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2718A - Laundry treating apparuts - Google Patents

Laundry treating apparu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2718A
KR20210122718A KR1020210042707A KR20210042707A KR20210122718A KR 20210122718 A KR20210122718 A KR 20210122718A KR 1020210042707 A KR1020210042707 A KR 1020210042707A KR 20210042707 A KR20210042707 A KR 20210042707A KR 20210122718 A KR20210122718 A KR 20210122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tub
water
laundry
wat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7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범준
한인재
홍상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1/00406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201629A1/en
Priority to AU2021248761A priority patent/AU2021248761A1/en
Priority to US17/916,190 priority patent/US20230151528A1/en
Publication of KR20210122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271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1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l heating of metal pieces
    • H05B6/102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l heating of metal pieces the metal pieces being rotated while induction heat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5Cleaning or disinfection of machine parts, e.g. of heat exchangers or fil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69Control of cleaning or disinfection of washer-dryer parts, e.g. of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clothing treating apparatus which reduces power consumption when drying clothing. The clothing treating apparatus comprises: a cabinet having a slot on the front surface thereof; a door coupled to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lot; a tub arranged in the cabinet, having an opening part communicating with the slot of the cabinet, and providing a space in which water is accommodated; a drum rotatably provided in the tub, and providing a space in which laundry is accommodated; a driving unit rotating the drum; a gasket connecting the slot of the cabinet and the opening part of the tub, and having an inner side providing a laundry entry passage; and a water supply unit supplying water to the tub. The water supply unit can supply water to the tub up to a first water level higher than the lowermost part of the inner side of the gasket. The driving unit can rotate the drum at a first rotating speed at which the centrifugal force acting on laundry in the drum is higher than the gravity acting on the laundry by rotation of the drum while the water level of the tub is the first water level.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UTS}Clothes processing equipment {LAUNDRY TREATING APPARUT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기, 건조기, 의류를 리프레쉬하는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기는 건조기능을 포함한 건조 겸용 세탁기일 수 있다.In general, 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may include a washing machine, a dryer, and a device for refreshing clothes. The washing machine may be a washing machine combined with a drying function.

상기 세탁기는 물이 저장된 터브내에서 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부의 세탁물의 오염물을 제거한다. 상기 세탁기는 물 및/또는 세탁물을 가열하거나 세탁물 건조를 위한 가열수단을 구비하기도 한다.The washing machine rotates a drum in a tub in which water is stored to remove contaminants from the laundry inside the drum. The washing machine may be provided with a heating means for heating water and/or laundry or drying laundry.

상기 건조기는 캐비닛 내에서 드럼을 회전시키고, 드럼 내부의 세탁물에 열을 가하여 상기 세탁물을 건조시킨다.The dryer rotates a drum in a cabinet and applies heat to the laundry inside the drum to dry the laundry.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의 가열 또는 건조를 위해 가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가열수단으로서 전기히터 또는 히트 펌프를 구비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include a heating means for heating or drying laundry.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include an electric heater or a heat pump as a heating means.

종래, 건조과정에서는 터브와 외부 순환 유로를 순환하는 공기를 가열시켜 세탁물을 건조하는 열풍 건조방식을 사용하였으며, 공기가 순환하는 유로 상에 열선을 배치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방식을 사용해왔다.Conventionally, in the drying process, a hot air drying method in which the laundry is dried by heating the air circulating through the tub and the external circulation passage has been used, and a method of heating the air by arranging a heating wire on the air circulation passage has been used.

상술한 열풍 건조방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열선을 가열할 수 있는 가스 히터나 전기 히터가 필요하나, 가스 히터는 안전성과 배기가스에 대한 문제가 있으며, 전기 히터는 스케일과 같은 이물질이 누적될 수 있으며 과도한 에너지를 소모하는 문제가 있다.In order to use the hot air drying method described above, a gas heater or an electric heater capable of heating a hot wire is required, but the gas heater has problems with safety and exhaust gas, and the electric heater may accumulate foreign substances such as scale and excessive There is an energy consumption problem.

또한, 상술한 열풍 건조방식 외에도 히트펌프를 이용한 저온 제습 건조방식이 있다. 히트 펌프는 에어컨의 냉각 사이클을 반대로 이용하는 것으로, 따라서 증발기, 응축기, 팽창밸브 그리고 압축기와 같은 동일한 구성들을 필요로 한다.In addition to the hot air drying method described above, there is a low temperature dehumidifying drying method using a heat pump. The heat pump uses the cooling cycle of the air conditioner in reverse, and therefore requires the same components as the evaporator, condenser, expansion valve and compressor.

나아가, 위의 열풍 건조방식과 저온 제습 건조방식의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공기를 이용한 간접 건조방식이므로, 세탁물이 뭉쳐져 있거나 함유하고 있는 수분이 많을 경우 건조시간이 길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Furthermore, another problem of the hot air drying method and the low temperature dehumidifying drying method is that it is an indirect drying method using air.

한편, 최근에는 새로운 가열수단으로서 인덕션 모듈(또는, 인덕션 히터)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Meanwhile, recently, research on an induction module (or an induction heater) as a new heating means has been made.

세탁기, 건조기와 같은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인덕션 모듈에는 코일이 권선되고, 상기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발생되는 유도전류에 의해 가열대상(세탁기의 드럼)에 열을 전달할 수 있다.A coil is wound on an induction module provided in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such as a washing machine or a dryer, and heat can be transferred to a heating object (drum of a washing machine) by an induced current generated by applying a current to the coil.

인덕션 모듈은 드럼을 가열할 수 있기 때문에, 인덕션 모듈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열풍 건조방식의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되는 터브에서 배출된 공기를 다시 터브로 안내하는 순환덕트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세탁물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Since the induction module can heat the drum, in the case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an induction module, the laundry is washed without a circulation duct guid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tub applied to the hot air drying typ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back to the tub. drying can be performed.

다만, 순환덕트를 구비하지 않은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건조행정 시, 린트(Lint)가 캐비닛 도어의 배면, 터브의 전방, 개스킷 등에 축적되는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However, in the case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not provided with a circulation duct, there is a problem in that lint is accumul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binet door, the front of the tub, and the gasket during the drying cycle.

공개특허 10-2018-0023276(2018.03.07.)건은 인덕션부가 적용된 의류처리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의 구조에 있어서 캐비닛 도어의 배면, 터브의 전방, 개스킷 등에 린트가 축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가사, 인덕션부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 드럼을 직접 유도가열하고, 가열된 공기가 터브의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로 선해하더라도, 터브의 전방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린트의 축적 문제를 방지할 수는 없다.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23276 (Mar. 07, 2018) discloses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o which an induction unit is applied. However, in the structure of the prior patent, there may be a problem in that lint is accumulated on the back of the cabinet door, the front of the tub, and the gasket. Even if the drum is directly inductively heated through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housework and the induction unit, and the heat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ub, the flow of air introduced from the front of the tub is not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problem of lint build-up cannot be prevented.

공개특허: 10-2018-0023276 (2018.03.07.)Publication: 10-2018-0023276 (2018.03.07.)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disclosure aims to solve the above and other problems.

또 다른 목적은, 인덕션 히터를 구비한 건조기, 세탁기, 세탁기 겸용 건조기 또는 의류를 리프레쉬하는 장치 등의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such as a dryer equipped with an induction heater, a washing machine, a washing machine combined dryer, or an apparatus for refreshing clothes.

또 다른 목적은, 드럼 내부 공기를 순환하는 덕트를 구비하지 않고 건조를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at performs drying without a duct for circulating air inside the drum.

또 다른 목적은, 건조시 전력 소비량을 절감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at reduces power consumption during drying.

또 다른 목적은, 도어, 터브, 개스킷 등에 축적된 린트를 제거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for removing lint accumulated on a door, a tub, a gasket, and the like.

또 다른 목적은, 터브 내의 물을 이용하여, 도어, 터브, 개스킷 등에 축적된 린트를 제거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at removes lint accumulated in a door, a tub, a gasket, etc. using water in the tub.

또 다른 목적은, 건조 과정에서 축적된 린트를 다음 세탁 및/또는 헹굼과정에서 제거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at removes lint accumulated during a drying process in a subsequent washing and/or rinsing proces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측면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tub for provid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water, a drum rotatably provided in the tub, a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drum, and water in the tub. Includes a water supply that supplies.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투입구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한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cabinet having an inlet and a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상기 캐비닛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전방면에 상기 투입구를 구비할 수 있다.The cabinet may form an exterior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e cabinet may have the inlet on its front surface.

상기 도어는 상기 캐비닛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door may be coupled to the cabinet. The door may be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The door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cabinet.

상기 터브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브는 상기 캐비닛의 투입구에 연통하는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터브는 연장된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터브의 개구부는 상기 터브의 실린더 형상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The tub may be disposed inside the cabinet. The tub may have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of the cabinet. The tub may have an extended cylindrical shape. The opening of the tub may be smaller than a diameter of the cylindrical shape of the tub.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캐비닛의 투입구와 상기 터브의 개구부를 연결하는 개스킷을 포함한다. 상기 개스킷은 세탁물 출입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개스킷은 내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내측면은 상기 세탁물 출입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gasket connecting the inlet of the cabinet and the opening of the tub. The gasket may provide a laundry access passage. The gasket may have an inn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may provide the laundry access passage.

상기 드럼은 세탁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드럼은 연장된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드럼은 상기 터브의 개구부와 연통하는 드럼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The drum may provide a space for accommodating laundry. The drum may have an elongated cylindrical shape. The drum may have a drum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of the tub.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터브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터브의 배면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은 상기 터브의 배면을 관통하여 상기 드럼에 연결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driving unit that rotates the drum. The driving unit may be coupled to the tub. The driving unit may b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tub. The rotating shaft of the driving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drum through a rear surface of the tub.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한다. 상기 급수부는 외부수원과 연결되어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는 상기 외부수원과 연결되는 급수유로와 상기 급수유로를 개폐하는 급수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to the tub. The water supply unit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ource to supply water to the tub. The water supply unit may include a water supply passage connected to the external water source and a water supply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upply passage.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을 가열하는 인덕션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덕션 히터는 상기 터브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nduction heater for heating the drum. The induction heater may be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tub.

상기 인덕션 히터는 상기 터브의 물이 배수된 상태에서 상기 드럼을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인덕션 히터가 상기 드럼을 가열할 때,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드럼을 회전할 수 있다. The induction heater may heat the drum in a state in which the water in the tub is drained. When the induction heater heats the drum, the driving unit may rotate the drum.

상기 인덕션 히터가 상기 드럼을 가열하고, 상기 구동부가 상기 드럼을 회전하여, 상기 드럼 내의 세탁물을 건조할 수 있다. 상기 세탁물이 건조되며 상기 세탁물에서 린트가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린트는 상기 개스킷, 상기 도어에 축적될 수 있다.The induction heater may heat the drum, and the driving unit may rotate the drum to dry laundry in the drum. The laundry is dried and lint may be separated from the laundry. The separated lint may accumulate in the gasket and the door.

상기 개스킷의 내측면에 린트가 축적될 수 있다.Lint may accumulat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asket.

상기 도어는 상기 투입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세탁물 출입통로에 위치하는 내측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세탁물에서 분리된 린트가 축적될 수 있다.The door may have an inner surface positioned in the laundry access passage in a state in which the inlet is closed. Lint separated from the laundry may be accumul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상기 급수부는 제1 수위까지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위는 상기 개스킷의 내측면의 최하측부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제1 수위는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 수직 하측에 위치한 상기 드럼의 하측부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제1 수위는 상기 드럼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may supply water to the tub up to a first water level. The first water level may be higher than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gasket. The first water level may be higher than a lower portion of the drum positioned vertically below the rotation center of the drum. The first water level may be located inside the drum.

상기 구동부는 상기 터브의 수위가 상기 제1 수위인 상태에서 상기 드럼을 제1 회전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속도는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해 상기 드럼내의 세탁물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상기 세탁물에 작용하는 중력보다 큰 회전속도일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속도는 60rp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속도는 100rpm일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rotate the drum at a first rotational speed in a state where the water level of the tub is the first water level. The first rotational speed may be a rotational speed in which a centrifugal force acting on the laundry in the drum by rotation of the drum is greater than a gravity acting on the laundry. The first rotation speed may be 60 rpm or more. The first rotation speed may be 100 rpm.

상기 드럼이 상기 제1 회전속도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내의 세탁물은 상기 드럼의 최고점에서도 상기 드럼의 내주면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상기 드럼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When the drum rotates at the first rotational speed, the laundry in the drum can rotate integrally with the drum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even at the highest point of the drum.

상기 드럼이 상기 제1 회전속도로 회전하면, 상기 터브의 물이 상기 터브의 내측면을 따라 상승할 수 있다. 상기 드럼이 상기 제1 회전속도로 회전하면 상기 터브의 물이 상기 터브의 내측면을 따라 상승하여 상기 개스킷의 하부에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개스킷의 하부에서 유동하는 물은 상기 개스킷 하부에 축적된 린트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개스킷의 하부에서 유동하는 물은 상기 도어 하부에 축적된 린트를 제거할 수 있다.When the drum rotates at the first rotational speed, water in the tub may rise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When the drum rotates at the first rotational speed, the water of the tub may rise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and flow under the gasket. Water flowing under the gasket may remove lint accumulated under the gasket. Water flowing under the gasket may remove lint accumulated under the door.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드럼을 제1 회전속도로 회전하기 위해 상기 드럼을 가속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터브의 수위가 상기 제1 수위인 상태에서, 상기 드럼을 가속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터브의 수위가 상기 제1 수위인 상태에서, 상기 드럼을 상기 제1 회전속도까지 가속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accelerate the drum to rotate the drum at a first rotational speed. The driving unit may accelerate the drum while the water level of the tub is the first water level. The driving unit may accelerate the drum to the first rotational speed in a state where the water level of the tub is the first water level.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드럼을 상기 제1 회전속도까지 가속하는 구간에서, 상기 드럼을 상기 제1 회전속도보다 느린 제2 회전속도를 지나 상기 제1 회전속도까지 가속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속도는,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해 상기 드럼내의 세탁물이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에 대응하는 높이 이상 상승한 후 상기 드럼에서 분리되어 낙하하는 회전속도일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accelerate the drum to the first rotational speed through a second rotational speed slower than the first rotational speed in a section in which the drum is accelerated to the first rotational speed. The second rotational speed may be a rotational speed at which laundry in the drum rises abo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al center of the drum due to the rotation of the drum and then falls apart from the drum.

상기 제2 회전속도는 40rpm 내지 60rpm 범위내일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속도는 46rpm일 수 있다.The second rotation speed may be in the range of 40 rpm to 60 rpm. The second rotation speed may be 46 rpm.

상기 구동부는, 상기 터브의 수위가 상기 제1 수위인 상태에서, 상기 드럼을 상기 제2 회전속도를 유지하며 회전시킬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rotate the drum while maintaining the second rotation speed while the water level of the tub is the first water level.

상기 드럼이 가속하는 구간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가 제2 회전속도를 지날 때, 또는 상기 드럼이 제2 회전속도를 유지하며 회전할 때, 상기 드럼 내의 세탁물은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에 대응하는 높이 이상 상승한 후 상기 드럼에서 분리되어 낙하할 수 있다.Whe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um passes the second rotational speed in the section in which the drum accelerates, or when the drum rotates while maintaining the second rotational speed, the laundry in the drum is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al center of the drum. After the abnormal rise,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drum and fall.

세탁물이 낙하하며 드럼 내의 물이 상기 개스킷과 상기 도어에 튈 수 있다. 상기 개스킷과 상기 도어에 축적된 린트가 제거될 수 있다.The laundry may fall and water in the drum may splash on the gasket and the door. Lint accumulated on the gasket and the door may be removed.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터브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는 상기 수위센서가 감지한 상기 터브의 수위를 기초로 상기 터브에 급수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water level sensor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of the tub. The water supply unit may supply water to the tub based on the water level of the tub detected by the water level sensor.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드럼을 상기 제1 회전속도로 회전한 후 정지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stop after rotating the drum at the first rotational speed.

상기 드럼이 회전하면, 상기 드럼내의 세탁물이 상기 터브의 물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세탁물이 상기 터브의 물을 흡수하여 상기 터브의 수위가 낮아질 수 있다.When the drum rotates, the laundry in the drum can absorb water from the tub. The laundry may absorb the water in the tub to lower the water level of the tub.

상기 수위감지부는 상기 드럼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터브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드럼이 제1 회전속도로 회전하고 정지한 후 상기 터브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The water level sensing unit may detect the water level of the tub in a state in which the drum is stopped. The water level sensor may detect the water level of the tub after the drum rotates at a first rotational speed and stops.

상기 급수부는, 상기 드럼이 상기 제1 회전속도로 회전한 후 상기 터브의 수위가 상기 제1 수위보다 낮을 때, 상기 터브에 상기 제1 수위까지 재급수할 수 있다. 상기 드럼이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터브의 수위가 상기 제1 수위보다 낮으면 상기 급수부는 상기 터브에 재급수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는 상기 제1 수위까지 상기 터브에 재급수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may re-supply water to the tub up to the first water level when the water level of the tub is lower than the first water level after the drum rotates at the first rotational speed. When the water level of the tub is lower than the first water level in a state in which the drum is stopped, the water supply unit may re-supply water to the tub. The water supply unit may re-supply water to the tub up to the first water level.

상기 구동부는, 상기 급수부가 상기 터브에 재급수한 후, 상기 드럼을 상기 제1 회전속도로 다시 회전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rotate the drum again at the first rotational speed after the water supply unit re-supplys water to the tub.

상기 재급수 후 상기 드럼이 회전하면, 상기 세탁물이 물을 더 흡수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재급수 후 상기 드럼이 상기 제1 회전속도로 회전할 때 터브의 수위는 감소하지 않을 수 있다.If the drum rotates after the re-watering, the laundry may not absorb more water. When the drum rotates at the first rotational speed after the re-watering, the water level of the tub may not decrease.

상기 재급수 후 상기 드럼이 상기 제1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구간에서 상기 터브의 수위는, 상기 재급수 전 상기 드럼이 상기 제1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구간에서 상기 터브의 수위보다 높을 수 있다. The water level of the tub in a section in which the drum rotates at the first rotation speed after re-watering may be higher than the water level in the tub in a section in which the drum rotates at the first rotation speed before the re-watering.

상기 재급수 후 상기 드럼이 상기 제1 회전속도로 회전할 때, 상기 터브의 물이 상기 개스킷의 내측면에 유동할 수 있고, 상기 개스킷 내측면에 유동하는 물은 상기 재급수 전 상기 드럼이 회전할때보다 높은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상기 개스킷 내측면에 유동하는 물은 상기 재급수 전 제거된 린트보다 높은 위치에 축적된 린트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개스킷 내측면에 유동하는 물은 상기 도어에 축적된 린트를 제거할 수 있다.When the drum rotates at the first rotation speed after the re-watering, the water of the tub may flow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asket, and the water flow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asket rotates the drum before the re-watering. You can reach a higher position than when delivering. The water flow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asket may remove lint accumulat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lint removed before the re-watering.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inner surface of the gasket may remove lint accumulated in the door.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드럼을 상기 제1 회전속도로 회전한 후, 상기 드럼을 제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역상제동으로 상기 드럼을 제동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may brake the drum after rotating the drum at the first rotational speed. The driving unit may brake the drum by reverse-phase braking.

상기 드럼을 제동하는 구간에서 상기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원의 상은, 상기 드럼이 상기 제1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구간에서 상기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원의 상과 역전될 수 있다.A phase of the power applied to the driving unit in a section in which the drum is braked may be reversed from a phase of power applied to the driving unit in a section in which the drum rotates at the first rotational speed.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드럼을 상기 제1 회전속도로 회전하기 전, 상기 드럼을 상기 제1 회전속도까지 가속하고, 상기 드럼이 제동하는 구간에서 가속도의 크기는, 상기 드럼이 상기 제1 회전속도까지 가속하는 구간에서 가속도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The driving unit, before rotating the drum at the first rotational speed, accelerates the drum to the first rotational speed, and the magnitude of the acceleration in a section in which the drum brakes, the drum rotates up to the first rotational speed It may be greater than the magnitude of the acceleration in the accelerating section.

상기 구동부는, 상기 터브내의 수위가 상기 제1 수위인 상태에서, 상기 드럼을 상기 제1 회전속도로 90도 내지 180도 범위내의 회전 각도만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킨 후 상기 드럼을 제동하고, 상기 드럼의 회전과 제동을 교대로 반복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in a state where the water level in the tub is the first water level, rotates the drum by a rotation angle within the range of 90 degrees to 180 degrees at the first rotation speed and then brakes the drum, rotation and braking can be repeated alternately.

상기 드럼이 제동되면, 상기 드럼내의 세탁물은 드럼에서 분리되어 낙하할 수 있다. 상기 세탁물이 낙하하여 상기 드럼의 물이 상기 개스킷과 상기 도어에 튈 수 있다. 세탁물이 낙하하며 튄 물에 의해 상기 개스킷과 상기 도어에 축적된 린트가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이 제2 회전속도로 회전하여 낙하된 세탁물에 의해 제거된 린트보다 높은 위치에 축적된 린트가 제거될 수 있다.When the drum is braked, the laundry in the drum may be separated from the drum and fall. As the laundry falls, water in the drum may splash on the gasket and the door. Lint accumulated on the gasket and the door may be removed by the water splashed as the laundry falls. The drum rotates at the second rotation speed so that lint accumulat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lint removed by the dropped laundry may be removed.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터브에서 배출된 물을 펌핑하는 순환펌프와, 상기 개스킷에 구비되고 상기 세탁물 출입통로에 위치한 출구를 갖는 노즐과, 상기 순환펌프와 상기 노즐을 연결하는 순환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circulation pump for pumping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tub, a nozzle provided on the gasket and having an outlet located in the laundry inlet passage, and a circulation passage connecting the circulation pump and the nozzle. can do.

상기 순환펌프는, 상기 구동부가 상기 드럼을 회전시킬 때 구동할 수 있다.The circulation pump may be driven when the driving unit rotates the drum.

상기 순환펌프가 구동하면, 상기 순환노즐은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순환노즐은 상기 개스킷의 내측면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순환노즐은 상기 도어의 내측면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순환노즐에서 분사된 물은 상기 개스킷과 상기 도어에 축적된 린트를 제거할 수 있다.When the circulation pump is driven, the circulation nozzle may spray water. The circulation nozzle may spray wat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gasket. The circulation nozzle may spray wat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The water sprayed from the circulation nozzle may remove lint accumulated in the gasket and the door.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급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의 회전 속도와 회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and the water supply unit.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rotation of the driving unit.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a rotation speed and a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ing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센서가 감지한 상기 터브의 수위를 기초로 상기 급수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water supply unit based on the water level of the tub detected by the water level sensor.

상기 급수부는, 급수원과 상기 터브를 연결하는 급수유로와, 상기 급수유로를 개폐하는 급수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may include a water supply passage connecting the water supply source and the tub, and a water supply valve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upply passage.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수위센서가 감지한 상기 터브의 수위를 기초로 상기 급수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water supply valve. The water supply valve may be controlled based on the water level of the tub detected by the water level sens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순환펌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가 구동할 때 상기 순환펌프를 구동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circulation pump. The control unit may drive the circulation pump when the driving unit is drive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덕션 히터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induction heater.

본 개시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는, 세탁행정 중 헹굼구간에서 드럼의 모션, 세탁수의 급수, 순환수의 급수를 제어하여 터브 내에 수용된 세탁수의 물 튐 효과를 극대화하여 터브의 전방으로 세탁수를 전달함으로써, 도어의 내면 및 개스킷의 내주면을 세척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Various embodiment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disclosure control the motion of the drum, the water supply of wash water, and the supply of circulating water in the rinsing section during the washing cycle to maximize the water splashing effect of the wash water accommodated in the tub, so that the front of the tub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washing an inner surface of a door and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a gasket by delivering wash water to the air condition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헹굼구간에서 개스킷의 하부가 잠기는 수위까지 세탁수를 급수를 수행한 뒤, 드럼을 회전시켜 터브 내에 급수된 세탁수가 유동되는 수류를 발생시켜 도어의 내면 및 개스킷의 내주면으로 세탁수를 전달함으로써 도어의 내면 및 개스킷의 내주면을 세척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rinsing section, wash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level at which the lower part of the gasket is submerged, and then the drum is rotated to generate a water flow in which the wash water supplied into the tub flows,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and the gasket are clos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washing an inner surface of a door and an inner surface of a gasket by delivering washing water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투입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수용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과 상기 터브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투입구와 상기 터브의 개구부를 연결하는 개스킷과 상기 개스킷과 연통되어 상기 개스킷을 거쳐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와 상기 개스킷과 상기 터브를 연통하여 상기 터브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개스킷으로 공급하는 순환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세탁물을 헹굼하기 위한 제1 수위까지 상기 터브에 물을 급수하는 제1 급수단계와 상기 제1 급수단계 후, 상기 드럼을 제1 RPM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단계와 상기 회전단계 후,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제1 수위보다 더 높은 제2 수위까지 상기 터브에 물을 급수하는 제2 급수단계와 상기 드럼을 제2 RPM까지 가속시키는 가속단계와 상기 가속단계 후, 상기 드럼의 회전을 상기 제2 RPM으로 유지하여 상기 제2 수위까지 급수된 물이 상기 드럼의 회전에 따라 수류를 형성하여 상기 개스킷의 내주면 및 도어의 내면에 축적된 린트를 제거하는 린트제거단계 및 상기 린트제거단계 후, 상기 드럼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감속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cabinet having an inlet formed therein, a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a tub provided inside the cabinet for accommodating water, a drum rotatably provided in the tub to receive laundry, and the tub. A driving unit coupled to rotate the drum, a gasket connecting the inlet and the opening of the tub, a water supply unit communicating with the gasket to supply water to the tub through the gasket, and the gasket communicating with the tub to communicate with the tub In the control method of 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circulation unit for supplying water discharged from After the first water supply step, a rotating step of rotating the drum at a first RPM and a second water supply step of supplying water to the tub to a second water level higher than the first water level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after the rotating step; After the accelerating step of accelerating the drum to a second RPM and after the accelerating step, the water supplied to the second water level by maintaining the rotation of the drum at the second RPM forms a water flow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um to form a water flow to the gaske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controll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lint removing step of removing lint accumulat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door and an inner surface of a door; and a decelerating step of decelerating the rotation of the drum after the lint removing step.

상기 가속단계, 상기 린트제거단계 및 감속단계는 상기 제2 급수단계가 진행되면서 수행될 수 있고, 상기 가속단계는 상기 터브 내의 수위가 상기 제2 수위에 도달한 경우 진행될 수 있다.The acceleration step, the lint removal step, and the deceleration step may be performed while the second water supply step is in progress, and the acceleration step may be performed when the water level in the tub reaches the second water level.

또한, 상기 순환부를 통해 상기 터브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개스킷으로 공급하여 상기 개스킷의 내주면 및 도어의 내면에 축적된 린트를 제거하는 순환수 공급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순환수 공급단계는, 상기 드럼을 제2 RPM으로 가속하면서 수행되고, 상기 드럼의 회전을 감속시키면서 종료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circulating water supply step of supply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tub to the gasket through the circulation unit to remove lint accumulat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asket and an inner surface of the door. is performed while accelerating the drum to a second RPM, and may be completed while decelerating the rotation of the drum.

그리고 상기 가속단계, 린트제거단계, 감속단계 및 순환수 공급단계는 의류처리장치의 헹굼행정 중에 적어도 한번 이상 수행될 수 있다.The accelerating step, the lint removing step, the decelerating step, and the circulating water supply step may be performed at least once during a rinsing cycl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상기 제2 RPM은 상기 제1 RPM과 동일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제2 RPM은 상기 제1 RPM보다 더 클 수 있다.The second RPM may be the same as the first RPM, or the second RPM may be greater than the first RPM.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외관을 형성하고 투입구가 구비되는 캐비닛과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투입구와 연통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금속 재질의 드럼과 상기 캐비닛의 투입구와 상기 터브의 개구부를 연결하는 개스킷과 상기 터브에 구비되고, 전류가 인가되어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 상기 드럼의 원주면을 가열하는 인덕션 모듈과 상기 터브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개스킷과 연통되어 상기 개스킷을 거쳐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및 상기 구동부 및 상기 급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세탁물을 헹굼하기 위한 제1 수위까지 상기 터브에 물을 급수한 뒤, 상기 드럼을 제1 RPM으로 회전시킨 후,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제1 수위보다 더 높은 제2 수위까지 물을 공급하면서, 상기 드럼을 제2 RPM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2 수위까지 급수된 물이 상기 드럼의 회전에 따라 수류를 형성하여 상기 개스킷의 내주면 및 도어의 내면에 축적된 린트를 제거하도록 상기 급수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 a cabinet that forms an exterior and includes an inlet,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inlet, a tub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forms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and rotatably inside the tub Induction installed and provided in the tub and a metal drum for accommodating laundry, a gasket connecting the inlet of the cabinet and the opening of the tub, and heati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through a magnetic field generated by applying a current a module and a driving unit coupled to the tub to rotate the drum; a water supply unit communicating with the gasket to supply water to the tub through the gaske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and the water supply unit, the control unit comprising: After water is supplied to the tub to a first water level for rinsing the laundry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the drum is rotated at a first RPM, and then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to a second water level higher than the first water level. The water supply unit rotates the drum at a second RPM to remove lint accumulat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aske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by rotating the drum at a second RPM to form a water flow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um. and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또한, 상기 터브에서 배출되는 물을 순환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는 순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순환부는, 상기 터브와 상기 개스킷을 연통하는 순환유로 및 상기 순환유로에 동력을 제공하는 순환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The tub may further include a circulation unit forming a flow path for circulat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tub, wherein the circulation unit may include a circulation flow path communicating the tub and the gasket and a circulation pump providing power to the circulation flow path hav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순환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터브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개스킷의 내주면으로 공급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을 상기 제2 RPM으로 가속하면서 상기 순환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터브에서 배출되는 물이 상기 개스킷의 내주면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순환펌프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circulation pump to supply water discharged from the tub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asket, and the control unit may operate the circulation pump while accelerating the drum to the second RPM to discharge the water from the tub. The circulation pump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used water is suppli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asket.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의 회전이 상기 제2 RPM에서 감속할 시 상기 순환펌프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And the controller may stop the operation of the circulation pump when the rotation of the drum decelerates at the second RPM.

상기 제2 RPM은 상기 제1 RPM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제2 RPM은 상기 제1 RPM보다 더 크게 설정될 수 있다.The second RPM may be the same as the first RPM, or the second RPM may be set to be greater than the first RPM.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개스킷을 통한 급수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터브, 순환펌프, 개스킷을 통한 순환수 공급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form a water supply passage through the gaske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orm a circulating water supply passage through the tub, the circulation pump, and the gasket.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급수부를 통한 헹굼수위인 제1수위까지 급수하여 세탁물이 원심력에 의해 드렴 내벽으로 달라 붙어 회전하는 1G 이상의 제1 회전수로 회전하도록 모터를 제어하고, 순환펌프를 구동하여 드럼 내측으로 터브내의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ontrols the motor to rotate at a first rotational speed of 1G or more, in which water is supplied to the first water level, which is the rinsing water level,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and the laundry adheres to the inner wall by centrifugal force and rotates, and the circulation pump is operated. It can be driven to control the supply of washing water in the tub to the inside of the drum.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헹굼수위 이상으로 급수를 하고 드럼은 상기 제1 회전수보다 큰 제2 회전수로 회전하도록 모터를 제어하고, 순환펌프를 구동하여 드럼 내측으로 터브 내의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upplies water above the rinsing water level and controls the motor to rotate the drum at a second rotation speed greater than the first rotation speed, and drives the circulation pump to supply the washing water in the tub into the drum can be controlled to do so.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개스킷에 급수구를 형성하여 개스킷을 통해 급수될 수 있도록 하고 개스킷에 형성된 급수구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개스킷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water supply port is formed in the gasket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through the gasket, and at least one water supply port formed in the gasket may be provided on the gasket.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드럼을 양방향 좌우 반전 회전시킬 때, 드럼을 1G이상으로 회전하여 세탁물이 드럼 내벽을 따라 양방향으로 이동하되, 드럼의 상단에 위치할 때 역제동을 하여 세탁물을 떨어트리고, 드럼은 다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drum is rotated in reverse in both directions, the drum is rotated by 1G or more to move the laundry in both directions along the inner wall of the drum, but reverse braking is performed to drop the laundry when located at the top of the drum Trigger, the drum can be controlled to ro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again.

상술한 실시예들의 각각의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과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Each featur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in other embodiments as long as they are not contradictory or exclusive to other embodiments.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개스킷과 도어에 축적된 린트를 제거할 수 있다.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lint accumulated in the gasket and the door may be removed.

또한, 개스킷과 도어를 향하여 공기를 토출하는 덕트를 구비하지 않고도, 개스킷과 도어에 축적된 린트를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lint accumulated in the gasket and the door can be removed without providing a duct for discharging air toward the gasket and the door.

또한, 덕트를 구비하지 않고 린트를 제거할 수 있어, 열풍건조방식이 아닌 드럼을 가열하여 세탁물을 건조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lint can be removed without a duct, the laundry can be dried by heating the drum instead of the hot air drying method.

또한, 덕트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어, 인덕션 모듈의 설치위치에 자유도를 높일 수 잇따.In addition, since the duct may not be provid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egree of freedom i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induction module.

또한, 인덕션 모듈을 구비하여 건조시 전력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power consumption during drying by providing an induction module.

또한, 세탁행정과 헹굼행정에서 개스킷과 도어에 축적된 린트를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move lint accumulated on the gasket and the door in the washing cycle and the rinsing cycle.

또한, 인덕션 모듈(IH module)이 적용된 의류처리장치의 건조행정 시 발생하여 도어의 내면, 개스킷의 내주면 및 터브의 전방에 축적된 린트를 세탁행정 시 터브 내부에 급수된 세탁수의 수류를 형성하여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lint generated during the drying cycl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to which the induction module (IH module) is applied and accumulat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asket, and the front of the tub forms a flow of wash wate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tub during the washing cycle. can be removed

또한, 개스킷의 내주면 중 일부가 잠길 수 있도록 급수를 수행한 뒤, 수류를 형성함으로써 개스킷의 하부, 도어 내면의 하부에 축적된 린트를 제거할 수 있다.Also, after water is supplied so that a par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asket is submerged, a water flow is formed to remove lint accumul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gasket and the lower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또한, 개스킷의 내주면 중 일부가 잠길 수 있는 설정수위까지 세탁수를 급수한 뒤, 상기 설정수위에서 드럼의 모션을 제어함으로써 터브의 전방으로 물이 튀는 현상을 발생시켜 개스킷의 중앙부분 및 상부, 도어 내면의 중앙부분 및 상부에 축적된 린트를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supplying washing water up to a set water level at which par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asket can be submerged, by controlling the motion of the drum at the set water level, water splashing occurs in the front of the tub, the central portion of the gasket, the upper part, and the door Lint accumulated on the central part and upper part of the inner surface can be removed.

또한, 터브의 전방으로 급수 및 순환수를 공급함으로써 도어 내면의 상부에 추적된 린트를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by supplying water supply and circulation water to the front of the tub,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traced lin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본 개시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인덕션 모듈, 터브 및 드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를 위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가 구현 가능한 드럼의 구동모션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되는 세탁행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되는 세탁행정 중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의 세탁행정 중 일부 행정 시 수위, 드럼 RPM, 급수 및 순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행정 시 개스킷 및 도어의 세척부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 is a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FIG. 1 .
3 is a view showing an induction module, a tub and a drum.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driving motions of a drum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 view illustrating a washing cycle applied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view illustrating a part of a washing cycle applied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8 is a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level, drum RPM, water supply and circulation during some of the washing cycles of the dr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a cleaning portion of a gasket and a door during the operation of FIG. 8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a meaning or rol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other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is present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각의 도면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당업자가 적어도 2개 이상의 도면을 결합하여 다른 실시예를 구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Furthermore, although each drawing is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implement other embodiments by combining at least two or more drawings.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n exterior of a clothes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of FIG. 1 .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세부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방향을 정의하자면, 의류처리장치의 중앙을 기준으로 도어(12)를 향하는 방향이 전방(Front)으로 정의될 수 있다.When defining a direction to help understand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direction toward the door 12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be defined as a front. .

또한, 상기 도어(12)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이 후방(Rear)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우측(Right) 및 좌측(Left) 방향은 위에서 정의된 전후방 방향에 종속하여 정의될 수 있다.In additio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toward the door 12 may be defined as a rear direction, and a right and left direction may be defined depending on the front-rear direction defined above.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세탁기, 건조기, 건조 겸용 세탁기 또는 의류를 리프레쉬하는 장치일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a washing machine, a dryer, a washing machine combined with drying, or an apparatus for refreshing clothes.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터브(2)를 포함하지 않는 건조기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터브(2)를 포함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일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의류처리장치로서 건조 겸용 세탁기를 대표적인 예로서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의류처리장치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be a dryer that does not include the tub 2 . Alternatively,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be a laundry washing machine including a tub 2 . Hereinafter, a washing machine combined with drying will be describ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However,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1)의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2), 상기 터브(2)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대상물(일례로, 세탁대상물, 건조대상물 또는 리프레쉬 대상물)이 수용되는 드럼(3)을 포함할 수 있다.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cabinet 1 forming an exterior, a tub 2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 , and a rotatable object provided inside the tub 2 . (For example, a laundry object, a drying object, or a refresh object) may include a drum 3 in which is accommodated.

일례로 의류를 세탁수에 의해 세탁하는 경우 이를 세탁대상물이라 할 수 있고, 젖은 의류를 열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경우 이를 건조대상물이라 할 수 있고, 마른 의류를 열풍, 냉풍 또는 스팀 등을 이용하여 리프레쉬(Refresh)하는 경우 이를 리프레쉬 대상물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의 드럼(3)을 통해서 의류를 세탁, 건조 또는 리프레쉬를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clothes are washed with washing water, they can be called laundry objects, when wet clothes are dried using heat, they can be called drying objects, and dry clothes can be refreshed using hot air, cold air, or steam. In the case of (refresh), this can be called a refresh object. Accordingly, clothes can be washed, dried, or refreshed through the drum 3 of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상기 캐비닛(1)은 상기 캐비닛(1)의 전방에 구비되어 대상물이 출입되는 투입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에는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12)가 구비될 수 있다.The cabinet 1 may include an inlet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cabinet 1 through which an object enters and exits, and the cabinet 1 has a door rotatably connected to the cabinet 1 to open and close the inlet. (12) may be provided.

상기 도어(12)는 도어 프레임(121)과 상기 도어 프레임(121)의 중앙부에 구비된 투시창(122)을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12 may include a door frame 121 and a see-through window 122 provid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door frame 121 .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면 상부 측에는 컨트롤 패널(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5)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5)을 통해 사용자의 각종 입력이 수행되고, 입력된 정보 또는 의류처리장치의 다양한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 패널(5)에는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와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구비될 수 있다.A control panel 5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front sid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e control panel 5 may be provided for a user interface. Various user inputs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control panel 5 , and input information or various informa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be displayed. Accordingly, the control panel 5 may include a manipulation unit for a user to operate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a display for displaying information to the user.

한편, 상기 터브(2)는 물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터브(2)는 실린더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터브(2)는 길이방향 축이 상기 캐비닛(1)의 하면과 나란하거나, 소정각도를 이룰 수 있다. 상기 터브(2)의 길이방향 축의 연장선은 상기 캐비닛(1)의 후면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터브(2)는 상기 투입구에 연통하는 개구부(21)를 구비한다. 전방에 터브 개구부(21)가 구비된다. 상기 터브(2)는 상기 터브 개구부(21)와 터브의 본체를 구성하는 터브 바디(2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브 바디(22)는 원통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터브 바디(22)의 형상에 대응되어 상기 터브 개구부(21)가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tub 2 forms a space in which water can be stored. The tub 2 may extend in a cylindrical shape. The tub 2 may have a longitudinal axis parallel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abinet 1 or may form a predetermined angle. An extension line of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tub 2 may pass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cabinet 1 . The tub 2 has an opening 21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A tub opening 21 is provided in the front. The tub 2 may include the tub opening 21 and the tub body 22 constituting the body of the tub. Accordingly, the tub body 22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tub opening 21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tub body 22 .

상기 터브(2)는 제2지지부(132)에 의해 상기 캐비닛(1)의 하면(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지지부(132)는 지지바(1321)와 댐퍼(1322)를 구비하여 상기 드럼(3)의 회전에 의해 상기 터브(2)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감쇠될 수 있다.The tub 2 may be fixed to the lower surface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1 by a second support part 132 , and the second support part 132 includes a support bar 1321 and a damper 1322 .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tub (2) by the rotation of the drum (3) can be attenuated.

또한, 상기 터브(2)의 상면은 상기 캐비닛(1)의 상면에 고정된 제1지지부(131)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131)를 통해 상기 터브(2)에서 발생되어 상기 캐비닛(1)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131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ub 2 . Vibration generated in the tub 2 and transmitted to the cabinet 1 may be attenuated through the first support part 131 .

즉, 상기 제1지지부(131) 및 제2지지부(132)를 통해 상기 캐비닛(1)의 내부에서 상기 터브(2)를 지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터브(2)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That is, the tub 2 can be supported inside the cabinet 1 through the first support part 131 and the second support part 132 , and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tub 2 can be damped. can

드럼(3)은 실린더 형상으로 연장된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3)은 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드럼(3)의 바디는 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드럼(3)의 바디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드럼(3)에 복수의 관통홀(33)이 형성될 수 있다.The drum 3 may include a body extending in a cylindrical shape. The drum 3 may be made of a conductor. The body of the drum 3 may be made of a conductor. The body of the drum 3 may be made of metal.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3 may be formed in the drum 3 .

상기 드럼(3)은 대상물(세탁물, 건조대상물, 리프레쉬 대상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드럼(3)은 실린더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드럼(3)은 길이방향 축이 상기 캐비닛(1)의 하면(바닥면)과 나란하거나 또는 소정각도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드럼(3)의 길이방향 축의 연장선은 상기 캐비닛(1)의 후면을 관통할 수 있다. 드럼(3)의 전방에는 상기 터브 개구부(21)와 연통하는 드럼 개구부(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닥면에 대한 상기 터브(2)와 상기 드럼(3)의 중심축이 이루는 각도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The drum 3 may provide a space for storing objects (laundry, drying objects, and refresh objects). The drum 3 may extend in a cylindrical shape. The drum 3 may have a longitudinal axis parallel to the lower surface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1 or may form a predetermined angle. An extension of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drum 3 may pass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cabinet 1 . A drum opening 31 communicating with the tub opening 21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drum 3 . An angle between the central axis of the tub 2 and the drum 3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may be the same.

상기 드럼(3)의 외주면에는 상기 드럼(3)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관통홀(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33)을 통해 드럼(3) 내부와 터브(2) 내부 사이의 공기와 세탁수의 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3 penetrating the drum 3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3 . Through the through hole 33, air and wash water may be introduced between the inside of the drum 3 and the inside of the tub 2 .

상기 드럼(3)의 내주면에는 드럼(3)의 회전 시 대상물을 교반시키기 위한 리프터(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35)는 드럼(3)의 내주면에서 드럼(3)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드럼(3)의 내주면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A lifter 35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3 to agitate the object when the drum 3 rotates. The lifters 35 may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um 3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3 and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3 .

상기 드럼(3)은 터브(2)의 후방에 구비된 구동부(6)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The drum 3 may be rotated by a driving unit 6 provided at the rear of the tub 2 .

상기 구동부(6)는 터브(2)의 배면에 고정된 스테이터(61), 스테이터와 전자기적 작용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63), 터브(2)의 배면을 관통하여 드럼(3)과 로터(63)를 연결하는 회전축(65)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6 includes a stator 61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tub 2, a rotor 63 rotating by an electromagnetic action with the stator, and a drum 3 and a rotor ( 63) may be provided as a rotating shaft 65 for connecting them.

상기 스테이터(61)는 터브(2)의 배면에 구비된 베어링 하우징(66)의 후방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로터(63)는 스테이터(61)의 반경방향 외측에 구비되는 로터 자석(632) 및 상기 로터 자석(632)과 회전축(65)을 연결하는 로터 하우징(63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tator 61 may be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earing housing 66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ub 2 , and the rotor 63 may have a rotor magnet 632 provided on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stator 61 . ) and a rotor housing 631 connecting the rotor magnet 632 and the rotation shaft 65 .

상기 베어링 하우징(66)의 내부에는 회전축(65)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베어링(68)이 구비될 수 있다.A plurality of bearings 68 supporting the rotation shaft 65 may be provided inside the bearing housing 66 .

또한, 상기 드럼(3)의 배면에는 로터(63)의 회전력을 드럼(3)에 용이하게 전달시키는 스파이더(67)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스파이더(67)에는 로터(63)의 회전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축(65)이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 spider 67 that easily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or 63 to the drum 3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rum 3 , and the spider 67 receives the rotational power of the rotor 63 . The rotation shaft 65 for transmission may be fixed.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면 상부 측에는 세제박스(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제박스(7)를 통해 세제, 섬유 유연제 등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세제박스(7)는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캐비닛(1)의 전방을 향해 슬라이딩 하여 개폐가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 detergent box 7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front sid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Detergent, fabric softener, etc. can be supplied through the detergent box 7 . The detergent box 7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so that a user can slide it toward the front of the cabinet 1 to enable opening and closing.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제박스(7)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된 케이스(71), 상기 케이스(71)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7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detergent box 7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case 71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 and a drawer 72 withdrawable from the case 71 .

상기 케이스(71) 내부에 수용된 드로워(72)는 캐비닛(1)의 전방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드로워 인출구를 통해 캐비닛(1)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72)는 상부면이 개방된 다면체(육면체 등)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드로워(72)의 내부에는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부(721), 상기 저장부(721)를 상기 케이스(71)와 연통시키는 세제배출구(72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제배출구(723)는 상기 저장부(721)의 후방면이나 바닥면을 관통하는 관통홀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저장부(721)의 바닥면에 구비된 벨 트랩(bell trap)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drawer 72 accommodated in the case 71 may be drawn out of the cabinet 1 through a drawer outlet provided to penetrate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1 . The drawer 72 may be provided as a polyhedron (such as a hexahedron) with an open upper surface, and a storage unit 721 providing a space for storing detergent in the drawer 72, the storage unit ( 721)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detergent outlet 723 that communicates with the case 71. The detergent outlet 723 may be provided as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rear surface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unit 721, and may be provided as a bell trap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unit 721. may be

급수부(51, 53)는 급수원과 연결되어 터브(2)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급수원은 수도 등 캐비닛 외부의 수원일 수 있다. 급수부(51,53)는 급수원의 물을 상기 저장부(721)에 공급하는 급수유로(51), 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유로(51)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급수밸브(51a)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51, 53)The water supply units 51 and 53 may be connected to a water supply source to supply water to the tub 2 . The water supply source may be a water source outside the cabinet, such as a water supply. The water supply units 51 and 53 include a water supply passage 51 for supplying water from a water supply source to the storage unit 721 , and a water supply valve that opens or closes the water supply passage 51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0 . (51a) may be included. Water supply (51, 53)

따라서 상기 급수유로(51)를 통해 세제가 저장된 저장부(721)에 물이 공급되면, 상기 저장부(721) 내부의 세제는 물과 함께 세제배출구(723)를 통해 케이스(71)로 이동한다. 상기 세제와 물이 혼합된 액체를 세제수라 할 수 있다.Therefore,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storage unit 721 in which the detergent is stored through the water supply passage 51, the detergent in the storage unit 721 moves to the case 71 through the detergent outlet 723 together with the water. . A liquid in which the detergent and water are mixed may be referred to as detergent water.

한편, 저장부(721) 내부에 세제가 수용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저장부(721)에 공급된 물은 배출구(723)를 통해 케이스(71)로 이동할 수 있다.Meanwhile, the detergent may not b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721 . In this case, the water supplied to the storage unit 721 may move to the case 71 through the outlet 723 .

급수부(51, 53)는 세제박스(7)와 터브(2)를 연결하는 공급관(53)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급관(53)은 케이스(71)와 연결될 수 있다. 공급관(53)은 터브(2)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units 51 and 53 may include a supply pipe 53 connecting the detergent box 7 and the tub 2 . The supply pipe 53 may be connected to the case 71 . The supply pipe 53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ub 2 .

케이스(71)의 세제수 또는 물은 공급관(53)을 통해 터브(2)로 공급될 수 있다.Detergent water or water of the case 71 may be supplied to the tub 2 through the supply pipe 53 .

상기 터브(2)로 공급된 물은 배수부(14)를 통해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배수부(6)는 터브(2) 내부의 물이 이동하는 배수유로를 형성하는 배수관(142) 및 상기 터브 내로 공급된 물이 상기 배수관(142)을 통해 캐비닛(1)의 외부로 배수되도록 상기 배수관(142) 내부에 압력차를 발생시키는 배수펌프(141)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water supplied to the tub (2)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through the drain (14). The drain unit 6 includes a drain pipe 142 that forms a drain passage through which the water inside the tub 2 moves, and the water supplied into the tub is drain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through the drain pipe 142 . A drain pump 141 for generating a pressure difference inside the drain pipe 142 may be provided.

보다 자세히, 상기 배수관(142)은 상기 터브(2)의 하면과 상기 배수펌프(141)를 연결하는 제1 배수관(1421) 및 일단이 상기 배수펌프(141)에 연결되어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물이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2 배수관(1422)을 포함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drain pipe 142 includes a first drain pipe 1421 conne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tub 2 and the drain pump 141 and one end of the drain pipe 141 connected to the drain pump 141 of the cabinet 1 . A second drain pipe 1422 that forms a flow path through which water moves to the outside may be included.

나아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터브 바디(22)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11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수위 감지부(110)는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의 수위와 동일한 수위가 형성되는 연통관(111) 및 상기 연통관(111) 내부의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센서(113)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urther includes a water level detecting unit 110 for detecting a water level inside the tub body 22 .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1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mmunication pipe 111 having the same water level as the water level inside the tub body 21 and a sensor 113 for detecting a pressure change inside the communication pipe 111. have.

상기 연통관(111)은 일단은 상기 제1 배수관(142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드럼(3)의 회전중심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터브 바디(22) 내부의 물이 모두 제1 배수관(1421)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수위 감지부(110)는 상기 제1 배수관(1421)의 수위도 감지할 수 있다.One end of the communication pipe 111 is connected to the first drain pipe 1421 ,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to be positioned at a point higher than the rotation center of the drum 3 . Accordingly, when all the water inside the tub body 22 has moved to the first drain pipe 1421 , the water level sensor 110 may also detect the water level in the first drain pipe 1421 .

본 개시의 일 실시예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개스킷(4)을 포함할 수 있다. 개스킷(4)은 캐비닛(1)의 투입구(11)와 터브 개구부(21)를 연결할 수 있다. 개스킷(4)은 세탁물의 투입, 인출을 위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gasket 4 . The gasket 4 may connect the inlet 11 of the cabinet 1 and the tub opening 21 . The gasket 4 may form a passage for loading and unloading laundry.

개스킷(4)은 연장된 관상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개스킷(4)의 일단은 터브 개구부(21)에 결합할 수 있다. 개스킷(4)의 타단은 캐비닛(1)의 투입구(11)에 결합할 수 있다. 개스킷(4)은 터브 개구부(21)에서 캐비닛(1)의 투입구(11)로 연장될 수 있다.The gasket 4 may have an elongated tubular shape. One end of the gasket 4 may be coupled to the tub opening 21 . The other end of the gasket 4 may be coupled to the inlet 11 of the cabinet 1 . The gasket 4 may extend from the tub opening 21 to the inlet 11 of the cabinet 1 .

개스킷(4)은 터브(2)의 진동이 캐비닛(1)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개스킷(4)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스킷(4)은 고무,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TPE(Thermo Plastic Elastomer)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gasket 4 may prevent the vibration of the tub 2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cabinet 1 . The gasket 4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For example, the gasket 4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EPDM), or Thermo Plastic Elastomer (T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개스킷(4)은 캐비닛(1)과 터브(2)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즉, 개스킷(4)은 터브(2) 내부의 물이 터브(2)와 캐비닛(1) 사이의 공간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gasket 4 may seal between the cabinet 1 and the tub 2 . That is, the gasket 4 may prevent water inside the tub 2 from leaking into the space between the tub 2 and the cabinet 1 .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터브(2)에서 배수된 물을 다시 순환시키는 순환부(55,57)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부(55, 57)는, 터브(2)에서 배출된 물을 펌핑하는 순환펌프(55)와, 상기 펌핑된 물을 터브(2) 또는 드럼(3) 내부로 분사하는 노즐(57a)과, 순환펌프(55)와 노즐(57a)을 연결하는 순환유로(57)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circulation units 55 and 57 for recirculating the water drained from the tub 2 . The circulation units 55 and 57 include a circulation pump 55 for pumping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tub 2 , and a nozzle 57a for spraying the pumped water into the tub 2 or the drum 3 , and , it may include a circulation passage 57 connecting the circulation pump 55 and the nozzle 57a.

순환펌프(55)는 터브(2)의 저면을 통해 터브(2) 내부와 연통할 수 있다. 순환펌프(55)와 터브(2)를 연결하는 유로는 순환펌프(55)의 입구에 연결될 수 있다. 순환펌프(55)는 전술한 제1 배수관(1421)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제1 배수관(1421)과 별도의 유로를 통해 터브(2)의 저면과 연결될 수 있다.The circulation pump 55 may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tub 2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tub 2 . A flow path connecting the circulation pump 55 and the tub 2 may be connected to an inlet of the circulation pump 55 . The circulation pump 55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drain pipe 1421 described above. Alternatively, it may be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ub 2 through a separate flow path from the first drain pipe 1421 .

순환펌프(55)는 전술한 배수펌프(141)과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하우징에 순환펌프(55)와 배수펌프(141)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는, 하나의 펌프로 순환펌프의 역할과 배수펌프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circulation pump 55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aforementioned drain pump 141 . Alternatively, the circulation pump 55 and the drain pump 141 may be provided in one housing. Alternatively, a single pump may serve as a circulation pump and a drain pump.

순환유로(57)는 순환펌프(55)와 노즐(57a)을 연결할 수 있다. The circulation passage 57 may connect the circulation pump 55 and the nozzle 57a.

순환유로(57)는 순환펌프(55)에 연결될 수 있다. 순환유로(57)는 순환펌프(55)의 출구에 연결될 수 있다. The circulation passage 57 may be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pump 55 . The circulation passage 57 may be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circulation pump 55 .

순환유로(57)는 노즐(57a)에 연결될 수 있다. 순환유로(57)는 노즐(57a)과 연통할 수 있다. 순환유로(57)는 개스킷(4)에 연결될 수 있다. 순환유로(57)는 개스킷(4)에 구비된 노즐(57a)에 연결될 수 있다.The circulation passage 57 may be connected to the nozzle 57a. The circulation passage 57 may communicate with the nozzle 57a. The circulation passage 57 may be connected to the gasket 4 . The circulation passage 57 may be connected to the nozzle 57a provided in the gasket 4 .

순환유로(57)는 순환펌프(55)에 의해 펌핑된 물을 노즐(57a)로 안내할 수 있다. 순환유로(57)는 순환펌프(55)에 의해 펌핑된 물을 노즐(57a)로 공급할 수 있다.The circulation passage 57 may guide the water pumped by the circulation pump 55 to the nozzle 57a. The circulation passage 57 may supply water pumped by the circulation pump 55 to the nozzle 57a.

노즐(57a)은 개스킷(4)에 구비될 수 있다. 노즐(57a)은, 개스킷(4)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개스킷(4)과 별도로 제조되어 개스킷(4)에 결합할 수 있다.The nozzle 57a may be provided in the gasket 4 . The nozzle 57a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gasket 4 or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gasket 4 to be coupled to the gasket 4 .

노즐(57a)은 개스킷(4)을 관통할 수 있다. 노즐(57a) 출구는 개스킷(4)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노즐(57a) 입구는 개스킷(4)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노즐(57a)은 개스킷(4) 외측에서 순환유로(57)에 연결될 수 있다.The nozzle 57a may pass through the gasket 4 . The outlet of the nozzle 57a may be located inside the gasket 4 . The inlet of the nozzle 57a may be located outside the gasket 4 . The nozzle 57a may be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passage 57 from the outside of the gasket 4 .

노즐(57a)은 개스킷(4)의 내주면에 둘러싸인 공간과 연통할 수 있다. 즉, 노즐(57a)은 전술한 세탁물 출입 통로에 연통할 수 있다. 노즐(57a)은 상기 세탁물 출입 통로를 통해 터브(2) 내부 공간과 드럼(3) 내부 공간에 연통할 수 있다.The nozzle 57a may communicate with the space surrounded b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asket 4 . That is, the nozzle 57a may communicate with the laundry access passage described above. The nozzle 57a may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of the tub 2 and the inner space of the drum 3 through the laundry access passage.

노즐(57a)은 순환펌프(55)에 의해 펌핑되고 순환유로(57a)를 따라 유입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노즐(57a)은 개스킷(4)의 내측면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노즐(57a)은 도어(12)의 내면(122)에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노즐(57a)은 드럼(3) 내부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The nozzle 57a may spray water pumped by the circulation pump 55 and introduced along the circulation passage 57a. The nozzle 57a may spray wat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gasket 4 . The nozzle 57a may spray water on the inner surface 122 of the door 12 . The nozzle 57a may spray water into the drum 3 .

노즐(57a)은 개스킷(4)의 중심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nozzle 57a may be located above the center of the gasket 4 .

노즐(57a)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노즐은 개스킷(4)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노즐은 개스킷(4)의 중심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노즐(57a)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노즐은 개스킷(4)의 중심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A plurality of nozzles 57a may be provided. A plurality of nozzles may be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gasket 4 . The plurality of nozzles may include a nozzle 57a positioned above the center of the gasket 4 . The plurality of nozzles may include nozzles positioned below the center of the gasket 4 .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순환펌프(55)에 연결된 노즐(57a) 이외에, 외부수원과 연결되 직수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51, 53)는 급수유로(51) 이외에 별도의 노즐 급수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노즐 급수유로는 외부의 수원과 연결되고 밸브에 의해 단속될 수 있다. 또한, 개스킷(4)에 노즐 급수유로와 연결된 직수노즐이 더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further include a direct water nozzle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ource in addition to the nozzle 57a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pump 55 . The water supply units 51 and 53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nozzle water supply passage in addition to the water supply passage 51 , and the nozzle water supply passage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ource and be interrupted by a valve. In addition, a direct water nozzle connected to the nozzle water supply passage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gasket 4 .

노즐(57a) 또는 직수노즐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상기 도어(12)의 내면을 따라 흐르면서, 상기 도어(12)의 내면에 부착된 린트(Lint)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노즐(57a)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개스킷(4)의 내주면을 따라 흐를 수 있고, 개스킷(4)의 내주면에 축적된 린트(Lint)를 제거할 수 있다. As water supplied through the nozzle 57a or the direct water nozzle flow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12 , lint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12 may be removed. In addition, water supplied through the nozzle 57a may flow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asket 4 , and lint accumula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asket 4 may be removed.

또한, 드럼(3)의 RPM 제어를 통해 터브(2) 개스킷(4) 및 도어의 내면(122)에 물을 공급하여 개스킷(4) 및 도어의 내면(122)에 부착된 린트를 제거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한다.In addition, lint attached to the gasket 4 and the inner surface 122 of the door can be removed by supplying water to the inner surface 122 of the tub 2 and the gasket 4 and the door through RPM control of the drum 3 . an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드럼(3)을 가열하는 인덕션 모듈(8)을 포함할 수 있다. 인덕션 모듈(8)은 코일을 포함한다. 인덕션 모듈(8)에 전원이 인가되면, 코일에 의해 자기장이 발생한다. 인덕션 모듈(8)은 발생된 자기장을 통해 드럼(3)을 가열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n induction module 8 for heating the drum 3 . The induction module 8 comprises a coil.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induction module 8, a magnetic field is generated by the coil. The induction module 8 can heat the drum 3 through the generated magnetic field.

인덕션 모듈(8)은 드럼(3)을 가열하여, 터브(2) 내의 세탁수와 드럼(3) 내의 세탁물을 가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수와 세탁물의 온도를 높여 세탁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induction module 8 may heat the drum 3 to heat the wash water in the tub 2 and the laundry in the drum 3 .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mprove washing performance 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washing water and laundry.

또한, 인덕션 모듈(8)은 드럼(3)을 가열하여 세탁물을 건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uction module 8 can dry the laundry by heating the drum 3 .

도 3은 인덕션 모듈, 터브 및 드럼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n induction module, a tub and a drum.

이하 도 3을 참고하여 인덕션 모듈(8)과 상기 인덕션 모듈(8)을 의류처리장치에 장착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induction module 8 and a structure for mounting the induction module 8 to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상기 인덕션 모듈(8)은 터브(2)의 원주면에 장착되어 와이어가 권선된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서 상기 드럼(3)의 원주면을 가열한다.The induction module 8 is mount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2 to heat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3 through a magnetic field generated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a coil wound with a wire.

보다 자세히, 코일에 전류의 위상이 변하는 교류 전류가 흐르게 되면, 앙페르 회로 법칙에 따라 코일은 방사형의 교류자기장을 형성하게 된다. 이후 교류자기장이 투자율이 큰 도체로 이루어진 드럼(3)쪽으로 집중되면, 패러데이의 유도 법칙에 따라 드럼(3)에는 와전류가 형성된다.In more detail, when an alternating current of which the phase of the current is changed flows through the coil, the coil forms a radial alternating magnetic field according to the Ampere circuit law. Then, when the alternating magnetic field is concentrated toward the drum 3 made of a conductor having high magnetic permeability, an eddy current is formed in the drum 3 according to Faraday's law of induction.

이에 따라, 상기 드럼(3)에 흐르는 와전류는 드럼(3) 자체의 저항에 의해 줄열로 전환되게 되어 드럼(3) 내주면이 직접 가열되게 된다.Accordingly, the eddy current flowing through the drum 3 is converted into Joule heat by the resistance of the drum 3 itself, so that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3 is directly heated.

상기 코일을 터브(2)의 상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베이스 하우징(8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하우징(82)은 터브(2)의 원주면에 고정되되, 상기 회전축(65)을 통과하며 지면과 나란한 수평면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to fix the coi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ub 2 ,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further include a base housing 82 . The base housing 82 is fix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2 , passes through the rotation shaft 65 and may be provided above a horizontal surface parallel to the ground.

보다 상세하게, 상기 베이스 하우징(82)은 소정두께를 가진 직사각형의 판 형상이나 장방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전후방 길이가 상기 터브(2)의 전후방 길이보다 짧게 구비되고, 드럼(3)의 상측에 위치한 베이스 바디(821)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base housing 82 may be provid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or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front and rear lengths are shorter than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tub 2 , and ar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drum 3 . It may include a positioned base body 821 .

상기 베이스 바디(821)는 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드럼(3)으로 집중시키기 위해 터브(2) 또는 드럼(3)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body 821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curvature a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 2 or the drum 3 in order to concentrate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coil to the drum 3 .

또한, 상기 베이스 하우징(82)은 상기 베이스 바디(821)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코일이 권선되는 고정 리브(82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리브(823)는 코일을 형성하는 와이어가 삽입되는 코일 슬롯을 형성한다. 즉, 상기 코일 슬롯에 상기 코일은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베이스 하우징(82)에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housing 82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rib 823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body 821 to wind a coil, and the fixing rib 823 is a wire forming a coil. forms a coil slot into which it is inserted. That is, the coil in the coil slot may be fixed to the base housing 82 by an interference fit method.

상기 인덕션 모듈(8)은 상기 코일에서 발생한 자기장을 상기 드럼(3) 방향으로 집중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 하우징(82)의 상측에 구비되며 막대 자석인 영구자석(83)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duction module 8 may further include a permanent magnet 83 provided above the base housing 82 and serving as a bar magnet to concentrate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coil toward the drum 3 .

상기 영구자석(83)은 코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되도록 다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베이스 하우징(82)에 고정된 코일의 상부에 위치하되, 코일을 형성하는 와이어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내부코일과 외부코일 동시에 커버하기 위함이다A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83 may be provid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il, and located above the coil fixed to the base housing 82,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re forming the coil. It is preferable to be This is to cover both the inner coil and the outer coil at the same time.

상기 영구자석(83)을 상기 베이스 하우징(82)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인덕션 모듈(8)은 상기 베이스 하우징(82)의 상측에 결합되는 영구자석 하우징(84)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fix the permanent magnet 83 to the base housing 82 , the induction module 8 may further include a permanent magnet housing 84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base housing 82 .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84)은 소정두께를 가진 직사각형의 판 형상이나 장방형으로 상기 베이스 바디(82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영구자석 하우징 바 디(841),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 바디(841)에 구비된 다수의 영구자석 장착부(842) 및,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 바디(84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다수의 영구자석 장착부(842) 사이에 위치한 공기 유동홀(841b)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ermanent magnet housing 84 is provided in the permanent magnet housing body 841 and the permanent magnet housing body 841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ase body 821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or a rectangl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 mounting parts 842 and an air flow hole 841b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permanent magnet housing body 841 and located between the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 mounting parts 842 .

상기 영구자석 장착부(842)는 영구자석(83)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되도록 구비되며, 영구자석(83)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영구자석(83)이 상기 영구자석 장착부(842)에서 상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개시의 인덕션 모듈(8)은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84)과 결합하는 커버(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ermanent magnet mounting part 842 is provided so that the permanent magnet 83 is insert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nd may be formed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permanent magnet 83 . Accordingly, in order to prevent the permanent magnet 83 from being separated upward from the permanent magnet mounting part 842, the induction module 8 of the present disclosure further includes a cover 85 coupled to the permanent magnet housing 84. can do.

상기 커버(85)는 소정두께를 가진 직사각형의 판 형상이나 장방형으로 구비되는 커버 바디(851), 상기 커버 바디(851)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대류에 의해 열기(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 배출홀(851a)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85 includes a cover body 851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or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n air discharge hol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cover body 851 to discharge hot air (air) by convection. (851a).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84)과 상기 커버(85)를 분리한 이유는 영구자석(83)의 상면에 공기가 흐르게 하여 영구자석(83)의 냉각을 가속화하고, 영구자석(83)이 간이하게 삽탈되도록 하여 영구자석(83)의 교환을 쉽게하며, 영구자석(83)을 고정하는 부품이 폐쇄면을 가지지 않도록 하여 사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for separating the permanent magnet housing 84 and the cover 85 is that air flows 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permanent magnet 83 to accelerate cooling of the permanent magnet 83, and the permanent magnet 83 is easily inserted and detached. This is to facilitate the exchange of the permanent magnet 83 and to facilitate injection by preventing the part fixing the permanent magnet 83 from having a closed surface.

이하 상기 베이스 하우징(82), 영구자석 하우징(84) 및 커버(85)를 상기 터브(2)에 고정하는 구조를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인덕션 모듈(8)은 드럼(3)을 유도가열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드럼(3)의 외주면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인덕션 모듈(8)은 터브(2)에 고정될 수 있다.Hereinafter, a structure for fixing the base housing 82 , the permanent magnet housing 84 , and the cover 85 to the tub 2 will be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the induction module 8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configuration for inductively heating the drum 3 and should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fore, the induction module 8 of this embodiment may be fixed to the tub (2).

먼저, 베이스 하우징(82)은 상기 베이스 바디(821)의 모서리에 구비되며 나사가 삽입되는 제1 체결홀(829a)이 형성된 제1 체결부(829)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부(829)는 상기 베이스 바디(821)의 전단 및 후단의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First, the base housing 82 may include a first fastening part 829 provided at a corner of the base body 821 and having a first fastening hole 829a into which a screw is inserted. The first fastening part 829 may be provided to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base body 821 , respectively.

상기 터브(2)에는 상기 제1 체결홀(829a)과 연통하는 중공을 구비한 하우징 고정부(22)가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A plurality of housing fixing parts 22 having a hollow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fastening hole 829a may be provided in the tub 2 .

또한,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84)에도 역시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 바디(841)의 모서리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체결홀(829a)과 연통하여 나사가 삽입되는 제2 체결홀(849a)이 형성된 제3 체결부(849)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 체결부(849)는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 바디(841)의 전단 및 후단의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rmanent magnet housing 84 is also provided at the edge of the permanent magnet housing body 841, the first fastening hole 829a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fastening hole 849a into which a screw is inserted. 3 fastening parts 849 may be provided. The third fastening part 849 may be provided to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permanent magnet housing body 841 , respectively.

아울러, 상기 커버(85)에는 커버 바디(851)의 전단 및 후단에서 돌출되며, 상기 제2 체결홀(849a)과 연통하는 제3 체결홀(859a)이 형성된 제3 체결부(859)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85 has a third fastening part 859 protruding from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cover body 851 and having a third fastening hole 859a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fastening hole 849a. can be

이에 따라, 하나의 나사가 상기 제3 체결홀(859a)- 제2 체결홀(849a)-제1 체결홀(829a)을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하우징 고정부(22)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one screw passes through the third fastening hole 859a - the second fastening hole 849a - the first fastening hole 829a to be finally fixed to the housing fixing part 22 .

다만, 상기 제3 체결부(859)는 상기 커버 바디(851)의 전후단에 구비되되, 좌측 또는 우측에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바디(851)의 하면에는 영구자석 하우징 바디(841)에 형성된 후크 체결홀(841a)에 삽입되는 삽입후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However, the third fastening part 859 is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cover body 851 , and may be provided only on the left or right side, an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body 851 is a permanent magnet housing body 841 . An insertion hook (not shown) inserted into the formed hook fastening hole 841a may be provided.

한편, 세탁이나 건조 또는 리프레쉬 과정에서 드럼(3)이 회전하게 되면 터브(2)에 진동이 전달되게 되고, 터브(2)에 장착된 구조들 역시 같이 진동하게 되므로 터브(2)에 장착된 부품들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rum 3 rotates during washing, drying or refreshing,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tub 2 , and the structures mounted on the tub 2 also vibrate, so the parts mounted on the tub 2 . damage may occur.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개스킷(4)의 외측, 상기 터브(2)의 전방면에는 드럼(3)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감쇠시키는 웨이트 밸런서(1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웨이트 밸런서(15)는 상기 터브(2)의 좌우 폭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된 제1 밸런서(151) 및 제2 밸런서(152)를 포함할 수 있다.To solve this, a weight balancer 15 for damping vibration generated by the drum 3 may b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gasket 4 an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ub 2 , and the weight balancer 15 ) may include a first balancer 151 and a second balancer 152 respectively provid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of the tub 2 .

상술한 밸런서 구조에 의해 터브 및 캐비닛에 전달되는 드럼의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인덕션 모듈이 터브에서 탈거되는 문제 또는 인덕션 모듈에 수용되는 코일이 탈거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Vibration of the drum transmitted to the tub and the cabinet can be attenuated by the above-described balancer structure, and thus the problem of the induction module being detached from the tub or the coil accommodated in the induction module being detached can be prevented.

도 4는 상술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를 위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컨트롤 패널(5) 등에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 패널(5)에 구비된 조작부를 통해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를 작동하는 명령을 입력받아 상술한 다양한 세탁행정과 옵션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 is provided on the control panel 5 and the like, and the user receives a command to operate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rough a manipulation unit provided on the control panel 5 to perform the various washing operations and options described above. can be

즉, 상기 제어부(10)는 결정된 세탁행정과 옵션을 수행하면서, 수위 센서(110)로 감지된 수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급수밸브(51a), 배수펌프(141), 순환펌프(55), 구동부(6)를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컨트롤 패널(5)은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술한 의류처리장치의 다양한 코스, 현재의 상태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10 uses the water level information sensed by the water level sensor 110 while performing the determined washing cycle and options, the water supply valve 51a, the drain pump 141, the circulation pump 55, and the driving unit ( 6) can be provided to control. In addition, the control panel 5 may include a display unit, and may provide the user with various courses and current states of the above-describe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상기 제어 구성에 의해 상기 드럼(3)에 의류가 투입되어 조작부에 의류처리장치의 작동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터브(20)에 물을 급수한 뒤, 구동부(6)를 구동하여 상기 드럼(3)을 좌우로 교반시키거나,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 등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configuration, when clothes are put into the drum 3 and an operation command of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is input to the operation unit, the control unit 10 supplies water to the tub 20 and then drives the driving unit 6 . Thus, the drum 3 may be stirred from side to side or rotated in one direction to perform a washing cycle, a rinsing cycle, and a dehydration cycle.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가 구현 가능한 드럼의 구동모션들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되는 세탁행정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driving motions of a drum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6 is a view showing a washing operation applied to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

드럼의 구동모션은 드럼(3)의 회전방향과 회전속도의 조합을 의미하고, 드럼의 구동모션에 의해 드럼(3) 내부에 수용되는 세탁물은 낙하방향이나 낙하시점이 달라지게 되고, 그 결과 드럼(3) 내부에 수용되는 세탁물의 유동이 달라지게 된다. 드럼의 구동모션은 상기 제어부(10)에 의해 상기 구동부(6)가 제어됨으로써 구현된다.The driving motion of the drum means a combination of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um 3 , and the laundry accommodated in the drum 3 by the driving motion of the drum changes the falling direction or the falling time, and as a result, the drum (3) The flow of laundry accommodated inside is changed. The driving motion of the drum is implemented by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6 by the control unit 10 .

세탁물은 드럼(3)의 회전 시 드럼(3) 내주면에 구비된 리프터(35)에 의해 상승하게 되므로, 드럼(3)의 회전속도와 회전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세탁물에 가해지는 충격을 달리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laundry is raised by the lifter 35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3 when the drum 3 rotates, the impact applied to the laundry can be varied by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and direction of the drum 3 do.

즉, 세탁물간의 마찰, 세탁물과 세탁수 간의 마찰, 그리고 세탁물의 낙하 충격 등의 기계력을 달리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세탁을 위해 세탁물을 두드리거나 비비는 정도를 달리할 수 있고, 세탁물의 분산이나 뒤집힘 정도를 달리할 수 있게 된다.That is, it is possible to vary the mechanical force such as friction between laundry, friction between laundry and washing water, and the impact of falling of laundry. In other words, the degree of tapping or rubbing the laundry for washing can be varied, and the degree of dispersing or turning over the laundry can be varied.

한편, 이러한 다양한 드럼구동모션을 구현하기 위하여 구동부(6)는 직결식 모터임이 바람직하다. 즉, 모터의 스테이터가 터브(2)의 후방에 고정되고, 모터의 로터와 함께 회전되는 구동축이 드럼(3)을 직접 구동시키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이는 모터의 회전 방향, 토크 등을 제어함으로써, 시간적인 지연이나 백래시(backlash)를 최대한 방지하여 즉각적으로 드럼의 구동모션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mplement these various drum driving motions, the driving unit 6 is preferably a direct motor.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stator of the motor is fixed to the rear of the tub 2 , and the driving shaft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or of the motor directly drives the drum 3 . This is because, by controlling the rotation direction and torque of the motor, the driving motion of the drum can be immediately controlled by maximally preventing a time delay or backlash.

반면, 모터의 회전력을 풀리 등을 통하여 회전축에 전달하는 형태에서는 시간적인 지연이나 백래시가 허용되는 형태의 드럼구동모션, 예를 들어, 텀블링 구동이나 스핀 구동 등은 가능하나, 그 밖의 다양한 드럼구동모션을 구현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다. 세탁 모터와 드럼(3)의 구동 방식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form of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to the rotating shaft through a pulley, etc., a drum driving motion of a type that allows a time delay or backlash, for example, a tumbling driving or a spin driving is possible, but various other drum driving motions It is not suitable for implementing Since the driving method of the washing motor and the drum 3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5의 (a)는 롤링모션(rolling motion)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롤링모션은 구동부(6)가 드럼(3)을 일방향으로 회전(바람직하게는, 1회전 이상)시키되, 드럼(3) 내주면에 있는 세탁물이 드럼(3)의 회전방향으로 약 90도 미만의 위치에서 드럼(3)의 최저점을 향해 낙하하도록 제어되는 모션이다.Figure 5 (a) is a view showing a rolling motion (rolling motion). In the rolling motion, the driving unit 6 rotates the drum 3 in one direction (preferably, one or more rotations), and the laundry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3 is less than about 90 degrees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rum 3 It is a motion controlled to fall toward the lowest point of the drum 3 at

예를 들어, 구동부(6)가 드럼(3)을 약 40RPM으로 회전시키면, 드럼(3)의 최저점에 위치한 세탁물은 드럼(3)의 회전방향을 따라 소정 높이 상승한 뒤, 드럼(3)의 최저점으로부터 회전방향 약 90도 미만의 위치에서 구르듯이 드럼(3)의 최저점을 향해 유동하게 된다. 시각적으로는 드럼(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시, 드럼(3)의 3사분면에서 세탁물들이 지속적으로 구르는 형태가 된다.For example, when the driving unit 6 rotates the drum 3 at about 40 RPM, the laundry located at the lowest point of the drum 3 rises to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um 3 and then at the lowest point of the drum 3 . It flows toward the lowest point of the drum 3 as if it rolls at a position less than about 90 degrees from the rotation direction. Visually, when the drum 3 rotates clockwise, the laundry continuously rolls in the third quadrant of the drum 3 .

롤링모션 시, 세탁물은 세탁수와의 마찰, 세탁물간의 마찰, 그리고 드럼(3) 내주면과의 마찰을 통해 세탁된다. 이 때, 세탁물의 뒤집힘이 충분히 발생되어 세탁물을 부드럽게 비벼빠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In the rolling motion, laundry is washed through friction with washing water, friction between laundry, and friction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3 . At this time, the laundry is turned over sufficiently to obtain the effect of gently rubbing the laundry.

여기서, 드럼(3)의 회전속도(rpm)는 드럼(3)의 반경과의 관계에서 결정된다. 드럼(3)의 회전속도가 커질수록 드럼(3) 내의 세탁물에 작용하는 원심력도 커진다. 상기 원심력과 중력과의 크기 차이로 인해 드럼(3) 내부에 서의 세탁물의 유동이 달라지게 된다.Here, the rotational speed (rpm) of the drum 3 is determined in relation to the radius of the drum 3 . A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um 3 increases, the centrifugal force acting on the laundry in the drum 3 also increases. The flow of laundry in the drum 3 is changed due to the difference in size between the centrifugal force and gravity.

물론, 드럼(3)의 회전력과 드럼(3)과 세탁물 사이의 마찰력도 고려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세탁물에 작용하는 여러 힘들을 고려할 시, 롤링모션에서의 드럼(3)의 회전속도는, 원심력과 마찰력이 합이 중력(1G)보다 작은 범위에서 정해진다.Of cours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um 3 and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drum 3 and the laundry must also be considered. As such, when considering various forces acting on the laundry,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um 3 in the rolling motion is determined in a range in which the sum of the centrifugal force and the frictional force is smaller than the gravity (1G).

도 5의 (b)는 텀블링 모션(tumbling motion)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텀블링 모션은 구동부(6)가 드럼(3)을 일 방향으로 회전(바람직하게는, 1회전 이상)시키되 드럼(3) 내주면에 있는 세탁물이 드럼(3)의 회전방향으로 약 90도 내지 110도 위치에서 드럼(3)의 최저점으로 낙하하도록 제어되는 모션이다.Figure 5 (b) is a view showing a tumbling motion (tumbling motion). In the tumbling motion, the driving unit 6 rotates the drum 3 in one direction (preferably, one or more rotations), but the laundry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3 rotates about 90 degrees to 110 degrees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drum 3 It is a motion controlled to fall from position to the lowest point of the drum 3 .

일반적으로 텀블링 모션은 드럼(3)을 적정한 회전속도로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만 하면 기계력이 발생되므로 세탁과 헹굼 시 사용되는 드럼 구동모션이다.In general, the tumbling motion is a drum driving motion used for washing and rinsing because mechanical force is generated only by controlling the drum 3 to rotate in one direction at an appropriate rotation speed.

즉, 드럼(3)에 투입된 세탁물은 구동부(6)가 구동되기 전 드럼(3)의 최저점에 위치하게 된다. 구동부(6)가 드럼(3)에 토크를 제공하면 드럼(3)은 회전하게 되고, 드럼(3)의 내주면에 구비된 리프터(35) 또는 드럼(3) 내주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세탁물이 드럼(3) 내 최저점에서 소정높이까지 상승하게 된다. 예를 들어, 구동부(6)가 드럼(3)을 약 46rpm정도로 회전시키면 세탁물은 드럼(3)의 최저점에서 회전방향으로 약 90도 내지 110도 위치에서 드럼(3)의 최저점을 향해 낙하하게 된다.That is, the laundry put into the drum 3 is positioned at the lowest point of the drum 3 before the driving unit 6 is driven. When the driving unit 6 provides torque to the drum 3, the drum 3 rotates, and the lifter 35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3 or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drum 3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3 causes the laundry to move to the drum. (3) It rises from my lowest point to a predetermined height. For example, when the driving unit 6 rotates the drum 3 at about 46 rpm, the laundry falls from the lowest point of the drum 3 toward the lowest point of the drum 3 at a position of about 90 to 110 degrees in the rotational direction. .

텀블링모션에서의 드럼(3)의 회전속도는, 원심력이 롤링모션의 경우 보다 더 크게 발생되나, 중력보다는 적게 발생되는 범위에서 정해질 수 있다.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um 3 in the tumbling motion may be determined in a range in which centrifugal force is generated larger than in the case of rolling motion, but is generated less than gravity.

시각적으로 텀블링 모션은, 드럼(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시, 세탁물이 드럼(3)의 최저점으로부터 90도 위치 내지는 2사분면까지 상승한 뒤 드럼(3) 내주면으로부터 분리되어 드럼(3)의 최저점을 향해 낙하하는 형태가 된다.Visually, the tumbling motion is, when the drum 3 rotates clockwise, the laundry rises from the lowest point of the drum 3 to the 90 degree position or the second quadrant, and then is separated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3 and is the lowest point of the drum 3 in the form of falling towards

따라서, 텀블링 모션 시 세탁물은 세탁수와의 마찰 및 낙하에 의해 유발되는 충격력에 의해 세탁되며, 특히, 롤링 모션의 경우보다 더 큰 기계력에 의해 세탁된다.Accordingly, during the tumbling motion, laundry is washed by friction with wash water and impact force caused by falling, and in particular, it is washed by a greater mechanical force than in the case of the rolling motion.

도 5의 (c)는 스텝모션(step motion)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스텝모션은 구동부(6)가 드럼(3)을 일방향으로 회전(바람직하게는, 1회전에 미치지 못함)시키되 드럼(3) 내주면에 있는 세탁물이 드럼(3)의 최고점 근처(바람직하게는, 드럼(3)의 회전방향으로 약 146 내지 161도 위치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180도를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161도 보다 더 큰 각도 위치도 가능함.)에서 드럼(3)의 최저점을 향해 낙하하도록 제어되는 모션이다.Figure 5 (c) is a view showing a step motion (step motion). In the step motion, the driving unit 6 rotates the drum 3 in one direction (preferably, less than one rotation), but the laundry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3 moves near the highest point of the drum 3 (preferably, the drum (3) is about 146 to 161 degrees in the rotational direction,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n angular position greater than 161 degrees is possible within a range not exceeding 180 degrees.) at the lowest point of the drum (3) It is a controlled motion to fall towards.

즉, 스텝모션은 세탁물이 원심력에 의해 드럼(3)의 내주면에서 낙하하지 않는 속도(즉, 원심력에 의해 세탁물이 드럼(3)의 내주면에 달라붙은 상태로 드럼(3)과 함께 회전되는 속도)로 드럼(3)을 회전시킨 후 드럼(3)을 급제동함으로써 세탁물에 충격력을 극대화하는 모션이다.That is, the step motion is the speed at which laundry does not fall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3 due to centrifugal force (that is, the speed at which laundry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drum 3 while being adher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3 due to centrifugal force) This is a motion that maximizes the impact force on the laundry by rapidly braking the drum 3 after rotating the furnace drum 3 .

예를 들어, 구동부(6)가 드럼(3)을 약 60rpm 이상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세탁물은 원심력에 의해, 낙하 없이 회전(즉, 드럼(3)의 내주면에 달라붙은 상태로 드럼(3)과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세탁물이 드럼(3)의 최고점(회전방향으로 180도) 부근에 위치하게 되면, 드럼(3)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의 토크가 구동부(6)에 가해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riving unit 6 rotates the drum 3 at about 60 rpm or more, the laundry rotates without falling by centrifugal force (that is, the drum 3 and the drum 3 in a state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3) rotate together), and in this process, when the laundry is located near the highest point (180 degrees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rum 3, the torqu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rum 3 is applied to the driving unit 6 can be controlled to be applied to

세탁물이 드럼(3)의 최저점에서 드럼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승한 후 드럼(3)이 정지되면서 드럼(3)의 최저점으로 낙하하게 되므로, 세탁물이 낙차가 최대가 되고, 따라서, 세탁물에 작용하는 충격력 역시 극대화 된다. 이러한 스텝모션에 의해 발생되는 기계력(예를 들어, 충격력)은 전술한 롤링모션이나 텀블링모션보다 크다.After the laundry rises from the lowest point of the drum 3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drum, the drum 3 stops and falls to the lowest point of the drum 3, so that the laundry has a maximum fall, and thus the impact force acting on the laundry is also maximized. Mechanical force (eg, impact force) generated by such a step motion is greater than the aforementioned rolling motion or tumbling motion.

시각적으로 스텝모션은, 드럼(3)이 시계방향 회전하는 경우, 드럼(3)의 최저점에 위치한 세탁물이 3사분면과 2사분면을 지나 드럼(3)의 최고점(180도)으로 이동한 후 갑자기 드럼(3)의 내주면으로부터 분리되어 드럼(3)의 최저점을 향해 낙하하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스텝모션은 세탁물의 낙차가 가장 크고, 포량이 적을수록 효과적으로 기계력을 제공한다.Visually, the step motion is, when the drum 3 rotates clockwise, the laundry located at the lowest point of the drum 3 moves to the highest point (180 degrees) of the drum 3 through the third and second quadrants and then suddenly the drum It is separated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3) and falls toward the lowest point of the drum (3). Therefore, the step motion provides the greatest mechanical force as the laundry has the largest drop and the smaller the laundry amount is.

한편, 드럼(3)을 제동하기 위한 구동부(6)의 제어방법으로는, 역상제동이 바람직하다. 역상제동은 구동부(6)가 회전하고 있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켜 제동하는 방식이다. 구동부(6)가 회전하고 있는 방향과 반대방향의 회전력을 유발하기 위해서 구동부(6)에 공급되는 전원의 상(phase)을 역전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급제동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역상제동은 스텝모션에 적합하다.On the other hand, as a control method of the driving unit 6 for braking the drum 3, reverse-phase braking is preferable. Reverse phase braking is a method of braking by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iving unit 6 is rotating. In order to induce a rotational force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iving unit 6 is rotating, the phase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driving unit 6 may be reversed, enabling sudden braking in this way. Therefore, reverse-phase braking is suitable for step motion.

구동부(6)가 제동된 이후, 구동부(6)는 다시 드럼(3)에 토크를 인가하여 드럼(3)의 최저점에 있는 세탁물을 최고점으로 상승시키게 된다. 즉, 정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토크를 가한 후 순간적으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토크를 가하여 급정지시키고, 이후 다시 정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토크를 가하여 스텝모션이 구현된다.After the driving unit 6 is braked, the driving unit 6 again applies torque to the drum 3 to raise the laundry at the lowest point of the drum 3 to the highest point. That is, after applying a torque to rotate in the forward direction, a torque is applied to instantaneously rotate in the reverse direction to make a sudden stop, and then, by applying a torque to rotate in the forward direction again, step motion is implemented.

따라서 스텝모션은 드럼(3)의 회전 시에는 드럼(3)에 형성된 관통홀(33)을 통해 유입된 세탁수와 세탁물을 마찰시켜 세탁하고, 세탁물이 드럼(3)의 최고점에 위치하면 낙하시켜 충격력에 의해 세탁하는 모션이라고 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step motion, when the drum 3 rotates,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through hole 33 formed in the drum 3 rubs against the laundry to wash, and when the laundry is located at the highest point of the drum 3, it is dropped. It can be said that it is a motion of washing by impact force.

도 5의 (d)는 스윙모션(swing motion)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스윙모션은 구동부(6)가 상기 드럼(3)을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되, 드럼(3)의 회전방향으로 약 90도 미만의 위치(바람직하게는, 드럼(3)의 회전방향으로 약 30 내지 45도 위치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90도를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45도 보다 더 큰 각도 위치도 가능함.)에서 세탁물이 낙하하도록 제어되는 모션이다. 예를 들어, 구동부(6)가 드럼(3)을 반시계방향으로 약 40rpm으로 회전시키면 드럼(3)의 최저점에 위치한 세탁물은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높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구동부(6)는 세탁물이 반시계방향으로 약 90도의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드럼(3)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따라서, 세탁물이 반시계방향으로 약 90도 미만의 위치에서 드럼(3)의 최저점을 향해 이동된다.Figure 5 (d) is a view showing a swing motion (swing motion). In the swing motion, the driving unit 6 rotates the drum 3 in both directions, but at a position less than about 90 degrees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rum 3 (preferably, about 30 to 45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rum 3 ). degree position,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n angular position greater than 45 degrees is possible within a range not exceeding 90 degrees.) It is a motion controlled so that laundry falls. For example, when the driving unit 6 rotates the drum 3 counterclockwise at about 40 rpm, the laundry located at the lowest point of the drum 3 rises to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t this time, the driving unit 6 stops the rotation of the drum 3 before the laundry reaches the position of about 90 degre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laundry moves the drum 3 at the position of less than about 90 degre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moves towards the lowest point.

이렇게 드럼(3)이 회전이 정지된 이 후, 구동부(6)는 이번에는 드럼(3)을 시계방향으로 약 40RPM으로 회전시켜 세탁물이 드럼(3)의 회전방향(즉, 시계방향)을 따라 소정높이 상승되도록 한다. 그리고, 세탁물이 시계방향으로 약 90도의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드럼(3)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구동부(6)가 제어됨으로써, 세탁물이 시계방향으로 약 90도 미만의 위치에서 드럼(3)의 최저점을 향해 낙하된다.After the drum 3 stops rotating in this way, the driving unit 6 rotates the drum 3 clockwise at about 40 RPM this time so that the laundry follow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um 3 (ie, clockwise). to rise to a certain height. And, before the laundry reaches the position of about 90 degre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driving unit 6 is controlled so that the rotation of the drum 3 is stopped, so that the laundry mov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of the drum 3 at a position of less than about 90 degrees. falling towards the lowest point.

즉, 스윙모션은 드럼(3)의 정방향 회전/정지와, 역방향 회전/정지가 반복되는 모션으로, 시각적으로는 드럼(3)의 최저점에 위치한 세탁물이 드럼(3)의 3사분면을 통과하여 2사분면까지 상승한 후, 부드럽게 낙하하고, 다시 드럼(3)의 4사분면을 통과하여 1사분면까지 상승하한 후 부드럽게 낙하하는 것을 반복하는 형태라고 할수 있다. 즉, 시각적으로 스윙 모션은 드럼(3)의 3사분면과 4사분면에 걸쳐 옆으로 누운 8자 형태로 세탁물이 유동하는 형태가 된다.That is, the swing motion is a motion in which the forward rotation/stop of the drum 3 and the reverse rotation/stop of the drum 3 are repeated. After ascending to the quadrant, it falls gently, passes through the fourth quadrant of the drum 3 again, rises to the first quadrant, and then gently falls. That is, visually, the swing motion becomes a form in which laundry flows in a figure 8 shape lying on its side across the third and fourth quadrants of the drum 3 .

이때, 구동부(6)의 제동은 발전제동이 적합하다. 발전제동은 구동부(6)에 발생하는 부하를 최소화하고, 구동부(6)의 기계적 마모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세탁물에 가해지는 충격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In this case, power generation braking is suitable for braking of the driving unit 6 . The power generation braking minimizes the load generated on the driving unit 6 , minimizes mechanical wear of the driving unit 6 , and at the same time makes it possible to control the impact applied to the laundry.

발전제동은 구동부(6)에 인가되는 전류를 OFF 시킬 경우 회전 관성에 의해 구동부(6)가 발전기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을 이용한 제동방식이다. 구동부(6)에 인가된 전류를 OFF시키면 구동부(6)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전원 OFF전 전류의 방향과 반대가 되므로, 구동부(6)의 회전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힘(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이 작용하여 구동부(6)가 제동된다. 발전제동은 역상제동과 달리 구동부(6)를 급제동시키지는 않으며, 드럼(3)의 회전방향이 부드럽게 전환되도록 한다.Power generation braking is a braking method using that the driving unit 6 acts as a generator due to rotational inertia when the current applied to the driving unit 6 is turned off. When the current applied to the driving unit 6 is turned off,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flowing in the coil of the driving unit 6 is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before the power is turned off, so a force (Fleming's right hand) law), the driving unit 6 is braked. Unlike reverse-phase braking, power generation braking does not brake the driving unit 6 abruptly, and allow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um 3 to be smoothly switched.

도 5의 (e)는 스크럽 모션(scrub motion)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스크럽 모션은 구동부(6)가 드럼(3)을 양방향으로 교대로 회전시키되, 드럼(3)의 회전방향으로 약 90도 이상의 위치에서 세탁물이 낙하하도록 제어되는 모션이다.Figure 5 (e) is a view showing a scrub motion (scrub motion). The scrub motion is a motion in which the driving unit 6 rotates the drum 3 alternately in both directions, and the laundry is controlled so that the laundry falls at a position of about 90 degrees or mor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rum 3 .

예를 들어, 구동부(6)가 드럼(3)을 정방향으로 약 60rpm 이상으로 회전시키면 드럼(3)의 최저점에 위치한 세탁물은 정방향으로 소정 높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구동부(6)는 세탁물이 정방향으로 약 90도 이상의 설정각도(바람직하게는, 139 내지 150도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150도 이상도 가능함.)와 대응하는 위치 이르면, 드럼(3)에 역토크를 제공하여 드럼(3)의 회전을 일시 정지시키게 된다. 그러면, 드럼(3)의 내주면에 있던 세탁물은 급격히 낙하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driving unit 6 rotates the drum 3 in the forward direction at about 60 rpm or more, the laundry positioned at the lowest point of the drum 3 rises to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forward direction. At this time, the driving unit 6 moves the laundry in the forward direction at a set angle of about 90 degrees or more (preferably, 139 to 150 degrees, but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150 degrees or more is possible.) A reverse torque is provided to (3) to temporarily stop the rotation of the drum (3). Then, the laundry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3 falls rapidly.

이후, 구동부(6)는 드럼(3)을 역방향으로 약 60rpm 이상으로 회전시켜, 낙하한 세탁물을 다시 역방향으로 90도 이상의 소정 높이까지 상승시킨다. 세탁물이 역방향으로 90도 이상의 설정각도(예를 들어, 139 내지 150도와 대응하는 위치에 이르면, 구동부(6)는 다시 드럼(3)에 역토크를 제공하여, 드럼(3)의 회전을 일시 정지시킨다. 이때, 드럼(3)의 내주면에 있던 세탁물은 역방향으로 90도 이상의 위치에서 드럼(3)의 최저점을 향해 낙하하게 된다Thereafter, the driving unit 6 rotates the drum 3 in the reverse direction at about 60 rpm or more to raise the dropped laundry to a predetermined height of 90 degrees or more in the reverse direction. When the laundry reaches a set angle of 90 degrees or more in the reverse direction (for example, a position corresponding to 139 to 150 degrees), the driving unit 6 provides a reverse torque to the drum 3 again to temporarily stop the rotation of the drum 3 At this time, the laundry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3 falls toward the lowest point of the drum 3 at a position of 90 degrees or more in the reverse direction.

스크럽 모션은 세탁물이 소정 높이에서 급격히 낙하하도록 함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하게 된다. 이때, 구동부(6)는 드럼(3)의 제동을 위해 역상제동됨이 바람직하다.The scrub motion washes the laundry by causing the laundry to fall rapidly from a predetermined height.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driving unit 6 is reverse-phased for braking the drum 3 .

드럼(3)의 회전 방향이 급격히 전환되기 때문에, 세탁물이 드럼(3) 내주면을 크게 벗어나지 않게 되어 매우 강력하게 비벼빠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Since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rum 3 is rapidly changed, the laundry does not deviate significantly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3, so that a very powerful rubbing effect can be obtained.

스크럽 모션은 정방향으로 3사분면을 지나 2사분면까지 이동한 세탁물이 급격히 낙하하고, 다시 역방향으로 4사분면을 지나 1사분면 일부까지 이동한 후 낙하함을 반복하는 형태이다. 따라서 시각적으로는 세탁물이 상승하였다가 드럼(3) 내주면을 따라 하강하는 것을 반복하는 형태라 할 수 있다.In the scrub motion, laundry that has moved forward through the third quadrant to the second quadrant falls rapidly, and in the reverse direction passes through the fourth quadrant and moves to a part of the first quadrant, and then falls repeatedly. Therefore, visually, it can be said that the laundry rises and then descend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3 repeatedly.

도 5의 (f)는 필트레이션 모션(filtration motion)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필트레이션 모션은 세탁물이 원심력에 의해 드럼(3)의 내주면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구동부(6)가 드럼(3)을 회전시키고, 이 과정에서 드럼(3)의 내부로 노즐을 통해 세탁수를 분사하는 모션이다.5(f) is a view showing a filtration motion. The filtration motion is a motion in which the driving unit 6 rotates the drum 3 so that the laundry does not fall of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3 by centrifugal force, and in this process,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into the drum 3 through the nozzle. am.

세탁물이 펼쳐진 후 드럼(3)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동안 세탁수가 드럼(3)의 내부로 분사되므로, 이렇게 분사된 세탁수가 원심력에 의해 세탁물을 투과한 후, 드럼(3)의 관통홀(33)을 통과하여 터브(2)로 빠져나가게 된다.After the laundry is unfolded, the wash water is sprayed into the drum 3 while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3 and rotates. 33) and exits to the tub (2).

필트레이션 모션에 의해, 세탁물의 표면적이 넓혀지는 한편, 세탁수가 세탁물을 투과하기 때문에, 세탁물이 고르게 적셔지는 효과가 있다.By the filtration motion, while the surface area of the laundry is increased, since the washing water permeates the laundr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laundry is evenly wetted.

도 5의 (g)는 스퀴즈 모션(squeeze motion)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스퀴즈 모션은 세탁물이 원심력에 의해 드럼(3)의 내주면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구동부(6)가 드럼(3)을 회전시킨 후, 드럼(3)의 회전속도를 낮추어 드럼(3)의 내주면에서 세탁물을 분리시키는 동작을 반복하고, 드럼(3)의 회전 중에 노즐을 통해 세탁수를 드럼(3) 내로 분사하는 모션이다.Figure 5 (g) is a view showing a squeeze motion (squeeze motion). In the squeeze motion, the driving unit 6 rotates the drum 3 so that the laundry does not fall of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3 by centrifugal force, and then lowers the rotation speed of the drum 3 to separate the laundry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3 This is a motion of repeating the operation to be performed, and spraying wash water into the drum 3 through the nozzle during the rotation of the drum 3 .

필트레이션 모션은 세탁물이 드럼(3)의 내주면에서 떨어지지 않는 속도로 계속 회전되나, 스퀴즈 모션은 드럼(3)의 회전속도를 변화시켜 세탁물을 드럼(3)의 내주면에 밀착 및 분리를 반복시킨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In the filtration motion, the laundry continues to rotate at a speed that does not fall of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3, but the squeeze motion changes the rotation speed of the drum 3 to repeat the adhesion and separation of the laundry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3 There is a difference in

스텝 모션과 스크럽 모션은 세척력이 우수하여 세탁물의 오염이 심한 경우 및 세탁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세탁코스에 적합한 모션이다. 또한, 스텝 모션과 스크럽 모션은 진동과 소음의 수준이 높은 모션이다. 따라서, 세탁물이 민감한 의류인 경우나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는 세탁코스에는 바람직하지 않은 모션이다.The step motion and scrub motion have excellent washing power, so they are suitable for a case where the laundry is heavily contaminated and for a washing course to shorten the washing time. Also, step motion and scrub motion are motions with high levels of vibration and noise. Therefore, it is an undesirable motion when the laundry is sensitive clothing or in a laundry course in which noise and vibration need to be minimized.

롤링 모션은 세척력이 우수하고 진동수준이 낮으며, 세탁물 손상 최소화 및 모터부하가 낮은 것이 특징인 모션이다. 따라서, 모든 세탁코스에 적용 가능하나, 특히, 세탁초기 세제용해 및 세탁물 적심에 적합한 모션이다. 다만, 롤링 모션은 진동수준이 낮은 대신 텀블링 모션에 비해, 같은 수준까지 세탁을 하는 경우, 세탁시간이 더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Rolling motion is characterized by excellent cleaning power, low vibration level, minimal damage to laundry, and low motor load. Therefore, it is applicable to all washing courses, but in particular, it is a motion suitable for dissolving detergent and wetting laundry at the initial stage of washing. However, compared to the tumbling motion, the rolling motion has a lower vibration level, but when washing to the same level, washing time takes longer.

텀블링 모션은, 세척력은 스크럽 모션보다 낮으나, 진동수준은 스크럽 모션과 롤링모션의 중간수준이다. 텀블링 모션은 모든 세탁코스에 적용 가능하다.In the tumbling motion, the cleaning power is lower than that of the scrub motion, but the vibration level is intermediate between the scrub motion and the rolling motion. The tumbling motion can be applied to all washing courses.

스퀴즈 모션은, 세턱력은 텀블링 모션과 유사하고, 진동수준은 텀블링 모션보다 높다. 스퀴즈 모션은 드럼(3)의 내주면에 세탁물의 밀착과 분리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세탁수가 세탁물을 지나 드럼(3)의 외부로 배출되므로 헹굼을 위한 단계에 유용하다.In the squeeze motion, the squeezing force is similar to the tumbling motion, and the vibration level is higher than that of the tumbling motion. The squeeze motion is useful in the rinsing step because the washing water passes through the laundry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rum 3 in the process of repeating adhesion and separation of the laundry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3 .

스윙 모션은 진동수준과 세척력이 가장 낮은 모션이다. 따라서, 스윙 모션은 저소음 또는 저진동 세탁코스에 유용한 모션이고, 민감한 의류 세탁(Gentle care)에 적합한 모션이다.Swing motion is the motion with the lowest vibration level and cleaning power. Therefore, the swing motion is a motion useful for a low-noise or low-vibration washing course, and is a motion suitable for sensitive laundry (gentle care).

한편, 도 6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되는 전체 세탁순서를 살펴보면, 본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급수/포적심 행정(S10), 세탁 행정(S20), 탈수 행정(S30), 헹굼 행정(S40), 탈수 행정(S50), 건조행정(S60)을 차례로 실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6 , looking at the entire washing sequence applied to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water supply/soak step (S10), a washing step (S20), and spin-drying. It may be configured to sequentially perform a cycle (S30), a rinsing cycle (S40), a dehydration cycle (S50), and a drying cycle (S60).

세탁행정(S20)에 앞서, 포 적심(S10)이 이루어질 수 있다. 포 적심(S10)은 세탁에 앞서 세탁물을 적시는 과정이다. 터브(2)에 급수하고, 드럼(3)을 회전시켜 포 적심(S10)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순환부(55, 57)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Prior to the washing operation (S20), the cloth wetting (S10) may be made. The cloth wetting (S10) is a process of wetting laundry prior to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tub (2), and the drum (3) is rotated to perform wetting (S10). Also, the circulation units 55 and 57 may be driven.

세탁행정(S20)은 드럼(3)을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회전시켜 세탁물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는 행정으로써, 상술한 롤링 모션과 텀블링 모션이 실시될 수 있다.The washing cycle ( S20 ) is a cycle of removing contamination from laundry by rotating the drum 3 according to a preset algorithm, and the above-described rolling motion and tumbling motion may be performed.

헹굼행정(S40)은 포에 묻은 세제를 제거하는 행정으로써, 급수가 이루어지며, 롤링 모션과 텀블링 모션이 실시될 수 있고, 이후, 다시 탈수 행정이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헹굼행정은 후술하는 개스킷의 내주면 및 도어의 내면에 부착된 린트를 제거하기 위해 상술한 필트레이션 모션을 수행할 수 있다.The rinsing process (S40) is a process for removing the detergent adhered to the fabric, and water is supplied, and a rolling motion and a tumbling motion may be performed, and then, a dehydra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again. In addition, in the rinsing cycl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above-described filtration motion may be performed to remove lint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asket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oo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간략히, 본 실시예의 헹굼행정에서 린트제거를 위해 상기 필트레이션 모션이 수행되는 것을 설명하면, 헹굼행정에서 상기 필트레이션 모션을 통해 터브 내에 수용된 물이 드럼 또는 터브의 내에서 드럼의 회전에 따라 수위가 가변되며 수류를 형성하고, 이에 따라 물이 상기 개스킷의 내주면 또는 도어의 내면으로 공급되어 린트를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Briefly, if the filtration motion is performed to remove lint in the rinsing cycle of this embodiment, the water received in the tub through the filtration motion in the rinsing cycle changes the water level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um or the tub in the drum. It varies and forms a water flow, so that water is suppli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asket or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to remove lint. More details on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탈수행정(S30, S50)은 배수를 함과 아울러, 드럼(3)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면서 포로부터 물기를 제거하는 행정이다. 탈수행정(S50)은 헹굼행정(S40) 이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탈수행정은(S30)은 세탁행정(S20)과 헹굼행정(S40) 사이에도 이루어질 수 있다. 세탁행정(S20)과 헹굼행정(S40) 사이에 이루어지는 탈수행정(S30)은, 헹굼행정(S40) 후 이루어지는 탈수행정(S50)과의 구분을 위하여 간이탈수행정(S30)이라 할 수 있다.The dewatering process (S30, S50) is a process of draining water and removing water from the fabric while rotating the drum 3 at high speed. The dehydration operation (S50) may be performed after the rinsing operation (S40). In addition, the dehydration cycle ( S30 ) may also be performed between the washing cycle ( S20 ) and the rinsing cycle ( S40 ). The dehydration cycle (S30) performed between the washing cycle (S20) and the rinsing cycle (S40) may be referred to as a simple dehydration cycle (S30) to distinguish it from the dehydration cycle (S50) performed after the rinsing cycle (S40).

건조행정(S60)은 세탁물에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행정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인덕션 모듈(8)이 드럼(3)을 가열하여 드럼(3)에 접촉하는 세탁물이 가열되어 건조될 수 있다. 건조행정(S60)에서 인덕현 모듈(8)이 드럼(3)을 가열하고, 구동부(6)가 드럼(3)을 회전시킬 수 있다.The drying process (S60) is a process of drying laundry by applying heat.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induction module 8 heats the drum 3 to heat and dry laundry in contact with the drum 3 . In the drying cycle (S60), the induction string module 8 may heat the drum 3, and the driving unit 6 may rotate the drum 3).

건조가 진행되며, 세탁물에서 린트(Lint)가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린트는 개스킷(4), 도어(12)에 축적될 수 있다.Drying proceeds, and lint may be separated from the laundry. The separated lint may accumulate in the gasket 4 and the door 12 .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되는 세탁행정 중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illustrating a part of a washing cycle applied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7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헹굼 행정(S40)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7 , a rinsing operation ( S40 )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탈수 행정(S30) 이후 헹굼 행정(S40)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헹굼 행정(S40)이 수행되면 드럼(3) 내에 수용되어 있는 세탁물의 헹굼을 위해 제어부(10)는 급수유로(51)를 통해 헹굼수위까지 급수를 수행하는 제1 급수단계(S41)를 수행한다.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a rinsing operation (S40) may be performed after the dehydration operation (S30). When the rinsing operation (S40) is performed, for rinsing the laundry accommodated in the drum 3, the control unit 10 performs a first water supply step (S41) of supplying water to the rinsing water level through the water supply passage 51. do.

상기 제1 급수단계(S41)에서 급수되는 수위는 의류처리장치의 크기, 의류처리장치가 수용할 수 있는 세탁물의 양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The water level supplied in the first water supply step ( S41 )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the amount of laundry that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n accommodate.

일반적으로 세탁물의 헹굼을 위한 수위는 터브(2)의 하단부로부터 드럼(3)의 하단부까지의 높이(최소수위)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적어도 드럼(3)의 일부분이 세탁수와 접촉할 수 있어야 드럼(3)과의 마찰에 의해 세탁수가 유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general, the water level for rinsing laundry may be set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minimum water level) from the lower end of the tub 2 to the lower end of the drum 3 . That is, at least a part of the drum 3 must be able to contact the wash water so that the wash water can flow by friction with the drum 3 .

그리고 세탁물의 헹굼을 위한 수위의 최대 한계치는 정해진 것이 아니며, 상술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가 수용할 수 있는 세탁물의 양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ximum limit value of the water level for rinsing the laundry is not set, but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amount of laundry that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n accommodate as described above.

그러나,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헹굼을 위한 수위를 만수 수위 이하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만수 수위라 함은 터브(2)와 드럼(3)에 세탁수가 차서 개스킷(4) 부위로 넘칠 수 있는 수위를 말한다.However, the controller 10 may control the water level for rinsing to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full water level. The full water level refers to a water level at which washing water fills the tub 2 and the drum 3 and overflows into the gasket 4 portion.

따라서 상기 제1 급수단계(S41)는 본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를 통한 헹굼행정을 수행하기 위한 급수수위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헹굼을 위한 급수를 진행하면서 드럼의 습포량을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드럼의 습포량을 감지할 때는 상기 롤링 모션이나 텀블링 모션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잇다.Accordingly, the first water supply step ( S41 ) refers to the water supply level for performing the rinsing cycle through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addition, the amount of wet cloth in the drum may be sensed while supplying water for the rinsing. The rolling motion or the tumbling motion may be repeatedly performed when detecting the amount of compresses on the drum.

상기 제1 급수단계(S41)에서 상기 터브에 급수된 후, 상기 드럼(3)을 제1 RPM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단계(S43)가 수행된다. 상기 제1 RPM은 상술한 습포량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는 RPM이다. 상기 헹굼단계에서는 드럼을 좌우로 교반하여 회전하거나, 일방향으로 단속적으로 회전하여 세탁물에 남아있는 세제와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롤링 모션, 텀블링 모션, 스크럽 모션 등이 수행될 수 있다.After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tub in the first water supply step (S41), a rotation step (S43) of rotating the drum 3 at a first RPM is performed. The first RPM is an RPM that can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amount of compresses described above. In the rinsing step, the drum may be rotated by stirring left and right, or intermittently rotated in one direction to separate detergent and foreign substances remaining in the laundry. For example, the above-described rolling motion, tumbling motion, scrub motion, etc. may be performed.

즉, 상기 회전단계(S43)는 세탁물의 헹굼을 위해 드럼을 회전시키는 단계이다.That is, the rotating step S43 is a step of rotating the drum for rinsing the laundry.

다만, 전술한 제1 급수단계(S41)와 회전단계(S43)는 필수 단계가 아니다. 따라서, 제1 급수단계(S41)와 회전단계(S43)는 생략될 수 있다.However, the first water supply step (S41) and the rotation step (S43) described above are not essential steps. Accordingly, the first water supply step ( S41 ) and the rotation step ( S43 ) may be omitted.

상기 회전단계(S43) 후,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제1 급수단계(S41)에서의 수위보다 더 높은 제1 수위까지 터브(2)에 물을 급수하는 제2 급수단계(S451)가 수행된다. 회전단계(S43)가 생략되는 경우, 탈수행정(S30) 후 제1 수위까지 터브(2)에 물을 급수하는 단계(S451)가 수행될 수 있다.After the rotating step (S43), a second water supply step (S451) of supplying water to the tub 2 to a first water level higher than the water level in the first water supply step (S41)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is performed. When the rotation step (S43) is omitted, the step (S451) of supplying water to the tub (2) up to the first water level after the dehydration operation (S30) may be performed.

상기 제2 급수단계(S451)에서 급수되는 상기 제1 수위는 상술한 만수 수위 이상의 수위를 의미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상기 만수 수위는 터브(2)와 드럼(3)에 세탁수가 차서 개스킷(4) 부위로 넘칠 수 있는 수위를 의미하므로, 터브 개구부(21)의 하단보다 더 낮은 수위로 설정될 수 있다.The first water level supplied in the second water supply step ( S451 ) may mean a water level equal to or higher than the full water level described above. In more detail, since the full water level means a water level at which washing water fills the tub 2 and the drum 3 and overflows into the gasket 4 portion, it may be set to a lower water level than the lower end of the tub opening 21. .

따라서 상기 제1 수위는 상기 터브 개구부(21)의 하단보다 더 높은 수위로 설정되며, 개스킷(4)의 하부 일부까지 잠길 수 있는 수위로 설정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water level may be set to a water level higher than the lower end of the tub opening 21 , and may be set to a water level that can be submerged even to a lower portion of the gasket 4 .

본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인덕션 모듈(8)이 적용되어 세탁 및 건조를 수행한다. 상기 인덕션 모듈(8)에 의해 드럼(3)을 직접 가열하여 드럼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 세탁수에 열을 전달하므로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었던 순환유로가 구비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순환유로를 제거함으로써, 캐비닛(1) 내부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브, 드럼의 용량을 증가시켜 동일한 크기의 캐비닛(1)으로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에 비해 더 많은 양의 세탁물, 세탁수를 수용할 수 있다.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the induction module 8 is applied to perform washing and drying. Since the drum 3 is directly heated by the induction module 8 to transfer heat to the laundry and wash water accommodated in the drum, the circulation path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s not provided. Therefore, by removing the circulation passage, the space inside the cabinet 1 can be utilized. For example, by increasing the capacity of the tub and drum, a larger amount of laundry and washing water can be accommodated compared to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provided with the cabinet 1 of the same size.

다만, 종래의 순환유로에 의해 발생하는 유동(터브의 전방에서 터브의 후방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이 부재하므로, 도어의 내면 및 개스킷의 내주면에 린트가 적층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flow (flow of air flowing from the front of the tub to the rear of the tub) generated by the conventional circulation flow path is absent, there may be a problem in that lint is stack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asket.

따라서, 본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건조행정 시 발생한 린트가 도어의 내면, 개스킷의 내주면에 축적된 경우 다음 의류처리장치를 가동하여 헹굼행정이 수행될 시, 린트제거 모션(S45)을 수행하여 도어의 내면 및 개스킷의 내주면에 적층 또는 부착된 린트를 제거하고자 한다.Accordingly,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when lint generated during the drying operation is accumul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or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gasket, the next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s operated to perform the rinsing operation, and the lint removal motion (S45) is performed to remove the lint from the door. It is intended to remove lint laminated or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gaske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gasket.

따라서 상기 제2 급수(S451)에서 급수되는 제1 수위는 종래 헹굼행정에서 급수되는 수위보다 더 높은 수위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 수위는 개스킷 내주면의 하부 또는 도어 내면의 하부 일부까지 잠길 수 있는 수위로 설정될 수 있다.Therefore, the first water level supplied from the second water supply ( S451 ) may be set to be higher than the water level supplied from the conventional rinsing cycle. For example, the first water level may be set to a water level at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asket or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oor can be submerged.

상기 제2 급수단계(S451)에서 상기 제1 수위까지 물이 급수된 후, 상기 드럼(3)을 제2 RPM까지 가속시키는 가속단계(S455)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가속단계(S455)는 상기 제1 수위까지 급수된 물의 수류를 형성할 수 있는 상기 제2 RPM까지 드럼(3)을 가속시키는 단계로써, 상기 제2 RPM은 상술한 제1 RPM과 같이 습포량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는 RPM이다After water is supplied to the first water level in the second water supply step (S451), an acceleration step (S455) of accelerating the drum 3 to a second RPM may be performed. The accelerating step (S455) is a step of accelerating the drum 3 to the second RPM capable of forming a water flow of water supplied to the first water level, wherein the second RPM is the same as the first RPM described above. It is an RPM that can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바람직하게 상기 제2 RPM은 제1 RPM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제1 RPM보다 더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급수단계(S451)가 수행됨에 따라 드럼(3)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세탁물의 습포량이 증가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수위는 상기 제1 급수단계에서의 수위보다 더 높은 수위이므로, 상기 제2 RPM을 상기 제1 RPM보다 작게 설정하면 제1 수위까지 급수된 세탁수를 통해 발생시키고자 하는 수류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Preferably, the second RPM may be set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RPM. As the second water supply step (S451) is performed, the amount of wet laundry contained in the drum 3 may increase, and the first water level is higher than the water level in the first water supply step. If the second RPM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first RPM, it may not be easy to form a water flow to be generated through the wash water supplied to the first water level.

또한, 상기 제2 RPM은 상술한 필트레이션 모션에서의 드럼 RPM과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필트레이션 모션에서의 드럼 RPM은 드럼의 내주면에 세탁물이 부착되어 회전하는 RPM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본 단계에서는 세탁물의 습포량에 따라 상기 제2 RPM으로 드럼의 내주면에 세탁물이 부착되어 상승하다가 다시 드럼의 최하점으로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세탁물이 드럼의 최하점으로 떨어질 경우 급수된 세탁수가 터브의 전방으로 튀는 현상이 발생하여 도어의 내면 및 개스킷의 내주면에 축적된 린트를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RPM may be set to be the same as the drum RPM in the above-described filtration motion. The drum RPM in the filtration motion may be set to the RPM in which the laundry is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and rotates, but in this step, the laundry is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and rises at the second RPM according to the amount of wet laundry. It can fall back to the bottom of the drum. When the laundry falls to the lowest point of the drum, the supplied wash water splashes toward the front of the tub, so that lint accumul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gasket can be remove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단계(S43)는 생략할 수 있다. 이하, 제2 RPM을 제1 회전속도라고도 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rotating step S43 may be omitted. Hereinafter, the second RPM is also referred to as a first rotational speed.

한편, 상기 가속단계(S455)가 수행되면서 순환펌프(55)를 구동하여 터브(2)에서 배출된 물을 개스킷(4)의 내주면으로 공급하는 순환수 공급단계(S453)가 수행될 수 있다.Meanwhile, while the accelerating step S455 is performed, a circulating water supply step S453 of driving the circulation pump 55 to supply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tub 2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asket 4 may be performed.

상기 순환수 공급단계(S453)는 상기 가속단계(S455)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순환수 공급단계(S453)는 상기 가속단계(S455)보다 먼저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순환펌프(55)의 구동과 상기 드럼(3)이 제1 회전속도로로 가속이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 드럼(3)이 가속하는 중에 또는 드럼(3)이 제1 회전속도에 도달한 후에 개스킷(4)의 내주면으로 순환수가 공급될 수 있기 때문이다.The circulating water supply step (S453)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acceleration step (S455). Of course, the circulating water supply step (S453) may be performed before the acceleration step (S455). When the driving of the circulation pump 55 and the acceleration of the drum 3 to the first rotational speed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the gasket is formed while the drum 3 is accelerating or after the drum 3 reaches the first rotational speed. This is because circulating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4).

상기 순환수 공급단계(S453)에서 순환펌프(55)의 구동이 상기 드럼(3)이 제1 회전속도로 가속하는 가속단계(S455)와 동시에 시작되거나, 또는 순환펌프(55)의 구동이 상기 드럼(3)이 제1 회전속도로 가속을 시작하기 전에 선행될 수 있다.In the circulating water supply step (S453), the driving of the circulation pump 55 is started simultaneously with the acceleration step (S455) in which the drum 3 accelerates to the first rotational speed, or the driving of the circulation pump 55 is The drum 3 may be preceded before starting to accelerate to the first rotational speed.

시각적으로 상기 드럼(3)이 제1 회전속도로 가속을 수행하면서 제1 수위까지 급수된 세탁수가 상기 드럼(3)의 회전에 따라 수류가 형성되고, 개스킷(4)의 내주면으로 순환수가 공급되면서 도어의 내면 및 개스킷의 내주면에 존재하는 린트를 제거한다.Visually, while the drum 3 accelerates to the first rotational speed, the wash water supplied to the first water level is formed as the drum 3 rotates, and the circulating water is suppli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asket 4 . Remove lin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gasket.

그리고 상기 가속단계(S455)에서 드럼의 회전속도가 가속되면서 상술한 텀블링 모션에서의 회전속도(이하, 제2 회전속도라고도 함)를 거치기 때문에 드럼의 회전방향을 따라 드럼의 내주면에 부착되어 상승하던 세탁물이 드럼의 최하점으로 떨어지면서 세탁수가 터브의 전방으로 튈 수 있다. 세탁수가 터브의 전방으로 튐으로써 도어의 내면 및 개스킷의 내주면으로 세탁수를 공급하여 린트를 제거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nd a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um is accelerated in the acceleration step (S455), it is attach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rum and ascends because it goes through the rotational speed in the tumbling motion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the second rotational speed). As the laundry falls to the lowest point of the drum, the washing water may splash toward the front of the tub. The effect of removing lint can be expected by supplying wash wat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asket by splashing the wash water in the front of the tub.

한편, 드럼(3)을 제1 회전속도(제2 RPM)로 가속(S455) 및 회전(S457)하기 전, 드럼(3)을 제2 회전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로써, 도어의 내면과 개스킷 내면의 린트를 제거할 수 있다. 또는, 드럼(3)을 제1 회전속도로 회전(S457)한 후, 드럼(3)을 제2 회전속도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before the drum 3 is accelerated (S455) and rotated (S457) to the first rotational speed (second RPM), the drum 3 may be rotated at the second rotational speed. Thereby, lin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gasket can be removed. Alternatively, after rotating the drum 3 at the first rotational speed (S457), the drum 3 may be rotated at the second rotational speed.

상기 가속단계(S455) 후, 상기 드럼(3)의 회전을 상기 제1 회전속도(제2 RPM)로 유지하여 상기 제1 수위까지 급수된 물이 상기 드럼(3)의 회전에 따라 수류를 형성하여 상기 개스킷(4)의 내주면 및 도어(12)의 내면에 축적된 린트를 제거하는 린트제거단계(S457)가 수행될 수 있다.After the acceleration step (S455), the water supplied to the first water level by maintaining the rotation of the drum 3 at the first rotation speed (second RPM) forms a water flow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um 3 Thus, a lint removal step (S457) of removing lint accumulat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asket 4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12 may be performed.

상기 린트제거단계(S457)는 상기 드럼(3)의 회전을 제1 회전속도로 유지하면서 제1 수위까지 급수된 세탁수를 통해 수류를 형성시켜 도어의 내면 및 개스킷의 내주면에 축적된 린트를 제거하는 단계이다.In the lint removal step (S457), the lint accumul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gasket is removed by forming a water flow through the wash water supplied to the first water level while maintaining the rotation of the drum 3 at the first rotation speed. is a step to

보다 자세히, 드럼(3)이 상기 제1 회전속도로 회전함에 따라 제1 수위까지 급수된 세탁수의 수위가 가변되면서 도어의 내면 및 개스킷의 내주면으로 세탁수가 튀는 현상이 발생한다.In more detail, as the drum 3 rotates at the first rotational speed, the water level of the wash water supplied to the first water level is changed, and the washing water splashes on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asket.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수위는 도어 내면의 하부 또는 개스킷 내주면의 하부 중 일부가 잠기는 수위이므로 형성된 수류에 의해 도어 내면의 하부 또는 개스킷 내주면의 하부 중 일부를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위가 가변되면서 세탁수가 터브의 전방으로 튀는 현상에 의해 도어 내면 또는 개스킷의 내주면에 축적된 린트를 제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water level is the water level at which the lower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or the lower part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asket is submerged. Lint accumul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or the inner surface of the gasket may be removed due to the phenomenon in which the washing water splashes forward of the tub.

한편, 상기 린트제거단계(S457) 후 드럼(3)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감속단계(S459)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감속단계(S459)는 드럼(3)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모터에 토크를 가해 제동을 가함으로써 드럼(3)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단계이다.Meanwhile, after the lint removal step (S457), a deceleration step (S459) of decelerating the rotation of the drum (3) may be performed. The deceleration step (S459) is a step of decelerating the rotation of the drum 3 by applying a torque to the moto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um 3 and applying a brake.

따라서, 드럼(3)의 내주면에 부착되어 있던 세탁물이 드럼(3)의 최하점으로 떨어지면서 세탁수가 터브의 전방으로 튐으로써 도어의 내면 및 개스킷의 내주면에 축적된 린트를 제거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refore, as the laundry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3 falls to the lowest point of the drum 3, the wash water splashes toward the front of the tub, thereby removing the lint accumula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oor and the gasket. .

즉, 상기 감속단계(S459)에서의 드럼의 모션은 일시적으로 상술한 스텝 모션에 해당한다.That is, the motion of the drum in the deceleration step S459 temporarily corresponds to the above-described step motion.

한편, 드럼(3)을 제1 회전속도로 회전하다가 제동한 후, 스텝 모션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드럼(3)을 제1 회전속도로 회전(S457)하다가 제동(S459)한 후, 다시 드럼(3)을 제1 회전속도로 90도 내지 180도 범위내의 회전각도만큼 회전시키고 드럼(3)을 제동하고, 이러한 회전과 제동을 교대로 반복할 수 있다. 이로써, 개스킷(4)과 도어(12)에 축적된 린트를 제거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drum 3 is rotated at a first rotational speed and then braked, a step motion may be implemented. That is, after the drum 3 is rotated (S457) at the first rotational speed and then braked (S459), the drum 3 is again rotated at the first rotational speed by a rotational angle within the range of 90 degrees to 180 degrees and the drum 3 ), and this rotation and braking can be repeated alternately. Thereby, the lint accumulated in the gasket 4 and the door 12 can be removed.

한편, 상술한 각 단계를 통해 린트의 제거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가속단계 및 린트제거단계가 수행되면서 상기 순환수 공급단계가 동시에 진행될 수 있고, 또한 상기 가속단계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터브의 수위는 상기 제1 수위에 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Meanwhile, in order to effectively remove lint through each of the above-described steps, the circulating water supply step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while the acceleration step and the lint removal step are performed, and the water level of the tub at the start of the acceleration step preferably reaches the first water level.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의 세탁행정 중 일부 행정 시 수위, 드럼 RPM, 급수 및 순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행정 시 개스킷 및 도어의 세척부위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level, drum RPM, water supply and circulation during some of the washing cycles of the dr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am.

도 8에서 도시된 그래프의 좌측 세로축은 드럼의 RPM을 나타내며, 그래프 우측 세로축은 수위 주파수를 나타내고, 그래프의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낸다.The left vertical axis of the graph shown in FIG. 8 represents the RPM of the drum, the right vertical axis of the graph represents the water level frequency, and the horizontal axis of the graph represents time.

수위 주파수는 상기 수위센서(113)에서 측정될 수 있다. 수위 주파수는 터브(2) 내부의 수위와 반비례한다. 즉, 수위 주파수가 낮으면 터브 내부의 수위는 낮은 것이며, 수위 주파수가 높으면 터브(2) 내부의 수위는 높은 것을 의미한다.The water level frequency may be measured by the water level sensor 113 . The water level frequency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water level inside the tub (2). That is, when the water level frequency is low, the water level inside the tub is low, and when the water level frequency is high, it means that the water level inside the tub 2 is high.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

도 8은 상기 린트제거 모션(S45) 시 터브 내부의 수위, 드럼 RPM, 급수 및 순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ater level, drum RPM, water supply, and circulation inside the tub during the lint removal motion (S45).

제1 구간(G1)은 회전단계(S43) 이후 제2 급수(S451)가 진행되면서 드럼(3)의 회전은 정지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구간이다. 상기 제1 구간(G1)에서 급수부를 통해 제1 수위까지 급수되므로, 터브 내부의 수위는 높아지게 된다. 예로써 수위 주파수는 22.8 KHZ에서 급수가 진행됨에 따라 22.6 KHZ로 낮아지게 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수위 주파수가 낮아지는 것은 터브 내부의 수위가 높이지는 것을 의미한다.The first section (G1) is a section in which the rotation of the drum 3 is maintained while the second water supply (S451) proceeds after the rotating step (S43). Since water is supplied to the first water level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in the first section G1, the water level inside the tub is increased. For example, the water level frequency is lowered from 22.8 KHZ to 22.6 KHZ as the water supply progresses. As described above, the lowering of the water level frequency means that the water level inside the tub increases.

제2 구간(G2)은 상술한 가속단계(S455)와 대응된다. 상기 제2 구간(G2)에서 순환펌프(55)가 작동되어 순환유로(57)를 통해 순환수가 공급된다. 상기 제2 구간(G2)이 시작되는 시점에서의 수위 주파수는 22.6 KHZ로써, 터브(2) 내부의 세탁수는 제1 수위를 형성한다.The second section G2 corresponds to the acceleration step S455 described above. In the second section G2 , the circulation pump 55 is operated to supply circulation water through the circulation passage 57 . The water level frequency at the start of the second section G2 is 22.6 KHZ, and the wash water inside the tub 2 forms the first water level.

제3 구간(G3)은 상술한 린트제거단계(S455)에 대응된다. 상기 제3 구간(G3)에서 드럼(3)은 제1 회전속도(제2 RPM)로 회전하여 세탁수의 수류를 형성하고, 순환유로(57)를 통해 순환수가 공급된다. 상기 제3 구간(G3)가 진행됨에 따라 수위 주파수는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터브(2) 내부의 수위는 제3 구간(G3)이 진행되면서 낮아진다. 드럼(3)의 회전 모션에 의해 드럼 내부의 세탁물이 물을 더 흡수할 수 있다.The third section G3 corresponds to the lint removal step S455 described above. In the third section G3, the drum 3 rotates at a first rotational speed (second RPM) to form a water flow of wash water, and the circulating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circulation passage 57 . As the third section G3 progresses, it can be seen that the water level frequency increases. That is, the water level inside the tub 2 is lowered as the third section G3 proceeds. Due to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drum 3, the laundry inside the drum can absorb more water.

제4 구간(G4)은 상술한 감속단계(S459)에 대응된다. 상기 제4 구간(G4)에서 드럼(3)은 제1 회전속도(제2 RPM)에서 감속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드럼(3)은 감속단계(S459)에서 제동되어 회전이 정지하게 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감속단계에서 상기 제1 회전속도(제2 RPM)보다 더 낮은 설정 회전속도로 감속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fourth section G4 corresponds to the deceleration step S459 described above. In the fourth section G4, the drum 3 is decelerated at the first rotational speed (second RPM). The drum 3 of this embodiment is braked in the deceleration step (S459) to stop the rotation,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it might be

드럼이 상기 제1 회전속도에서 감속하는 시점에 드럼 내주면에 부착된 세탁물이 낙하하고, 이에 따라 터브 전방으로 물이 튀는 현상이 발생하여 도어의 내면 및 개스킷의 내주면에 축적된 린트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제4 구간(G4)에서 드럼(3)이 제1 회전속도에서 감속함에 따라 린트제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드럼(3)의 회전이 감속되어 정지하거나, 또는 상기 제1 회전속도보다 더 낮은 RPM으로 감속될 수 있다.When the drum decelerates from the first rotational speed, the laundry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falls, and as a result, water splashes toward the front of the tub, thereby removing lint accumula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oor and gasket. Because. That is, since the lint removal effect can be expected as the drum 3 decelerates from the first rotation speed in the fourth section G4, the rotation of the drum 3 is decelerated and stopped, or is higher than the first rotation speed. It can be slowed down to a lower RPM.

제4 구간(G4)에서 드럼(3)의 감속은 역상제동을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4 구간(G4)에서 드럼(3)이 감속되는 가속도의 크기는 제2 구간(G2)에서 드럼(3)이 가속되는 가속도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In the fourth section G4, the deceleration of the drum 3 is performed through reverse-phase braking. Accordingly, the magnitude of the acceleration at which the drum 3 is decelerated in the fourth section G4 may be greater than the magnitude of the acceleration at which the drum 3 is accelerated in the second section G2 .

상기 제4 구간(G4)이 시작되는 시점에 순환펌프(55)의 작동이 정지하여 순환수의 급수가 정지될 수 있다. 그리고 급수부를 통해 세탁수의 급수는 상기 린트제거 모션(S45)이 수행되는 전 구간에서 수행되므로, 상기 제3 구간(G3)에서 낮아진 터브 내부의 수위는 제5 구간(G5)에서 상기 제1 수위로 높아지게 되어 상기 제1 수위에서 제6 구간(G6, 가속단계)이 수행될 수 있다.When the fourth section (G4) starts, the operation of the circulation pump (55) may be stopped, so that the supply of circulating water may be stopped. And since the water supply of wash water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is performed in the entire section in which the lint removal motion S45 is performed, the water level in the tub lowered in the third section G3 is the first water level in the fifth section G5. , so that a sixth section (G6, acceleration step) may be performed at the first water level.

따라서 순환펌프(55)의 작동은 상기 제2 구간(G2) 및 제 3구간(G3)을 포함하는 제 14구간(G14)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operation of the circulation pump 55 may be performed within the 14th section G14 including the second section G2 and the third section G3.

상기 제5 구간(G5) 이후 제13 구간(G13)까지 드럼(3)의 회전속도 가변 구간, 순환펌프(55)의 작동 구간은 동일하게 반복되며, 상기 제1 구간(G1)에서 상기 제13 구간(G13)까지 상기 급수부를 통한 세탁수의 급수는 지속적으로 수행된다.From the fifth section (G5) to the thirteenth section (G13), the rotational speed variable section of the drum (3) and the operation section of the circulation pump (55) are repeated in the same manner, and in the first section (G1), the thirteenth section The water supply of wash water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is continuously performed until the section G13.

상기 터브 내로 급수가 지속적으로 수행됨에 제7 구간(G7)에서 드럼이 제1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제3 구간(G3)보다 제1 수위로 유지되는 구간이 더 길어지게 된다. 그리고 제11 구간(G11)에서 드럼이 제1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동안 터브 내의 수위는 제1 수위로 유지되며, 제12 구간(G12)에서 드럼이 제1 회전속도로부터 감속하는 시점에서도 제1 수위로 유지될 수 있다.As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into the tub, a section maintained at the first water level becomes longer than that of the third section G3 while the drum rotates at the first rotational speed in the seventh section G7. And while the drum rotates at the first rotation speed in the eleventh section (G11), the water level in the tub is maintained at the first water level, and even at the time when the drum decelerates from the first rotation speed in the twelfth section (G12), the first water level can be maintained as

즉 제1 구간(G1) 내지 제4 구간(G4), 제5 구간(G5) 내지 제8 구간(G8), 제9 구간(G9) 내지 제13 구간(G13)은 각각 제1 사이클, 제2 사이클 및 제3 사이클을 형성할 수 있으며, 각각의 사이클에서 드럼의 RPM 변화와 순환펌프의 작동시기는 동일하나 각각의 사이클이 진행되면서 제1 수위로 유지되는 구간이 길어지게 된다.That is, the first period ( G1 ) to the fourth period ( G4 ), the fifth period ( G5 ) to the eighth period ( G8 ), and the ninth period ( G9 ) to the thirteenth period ( G13 ) are the first cycle and the second period, respectively. A cycle and a third cycle may be formed. In each cycle, the RPM change of the drum and the operation time of the circulation pump are the same, but as each cycle progresses, the section maintained at the first water level becomes longer.

따라서, 각 사이클마다 드럼이 가속, 회전, 감속할 때의 수위가 다르므로, 드럼의 모션에 따라 형성된 수류가 터브의 전방으로 전달되는 양, 부분(상측, 중앙측, 하측)이 달라지게 되어 서로 다른 부분에 축적된 린트를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Therefore, since the water level when the drum accelerates, rotates, and decelerates for each cycle is different, the amount and part (upper side, center side, and lower side) of the water flow formed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drum are transferred to the front of the tub and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Lint accumulated in other areas can be removed.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

도 9의 (a),(b),(c)는 개스킷의 내주면에 축적된 린트와 개스킷의 내주면으로 전달되는 세탁수의 유동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고, 도 9의 (d)는 도어의 내면을 따라 흐르는 세탁수의 유동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9(a), (b), and (c) are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flow of lint accumula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asket and wash water deliver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asket, and FIG. 9(d) is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It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flow of washing water flowing along.

상기 제3 구간(G3)의 드럼의 제1 회전속도(제2 RPM)로 회전할 시, 터브 내의 수위는 제1 수위를 유지하고 제3 구간(G3)이 진행될수록 터브 내의 수위는 다시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터브 내의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드럼의 회전 시 물이 튀는 높이도 낮아지게 된다. 즉, 도 9(a)를 참고하면 드럼의 회전에 의해 형성된 수류는 개스킷의 하부측에 축적된 린트를 제거할 수 있다.When the drum of the third section (G3) rotates at the first rotational speed (second RPM), the water level in the tub maintains the first water level, and as the third section (G3) proceeds, the water level in the tub decreases again. that can be checked In this case, as the water level in the tub is lowered, the height at which water splashes when the drum rotates is also lowered. That is, referring to FIG. 9A , the water flow 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drum may remove lint accumul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gasket.

그리고 제2 구간(G2), 제6 구간(G6) 및 제10 구간(G10)에서 드럼의 회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제1 회전속도로 가속할 시, 터브 내의 수위는 제1 수위를 유지하고 있다. 상기 드럼이 가속함에 따라 드럼의 내주면을 따라 세탁수가 상승하므로 상기 제1 수위까지 급수된 세탁수는 드럼의 중앙측의 수위가 낮아지고 드럼의 양측 수위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도 9(b)를 참고하면, 드럼의 가속구간에서 형성된 수위를 통해 개스킷의 하부 양측에 축적된 린트를 제거할 수 있다.And in the second section (G2), the sixth section (G6), and the tenth section (G10), when the drum is accelerated to the first rotational speed while the rotation is stopped, the water level in the tub is maintained at the first water level . As the drum accelerates, the wash water rise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so that the water level at the center of the drum is lowered and the water level at both sides of the drum increases. Accordingly, referring to FIG. 9B , lint accumulat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gasket can be removed through the water level formed in the acceleration section of the drum.

그리고 제11 구간(G11)에서 드럼이 제1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내내 터브 내부의 수위는 제1 수위를 유지한다. 따라서 수위가 가변되는 제3 구간(G3) 및 제7 구간(G7)에 비해 제1 수위까지 급수된 세탁수의 수위 변화가 더 큰 수류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9(C) 및 도 9(D)를 참고하면, 상기 제11 구간(G11)에서 형성된 수류는 개스킷 및 도어의 양측 상부까지 전달되어 축적된 린트를 제거할 수 있다.And while the drum rotates at the first rotational speed in the eleventh section G11, the water level inside the tub maintains the first water level. Therefore, compared to the third section ( G3 ) and the seventh section ( G7 ) in which the water level is variable, a change in the water level of the wash water supplied up to the first water level can form a larger water flow. Accordingly, referring to FIGS. 9C and 9D , the water flow formed in the eleventh section G11 is transmitted to both upper portions of the gasket and the door to remove accumulated lint.

그리고 제12 구간(G12)에서 드럼의 회전이 제1 회전속도에서 감소할 시, 터브 내부의 수위는 제1 수위를 유지한다. 이 경우, 드럼의 내주면에 부착되어 있던 세탁물들이 세탁수의 표면으로 낙하하면서 터브의 전방으로 물이 튀는 높이가 가장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9(c)를 참고하면, 상기 제12 구간(G12)에서 세탁물이 낙하하면서 발생하는 물이 튀는 현상에 의해 개스킷 내주면의 상부 측에 위치한 린트를 제거할 수 있다.And when the rotation of the drum decreases from the first rotation speed in the twelfth section (G12), the water level inside the tub maintains the first water level. In this case, as the laundry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falls to the surface of the wash water, the water splashing height in the front of the tub may be formed the highest. Therefore, referring to FIG. 9(c) , the lint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asket may be removed due to the water splashing phenomenon that occurs while the laundry falls in the twelfth section G12.

또한, 도 9(d)를 참고하면, 린트제거 모션에서 상기 급수부를 통한 세탁수의 급수를 통해 도어의 내면 중, 중앙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린트를 제거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9( d ), in the lint removal motion, the lint attach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may be removed by supplying wash water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Any o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For example, it means that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a specific embodiment and/or drawing may be combined with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and/or drawing. That is, even if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it means that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when it is explain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4)

전방면에 투입구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의 투입구에 연통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캐비닛의 투입구와 상기 터브의 개구부를 연결하고, 세탁물 출입 통로를 제공하는 내측면을 구비하는 개스킷; 그리고,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는, 상기 개스킷의 내측면의 최하측부보다 높은 제1 수위까지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터브의 수위가 상기 제1 수위인 상태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해 상기 드럼내의 세탁물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상기 세탁물에 작용하는 중력보다 큰 제1 회전속도로 상기 드럼을 회전하는 의류처리장치.
a cabinet having an inlet on the front side;
a door coupled to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inlet;
a tub disposed inside the cabinet, having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an inlet of the cabinet, and provid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water;
a drum rotatably provided in the tub and provid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laundry;
a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drum;
a gasket connecting the inlet of the cabinet and the opening of the tub, the gasket having an inner surface providing a laundry access passage; and,
It includes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to the tub,
The water supply unit supplies water to the tub up to a first water level higher than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gasket,
The driving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water level of the tub is the first water level, rotates the drum at a first rotational speed in which centrifugal force acting on the laundry in the drum by the rotation of the drum is greater than the gravity acting on the laundry. clothes processing equip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터브의 수위가 상기 제1 수위인 상태에서, 상기 드럼을 상기 제1 회전속도까지 가속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accelerate the drum to the first rotation speed while the water level of the tub is at the first water leve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드럼을 상기 제1 회전속도까지 가속하는 구간에서, 상기 드럼을 상기 제1 회전속도보다 느린 제2 회전속도를 지나 상기 제1 회전속도까지 가속하고,
상기 제2 회전속도는,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해 상기 드럼내의 세탁물이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에 대응하는 높이 이상 상승한 후 상기 드럼에서 분리되어 낙하하는 회전속도인 의류처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section in which the driving unit accelerates the drum to the first rotational speed, the drum accelerates to the first rotational speed through a second rotational speed slower than the first rotational speed,
The second rotational speed is a rotational speed at which laundry in the drum rises to a height corresponding to a rotation center of the drum due to the rotation of the drum and then separates from the drum and fall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터브의 수위가 상기 제1 수위인 상태에서, 상기 드럼을 상기 제2 회전속도를 유지하며 회전시키는 의류처리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driv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rotate the drum while maintaining the second rotation speed while the water level of the tub is at the first water lev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드럼을 상기 제1 회전속도로 회전한 후 정지하고,
상기 수위감지부는 상기 드럼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터브의 수위를 감지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ater level sensor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of the tub,
The driving unit stops after rotating the drum at the first rotational speed,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is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of the tub in a state in which the drum is stopp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상기 드럼이 상기 제1 회전속도로 회전한 후 상기 터브의 수위가 상기 제1 수위보다 낮을 때, 상기 터브에 상기 제1 수위까지 재급수하는 의류처리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water supply unit may be configured to re-supply water to the tub up to the first water level when the water level of the tub is lower than the first water level after the drum rotates at the first rotational spe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급수부가 상기 터브에 재급수한 후, 상기 드럼을 상기 제1 회전속도로 다시 회전하는 의류처리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driving unit may further rotate the drum at the first rotational speed after the water supply unit re-supplys water to the tub.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드럼을 상기 제1 회전속도로 회전한 후, 상기 드럼을 제동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unit rotates the drum at the first rotation speed and then brakes the dru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을 제동하는 구간에서 상기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원의 상은, 상기 드럼이 상기 제1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구간에서 상기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원의 상과 역전된 의류처리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hase of the power applied to the driving unit during the braking period of the drum is reversed from the phase of the power applied to the driving unit during the period in which the drum rotates at the first rotational spe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드럼을 상기 제1 회전속도로 회전하기 전, 상기 드럼을 상기 제1 회전속도까지 가속하고,
상기 드럼이 제동하는 구간에서 가속도의 크기는, 상기 드럼이 상기 제1 회전속도까지 가속하는 구간에서 가속도의 크기보다 큰 의류처리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riving unit, before rotating the drum at the first rotational speed, accelerate the drum to the first rotational speed,
The magnitude of the acceleration in the section in which the drum brakes is greater than the magnitude of the acceleration in the section in which the drum accelerates to the first rotational spe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터브내의 수위가 상기 제1 수위인 상태에서, 상기 드럼을 상기 제1 회전속도로 90도 내지 180도 범위내의 회전 각도만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킨 후 상기 드럼을 제동하고, 상기 드럼의 회전과 제동을 교대로 반복하는 의류처리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rive unit,
In a state where the water level in the tub is the first water level, the drum is rotated by a rotation angle within the range of 90 degrees to 180 degrees at the first rotation speed, and then the drum is braked, and rotation and braking of the drum A clothes processing device that alternately repea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에서 배출된 물을 펌핑하는 순환펌프;
상기 개스킷에 구비되고, 상기 세탁물 출입통로에 위치한 출구를 갖는 노즐; 그리고,
상기 순환펌프와 상기 노즐을 연결하는 순환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순환펌프는, 상기 구동부가 상기 드럼을 회전시킬 때 구동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circulation pump for pumping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tub;
a nozzle provided in the gasket and having an outlet located in the laundry access passage; and,
Further comprising a circulation passage connecting the circulation pump and the nozzle,
The circulation pump is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driven when the driving unit rotates the dru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드럼을 가열하는 인덕션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덕션 히터는, 상기 터브의 물이 배수된 상태에서 상기 드럼을 가열하고,
상기 인덕션 히터가 상기 드럼을 가열할 때,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드럼을 회전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It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ub, further comprising an induction heater for heating the drum,
The induction heater heats the drum in a state in which the water in the tub is drained,
When the induction heater heats the drum, the driving unit rotates the dru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와 상기 급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and the water supply unit.
KR1020210042707A 2020-04-01 2021-04-01 Laundry treating apparuts KR20210122718A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04067 WO2021201629A1 (en) 2020-04-01 2021-04-01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U2021248761A AU2021248761A1 (en) 2020-04-01 2021-04-01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US17/916,190 US20230151528A1 (en) 2020-04-01 2021-04-01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765 2020-04-01
KR20200039765 2020-04-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2718A true KR20210122718A (en) 2021-10-12

Family

ID=78078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707A KR20210122718A (en) 2020-04-01 2021-04-01 Laundry treating apparut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130375A4 (en)
KR (1) KR20210122718A (en)
CN (1) CN115398060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3276A (en) 2016-08-25 201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A Laundr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98836T3 (en) * 2011-04-14 2017-01-30 Lg Electronics Inc. Washing procedure
KR102522794B1 (en) * 2016-02-01 2023-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How to wash the drum washing machine and the tub of the drum washing machine
KR102619008B1 (en) * 2018-02-12 2023-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3276A (en) 2016-08-25 201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A Laundr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30375A1 (en) 2023-02-08
EP4130375A4 (en) 2024-05-15
CN115398060A (en) 2022-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73438B2 (en) Laundry handling apparatus
EP3159449B1 (en) Drum type washing and drying machine
US9157177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and method of control
US9493897B2 (en) Method of operation for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having a ball balance ring
KR102650103B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US9212442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controlled reciprocating movement
EP3674471B1 (en) Laundry machine having induction heater
EP2623659B1 (en)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US11926948B2 (en)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apparatus
AU201733858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EP3674470B1 (en) Laundry machine having induction hea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145634B2 (en) Method of operating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EP4130375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US20230151528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102560665B1 (en) Controlling Method of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10048345A (en) Method for washing and washing machine
CN110857507B (en)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110016638A1 (en)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KR20210077161A (en) Method for washing and washing machine
KR20210115837A (en) Laundry treating apparuts and a method of the same
JP4474789B2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EP4123075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JP4457491B2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JP4552364B2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KR20210117215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