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0913A - Expandable electric wire and ems suit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Expandable electric wire and ems suit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0913A
KR20230120913A KR1020220017755A KR20220017755A KR20230120913A KR 20230120913 A KR20230120913 A KR 20230120913A KR 1020220017755 A KR1020220017755 A KR 1020220017755A KR 20220017755 A KR20220017755 A KR 20220017755A KR 20230120913 A KR20230120913 A KR 20230120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s
suit
transfer
electrical
insul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7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준상
김용후
엄성흠
이승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핏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핏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핏템스
Priority to KR1020220017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0913A/en
Publication of KR20230120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91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6Extensible conductors or cables, e.g. self-coiling co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84Garment electrode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2Braided wire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신축성 전선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철을 포함하는 전사, 상기 전사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며, 전기 절연성을 갖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며, 신축성 및 전기 절연성을 모두 갖는 폴리에스테르층을 포함한다. 이로써, EMS 수트의 설계가 용이하며, EMS 수트의 각 부위에 부착된 전극패드에 전기신호가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The stretchable wire includes a transfer containing iron having electrical conductivity, an insulation layer provided to surround the transfer and having electrical insulation properties, and a polyester layer provided to surround the insulation layer and having both elasticity and electrical insulation properties. do. Accordingly, the design of the EMS suit can be facilitated, and electrical signals can be stably and e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electrode pads attached to each part of the EMS suit.

Description

신축성 전선 및 이를 이용한 EMS 수트{EXPANDABLE ELECTRIC WIRE AND EMS SUIT USING THE SAME}Elastic wire and EMS suit using the same {EXPANDABLE ELECTRIC WIRE AND EMS SUIT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신축성 전선 및 이를 이용한 EMS 수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신축성을 가지면서 동시에 전기 전도성을 갖는 신축성 전선 및 이를 이용한 EMS 수트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n elastic wire and an EMS suit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stretchable electric wire having elasticity and electrical conductivity at the same time, and an EMS suit using the same.

EMS(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시스템은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인체의 근육을 자극함으로써, 인위적으로 근육의 수축 및 이완을 유도하여 자극한다. 이로써, 상기 EMS 시스템은, 운동 보조 장치로서, 체중의 조절, 몸매의 보정 및 환자의 경우 재활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다.An EMS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system uses an electrical signal to stimulate the muscles of the human body, thereby artificially inducing and stimulating muscle contraction and relaxation. Accordingly, the EMS system, as an exercise assisting device, can be expected to have weight control, body shape correction, and rehabilitation effects in the case of patients.

EMS 시스템은 가정에서 개인적으로 이용되기도 하고, 피트니스 센터에서 운동 효과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점차 그 사용이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The EMS system is used personally at home and also used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exercise effect in a fitness center, and its use is gradually expanding.

상기 EMS 시스템은, 상기 EMS 수트를 착용한 인체의 특정 부위의 근육에 전기적인 자극을 수행한다. 상기 EMS 수트는 전기를 인체에 인가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전극 패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극 패드부에 전기를 전달하는 신축성 전선부가 추가적으로 구비된다. The EMS system performs electrical stimulation on the muscles of a specific part of the human body wearing the EMS suit. The EMS suit includes an electrode pad part provided to apply electricity to the human body. In addition, a stretchable wire portion for transmitting electricity to the electrode pad portion is additionally provided.

하지만, 기존의 EMS 수트에 적용되는 신축성 전선부는 절연특성이 낮아, 착용자가 운동 또는 활동으로 땀 등과 같은 분비물이 발생되어 스며들게 된다. 이 경우, 누전으로 인해 제대로 전기 자극을 인가할 수 없고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EMS에 사용되는 전선은 금속선을 합사한 형태이므로, 사용중 반복적인 마찰로 인해 금속선이 손상되고, 분비물에 의한 부식으로 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elastic wire portion applied to the existing EMS suit has low insulation characteristics, secretions such as sweat are generated and permeated by the wearer during exercise or activity. In this cas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electrical stimulation cannot be properly applied due to a short circuit and malfunction may occur. In addition, since the wires used in the existing EMS are in the form of braided metal wire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metal wires are damaged due to repeated friction during use and durability is lowered due to corrosion by secretions.

또한, 기존의 EMS 수트는 마그네틱 전도체 등을 통해 전기신호를 수용하고 전달하였는데, 격한 움직임이나 운동에 의해 마그네틱 전도체가 이격되어 전기신호의 전달이 끊기는 불안정성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전기신호의 전달을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EMS 수트 및 그 시스템에 대한 니즈가 증대되어 왔다.In addition, the existing EMS suit receives and transmits electrical signals through magnetic conductors, etc., but there is instability in that transmission of electrical signals is cut off due to magnetic conductors being separated by violent movement or movement. Accordingly,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need for an EMS suite and system capable of stably and effectively transmitting electrical signal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개선된 절연특성을 갖고 전기신호를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신축성 전선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flexible wire having improved insulation characteristics and capable of stably transmitting electrical signal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개선된 절연특성을 갖고 전기신호를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신축성 전선을 이용한 EMS 수트를 제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n EMS suit using a flexible wire that has improved insulation characteristics and can stably transmit electrical signal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전선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철을 포함하는 전사, 상기 전사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며, 전기 절연성을 갖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며, 신축성 및 전기 절연성을 모두 갖는 폴리에스테르층을 포함한다.A stretchable w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fer containing iron having electrical conductivity, an insulation layer provided to surround the transfer, and an insulation layer having electrical insulation properties, and provided to surround the insulation layer, and has elasticity and electrical insulation properties. It includes a polyester layer having both.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전사, 절연층 및 폴리에스테르층을 포함하는 코어셀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have a core cell structure including the transfer, insulating layer and polyester lay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그래핀 또는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ulating layer may include graphene or silic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사는 인발 공정, 상기 절연층은 압출 공정, 상기 폴리에스테르층은 직조 공정을 통하여 각각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fer may be formed through a drawing process, the insulating layer through an extrusion process, and the polyester layer through a weaving proce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S(Electronic Muscle Stimulation) 수트는, 인체에 착용되는 의복의 내피에 형성된 전극 패드, 상기 전극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전기신호를 인가받는 전기신호 수신부 및 상기 전기신호 수신부에 수신된 전기신호를 상기 복수의 전극패드에 각각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신축성 전선으로 이루어진 전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EMS (Electronic Muscle Stimulation) s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lectrode pads formed on the inner skin of clothing worn on the human body, an electrical signal receiv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pads and receiving electrical signals from the outside, and the above It is provided to transmit the electrical signal received by the electrical signal receiving unit to the plurality of electrode pads, respectively, and may include a wire portion made of the elastic wire of any one of claims 1 to 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의복은 상체 및 하체에 각각 착용될 수 있도록 상하로 분리형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thes may be separat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so that they can be worn on the upper and lower bodies, respective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드는, 상기 인체의 근육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pad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uscle of the human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선부는 상기 의복에 대하여 프린팅 공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portion may be formed through a printing process with respect to the garment.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EMS 수트의 설계가 용이하며, EMS 수트의 각 부위에 부착된 전극패드에 전기신호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design of the EMS suit is easy, and electrical signals can be stably and e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electrode pads attached to each part of the EMS sui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전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S 수트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S 수트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astic w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MS su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re plan views for explaining an EMS su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일 수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First,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general terms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se te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a technician working in the field, legal or technical interpretation, and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lso, some terms may b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These terms may be interpreted as the meanings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and if there is no specific term definition, they may be interpreted based on the overall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and common technical knowledge in the art.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 요소를 모두 도시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numerals in each drawing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ndicate parts or component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symbols will be used in different embodiments. That is, even if all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shown in a plurality of drawings, the plurality of drawings do not mean one embodiment.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 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Also,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elements. These ordinal numbers are used to distinguish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from each other, and the meaning of the term should not be limitedly interpreted due to the use of these ordinal numbers. For example, elements combined with such ordinal number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use order or arrangement order by the number. If necessary, each ordinal number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름을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compris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Also,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a direct connection but also an indirect connection through another medium. In addition, the meaning that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pecifi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전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astic w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신축성 전선(100)은 전사(110), 절연층(120) 및 폴리에스테르층(130)을 포함한다. 상기 신축성 전선은 전기 전도성을 가질 뿐 만 아니라, 용이하게 신축되는 신축성을 가진다.이로써, 상기 신축성 전선은 EMS 수트의 전선부에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n elastic wire 10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fer 110 , an insulating layer 120 and a polyester layer 130 . The elastic wire has electrical conductivity and elasticity that is easily stretched. Thus, the elastic wire may be applied to the wire portion of the EMS suit.

상기 전사(110)는 전기 전도성을 갖는다. 상기 전사(110)를 통하여, 전기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전사(110)는 금속사로서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철(Fe)을 포함한다. 이로써, 전사(110)는 우수한 내식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사(110)가 수분에 노출될 경우, 부식되는 부식 현상이 억제될 수 있다.The transfer 110 is electrically conductive. An electrical signal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fer 110 . The transfer 110 is a metal yarn and includes iron (Fe) having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y. Thus, the transfer 110 may have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Therefore, when the transfer 110 is exposed to moisture, a corrosion phenomenon can be suppressed.

상기 전사(110)는 인발 공정을 통하여 금속사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The transfer 110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metal yarn through a drawing process.

상기 절연층(120)은 상기 전사(110)를 둘러싸도록 구비된다. 상기 절연층(120)은 전기 절연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절연층(120)은 전사(110)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합선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The insulating layer 120 is provided to surround the transfer 110 . The insulating layer 12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ectrical insulating properties. Thus, the insulating layer 120 not only prevents the transfer 110 from being damaged, but also prevents safety accidents such as short circuits.

상기 절연층(120)은 내열성과 화학적 내지는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전사(110)를 보호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절연층(120)은, 그래핀 소재나 실리콘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전사를 코팅할 수 있다. 상기 절연층(120)은 압출 공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insulating layer 120 is provided to protect the transfer 110 from heat resistance and chemical or physical impact. The insulating layer 120 may coat the transfer using a graphene material or silicon paste. The insulating layer 120 may be formed through an extrusion process.

상기 폴리에스테르층(130)은, 상기 절연층(120)을 둘러싸도록 구비된다. The polyester layer 130 is provided to surround the insulating layer 120 .

상기 폴리에스테르층(130)은 신축 가능한 탄성 재질에 해당한다. 이로써, 상기 폴리에스테르층(130)은 나아가, 신축성의 극대화를 위해 스판덱스(spandex) 또는 라텍스(latex)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The polyester layer 130 corresponds to a stretchable elastic material. Thus, the polyester layer 130 may further include spandex or latex to maximize elasticity.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선(100)은 상기 전사(110), 절연층(120) 및 폴리에스테르층(130)을 포함하는 코어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전선(100)은 우수한 전기전도성 및 신축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 wire 10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ore cell structure including the transfer 110 , the insulating layer 120 and the polyester layer 130 . Thus, the electric wire 100 can secure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y and elasticity.

즉,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전사(110), 상기 전사(110)를 둘러싸는 절연층(120) 및 상기 절연층(120)을 둘러싸는 폴리에스테르층(130)이 코어셀 구조를 갖도록 구비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전기신호를 전달할 뿐 만 아니라 신축성과 같은 우수한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신축성 전선(100)이 구현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transfer 110 having electrical conductivity, the insulating layer 120 surrounding the transfer 110, and the polyester layer 130 surrounding the insulating layer 120 are provided to have a core cell structure, stable A stretchable wire 100 capable of transmitting electric signals and securing excellent functionality such as elasticity can be implemen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S 수트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S 수트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MS su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re plan views for explaining an EMS su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EMS 수트(200)는 부위별로 부착된 다수의 전극패드(210)에 전기 근육 자극 신호를 제공하는 트레이닝 복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전극패드(210)에는 다수의 전극이 적용되어 있으며, EMS 수트(200)의 착용자는 전극을 통해 전기 근육 자극 신호(이하, 전기신호)를 제공받게 된다.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 EMS sui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raining suit that provides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signals to a plurality of electrode pads 210 attached to each part. A plurality of electrodes are applied to the electrode pad 210, and the wearer of the EMS suit 200 receives an electric muscle stimulation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lectric signal) through the electrodes.

전극패드(210)는 EMS 수트(200)의 다수의 부위에 결합되어 있으며, 각 부위별로 전기신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극패드(210)는 가슴, 팔 상부, 다리 상부, 복부, 허리 등 다양한 부위에 결합될 수 있다. The electrode pad 210 is coupled to a plurality of parts of the EMS suit 200,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electrical signals for each part. For example, the electrode pad 210 may be coupled to various parts such as the chest, upper arms, upper legs, abdomen, and waist.

특히, 전극패드(210)는 착용자의 근육 부위에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자가 팔 근육의 트레이닝을 원할 경우, EMS 수트(200)의 팔 부위에 부착된 전극패드(210)에 전기신호가 제공되며, 해당 패드에 적용된 전극들은 전기신호를 착용자의 팔 근육 발향으로 제공하게 된다.In particular, the electrode pad 210 may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wearer's muscle region. For example, when the wearer wants to train arm muscles, an electrical signal is provided to the electrode pad 210 attached to the arm of the EMS suit 200, and the electrodes applied to the pad transmit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wearer's arm muscles. It is provided as a fragrance.

EMS 수트(200)를 통해 제공되는 전기신호는 특정 주파수를 가지며, 이러한 전기신호는 근육에 대한 수축/이완이 발생하도록 하여, 착용자가 움직이지 않더라도 특정 부위에 대한 근육 운동을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근육 수축을 위하여는 50 Hz 이상의 주파수가 이용될 수 있으며, 근육 이완을 위하여 100 Hz 이상의 주파수가 이용될 수 있다.The electrical signals provided through the EMS suit 200 have a specific frequency, and these electrical signals cause muscle contraction/relaxation to occur, enabling muscle movement in a specific part even if the wearer does not move. For example, a frequency of 50 Hz or higher may be used for muscle contraction, and a frequency of 100 Hz or higher may be used for muscle relaxation.

이때, 전기신호는 전기신호의 발생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300)에서 생성되어 EMS 수트(200)의 전기신호 수신부(220)가 이를 수신하며, 전기신호 수신부(220)부터 EMS 수트(200) 상에 연결된 신축성 전선(230)을 통해 각 전극패드(210)에 전달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electrical signal is generated in the control box 300 that controls the generation of the electrical signal, and the electrical signal receiving unit 220 of the EMS suit 200 receives it, and from the electrical signal receiving unit 220 to the EMS suit 200 It is transmitted to each electrode pad 210 through the stretchable wire 230 connected to .

이때, 신축성 전선(230)은 각 전극패드(210)에 전기신호를 잘 전달하면서도 EMS 수트(200)의 착용 및 트레이닝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EMS 수트(200) 상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되어 배치되어야 한다. At this time, the flexible wire 230 should be fixed and plac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on the EMS suit 20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wearing and training of the EMS suit 200 while well transmitting electrical signals to each electrode pad 210.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EMS 수트(200) 상에서 신축성 전선(230)이 배치될 자리에 터널(240)을 배치시키고, 터널(240)에 각 신축성 전선(230)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하여, 신축성 전선(230)을 EMS 수트(200)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3, a tunnel 240 is placed on the EMS suit 200 where the flexible wire 230 is to be placed, and each flexible wire 230 can pass through the tunnel 240. By doing so, the flexible wire 230 can be fixed on the EMS suit 200.

신축성 전선(230)을 통과시키기 위한 터널(240)은 EMS 수트(200)를 자체적으로 봉재시켜 생성되거나, 별도의 섬유원단을 EMS 수트(200) 상에 봉재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특히, EMS 수트(200) 상에서 전기신호 수신부(220)에 근접하여 다수의 신축성 전선(230)이 배치되는 부위(41)는 효율적이면서도 안정적인 터널(240)의 제공이 필요하게 된다. The tunnel 240 for passing the elastic wire 230 may be formed by sewing the EMS suit 200 itself, or may be formed by sewing a separate fiber fabric on the EMS suit 200. In particular, the EMS suit An efficient and stable tunnel 240 needs to be provided on the portion 41 on the 200, close to the electrical signal receiver 220, where the plurality of elastic wires 230 are disposed.

또한, 운동 중에 컨트롤 박스(300))는 1차적으로 컨트롤 박스(300) 및 전기신호 수신부(220)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마그네틱 전도체(미도시)를 통해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during exercise, the control box 300 may transmit electrical signals primarily through a plurality of magnetic conductors (not shown) disposed in the control box 300 and the electrical signal receiver 220 respectively.

즉, 컨트롤 박스(300)는 우선적으로 복수의 마그네틱 전도체를 통해 전기신호 수신부(220)로 전기신호를 전달하되, 격한 운동 등으로 일부 마그네틱 전도체(101)가 서로 이격되는 경우, 별도의 포고핀(미도시)을 통해 전기신호를 전달하여 이격에 따른 전기신호의 끊김을 보완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box 300 first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to the electrical signal receiver 220 through a plurality of magnetic conductors, but when some magnetic conductors 10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due to violent motion, a separate pogo pin (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for the disconnection of the electrical signal due to separation by transmitting the electrical signal through (not show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의복은 상체 및 하체에 각각 착용될 수 있도록 상하로 분리형일 수 있다.이로써, 착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의복을 착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thes may be separat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so that they can be worn on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wearer can wear the clothes more easi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선부는 상기 의복에 대하여 프린팅 공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전선부가 보다 용이하게 의복의 내피 상에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portion may be formed through a printing process with respect to the garment. As a result, the wire portion can be more easily formed on the inner skin of the garmen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EMS 수트는 그 설계가 용이하며, EMS 수트의 각 부위에 부착된 전극패드에 전기신호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The EMS sui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design and can stably and efficiently transmit electrical signals to electrode pads attached to each part of the EMS suit.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Meanwhile,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230: 신축성 전선 200: EMS 수트
210: 전극패드 220: 전기신호 수신부
240: 터널 300 : 컨트롤 박스
100, 230: elastic wire 200: EMS suit
210: electrode pad 220: electrical signal receiver
240: tunnel 300: control box

Claims (8)

전기 전도성을 갖는 철을 포함하는 전사;
상기 전사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며, 전기 절연성을 갖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며, 신축성 및 전기 절연성을 모두 갖는 폴리에스테르층을 포함하는 EMS 수트용 신축성 전선.
transfer containing iron with electrical conductivity;
an insulating layer provided to surround the transfer and having electrical insulating properties; and
An elastic wire for an EMS suit including a polyester layer provided to surround the insulating layer and having both elasticity and electrical insul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절연층 및 폴리에스테르층을 포함하는 코어셀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전선.
According to claim 1,
A flexible wir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re cell structure including the transfer, insulating layer and polyester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그래핀 또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신축성 전선.The flexible wi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sulating layer comprises graphene or silic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는 인발 공정, 상기 절연층은 압출 공정, 상기 폴리에스테르층은 직조 공정을 통하여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전선.The flexible wi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fer is formed through a drawing process, the insulating layer is formed through an extrusion process, and the polyester layer is formed through a weaving process. EMS(Electronic Muscle Stimulation) 수트에 있어서,
인체에 착용되는 의복의 내피에 형성된 전극 패드;
상기 전극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전기신호를 인가받는 전기신호 수신부; 및
상기 전기신호 수신부에 수신된 전기신호를 상기 복수의 전극패드에 각각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신축성 전선으로 이루어진 전선부를 포함하는 EMS 수트.
In the EMS (Electronic Muscle Stimulation) suit,
Electrode pads formed on the inner skin of clothing worn on the human body;
an electrical signal receiv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pad and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outside; and
An EMS suit comprising a wire portion provided to transmit the electrical signal received by the electrical signal receiving unit to the plurality of electrode pads, respectively, and comprising a wire portion made of the flexible wi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은 상체 및 하체에 각각 착용될 수 있도록 상하로 분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S 수트.6. The EMS suit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clothes are separat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so that they can be worn o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bod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드는, 상기 인체의 근육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S 수트.The EMS suit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electrode pad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muscle of the human bod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부는 상기 의복에 대하여 프린팅 공정을 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MS 수트.The EMS suit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wire part is formed through a printing process with respect to the clothes.
KR1020220017755A 2022-02-10 2022-02-10 Expandable electric wire and ems suit using the same KR2023012091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755A KR20230120913A (en) 2022-02-10 2022-02-10 Expandable electric wire and ems suit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755A KR20230120913A (en) 2022-02-10 2022-02-10 Expandable electric wire and ems suit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913A true KR20230120913A (en) 2023-08-17

Family

ID=87800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755A KR20230120913A (en) 2022-02-10 2022-02-10 Expandable electric wire and ems suit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091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3835B2 (en) Biological electrode and biological electrode-equipped wearing tool
EP2165733B1 (en) Wear for electrically stimulating muscles
KR101775512B1 (en) Health improvement apparatus for muscle training and diet using electrical stimulation
US11305107B2 (en) EMS garment
KR20160090114A (en) Clothes maximizing the momentum
US20170216592A1 (en) Electrostimulation apparatus
KR20230120913A (en) Expandable electric wire and ems suit using the same
CN213407473U (en) Intelligent undershirt of little current physiotherapy
KR200409147Y1 (en) The Low Frequency Suit
KR102207246B1 (en) Sportswear capable of providing electrical stimuls
KR20180032457A (en) Functional wear for electrical stimulation
TW201722390A (en) Wearable electronic pelvic belt for electric stimulation on pelvic floor muscle and uterus in non-invasive manner to effectively treat pelvic problems
KR102304175B1 (en) Expandable electric wire and ems suit and system using the same
CN115317352A (en) Wearable electronic physiotherapy garment and physiotherapy method
CN209529910U (en) A kind of ergonomics training clothes and training dress system based on muscle electric stimulation
KR20210153946A (en) Expandable electric wire and ems suit and system using the same
US20220168561A1 (en) Sportswear capable of providing electrical stimulation
KR102498705B1 (en) DEVICE FOR Electric Muscle Stimulation
KR20220064169A (en) Expandable electric wire and ems suit and system using the same
CN211158144U (en) Electric pulse training clothes
KR102013900B1 (en) Functional wear with adhesive pattern minimizing cut off of power supply
CN112316305A (en) EMS body-shaping and body-building intelligent wearable gar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14903870U (en) Anti-oxidation metallized silver fiber fabric garment
TWM583297U (en) A cloth structure for providing a massage function
CN210112644U (en) Low-frequency pulse training suit with non-contact swi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