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1176A - 전기활성 렌즈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전기활성 렌즈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1176A
KR20210121176A KR1020217027507A KR20217027507A KR20210121176A KR 20210121176 A KR20210121176 A KR 20210121176A KR 1020217027507 A KR1020217027507 A KR 1020217027507A KR 20217027507 A KR20217027507 A KR 20217027507A KR 20210121176 A KR20210121176 A KR 20210121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onductive
foil
plug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7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필립 에켈스
바우터 뵈스텐보르그
스메트 엘레 더
Original Assignee
모로우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로우 엔.브이. filed Critical 모로우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210121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1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2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position or the direction of light beams, i.e. defl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1Ophthalmic lenses with variable focal length
    • G02C7/083Electrooptic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06Circuit arrangements or driving methods for the control of single liquid crystal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6Lenses, e.g. microlenses or Fresnel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2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position or the direction of light beams, i.e. deflection
    • G02F1/294Variable focal length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16Laminated or compoun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20Diffractive and Fresnel lenses or lens por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전기활성 렌즈, 그 제조 방법, 및 적어도 하나의 전기활성 렌즈를 포함하는 안경에 관한 것으로, 전기활성 렌즈는 적어도 3 개의 요소의 스택을 형성하고, 여기서:
제 1 투명체는 제 1 광축을 갖는 제 1 렌즈 요소이고,
제 2 투명체는 제 2 광축을 갖는 제 2 렌즈 요소이고;
제 1 투명체와 제 2 투명체 사이에 개재된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은 제 1 투명 전극, 제 2 투명 전극, 및 이들 사이에 광학 기기를 형성하는 프레넬 렌즈 및 액정 재료를 포함하고, 제 1 투명 전극 및 제 2 투명 전극은 단자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전환가능 렌즈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압을 받아들이도록 구성된다.
제 1 도전성 플러그 및 제 2 도전성 플러그는, 프레넬 렌즈의 광축으로부터 제 1 도전성 플러그 및 제 2 도전성 플러그까지 연장하는 반경방향의 선들이 서로 120 도 미만, 바람직하게는 90 도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60 도 미만의 각도를 이루도록, 프레넬 렌즈의 광축에 대해 배치된다.

Description

전기활성 렌즈 어셈블리
본 개시는 제 1 투명 전극을 갖는 제 1 기판, 제 2 투명 전극을 갖는 제 2 기판, 이 투명 전극들 사이의 프레넬 렌즈(Fresnel lens) 및 액정 재료를 포함하는 렌즈 포일(lens foil)에 관한 것으로, 투명 전극들, 프레넬 렌즈 및 액정 재료는 광학 기기를 형성하고, 이 광학 기기는 광학 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서 광축을 갖는다.
본 개시는 또한 제 1 투명체, 제 2 투명체 및 렌즈 포일을 포함하는 적어도 3 개의 요소의 스택을 형성하는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제 1 투명체 상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 상에 제 2 투명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는 또한 얻어지는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 및 적어도 하나의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을 포함하는 안경에 관한 것이다.
안과용 렌즈는 특정 사용자에게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된 제품이고, 이 렌즈는 사용 중에 사용자의 동공의 전방에 광학 중심이 배치되도록 안경의 프레임에 끼워맞춰지도록 성형된다. 안과용 렌즈의 배치 정확도는 누진 렌즈에서 특히 중요하고, 이중초점 렌즈의 경우에는 덜 중요하다. 안경에 매립된 한정된 크기의 전환가능 렌즈를 포함하는 전자 안경의 경우, 전환가능 렌즈의 중심이 안경의 착용자의 동공의 위치에 대해 정확하게 배치되는 것이 본질이다. 따라서, 모든 안경은 전환가능 렌즈의 중심의 높이 및 횡방향 위치의 둘 모두에 대해 착용자에 대해 커스터마이징되어야 한다.
이러한 단점에 대처하기 위해, EP 2 405 295 A1은 복합 렌즈 어셈블리를 개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전기활성 렌즈가 제 1 유리 및 제 2 유리 또는 플라스틱 기판 사이에 존재한다. 이 유닛은 또한 렌즈 또는 렌즈 하프(half)로서 적절히 구성된 2 개의 추가의 투명체 사이에 존재한다. 접점은 이들 기판 중 하나를 통해 연장하고, 유닛의 외면에 조립된 드라이버 칩까지 연장된다. 또한, 패턴화된 도전층이 이 외면 상에 존재한다. 추가의 접촉 패드가 동일한 도전층에 형성되고, 유닛으로부터 이격된 횡방향으로 배터리의 대향측 접점까지 연장하는 단자 와이어를 접속하는 데 사용된다. 복합 렌즈 어셈블리를 안경에 통합하기 위해, 에징(edging), 즉 렌즈 어셈블리가 안경에 끼워맞춰지도록 연부의 재료를 제거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 출원은 2 개의 투명체가 렌즈 유닛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거나 추가의 스페이서가 렌즈 유닛의 횡방향에 존재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 출원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기활성 렌즈는 편광 의존성 네마틱 액정(nematic liquid crystal) 또는 콜레스테릭 결정(cholesteric crystal)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복굴절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 2 개의 유닛을 적층시켜야 하며 90 도의 각도로 배향시켜야 한다. 후자의 경우, 단 하나의 유닛만이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 특허 출원은 전환가능 렌즈 유닛에의 신뢰할 수 있는 접촉을 확립하는 방법을 특정하고 있지 않다. 상기 출원의 도 1에는 다수의 수직 상호접속부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이러한 비어가 불투명하고, 따라서 안경 사용자의 시야를 방해한다는 단점이 있다. 렌즈 유닛의 표면 상의 드라이버 칩의 존재는 더욱 방해가 된다. 그러나 기술적 문제는 원하는 광학 효과를 생성하기 위해 패턴화된 전극에 대해 여러 가지 전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상기 특허 출원의 단락 [0038]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필요한 접점의 수를 줄이기 위해 페이즈 래핑(phase wrapping)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것도 드라이버를 단순화시키지는 않는다. 따라서, 복수의 비어가 여전히 필요하다는 것을 예상해야 한다.
개선된 렌즈 유닛이 EP 3 255 479 A1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 렌즈 유닛은 프레넬 렌즈를 포함한다. 이것에 의해 전기 접속의 수가 적은 렌즈 유닛을 설계할 수 있다. 또한, 폴리머 기판을 사용하여 렌즈 유닛을 원하는 대로 구부릴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 출원은 렌즈 유닛을 안경에 통합하는 것에 관한 어떤 정보도 제공하지 않는다. 이는 효과적인 통합 방식이 전반적으로 비용을 낮추기 때문에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는 안경의 디자인에 열광하고, 효과적인 통합 방법은 안경 디자이너에게 더 많은 설계의 자유를 부여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제 1 목적은 렌즈 레이아웃의 고도의 맞춤제작성이 가능하고 접점에 대하여 신뢰할 수 있는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추가의 목적은 바람직하게는 안과 업계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기기 및 기술에 의존하면서도 렌즈 레이아웃의 고도의 맞춤제작성이 가능한 이러한 렌즈 시스템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추가의 목적은 이러한 렌즈 시스템의 제조에 적합한 개선된 렌즈 포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제 1 투명 전극을 갖는 제 1 기판, 제 2 투명 전극을 갖는 제 2 기판, 이 투명 전극들 사이의 프레넬 렌즈 및 액정 재료를 포함하는 렌즈 포일이 제공되며, 투명 전극들, 프레넬 렌즈 및 액정 재료는 광학 기기를 형성하고, 이 광학 기기는 광학 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서 광축을 갖는다. 여기서 렌즈 포일은 이 렌즈 포일을 통해 연장하는 제 1 도전성 플러그 및 제 2 도전성 플러그를 더 포함하며, 제 1 도전성 플러그 및 제 2 도전성 플러그는, 프레넬 렌즈의 광축으로부터 제 1 도전성 플러그 및 제 2 도전성 플러그까지 연장하는 반경방향의 선들이 서로 120 도 미만, 바람직하게는 90 도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60 도 미만의 각도를 이루도록, 프레넬 렌즈의 광축에 대해 배치된다.
본 개시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본 개시의 제 1 렌즈 포일 및 제 2 렌즈 포일의 스택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제 3 양태에 따르면,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의 제조 방법이 제공되며, 이 렌즈 시스템은 적어도 3 개의 요소의 스택을 형성하고, 이 스택은 본 개시에 따른 제 1 투명체, 제 2 투명체 및 렌즈 포일 또는 렌즈 포일들의 스택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1) 제 1 투명체 상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을 제공하는 단계; (2)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 상에 제 2 투명체를 제공하는 단계; (3) 제 1 도전성 플러그 및 제 2 도전성 플러그의 플러그 축선에 적어도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표면을 생성하는 단계, (4) 상기 도전성 플러그의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표면에 직접 접촉하는 보조 도전성 재료를 덧대는 단계, 및 (5) 상기 보조 도전성 재료에 접속되는 광학 기기의 작동을 위해 전압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도전성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제 4 양태에 따르면,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렌즈 시스템은 적어도 3 개의 요소의 스택을 형성하고, 렌즈 포일 또는 렌즈 포일들의 스택이 제 1 투명체와 제 2 투명체 사이에 개재되고, 도전성 플러그는 투명 전극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플러그 축선을 가지며, 도전성 플러그의 각각에는 플러그 축선에 적어도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축방향 표면이 제공되고, 축방향 표면에서 도전성 플러그는 각각 스택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도전성 요소에 접속되는 보조 도전성 재료와 접촉한다.
제 5 양태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을 포함하는 안경이 제공된다.
본 개시는 서두의 단락에서 언급된 유형의 렌즈 포일의 렌즈 시스템에의 효과적인 통합을 용이화하는 것이다. 축방향으로 (즉 투명 전극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도전성 플러그(34)가 사용된다. 이 방법의 렌즈 포일 또는 전기활성 렌즈의 외면 상에 추가의 도전층을 덧대지 않고, 렌즈 포일에 형성된 도전성 플러그의 축방향 표면을 이용하여 렌즈 시스템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보조 도전성 재료에의 접촉을 확립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 축방향 표면이, 예를 들면,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였다. 또한, 도전성 플러그는 이곳에 구멍을 형성하도록 및/또는 이러한 축방향 표면을 노출시키기 위해 횡방향으로 접촉하도록 충분히 크다. 또한, 본 개시의 전술한 양태에 따르면, 도전성 플러그는 프레넬 렌즈와 동일한 측면에 배치된다. 다시 말하면 도전성 플러그에 대한 광축에의 반경방향의 선은 서로 120 도 미만, 바람직하게는 90 도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60 도 미만의 각도를 이룬다. 이러한 상기 측면 상의 배치는 안경 내의 긴 배선의 필요성을 제거한다. 하나의 구현형태에서, 이러한 와이어(즉, 도전성 요소)는 플렉서블 회로와 같은 단일의 커넥터 디바이스에 통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제 1 렌즈 포일 및 제 2 렌즈 포일의 스택은 제 1 투명체와 제 2 투명체 사이에 존재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렌즈 포일의 액정 재료는 네마틱 액정 재료이고, 제 1 렌즈 포일 및 제 2 렌즈 포일의 광학 기기는 복굴절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 90 도의 각도를 이룬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일의 광학 기기의 편광 의존성은 제 2 광학 기기에 의해 교정된다. 이러한 구현형태는 렌즈 포일과 투명체 렌즈의 둘 모두가 형성되는 안경을 제작하는 데 적합하다. 대안적으로, 선글라스의 경우, 단일의 렌즈 포일로 충분하며, 이 선글라스의 편광체를 사용하여 광학 기기의 복굴절의 영향을 제거한다.
렌즈 포일들의 스택의 특정의 일 실시형태에서, 제 1 렌즈 포일 및 제 2 렌즈 포일은 두 렌즈 포일의 제 1 도전성 플러그의 플러그 축선이 정렬되도록 서로 조립된다. 추가의 일 구현형태에서, 플러그 축선은, 예를 들면,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더 접속될 수 있다. 이 구현형태는 제조에 유리한 것으로 보인다. 제 1 렌즈 포일 및 제 2 렌즈 포일의 스택의 중심에 있는 전극층은 하나의 도전성 플러그를 통해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광학 기기의 전극층을 다른 광학 기기의 전극층에 대해 전기적으로 확실하게 분리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두 렌즈 포일의 제 2 도전성 플러그의 플러그 축선도 정렬될 수 있고,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전기활성 렌즈가 교류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입력 전극과 출력 전극 사이에 실제적인 구별이 없다. 이 구현형태는 또한 도전성 플러그가 조합되어 단일의 광학 기기로서 제 1 광학 기기 및 제 2 광학 기기의 스택의 구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로 인해 도전성 플러그의 수가 최소로 감소되고, 따라서 시각적 영향이 최소화된다.
추가의 일 구현형태에서, 도전성 플러그는 제 1 렌즈 포일 및 제 2 렌즈 포일의 적층 후에 만들어진다. 이로 인해 도전성 재료로 채워지는 구멍의 수가 감소되고, 이는 제조 비용의 면에서 유리하다.
이 방법의 유리한 일 실시형태에서, 렌즈 하프와 같은 투명체의 렌즈 요소 및 렌즈 포일 내의 광학 기기는 완전한 정렬 없이 또는 보다 정확하게 배치되며, 이 렌즈 포일의 광축은 제 1 렌즈 요소 및 제 2 렌즈 요소의 공통 광축과는 구별된다. 이 실시형태는 렌즈 포일의 모듈성 및 방법을 사용하고, 그 축방향 표면을 구비한 도전성 플러그는 렌즈 시스템의 조립 후에 효과적인 접촉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접근법으로 인해 고도로 커스터마이징될 수 있는 모듈 방식으로 활성 안경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의 배후에 있는 방법론은 시판되는 안과용 기기를 사용하여 제조된 렌즈 하프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특정의 일 실시형태에서, 제 1 렌즈 요소 및 제 2 렌즈 요소는 일반적인 디자인을 사용하여 제조되고, 렌즈 시스템이 프레임 또는 의도된 안경의 형상에 끼워맞춰지도록 조립 프로세스 중에만 커스터마이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전성 플러그에의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이러한 렌즈 요소 내에 개구부를 생성할 필요가 있다. 밀링, 드릴링, 삭마, 에칭 또는 그 자체로 공지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제거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의 밀링은 안과 업계에서 통상적인 설비 및 수순을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따라서, 바람직한 일 구현형태에서, 이 방법은 전기활성 렌즈가 끼워맞춤될 프레임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에 대응하는 컷 아웃 영역의 외주를 따라 제 1 렌즈 포일, 제 2 렌즈 포일 및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을 밀링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이것은 상이한 레벨에서의 조립을 용이화하는 것에 더하여 전기활성 렌즈(즉, 렌즈 포일)을 포함하는 안경의 구성요소의 수리 및 교환을 용이화한다는 것이 관찰된다. 예를 들면, 유리, 프레임, 및/또는 전자장치는 쉽게 교환 및 교체될 수 있다. 또한, 축방향 표면에의 고정식 접촉이 공지된 접근법보다 더 신뢰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자들의 통찰이다. 이러한 고정식 접촉은 기계적 진동 및 습기의 오염의 영향을 덜 받는다. 따라서, 이 접촉은 신뢰할 수 있고, 렌즈 포일의 제조자의 제어 외에 있는 다양한 조립 조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방법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축방향 표면은 제 1 렌즈 요소 및 제 2 렌즈 요소 중 적어도 하나 및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을 통해 수직으로, 또는 횡방향으로, 즉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을 통해 횡방향으로, 또한 임의로(그러나 전형적으로) 제 1 투명체 및 제 2 투명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부분적으로 생성된다. 생성된 개구부 또는 구멍은 상기 축방향 표면을 노출시키고, 보조 도전성 재료를 상기 축방향 표면에 덧댈 수 있다.
구멍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실시형태에서, 도전성 액체 또는 페이스트를 구멍에 가하여 제 1 투명체 또는 제 2 투명체의 외측에 있는 와이어 또는 플렉서블 회로 등의 추가의 도전성 요소에 접속을 생성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생각된다. 적어도 하나의 투명체 및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을 통해 한번에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보이지만, 투명체 내의 구멍을 렌즈 포일(들)의 구멍과 별개로 만드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투명체 내의 구멍은 렌즈 포일을 통한 구멍과 다른 형상(원뿔대 등) 또는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렌즈 포일을 투명체와 조립하기 전에 투명체를 통해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멍이 횡방향으로 제공되는 실시형태에서, 와이어 또는 플렉서블 회로를 구멍 내에 조립하여 도전성 접착제에 의하여 도전성 플러그에의 접촉을 확립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횡방향 구멍을 도전성 접착제 등의 도전성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것이 배제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횡방향 구멍 또는 개구부는 상기 도전성 요소가 그 내부로 연장되는 도체 채널을 구성할 수 있다. 개구부는 원형 단면 또는 타원형 단면을 갖는 실질적으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이 개구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뿔대와 같은 형상일 수 있다. 도전성 플러그까지의 거리와 함께 직경이 증가하는 형상은 도전성 요소의 조립을 용이화하는 데 유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개구부는 도전성 플러그의 플러그 축선에 대해 30-150 도, 바람직하게는 60-120, 심지어 75-105 도 범위의 각도를 포함하는 배향을 가질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구부는 제 1 투명체 및 제 2 투명체의 노출된 주면(main face)을 통해 연장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경사진 배향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경사진 각도는 렌즈 포일에 대해 시스템의 외측에 있는 도전성 요소의 원하는 위치의 관점에서 유리할 수 있다. 완전을 기하기 위해, 이러한 개구부 또는 도체 채널은 주로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에만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 관찰된다. 그러나, 렌즈 포일 및 도전성 요소의 예측되는 치수의 관점에서, 개구부는 대부분의 실시형태에서 투명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도 연장된다.
명확성을 위해, '투명 전극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는 수직이지만 임의의 제조 공차로 인해 정확한 수직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배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관찰된다. 도전성 플러그가 접속되는 투명 전극이 평면이 아닌 경우, 이는 도전성 플러그의 영역에서 투명 전극의 배향과 관련된다. '플러그 축선에 적어도 대체로 평행'이라는 용어는 상기 플러그 축선에 대해 최대 30 도의 각도를 이루는 배향과 관련된다. 축방향 표면은 플러그 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또는 플러그 축선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구멍을 제공함으로써 생성되는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멍이 특정의 경사진 배향으로 제공되어 최대 30 도의 각도를 이루는 것이 배제되지는 않는다. '반경방향 위치'라는 용어는 본 출원의 맥락에서 투명 전극에 평행한 평면 내에 있는 위치를 지칭한다. '제 1 렌즈 요소' 및 '제 2 렌즈 요소'라는 용어는 본 출원의 맥락에서 별개의 렌즈를 지칭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협동적 렌즈 요소이다. 이러한 협동적 렌즈 요소는 렌즈 하프로도 알려져 있다. 투명체는 바람직하게는 렌즈 하프를 구성하는 것으로 관찰된다. 그러나, 투명체 중 적어도 하나가 광학적 기능을 갖지 않는 바디(또는 플레이트)일 수 있다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이는 안경의 굴절광학(dioptrics)에 의존한다. '도전성 요소'라는 용어는 렌즈 시스템의 외측까지 연장하는 임의의 접촉 요소를 지칭한다. 이 도전성 요소는 그 외측에 접촉 패드를 구비할 수 있으나, 대안적으로 렌즈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도전성 회로 상의 단지 팁 또는 접촉 패드를 구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것은 본 출원의 맥락에서 단자로도 지칭된다. 렌즈 포일의 광축에 관하여,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은, 바람직하게는, 그 상태(온 또는 오프)의 하나에서 렌즈 시스템의 광 파워에 실질적으로 기여하지 않는 것이 관찰된다. 그러므로, 이 광축은 구조적으로 프레넬 렌즈의 중심으로서 정의된다. '조정(tuning)'이라는 용어는 2 개 이상의 요소의 상대적 배향에 관련하는 것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의 광축이 제 1 렌즈 요소 및 제 2 렌즈 요소의 제 1 광축 및/또는 제 2 광축에 대해 어떻게 배향/정렬되는가. 렌즈 포일의 광축은 공통 광축에 평행하게 배향될 수 있으나,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라는 것이 관찰된다. 예를 들면, 렌즈 포일을 컷 아웃함으로써 다양한 배향이 달성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해, '전기활성 렌즈', '광학적으로 전환가능한 렌즈' 및 '튜닝가능한 렌즈'라는 용어는 본 개시의 맥락에서 '광학 기기'의 대용으로서 사용된다는 것이 관찰된다. 또한, 본 출원의 맥락에서, '반경방향'이라는 용어는 프레넬 렌즈의 광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방향에 대해 사용된다. '반경방향'의 더 구체적인 구현형태는 '횡방향'이며, 이는 렌즈 포일 및/또는 렌즈 시스템의 측면 또는 측면을 향하는 배향을 정의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방법은 전기활성 렌즈가 끼워맞춤되는 프레임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컷 아웃 영역의 외주를 따라 제 1 투명체 및 제 2 투명체 및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을 절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정렬은 제 1 투명체, 제 2 투명체(즉, 제 1 렌즈 요소 및 제 2 렌즈 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정렬 요소 및 대응하는 정렬 구멍을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제 1 투명체 및 제 2 투명체 및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 내의 정렬 구멍은 각각 컷 아웃 영역의 외측, 즉, 안경 프레임 또는 유리의 원하는 형상에 부합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컷 아웃되어야 하는 렌즈 시스템의 영역의 외측에 있는 각각의 제 1 투명체, 제 2 투명체 및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의 일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정렬 구멍이 완성된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의 완성 전에 제거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정렬 구멍은 완성된 전기활성 렌즈에 영향을 미칠 수 없다. 정렬 구멍은 특히, 예를 들면,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을 사용하여 배치되며, 이는 정확도에 기여한다. 적어도 하나의 정렬 요소는, 예를 들면, 정렬 구멍 내에 삽입되는 정렬 핀(pin)이다.
정렬 구멍을 사용하는 대신 정렬 마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정렬 마크는 제조 중에, 예를 들면, 제 1 투명체 및 제 2 투명체에 형상을 제공함과 동시에 요소 내에 형성되는 광학 구조이다. 도전성 플러그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활성 렌즈의 광축 사이에 표준화된 거리를 지정함으로써 도전성 플러그 중 적어도 하나를 정렬 마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정렬 마크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선택된 영여 내의 투명 전극층 상에 적용된) 도전층 내의 패턴으로서, 또는 컷 아웃 영역의 외측의 횡방향 영역 내의 보조 도전성 플러그로서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 내에 생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렌즈 요소를 모든 방향으로 확실하게 정렬하기 위해 복수의 정렬된 구멍 또는 정렬 마크가 제공된다. 예를 들면, 2 개의 정렬 구멍 또는 정렬 마크를 사용하면 반경방향의 정렬과 반경방향 평면 내의 (즉, 투명 전극과 평행한) 다른 요소에 대한 일 요소의 각도가 고정된다. 임의로, 축방향은 일 요소에 (축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른 요소에 의해 고정된다.
제 1 렌즈 포일, 제 2 렌즈 포일 및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의 올바른 상호 정렬은 이와 같이 사용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통 광축은, 사용자가 무한원(infinity)을 보고 있을 때, 안경 사용자의 눈의 동공 위치에 대응한다.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 내의 광학 기기의 광축은, 사용자가 사용자의 눈의 노안의 교정을 필요로 하는 위치에 있는 안경 사용자의 눈의 동공 위치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조정가능 렌즈를 읽기 전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축선은 눈의 수렴을 보상하기 위해 사용자의 동공 거리에서 2 내지 4 mm를 뺀 위치에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수직방향으로, 이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프레임 내에서 가능한 낮게 설정된다.
렌즈 포일은, 바람직하게는, 제 1 투명 전극 상에 제공되어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 1 도전층, 및 제 2 투명 전극 상에 제공되어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 2 도전층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도전층 및/또는 제 2 도전층은 렌즈의 축방향으로 각각 제 1 투명 전극 및/또는 제 2 투명 전극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다. 전극 상에 제공되는 추가의 도전층으로 인해 모듈형 디자인 선택지가 제공되면서 신뢰할 수 있는 전기적 접속이 얻어질 수 있다. 특히, 도전층은 도전성 플러그와의 계면을 갖는다. 상기 계면의 계면 영역은 적절한 접촉, 즉 허용가능한 낮은 접촉 저항 및 양호한 신뢰성을 갖는 접촉을 보장하기에 충분히 크다. 복수의 광학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각각의 전극에는 각각의 도전층이 제공된다.
적절하게는, 도체 층은 전형적으로 또는 완전히 불투명하므로 프레넬 렌즈가 존재하는 기능 영역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체 층은 복수의 패턴으로 패턴화되며, 각각은 (예를 들면, 도전성 플러그의 크기에 비해) 비교적 작은 표면적을 갖는다. 따라서, 불투명 도전층의 시각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체 층의 패턴의 형상은 추가의 디자인 및 최적화에 개방되어 있다. 도전층은 각각의 도전성 영역 상의 일 영역에서 신장되고 및/또는 재발(recurrent)될 수 있다. 도전층은 하나 이상의 하위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도전층의 전체 표면적을 비교적 큰 표면적으로 유지하면서 렌즈 스택 상에 미치는 시각적 영향을 최소화한다. 그 결과, 도전성 플러그를 형성하는 천공이 도전층을 통과하지 않고 만들어질 우려가 상당히 저감된다. 하나 이상의 하위 요소는, 시각적 영향이 비교적 작은 한(즉, 렌즈 스택의 축방향에 수직인 평면에서 비교적 작은 치수를 갖는 한), 예를 들면, 복수의 링, 줄무늬 패턴, 메시형 패턴, 반복 패턴 등일 수 있다. 도전성 패턴의 예는 본 출원인 명의의 공개되지 않은 출원 제 PCT/EP2018/082445 호에 설명되어 있으며, 이 출원은 원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제 2 투명 전극 및/또는 제 1 투명 전극의 일부는 제 1 도전성 플러그 및/또는 제 2 도전성 플러그의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제거될 수 있다. 도전성 플러그가 접속되는 전극에 대향하는 전극의 일부를 제거하면 전극들 사이의 원하지 않는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도전성 플러그가 전극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영역에서 대향 전극에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추가의 전기적 차단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적 차단은, 예를 들면, 전극에 결합된 도전성 플러그 부근의 대향 전극의 일부가 대향 전극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격리되도록 대향 전극의 경계선을 에칭하여 제거된 것일 수 있다.
렌즈 포일은 광학 기기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는 압력이 전기활성 렌즈 상에 그 축방향으로 가해지는 비제한적인 예시적 상황에서와 같은 다양한 상황 하에서 광학 기기의 전극들 사이에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하나의 구현형태에서, 프레넬 렌즈와 대향 전극 사이에 페이서가 제공된다. 스페이서는, 바람직하게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프레넬 렌즈는 전형적으로 복수의 동심 구조를 포함하므로, 시각 방해가 최소화되는 장소에 스페이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렌즈 포일은 프레넬 렌즈 및 액정 재료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전기 절연 재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액체 또는 페이스트의 형태로 제공되는 액정 재료를 위한 튜브로서도 구성된다. 이러한 전기 절연 재료는 스페이서로서 사용하도록 구성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필수가 아니다. 바람직한 구현형태에서, 전기 절연 재료는 시각적 영향을 가능한 많이 저감시키기 위해 프레넬 렌즈와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는 광학 기기의 내부 용적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전기 절연 재료는 하나 이상의 도전성 플러그를 배치할 수 있는 접속 영역 내로 연장할 수 있고, 도전층(이것이 존재하는 경우)을 피복할 수 있다. 이 재료는 기능 영역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재료일 수 있고, 프레넬 렌즈 구조와 동시에 퇴적될 수 있으나, 대안적으로는 별개로 퇴적되는 재료일 수 있다. 전기활성 렌즈의 제조 방법은 원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되는 EP3255479A1에 기재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은 가요성이고 폴리머 재료로 만들어진다. 더 바람직하게는, 프레넬 렌즈 구조 및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 내의 임의의 전기 절연 재료는 또한 폴리머 재료를 함유한다. 전기활성 렌즈가 광학적으로 투명하다는 것을 강하게 요구함에도 불구하고, 그 중에 용해되거나 분산된 충전재 및/또는 첨가제는 제외되지 않는다. 위에서 언급한 출원 EP3255479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은 그 전체가 열가소성일 수 있고, 이는 제 1 렌즈 요소 및/또는 제 2 렌즈 요소와의 계면의 형상에 일치하도록 구부러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렌즈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제 1 렌즈 요소는 실질적 평판면을 가질 수 있고, 제 1 렌즈 요소의 실질적 평판면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에 면할 수 있고, 제 2 렌즈 요소는 실질적 평탄면을 가질 수 있고, 제 2 투명체의 실질적 평탄면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에 면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은 전기활성 렌즈의 축방향으로 2 개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전기활성 렌즈는 모듈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제 1 렌즈 요소는 볼록면 및 반대측의 실질적 평판면을 가질 수 있고, 제 1 렌즈 요소의 실질적 평탄면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에 면할 수 있고, 제 2 렌즈 요소는 오목면 및 반대측의 실질적 평판면을 가질 수 있고, 제 2 투명체의 실질적 평판면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에 면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은 광학 기기의 축방향으로 2 개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제 1 렌즈 요소의 볼록면 및/또는 실질적 평탄면, 및/또는 제 2 렌즈 요소의 오목면 및/또는 실질적 평탄면은 전처리될 수 있다. 이 표면들은 전기활성 렌즈의 조립 전에 전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들 표면 중 임의의 것은 편광 층, 폴리싱(polishing), 반사 방지 층 등 중 적어도 하나로 전처리될 수 있다.
이 제조 방법에서,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이 사전에 제조된 요소로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투명체 및 제 2 투명체는 사전에 제조된 요소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불활성화 층은 도전성 요소를 도전성 플러그에 결합할 수 있는 렌즈 시스템의 영역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관점에서 선호될 수 있는 매끈한 외연부가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이는 불활성화 층이, 예를 들면, 상이한 굴절률의 재료들 사이의 광학 계면의 생성 등의 전기 접속의 결합에 필요한 단계들로 인해 부정적인 광학적 영향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디바이스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 목적을 위해, 불활성화 층은 제 1 렌즈 요소 및/또는 제 2 렌즈 요소와 유사한 광학적 특성을 가진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부의 실시형태에서, 제 1 투명체는 제 2 투명체에 접착제로 접속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착제는 적어도 렌즈 포일을 따라 제 1 투명체로부터 제 2 투명체까지 연장할 수 있다. 그 내부에서 접착제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을 통해 접착제 채널 내에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의 주연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 접속은 렌즈 시스템의 전체적인 강성 및 기계적 안정성을 향상시킨다는 것이 밝혀졌다. 특히, 투명체들 사이에 하나 이상의 층상으로 구축된 렌즈 포일의 존재로 인해 (복수의 렌즈 포일의 경우) 하나 이상의 렌즈 포일 내의 층 상에 또는 2 개의 렌즈 포일 사이에 전단력이 작용한다. 이러한 힘은 접착제 접속에 의해 효과적으로 상쇄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접착제 접속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의 반대측 주면 상의 접착제에 더하여 존재한다. 제 1 투명체와 제 2 투명체 사이에 존재하는 접착제로 인해, 제 1 렌즈 요소 및 제 2 렌즈 요소는 이 2 개의 요소를 접합시키기 위해, 예를 들면, 나사 및 너트로 결합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렌즈 요소에 미치는 시각적 영향은 비교적 적을 수 있다. 주면 상에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해 그리고 하나 이상의 접착제 접속을 적용하기 위해, 접착제는, 바람직하게는, 액체 형태로, 예를 들면, 페이스트, 분산액 또는 용액으로서 도포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접착제는 주연부를 따라 및/또는 접착제 채널 내에 분배된다. 그러나, 접착제가 렌즈 포일의 주면 상에 제공되고, 그 후에 렌즈 포일 상에서 연부를 따라 및/또는 접착제 채널 내로 흐르는 것이 배제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흐름의 경우, 접착제의 점도를 저감시키기 위해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이 배제되지 않는다.
리한 실시형태에서, 렌즈 포일은 미리 정한 형상으로 컷 아웃되고, 상기 형상은 하나 이상의 부분을 따라 접착제 채널을 포함하고, 이는 후속하여 렌즈 포일의 주연부를 형성한다. 프레넬 렌즈 이외의 이와 같은 접착제 채널의 타측부에 위치하는 렌즈 포일의 부분은 그후에 제거될 수 있으므로 접착제 접속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의 주연부를 따라 배치된다. 상기 부분의 제거는, 예를 들면, 렌즈 시스템의 전체(따라서 투명체 및 중간 렌즈 포일(들))가 원하는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거 단계로 실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분을 제거하는 대안적인 방법이 배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미리 정한 형상으로의 컷 아웃(이를 에징이라고도 함)은 제 1 투명체 상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을 제공하기 전에 실행된다. 이로 인해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의 부분적 제거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접착 채널을 유발하며, 이것을 접착제를 받아들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1 투명체 및 제 2 투명체는 일체적으로 접속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 1 투명체와 제 2 투명체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을 개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일부의 접속 부분만이 접착제가 도포된 영역 내에 유지되고, 이로 인해 전환가능 렌즈를 외부로부터 밀봉한다. 바람직하게는, 접속 부분은 비교적 작고,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의 주연부 전체의 불과 25%, 바람직하게는 5%, 더 바람직하게는 1%,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 미만이 이러한 접속 부분에 의해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의 주연부의 나머지 부분은 접착제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일부의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은 접착제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전환가능 렌즈는 외부의 조건으로부터 밀봉될 수 있다.
추가의 구현형태에서, 컷 아웃 영역의 외측의 상기 접속 부분은, 유리하게도, 조립 프로세스 중에,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포일을 손상시킬 수 있는 설비에 의한 정렬 및/또는 배치 및 파지를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정렬은 정렬 구멍으로 실행된다. 조립 후, 이러한 접속 부분은 제거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렌즈 포일은 제 1 포일 부분과 제 2 포일 부분 사이에서 연장하는 접착제 채널을 포함하는 미리 정한 형상으로 컷 아웃될 수 있다. 그러나, 미리 정한 형상은 접착제 채널이 렌즈 포일의 주연부의 일부가 되지 않는 형상이다.
접착제에 의한 제 1 투명체와 제 2 투명체의 접합을 위해, 이들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접착제로 채워질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을 통해 접착 채널을 제공하는 것을 바람직한 선택지이다. UV 방사선에 의해 경화가능한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이 실용적인 것으로 생각되지만 열경화가 배제되지는 않는다. 더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접착제는 접착제 채널 내에 페이스트 형태로 또는 심지어 포일의 형태로 가해진다. 접착제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을 제 1 투명체에 조립하기 전 또는 조립한 후에 도포될 수 있다. 완만한 가열에서 점착성으로 되는 접착제, 예를 들면, EVA(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를 기반으로 하는 접착제 등이, 조립 전에 도포하는 경우에, 유리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거동은 접착제의 일시적인 고정을 가능하게 하고, 이러한 거동이 없으면 접착제가 이탈하게 된다. 또한 접착제 채널에는 투명체 중 하나를 통해 또는 렌즈 포일 내에서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입구 포트가 제공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조립 후의 접착제의 도포가 용이해진다. 이러한 채널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 채널이 디바이스의 기능 영역, 즉 도전성 플러그가 제공되는 접속 영역의 반대측으로서 광학 기기가 형성되는 영역 내로 들어가지 않으므로 시각적 영향이 최소화될 가능성이 있다.
제 1 투명체 및/또는 제 2 투명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의 일부의 제거는, 예를 들면, 드릴링 및/또는 밀링에 의해 실행된다. 이 기술은 제 1 투명체 및 제 2 투명체 및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을 렌즈가 끼워맞춤되는 프레임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컷 아웃 영역에 대해 에징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안경은 광학 기기 내의 LC 재료를 적어도 제 1 상태와 제 2 상태 사이에서 전환하기 위한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상태에서 LC 재료의 (렌즈 스택의 축방향에서의) 굴절률은 프레넬 요소의 굴절률과 실질적으로 일치할 수 있고, 제 2 상태에서 LC 재료의 (렌즈 스택의 축방향에서의) 굴절률은 프레넬 렌즈 요소의 굴절률과 다를 수 있다. 제 1 광축은 사용자가 무한원을 보고 있을 때, 안경 사용자의 눈의 동공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제 2 광축은, 사용자가 사용자의 눈의 노안의 교정을 필요로 하는 위치에 있는 안경 사용자의 눈의 동공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추가의 특징은 첨부한 본 개시의 다양한 예시적 실시형태의 설명에서 설명될 것이다. 이 설명에서는 첨부한 도면이 참조된다.
추가의 양태에 따르면, 본 개시는 제 1 투명 전극을 구비한 제 1 기판, 제 2 투명 전극을 구비한 제 2 기판, 및 상기 투명 전극들 사이의 프레넬 렌즈 및 액정 재료를 포함하는 제 1 렌즈 포일 및 제 2 렌즈 포일의 서로 부착된 스택에 관한 것이며, 상기 투명 전극들, 상기 프레넬 렌즈 및 상기 액정 재료는 광학 기기를 형성한다. 본 명세서에서 각각의 렌즈 포일은 렌즈 포일을 통해 연장하는 제 1 도전성 플러그 및 제 2 도전성 플러그를 더 포함한다. 도전성 플러그는 투명 전극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플러그 축선을 가질 수 있다. 상호 부착은 제 1 렌즈 포일 및 제 2 렌즈 포일이 단지 별개의 엔티티가 아니고, 이들이 단일의 중간 생성물로 조합된 것을 의미한다.
스택은 전기활성의 리포커서블 렌즈(refocusable lens)를 안경에 통합하는 역할을 가는 이점이 있다. 도전성 플러그는 투명체(통상적으로 렌즈 하프)와의 통합 후에 접촉을 용이화하는데, 이는 도전성 플러그가 잘 보이기 때문이다. 또한, 특히 디자인에 따라 도전성 플러그를 임의의 측면, 즉 전면, 저면 또는 측면으로부터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들 도전성 플러그는, 바람직하게는, 렌즈 포일의 프레넬 렌즈 및 투명체의 임의의 렌즈 요소가 배치되는 렌즈 영역의 외측의 접속 영역에 배치된다. 따라서, 시각 방해는 최소로 제한된다. 이러한 스택과 그 내부의 렌즈 포일은 제 1 양태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형태 및 구현형태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렌즈 포일 및 제 2 렌즈 포일의 액정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네마틱 액정 재료이고, 제 1 렌즈 포일의 광학 기기는 복굴절을 피하기 위해 제 2 렌즈 포일의 광학 기기에 대해 90 도의 각도로 배향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제 1 렌즈 포일 및 제 2 렌즈 포일의 도전성 플러그는 두 렌즈 포일의 제 1 도전성 플러그의 축선이 정렬되도록 배향되고, 상기 제 1 도전성 플러그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두 렌즈 포일의 제 2 도전성 플러그의 축선은 정렬되고, 상기 제 2 도전성 플러그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진술된 바와 같이, 이것은 광학 기기의 교류 구동에 유익하다.
제 1 도전성 플러그 및 제 2 도전성 플러그는, 광축으로부터 제 1 도전성 플러그 및 제 2 도전성 플러그까지 연장하는 반경방향의 선들이 서로 120 도 미만, 바람직하게는 90 도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60 도 미만의 각도를 이루도록, 프레넬 렌즈의 광축에 대해 배치되는 것이 또한 유익하다.
본 개시는 또한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 내에서 이러한 스택을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렌즈 시스템은 적어도 3 개의 요소의 스택을 형성하고, 상기 스택은 제 1 투명체와 제 2 투명체 사이에 개재되고, 렌즈 포일의 제 1 도전성 플러그 및 제 2 도전성 플러그는 투명 전극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플러그 축선을 가지며, 이 도전성 플러그를 통해 렌즈는 상기 스택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도전성 요소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전성 플러그에는 상기 도전성 요소가 접속되는 보조 도전성 재료가 존재하는 축방향 표면이 제공되고, 상기 보조 도전성 재료는 수직으로 또는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채널 내에서 연장한다. 본원의 추가의 세부내용은 위에서 설명 및 논의되었고,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설명될 것이며, 본 개시의 이 양태의 이 실시형태에 관하여 포함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시 추가의 양태에서, 본 개시는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이 렌즈 시스템은 적어도 3 개의 요소의 스택을 형성하고, 그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은 제 1 투명체와 제 2 투명체 사이에 개재되고,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은 제 1 투명 전극을 구비한 제 1 기판, 제 2 투명 전극을 구비한 제 2 기판, 및 상기 투명 전극들 사이의 프레넬 렌즈 및 액정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전극들, 상기 프레넬 렌즈 및 상기 액정 재료는 광학 기기를 형성하고, 제 1 투명 전극 및 제 2 투명 전극은 각각 렌즈 시스템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도전성 요소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렌즈 포일은 이 렌즈 포일을 통해 연장하는 제 1 도전성 플러그 및 제 2 도전성 플러그를 더 포함하고, 이 도전성 플러그는 투명 전극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플러그 축선을 가지며, 이 도전성 플러그의 각각에는 플러그 축선에 적어도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축방향 표면이 제공되고, 이 축방향 표면에서 도전성 플러그는 각각 상기 스택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도전성 요소에 접속되는 보조 도전성 재료에 접촉하고, 이 보조 도전성 재료는 내부에 도전성 요소의 일부가 또한 존재하는 도체 채널 내에서 상기 축방향 표면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 1 투명체 상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을 제공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 상에 제 2 투명체를 제공하는 단계;
제 1 도전성 플러그 및 제 2 도전성 플러그의 플러그 축선에 적어도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표면을 생성하는 단계, 및
도전성 플러그의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표면에 직접 접촉하고, 전환가능 렌즈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압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도전성 요소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투명 전극 및 제 2 투명 전극을 도전성 요소에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보조 도전성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
축방향 표면을 생성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 내에 개구부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개구부는 제 1 투명체 및/또는 제 2 투명체 내로 연장하고, 플러그 축선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향되고, 제 1 도전성 플러그 또는 제 2 도전성 플러그에서 끝나고, 따라서 축방향 표면을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도전성 요소는 개구부 내에 부분적으로 제공되어 도체 채널을 형성하고, 보조 도전성 재료에 의해 도전성 플러그에 접속된다.
도전성 플러그를 통한 렌즈 포일에의 횡방향 접속을 사용하는 것은 조립에 대한 매우 실용적인 접근법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것은 일측으로부터의 조립을 가능하게 하므로 렌즈 포일의 일측 상의 도전성 플러그의 위치와 조합되어 특히 바람직하다.\
더 추가의 양태에 따르면,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이러한 렌즈 시스템이 제공된다. 위에서 표현된 바와 같이, 렌즈 시스템은 적어도 3 개의 요소의 스택을 형성하며, 이 스택은 제 1 투명체, 제 2 투명체, 및 내부에 전형적으로 광축을 가지는 광학 기기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을 포함한다. 렌즈 포일은 제 1 투명 전극을 구비한 제 1 기판, 투명 전극을 구비한 제 2 기판, 이들 투명 전극들 사이에 존재하는 프레넬 렌즈 및 액정 재료를 포함하며, 이 전기활성 렌즈는 전기활성 렌즈를 통해 연장하는 제 1 도전성 플러그 및 제 2 도전성 플러그를 더 포함하며, 이 도전성 플러그는 투명 전극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플러그 축선을 갖는다. 이 방법은 (1)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을 제 1 투명체 상에 제공하는 단계; (2) 접착제를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 상에 제공하는 단계; (3) 제 2 투명체를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 상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접착제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과 제 2 투명체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에는 제조 후에 제 1 투명체로부터 제 2 투명체까지 연장하도록 렌즈 포일을 통해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 채널이 제공된다. 접착제가 상기 접착제 채널 내에 제공되고, 경화되어 접착제 접속을 구성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 채널은 광학 기기가 형성된 영역의 외측에 배치된다. 이 영역은 전형적으로 도전성 플러그도 존재하는 접속 영역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능 영역, 즉, 렌즈 영역은 포함되지 않는다.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이 방법은 접착제로 채워진 접착제 채널이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의 주연부의 일부가 되도록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의 형상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변경은 전형적으로 외측 부분을 제거하는 것을 수반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접속 영역이 광학 기기가 형성되는 영역으로부터 이격되어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 채널에 의해 형성되는 컷 아웃 영역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도록 존재한다. 컷 아웃 형상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접속 영역은, 예를 들면, 정렬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 상황에서, 이 방법은 접속 영역 내에서 정렬 수단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을 제 1 투명체 및 제 2 투명체 중 적어도 하나 및/또는 추가의 렌즈 포일과 정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정렬 수단은,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정렬 구멍이다.
일 양태에 관련하여 위에서 제공하는 임의의 설명은 다른 양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관찰된다. 또한, 일 양태에 관련하여 특정된 임의의 실시형태는 반대의 것이 표현되지 않는 한 다른 양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추가의 세부내용은 본 개시의 몇 가지 실시형태의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계속된다. 설명에서는 첨부한 도면이 참조된다.
도 1a 및 도 1b는 전기활성 렌즈 및 이것에 결합된 전기 접속부를 포함하는 정면도이고;
도 2a는 광학 기기를 2 개의 렌즈 요소에 통합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도 2b 및 도 2c는 렌즈 요소로서 구현된 2 개의 투명체 사이에 2 개 이상의 렌즈 포일을 통합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측면도 및 평면도로 렌즈 스택을 도시하고;
도 4a 내지 도 4d는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을 제조하는 방법을 예시하고;
도 5a 내지 도 5d는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을 제조하는 방법을 예시하고;
도 6은 안경 프레임 내의 렌즈의 광축을 예시하고;
도 7은 제 1 투명체와 제 2 투명체 사이에 렌즈 포일의 통합 전의 렌즈 포일을 예시하고;
도 8은 광학 기기의 광축과 제 1 렌즈 요소와 제 2 렌즈 요소의 광축의 상대적 정렬을 예시하고;
도 9는 제 1 투명체와 제 2 투명체 사이의 렌즈 포일의 통합 프로세스를 예시하고;
도 10은 정렬 수단을 사용하는 제 1 렌즈 요소와 제 2 렌즈 요소 사이의 렌즈 포일의 통합 프로세스를 예시하고;
도 11은 완성된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을 정면도 및 측면도로 예시하고;
도 12a 및 도 12b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활성 렌즈(1), 예를 들면,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통해 제조된 전기활성 렌즈의 추가의 실시형태를 예시하고;
도 13a 및 도 13b는 도 12a 및 도 12b의 맥락에서 언급된 외부 커넥터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목적으로 본 개시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많은 특정의 세부내용이 진술되어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들 특정의 세부내용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다른 예에서, 본 개시를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주지의 구조 및 디바이스는 철저히 설명되지는 않는다.
본 개시를 읽으면 당업자에게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그리고 예시된 개별 실시형태의 각각은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여러 실시형태 중 임의의 것의 특징으로부터 쉽게 분리되거나 그 특징과 쉽게 조합될 수 있는 개별 구성요소 및 특징을 갖는다. 열거된 임의의 방법은 열거된 이벤트(event)의 순서로 또는 논리적으로 가능한 임의의 다른 순서로 실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형은 문맥이 다른 지시를 하지 않는 한 복수의 지시 대상을 포함한다는 것에 유의한다. 또한 청구범위는 임의의 요소를 배제하도록 작성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따라서, 이 진술은 청구 요소의 열거에 관련하여 "단독으로", "만(only)" 등의 배타적 용어를 사용하거나 "부정적" 제한을 사용하기 위한 선행 근거(antecedent basis)로서 기능하도록 의도된다. '투명체' 및 '렌즈 요소'라는 용어는, 예시에 따르면, 투명체가 렌즈 요소로서 구현된다는 점에서 상기 요소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유사하게, 이 설명은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갖는 렌즈 포일 및 광학 기기의 둘 모두를 지칭한다. 엄밀하게 말하면, 광학 기기는 렌즈 포일로 형성되는 광학적 기능(렌즈 등)이다.
도 1a 및 도 1b는 안경 프레임(2)을 포함하는 안경의 정면도이다. 안경 프레임(2) 내에는 전기활성 렌즈(1)가 배치되어 있다. 전기활성 렌즈(1)는 안경 사용자의 시력을 교정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노안으로 고통받을 수 있고, 따라서 선명한 이미지를 보기 위해 시각적 보조기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일부의 안경 사용자의 경우, 단일의 광학 강도로는 불충분할 수 있고, 안경은, 예를 들면, 이중초점 렌즈를 필요로 할 수 있다. 통상의 이중초점 렌즈와 달리, 전기활성 렌즈는 하나의 렌즈 내에서 2 개의 광학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전기활성 렌즈의 광학 강도는 나중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기 접속부(8)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전자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프레넬 렌즈 구조(4)의 광 파워(optical power)를 전기활성 렌즈(1)의 광 파워에 더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조 방법으로 인해, 전기활성 렌즈(1)를 포함하는 안경의 제조를 위한 디자인 선택지가 크게 증가한다. 예를 들면, 전자 접속부(8)의 위치는 전기활성 렌즈(1)의 비교적 넓은 영역에 걸쳐 변화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이 접속부(8)는 도 1a에서와 같이 전기활성 렌즈(1)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 접속부는 도 1b에서와 같이 렌즈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위치는 도 1a 및 도 1b에 의해 제공되는 실시례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자 접속부(8)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능력으로 인해, 전기활성 렌즈(1)는 제조 방법을 변경할 필요없이 많은 상이한 프레임(2)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안경 프레임에 따라 측면, 상면 및/또는 저면 등 사용자가 거의 사용하지 않는 전기활성 렌즈(1)의 영역에 전기 접속부(8)를 적절히 배치함으로써 전기 접속부(8)의 시각적 영향도 또한 줄어들 수 있다.
또한, 프레넬 렌즈 구조(4)의 위치도 또한 나중에 설명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기활성 렌즈(1)의 광축과 프레넬 렌즈(4)의 광축은 사용자의 요건에 따라 사용자의 동공 위치(3)에 대해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
도 2a는 광학 기기를 2 개의 렌즈 요소에 통합함으로써 전기활성 렌즈(1)를 얻는 방법을 도시한다. 전기활성 렌즈(1)는 조립 후에 적어도 3 개의 요소를 포함한다. 제 1 투명체(10)는 제 1 렌즈 요소(11)이다. 제 1 렌즈 요소(11)는 만곡면(12) 및 평탄면(13)을 갖는 광학적으로 투과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만곡면(12)은 바람직하게는 볼록형이다. 제 1 렌즈 요소(11)는 제 1 광축(O1)을 갖는다. 제 2 투명체(20)는 제 2 렌즈 요소(21)이다. 제 2 렌즈 요소(21)는 만곡면(22) 및 평탄면(23)을 갖는 광학적으로 투과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만곡면(22)은 바람직하게는 오목형이다. 제 2 렌즈 요소(21)는 제 2 광축(O2)을 갖는다. 도 2a의 실시례에서, 제 1 광축(O1) 및 제 2 광축(O2)은 공통 광축 상에 정렬된다. 제 1 렌즈 요소(11) 및 제 2 렌즈 요소(21)는 전기활성 렌즈(1)의 제 1 광 파워를 제공한다.
제 1 투명체(10)와 제 2 렌즈 요소(21)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30)이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30)은 광학적으로 전환가능한 렌즈 등의 광학 기기(31)이며, 상기 광학적으로 전환가능한 렌즈(31)는 적어도 2 개의 광학적으로 투명한 전극(32)에 제공되는 전압을 사용하여 활성화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극(32)은, 예를 들면, 주석 도핑된 인듐 산화물(ITO)의 층 및/또는 인듐-아연 산화물(IZO)의 층일 수 있다. 전극(32)들 사이에는 액정(LC) 층이 배치된다. LC 층은, 예를 들면, 네마틱 액정 및/또는 콜레스테릭 액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액정은 경계(미도시) 및 상기 전극(32) 내에 포위된 용적(37) 내에 제공된다. 경계는, 바람직하게는, 시각 방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프레넬 렌즈와 동일한 재료를 포함한다. EP3255479A1에서 논의되어 있는 바와 같이 렌즈 포일의 제 2 기판과 제 1 기판을 확실하게 고정하도록 경계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광학 기기(31)는 프레넬 렌즈 구조(4)를 포함한다. 용적(37) 내에는 이상의 스페이서가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는 프레넬 렌즈(4)와 대향 전극(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및/또는 스페이서(미도시)는 전극(32)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전극(32)은 액정의 정렬을 변화시켜 전기활성 렌즈(1)의 축방향으로 LC 층의 굴절률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30)의 광 파워의 변화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상태에서, 전극(32)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다. 이 제 1 상태에서 전기활성 렌즈(1)의 축방향으로의 액정의 굴절률은 프레넬 렌즈(4), 즉 수동적 렌즈(passive lens; 4)의 굴절률과 일치한다. 이로 인해, 프레넬 렌즈(4) 및 LC 층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30)의 축방향으로) 2 개의 평행한 표면을 갖는 동일한 굴절률의 광학 층을 효과적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전기활성 렌즈(1) 상에 입사하는 광선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30)에 의해 콜리메이팅(collimating) 또는 분산되지 않는다. 상기 광선은 제 1 렌즈 요소(11)와 제 2 렌즈 요소(21)에 의해 제공되는 광 파워에 의해 굴절된다. 그러나, 제 2 상태에서, 전극(32)에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액정은 전극(32)들 사이에 생성되는 전기장으로 인해 정렬된다. 이 정렬에 기인되어,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30)의 축방향으로 LC 층의 굴절률은 변화되고, 이로 인해 액정과 프레넬 렌즈(4) 사이에 액정과는 상이한 굴절률을 갖는 광학 계면이 유도된다. 이 광학 계면으로 인해, 렌즈 요소(1) 상에 입사하는 광선은 프레넬 렌즈(4)와 LC 층 사이의 광학 계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에 의해 굴절됨으로써 프레넬 렌즈(4) 상에 입사하는 광선을 콜리메이팅 또는 분산시킨다. 이는 제 1 렌즈 요소(11) 및 제 2 렌즈 요소(21)에 의해 제공되는 제 1 광 파워에 더하여 전기활성 렌즈(1)에 추가의 광 파워를 제공한다. 대안적으로, 제 1 상태는 전극(32)에 전압이 인가되는 상태일 수 있고, 제 2 상태에서는 전극(32)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고, 각각 전기활성 렌즈(1)의 축방향으로 LC 층의 굴절률은 프레넬 렌즈(4)의 굴절률과 일치되고 상이하다.
다음의 설명에서, 스위치 온 상태는 용적(37) 내에서 프레넬 렌즈(4)와 액정 사이에 굴절 광학 계면을 생성함으로써 전기활성 렌즈(1)에 추가의 광 파워가 제공되는 상태를 말하며, 스위치 오프 상태는 전기활성 렌즈(1)의 축방향에서 액정의 굴절률이 프레넬 렌즈(4)의 굴절률과 일치하고, 그 결과 제 1 렌즈 요소(11)와 제 2 렌즈 요소(21)에 의해 제공되는 제 1 광 파워 이외의 추가의 파워가 전기활성 렌즈(1)에 제공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스위치 오프 상태에서) LC 층과 프레넬 렌즈(4)의 굴절률은 제 1 렌즈 요소(11)와 제 2 렌즈 요소(21)의 굴절률과 일치한다.
스위치 온 상태에서는 프레넬 렌즈(4)가 존재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추가의 광 파워가 제공된다. 프레넬 렌즈(4)는 포지티브 프레넬 렌즈 또는 네거티브 프레넬 렌즈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프레넬 렌즈(4)는 네거티브 프레넬 렌즈이다. 도 2a의 실시례에서, 프레넬 렌즈(4)의 광축인 제 3 광축(O3)은 제 1 광축(O1) 및 제 2 광축(O2)과 일치한다. 그러나, 제 1 광축(O1) 및 제 2 광축(O2)이 공통 광축 상에 정렬되어도 제 3 광축(O3)은 공통 광축과 일치하거나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제 3 광축(O3)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공통 광축에 대해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30)에 기인되는 추가의 렌즈 파워는 스위치 온 상태에서만 존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 3 광축(O3)은 스위치 온 상태에서만 렌즈 작용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제 3 광축(O3)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의 상태에 무관하게 프레넬 렌즈(4)의 광축에 대응한다. 사용되는 프레넬 렌즈(4)의 종류는 사용자마다 다를 수 있고, 예를 들면, 다른 크기, 강도, 형상의 프레넬 렌즈(4)가 사용될 수 있고, 프레넬 렌즈(4)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포지티브 또는 네거티브일 수 있다. 프레넬 렌즈(4)는 전극(32) 중 어느 하나 상에 배치될 수 있고, 그 위에 나노임프린트 리소그래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 1 투명체(10), 제 2 투명체(20) 및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30)은 전기활성 렌즈(1)를 형성하도록 조립되는, 바람직하게는, 사전에 제조된 요소이다. 조립 프로세스에서, 제 1 투명체(10) 및 제 2 투명체(20)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30)의 위치는 광축(O3)이 전기활성 렌즈(1)의 사용자의 요건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공통 광축에 대해 배치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제 1 투명체(10) 및 제 2 투명체(20)는 2 개의 요소들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접합된다. 이 목적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30)은 제 1 투명체(10) 및 제 2 투명체(20)를 접합하는 접착제가 가해질 접착제 채널(70)을 포함한다. 접착제는, 예를 들면, NOA(74) 또는 NOA(164) 등의 UV 경화성 아크릴레이트형 접착제일 수 있다.
전극(32)을, 바람직하게는, 안경 프레임(2) 부근에, 위에 및/또는 내부에 장착된 전압원(미도시)에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여러 개의 전기 접속부(8)가 존재한다. 전기 접속부(8)는 도전층(33) 및 도전성 플러그(34)를 포함한다. 도전성 플러그(34)는 플러그 축선(55)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축선(55)이 렌즈 요소(21)의 상면에 및/또는 렌즈 요소(11)의 하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플러그(34)는 축선 방향으로 전극(32)의 두께의 다수 배, 예를 들면, 전극 두께의 20-50 배의 두께를 갖는다. 도전층(33)은 전극(32)이, 예를 들면, 약 100 nm의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각각의 전극(32) 상에 제공되고, 따라서 전극(32)과 도체(또는 도전성 플러그(34)) 사이에 (도전층(33)이 없는 상태에서) 신뢰할 수 있는 전기 접속을 확립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체가 도전성 플러그(34)을 통해 전기활성 렌즈(1)의 축방향으로 제공되는 경우, 도체는 전극(32)과 결합하기 위해 불과 100 nm만을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접속 두께를 증가시키기 위해, 전극(32) 상에 도전층(33)이 제공된다. 이로 인해, 도전층(33)은 이러한 도체를 전극(32)에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두께를 증가시킨다. 다시 말하면, 전류가 도체(또는 도전성 플러그(34))로부터 도전층(33)을 통해 전극(32)으로 흐르는 것이 허용되므로, 도전층(33)으로 인해, 전극(32)과 도체(또는 도전성 플러그(34) 사이의 전기 접속이 확립되는 총 면적이 증가한다. 이 목적을 위해, 도전층(33)은, 바람직하게는, 전극(32)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다.
또한 도전층(33)에는 도전층(33)과 전기적 접촉하도록 제공되는, 그리고 단자가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베이스로서 적합할 수 있는 도전성 플러그(34)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1에 개시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제 1 도전성 플러그와 제 2 도전성 플러그(34)는 프레넬 렌즈를 통과하는 광축에 대해 서로 120 도 미만, 바람직하게는 90 도 미만, 예를 들면, 60 도 이하의 각도를 이룬다. 다시 말하면, 도 11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렌즈 포일 또는 렌즈 포일들의 스택을 위한 도전성 플러그(34)는 동일 측에 배치된다. 광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본 경우, 그리고 안경에 통합되도록 렌즈 포일을 배치하는 경우, 도전성 플러그는 광축의 아래나 위가 아닌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도전성 플러그는 조립을 위해 효율적인 방식으로 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전성 플러그는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3 개 이상의 도전성 플러그의 경우, 이것은, 대안적으로, 작은 어레이의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전층(33)은, 예를 들면, 은 잉크 페이스트 등의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연속 층일 수 있다. 그러나, 도전층(33)이 전기활성 렌즈(1) 상에 미치는 시각적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형성되는 경우에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도전층(33)을 메시형 층, 하나 이상의 구멍을 구비한 층, 인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하위 층을 포함하는 층, 이들의 임의의 조합 등이 되도록 성형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전극(32)이 도전성 플러그(34) 및/또는 도전층(33)을 통해 서로 단락될 위험을 줄이기 위해,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30)의 반대측 부위에 배치되는 전극의 영역을 접속 영역(36)에서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부 전극이 도전층(33)에 결합되고, 도전성 플러그(34)가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30)의 반대측 상의 상부 전극의 영역에 대응하는 접속 영역(36)에서. 상부 전극 및 하부 전극은 상이한 전압을 받아들이도록 구성되므로 둘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방지해야 한다. 이 목적을 위해, 상부 전극(32)은 도전층(33) 및 도전성 플러그(34)가 하부 전극(32)에 결합되는 접속 영역(36)에서 제거된다.
접속 영역(36)은 전기 접속부(8)가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전기활성 렌즈(1) 상에 미치는 시각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안경 프레임(2)의 위치에 있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접속 영역(36)은 도 1a 및 도 1b에서와 같이 렌즈의 정면도에서 전기활성 렌즈(1)의 비교적 작은 부분만일 수 있다. 그 결과, 접속 영역에서 대향 전극의 일부의 제거(위에서 설명됨)는 상기 대향 전극(32)의 비교적 적은 부분에 불과할 수 있다.
도 2a에 관련되는 위의 설명은 적절한 경우에 후속의 도면에 적용할 수 있고, 본 발명을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동일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더라도 일부의 이들 도면에 대한 설명은 반복되지 않는다.
도 2b 및 도 2c는 본 개시의 추가의 양태에 따라 2 개 이상의 렌즈 포일(30)을 2 개의 렌즈 요소에 통합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2b 및 도 2c에서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30)은 2 개의 광학적으로 전환가능한 렌즈(31)을 포함하지만, 본 개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a 및 도 2b에서, 프레넬 렌즈(4)는 광학 기기(31)의 상부 전극 상에 예시되어 있으나, 본 출원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프레넬 렌즈(4)는 각각의 광학적으로 전환가능한 렌즈(31)의 하부 전극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레넬 렌즈(4) 중 하나는 상부 전극(32) 상에 배치될 수 있으나 프레넬 렌즈(4) 중 다른 하나는 각각의 광학적으로 전환가능한 렌즈(31)의 하부 전극(32) 상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제 1 프레넬 렌즈(4)는 상부 광학 기기(31)의 상부 전극(32) 상에 배치될 수 있으나, 제 2 프레넬 렌즈(4)는 하부 광학 기기(31, 38)의 하부 전극(32) 상에 배치되며, 반대의 경우도 동일하다.
도 2b에서 렌즈 포일(30)의 도전성 플러그(34)는 전기활성 렌즈(1)의 축방향에서 서로 아래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부의 광학적으로 전환가능한 렌즈(31)의 하부 전극(32)에 전기적 접촉하는 도전성 플러그(34)는 상부의 광학적으로 전환가능한 렌즈(31)의 하부 전극(32)에 전기적 접촉하는 도전성 플러그(34)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부의 광학적으로 전환가능한 렌즈(31)의 상부 전극(32)에 전기적 접촉하는 도전성 플러그(34)는 상부의 광학적으로 전환가능한 렌즈(31)의 상부 전극(32)에 전기적 접촉하는 도전성 플러그(34)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단자를 도전성 플러그(34)에 결합하는 경우(후술됨), 하부의 광학적으로 전환가능한 렌즈(31)의 하부 전극(32)과 상부의 광학적으로 전환가능한 렌즈(31)의 하부 전극(32)의 둘 모두에 동일한 전압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의 도체만이 요구될 수 있으므로 도체는 서로 아래에 배치되는 두 도전성 플러그에 효과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부의 광학적으로 전환가능한 렌즈(31)의 상부 전극(32)과 상부의 광학적으로 전환가능한 렌즈(31)의 상부 전극(32)의 둘 모두를 제공하는 데 하나의 도체만이 요구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도체가 서로 아래에 배치되는 두 도전성 플러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c는 도 2b와 동일한 요소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 2c에서는 도 2b와 대조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30)을 형성하는 상부 광학 기기(31) 및 하부 광학 기기(38)의 도전성 플러그(34)는 서로 아래에 배치되지 않는다. 이는 광학 기기(31, 38)의 독립된 제어가 필요한 경우에 유익할 수 있다.
도 1, 도 2a, 도 3a, 도 4 내지 도 11의 예시적 실시형태가 하나의 렌즈 포일(30)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들 실시형태에서 2 개 이상의 렌즈 포일(30)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측면도 및 평면도로 렌즈 스택을 도시한다. 도 3a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한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렌즈 스택은 미완성 스택이다. 도 3a(평면도)에서와 같이 원형의 전기활성 렌즈(1)는 안경 프레임(2)에 끼워맞추기 위해 후술되는 바와 같이 에징된다.
도 3a는 전기활성 렌즈(1)의 구성요소의 위치의 예시도이다. 도 2a에서와 같이 구성요소들을 접합한 후, 제 1 투명체(10) 및 제 2 투명체(20)는 접착제 채널(70)에 가해진 접착제(7)에 의해 접합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30)의 주연부는 접착제(7)에 의해 경계를 이룰 수 있다. 이 실시례에서, 프레넬 렌즈(4)는 전기활성 렌즈(1)의 중심에 있고, 도전성 플러그(34)는 전기활성 렌즈(1)의 외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평면도로부터 명확함). 이 전기활성 렌즈(1)를 에징한 후에 도 1a와 같은 전기활성 렌즈(1)가 얻어질 수 있다. 에징 전, 제 1 투명체(10) 및 제 2 투명체(20)는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일 수 있다. 제 1 투명체(10) 및 제 2 투명체(20)는 유사하거나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도 3a의 실시례에서, 제 2 투명체(20)의 직경은 제 1 투명체(10)의 직경보다 약간 큰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로써 미완성된 전기활성 렌즈(1)의 전체의 외연부(60)는 제 2 투명체(20)의 외연부에 의해 정해진다. 접착제(7)로 인해 전기활성 렌즈(1)의 높은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30)은 환경으로부터 밀봉된다.
도 3b는 2 개의 렌즈 포일(30)이 전기활성 렌즈(1)로 통합되는 일 실시례를 예시한다. 상부의 전환가능 전기활성 렌즈(31)의 제 1 및 제 2 도전성 플러그(34A) 및 하부의 전환가능 전기활성 렌즈(1)의 제 1 및 제 2 도전성 플러그(34B)가 예시되어 있다. 상부의 제 1 도전성 플러그(34A)의 위치는 하부의 제 1 도전성 플러그(34A)의 위치와 일치할 수 있고, 이는 상부 및 하부의 제 2 도전성 플러그의 위치에도 적용된다. 다시 말하면, 평면도에서 하부 도전성 플러그(34A)와 하부 도전성 플러그(34B)의 둘 모두의 위치는 제 1 위치(39A)에 대응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면, 상부 도전성 플러그(34A)의 위치가 제 1 위치(39A)에 대응하고, 하부 도전성 플러그(34B)의 위치가 제 2 위치에 대응하는 경우, 또는 그 반대의 경우에, 상부 도전성 플러그(34A)의 위치와 하부 도전성 플러그(34B)의 위치는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의 실시형태에서, 임의의 투명 층(9)이 렌즈 포일(30)과 하부 렌즈 포일(38)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부 렌즈 포일(30)의 하부는 하부 렌즈 포일(38) 상에 직접 배치된다.
도 4a 내지 도 4d는 전기활성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도 3a에서와 같이 3 개의 요소의 스택을 접착제로 함께 접착하여 미완성된 전기활성 렌즈(1)를 얻은 후, 전기활성 렌즈(1)는 안경 프레임(2) 내에 통합되도록 더 변경된다. 전기장을 사용하여 광학 기기 내에서 액체 분자를 정렬시키기 위해, 전극(32)은 전기활성 렌즈(1)의 외측에 배치된 전압원(미도시)에 결합되어야 한다. 이 목적을 위해, 제 1 단계(이것의 결과는 도 4a에 도시됨)에서, 도전성 플러그(34)의 위치에 대응하는 접속 영역(36)에서 제 1 투명체(10) 및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30)에 구멍이 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구멍은 도전성 플러그(34)의 축방향의 전체 길이를 통해 연장하며, 따라서 이 구멍은 또한 제 2 투명체(20)에도 천공될 수 있다. 도 4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기활성 렌즈(1)의 축방향에 구멍이 천공된다. 또한, 제 1 투명체의 반경방향의 일부는 도체를 그곳에 배치할 수 있도록 접속 영역에 인접하는 영역에서 제거될 수도 있다.
도 4b는 전기활성 렌즈(1)가 배치될 안경 프레임(2)의 형상에 부합하도록 전기활성 렌즈(1)의 측부를 에징하는 제 2 단계 후의 전기활성 렌즈(1)를 예시한다. 이 목적을 위해 전기활성 렌즈(1)의 측부는 이 전기활성 렌즈(1)의 외주의 형상에 이르기까지 에징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접착제(7)는, 바람직하게는, 컷 아웃 영역, 즉 전기활성 렌즈(1)가 배치될 안경 프레임(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영역을 따라 도포된다. 따라서, 이 에징 단계는 제 1 투명체와 제 2 투명체 및 상기 컷 아웃 영역의 외측의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30)의 일부를 제거한다. 따라서, 이 단계 후에 잔류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30)의 일부는 접착제(7)에 의해 둘러싸인다. 당업자가 이해하는 바와 같이,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는 임의의 순서로 또는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도 4c는 제 3 단계, 즉 단자(5)를 도전성 플러그(34)에 결합하는 단계의 결과를 예시한다. 안경 프레임(2)의 부근에, 위에 및/또는 내부에 배치된 전압원에 결합되는 단자(5)는 도전성 플러그(34)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접속 요소(35)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이 접속 요소(35)는 전성 은 페이스트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접속 요소(35), 도전성 플러그(34) 및 도전층(33)을 통한 전기적 접속이 단자(5)와 투명 전극(32) 사이에서 얻어진다. 따라서, 접속 요소(35), 도전성 플러그(34), 도전층(33) 및 도체(5)는 전기 접속부(8)의 기능을 충족시킬 수 있다. 단자(5)에는 절연층(51)이 제공될 수 있다. 이 절연층(51)은, 예를 들면, 날씨 조건으로 인한 의도치 않은 전기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절연층(51)은, 바람직하게는, 도체(5)가 외부 조건에 노출될 수 있는 도체(5)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다. 절연층(51)은 도체(5)의 적어도 일부가 전기 접속부(35)와 전기적 접촉하는 한 도체(5)의 보다 큰 부분을 피복할 수도 있다.
제 4 단계에서, 불활성화 층(6)이 도체(5)의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에 덧대어져서 제 1 렌즈 요소(11)의 실질적 오목면(12)을 회복한다. 바람직하게는, 불활성화 층(6)은 제 1 렌즈 요소(1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광학적 특성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진다. 도 4a 내지 도 4b의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하나의 광학적으로 전환가능한 렌즈(31)만이 예시되어 있으나, 당업자는 2 개 이상의 광학적으로 전환가능한 렌즈(31)도 유사한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30)로서 존재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개시의 추가의 양태에 따른 전기활성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전기 접속부(8)를 확립하는 방법은 도 5a 내지 도 5d에 예시된 방법과 유사하다. 그러나 도 5a 내지 도 5d에 예시된 방법은 전기활성 렌즈(1)의 횡방향으로 전기 접속부(8)(도전성 요소 등)를 적용하므로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설명한 유사한 요소가 도 5a 내지 도 5d에 적용된다. 따라서, 개구부 또는 구멍이 횡측으로부터 생성되어, 도전성 플러그의 축방향 표면까지 연장한다.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 2 단계와 유사하게, 미완성된 전기활성 렌즈(1)는, 바람직하게는, 도 5a에서와 같이 전기활성 렌즈(1)를 얻도록 에징된다. 이 전기활성 렌즈(1)는 컷 아웃 영역에 따라 에징된다. 이로써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30)의 나머지 부분은 접착제(7)에 의해 둘러싸인다.
제 2 단계에서, 도전성 플러그(34)의 위치에 대응하는 반경방향 접속 영역(50)에서 전기활성 렌즈(1)의 반경방향으로 전기활성 렌즈(1) 내에 구멍이 천공된다. 이 단계는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 1 단계와 유사하며, 다른 점은 접속 영역(50)이 반경방향에 있고, 접속 영역(36)이 전기활성 렌즈(1)의 축방향에 있는 점이다. 접속 영역(36)의 구멍은 도체(5)를 도전성 플러그(34)와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도전성 플러그(34)까지 및/또는 도전성 플러그(34) 내에 제공된다.
제 3 단계에서, 도체(5)는 도전성 플러그(34)에 결합된다. 예를 들면, 도전성 플러그(34)를 도체(5)에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은 페이스트 등의 접속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바이스를 얻는 제 4 단계에서, 전환가능한 전기활성 렌즈(1)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반경방향 접속 영역(50)에서 접속의 광학적 영향을 줄이기 위해 반경방향 접속 영역(50)에 불활성화 층(6)이 추가된다.
도 5a 내지 도 5d에 예시된 바와 같은 반경방향 접속부(50)를 사용하여 2 개 이상의 광학 기기(31)를 결합하기 위해, 도 2b에 예시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30)의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2 개의 광학적으로 전환가능한 렌즈(31)의 2 개의 전극(32)이 하나의 도체(5)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에징 전에 안경 프레임(2) 및 외연부(60)를 갖는 미완성된 전기활성 렌즈(1)를 예시한다. 미완성된 렌즈(1)는 에징됨으로써 프레임(2)의 형상에 대응하는 컷 아웃 형상(61)에 따라 전기활성 렌즈(1)를 형성한다. 제 1 렌즈 요소(11) 및 제 2 렌즈 요소(21)는, 바람직하게는, 이들의 광축이 공통 광축(O4) 상에 정렬되도록 정렬된다. 공통 광축(O4)은, 바람직하게는, 적절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시력을 교정하기 위해 사용자의 동공의 동공 위치(3)에 대해 배치된다. 적절한 방식의 이 상대적 정렬은 사용자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컷 아웃 형상(61)은 사용자의 필요 및 특정 프레임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 결정이 실행된 후에 컷 아웃 형상(61)이 결정된다.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30)은, 바람직하게는, 사전에 제조된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컷 아웃 형상(61)은 사용자마다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추가의 조립 프로세스 전에 약간의 단계가 필요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30)은 제 1 투명체와 제 2 투명체 사이에 통합되도록 전처리될 수 있다.
도 7은 사전에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30)을 예시한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30)에서, 이것을 제 1 투명체 및 제 2 투명체에 통합하기 전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30)에 접착제 채널(70)이 제공될 수 있다. 이 접착제 채널(70)은 컷 아웃 영역(61)의 주변을 따라 제공된다. 접착제 채널(70) 사이에서, 컷 아웃 영역(61) 내의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30)의 영역을 컷 아웃 영역(61)의 외측의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30)의 영역과 결합하기 위해 복수의 접속 부분(71)이 컷 아웃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일부의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30)에는, 제 1 투명체와 제 2 투명체 사이에 통합되기 전의 단계에서, 나중에 설명할 하나 이상의 정렬 구멍(40)가 제공될 수 있다. 접속 부분(71)은, 바람직하게는, 컷 아웃 영역(61) 내의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30)의 일부와 컷 아웃 영역(61) 외측의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의 일부를 접속하면서 비교적 작은 폭을 갖는다. 접착제 채널(70) 내에 가해질 접착제(7)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30)을 환경으로부터 밀봉하여 전기활성 렌즈(1)의 높은 신뢰성을 확보하며, 접속 부분(71)은, 예를 들면, 이들의 비교적 작은 폭으로 인해 이 밀봉을 신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30)은 프레넬 렌즈(4)를 포함하는 광학적으로 전환가능한 렌즈(31)를 포함한다. 이 프레넬 렌즈(4)는 제 3 광축(O3)을 갖는다. 제 3 광축(O3)은 공통 광축(O4)에 대해 정렬되어야 할 수 있다. 이 경우, 컷 아웃 영역(61)은 접착제 채널(70) 및/또는 정렬 구멍(40)을 제공하기 전에 결정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접착제 채널(70) 및/또는 정렬 구멍(40)은 광축(O3)이 사용자의 필요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공통 광축(O4)에 대해 정렬되도록 제 3 광학 요소(30)에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30)이 제 1 투명체 및 제 2 투명체(A)에 대해 어떻게 정렬되어야 하는지를 예시한다. 제 1 투명체 및 제 2 투명체(A)는 외주연부(60)를 가진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컷 아웃 영역(61)에 대응하는 영역도 예시되어 있다. 제 1 투명체 및 제 2 투명체(A)는 단계 C에서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B)에 대해 정렬되고, 여기서 제 1 렌즈 포일, 제 2 렌즈 포일 및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에 의해 형성되는 스택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더욱 변경된다. 이것의 결과는 전기활성 렌즈(D)이다. D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의 프레넬 렌즈(4)의 공통 광축(O4)과 광축(O3)은 일치한다. 일부의 실시형태에서, 사용자는 제 1 투명체 및 제 2 투명체의 공통 광축(O4)에 대해 다른 위치에서 프레넬 렌즈(4)의 렌즈 작용을 필요로 할 수 있고, 또는 다시 말하면, 일부의 실시형태에서, 제 3 광축(O3)과 공통 광축(O4)은 서로 이격될 필요가 있다. 이는 E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기활성 렌즈(1)를 얻기 위해 이에 대응하여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컷 아웃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도 9는 접착제 채널(70)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30)이 어떻게 제 1 투명체(10) 및 제 2 투명체(20) 내에 통합되는지를 예시한다. 제 1 투명체(10) 및 제 2 투명체(20)의 컷 아웃 영역(61)은 일례로서 예시되어 있다. 접착제 채널(70)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30)의 상기 컷 아웃 영역 내에 제공된다.
도 10은 정렬 수단을 사용하여 제 1 투명체(10), 제 2 투명체(20),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30)을 서로 정렬시키는 방법을 예시한다. 제 1 투명체(10), 제 2 투명체(20), 및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30)의 각각에는 적절한 위치에 정렬 구멍(40)이 제공되어 있다. 이 정렬 구멍(40)은 컷 아웃 영역(61)의 외측에 제공되므로 이 정렬 구멍(40)은, 도 4 또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조립 프로세스 중에 절단 제거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는 다시 말하면, 정렬 구멍은 접착제 채널(70)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의 외측에 배치되는 위치에 제공된다. 제 1 투명체(10), 제 2 투명체(20), 및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30)은 정렬 구멍(40) 내에 삽입되는 정렬 핀(41)으로 정렬된다. 정렬 구멍(40)은 이 정렬 핀(4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 및 단면 형상을 갖는다. 이로 인해, 정렬 핀(41)이 요소의 구멍(40) 내에 삽입된 경우, 정렬 핀(41)에 대한 그 요소의 반경방향 운동이 방지된다. 2 개 이상의 핀(41)을 사용함으로써, 요소는 정렬 핀(41)에 대해 이동할 수 없다. 이로 인해, 요소들의 상호 정렬이 정확하게 달성될 수 있다.
도 11은 완성된 전기활성 렌즈(1)의 다른 단면도 및 평면도를 예시한다. 본 개시의 설계의 변동성으로 인해, 단자(5), 전기 접속부(35), 도전성 플러그(34), 및 도전층(33)을 포함하는 전자 접속부(8)는 완성된 전기활성 렌즈(1)에서 서로 비교적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활성 렌즈(1), 예를 들면, 본 개시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바와 같은 전기활성 렌즈의 추가의 실시형태를 예시한다.
본 장치의 이전의 실시형태에서는 도전성 플러그(34)가 사전에 제공된 광학 기기(31)를 설명하였다. 본 개시의 경우, 도전성 플러그(34)의 적절한 배치가 관련될 수 있다. 도 12에서, 전기활성 렌즈(1)는 렌즈의 외측에 노출된 도전성 플러그(34)를 포함하며, 외부 도체와의 접촉을 위한 적절한 영역을 제공하는 것이 더 쉬운 접촉면을 제공한다.
제조 방법의 전술한 실시형태의 일부에서는 임의의 외부 도체를 도전성 플러그(34)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해 전자 렌즈(1)에 개구 또는 구멍이 제공되었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개구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에 따른 제조 방법의 일 실시형태는 (적어도)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프레넬 렌즈(4)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31)는 특정 사용자에 적합한 위치에서 렌즈 요소(11, 21) 사이에 배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원하는 위치는 사용자의 동공 및 예를 들면 렌즈 요소가 장착되는 실제 안경에 다시 의존할 수 있다.
제 1 단계로서, 전기활성 렌즈(1) 내에서 프레넬 렌즈(4)의 적절한 위치가 결정된다. 이는 도 6 중 하나와 유사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적절한 위치가 결정되면 광학 기기(31)를 위한 컷 오프 영역도 자동적으로 결정된다. 즉, 렌즈 요소(11, 21)는 컷이 렌즈 요소를 전기활성 렌즈(1)가 장착될 실제 안경에 적합하게 하도록 커팅 또는 에징된다. 광학 기기(31)는 상기 요소(11, 21) 사이에 배치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활성 렌즈(1)를 제조하기 위해, 도전성 플러그(34)는 이전에 결정된 컷 아웃 영역(61)의 경계에서 광학 기기(31)에 배치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제 1 렌즈 요소(11)와 제 2 렌즈 요소(21) 사이에 광학 기기(31)를 접착하기 전에 상기 광학 기기(31)는 다시 개방되고,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2 개의 도전성 플러그(34)가 컷 아웃 영역의 경계에 배치된다. 그러나 렌즈가 도 12의 전기활성 렌즈(1)와 같이 완전히 평탄한 측면을 가지지 않는 것은 일반적이다. 예를 들면, 렌즈에는 렌즈의 연부에 추가의 두께를 갖는 베벨이 제공될 수 있고, 이는 본질적으로 상기 렌즈의 전체 외주에 걸쳐 연장된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서, 베벨은 국부적으로 평탄한 측면을 달성하여 도전성 플러그(34)를 수용 및 노출시키기 위해 부분적으로 제거된다. 베벨의 부분적 제거는, 예를 들면, 밀링 또는 유사한 작업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추가의 밀링을 통해 도 1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완전한 베벨을 국부적으로 제거하여 완전히 평탄한 측면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베벨의 일부만을 제거하면 충분하다.
베벨의 렌즈 재료의 제거량에 무관하게, 전기활성 렌즈가 더 밀링되면, 도전성 플러그(34)는, 바람직하게는, 렌즈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조금 더 초기 컷 아웃 경계(61)의 외측에 배치되어야 한다. 즉, 플러그(34)는 제거될 베벨의 양에 대응하는 초기 컷 아웃 경계(61)로부터 거리를 두고 제공되어야 하며, 이는 상기 추가의 밀링 후에 도전성 플러그(34)가 적절히 노출되는 것을 보장한다.
도전성 플러그(34)를 광학 기기(31) 내에 배치한 후, 상기 기기는, 예를 들면, 도 2a에 따라 설명한 바와 같은 프로세스를 따라 렌즈 요소(11, 21) 사이에 배치되고 이 렌즈 요소에 접착된다.
도 13a 및 도 13b는 도 12a 및 도 12b의 문맥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 커넥터용의 보호체(47)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다(각각 분해도 및 단면도임). 외부 커넥터(47)는 도전체(46)를 포함하므로 도 12a 및 도 12b의의 노출된 도전성 플러그(34)(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되지 않은 도전성 플러그(34))와 전자 안경의 부품으로서의 추가의 전자장치 사이에 전기적 접속을 제공한다. 도전체(46)는, 예를 들면, 전기 렌즈의 측면 상에 은 잉크를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보호체(47)는 습기 및/또는 충격 등의 외부 영향에 대해 도전체(46)를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보호체(47)는 보호체(47)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성형될 수 있고, 및/또는 고무와 같은 탄성이 높고 방수 특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은 잉크의 경우, 보호체(47)는 은 잉크가 경화하는 동안에 이것이 소정의 위치에 유지되도록 도울 수도 있다.
본 개시는 설명된 특정 양태에 한정되지 않고 변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의 범위는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므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특정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만을 목적으로 하며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1 전기활성 렌즈
2 안경 프레임
3 사용자의 동공
4 프레넬 구조
5 단자
6 불활성화 층
7 접착제
8 전기 접속부
9 투명 층
10 제 1 투명체
11 제 1 렌즈 요소
12 제 1 투명체의 볼록면
13 제 1 투명체의 평탄면
20 제 2 투명체
21 제 2 렌즈 요소
22 제 2 투명체의 오목면
23 제 2 투명체의 평탄면
30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
31 광학 기기
32 투명 전극
33 도전층
34 도전성 플러그
35 접속 요소
36 접속 영역
37 용적
38 하부 광학 기기
39 평면도에서 도전성 플러그 위치
40 정렬 구멍
41 정렬 핀
42,43 개구부 또는 구멍
44,55 도전성 플러그(34)의 축선
46 도전체
47 보호체
50 반경방향 접속 영역
51 절연층
60 에징 전의 제 1 투명체 또는 제 2 투명체의 외부 영역
61 컷 아웃 영역
70 접착제 채널
71 접속 부분
O1 제 1 광축
O2 제 2 광축
O3 제 3 광축
O4 공통 광축

Claims (38)

  1. 제 1 투명 전극을 갖는 제 1 기판, 제 2 투명 전극을 갖는 제 2 기판, 상기 투명 전극들 사이의 프레넬 렌즈(Fresnel lens) 및 액정 재료를 포함하는 렌즈 포일(lens foil)로서,
    상기 투명 전극들, 상기 프레넬 렌즈 및 상기 액정 재료는 광학 기기를 형성하고, 상기 광학 기기는 광학 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서 광축을 가지며,
    상기 렌즈 포일은 상기 렌즈 포일을 통해 연장하는 제 1 도전성 플러그 및 제 2 도전성 플러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도전성 플러그 및 제 2 도전성 플러그는, 광축으로부터 상기 제 1 도전성 플러그 및 제 2 도전성 플러그까지 연장하는 반경방향의 선들이 서로 120 도 미만, 바람직하게는 90 도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60 도 미만의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프레넬 렌즈의 광축에 대해 배치되는, 렌즈 포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포일은
    - 상기 제 1 투명 전극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투명 전극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 1 도전층, 및
    - 상기 제 2 투명 전극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제 2 투명 전극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 1 도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도전층 및/또는 제 2 도전층은 상기 렌즈의 축방향으로 상기 제 1 투명 전극 및/또는 제 2 투명 전극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 1 도전층 및/또는 제 2 도전층은 각각 제 1 도전성 플러그 및/또는 제 2 도전성 플러그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렌즈 포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명 전극 및/또는 제 2 투명 전극의 일부는 각각 상기 프레넬 렌즈와 상기 제 1 도전성 플러그 및/또는 제 2 도전성 플러그 사이의 영역에 존재하지 않으며, 및/또는 상기 도전성 플러그(34)들은 각각 상기 투명 전극(32)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플러그 축선(55)을 가지며, 및/또는 상기 도전성 플러그(34)는 상기 플러그 축선 방향으로 상기 전극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의 두께의 다수 배, 예를 들면, 상기 전극의 두께의 20-50 배의 두께를 갖는, 렌즈 포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제 1 렌즈 포일 및 제 2 렌즈 포일의 스택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렌즈 포일 및 제 2 렌즈 포일의 액정 재료는 네마틱(nematic) 액정 재료이고, 상기 제 1 렌즈 포일의 광학 기기는 상기 제 2 렌즈 포일의 광학 기기에 대해 90 도의 각도로 배향되는, 렌즈 포일의 스택.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 포일 및 제 2 렌즈 포일의 도전성 플러그는 두 렌즈 포일의 제 1 도전성 플러그의 축선이 정렬되도록 배향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도전성 플러그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렌즈 포일의 스택.
  6.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렌즈 시스템은 적어도 3 개의 요소의 스택을 형성하고, 상기 스택은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제 1 투명체, 제 2 투명체 및 렌즈 포일 또는 렌즈 포일들의 스택을 포함하고, 상기 제조 방법은
    - 상기 제 1 투명체 상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을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 상에 상기 제 2 투명체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제 1 도전성 플러그 및 제 2 도전성 플러그의 플러그 축선에 적어도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표면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도전성 플러그의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표면에 직접 접촉하는 보조 도전성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 및
    - 상기 보조 도전성 재료에 접속된 광학 기기의 작동을 위한 전압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도전성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제 1 투명체 및 제 2 투명체는 제 1 광축 및 제 2 광축을 각각 갖는 그리고 공통 광축 상에 정렬되는 렌즈 요소이고, 상기 렌즈 포일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 요소의 광축의 위치가 상기 광학 기기의 반경방향에서 상기 공통 광축으로부터 구별되도록 상기 투명체에 조립되는,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의 제조 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표면을 생성하는 단계는
    - 접속 영역에서 상기 제 1 투명체 및 제 2 투명체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제 1 도전성 플러그 및/또는 상기 제 2 도전성 플러그를 노출시키는 단계;
    - 상기 제 1 도전성 플러그 및 상기 제 2 도전성 플러그 중 적어도 하나 내에 개구부를 생성하여 상기 축방향 표면인 환형 표면을 형성하는 단계;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도전성 재료는 상기 개구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며, 상기 도전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보조 도전성 재료에 결합되는 상기 제 1투명체 또는 상기 제 2 투명체의 노출된 주면(main face)에 배치되는,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의 제조 방법.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표면을 생성하는 단계는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 내에 개구부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 1 투명체 및/또는 제 2 투명체 내로 연장하고, 상기 플러그 축선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향되고, 제 1 도전성 플러그 또는 제 2 도전성 플러그에서 끝나고, 따라서 상기 축방향 표면을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전성 요소는 상기 개구부 내에 부분적으로 제공되고, 상기 보조 도전성 재료에 의해 상기 도전성 플러그에 접속되는,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의 제조 방법.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 컷 아웃 영역의 연부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접착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에 접착 채널을 덧대는 것 - 상기 접착 채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의 제 1 주면으로부터 반대측의 제 2 주면까지 연장함 -, 및
    - 상기 접착 채널을 접착제로 채워서 상기 제 1 투명체와 상기 제 2 투명체 사이에 접착제 접속을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의 제조 방법.
  11.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으로서,
    상기 렌즈 시스템은 적어도 3 개의 요소의 스택을 형성하고, 상기 적어도 3 개의 요소 중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렌즈 포일 또는 렌즈 포일들의 스택이 제 1 투명체와 제 2 투명체 사이에 개재되고,
    도전성 플러그는 투명 전극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플러그 축선을 가지며, 상기 도전성 플러그의 각각에는 상기 플러그 축선에 적어도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축방향 표면이 제공되고, 상기 축방향 표면에서 상기 도전성 플러그는 각각 상기 스택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도전성 요소에 접속되는 보조 도전성 재료와 접촉하는,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명체 및 상기 제 2 투명체는 각각 공통 광축 상에서 서로 정렬되는 광축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의 광축은 상기 공통 광축과는 별개로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의 광축은 상기 공통 광축에 평행하게 배치되지만 상기 공통 광축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변위되어 있는,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표면은 환형 표면이고, 상기 보조 도전성 재료는 상기 환형 표면 내에서 그리고 상기 제 1 투명체 및 제 2 투명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그 외면까지 상기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여기서 상기 도전성 요소에 접속되는,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
  14.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도전성 재료는 상기 축방향 표면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전성 요소의 일부가 존재할 수 있는 도체 채널 내에서 연장하는,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학 기기 내에서 상기 액정 재료를 적어도 제 1 상태와 제 2 상태 사이에서 전환시키기 위한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안경.
  16. 제 1 투명 전극을 갖는 제 1 기판 및 제 2 투명 전극을 갖는 제 2 기판을 각각 포함하는 제 1 렌즈 포일 및 제 2 렌즈 포일의 서로 부착된 스택으로서,
    상기 투명 전극들 사이에 프레넬 렌즈 및 액정 재료가 존재하고, 상기 투명 전극들, 상기 프레넬 렌즈 및 상기 액정 재료는 광학 기기를 형성하고,
    각각의 렌즈 포일은 상기 렌즈 포일을 통해 연장하는 제 1 도전성 플러그 및 제 2 도전성 플러그를 더 포함하는, 제 1 렌즈 포일 및 제 2 렌즈 포일의 서로 부착된 스택.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 포일 및 제 2 렌즈 포일의 액정 재료는 네마틱 액정 재료이고, 상기 제 1 렌즈 포일의 광학 기기는 상기 제 2 렌즈 포일의 광학 기기에 대해 90 도의 각도로 배향되는, 제 1 렌즈 포일 및 제 2 렌즈 포일의 서로 부착된 스택.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플러그(34)는 상기 투명 전극(32)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플러그 축선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렌즈 포일 및 제 2 렌즈 포일의 도전성 플러그는 두 렌즈 포일의 제 1 도전성 플러그의 축선이 정렬되도록 배향되고, 상기 제 1 도전성 플러그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렌즈 포일 및 제 2 렌즈 포일의 서로 부착된 스택.
  19. 제 18 항에 있어서,
    두 렌즈 포일의 상기 제 2 도전성 플러그의 축선은 정렬되고, 상기 제 2 도전성 플러그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렌즈 포일 및 제 2 렌즈 포일의 서로 부착된 스택.
  20. 제 16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성 플러그 및 제 2 도전성 플러그는, 광축으로부터 상기 제 1 도전성 플러그 및 제 2 도전성 플러그까지 연장하는 반경방향의 선들이 서로 120 도 미만, 바람직하게는 90 도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60 도 미만의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프레넬 렌즈의 광축에 대해 배치되는, 제 1 렌즈 포일 및 제 2 렌즈 포일의 서로 부착된 스택.
  21.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으로서,
    상기 렌즈 시스템은 적어도 3 개의 요소의 스택을 형성하고, 제 16 항 내지 제 20 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렌즈 포일의 스택은 제 1 투명체와 제 2 투명체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렌즈 포일의 제 1 도전성 플러그 및 제 2 도전성 플러그는 플러그 축선을 가지며, 상기 도전성 플러그를 통해 상기 렌즈는 상기 스택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도전성 요소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플러그에는 상기 도전성 요소가 접속되는 보조 도전성 재료가 존재하는 축방향 표면이 제공되고, 상기 보조 도전성 재료는 수직으로 또는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채널 내에서 연장하는,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
  23.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으로서,
    상기 렌즈 시스템은 적어도 3 개의 요소의 스택을 형성하고, 상기 적어도 3 개의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은 제 1 투명체와 제 2 투명체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렌즈 포일은 제 1 투명 전극을 갖는 제 1 기판 및 제 2 투명 전극을 갖는 제 2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전극들 사이에 프레넬 렌즈 및 액정 재료가 존재하고, 상기 투명 전극들, 상기 프레넬 렌즈 및 상기 액정 재료는 광학 기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투명 전극 및 제 2 투명 전극은 각각 상기 렌즈 시스템의 외측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도전성 요소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전기활성 렌즈는 상기 전기활성 렌즈를 통해 연장하는 제 1 도전성 플러그 및 제 2 도전성 플러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플러그의 각각에는 상기 플러그 축선에 적어도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축방향 표면이 제공되고, 상기 축방향 표면에서 상기 도전성 플러그는 각각 상기 스택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도전성 요소에 접속되는 보조 도전성 재료와 접촉하고,
    상기 보조 도전성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전성 요소의 일부가 존재하는 도체 채널 내에서 상기 축방향 표면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
  24.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렌즈 시스템은 적어도 3 개의 요소의 스택을 형성하고, 상기 스택은 제 1 투명체, 제 2 투명체, 및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포일은 제 1 투명 전극을 갖는 제 1 기판 및 투명 전극을 갖는 제 2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전극들 사이에 프레넬 렌즈 및 액정 재료가 존재하고, 상기 투명 전극들, 상기 프레넬 렌즈 및 상기 액정 재료는 광학 기기를 형성하고, 상기 렌즈 포일은 상기 렌즈 포일을 통해 연장하는 제 1 도전성 플러그 및 제 2 도전성 플러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의 제조 방법은:
    - 상기 제 1 투명체 상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을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 상에 상기 제 2 투명체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제 1 도전성 플러그 및 제 2 도전성 플러그의 플러그 축선에 적어도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표면을 생성하는 단계, 및
    - 상기 도전성 플러그의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표면에 직접 접촉하고, 전환가능 렌즈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압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도전성 요소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투명 전극 및 제 2 투명 전극을 도전성 요소에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보조 도전성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축방향 표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 내에 개구부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 1 투명체 및/또는 제 2 투명체 내로 연장하고, 상기 플러그 축선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향되고, 제 1 도전성 플러그 또는 제 2 도전성 플러그에서 끝나고, 따라서 상기 축방향 표면을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전성 요소는 상기 개구부 내에 부분적으로 제공되어 도체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보조 도전성 재료에 의해 상기 도전성 플러그에 접속되는,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의 제조 방법.
  25. 제 23 항의 시스템 및 제 24 항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체 채널은 실질적으로 원통 형상을 갖는, 시스템 및 방법.
  26. 제 23 항의 시스템 및 제 25 항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체 채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뿔대 형상인, 시스템 및 방법.
  27. 제 23 항 내지 제 27 항의 시스템 및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플러그(34)는 상기 투명 전극(32)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플러그 축선을 갖는, 시스템.
  28. 제 27 항의 시스템 및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체 채널은 상기 플러그 축선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시스템 및 방법.
  29. 제 27 항의 시스템 및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체 채널은 상기 플러그 축선에 경사진 각도로 배치되는, 시스템 및 방법.
  30.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렌즈 시스템은 적어도 3 개의 요소의 스택을 형성하고, 상기 스택은 제 1 투명체, 제 2 투명체, 및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포일은 제 1 투명 전극을 갖는 제 1 기판 및 투명 전극을 갖는 제 2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전극들 사이에 프레넬 렌즈 및 액정 재료가 존재하고, 상기 투명 전극들, 상기 프레넬 렌즈 및 상기 액정 재료는 광학 기기를 형성하고, 상기 렌즈 포일은 상기 렌즈 포일을 통해 연장하는 제 1 도전성 플러그 및 제 2 도전성 플러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의 제조 방법은:
    - 상기 제 1 투명체 상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을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 상에 접착제를 제공하는 단계; 및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 상에 상기 제 2 투명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과 상기 제 2 투명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에는 제조 후에 상기 제 1 투명체로부터 상기 제 2 투명체까지 연장하도록 상기 렌즈 포일을 통해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 채널이 제공되고, 상기 접착제는 상기 접착제 채널 내에 제공되고, 경화되어 접착제 접속을 구성하는,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의 제조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 채널은 상기 광학 기기가 형성된 영역의 외측에 배치되는,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의 제조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접착제로 채워진 상기 접착제 채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의 주연부의 일부가 되도록 상기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의 형상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의 제조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접속 영역이 상기 광학 기기가 형성되는 영역으로부터 이격되어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 채널에 의해 형성되는 컷 아웃 영역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도록 존재하는,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의 제조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영역 내에서 정렬 수단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을 상기 제 1 투명체 및 상기 제 2 투명체 중 적어도 하나 및/또는 추가의 렌즈 포일과 정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렬 수단은,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정렬 구멍인,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의 제조 방법.
  35. 제 30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플러그(34)는 상기 투명 전극(32)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플러그 축선을 가지며,
    상기 방법은:
    - 상기 제 1 도전성 플러그 및 제 2 도전성 플러그의 플러그 축선에 적어도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표면을 생성하는 단계, 및
    - 상기 도전성 플러그의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표면에 직접 접촉하고, 전환가능 렌즈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압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도전성 요소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투명 전극 및 제 2 투명 전극을 도전성 요소에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보조 도전성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의 제조 방법.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표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 내에 개구부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 1 투명체 및/또는 제 2 투명체 내로 연장하고, 상기 플러그 축선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향되고, 제 1 도전성 플러그 또는 제 2 도전성 플러그에서 끝나고, 따라서 상기 축방향 표면을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전성 요소는 상기 개구부 내에 부분적으로 제공되어 도체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보조 도전성 재료에 의해 상기 도전성 플러그에 접속되는,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의 제조 방법.
  37.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으로서,
    상기 렌즈 시스템은 적어도 3 개의 요소의 스택을 형성하고, 상기 적어도 3 개의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은 제 1 투명체와 제 2 투명체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은 제 1 투명 전극을 갖는 제 1 기판, 제 2 투명 전극을 갖는 제 2 기판, 및 상기 투명 전극들 사이의 프레넬 렌즈 및 액정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전극들, 상기 프레넬 렌즈 및 상기 액정 재료는 광학 기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투명 전극 및 제 2 투명 전극은 각각 상기 렌즈 시스템의 외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도전성 요소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렌즈 포일은 상기 렌즈 포일을 통해 연장하는 제 1 도전성 플러그 및 제 2 도전성 플러그를 더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전성 플러그의 각각에는 상기 플러그 축선에 적어도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축방향 표면이 제공되고, 상기 축방향 표면에서 상기 도전성 플러그는 각각 상기 스택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도전성 요소에 접속되는 보조 도전성 재료와 접촉하고,
    접착제 채널을 통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 포일의 주연부를 따라 상기 제 1 투명체로부터 상기 제 2 투명체까지 연장하는 접착제 접속이 존재하는,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도전성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전성 요소의 일부가 또한 존재하는 도체 채널 내에서 상기 축방향 표면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전기활성 렌즈 시스템.
KR1020217027507A 2019-01-30 2020-01-30 전기활성 렌즈 어셈블리 KR202101211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22478A NL2022478B1 (en) 2019-01-30 2019-01-30 Electroactive lens assembly
NL2022478 2019-01-30
PCT/EP2020/052373 WO2020157245A1 (en) 2019-01-30 2020-01-30 Electroactive lens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176A true KR20210121176A (ko) 2021-10-07

Family

ID=66589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7507A KR20210121176A (ko) 2019-01-30 2020-01-30 전기활성 렌즈 어셈블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107510A1 (ko)
EP (1) EP3918416A1 (ko)
JP (1) JP2022519062A (ko)
KR (1) KR20210121176A (ko)
CN (1) CN113396360B (ko)
NL (1) NL2022478B1 (ko)
WO (1) WO20201572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44571A1 (en) * 2021-01-29 2022-08-04 Coopervision International Limited Flexible liquid crystal-containing lens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05295A1 (en) 2004-11-02 2012-01-11 E-Vision, LLC Electro-active spectacles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WO2009117506A2 (en) * 2008-03-18 2009-09-24 Pixeloptics, Inc. Advanced electro-active optic device
KR102018759B1 (ko) * 2013-03-08 2019-09-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위쳐블 프레넬 렌즈와 그 제조 방법
ES2854025T3 (es) * 2016-06-10 2021-09-20 Morrow N V Un dispositivo óptico termoplástic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18416A1 (en) 2021-12-08
WO2020157245A1 (en) 2020-08-06
JP2022519062A (ja) 2022-03-18
US20220107510A1 (en) 2022-04-07
CN113396360B (zh) 2024-05-28
NL2022478B1 (en) 2020-08-18
CN113396360A (zh) 202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3051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nic glasses and liquid-crystal lenses
US20070159562A1 (e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active spectacle lens involving a mechanically flexible integration insert
KR101044199B1 (ko) 광학 장치에 사용되는 상호접속 탭
US739310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active lens
CA2586235C (en) Electro-active spectacles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JP4963515B1 (ja) 可変焦点レンズ用セミフィニッシュトブランク、このブランクから加工された可変焦点レンズおよびこのレンズを用いた可変焦点メガネ
JP2015513691A (ja) 電気駆動レンズのための導電性膜のレーザーパターニング
AU2003274916B8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active lens
JP5523125B2 (ja) 電子眼鏡用レンズ、電子眼鏡及び電子眼鏡用レンズの製造方法
KR20210121176A (ko) 전기활성 렌즈 어셈블리
JPWO2018123195A1 (ja) レンズおよびアイウェア
JP5581195B2 (ja) 可変焦点レンズ用セミフィニッシュトブランク、可変焦点レンズおよび可変焦点メガネ
JP5665375B2 (ja) 液晶レンズの製造方法
WO2020067329A1 (ja) レンズ、レンズブランク、及び、アイウェ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