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8000A - Expandable electric wire and ems suit and 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Expandable electric wire and ems suit and 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8000A
KR20210118000A KR1020210120224A KR20210120224A KR20210118000A KR 20210118000 A KR20210118000 A KR 20210118000A KR 1020210120224 A KR1020210120224 A KR 1020210120224A KR 20210120224 A KR20210120224 A KR 20210120224A KR 20210118000 A KR20210118000 A KR 20210118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s
suit
wire
ems suit
elastic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02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대영
유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헤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헤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헤카텍
Priority to KR1020210120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8000A/en
Publication of KR20210118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800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6Extensible conductors or cables, e.g. self-coiling co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84Garment electrode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2Braided wire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An elastic electric wire is disclosed. The elastic electric wire is configured to contract and expan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by including: a stretch wire which is made of a stretchable elastic material; a transfer wire which is, as a conductor capable of electrical connection, disposed together with the stretch wire, to be wound or woven on the outside of the stretch wire; and thread which is wound or woven around at least one of the outside of the transfer wire and the stretch wir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etch wire.

Description

신축성 전선, 이를 이용한 EMS 수트 및 시스템 {EXPANDABLE ELECTRIC WIRE AND EMS SUIT AND SYSTEM USING THE SAME}Elastic wire, EMS suit and system using the same {EXPANDABLE ELECTRIC WIRE AND EMS SUIT AND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축성 전선, 이를 이용한 EMS 수트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자극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는 신축성 전선, 이를 이용한 EMS 수트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astic wire, an EMS suit and system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astic wire capable of easily transmitting electrical stimulation, and an EMS suit and system using the same.

EMS(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시스템은 전기적 신호를 통해 인위적으로 근육의 수축 및 이완을 유도하여 자극함으로써 집중적인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로서, 체중의 조절, 몸매의 보정 및 환자의 경우 재활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The EMS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system is a device that supports intensive exercise by artificially inducing and stimulating muscle contraction and relaxation through electrical signals. there is a system

EMS 시스템은 가정에서 개인적으로 이용되기도 하고, 피트니스 센터에서 운동 효과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점차 그 사용이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The EMS system is used for personal use at home or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exercise effect in a fitness center, and its use is gradually expanding.

그러나 기존의 EMS 수트에 적용되는 전선은 절연특성이 낮아, 착용자가 운동 또는 활동으로 땀 등과 같은 분비물이 발생되어 스며들게 되면, 누전으로 인해 제대로 전기자극을 인가할 수 없고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EMS에 사용되는 전선은 금속선을 합사한 형태이므로, 사용중 반복적인 마찰로 인해 금속선이 손상되고, 분비물에 의한 부식으로 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 electric wire applied to the existing EMS suit has low insulation properties, so if the wearer generates secretions such as sweat through exercise or activity and seeps in, electrical stimulation cannot be applied properly due to a short circuit and may cause malfunction. . In addition, since the electric wire used in the existing EMS is a type of braided metal wire, the metal wire is damaged due to repeated friction during use, and durability is reduced due to corrosion by secretions.

또한, 기존의 EMS 수트는 마그네틱 전도체 등을 통해 전기신호를 수용하고 전달하였는데, 격한 움직임이나 운동에 의해 마그네틱 전도체가 이격되어 전기신호의 전달이 끊기는 불안정성이 존재하였다.In addition, the existing EMS suit received and transmitted electrical signals through magnetic conductors, etc., but there was instability in that the magnetic conductors were separated by intense movement or movement and the transmission of electrical signals was interrupted.

따라서, 전기신호의 전달을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EMS 수트 및 그 시스템에 대한 니즈가 증대되어 왔다.Accordingly, there has been an increased need for an EMS suit and a system capable of stably and effectively transmitting electrical signal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절연특성이 향상되고 오작동을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전기신호를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신축성 전선, 이를 이용한 EMS수트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astic wire with improved insulation properties and capable of stably transmitting an electric signal without causing a malfunction, an EMS suit and a system using the same. hav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축성 전선은 신축 가능한 탄성 재질의 신축선, 전기적 연결이 가능한 도전체로서, 상기 신축선과 동반배치되어 상기 신축선의 외부에 감김되거나 엮음되는 전사 및, 상기 신축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신축선 및 전사의 외부 중 적어도 하나에 감김되거나 엮음되는 실을 포함하여 길이방향으로 수축 및 팽창되도록 구성된다.A stretchable w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tretchable wire made of a stretchable elastic material and a conductor capable of electrical connection, and is disposed together with the stretchable wire to be wound or woven on the outside of the stretchable wire. And, it is configured to contract and expa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cluding a thread wound or woven around at least one of the outside of the stretch line and the transf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etch line.

또한, 상기 전사는 내부에 상기 도전체를 포함하는 피복 전선이고, 상기 신축선, 전사 및 실이 동반배치되어 서로 교번적으로 엮음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fer may be a covered electric wire including the conductor therein, and the stretchable wire, transfer, and thread may be arranged together and alternately woven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전사는 전도성 실로서, 상기 신축선을 심사로 하여 상기 신축선의 외부에 감김되는 외사이고, 상기 실은 상기 전사의 외부에 감김되어 상기 전사를 피복하는 피복용 실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fer is a conductive thread, and may be an external yarn wound on the outside of the elastic wire using the elastic wire as a core, and the yarn may be a coating thread wound on the outside of the transfer to cover the transfer.

또한, 상기 전사는 동반배치되어 서로 교번적으로 엮인 방탄실 및 절연 코팅된 구리선의 외부가 제1 피복용 실로 감김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신축선, 전사 및 실이 동반배치되어 서로 교번적으로 엮인 외부가 다시 제2 피복용 실로 감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fe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outer of the bullet-proof yarn and the insulating coated copper wire are alternately woven with each other and wound with the first covering thread, and the elastic wire, the transfer and the yarn are arranged together and alternately woven with each other It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outside is wound again with a second covering threa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MS(Electronic Muscle Stimulation) 수트는 복수의 부위별 전극패드, 전기신호 수신부, 상기 전기신호 수신부에 수신된 전기신호를 상기 복수의 전극패드에 각각 전달하기 위한 상기 신축성 전선 및, 상기 신축성 전선을 상기 EMS 수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터널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EMS (Electronic Muscle Stimulation) s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electrode pads for each part, the electrical signal receiving unit, the electrical signal received in the electrical signal receiv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plurality of electrode pads, respectively. a flexible wire and a tunnel for fixing the elastic wire to the EMS suit.

또한, 상기 터널은 상기 EMS 수트 상에서 일정 거리 이상의 간격마다 상기 EMS 수트를 수축시켜 상기 신축성 전선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봉재함에 따라 상기 EMS 수트 자체에서 융기된 복수의 홈이며, 상기 신축성 전선은 상기 복수의 홈을 각각 통과하는 방식으로 상기 EMS 수트에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unnel is a plurality of grooves raised in the EMS suit itself as the EMS suit is contracted at intervals of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on the EMS suit and sew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astic wires are arranged, and the elastic wires are the plurality of grooves. It can be secured to the EMS suit in such a way that each passes through the grooves.

또한, 상기 터널은 상기 EMS 수트 상에 단일의 섬유원단을 일정 거리 이상의 간격으로 상기 신축성 전선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봉재하여, 상기 EMS 수트 및 상기 단일의 섬유원단 사이에 생성된 복수의 홈이며, 상기 신축성 전선은 상기 복수의 홈을 각각 통과하는 방식으로 상기 EMS 수트에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unnel is a plurality of grooves created between the EMS suit and the single fiber fabric by sewing a single fiber fabric on the EMS sui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elastic wires are arranged at intervals of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The elastic wire may be fixed to the EMS suit in such a way that each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grooves.

또한, 상기 EMS 수트는 상기 EMS 수트의 허리부위를 감싸며 양단이 벨크로에 의해 서로 부착되는 형태의 벨크로 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S suit may further include a Velcro band which wraps around the waist of the EMS suit and has both ends attached to each other by Velcro.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MS 시스템은 상기 EMS 수트 및, 상기 전극패드에 전달하기 위한 전기신호의 발생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박스는 복수의 포고핀(pogo pin)을 통해 상기 전기신호 수신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기신호를 전달한다.Meanwhile, the EM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EMS suit and a control box for controlling generation of an electrical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electrode pad, wherein the control box includes a plurality of pogo pins. It is connected to the electrical signal receiving unit through the transmission of the electrical signal.

또한, 상기 복수의 포고핀은 상기 컨트롤 박스 외부에 배치된 복수의 마그네틱 전도체 상에 각각 돌출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전기신호 수신부의 외부에 배치된 복수의 마그네틱 전도체 상에 홈의 형태로 구현되는 포고핀 수용부와 결합되어 상기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pogo pins each have a shape protruding on a plurality of magnetic conductors disposed outside the control box, and are implemented in the form of grooves on a plurality of magnetic conductors disposed outside the electrical signal receiving unit. It may be coupled to the pin receiving part to transmit the electrical signal.

또한, 상기 컨트롤 박스는 1차적으로 상기 컨트롤 박스 및 상기 전기신호 수신부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마그네틱 전도체를 통해 상기 전기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마그네틱 전도체를 통한 전기신호의 수신이 감지되지 않으면 2차적으로 상기 포고핀을 통해 상기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box primarily transmits the electrical signal through a plurality of magnetic conductors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control box and the electrical signal receiving unit, and secondarily, if the reception of the electrical signal through the magnetic conductor is not detected The electrical signal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pogo pin.

또한,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포고핀과 별도로 배치되는 마그네틱 전도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틱 전도체가 상기 EMS 수트 상에 배치되는 마그네틱 전도체에 접촉되는 방식으로 상기 EMS 수트와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box may further include a magnetic conductor disposed separately from the pogo pin, and may be coupled to the EMS suit in such a way that the magnetic conductor contacts the magnetic conductor disposed on the EMS suit.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EMS 수트의 설계가 용이하며, EMS 수트의 각 부위에 부착된 전극패드에 전기신호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easy to design an EMS suit, and an electric signal can be stably and e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electrode pads attached to each part of the EMS suit.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신축성 전선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MS 수트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터널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축성 전선과 전극패드의 연결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벨크로 밴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포고핀을 이용한 전기신호 전달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의 전기신호 전달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고핀이 전기신호 수신부에 삽입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2a 및 1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마그네틱 전도체의 배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to 3 are views showing an elastic wir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MS s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views showing tunnel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nection method between an elastic wire and an electrode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Velcro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 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tructure using a pogo pi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path of the control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pogo pin is ins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A and 12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magnetic conductor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먼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일 수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First,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have been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se te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legal or technical interpretation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nd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lso, some terms may be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These terms may be interpreted in the meaning defi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if there is no specific term definition, it may be interpreted based on the general cont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ommon technical common sense in the art.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 요소를 모두 도시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Also,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appended to this specification indicate parts or component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understand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in different embodiments. That is,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ber are shown in the plurality of drawings, the plurality of drawings do not mean one embodiment.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 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elements. This ordinal number is used to distinguish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from each other, and the meaning of the term should not be limitedly interpreted due to the use of the ordinal number. As an example, the components combined with such an ordinal number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order of use or arrangement by the number. If necessary, each ordinal number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름을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compris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s present, and one or more oth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presence of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said that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a direct connection but also an indirect connection through another medium. In addition, the meaning that a certain componen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신축성 전선을 나타낸 도면이다.1 to 3 are views illustrating an elastic wir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신축성 전선(100)은 전사(10), 신축선(20) 및 실(30)을 포함하며, 이들이 동반배치되어 서로 교번적으로 엮음되어 형성된다.The elastic wir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 includes a transfer 10 , an elastic wire 20 and a thread 30 , which are arranged together and are alternately woven with each other.

전사(10)는 전기적 연결이 가능한 도전체(11)를 포함하는 피복 전선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전체(1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닥으로 이루어진 금속사로 구현될 수 있다. 금속사는 전기적 연결이 우수한 금, 은, 동 및 구리 등의 도전체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transfer 10 may be implemented as a covered wire including a conductor 11 tha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conductor 11 may be implemented as a metal thread made of at least one or more strands. The metal thread is preferably a conductor such as gold, silver, copper and copper having excellent electrical connection.

도전체(11)를 감싸는 피복은 도전체(11)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합선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피복은 내열성과 화학적 내지는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도전체(11)가 보호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그 일례로 우레탄(urethane) 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중 어느 하나이거나, 그 조합에 의한 것일 수 있다. 그 밖에도 폴리이미드(polyimide)와 같은 내열고무가 사용되는 것도 좋다.The coating surrounding the conductor 11 is not only to prevent the conductor 11 from being damaged, but also to prevent safety accidents such as short circuit. This coating is intended to protect the conductor 11 from heat resistance and chemical or physical impact, and an example thereof may be any one of urethane or polyethylene, or a combination thereof. In addition, a heat-resistant rubber such as polyimide may be used.

피복은 딥 코팅 등에 의하여 도전체(11)에 얇게 코팅될 수 있다.The coating may be thinly coated on the conductor 11 by dip coating or the like.

신축선(20)은 신축 가능한 탄성 재질로서, 신축 탄성이 우수한 고무재질을 실과 같이 얇게 뽑은 것이다. 신축선(20)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고무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신축성의 극대화를 위해 스판덱스(spandex) 또는 라텍스(latex)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stretchable wire 20 is an elastic material that can be stretched, and a rubber material having excellent elasticity is pulled as thin as a thread. The elastic wire 20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rubber bands in general, and may include spandex or latex to maximize elasticity.

실(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10) 및 신축선(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동반배치되어 전사(10) 및 신축선(20)에 감김되거나 엮음되어 형성되며, 복수의 가닥으로 형성되는 실뭉치로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thread 30 is formed by being wound or woven around the transfer 10 and the extension line 20 by being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fer 10 and the extension line 20 , and a plurality of It can be implemented as a bundle of threads formed of strands of

이와 같이, 전도성을 가지는 전사(10), 탄성을 가지는 신축선(20)과 전사(10) 및 신축선(20)을 단단히 고정시키는 실(30)이 서로 교번하여 엮임으로서 전도성 및 탄성을 가지면서도 안정적으로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신축성 전선(100)을 구현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transfer 10 having conductivity, the elastic wire 20 having elasticity, and the yarn 30 for firmly fixing the transfer 10 and the elastic wire 20 are alternately woven with each other to have conductivity and elasticity while still having conductivity and elasticity.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stretchable wire 100 capable of stably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한편, 도 2에 도시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신축성 전선(100')은 전사(10)가 전도성 실로 구현되며, 전사(10)는 신축선(20)을 심사로 하여 신축선(20)의 외부에 감김되는 외사로 구현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elastic wire 100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2 , the transfer 10 is implemented with a conductive thread, and the transfer 10 is the outside of the elastic wire 20 by using the elastic wire 20 as an examination. It is implemented as an external thread wound on the

이때, 피복용 실(30)이 신축선(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사(10)의 외부에 다시한번 감김되어, 전사(10)를 피복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oating thread 30 is wound once again on the outside of the transfer 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etching line 20 to cover the transfer 10 .

한편, 도 3의 (b)에 도시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신축성 전선(100'')에 있어서, 전사(10')는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반배치되어 서로 교번적으로 엮인 방탄실(50) 및 외부에 전류가 새지 않도록 절연 코팅된 복수의 구리선(60-1 ~ 60-n)의 외부를 제1 피복용 실(40-1)로 감는 구조를 가진다. 방탄실(50)은 신축성 전선(100'')의 강도를 더 높이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elastic wir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3(b), the transfer 10' is collocated and alternately interwoven with each other as shown in (a), bulletproof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outside of the thread 50 and the plurality of copper wires 60-1 to 60-n coated with insulation to prevent current from leaking to the outside is wound with the first covering thread 40-1. The bulletproof room 50 serves to further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elastic wire 100 ″.

이때, 신축성 전선(100'')은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와 같이, 전사(10')가 신축선(20) 및 실(30)과 동반배치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엮음된 후, 그 외부가 제2 피복용 실(40-2)로 감김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제2 피복용 실(40-2)은 복수의 실 가닥을 포함하며, 복수의 실 가닥이 서로 교번적으로 엮임되는 방식으로 전사(10'), 신축선(20) 및 실(30)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 the elastic wire 100 ″ is after the transfer 10 ′ is arranged with the elastic wire 20 and the thread 30 and alternately wove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outside is wound with the second coating thread (40-2). At this time, the second covering thread 40-2 includes a plurality of thread strands, and the transfer 10', the stretch line 20 and the thread 30 are alternately interwoven with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o have a shap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축성 전선을 이용하는 EMS 수트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MS suit using an elastic w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EMS 수트(200)는 부위별로 부착된 다수의 전극패드(210)에 전기 근육 자극 신호를 제공하는 트레이닝 복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전극패드(210)에는 다수의 전극이 적용되어 있으며, EMS 수트(200)의 착용자는 전극을 통해 전기 근육 자극 신호(이하, 전기신호)를 제공받게 된다.As shown in (a) and (b) of Figure 4, the EMS suit 20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raining suit that provides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signals to a plurality of electrode pads 210 attached to each part. . A plurality of electrodes are applied to the electrode pad 210 , and the wearer of the EMS suit 200 receives an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signal (hereinafter, an electrical signal) through the electrodes.

전극패드(210)는 EMS 수트(200)의 다수의 부위에 결합되어 있으며, 각 부위별로 전기신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극패드(210)는 가슴, 팔 상부, 다리 상부, 복부, 허리 등 다양한 부위에 결합될 수 있다.The electrode pad 210 is coupled to a plurality of parts of the EMS suit 200 ,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ctrical signal for each part. For example, the electrode pad 210 may be coupled to various parts such as the chest, upper arm, upper leg, abdomen, and waist.

예를 들어, 착용자가 팔 근육의 트레이닝을 원할 경우, EMS 수트(200)의 팔 부위에 부착된 전극패드(210)에 전기신호가 제공되며, 해당 패드에 적용된 전극들은 전기신호를 착용자의 팔 근육 발향으로 제공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wearer wants to train the arm muscles, an electrical signal is provided to the electrode pad 210 attached to the arm of the EMS suit 200, and the electrodes applied to the pad transmit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arm muscle of the wearer. It will be served as an incense.

EMS 수트(200)를 통해 제공되는 전기신호는 특정 주파수를 가지며, 이러한 전기신호는 근육에 대한 수축/이완이 발생하도록 하여, 착용자가 움직이지 않더라도 특정 부위에 대한 근육 운동을 가능하도록 한다.The electrical signal provided through the EMS suit 200 has a specific frequency, and this electrical signal causes muscle contraction/relaxation to occur, enabling muscle movement for a specific part even if the wearer does not move.

이때, 전기신호는 전기신호의 발생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300)에서 생성되어 EMS 수트(200)의 전기신호 수신부(220)가 이를 수신하며, 전기신호 수신부(220)부터 EMS 수트(200) 상에 연결된 신축성 전선(230)을 통해 각 전극패드(210)에 전달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electric signal is generated in the control box 300 for controlling the generation of the electric signal, the electric signal receiving unit 220 of the EMS suit 200 receives it, and the electric signal receiving unit 220 from the EMS suit 200 on the It is transmitted to each electrode pad 210 through the elastic wire 230 connected to the.

이때, 신축성 전선(230)은 각 전극패드(210)에 전기신호를 잘 전달하면서도 EMS 수트(200)의 착용 및 트레이닝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EMS 수트(200) 상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되어 배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EMS 수트(200) 상에서 신축성 전선(230)이 배치될 자리에 터널(240)을 배치시키고, 터널(240)에 각 신축성 전선(230)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하여, 신축성 전선(230)을 EMS 수트(200)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elastic wire 230 should be fixed and dispos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on the EMS suit 20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wearing and training of the EMS suit 200 while transmitting the electrical signal to each electrode pad 210 well. To this end, as shown in (a) and (b) of FIG. 4 , a tunnel 240 is disposed on the EMS suit 200 at a place where the elastic wire 230 is to be disposed, and each elastic wire 230 is disposed in the tunnel 240 . By allowing the wire 230 to pass through, the elastic wire 230 may be fixed on the EMS suit 200 .

신축성 전선(230)을 통과시키기 위한 터널(240)은 EMS 수트(200)를 자체적으로 봉재시켜 생성되거나, 별도의 섬유원단을 EMS 수트(200) 상에 봉재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특히, EMS 수트(200) 상에서 전기신호 수신부(220)에 근접하여 다수의 신축성 전선(230)이 배치되는 부위(41)는 효율적이면서도 안정적인 터널(240)의 제공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5 및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tunnel 240 for passing the elastic wire 230 may be formed by sewing the EMS suit 200 by itself, or may be formed by sewing a separate fiber fabric on the EMS suit 200, in particular, the EMS suit. The portion 41 on which a plurality of flexible wires 230 are disposed close to the electrical signal receiving unit 220 on 200 is required to provide an efficient and stable tunnel 240 . Specific details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터널을 나타낸 도면이다.5 and 6 are views illustrating tunnel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신축성 전선(230)이 배치되는 부위(41)의 터널(240)은 일정 거리 이상의 간격마다 EMS 수트(200)를 수축시키는 방식으로 형성된다.As shown in (a) and (b) of Figure 5, the tunnel 240 of the portion 41 in which a plurality of flexible wires 230 are disposed is a method of contracting the EMS suit 200 at intervals of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is formed with

구체적으로, 도 5의 (b)와 같이 EMS 수트(200)상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양 부위를 잡고 이를 맞닿게 하면 이로 인한 홀이 생기게 되며, 맞닿은 부위를 신축성 전선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봉재함에 따라 EMS 수트(200) 자체에서 융기한 복수의 홈이 형성되며, 이러한 복수의 홈이 신축성 전선(230)이 통과되는 각각의 터널(240)이 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b), when both parts spaced apart from the EMS suit 200 are held at regular intervals and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 hole is created due to this, and as the abutting part is sew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astic wire is arranged, the EMS A plurality of raised grooves are formed in the suit 200 itself, and these plurality of grooves become respective tunnels 240 through which the flexible wire 230 passes.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신축성 전선(230)이 배치되는 부위(41')의 터널(240)은 EMS 수트(200) 상에 단일의 섬유원단을 덧대어 봉재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6 , the tunnel 240 of the portion 41 ′ in which a plurality of flexible wires 230 are disposed is formed in such a way that a single fiber fabric is padded on the EMS suit 200 and sealed. could be

구체적으로, 도 6과 같이 EMS 수트(200) 상에 단일의 섬유원단(61)을 덧댄 후, 각 신축성 전선(230)이 지나갈 터널(240)이 생성되도록 일정 거리 이상의 간격을 가지고 신축성 전선(230)이 배치되는 방향(길이 방향)으로 섬유원단(61)을 EMS 수트(200) 상에 봉재하면, 각 봉재선(62)을 경계로 하여 신축성 전선(230)이 통과할 터널(240)이 형성되게 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 after a single fiber fabric 61 is applied on the EMS suit 200 , the elastic wires 2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certain distance so that a tunnel 240 through which each elastic wire 230 passes is created. ) is placed on the EMS suit 200 in the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xtile fabric 61, each bar wire 62 as a boundary to form a tunnel 240 through which the elastic wire 230 will pass. do.

도 5 및 6에서는 편의상 다수의 신축성 전선(230)이 배치되는 부위(41')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EMS 수트(200)의 각 부위에 연결되는 신축성 전선(230)이 통과되는 터널(240) 또한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FIGS. 5 and 6 , a portion 41 ′ in which a plurality of flexible wires 230 are disposed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for convenience, but a tunnel 240 through which the elastic wires 230 connected to each portion of the EMS suit 200 pass through. It can also be formed in the same way.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축성 전선과 전극패드의 연결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nection method between an elastic wire and an electrode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240)을 통과하는 신축성 전선(230)과 전극패드(210)는 스냅단추 또는 도트단추 등 일명 똑딱이 단추(71, 72)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똑딱이 단추(71, 72)는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전도성 재질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7 , the elastic wire 230 and the electrode pad 210 passing through the tunnel 240 may be coupled through so-called snap buttons 71 and 72 such as snap buttons or dot buttons.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tick-tick buttons 71 and 72 ar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capable of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예를 들어, 전극패드(210)와 연결되는 신축성 전선(230)의 일단에는 볼록하게 튀어나온 수단추(71)가 부착되고, 전극패드(210)의 일 영역에는 오목한 암단추(72)가 부착되며 수단추가 암단추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신축성 전선(230)과 전극패드(210)가 서로 단단히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일 뿐, 신축성 전선(230)에 암단추(72)가 부착되고, 전극패드(210)에 수단추가 부착되어도 무방하다.For example, a convexly protruding means weight 71 is attached to one end of the elastic wire 230 connected to the electrode pad 210 , and a concave female button 72 is attached to one region of the electrode pad 210 , The elastic wire 230 and the electrode pad 210 may be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in such a way that the means weight is fitted to the female button. However, this is only an embodiment, and the female button 72 may be attached to the elastic wire 230 and the means weight may be attached to the electrode pad 210 .

또한, 똑딱이 단추(71, 72)가 전도성 재질로 구현됨으로써, 똑딱이 단추(71, 72)를 통해 전기신호가 전달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tick-tick buttons 71 and 72 are implement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an electrical signal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tick-tick buttons 71 and 72 .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벨크로 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Velcro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EMS 수트(200)는 허리부위를 감싸며, 양단이 벨크로(81)에 의해 서로 부착되는 형태의 벨크로 밴드(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 the EMS suit 200 may further include a Velcro band 250 , which wraps around the waist and has both ends attached to each other by Velcro 81 .

이에 따라,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벨크로(81)의 부착 위치를 조정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허리 사이즈의 착용자가 EMS 수트(200)를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Accordingly, while it is convenient to use, wearers of various waist sizes can firmly fasten the EMS suit 200 by adjusting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Velcro 81 .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포고핀을 이용한 전기신호 전달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n 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tructure using a pogo pi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EMS 시스템(1000)은 신축성 전선(100)을 포함하는 EMS 수트(200), 전극패드(210)에 전달하기 위한 전기신호의 발생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300)를 포함한다. 컨트롤 박스(300)는 근육 자극을 위한 전류를 생성한다.The EMS system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MS suit 200 including a stretchable wire 100 , and a control box 300 for controlling generation of an electrical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electrode pad 210 . The control box 300 generates a current for muscle stimulation.

구체적으로, 컨트롤 박스(300)는 전원 모듈(미도시), 근수축 자극 모듈(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Specifically, the control box 300 includes a power module (not shown) and a muscle contraction stimulation module (not shown).

전원 모듈의 전원을 ON시키면, 근수축 자극 모듈이 작동하여 임계값 이하의 전류를 흘려보내 근육에 자극을 전달한다. 사용자의 근육에 전기를 가할 시에는 근육층이 수축되었다가, 전기 자극을 중단하면 이완시킴으로써 근육층의 수축 및 이완을 유도 가능하다.When the power module is turned on, the muscle contraction stimulation module operates and sends a current below the threshold to deliver stimulation to the muscle. When electricity is applied to the user's muscle, the muscle layer is contracted, and when the electrical stimulation is stopped, it is relaxed to induce contraction and relaxation of the muscle layer.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박스(300)는 생성된 전기신호를 EMS 수트(200)에 전달하기 위한 전달체로서 복수의 스프링 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프링 핀은 포고 핀(pogopin)(91)으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9 , the control box 3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pring pins as a transmission body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electrical signal to the EMS suit 200 , and the spring pins are pogopins. (91) can be implemented.

구체적으로, 복수의 포고핀(91)은 컨트롤 박스(300)의 외부에 일정 패턴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각각의 포고핀(91)은 EMS 수트(200)의 각 전극패드(210)로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포고핀(91)은 EMS 수트(200)에 구비된 전기신호 수신부(220)의 포고핀 수용부(92)와 각각 결합된다.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pogo pins 91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a predetermined pattern on the outside of the control box 300 , and each pogo pin 91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to each electrode pad 210 of the EMS suit 200 . plays a role in conveying As shown in FIG. 8 , the plurality of pogo pins 91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pogo pin receiving unit 92 of the electrical signal receiving unit 220 provided in the EMS suit 200 .

포고핀(91) 내의 스프링은 일종의 코일 스프링으로서, 포고핀(91)이 포고핀 수용부(92)에 연결될 때, 스프링이 약간 눌려지게 됨으로써, 완충 효과와 더불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포고핀(91) 및 포고핀 수용부(92) 간의 접촉성을 높여주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The spring in the pogo pin 91 is a kind of coil spring, and when the pogo pin 91 is connected to the pogo pin receiving part 92, the spring is slightly pressed, and the pogo pin 91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in addition to the buffering effect. ) and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ontact between the pogo pin receiving portion (92).

한편, 도 9에 도시된 실시 예를 좀 더 개선한 구조로서, 컨트롤 박스(300) 및 전기신호 수신부(220)는 마그네틱 전도체(1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과 같이 복수의 포고핀(91)은 컨트롤 박스(300) 외부에 배치된 복수의 마그네틱 전도체(101) 상에 각각 돌출되도록 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전기신호 수신부(220)의 외부에 배치된 복수의 마그네틱 전도체(101) 상에 홈의 형태로 구현되는 포고핀 수용부(92)와 결합되어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Meanwhile, as an improved structur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 the control box 300 and the electrical signal receiver 220 may further include a magnetic conductor 101 .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0 , the plurality of pogo pins 91 may have a shape such that they respectively protrude on the plurality of magnetic conductors 101 disposed outside the control box 300 , and It is coupled with the pogo pin receiving part 92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groove on the plurality of magnetic conductors 101 disposed outside to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마그네틱 전도체(101)는 포고핀(91)과 마찬가지로 전기신호 수신부(220) 및 컨트롤 박스(300) 간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을 함과 더불어 자력에 의해 전기신호 수신부(220) 및 컨트롤 박스(300)를 이격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The magnetic conductor 101 serves as a medium for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between the electrical signal receiving unit 220 and the control box 300 like the pogo pin 91, and by magnetic force, the electrical signal receiving unit 220 and the control box ( 300) also plays a role not to be spaced apart.

또한, 운동 중에 컨트롤 박스(300)의 마그네틱 전도체(101)가 전기신호 수신부(220)의 마그네틱 전도체(101)와 이격되어 떨어지더라도 포고핀(91)과 포고핀 수용부(92)가 수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접촉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이중으로 전기신호의 끊김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even if the magnetic conductor 101 of the control box 300 is separated from the magnetic conductor 101 of the electric signal receiving unit 220 during movement, the pogo pin 91 and the pogo pin receiving unit 92 are separated from the spring. Since the contact state is maintained by the restoring for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connection of the electric signal double.

한편, 컨트롤 박스(300)는 1차적으로 컨트롤 박스(300) 및 전기신호 수신부(220)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마그네틱 전도체(101)를 통해 전기신호를 전달하고, 마그네틱 전도체(101)를 통한 전기신호의 수신이 감지되지 않으면 2차적으로 포고핀(91)을 통해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box 300 primarily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through a plurality of magnetic conductors 101 disposed in the control box 300 and the electrical signal receiving unit 220, respectively, and electricity through the magnetic conductor 101 If the reception of the signal is not detected, the electrical signal may be transmitted secondaryly through the pogo pin 91 .

즉, 컨트롤 박스(300)는 우선적으로 복수의 마그네틱 전도체(101)를 통해 전기신호 수신부(220)로 전기신호를 전달하되, 격한 운동 등으로 일부 마그네틱 전도체(101)가 서로 이격되는 경우, 포고핀(91)을 통해 전기신호를 전달하여 이격에 따른 전기신호의 끊김을 보완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box 300 preferentially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to the electrical signal receiver 220 through the plurality of magnetic conductors 101, but when some magnetic conductors 10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due to intense movement, etc., the pogo pin By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through (91),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for the disconnection of the electrical signal due to the separa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의 전기신호 전달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path of the control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박스(300)의 외부에는 복수의 포고핀(91) 또는 복수의 포고핀(91)을 포함하는 복수의 마그네틱 전도체(101)가 일정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 10 , a plurality of pogo pins 91 or a plurality of magnetic conductors 101 including a plurality of pogo pins 91 are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control box 300 in a predetermined pattern. can be

도 10의 (a)에서 A 내지 R은 도 10의 (b)에 나타난 EMS 수트(200)의 앞뒷면 각 부위에 부착된 전극패드(210)과 연결되는 복수의 마그네틱 전도체(101)를 일 실시 예로 도시한 것이다. 마그네틱 전도체 A 및 B는 신축성 전선(100)을 통해 EMS 수트(200)의 오른쪽 허리 및 왼쪽 허리에 부착된 전극패드 a 및 b에 각각 연결된다.A to R in FIG. 10 (a) implement a plurality of magnetic conductors 101 connected to the electrode pads 210 attached to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EMS suit 200 shown in FIG. 10 (b). shown as an example. The magnetic conductors A and B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pads a and b attached to the right and left waist of the EMS suit 200 through the elastic wire 100 .

마그네틱 전도체 C 및 D는 신축성 전선(100)을 통해 EMS 수트(200)의 오른쪽 등 및 왼쪽 등에 부착된 전극패드 c 및 d에 각각 연결된다.The magnetic conductors C and D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pads c and d attached to the right back and left back of the EMS suit 200 through the elastic wire 100 .

마그네틱 전도체 E 및 F는 신축성 전선(100)을 통해 EMS 수트(200)의 오른쪽 어깨 및 왼쪽 어깨에 부착된 전극패드 e 및 f에 각각 연결된다.The magnetic conductors E and F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pads e and f attached to the right shoulder and the left shoulder of the EMS suit 200 through the elastic wire 100 .

마그네틱 전도체 G는 신축성 전선(100)을 통해 EMS 수트(200)의 오른쪽 팔의 앞쪽 및 뒤쪽에 부착된 전극패드 g1 및 g2에 각각 연결된다.The magnetic conductor G i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pads g1 and g2 attached to the front and back of the right arm of the EMS suit 200 through the elastic wire 100 .

마그네틱 전도체 H는 신축성 전선(100)을 통해 EMS 수트(200)의 왼쪽 팔의 앞쪽 및 뒤쪽에 부착된 전극패드 h1 및 h2에 각각 연결된다.The magnetic conductor H i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pads h1 and h2 attached to the front and back of the left arm of the EMS suit 200 through the elastic wire 100 .

마그네틱 전도체 I 및 J는 신축성 전선(100)을 통해 EMS 수트(200)의 오른쪽 가슴 및 왼쪽 가슴에 부착된 전극패드 i 및 j에 각각 연결된다.The magnetic conductors I and J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pads i and j attached to the right chest and the left chest of the EMS suit 200 through the elastic wire 100 .

마그네틱 전도체 K 및 L은 신축성 전선(100)을 통해 EMS 수트(200)의 오른쪽 배 및 왼쪽 배에 부착된 전극패드 k 및 l에 각각 연결된다.The magnetic conductors K and L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pads k and l attached to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EMS suit 200 through the elastic wires 100 .

마그네틱 전도체 M은 신축성 전선(100)을 통해 EMS 수트(200)의 오른쪽 다리의 앞쪽 및 뒤쪽에 부착된 전극패드 m1 및 m2에 각각 연결된다.The magnetic conductor M i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pads m1 and m2 attached to the front and back of the right leg of the EMS suit 200 through the elastic wire 100 .

마그네틱 전도체 N은 신축성 전선(100)을 통해 EMS 수트(200)의 왼쪽 다리의 앞쪽 및 뒤쪽에 부착된 전극패드 n1 및 n2에 각각 연결된다.The magnetic conductor N i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pads n1 and n2 attached to the front and back of the left leg of the EMS suit 200 through the elastic wire 100 .

마그네틱 전도체 O 및 P는 신축성 전선(100)을 통해 EMS 수트(200)의 오른쪽 엉덩이 및 왼쪽 엉덩이에 부착된 전극패드 o 및 p에 각각 연결된다.The magnetic conductors O and P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pads o and p attached to the right hip and the left hip of the EMS suit 200 through the elastic wire 100 .

마그네틱 전도체 Q 및 R은 EMS 수트(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로서의 역할을 한다.The magnetic conductors Q and R serve as power supplies for powering the EMS suit 200 .

EMS 수트(200)의 전기신호 수신부(220)에는 마그네틱 전도체 A 내지 R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포고핀 수용부(92) 및 마그네틱 전도체(101)가 배치될 수 있다.In the electric signal receiving unit 220 of the EMS suit 200 , the pogo pin receiving unit 92 and the magnetic conductor 101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magnetic conductors A to R, respectively.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고핀이 전기신호 수신부에 삽입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pogo pin is ins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고핀(91)은 내부핀(94)의 볼록한 천장판이 몸체(93) 위로 솟아나오는 구조를 가지며, 내부핀(94)은 몸체(93) 내부에 밀폐된 스프링(95)에 의해 내부핀(94)의 볼록한 천장판 및 바닥판(96) 사이에 압박되는 구조를 가진다. 다리부(97)는 바닥판(96)으로부터 돌출되어 회로기판 상의 근수축 자극 모듈로부터 전기신호를 수신한다.11 (a), the pogo pin 91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onvex ceiling plate of the inner pin 94 protrudes above the body 93, and the inner pin 94 is located inside the body 93. It has a structure pressed between the convex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96 of the inner pin 94 by the sealed spring 95 . The leg part 97 protrudes from the bottom plate 96 and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muscle contraction stimulation module on the circuit board.

도 1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고핀(91)은 마그네틱 전도체(101)의 가운데 홈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가공품과 결합되어 마그네틱 전도체(101)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As shown in (a) and (b) of Figure 11, the pogo pin 91 is coupled to the workpiece disposed on the edge of the center groove of the magnetic conductor 101 to be designed in such a way that it is coupled to the magnetic conductor 101. can

도 11의 (c)는, 컨트롤 박스(300) 측의 마그네틱 전도체(101)에 결합된 포고핀(91)과 전기신호 수신부(220) 측의 마그네틱 전도체(101) 상의 포고핀 수용부(92)가 서로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컨트롤 박스(300)와 전기신호 수신부(220)의 마그네틱 전도체(101)가 서로 자력에 의해 접촉되면서, 포고핀(91)과 포고핀 수용부(92) 또한 스프링에 의한 장력을 가지고 서로 접촉되게 된다.11 (c) is a pogo pin 91 coupled to the magnetic conductor 101 on the side of the control box 300 and the pogo pin receiving portion 92 on the magnetic conductor 101 on the side of the electric signal receiving unit 220 shows how they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As the magnetic conductor 101 of the control box 300 and the electrical signal receiving unit 220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magnetic force, the pogo pin 91 and the pogo pin receiving part 92 also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ith tension by the spring. .

도 12a 및 1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마그네틱 전도체의 배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2A and 12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magnetic conductor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MS 시스템(1000)의 컨트롤 박스(300)는 포고핀(91)과 별도로 배치되는 마그네틱 전도체(101)를 포함하고, 마그네틱 전도체(101)가 EMS 수트(200) 상에 배치되는 마그네틱 전도체(101)에 접촉되는 방식으로 EMS 수트(200)와 결합될 수 있다.The control box 300 of the EMS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gnetic conductor 101 disposed separately from the pogo pin 91 , and the magnetic conductor 101 is on the EMS suit 200 . It may be combined with the EMS suit 200 in such a way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magnetic conductor 101 disposed on the .

구체적으로,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300A)의 외부 중심부에는 전기신호 전달을 위한 복수의 포고핀(91)이 배치되고, 외부의 양 가장자리에는 2개의 마그네틱 전도체(101)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기신호 수신부(220) 역시 포고핀(91) 및 마그네틱 전도체(101)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포고핀 수용부(92) 및 마그네틱 전도체(101)가 배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2A , a plurality of pogo pins 91 for transmitting electrical signals are disposed at the outer center of the control box 300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2 on both outer edges of the control box 300A. Four magnetic conductors 101 may be disposed. As such, the electrical signal receiving unit 220 may also have the pogo pin receiving unit 92 and the magnetic conductor 101 disposed at position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pogo pin 91 and the magnetic conductor 101 .

포고핀(91) 및 마그네틱 전도체(101)의 배치 및 마그네틱 전도체(101)의 크기, 개수 및 모양 역시 다양할 수 있으며,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고핀(91)은 원형 패턴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고, 외부 양 가장 자리에 총 4개의 마그네틱 전도체(101)가 배치되도록 컨트롤 박스(300B)가 구현될 수도 있다.The arrangement of the pogo pins 91 and the magnetic conductor 101 and the size, number and shape of the magnetic conductor 101 may also vary, and as shown in FIG. 12B , the pogo pins 91 have a circular pattern. may be disposed, and the control box 300B may be implemented such that a total of four magnetic conductors 101 are disposed on both outer edges.

이에 따라, 마그네틱 전도체(101)에 의해 컨트롤 박스(300)와 전기신호 수신부(220)가 결합되면서 포고핀(91) 또는 마그네틱 전도체(101)를 통해 안정적으로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tably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through the pogo pin 91 or the magnetic conductor 101 while the control box 300 and the electrical signal receiver 220 are coupled by the magnetic conductor 101 .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EMS 수트의 설계가 용이하며, EMS 수트의 각 부위에 부착된 전극패드에 전기신호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easy to design an EMS suit, and an electric signal can be stably and e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electrode pads attached to each part of the EMS suit.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In addition,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100', 100'', 230: 신축성 전선 200: EMS 수트
210: 전극패드 220: 전기신호 수신부
240: 터널 300, 300': 컨트롤 박스
81: 포고핀 82: 포고핀 수용부
91: 마그네틱 전도체
100, 100', 100'', 230: elastic wire 200: EMS suit
210: electrode pad 220: electrical signal receiver
240: tunnel 300, 300': control box
81: pogo pin 82: pogo pin receiving portion
91: magnetic conductor

Claims (12)

신축성 전선에 있어서,
신축 가능한 탄성 재질의 신축선;
전기적 연결이 가능한 도전체로서, 상기 신축선과 동반배치되어 상기 신축선의 외부에 감김되거나 엮음되는 전사; 및
상기 신축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신축선 및 전사의 외부 중 적어도 하나에 감김되거나 엮음되는 실;을 포함하여 길이방향으로 수축 및 팽창되도록 구성되는 신축성 전선.
In the flexible wire,
stretchable elastic material;
As a conductor capable of electrical connection, the transfer is disposed together with the elastic wire is wound or woven to the outside of the elastic wire; and
A stretchable wire configured to contract and expa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cluding a thread wound or woven around at least one of the stretchable wire and the outside of the transf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etchable wi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는,
내부에 상기 도전체를 포함하는 피복 전선이고,
상기 신축선, 전사 및 실이 동반배치되어 서로 교번적으로 엮음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전선.
According to claim 1,
The warrior
It is a covered wire including the conductor inside,
The elastic wire, the transfer and the yarn are arranged together and are alternately woven together to form an elastic wi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는,
전도성 실로서, 상기 신축선을 심사로 하여 상기 신축선의 외부에 감김되는 외사이고,
상기 실은,
상기 전사의 외부에 감김되어 상기 전사를 피복하는 피복용 실인 것을 특징을 하는 신축성 전선.
According to claim 1,
The warrior
As a conductive thread, it is an external yarn wound on the outside of the elastic wire by using the elastic wire as a core,
In fact,
An elastic wi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sheathing thread wound on the outside of the transfer to cover the transf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는,
동반배치되어 서로 교번적으로 엮인 방탄실 및 절연 코팅된 구리선의 외부가 제1 피복용 실로 감김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신축선, 전사 및 실이 동반배치되어 서로 교번적으로 엮인 외부가 다시 제2 피복용 실로 감김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전선.
3. The method of claim 2,
The warrior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outer side of the bullet-proof yarn and the insulating-coated copper wire that are arranged together and are alternately woven with each other are wound with the first covering thread,
The elastic wir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elastic wire, the transfer, and the yarn are arranged together, and the outside, which is alternately woven with each other, is wound again with the second covering thread.
EMS(Electronic Muscle Stimulation) 수트에 있어서,
복수의 부위별 전극패드;
전기신호 수신부;
상기 전기신호 수신부에 수신된 전기신호를 상기 복수의 전극패드에 각각 전달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신축성 전선; 및
상기 신축성 전선을 상기 EMS 수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터널;을 포함하는 EMS 수트.
In an EMS (Electronic Muscle Stimulation) suit,
a plurality of electrode pads for each part;
an electrical signal receiver;
The elastic wire of any one of claims 1 to 4 for transmitting the electrical signal received by the electrical signal receiver to the plurality of electrode pads, respectively; and
The EMS suit comprising a; a tunnel for fixing the elastic wire to the EMS su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은,
상기 EMS 수트 상에서 일정 거리 이상의 간격마다 상기 EMS 수트를 수축시켜 상기 신축성 전선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봉재함에 따라 상기 EMS 수트 자체에서 융기된 복수의 홈이며,
상기 신축성 전선은,
상기 복수의 홈을 각각 통과하는 방식으로 상기 EMS 수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S 수트.
6. The method of claim 5,
The tunnel is
A plurality of grooves protruding from the EMS suit itself as the EMS suit is contracted at intervals of a certain distance or more on the EMS suit and sew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astic wires are arranged,
The elastic wire is
The EMS su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MS suit is fixed to the EMS suit in such a way that each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groov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은,
상기 EMS 수트 상에 단일의 섬유원단을 일정 거리 이상의 간격으로 상기 신축성 전선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봉재하여, 상기 EMS 수트 및 상기 단일의 섬유원단 사이에 생성된 복수의 홈이며,
상기 신축성 전선은,
상기 복수의 홈을 각각 통과하는 방식으로 상기 EMS 수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S 수트.
6. The method of claim 5,
The tunnel is
A plurality of grooves created between the EMS suit and the single fiber fabric by sewing a single fiber fabric on the EMS sui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elastic wires are arranged at intervals of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The elastic wire is
The EMS su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MS suit is fixed to the EMS suit in such a way that each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groov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EMS 수트는,
상기 EMS 수트의 허리부위를 감싸며 양단이 벨크로에 의해 서로 부착되는 형태의 벨크로 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S 수트.
6. The method of claim 5,
The EMS suit is
The EMS suit further comprises; a Velcro band that wraps around the waist of the EMS suit and has both ends attached to each other by Velcro.
EMS 시스템에 있어서,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EMS 수트; 및
상기 전극패드에 전달하기 위한 전기신호의 발생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박스는,
복수의 포고핀(pogo pin)을 통해 상기 전기신호 수신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EMS 시스템.
In the EMS system,
The EMS suit of any one of claims 5 to 8; and
Including; a control box for controlling the generation of an electrical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electrode pad;
The control box is
An EMS system that is connected to the electrical signal receiver through a plurality of pogo pins to transmit the electrical sign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포고핀은,
상기 컨트롤 박스 외부에 배치된 복수의 마그네틱 전도체 상에 각각 돌출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전기신호 수신부의 외부에 배치된 복수의 마그네틱 전도체 상에 홈의 형태로 구현되는 포고핀 수용부와 결합되어 상기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S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lurality of pogo pins,
It has a shape that each protrudes on a plurality of magnetic conductors disposed outside the control box, and is coupled with a pogo pin receiving part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groove on a plurality of magnetic conductors disposed outside the electrical signal receiving part to form the electric An EMS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transmits a signa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박스는,
1차적으로 상기 컨트롤 박스 및 상기 전기신호 수신부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마그네틱 전도체를 통해 상기 전기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마그네틱 전도체를 통한 전기신호의 수신이 감지되지 않으면 2차적으로 상기 포고핀을 통해 상기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S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trol box is
First, the electric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a plurality of magnetic conductors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control box and the electric signal receiving unit, and if the reception of the electric signal through the magnetic conductor is not detected, secondarily through the pogo pin An EMS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포고핀과 별도로 배치되는 마그네틱 전도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틱 전도체가 상기 EMS 수트 상에 배치되는 마그네틱 전도체에 접촉되는 방식으로 상기 EMS 수트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S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 box is
The EMS system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agnetic conductor disposed separately from the pogo pin, wherein the magnetic conductor is coupled with the EMS suit in such a way that it contacts a magnetic conductor disposed on the EMS suit.
KR1020210120224A 2019-08-01 2021-09-09 Expandable electric wire and ems suit and system using the same KR2021011800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224A KR20210118000A (en) 2019-08-01 2021-09-09 Expandable electric wire and ems suit and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817A KR102304175B1 (en) 2019-08-01 2019-08-01 Expandable electric wire and ems suit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20210120224A KR20210118000A (en) 2019-08-01 2021-09-09 Expandable electric wire and ems suit and system us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817A Division KR102304175B1 (en) 2019-08-01 2019-08-01 Expandable electric wire and ems suit and system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8000A true KR20210118000A (en) 2021-09-29

Family

ID=740419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817A KR102304175B1 (en) 2019-08-01 2019-08-01 Expandable electric wire and ems suit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20210120224A KR20210118000A (en) 2019-08-01 2021-09-09 Expandable electric wire and ems suit and system using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817A KR102304175B1 (en) 2019-08-01 2019-08-01 Expandable electric wire and ems suit and system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04175B1 (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0461A (en) * 2005-08-12 2006-04-10 장홍기 Functional clothes
KR20120034534A (en) * 2010-10-01 2012-04-12 실버레이 주식회사 Digital conductive fiber line
KR20160088022A (en) * 2015-01-15 2016-07-25 김두리 Electric conduction planar element,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KR20170048104A (en) * 2015-10-26 2017-05-08 김두리 Electric cabl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stimulation member using it
CN106505363B (en) * 2016-12-23 2019-11-26 深圳市泰科汉泽精密电子有限公司 Magnetic pole button
WO2018202905A1 (en) * 2017-05-04 2018-11-08 Sanko Tekstil Isletmeleri San. Ve Tic. A.S. Yarns with conductive elastomeric cores, fabrics and garments formed of the same,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367A (en) 2020-12-18
KR102304175B1 (en) 2021-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0225B2 (en) Wearable medical system with stretch-cable assembly
US9504396B2 (en) Exercise apparel
US11925799B2 (en) Muscle-stimulating athletic wear
KR101775512B1 (en) Health improvement apparatus for muscle training and diet using electrical stimulation
US11547627B2 (en) Vibrating therapeutic garment
KR20160090114A (en) Clothes maximizing the momentum
KR101894177B1 (en) Wearing device for electrical stimulation and system using it
KR20190132298A (en) Wearable apparatus
KR102304175B1 (en) Expandable electric wire and ems suit and system using the same
JP2019150544A (en) Electrostimulator fitness ware
KR20220064169A (en) Expandable electric wire and ems suit and system using the same
KR20210153946A (en) Expandable electric wire and ems suit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2207246B1 (en) Sportswear capable of providing electrical stimuls
KR20230120913A (en) Expandable electric wire and ems suit using the same
KR20220064178A (en) Expandable electric wire and ems suit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2013900B1 (en) Functional wear with adhesive pattern minimizing cut off of power supply
US20220168561A1 (en) Sportswear capable of providing electrical stimulation
CN219963756U (en) Electric pulse physiotherapy equipment, wearable massage equipment and waist massager
US10772200B2 (en) Fabric coated with functional silicone rubber
KR102117959B1 (en) Electrode pad for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having conductive yarn with silicon coating layer and clothing for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with the same
KR20230006199A (en) Ems device for stable fastening
KR20180137791A (en) cylindrical confiner for massage device
KR20230154396A (en) Ems exercise equipment with sensors
KR20220071402A (en) Device for ems
KR20210069165A (en) Thermotherapical belt with Electric Muscle Stim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