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4108A - 계통 구성 판별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계통 구성 판별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4108A
KR20210124108A KR1020210125808A KR20210125808A KR20210124108A KR 20210124108 A KR20210124108 A KR 20210124108A KR 1020210125808 A KR1020210125808 A KR 1020210125808A KR 20210125808 A KR20210125808 A KR 20210125808A KR 20210124108 A KR20210124108 A KR 20210124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mother
information
parent
equival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지영
이재걸
고백경
한상욱
남수철
신정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125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4108A/ko
Publication of KR20210124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41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1Methods to deal with contingencies, e.g. abnormalities, faults or failur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1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information or by user interaction, e.g.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s [SCADA] or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7Arrangements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load or loads to one or several among a plurality of power lines or power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40Display of information, e.g. of data or contr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선분리나 편단개방 구성 선로 등의 예외적인 계통구성에 대한 병행 2회선에 대한 상정 고장을 모의할 수 있는 계통 구성 판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계통 구성 판별 장치는 모선 분리 또는 편단 개방에 의해 파생된 부모 모선 및 자녀 모선 각각에 대한 부모 모선 번호 및 자녀 모선 번호를 포함하는 모선 정보를 생성하는 모선 정보 생성부; 부모 모선 번호와 자녀 모선 번호를 하나의 통합 모선 번호로 변환하고, 통합 모선 번호를 등가 모선 번호로 변환함으로써 등가 모선 정보를 생성하는 등가 변환부; 및 등가 모선 정보를 근거로 상정고장 리스트 정보를 출력하는 상정고장 탐색부를 포함하고, 상정고장 리스트 정보는 상정고장 모의에 이용되는 모선들의 모의 순서, 설비 정보 및 등가 모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계통 구성 판별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TINGUISHING ELECTRIC POWER SYSTEM CONFIGURATION}
본 발명은 계통 구성 판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 병행 2회선에 대한 상정 고장을 자동으로 모의할 수 있는 계통 구성 판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력계통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계통운영자는 전력계통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상정고장(송전선로 탈락 등의 고장을 가정하여 계통을 검토)을 모의하고, 그에 대한 대책을 수립한다. 특히, 광역 계통을 대상으로 상정고장을 검토하기 위해 계통운영자는 전력계통 프로그램의 상정고장 자동화 기능을 필요로 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전력계통 해석 프로그램의 상정고장 자동화 기능은 모선분리 개소, 편단개방 구성 선로 등 운영상 발생하는 예외적인 계통구성의 병행 2회선 고장 모의가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계통운영자는 대규모 계통에 대한 상정고장 검토 시 상정고장 자동화 기능을 사용하지 못하거나 제한적으로 사용하고 있어 상정고장 케이스 구축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전력계통 신뢰도 기준상 병행 2회선 검토를 하도록 되어 있어, 병행 2회선 고장의 누락은 계통 검토 결과에 매우 치명적인 한계를 초래한다. 이는 실제 물리적인 전력계통의 네트워크 구성과 전력계통 해석 프로그램의 입력요소인 전력계통 해석DB의 네트워크 구성과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계통운영자가 모선분리 개소나 편단개방 구성 선로 등 예외적인 계통구성에 대한 병행 2회선 고장 검토 시 상정고장 자동화 기능 대신 개별 상정고장 케이스를 일일이 구축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의 전력계통 프로그램에서 정의하는 병행 2회선은 "서로 다른 모선번호를 갖는 2개의 모선 사이에 연결된 송전선로, 변압기의 개방"을 의미하기 때문에, 3개 이상의 모선으로 구성되는 모선분리 개소나 편단개방 구성 선로의 병행 2회선 고장은 자동화 기능으로 탐색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여기서, 용어 편단개방은 고장전류 문제로 인해, 선로 양단 차단기 중 한쪽만 개방한 선로 구성을 의미한다.
이에 관련하여, 발명의 명칭이 "상정고장 검토기준 수립 시스템 및 그 방법"인 한국등록특허 제0658438호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모선분리 개소, 편단개방 구성 선로 등 운영상 발생하는 예외적인 계통구성의 병행 2회선 자동 고장 모의가 가능한 계통 구성 판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계통 구성 판별 장치는 모선 분리 또는 편단 개방에 의해 파생된 부모 모선 및 자녀 모선 각각에 대한 부모 모선 번호 및 자녀 모선 번호를 포함하는 모선 정보를 생성하는 모선 정보 생성부; 부모 모선 번호와 자녀 모선 번호를 하나의 통합 모선 번호로 변환하고, 통합 모선 번호를 등가 모선 번호로 변환함으로써 등가 모선 정보를 생성하는 등가 변환부; 및 등가 모선 정보를 근거로 상정고장 리스트 정보를 출력하는 상정고장 탐색부를 포함하고, 상정고장 리스트 정보는 상정고장 모의에 이용되는 모선들의 모의 순서, 설비 정보 및 등가 모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선 정보 생성부는, EMS 또는 SCADA를 통해 생성되는 계통 정보에, 부모 모선 번호 및 자녀 모선 번호를 포함시켜 모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등가 변환부는 다차원 배열 형태로 통합 모선 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등가 변환부는 상기 통합 모선 번호에서 1차원 배열 위치에 부모 모선 번호를 위치시킴으로써 등가 모선 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부모 모선은 원 모선을 나타내고, 자녀 모선은 모선 분리 또는 편단 개방에 의해 파생된 모선을 나타내며, 하나의 부모 모선으로부터 파생된 자녀 모선은 상속의 개념으로 다른 자녀 모선의 부모 모선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계통 구성 판별 장치는 상정고장 리스트 정보를 역변환함으로써, 상정고장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등가 모선 번호를 통합 모선 번호로 변환하고, 상기 통합 모선 번호를 원모선 번호로 변환하는 역변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계통 구성 판별 장치는 역변환부를 통해 역변환된 상정고장 리스트 정보를 근거로 상정고장을 순차적으로 모의하는 상정고장 연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계통 구성 판별 방법은 모선 정보 생성부에 의해, 모선 분리 또는 편단 개방에 의해 파생된 부모 모선 및 자녀 모선 각각에 대한 부모 모선 번호 및 자녀 모선 번호를 포함하는 모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등가 변환부에 의해, 부모 모선 번호와 자녀 모선 번호를 하나의 통합 모선 번호로 변환하는 단계; 등가 변환부에 의해, 통합 모선 번호를 등가 모선 번호로 변환함으로써 등가 모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정고장 탐색부에 의해, 등가 모선 정보를 근거로 상정고장 리스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정고장 리스트 정보는 상정고장 모의에 이용되는 모선들의 모의 순서, 설비 정보 및 상기 등가 모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EMS 또는 SCADA를 통해 생성되는 계통 정보에, 부모 모선 번호 및 자녀 모선 번호를 포함시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등가 모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통합 모선 번호는 다차원 배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등가 모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통합 모선 번호에서 1차원 배열 위치에 부모 모선 번호를 위치시킴으로써 등가 모선 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부모 모선은 원 모선을 나타내고, 상기 자녀 모선은 상기 모선 분리 또는 편단 개방에 의해 파생된 모선을 나타내며, 하나의 부모 모선으로부터 파생된 자녀 모선은 상속의 개념으로 다른 자녀 모선의 부모 모선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계통 구성 판별 방법은 역변환부에 의해, 상정고장 리스트 정보를 역변환함으로써, 상정고장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등가 모선 번호를 통합 모선 번호로 변환하고, 상기 통합 모선 번호를 상정고장 알고리즘 수행이 가능한 원모선 번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계통 구성 판별 방법은 상정고장 연산부에 의해, 등가 모선 번호를 통합 모선 번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통해 역변환된 상정고장 리스트 정보를 근거로 상정 고장을 순차적으로 모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계통 구성 판별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예외적인 계통구성의 병행 2회선 상정고장(모선분리, 편단개방 구성 선로 등)을 자동으로 탐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정고장 리스트 구성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상정고장 케이스 생성 시 누락 등의 인적 실수를 예방할 수 있어 효율적 업무 수행 및 계통 검토분야의 신뢰도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 구성 판별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일반적인 병행 2회선 상정 고장의 예시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모선 분리 상황에서 병행 2회선 상정 고장의 예시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편단 개방 상황에서 병행 2회선 상정 고장의 예시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모선 분리시, 부모 모선과 자녀 모선의 관계를 나타내는 예시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6은 편단 개방 구성 시, 부모 모선과 자녀 모선의 관계를 나타내는 예시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7은 상속 개념의 부모 모선과 자녀 모선의 관계를 나타내는 예시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 구성 판별 방법에 대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통 구성 판별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 구성 판별 장치(100)에 대한 블록도이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 구성 판별 장치(100)는 예외적인 계통 상황(모선 분리, 편단 개방)의 상정 고장을 모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본적으로 전력 계통해석 프로그램의 DB는 대부분 모선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송전 선로는 전압 레벨(basekV)이 동일하고, 모선 번호가 서로 다른 두 모선 사이에 연결된 설비를 의미하고, 변압기는 전압 레벨과 모선 번호가 서로 다른 두 모선 사이에 연결된 설비를 의미한다. 이렇게 모선을 구분하는 유일한 구분자는 모선번호이다. 하지만,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해당 모선이 모선 분리된 모선이거나 편단 개방 구성을 위해 생성된 임시(더미, dummy) 모선인 경우, 프로그램 내부적으로는 이와 같이 다른 모선 번호를 갖고 있지만, 물리적으로 동일 변전소(모선)라는 정보를 전혀 갖고 있지 않다. 이는 해당모선에 추가적으로 모선간 관계를 정의하여 일반 모선, 모선 분리, 그리고 더미 모선으로 구분 지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부모 모선과 자녀 모선의 개념을 도입하여, 모선간 관계를 새롭게 정의하는 방식을 채택한다. 즉, 기본적으로, 모선 분리나 편단 개방 구성을 위해 파생된 더미 모선에 원모선 정보를 부여함으로써, 계통해석 데이터베이스와 물리적 네트워크 구성을 일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예외적인 계통 상황 즉, 모선 분리 및 편단 개방에 대한 개념은 도 2a, 도 2b, 도 3a, 도 3b,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보다 분명해진다.
도 2a 및 도 2b는 일반적인 병행 2회선 상정 고장의 예시를, 도 3a 및 도 3b는 모선 분리 상황에서 병행 2회선 상정 고장의 예시를, 그리고 도 4a 및 도 4b는 편단 개방 상황에서 병행 2회선 상정 고장의 예시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계통 해석의 기본이 되는 모선은 물리적으로 변전소를 구성하는 대표 설비를 의미하고, 각 모선은 해석을 위해 고유한 모선번호를 갖고 있다. 또한, 모선 분리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모선이 복수개로 분리되고, 이들이 연결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편단 개방의 경우,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고장전류 문제로 선로 양단 차단기 중, 한쪽만 개방해놓은 선로 구성을 의미한다.
위에서 언급된 예외적인 계통 상황에서도 상정 고장을 모의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 구성 판별 장치(100)는 모선 정보 생성부(110), 등가 변환부(120), 상정 고장 탐색부(130), 역 변환부(140), 상정고장 연산부(150), 표시부(160) 및 저장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통 구성 판별 장치(100)에 포함된 각 구성들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진다.
모선 정보 생성부(110)는 모선 분리 또는 편단 개방에 의해 파생된 부모 모선 및 자녀 모선 각각에 대한 부모 모선 번호 및 자녀 모선 번호를 포함하는 모선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모선 정보 생성부(110)는 상기 모선 정보에, 모선의 식별 번호 및 전압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즉, 모선 정보는 부모 및 자녀 모선에 대한 모선번호 및 전압 레벨을 포함할 수 있고, 이외에도 모선의 이름, 모선이 위치한 지역, 소유주, 구역, 전압, 위상각의 추가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선 정보 생성부(110)는 EMS(Energy Management System) 또는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시스템(10)을 통해 생성되는 계통 정보에, 저장부(170)에 저장된 부모 모선 번호 및 자녀 모선 번호를 포함시켜 모선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한다. 모선 정보 생성부(110)를 통해 생성되는 모선 정보에 대한 예시는 다음의 표 1을 참조하면 보다 분명해진다.
Figure pat00001
표 1에 도시된 것처럼, EMS/SCADA 시스템(10)에는 모선에 대한 정보들 즉, 모선번호, 모선명 및 모선에 대한 전압 레벨 등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저장부(170)에는 부모 모선 번호와 자녀 모선 번호 등이 저장되어 있다. 즉, 자녀 모선은 추가필드 형태로, 부모 모선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부모 모선에서 다수의 자녀 모선이 파생된 경우, 각 자녀 모선은 하나의 부모 모선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모선 정보 생성부(110)는 EMS/SCADA 시스템(10)에서 생성된 계통 정보에, 부모 모선 번호 및 자녀 모선 번호를 포함시켜, 모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부모 모선과 자녀 모선에 대한 관계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보다 분명해진다.
도 5는 모선 분리시, 부모 모선과 자녀 모선의 관계를 나타내는 예시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6은 편단 개방 구성 시, 부모 모선과 자녀 모선의 관계를 나타내는 예시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7은 상속 개념의 부모 모선과 자녀 모선의 관계를 나타내는 예시에 대한 개념도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신파주에 대한 모선(1300) 분리 시, 부모 모선(1300)과 자녀 모선(1301)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편단 개방 구성 시, 부모 모선과 자녀 모선의 관계는 도 6에 도시된다.
또한, 하나의 부모 모선으로부터 파생된 자녀 모선은 상속의 개념으로 또 다른 자녀 모선의 부모 모선이 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예시는 도 7에 도시된다. 즉, 부모 모선은 원 모선을 나타내고, 자녀 모선은 상기 모선 분리 또는 편단 개방에 의해 파생된 모선을 나타내며, 하나의 부모 모선으로부터 파생된 자녀 모선은 상속의 개념으로 다른 자녀 모선의 부모 모선이 가능하다. 도 7에서, 1302 신파주 S2 모선은 1300 신파주 모선의 자녀 모선이지만, 1303 신파주S3 모선의 부모 모선이기도 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계통 구성 판별 장치(100)는 서로 다른 모선 번호를 갖지만, 물리적으로 모두 동일한 변전소의 모선들을 부모 및 자녀 모선을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대표 모선으로 등가화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의 프로그램에서 정의한 일반적인 병행 2회선에 대한 상정 고장을 찾을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등가 변환부(120)는 상기 부모 모선 번호와 상기 자녀 모선 번호를 하나의 통합 모선 번호로 변환하고, 이를 다시 등가 모선 번호로 변환함으로써 등가 모선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등가 변환부(120)는 등가 모선 번호를 다차원 배열 형태로 생성할 수 있다. 즉, EMS/SCADA 시스템(10)을 통해 저장되는 모선 번호는 1차원 배열의 형태로 저장되나, 본 발명의 등가 변환부(120)는 이러한 모선 번호를 다차원 배열 형태 예를 들어, 2차원 배열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등가 변환부(120)를 통해 변환되는 모선 번호는 예를 들어, BUS[i][j]의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i는 자녀 모선 번호, 그리고 j는 부모 모선 번호일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자녀 모선 번호가 부모 모선 번호의 앞에 위치하는 점에 기인하여, 차후 상정 고장의 탐색 또는 연산 과정에서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등가 변환부(120)는 상기 배열에서 기준이 되는 부모 모선 번호를 1차원 배열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예시는 다음의 표 2를 보면 보다 분명해진다.
Figure pat00002
표 2에서 BUS[n+2][m+2]를 참조하면, 기존의 부모 모선 번호는 1302였으나, 해당 모선은 모선 번호가 1300인 부모 모선의 자녀 모선이므로, 최종적으로 상기 3개의 모선들에 대한 부모 모선 번호는 등가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계통 구성 판별 장치(100)는 예외적인 계통 상황(예를 들어, 모선 분리, 편단 개방)의 선로를 찾을 수 있게 된다.
상정고장 탐색부(130)는 등가 모선 정보를 근거로 상정고장 리스트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즉, 상정고장 탐색부(130)는 앞서 등가 변환된 정보를 이용하여 전력계통 해석 프로그램에서 정의하는 일반적인 병행 2회선 탐색 기법 즉, "서로 다른 모선번호를 갖는 2개의 모선 사이에 연결된 설비를 탐색"하여 상정 고장 리스트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정고장 리스트 정보는 상정고장 모의에 이용되는 모의 순서, 설비 정보 및 상기 등가 모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모선 번호로 표현된 각 설비별 연결정보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모선 간 연결 정보가 있는 변압기, 송전선로 등의 계통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탐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정고장 탐색부(130)를 통해 출력된 상정고장 리스트 정보는 등가 변환부(120)를 통해 변환된 등가 모선 번호를 포함한다. 다만, 이러한 등가 모선 번호의 경우, 기존의 상정 고장 모의에 적용이 될 수 없다. 즉, 기존의 상정 고장 모의는 1차원 배열 형태의 모선 번호가 입력되므로, 상정 고장 모의를 위해서는 등가 모선 번호를 기존의 1차원 배열 형태로 역변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등가 모선 번호의 생성 이유는 앞에서 언급된 계통해석DB의 구성과 물리적 네트워크 구성을 일치시켜, 예외적인 계통상황에서도 구성 선로의 누락 없이 이를 탐색하기 위함이며, 탐색 이후 실제 상정고장을 모의하기 위해서는 원 모선 정보를 갖는 원 데이터 (등가 모선 번호를 갖기 이전 기존 모선 번호를 갖는 데이터)로 다시 변환해야 한다. 이는 역변환부(140)를 통해 이루어지고, 즉, 역 변환부(140)는 등가 모선 번호를 상정 고장 모의(상정고장 알고리즘)가 가능한 입력 형태인 원모선 번호로 다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이에 대한 예시는 아래의 표 3을 참조하면 보다 분명해진다.
Figure pat00003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역 변환부(140)는 먼저,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가 모선 번호를 통합 모선 번호로 역변환한다. 그 후, 역 변환부(140)는 도출된 통합 모선 번호를 상정 고장 모의가 가능한 원모선 번호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정고장 연산부(150)는 역변환부(140)를 통해 역변환된 상정고장 리스트 정보를 근거로 상정고장을 순차적으로 모의하는 기능을 하고, 상정고장 연산부(150)를 통해 모의된 모의 결과는 표시부(16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 구성 판별 방법에 대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8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계통 구성 판별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아래의 설명에서 위에서 언급된 사항과 중복되는 사항은 생략되어 설명된다.
먼저, 모선 정보 생성부에 의해, 모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10)가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S110 단계는 모선 분리 또는 편단 개방에 의해 파생된 부모 모선 및 자녀 모선 각각에 대한 부모 모선 번호 및 자녀 모선 번호를 포함하는 모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S110 단계는 EMS 또는 SCADA를 통해 생성되는 계통 정보에, 부모 모선 번호 및 자녀 모선 번호를 포함시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본 발명은 예외적인 계통 구성의 병행 2회선 상정 고장을 탐색하기 위한 것으로, 부모 모선과 자녀 모선의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즉, S110 단계에서 생성되는 모선 정보에는, 모선 각각에 대한 부모 모선 번호와 자녀 모선 번호가 함께 포함되고, 이를 이용하여 예외적인 계통 구성에서도 상정 고장의 탐색이 가능해진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부모 모선은 원 모선을 나타내고, 자녀 모선은 모선 분리 또는 편단 개방에 의해 파생된 모선을 나타내며, 하나의 부모 모선으로부터 파생된 자녀 모선은 상속의 개념으로 다른 자녀 모선의 부모 모선이 될 수 있다.
그 후, 등가 변환부에 의해, 부모 모선 번호와 자녀 모선 번호를 하나의 통합 모선 번호로 변환하고, 통합 모선 번호를 등가 모선 번호로 변환함으로써 등가 모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20)가 이루어진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통합 모선 번호와 등가 모선 번호는 다차원, 예를 들어, 2차원의 배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통합 모선 번호는 자녀 모선 번호가 1차원 배열 위치에 있는 번호를, 그리고 등가 모선 번호는 부모 모선 번호를 1차원 배열 위치로 등가화 시킨 배열을 나타낸다. 이러한 등가화 과정에 대한 설명은 도 1을 참조로 상세히 언급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 후, 상정고장 탐색부에 의해, 등가 모선 정보를 근거로 상정고장 리스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130)가 수행된다. 여기서, 상정고장 리스트 정보는 상정고장 모의에 이용되는 모선들의 모의 순서, 설비 정보 및 상기 등가 모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정고장 리스트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은 도 1을 참조로 상세히 언급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그 후, 역변환부에 의해, 상정고장 리스트 정보를 역변환함으로써, 상정고장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등가 모선 번호를 원모선 번호로 변환하는 단계(S140)가 수행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S130 단계를 통해 출력된 상정고장 리스트 정보는 S120 단계를 통해 변환된 등가 모선 번호를 포함한다. 다만, 이러한 등가 모선 번호의 경우, 기존의 상정 고장 모의에 적용이 될 수 없는 점에 기인하여, 다시 원래의 원모선 번호로의 변환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S140 단계는 등가 모선 번호를 통합 모선 번호로, 그리고 통합 모선 번호를 다시 상정고장 모의가 가능한 원모선 번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위에서 상세히 언급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그 후, 상정고장 연산부에 의해, S140 단계를 통해 역변환된 상정고장 리스트 정보를 근거로 상정고장을 순차적으로 모의하는 단계(S150)가 수행된다. S150 단계를 통해 모의된 결과는 S160 단계에서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계통 구성 판별 장치 110 : 모선 정보 생성부
120 : 등가 변환부 130 : 상정 고장 탐색부
140 : 역 변환부 150 : 상정 고장 연산부
160 : 표시부

Claims (2)

  1. 병행 2회선에 대한 상정 고장을 자동으로 모의하는 계통 구성 판별 장치에 있어서,
    모선 분리 또는 편단 개방에 의해 파생된 부모 모선 및 자녀 모선 각각에 대한 부모 모선 번호 및 자녀 모선 번호를 포함하는 모선 정보를 생성하는 모선 정보 생성부;
    상기 부모 모선 번호와 상기 자녀 모선 번호를 하나의 통합 모선 번호로 변환하고, 상기 통합 모선 번호를 등가 모선 번호로 변환함으로써 등가 모선 정보를 생성하는 등가 변환부; 및
    상기 등가 모선 정보를 근거로 상정고장 리스트 정보를 출력하는 상정고장 탐색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정고장 리스트 정보는 상정고장 모의에 이용되는 모선들의 모의 순서, 설비 정보 및 상기 등가 모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부모 모선 번호 및 자녀 모선 번호는 모선을 구분하는 유일한 구분자로서 고유한 모선번호이고,
    상기 모선 정보 생성부는,
    EMS(Energy Management System) 또는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를 통해 생성되는 계통 정보에, 상기 부모 모선 번호 및 자녀 모선 번호를 포함시켜 상기 모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모선 정보는 모선 번호, 모선명 및 모선에 대한 전압레벨을 포함하며, 상기 자녀 모선은 추가필드 형태로 부모 모선 정보를 가지며,
    상기 등가 변환부는, 다차원 배열 형태로 상기 통합 모선 번호를 생성하되, 상기 통합 모선 번호의 1차원 배열 위치에 상기 부모 모선 번호를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등가 모선 번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통 구성 판별 장치.
  2. 병행 2회선에 대한 상정 고장을 자동으로 모의하는 계통 구성 판별 방법에 있어서,
    모선 정보 생성부에 의해, 모선 분리 또는 편단 개방에 의해 파생된 부모 모선 및 자녀 모선 각각에 대한 부모 모선 번호 및 자녀 모선 번호를 포함하는 모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등가 변환부에 의해, 상기 부모 모선 번호와 상기 자녀 모선 번호를 하나의 통합 모선 번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등가 변환부에 의해, 상기 통합 모선 번호를 등가 모선 번호로 변환함으로써 등가 모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정고장 탐색부에 의해, 상기 등가 모선 정보를 근거로 상정고장 리스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부모 모선 번호 및 자녀 모선 번호는 모선을 구분하는 유일한 구분자로서 고유한 모선번호이고,
    상기 모선 정보 생성부는,
    EMS(Energy Management System) 또는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를 통해 생성되는 계통 정보에, 상기 부모 모선 번호 및 자녀 모선 번호를 포함시켜 상기 모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모선 정보는 모선 번호, 모선명 및 모선에 대한 전압레벨을 포함하며, 상기 자녀 모선은 추가필드 형태로 부모 모선 정보를 가지며,
    상기 등가 변환부는, 다차원 배열 형태로 상기 통합 모선 번호를 생성하되, 상기 통합 모선 번호의 1차원 배열 위치에 상기 부모 모선 번호를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등가 모선 번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통 구성 판별 방법.
KR1020210125808A 2014-10-16 2021-09-23 계통 구성 판별 장치 및 방법 KR202101241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808A KR20210124108A (ko) 2014-10-16 2021-09-23 계통 구성 판별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020A KR102311376B1 (ko) 2014-10-16 2014-10-16 계통 구성 판별 장치 및 방법
KR1020210125808A KR20210124108A (ko) 2014-10-16 2021-09-23 계통 구성 판별 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020A Division KR102311376B1 (ko) 2014-10-16 2014-10-16 계통 구성 판별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108A true KR20210124108A (ko) 2021-10-14

Family

ID=5591925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020A KR102311376B1 (ko) 2014-10-16 2014-10-16 계통 구성 판별 장치 및 방법
KR1020210125808A KR20210124108A (ko) 2014-10-16 2021-09-23 계통 구성 판별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020A KR102311376B1 (ko) 2014-10-16 2014-10-16 계통 구성 판별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113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681B1 (ko) * 2016-09-23 2018-04-26 한국전력공사 전력계통 고장 해석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0477A (ja) 1999-03-17 2000-09-29 Fuji Electric Co Ltd 電力系統の想定事故解析における並列処理方法
JP3527919B2 (ja) 1999-12-28 2004-05-17 東芝システム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電力系統監視制御装置、電力系統設備情報生成装置、および記憶媒体
JP4018392B2 (ja) * 2002-01-15 2007-12-05 関西電力株式会社 監視制御システム用シミュレータ
KR100964298B1 (ko) * 2009-12-15 2010-06-16 한국전력거래소 전력계통해석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919A (ko) 2016-04-26
KR102311376B1 (ko) 202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5062B2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engineering topology of digital substation
Cole et al. Generalized dynamic VSC MTDC model for power system stability studies
US8792385B2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generating goose signal connection topology from substation level
CN104978391A (zh) 用于自动化变电站设计及配置的系统和方法
CN105379135A (zh) 电网中实时自动诊断的系统和方法
KR20210124108A (ko) 계통 구성 판별 장치 및 방법
Anand et al. Ensemble empirical mode decomposition‐based differential protection scheme for islanded and grid‐tied AC microgrid
Krsman et al. Bad area detection and whitening transformation‐based identification in three‐phase distribution state estimation
US10389172B2 (en) Externally exposing connections to internal electrical components inside electrical system equipment
Voinov et al. Automatic generation of function block systems implementing HMI for energy distribution automation
Wu et al. A survey on impedance-based dynamics analysis method for inverter-based resources
US874483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ical fault restoration
Peng et al. Distributed optimal power flow algorithm for balanced radial distribution networks
Zheng et al. Data integration used in new applications and control center visualization tools
US10739765B2 (en) Method for enriching data in measurement data records of a low-voltage network
Ansari et al. A novel protection scheme for microgrid feeders using differential positive sequence apparent power features
Grijalva et al. Automated handling of arbitrary switching device topologies in planning contingency analysis: Towards temporal interoperability in network security assessment
Behzadirafi et al. Electric circuit theory based minimal cut-set realization for reliability evaluation of non-directional networks
EP4254363A1 (en) Generating communication source reference mappings between substation elements of a substation
RU2505826C2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а и характера повреждения многопроводной электрической сети
CN117040123A (zh) 一种告警推图的处理方法、服务器及系统
CN105676738A (zh) 监控对象的数据模拟系统、监控系统及方法
Liu et al. Study on Fault Diagnosis of Ship Power System Based on Multi-Source Information Fusion Technology
Avelar et al. Power Flow Analysis and Self-recovery of Electrical Energy Distribution Network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CN115269505A (zh) 一种基于Konva的电力系统主接线图读取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