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7731A -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내역 확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내역 확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7731A
KR20210117731A KR1020200034342A KR20200034342A KR20210117731A KR 20210117731 A KR20210117731 A KR 20210117731A KR 1020200034342 A KR1020200034342 A KR 1020200034342A KR 20200034342 A KR20200034342 A KR 20200034342A KR 20210117731 A KR20210117731 A KR 20210117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hain
digital
block
transaction details
pass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4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6783B1 (ko
Inventor
지송학
Original Assignee
지송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송학 filed Critical 지송학
Priority to KR1020200034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6783B1/ko
Publication of KR20210117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7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3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with the personal data of a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involving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06Q20/40145Biometric identity che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47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digital signa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56Financial cryptography, e.g. electronic payment or e-cas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내역 확인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내역 확인 시스템은, 거래내역 확인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상기 거래내역 확인 프로그램을 통한 거래내역이 포함된 제1 블록체인을 저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상기 거래내역 확인 프로그램에 저장된 상기 거래내역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전체 거래내역을 포함하는 제2 블록체인을 저장하는 전체 데이터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록체인은 상기 전체 데이터 서버를 통해 발생되는 전체 거래내역을 기록한 블록들의 연결 구조이고, 상기 제1 블록체인은 상기 제2 블록체인의 블록들 중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사용자에 관한 거래내역을 기록한 블록들만이 선택되어 연결된 구조이고, 상기 제1 블록체인 및 상기 제2 블록체인에 포함된 블록들은 이전 블록 해시 값과 특정 사용자 노드를 기준으로 한 이전 블록 해시 값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블록체인은 상기 특정 사용자 노드를 기준으로 한 이전 블록 해시 값의 연결을 통해 블록체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블록 체인은 상기 이전 블록 해시 값의 연결을 통해 블록체인을 형성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내역 확인 시스템{The blockchain-based transaction history confirmation system}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내역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블록체인 구조와 같이 바로 앞에 연결된 블록에 대한 해시 값뿐만 아니라, 특정 사용자 노드의 거래내역과 관련된 이전 블록에 대한 해시 값(또는 블록 높이 정보)을 포함하는 블록들로만 구성된 블록체인 구조를 포함하는 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Block chain)은 공공 거래 장부라고도 부르며 암호 화폐로 거래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해킹을 막는 기술이다. 기존 금융 회사의 경우 중앙 집중형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하는 반면, 블록체인은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거래내역을 보내 주며 거래 때마다 이를 대조해 데이터 위조를 막는 방식을 사용한다. 블록체인은 대표적인 온라인 암호 화폐인 비트코인에 적용되어 있다. 비트코인은 누구나 열람할 수 있는 장부에 거래내역을 투명하게 기록하며, 비트코인을 사용하는 여러 컴퓨터가 10분에 한 번씩 이 기록을 검증하여 해킹을 막는다.
한편, 블록체인은 클라우드 기술 및 P2P 기술에 기반된 데이터의 기록 기술로서 누구나가 데이터의 저장 및 관리의 주체가 되어 동일한 정보를 각각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체인의 "블록"은 데이터 저장 단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파일 시스템의 블록이 디스크에서 하나의 파일이 할당될 수 있는 최소의 공간이라는 의미와 차이가 있다. 블록체인 기술은 블록의 저장 주체인 노드들간에 동일 데이터가 저장된 블록의 기록을 동기화하므로 백업을 제공한다.
한국 등록특허 10-1962285 (공개일자 2019년 3월 26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은행 시스템에는 은행 전체 고객의 거래내역을 포함하는 블록들로 기본 블록체인을 형성하여 저장하면서, 각각의 특정 고객에게 전달하는 정보는 해당 고객의 거래내역만 유효한 거래내역으로 저장하고 나머지 다른 고객의 거래내역과 블록을 검증할 때 사용하는 내역은 해시 값으로 저장한 블록들로 블록체인을 형성하여 특정 고객에게 전달함으로써 고객의 프라이버시도 보호하면서 저장되는 블록체인 데이터의 크기도 최소화할 수 있는 금융거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은행 시스템뿐만 아니라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에서도 적용될 수 있으며, 신용카드사의 전체 거래내역을 포함하는 블록들로 기본 블록체인을 형성하여 저장하면서, 다른 사용자들(다수의 사용자)인 고객, 가맹점, 중계자 노드에는 각 사용자별 블록체인이 저장되는 거래내역 확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과제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내역 확인 시스템은, 디지털통장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상기 디지털통장 프로그램을 통한 금융거래내역이 포함된 제1 블록체인을 저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상기 디지털통장 프로그램에 저장된 상기 금융거래내역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전체 금융거래내역을 포함하는 제2 블록체인을 저장하는 은행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록체인은 상기 은행 서버를 통해 발생되는 전체 금융거래내역을 기록한 블록들의 연결 구조이고, 상기 제1 블록체인은 상기 제2 블록체인의 블록들 중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사용자에 관한 금융거래내역을 기록한 블록들만이 선택되어 연결된 구조이고, 상기 제1 블록체인 및 상기 제2 블록체인에 포함된 블록들은 이전 블록 해시 값(410)과 특정 사용자 노드를 기준으로 한 이전 블록 해시 값(420)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블록체인은 상기 특정 사용자 노드를 기준으로 한 이전 블록 해시 값(420)의 연결을 통해 블록체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블록 체인은 상기 이전 블록 해시 값(410)의 연결을 통해 블록체인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블록체인에 포함된 블록들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사용자에 관한 금융거래내역은 유효한 거래내역으로 저장하고, 나머지 다른 금융거래내역과 블록 검증에 사용되는 내역은 해시 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내역 확인 시스템은, 디지털통장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상기 디지털통장 정보에 관한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디지털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디지털통장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디지털통장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상기 디지털통장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은행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디지털통장을 통한 금융거래내역이 포함된 블록체인을 저장하고, 상기 은행 서버는 상기 디지털 신호로부터 상기 디지털통장의 계좌정보와 상기 블록체인의 마지막 블록 해시 값과 현재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통장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디지털통장의 유효성을 검증 가능하고, 상기 은행 서버는 상기 디지털통장이 설치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인증코드를 발송한 후 상기 인증코드에 대응하는 응답을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유효성을 검증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디지털 신호는 QR코드 또는 NFC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은행 서버는, 상기 디지털통장의 유효성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유효성을 검증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사용자에 관한 금융거래내역을 기록한 블록들만으로 구성된 상기 블록체인을 형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내역 확인 시스템은, 디지털 확인서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상기 디지털 확인서 프로그램을 통해 확인 가능한 거래내역을 포함하는 제1 블록체인을 저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상기 디지털 확인서 프로그램에 저장된 상기 거래내역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전체 거래내역을 포함하는 제2 블록체인을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록체인은 전체 거래내역을 기록한 블록들의 연결 구조이고, 상기 제1 블록체인은 상기 제2 블록체인의 블록들 중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사용자에 관한 거래내역을 기록한 블록들만이 선택되어 연결된 구조이고, 상기 제1 블록체인 및 상기 제2 블록체인에 포함된 블록들은 이전 블록 해시 값(410)과 특정 사용자 노드를 기준으로 한 이전 블록 해시 값(420)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블록체인은 상기 특정 사용자 노드를 기준으로 한 이전 블록 해시 값(420)의 연결을 통해 블록체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블록 체인은 상기 이전 블록 해시 값(410)의 연결을 통해 블록체인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블록체인에 포함된 블록들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사용자에 관한 거래내역은 유효한 거래내역으로 저장하고, 나머지 다른 거래내역과 블록 검증에 사용되는 내역은 해시 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내역 확인 시스템은, 신용카드 결제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상기 신용카드 결제 프로그램을 통해 확인 가능한 거래내역을 포함하는 제1 블록체인을 저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상기 신용카드 결제 프로그램에 저장된 상기 거래내역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전체 거래내역을 포함하는 제2 블록체인을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록체인은 전체 거래내역을 기록한 블록들의 연결 구조이고, 상기 제1 블록체인은 상기 제2 블록체인의 블록들 중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사용자에 관한 거래내역을 기록한 블록들만이 선택되어 연결된 구조이고, 상기 제1 블록체인 및 상기 제2 블록체인에 포함된 블록들은 이전 블록 해시 값(410)과 특정 사용자 노드를 기준으로 한 이전 블록 해시 값(420)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블록체인은 상기 특정 사용자 노드를 기준으로 한 이전 블록 해시 값(420)의 연결을 통해 블록체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블록 체인은 상기 이전 블록 해시 값(410)의 연결을 통해 블록체인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블록체인에 포함된 블록들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사용자에 관한 거래내역은 유효한 거래내역으로 저장하고, 나머지 다른 거래내역과 블록 검증에 사용되는 내역은 해시 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블록체인 시스템과 달리 각각의 사용자 노드는 자신이 관여한 거래내역을 포함하는 블록들만을 자신의 노드에 저장함으로써 거래에 관한 고객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 저장되는 블록체인 데이터의 크기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노드는 자신이 관여한 거래내역을 포함하는 블록들만을 새로운 블록체인 구조로 형성하여 저장함으로써 데이터 저장 공간을 줄여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기기에 대한 이중의 검증 과정을 거쳐 거래에 관한 해킹이나 도용과 같은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분산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블록의 연결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거래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와 도 6은 기존의 블록체인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블록체인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의 사용자별 맞춤 블록 생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의 디지털통장과 은행 서버의 데이터 비교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통장 발행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거래 시스템 내에서의 거래내역 정보를 기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거래 시스템에서 디지털통장을 사용하여 은행 거래를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거래내역 확인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융거래 시스템에 적용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통장의 개념을 설명하면, 기존의 블록체인 구조와 다른 새로운 블록체인 구조를 이용하되 특정 사용자 노드와 관련된 거래내역을 블록체인 데이터로 구성하여 디지털기기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이용해 은행 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개념의 통장을 의미한다. 즉, 디지털통장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은행 거래를 위해 사용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통장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이하에서는 편의상 "디지털통장"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기존에는 은행 서버에만 디지털 금융거래 데이터를 갖고 있고, 고객은 디지털 금융거래 데이터 자체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정보의 불균형이 발생하였고, 데이터의 독점화가 이루어 졌다. 다만, 블록체인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터넷 뱅킹을 이용하여 은행 거래를 하는 고객이라도 거래내역이 기록된 금융거래 데이터를 고객 자신의 노드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는 은행과 고객 간의 신뢰의 균형을 위해 필요하다.
또한, 기존에 은행 거래에 사용되는 통장은 종이로 된 통장이며, 통장이 갖는 중요성 때문에 통장을 만드는 종이는 일반 종이를 사용하지 않고 그에 맞는 특수 종이를 사용하고 있으며, 통장의 진위 여부와 계좌번호 확인을 위한 마그네틱 장치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종이 통장 1개를 만들기 위해서는 상당한 제작 비용이 소모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이 통장을 대체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기도 하다.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면, 통장의 거래내역을 블록체인으로 구성된 데이터 구조로 바꾸고 이를 디지털기기에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블록체인 구조로는 이러한 데이터 구조의 디지털통장을 만들 수 없다. 기존의 블록체인 구조가 모든 블록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기존의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탈중앙화 시스템은 모든 노드가 모든 블록체인 데이터를 똑같이 공유하도록 만들어졌다. 그런데 금융거래에 이용되는 통장이라는 것이 그 자체로 모든 고객의 데이터를 똑같이 공유할 수 없는 것이며, 공유해서도 안 된다. 또한, 은행에서 이루어지는 거래의 양은 시간이 갈수록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며, 아무리 디지털기기의 저장 공간이 크다고 하더라도 저장 공간에 한계가 있고, 은행 전체를 기준으로 1건이라도 거래가 발생하여 거래가 발생할 때마다 블록에 포함된 거래내역을 계속해서 업데이트한다면, 과도한 네트워크 트래픽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은행 전체 고객을 대상으로 이루어진다면 전체 네트워크 트래픽은 지나치게 과도하게 발행될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블록체인 구조로는 금융거래내역을 분산 데이터화하여 디지털기기에 저장한다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새로운 블록체인 구조를 제안하여 고객 자신만의 거래내역을 블록체인 데이터로 구성하여 디지털기기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이용하여 기존의 통장으로 은행 거래를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은행 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금융거래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 앞서, 블록체인을 이용한 분산 처리 시스템(탈중앙화 시스템)의 개념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분산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블록체인을 이용한 분산 처리 시스템(100)은 복수의 노드들(110-170)로 이루어진 분산형 네트워크(distributed network) 시스템이다. 상기 분산 처리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노드들(110-170)은 컴퓨터, 이동 단말기, 전용 전자 장치 등 연산 능력이 있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분산 처리 시스템(100)은 블록체인(block chain)이라 불리는 블록(block)의 연결 묶음 내에 모든 참여 노드에 공통으로 알려진 정보를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노드들(110-170)은 상호간 통신이 가능하며 블록체인을 저장, 관리 및 전파를 담당하는 완전 노드(full node)와 단순하게 트랜잭션에만 참여할 수 있는 간이 노드(light node)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별다른 설명 없이 노드에 대하여 언급되는 경우, 이는 분산 처리 시스템(100)의 분산형 네트워크에 참여하며 블록체인을 생성, 저장 또는 검증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완전 노드를 지칭하는 경우가 많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블록체인에 연결되어 있는 각 블록(block)들은 일정 기간 내의 거래내역, 즉 트랜잭션(transaction)들을 포함한다. 상기 노드들(110-170)은 각각 역할에 따라 블록체인을 생성, 저장 또는 검증함으로써 트랜잭션들을 관리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트랜잭션은 다양한 형태의 거래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랜잭션은 은행 거래를 통해 발생하는 금전의 소유 상태 및 그 변동을 나타내기 위한 금융거래내역에 해당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트랜잭션은 물건의 소유 상태 및 그 변동을 나타내기 위한 실물거래내역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분산 처리 시스템(100)에서 거래를 수행하는 노드들은 각각의 암호학적 연관관계가 있는 개인키(private key) 및 공개키(public key) 쌍을 가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블록의 연결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블록체인(200)은 순차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블록들(210, 220, 230)의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일종이다. 상기 블록체인(200)은 블록체인 시스템 내 사용자의 거래내역을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의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각 노드가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200)에 연결한다. 도 2에는 제한된 수의 블록들(210, 220, 230)이 도시되어 있으나 블록체인에 포함될 수 있는 블록의 수는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기 블록체인(200)에 포함된 각 블록은 블록 헤더(211)와 블록 바디(213)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록 헤더(211)는 각 블록들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기 위하여 이전 블록(220)의 해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200)이 유효한지 검증하는 과정에서 상기 블록 헤더(211) 내의 연결 관계가 사용된다. 상기 블록 바디(213)는 상기 블록(210)에 저장되고 관리되는 데이터, 예를 들어 트랜잭션 리스트 또는 트랜잭션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블록 헤더(211)는 이전 블록의 해시(2112), 현재 블록의 해시(2113), 넌스(Nonce)(21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 헤더(211)는 블록 내의 트랜잭션 리스트의 헤더를 나타내는 루트 해시(2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체인(200)은 연결된 하나 이상의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블록들은 상기 블록 헤더(211) 내의 해시 값에 기초하여 연결된다. 상기 블록 헤더(211)에 포함된 이전 블록의 해시 값(2112)은 직전 블록(220)에 대한 해시 값으로서 직전 블록(220)에 포함된 현재 해시(2213)와 동일한 값이다. 상기 하나 이상의 블록들은 각 블록 헤더 내의 이전 블록의 해시 값에 의하여 연쇄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분산형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노드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블록들에 포함된 이전 블록의 해시 값에 기반하여 블록의 유효성을 검증하므로 악의적인 단일 노드가 이미 생성된 블록의 내용을 위조 또는 변조하는 행위가 불가능하다.
상기 블록 바디(213)는 트랜잭션 리스트(2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랜잭션 리스트(2131)는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의 목록이다. 예를 들면, 상기 트랜잭션 리스트(2131)는 상기 블록체인 기반의 금융 시스템에서 이루어진 금융 거래에 대한 기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랜잭션 리스트(2131)는 트리(tree) 형태로 표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사용자 B에게 전송한 금액을 목록 형태로 기록하며, 블록 내의 저장 길이는 현재 블록에 포함된 트랜잭션의 수에 기초하여 증감될 수 있다.
그리고, 블록(210)은 블록 헤더(211)와 블록 바디(213)에 포함된 정보 이외의 기타 정보(2116)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산형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노드들은 동일한 블록체인을 가지며, 블록에는 동일한 트랜잭션이 저장된다. 트랜잭션 목록이 포함된 블록이 네트워크에 공유되므로 모든 참여자가 검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거래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금융거래 시스템(300)에서 이용되는 디지털통장(320)은 통신이 가능하며 일정한 저장 공간이 확보된 디지털기기(즉, 사용자 단말)(310)에 설치될 수 있다.
디지털기기(310)에 저장되는 디지털통장(320)의 금융거래내역은 은행 서버(350)에 저장하고 있는 금융거래내역과 일치해야 한다. 통장이 갖는 기본 목적이 고객과 은행이 동일한 거래내역을 갖고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 은행 거래가 발생하면 고객과 은행은 똑같이 그 거래내역에 대해 고객은 디지털통장(320)에, 은행은 은행 서버(35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면 된다. 이렇게 하면 양쪽이 동일한 거래내역을 저장하게 되기 때문에 통장의 기본 기능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거래내역은 항상 고객의 디지털통장(320) 내역과 은행 서버(35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내용이 동일함을 보장해야 한다.
은행 서버(35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내용은 철저한 데이터 관리와 보안에 의해 정보가 잘못될 가능성이 낮으나, 고객의 디지털통장(320)에 저장된 내용은, 전송된 거래내역을 받지 못하거나 저장중인 거래내역 중 일부가 지워지거나 고객이 저장 내역을 수정하여 정보가 잘못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고객이 디지털기기(310)에 저장하고 있는 디지털통장(320)의 내용은 유효한 데이터인지를 확인할 필요성이 있다.
이때, 고객의 은행 거래내역이 적다면 각 거래내역을 은행 서버(35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내역과 일일이 비교하면 된다. 그러나, 고객의 거래내역이 몇 천, 몇 만건 이상이 된다면 은행 서버(350)의 데이터베이스 내역과 비교하는 것이 복잡해지며, 그러한 고객이 수천, 수만 명 이상이라면 매번 이러한 작업을 한다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분산된 데이터의 일치 여부를 가장 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블록체인 데이터 구조가 필요하다.
블록체인 데이터 구조는 마지막 블록의 데이터만 동일하면 앞에 있는 모든 데이터가 동일한 데이터임을 신뢰하는 데이터 구조이다. 따라서, 수천 건, 수만 건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마지막 블록의 데이터만 확인하면 모든 데이터를 확인하는 것과 같기 때문에 디지털통장(320)의 유효성 여부도 블록체인 구조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블록체인 구조는 모든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연결한 구조이고, 모든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모든 블록체인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디지털통장(320)은 사적인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저장 역시도 개인의 디지털기기(310)에 저장하는 것이기 때문에 모든 블록체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디지털통장(320)에서 이용하는 블록체인 구조는 특정한 고객의 금융거래내역만으로 형성된 블록들간의 체인 구조를 사용해야 한다.
이렇게 되면 특정한 고객의 거래내역만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저장될 데이터의 양은 전체 데이터의 양에 비해 매우 적어질 뿐만 아니라, 저장하는 데이터가 자신의 것이기 때문에 자신의 디지털기기(310)에 데이터를 보관하는 것에 대해 사용자의 거부감도 없어진다.
다만, 블록체인 구조라는 것이 거래내역 즉 트랜잭션 단위로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트랜잭션의 모음으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하나 하나의 거래내역을 따로 떼어내서 저장할 수는 없고, 해당 고객의 거래내역이 포함된 블록 단위로 저장하여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블록체인 구조는 특정 고객의 블록만을 가지고 블록체인 구조를 형성할 수 없다. 블록체인의 연결은 모든 블록들의 순차적 연결이기 때문이다.
도 5와 도 6은 기존의 블록체인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블록체인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의 사용자별 맞춤 블록 생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의 디지털통장과 은행 서버의 데이터 비교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기존의 블록체인 연결 구조는 이전 블록의 데이터에 대한 해시 값을 현재 블록의 헤더에 저장함으로써 이전 블록에 대한 신뢰 연결을 현재 블록이 검증해주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블록체인의 앞뒤 블록간의 해시 연결은 기존 블록체인 구조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요소이다. 하지만, 이러한 단일 연결의 블록체인 구조 때문에 신뢰할 수 있는 블록체인 데이터를 위해서는 모든 사용자 노드가 각각 전체 블록체인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바로 앞뒤의 블록의 연결이 아니면 블록 간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기존의 블록체인 구조에서는 단지 블록 순서에 의해서만 신뢰성 있는 데이터가 연결될 수 있다. 이는 블록 내의 데이터 간의 연관성에 관한 연결이 아니다.
블록체인이라는 전체 시스템의 관점에서 보면 모든 블록을 신뢰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블록 순서에 의해 데이터 연결관계를 정의하는 것이 타당할 수 있으나, 각각의 사용자 노드 입장에서 보면 자신의 거래내역 데이터만 가지면 되고 이에 대한 신뢰성만 확인되면 전체 블록체인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에는 문제가 없다. 즉, 각 사용자 노드는 자신의 거래내역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굳이 다른 블록체인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블록체인 구조에서는 바로 앞 순서에 있는 블록에 대한 해시 값(410)뿐만 아니라 특정 사용자 노드에 관련된 이전 블록에 대한 해시 값(또는 블록 높이 정보)(420)을 포함하고 있어 특정 사용자 노드를 기준으로 블록들을 연결할 수 있는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구조를 통해 각 고객별로 고객의 금융거래내역이 포함된 블록만으로 이루어진 블록체인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만약, A 사용자 노드가 연관되어 있는 블록이 각각 '#283', '#316', '#782', '#905'라고 한다면, 각 블록 간에 해시 값(또는 블록 높이 정보)(420)을 연결하여 바로 앞뒤 블록 순서가 아니더라도 블록 간의 데이터 연결이 가능하다.
A 사용자 노드의 경우 자신이 연관되어 필요한 금융거래 데이터가 상기 4개의 블록에 모두 존재한다면, 그에 대한 신뢰성이 확보된다면 굳이 다른 블록체인 데이터까지 저장하고 있을 필요가 없다. 이는 불필요한 저장 공간의 낭비를 방지하면서 블록체인 기술의 고유 특성인 신뢰성 확보까지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A 사용자 노드에 저장된 블록들의 내부에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각 블록 간에 해시 값(또는 블록 높이 정보)(420)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A 사용자 노드 자신의 블록체인 데이터만 저장하게 된다면 블록체인 전체 데이터 저장으로 인해 문제가 되는 대용량의 저장 공간 확보 없이도 모든 사용자 노드에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디지털통장(320)으로서 사적인 금융거래정보에 대한 프라이버시도 보호할 수 있다.
블록체인 시스템의 안전성 및 신뢰성은 다수의 노드가 동일한 블록체인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기 때문에 확보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적용에 있어서도 하나의 사용자 노드에 저장되는 블록에는 자신의 데이터만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용자 노드와 관련된 데이터도 함께 저장된다. 따라서, 각 사용자 노드는 자신과 연관된 블록만 선택적으로 저장한다고 하더라도 해당 블록은 블록에 관련된 모든 사용자 노드에 동시에 분산 저장되게 된다.
블록체인 구조에서 블록에는 특정 사용자의 거래내역만 저장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용자의 거래내역까지 함께 저장되어 있다. 그런데 디지털통장(320)은 자신의 거래내역을 저장하는 것이지 다른 고객의 거래내역까지 저장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다른 고객의 거래내역을 가지고 있을 필요가 없으며, 가지고 있어서도 안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금융거래 시스템(300)에서는 은행 전체 고객의 거래내역을 모은 기본 블록을 형성할 때는 모든 고객의 거래내역을 포함한 블록을 형성하지만, 이를 각 고객별 사용자 노드로 전달할 때는 각 고객별 맞춤 블록으로 만들어 전송한다.
도 9에는 각 고객별 맞춤 블록 생성에 관해 나타나 있으며, 고객(사용자)별 맞춤 블록은 해당 고객의 거래내역만 유효한 거래내역으로 저장하고, 나머지 다른 고객의 거래내역과 블록을 검증할 때 사용하는 내역은 해시 값으로 저장함으로써 고객 프라이버시도 보호하면서, 저장되는 블록 데이터의 크기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각 고객별 블록체인 구조를 형성하게 되면 디지털기기(310) 내에 저장되어 있는 거래내역의 유효성을 자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디지털통장(320)에 저장되어 있는 고객의 마지막 블록의 해시 값만 은행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블록의 해시 값과 비교하면 고객의 디지털통장(320)과 은행 서버(350)의 데이터베이스 내역이 동일함을 확인할 수 있다(도 10 참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거래 시스템을 통해 금융거래가 발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통장 발행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거래 시스템 내에서의 거래내역 정보를 기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통장(320) 발행 절차가 나타나 있으며, 디지털통장(320)도 통장의 한 종류이기 때문에 발행 역시도 은행 창구에서 이루어지거나 온라인 신원증명을 통한 비대면 방식으로 발행될 수 있다. 디지털통장(320) 발행이 은행 창구에서 이루어지는 이유는 고객을 확인해야 할뿐만 아니라, 디지털통장(320)을 저장하는 디지털기기(310)가 유효한지 여부도 검증해야 하기 때문이다.
디지털기기(310)의 검증은 고객이 등록한 디지털통장 앱(프로그램)이 설치된 디지털기기(310)로 인증코드를 전송한 후, 그 인증코드를 디지털통장 확인 방식인 QR코드 또는 NFC 신호로 생성하여 이를 은행 시스템이 읽을 수 있는지 여부로 판단한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검증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은행 시스템에서는 디지털기기(310)에서 생성한 인증코드를 읽을 수 있으면 해당 디지털기기(310)는 디지털통장(320)을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는 기기이기 때문에 해당 디지털기기(310)를 등록하고 고객의 거래내역 블록체인 데이터를 해당 디지털기기(310)로 전송한다.
블록체인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면 디지털통장(320)이 사용 가능한지 여부를 고객 계좌번호와 마지막 블록 해시 값, 현재 시간 등으로 만들어진 디지털통장 검증 코드를 읽어 확인하고, 이를 통해 디지털통장 발급이 완료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금융거래 시스템 내에서의 거래내역 정보를 기록하는 과정이 나타나 있으며, 디지털통장(320)에 저장될 블록체인 데이터는 은행 거래(통장, ATM기, 인터넷 뱅킹 등)에서 생성된 거래내역을 기준으로 만들어진다.
은행 거래가 이루어지면 해당 거래내역은 최종적으로는 은행 서버(35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게 되는데, 이때 발생한 거래내역과 실제 은행 서버(35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 자료를 비교하여 유효한 거래내역에 대해서만 블록으로 만들어서 전체 블록체인 데이터에 포함시킨다.
은행 블록체인 시스템에 의해 새로운 블록이 추가되면 이를 기준으로 해당 블록 내에 있는 각 고객들에 대하여 고객별 맞춤 블록을 만들어 이를 각 고객의 디지털기기로 전송한다. 고객별 맞춤 블록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전송된 고객별 맞춤 블록이 해당 디지털기기(310)에 도착하면 디지털통장(320)은 새로운 거래내역이 전송되었다는 것을 알리고 고객은 디지털통장(320)을 열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블록이 도착하지 않더라도 고객의 거래내역은 항상 디지털통장(320)에 보관되어 있기 때문에 언제든지 열어서 통장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디지털통장(320)에 고객의 거래내역을 기록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했는데, 통장이라는 것이 단순히 거래내역만 기록하는 장부가 아니라, 실제 통장을 통해 은행 거래를 할 수 있어야 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거래 시스템(300)을 통해 은행 거래를 수행하는 절차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거래 시스템에서 디지털통장을 사용하여 은행 거래를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지털통장(320)은 디지털기기(310)에 보관되어 있는 데이터, 즉 소프트웨어이기 때문에 다른 디지털기기로 쉽게 복사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디지털통장(320)은 은행 앱처럼 어떤 디지털기기에서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 안되며, 발행 자체를 일련번호가 있는 인증된 디지털기기에 대해서만 발행하도록 해야 한다.
일례로 스마트폰의 경우, 각 스마트폰에는 기기번호가 있으며 이 기기번호와 전화번호가 연결되어 있어서 기지국에서 통화 신호를 보내면 해당 스마트폰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일련번호가 있는 인증된 디지털기기(310)에 디지털통장(320)을 발행함으로써 다른 고객의 디지털통장을 복사하여 새로운 디지털기기에 옮긴다 하더라도 이를 통해서는 은행 거래를 할 수 없도록 한다.
혹시 디지털기기(310)를 분실한 경우 누군가가 이 디지털기기를 습득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생체인식 기능이 있는 디지털기기(310)를 사용하도록 하여 디지털통장(320)을 열기 위해서는 생체인증을 받아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일련번호가 있는 인증된 디지털기기(310)에 발행된 디지털통장(320)으로 은행 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인증 단계를 거쳐야 한다.
우선, 디지털기기(310)로부터 디지털통장(320)의 정보를 읽어야 한다. 디지털기기(310)로부터 정보를 읽는 것은 크게 2가지 방법이 있다. 첫번째는 QR코드를 사용하는 것이고, 두번째는 NFC를 이용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디지털 신호를 만들어 읽을 수 있는 모든 방식에 대해 적용 가능하다.
QR코드를 사용하게 되면 디지털기기(310)의 화면에 디지털통장(320)에 대한 정보를 QR코드로 만들어 보이게 한 후, 이를 QR코드 리더기로 읽도록 함으로써 디지털통장의 정보를 읽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NFC 방식의 경우, 디지털기기(310)에서 디지털통장(320)에 대한 정보를 NFC 신호로 만들도록 하고 이를 NFC 신호를 받을 수 있는 곳에 디지털기기(310)를 근접시킴으로써 디지털통장(320)의 정보를 읽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이 방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디지털기기(310)가 NFC 신호를 생성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는 처음 디지털통장(320)을 개설할 때 NFC 신호를 만들 수 있는지 여부를 디지털통장 검증을 통해 확인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통장(320)에서는 QR코드 방식과 NFC 방식을 둘 다 사용할 수 있는데, 고객의 편의와 은행의 정책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각 고객의 디지털기기(310)에 따라 디지털통장 사용 방식이 정해지면, 디지털기기(310)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통장(320)의 계좌정보와 블록체인의 마지막 블록 해시 값, 그리고 현재의 시간 등을 조합한 QR코드 또는 NFC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디지털통장의 계좌가 맞는지, 디지털통장(320)에 저장된 거래내역이 은행 서버(350)의 데이터베이스 내역과 맞는지를 확인한다.
기본적으로 고객과 은행을 제외하면 해당 고객의 계좌정보와 마지막 해시 값을 동시에 알 수 없기 때문에 일단 이것만으로도 디지털통장(320)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앞서 언급했듯이 다른 고객의 디지털통장을 복사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처음에 디지털통장(320)을 발행한 디지털기기(310)인지를 확인하는 인증 단계를 한번 더 거치도록 한다.
일단 디지털통장(320)임이 확인되면, 처음에 그 디지털통장(320)을 발행할 때 등록되어 있던 디지털기기(310)로 해당 디지털통장(320)에 대한 인증코드를 보내고 이를 QR코드 또는 NFC 신호로 만들어 이를 다시 읽도록 하는 것이다.
만약 디지털통장(320)이 다른 디지털기기로 복사하여 사용된 것이라면 은행 서버에서 전송된 인증코드를 받을 수 없기 때문에 디지털통장의 사용을 허가 받기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은 2단계 인증 과정을 거치고 나면 디지털통장(320)을 통한 은행 거래가 가능하게 된다.
이후부터는 일반 종이통장을 사용하여 은행 거래를 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거래를 진행하면 되고 마지막에 통장 비밀번호를 입력함으로써 거래가 완료되게 된다.
거래가 완료되면 해당 거래내역에 대해 블록이 생성되며, 이 블록이 고객별 맞춤 블록으로 만들어져 해당 고객의 디지털통장으로 전송되어 디지털통장은 언제나 최신 거래내역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 새로운 블록의 해시 값은 차후의 은행 거래를 위한 디지털통장 검증 정보로 사용되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거래내역 확인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거래내역 확인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디지털 확인서 프로그램은, 통신이 가능하며 일정한 저장 공간이 확보된 디지털기기(즉, 사용자 단말)(310)에 설치될 수 있다.
디지털기기(310)에 저장되는 디지털 확인서 프로그램에 저장된 거래내역의 유효성은 서버를 통해 검증하고, 이에 관한 기록은 전체 블록체인 내에 기록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310)에 저장되는 블록체인은 고객(사용자)별 맞춤 블록들의 연결에 의한 블록체인을 저장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고객별 맞춤 블록은 해당 고객의 거래내역만 유효한 거래내역으로 저장하고, 나머지 다른 고객의 거래내역과 블록을 검증할 때 사용하는 내역은 해시 값으로 저장함으로써 고객 프라이버시도 보호하면서, 저장되는 블록 데이터의 크기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각 고객별 블록체인 구조를 형성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310) 내에 저장되어 있는 거래내역의 유효성을 자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디지털 확인서 프로그램에 저장되어 있는 고객의 마지막 블록의 해시 값만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블록의 해시 값과 비교하면 고객의 디지털 확인서 프로그램과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내역이 동일함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거래내역이란 예를 들어, 신용카드 청구 내역, 보험 약관이나 보험료 납부 내역, 의사의 진료기록, 제품 구매에 관한 환불 내역이나 A/S 내역 등 히스토리 기록이 필요한 어떠한 내역이라도 해당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거래내역 확인 시스템은 다양한 분야에 확장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신용카드 결제 프로그램은, 통신이 가능하며 일정한 저장 공간이 확보된 디지털기기(즉, 사용자 단말)(310)에 설치될 수 있다.
디지털기기(310)에 저장되는 신용카드 결제 프로그램에 저장된 거래내역의 유효성은 서버를 통해 검증하고, 이에 관한 기록은 전체 블록체인 내에 기록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310)에 저장되는 블록체인은 고객(사용자)별 맞춤 블록들의 연결에 의한 블록체인을 저장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고객별 맞춤 블록은 해당 고객의 거래내역만 유효한 거래내역으로 저장하고, 나머지 다른 고객의 거래내역과 블록을 검증할 때 사용하는 내역은 해시 값으로 저장함으로써 고객 프라이버시도 보호하면서, 저장되는 블록 데이터의 크기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각 고객별 블록체인 구조를 형성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310) 내에 저장되어 있는 거래내역의 유효성을 자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디지털 확인서 프로그램에 저장되어 있는 고객의 마지막 블록의 해시 값만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블록의 해시 값과 비교하면 고객의 디지털 확인서 프로그램과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내역이 동일함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분산 처리 시스템
200: 블록체인
300: 금융거래 시스템
310: 디지털기기
320: 디지털통장
350: 은행 서버
410: 이전 블록 해시 값
420: 특정 사용자 노드를 기준으로 한 이전 블록 해시 값

Claims (9)

  1. 디지털통장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상기 디지털통장 프로그램을 통한 금융거래내역이 포함된 제1 블록체인을 저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상기 디지털통장 프로그램에 저장된 상기 금융거래내역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전체 금융거래내역을 포함하는 제2 블록체인을 저장하는 은행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록체인은 상기 은행 서버를 통해 발생되는 전체 금융거래내역을 기록한 블록들의 연결 구조이고,
    상기 제1 블록체인은 상기 제2 블록체인의 블록들 중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사용자에 관한 금융거래내역을 기록한 블록들만이 선택되어 연결된 구조이고,
    상기 제1 블록체인 및 상기 제2 블록체인에 포함된 블록들은 이전 블록 해시 값(410)과 특정 사용자 노드를 기준으로 한 이전 블록 해시 값(420)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블록체인은 상기 특정 사용자 노드를 기준으로 한 이전 블록 해시 값(420)의 연결을 통해 블록체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블록 체인은 상기 이전 블록 해시 값(410)의 연결을 통해 블록체인을 형성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내역 확인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체인에 포함된 블록들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사용자에 관한 금융거래내역은 유효한 거래내역으로 저장하고, 나머지 다른 금융거래내역과 블록 검증에 사용되는 내역은 해시 값으로 저장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내역 확인 시스템.
  3. 디지털통장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상기 디지털통장 정보에 관한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디지털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디지털통장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디지털통장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상기 디지털통장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은행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디지털통장을 통한 금융거래내역이 포함된 블록체인을 저장하고,
    상기 은행 서버는 상기 디지털 신호로부터 상기 디지털통장의 계좌정보와 상기 블록체인의 마지막 블록 해시 값과 현재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통장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디지털통장의 유효성을 검증 가능하고,
    상기 은행 서버는 상기 디지털통장이 설치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인증코드를 발송한 후 상기 인증코드에 대응하는 응답을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유효성을 검증 가능한,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내역 확인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는 QR코드 또는 NFC 신호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내역 확인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은행 서버는,
    상기 디지털통장의 유효성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유효성을 검증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사용자에 관한 금융거래내역을 기록한 블록들만으로 구성된 상기 블록체인을 형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내역 확인 시스템.
  6. 디지털 확인서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상기 디지털 확인서 프로그램을 통해 확인 가능한 거래내역을 포함하는 제1 블록체인을 저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상기 디지털 확인서 프로그램에 저장된 상기 거래내역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전체 거래내역을 포함하는 제2 블록체인을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록체인은 전체 거래내역을 기록한 블록들의 연결 구조이고,
    상기 제1 블록체인은 상기 제2 블록체인의 블록들 중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사용자에 관한 거래내역을 기록한 블록들만이 선택되어 연결된 구조이고,
    상기 제1 블록체인 및 상기 제2 블록체인에 포함된 블록들은 이전 블록 해시 값(410)과 특정 사용자 노드를 기준으로 한 이전 블록 해시 값(420)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블록체인은 상기 특정 사용자 노드를 기준으로 한 이전 블록 해시 값(420)의 연결을 통해 블록체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블록 체인은 상기 이전 블록 해시 값(410)의 연결을 통해 블록체인을 형성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내역 확인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체인에 포함된 블록들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사용자에 관한 거래내역은 유효한 거래내역으로 저장하고, 나머지 다른 거래내역과 블록 검증에 사용되는 내역은 해시 값으로 저장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내역 확인 시스템.
  8. 신용카드 결제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상기 신용카드 결제 프로그램을 통해 확인 가능한 거래내역을 포함하는 제1 블록체인을 저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상기 신용카드 결제 프로그램에 저장된 상기 거래내역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전체 거래내역을 포함하는 제2 블록체인을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록체인은 전체 거래내역을 기록한 블록들의 연결 구조이고,
    상기 제1 블록체인은 상기 제2 블록체인의 블록들 중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사용자에 관한 거래내역을 기록한 블록들만이 선택되어 연결된 구조이고,
    상기 제1 블록체인 및 상기 제2 블록체인에 포함된 블록들은 이전 블록 해시 값(410)과 특정 사용자 노드를 기준으로 한 이전 블록 해시 값(420)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블록체인은 상기 특정 사용자 노드를 기준으로 한 이전 블록 해시 값(420)의 연결을 통해 블록체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블록 체인은 상기 이전 블록 해시 값(410)의 연결을 통해 블록체인을 형성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내역 확인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체인에 포함된 블록들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사용자에 관한 거래내역은 유효한 거래내역으로 저장하고, 나머지 다른 거래내역과 블록 검증에 사용되는 내역은 해시 값으로 저장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내역 확인 시스템.


KR1020200034342A 2020-03-20 2020-03-20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내역 확인 시스템 KR102376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342A KR102376783B1 (ko) 2020-03-20 2020-03-20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내역 확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342A KR102376783B1 (ko) 2020-03-20 2020-03-20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내역 확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731A true KR20210117731A (ko) 2021-09-29
KR102376783B1 KR102376783B1 (ko) 2022-03-18

Family

ID=77924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4342A KR102376783B1 (ko) 2020-03-20 2020-03-20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내역 확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67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49213A (zh) * 2021-11-15 2022-02-15 深圳前海鸿泰源兴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信息化金融数据分析系统与分析方法
CN116304876A (zh) * 2023-03-27 2023-06-23 烟台大学 一种基于区块链的工业互联网平台运行方法、系统和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1016A (ko) * 2014-02-24 2015-09-03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엔에프씨 기반 종단 간 상호 인증을 이용한 거래수단 제어 방법
KR101919586B1 (ko) * 2017-05-10 2018-11-16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기반의 사물 인터넷 기기에 대한 비용을 결제하는 방법, 이를 이용한 서버, 서비스 제공 단말, 및 사용자 전자 지갑
KR101962285B1 (ko) 2018-07-09 2019-03-26 주식회사 미탭스플러스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 식별 관리를 위한 분산 원장 장치 및 분산 원장 방법
KR20190124369A (ko) * 2018-04-26 2019-11-05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전자 거래를 위한 인덱싱 블록체인 시스템
KR20190133573A (ko) * 2018-05-23 2019-12-03 권형석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한 블록체인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1016A (ko) * 2014-02-24 2015-09-03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엔에프씨 기반 종단 간 상호 인증을 이용한 거래수단 제어 방법
KR101919586B1 (ko) * 2017-05-10 2018-11-16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기반의 사물 인터넷 기기에 대한 비용을 결제하는 방법, 이를 이용한 서버, 서비스 제공 단말, 및 사용자 전자 지갑
KR20190124369A (ko) * 2018-04-26 2019-11-05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전자 거래를 위한 인덱싱 블록체인 시스템
KR20190133573A (ko) * 2018-05-23 2019-12-03 권형석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한 블록체인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62285B1 (ko) 2018-07-09 2019-03-26 주식회사 미탭스플러스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 식별 관리를 위한 분산 원장 장치 및 분산 원장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49213A (zh) * 2021-11-15 2022-02-15 深圳前海鸿泰源兴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信息化金融数据分析系统与分析方法
CN116304876A (zh) * 2023-03-27 2023-06-23 烟台大学 一种基于区块链的工业互联网平台运行方法、系统和设备
CN116304876B (zh) * 2023-03-27 2024-01-23 烟台大学 一种基于区块链的工业互联网平台运行方法、系统和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6783B1 (ko) 2022-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89047B (zh) 区块链中母链与子链交易的方法及区块链网络
EP3740923B1 (en) Multi-approval system using m of n keys to generate a transaction address
KR102044751B1 (ko) 블록체인 기반 사용자 인증에 따른 보상을 제공하는 방법
US20170221053A1 (en) Digital asset conversion
US10535065B2 (en) Secure payment transactions based on the public bankcard ledger
CN111144862A (zh) 数字货币双离线支付的实现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
CN112037068B (zh) 资源转移方法、系统、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20170221022A1 (en) Information transaction infrastructure
US20200082388A1 (en) Authenticating server and method for transactions on blockchain
CN111260485A (zh) 一种基于区块链的互助式保险方法及设备、介质
US11769146B1 (en) Blockchain transactional identity verification
KR102376783B1 (ko)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내역 확인 시스템
KR102324155B1 (ko) 블록체인 기반의 p2p 대출 서비스 자율보증증명 방법 및 장치
KR20190132160A (ko)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제공 방법
US20210004791A1 (en) Guaranteeing server and method for transaction on blockchain
US20230084651A1 (en) Method, terminal, monitoring entity, and payment system for managing electronic coin datasets
CN113570369A (zh) 一种区块链隐私交易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3159940A (zh) 用于增强型比特币钱包的交易方法、系统及计算机设备
CN112418867A (zh) 基于区块链的分布式token支付方法
KR20210041980A (ko) Kyc 데이터와 생체인증정보를 보유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블록체인 개인키 생성 시스템
KR20210041984A (ko) Kyc 데이터와 생체인증정보를 보유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블록체인 개인키 생성 방법
KR20210014458A (ko) 블록체인 기반 통합인증 서비스 제공방법
US20240020692A1 (en) Payment redemption using non-fungible tokens
CN111144879B (zh) 一种基于ida的数字钱包初始化、使用方法及系统
US20230177500A1 (en) Method of conducting financial transa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