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2009A - Delivery goods handling method and system when recipient is absent - Google Patents

Delivery goods handling method and system when recipient is abs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2009A
KR20210122009A KR1020200090131A KR20200090131A KR20210122009A KR 20210122009 A KR20210122009 A KR 20210122009A KR 1020200090131 A KR1020200090131 A KR 1020200090131A KR 20200090131 A KR20200090131 A KR 20200090131A KR 20210122009 A KR20210122009 A KR 20210122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location
unloading
robot
custom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1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74290B1 (en
Inventor
김명식
김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아한형제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아한형제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아한형제들
Priority to EP21779434.6A priority Critical patent/EP4129582A4/en
Priority to PCT/KR2021/003510 priority patent/WO2021201480A1/en
Priority to CN202180026185.1A priority patent/CN115362050A/en
Priority to US17/916,017 priority patent/US11954634B2/en
Priority to JP2022557757A priority patent/JP7430276B2/en
Publication of KR20210122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20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2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9Constructional details, e.g. manipulator supports, b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02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system, structure, archite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50/2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system for processing delivery items when a recipient is absent and a method thereof.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processing delivery items when a recipient is absent comprises: a step in which the system for processing delivery items checks if there is a request for unloading for a delivery robot which has reached the place of delivery from a customer terminal; and a step in which the system for processing delivery items allows the delivery robot to automatically unload the delivery items at the place of delivery based on the checked results.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allow the delivery robot to unload or not includes: a step in which, when there is a request for unloading, the system for processing delivery items allows the delivery robot to automatically unload the delivery items at the place of delivery; or a step in which, when there is no request for unloading, the system for processing delivery items makes the delivery robot wait at the place of delivery, and when the communication with the customer terminal fails for some time while the delivery robot is waiting, the system for processing delivery items allows the delivery robot to automatically unload the delivery items at the place of delivery.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system for processing delivery items when a recipient is absent and a method thereof, which are capable of providing a delivery service with high customer satisfaction.

Description

수령자 부재시 배달 물품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Delivery goods handling method and system when recipient is absent}Delivery goods handling method and system when recipient is absent

본 발명은 수령자 부재시 배달 물품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달 로봇을 이용한 배송 시스템에서, 배달 물품을 수령할 수령자(고객)의 부재시 고객 동의 후 소정 위치에 배달 물품을 적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delivery goods in the absence of a recipient, and more particularly, in a delivery system using a delivery robot, in the absence of a recipient (customer) to receive a delivery product, the delivery product can be placed at a predetermined location after the consent of the customer It is about the technical idea that makes it possible.

인력 충원과 관리의 어려움, 인건비 상승, 그리고 비대면 서비스의 선호도 증가로 인해 사람에 의한 배달이 아닌 배달 로봇을 이용한 배달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Due to difficulties in recruiting and managing manpower, rising labor costs, and increasing preference for non-face-to-face services, the demand for delivery using delivery robots rather than human delivery is increasing.

그러나, 배달지에 도착하였을 때 고객(수령자)이 부재중인 경우, 배달 로봇은 종래의 배달원(사람)과 달리 즉각적이면서 유연한 대처가 어렵고, 고객이 올 때까지 대기하는 경우에는 배달 물품의 종류에 따라(예컨대, 음식 등) 배달 물품의 질이 하락할 수 있는 문제는 물론, 배달 로봇이 하나의 배달지에서 대기하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다른 배달에 지장이 생길 수 있는 문제가 있다.However, if the customer (recipient) is absent when arriving at the delivery destination, the delivery robot is difficult to respond promptly and flexibly, unlike the conventional delivery man (human), and depending on the type of delivery item ( For example, food, etc.) there is a problem that the quality of delivery goods may decrease, as well as a problem that the waiting time for a delivery robot at one delivery location increases, which may interfere with other delivery.

또한 고객이 부재중이 아니더라도, 고객이 바로 나와 직접 배달 물품을 수령하기 보다는, 문 앞이나 복도 등 소정 장소에 두고 가기를 원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customer is not absent, there are more and more cases where the customer wants to leave the product in a predetermined place, such as in front of the door or in the hallway, rather than directly coming out to receive the delivered product.

종래의 사람지 직접 배달하는 배달원의 경우 이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기 어렵지만, 배달 로봇의 경우에는 배달 물품을 내려놓기 적절한 위치를 선정하는 이슈에서부터 배달 물품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내려놓는 이슈까지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delivery man who delivers directly, this problem is difficult to occur, but in the case of the delivery robot, various problems may arise, from the issue of selecting an appropriate location to put down the delivery item to the issue of placing the delivery item so that it is not damaged. There is room for

따라서 수령자가 부재중인 경우에도 종래의 배달원과 같이 배달 로봇이 배달 물품을 자동으로 정확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하역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이 요구된다.Therefore, even when the recipient is absent, there is a need for a technical idea that enables a delivery robot to automatically and stably unload delivered goods to an accurate location like a conventional delivery man.

1)한국등록특허(등록번호 10-2015994, "아스콘 온도 저하 방지용 적재함")1) Korea Registered Patent (Registration No. 10-2015994, "Loading Box for Ascon Temperature Decrease Preven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령자가 부재중일 때에도 배달 로봇이 배달 물품을 정확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하역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ical idea that enables a delivery robot to stably unload a delivered article to an accurate location even when the recipient is away.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령자 부재시 배달 물품 처리 방법은,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이 고객 단말로부터 배달지에 도착한 배달 로봇에 대한 하역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이, 상기 배달지에 상기 배달 로봇이 배달 물품을 자동으로 하역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배달지에 상기 배달 로봇이 배달 물품을 자동으로 하역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하역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이, 상기 배달지에 상기 배달 로봇이 배달 물품을 자동으로 하역하도록 하는 단계, 또는 상기 하역 요청이 없는 경우,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이 상기 배달 로봇을 상기 배달지에서 대기시키며, 대기 중 일정 시간 동안 상기 고객 단말과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상기 배달 로봇이 상기 배달지에 상기 배달 로봇이 배달 물품을 자동으로 하역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 delivery article processing method in the absence of a recip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system checks whether there is an unloading request for the delivery robot arriving at the delivery destination from the customer terminal, and the result of the check Based on the, the delivery product processing system, comprising the step of automatically unloading the delivery robot to the delivery place, the step of automatically unloading the delivery robot to the delivery location, the delivery robot automatically unloading the delivered article, If there is a request for unloading, the delivery product handling system automatically unloads the delivery robot to the delivery location Waiting in the waiting, when the communication with the customer terminal is not perform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delivery robot may include the step of automatically unloading the delivery robot to the delivery location.

또한, 상기 수령자 부재시 배달 물품 처리 방법은,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이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하역 위치가 지정되면,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이 지정된 위치를 하역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하역 위치가 지정되지 않으면,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이 배달지 내 임의의 위치를 하역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method when the recipient is absent, when the delivery article handling system is designated as the unloading location from the customer terminal,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system determining the designated location as the unloading location, and the unloading location from the customer terminal If is not specified,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determining an arbitrary location within the delivery location as the unloading location.

또한,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이 지정된 위치를 하역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이 상기 배달 로봇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소정 범위 내에서 배달지를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촬영 데이터를 상기 고객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이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상기 촬영 데이터 내에서 하역 위치를 지정받는 단계, 및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이 상기 촬영 데이터 내에서 지정된 하역 위치를 실제 배달지 내의 위치와 매칭하고, 매칭된 위치를 하역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system determining the designated location as the unloading location,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system is the step of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system taking a picture of the delivery destination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rough at least one camera provided in the delivery robot, photographed transmitting data to the customer terminal; receiving, by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system, an unloading location designated in the photographed data from the customer terminal; and allowing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system to determine the unloading location specified in the photographed data as an actual delivery destination It may include matching the position in the interior, and determining the matched position as the unloading position.

또한, 상기 수령자 부재시 배달 물품 처리 방법은,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이 상기 배달 로봇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하역된 배달 물품이 포함된 배달지를 촬영하는 단계, 및 촬영된 촬영 데이터를 상기 고객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method in the absence of the recipient includes the steps of: photographing, by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system, a delivery destination including unloaded delivery goods through at least one camera provided in the delivery robot, and photographing the photographed data to the customer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transmitting to the terminal.

상기 수령자 부재시 배달 물품 처리 방법은 데이터처리장치에 설치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method in the absence of the recipient may be implemented by a computer program installed in a data processing devic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령자 부재시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은, 고객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배달 로봇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촬영 데이터를 획득하는 촬영 데이터 획득부, 및 상기 배달 로봇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달 로봇이 배달지에 도착하면,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하역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하역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배달지에 상기 배달 로봇이 배달 물품을 자동으로 하역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하역 요청이 없는 경우, 상기 배달 로봇을 상기 배달지에서 대기시키며, 대기 중 일정 시간 동안 상기 고객 단말과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상기 배달 로봇이 상기 배달지에 상기 배달 물품을 자동으로 하역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배달 물품이 하역되면 상기 촬영 데이터 획득부를 통해 하역된 배달 물품이 포함된 배달지를 촬영한 촬영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고객 단말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A delivery article processing system in the absence of a recip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 customer terminal, and photographing to obtain photographing data photographed through at least one camera provided in the delivery robot a data acquisit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unctions of the delivery robot, wherein the control unit checks whether there is a unloading request from the customer terminal when the delivery robot arrives at the delivery destination, and if there is the unloading request , If there is no request for unloading, the delivery robot is controlled to automatically unload the delivered goods at the delivery location, or if there is no request for unloading, the delivery robot is placed on standby at the delivery location, and communication with the customer terminal is not performed during the waiting period , control the delivery robot to automatically unload the delivery goods to the delivery place, and when the delivery goods are unloaded, the photographing data acquisition unit acquires photographing data of the delivery destination including the unloaded delivery goods, the customer terminal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o.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하역 위치 지정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지정된 하역 위치 또는 상기 배달지 내 임의의 위치에 상기 배달 로봇이 배달 물품을 자동으로 하역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hecks whether there is an unloading location designation from the customer terminal, and controls the delivery robot to automatically unload the delivered goods at a designated unloading location or any location within the delivery location based on the check result. have.

또한,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은, 상기 촬영 데이터에 소정의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는 이미지 변환부, 및 소정의 이미지로부터 하역 위치를 추출하기 위한 위치 추출부를 더 포함하며, 배달지가 촬영된 촬영 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하역 위치가 지정된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로부터 지정된 하역 위치를 추출하여 실제 배달지 내의 위치와 매칭하여 매칭된 위치에 상기 배달 물품을 하역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system further comprises an image conversion unit for performing a predetermined image processing on the photographed data, and a locatio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a unloading location from the predetermined image, receiving the photographed data of the delivery destina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receive an image with a designated unloading location from one of the customer terminals, extract the designated unloading location from the received image, match the location within the actual delivery location, and unload the delivered goods at the matched lo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달 로봇을 이용한 배달에서도 수령자 부재시 배달 물품의 안정적인 하역을 가능하게 하여 배달 로봇의 대기시간을 줄임으로써 배달 스케줄을 원활하게 하고, 배달 로봇이 수령자가 부재중인 경우 배달 물품을 하역하지 않고 그대로 복귀하여 수령자가 기지불한 배달 물품의 미수령에 의한 불만을 방지할 수 있어 만족도 높은 배달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n delivery using a delivery robot, stable unloading of delivered goods is possible in the absence of the recipient, thereby reducing the waiting time of the delivery robot, thereby smoothing the delivery schedule, and the delivery robot is the delivery product when the recipient is abs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dissatisfaction due to non-receipt of the delivered goods that the recipient has paid for by returning as it is without unloading it, so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gh-satisfaction delivery service.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령자 부재시 배달 물품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령자 부재시 배달 물품 처리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령자 부재시 배달 물품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령자 부재시 배달 물품 처리 방법에 따른 하역 위치 지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령자 부재시 배달 물품 처리 방법에 따른 배달 로봇의 하역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달 로봇의 하역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령자 부재시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In order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1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implementing a method for handling a delivery product when a recipient is abs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flow diagram of a method for processing a delivery product in the absence of a recip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cessing a delivery product when the recipient is abs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esignation of the unloading location according to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method when the recipient is abs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unloading system of a delivery robot according to a method for handling delivery goods when a recipient is abs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unloading system of a delivery rob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handling goods delivered in the absence of a recip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and one or more oth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presence of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ny one component 'transmits' data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directly transmit the data to the other component or through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This means that the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other component. Conversely, when one component 'directly transmits' data to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the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component to the other component without passing through the other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령자 부재시 배달 물품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개략적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령자 부재시 배달 물품 처리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령자 부재시 배달 물품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1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schematic system necessary to implement a delivery article processing method in the absence of a recip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flow of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method in the absence of a recip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cessing a delivery product in the absence of a recip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령자 부재시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100, 이하,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이라 함)은 고객 단말(300)과 통신을 수행하며, 배달 로봇(200)의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1 , the delivery article handling system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elivery article handling system) in the absence of a recip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with the customer terminal 300, and the delivery robot 200 You can control its actions and functions.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100)은 상기 배달 로봇(200)에 구비되어 상기 배달 로봇(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system 100 is provided in the delivery robot 200 may be implemented as a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elivery robot (200).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배달 로봇(200)과는 별도로 상기 배달 로봇(200)을 관리하는 관리 주체에 의해 운용되는 소정의 관리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100)은 소정의 서버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배달 로봇(200) 및/또는 상기 고객 단말(300)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면서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 예에 의하면,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100)의 일부의 구성은 소정의 서버에 포함되고, 나머지 일부의 구성은 상기 배달 로봇(200)에 분산 설치될 수도 있다. 즉, 도면에는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100)이 상기 배달 로봇(200)과는 별개로 하나의 물리적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구현 예에 따라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100)의 구성들은 복수의 물리적 장치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it may be implemented as a predetermined management system operated by a management entity that manages the delivery robot 200 separately from the delivery robot 200 . In this case,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system 100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edetermined server and transmits and receives predetermined data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delivery robot 200 and/or the customer terminal 300 through a network. of technical ideas can be implemen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system 100 is included in a predetermined server, and the remaining part of the configuration may be distributed and installed in the delivery robot 200 . That is, in the drawing,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system 100 is shown as a single physical configuration separately from the delivery robot 200, bu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onfigurations of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system 100 are a plurality of physical components. Devices may be organically coupled through a wired/wireless network to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100)이 상기 배달 로봇(200)에 구비되어 상기 배달 로봇(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제어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경우를 위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in this specification,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system 100 is provided in the delivery robot 200 and is mainly described as a case in which a predetermined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elivery robot 200 is implemented, but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100)은 고객 단말(300)에 제공되는 소정의 GUI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하역 요청 신호, 상기 고객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주문 정보, 및/또는 배달 요청(주문)을 위한 통화에서의 음성 정보 등을 통해 고객(수령자)의 하역 요청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하역 요청이라 함은, 수령자가 배달 로봇(200)으로부터 직접 배달 물품을 수령하지 않고, 배달지에 배달 물품을 하역하기를 요청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역 요청은 "배달 물품을 문 앞에 놓고 연락 해 주세요."와 같은 요청일 수 있다. 이러한 하역 요청은 수령자가 배달 로봇이 배달지에 도착하는 도착 예정 시간에 부재중일 경우나, 배달원뿐 아니라 배달 로봇(200)과도 직접 마주하기 원하지 않아 비대면 수령을 원하는 경우, 수령자에 의해 직접 요청될 수 있다.The delivery goods processing system 100 receives an unloading request signal input through a predetermined GUI menu provided to the customer terminal 300 , ord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ustomer terminal 300 , and/or a delivery request (order)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unloading request of the customer (recipient) through voice information, etc. in the call. Hereinafter, the unloading reques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mean that the recipient requests to unload the delivered goods to a delivery place without directly receiving the delivered goods from the delivery robot 200 . For example, the unloading request may be a request such as "Put the delivery item on the doorstep and call me." This unloading request can be requested directly by the recipient when the recipient is absent at the expected arrival time when the delivery robot arrives at the delivery destination, or when he/she wants to receive non-face-to-face because he or she does not want to face not only the delivery man but also the delivery robot 200 directly. have.

구현 예에 따라, 수령자의 별도 하역 요청이 없더라도, 배달 로봇(200)이 배달지에 도착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도록 수령자가 배달 물품을 수령하지 않거나, 수령자와의 연락이 연결되지 않는다면,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100)은 상기 배달 로봇(200)이 적재하고 있는 배달 물품을 자동으로 하역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100)은 특정 조건에 따라 수령자가 부재 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하역 요청이 수신된 것과 동일하게 배달지에 배달 물품을 하역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조건은 예컨대, 상기 배달 로봇(200)이 배달지에 도착한 후 수령자와 어떠한 연락이 닿지 않은채 일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는 경우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request for unloading from the recipient, if the recipient does not receive the delivered product or contact with the recipient is not established, the delivery robot 200 will process the delivered product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after the delivery robot 200 arrives at the delivery destination The system 100 may automatically unload the delivered goods loaded by the delivery robot 200 . In this case,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system 100 may determine that the recipient is absent according to a specific condition, and unload the delivered article to the delivery location in the same way as the unloading request was received. The specific condition may be, for example, a case in which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without any contact with the recipient after the delivery robot 200 arrives at the delivery destination.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배달 물품이 음식인 경우를 위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형 택배 등과 같이 배달 로봇(200)에 의해 배달이 가능한 모든 물품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평균적인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ase where the delivery item is food is mainly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It can be easily inferred that the technical idea can be applied to an average expe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령자 부재시 배달 물품 처리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령자 부재시 배달 물품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2 shows a schematic flow of a delivery article processing method when the recipient is abs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method when the recipient is abs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100)은 배달 로봇(200)이 배달지에 도착(s110)하고, 수령자의 고객 단말(300)로부터 하역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s120)할 수 있다.2 and 3,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system 100 determines whether the delivery robot 200 arrives at the delivery destination (s110), and whether there is a request for unloading from the customer terminal 300 of the recipient (s120). can

수령자로부터 하역 요청이 있으면,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100)은 수령자에 의해 지정된 하역 위치가 있는지를 판단(s130)할 수 있다.If there is an unloading request from the recipient, the delivery product processing system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unloading location designated by the recipient (s130).

이때 하역 위치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100)은 상기 배달 로봇(200)이 지정된 하역 위치에 배달 물품을 하역(s140)하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unloading location is designated,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system 100 may allow the delivery robot 200 to unload (s140) the delivery article at the designated unloading location.

하역 위치가 지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100)은 상기 배달 로봇(200)이 상기 배달지에서 임의의 위치에 배달 물품을 하역(s170)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unloading location is not specified, the delivery product processing system 100 may allow the delivery robot 200 to unload (s170) the delivery product at an arbitrary location in the delivery location.

만약 상기 s120단계에서 수령자로부터 하역 요청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100)은 상기 배달 로봇(200)이 배달지에서 일정시간 대기(s150)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배달 로봇(200)이 대기한지 일정 시간이 경과(s160)하게 되면,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100)은 수령자가 부재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배달 로봇(200)이 상기 배달지에서 임의의 위치에 배달 물품을 하역(s170)하도록 할 수 있다. If there is no unloading request from the recipient in step s120,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system 100 may allow the delivery robot 200 to wait for a predetermined time at the delivery destination (s150). When a certain time elapses (s160) after the delivery robot 200 has been waiting,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system 100 determines that the recipient is absent, and the delivery robot 200 is located at an arbitrary location in the delivery destination. It is possible to unload the delivered goods (s170).

어떠한 경우든 상기 배달 로봇(200)이 배달지에 배달 물품을 하역하게 되면,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100)은 상기 배달 로봇(200)이 배달지에 하역된 배달 물품을 촬영(s180)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촬영된 배달 물품의 사진(또는 영상)을 고객 단말(300)로 전송(s190)할 수 있다. 이하, 배달 로봇(200)에 의해 촬영된 사진 또는 영상을 촬영 데이터로 칭하도록 한다. 상기 배달 물품의 촬영 데이터는 상기 배달 로봇(200)에 의해 상기 고객 단말(300)로 직접 전송될 수도 있고,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100)을 통해 상기 고객 단말(300)로 전송될 수도 있다.In any case, when the delivery robot 200 unloads the delivered goods to the delivery location,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system 100 may allow the delivery robot 200 to photograph the delivered goods unloaded at the delivery location (s180). . And, it is possible to transmit (s190) the photograph (or image) of the delivered goods to the customer terminal (300). Hereinafter, a photo or image taken by the delivery robot 200 is referred to as shooting data. The photographing data of the delivered goods may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customer terminal 300 by the delivery robot 200 , or may be transmitted to the customer terminal 300 through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system 100 .

그러면 수령자는 전송된 촬영 데이터를 자신의 고객 단말(300)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Then, the recipient may check the transmitted photographing data through his/her customer terminal 300 .

구현 예에 따라,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100)은 상기 배달 로봇(200)에 구비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촬영 데이터에 소정의 이미지 또는 영상 처리/합성 등의 과정을 거쳐 탑뷰, 버드아이 뷰 등 다양한 시점으로 변경이 가능한 촬영 데이터를 상기 고객 단말(3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배달 로봇(200)에는 서로 다른 방향을 촬영하는 복수 개의 카메라들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system 100 may perform a process such as processing/synthesis of a predetermined image or image on the photographed data captured by the camera provided in the delivery robot 200, such as a top view, a bird's eye view, etc. The photographing data that can be changed to various viewpoints may be provided to the customer terminal 300 . In this case, the delivery robot 20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ameras for photographing different directions.

이처럼 배달 로봇(200)에 의해 촬영이 이루어지는 경우, 종래에 배달원 개인 휴대폰을 이용한 촬영에 비해 보안상의 이점이 있을 수 있으며, 고객의 입장에서도 배달원 개인이 집 앞을 촬영하여 친분이 없는 누군가가 자신의 집 주위를 촬영한 사진을 가지고 있다는 생각을 가지는 것에 비해 안정감을 줄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In this way, if the shooting is made by the delivery robot 200, there may be a security advantag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hooting using the delivery man's personal mobile phone, and even from the customer's point of view, the individual delivery man takes a picture in front of the house, so that someone who is not familiar with his/her own Compared to having the idea of having pictures taken around the house, it can have the effect of giving you a sense of stability.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배달 로봇(200)의 배달 현황에 대한 정보 및/또는 배달 물품에 대한 상태정보가 상기 고객 단말(300)을 통해 수령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nformation on the delivery status of the delivery robot 200 and/or status information on the delivered goods may be provided to the recipient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300 .

배달 현황에 대한 정보는 예컨대, 배달 로봇(200)이 배달지에 도착한 시간, 도착 후 대기한 시간, 대기 후 배달 물품을 하역한 시간이나, 배달 로봇(200)의 최종 복귀 시간과 같은 시간 정보 및/또는 상기 배달 로봇(200)이 배달지에 도착하여 배달지를 촬영한 촬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Information on the delivery status is, for example, time information such as the time when the delivery robot 200 arrives at the delivery destination, the waiting time after arrival, the time when the delivery goods are unloaded after waiting, or the final return time of the delivery robot 200, and / Alternatively, the delivery robot 200 may include photographing data that has arrived at the delivery location and photographed the delivery location.

상기 배달 물품에 대한 상태정보는, 상기 배달 로봇(200)이 배달 물품을 하역한 시점에서 배달 물품의 온도(예컨대, 배달 물품이 음식물인 경우 음식물의 온도)나 포장 상태 등과 같은 상태정보가 수령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The state information on the delivered goods is, at the time when the delivery robot 200 unloads the delivered goods, state information such as the temperature of the delivered goods (eg, the temperature of food when the delivered goods are food) or the packaging state to the recipient.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이처럼 배달 로봇(200)을 이용한 배달 서비스에서 수령자가 부재중이거나 비대면 수령을 원하는 경우에도, 종래의 배달원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와 동일하거나 더 많은 정보를 수령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recipient is absent or wants to receive non-face-to-face in the delivery service using the delivery robot 200 as described above, the same or more information as the service provided by the conventional delivery man can be provided to the recipient. have.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배달지에서 배달 물품이 하역될 위치를 수령자 자신이 원하는 위치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여 수령자에게 향상된 편의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improved convenience to the recipient by allowing the recipient to designate the location where the delivery goods are to be unloaded from the delivery location as the desired location.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령자 부재시 배달 물품 처리 방법에 의한 하역 위치 지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esignation of the unloading location by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method when the recipient is abs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100)은 수령자(고객)가 직접 배달 물품의 하역 위치를 지정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so that a recipient (customer) can directly designate an unloading location of the delivered article.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배달 로봇(200)이 배달지에 도착한 후 배달 물품을 하역하기 전, 배달지를 촬영한 촬영 데이터 상기 고객 단말(300)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령자는 자신의 고객 단말(300)을 통해 전송받은 촬영 데이터로부터 하역 위치를 직접 선택하여 지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fter the delivery robot 200 arrives at the delivery destination, before unloading the delivery goods, photographed data of the delivery destin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customer terminal 300 . The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recipient can directly select and designate an unloading location from the photographed data transmitted through his or her customer terminal 300 .

만약 고객 단말(300)로 영상이 전송되는 경우 즉, 촬영 데이터가 영상인 경우, 전송되는 영상은 배달 로봇(200)이 촬영하고 있는 실시간 영상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수령자는 실시간으로 배달지에서 배달 로봇(200)의 도착 여부나 이동경로, 하역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If the image is transmitted to the customer terminal 300, that is, when the captured data is an image, the transmitted image may be a real-time image being photographed by the delivery robot 200. In this case, the recipient is the delivery robot at the delivery destination in real time.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arrival of the 200 , the movement route, the unloading status, and the like.

이처럼 배달 로봇(200)에 의해 촬영된 촬영 데이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처리과정을 통해 다양한 시점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고객 단말(300)을 통해 수령자에게 제공되는 촬영 데이터는 단순히 배달 로봇(200)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시점일 수도 있지만, 상기 배달 로봇(200)에 서로 다른 방향을 촬영하는 복수 개의 카메라들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각각의 카메라들이 촬영한 촬영 데이터들이 소정의 이미지 또는 영상 처리/합성 등의 과정을 거쳐 탑뷰, 버드아이 뷰 등 다양한 시점으로 변경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hotographing data photographed by the delivery robot 200 may be provided at various viewpoints through a predetermined processing process. For example, the photographing data provided to the recipient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300 may simply be a time point of being photographed through any one camera provided in the delivery robot 200 , but different directions are photographed by the delivery robot 200 . When a plurality of cameras are provided, the photographed data captured by each camera may be changed to various viewpoints such as a top view and a bird's eye view through a predetermined image or image processing/synthesis process and provided.

이때 수령자에 의해 고객 단말(300)에서 지정되는 하역 위치는 2D 이미지 상에 표시될 수 있는데, 일반 2D 이미지의 경우 배달 로봇 카메라 기준의 2D → 3D 변환 파라미터를 내장하여, 2D 이미지로부터 보다 정확한 하역 위치를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촬영 데이터의 시점 변경을 위한 합성, 처리 방법이나, 2D 이미지로부터 3D 위치를 추출하는 기술적 사상에 대해서는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unloading location designated in the customer terminal 300 by the recipient may be displayed on the 2D image. In the case of a general 2D image, the 2D → 3D conversion parameter based on the delivery robot camera is built in, so that the unloading position is more accurate from the 2D image. can be extracted. The synthesis and processing methods for changing the viewpoint of such photographed data, and the technical idea of extracting a 3D position from a 2D image are widely known,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수령자에 의해 하역 위치가 지정되면, 하역이 완료되기 전 수령자에 의해 하역 위치가 재지정되지 않는 이상 이후 동일한 배달지에서는 이미 지정되었던 위치가 기본 하역 위치로 저장될 수 있다. If the unloading location is designated by the recipient, the previously designated location may be stored as the default loading location in the same delivery location thereafter, unless the unloading location is re-designated by the recipient before unloading is completed.

수령자에 의해 하역 위치가 지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배달 로봇(200)이 배달지에서 임의의 위치를 하역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임의의 위치는 배달지에서 소정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지정될 수 있다.If the unloading location is not designated by the recipient, the delivery robot 200 may set an arbitrary location in the delivery location as the unloading location. The arbitrary location may be designat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from a predetermined range in the delivery destination.

이때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100)은 상기 배달 로봇(200)에 의해 촬영되는 배달지에 대한 촬영 데이터로부터 배달 물품의 하역이 용이한 위치를 추출하여, 추출된 위치를 하역 위치로 지정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system 100 may extract a location where the unloading of the delivered article is easy from the photographing data for the delivery location photographed by the delivery robot 200, and designate the extracted location as the unloading location.

또는 수령자로부터 하역 위치가 지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소정의 조건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본 위치(예컨대, 문 손잡이 기준 문이 열리는 방향, 문의 좌/우측/정면 등)가 하역 위치로 지정되어 배달 물품이 하역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if the unloading location is not designated by the recipient, the preset default location (eg, the door opening direction based on the door handle, the left/right/front of the door, etc.) may be

한편, 배달 로봇(200)에 의해 배달 물품을 자동으로 하역할 때에는 종래의 배달원과 달리 배달 물품의 안정적인 하역이 중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기술적 사상을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utomatically unloading the delivered goods by the delivery robot 200, unlike the conventional delivery man, stable unloading of the delivered goods may be important. The technical idea for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8 .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령자 부재시 배달 물품 처리 방법에 따른 배달 로봇의 하역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and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unloading system of a delivery robot according to a method for handling delivery goods when a recipient is abs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100)은 배달 로봇(200)에 소정의 엘리베이션 장치를 내장할 수 있다. 5 and 6 ,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mbed a predetermined elevation device in the delivery robot 200 .

배달 로봇(200)이 배달 물품을 하역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달 로봇(200)에서 배달 물품을 하역하기 위해 적재함 내부에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하역시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컨베이어 벨트가 이동하여 지면과의 거리/높이를 일정 수준으로 맞춘 후,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배달 물품을 지면까지 운송할 수 있다.Various methods for the delivery robot 200 to unload the delivered goods may be applied. According to one example, as shown in FIG. 3 , a conveyor belt may be provided inside the loading box to unload the delivered goods from the delivery robot 200 . In this case, in order to minimize the impact during unloading, the conveyor belt moves to adjust the distance/height to the ground to a certain level, and then the delivered goods can be transported to the ground through the conveyor belt.

다만 이러한 경우에는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송되던 배달 물품이 지면에 닿을 때 충격이 발생할 수 있는 여지가 여전히 남아있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However, in this case,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re is still room for an impact when the delivered goods transported along the conveyor belt touch the ground.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후술할 바와 같이 정해진 형태의 배달 물품 포장이나, 배달 물품 파지를 위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일반적인 형태의 포장(예컨대, 비닐봉지, 종이봉투, 포장박스, 비닐 포장재 등)이나 소형 택배(예컨대, 서류봉투, 우편물 등) 등 배달 물품의 형태나 포장 재질 등에 상관없이 자동으로 하역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However, in this case, as will be described later, general packaging (eg, plastic bag, paper bag, packaging box, plastic packaging material, etc.) or There is an advantage that unloading can be done automatically regardless of the shape or packaging material of a delivery product such as a small parcel delivery service (eg, a document bag, postal mail, etc.).

반면, 배달 물품을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지면까지 내려 놓을 수 있는 엘리베이션 장치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엘리베이션 장치를 통해 하역시 충격을 최소화하고 보다 안정적인 하역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이를 위해 배달 물품의 포장이나, 안정적인 파지/운송을 위한 엘리베이션 장치의 추가적인 별도 구성이 필요하여 배달 물품의 포장이 이중으로 이루어지거나, 비용이 증가할 수 있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having an elevator device capable of stably gripping and lowering the delivered goods to the groun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mpact during unloading through the elevation device and have the effect of performing more stable unloading. However, there may be a problem that packaging of the delivered article or an additional separate configuration of an elevator device for stable gripping/transportation is required for this purpose, so that the packaging of the delivered article is made double or the cost may increase.

엘리베이션 장치가 구비된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달 물품의 포장 자체를 팔레트 형태로 제작하고, 엘리베이션 장치에 팔레트의 운송을 위한 전용 기구를 구비할 수도 있다.When the elevation device is provided, the packaging of the delivery product itself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pallet as shown in FIG. 5, and a dedicated mechanism for transporting the pallet may be provided in the elevation device.

또는, 배달 물품의 안정적인 파지를 위해, 배달 물품의 포장이 엘리베이션 장치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달 물품의 포장 소정의 위치에 홈을 형성하고, 엘리베이션 장치에 형성된 홈에 대응되는 파지부를 형성하여 배달 물품을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하역이 수행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for stable gripping of the delivered article, the packaging of the delivered article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levation devic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 a groov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location of packaging of the delivered article, and a gripper corresponding to the groove formed in the elevator device is formed to stably grip the delivered article, so that unloading may be performed.

배달 로봇(200)으로부터 배달 물품을 하역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지만, 각각의 방식마다 서로 다른 장단점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적합한 형태의 하역 방식을 선택하여 배달 로봇(200)을 이용한 배달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Various methods may be applied as described above for unloading the delivered goods from the delivery robot 200, but each method may have different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herefore, a delivery service using the delivery robot 200 may be provided by selecting an unloading method of a suitable form as need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수령자가 배달지에 배달 로봇(200)을 위한 전용 적치함을 구비해 둘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가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ipient may be provided with a dedicated storage box for the delivery robot 200 in the delivery place. Such a case is shown in FIGS. 7 to 8 .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달 로봇의 하역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and 8 are views for explaining an unloading system of a delivery rob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배달 로봇(200)으로부터 하역된 배달 물품이 적치될 수 있는 별도의 전용 적치함이 구비될 수 있다.7 and 8, a separate dedicated storage box in which the delivery goods unloaded from the delivery robot 200 can be placed may be provided.

이러한 전용 적치함은 배달지에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높이 차이에 의해 적치가 어려운 경우나, 음식물과 같이 배달 물품의 상태 변화가 우려되는 경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전용 적치함은 일반적인 택배함이나 우편함과는 달리 배달 로봇(200)의 하역에 적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such a dedicated storage box is inconvenient to be separately provided at the delivery site, it can be usefully utilized when it is difficult to stack due to a height difference or when there is a concern about a change in the state of the delivery item, such as food. The dedicated storage box may be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delivery robot 200, unlike a general delivery box or mailbox.

따라서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100)은 배달지에 전용 적치함이 구비되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고 있을 수 있다. 전용 적치함의 구비 여부는 최초 전용 적치함이 설치될 때 해당 배달지에 전용 적치함이 구비되어 있음을 저장할 수도 있고, 배달 로봇(200)에 의해 적어도 한 번 배달이 수행될 때 전용 적치함의 구비 여부를 파악하고 이후 해당 배달지에 전용 적치함이 구비되어 있음을 파악할 수도 있다.Therefore,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system 100 may be aware of whether a dedicated storage box is provided in the delivery place. Whether or not the dedicated storage box is provided may store that the dedicated storage box is provided at the corresponding delivery site when the first dedicated storage box is installed, and whether or not the dedicated storage box is provided when delivery is performed at least once by the delivery robot 200 It is also possible to understand that there is a dedicated storage box in the delivery area.

이처럼 전용 적치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파악된 배달지에서는, 수령자로부터 하역 요청이 있는 경우, 또는 수령자 부재 상황에서 배달 물품을 하역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별도의 하역 위치가 지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배달 로봇(200)이 상기 전용 적치함에 배달 물품을 하역하도록 할 수 있다.In the delivery location where it is determined that the dedicated storage box is provided, when there is a request for unloading from the recipient or when it is necessary to unload the delivered goods in the absence of the recipient, unless a separate unloading location is specified, the delivery robot (200) can be to unload the delivery goods to the dedicated storage box.

상기 전용 적치함은 배달 로봇(200)의 적재함으로부터 이송되는 배달 물품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배달 로봇(200)의 적재함 출입구와 상기 전용 적치함의 출입구가 동일 또는 유사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dedicated storage box may be formed to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delivery goods transferred from the loading box of the delivery robot 200 . For example, the entrance of the loading box of the delivery robot 200 and the entrance of the dedicated storage box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or similar height.

이처럼 전용 적치함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전용 적치함은 내부에 보온/보냉을 위한 온도 조절 기능을 포함하거나, 전용 적치함의 재질 자체가 보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단열 재질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dedicated storage box is provided, the dedicated storage box may include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for keeping warm/cooling inside, or the material of the dedicated storage box itself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capable of performing a warming function.

일 예에 의하면, 전용 적치함에 전원을 연결하여, 전용 적치함 내부에 구비된 히터, 냉각기 등의 온도 조절을 위한 장치를 구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용 적치함이 배달 로봇으로부터 배달되는 배달 물품(예컨대, 음식)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전용 적치함 내부의 온도를 배달 물품에 상응하도록 미리 조절하여 준비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뜨거운 음식의 경우 전용 적치함 내부 온도를 일정 이상 높게 유지하고, 차가운 음식일 경우 일정 이하로 낮은 온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령자의 부재 시간이 어느 정도 길어지더라도 배달 물품의 퀄리티가 상당시간 유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by connecting a power source to the dedicated storage box, it is possible to drive a device for temperature control, such as a heater and a cooler provided in the dedicated storage box. In this case, it may be possible to prepare the dedicated storage box by pre-regulat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dedicated storage box to correspond to the delivery item by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delivery goods (eg, food) delivered from the delivery robot. For example, in the case of hot food,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dedicated storage box may be maintained higher than a certain level, and in the case of cold food, the temperature may be maintained at a lower temperature than a certain level. In this case, even if the recipient's absence time increases to some extent, the quality of the delivered goods can be maintained for a considerable time.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달 로봇(200)으로부터 배달 물품이 상기 전용 적치함에 적치될 때, 상기 배달 로봇(200)의 적재함 내부 공기를 상기 전용 적치함 내부로 공급하여 상기 전용 적치함 내부 온도 조절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예컨대, 밀폐된 적재함 내부에 뜨거운 음식을 적재하고 있던 배달 로봇(200)의 적재함 내부 온도는 상온에 비해 고온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고온의 공기를 배달 물품이 전용 적치함에 적치될 때 함께 공급할 수 있으면, 전용 적치함 내부 온도를 비교적 빠르게 높일 수 있다.Or, as shown in FIG. 8, when the delivery goods from the delivery robot 200 are placed in the dedicated storage box, the air inside the loading box of the delivery robot 200 is supplied into the dedicated storage box to supply the dedicated storage box. It is also possible to make it easier to control the internal temperature. For example, the temperature inside the loading box of the delivery robot 200 that was loading hot food inside the sealed loading box has a higher temperature than room temperature. Therefore, if it is possible to supply such high-temperature air together when the delivery goods are placed in the dedicated storage box,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dedicated storage box can be increased relatively quickly.

이러한 전용 적치함은, 적치되어 있던 배달 물품을 고객(수령인)이 수령해간 이후, 내부에서 바람을 생성하는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내부 온도 변화폭을 줄이거나, 전용 적치함 내부의 냄새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se dedicated storage boxes reduce the change in internal temperature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generating wind from the inside after the customer (recipient) receives the stored delivery goods, or removes the odor inside the dedicated storage box. can also be done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On the other hand, Figure 9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100)은 고객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10), 배달 로봇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촬영 데이터를 획득하는 촬영 데이터 획득부(120), 및/또는 상기 배달 로봇(200)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100)은 상기 촬영 데이터에 소정의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는 이미지 변환부(140), 및/또는 소정의 이미지로부터 하역 위치를 추출하기 위한 위치 추출부(1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quires photographing data captur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customer terminal and at least one camera provided in the delivery robot.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130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photographing data acquisition unit 120, and / or the delivery robo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system 100 may include an image conversion unit 140 for performing predetermined image processing on the photographed data, and/or a location extraction unit 150 for extracting a unloading location from a predetermined image. ) may be further included.

우선 상기 제어부(130) 상기 배달 로봇(200)에 설치되어 상기 배달 로봇(200) 및/또는 나머지 다른 구성요소들의 기능 및/또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First, the control unit 130 may be installed in the delivery robot 200 to control the function and/or operation of the delivery robot 200 and/or other components.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고객 단말(300)과 통신을 수행하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고객 단말(300)과 음성 통화, 문자 메시지, 푸시 메시지 등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의 사진 등과 같은 이미지나 영상 등을 송수신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necessary to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customer terminal 300 .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communicate with the customer terminal 300 through a voice call, a text message, a push message, and the like, and may transmit/receive an image or video such as a predetermined picture through a network.

상기 촬영 데이터 획득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배달 로봇(2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들에 의해 촬영된 촬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data acquisition unit 120 may acquire photographing data photographed by at least one camera provided in the delivery robot 200 as described above.

이처럼 획득된 촬영 데이터는, 상기 이미지 변환부(140)를 통해 시점 변경이 가능한 이미지로 변환되어 상기 고객 단말(300)로 제공될 수 있다.The captured data obtained in this way may be converted into an image capable of changing a viewpoint through the image conversion unit 140 and provided to the customer terminal 300 .

상기 위치 추출부(1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배달지가 촬영된 촬영 데이터에서 수령자가 고객 단말(300)을 통해 하역 위치를 지정한 경우, 하역 위치가 지정된 이미지를 수신받아 지정된 하역 위치를 추출하고, 이를 실제 배달지 내에서의 위치와 매칭하여 상기 배달 로봇(200)이 실제 배달 물품을 하역할 위치를 추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cipient designates an unloading location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300 in the photographed data of the delivery destination, the location extraction unit 150 receives an image in which the unloading location is specified and extracts the designated unloading location. By matching the location within the actual delivery location, the delivery robot 200 may extract a location to unload the actual delivery goods.

한편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배달 로봇(200)이 배달지에 도착하면, 상기 고객 단말(300)로부터 하역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delivery robot 200 arrives at the delivery destination, the controller 130 may check whether there is a request for unloading from the customer terminal 300 .

확인 결과 상기 하역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배달지에 상기 배달 로봇(200)이 배달 물품을 자동으로 하역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check, if there is a request for unloading, the delivery robot 200 may be controlled to automatically unload the delivered goods at the delivery location.

그리고 상기 하역 요청이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배달 로봇(200)을 상기 배달지에서 대기시키며, 대기 중 일정 시간 동안 상기 고객 단말(300)과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상기 배달 로봇(200)이 상기 배달지에 상기 배달 물품을 자동으로 하역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nd when there is no request for unloading, the control unit 130 waits the delivery robot 200 at the delivery location, and when communication with the customer terminal 300 is not perform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ile waiting, the delivery robot ( 200) can be controlled to automatically unload the delivery goods to the delivery location.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배달 물품이 하역되면 상기 촬영 데이터 획득부를 통해 하역된 배달 물품이 포함된 배달지를 촬영한 촬영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고객 단말(300)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And, when the delivery goods are unloaded, the control unit 130 acquires the photographed data of the delivery destination including the unloaded delivery goods through the photographing data acquisition unit and transmits the photographed data to the customer terminal 300 , the communication unit 110 ) can control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위치 추출부(150)로부터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하역 위치 지정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지정된 하역 위치 또는 상기 배달지 내 임의의 위치에 상기 배달 로봇(200)이 배달 물품을 자동으로 하역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confirms whether there is an unloading location designation from the customer terminal from the location extraction unit 150, and the delivery robot 200 at a designated unloading location or any location within the delivery location based on the check result. ) can be controlled to automatically unload the delivered goods.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30)는 배달지가 촬영된 촬영 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고객 단말(300)로부터 하역 위치가 지정된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위치 추출부(150)에 의해 수신된 이미지로부터 지정된 하역 위치를 추출하여 실제 배달지 내의 위치와 매칭되면, 매칭된 위치에 상기 배달 물품을 하역하도록 상기 배달 로봇(200)을 제어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ntrol unit 130 may receiv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 an image in which an unloading location is specified from the customer terminal 300 receiving the photographed data of the delivery destination, and the location extraction unit 150 . When the designated unloading location is extracted from the image received by and matched with the location in the actual delivery destination, the delivery robot 200 can be controlled to unload the delivered goods at the matched location.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Claims (8)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이 고객 단말로부터 배달지에 도착한 배달 로봇에 대한 하역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이, 상기 배달지에 상기 배달 로봇이 배달 물품을 자동으로 하역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배달지에 상기 배달 로봇이 배달 물품을 자동으로 하역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하역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이, 상기 배달지에 상기 배달 로봇이 배달 물품을 자동으로 하역하도록 하는 단계; 또는
상기 하역 요청이 없는 경우,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이 상기 배달 로봇을 상기 배달지에서 대기시키며, 대기 중 일정 시간 동안 상기 고객 단말과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상기 배달 로봇이 상기 배달지에 상기 배달 로봇이 배달 물품을 자동으로 하역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령자 부재시 배달 물품 처리 방법.
Checking, by the delivery goods handling system, whether there is a request for unloading from the customer terminal to the delivery robot arriving at the delivery destination; and
Based on the confirmation result,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system comprising the step of automatically unloading the delivery robot to the delivery place,
The step of allowing the delivery robot to automatically unload the delivered goods at the delivery site,
when there is a request for unloading,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system automatically unloading the delivery robot to the delivery location; or
If there is no request for unloading, the delivery product handling system waits the delivery robot at the delivery location, and when communication with the customer terminal is not perform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ile waiting, the delivery robot moves the delivery robot to the delivery location A method of handling delivered goods in the absence of a recipient, comprising the step of automatically unloading the delivered good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령자 부재시 배달 물품 처리 방법은,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이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하역 위치가 지정되면,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이 지정된 위치를 하역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하역 위치가 지정되지 않으면,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이 배달지 내 임의의 위치를 하역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령자 부재시 배달 물품 처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thod of handling the delivered goods in the absence of the recipient comprises:
determining, by the delivery article handling system, the designated location as the unloading location when the unloading location is designated by the customer terminal; and
If the unloading location is not designated by the customer terminal,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an arbitrary location in the delivery destination as the unloading loc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이 지정된 위치를 하역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이 상기 배달 로봇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소정 범위 내에서 배달지를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촬영 데이터를 상기 고객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이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상기 촬영 데이터 내에서 하역 위치를 지정받는 단계; 및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이 상기 촬영 데이터 내에서 지정된 하역 위치를 실제 배달지 내의 위치와 매칭하고, 매칭된 위치를 하역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령자 부재시 배달 물품 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by the delivery article handling system, the designated location as the unloading location comprises:
capturing, by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system, a delivery destination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rough at least one camera provided in the delivery robot;
transmitting the photographed data to the customer terminal;
receiving, by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system, an unloading location designation in the photographed data from the customer terminal; and
and matching, by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system, the unloading location designated in the photographed data with a location in the actual delivery destination, and determining the matched location as the unloading lo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령자 부재시 배달 물품 처리 방법은,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이 상기 배달 로봇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하역된 배달 물품이 포함된 배달지를 촬영하는 단계; 및
촬영된 촬영 데이터를 상기 고객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령자 부재시 배달 물품 처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thod of handling the delivered goods in the absence of the recipient comprises:
Taking, by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system, a delivery destination containing unloaded delivery goods through at least one camera provided in the delivery robot; and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method in the absence of a recipien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photographed photographed data to the customer terminal.
데이터처리장치에 설치되며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A recorded computer program installed in a data process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고객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배달 로봇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촬영 데이터를 획득하는 촬영 데이터 획득부; 및
상기 배달 로봇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달 로봇이 배달지에 도착하면,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하역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하역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배달지에 상기 배달 로봇이 배달 물품을 자동으로 하역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하역 요청이 없는 경우, 상기 배달 로봇을 상기 배달지에서 대기시키며, 대기 중 일정 시간 동안 상기 고객 단말과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상기 배달 로봇이 상기 배달지에 상기 배달 물품을 자동으로 하역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배달 물품이 하역되면 상기 촬영 데이터 획득부를 통해 하역된 배달 물품이 포함된 배달지를 촬영한 촬영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고객 단말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customer terminal;
A photographing data acquisition unit for obtaining photographing data photographed through at least one camera provided in the delivery robot; and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delivery robot,
The control unit is
When the delivery robot arrives at the delivery destination, it is checked whether there is a request for unloading from the customer terminal,
If there is a request for unloading, control the delivery robot to automatically unload the delivered goods at the delivery location, or
When there is no request for unloading, the delivery robot waits at the delivery location, and when communication with the customer terminal is not perform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during waiting, the delivery robot automatically unloads the delivery goods to the delivery location, and ,
When the delivery goods are unloaded, the delivery goods processing system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acquire the photographed data of the delivery destination including the unloaded delivery goods through the photographing data acquisition unit and transmit it to the customer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하역 위치 지정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지정된 하역 위치 또는 상기 배달지 내 임의의 위치에 상기 배달 로봇이 배달 물품을 자동으로 하역하도록 제어하는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ontrol unit,
Check whether there is an unloading location designation from the customer terminal,
A delivery article handling system for controlling the delivery robot to automatically unload the delivered article at a designated unloading location or an arbitrary location within the delivery location based on the confirmation resul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은,
상기 촬영 데이터에 소정의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는 이미지 변환부; 및
소정의 이미지로부터 하역 위치를 추출하기 위한 위치 추출부를 더 포함하며,
배달지가 촬영된 촬영 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하역 위치가 지정된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로부터 지정된 하역 위치를 추출하여 실제 배달지 내의 위치와 매칭하여 매칭된 위치에 상기 배달 물품을 하역하도록 제어하는 배달 물품 처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delivery article processing system,
an image conversion unit that performs predetermined image processing on the photographed data; and
Further comprising a locatio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e unloading location from a predetermined image,
Receive an image with a designated unloading location from the customer terminal that has received the photographed data of the delivery destination,
A delivery article processing system for controlling to unload the delivered goods at the matched location by extracting a designated unloading location from the received image and matching the location within the actual delivery location.
KR1020200090131A 2020-03-31 2020-07-21 Delivery goods handling method and system when recipient is absent KR1023742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779434.6A EP4129582A4 (en) 2020-03-31 2021-03-22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elivery item in absence of recipient
PCT/KR2021/003510 WO2021201480A1 (en) 2020-03-31 2021-03-22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elivery item in absence of recipient
CN202180026185.1A CN115362050A (en) 2020-03-31 2021-03-22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delivery of goods during absence of addressee
US17/916,017 US11954634B2 (en) 2020-03-31 2021-03-22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elivery item in absence of recipient
JP2022557757A JP7430276B2 (en) 2020-03-31 2021-03-22 Delivery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when recipient is abs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39303 2020-03-31
KR1020200039303 2020-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2009A true KR20210122009A (en) 2021-10-08
KR102374290B1 KR102374290B1 (en) 2022-03-15

Family

ID=78116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131A KR102374290B1 (en) 2020-03-31 2020-07-21 Delivery goods handling method and system when recipient is abs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29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37257A (en) * 2021-12-20 2022-03-25 江苏木盟智能科技有限公司 Method for automatically distributing articles in isolation area, robot and storable mediu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125B1 (en) * 2016-05-11 2018-02-13 한국과학기술원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g delivery point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KR102015994B1 (en) 2018-11-28 2019-08-29 도경건설 주식회사 Load tray for Ascon temperature drop prevention
KR102088415B1 (en) * 2018-07-13 2020-03-12 한국기계연구원 Unmanned Transport System Using Autonomous Delivery Robot And Method of Transport Using Unmanned Transport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125B1 (en) * 2016-05-11 2018-02-13 한국과학기술원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g delivery point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KR102088415B1 (en) * 2018-07-13 2020-03-12 한국기계연구원 Unmanned Transport System Using Autonomous Delivery Robot And Method of Transport Using Unmanned Transport System
KR102015994B1 (en) 2018-11-28 2019-08-29 도경건설 주식회사 Load tray for Ascon temperature drop preven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37257A (en) * 2021-12-20 2022-03-25 江苏木盟智能科技有限公司 Method for automatically distributing articles in isolation area, robot and storabl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4290B1 (en) 202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1543B2 (en) System and method to enable delivery and pick up of packages using pods and unmanned vehicles
US10783478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delivery system
JP6201092B1 (en) Unattended automatic delivery device for delivery
WO20180981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lligent and secure storage unit
KR102374290B1 (en) Delivery goods handling method and system when recipient is absent
US20190248582A1 (en) Package 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1917629B1 (en) A automatic system for transporting the package into a apartment house
CN112036790A (en) Unmanned distribution method and device
CN108615308A (en) Formula of registering one's residence intelligently picks up by oneself cabinet
US20220016764A1 (en) Object grasping system
KR102305043B1 (en) A Mobile robot that can use elevator and Delivery method using a mobile robot
US11580613B2 (en) Parcel conveyance system
US20210373569A1 (en) Delivery system, delivery method and delivery device
WO2018086307A1 (en) Password sending and receiving device for logistics distribu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
JP2004038522A (en) Locker management system
US11806879B2 (en) Shipping system and control system for secure package delivery
US20200394375A1 (en) Self-Service Parcel Terminal with Optimized Shelving Arrangement
WO2019102361A1 (en) Package delivery and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drones
KR102118129B1 (en) IoT available advertisement type 3D printer operating system
JP7430276B2 (en) Delivery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when recipient is absent
WO2018195851A1 (en) Goods transportation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s
CN110026976A (en) The robot of elevator and the method using the robot sending and receiving article above and below energy
CN105892386A (en) Unmanned carrying system and loader thereof
KR20190101929A (en) Wearable wireless terminal having barcode recognition and imaging function and parcel image tracking system
CN110610341A (en) Intelligent warehouse, piece sending method of intelligent warehouse and piece taking method of intelligent wareh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