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2474A - Illumination system for projecting a gobo image with three dimensional effect - Google Patents

Illumination system for projecting a gobo image with three dimensional effe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2474A
KR20210122474A KR1020200039652A KR20200039652A KR20210122474A KR 20210122474 A KR20210122474 A KR 20210122474A KR 1020200039652 A KR1020200039652 A KR 1020200039652A KR 20200039652 A KR20200039652 A KR 20200039652A KR 20210122474 A KR20210122474 A KR 20210122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bo
image
light
lens
ligh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6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91507B1 (en
Inventor
채성기
김성중
김지명
김유신
유성환
신경호
송상빈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200039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507B1/en
Publication of KR20210122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24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5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06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characterised by the road surface marking material, e.g. comprising additives for improving friction or reflectivity; Methods of forming, installing or applying markings in, on or to road surfaces
    • E01F9/524Refl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incorporation in or application to road surface mark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18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viewing
    • G03B35/22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viewing using single projector with stereoscopic-base-defining syste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illumination system for displaying a gobo image with a three-dimensional effect on a ground or road surface. The illumination system includes a light source; a lens assembly which light from the light source enters and has a light quantity control unit, a gobo image generation unit, and a focusing lens unit; and a refractive lens coupled to a light exit surface of the lens assembly, wherein the gobo image generation unit has a first element or closer that forms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a specific light beam pattern and, when the light source is operated, the light beam pattern passing through the refractive lens expresses a gobo image with a three-dimensional effect on an object or a floor in a certain distance.

Description

입체효과 고보이미지를 표시하는 조명 장치{ILLUMINATION SYSTEM FOR PROJECTING A GOBO IMAGE WITH THREE DIMENSIONAL EFFECT}A lighting device that displays a three-dimensional effect gobo image {ILLUMINATION SYSTEM FOR PROJECTING A GOBO IMAGE WITH THREE DIMENSIONAL EFFECT}

본 발명은 고보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체효과를 가진 고보이미지를 표시하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bo ligh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ghting device for displaying a gobo image hav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고보 조명 장치는 극장 조명, 건축 조명, 호텔, 레스토랑, 오피스 공간 등에서 착색광(colored light)을 이용하여 장면 설정이나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주로 이용된다.The gobo lighting device is mainly used to set a scene or create an atmosphere using colored light in theater lighting, architectural lighting, hotels, restaurants, office spaces, and the like.

최근, 고보 조명 장치는 가게 앞의 도로에 간판을 대신하여 로고 이미지를 투사하거나 가게에서 판매하는 상품에 대한 광고 내용을 투사하는데 이용되는 등, 그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Recently, the gobo lighting device is used to project a logo image on the road in front of a store instead of a signboard or to project advertisement content for a product sold in the store, and the range of its use is expanding.

이러한 고보 조명 장치는 다색 LED를 구비함으로써 색상을 바꾸기 위해 필터를 교환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LEDs를 조합하여 거의 모든 조명 색상을 생성하고 LED에 결합된 전자기기에 의해 조명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색상의 생성이나 변경은 자동 프로그래밍 방법을 통해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그 시장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These gobo lighting devices not only do not need to change filters to change color by having multi-color LEDs, but can also combine multiple LEDs to produce almost any lighting color and change the lighting color by the electronics coupled to the LEDs. . In addition, since the generation or change of various colors can be performed through an automatic programming method, the market is rapidly growing.

등록특허공보 제10-1251370호(2013.04.05.)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251370 (2013.04.05.)

본 발명은 전술한 고보 조명 장치의 일종으로서 일반도로, 자동차 전용도로, 고속도로 등과 같이 차량이 운행하는 도로 상에서 일반 고보 조명 장치의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원거리에 표시되는 노면표시의 고보 이미지에 입체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kind of the above-described gobo lighting device, and gives a three-dimensional effect to the gobo image of the road surface display displayed at a relatively greater distance than in the case of a general gobo lighting device on a road on which a vehicle runs, such as a general road, an exclusive road for a car, a highway, etc.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ing device of a new structure that can do thi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로 상에서 제한속도 등을 표시하는 기존의 도로 노면표시를 대체하면서 결빙, 사고발생 등의 도로 상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입체효과 노면표시 고보 이미지를 위한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ing device for a three-dimensional effect road surface display gobo image, which can provide road condition information such as icing and accidents while replacing the existing road surface display that displays the speed limit on the road. hav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굴절 렌즈를 결합한 구조를 사용하여 노면 상에서 원거리 운전자에게 직관적으로 인식 가능한 입체효과 고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ing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 stereoscopic effect gobo image intuitively recognizable to a long-distance driver on a road surface using a structure in which a refractive lens is combin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교차로, 횡단보도, 터널, 스쿨존(school zone), 결빙도로 등에서 운전자를 대상으로 도로 상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입체효과 고보 이미지 표시용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ing device for displaying a stereoscopic effect gobo image capable of providing road condition information to a driver at an intersection, crosswalk, tunnel, school zone, icy road, etc.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명 장치는, 입력효과 고보 이미지를 표시하는 조명 장치로서, 광원;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입사되고 광량 제어부와 고보이미지 생성부와 포커싱 렌즈부를 구비하는 렌즈 어셈블리; 및 렌즈 어셈블리의 광 출사면 상에 결합하는 굴절 렌즈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보이미지 생성부는 광원의 광을 특정 라이트 빔 패턴으로 생성하는 제1 엘리먼트 또는 클로저를 구비한다. 광원의 작동 시, 굴절 렌즈를 통과한 라이트 빔 패턴은 일정 거리 이격된 바닥이나 대상체 상에 입체효과 고보이미지를 표출한다.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lighting device for displaying an input effect gobo image, comprising: a light source; a lens assembly receiving light from a light source and having a light quantity control unit, a gobo image generation unit, and a focusing lens unit; and a refractive lens coupled on the light exit surface of the lens assembly. Here, the gobo image generator includes a first element or a closure that generates light from a light source in a specific light beam pattern. When the light source is operated, the light beam pattern passing through the refractive lens expresses a stereoscopic effect gobo image on a floor or an object spaced apart by a certain distance.

일실시예에서, 상기 입체효과 고보이미지는 노면표시를 포함하고 노면과 평행한 평면상에서 이미지의 하단폭이 이미지의 상단폭보다 작고, 하단폭과 상단폭 사이의 간격은 상단폭의 3배 내지 7배이다.In one embodiment, the three-dimensional effect gobo image includes a road surface mark, and on a plane parallel to the road surface, the lower width of the image is smaller than the upper width of the image,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lower width and the upper width is 3 to 7 times the upper width. it's a boat

일실시예에서, 상기 입체효과 고보이미지에서 60미터 떨어진 위치의 높이 1.5미터에서 가장 높은 시인성을 가진 사이즈로서, 상기 입체효과 고보이미지의 하단폭과 상단폭의 비율은 1:7이고, 하단폭과 상단폭 사이의 간격과 상단폭과의 비율은 4.46:1이다.In one embodiment, as the size with the highest visibility at a height of 1.5 meters at a location 60 meters away from the stereoscopic effect gobo image, the ratio of the bottom width to the top width of the stereoscopic effect gobo image is 1:7, and the bottom width and The ratio between the top width and the top width is 4.46:1.

일실시예에서, 상기 입체효과 고보이미지는 도로 노면에 표시되는 문구, 도형, 로고 또는 이들의 조합 형태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주변 환경이나 타겟에 따라 변경되는 클로저 또는 제1 엘리먼트의 특정 광차단패턴 또는 특정 광투과패턴에 대응한다.In one embodiment, the three-dimensional effect gobo image includes a text, a figure, a logo, or a combination thereof displayed on a road surface, and a closure or a first element tha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r target detected through the sensor. Corresponds to a specific light-blocking pattern or a specific light-transmitting pattern.

일실시예에서, 상기 광량 제어부는 광원의 출사면 상에 배치되는 메인 볼록 렌즈의 틸트(tilt) 또는 피치(pitch)를 조절하여 광원의 광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의 균제도를 제어한다.In an embodiment, the light quantity control unit controls a degree of uniformity of an image generated by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by adjusting a tilt or a pitch of a main convex lens disposed on the emission surface of the light source.

일실시예에서, 상기 포커싱 렌즈부는 볼록 렌즈와 오목 렌즈를 구비하고 라이트 빔 패턴의 아웃 포커싱(out focusing) 및 인 포커싱(in focusing)을 제어한다.In an embodiment, the focusing lens unit includes a convex lens and a concave lens, and controls out-focusing and in-focusing of the light beam pattern.

일실시예에서, 상기 광원은 발광다이오드 멀티 패키지 어레이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light source includes a light emitting diode multi-package array.

전술한 입력효과 고보 이미지를 표시하는 조명 장치를 사용하면, 도로 상에서 제한속도 등을 표시하는 기존의 도로 노면표시를 대체하면서 결빙, 사고발생 등의 도로 상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f the lighting device for displaying the above-described input effect gobo image is used,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road condition information such as icing and accidents while replacing the existing road surface display indicating the speed limit on the roa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 라이트 빔 패턴을 형성하는 고보와 굴절 렌즈를 결합한 조명 장치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노면 상에서 원거리 운전자에게 직관적으로 인식 가능한 입체효과 노면표시를 효과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reate a three-dimensional effect road surface display that can be intuitively recognized by a long-distance driver on the road surface by using a lighting device structure in which a gobo and a refractive lens are combined to form a specific light beam patter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교차로, 횡단보도, 터널, 스쿨존(school zone), 결빙도로 등에서 운전자를 대상으로 도로 상황 정보를 입체효과 고보 이미지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road condition information as a stereoscopic effect gobo image to a driver in an intersection, a crosswalk, a tunnel, a school zone, an icy road, etc.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효과 고보이미지를 표시하는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조명 장치에 의한 입체효과 고보이미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입체효과 고보이미지의 사이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조명 장치에 채용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조명 장치의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조명 장치에 채용할 수 있는 굴절각도 제어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굴절각도 제어유닛을 통과한 라이트 빔 패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는 도 4의 조명 장치의 제어부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1의 조명 장치의 일부 구성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조명 장치의 라이트 빔 패턴의 생성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조명 장치에 의한 본 실시예의 라이트 빔 패턴과 비교예의 고보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조명 장치에서 광량 제어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 의한 입체효과 노면표시를 기본 고보이미지와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라이트 빔 패턴으로 표출되는 고보이미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고보이미지를 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lighting device for displaying a stereoscopic effect gobo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stereoscopic effect gobo image by the lighting device of FIG.
3 is a view showing the size of the stereoscopic effect gobo image of FIG.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configuration that may be employed in the lighting device of FIG. 1 .
FIG. 5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the configuration of the lighting device of FIG. 4 .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refraction angle control unit that can be employed in the lighting device of FIG. 5 .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light beam pattern passing through the refraction angle control unit of FIG. 6 .
FIG. 8 is a block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of the lighting device of FIG. 4 .
9 is a schematic diagram of some configurations of the lighting device of FIG. 1 .
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inciple of generating a light beam pattern of the lighting device of FIG. 9 .
11 is a view showing a light beam pattern of the present embodiment by the lighting device of FIG. 1 and a gobo image of a comparative example.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ng principle of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principle of a light quantity control unit in the lighting device of FIG. 12 .
14 is a view show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road surface display by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mpared with a basic gobo image.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obo image displayed as a light beam pattern of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hanging the gobo image of FIG. 15 according to a detection signal of a sensor.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various equivalent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water and variation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효과 고보이미지를 표시하는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조명 장치에 의한 입체효과 고보이미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입체효과 고보이미지의 사이즈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lighting device for displaying a stereoscopic effect gobo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stereoscopic effect gobo image by the lighting device of FIG. 3 is a view showing the size of the stereoscopic effect gobo image of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00)는 입체효과 고보이미지를 표시하는 조명 장치로서 지지대, 기둥, 폴대 혹은 지주(10) 상의 일정 높이에 소정의 체결수단(102)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지주(10)에는 전력제어장치(30), 태양전지모듈(40), 조명전원제어박스(140)가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ligh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 lighting device for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gobo image, and is formed by a predetermined fastening means 102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a support, pole, pole or post 10 . fixed installed. A power control device 30 , a solar cell module 40 , and a lighting power control box 140 may be installed on the post 10 .

조명전원제어박스(140)는 조명 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하고 조명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일 수 있고, 전력제어장치(30)는 태양전지모듈(30)의 전력변환과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일 수 있다.The lighting power control box 140 may be a device that supplies power to the lighting device 10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ighting device 100 , and the power control device 30 performs power conversion and It may be a device that performs control.

조명 장치(100)는 지주(10)에서 일정 거리 떨어진 장소의 노면 등의 바닥에 노면표시의 일종으로서 입체효과 고보이미지(500)를 생성할 수 있다.The lighting device 100 may generate a three-dimensional effect gobo image 500 as a kind of road marking on the floor, such as a road surface, at a place separated from the post 10 by a certain distance.

입체효과 고보이미지(5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주(10) 근방의 높이(h1) 1.5m의 시점(예컨대, 차량(400) 운전자의 시야)에서 지주(10)로부터 거리(d1)가 약 60m 떨어진 장소의 바닥에 형성될 때 가장 좋은 시인성을 갖도록 생성될 수 있다.The stereoscopic effect gobo image 500 is a distance (d1) from the post 10 at a viewpoint (eg, the driver's view of the vehicle 400) at a height h1 of 1.5 m in the vicinity of the post 10, as shown in FIG. 2 . It can be generated to have the best visibility when it is formed on the floor at a place about 60m away.

이러한 입체효과 고보이미지(500)의 평면상 사이즈는 차량(400)의 주행 도로의 인접한 두 차선들 사이에 설치되는 노면표시 정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체효과 고보이미지(500)의 전체 문자의 하단폭(X1)과 상단폭(Y1)의 비율(폭 비율)은 대략 1:7이고, 하단폭(X1)과 상단폭(Y1) 사이의 간격(Z1)과 상단폭(Y1)의 비율(깊이 비율)은 대략 4.46:1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체효과 고보이미지(500)의 단위글자 또는 단위문자의 하단폭(x2)과 상단폭(y2)의 비율은 대략 1:1.43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planar size of the three-dimensional effect gobo image 500 may have the size of a road marking installed between two adjacent lanes of the driving road of the vehicle 400 . 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ratio (width ratio) of the bottom width (X1) to the top width (Y1) of the entire character of the stereoscopic effect gobo image 500 is approximately 1:7, and the bottom width (X1) and Preferably, the ratio (depth ratio) of the gap Z1 between the top width Y1 and the top width Y1 is approximately 4.46:1.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atio of the lower width (x2) to the upper width (y2) of the unit character or unit character of the stereoscopic effect gobo image 500 is approximately 1:1.43.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효과 고보이미지(500)에서, 하단폭(X1)과 상단폭(Y1) 사이의 간격(Z1)과 상단폭(Y1)의 깊이 비율은 대략 3:1 내지 5:1일 수 있고, 이러한 깊이 비율에 대응하여 폭 비율도 약간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사이즈의 입체효과 고보이미지에 의하면 수십 미터의 거리에서 보행자나 운전자 등에게 우수한 시인성의 노면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As such, in the stereoscopic effect gobo image 5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depth ratio of the interval Z1 between the bottom width X1 and the top width Y1 and the top width Y1 is approximately 3:1 to 5: It may be 1, and the width ratio may also be slightly adjusted in response to this depth ratio. According to the three-dimensional effect gobo image of this siz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oad surface display with excellent visibility to pedestrians and drivers at a distance of several tens of meters.

도 4는 도 1의 조명 장치에 채용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configuration that may be employed in the lighting device of FIG. 1 .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00)는 조명 어셈블리(100a)와 제어장치(130)를 포함하고, 센서(200)에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ligh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lighting assembly 100a and a control device 130 , and may be connected to the sensor 200 .

조명 어셈블리(100a)는 제어장치(130)가 별도로 설치되는 조명 장치의 본체일 수 있고, 체결수단 등에 의해 지주의 일정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The lighting assembly 100a may be a main body of a lighting device in which the control device 130 is separately installed, and may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a post by fastening means or the like.

제어장치(130)는 별도의 장치로 조명전력제어박스 등에 삽입된 상태로 전선 케이블 등을 통해 조명 어셈블리(100a)에 연결될 수 있다. 물론, 변형예에서 제어장치(130)는 조명 어셈블리(100a)의 하우징이나 케이스에 일체로 설치될 수 있으며, 그 경우 조명 어셈블리(100a)는 그 자체로 조명 장치(100)로 지칭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하는 조명 장치는 설명의 편의상 하우징에 제어장치를 일체로 탑재한 조명 어셈블리인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130 may be connected to the lighting assembly 100a through a wire cable, etc.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lighting power control box as a separate device. Of course, in a modified example, the control device 130 may be integrally installed in the housing or case of the lighting assembly 100a, and in this case, the lighting assembly 100a may be referred to as the lighting device 100 itself. The lighting device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assumed to be a lighting assembly in which the control device is integrally mounted in a housing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전술한 제어장치(130)는 제어부(110)와 통신부(120)를 구비할 수 있고, 제어부(110)는 논리회로, 마이컴, 마이크로프로세서, 컨트롤러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통신부(120)는 유선 통신이나, 와이파이(WiFi), 저전력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Z-wave, Zigbee, LoRa, UWB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나, 웨이브(wireless access invehicular environments, WAVE) 기반의 근거리전용무선통신(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DSRC)이나, 롱텀에볼로션(LTE), 5G 등의 이동통신 혹은 광대역 네트워크 등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서브통신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The aforementioned control device 130 may include a control unit 110 and a communication unit 120, and the control unit 110 may include any one selected from a logic circuit, a microcomputer, a microprocessor, a controller, and the like, and a communication unit ( 120) is wired communication, Wi-Fi, low-power Bluetooth (bluetooth low energy, BLE), Z-wave, Zigbee, LoRa, UWB, such as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or wave (wireless access invehicular environments, WAVE)-based short-distance It may include a sub-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tocol selected from mobile communication such as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DSRC), long-term evolution (LTE), 5G, or a broadband network.

센서(200)는 안개 감지 센서일 수 있다. 센서(200)는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에서 유효영역에 대한 분석을 통해 안개를 감지하거나 유효영역 내 시정거리를 계산하여 안개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ensor 200 may be a fog detection sensor. The sensor 200 may be configured to detect fog through analysis of an effective area in an image captured by a camera or to detect fog by calculating a visibility distance within the effective area.

또한, 센서(200)는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여 주간과 야간을 판단하거나 맑은 날과 흐린 날을 판단하기 위한 조도 센서, 스노우(snow) 감지를 위한 스노우 감지 장치, 노면 및 주위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장치, 강설량을 계측하는 강설량 계측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200 measures the ambient illuminance to determine the day and night or an illuminance sensor for judging a clear day and a cloudy day, a snow detection device for snow detection, and a sensing for detecting the road surface and ambient temperature. It may include a device, a snowfall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the amount of snowfall, or a combination thereof.

도 5는 도 4의 조명 어셈블리의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조명 장치에 채용할 수 있는 굴절각도 제어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굴절각도 제어유닛을 통과한 라이트 빔 패턴을 예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the configuration of the lighting assembly of FIG. 4 .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refraction angle control unit that can be employed in the lighting device of FIG. 5 .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light beam pattern passing through the refraction angle control unit of FIG. 6 .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조명 어셈블리(100a)는 조명 어셈블리 본체(70)와 굴절각도 제어유닛(9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 the lighting assembly 100a of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lighting assembly body 70 and a refraction angle control unit 90 .

조명 어셈블리 본체(70)는 내부의 라이트 빔 패턴이 출사되는 출사면 상에서 굴절각도 제어유닛(90)과 결합될 수 있다. 조명 어셈블리 본체(70)는 메인볼록렌즈 틸트제어 액추에이터(82), 고보이미지 생성제어 액추에이터(84) 및 포커싱 렌즈제어 액추에이터(86)를 포함한다.The lighting assembly body 70 may be coupled to the refraction angle control unit 90 on the emitting surface from which the light beam pattern therein is emitted. The illumination assembly body 70 includes a main convex lens tilt control actuator 82 , a gobo image generation control actuator 84 , and a focusing lens control actuator 86 .

메인볼록렌즈 틸트제어 액추에이터(82)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조명 어셈블리 본체(70)에 탑재되는 메인 볼록 렌즈의 틸트(tilt)를 조절한다. 고보이미지 생성제어 액추에이터(84)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고보이미지 생성부를 회전시키는 것 등의 방식으로 고보이미지 생성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클로저나 제1 엘리먼트의 특정 패턴 필름을 통해 라이트 빔 패턴이 생성되도록 동작한다. 포커싱 렌즈제어 액추에이터(86)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볼록렌즈와 오목렌즈를 포함하는 포커싱 렌즈 배열 내 렌즈들 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The main convex lens tilt control actuator 82 adjusts the tilt of the main convex lens mounted on the lighting assembly body 70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The gobo image generation control actuator 84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gobo image generation unit in a manner such as rotating the gobo image generation uni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so that a light beam pattern is generated through a specific pattern film of the closure or the first element operate as much as possible. The focusing lens control actuator 86 may adjust an interval between lenses in a focusing lens array including a convex lens and a concave len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굴절각도 제어유닛(90)은 조명 어셈블리 본체(70)에서 나오는 라이트 빔 패턴을 미리 설정된 각도로 굴절시킨다. 굴절각도 제어유닛(90)은 프리즘 렌즈(prism lens), 프레스넬 렌즈(fresnel lens), 프리폼 렌즈(free-form lens) 등 다양한 형태의 굴절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fraction angle control unit 90 refracts the light beam pattern emitted from the lighting assembly body 70 at a preset angle. The refraction angle control unit 90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refraction lenses, such as a prism lens, a Fresnel lens, and a free-form lens.

예를 들면, 도 6의 (a)와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 어셈블리 본체의 하우징(70a)에서 나오는 라이트 빔 패턴은 프리즘 렌즈(90a)를 통과하면서 제1 각도로 굴절되어 노면 상에 조사되고, 굴절 각도에 의해 노면에 표시되는 입체효과 고보이미지는 하단폭과 상단폭 사이의 폭간격이 상단폭의 약 5배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6A and 7A , the light beam pattern coming out of the housing 70a of the lighting assembly body is refracted at a first angle while passing through the prism lens 90a. The three-dimensional effect gobo image irradiated on the road surface and displayed on the road surface by the angle of refraction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width between the width of the bottom and the width of the top is about 5 times the width of the top.

또한, 도 6의 (b)와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 어셈블리 본체의 하우징(70a)에서 나오는 라이트 빔 패턴의 광은 프레스넬 렌즈(90b)를 통과하면서 제1 각도보다 작은 제2 각도로 굴절되어 노면 상에 조사되고, 굴절 각도에 의해 노면에 표시되는 입체효과 고보이미지는 하단폭과 상단폭 사이의 폭간격이 상단폭의 약 4배 이상, 5배 이하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6 (b) and 7 (b), the light of the light beam pattern emitted from the housing 70a of the lighting assembly body passes through the Fresnel lens 90b and is smaller than the first angle. The three-dimensional effect gobo image that is refracted at a second angle and irradiated on the road surface, and displayed on the road surface by the refraction angle, may have a form in which the width between the lower end width and the upper end width is about 4 times or more and 5 times or less of the upper width. have.

또한, 도 6의 (c)와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 어셈블리 본체의 하우징(70a)에서 나오는 라이트 빔 패턴의 광은 프리폼 렌즈(90c)를 통과하면서 제2 각도보다 작은 제3 각도로 굴절되어 노면 상에 조사되고, 굴절 각도에 의해 노면에 표시되는 입체효과 고보이미지는 하단폭과 상단폭 사이의 폭간격이 상단폭의 약 3배 이상, 4배 이하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6(c) and 7(c), the light of the light beam pattern emitted from the housing 70a of the lighting assembly body passes through the preform lens 90c and is smaller than the second angle. The three-dimensional effect gobo image that is refracted at 3 angles and irradiated on the road surface, and displayed on the road surface by the angle of refraction, may have a form in which the width between the bottom width and the top width is about 3 times or more and 4 times or less of the top width. .

도 8은 도 4의 조명 장치에 채용할 수 있는 제어부에 대한 블록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unit employable in the lighting device of FIG. 4 .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제어부(110)는 고보조명 제어부(111)와 이미지 가변 제어부(119)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8 , the control unit 110 of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gobo illumination control unit 111 and an image variable control unit 119 .

고보조명 제어부(111)는 광원과 메인 볼록 렌즈의 틸트 각도와 포커싱 렌즈 배열을 제어한다. 고보조명 제어부(111)는 광원 제어부(113), 균제도 제어부(115) 및 포커싱 제어부(117)를 구비한다.The gobo illumination control unit 111 controls the tilt angle of the light source and the main convex lens and the arrangement of the focusing lens. The gobo lighting control unit 111 includes a light source control unit 113 , a uniformity control unit 115 , and a focusing control unit 117 .

광원 제어부(113)는 다수의 LED 광원의 동작을 제어하여 고보이미지의 광량을 확보하여 고보이미지의 라이트 빔 패턴을 집광하고 최적화한다.The light source control unit 113 controls the operation of a plurality of LED light sources to secure the amount of light of the gobo image to focus and optimize the light beam pattern of the gobo image.

균제도 제어부(115)는 광원의 출사면 전방에 배치되는 메인 볼록 렌즈의 틸트 또는 피치(pitch)를 조절하여 광원의 광에 의해 생성되는 고보이미지의 균제도를 제어한다. The evenness control unit 115 controls the evenness of the gobo image generated by th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by adjusting the tilt or pitch of the main convex lens disposed in front of the emission surface of the light source.

포커싱 제어부(117)는 포커싱 렌즈부의 볼록 렌즈와 오목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배열에서 렌즈들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고보이미지를 위한 라이트 빔 패턴의 아웃 포커싱(out focusing)과 인 포커싱(in focusing)을 제어한다.The focusing control unit 117 controls out-focusing and in-focusing of the light beam pattern for the gobo image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lenses in the lens array including the convex and concave lenses of the focusing lens unit. do.

이미지 가변 제어부(119)는 고보이미지 생성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원하는 특정 라이트 빔 패턴을 생성하도록 동작한다.The image variable control unit 119 operates to generate a desired specific light beam pattern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gobo image generation unit.

도 9는 도 1의 조명 장치의 일부 구성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조명 장치의 라이트 빔 패턴의 생성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조명 장치에 의한 본 실시예의 라이트 빔 패턴과 비교예의 고보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schematic diagram of some configurations of the lighting device of FIG. 1 . 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inciple of generating a light beam pattern of the lighting device of FIG. 9 . 11 is a view showing a light beam pattern of the present embodiment by the lighting device of FIG. 1 and a gobo image of a comparative example.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에에 따른 조명 장치(100)는 하우징(70a)과, 하우징(70a) 내부에 설치되는 광원(71), 광원 렌즈(72), 메인 볼록 렌즈(73), 고보이미지 생성부(74), 제1 평면 볼록 렌즈(75), 양면 볼록 렌즈(76), 양면 오목 렌즈(77) 및 제2 평면 볼록 렌즈(78)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9 , the ligh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70a, a light source 71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70a, a light source lens 72, a main convex lens 73, and a gobo. It includes an image generating unit 74 , a first planoconvex lens 75 , a biconvex lens 76 , a biconcave lens 77 , and a second planoconvex lens 78 .

또한, 조명 장치(100)는 하우징(70a) 내부에서 광원 렌즈(72)를 지지하는 제1 렌즈지지부(81), 메인 볼록 렌즈(73)에 결합하고 메인 볼록 렌즈(73)의 틸트를 제어하는 제1 액추에이터(82), 고보이미지 생성부(74)에 결합하고 고보이미지 생성부(74)에서 특정 고보나 클로저(closer) 또는 제1 엘리먼트를 선택하도록 동작하는 제2 액추에이터(84), 포커싱 제어를 위한 렌즈 배열(75 내지 78 참조)에서 인접한 렌즈들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3 액추에이터(86), 및 렌즈 배열을 유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렌즈지지부(87)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lighting device 100 is coupled to the first lens support part 81 for supporting the light source lens 72 inside the housing 70a, the main convex lens 73, and controls the tilt of the main convex lens 73. A first actuator 82, a second actuator 84 coupled to the gobo image generating unit 74 and operative to select a specific gobo or closer or a first element in the gobo image generating unit 74, focusing control A third actuator 86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adjacent lenses in the lens arrangement (see 75 to 78) for , and a second lens support 87 for movably supporting the lens arrangement.

광원(71)은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포함한다. 발광다이오드는 적색, 청색, 녹색, 백색 LED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71)은 방열판이나 방열체 상에 설치되어 발광 동작시에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방열판이나 방열체는 원통형이나 사각형 혹은 다각형 단면을 갖는 하우징(70a)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The light source 71 includes a light emitting diode (LED). The light emitting diod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red, blue, green, and white LEDs. The light source 71 is installed on a heat sink or a heat sink so as to radiate heat generated during a light emitting operation to the outside. Such a heat sink or heat sink may have a shap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70a having a cylindrical, rectangular, or polygonal cross section.

광원 렌즈(72)는 광원(71)의 광 출사면 상에 배치되고 평면 볼록 렌즈를 포함하고, 렌즈의 볼록한 부분이 광원(71)의 출사면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The light source lens 72 is disposed on the light exit surface of the light source 71 and includes a planar convex lens, and the convex part of the lens is installed to be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exit surface of the light source 71 .

메인 볼록 렌즈(73)는 양면 볼록 렌즈 형태를 구비하고, 제1 액추에이터(82)에 의해 틸트 또는 피치 각도가 조절되도록 설치된다. 메인 볼록 렌즈(73)의 틸트 각도를 조절하면 광원(71)의 종류나 광량에 따라 조명 장치(100)에서 생성되는 고보이미지의 균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균제도는 조명이 비추는 노면에서 조도의 균일한 정도를 의미한다. 즉, 균제도는 노면에 표시되는 입체효과 고보이미지의 영역별 밝기 차이로 인하여 조도가 고르지 않은 부분이 어느 정도인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The main convex lens 73 has a double convex lens shape, and is installed such that the tilt or pitch angle is adjusted by the first actuator 82 . Adjusting the tilt angle of the main convex lens 73 may improve the evenness of the gobo image generated by the ligh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type or amount of light of the light source 71 . Here, the uniformity refers to a uniform degree of illuminance on a road surface illuminated by lighting. That is, the evenness can be a criterion for judging the degree of uneven illumina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brightness for each area of the stereoscopic effect gobo image displayed on the road surface.

메인 볼록 렌즈(73)의 틸트를 제어하면, 라이트 빔 패턴이 굴절 렌트를 통과하여 굴절된 후 노면에 조사되어 최종적으로 생성되는 입체효과 고보이미지의 균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When the tilt of the main convex lens 73 is controlled, the uniformity of the three-dimensional effect gobo image finally generated by the light beam pattern passing through the refraction lens and refracted and then irradiated to the road surface can be improved.

고보이미지 생성부(74)는 클로저(closer, 74a)와 패턴 필름(74b)을 포함한다. 클로저(74a)는 다크 플레이트(dark plate)로서 하우징(70a)의 중간부의 횡단면 전체를 가로막도록 설치되고, 분산 또는 무지향성 산란광을 최소화하며 유효(collimating) 광도 영역을 가이드한다. 패턴 필름(74b)은 클로저(74a)에서 유효 광도 영역을 가이드하는 중간부에 설치되고 광원의 광에서 일부 광만을 통과시켜 특정 라이트 빔 패턴을 생성한다. 특정 라이트 빔 패턴은 3차원 형상의 로고나 고보이미지를 위한 빔 패턴을 포함한다. 또한, 패턴 필름(74b)은 다수의 고보이미지 표출 형상들을 포함하고, 제2 액추에이터(84)의 동작에 의해 미리 설정된 다수의 고보이미지 표출 형상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특정 고보이미지 표출 형상을 선택하거나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gobo image generator 74 includes a closer 74a and a pattern film 74b. The closure 74a is a dark plate, which is installed to block the entire cross-section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housing 70a, minimizes scattered or omnidirectional scattered light, and guides a collimating luminous intensity area. The pattern film 74b is installed in the middle portion for guiding the effective luminous intensity area in the closure 74a and passes only a part of th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to generate a specific light beam pattern. A specific light beam pattern includes a beam pattern for a three-dimensional logo or gobo image. In addition, the pattern film 74b includes a plurality of gobo image expression shapes, and selects or changes any one specific gobo image expression shape among a plurality of gobo image expression shapes preset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actuator 84 can be configured to

포커싱 렌즈부에서, 제1 평면 볼록 렌즈(75)는 패턴 필름(74b)과 마주하는 측에 볼록면이 배치되고, 제2 평면 볼록 렌즈(78)는 제1 평면 볼록 렌즈(75)와의 사이에 양면 볼록 렌즈(76)와 양면 오목 렌즈(77)를 게재하고 평평한 면이 양면 오목 렌즈(77)와 마주하도록 설치된다.In the focusing lens unit, the first convex planar lens 75 has a convex surface disposed on the side facing the pattern film 74b , and the second convex planar lens 78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vex planar lens 75 and the first convex lens 75 . The double-convex lens 76 and the double-sided concave lens 77 are placed, and the flat surface is installed to face the double-sided concave lens 77 .

전술한 조명 장치(10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 제어부에 의해 관리되는 제1 구간(A1), 고보이미지 생성부에 의해 관리되는 제2 구간(A2), 및 포커싱 제어부에 의해 관리되는 제3 구간(A3)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0 , the above-described lighting device 100 is managed by the first section A1 managed by the light source controller, the second section A2 managed by the gobo image generator, and the focusing controller and a third section A3.

제1 구간(A1)에서는 광원 렌즈와 메인 볼록 렌즈를 통해 광원의 광이 집광되어 입체효과 고보이미지에 대한 최대 광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집광을 최적화한다. 또한, 제1 구간(A1)에서는 메인 볼록 렌즈의 틸트 제어를 통해 입체효과 고보이미지의 균제도를 향상시킨다.In the first section A1, th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s condensed through the light source lens and the main convex lens to optimize the light collection so as to secure the maximum amount of light for the stereoscopic effect gobo image. Also, in the first section A1, the uniformity of the stereoscopic effect gobo image is improved through the tilt control of the main convex lens.

제2 구간(A2)에서는 클러저를 사용하여 광원의 광에 대한 분산 또는 무지향성 산란광을 최소화하고 유효 광도 영역을 가이드한다. 유효 광도 영역에는 패턴 필름이 배치되어 광원의 상대적으로 면적의 광을 특정 라이트 빔 패턴으로 변환한다.In the second section A2, a closure is used to minimize the scattered or omnidirectional scattered light of the light source and guide the effective luminous intensity area. A patterned film is disposed in the effective luminous intensity region to convert light of a relatively area of the light source into a specific light beam pattern.

제3 구간(A3)에서는 볼록 렌즈와 오목 렌즈를 사용하여 입체효과 고보이미지의 아웃 포커싱과 인 포커싱을 제어한다.In the third section A3, out-focusing and in-focusing of the stereoscopic effect gobo image are controlled by using a convex lens and a concave lens.

전술한 조명 장치(100)의 구성에 의하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원과 볼록 렌즈 및 클로저를 포함한 조명 장치에 의한 비교예(a)의 고보이미지를 본 실시예(b)와 같은 입체효과 고보이미지로 변환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입체효과 고보이미지는 수십 미터 거리에서 떨어진 사람이나 운전자가 볼 때 비교예(a)의 고보이미지와 달리 노면에서 세워진 형태의 입체효과를 가진 고보이미지로 보여진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lighting device 100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11, the gobo image of Comparative Example (a) by the lighting device including the light source, the convex lens, and the closure is the same as the stereoscopic effect gobo image of this embodiment (b). It can be created by converting it to an image. Unlike the gobo image of Comparative Example (a), when a person or a driver from a distance of several tens of meters sees this stereoscopic effect gobo image, it is viewed as a gobo image with a stereoscopic effect in the form of being erected on the road surface.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조명 장치에서 광량 제어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 의한 입체효과 노면표시를 기본 고보이미지와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1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ng principle of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principle of a light quantity control unit in the lighting device of FIG. 12 . 14 is a view show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road surface display by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mpared with a basic gobo image.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광원(71)으로서 멀티 패키지 어레이를 사용한다. 멀티 패키지 어레이는 복수의 LEDs가 광원(71)의 발광면에 인접하게 배열되고, 멀티 배열 렌즈를 사용하므로 점광원 형태의 단일 LED보다 상대적으로 출사면이 수배 내지 수십 내 넓은 면광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ses a multi-package array as a light source 71 . In the multi-package array, a plurality of LEDs are arranged adjacent to the light-emitting surface of the light source 71, and since a multi-array lens is used, the light-emitting surface of the multi-package array is several times to tens of times wider than that of a single LED in the form of a point light source. have.

이러한 멀티 패키지 어레이를 광원(71)으로 이용하면, 광원(71)의 출사면 렌즈의 굴절각에 따른 라이트 빔 패턴에서의 균제도 저하 부분을 보상할 수 있다.When such a multi-package array is used as the light source 71 , a decrease in uniformity in the light beam pattern according to the refraction angle of the exit surface lens of the light source 71 can be compensat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구간(A1)에서의 메인 볼록 렌즈의 틸트 제어를 통한 조도 균제도 보상에 더하여 제1 구간(A1)의 전단(A0)에서의 광원(71)의 멀티 패키지 디밍 구성(A0)을 통해 입체효과 고도이미지의 조도 균제도를 효과적으로 보상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in addition to compensation for illuminance uniformity through tilt control of the main convex lens in the first section A1, the multi-package dimming configuration of the light source 71 in the front end A0 of the first section A1 Through (A0),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mpensate the illuminance uniformity of the stereoscopic high-level image.

예를 들면, 도 13의 (a1)에서와 같은 입체효과 고도이미지의 중간 및 상단 부분(e1)에서의 조도 균제도의 불균형이나, 도 13의 (a2)에서와 같은 입체효과 고도이미지의 상단 부분(e2)과 하단 부분(e3)에서의 조도 균제도의 불균형이나, 도 13의 (a3)에서와 같은 입체효과 고도이미지의 상단 부분(e4)에서의 조도 균제도의 불균형을, 광원(71)의 멀티 패키지 디밍 구성과 메인 볼록 렌즈의 틸트 제어를 통해 보상하여 도 13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은 입체효과 고도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mbalance of illumination uniformity in the middle and upper part (e1) of the stereoscopic effect elevation image as in (a1) of FIG. 13, or the upper part of the stereoscopic effect elevation image as in FIG. 13 (a2) ( Multi-package of the light source 71, the imbalance of the illuminance uniformity in e2) and the lower part e3, or the illuminance uniformity in the upper part e4 of the three-dimensional effect high-level image as in FIG. 13 (a3). By compensating through the dimming configuration and the tilt control of the main convex lens, it is possible to create a stereoscopic high-level image as shown in FIG. 13(b).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a)의 고보이미지(500a)를 본 실시예(b)와 같은 입체효과 고보이미지(500b)로 변환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입체효과 고보이미지(500b)는 수십 미터 거리에서 떨어진 차량(400)의 운전자가 볼 때 비교예(a)의 고보이미지와 달리 노면에서 세워진 형태의 입체효과를 가진 이미지로 보여질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4 , the gobo image 500a of the comparative example (a) can be generated by converting the gobo image 500b of the present embodiment (b) into a stereoscopic effect. This stereoscopic effect gobo image 500b can be viewed as an image with a stereoscopic effect in the form of being erected on the road surface, unlike the gobo image of Comparative Example (a), when the driver of the vehicle 400 distant from a distance of several tens of meters sees.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라이트 빔 패턴으로 표출되는 고보이미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고보이미지를 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obo image displayed as a light beam pattern of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hanging the gobo image of FIG. 15 according to a detection signal of a sensor.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고보이미지 생성부에서 다수의 이미지 표출 형상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표출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미지 표출 형상은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빙 도로를 나타내는 이미지 표출 형상(501)이나,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통 사고 발생을 나타내는 이미지 표출 형상(502)이나, 도 1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린이보호구역을 나타내는 이미지 표출 형상(503)을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express any one of a plurality of image expression shapes in the gobo image generation unit. The image expression shape is an image expression shape 501 representing an icy road as shown in Fig. 15 (a), or an image expression shape 502 representing a traffic accident as shown in Fig. 15 (b) , may include an image expression shape 503 indicating a child protection area as shown in (c) of FIG.

전술한 이미지 표출 형상들은 교차로, 횡단보도, 터널, 스쿨존(school zone), 결빙도로 등의 고보 조명 장치에 적용되어 보행자나 운전자를 대상으로 도로 상황 정보를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image expression shapes are applied to gobo lighting devices such as intersections, crosswalks, tunnels, school zones, and icy roads, and may be used to provide road situation information to pedestrians or drivers.

또한, 조명 장치는 조명 장치의 이미지 가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2 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 클러저에 결합된 패턴 필름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다수의 이미지 표출 형상들 중에서 선택된 패턴 필름을 통해 라이트 빔 패턴을 생성하고, 생성된 라이트 빔 패턴을 굴절 렌즈를 통해 굴절시킴으로써 조도 균제도가 보상되고 아웃 포커싱과 인 포커싱이 제어된 입체효과 고보이미지를 노면에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ing device operates the second actuator under the control of the image variable control unit of the lighting device to select any one of the pattern films coupled to the closure, so that a light beam pattern through a pattern film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image expression shapes , and refracting the generated light beam pattern through a refractive lens, a three-dimensional effect gobo image in which the illuminance uniformity is compensated and out-focusing and in-focusing are controlled can be displayed on the road surface.

또한, 특징 이미지 표출 형상을 선택하는 것은 센서를 통한 주변 센싱 결과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lection of the feature image expression shape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result of peripheral sensing through a sensor.

일례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작동 방법에서는 먼저 고보조명 노면표시영역 주변을 센서로 센싱할 수 있다(S161). 센서는 조명 장치가 설치되는 지주 등에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6 , 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eriphery of the gobo lighting road surface display area may be sensed with a sensor ( S161 ). The sensor may be installed on a post on which the lighting device is installed.

다음, 조명 장치의 제어 장치는 주변 센싱에 따라 미리 설정된 타겟이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62). 타겟은 보행자, 결빙, 교통사고 등을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control device of the lighting device determines whether a preset target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sensing (S162). Targets may include pedestrians, icing, traffic accidents, and the like.

상기 단계(S162)에서의 판단 결과, 타겟이 감지되면(S162의 Yes), 제어 장치는 현재의 패턴 필름을 타겟 이미지용으로 설정된 고보 혹은 패턴 필름으로 변경하거나 변경하고자 하는 패턴 필름이 동일한 경우에 현재의 패턴 필름을 유지한다(S163). 한편, 상기 단계(S162)에서의 판단 결과, 타겟이 감지되지 않으면, 현재의 프로세스를 종료하거나 타겟 감지 단계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혹은 간헐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S162의 No).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62, if the target is detected (Yes in S162), the control device changes the current pattern film to a gobo or pattern film set for the target image, or if the pattern film to be changed is the same of the pattern film is maintained (S163). Meanwhile, if the target is not detect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62, the current process may be terminated or the target detection step may be periodically or intermittently perform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No in S162).

다음, 제어 장치는 다시 주변 센싱을 통해 보행자 보행 중, 결빙 유지 또는 교통사고 처리 중 등과 같이 현재 상태 또는 현재 상황에 해당하는 타겟이 유지되는지를 감지한다(S164).Next, the control device detects whether the current state or a targe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is maintained, such as while pedestrians are walking, maintaining ice, or handling a traffic accident through the surrounding sensing again (S164).

상기 단계(S164)에서의 판단 결과, 타겟이 감지되지 않으면(S164의 No), 제어 장치는 변경된 고보 또는 패턴 필름을 기본 고보 또는 패턴 필름으로 복귀하여 해당 조명 장치에 대해 미리 설정된 입체효과 고보이미지의 노면표시를 다시 수행한다(S165). 한편, 상기 단계(S164)에서의 판단 결과, 타겟이 감지되면(S164의 Yes), 타겟 이미지용 고보 또는 패턴 필름를 유지하여 타겟에 대응하는 입체효과 고보이미지가 계속 표출되도록 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64), if the target is not detected (No in S164), the control device returns the changed gobo or pattern film to the default gobo or pattern film, and displays the stereoscopic effect gobo image preset for the lighting device. The road marking is performed again (S165).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step (S164), if the target is detected (Yes in S164),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gobo or pattern film for the target image so that the stereoscopic effect gobo image corresponding to the target is continuously displayed.

이상에서 살핀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등주 또는 지주의 높이와 조명의 조사 각도로 인해 다수 렌즈들의 조합과 굴절 렌즈의 굴절 각도 차이에 의한 이미지 왜곡(상하단 크기가 달라지는) 현상을 이용하며, 그에 의해 지면에 조사된 고보이미지는 하단이 짧고 상단이 긴 입체효과의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입체효과 고보이미지는 기존에 노면표시 즉, 반사도료를 이용해 주의, 규제, 지시, 보조표지 등을 표시하는 노면표시와 구별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입체효과 고보이미지는 기존의 반사도료를 이용한 노면표시가 도로상황정보를 전혀 반영할 수 없는 것과 달리 변화하는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반영한 가변형 노면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tilizes a phenomenon of image distortion (the upper and lower sizes change) due to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lenses and a difference in refraction angles of the refractive lenses due to the height of the light pole or the post and the irradiation angle of the illumination. In this way, the gobo image irradiated on the ground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three-dimensional effect with a short bottom and a long top. This three-dimensional effect gobo image is distinguished from the existing road markings, that is, road markings that use reflective paint to display caution, regulation, instructions, and auxiliary signs. In particular, the three-dimensional effect gobo image of this embodiment can provide a variable road surface display that reflects information on changing road conditions, unlike the existing road surface display using reflective paint that cannot reflect road condition information at all.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do s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Claims (7)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입사되고 광량 제어부와 고보이미지 생성부와 포커싱 렌즈부를 구비하는 렌즈 어셈블리; 및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광 출사면 상에 결합하는 굴절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고보이미지 생성부는 상기 광원의 특정 라이트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1 엘리먼트 또는 클로저를 구비하고,
상기 광원의 작동 시, 상기 굴절 렌즈를 통과한 라이트 빔 패턴은 일정 거리 이격된 바닥이나 대상체 상에 입체효과 고보이미지를 표시하는 고보 조명 장치.
light source;
a lens assembly receiving light from the light source and having a light quantity control unit, a gobo image generation unit, and a focusing lens unit; and
a refractive lens coupled to the light exit surface of the lens assembly;
The gobo image generator includes a first element or a closure that forms a specific light beam pattern of the light source,
When the light source is operated, the light beam pattern passing through the refractive lens displays a three-dimensional effect gobo image on a floor or an object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체효과 고보이미지는 노면표시를 포함하고 노면과 평행한 평면상에서 이미지의 하단폭이 이미지의 상단폭보다 작고, 상기 하단폭과 상기 상단폭 사이의 간격은 상기 상단폭의 3배 내지 7배인 고보 조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hree-dimensional effect gobo image includes a road surface mark, the lower width of the image on a plane parallel to the road surface is smaller than the upper width of the image,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lower end and the upper width is 3 to 7 times the upper width. lighting devic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입체효과 고보이미지에서 60미터 떨어진 위치의 높이 1.5미터에서 가장 높은 시인성을 가진 사이즈로서, 상기 입체효과 고보이미지의 하단폭과 상단폭의 비율은 1:7이고, 상기 하단폭과 상기 상단폭 사이의 간격과 상기 상단폭과의 비율은 4.46:1인 고보 조명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s the size with the highest visibility at a height of 1.5 meters at a position 60 meters away from the stereoscopic effect gobo image, the ratio of the bottom width to the top width of the stereoscopic effect gobo image is 1:7, and between the bottom width and the top width The ratio of the spacing between the top and the top width is 4.46: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입체효과 고보이미지는 도로 노면에 표시되는 문구, 도형, 로고 또는 이들의 조합 형태를 포함하며,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주변 환경이나 타겟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제1 엘리먼트의 특정 광차단패턴 또는 특정 광투과패턴에 대응하는 고보 조명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three-dimensional effect gobo image includes a text, a figure, a logo, or a combination thereof displayed on the road surface, and a specific light blocking pattern or specific light of the first element tha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r target detected through a sensor A gobo lighting device corresponding to a transmission patter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량 제어부는 상기 광원의 출사면 상에 배치되는 메인 볼록 렌즈의 틸트(tilt) 또는 피치(pitch)를 조절하여 상기 광원의 광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의 균제도를 제어하는 고보 조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amount control unit is a gobo light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degree of uniformity of the image generated by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by adjusting the tilt (tilt) or pitch (pitch) of the main convex lens disposed on the emission surface of the light sour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 렌즈부는 볼록 렌즈와 오목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라이트 빔 패턴의 아웃 포커싱(out focusing) 및 인 포커싱(in focusing)을 제어하는 고보 조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ocusing lens unit includes a convex lens and a concave lens, and the gobo lighting device controls out-focusing and in-focusing of the light beam patter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발광다이오드 멀티 패키지 어레이인 고보 조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source is a light emitting diode multi-package array gobo lighting device.
KR1020200039652A 2020-04-01 2020-04-01 Illumination system for projecting a gobo image with three dimensional effect KR1023915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652A KR102391507B1 (en) 2020-04-01 2020-04-01 Illumination system for projecting a gobo image with three dimensional effe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652A KR102391507B1 (en) 2020-04-01 2020-04-01 Illumination system for projecting a gobo image with three dimensional effec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2474A true KR20210122474A (en) 2021-10-12
KR102391507B1 KR102391507B1 (en) 2022-04-28

Family

ID=78078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652A KR102391507B1 (en) 2020-04-01 2020-04-01 Illumination system for projecting a gobo image with three dimensional effe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50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607B1 (en) * 2022-04-21 2023-04-11 제이엠건설 주식회사 Crosswalk system using gobo lighting
KR102546829B1 (en) * 2022-08-02 2023-06-23 하스트주식회사 Apparatus for realistic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using light and light source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230109311A (en) 2022-01-13 2023-07-20 김형석 Apparatus for Video Gobo Light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5477A (en) * 2022-10-20 2024-04-29 한국광기술원 Method for projecting gobo image in gobo lighting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2323A (en) * 2010-09-02 2012-03-12 브이앤아이 주식회사 Image projection apparatus and the same method
KR101251370B1 (en) 2012-09-18 2013-04-05 이창수 Road marking using optical illusion
KR101367826B1 (en) * 2013-08-26 2014-03-12 황재성 Laser light-induced image device
JP3193187U (en) * 2014-07-10 2014-09-18 日本技研工業株式会社 Projector for vehicle
KR101721942B1 (en) * 2016-07-14 2017-04-03 주식회사 씨지에스코리아 A 3-dimension effect sign, there of a construction method, a aiti-skid paving assembly and a sticker compri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2323A (en) * 2010-09-02 2012-03-12 브이앤아이 주식회사 Image projection apparatus and the same method
KR101251370B1 (en) 2012-09-18 2013-04-05 이창수 Road marking using optical illusion
KR101367826B1 (en) * 2013-08-26 2014-03-12 황재성 Laser light-induced image device
JP3193187U (en) * 2014-07-10 2014-09-18 日本技研工業株式会社 Projector for vehicle
KR101721942B1 (en) * 2016-07-14 2017-04-03 주식회사 씨지에스코리아 A 3-dimension effect sign, there of a construction method, a aiti-skid paving assembly and a sticker compris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9311A (en) 2022-01-13 2023-07-20 김형석 Apparatus for Video Gobo Lighting
KR102519607B1 (en) * 2022-04-21 2023-04-11 제이엠건설 주식회사 Crosswalk system using gobo lighting
KR102546829B1 (en) * 2022-08-02 2023-06-23 하스트주식회사 Apparatus for realistic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using light and light source device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1507B1 (en)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1507B1 (en) Illumination system for projecting a gobo image with three dimensional effect
US202300241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and Controlling Light Sources
US6676279B1 (en) Area lighting device using discrete light sources, such as LEDs
JP2004507003A (en) Dynamic road marking system and road part where the system is installed
US6809655B1 (en) Multi-mode signal
JP6340537B2 (en) Illumination system, illuminating lamp and illumination method suitable for passing / moving areas of vehicles
KR101897620B1 (en) Smart iot lighting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WO2009125160A1 (en) Lighting system with edge effect
CN111149039A (en) Lamp and lighting method
RU2620770C2 (en) Device for direct active projection
KR101499708B1 (en) Road Marker
KR102536420B1 (en) Gobo lighting apparatus for roadw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62169B1 (en) Parking guide device using LASER lights and reflectors
US10876712B2 (en) Comfort of outdoor luminaires due to phyllotactic arrangement of LED sources
KR20240066667A (en) Advertising lighting device that displays a three-dimensional effect
KR101846990B1 (en) Road information display device
EP3736486B1 (en) Lighting device and system for variable street lighting
WO2011046464A1 (en) Method for organizing energy-saving artificial lighting and intelligent device (embodiments)
KR101251441B1 (en) Eccentricity condenser lens for luminous element and illumination system
JP7426601B2 (en) lighting system
KR20230001861A (en) Smart crosswalk that can form a crosswalk image with light
KR101165769B1 (en) Image projection device and image projection system
KR20180021487A (en) Lighting apparatus for advertisement
WO2001025683A1 (en) Area lighting device using discrete light sources, such as leds
KR102664068B1 (en) Solar Light with Forward Angle and Hazardous Area Ligh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