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1931A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1931A
KR20210121931A KR1020200039392A KR20200039392A KR20210121931A KR 20210121931 A KR20210121931 A KR 20210121931A KR 1020200039392 A KR1020200039392 A KR 1020200039392A KR 20200039392 A KR20200039392 A KR 20200039392A KR 20210121931 A KR20210121931 A KR 20210121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air
case
flow
convers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지욱
조강의
한성경
배세환
이명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9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1931A/ko
Publication of KR20210121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9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측부에 마련된 흡입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마련된 필터부재,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필터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링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된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마련된 토출부를 포함하는 송풍장치; 상기 토출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흡입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도록 마련된 유동 전환장치; 및 상기 송풍장치와 상기 유동 전환장치 사이에서 일 측이 상기 송풍장치에 연결되고 다른 일 측이 상기 유동 전환장치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유동 전환장치의 상태 천이를 유도하도록 마련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동 전환장치의 상부면과 상기 송풍장치의 상부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유동 전환장치와 상기 송풍장치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송풍장치의 토출부로부터 토출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유동 전환장치의 외측벽을 따라 상기 유동 전환장치와 상기 송풍장치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Air Cleaner}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내부로 흡입하여 필터링한 후 상기 필터링된 공기를 토출하는 장치로 이해되며,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공간을 정화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흡입하고 토출하도록 마련된 송풍장치 및 상기 송풍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 중의 먼지나 세균 등을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공기청정기는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도록 마련된 유동 전환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상기 유동 전환장치를 통해 송풍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송풍장치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유동 전환장치를 통해서만 송풍되게 되므로, 상기 유동 전환장치가 공기 흐름의 불필요한 저항요소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효율적인 송풍이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1100호)은 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도록 마련된 유동 전환장치를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공기청정기에 의하면, 상기 송풍장치에 흡입된 공기는 상기 송풍장치의 내부에 구비된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후 상기 송풍장치의 상부면에 수직한 수직 방향으로 토출되게 되며, 이후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상기 유동 전환장치를 통해 상기 수직 방향 이외의 다른 방향으로 송풍되게 된다.
한편, 상기 종래의 공기청정기에 의하는 경우,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상기 유동 전환장치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직접적으로 토출될 수 없고, 상기 유동 전환장치를 통해서만 송풍될 수 있으므로, 상기 공기청정기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송풍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향상된 풍속의 공기를 토출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향상된 도달거리(blowing distance)의 공기를 토출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한 후 필터링하여 토출하도록 마련된 송풍장치, 상기 송풍장치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흡입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도록 마련된 유동 전환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동 전환장치의 상부면과 상기 송풍장치의 상부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유동 전환장치와 상기 송풍장치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는, 벽면에 접근하여 분출된 기류가 그 면에 빨려서 부착하여 흐르는 경향을 갖는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에 의해서, 상기 송풍장치와 상기 유동 전환장치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측부에 마련된 흡입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마련된 필터부재,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필터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링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된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마련된 토출부를 포함하는 송풍장치; 상기 토출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흡입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도록 마련된 유동 전환장치; 및 상기 송풍장치와 상기 유동 전환장치 사이에서 일 측이 상기 송풍장치에 연결되고 다른 일 측이 상기 유동 전환장치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유동 전환장치의 상태 천이를 유도하도록 마련된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 전환장치의 상부면과 상기 송풍장치의 상부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유동 전환장치와 상기 송풍장치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송풍장치의 토출부로부터 토출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유동 전환장치의 외측벽을 따라 상기 유동 전환장치와 상기 송풍장치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유동 전환장치는, 외관을 형성하고, 후방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며, 하부에 구비된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흡입하도록 마련된 흡입그릴을 포함하는 후방케이스;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후방케이스에 결합되어 전방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흡입그릴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된 토출그릴을 포함하는 전방케이스; 및 상기 전방케이스와 상기 후방케이스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흡입그릴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토출그릴을 통해 토출되도록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흡입그릴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상기 후방케이스의 나머지 부분은 공기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차폐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동 전환장치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동작에 따라, 상기 유동 전환장치의 상부면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위치인 제1위치, 및 상기 유동 전환장치의 상부면이 상기 지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위치인 제2위치에 놓이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유동 전환장치가 상기 제1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케이스의 측벽은 상기 송풍장치의 측벽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방케이스는 후방면을 커버하는 후면패널, 및 상기 후면패널로부터 상기 전방케이스까지 연장되어 후방 측면을 커버하는 측면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후면패널은 상기 흡입그릴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면패널은 하부에 배치된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폐된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상기 흡입그릴을 통해서만 상기 유동 전환장치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풍장치의 측벽은 상기 후면패널에 대해 수직한 기울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패널은 상기 후면패널에 대해 경사진 기울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면패널의 하부면 및 상부면은 각각 링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패널의 하부면이 갖는 원주(circumference)는 상기 측면패널의 상부면이 갖는 원주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면패널의 외측벽은 굴곡진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면패널과 상기 측면패널은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측면패널은 상기 전방케이스와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동 전환장치가 상기 제1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패널의 외측벽은 상기 전방케이스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토출부로부터 멀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동 전환장치가 상기 제1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토출부는 상기 유동 전환장치의 후면그릴에 의해 부분적으로 커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동 전환장치가 상기 제1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송풍장치의 토출부로부터 토출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측면패널의 외측벽을 따라 외부로 토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송풍장치의 토출부로부터 토출된 공기 중 나머지 일부는 상기 후면그릴을 통해 상기 유동 전환장치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토출부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송풍장치의 내측벽을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키기 위해 마련된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송풍장치의 내측벽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송풍장치는 지면에 수직한 수직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의 공기를 필터링하여 송풍하도록 구비된 제1송풍장치; 및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공기를 필터링하여 송풍하도록 구비된 제2송풍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송풍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 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1필터부재; 및 상기 제1케이스 내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1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송풍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2케이스; 상기 제2케이스 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2필터부재; 및 상기 제2케이스 내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2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유동 전환장치는 상기 제2송풍장치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동전환장치의 송풍팬은 제3송풍팬이고, 상기 제1송풍팬, 상기 제2송풍팬 및 상기 제3송풍팬은 모두 사류팬(mixed flow fan)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한 후 필터링하여 토출하도록 마련된 송풍장치, 상기 송풍장치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흡입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도록 마련된 유동 전환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동 전환장치의 상부면과 상기 송풍장치의 상부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유동 전환장치와 상기 송풍장치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송풍장치와 상기 유동 전환장치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즉, 벽면에 접근하여 분출된 기류가 그 면에 빨려서 부착하여 흐르는 경향을 갖는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에 의해서,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상측으로 토출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송풍장치의 내측벽에 인접하여 분출될 수 있으며, 이후 상기 유동 전환장치를 경유하지 않고 곧장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동 전환장치의 내부에 구비된 구성요소들이 공기유동의 불필요한 저항요소로 작용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풍속이 감소하지 않고 도달거리(blowing distance)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 단면도 및 입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 단면도들, 상면도들 및 입면도들이다.
도 19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 및 단면도들이다.
도 27 내지 도 3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 단면도들 및 배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수직 방향으로 정의하고, 지면에 평행하고 상기 수직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정의하며, 상기 수직 방향을 중심으로 하고 상기 수평 방향의 거리를 회전반경으로 하여 회전할 때 형성되는 가상의 원 방향을 원주 방향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상기 공기청정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A 영역에 대한 확대 사시도들이다. 이때, 도 2는 상기 공기청정기에 포함된 유동 전환장치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 및 도 4는 각각 상기 유동 전환장치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며, 상기 필터링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된 송풍장치(10, 20), 송풍장치(10, 20)의 상부에 배치되며, 송풍장치(10, 20)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흡입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도록 마련된 유동 전환장치(30), 및 송풍장치(10, 20)와 유동 전환장치(30) 사이에서 일 측이 송풍장치(30)에 연결되고 다른 일 측이 유동 전환장치(30)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유동 전환장치(30)의 상태 천이를 유도하도록 마련된 가이드부재(40)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장치(10, 20)는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의 공기를 흡입하고 필터링한 후 송풍하도록 구비된 제1송풍장치(10), 및 제1송풍장치(1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며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공기를 흡입하고 필터링한 후 송풍하도록 구비된 제2송풍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송풍장치(10)와 제2송풍장치(20)는 상기 수직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으며, 끼워맞춤식 결합, 리벳 결합, 나사 결합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유동 전환장치(30)는 제2송풍장치(2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재(40)는 제2송풍장치(20)와 유동 전환장치(30)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40)와 제2송풍장치(20)는 끼워맞춤식 결합, 리벳 결합, 나사 결합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재(40)와 유동 전환장치(30)도 끼워맞춤식 결합, 리벳 결합, 나사 결합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1은 송풍장치(10, 20)가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송풍장치(10) 및 제2송풍장치(20)를 포함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개념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송풍장치는 오직 하나의 송풍장치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송풍장치(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100), 제1케이스(100) 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1필터부재(130), 및 제1케이스(100) 내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1송풍팬(16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송풍장치(2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2케이스(200), 제2케이스(200) 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2필터부재(230), 및 제2케이스(200) 내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2송풍팬(26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케이스(100) 및 제2케이스(200)는 각각 끝부분이 잘린 원뿔 형상, 또는 상부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직경을 갖는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송풍장치(10)는 제1송풍장치(10)의 하부에 배치된 제1베이스(10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베이스(105)는 지면 상에서 제1송풍장치(10)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베이스(105)는 지면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하부 및 상기 하부로부터 상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케이스(10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되는 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케이스(100)의 내측벽과 상기 제1베이스(105)의 상부 사이의 공간에는 제1송풍장치(10)의 내부로 연통되는 제1하부 흡입부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 공기가 상기 제1하부 흡입부를 통해 제1송풍장치(1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제2송풍장치(20)는 제1송풍장치(20)의 하부에 배치된 제2베이스(20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2베이스(105)는 제1송풍장치(10) 상에서 제2송풍장치(20)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베이스(205)는 지면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하부 및 상기 하부로부터 상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케이스(20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되는 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케이스(100)의 내측벽과 상기 제2베이스(205)의 상부 사이의 공간에는 제2송풍장치(20)의 내부로 연통되는 제2하부 흡입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 공기가 상기 제2하부 흡입부를 통해 제2송풍장치(2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제1케이스(100)의 측벽 상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1흡입부(1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흡입부(110)는 제1케이스(100)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케이스(200)의 측벽 상에도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2흡입부(2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흡입부(210)는 제2케이스(100)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흡입부(110)는 제1케이스(100)의 하부에서 상부까지 연장되는 라인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케이스(100)의 측벽 상에서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1흡입부들(110)은 제1케이스(100)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라도 공기 흡입이 가능하도록 제1케이스(100)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원주 방향으로 고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흡입부(210)도 제2케이스(200)의 하부에서 상부까지 연장되는 라인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케이스(200)의 측벽 상에서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2흡입부들(210)은 제2케이스(200)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라도 공기 흡입이 가능하도록 제2케이스(100)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원주 방향으로 고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송풍장치(10)의 상부면 상에는 외부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1토출부(1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토출부(120)는 제1송풍장치(10)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 상에도 외부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2토출부(2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토출부(220)는 제2송풍장치(20)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토출부(120)는 제1송풍장치(10) 상부면의 말단 부분에서 중심 부분에 인접한 부분까지 연장되는 라인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송풍장치(10)의 상부면 상에서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1토출부들(120)은 제1송풍장치(10) 상부면 중 제2베이스(205)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둘러싸도록 고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토출부(220)도 제2송풍장치(20) 상부면의 말단 부분에서 중심 부분에 인접한 부분까지 연장되는 라인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 상에서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2토출부들(220)은 제2송풍장치(10) 상부면 중 가이드부재(40)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둘러싸도록 고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복수 개의 제1토출부들(120)은 함께 제1송풍장치(10) 상부면의 가장자리 부분을 커버하는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제2토출부들(220)은 함께 제2송풍장치(20) 상부면의 가장자리 부분을 커버하는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토출부들(110)이 갖는 고리 형상은 바깥쪽 부분이 안쪽 부분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제2토출부들(210)이 갖는 고리 형상도 바깥쪽 부분이 안쪽 부분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송풍장치(10)의 상부면은 상기 복수 개의 제1토출부들(120)이 배치된 가장자리 부분 및 제2베이스(205)가 배치된 중심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은 상기 복수 개의 제2토출부들(220)이 배치된 가장자리 부분 및 가이드부재(40)가 배치된 중심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송풍장치(10) 상부면의 상기 중심 부분은 상기 가장자리 부분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송풍장치(20) 상부면의 상기 중심 부분은 상기 가장자리 부분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송풍장치(10)의 상부면은 상기 복수 개의 제1토출부들(120)이 배치되는 상기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제2베이스(205)가 배치되는 상기 중심 부분만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하며,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은 상기 복수 개의 제2토출부들(220)이 배치되는 상기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가이드부재(40)가 배치되는 상기 중심 부분만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송풍장치(10)의 상부면 및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은 각각 상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편평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유동 전환장치(30)는 외관을 형성하고, 유동 전환장치(30)의 후방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며, 송풍장치(10, 20)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흡입하도록 마련된 흡입그릴을 포함하는 후방케이스, 및 상기 후방케이스에 결합되어 유동 전환장치(30)의 전방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흡입그릴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된 토출그릴(320)을 포함하는 전방케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케이스는 상기 유동 전환장치(30)의 후방면을 커버하는 후면패널(310), 및 후면패널(310)로부터 전방케이스(300)까지 연장되어 상기 유동 전환장치(30)의 후방 측면을 커버하는 측면패널(30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후방케이스의 후면패널(310)은 상기 흡입그릴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측면패널(305) 및 후면패널(310)은 함께 상기 후방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40)는 유동 전환장치(30)의 상태 천이를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은 가이드부재(40)의 일 측이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에 연결되고, 다른 일 측이 유동 전환장치(30)에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부재(40)의 다른 일 측이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유동 전환장치(30)의 상태 천이가 유도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개념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가이드부재(40)는 송풍장치(10, 2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송풍장치(10, 20)의 상부면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7 내지 도 34를 참조로 후술하기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유동 전환장치(30)는 가이드부재(40)의 동작에 따라,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부면이 상기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1위치, 상기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부면이 상기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2위치, 및 상기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부면이 상기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3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은 유동 전환장치(30)가 상기 제3위치에 배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유동 전환장치(30)가 상기 제1위치 및 상기 제2위치에 배치되는 것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7 내지 도 34를 참조로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유동 전환장치(30)는 유동 전환장치(30)의 전방면을 커버하는 전방케이스(300), 유동 전환장치(30)의 후방 측면을 커버하며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차폐된 구조를 갖는 측면패널(305), 유동 전환장치(30)의 후방면을 커버하며 흡입그릴의 역할을 수행하는 후면패널(310), 전방케이스(300)와 후면패널(310) 사이에 구비되며, 후면패널(310)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토출그릴(320)을 향하여 유동시키는 송풍팬(360), 및 송풍팬(360)과 후면패널(310) 사이에서 후면패널(310)의 내부면에 안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흡입그릴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3필터부재(35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부면에는 공기청정기(1)의 운전 정보 등을 표시하도록 마련된 디스플레이 장치(50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유동 전환장치(30) 및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함께 동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부면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부면과 전방케이스(300)의 측벽은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부면과 상기 전방케이스(300)의 측벽 사이의 공간에는 외부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토출그릴(320)이 구비될 수 있다. 토출그릴(320)은 상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부면을 둘러싸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라도 공기 흡입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토출그릴(320)의 일 측은 상기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부면에 연결될 수 있고, 토출그릴(320)의 다른 일 측은 상기 전방케이스(300)의 내측벽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유동 전환장치(30)가 상기 제1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토출그릴(320)의 일 측과 상기 토출그릴(320)의 다른 일 측은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동 전환장치(30)가 상기 제1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토출그릴(320)의 일 측은 상기 토출그릴(320)의 다른 일 측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전방케이스(300)와 상기 후방케이스는 제1후크결합을 통해 상부에서 결합될 수 있으며, 제2후크결합을 통해 하부에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면패널(305)의 상부는 제1후크(33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전방케이스(300)의 상부는 제1후크걸이(33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패널(305)의 상부 및 상기 전방케이스(300)의 상부는 제1후크(333) 및 제1후크걸이(335)의 결합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측면패널(305)의 하부는 상기 수평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 한 쌍의 제2후크걸이(34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전방케이스(300)의 하부는 제2후크걸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한 쌍의 제2후크(34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패널(305)의 하부 및 상기 상부케이스(300)의 하부는 제2후크걸이(345) 및 제2후크(343)의 결합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면패널(305)의 하부는 자석(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상부케이스(300)의 하부는 금속 재질로 구성된 자석결합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패널(305)의 하부 및 상기 상부케이스(300)의 하부는 상기 자석 및 상기 자석결합부의 결합을 통해 체결이 유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3필터부재(350)는 후면패널(310)과 측면패널(305)의 경계 상에 마련된 안착부(340)에 배치될 수 있다.
안착부(340)는 상기 후면패널에 비해 상기 전방케이스를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후면패널(31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후면패널(310)의 내측면과 필터부재(350)는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서로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유동 전환장치(30)의 상기 후방케이스는 유동 전환장치(30)가 상기 제3위치에 배치되면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필터부재(350)는 상기 후방케이스가 전방케이스(300)로부터 분리되면 유동 전환장치(30)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동 전환장치(30)가 상기 제3위치에 배치된 상태 즉, 상기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부면이 상기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제1후크(333)와 제1후크걸이(335)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상기 측면패널(305)의 상부 및 상기 전방케이스(300)의 상부가 먼저 분리될 수 있고, 제2후크걸이(345) 및 제2후크(343)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상기 측면패널(305)의 하부 및 상기 상부케이스(300)의 하부가 나중에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면패널(305)의 하부 및 상기 상부케이스(300)의 하부가 각각 상기 자석 및 상기 자석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 제2후크걸이(345) 및 제2후크(343)의 결합이 해제되기 전에, 상기 자석 및 상기 자석결합부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상기 측면패널(305)의 하부 및 상기 상부케이스(300)의 하부의 분리가 유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필터부재(130) 및 제2필터부재(230)는 서로 동일한 필터로 구성될 수 있고, 제3필터(350)는 제1필터부재(130) 및 제2필터부재(230)와 서로 다른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필터부재(130) 및 제2필터부재(230)는 각각 헤파필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3필터부재(350)는 프리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필터부재(130) 및/또는 제2필터부재(230)에 의해 필터링된 후 송풍장치(10, 20)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유동 전환장치(30)의 후면패널(310)을 통해 유동 전환장치(30)의 내부로 흡입될 때,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후면패널(310)의 내측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된 제3필터부재(350)를 통과하면서 추가적으로 필터링될 수 있으며, 유동 전환장치(30)의 내부에 구비된 제3송풍팬(360) 및 유동 전환장치(30)의 전방케이스(300)에 구비된 토출그릴(320)은 이물질이 추가적으로 필터링된 공기를 송풍하고 토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동 전환장치(30)의 내부는 제3필터부재(350)를 통해 이물질로부터 보다 적게 노출될 수 있으므로, 유동 전환장치(30)의 내부청소 주기가 길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후방케이스 즉, 측면패널(305) 및 후면패널(310)은 상기 제1후크결합 및 상기 제2후크결합을 각각 해제시킴으로써 전방케이스(300)로부터 손쉽게 분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동 전환장치(30)의 내부청소가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공기를 흡입하도록 흡입그릴의 역할을 수행하는 후면패널(310) 및 후면패널(310)의 내측면에 안착된 제3필터부재(350)는 상기 후방케이스가 전방케이스(300)로부터 분리된 후 개별적으로 세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동 전환장치(30)의 유지보수가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 단면도 및 입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상기 공기청정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B 영역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며, 도 7은 상기 공기청정기에 포함된 제2송풍장치와 유동 전환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8은 상기 제2송풍장치와 상기 유동 전환장치의 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입면도이다. 이때, 도 6은 상기 제2송풍장치와 상기 유동 전환장치 각각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로 설명하는 공기청정기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공기청정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송풍장치(10, 20), 가이드부재(40) 및 유동 전환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송풍장치(10, 20)는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의 공기를 흡입하고 필터링한 후 송풍하도록 구비된 제1송풍장치(10), 및 제1송풍장치(1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며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공기를 흡입하고 필터링한 후 송풍하도록 구비된 제2송풍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송풍장치(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100), 제1케이스(100) 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1필터부재(130), 및 제1케이스(100) 내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1송풍팬(16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송풍장치(2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2케이스(200), 제2케이스(200) 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2필터부재(230), 및 제2케이스(200) 내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2송풍팬(2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케이스(100)의 측벽 상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1흡입부(110)가 형성될 수 있고, 제2케이스(200)의 측벽 상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2흡입부(2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송풍장치(10)의 상부면 상에는 외부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1토출부(120)가 형성될 수 있고,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 상에는 외부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2토출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부면과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유동 전환장치(30)와 제2송풍장치(20)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제2토출부(220)로부터 토출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가 유동 전환장치(30)의 외측벽을 따라 유동 전환장치(30)와 제2송풍장치(20)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유동 전환장치(30)는 외관을 형성하고, 유동 전환장치(30)의 후방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며, 하부에 구비된 제2송풍장치(20)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흡입하도록 마련된 흡입그릴(310)을 포함하는 후방케이스,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후방케이스에 결합되어 유동 전환장치(30)의 전방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며, 흡입그릴(310)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된 토출그릴(320)을 포함하는 전방케이스(300), 및 전방케이스(300)와 상기 후방케이스 사이에 구비되며, 흡입그릴(310)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토출그릴(320)을 통해 토출되도록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팬(3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케이스는 후방면을 커버하는 후면패널(310) 및 후면패널(310)로부터 전방케이스(300)까지 연장되어 후방 측면을 커버하는 측면패널(305)을 포함할 수 있으며, 후면패널(310)은 흡입그릴(310)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방케이스의 흡입그릴(310)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 즉, 측면패널(305)이 형성된 부분은 공기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차폐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토출부(220)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흡입그릴(310)을 통해서만 유동 전환장치(30)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후면패널(310)과 측면패널(305)은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측면패널(305)과 전방케이스(300)는 예를 들어, 후크결합 등을 통해 체결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유동 전환장치(30)는 가이드부재(40)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1위치, 상기 제2위치 및 상기 제3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유동 전환장치(30)가 상기 제1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케이스의 측벽은 제2송풍장치(20)의 측벽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송풍장치(20)의 측벽 즉, 제2케이스(200)의 측벽은 후면패널(310)에 대해 수직한 기울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측면패널(305)은 후면패널(310)에 대해 경사진 기울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측면패널(305)의 하부면 및 상부면은 각각 링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패널(305)의 하부면이 갖는 원주(circumference)는 상기 측면패널(305)의 상부면이 갖는 원주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측면패널(305)의 외측벽은 굴곡진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동 전환장치(30)가 상기 제1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패널(305)의 외측벽은 전방케이스(300)에 가까워질수록 제2토출부(220)로부터 멀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유동 전환장치(30)가 상기 제1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토출부(220)는 유동 전환장치(30)의 후면그릴(310)에 의해 부분적으로 커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토출부(220)로부터 토출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측면패널(305)의 외측벽을 따라 외부로 토출될 수 있으며, 제2토출부(220)로부터 토출된 공기 중 나머지 일부는 후면그릴(310)을 통해 유동 전환장치(3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제2송풍장치(20)는 제2송풍팬(26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며 가이드부재(40)가 안착되도록 마련된 가이드부재 안착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 안착부(270)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이브부재(40)의 작동방향이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조정될 수 있다.
제2송풍장치(20)는 제2토출부(22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며 제2케이스(200)의 내측벽을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키기 위해 마련된 돌출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80)는 상기 제2케이스(200)의 내측벽으로부터 상기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은 제2송풍장치(20)의 구조만을 도시하고 제1송풍장치(10)의 구조는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제1송풍장치(10)도 제1토출부(12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며 제1케이스(100)의 내측벽을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키기 위해 마련된 돌출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송풍장치(10)에 포함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케이스(100)의 내측벽으로부터 상기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송풍장치(10) 및 제2송풍장치(20)가 각각 돌출부를 포함하는 경우, 제1송풍장치(10)에 포함된 돌출부는 제1돌출부로 지칭될 수 있으며, 제2송풍장치(20)에 포함된 돌출부는 제2돌출부로 지칭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송풍장치(10)가 상기 제1돌출부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특정하지 않고, 제2송풍장치(20)에 포함된 상기 제2돌출부를 돌출부(280)로 지칭하기로 한다.
제2송풍장치(20)의 내부에 구비된 제2송풍팬(260) 및 유동 전환장치(30)의 내부에 구비된 제3송풍팬(360)은 모두 사류팬(mixed flow fan)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은 제2송풍장치(20)의 구조만을 도시하고 제1송풍장치(10)의 구조는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제1송풍장치(10)의 내부에 구비된 제1송풍팬(160)도 사류팬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부면과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된 상태 즉, 유동 전환장치(30)가 상기 제1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유동 전환장치(30)의 측면패널(305)과 제2송풍장치(20)의 제2토출부(220)는 상기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2토출부(220)로부터 토출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는 측면패널(305)과 제2토출부(220)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즉, 벽면에 접근하여 분출된 기류가 그 면에 빨려서 부착하여 흐르는 경향을 갖는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에 의해서, 제2송풍팬(260)을 이용하여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송풍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는 제2케이스(200)의 내측벽에 인접하여 분출될 수 있으며, 이후 유동 전환장치(30)를 거치지 않고 제2토출부(220)를 통해 곧장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동 전환장치(30)의 내부에 구비된 구성요소들이 공기유동의 불필요한 저항요소로 작용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송풍장치(20)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풍속이 감소하지 않고 도달거리(blowing distance)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제2송풍장치(20)가 돌출부(280)를 더 포함하는 경우, 제2송풍장치(20)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풍속이 증가할 수도 있다.
도 9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 단면도들, 상면도들 및 입면도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9, 11, 14 및 18은 사시도들이고, 도 10 및 17은 단면도들이며, 도 12 및 15는 상면도들이고, 도 13 및 16은 입면도들이다. 이때, 도 9는 상기 공기청정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C 영역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며, 도 11 내지 도 18은 상기 공기청정기에 포함된 유로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 내지 도 18을 참조로 설명하는 공기청정기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공기청정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송풍장치(10, 20), 가이드부재(40) 및 유동 전환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송풍장치(10, 20)는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의 공기를 흡입하고 필터링한 후 송풍하도록 구비된 제1송풍장치(10), 및 제1송풍장치(1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며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공기를 흡입하고 필터링한 후 송풍하도록 구비된 제2송풍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송풍장치(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100), 제1케이스(100) 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1필터부재(130), 및 제1케이스(100) 내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1송풍팬(16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송풍장치(2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2케이스(200), 제2케이스(200) 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2필터부재(230), 및 제2케이스(200) 내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2송풍팬(2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케이스(100)의 측벽 상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1흡입부(110)가 형성될 수 있고, 제2케이스(200)의 측벽 상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2흡입부(2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송풍장치(10)의 상부면 상에는 외부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1토출부(120)가 형성될 수 있고,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 상에는 외부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2토출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송풍장치(10)는 제1케이스(100)의 내부에서 제1송풍팬(160)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송풍팬(160)으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유동면적을 조절하도록 마련된 제1유로 제어장치(17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유로 제어장치(170)는 제1송풍팬(160)과 제1토출부(120) 사이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면적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폐쇄시킴으로써, 제1송풍팬(160)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특정영역에 선택적으로 집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송풍장치(20)도 제2케이스(200)의 내부에서 제2송풍팬(260)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2송풍팬(260)으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유동면적을 조절하도록 마련된 제2유로 제어장치(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유로 제어장치는 제2송풍팬(260)과 제2토출부(220) 사이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면적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폐쇄시킴으로써, 제2송풍팬(160)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특정영역에 선택적으로 집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8은 제1송풍장치(10)에 포함된 제1유로 제어장치(170)만을 도시하고 있고, 제2송풍장치(20)에 포함된 상기 제2유로 제어장치는 도시하지 않고 있으나, 상기 제2유로 제어장치는 제1유로 제어장치(17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유로 제어장치(170)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제2송풍장치(20)에 포함된 상기 제2유로 제어장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유로 제어장치(170)는 제1송풍팬(16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실린더 형상을 갖도록 마련된 제1프레임(170a), 및 제1프레임(170a)의 상부면과 동일한 높이의 상부면을 갖도록 구비되며, 제1프레임(170a)으로부터 이격되어 제1프레임(170a)의 상부를 둘러싸는 링 형상을 갖도록 마련된 제2프레임(170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제1유로 제어장치(170)는 제1프레임(170a)과 제2프레임(170b) 사이에서 일단이 제1프레임(170a)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프레임(170b)에 고정되며, 제1프레임(170a)과 제2프레임(170b) 사이의 공간을 부분적으로 커버하도록 마련된 유로 제어패널, 및 제1프레임(170a)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유로 제어패널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유로 제어패널의 개폐를 유도하도록 마련된 유로 제어링크(18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프레임(170a)과 제2프레임(170b) 사이의 공간 중에서 상기 유로 제어패널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부분 상에 집중 공기유로(19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유로 제어장치(170)는 제1프레임(170a)의 내부에 구비되며 유로 제어링크(180)의 상승 및 하강을 구동하도록 마련된 제1구동부, 및 상기 제1프레임(170a)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1프레임(170a)의 회전을 구동하도록 마련된 제2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1프레임(170a) 내부의 공간 상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1모터(183), 제1모터(183)의 일 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회전하도록 구비된 제1축, 및 상기 제1축에 체결된 제1바퀴(184)를 포함할 수 있고, 유로 제어링크(180)의 내측벽 일부 상에는 상기 수직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레일(187)이 구비될 수 있으며, 유로 제어링크(180)는 제1바퀴(184)가 제1레일(187)에 맞물려 회전운동함으로써 상승하거나 하강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부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2모터(173), 제2모터(173)의 일 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회전하도록 구비된 제2축, 및 상기 제2축에 체결된 제2바퀴(174)를 포함할 수 있고, 제1케이스(100)의 내측벽 일부 상에는 지면에 수평한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레일(177)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1프레임(170a)은 제2바퀴(174)가 제2레일(177)에 맞물려 회전운동함으로써 제1케이스(100)의 내측벽을 따라 상기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유로 제어패널은 복수 개의 제어패널들(175), 및 각각의 제어패널들(175)을 관통하며 제어패널(175)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부재들(171)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의 관통부재(171)는 상기 수평 방향 을 따라 제2프레임(170b), 제어패널(175) 및 제1프레임(170a)을 차례로 관통하여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각의 제어패널들(175)은 사다리꼴의 윗변과 아랫변이 모두 라운드진 고리형 부채꼴(annulus sector)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제어패널들(175)은 함께 제1프레임(170a)과 제2프레임(170b) 사이의 공간을 부분적으로 채우도록 배열될 수 있다.
관통부재(171)는 상기 수평 방향을 따라 제1프레임(170a)을 관통하여 유로 제어링크(180)의 상부면 상에서 연장되다가, 상기 수평 방향과 다른 수평 방향을 따라 절곡되어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관통부재(171)는 상기 수평 방향들 중 제1방향을 따라 제1프레임(170a)을 관통하여 유로 제어링크(180)의 상부면 상에서 연장되다가, 상기 수평 방향들 중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관통부재(171)의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을 제1부분으로 지칭하기로 하며, 관통부재(171)의 상기 제2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부분을 제2부분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유로 제어링크(180)는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된 관통체결부(18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패널(175)로부터 제2프레임(170b)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관통부재(171)의 일단은 제2프레임(170b)에 체결될 수 있고, 제어패널(175)로부터 제1프레임(170a)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관통부재(171)의 타단은 관통체결부(181)를 관통하여 유로 제어링크(180)에 체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부에서 보았을 때, 유로 제어링크(180)는 제1프레임(170a)의 내측벽에 의해 둘러싸인 링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1프레임(170a)의 측벽은 유로 제어링크(18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2프레임(170b)은 제1프레임(170a)으로부터 이격된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유로 제어패널에 포함된 복수 개의 제어패널들(175)은 제1프레임(170a)과 제2프레임(170b) 사이의 공간 상에서 제1프레임(170a)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원주 방향으로 고르게 배치될 수 있으나, 제1프레임(170a)과 제2프레임(170b) 사이의 상기 공간 중 일부 공간 상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패널들(175)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상기 일부 공간 상에는 제1송풍팬(160)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집중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집중 공기유로(190)가 형성될 수 있다.
집중 공기유로(190)는 유로 제어링크(180)가 상기 제1구동부에 의해 상승하도록 제어되는 경우에만 형성되고, 유로 제어링크(180)가 상기 제1구동부에 의해 하강하도록 제어되는 경우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유로 제어링크(180)가 상승된 상태에서, 관통체결부(181)의 상부는 제1프레임(170a) 및 제2프레임(170b)보다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유로 제어링크(180)는 상기 제1구동부에 의해 하강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유로 제어패널이 개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구동부의 제1바퀴(184)가 유로 제어링크(180)의 내측면에 구비된 제1레일(187)에 맞물려 회전운동하여 유로 제어링크(180)가 하강하도록 제어되면, 유로 제어링크(180)의 상부면 상에 구비된 관통체결부(181)도 유로 제어링크(180)와 함께 하강하게 되며, 관통부재(171)의 관통체결부(181)에 체결된 부분 즉, 상기 제2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관통부재(171)의 상기 제2부분도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게 되고, 관통부재(171)의 상기 제2부분을 제외한 관통부재(171)의 나머지 부분 즉, 관통부재(171)의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제1부분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관통부재(171)의 상기 제1부분에 고정된 제어패널(175)도 관통부재(171)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제어패널들(175)이 각각 회전함에 따라 상기 유로 제어패널이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제1송풍팬(160)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제1프레임(170a)과 제2프레임(170b) 사이의 공간 중에서 집중 공기유로(190)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을 통해서도 이동될 수 있다.
도 16은 측부에서 보았을 때, 복수 개의 제어패널들(175)이 각각 제2프레임(170)과 수직하지 않은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개념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제어패널들(175)은 각각 제2프레임(170)과 수직한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될 수도 있다.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프레임(170a)의 하부면은 유로 제어링크(180)의 가장자리부분 및 제1레일(187)의 하부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개구부는 유로 제어링크(180)가 하강할 때, 상기 유로 제어링크(180)의 가장자리부분이 상기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1프레임(170a)의 하부면을 관통하는 부분일 수 있으며, 상기 제2개구부는 유로 제어링크(180)가 하강할 때, 상기 제1레일(187)의 하부가 상기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1프레임(170a)의 하부면을 관통하는 부분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유로 제어링크(180)가 하강된 상태에서, 관통체결부(181)의 하부는 제1프레임(170a)의 하부면보다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1레일(187)은 제1바퀴(184)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로 제어링크(180)의 상승 및 하강이 상기 제1구동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2레일(177)은 제2바퀴(174)에 맞물려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로 제어링크(180)의 상기 원주 방향으로의 회전이 상기 제2구동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프레임(170a)은 제1프레임(170a)의 하부면을 상기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3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구동부 및 제2바퀴(174)에 각각 체결된 상기 제2축은 상기 제3개구부를 따라서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3개구부는 제1프레임(170a) 하부면의 중심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제1프레임(170a)의 하부면을 부분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프레임(170a)이 상기 제2구동부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프레임(170a)에 고정된 상기 유로 제어패널의 타단도 상기 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집중 공기유로(190)도 상기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로 제어링크(180)가 상기 제1구동부에 의해 하강되면, 관통체결부(181)에 체결된 상기 관통부재(171)의 타단도 함께 하강되어 관통부재(171)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제어패널(175)이 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유로 제어패널이 개방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로 제어링크(180)가 상승하도록 제어되는 경우, 제1송풍팬(160)과 제1토출부(120) 사이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면적의 일부가 선택적으로 폐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송풍팬(160)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특정영역에 선택적으로 송풍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유로 제어링크(180)가 상기 제1구동부에 의해 상승되면, 관통체결부(181)에 체결된 상기 관통부재(171)의 타단도 함께 상승되어 관통부재(171)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제어패널(175)이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유로 제어패널이 폐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로 제어링크(180)가 하강하도록 제어되는 경우, 제1송풍팬(160)과 제1토출부(120) 사이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면적이 전체적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송풍팬(160)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모든영역에 걸쳐서 고르게 송풍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유로 제어패널(180)은 상기 제2구동부에 의해 제1케이스(100)의 내측벽을 따라 상기 원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집중 공기유로(190)도 상기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 및 단면도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19 및 20은 상기 공기청정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21, 22 및 23은 상기 공기청정기에 포함된 제1필터부재 및 제1청소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며, 도 24, 25 및 26은 각각 도 19의 D 영역에 대한 확대 사시도들이다.
도 19 내지 도 26을 참조로 설명하는 공기청정기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공기청정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송풍장치(10, 20), 가이드부재(40) 및 유동 전환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송풍장치(10, 20)는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의 공기를 흡입하고 필터링한 후 송풍하도록 구비된 제1송풍장치(10), 및 제1송풍장치(1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며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공기를 흡입하고 필터링한 후 송풍하도록 구비된 제2송풍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송풍장치(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100), 제1케이스(100) 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1필터부재(130), 및 제1케이스(100) 내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1송풍팬(16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송풍장치(2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2케이스(200), 제2케이스(200) 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2필터부재(230), 및 제2케이스(200) 내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2송풍팬(2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케이스(100)의 측벽 상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1흡입부(110)가 형성될 수 있고, 제2케이스(200)의 측벽 상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2흡입부(2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송풍장치(10)의 상부면 상에는 외부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1토출부(120)가 형성될 수 있고,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 상에는 외부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2토출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송풍장치(10)는 제1필터부재(13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1필터부재(130)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된 제3구동부, 및 제1필터부재(130)의 외측벽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마련된 제1청소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필터부재(130)는 상기 제3구동부에 의해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제1필터부재(130)의 외측벽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상기 제1청소부와 접촉되어 제거될 수 있다.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송풍장치(20)도 제2필터부재(23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2필터부재(230)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된 제4구동부, 및 제2필터부재(230)의 외측벽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마련된 제2청소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2필터부재(230)는 상기 제4구동부에 의해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제2필터부재(230)의 외측벽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상기 제2청소부와 접촉되어 제거될 수 있다.
제2송풍장치(20)에 포함된 상기 제4구동부 및 상기 제2청소부는 각각 제1송풍장치(10)에 포함된 상기 제3구동부 및 상기 제1청소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송풍장치(10)에 포함된 상기 제3구동부 및 상기 제1청소부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제2송풍장치(20)에 포함된 상기 제4구동부 및 상기 제2청소부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제1청소부는 제1케이스(100)의 측벽 일부를 구성하도록 구비된 제1집진패널(140), 및 제1집진패널(140)의 내측벽에 고정되어 제1필터부재(130)의 외측벽에 접촉하도록 구비된 제1청소모듈(145), 제1집진패널(140)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1관통부(149a), 및 제1관통부(149a)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의 외측벽 상에 구비된 개폐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구동부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3모터(131), 제3모터(131)의 일 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회전하도록 구비된 제3축, 및 상기 제3축에 체결된 제3바퀴(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필터부재(130)와 상기 제3구동부 사이에는 제1필터부재(13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1필터부재(13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하부 플레이트(125)가 구비될 수 있고, 제1하부 플레이트(125)의 하부에는 제1하부 플레이트(125)의 중심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3레일(133)이 구비될 수 있다. 제3바퀴(132)는 제3레일(133)에 맞물려 회전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필터부재(130)가 상기 제3구동부에 의해 제1회전 플레이트(125)의 내측벽을 따라 상기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을 함께 참조하면, 제1필터부재(130)의 상부에는 제1상부 플레이트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1필터부재(130)와 상기 제1상부 플레이트 사이에는 제1필터부재(130)가 회전할 때 발생하는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마련된 제1베어링(135)이 구비될 수 있다.
제1필터부재(130)가 상기 제3구동부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필터부재(130)의 외측벽에 부착된 이물질은 제1청소모듈(145)에 의해 탈착되어 제1관통부(149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관통부(149a)는 제1집진패널(140) 측벽의 중심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1청소모듈(145)은 상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양 단이 제1집진패널(140) 내측벽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되도록 구비된 제1청소부재(145a), 및 상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청소부재(145a)에 고정되도록 구비된 제2청소부재(145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청소부재(145a) 및 제2청소부재(145b)는 제1집진패널(140)로부터 제1필터부재(130)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청소부재(145a)는 제1필터부재(130)의 외측벽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2청소부재(145b)는 제1필터부재(130)의 외측벽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청소부재(145a)는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청소부재(145b)는 상대적으로 작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브러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집진패널(140)의 내측벽은 제1관통부(149a)를 향하여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청소모듈(145)은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집진패널(140)의 내측벽을 가로지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청소모듈(145)이 구비된 부분을 제외한 제1필터부재(130)와 제1집진패널(140) 내측벽 사이의 빈 공간은, 상기 제1필터부재(130)의 외측벽으로부터 제1청소모듈(145)을 통해 털어 내어진 이물질이 이동하는 공기유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케이스(100)는 제1관통부(149a)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여, 제1케이스(100)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마련된 제2관통부(149b)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관통부(149a) 및 제2관통부(149b)는 함께 제1관통홀(149)을 형성할 수 있다. 제2관통부(149b)는 제1관통부(149a)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1관통부(149a)와 제2관통부(149b) 사이에는 충격방지부(1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충격방지부(150)는 외부에서 청소장치가 제1관통홀(149)로 접근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탄성력을 갖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충격방지부(150)는 가운데 부분이 관통된 링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제2관통부(149b)보다는 작고 제1관통부(149a)보다는 크거나 같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충격방지부(150)는 외부의 청소장치를 인식할 수 있는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제3구동부가 작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22은 제3레일(133)의 내측벽을 도시하기 위해 제3바퀴(132)를 도시하지 않고, 도 23은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제3모터(131)를 도시하지 않고 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3바퀴(132)가 제3모터(131)의 상부에 체결되어 제1하부 플레이트(125)와 제3모터(131) 사이에 구비된 제3레일(133)을 따라 회전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도 24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제1케이스(100)의 외측벽 상에는 제1관통부(149a) 및 제2관통부(149b)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기 위한 제1개폐부(15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1개폐부(155)는 상기 제1케이스(100)의 외측벽 상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26은 제1개폐부(155)가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도 24는 제1개폐부(155)가 폐쇄된 것을 도시하고 있고, 도 25는 제1개폐부(155)가 개방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26은 제1개폐부(155)가 개방된 때 외부에서 청소장치를 이용하여 제1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된 제1필터부재(130)를 청소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구동부는 제1개폐부(155)가 개방된 상태에서만 구동되고, 제1개폐부(155)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구동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송풍장치(10)의 내부에 구비된 제1필터부재(130)는 하부에 배치된 상기 제3구동부에 의해 상기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제1필터부재(130)의 외측벽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마련된 제1청소모듈(145)을 통해 상기 제1필터부재(130)의 외측벽에 부착된 이물질이 탈착되게 될 수 있다. 이후, 제1송풍장치(10)의 외부에 마련된 청소장치를 사용하여 제1필터부재(130)로부터 탈착된 이물질들이 제1관통홀(149)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청정기(1)의 사용자는 제1송풍장치(10)의 내부에 구비된 제1필터부재(130)를 탈착하지 않고도 손쉽게 청소할 수 있다.
도 27 내지 도 3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 단면도들 및 배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7은 상기 공기청정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8 내지 도 34는 도 27의 E 영역에 대한 확대 단면도들 및 확대 배면도이다. 이때, 도 28 내지 도 34는 상기 공기청정기에 포함된 유동 전환장치 및 가이드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7 내지 도 34를 참조로 설명하는 공기청정기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공기청정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송풍장치(10, 20), 가이드부재(40) 및 유동 전환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송풍장치(10, 20)는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의 공기를 흡입하고 필터링한 후 송풍하도록 구비된 제1송풍장치(10), 및 제1송풍장치(1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며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공기를 흡입하고 필터링한 후 송풍하도록 구비된 제2송풍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송풍장치(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100), 제1케이스(100) 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1필터부재(130), 및 제1케이스(100) 내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1송풍팬(16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송풍장치(2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2케이스(200), 제2케이스(200) 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2필터부재(230), 및 제2케이스(200) 내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2송풍팬(260)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동 전환장치(30)는 제2송풍장치(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송풍장치(20)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흡입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40)는 일 측이 제2송풍장치(20)의 내부로 인입되고, 다른 일 측이 유동 전환장치(30)에 연결되도록 마련되어, 유동 전환장치(30)의 상태 천이를 유도하기 위해 제2송풍장치(2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가이드부재(40)의 인출 정도에 따라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부면과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이 이루는 각도가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유동 전환장치(30)는 가이드부재(40)의 동작에 따라,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부면이 상기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1위치, 상기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부면이 상기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2위치, 및 상기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부면이 상기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3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8 및 도 29는 유동 전환장치(30)가 상기 제1위치에 배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 가이드부재(40)는 외관을 형성하고, 일 측이 제2송풍장치(2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구비되며,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으로부터 인출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외부 하우징(400), 및 일 측이 외부 하우징(400)의 내부로 인입되고 다른 일 측이 유동 전환장치(30)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외부 하우징(400)의 제2송풍장치(2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구비된 상기 일 측과 다른 일 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내부 하우징(405)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400)은 내부 하우징(405)을 둘러싸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외부 하우징(400)은 전체적으로 굽은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내부 하우징(405)은 상기 외부 하우징(400)의 기둥 형상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하우징(400)의 기둥 형상은 상부면이 개방되도록 구비되어, 내부 하우징(405)이 외부 하우징(40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혹은 상기 개방된 외부 하우징(400)의 상부면으로부터 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부면과 상기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이 이루는 각도는 외부 하우징(400)이 제2송풍장치(20)로부터 인출된 정도에 따라 일차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으며, 내부 하우징(405)이 외부 하우징(400)으로부터 인출된 정도에 따라 추가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유동 전환장치(30)가 상기 제1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외부 하우징(400)은 제2송풍장치(20)의 내부로 인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가이드부재(40)는 제2송풍장치(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 하우징(400)의 외부면에 인접하도록 구비된 제4구동부(420), 및 내부 하우징(405)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 하우징(400)의 내부면에 인접하도록 구비된 제5구동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4구동부(420)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4모터(421), 제4모터(421)의 일 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회전하도록 구비된 제4축(423), 및 제4축(423)에 체결된 제4바퀴(42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5구동부(430)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5모터(431), 제5모터(431)의 일 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회전하도록 구비된 제5축(433), 및 제5축(433)에 체결된 제5바퀴(4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9 및 도 34를 함께 참조하면, 외부 하우징(400)은 외부 하우징(400)의 외부면을 길이 방향(longitudinal direction)으로 횡단하도록 구비된 제1가이드레일(410a), 및 외부 하우징(400)의 내부면을 상기 길이 방향으로 횡단하도록 구비된 제2가이드레일(41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레일(410a) 및 제2가이드레일(410b)은 각각 외부 하우징(400)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의 가운데 부분에서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가이드레일(410a) 및 제2가이드레일(410b)은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함께 가이드레일(41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9 및 도 34를 함께 참조하면, 내부 하우징(405)은 내부 하우징(405)의 외부면을 상기 길이 방향으로 횡단하도록 구비된 트렌치(407), 및 트렌치(407)의 일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4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렌치(407)는 상기 내부 하우징의 외부면으로부터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2가이드레일(410b)이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 하우징(400)의 내부면 상에 형성된 제2가이드레일(410b)은 내부 하우징(405)의 외부면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이때 내부 하우징(405)의 외부면으로부터 함몰된 형상을 갖는 트렌치(407)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내부 하우징(405)이 제2가이드레일(410b)에 걸리지 않고 외부 하우징(400)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제4개구부는 다각형 형상 및/또는 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4구동부(430)의 제4바퀴(435)가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4바퀴(435)는 상기 제4개구부를 통해 상기 외부 하우징(400)의 내부면 상에 형성된 제2가이드레일(410b)에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4바퀴(435)가 회전운동함에 따라 내부 하우징(405)이 외부 하우징(400)으로부터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4개구부는 유동 전환장치(30)에 연결된 상기 내부 하우징(405)의 다른 일 측에 비해, 외부 하우징(400)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내부 하우징(405)의 일 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송풍장치(20)의 내부에 구비된 제4바퀴(425)는 제1가이드레일(410a)에 맞물려 회전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내부 하우징(405)의 내부에 구비된 제5바퀴(435)는 제2가이드레일(410b)에 맞물려 회전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5바퀴(435)는 유동 전환장치(30)에 연결된 상기 내부 하우징(405)의 다른 일 측에 비해, 외부 하우징(400)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내부 하우징(405)의 일 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0 및 도 31은 유동 전환장치(30)가 상기 제2위치에 배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면, 유동 전환장치(30)는 제4구동부(420)에 포함된 제4바퀴(425)의 회전 운동을 통해 상기 제1위치 내지 상기 제2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5구동부(430)에 포함된 제5바퀴(435)는 회전 운동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하우징(400)은 제4바퀴(425)의 회전 운동에 의해 제2송풍장치(2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상기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동 전환장치(30)가 상기 제1위치 내지 상기 제2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4바퀴(425)가 제1가이드레일(410a)에 맞물려 일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외부 하우징(400)이 상기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유동 전환장치(30)의 위치도 상승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제4바퀴(425)가 제1가이드레일(410a)에 맞물려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외부 하우징(400)이 상기 제2송풍장치(2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유동 전환장치(30)의 위치도 하강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5바퀴(435)는 유동 전환장치(30)가 상기 제2위치에 배치되기 이전에는 회전 운동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유동 전환장치(30)가 상기 제2위치에 배치된 이후에만 회전 운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유동 전환장치(30)가 상기 제2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외부 하우징(400)은 제2송풍장치(20)로부터 인출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나, 내부 하우징(405)은 외부 하우징(400)의 내부로 인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2 내지 도 34는 유동 전환장치(30)가 상기 제3위치에 배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32 내지 도 34를 참조하면, 유동 전환장치(30)는 제5구동부(430)에 포함된 제5바퀴(435)의 회전 운동을 통해 상기 제2위치 내지 상기 제3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 하우징(405)은 제5바퀴(435)의 회전 운동에 의해 외부 하우징(40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외부 하우징(400)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동 전환장치(30)가 상기 제2위치 내지 상기 제3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5바퀴(435)가 상기 제4개구부를 통해 제2가이드레일(410b)에 맞물려 상기 일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내부 하우징(405)이 외부 하우징(400)의 상기 다른 일 측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유동 전환장치(30)의 위치도 상승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제5바퀴(435)가 상기 제4개구부를 통해 제2가이드레일(410b)에 맞물려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내부 하우징(405)이 상기 외부 하우징(40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유동 전환장치(30)의 위치도 하강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유동 전환장치(30)가 상기 제3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외부 하우징(400)은 제2송풍장치(20)로부터 인출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내부 하우징(405)도 외부 하우징(400)로부터 인출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송풍장치(10, 20), 가이드부재(40) 및 유동 전환장치(30)를 포함할 수 있고, 가이드부재(40)는 송풍장치(10, 2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송풍장치(10, 20)의 상부면으로부터 인출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외부 하우징(400), 및 외부 하우징(40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외부 하우징(400)으로부터 인출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내부 하우징(40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부면과 송풍장치(10, 20)의 상부면이 이루는 각도는 외부 하우징(400)이 송풍장치(20)로부터 인출되어 이동함에 따라 일차적으로 상승될 수 있으며, 내부 하우징(405)이 외부 하우징(400)으로부터 인출되어 이동함에 따라 더 상승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부면이 상기 송풍장치(10, 20)의 상부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므로, 송풍장치(20)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유동 전환장치(30)를 통해 보다 먼 거리까지 송풍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공기청정기 10: 제1송풍장치
20: 제2송풍장치 30: 유동 전환장치
40: 가이드부재 100: 제1케이스
105: 제1베이스 110: 제1흡입부
120: 제1토출부 200: 제2케이스
205: 제2베이스 210: 제2흡입부
220: 제2토출부 300: 전방케이스
305: 측면패널 320: 토출그릴
500: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15)

  1.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측부에 마련된 흡입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마련된 필터부재,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필터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링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된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마련된 토출부를 포함하는 송풍장치;
    상기 토출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흡입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도록 마련된 유동 전환장치; 및
    상기 송풍장치와 상기 유동 전환장치 사이에서 일 측이 상기 송풍장치에 연결되고 다른 일 측이 상기 유동 전환장치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유동 전환장치의 상태 천이를 유도하도록 마련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 전환장치의 상부면과 상기 송풍장치의 상부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유동 전환장치와 상기 송풍장치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송풍장치의 토출부로부터 토출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유동 전환장치의 외측벽을 따라 상기 유동 전환장치와 상기 송풍장치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전환장치는,
    외관을 형성하고, 후방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며, 하부에 구비된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흡입하도록 마련된 흡입그릴을 포함하는 후방케이스;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후방케이스에 결합되어 전방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흡입그릴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된 토출그릴을 포함하는 전방케이스; 및
    상기 전방케이스와 상기 후방케이스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흡입그릴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토출그릴을 통해 토출되도록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흡입그릴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상기 후방케이스의 나머지 부분은 공기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차폐된 구조로 이루어진 공기청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전환장치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동작에 따라, 상기 유동 전환장치의 상부면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위치인 제1위치, 및 상기 유동 전환장치의 상부면이 상기 지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위치인 제2위치에 놓이도록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유동 전환장치가 상기 제1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케이스의 측벽은 상기 송풍장치의 측벽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케이스는 후방면을 커버하는 후면패널, 및 상기 후면패널로부터 상기 전방케이스까지 연장되어 후방 측면을 커버하는 측면패널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후면패널은 상기 흡입그릴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비된 공기청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패널은 하부에 배치된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폐된 구조를 갖도록 구비되어,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상기 흡입그릴을 통해서만 상기 유동 전환장치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구비되는 공기청정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장치의 측벽은 상기 후면패널에 대해 수직한 기울기를 갖도록 구비되고, 그리고
    상기 측면패널은 상기 후면패널에 대해 경사진 기울기를 갖도록 구비된 공기청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패널의 하부면 및 상부면은 각각 링 형상을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측면패널의 하부면이 갖는 원주(circumference)는 상기 측면패널의 상부면이 갖는 원주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구비되는 공기청정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패널의 외측벽은 굴곡진 형상을 갖도록 구비된 공기청정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패널과 상기 측면패널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측면패널은 상기 전방케이스와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된 공기청정기.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전환장치가 상기 제1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패널의 외측벽은 상기 전방케이스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토출부로부터 멀어지도록 구비된 공기청정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전환장치가 상기 제1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토출부는 상기 유동 전환장치의 후면그릴에 의해 부분적으로 커버되도록 구비된 공기청정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전환장치가 상기 제1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송풍장치의 토출부로부터 토출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측면패널의 외측벽을 따라 외부로 토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송풍장치의 토출부로부터 토출된 공기 중 나머지 일부는 상기 후면그릴을 통해 상기 유동 전환장치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구비되는 공기청정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토출부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송풍장치의 내측벽을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키기 위해 마련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송풍장치의 내측벽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갖는 공기청정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장치는 지면에 수직한 수직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의 공기를 필터링하여 송풍하도록 구비된 제1송풍장치; 및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공기를 필터링하여 송풍하도록 구비된 제2송풍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제1송풍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 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1필터부재; 및 상기 제1케이스 내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1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2송풍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2케이스; 상기 제2케이스 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2필터부재; 및 상기 제2케이스 내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2송풍팬;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유동 전환장치는 상기 제2송풍장치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공기청정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전환장치의 송풍팬은 제3송풍팬이고, 그리고
    상기 제1송풍팬, 상기 제2송풍팬 및 상기 제3송풍팬은 모두 사류팬(mixed flow fan)으로 구비되는 공기청정기.
KR1020200039392A 2020-03-31 2020-03-31 공기청정기 KR202101219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392A KR20210121931A (ko) 2020-03-31 2020-03-31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392A KR20210121931A (ko) 2020-03-31 2020-03-31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931A true KR20210121931A (ko) 2021-10-08

Family

ID=78116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392A KR20210121931A (ko) 2020-03-31 2020-03-31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19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5299B1 (ko) 에어 워셔
CN104204683B (zh) 空气净化设备
KR102665025B1 (ko) 공기청정기
KR101874419B1 (ko) 공기정화장치
KR20200058826A (ko) 공기청정기
JP2007303770A (ja) 空気調和装置
US20210395044A1 (en) Elevator having function of removing dust adhered to object aboard
KR20020062558A (ko) 사이클론식 청소기
KR102000499B1 (ko) 주방용 레인지 후드
KR20210121932A (ko) 공기청정기
JP4983531B2 (ja) 空気清浄機
KR20210121928A (ko) 공기청정기
CN109595630A (zh) 一种吸油烟机
KR20210121931A (ko) 공기청정기
KR20210121930A (ko) 공기청정기
KR20210121929A (ko) 공기청정기
KR101833162B1 (ko) 연속 필터청소기능이 구비된 집진장치
KR102437763B1 (ko) 탑승체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CN1673629A (zh) 风幕吸排油烟的方法以及采用该方法的吸排油烟机
CN1241519C (zh) 旋风式吸尘器
JPH11344243A (ja) エアーシャワー装置
CN2821426Y (zh) 风幕吸排油烟机
CN207214200U (zh) 一种吸油烟机
CN206214016U (zh) 吸尘器的地刷组件和具有其的吸尘器
KR102639773B1 (ko)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