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1782A - 적재면적 가변형 수지 팰릿 - Google Patents

적재면적 가변형 수지 팰릿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1782A
KR20210121782A KR1020200039069A KR20200039069A KR20210121782A KR 20210121782 A KR20210121782 A KR 20210121782A KR 1020200039069 A KR1020200039069 A KR 1020200039069A KR 20200039069 A KR20200039069 A KR 20200039069A KR 20210121782 A KR20210121782 A KR 20210121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ard
fastening
expansion board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0054B1 (ko
Inventor
이이원
황정이
Original Assignee
이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이원 filed Critical 이이원
Priority to KR1020200039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054B1/ko
Publication of KR20210121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 B65D19/0006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14Materials for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034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5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 B65D2519/00557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out separate auxiliary elements
    • B65D2519/00567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out separate auxiliary elements mechanical connection, e.g. snap-fit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741Dimensional aspects of the pallet
    • B65D2519/00761Dimensional aspects of the pallet the surface being variable, e.g. extendable pall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 운반시 사용되며 적재면적이 가변될 수 있는 수지 팰릿에 관한 것이다. 가변형 수지 팰릿은 주체결홈이 상면 주연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장방형 베이스 보드; 및 가로폭(AW)이 상기 베이스 보드의 가로폭(SW)과 동일하고, 상기 주체결홈에 결합되는 제1 주체결돌기가 가로폭의 측면 상단을 따라 구비된 장방형 제1 확장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주체결돌기는 상기 주체결홈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수용되는 형태로 삽입되되, 상기 베이스 보드의 상면과 제1 확장 보드의 상면이 동일 높이에 위치되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선택적으로 가로폭(BW)이 상기 베이스 보드의 세로폭(SH)과 상기 제1 확장 보드의 세로폭(AH)의 2배의 합과 동일한 장방형 제2 확장 보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1 확장 보드는 그 세로폭(AH)의 측면 상단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갖는 부체결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확장 보드는 그 가로폭(HW)의 측면 상단을 따라 제2 주체결돌기 및 부체결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주체결돌기 및 부체결돌기는 상기 주체결홈 및 부체결홈 각각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적재면적 가변형 수지 팰릿{LOAD AREA ADJUSTABLE RESIN PALLET}
본 발명은 화물 운반시 사용되는 수지 팰릿(pallet)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재면적이 가변될 수 있는 팰릿에 관한 것이다.
팰릿(pallet)은 지게차 등을 사용해서 하역 운반할 때 화물을 일정한 수량 단위로 쌓을 수 있는 운반대, 짐대 또는 깔판을 말한다. 이러한 팰릿(pallet)은 인력하역을 줄이고 기계하역으로 전환하는 유효한 수단이며 작업을 표준화 또는 모듈화하기에 유리하기에 널리 이용되고 있고, 화물의 종류, 하역기구나 장치 및 작업방법 등에 따라 다양한 재질, 형식이 있다.
통상적으로 팰릿의 재질로는 내구성이 우수하고 비용이 저렴한 합성수지(플라스틱) 재질이 이용되며, 이러한 수지 팰릿은 금형을 이용해 사출 생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수지 팰릿은 미리 정해진 용도 및 규격에 따라 각각의 금형을 별도로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다품종 소량 생산에 적용시 경제성이 떨어진다. 종래 팰릿에 대한 다품종 소량 생산의 경우 주로 목재(wood) 또는 금속재(metal) 판재를 절단 및 조립하여 제작되고 있으나, 작업이 번거롭고 제작 시간 및 인건비가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목재의 경우 습기에 의한 부패로 위생 및 오염의 문제와 함께 부스러기의 발생으로 청결을 요하는 작업환경에는 적합하지 않고, 금속재의 경우 제작 비용이 고가이다.
이에 목재 및 금속재 팰릿 대비 갖는 장점을 유지하면서도, 수지 재질에서 용도 및 규격에 따라 각각의 금형을 별도 제작해야 하는 문제를 개선하여 다품종 소량 생산에도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적재 면적 내지 치수를 가변시킬 수 있는 팰릿에 대한 요구가 있어 왔다. 이를 위해 슬라이딩이나 별도 부재를 탈부착하는 다양한 방식의 가변형 팰릿이 제안되고 있으나 부가되는 부품 요소의 너무 많아 팰릿을 확장하는 것 자체에 대한 작업성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어 이를 개선할 필요성은 상존하고 있다.
한편 사용 후 빈 팰릿은 적재되어 보관되거나 다른 장소로 운반되는데, 적재된 팰릿이 미끄러져 떨어질 경우 현장 안전이 문제되거나 제품이 손상될 위험이 있고 또한 보관이나 운반시 적재부피가 너무 커서 불편하고 취급하기 어려워 이를 개선할 필요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 요소를 최소화하여 조립 작업성이 개선되고, 조립 후 견고성이 우수한 적재면적 가변형 수지 팰릿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관 및 운반시 안정성이 제고되고, 적재부피가 최소화된 가변형 수지 팰릿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해결과제와 관련된 본 발명의 요지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아래의 내용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수지 팰릿은 주체결홈이 상면 주연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장방형 베이스 보드; 및 가로폭(AW)이 상기 베이스 보드의 가로폭(SW)과 동일하고, 상기 주체결홈에 결합되는 제1 주체결돌기가 가로폭의 측면 상단을 따라 구비된 장방형 제1 확장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주체결돌기는 상기 주체결홈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수용되는 형태로 삽입되되, 상기 베이스 보드의 상면과 제1 확장 보드의 상면이 동일 높이에 위치되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체결홈 및 제1 주체결돌기는 평면 T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주체결홈에는 단턱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주체결돌기에는 상기 단턱부에 걸려지는 단차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주체결홈과 상기 제1 주체결돌기에는 한쌍의 체결공이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직결 피스가 팰릿의 높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보드 및 상기 제1 확장 보드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테이퍼진 복수의 중공형 각부가 각각의 보드 전체 면적에 걸쳐 구비되어, 상하 적층되는 가변형 수지 팰릿 상호간에 있어서 각부가 상호 끼워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가로폭(BW)이 상기 베이스 보드의 세로폭(SH)과 상기 제1 확장 보드의 세로폭(AH)의 2배의 합과 동일한 장방형 제2 확장 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확장 보드는 그 세로폭(AH)의 측면 상단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갖는 부체결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확장 보드는 그 가로폭(HW)의 측면 상단을 따라 제2 주체결돌기 및 부체결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주체결돌기 및 부체결돌기는 상기 주체결홈 및 부체결홈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확장 보드에 구비된 제2 주체결돌기 및 부체결돌기와, 이들에 각각 결합되는 상기 베이스 보드의 주체결홈 및 상기 제1 확장 보드의 부체결홈은 평면 T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보드의 주체결홈 및 상기 제1 확장 보드의 부체결홈에는 단턱부가 구비되고, 이들에 각각 결합되는 상기 제2 확장 보드의 제2 주체결돌기 및 부체결돌기에는 상기 단턱부에 걸려지는 단차부가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보드의 주체결홈과 상기 제2 확장 보드의 제2 주체결돌기에는 한쌍의 체결공이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직결피스가 팰릿의 높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제1 확장보드의 부체결홈과 상기 제2 확장 보드의 부체결돌기에도 한쌍의 체결공이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직결피스가 팰릿의 높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확장 보드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테이퍼진 복수의 중공형 각부가 보드 전체 면적에 걸쳐 구비되어, 상하 적층되는 가변형 수지 팰릿 상호간에 있어서 각부가 상호 끼워 고정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수지 팰릿은 본체 베이스 보드와 제1 확장 보드 및 제2 확장 보드로 부품 요소를 최소화한 상태에서 체결홈 및 체결돌기를 이용해 부품 보드간 체결 구조를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함으로써, 확장 작업에 대한 작업성 및 확장된 팰릿의 견고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형 수지 팰릿은 적층시 중공형 각부를 이용한 끼움 방식을 도입하여, 복수의 팰릿을 최소 부피로 서로 슬립되지 않게 적재함으로써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고 현장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수지 팰릿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가변형 수지 팰릿의 평면도 및 좌우 측면도.
도 3은 도 1의 가변형 수지 팰릿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보드의 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확장 보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확장 보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 보드와 확장 보드 간 결합 방식에 관한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수지 팰릿의 적층 상태 사시도.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도면에서 동일 또는 균등물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수지 팰릿(10)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가변형 수지 팰릿(10)의 평면도 및 좌우 측면도, 도 3은 도 1의 가변형 수지 팰릿(10)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보드(100)의 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확장 보드(200)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확장 보드(300)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 보드(100)와 확장 보드 간 결합 방식에 관한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수지 팰릿(10)의 적층 상태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1 내지 도 3을 참조할 때, 가변형 수지 팰릿(10)(이하, '팰릿(10)'으로 약칭함)은 베이스 보드(100) 및 제1 확장 보드(200)를 포함하고, 제2 확장 보드(300)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베이스 보드(100)는 팰릿(10)의 본체 요소이고, 도 5의 제1 확장보드와 도 6의 제2 확장 보드(300)는 장방형 베이스 보드(100)에 필요에 따라 탈부착되어 팰릿(10)의 적재면적을 가변시키기 위한 확장 요소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제1 확장 보드(200)와 제2 확장 보드(300)는 대접되는 베이스 보드(100)와의 관계에서 그 가로폭의 크기 및 결합방식과 관련하여 구분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상 확장 보드의 용어는 제1, 제2로 각각 명명하기로 한다.
상기 베이스 보드(100)는 팰릿(10) 몸체에 해당되는 중앙 보드이며, 평면 사각 형상으로 가로폭(SW) 및 세로폭(SH)이 동일한 정방형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양 폭이 다른 장방형도 가능하다. 제1 확장 보드(200)는 팰릿(10)의 측부에 결합되는 사이드 보드이며, 그 가로폭(AW)이 장방형 베이스 보드(100)의 어느 하나의 가로폭(SW) 또는 세로폭(SH)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이러한 베이스 보드(100) 및 제1 확장 보드(200)는 중량 대비 높은 강성을 갖도록 적재 면적을 기준으로 균일 대칭적으로 살빼기된 형태가 바람직하다.
먼저 도 7을 참조하여 베이스 보드(100)와 제1 확장 보드(200) 간 결합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베이스 보드(100)의 상면 주연에는 복수의 주체결홈(110)이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며, 이에 대응해 제1 확장 보드(200)에는 제1 주체결돌기(210)가 구비된다. 주체결홈(110)과 제1 주체결돌기(210)의 계합에 의해, 베이스 보드(100)와 제1 확장 보드(200)가 결합 고정된다.
상기 주체결홈(110)은 상방만이 개방된 구조로서, 하방에는 바닥부(112)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주체결홈(110)에 결합되는 제1 확장 보드(200)의 제1 주체결돌기(210)는 주체결홈(110)의 상방으로부터 삽입되어 바닥부(1112)에 의해 멈춰질 수 있다. 이 경우 주체결홈(110)의 깊이와 제1 주체결돌기(210)의 두께를 조절하여 조립 후 베이스 보드(100)의 상면과 제1 확장 보드(200)의 상면이 동일 높이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보드 간 조립 경계에서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체결홈(110)은 평면 T 형상이고, 이에 대응하여 제1 주체결돌기(210)도 평면 T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주체결홈(110)과 제1 주체결돌기(210) 간에 견고한 결속이 가능하고, 베이스 보드(100)와 제1 확장 모드 간 이탈이 억제된다.
상기 주체결홈(110)의 바닥부(112)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단턱부(116)가 구비되며, 이에 대응하여 제1 주체결돌기(210)에는 이러한 단턱부(116)에 걸려지는 단차부(216)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주체결홈(110)과 제1 주체결돌기(210) 간에 보다 견고한 결속이 가능하고, 제1 주체결돌기(210)는 주체결홈(110)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그 유동 및 이탈이 보다 확실히 억제된다.
한편 본 발명의 팰릿(10)에 있어서, 웬만한 외력이 있더라도 상술한 주체결홈(110)과 제1 주체결돌기(210)의 독특한 형상 결합만으로도 베이스 보드(100)에 제1 확장 보드(200)가 결합되어 확장된 팰릿(10) 형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지만, 이러한 확장된 팰릿(10)의 형태 유지를 보완하기 위해 직결 피스(400)를 이용한 보드 간 결합력을 보완하는 방안이 선택적으로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체결홈(110)의 바닥부(112) 중앙에는 체결공(114)이 형성되고, 제1 주체결돌기(210)에도 이에 대응하여 체결공(214)이 형성된다. 주체결홈(110)과 제1 주체결돌기(210) 간에 형성된 한쌍의 체결공(114, 214)을 매개로 직결 피스(400)가 결합된다. 이 경우 직결 피스(400)는 팰릿(10) 높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되기 때문에, 직결 피스(400)의 고정 작업은 작업 공간이 충분히 확보된 상태에서 팰릿(10) 상방향으로부터 쉽게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베이스 보드(100)와 제1 확장 보드(200)가 결합된 상태의 팰릿(10)의 보관 및 운반을 위해 적층되는 경우에 있어서 그 적층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팰릿(10)은 중공형 각부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고, 중공형 각부는 빈 팰릿(10)의 보관 및 운반의 편의성 관점에서 고려된다. 이러한 중공형 각부는 베이스 보드(100) 및 제1 확장 보드(200) 각각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테이퍼진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각각의 보드 전체 면적에 걸쳐 균일하게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보드(100)의 중공형 각부(130, 140)는 보드 하면 중앙에 하나의 중앙 각부(130)와 보드 하면 주연을 따라 복수의 주연 각부(140)의 2 종류로 구비됨으로써 보드 전체 면적에 걸쳐 균일 대칭적으로 구비된 것을 예시되어 있다. 이 경우 중앙 각부(130) 및 주연 각부(140) 모두 테이퍼진 형태이고 중공부(132, 142)가 구비되며, 팰릿(10) 적층시 상하 베이스 보드(100) 상호간에 중공형 각부가 상호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확장 보드(200)의 중공형 각부(230)는 베이스 보드(100)의 중공형 각부(130, 140)와 마찬가지로 하방으로 테이퍼진 형태이고 중공부(232)가 구비되어 적층시 제1 확장 보드(200) 상호간에 끼워질 수 있는 보조 각부로서, 설명 및 구별의 편의상 그 용어는 제1 보조 각부(230)로 명명하였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확장 보드(200)의 중공형 각부는 보드 하면에서 가로폭(AW) 방향으로 일측 주연을 따라 복수의 제1 보조 각부(230)가 일정한 간격으로 균일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다만 실시예에서 제1 보조 각부(230)가 상대적으로 좁은 제1 확장 보드(200)의 세로폭(AH)을 고려해 가로폭 방향으로 일렬로만 구비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적용되는 제1 확장 보드(200)의 세로폭(AH) 규격이 증가하면 이에 따라 함께 증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베이스 보드(100)와 제1 확장 보드(200)가 결합된 형태의 팰릿(10)이 상호 적층하게 되면, 각각의 보드에 구비된 중공형 각부(130, 140, 230)가 상호 끼워짐으로써 확장된 팰릿(10)의 경우에도 팰릿(10)을 최소 부피로 서로 슬립되지 않게 적층함으로써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고 현장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중공형 각부(130, 140, 230)는 베이스 보드(100)와 제1 확장 보드(200)의 하면을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함으로써 지게차 등의 포크가 그 사이에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시키는 역할도 한다.
상술한 제1 확장 보드(200)를 이용한 팰릿(10)의 적재 면?Ю? 가변시키는 방식은 베이스 보드(100)의 어느 일방향으로 수행되는 예를 나타내고, 이 경우 제1 확장 보드(200)의 가로폭(AW)은 베이스 보드(100)의 가로폭(SW) 또는 세로폭(SH)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확장 보드(300)를 이용해 베이스 보드(100)의 다른 일방향으로 적재 면적을 추가 확장하는 방안이 가능하다. 즉 베이스 보드(100)를 중심으로 제1 확장 보드(200)에 의해 적재 면적이 가변되는 방향과 수직 내지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2 확장 보드(300)를 베이스 보드(100) 및 제1 확장 보드(200)에 탈부착시킴으로써 베이스 보드(100)의 다른 일방으로 적재 면적을 추가 확장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확장 보드(300)는 베이스 보드(100) 및 제1 확장 보드(200)에 동시에 결합되고, 제1 확장 보드(200)가 미리 결합된 상태에서 제2 확장 보드(300)가 추가 결합됨으로써 전체 팰릿(10)은 서로 교차하는 2방향으로 적재 면적이 추가 확장된 장방형을 이루게 된다. 이를 위해 제2 확장 보드(300)는 베이스 보드(100)의 다른쪽 가로폭(SW) 또는 세로폭(SH)에 결합되는 동시에 베이스 보드(100)에 이미 결합된 제1 확장 보드(200)의 노출된 세로폭(AH)에 결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2 확장 보드(300)의 가로폭(BW)은 상기 베이스 보드(100)의 세로폭(SH)과 상기 제1 확장 보드(200)의 세로폭(AH)의 2배의 합과 동일해야 한다.
상기 제2 확장 보드(300)는 베이스 보드(100) 및 제1 확장 보드(200) 간 결합을 위해 그 가로폭(HW)의 측면 상단을 따라 제2 주체결돌기(310) 및 부체결돌기(320)를 구비한다. 제2 확장 보드(300)의 제2 주체결돌기(310)는 제1 확장 보드(200)가 결합되지 않은 베이스 보드(100)의 다른쪽 가로폭(SW) 또는 세로폭(SH)에 구비된 주체결홈(110)에 결합된다. 제2 확장 보드(300)의 부체결돌기(320)는 제1 확장 보드(200)의 세로폭(AH)의 측면 상단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가지며 구비된 부체결홈(220)에 결합된다.
이 경우, 제2 확장 보드(300)의 제2 주체결돌기(310) 및 부체결돌기(320)가 베이스 보드(100)의 주체결홈(110)과 제1 확장 보드(200)의 부체결홈(220)에 각각 결합되는 방식 및 구조는, 상술한 제1 확장 보드(200)의 제1 주체결돌기(210)가 베이스 보드(100)의 주체결홈(110)에 설명한 방식 및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즉, 제2 주체결돌기(310) 및 부체결돌기(320)의 형상 및 구조는 앞서 제1 부체결돌기(320)와 동일할 수 있고, 부체결홈(220)의 형상 및 구조는 앞서 주체결홈(110)의 형상 및 구조와 동일할 수 있으며, 직결피스(400)를 이용한 결합 보강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확장 보드(200)의 부체결홈(220)에는 바닥부(222), 체결공(224), 단턱부(226)이 구비될 수 있고, 제2 확장 보드(300)의 제2 주체결돌기(310)에는 체결공(314), 단차부(316)가 구비될 수 있고, 제2 확장 보드(300)의 부체결돌기(320)에도 체결공(324), 단차부(326)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확장 보드(300)의 경우에도 앞서 베이스 보드(100) 및 제1 확장 보드(200)와 마찬가지로 결합된 상태의 팰릿(10)의 보관 및 운반에 관련되는 중공형 각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확장 보드(300)에 구비되는 보조 각부(330)는 앞서 베이스 보드(100) 및 제1 확장 보드(200)와 유사하게 중공부(332)를 구비하며 설명 및 구별의 편의상 제2 보조 각부(330)로 명명되었다. 실시예에 제2 보조 각부(330)는 제1 확장 보드(200)와 유사하게 보드 하면에서 가로폭(BW) 방향으로 일측 주연을 따라 복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균일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며, 실시예에서 제2 보조 각부(330)가 상대적으로 좁은 제2 확장 보드(300)의 세로폭(BH)을 고려해 가로폭 방향으로 일렬로만 구비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적용되는 제2 확장 보드(300)의 세로폭(BH) 규격이 증가하면 이에 따라 함께 증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수지 팰릿(10)은 제1 확장 보드(200) 및 제2 확장 보드(300)를 이용하여 일방향 또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팰릿(10)의 적재 면적을 가변시킬 수 있고, 본체 베이스 보드(100)와 제1 확장 보드(200) 및 제2 확장 보드(300)로 부품 요소를 최소화한 상태에서 체결홈(110, 220) 및 체결돌기(210, 310, 320)를 이용해 부품 보드간 체결 구조를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함으로써, 확장 작업에 대한 작업성 및 확장된 팰릿(10)의 견고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형 수지 팰릿(10)은 적층시 중공형 각부를 이용한 끼움 방식을 도입하여, 복수의 팰릿(10)을 최소 부피로 서로 슬립되지 않게 적재함으로써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고 현장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는 설명의 목적으로 개시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아니하고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베이스 보드, 제1 확장 보드, 제2 확장 보드 간 결합을 위해 제공되는 체결홈 및 체결돌기는 그 형성 위치가 실시예와 다르게 반대편 보드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모든 수정과 변경은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개시된 발명의 범위 또는 이들의 균등물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10: 가변형 수지 팰릿
100: 베이스 보드
110: 주체결홈
112: 바닥부
114: 체결공
116: 단턱부
130: 중앙 각부
132: 중공부
140: 주연 각부
142: 중공부
SW: 가로폭
SH: 세로폭
200: 제1 확장 보드
210: 제1 주체결돌기
214: 체결공
216: 단차부
220: 부체결홈
222: 바닥부
224: 체결공
226: 단턱부
230: 제1 보조 각부
232: 중공부
AW: 가로폭
AH: 세로폭
300: 제2 확장 보드
310: 제2 주체결돌기
314: 체결공
316: 단차부
320: 부체결돌기
324: 체결공
326: 단차부
330: 제2 보조 각부
332: 중공부
BW: 가로폭
BH: 세로폭
400: 직결 피스

Claims (10)

  1. 주체결홈이 상면 주연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장방형 베이스 보드; 및 가로폭(AW)이 상기 베이스 보드의 가로폭(SW)과 동일하고, 상기 주체결홈에 결합되는 제1 주체결돌기가 가로폭의 측면 상단을 따라 구비된 장방형 제1 확장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주체결돌기는 상기 주체결홈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수용되는 형태로 삽입되되, 상기 베이스 보드의 상면과 제1 확장 보드의 상면이 동일 높이에 위치되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수지 팰릿.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체결홈 및 제1 주체결돌기는 평면 T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수지 팰릿.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체결홈에는 단턱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주체결돌기에는 상기 단턱부에 걸려지는 단차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수지 팰릿.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체결홈과 상기 제1 주체결돌기에는 한쌍의 체결공이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직결 피스가 팰릿의 높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수지 팰릿.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보드 및 상기 제1 확장 보드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테이퍼진 복수의 중공형 각부가 각각의 보드 전체 면적에 걸쳐 구비되어, 상하 적층되는 가변형 수지 팰릿 상호간에 있어서 각부가 상호 끼워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수지 팰릿.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로폭(BW)이 상기 베이스 보드의 세로폭(SH)과 상기 제1 확장 보드의 세로폭(AH)의 2배의 합과 동일한 장방형 제2 확장 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확장 보드는 그 세로폭(AH)의 측면 상단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갖는 부체결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확장 보드는 그 가로폭(HW)의 측면 상단을 따라 제2 주체결돌기 및 부체결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주체결돌기 및 부체결돌기는 상기 주체결홈 및 부체결홈 각각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수지 팰릿.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확장 보드에 구비된 제2 주체결돌기 및 부체결돌기와, 이들에 각각 결합되는 상기 베이스 보드의 주체결홈 및 상기 제1 확장 보드의 부체결홈은 평면 T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수지 팰릿.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보드의 주체결홈 및 상기 제1 확장 보드의 부체결홈에는 단턱부가 구비되고, 이들에 각각 결합되는 상기 제2 확장 보드의 제2 주체결돌기 및 부체결돌기에는 상기 단턱부에 걸려지는 단차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수지 팰릿.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보드의 주체결홈과 상기 제2 확장 보드의 제2 주체결돌기에는 한쌍의 체결공이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직결피스가 팰릿의 높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제1 확장보드의 부체결홈과 상기 제2 확장 보드의 부체결돌기에도 한쌍의 체결공이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직결피스가 팰릿의 높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수지 팰릿.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확장 보드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테이퍼진 복수의 중공형 각부가 보드 전체 면적에 걸쳐 구비되어, 상하 적층되는 가변형 수지 팰릿 상호간에 있어서 각부가 상호 끼워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수지 팰릿.
KR1020200039069A 2020-03-31 2020-03-31 적재면적 가변형 수지 팰릿 KR102410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069A KR102410054B1 (ko) 2020-03-31 2020-03-31 적재면적 가변형 수지 팰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069A KR102410054B1 (ko) 2020-03-31 2020-03-31 적재면적 가변형 수지 팰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782A true KR20210121782A (ko) 2021-10-08
KR102410054B1 KR102410054B1 (ko) 2022-06-15

Family

ID=78115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069A KR102410054B1 (ko) 2020-03-31 2020-03-31 적재면적 가변형 수지 팰릿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00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378A1 (ko) * 2021-11-30 2023-06-08 (주)알포터 사이즈 가변형 조립식 팔레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31595A1 (en) * 1997-01-21 1998-07-23 Leigh Coddington Modular pallet structure
KR20060039152A (ko) * 2004-11-02 2006-05-08 박일동 적재면적 가변 파렛트
KR20160147328A (ko) * 2015-06-15 2016-12-23 박규남 조립식 파렛트
WO2017023163A1 (en) * 2015-08-06 2017-02-09 Yap Swee Wun Modular pallet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31595A1 (en) * 1997-01-21 1998-07-23 Leigh Coddington Modular pallet structure
KR20060039152A (ko) * 2004-11-02 2006-05-08 박일동 적재면적 가변 파렛트
KR20160147328A (ko) * 2015-06-15 2016-12-23 박규남 조립식 파렛트
WO2017023163A1 (en) * 2015-08-06 2017-02-09 Yap Swee Wun Modular pallet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378A1 (ko) * 2021-11-30 2023-06-08 (주)알포터 사이즈 가변형 조립식 팔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0054B1 (ko) 202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94241A (en) Removable stacking frame assembly for pallets
US4424753A (en) Pallet of composite construction
US2828933A (en) Pallet tiering frames
US2709559A (en) Disposable pallet
US20150158629A1 (en) Transport Pallet
US7334529B1 (en) Metal support base
US20040134390A1 (en) Nestable pallet
US4635562A (en) Sidewall assembly for tote box
US5269455A (en) Socket
JPH04267736A (ja) 組立式フォークリフト用パレット
US3557719A (en) Paperboard pallet assembly
CA2331563A1 (en) Recyclable, heavy duty, lightweight, moisture resistant corrugated pallet
KR102410054B1 (ko) 적재면적 가변형 수지 팰릿
US3113532A (en) Pallet
EP0305082A1 (en) Pallets
US2950078A (en) Skid-pallet combination
US9527625B1 (en) Pallet support block and a pallet constructed with pallet support blocks
US20030233963A1 (en) Central pallet connector or post for use with grabber arms of a forklift
US20100206200A1 (en) Pallet system
US5109986A (en) Pallet box container
CN208915688U (zh) 方便装卸挪移的木制托盘
JP6833559B2 (ja) パレット
CA2656668A1 (en) Top cap
KR200304141Y1 (ko) 종이 파레트
JP4318351B2 (ja) 搬送用パレ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