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7725A - 휴대용 마스크 살균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마스크 살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7725A
KR20210117725A KR1020200034330A KR20200034330A KR20210117725A KR 20210117725 A KR20210117725 A KR 20210117725A KR 1020200034330 A KR1020200034330 A KR 1020200034330A KR 20200034330 A KR20200034330 A KR 20200034330A KR 20210117725 A KR20210117725 A KR 20210117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cradle
sterilizer
portabl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4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민
김민석
황성민
Original Assignee
이경민
황성민
김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민, 황성민, 김민석 filed Critical 이경민
Priority to KR1020200034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7725A/ko
Publication of KR20210117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77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3Solid substances, e.g. granules, powders, blocks, tablets
    • A61L2/238Metals or alloys, e.g. oligodynamic metal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5/00Devices for storing or holding or carrying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8Aseptic sto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V 살균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마스크 보관 케이스를 통해, 사용 전/후의 마스크를 살균하여 재사용하거나 사용기한을 연장시킬 수 있는 휴대용 마스크 살균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일 측 단부를 중심으로 서로 회동 결합되어 개폐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한 쌍의 커버와; 일 측이 상기 커버의 회동 결합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고, 수납되는 마스크가 양면에 양분되어 안착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거치대는, 안착되는 마스크 표면에 살균용 광원을 조사하도록, 상기 거치대 표면에 구비되는 광조사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는 마스크의 내측면에 광이 조사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비말이 직접 접촉되는 마스크 내측면이 직접 살균되도록 하여 마스크의 사용기한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마스크 살균기 { Portable sterilizer for flu mask }
본 발명은 휴대용 마스크 살균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UV 살균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마스크 보관 케이스를 통해, 사용 전/후의 마스크를 살균하여 재사용하거나 사용기한을 연장시킬 수 있는 휴대용 마스크 살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mask)는 보건 위생상 병균, 먼지 등을 흡입 및 비산을 막기 위하여 코와 입을 가리는 물건을 말한다.
최근에는 미세먼지 및 유행성 플루가 빈번하게 발생됨에 따라 현대인에게 필수적인 제품으로 사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마스크는 필터 기능은 상당시간 유지되나, 사용자가 사용함에 따라 사용자의 호흡, 비말 등에 의해 마스크가 오염되고, 이 상태에서 시간이 지나면,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증식하여 오히려 사용자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된 마스크는 세균(바이러스)증식 우려성 때문에 기본적인 필터 기능이 유효하더라도 장시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98573호에서는 살균 기능을 수행하는 마스크를 보관하는 보관 케이스가 개발되어 제공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마스크의 세균 및 바이러스 증식 부분은 사용자의 코 또는 입이 밀착되는 부분이므로, 살균 대상 위치는 마스크 내측의 중심부분에 집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종래기술은 살균모듈이 상부 케이스 또는 하부 케이스에 설치되므로, 마스크의 외측면을 살균하므로, 살균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00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9857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마스크의 살균 위치를 오염 중심부위로 집중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동일한 발광모듈을 통해 살균 범위를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마스크 살균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 내부에서 마스크가 살균효율이 높은 형태로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하여, 마스크의 살균효율이 극대화되는 휴대용 마스크 살균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 측 단부를 중심으로 서로 회동 결합되어 개폐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한 쌍의 커버와; 일 측이 상기 커버의 회동 결합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고, 수납되는 마스크가 양면에 양분되어 안착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거치대는, 안착되는 마스크 표면에 살균용 광원을 조사하도록, 상기 거치대 표면에 구비되는 광조사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다.
이때, 상기 광조사모듈은, 상기 거치대 표면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UV LED들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광조사모듈은, 상기 거치대 측면 표면 및 전면 테두리 표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는, 상기 광조사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는, 충전 배터리 또는 건전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전원부에 충전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포트와; 상기 광조사모듈의 발광을 제어하는 스위치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거치대 측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형성되어, 안착되는 마스크 표면을 상기 거치대 표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거치대 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병렬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는,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는, 상기 거치대의 전면 단부에 돌출형성되되, 돌출단부가 완곡면으로 형성되어, 안착되는 마스트의 중앙부가 완곡면을 따라 절첩되어 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 곡면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곡면지지부 내측에는, 안착되는 마스크의 코 밀착용 금속 와이어가 부착되도록, 자력을 제공하는 자력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 또는 커버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되, 항균작용을 위한 동입자가 함유된 항균 동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마스크 살균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마스크의 내측면에 광이 조사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비말이 직접 접촉되는 마스크 내측면이 직접 살균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마스크가 발광모듈과 일정거리 만큼 이격되도록 하여, 발광모듈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마스크 살균면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조사될 수 있도록 하여, 살균면의 누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마스크가 케이스 내부에서 안정적인 형태로 거치될 수 있도록 하여, 마스크의 훼손을 방지하오, 정확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마스크 케이스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마스크 살균기의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마스크 살균기를 구성하는 회동거치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마스크 살균기를 배면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마스크 살균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마스크 살균기를 살펴보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먼저, 본 발명의 효과, 특징 및 이를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에서 명확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마스크 살균기의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마스크 살균기를 구성하는 회동거치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마스크 살균기를 배면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마스크 살균기는 크게 제1커버(10)와 제2커버(20) 및 거치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커버(10)와 제2커버(20)는 한쌍의 커버로, 일 측 단부를 중심으로 서로 회동 결합되어 개폐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커버(10)와 제2커버(20)는 회동힌지축(32)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개폐된다.
그리고 상기 제1커버(10) 내측에는 제1내측공간(12)이 형성되고, 상기 제2커버(20) 내측에는 제2내측공간(22)이 형성되어, 상기 제1커버(10)와 제2커버(20) 사이에 내부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거치대(30)는 상기 수용공간(12, 22)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회동힌지축(32)을 중심으로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거치대(30)는 수납되는 마스크가 양면에 양분되어 안착 거치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상기 마스크의 내측면이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30)는 안착되는 마스크 표면에 살균용 광원을 조사하도록 광조사모듈(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광조사모듈(34)은 상기 거치대(30) 표면에 이격되어 다수개가 배치되는데, 바람직하게는 UV LED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조사모듈(34)은, 상기 거치대(30) 측면 표면 뿐만 아니라, 전면의 테두리 표면에도 구비되어, 안착되는 마스크의 전체 표면을 고르게 커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거치대 내부에는 상기 광조사모듈(34)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내부 구성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30)에는 상기 광조사모듈(34)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1)와 상기 전원부(31) 및 광조사모듈(34)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원부(31)는,
충전 배터리 또는 건전지로 구성될 수 있고, 이들 모두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부(31)가 충전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상기 커버(10, 20)에는 상기 전원부(31)에 충전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포트(2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충전포트(26)는 다양한 규격의 전원단자가 적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휴대폰 충전단자와 동일규격이 적용되어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10, 20)에는 상기 광조사모듈(34)의 발광을 제어하는 스위치(24)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거치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마스크 살균기에 적용되는 거치대(30)는 안착되는 마스크 표면을 상기 거치대(30)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높이)로 이격시키는 스페이서(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페이서(36)는 거치대(30) 측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의 바(bar) 형태로 형성되되, 복수개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병렬 배치된다.
상기 스페이서(36)는 마스크가 거치대(30) 표면으로 부터 이격시키므로, 마스크가 광조사모듈(34)에 밀착되어 조사광이 분산되지 못하고 마스크 특정위치에만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기 스페이서(36)는,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되어 조사된 광이 상기 스페이서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투과되어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투과성 물질로는 투명 아크릴 등의 투명 합성수지재가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거치대(30)의 전면 테두리의 단부에는 안착되는 마스크의 중앙부가 완곡면을 따라 절첩되어 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 곡면지지부(38)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곡면지지부(38)는 돌출 단부가 완곡면으로 형성된다.
최근 마스크의 일부 제픔은 밀폐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마스크 중앙 상부에 금속 와이어가 구비되고, 상기 금속 와이어를 절곡하여 코에 밀착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금속 와이어는 완전히 절첩되는 경우, 영구변형에 의해 다시 이를 펼쳐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는 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마스크 살균기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금속 와이어가 밀착되는 부분에 곡면지지부(38)를 형성하여 상기 금속 와이어가 완곡면을 따라 밴딩되도록 하여, 상기 마스크를 살균후 재사용함에 있어, 금속 와이어의 영구 변형에 의한 마스크 훼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곡면지지부(38) 내부에는 자성을 갖는 자력부재(39)가 매설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자력부재(39)는 상기 금속 와이어가 자력에 의해 부차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마스크를 거치대(30)에 안착시키는 경우, 마스크를 거치대(30)의 정위치에 정확히 안착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거치대(30) 및 커버(10, 2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ㅂ바람직한데, 이들 거치대(30) 및 커버(10, 20) 모두 또는 일부는 항균 동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항균 동 플라스틱은, 합성수지 성형시 항균 작용을 하는 동 분말이 함침된 합성수지재로, 거치되는 마스크의 항균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UV 살균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마스크 보관 케이스를 통해, 사용 전/후의 마스크를 살균하여 재사용하거나 사용기한을 연장시킬 수 있는 휴대용 마스크 살균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마스크의 내측면에 광이 조사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비말이 직접 접촉되는 마스크 내측면이 직접 살균되도록 하여 마스크의 사용기한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 제1커버 12 : 제1내측공간
20 : 제2커버 22 : 제2내측공간
24 : 스위치 26 : 충전포트
30 : 거치대 31 : 전원부
32 : 회동힌지축 33 : 제어부
34 : 광조사모듈 36 : 스페이서
38 : 곡면지지부 39 : 자력부재

Claims (10)

  1. 일 측 단부를 중심으로 서로 회동 결합되어 개폐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한 쌍의 커버와;
    일 측이 상기 커버의 회동 결합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고, 수납되는 마스크가 양면에 양분되어 안착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거치대는,
    안착되는 마스크 표면에 살균용 광원을 조사하도록, 상기 거치대 표면에 구비되는 광조사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스크 살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모듈은,
    상기 거치대 표면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UV LED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스크 살균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모듈은,
    상기 거치대 측면 표면 및 전면 테두리 표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스크 살균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광조사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스크 살균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충전 배터리 또는 건전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스크 살균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전원부에 충전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포트와;
    상기 광조사모듈의 발광을 제어하는 스위치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스크 살균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거치대 측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형성되어, 안착되는 마스크 표면을 상기 거치대 표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스크 살균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거치대 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병렬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스크 살균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조사된 광이 차단되지 않도록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스크 살균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또는 커버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되, 항균작용을 위한 동입자가 함유된 항균 동 플라스틱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스크 살균기.
KR1020200034330A 2020-03-20 2020-03-20 휴대용 마스크 살균기 KR202101177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330A KR20210117725A (ko) 2020-03-20 2020-03-20 휴대용 마스크 살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330A KR20210117725A (ko) 2020-03-20 2020-03-20 휴대용 마스크 살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725A true KR20210117725A (ko) 2021-09-29

Family

ID=77924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4330A KR20210117725A (ko) 2020-03-20 2020-03-20 휴대용 마스크 살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772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573A (ko) 2018-02-14 2019-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스크 케이스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573A (ko) 2018-02-14 2019-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스크 케이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807B1 (ko) 착용 및 휴대물품 살균장치
EP2571536B1 (en) Germicidal bulb disinfection base for ophthalmic lenses
US10849995B2 (en) Handheld sanitizing device
KR101284639B1 (ko) 자외선 엘이디를 이용한 살균 휴대폰 케이스
EP2571538B1 (en) Ophthalmic lens disinfecting base
KR102042840B1 (ko) 살균 기능을 구비한 가방
US20220226678A1 (en) Mask
AU2020100356A4 (en) Mobile Phone Case with UVC-LED
US20220273833A1 (en) Far uv-c apparatus and confirmation of use
US11522989B2 (en) UV-C sanitizing phone case and mobile phone
JP2016185824A (ja) 眼用レンズ消毒保管ケース
US20210353786A1 (en) Handheld uv-c sanitizing apparatus and method
KR20210117725A (ko) 휴대용 마스크 살균기
KR102315064B1 (ko) 미세입자 발생장치 살균 시스템
AU2015203699B2 (en) Light emitting diode disinfection base for ophthalmic lens
US20210361798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sk disinfection
CN215690073U (zh) 外挂式消毒装置
US20230211025A1 (en) Far uv-c apparatus and confirmation of use
CN214018563U (zh) 一种消毒盒
CN212730529U (zh) 消毒装置及衣柜
KR20220135624A (ko) 휴대형 다기능 자외선 살균기
KR20220135622A (ko) 수시사용 가능한 생활 멸균램프 장치
KR20220004267A (ko) 마스크 살균건조기
KR20220075925A (ko) 손잡이 자동 소독 장치 및 손잡이 자동 소독 방법
KR200333582Y1 (ko) 방출구 살균기능의 산소자동판매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