(232) 중 현상제 배출부(211), 즉 현상제 배출구(260)에 인접한 제1연통구(231)에 설치되어 제1연통구(231)의 개구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이동가능한 셔터(300)를 포함한다. 화상형성장치는, 셔터(300)에 제1연통구(231)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400)와, 현상기(10)를 본체(1)에 고정시키는 브라켓(600)과, 브라켓(600)에 결합되며 셔터(300)에 접촉되어 셔터(300)의 탄성력의 방향으로의 이동량을 제한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위치 결정 부재(500a)를 구비한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셔터(300)는 현상 프레임(110)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지지된다. 셔터(300)는 현상실(210)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셔터(300)는 제1연통구(231)를 부분적으로 가림으로써 개방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원통형의 셔터부(310)와, 셔터부(310)로부터 연장된 연장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연장부(320)는 길이방향(L)으로 연장되어 현상 프레임(1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브라켓(600)은 현상기(10)가 본체(1)에 장착된 후에 현상기(10)를 본체(1)에 고정시킨다. 예를 들어, 현상기(10)의 측부에는 기준 돌기(113)가 마련된다. 브라켓(600)은 기준 돌기(113)가 삽입되는 기준 홀(601)이 마련된다. 현상기(10)를 길이방향(L)으로 밀어서 본체(1)에 장착한 후에 기준 돌기(113)가 기준 홀(601)에 삽입되도록 브라켓(600)을 현상기(10)의 측부에 접근시킨다. 그런 다음, 체결홀(602)(603)에 나사를 체결하여 브라켓(600)을 본체(1)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면, 현상기(10)가 길이방향(L)으로 슬라이딩될 수 없으며, 현상기(10)가 본체(1)에 고정된다. 현상기(10)를 본체(1)로부터 탈거할 때에는 먼저 브라켓(600)을 분리한 다음 현상기(10)를 본체(1)로부터 길이방향(L)으로 당긴다.
위치 결정 부재(500a)는 브라켓(600)에 결합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위치 결정 부재(500)와 동일하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위치 결정 부재(500a)는 브라켓(600)에 회전될 수 있게 결합된다. 위치 결정 부재(500a)는 셔터(300) 쪽으로의 돌출량이 서로 다른 다수의 접촉부(521)(522)(523)(524)를 구비한다. 위치 결정 부재(500a)는 다수의 접촉부(521)(522)(523)(524) 중 하나를 셔터(300)와 대향시키도록 이동가능하게 브라켓(600)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위치 결정 부재(500a)는 몸체(510)를 구비한다. 몸체(510)의 셔터(300) 쪽 면에 다수의 접촉부(521)(522)(523)(524)가 마련된다. 몸체(510)의 셔터(300)의 반대쪽 면에는 길이방향(L)으로 연장되어 브라켓(600)의 결합홀(620)에 삽입되는 회전축(550)이 마련된다. 결합홀(620)은 셔터(300)의 연장부(320)로부터 편심되게 위치될 수 있다. 회전축(550)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이탈방지돌기(551)가 마련된다. 이탈방지돌기(551)는 몸체(510)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된다. 결합홀(620)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키 홈(621)이 마련된다. 이탈방지돌기(551)를 키 홈(621)과 정렬시켜 회전축(550)를 결합홀(620)에 삽입한다. 그런 다음, 이탈방지돌기(551)가 키 홈(621)과 어긋나도록 위치 결정 부재(500a)를 회전시킨다. 이에 의하여, 위치 결정 부재(500a)가 브라켓(600)에 회전될 수 있게 결합된다. 다수의 접촉부(521)(522)(523)(524)는 회전축(550)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다. 위치 결정 부재(500a)를 회전시킴으로써 다수의 접촉부(521)(522)(523)(524) 중 하나를 셔터(300)의 연장부(320)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위치 결정 부재(500a)를 회전시켜 다수의 접촉부(521)(522)(523)(524) 중 하나를 셔터(300)의 연장부(320)와 정렬시킴으로써, 제1연통구(231)의 개방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600)의 결합홀(620)의 부근에는 인쇄 속도, 예를 들어, 70PPM, 60PPM, 50PPM, 40PPM를 표시하는 문자 또는 기호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탈방지돌기(551)가 인쇄 속도를 표시하는 문자 들 중 하나와 정렬된 때에 다수의 접촉부(521)(522)(523)(524) 중 해당 인쇄 속도에 부합되는 하나가 셔터(300)의 연장부(320)와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현상기(10) 또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조시에 손으로 또는 적절한 도구로 회전축(550)을 잡고 위치 결정 부재(550a)를 회전시켜 인쇄 속도에 맞추어 다수의 접촉부(521)(522)(523)(524) 중 하나를 용이하게 셔터(300)의 연장부(320)와 정렬시킬 수 있다.
위치 결정 부재(500a)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접촉부(521)(522)(523)(524) 사이에 위치되며 다수의 접촉부(521)(522)(523)(524)보다 돌출량이 큰 다수의 돌출부(541)(542)(543)(544)를 구비할 수 있다. 다수의 돌출부(541)(542)(543)(544)에 의하여, 위치 결정 부재(550a)가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비의도적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2는 현상기(10)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구조의 일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다수의 위치 결정 부재(500a-1)(500a-2)(500a-3)(500a-4)는 접촉부(521)(522)(523)(524)를 각각 가진다.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속도에 따라서 다수의 위치 결정 부재(500a-1)(500a-2)(500a-3)(500a-4) 중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브라켓(6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셔터(300)의 연장부(320)와 대향되는 브라켓(600)의 일면(610)이 접촉부(521)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위치 결정 부재(500a-1)는 생략될 수 있다.
도 13은 현상기(10)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현상기(10a)는 도 2에 도시된 현상기(10)의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현상제 공급구(250)와 현상제 배출구(260)의 위치가 다르다. 이하에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현상제 이송부(200)는 격벽(230)에 의하여 구분되고 현상 롤러(13)의 길이방향(L)으로 연장된 현상실(210)과 교반실(220)을 포함한다. 현상실(210)과 교반실(220)에는 각각 제1, 제2운반부재(241)(242)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제2운반부재(241)(242)는 각각 현상실(210)과 교반실(220) 내부의 현상제를 현상 롤러(13)의 길이방향(L)으로 운반하면서 토너와 캐리어를 교반시킨다. 제1, 제2운반부재(241)(242)는 예를 들어 나선형 날개를 구비하는 오거(auger)일 수 있다. 제1운반부재(241)는 현상제를 제2방향(D2)으로 운반한다. 제2운반부재(242)는 현상제를 제1방향(D1)으로 운반한다. 격벽(230)의 길이방향(L)의 양단부에는 제1, 제2연통구(231)(232)가 각각 마련되어, 현상실(210)과 교반실(220)을 연통시킨다. 제1운반부재(241)에 의하여 현상실(210) 내의 현상제는 제1연통구(231)로부터 제2방향(D2)으로 운반된다. 격벽(230)의 제2방향(D2)의 단부에 마련된 제2연통구(232)를 통하여 현상제는 현상실(210)로부터 교반실(220)로 운반된다. 제2운반부재(242)에 의하여 교반실(220) 내의 현상제는 제2연통구(232)로부터 제1방향(D1)으로 운반된다. 격벽(230)의 제1방향(D1)의 단부에 마련된 제1연통구(231)를 통하여 현상제는 교반실(220)로부터 현상실(210)로 운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현상제는 현상실(210)-제2연통구(232)-교반실(220)-제1연통구(231)-현상실(210)에 의하여 형성되는 순환 경로를 따라 순환된다. 현상실(210) 내에서 제2방향(D2)으로 운반되는 현상제 중 일부는 현상 롤러(13)에 부착되며, 현상제 중의 토너는 감광 드럼(14)으로 공급된다.
현상제 공급구(250)는 제2연통구(232)의 상류측에 위치되며, 교반실(220)과 연통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현상제 공급부(221)는 교반실(220) 내부에서의 현상제의 흐름 방향, 즉 제1방향(D1)을 기준으로 하여 교반실(220)의 상류측으로부터 제2방향(D2)으로 연장되고, 현상제 공급구(250)는 현상제 공급부(221)에 마련될 수 있다. 제2운반부재(242)는 현상제 공급부(221)의 내측으로 연장된다. 현상제 공급구(250)를 통하여 교반실(220)로 공급된 현상제는 제2운반부재(242)에 의하여 제1방향(D1)으로 운반된다.
현상제 배출구(260)는 제1연통구(231)의 하류측에 위치되며, 교반실(220)과 연통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현상제 배출부(211)는 교반실(220) 내부에서의 현상제의 흐름 방향, 즉 제1방향(D1)을 기준으로 하여 교반실(220)의 하류측으로부터 제1방향(D1)으로 연장되고, 현상제 배출구(260)는 현상제 배출부(211)에 마련될 수 있다. 제2운반부재(242)는 현상제 배출부(211)의 내측으로 연장된다. 잉여 현상제는 제2운반부재(242)에 의하여 운반되어 현상제 배출구(260)를 통하여 현상기(10)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13에 도시된 현상기(10a)의 일 실시예에도 전술한 셔터(300)가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셔터(300)는 제1, 제2연통구(231)(232) 중에서 현상제 배출구(260)와 가까운 제1연통구(231)의 개방 길이를 조절하도록 현상 프레임(110)에 설치된다. 도 4 내지 도 12에 도시된 현상기(10)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구조는 도 13에 도시된 현상기(10a)의 실시예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 현상 롤러;
상기 현상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현상 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현상실과, 상기 현상실과 나란한 교반실과, 상기 현상실과 상기 교반실을 구분하며 상기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상기 현상실과 상기 교반실을 연통시키는 제1, 제2연통구가 마련된 격벽을 포함하는 현상제 이송부;
상기 현상제 이송부로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공급구가 마련된 현상제 공급부;
상기 현상제 이송부로부터 잉여 현상제가 배출되는 현상제 배출구가 마련된 현상제 배출부;
상기 제1, 제2연통구 중 상기 현상제 배출구에 인접한 제1연통구에 설치되어 상기 제1연통구의 개구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이동가능한 셔터;를 포함하는 현상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이송부를 형성하며, 상기 셔터가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지지되는 현상 프레임;
상기 셔터에 상기 제1연통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
상기 현상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셔터에 접촉되어 상기 셔터의 상기 탄성력의 방향으로의 이동량을 제한하는 위치 결정 부재;를 구비하는 현상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현상 프레임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현상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셔터에 접촉되며 상기 셔터 쪽으로의 돌출량이 서로 다른 다수의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다수의 접촉부 중 하나를 상기 셔터와 접촉시키도록 상기 현상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현상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현상 프레임에 회전될 수 있게 결합되며,
상기 다수의 접촉부는 상기 위치 결정 부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는 현상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다수의 접촉부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다수의 접촉부보다 돌출량이 큰 다수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현상기. - 본체;
상기 본체에 착탈되는 제1항에 기재된 현상기;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에 상기 제1연통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
상기 현상기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며, 상기 셔터에 접촉되어 상기 셔터의 상기 탄성력의 방향으로의 이동량을 제한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위치 결정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브라켓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화상형성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셔터 쪽으로의 돌출량이 서로 다른 다수의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다수의 접촉부 중 하나를 상기 셔터와 대향시키도록 이동가능하게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화상형성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브라켓에 회전될 수 있게 결합되며,
상기 다수의 접촉부는 상기 위치 결정 부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는 화상형성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다수의 접촉부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다수의 접촉부보다 돌출량이 큰 다수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이송부를 형성하며, 상기 셔터가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지지되는 현상 프레임;
상기 셔터에 상기 제1연통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현상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셔터에 접촉되어 상기 셔터의 상기 탄성력의 방향으로의 이동량을 제한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현상 프레임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화상형성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셔터 쪽으로의 돌출량이 서로 다른 다수의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다수의 접촉부 중 하나를 상기 셔터와 대향시키도록 이동가능하게 상기 현상 프레임에 결합되는 화상형성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2118A KR20210124725A (ko) | 2020-04-07 | 2020-04-07 |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구조를 갖는 현상기 |
PCT/US2020/053773 WO2021206747A1 (en) | 2020-04-07 | 2020-10-01 | Developing device with structure to control inner pressure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2118A KR20210124725A (ko) | 2020-04-07 | 2020-04-07 |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구조를 갖는 현상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24725A true KR20210124725A (ko) | 2021-10-15 |
Family
ID=78023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42118A KR20210124725A (ko) | 2020-04-07 | 2020-04-07 |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구조를 갖는 현상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124725A (ko) |
WO (1) | WO2021206747A1 (ko)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991301B2 (ja) * | 1990-04-06 | 1999-12-20 | 沖電気工業株式会社 | 電子写真印刷装置のトナー貯蔵容器 |
EP1184741B1 (en) * | 2000-09-01 | 2010-07-28 | Canon Kabushiki Kaisha | Cartridge having developer supply opening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able therewith |
JP5119891B2 (ja) * | 2007-12-04 | 2013-01-16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US8532543B2 (en) * | 2010-01-27 | 2013-09-10 |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2020
- 2020-04-07 KR KR1020200042118A patent/KR20210124725A/ko unknown
- 2020-10-01 WO PCT/US2020/053773 patent/WO202120674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1206747A1 (en) | 2021-10-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336808B2 (ja) | 回転型現像装置 | |
CN102621851B (zh) | 显影剂量检测装置,显影装置,处理单元及图像形成装置 | |
EP3580612B1 (en) | Developing device having air outlet | |
KR20180054025A (ko) | 현상제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
EP1731972B1 (en) | Developing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EP3580613B1 (en) | Developing device having an air discharge path | |
KR20210026067A (ko) | 현상 카트리지의 회전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피벗 가능한 토너 공급 덕트 | |
US11199811B2 (en) | Developing device with structure to release inner pressure | |
JP4095544B2 (ja) | 現像装置 | |
JP2010078669A (ja) |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
KR20210124725A (ko) |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구조를 갖는 현상기 | |
US6978106B2 (en) | Developing apparatus having modified developer carrying capability | |
JP4081367B2 (ja) | 現像装置 | |
EP3580614B1 (en) | Developer circulator to guide developer | |
KR100739707B1 (ko) | 현상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
EP3811156B1 (en) | Developing device with structure to prevent scattering toner | |
JP7484505B2 (ja) |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3308138B2 (ja) | カラー画像形成装置 | |
KR20030017913A (ko) | 폐토너 재공급 장치 | |
JP4794772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4610995B2 (ja) | 一成分現像剤を用いる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 |
KR20210034435A (ko) | 커플러의 역회전에 의하여 탈거 방향으로 이동되는 토너 카트리지 | |
KR20200022783A (ko) | 현상제 유입구를 막는 마개를 갖는 현상 카트리지 | |
KR20200116227A (ko) | 내부 용적 조절이 가능한 현상제 카트리지 | |
JP2008040361A (ja) |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