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0595A -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0595A
KR20210120595A KR1020200037511A KR20200037511A KR20210120595A KR 20210120595 A KR20210120595 A KR 20210120595A KR 1020200037511 A KR1020200037511 A KR 1020200037511A KR 20200037511 A KR20200037511 A KR 20200037511A KR 20210120595 A KR20210120595 A KR 20210120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reography
information
sound source
choreographer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형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안무공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안무공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안무공장
Priority to KR1020200037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0595A/ko
Publication of KR20210120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5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9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encrypting
    • H04N21/23892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encrypting involving embedding information at multiplex stream level, e.g. embedding a watermark at packet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7Monitoring of transmitted content, e.g. distribution time, number of downlo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8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watermar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장치가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음원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안무 컨텐츠를 업로드받아 서비스 플랫폼상에 공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플랫폼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안무 컨텐츠에 대응하는 안무가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안무 매칭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안무 매칭 데이터가 생성된 각각의 안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트래킹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트래킹 정보 및 상기 안무 매칭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래킹 정보 및 상기 안무 매칭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플랫폼을 통한 안무 조회 서비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supplementary services based on choreography contents}
본 발명은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안무 컨텐츠를 기반으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문화가 탄생하기 위해서는 창조적인 흐름이 기초가 되어야 하며, 창조적인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생성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창작에 대해 적절한 보상과 대가가 따라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문화 콘텐츠를 보호하고, 하나의 창작물로 인정하는 권리가 창작자에게 부여되어야 한다. 여기서, 저작자가 자신의 저작물을 독점적으로 이용하거나 이를 남에게 허락할 수 있는 인격적, 재산적 권리를 저작권이라 한다. 저작권은 문학, 영화 등 예술 작품 등 저작물에 대한 독점적이고 배타적인 이용을 보장하는 권리이며, 복제를 통해 저작권자의 저작물을 출판하거나 저작물을 임의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권리이기도 하다.
현재 방송이나 음악 분야의 저작권은 관련단체, 법률 체제정비가 잘 갖춰져 있어 그 분야의 창작자들은 창작의 대가를 적절히 보상받고 있으며, 새로운 창작물이 발생하면 그에 따른 관련비용을 지급받는다.
반면, 안무가들이나 단체는 음악에 맞추어 적절한 안무를 창작하고 관련비용을 지급받는다. 이후는 저작권의 개념이 모호해진다. 음악저작권에 관련된 작곡가, 작사가, 가수는 방송출연 횟수, 뮤직 비디오 조회 수 등을 통하여 추후 발생하는 저작권료를 지급받으나, 안무가는 아무런 이득이 없고, 이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도 없다는 것이 현재의 안무 저작권의 문제이다.
즉, 최근의 경우 안무가는 비쥬얼 시대에 걸맞게 안무를 통해 음원홍보에 큰 역할을 하게 된 반면에, 유튜브 광고수익이나 앨범수입에서 완전히 제외되어 있어 상대적 박탈감이 커지고 있다.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65955호(안무 저작권 시스템에서 동작동기화 및 상호간섭작용 구현장치 및 그 방법)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13577호(안무 구상 지원 장치 및 방법) 선행기술 3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08345호(온라인 댄스 강의 시스템) 선행기술 4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62585호(율동 기반 음악 동조화 장치 및 방법) 선행기술 5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18920호(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댄스 교습 방법 및 장치) 선행기술 6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9195호(질의동작기반 안무 검색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안무가들로부터의 다양한 안무 동영상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가 희망하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안무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장치가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음원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안무 컨텐츠를 업로드받아 서비스 플랫폼상에 공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플랫폼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안무 컨텐츠에 대응하는 안무가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안무 매칭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안무 매칭 데이터가 생성된 각각의 안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트래킹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트래킹 정보 및 상기 안무 매칭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래킹 정보 및 상기 안무 매칭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플랫폼을 통한 안무 조회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상기 안무 매칭 데이터는 상기 음원의 분석 정보, 상기 음원내 파트별 안무가 식별정보, 상기 음원내 파트 정보, 및 시간구간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상기 트래킹 정보는, 상기 안무 컨텐츠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안무가 고유 정보와 상기 안무가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안무 기여도 정보와, 안무 컨텐츠별로의 안무 선택 정보, 안무 조회 정보, 안무 공유 정보, 안무 전달 정보 및 안무 평가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음원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안무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음원의 파트별로 하나 이상의 안무 컨텐츠를 선택한 정보를 수신하며, 안무 조회 신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된 안무 컨텐츠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워터마크 삽입단계; 상기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된 사용자 활동 정보를 근거로 안무 조회 신청된 안무 컨텐츠에 대한 트래킹 정보를 처리하는 트래킹 정보 처리 단계; 상기 트래킹 정보 처리단계에서 처리된 트래킹 정보 및 상기 안무 매칭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안무가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안무가에 대한 지급 비율을 정산하는 정산단계; 상기 안무 조회 신청에 따라, 해당하는 안무 컨텐츠를 해당 사용자에게로 송신하는 송신단계; 및 상기 안무 매칭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안무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워터마크가 삽입된 각각의 안무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요자 활동 정보에 포함된 선택, 조회, 공유, 전달 및 평가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트래킹 정보로 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음원내의 파트별로 안무가들이 창작하여 업로드시킨 안무들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안무를 기반으로 하는 안무 매칭 데이터를 기초로 안무 컨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안무에 대한 조회, 공유, 전달, 선택, 평가 등이 이루어짐에 따른 트래킹 정보에 따라 해당 안무가에게 적절한 수익을 분배하여 지급해 줄 수 있다.
또한, 안무 매칭 데이터 및 트래킹 정보를 기반으로 적절한 안무가를 추천해 줄 수 있다.
또한, 안무 동영상을 기반으로 하여 온라인상에서 댄스 강의를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댄스 강의에 사용된 안무 동영상의 안무가에 대한 수익을 분배하여 지급해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버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장치에서의 트래킹 정보의 생성 및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안무 매칭 데이터 생성 및 안무 매칭 데이터 를 기초로 생성된 안무 컨텐츠의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설명에 채용되는 화면예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설명에 채용되는 화면예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의 시스템은, 제작자 단말(10), 안무가 단말(20), 네트워크(30), 데이터베이스(40), 서버(50), 및 일반 사용자 단말(7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작자 단말(10)은 컨텐츠 제작자의 단말이고, 안무가 단말(20)은 안무를 창작하는 일반인, 가수, 댄스 인플루언서(dance influencer) 등을 포함한 안무가의 단말이고, 일반 사용자 단말(70)은 컨텐츠 제작자 및 안무가를 제외한 컨텐츠 및 댄스에 흥미가 있거나 안무 컨텐츠 서비스를 통해 안무를 학습하고자 하는 일반 사용자 등의 단말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제작자 단말(10)과 안무가 단말(20) 및 일반 사용자 단말(70)을 사용자 단말로 통칭한다.
제작자 단말(10)은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버(50)에게로 음원을 업로드할 수 있다. 여기서, 업로드 당시의 음원은 안무가 결합되지 않은 순수한 음원 자체를 의미한다.
그리고, 제작자 단말(10)은 음원을 업로드할 때, 해당 음원에 적합한 안무를 제작해 주기를 요청한다.
이때, 제작자 단말(10)은 음원 업로드시, 제작자가 평소 선호하는 안무가에게 안무를 제작해 주기를 요청하도록 별도의 인테페이스가 추가될 수 있다. 제작자가 평소 선호하는 안무가를 선택하는 과정은 아래와 같은 과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우선, 제작자가 안무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의 서버(50)를 통해 회원 가입한 안무가, 일반인, 가수, 인플루언서 등을 직접 검색 및 선택하여 메시지를 보내도록 인터페이스가 구성되어 안무 제작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작자가 추후 안무가들이 제공한 안무 동영상을 선택하였을 경우나 특정 안무가들의 안무 동영상을 여러번 조회하였을 경우, 안무 동영상 선택수 및 조회수가 높은 안무가, 안무 동영상 선택수 및 조회수가 높은 안무 동영상과 안무 스타일이 유사한 안무를 구사하는 여러 안무가들을 자동적으로 추천해주는 인터페이스가 구성되어 제작자가 해당 안무가들에게 메시지를 보내어 안무 제작을 요청할 수도 있다.
또한, 음원은 몇 개의 파트(구간)로 분절되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음원은 초입부, 후렴부, 메인부 등의 단위 음원 파트로 분절되어 있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음원은 대략 4 ~ n초 정도의 단위 음원 파트로 분절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여러개의 단위 음원 파트들로의 음원 분절은 컨텐츠 제작자가 할 수 있다. 또한, 여러개의 단위 음원 파트들로의 음원 분절은 컨텐츠 제작자가 아닌 안무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의 서버(50)의 제어단에서 자동적으로 분절 처리될 수 있다. 서버(50)에서 음원이 분절 처리될 경우엔 오디오 스펙트럼, 페이드인아웃(fade-in, fade-out), 보컬의 가사 처리, 타겟 리듬, 운율 또는 동반하는 반주 및 스코어나 음표 시퀀스에 따라 수정된 피치 등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방법을 통해 자동적으로 분절처리 될 수 있다.
제작자 단말(10)은 음원을 서버(50)에게로 업로드할 때, 해당 음원에 대한 간단한 설명(예컨대, 장르, 특성, 분위기, 탄생 배경 등) 및 해당 음원의 파트별 특성 정보(예컨대, 장르, 분위기 등)를 함께 보낼 수 있다. 이는 추후의 안무가의 안무 창작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이다.
한편으로, 제작자 단말(10)은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버(50)에게로 안무가 추천 요청을 할 수 있다. 안무가 추천 요청시, 제작자 단말(10)은 안무가 추천이 필요한 음원 및 해당 음원에 대한 간단한 정보(예컨대, 장르, 특성, 분위기, 탄생 배경 등)를 서버(50)에게로 함께 보낼 수 있다. 여기서, 안무가 추천 요청시의 음원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단위 음원 파트들로 분절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작자 단말(10)을 하나만 도시하였는데, 실제로는 여러개의 제작자 단말이 존재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또한, 제작자 단말(10)은 희망하는 하나 이상의 안무 동영상을 선택한 정보를 서버(5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음원이 서버(50)에 업로드되면 서버(50)는 해당 음원을 회원등록되어 있는 모든 안무가의 단말(20)에게로 전송하거나 회원 등록된 모든 안무가의 단말(20)에게 신규 음원이 업로드되었음을 알린다. 이후, 안무가들은 수신한 음원을 확인한 후에 해당 음원내에서 희망하는 파트에 대한 안무를 창작하여 그에 상응하는 안무 동영상을 서버(50)에게로 업로드한다. 그리고, 서버(50)는 수신한 음원 파트별 하나 이상의 안무 동영상을 해당 제작자 단말(10)에게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해당 제작자 단말(10)의 제작자는 각각의 파트별로 가장 최적이라고 여겨지는 1개 이상의 안무 동영상을 선택한다. 이와 같이 하면 해당 음원의 모든 파트에 대한 하나 이상의 안무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컨텐츠 제작자의 음원내 파트별 안무 선택이 완료되면 그에 상응하는 음원 파트별 안무 선택 정보가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버(50)에게로 전송된다. 이와 같은 음원 파트별 안무 선택 정보는 해당 음원에 대한 안무 컨텐츠를 생성하는데 활용될 뿐만 아니라 추후에 서버(50)에서 부가서비스 제공을 위한 트래킹 정보의 일 예로 활용될 수 있다.
안무가 단말(20)은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버(50)에 접속하여 회원등록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원등록시 해당 안무가의 SNS계정 정보, 프로필 정보, ID 또는 태그, 패스워드, 창작가능한 안무 장르, 은행 계좌번호 등을 등록한다. 여기서, 프로필 정보는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요 경력 사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안무가 단말(20)은 서버(50)에 등록된 음원을 수신하거나, 제작자 단말(10)로부터 개인적으로 수신받은 안무 제작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해당 음원내에서 희망하는 파트에 대한 하나 이상의 안무 동영상을 제작하여 서버(50)에게로 업로드할 수 있다. 즉, 안무가 단말(20)에는 웹 카메라(도시 생략) 등이 설치되어 있어서 안무가의 안무를 촬영한 동영상을 서버(50)에게로 업로드할 수 있다. 이때, 안무가 단말(20)은 해당 안무 동영상을 창작한 안무가의 정보를 해시태그 등과 같은 태그의 형태로 안무 동영상과 함께 업로드할 수 있다.
안무가는 안무를 창작하기 위해, 음원의 모든 파트중에서 희망하는 파트를 재생시켜 청취하면서 그에 적절한 춤을 추게 된다. 이 경우, 춤을 추기 전에 안무가 단말(20)에는 소정의 대기시간이 표시되고 대기시간이 종료되면 안무가는 재생되는 음원에 맞추어 춤을 추면 된다.
도 1에서는 안무가 단말(20)을 하나만 도시하였는데, 실제로는 여러개의 안무가 단말이 존재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일반 사용자 단말(70)은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버(50)에게로 안무 조회 신청을 할 수 있다. 안무 조회 신청시, 일반 사용자 단말(70)은 조회하고자 하는 안무가 연결되어 있는 음원의 곡명 및 가수명 등을 함께 입력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일반 사용자 단말(70)은 안무 조회 신청시 조회하고자 하는 안무 동영상의 정보(예컨대, 안무가 성명 및/또는 안무 동영상에 대한 태그)를 입력할 수 있다. 서버(50)는 안무 동영상마다의 고유 정보(예컨대, 워터마크 또는 URL 정보 등) 및 안무 동영상마다의 안무가 정보를 근거로 현재 조회되고 있는 안무 동영상이 어느 안무가의 안무 동영상인지를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안무 조회 정보(즉, 안무 조회횟수)는 추후에 서버(50)에서 안무가에게 수익을 분배하여 지급하기 위한 트래킹 정보의 일 예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일반 사용자 단말(70)에서는 조회된 안무에 대한 평가 정보(예컨대, 좋아요, 싫어요 등)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평가 정보도 추후에 서버(50)에서 안무가에게 수익을 분배하여 지급하기 위한 트래킹 정보의 일 예로 활용될 수 있다.
물론, 일반 사용자 단말(70)은 안무 조회 신청 뿐만 아니라, 해당 시청자가 즐겨보는 안무를 다른 이들과 공유할 수도 있고 다른 이들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서버(50)는 공유되거나 전달된 안무 동영상의 고유 정보(예컨대, 워터마크 또는 URL 정보 등) 및 해당 안무 동영상의 안무가 정보를 근거로 현재 공유되거나 전달된 안무 동영상이 어느 안무가의 안무 동영상인지를 알 수 있다. 또한, 서버(50)는 한번 공유되거나 전달된 안무 동영상이 재차 다른 이들에게 공유되거나 전달되어도 그와 같은 사실을 충분히 추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안무 공유 정보(즉, 안무 공유횟수) 및 안무 전달 정보(즉, 안무 전달횟수)는 추후에 서버(50)에서 안무가에게 수익을 분배하여 지급하기 위한 트래킹 정보의 일 예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일반 사용자 단말(70)에서는 공유 또는 전달된 안무에 대한 평가 정보(예컨대, 좋아요, 싫어요 등)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평가 정보는 추후에 서버(50)에서 안무가에게 수익을 분배하여 지급하기 위한 트래킹 정보의 일 예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베스트 안무를 추려내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일반 사용자 단말(70)은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버(50)에게로 댄스 강의 요청을 할 수 있다. 댄스 강의 요청시, 일반 사용자 단말(70)은 희망하는 댄스 강사명 및/또는 곡명을 함께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일반 사용자 단말(70)은 댄스 강의 요청을 하게 되면 서버(50)로부터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을 수신하게 된다. 이때, 서버(50)는 스트리밍 전송하는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의 안무가 정보를 알 수 있으므로,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 전송에 따른 안무가 정보는 추후에 서버(50)에서 안무가에게 수익을 지급하기 위한 트래킹 정보의 일 예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일반 사용자 단말(70)에서는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에 대한 평가 정보(예컨대, 좋아요, 싫어요 등)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평가 정보도 추후에 서버(50)에서 안무가에게 수익을 분배하여 지급하기 위한 트래킹 정보의 일 예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일반 사용자 단말(70)은 수신한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에 대하여 구간 반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대략 60초 프레임으로 고농도 촬영한 0.1초 단위 특수 슬로우 모션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일반 사용자 단말(70)은 웹 카메라 등을 구비하여 해당 시청자(즉, 댄스 수강자)의 댄스 영상을 원클릭으로 피드백(즉, 서버(50)에게로 업로드)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일반 사용자 단말(70)은 댄스 수강자의 피드백 영상 업로드 뷰에 대응하여 댄스 강사 입장에서의 피드백 화면 뷰(예컨대, 영상씬별로 영상/음성/텍스트 피드백 가능)를 서버(5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작자 단말(10)에서 음원을 업로드한다고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안무가 및 시청자도 자신이 직접 음원을 창작할 수 있으므로 안무가 및 시청자도 음원을 업로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컨텐츠 제작자 및 안무가는 시청자가 될 수도 있고, 컨텐츠 제작자는 안무가가 될 수 있고, 안무가는 컨텐츠 제작자가 될 수 있고, 시청자는 컨텐츠 제작자 또는 안무가가 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제작자 단말(10)과 안무가 단말(20) 및 일반 사용자 단말(70)을 사용자 단말로 통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컨텐츠 제작자, 안무가, 및 시청자를 사용자로 통칭할 수 있다.
따라서, 안무가만 회원등록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안무가 뿐만 아니라 컨텐츠 제작자 및 시청자도 상술한 바와 같은 회원등록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네트워크(30)는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30)는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와이파이(Wi-Fi),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네트워크(30)는 유선 및 무선이 혼용된 네트워크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0)는 회원 등록 정보를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40)는 다수의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을 저장한다.
여기서,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은 통상적으로 소정의 음원과 함께 사용자(즉, 댄스 수강자)에게 제공될 것이므로,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은 음원의 파트별로 하나 이상의 안무 동영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그에 따라,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은 하나 이상의 안무 동영상을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0)는 각각의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에 대한 댄스 강사 정보(예컨대, 댄스 강사의 성명(즉, 안무가의 성명), 해당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과 결부되어 있는 음원의 파트 정보(예컨대, 해당 파트의 장르, 분위기, 해당 파트의 안무 동영상의 정보), 및 파트별 시간구간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을 것이다.
데이터베이스(40)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음원 및 해당 음원의 각각의 파트에 대해 업로드받은 하나 이상의 안무 동영상(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버(50)에서 워터마크가 삽입된 안무 동영상)을 저장한다. 여기서, 워터마크는 해당 안무 동영상의 식별정보가 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데이터베이스(40)에는 안무 동영상별 워터마크의 특징이 어떠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워터마크의 패턴, 해당 안무 동영상이 어느 안무가의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 등이 저장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40)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음원에 대한 간단한 설명 및 해당 음원의 파트별 특성 정보, 사용자가 음원 파트별로 업로드한 안무 동영상에 대한 안무가 정보(즉, 해당 안무 동영상을 창작한 안무가의 정보) 등을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40)에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음원의 업로드 시점, 사용자가 업로드한 안무 동영상의 업로드 시점이 저장된다. 여기서, 안무 동영상의 업로드 시점은 해당 안무 동영상을 창작한 안무가에 대한 논란이 있을 경우에 이를 해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40)는 안무 동영상마다의 안무 선택횟수, 안무 조회횟수, 안무 공유횟수, 안무 전달횟수, 및 안무 평가 정보 등을 저장한다. 이와 같은 안무 선택횟수, 안무 조회횟수, 안무 공유횟수, 안무 전달횟수, 및 안무 평가 정보는 트래킹 정보의 예들이 될 수 있다. 서버(50)는 안무 선택횟수, 안무 조회횟수, 안무 공유횟수, 안무 전달횟수, 및 안무 평가 정보를 통해서 사용자들에게 가장 인기있는 파트별 안무 동영상이 어느 것인지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파악된 파트별 인기 안무 동영상을 근거로, 서버(50)는 음원에 대한 안무 제작이 필요할 경우 음원의 파트별 특성에 따라 안무 동영상 추천 또는 안무가 추천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40)는 안무 동영상마다의 트래킹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40)는 음원별 안무 매칭 데이터를 저장할 뿐만 아니라 안무 매칭 데이터를 근거로 생성된 안무 컨테츠를 저장한다. 여기서, 안무 매칭 데이터는 해당 음원의 분석 정보(예컨대, 장르, 특성을 분석한 정보), 해당 음원내 파트별 안무가 식별정보(즉, 고유정보), 음원 내 파트 정보(예컨대, 해당 파트의 안무 동영상 식별 정보 등), 및 시간구간 정보(예컨대, 음원내에서 각각의 파트가 차지하는 시간구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되는 안무 매칭 데이터 및 트래킹 정보는 상호 밀접하게 연관된다. 예를 들어, 안무 동영상에 대한 선택횟수, 조회횟수, 공유횟수, 전달횟수, 좋은 내용(예컨대, 좋아요)의 평가 등이 많을수록 해당 안무 동영상은 보다 인기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 서버(50)는 이러한 안무 매칭 데이터 및 트래킹 정보를 통해서 인기있는 안무 동영상(예컨대, 베스트 영상)이 어느 것이고, 인기있는 안무 동영상의 창작자(즉, 안무가)가 누구인지를 충분히 파악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서버(50)가 파악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되면 해당 사용자는 파트별 인기 안무를 고려하여 안무를 창작하거나 선택하는데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서버(50)는 사용자 개개인의 취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특정 안무 동영상 및 특정 안무가를 선택, 조회, 공유 및 전달하거나 긍정적 피드백을 남긴 경우, 상술된 내용의 정보를 트래킹 정보로 수집하여 해당 사용자의 트래킹 정보와 유사한 스타일의 안무 동영상 및 안무가를 추천해줄 수 있다.
즉, 서버(50)는 각각의 안무 동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조회, 공유, 전달, 및 평가중에서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하는 트래킹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50)는 생성한 트래킹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한다.
필요에 따라, 안무 매칭 데이터는 트래킹 정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여도 되고, 안무 매칭 데이터와 트래킹 정보는 각각 운영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서버(50)는 안무 매칭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안무 컨텐츠(즉, 1개의 음원에 대해 해당 음원의 파트별 안무 동영상이 하나 이상 존재하는 안무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안무 컨텐츠는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될 수도 있다.
서버(50)는 회원 등록된 안무가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하고, 제작자 단말(10)로부터 업로드받은 음원(예컨대, 안무 제작이 필요한 음원)을 회원 등록된 모든 안무가의 단말(20)에게로 전송한다. 여기서, 업로드받은 음원을 회원 등록된 모든 안무가의 단말(20)에게로 전송할 때, 서버(50)는 해당 음원내의 파트중에서 희망하는 파트에 대하여 안무를 창작하여 동영상을 업로드해 달라는 요청을 함께 보낸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제작자 단말(10)로부터 업로드받은 음원을 회원 등록된 모든 안무가의 단말(20)에게로 전송하는 것 대신에, 회원 등록된 모든 안무가의 단말(20)에게 음원이 업로드되었음을 알리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그러면, 안무가들이 서버(50)에 접속하여 음원을 확인한 후에 안무 동영상을 업로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서버(50)는 상기 업로드된 음원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안무 컨텐츠를 업로드받아 서비스 플랫폼상에 공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플랫폼은 상기 서버(50)에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들로 상기 음원, 안무 동영상 또는 상기 안무 컨텐츠 기반의 안무 컨텐츠 등을 상호 공유하고, 개별 사용자 단말 입력에 따른 사용자 활동 정보의 갱신이 가능한 종합적 안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서버(50)는 상기 서비스 플랫폼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안무 컨텐츠에 대응하는 안무가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안무 매칭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안무 매칭 데이터가 생성된 각각의 안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트래킹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트래킹 정보 및 상기 안무 매칭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안무가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안무가에게 지급될 수익을 정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50)는 안무 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용자 활동에 따라 창출되는 광고 수익 등의 다양한 수익들을, 플랫폼 제작자만이 아닌 실제 안무를 창작한 안무가들에게 실질적인 분배 수익을 지급할 수 있다. 서버(50)는 이를 위한 근거 정보로서, 상기 안무 컨텐츠에 대응하여 사전 생성된 상기 안무 매칭 데이터와 상기 트래킹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상기 안무 매칭 데이터와 상기 트래킹 정보에 따른 안무가별 적절한 기여도 등이 산출되어 각각의 개별 안무가들의 플랫폼 내 등록된 계정으로 적정 비용이 지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용은 현금일 수도 있으나, 서비스 플랫폼상에서 운용되는 가상화폐 등도 예시될 수 있다.
한편, 안무가들이 음원내에서 희망하는 파트에 대한 안무를 창작하여 그에 상응하는 안무 동영상을 서버(50)에게로 업로드함에 따라, 서버(50)는 업로드받은 파트별 안무 동영상에 워터마크를 삽입한다. 예를 들어,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이 3개의 파트로 구성되고 각각의 파트별로 2개의 안무 동영상이 업로드되었다고 가정하였을 경우, 서버(50)는 안무 동영상에 대한 안무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해서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없는 워터마크를 삽입한다. 이때, 워터마크는 각각의 안무 동영상에 대해 어느 안무가의 안무 동영상인지를 의미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주지의 기술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리라 본다. 만약,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워터마크를 삽입하게 되면 영상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삽입된 워터마크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없는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서버(50)는 업로드받은 음원과 해당 음원의 파트별 안무 동영상(예컨대, 워터마크가 삽입된 안무 동영상)을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한다.
또한, 서버(50)는 업로드받은 음원의 파트별 안무 동영상(예컨대, 워터마크가 삽입된 안무 동영상)을 해당 제작자 단말(10)에게로 전송한다. 이는 제작자 단말(10)이 업로드한 음원에 대한 파트별 안무 동영상을 컨텐츠 제작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서버(50)는 컨텐츠 제작자가 파트별로 희망하는 1개 이상의 안무 동영상을 선택함에 따른 정보(즉, 안무 선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한다. 그리고, 서버(50)는 안무 선택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에 대응하는 안무 매칭 데이터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한다.
또한, 서버(50)는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시킨 안무 매칭 데이터에 기초하여 안무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안무 컨텐츠 서비스 제공이라 함은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내의 파트별로 하나의 안무 동영상이 선택됨에 따라 이를 근거로 생성된 해당 음원에 대한 안무 매칭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안무 컨텐츠를 컨텐츠 제작자에게 보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안무 컨텐츠 서비스 제공이라 함은 안무 매칭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안무 컨텐츠를 해당 컨텐츠 제작자 또는 안무가 또는 시청자의 SNS 계정을 통해 온라인(예컨대, 틱톡,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상에 제공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물론, 컨텐츠 제작자 또는 안무가 또는 시청자가 온라인상의 안무 컨텐츠를 보고 따라 춘 자신의 춤 영상을 서버(50)에게로 업로드하면 서버(50)가 이를 해당 컨텐츠 제작자 또는 안무가 또는 시청자의 SNS 계정을 통해 온라인(예컨대, 틱톡,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상에 제공하는 것도 안무 컨텐츠 서비스 제공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온라인상의 안무 컨텐츠를 보고 따라 춘 자신의 춤 영상을 서버(50)에 업로드할 때에는 누구의 안무 동영상을 보고 따른 춘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도 함께 업로드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원래의 안무 창작자를 손쉽게 파악하고 추후의 수익 분배 및 지급에도 반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안무 컨텐츠 서비스 제공은 서버(50)가 관리를 보다 쉽게 하기 위해서이고, 이와 같이 하여야 안무 동영상의 조회, 선택, 공유, 전달 등에 대한 트래킹(즉, 추적)을 보다 쉽고 정확하게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안무 동영상의 조회, 선택, 공유, 전달 등에 대한 트래킹을 보다 쉽고 정확하게 하게 되면 추후에 해당 안무를 창작한 안무가에 대한 수익 분배 및 지급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로 인해 안무가의 만족도를 극대화시킬 것이다.
안무 컨텐츠 서비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음원에 대한 안무 매칭 데이터 기반의 안무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이외로, 안무 매칭 데이터 및 음원에 기초한 결합 컨텐츠 생성 서비스, 안무 매칭 데이터 및 음원을 이용한 댄스 인플루언서의 안무 컨텐츠 생성 서비스, 안무 매칭 데이터 및 음원 데이터에 기초한 학습 서비스, 안무 매칭 데이터 및 음원 데이터에 기초한 학습 서비스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및 저작권 수익 분배 서비스, 안무 매칭 데이터 및 음원 데이터에 기초한 강의 컨텐츠 제작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 컨텐츠는 업로드된 음원내의 각 파트별로 최적의 하나 이상의 안무 동영상(즉, 안무 컨텐츠라고 할 수 있음)을 결합시킨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특히, 서버(50)는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다수의 안무 동영상을 기반으로, 일반 사용자 단말(70)로부터의 다양한 요청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부가서비스(예컨대, 안무 조회 서비스, 댄스 강의 서비스 등)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버(50)는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다수의 안무 동영상을 기반으로, 제작자 단말(10)로부터의 안무가 추천 요청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부가서비스(예컨대, 안무가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서버(50)는 플랫폼 서버라고 불리울 수도 있다.
상술한 도 1에서는 데이터베이스(40)와 서버(50)를 별개로 구성시켰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데이터베이스(40)가 서버(50)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버(50)의 내부 구성도이다.
서버(50)는 수신부(51), 데이터베이스 관리부(52), 송신부(53), 워터마크 삽입부(54), 안무가 추천부(55), 트래킹 정보 처리부(56), 정산부(57), 및 제어부(58)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51)는 사용자 단말(즉, 제작자 단말(10), 안무가 단말(20), 일반 사용자 단말(70) 중에서 하나 이상)로부터의 서비스 플랫폼 이용에 따른 사용자 활동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사용자 활동 정보는 음원 등록 정보, 회원 등록 정보, 안무 선택 정보(예컨대, 안무 동영상이 선택되었음을 의미하는 정보), 안무 조회 정보(예컨대, 안무 동영상이 조회되었음을 의미하는 장보), 안무 공유 정보(예컨대, 안무 동영상이 공유되었음을 의미하는 정보), 안무 전달 정보(예컨대, 안무 동영상이 전달되었음을 의미하는 정보), 및 안무 평가 정보(예컨대, 좋아요, 싫어요 등과 같은 댓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51)는 사용자 단말(예컨대, 안무가 단말(20))로부터의 안무 동영상을 수신하고, 음원의 파트별로 희망하는 1개 이상의 안무 동영상을 선택함에 따른 사용자 활동 정보를 수신한다.
데이터베이스 관리부(52)는 데이터베이스(40)로의 각종의 정보 저장 및 저장된 정보의 갱신 등을 관리한다.
송신부(53)는 수신부(51)에서 수신한 음원을 회원 등록되어 있는 모든 안무가의 단말(20)에게로 송신하거나, 회원 등록된 모든 안무가의 단말(20)에게 음원이 업로드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회원등록된 안무가라 함은 서버(50)에 회원으로 등록된 안무가로서, 안무 창작 능력을 갖춘 안무가를 의미할 수 있으며, 컨텐츠 제작자 또는 시청자중에서 안무 창작 능력을 갖춘 컨텐츠 제작자 또는 시청자도 안무가로 회원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무 창작 능력을 갖춘 컨텐츠 제작자 또는 시청자라 함은 자신만의 안무를 한번이라도 창작하여 본 경험이 있는 자를 의미할 수 있다.
송신부(53)는 음원의 파트별 하나 이상의 안무 동영상을 사용자 단말(예컨대, 제작자 단말(10))에게로 송신한다. 음원의 파트별로 여러 안무가들이 저마다의 안무를 창작하여 안무 동영상을 업로드할 수 있으므로, 안무 제작을 의뢰한 컨텐츠 제작자의 입장에서는 음원내 파트별로 마음에 드는 안무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그에 따라, 선택을 하도록 하기 위해, 송신부(53)는 음원의 파트별 하나 이상의 안무 동영상을 제작자 단말(10)에게로 송신하는 것이다.
또한, 송신부(53)는 음원에 대한 안무 매칭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안무 컨텐츠를 해당 사용자 단말(예컨대, 제작자 단말(10))에게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부(53)는 임의의 안무 동영상에 대하여 사용자의 안무 조회, 안무 선택, 안무 공유, 안무 전달 등의 요청이 있을 경우에 제어부(58)의 제어에 의해 해당하는 안무 동영상을 해당 사용자에게로 송신한다.
한편, 수신부(51)에서 댄스 강의 요청(예컨대, 희망하는 댄스 강사명 및/또는 곡명 포함)을 수신하게 되면 제어부(58)는 데이터베이스(40)의 다수의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중에서 댄스 강의 요청한 내용에 상응하는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을 송신부(53)를 통해 해당 일반 사용자 단말(70)에게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스트리밍 전송된 댄스 강의용 영상은 구간반복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댄스 수강자 입장에서는 피드백용 영상을 서버(50)에게로 업로드할 수 있고, 그에 상응하여 댄스 강사 입장에서도 피드백용 화면을 서버(50)에게로 업로드할 수 있다. 댄스 강사측에서 업로드시킨 피드백용 화면은 서버(50)를 통해 해당 댄스 수강자(즉, 시청자)의 단말에게로 전송될 것이다. 이러한 댄스 수강자의 피드백용 영상 및 댄스 강사의 피드백용 화면의 송수신은 제어부(58)의 제어에 의해 행해진다.
한편으로, 수신부(51)에서 안무 조회 신청(예컨대, 조회하고자 하는 안무가 있는 음원의 곡명 및 가수명, 또는 조회하고자 하는 안무 동영상의 식별 정보 등을 포함)을 수신하게 되면 제어부(58)는 데이터베이스(40)의 안무 동영상들 중에서 그에 상응하는 안무 동영상을 추출하여 송신부(53)를 통해 해당 일반 사용자 단말(70)에게로 송신할 수 있다.
이와 다른 방법으로는, 안무 조회 신청이 있게 되면 제어부(58)는 안무 조회 신청과 함께 입력된 음원의 곡명 및 가수명 등에 따라 해당 음원의 파트별로 최고의 안무(예컨대, 조회수가 가장 많은 안무 또는 조회수 대비 좋아요가 가장 많은 안무)를 모은 풀(full) 영상을 송신부(53)에게로 보낼 수 있다. 그에 따라, 송신부(53)는 입력받은 해당 풀 영상을 해당 일반 사용자 단말(70)에게로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원의 파트별 최고의 안무를 모은 풀(full) 영상을 제공하게 되면 시청자들의 보다 많은 조회, 공유, 전달 등을 유도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안무가에게 더욱 많은 수익을 분배하여 지급해 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해당 음원의 파트별 최고의 안무를 모은 풀(full) 영상을 보낼 때, 추가적으로 제어부(58)는 해당 음원의 각각의 파트별로 1 ~ 3개 정도의 베스트 안무(예컨대, 조회수 기준의 베스트 안무, 조회수 대비 좋아요 기준의 베스트 안무)를 송신부(53)를 통해 해당 일반 사용자 단말(70)에게로 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추가적으로 음원의 각각의 파트별로 1 ~ 3개 정도의 베스트 안무를 제공하게 되면 시청자들의 보다 좋은 반응 및 조회 등을 유도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안무가에게 더욱 더 많은 수익을 분배하여 지급해 줄 수 있게 된다.
워터마크 삽입부(54)는 수신부(51)에 수신된 안무 동영상에 워터마크를 삽입한다. 예를 들어, 음원이 3개의 파트로 구성되고 각각의 파트별로 2개의 안무 동영상이 업로드되었다고 가정하였을 경우, 워터마크 삽입부(54)는 저마다의 안무 동영상에 대한 안무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해서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없는 워터마크를 삽입한다. 이때, 워터마크는 각각의 안무 동영상에 대해 어느 안무가의 안무 동영상인지를 의미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주지의 기술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리라 본다. 만약,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워터마크를 삽입하게 되면 영상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삽입된 워터마크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워터마크 삽입부(54)는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없는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워터마크 삽입부(54)에 의해 워터마크가 삽입된 안무 동영상은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다. 상술한 수신부(51)에 수신된 안무 동영상 및 워터마크가 삽입된 안무 동영상을 각각 안무 컨텐츠라고 할 수 있다.
워터마크 삽입부(54)에서 안무 동영상별로 워터마크를 삽입하게 되면, 제어부(58)는 안무 동영상별 워터마크의 특징이 어떠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해당 워터마크의 패턴을 해당 안무가와 매칭시켜서 데이터베이스 관리부(52)를 통해서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시킨다.
안무가 추천부(55)는 수신부(51)에서 안무가 추천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안무가 추천 요청과 함께 수신된 안무가 추천이 필요한 음원에 대한 특성(예컨대, 장르, 분위기, 비트(beat) 등)을 소정의 음원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파악한 후에 파악한 내용을 근거로 적절한 안무가를 추천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무가 추천이 필요한 음원이 3개의 파트로 분절된 경우로 가정하여 부연설명한다. 안무가 추천부(55)는 안무가 추천이 필요한 음원의 각각의 파트의 음원 특성을 소정의 음원 분석 프로그램으로 파악하고, 파악된 각각의 파트의 음원 특성에 매칭되는 음원 파트를 데이터베이스(40)에 기저장되어 있는 음원들중에서 찾아낸다. 여기서, 매칭은 100% 동일하면 가장 좋겠으나, 100% 동일한 것이 없을 경우에는 임계값 이상으로 유사한 것이 매칭된다고 할 수 있다. 상술한 임계값은 설정하기 나름이다. 상술한 음원 분석 프로그램은 공지된 기술로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주지의 기술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나서, 안무가 추천부(55)는 찾아낸 음원 파트에 속해있는 안무 동영상의 안무가를 해당 파트의 안무가로 추천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안무가 추천부(55)는 안무가 추천을 요청한 음원의 각각의 파트마다 한 명 이상의 안무가를 추천해 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안무가 추천부(55)가 음원에 대한 특성을 파악함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예컨대, 제작자 단말(10))에서 입력한 해당 음원의 각각의 파트별 특성 정보를 통해서 해당 음원의 각각의 파트의 장르, 분위기 등을 파악할 수도 있다.
트래킹 정보 처리부(56)는 수신부(51)에서 수신한 사용자 활동 정보를 근거로 안무 조회 신청된 안무 동영상의 트래킹 정보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트래킹 정보 처리부(56)는 안무 동영상을 조회한 시점을 근거로 조회수를 판단하거나,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트래킹 정보 처리부(56)는 데이터베이스(40)에 업로드된 안무 동영상의 최초 업로드 시점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트래킹 정보 처리부(56)는 수신부(51)에서 수신한 신호를 근거로 안무 동영상을 다른 이들과 공유한 공유횟수, 안무 동영상을 다른 이들에게 전달한 전달횟수, 안무 동영상을 선택한 선택횟수 등을 판단(계산)할 수 있다. 즉, 트래킹 정보 처리부(56)는 안무 동영상을 공유한 시점, 전달한 시점, 선택한 시점을 근거로 공유횟수, 전달횟수, 선택횟수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트래킹 정보 처리부(56)는 수신부(51)에서 수신한 정보(예컨대, 안무 평가 정보)를 근거로 안무 동영상별로의 제 1 평가(예컨대, 좋아요)와 제 2 평가(예컨대, 싫어요)의 수를 판단(계산)할 수 있다. 즉, 트래킹 정보 처리부(56)는 안무 동영상을 평가한 시점을 근거로 제 1 평가 및 제 2 평가의 수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수신부(51)는 안무 선택 정보, 안무 조회 정보, 안무 공유 정보, 안무 전달 정보, 및 안무 평가 정보 등의 트래킹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트래킹 정보 처리부(56)는 안무 동영상별로 상기의 정보들의 합산값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 즉, 트래킹 정보 처리부(56)는 안무 동영상별 트래킹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예컨대, 안무 선택횟수, 안무 조회횟수, 안무 공유횟수, 안무 전달횟수, 및 안무 평가 정보 등)를 추적하여 안무 동영상별로의 총조회수(즉, 트래킹 정보를 합산한 합산값)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안무 동영상별로의 총조회수는 안무 동영상별로 안무 선택횟수, 안무 조회횟수, 안무 공유횟수, 안무 전달횟수, 및 안무 평가 정보(즉, 좋은 내용의 안무 평가횟수) 등의 수를 합산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무 동영상 A에 대한 트래킹 정보의 합산값이 클수록 안무 동영상 A를 창작한 안무가에게 지급되는 수익은 많아질 것이다.
제어부(58)는 트래킹 정보 처리부(56)에서 판단된 결과에 근거하여 인기가 많은 베스트 안무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원의 전체 안무 영역에서 베스트 파트(포인트 파트라고도 함) 등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정산부(57)는 상기 트래킹 정보 및 상기 안무 매칭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안무가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안무가에 대한 지급 비용을 정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산부(57)는 트래킹 정보 처리부(56)에서의 결과(예를 들어, 안무 동영상별 조회 수를 합산한 값)에 근거하여 안무 동영상을 창작한 안무가에 대하여 수익을 분배하여 지급 비용을 정산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0)에는 회원 등록 정보(예컨대, 안무가의 은행 계좌번호를 포함)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정산부(57)는 안무가의 은행 계좌번호를 통해 수익을 지급할 수 있다. 결국, 반응이 좋은 안무일수록 해당 안무가에게 보다 많은 수익이 지급될 것이다.
예를 들어, 안무 동영상에 대한 선택횟수, 조회횟수, 공유횟수, 전달횟수, 좋은 내용의 평가 등이 많을수록 해당 안무 동영상은 보다 인기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 정산부(57)는 이러한 사항을 토대로 지급 비용을 정산하여, 해당 안무가에게 수익을 지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산부(57)는 광고주의 컨텐츠로부터 발생된 수익에 대해 안무 동영상이 기여한 비율을 상기 안무 매칭 데이터 및 상기 트래킹 정보에 따라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산부(57)는 상기 안무 매칭 데이터에 기초하여, 안무 컨텐츠 내 포함된 음원 중 안무가 1명 내지 n명의 안무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파트의 비율을 전체 대비로 곱하여 산출된 값을 상기 안무가 1명 내지 n명에게 지급해야 할 수익 비율로 정산할 수 있다.
그리고, 정산부(57)는 상기 안무가 1명 내지 n명의 수익 비율과 상기 트래킹 정보에 따라 산출되는 상기 안무 컨텐츠의 광고 수익을 곱하여, 상기 안무가 1명 내지 n명에게로 지급될 최종 비용을 산출할 수 있고, 상기 안무가 1명 내지 n명의 계정으로 상기 최종 비용을 지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1 내지 n명의 안무가가 타 안무가의 안무 동영상을 보고 따라 춘 안무를 서버(50)에 업로드한 경우에도, 트래킹 정보 처리부(56)는 1 내지 n명의 안무가가 타 안무가의 안무 동영상을 조회, 공유, 전달 등을 한 시점을 알 수 있다. 그에 따라, 안무 창작에 대한 논란이 있다고 하더라도 트래킹 정보 처리부(56)는 해당 안무 동영상의 업로드된 최초 시점, 조회/공유/전달 등의 시점을 통해 원래의 안무 창작자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정산부(57)는 보다 정확하게 안무가에 대한 수익 분배 및 지급을 할 수 있게 되고, 안무가의 서비스 신뢰도 및 만족도는 향상될 것이다.
또한, 댄스 강의 요청이 있게 되면 데이터베이스(40)에 기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중에서 그에 상응하는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이 해당 시청자의 단말(70)에게로 전송되므로, 제어부(58)의 제어에 의해 정산부(57)는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을 요청자(예컨대, 시청자)에게 보낸 회수를 근거로 해당 댄스 강사에 대한 수익 분배 및 지급을 할 수 있다.
정산부(57)는 수익이 발생될 때마다 수익 분배 및 지급을 할 수도 있고 기설정된 수익 분배 시점이 되면 수익 분배 및 지급을 할 수도 있다. 정산부(57)에서의 수익 분배/지급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제어부(58)는 서버(5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58)는 업로드받은 안무 동영상(즉, 워터마크가 삽입된 안무 동영상)별로 안무 선택/조회/공유/전달에 따른 안무 선택횟수, 안무 조회횟수, 안무 공유횟수, 및 안무 전달횟수와 함께 안무 평가 정보 등을 기반으로 트래킹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하고, 저장된 트래킹 정보를 관리한다.
또한, 제어부(58)는 음원에 대응하는 안무 매칭 데이터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 관리부(52)를 통해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안무 매칭 데이터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해당 음원의 분석 정보(예컨대, 장르, 특성을 분석한 정보), 해당 음원내 파트별 안무가 식별정보, 음원 내 파트 정보(예컨대, 해당 파트의 안무 동영상 식별 정보 등), 및 시간구간 정보(예컨대, 음원내에서 각각의 파트가 차지하는 시간구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음원의 모든 파트에 대한 안무 동영상을 선택하였다면, 제어부(58)는 해당 음원의 장르, 특성 및 해당 음원의 파트별 특성을 분석하고, 해당 음원내 파트별 안무가 식별정보를 파악한다. 그리고, 제어부(58)는 음원내 파트별로 선택된 안무 동영상의 식별정보, 음원내의 각각의 파트가 차지하는 시간구간 등을 파악한다. 여기서, 해당 음원의 장르, 특성은 사용자 단말(예컨대, 제작자 단말(10))에서 입력한 해당 음원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통해 분석가능하다. 해당 음원의 파트별 특성은 사용자 단말(예컨대, 제작자 단말(10))에서 입력한 해당 음원의 파트별 특성 정보를 통해 분석가능하다. 해당 음원내 파트별 안무가 식별정보는 사용자 단말(예컨대, 안무가 단말(20))에서 입력한 음원 파트별 안무 동영상에 대한 안무가 정보를 통해 파악가능하다. 음원내 파트별로 선택된 안무 동영상의 식별정보는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되어 있는 안무 동영상별 워터마크의 특징이 어떠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해당 워터마크의 패턴을 통해 파악가능하다. 음원내의 각각의 파트가 차지하는 시간구간은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되어 있는 시간구간 정보를 통해 파악가능하다. 이에 의해, 제어부(58)는 음원에 대응하는 안무 매칭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8)는 안무 매칭 데이터를 기초로 하는 안무 컨텐츠를 송신부(53)를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예컨대, 제작자 단말(10))에게로 보내거나, 해당 컨텐츠 제작자 또는 안무가 또는 시청자의 SNS 계정을 통해 온라인(예컨대, 틱톡,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상에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제어부(58)는 안무 매칭 데이터 및 트래킹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으므로, 추후에 정산부(57)는 안무 매칭 데이터 및/또는 트래킹 정보를 통해 안무가에 대한 수익 분배 및 지급을 보다 정확하게 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안무 동영상에 대한 선택횟수, 조회횟수, 공유횟수, 전달횟수, 좋은 내용의 평가 등이 많을수록 해당 안무 동영상은 보다 인기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58)는 이러한 안무 매칭 데이터 및 트래킹 정보를 통해서 인기있는 안무 동영상이 어느 것이고, 인기있는 안무 동영상의 창작자(즉, 안무가)가 누구인지를 충분히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8)는 데이터베이스(40)의 안무 동영상들을 기반으로, 일반 사용자 단말(70)로부터의 다양한 요청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부가서비스(예컨대, 안무 조회 서비스, 댄스 강의 서비스 등) 제공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8)는 데이터베이스(40)의 안무 동영상들을 기반으로, 제작자 단말(10)로부터의 안무가 추천 요청에 따라 최적의 안무가 추천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장치에서의 트래킹 정보의 생성 및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사용자(예컨대, 안무가)는 자신의 단말(20)을 조작하여 서버(50)에 접속한 후에 회원 등록한다(S100). 예를 들어, 회원등록시 해당 안무가의 SNS계정 정보, 성명, 생년월일, ID, 패스워드, 창작가능한 안무 장르, 은행 계좌번호 등을 등록한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컨텐츠 제작자 및 시청자도 안무가로 등록가능하다.
이와 같이 다수의 안무가가 서버(50)에 회원 등록된 상태에서, 사용자(예컨대, 컨텐츠 제작자)는 자신의 단말(10)을 조작하여 음원을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버(50)에게로 업로드한다(S110). 여기서, 음원은 안무가 결합되지 않은 순수한 음원 자체를 의미하고, 해당 제작자 단말(10)은 음원을 업로드할 때 해당 음원에 적합한 안무를 제작해 주기를 요청한다.
음원은 컨텐츠 제작자에 의해 다수의 파트로 분절 처리될 수도 있고, 서버(50)단에서 오디오 스펙트럼, 페이드인아웃(fade-in, fade-out), 보컬의 가사 처리, 타겟 리듬, 운율 또는 동반하는 반주 및 스코어나 음표 시퀀스에 따라 수정된 피치 등중 적어도 1개 이상의 방법을 통해 자동적으로 분절처리 될 수 있다.
또한, 제작자 단말(10)에서 음원을 업로드할 때 제작자가 평소 선호하는 안무가에게 안무를 제작해 주기를 요청하도록 별도의 인테페이스가 추가될 수 있다. 제작자가 평소 선호하는 안무가를 선택하는 과정은 아래와 같은 과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우선, 제작자가 안무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의 서버(50)를 통해 회원 가입한 안무가, 일반인, 가수, 인플루언서 등을 직접 검색 및 선택하여 메시지를 보내도록 인터페이스가 구성되어 안무 제작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작자가 추후 안무가들이 제공한 안무 동영상을 선택하였을 경우나 특정 안무가들의 안무 동영상을 여러번 조회하였을 경우, 서버(50)로부터의 트래킹을 통해 안무 동영상 선택수 및 조회수가 높은 안무가, 안무 동영상 선택수 및 조회수가 높은 안무 동영상과 안무 스타일이 유사한 안무를 구사하는 여러 안무가들을 자동적으로 추천해주는 인터페이스가 구성되어 제작자가 해당 안무가들에게 메시지를 보내어 안무 제작을 요청할 수도 있다.
서버(50)는 음원(즉, 다수의 파트로 분절된 음원)이 업로드되었음을 회원 등록되어 있는 모든 안무가의 단말(20)에게로 알린다(S120).
이때, 안무가 단말(20)에서 음원을 수신받을 때 서버(50)에 등록된 음원을 수신하거나, 제작자 단말(10)로부터 개인적으로 수신받은 안무 제작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음원을 수신받을 수 있다.
그에 따라, 안무가들은 음원을 확인한 후에 희망하는 파트에 대한 안무를 창작하여 그에 상응하는 안무 동영상을 서버(50)에게로 업로드한다(S130). 이때, 업로드되는 안무 동영상이 누구의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도 함께 업로드됨이 바람직하다.
이어, 서버(50)는 업로드받은 파트별 안무 동영상에 워터마크를 삽입한다(S140). 예를 들어, 음원이 3개의 파트로 구성되고 각각의 파트별로 2개의 안무 동영상이 업로드되었다고 가정하였을 경우, 서버(50)는 각각의 안무 동영상에 대한 안무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해서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없는 워터마크를 삽입한다. 이때, 워터마크는 각각의 안무 동영상에 대해 어느 안무가의 안무 동영상인지를 의미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서버(50)는 해당 음원의 파트별 하나 이상의 안무 동영상(즉, 워터마크가 삽입된 동영상)을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한다(S150).
이후, 서버(50)는 워터마크가 삽입된 안무 동영상별로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안무 선택 신호, 안무 조회 신호, 안무 공유 신호, 안무 전달 신호, 및 안무 평가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수신한다(S160).
그리고, 서버(50)는 수신된 신호 및 정보를 해당 안무 동영상(또는 해당 안무가)에 대한 트래킹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로 하고, 안무 동영상별로 트래킹 정보의 수를 합산한 합산값을 실시간으로 관리한다(S170). 예를 들어, 서버(50)는 워터마크가 삽입된 안무 동영상별로 안무 선택횟수, 안무 조회횟수, 안무 공유횟수, 안무 전달횟수, 및 좋아요와 같은 안무 평가 정보의 수를 실시간으로 합산한다. 그리고, 서버(50)는 합산값을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한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되는 합산값은 갱신가능하다.
이후, 안무의 선택, 조회, 공유, 전달의 횟수가 증가할 수록 해당 안무가에게는 보다 많은 수익이 분배되어 지급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수익 지급의 경우 서버(50)의 정산부(57)는 광고주의 컨텐츠로부터 발생된 수익에 대해 안무 동영상이 기여한 비율을 트래킹 정보에 따라 곱하여 산출된 값을 해당 안무가에게 지급해야 할 수익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수익을 해당 안무가의 은행 계좌번호로 지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안무 매칭 데이터 생성 및 안무 매칭 데이터 를 기초로 생성된 안무 컨텐츠의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설명에 채용되는 화면예이다.
먼저, 사용자(예컨대, 안무가)는 자신의 단말(20)을 조작하여 서버(50)에 접속한 후에 회원 등록한다(S10). 예를 들어, 회원등록시 해당 안무가의 SNS계정 정보, 성명, 생년월일, ID, 패스워드, 창작가능한 안무 장르, 은행 계좌번호 등을 등록한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컨텐츠 제작자 및 시청자도 안무가로 등록가능하다.
이와 같이 다수의 안무가가 서버(50)에 회원 등록된 상태에서, 사용자(예컨대, 컨텐츠 제작자)는 자신의 단말(10)을 조작하여 음원을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버(50)에게로 업로드한다(S12). 여기서, 음원은 안무가 결합되지 않은 순수한 음원 자체를 의미하고, 해당 제작자 단말(10)은 음원을 업로드할 때 해당 음원에 적합한 안무를 제작해 주기를 요청한다.
서버(50)는 수신한 음원(즉, 다수의 파트로 분절된 음원)을 회원 등록되어 있는 모든 안무가의 단말(20)에게로 전송하거나(S14), 음원(즉, 다수의 파트로 분절된 음원)이 업로드되었음을 회원 등록되어 있는 모든 안무가의 단말(20)에게로 알린다. 여기서,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을 회원 등록된 모든 안무가의 단말(20)에게로 전송할 때, 서버(50)는 해당 음원내의 파트중에서 희망하는 파트에 대하여 안무를 창작하여 동영상을 업로드해 달라는 요청을 함께 보낸다.
이때, 음원은 컨텐츠 제작자에 의해 다수의 파트로 분절 처리될 수도 있고, 서버(50)단에서 오디오 스펙트럼, 페이드인아웃(fade-in, fade-out), 보컬의 가사 처리, 타겟 리듬, 운율 또는 동반하는 반주 및 스코어나 음표 시퀀스에 따라 수정된 피치 등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방법을 통해 자동적으로 분절처리 될 수 있다.
또한, 제작자 단말(10)에서 음원을 업로드할 때 제작자가 평소 선호하는 안무가에게 안무를 제작해 주기를 요청하도록 별도의 인테페이스가 추가될 수 있다. 제작자가 평소 선호하는 안무가를 선택하는 과정은 아래와 같은 과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우선, 제작자가 안무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의 서버(50)를 통해 회원 가입한 안무가, 일반인, 가수, 인플루언서 등을 직접 검색 및 선택하여 메시지를 보내도록 인터페이스가 구성되어 안무 제작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작자가 추후 안무가들이 제공한 안무 동영상을 선택하였을 경우나 특정 안무가들의 안무 동영상을 여러번 조회하였을 경우, 서버(50)로부터의 트래킹을 통해 안무 동영상 선택수 및 조회수가 높은 안무가, 안무 동영상 선택수 및 조회수가 높은 안무 동영상과 안무 스타일이 유사한 안무를 구사하는 여러 안무가들을 자동적으로 추천해주는 인터페이스가 구성되어 제작자가 해당 안무가들에게 메시지를 보내어 안무 제작을 요청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안무가들은 안무가 단말(20)을 통해 서버(50)에 등록된 음원을 수신하거나, 제작자 단말(10)로부터 개인적으로 수신받은 안무 제작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음원을 확인한 후에 희망하는 파트에 대한 안무를 창작하여 그에 상응하는 안무 동영상을 서버(50)에게로 업로드한다(S16). 이때, 업로드되는 안무 동영상이 누구의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도 함께 업로드된다.
이어, 서버(50)는 업로드받은 파트별 안무 동영상에 워터마크를 삽입한다(S18). 예를 들어, 음원이 3개의 파트로 구성되고 각각의 파트별로 2개의 안무 동영상이 업로드되었다고 가정하였을 경우, 서버(50)는 각각의 안무 동영상에 대한 안무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해서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없는 워터마크를 삽입한다. 이때, 워터마크는 각각의 안무 동영상에 대해 어느 안무가의 안무 동영상인지를 의미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서버(50)는 해당 음원의 파트별 하나 이상의 안무 동영상(즉, 워터마크가 삽입된 동영상)을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S20)한 후에, 음원의 파트별 하나 이상의 안무 동영상(즉, 워터마크가 삽입된 동영상)을 해당 사용자(예컨대, 컨텐츠 제작자)의 단말(10)에게로 송신한다(S22).
이후, 해당 컨텐츠 제작자는 음원내 파트별로 희망하는 안무 동영상을 선택한다(S24). 예를 들어, 도 5에서와 같이 음원(예컨대, Trippin)이 5개의 파트(파트 A, 파트 B, 파트 C, 파트 D, 파트 E)로 분절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컨텐츠 제작자가 파트 A에 대해 희망하는 안무 동영상을 선택하기 위해 도 5에서의 파트 A 영역(60)을 클릭하면 해당 컨텐츠 제작자의 단말(10)에는 도 6에서와 같은 인터페이스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6의 인터페이스 화면은 파트 A에 대해 4개의 안무 동영상(즉, 파트 A에 대해 4개의 안무 동영상이 업로드된 것임)이 선택사항으로 존재하는 것을 보여주는데, 컨텐츠 제작자는 4개의 안무 동영상을 각각 확인한 후에 그 중에서 마음에 드는 하나 이상의 안무 동영상을 선택한다. 그에 따라, 희망하는 안무 동영상 선택에 상응하는 정보가 해당 컨텐츠 제작자의 단말(10)에서 서버(50)에게로 전송된다.
서버(50)는 음원의 파트별로 희망하는 1개 이상의 안무 동영상을 선택한 정보(즉, 안무 선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한다(S26). 즉, 음원의 파트별로 희망하는 1개 이상의 안무 동영상이 선택됨에 따라, 하나의 음원에 대한 모든 파트의 안무가 결정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후, 서버(50)는 안무 선택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음원에 대응하는 안무 매칭 데이터를 생성한다(S28). 여기서, 안무 매칭 데이터는 해당 음원의 분석 정보(예컨대, 장르, 특성을 분석한 정보), 해당 음원내 파트별 안무가 식별정보, 음원 내 파트 정보(예컨대, 해당 파트의 안무 동영상 식별 정보 등), 및 시간구간 정보(예컨대, 음원내에서 각각의 파트가 차지하는 시간구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50)는 안무 매칭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한 후에, 안무 매칭 데이터에 기초하여 안무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한다(S30). 즉, 서버(50)는 컨텐츠 제작자로부터의 음원에 대한 안무 컨텐츠(즉, 안무 매칭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안무 컨텐츠)를 해당 컨텐츠 제작자의 단말(10)에게로 전송하거나 해당 컨텐츠 제작자의 SNS 계정을 통해 온라인(예컨대, 틱톡,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상에 제공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서버(50)는 안무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저장된 안무 컨텐츠는, 서버(50)의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 단말들로 공유 서비스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컨텐츠 제작자 또는 다른 안무가 또는 다른 시청자는 온라인상의 안무 컨텐츠를 보고서 안무를 따라 추면서 배우게 될 것이다. 또한, 다른 컨텐츠 제작자 또는 다른안무가 또는 다른 시청자가 따라 춘 안무 동영상은 서버(50)의 관리에 의해 해당 다른 컨텐츠 제작자 또는 다른 안무가 또는 다른 시청자의 SNS계정을 통해 온라인(예컨대, 틱톡,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상에 올려질 수도 있으며, 서버(50)는 해당 안무 동영상의 트래킹 정보를 수집, 저장 및 관리하여, 상기 안무 매칭 데이터에 기초한 안무가 비용 정산 처리에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안무 동영상을 기반으로 행해지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안무 조회 서비스, 댄스 강의 서비스, 안무가 추천 서비스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안무가 추천 서비스에 대해 설명한다.
안무가 추천 서비스를 받기 위해 사용자 단말(예컨대, 제작자 단말(10))은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버(50)에게로 안무가 추천 요청(즉, 소정의 단위 음원 파트로 분절된 음원을 포함)을 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안무가 추천 요청은 제작자 단말(10) 이외로 안무가 단말(20) 또는 일반 사용자 단말(70)에서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안무가 단말(20) 또는 일반 사용자 단말(70)은 안무가 추천 요청시 소정의 단위 음원 파트로 분절된 음원을 함께 보내야 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음원이 3개의 파트로 분절되었다면 각각의 파트를 단위 음원 파트라고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서버(50)의 수신부(51)는 안무가 추천 요청을 수신하게 되고, 안무가 추천 요청과 함께 수신된 안무가 추천이 필요한 음원이 안무가 추천부(55)에게로 전송된다.
안무가 추천부(55)는 안무가 추천이 필요한 음원에 대한 특성(예컨대, 장르, 분위기, 비트(beat) 등)을 소정의 음원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파악한 후에 파악한 내용을 근거로 적절한 안무가를 추천한다.
예를 들어, 안무가 추천이 필요한 음원이 3개의 단위 음원 파트로 분절된 경우로 가정하여 부연설명한다. 안무가 추천부(55)는 안무가 추천이 필요한 음원의 각각의 파트의 음원 특성을 소정의 음원 분석 프로그램으로 파악하고, 파악된 각각의 파트의 음원 특성에 매칭되는 음원 파트를 데이터베이스(40)에 기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음원중에서 찾아낸다. 그리고 나서, 안무가 추천부(55)는 찾아낸 음원 파트의 안무 동영상을 업로드시킨 안무가를 해당 파트의 안무가로 추천한다.
물론, 안무가 추천부(55)는 음원 분석 프로그램 대신에, 사용자 단말(예컨대, 제작자 단말(10))에서 입력한 해당 음원의 각각의 파트별 특성 정보를 통해서 해당 음원의 각각의 파트의 장르, 분위기 등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정산부(57)는 안무가 추천에 대한 안무가 선택 횟수, 전체 음원 중 선택 파트 비율 등의 사용자 활동 정보를 근거로 트래킹 정보를 트래킹 정보 처리부(56)를 통해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정산부(57)는 트래킹 정보에 따라 안무가 추천 수익을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산부(57)에서 산출되는 안무가 추천 수익은, 상기 음원 파트에 대응하여 결정된 안무 매칭 데이터에 의해 비율 정산되어, 최초 안무를 창작한 하나 이상의 안무가들로 적정 비율에 따라 비용으로 지급될 수 있다. 따라서, 추천 서비스 제공자 뿐만 아니라 실제 안무를 창작한 안무가들에게도 상기 안무 조회 서비스에 따른 전체 수익 중 일부가 분배될 수 있게 되고, 안무가들의 저작권 등이 보장되게 된다.
이번에는, 안무 조회 서비스에 대해 설명한다.
일반 사용자 단말(70)이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버(50)에게로 안무 조회 신청을 한다. 이때, 일반 사용자 단말(70)은 조회하고자 하는 안무 동영상의 식별정보, 조회하고자 하는 해당 안무 동영상이 포함된 음원의 곡명 및 가수명 등을 입력한다. 다시 말해서, 안무 조회 신청시, 시청자는 베스트 안무로 알려진 안무 동영상만을 조회 신청할 수도 있고, 하나의 음원에 결부된 모든 안무 동영상을 보기 위해 조회 신청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서버(50)의 수신부(51)는 안무 조회 신청을 수신하고, 수신한 안무 조회 신청을 제어부(58)에게로 보낸다.
제어부(58)는 조회하고자 하는 안무 동영상의 식별정보에 일치하는 안무 동영상(예컨대, 음원 파트별 안무 동영상에 해당할 수 있음), 또는 음원의 곡명 및 가수명 등과 일치하는 안무 컨텐츠(예컨대, 음원의 파트별로 하나 이상의 안무 동영상이 있으므로, 이 경우의 안무 컨텐츠는 다수의 안무 동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함)를 데이터베이스(40)에서 추출한 후에 송신부(53)를 통해 해당 일반 사용자 단말(70)에게로 보낸다. 물론, 이 경우에 트래킹 정보 처리부(56)는 해당 안무 동영상의 조회수를 +1 증가시키거나, 해당 안무 컨텐츠내의 안무 동영상별로의 조회수를 +1 증가시킨다. 정산부(57)는 수익 분배 시점에 트래킹 정보 처리부(56)의 해당 안무 동영상에 대한 조회수 결과값(즉, 트래킹 정보의 수를 합산한 값)에 따라 해당 안무 동영상을 창작한 안무가에 대한 수익 분배를 하여 지급할 수 있고, 트래킹 정보 처리부(56)의 해당 안무 컨텐츠내의 안무 동영상에 대한 조회수 결과값에 따라 해당 안무 컨텐츠의 각각의 안무 동영상을 창작한 안무가에 대한 수익 분배를 하여 지급할 수 있다.
이와 다른 방법으로는, 안무 조회 신청이 있게 되면 제어부(58)는 안무 조회 신청과 함께 입력된 조회하고자 하는 안무 동영상이 포함된 음원의 곡명 및 가수명 등에 따라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되어 있는 안무 컨텐츠에서 해당 음원의 파트별로 최고의 안무(예컨대, 조회수가 가장 많은 안무 또는 조회수 대비 좋아요가 가장 많은 안무)를 모은 풀(full) 영상(즉, 단위 음원 파트별 영상의 집합)을 컨텐츠화하여 송신부(53)에게로 보낼 수 있다. 그에 따라, 송신부(53)는 입력받은 해당 컨텐츠를 해당 일반 사용자 단말(70)에게로 송신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추가적으로 제어부(58)는 해당 음원의 각각의 파트별로 1 ~ 3개 정도의 베스트 안무(예컨대, 조회수 기준의 베스트 안무, 조회수 대비 좋아요 기준의 베스트 안무)를 송신부(53)를 통해 해당 일반 사용자 단말(70)에게로 보낼 수 있다. 그러면 해당 일반 사용자 단말(70)에는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7의 화면에서, 해당 시청자가 풀 영상 영역(80)에서 안무를 보고자 하는 또는 배우고자 하는 영상을 선택하면 그에 상응하는 신호(즉, 안무 선택 신호라고 할 수 있음)가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버(50)에게로 전송되고, 서버(50)는 해당 시청자가 선택된 영상을 재생시켜 준다. 이때, 서버(50)의 트래킹 정보 처리부(56)는 재생된 영상(즉, 안무 동영상)에 대한 조회수를 +1 증가시킬 것이다. 이 경우에도, 정산부(57)는 수익 분배 시점에 조회수에 따라 해당 영상을 창작한 안무가에 대한 수익 분배를 하여 지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해당 일반 사용자 단말(70)에는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해당 시청자가 안무 조회 신청한 해당 음원의 각각의 파트별로 1 ~ 3개 정도의 베스트 안무(예컨대, 조회수 기준의 베스트 안무, 조회수 대비 좋아요 기준의 베스트 안무)가 디스플레이되므로, 희망하는 파트의 베스트 안무를 선택하여 재생시켜 볼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서버(50)의 트래킹 정보 처리부(56)는 재생된 영상에 대한 조회수를 +1 증가시킬 것이다. 이때에도, 서버(50)의 트래킹 정보 처리부(56)는 재생된 영상에 대한 조회수를 +1 증가시킬 것이다. 이 경우에도, 정산부(57)는 수익 분배 시점에 조회수에 따라 해당 영상을 창작한 안무가에 대한 수익 분배를 하여 지급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안무 조회수만으로 트래킹 정보의 합산값을 만들어 냈으나, 안무 공유/전달/선택에 따른 안무 공유횟수, 안무 전달횟수, 안무 선택횟수 등도 안무 조회와 연관지어 트래킹 정보의 합산값 산출에 반영할 수 있다.
그리고, 정산부(57)는 안무 조회에 대한 음원 파트별 영상 재생 횟수, 재생 시간 등의 사용자 활동 정보를 근거로 트래킹 정보를 트래킹 정보 처리부(56)를 통해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정산부(57)는 트래킹 정보에 따라 안무 조회 수익을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산부(57)에서 산출되는 안무 조회 수익은, 상기 음원 파트에 대응하여 사전 등록된 안무 매칭 데이터에 의해 비율 정산되어, 최초 안무를 창작한 하나 이상의 안무가들로 적정 비율에 따라 비용으로 지급될 수 있다. 따라서, 음원 제작자뿐만 아니라 실제 안무를 창작한 안무가들에게도 상기 안무 조회 서비스에 따른 전체 수익 중 일부가 분배될 수 있게 되고, 안무가들의 저작권 등이 보장되게 된다.
마지막으로, 댄스 강의 서비스에 대해 설명한다.
일반 사용자 단말(70)은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버(50)에게로 댄스 강의 요청을 한다. 댄스 강의 요청시, 일반 사용자 단말(70)은 희망하는 댄스 강사명 및/또는 곡명, 또는 희망하는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의 정보를 함께 입력한다.
그에 따라, 서버(50)의 수신부(51)는 댄스 강의 요청을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58)에게로 보낸다.
제어부(58)에서 판단 결과, 댄스 강사명 및 곡명, 또는 특정한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의 정보를 입력받은 경우라면, 제어부(58)는 데이터베이스(40)에 기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중에서 입력받은 댄스 강사명 및 곡명과 일치하거나 희망하는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의 정보와 일치하는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도 8 참조)을 송신부(53)를 통해 해당 시청자의 단말(70)에게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해당 시청자는 자신의 단말(70)의 화면에 나타나는 댄스 강사(90)의 춤을 따라 배우게 된다. 여기서, 댄스 수강자가 자신이 따라 추고 있는 안무(춤)에 대하여 댄스 강사의 피드백을 받고자 할 때에는, 자신이 추고 있는 안무(춤)를 촬영한 영상(즉, 피드백용 영상)하여 서버(50)에게로 업로드한다. 서버(50)는 댄스 수강자의 피드백용 영상을 댄스 강사의 단말(도시 생략)에게로 보내면 댄스 강사는 영상씬 별로 보정 사항에 대해 피드백해 주는데, 텍스트, 음성, 영상중에서 하나 이상으로 피드백을 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댄스 수강자(시청자)는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자신의 단말(70)상에서 어느 한 모션에 대한 댄스 강사의 피드백이 있음을 나타내는 영역(95)을 선택하면 댄스 수강자의 단말(70)에는 도 10에서와 같이 댄스 강사가 해당 영상씬(즉, 모션씬)에 대한 보정 사항을 피드백해 준 내용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댄스 수강자는 해당 영상씬에 대하여 텍스트, 음성, 영상중에서 하나 이상으로 댄스 강사가 피드백한 내용을 확인해 볼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정산부(57)는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을 시청자에게 보낸 회수를 근거로 해당 댄스 강사에 대한 수익 분배를 하여 지급할 수 있다.
한편으로, 제어부(58)에서 판단 결과, 댄스 강사명만을 입력받은 경우라면, 제어부(58)는 데이터베이스(40)에 기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중에서 입력받은 댄스 강사명과 일치하는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즉, 하나 이상일 수 있음)을 송신부(53)를 통해 해당 시청자의 단말(70)에게로 전송한다. 시청자의 단말(70)이 다수개의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을 수신하였을 경우에는 해당 시청자는 희망하는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을 선택한다. 그에 따라 자신의 단말(70)의 화면에 나타나는 댄스 강사(90)의 춤을 따라 배우게 된다. 여기서, 댄스 수강자가 자신이 따라 추고 있는 안무(춤)에 대하여 댄스 강사의 피드백을 받고자 할 때에는, 자신이 추고 있는 안무(춤)를 촬영한 영상(즉, 피드백용 영상)하여 서버(50)에게로 업로드한다. 서버(50)는 댄스 수강자의 피드백용 영상을 댄스 강사의 단말(도시 생략)에게로 보내면 댄스 강사는 영상씬 별로 보정 사항에 대해 피드백해 주는데, 텍스트, 음성, 영상중에서 하나 이상으로 피드백을 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댄스 수강자(시청자)는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자신의 단말(70)상에서 어느 한 모션에 대한 댄스 강사의 피드백이 있음을 나타내는 영역(95)을 선택하면 댄스 수강자의 단말(70)에는 도 10에서와 같이 댄스 강사가 해당 영상씬(즉, 모션씬)에 대한 보정 사항을 피드백해 준 내용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댄스 수강자는 해당 영상씬에 대하여 텍스트, 음성, 영상중에서 하나 이상으로 댄스 강사가 피드백한 내용을 확인해 볼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정산부(57)는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을 시청자에게 보낸 회수를 근거로 해당 댄스 강사에 대한 수익 분배를 하여 지급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제어부(58)에서 판단 결과, 곡명만을 입력받은 경우라면, 제어부(58)는 데이터베이스(40)에 기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중에서 입력받은 곡명과 일치하는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즉, 하나 이상일 수 있음)을 송신부(53)를 통해 해당 시청자의 단말(70)에게로 전송한다. 시청자의 단말(70)이 다수개의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을 수신하였을 경우에는 해당 시청자는 희망하는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을 선택한다. 그에 따라 해당 시청자는 자신의 단말(70)의 화면에 나타나는 댄스 강사(90)의 춤을 따라 배우게 된다. 여기서, 댄스 수강자가 자신이 따라 추고 있는 안무(춤)에 대하여 댄스 강사의 피드백을 받고자 할 때에는, 자신이 추고 있는 안무(춤)를 촬영한 영상(즉, 피드백용 영상)하여 서버(50)에게로 업로드한다. 서버(50)는 댄스 수강자의 피드백용 영상을 댄스 강사의 단말(도시 생략)에게로 보내면 댄스 강사는 영상씬 별로 보정 사항에 대해 피드백해 주는데, 텍스트, 음성, 영상중에서 하나 이상으로 피드백을 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댄스 수강자(시청자)는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자신의 단말(70)상에서 어느 한 모션에 대한 댄스 강사의 피드백이 있음을 나타내는 영역(95)을 선택하면 댄스 수강자의 단말(70)에는 도 10에서와 같이 댄스 강사가 해당 영상씬(즉, 모션씬)에 대한 보정 사항을 피드백해 준 내용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댄스 수강자는 해당 영상씬에 대하여 텍스트, 음성, 영상중에서 하나 이상으로 댄스 강사가 피드백한 내용을 확인해 볼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정산부(57)는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을 시청자에게 보낸 회수를 근거로 해당 댄스 강사에 대한 수익 분배를 하여 지급할 수 있다.
그리고, 정산부(57)는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에 대한 시청, 피드백 등의 사용자 활동 정보를 근거로 트래킹 정보를 트래킹 정보 처리부(56)를 통해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정산부(57)는 트래킹 정보에 따라 댄스 강의 수익을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산부(57)에서 산출되는 댄스 강의 수익은, 상기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에 대응하여 사전 등록된 안무 매칭 데이터에 의해 비율 정산되어, 최초 안무를 창작한 하나 이상의 안무가들로 적정 비율에 따라 비용으로 지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댄스 강사 뿐만 아니라 실제 안무를 창작한 안무가들에게도 상기 댄스 강의 서비스에 따른 전체 수익 중 일부가 분배될 수 있게 되고, 안무가들의 저작권 등이 보장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안무 컨텐츠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제작자 단말 20 : 안무가 단말
30 : 네트워크 40 : 데이터베이스
50 : 서버 51 : 수신부
52 :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53 : 송신부
54 : 워터마크 삽입부 55 : 안무가 추천부
56 : 트래킹 정보 처리부 57 : 정산부
58 : 제어부 70 : 시청자 단말

Claims (7)

  1.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장치가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음원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안무 컨텐츠를 업로드받아 서비스 플랫폼상에 공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플랫폼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안무 컨텐츠에 대응하는 안무가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안무 매칭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안무 매칭 데이터가 생성된 각각의 안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트래킹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트래킹 정보 및 상기 안무 매칭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래킹 정보 및 상기 안무 매칭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플랫폼을 통한 안무 조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무 매칭 데이터는 상기 음원의 분석 정보, 상기 음원내 파트별 안무가 식별정보, 상기 음원내 파트 정보, 및 시간구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킹 정보는,
    상기 안무 컨텐츠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안무가 고유 정보와 상기 안무가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안무 기여도 정보와, 안무 컨텐츠별로의 안무 선택 정보, 안무 조회 정보, 안무 공유 정보, 안무 전달 정보 및 안무 평가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은,
    적어도 초입부, 후렴부, 메인부의 단위 음원 파트로 분절되거나, 적어도 4초 내지 n초의 단위 음원 파트로 분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안무 컨텐츠를 업로드받아 서비스 플랫폼상에 공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음원을 오디오 스펙트럼, 페이드인아웃(fade-in, fade-out), 보컬의 가사 처리, 타겟 리듬, 운율 또는 동반하는 반주 및 스코어나 음표 시퀀스에 따라 수정된 피치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방법을 통해 분절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안무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음원의 파트별로 하나 이상의 안무 컨텐츠를 선택한 정보를 수신하며, 안무 조회 신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된 안무 컨텐츠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워터마크 삽입단계;
    상기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된 사용자 활동 정보를 근거로 안무 조회 신청된 안무 컨텐츠에 대한 트래킹 정보를 처리하는 트래킹 정보 처리 단계;
    상기 트래킹 정보 처리단계에서 처리된 트래킹 정보 및 상기 안무 매칭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안무가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안무가에 대한 지급 비율을 정산하는 정산단계;
    상기 안무 조회 신청에 따라, 해당하는 안무 컨텐츠를 해당 사용자에게로 송신하는 송신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무 매칭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안무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워터마크가 삽입된 각각의 안무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요자 활동 정보에 포함된 선택, 조회, 공유, 전달 및 평가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트래킹 정보로 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마크는 해당 안무 동영상이 어느 안무가의 안무 동영상인지를 의미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00037511A 2020-03-27 2020-03-27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1205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511A KR20210120595A (ko) 2020-03-27 2020-03-27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511A KR20210120595A (ko) 2020-03-27 2020-03-27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595A true KR20210120595A (ko) 2021-10-07

Family

ID=78114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511A KR20210120595A (ko) 2020-03-27 2020-03-27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0595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8920A (ko) 2006-02-14 2006-03-02 이갑형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댄스 교습 방법 및 장치
KR100762585B1 (ko) 2005-07-13 2007-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율동 기반 음악 동조화 장치 및 방법
KR20150008345A (ko) 2013-07-13 2015-01-22 (주)앤에스티 온라인 댄스 강의 시스템
KR101729195B1 (ko) 2014-10-16 2017-04-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질의동작기반 안무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102013577B1 (ko) 2015-09-14 2019-08-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안무 구상 지원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585B1 (ko) 2005-07-13 2007-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율동 기반 음악 동조화 장치 및 방법
KR20060018920A (ko) 2006-02-14 2006-03-02 이갑형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댄스 교습 방법 및 장치
KR20150008345A (ko) 2013-07-13 2015-01-22 (주)앤에스티 온라인 댄스 강의 시스템
KR101729195B1 (ko) 2014-10-16 2017-04-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질의동작기반 안무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102013577B1 (ko) 2015-09-14 2019-08-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안무 구상 지원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65955호(안무 저작권 시스템에서 동작동기화 및 상호간섭작용 구현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0193B1 (ko) 컨텐츠 제작자 검색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76846A (ko) 디지털 음원에 대한 창작자와 편곡자와 소비자가 함께 참여하는 뮤직 플랫폼 시스템
JP6903269B2 (ja) コンテンツ視聴管理システム
KR20210120636A (ko)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장치
KR20210120592A (ko)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120648A (ko) 안무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120595A (ko)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120596A (ko)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120606A (ko)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120600A (ko)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120634A (ko)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장치
KR20210120590A (ko)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120598A (ko)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120591A (ko)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120625A (ko)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장치
KR20210120623A (ko)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장치
KR20210120632A (ko)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장치
KR20210120607A (ko)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120616A (ko)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장치
KR20210120613A (ko)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장치
KR20210120617A (ko)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장치
KR20210120639A (ko) 안무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KR20210120638A (ko) 안무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KR20210120640A (ko) 안무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KR20210120643A (ko) 안무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