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5828A - 안마장치 - Google Patents

안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5828A
KR20210115828A KR1020200032152A KR20200032152A KR20210115828A KR 20210115828 A KR20210115828 A KR 20210115828A KR 1020200032152 A KR1020200032152 A KR 1020200032152A KR 20200032152 A KR20200032152 A KR 20200032152A KR 20210115828 A KR20210115828 A KR 20210115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part
seating
massage device
us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2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남
오민규
이득원
안성우
노양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2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5828A/ko
Publication of KR20210115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8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78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2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 A61H7/004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power-driven, e.g.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설치면에 구비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의 둔부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될 수 있는 제1 안착부, 상기 지지부재에 상기 제1 안착부와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의 둔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신체가 지지되고 사용자의 신체를 안마하는 안마부가 구비되는 제2 안착부, 상기 제1 안착부가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제1 샤프트 및 상기 제2 안착부가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제2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샤프트는 상기 지지부재가 연장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샤프트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안착부가 회전될 때 상기 제2 안착부와 상기 제2 안착부에 지지되는 사용자의 신체의 회전중심이 일치되는 안마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헤드슬립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마장치{Massage Apparatus}
본 발명은 안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1/3에 달하는 시간 또는 그 이상의 시간동안 일을 한다. 일을 할 때 대부분의 사람들이 경직된 자세를 유지하거나 자세 변화가 매우 미미하게 이루어져 혈액순환이 잘되지 않고 특정 근육이 뭉치기 쉽다. 건강을 위해서는 적절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만, 단순히 휴식을 취하는 것 이외에 근육을 풀어주고 혈액순환이 잘되도록 충분한 스트레칭을 하거나 운동이 병행되지 않으면 피로가 누적되기 쉬우며 혈액순환도 잘 되지 않는다.
현대인들의 피로를 줄여주기 위해 발 마사지 장치 또는 안마의자 등 많은 안마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안마장치 중 의자의 형태를 띠는 안마장치는 사용자가 앉아서 안마를 받을 수 있는 장치이다.
의자의 형태를 띠는 안마장치는 등을 받치는 부분과 엉덩이를 받치는 부분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관계를 갖거나 서로 구속되어 있어 엑추에이터 등과 같은 하나의 구동부를 통해 안마장치의 자세를 변경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단순히 의자에 앉아있는 것보다 편한 자세로 안마를 받을 수 있다.
다만, 엉덩이를 받치는 부분과 등을 받치는 부분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앙와위의 자세를 취하기에는 어려울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하나의 안마장치로는 의자의 형태를 띠도록 작동하는 것과 침대의 형태를 띠도록 작동하는 것 모두가 구현되기 어렵다.
나아가 사용자는 단순히 안마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안마장치를 사용하여 편안함을 느끼고 휴식을 취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신체 국부적 혹은 신체 전반적으로 근육의 이완을 이완하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기 위함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안마메카 등의 안마부를 이용하는 것과 별개로 여러가지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고 신체가 다양한 각도로 안착되는 안마장치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허문헌 1은 사용자가 앙와위를 취하는 상태에서 안마를 받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마사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만, 사용자가 반드시 누운 상태에서만 안마를 받을 수 있도록 구비된다.
특허문헌 2는 매트리스용 안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2는 회전판을 이용하여 매트리스가 기울어지도록 구비되어 사용자를 안마하고 미 사용시 매트리스를 수평으로 위치되도록 작동시켜 신체에 가해지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다만 특허문헌 2도 매트리스형태에 사용되는 안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의자의 형태를 가지도록 변화되기는 어려워 사용자에게 다양한 자세를 제공할 수 없다.
특허문헌들에는 개시되어 있지 않지만, 다양한 각도변화가 가능한 안마장치의 경우 신체를 안착하는 안착부들의 각도를 변화할 때 사용자의 신체가 안마장치 내의 올바른 위치에서 이탈되기 쉽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나 제어방법이 절실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22519호(2013.01.09)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10501호(2017.12.13)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각도 변화와 작동이 가능한 안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의자의 형태 또는 평평한 형태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안착될 수 있으며 형태가 변환 가능한 안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안마장치가 평평하게 구비되는 경우 스트레칭이나 트위스팅을 통해 효과적으로 안마받을 수 있는 안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안마장치의 형태가 변환되며 사용자의 신체가 올바르게 유지될 수 있는 안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안마장치의 형태가 변경되어도 사용자의 신체가 안마장치에 안착되는 부분이 변경되지 않도록 사용자의 회전중심과 등받이부의 회전중심을 최대한 일치하는 구조를 가진 안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구조를 가진 안마장치를 제공함에 그치지 않고 사용자의 신체가 등받이부를 따라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어방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례로, 안마장치를 180도 모드로 구현할 때 머리가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안마장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등받이 부분이 엉덩이를 받치는 부분보다 회전축이 상측에 위치하여 인체 회전축과 등받이부의 회전축이 최대한 인접하게 구비되는 안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설치면에 구비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의 둔부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될 수 있는 제1 안착부, 상기 지지부재에 상기 제1 안착부와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의 둔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신체가 지지되고 사용자의 신체를 안마하는 안마부가 구비되는 제2 안착부, 상기 제1 안착부가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제1 샤프트 및 상기 제2 안착부가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제2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샤프트는 상기 지지부재가 연장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샤프트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안착부가 회전될 때 상기 제2 안착부와 상기 제2 안착부에 지지되는 사용자의 신체의 회전중심이 일치되는 안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설치면에 안착되는 제1 베이스 및 상기 제1 베이스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베이스를 포함하는 안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베이스에는 상기 제2 베이스를 작동시키는 베이스 작동부가 구비되는 안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안착부를 회전시키는 제1 작동부, 상기 제2 안착부를 작동시키는 제2 작동부 및 상기 제2 베이스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작동부 및 상기 제2 작동부가 연결되는 작동 연결부를 포함하는 안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작동부 및 상기 제2 작동부는 엑추에이터로 구비되는 안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안마부가 수용되며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 상기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안착부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트위스팅부 및 상기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과 이격되도록 상기 트위스팅부에 결합되는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를 포함하는 안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과 상기 제2 샤프트를 연결하는 제2 안착부 연결부를 포함하는 안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안착부 연결부는 상기 제1 샤프트 및 상기 제2 샤프트의 이격거리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안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의 회전반경은 사용자의 인체의 회전반경보다 큰 안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이 상기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보다 사용자의 신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안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의 일단은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의 타단은 상기 트위스팅부와 결합되는 안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트위스팅부는, 상기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을 회전시키는 웜기어부 및 상기 웜기어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에 결합되는 트위스팅 하우징을 포함하는 안마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양한 모드로 작동되어 사용자가 안마를 받을 때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자의 형태, 허리에 가해지는 하중이 최소화되는 형태 및 침대와 같이 평평한 형태로 자유롭게 변환되며 사용자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또한, 스트레칭 또는 트위스팅 작동을 통해 사용자가 느끼는 만족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는 안마장치를 사용할 때 모드 변경이나 작동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올바른 위치에 위치되어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면서 사용자의 머리 또는 상체가 등받이부분을 따라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의 작동 모드에 관한 도면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의 트위스팅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의 스트레칭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5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의 분해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의 제2 안착부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의 트위스팅부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의 제2 안착부 조립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실시예의 안마장치의 측면도
도 11은 종래의 안마장치와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의 작동을 비교한 도면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의 작동도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의 작동도
도 14는 안마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100)는 제1 안착부(4), 제2 안착부(5), 제3 안착부(6)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엉덩이"라는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신체 중 둔부에 해당하는 부분은 하측의 궁둥이(또는 궁둥짝), 궁둥이의 상 측에 해당하는 부분인 엉덩이, 궁둥이 및 엉덩이를 모두 포함하는 볼기 등으로 세분화되어 다양하게 호칭된다. 다만, 각각의 명칭에 따라 일률적으로 구분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개인차가 있어 각각의 명칭들간의 구분이 명확하게 되기가 어려워 이를 일반화하여 설명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둔부 전체를"엉덩이" 또는 "둔부"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표현하며, 상술한 별개의 명칭들은 엉덩이의 하측 또는 상측 등의 표현을 사용하여 표현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엉덩이"라는 용어로 인해, "엉덩이"의 사전적인 의미로 제한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사용자의 둔부 전체 또는 경우에 따라 둔부 전체를 포함하며 둔부와 인접한 신체부위를 포함하는 용어로서 해석되어야 함을 명확히 한다.
제1 안착부(4)는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이 안착되는 부분일 수 있다. 다만, 제1 안착부(4)에 엉덩이 부분만 안착되는 것은 아니고, 엉덩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허벅다리 부분이 제1 안착부(4)에 안착될 수 있다. 즉, 제1 안착부(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100) 중 사용자가 걸터앉는 부분에 해당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부분 중 하나일 수 있다.
제1 안착부(4)의 작동 원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2 안착부(5)는 사용자의 상체가 안착되는 부분일 수 있다. 다만, 제2 안착부(5)가 사용자의 상체만 안착시킨다는 의미는 아니고, 제1 안착부(4)가 안착시키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의 상 측이 제2 안착부(5)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안착부(5)는 엉덩이의 상측 부분을 포함한 상체를 안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의자의 등받이 부분의 형상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의자에 앉으면 사용자의 허리와 엉덩이의 상 측이 의자의 등받이 부분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제1 안착부(4)에서 엉덩이의 하 측을 지지하고 제2 안착부(5)에 엉덩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상체가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2 안착부(5)의 형상에 따라 사용자의 허리만 지지할 수도 있고, 허리부분뿐만 아니라 목 부위 또는 머리부위까지 모두 안착시켜 지지할 수도 있다.
제3 안착부(6)는 사용자의 하체가 안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3 안착부(6)는 사용자의 무릎 부분 이하의 하체가 안착되는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제3 안착부(6)는 사용자의 발 및 종아리를 포함하는 하체가 안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3 안착부(6)에 안착되는 신체 부위가 사용자의 발 및 종아리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나, 앉은 자세를 고려할 때 무릎 이하의 부분이 제3 안착부(6)에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3 안착부(6)에는 사용자의 신체 중 무릎 이하의 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공간은 제3 안착부(6)의 전면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제3 안착부(6)의 전면이 폐쇄되어 제3 안착부(6)의 상 측에서 하측으로 사용자의 발이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3 안착부(6)의 전면이 개방되는 경우 사용자의 하체 측이 수월하기 안착될 수 있고, 제3 안착부(6)의 전면이 폐쇄되는 경우에는 정강이 또는 정강이에 인접한 부위들에게도 안마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
신체는 사람마다 크기가 다르다. 따라서, 제3 안착부(6)는 안착되는 부위의 길이가 달라도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제3 안착부(6)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1 안착부(4), 제2 안착부(5), 제3 안착부(6)는 각각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다. 각각의 안착부는 신체를 지지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신체부위를 안마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안마를 수행하기 위해 각각의 안착부에는 안마를 수행하는 안마부(M)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의 작동 모드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100)의 작동 가능한 모드들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해 제1 안착부(4), 제2 안착부(5), 제3 안착부(6) 및 후술할 베이스들(1, 2)을 프레임의 형태로 나타내거나 간단하게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100)는 제1 안착부(4)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샤프트(32) 및 제1 샤프트(32)와 연결되어 제1 샤프트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샤프트(32)는 제1 안착부(4)의 회전축일 수 있다. 제1 안착부(4)의 회전축이라는 것은 제1 샤프트(32)와 항상 일체로 회전되어야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제1 샤프트(32)의 위치를 축으로 하여 회전한다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31)는 제1 샤프트(32)를 지지함으로써 안마장치(100)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도 2(a)는 별도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은 제1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b)는 사용자의 허리 측에 가해지는 하중이 완화될 수 있는 제2 모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c)는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제3 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에서는 별도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은 제1 모드(또는 베이스 모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a)에 나타난 형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100)의 비통전시의 형태일 수 있다. 다만, 안마장치(100)가 통전되더라도 바로 형태가 변경되거나 모드가 변경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즉, 제1 모드에서도 신체를 안마하는 작동을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각도 및 회전방향을 설명함에 있어서, 가상의 축을 설정하여 위치나 작동방향 등을 설명한다.
상세하게는 지면과 수평한 방향 중 안마장치(100)의 길이방향으로의 가상의 축을 x축으로, 지면과 수평한 방향 중 x축과 수직이며 안마장치(100)의 너비 방향으로의 가상의 축을 y축으로, x축 및 y축 모두에 수직인 가상의 축을 z축으로 설정하여 설명한다. 이때 x축, y축 및 z축은 제1 샤프트(32)를 지나도록 설정한 가상의 축일 수 있다.
또한, x축에서는 안마장치(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3 안착부가 위치된 측으로의 방향을 "앞", "전방 측", "안마의자의 앞" 또는 "안마의자의 전방 측" 등 앞을 가리키는 용어를 사용해서 설명하고, 안마장치(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2 안착부가 위치된 측으로의 방향을 "뒤", "후방" 등 뒤를 가리키는 용어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또한, y축 및 z축을 기준으로 구획되는 부분 중 일 측을 "안마의자의 좌 또는 좌 측"등의 용어로 설명될 수 있고 y축 및 z축을 기준으로 구획되는 부분 중 타 측이 "안마의자의 우 또는 우측" 등의 용어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z축에서 지면 방향을 "아래", "하 측" 등 아래 방향을 가리키는 용어를 사용해서 설명하고, 하늘 또는 천장 측으로의 방향을 "위", "상 측" 등의 위 방향을 가리키는 용어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또한, 각도를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안마의자의 앞"의 지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다만, 반드시 안마의자의 앞의 지면을 기준으로 각도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각도설명의 기준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A는 지면과 10도를 형성하도록 위치된다." 또는 "A는 x축과 10도를 형성하도록 위치된다."는 표현은 안마의자의 앞의 지면과 A가 형성하는 각도가 10도가 되도록 A가 위치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명시적으로 기준점을 제시한 경우 안마의자의 앞의 지면이 기준이 되는 것이 아니고, 제시된 기준점이 각도를 설명하는 기준이 된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의 각도는 사용자의 신체가 안착되는 부분의 각도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모드에서는 제1 안착부(4)가 지면과 제1 각도(A)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각도(A)는 0도 초과 15도 이하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안착부(4)는 지면과 약 10도를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범위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각도(A)를 형성하는 것은 사용자가 착석할 때 사용자의 신체가 자연스럽게 제1 안착부(4)와 제2 안착부(5)의 사이로 착석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또한, 허벅다리를 들어올려 무릎 이하의 종아리 및 발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여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1 모드에서는 제2 안착부(5)가 제1 안착부(4)에 대해 둔각을 형성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즉 제2 안착부(5)는 지면을 기준으로도 둔각을 형성하고, 제1 안착부(4)에 대해서도 둔각을 형성하는 각도를 갖도록 위치될 수 있다. 즉, 제2 안착부(5)는 안마장치(100)의 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띨 수 있다. 제2 안착부(5)는 제1 안착부(4)에 대해 약 116도 내지 12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약 118도 기울어질 수 있다. 다만, 제1 안착부(4) 및 제2 안착부(5)에 대한 각도범위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술한 각도 범위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 안착부(5)가 제1 안착부(4)에 대해 둔각을 형성하도록 위치하면 사용자는 상체를 제2 안착부(5)에 기대기 수월해질 수 있다. 또한, 제2 안착부(5)가 기울어지면 제2 안착부(5)가 지면에 대해 직각으로 위치하는 것보다 사용자의 신체의 무게를 더욱 잘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안착부(5)가 기울어짐으로써 사용자가 느끼는 안락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2(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가 사용자의 허리 측에 가해지는 하중이 완화될 수 있는 제2 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2 모드는 제1 안착부(4) 및 제2 안착부(5)가 특정한 각도를 가지면서 체중이 고르게 분산되어 사용자의 신체가 지지되며 사용자에게 중력을 덜 받는 듯한 편안한 느낌을 주는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허리뿐만 아니라 무릎 등의 관절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모드일 수 있다.
이로써, 허리나 관절은 일상생활을 할 때 신체를 지지하는 부분이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100)를 이용하여 허리나 관절에 가해지는 부담을 덜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가 안마장치(100) 더욱 밀착되어 안마부의 작동에 의한 안마효과가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심장이 하체 측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작동되면, 혈액순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쳐 몸의 부종을 완화하는 효과도 발휘할 수 있다.
제2 모드에서는 제1 안착부(4)가 제1 샤프트(32)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제2 모드에서 제1 안착부(4)는 제1 각도(A)보다 더 상승하여 지면과 제2 각도(B)를 형성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2 각도(B)는 제1 각도(A)보다 큰 각도일 수 있다. 제2 각도(B)는 지면과 15도 초과 25도 이하의 범위를 갖는 각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각도(B)는 지면과 약 20도를 형성하는 각도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모드에서도 제2 안착부(5)는 제1 안착부(4)에 대해서 둔각을 형성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100)가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되면 제2 안착부(5)는 지지부재(31)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제2 안착부(5)는 안마장치(100)의 후방으로 더 기울어질 수 있다. 이때 제2 안착부(5)는 제1 안착부(4)에 대해 120 내지 136도의 범위를 갖도록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안착부(5)는 제1 안착부(4)와 약 123도의 각도를 갖도록 위치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범위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상술한 범위에 제한되지 않는다.
안마장치(100)의 제2 모드란 신체의 하중이 적절하게 분산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안착부(4)가 지면과 형성하는 각도 및 제2 안착부(5)가 제1 안착부(4)와 형성하는 각도가 명확하게 정해진 것이 아니며, 각도의 정도에 따라 여러 단계로 나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2 모드 1, 제2 모드 2 등 제2 모드 내에서도 여러 모드로 구분되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적절하게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도 2(c)는 제1 안착부(4)와 제2 안착부(5)가 180도를 형성하는 제3 모드(또는 180도 리클라이닝 모드)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3 모드가 되기 위해서는 제1 안착부(4)와 제2 안착부(5)가 별개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1 안착부(4)와 제2 안착부(5)가 의자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1 안착부(4) 및 제2 안착부(5)가 서로를 구속하도록 형성되면 하나의 엑추에이터 등을 이용하여 모드 등을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본 실시예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제3 모드를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제1 안착부(4)와 제2 안착부(5)가 회전된다는 것은 x축에서 z축으로의 회전되는 것 또는 z축에서의 x축으로의 회전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제1 안착부(4) 및 제2 안착부(5)는 지지부재(31)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착부(4)가 제1 모드에서 지면과 제1 각도(A)를 형성하도록 위치하다가 제2 모드로 전환되면, 지면과 제2 각도(B)를 형성하도록 x축에서 z축을 향해 회전될 수 있다.
반대로, 제1 안착부(4)가 제2 모드에서 제1 모드로 전환되면 제2 각도(B)를 형성하도록 위치하다가 지면과 제1 각도(A)를 형성하도록 z축에서 x축을 향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2 안착부(5)는 제1 모드에서 제1 안착부(4)와 둔각을 형성하도록 위치하다가 제2 모드로 전환되면, 안마의자의 후방으로 더 기울어지도록 z축에서 x축을 향해 회전될 수 있다. 반대로, 제2 안착부(5)는 제2 모드에서 제1 모드로 전환되면 x축에서 z축을 향해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안착부(4) 및 제2 안착부(5)가 서로 별개로 또는 독립적으로 회전된다는 것은 제1 안착부(4)의 회전이 제2 안착부(5)의 회전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제2 안착부(5)의 회전이 제1 안착부(4)의 회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모드가 변경됨에 따라 제1 안착부(4)와 제2 안착부(5)가 모두 회전되는 것은 각 모드의 구현을 위해 안착부 각각이 별개로 작동되는 것이다. 즉, 제1 안착부(4) 및 제2 안착부(5) 중 어느 하나의 회전이 나머지 하나의 회전에 영향을 끼치는 것은 아니고 제1 안착부(4) 및 제2 안착부(5) 중 어느 하나의 회전이 다른 하나의 회전에 종속되어 수행되는 것도 아니다.
제1 안착부(4)와 제2 안착부(5)가 서로 별개로 회전 가능하기 위해 제1 안착부(4)와 제2 안착부(5)간에 반드시 체결관계가 없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제1 안착부(4)와 제2 안착부(5)가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해야 안마장치(100)가 제1 모드, 제2 모드 및 제3 모드를 전환하며 작동될 때 어려움이 없을 수 있다. 제1 안착부(4) 및 제2 안착부(5)가 이루는 각도는 정확히 180도가 될 필요는 없으며, 오차범위 내에서 180도에 가까운 각도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100)는 상술한 3가지 모드에서 단순히 자세만 변경되는 것은 아니고 각각의 모드에서 안마가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의 트위스팅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안마장치(100)가 제3 모드가 되면 안마장치(100)는 트위스팅 작동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트위스트", 또는 "트위스팅"은 제1 안착부(4) 또는 제2 안착부(5)가 상술한 3가지 모드를 변경할 때 회전하는 회전방향과 수직인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즉, "트위스트", 또는 "트위스팅"은 제2 안착부(5)가 안마장치(100)의 좌측 및 우측으로 번갈아가면서 기울어지도록 회전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2 안착부(5)의 일 측이 y축에서 z축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 안착부(5)의 타 측이 z축 방향에서 y축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 안착부(5)의 일 측이 z축에서 y축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 안착부(5)의 타 측이 y축에서 z축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제2 안착부(5)의 양측 면이 서로 번갈아가며 기울어지도록 회전되는 것을 의미한다.
안마장치(100)가 트위스팅이 가능하게 되면 사용자는 안마장치(100)를 이용할 때 상체가 좌우로 트위스트되어 스트레칭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다른 안마장치(100)는 안마 메카에 의해 안마도 수행될 수 있고, 제2 안착부(5)의 트위스트에 의해 스트레칭도 겸하여 수행될 수 있어 종래의 안마장치들보다 뛰어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의 스트레칭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100)의 스트레칭 작동은 사용자의 허리를 기준으로 지면을 향해 신체가 모아지는 스트레칭을 할 수 있는 작동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스트레칭 작동은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서만 사용자의 신체를 스트레칭 시킨다거나 트위스팅 작동의 스트레칭 효과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간결하고 명확한 서술을 위해 선택된 단어일 수 있다.
스트레칭 작동을 위해서 안마장치(100)의 제1 안착부(4) 및 제2 안착부(5)가 180도 이상의 각도를 가지도록 위치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신체를 중심으로 좌우로 스트레칭될 수 있는 트위스팅 작동과는 달리, 스트레칭 작동은 사용자의 신체를 중심으로 설명할 때 전후로 스트레칭될 수 있는 작동일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2 안착부(5) 및 제3 안착부(6)는 지면과 180도를 형성하고 있다가 하강될 수 있고, 제1 안착부(4)는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위치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둔부를 받치는 제1 안착부(4)의 위치는 제3 모드에서 변동이 없지만, 제2 안착부(5) 및 제3 안착부(6)가 지면 측으로 하강하면서 사용자의 신체를 스트레칭 시켜줄 수 있다.
스트레칭 작동은 제2 안착부(5)가 지지부재(31)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되며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이와는 별도로 제3 안착부(6)가 제1 안착부(4)를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전되며 작동할 수 있다.
제2 안착부(5)의 회전 및 제3 안착부(6)의 회전은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안착부(5)의 회전이 완료된 후 제3 안착부(6)의 회전이 완료되거나, 제3 안착부(6)의 회전이 완료된 후 제2 안착부(5)의 회전이 완료되거나, 제2 안착부(5) 및 제3 안착부(6)의 회전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안착부(5) 및 제3 안착부(6)가 회전되는 각도, 제2 안착부(5) 및 제3 안착부(6)의 회전 개시 시점 및 회전 속도 등은 사용자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도 5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5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100)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100)는 제1 베이스(1), 제2 베이스(2), 지지부(3), 제1 안착부(4), 제2 안착부(5) 및 제3 안착부(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착부(4)는 제1 안착부 프레임(4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착부 프레임(41)은 제1 안착부(4)를 형성하는 프레임이다. 제1 안착부 프레임(41)은 제1 샤프트(3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안착부(5)는 제2 안착부 프레임(5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안착부 프레임(51)은 지지부재(31)에 연결되는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511) 및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511)에 결합되는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5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안착부 프레임(51)은 제2 안착부(5)를 형성하는 프레임이다. 제2 안착부 프레임(51)은 지지부재(31)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에에 따른 안마장치(100)는 제2 안착부(5)와 제1 안착부(4)가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100)는 안마부(M)를 포함할 수 있다. 안마부(M)는 사용자의 신체 중 둔부를 안마하는 제1 안마부(M1), 상체를 안마하는 제2 안마부(M2) 및 다리측을 안마하는 제3 안마부(M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안마장치(100)에는 제1 안마부(M1), 제2 안마부(M2) 및 제3 안마부(M3) 중 적어도 2개 이상이 함께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511)이 형성하는 공간 내에는 제2 안마부(M2)가 포함될 수 있다. 제2 안마부(M2)는 제2 안착부 프레임(51) 내의 공간을 이동하며 사용자의 신체를 안마하는 부분일 수 있다. 제2 안마부(M2)는 사용자의 신체를 안마할 수 있으면 족하다. 따라서 제2 안마부(M2)의 형태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제3 안착부(6)는 제3 안착부 프레임(61)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안착부 프레임(61)은 제3 안착부(6)를 형성하는 프레임이다. 제3 안착부 프레임(61)은 제1 안착부 프레임(4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안마장치(100)는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는 제1 베이스(1) 및 제2 베이스(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1)는 제2 베이스(2)와 연결되어 제2 베이스(2)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제2 베이스(2)에는 제1 안착부(4) 및 제2 안착부(5)를 지지하는 지지부(3)가 연결될 수 있다. 즉, 안마장치(100)의 자중 및 사용자의 하중이 지지부(3), 지지부(3)와 연결되는 제2 베이스(2) 및 제2 베이스(2)와 연결되는 제1 베이스(1)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제1 베이스(1)는 제1 프레임(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1)은 제1 베이스(1)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일 수 있다.
제1 프레임(11)은 설치면에 구비되어 안마장치(100)의 자중 및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부분일 수 있다. 제1 프레임(11)이 직접 지면에 닿아 안마장치(100)의 하중을 지지할 수도 있고, 제1 프레임(11)의 하측에 별도의 지지부재(미도시)가 형성되어 지지부재를 통해 지지될 수도 있다. 제1 베이스(1)가 지지력을 제공하는 방식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제1 베이스(1)에는 베이스 작동부(13)가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 작동부(13)는 제2 베이스(2)를 슬라이딩 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부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안마장치(100)의 베이스 작동부(13)는 모터(131), 실린더(132) 및 운동부재(133)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131)는 제2 베이스(2)를 슬라이딩 시키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모터(131)는 제1 베이스(1)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모터(131)는 유압모터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DC모터 등도 사용될 수 있다.
아래의 실린더(132) 및 운동부재(133)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한 범위에서 별도의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실린더(132)는 모터(131)와 연결되어 후술하는 운동부재(133)를 수용하는 부분일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11)에 연결되어 모터(131)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운동부재(133)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실린더(132)는 제1 베이스(1) 에 형성된 실린더 결합부(16)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제1 프레임(11)의 후면에 실린더 결합부(16)가 형성되고 실린더 결합부(16)에 실린더(132)가 끼워져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실린더(132)의 연결방식의 일례에 불과하며 실린더(132)가 제1 베이스(1)에 연결되는 방식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운동부재(133)는 실린더(132)에 삽입되어 제2 프레임(21)에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운동부재(133)는 플런저 또는 피스톤일 수 있다. 운동부재(133)는 모터(131)에서 전달되는 유압에 따라 실린더 내에서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다.
운동부재(133)는 제2 베이스(2)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부재(133)는 제2 베이스(2)의 작동 연결부(25)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운동부재(133)의 운동에 따라 제2 베이스(2)가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2 베이스(2)는 제2 프레임(21), 프레임 휠(24) 및 작동 연결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21)은 제2 베이스(2)의 프레임일 수 있다. 제2 프레임(21)은 제1 프레임(11)과 연결되어 제2 베이스(2)와 제1 베이스(1)를 연결하는 부분일 수 있다. 제2 프레임(21)이 슬라이딩됨에 따라 제2 베이스(2)가 제1 베이스(1) 상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2 베이스(2)가 제1 베이스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거리 및 슬라이딩 되는 거리에 따른 제1 안착부(4) 및 제2 안착부(5)의 회전정도는 사용자 또는 제조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착부(4)에 제1 작동부(42)가 구비되고 제2 안착부(5)에 제2 작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작동부(42) 및 제2 작동부(52)는 엑추에이터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베이스(2)가 제1 베이스(1)에 대해 슬라이딩되는 거리에 따라 제1 안착부(4)가 회전되는 정도가 제1 작동부(42)의 전자적인 제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안착부(5)가 회전되는 정도가 제2 작동부(52)의 전자적인 제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베이스(2)의 슬라이딩에 따른 제1 안착부(4) 및 제2 안착부(5)의 회전되는 정도는 달라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안마장치(100)의 작동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
작동 연결부(25)는 제2 작동부(52)가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2 작동부(52)는 제2 안착부(5)를 회전시키는 부분이다. 제1 안착부(4)는 제2 베이스(2)의 슬라이딩에 따른 링크의 회전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거나 제1 작동부(42)에 의해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제2 작동부(52)는 제2 안착부 프레임(51)과 연결되어 제2 안착부(5)를 안마장치(10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작동부(52)는 일 측이 제2 안착부 프레임(51)에 연결되고 타 측이 제2 프레임(21)에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는 제2 프레임(21)의 양측을 잇는 바(bar)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작동 연결부(25)는 제2 프레임(2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프레임(21)의 형태에 따라 작동 연결부(25)의 형태는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작동 연결부(25)는 제2 작동부(52)를 제2 프레임(21)에 연결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면 족하고, 형태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제2 작동부(52)는 제2 베이스(2)의 슬라이딩 정도에 따라 제2 안착부(5)를 적절하게 회전시키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3 작동부(62)는 제3 안착부(6)를 z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부분일 수 있다. 제3 작동부(62)는 일 측이 제3 안착부 프레임(61)에 연결되고 타 측이 제1 안착부 프레임(41)의 하측 또는 제2 프레임(21)에 구비될 수 있다.
제3 작동부(62)의 타 측이 연결되는 부분은 사용자가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제2 프레임(21) 상에 연결되는 경우 작동 연결부(25)에 제2 작동부(52)와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작동 연결부(25)는 제2 작동부(52) 및 제3 작동부(62)가 연결되어 차지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제2 프레임(21)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곡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휠(24)은 제2 프레임(21)의 하측에 형성되어 제1 프레임(11) 상에서 제2 베이스(2)가 슬라이딩될 때 슬라이딩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레임 휠(24)은 제1 베이스(1)에 접촉되어 제2 베이스(2)가 슬라이딩될 때 제1 베이스(1) 및 제2 베이스(2)간에 발생할 수 있는 마찰을 줄여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레임 휠(24)은 휠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제2 베이스(2)의 슬라이딩을 보조할 수 있고 제2 베이스(2)가 슬라이딩되는 동안 제1 베이스(1) 및 제2 베이스(2)간에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고, 제1 프레임(11) 및 제2 프레임(21)의 마모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 프레임(11) 및 제2 프레임(21)이 직접적으로 닿아 슬라이딩된다면 제2 베이스(2)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소음이 심해질 수 있다. 또한, 제2 베이스(2)에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제2 베이스(2)와 제1 베이스(1)가 밀착되어 슬라이딩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 휠(24)은 제2 프레임(21)의 하측에 구비되어 제2 베이스(2)의 지지대로서의 역할을 보조하고, 제2 베이스(2)의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프레임 휠(24)은 제2 프레임(21)의 하측에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2 프레임(21)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서 제2 프레임(21)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제2 프레임(21)은 지면으로부터의 동일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지지부(3)는 지지부재(31)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31)는 제1 샤프트(32)를 지지하는 부분일 수 있다. 지지부재(31)는 제2 베이스(2)에 연결될 수 있다.
명확하게는 제2 베이스(2)의 프레임인 제2 프레임(21)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재(31)는 제2 베이스(2)에 일체로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되어, 제2 베이스(2)가 슬라이딩됨에 따라 제2 베이스(2)와 일체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지지부재(31)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31)는 제2 베이스(2)와 일체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지지부재(31)가 곡면으로 형성되는 이유는 베이스에 비해 베이스가 지지하는 부분이 큰 크기를 차지할 수 있도록 하기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베이스(1, 2)가 커짐에 따라 설치되는 면적이 커질 수 있는다. 베이스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면 설치면적도 줄어들게 된다. 다만, 사용자의 신체를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해서 최소한의 크기가 보장될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가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위해 제1 안착부(4) 및 제2 안착부(5)의 크기는 베이스(1, 2)의 너비보다 큰 너비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재(31)는 안착부들과 베이스를 연결하기 위해 곡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작동부(52)는 제2 안착부 프레임(51)에 연결될 때 제2 작동부(52)의 작동으로 인해 제2 안착부(5)가 좌우로 회전되지 않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지지력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유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제2 안착부(5)는 상술한 트위스팅 작동이 가능하므로 제2 프레임(21)의 양측 중 하나에 연결되는 것보다 제2 안착부 프레임(51)의 중심이나 양측 모두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3여기서,"제2 프레임(21)이 형성하는 공간"은 단순히 제2 프레임(21)에 의해 구획되는 부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제2 프레임(21)에 의해 구획되는 부분의 상측 공간까지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제3 안착부(6)는 제1 안착부(4)에 회전 가능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3 안착부(6)는 제3 작동부(62)에 의해 제1 안착부(4)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제3 안착부(6)는 제1 안착부(4)와 약 90도를 이룰 수 있다. 제2 모드가 되면 제3 안착부(6)는 상승하여 사용자의 하중을 골고루 분포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제3 모드에서 제3 안착부(6)는 제1 안착부(4) 및 제2 안착부(5)와 함께 180도를 이룰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100)는 트위스팅부(8)를 포함할 수 있다. 트위스팅부(8)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100)는 제어부(9)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9)는 제1 작동부(42), 제2 작동부(52) 및 제3 작동부(6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9)는 기 입력된 패턴 또는 안마모드에 따라 제1 안착부(4), 제2 안착부(5) 및 제3 안착부(6)의 회전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9)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제1 안착부(4)와 지면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 안착부(5)와 제1 안착부(4)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3 안착부(6)와 지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9)가 제1 안착부(4), 제2 안착부(5) 및 제3 안착부(6)의 회전각도 조절은 서로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사용자에게 안락감을 주기 위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 안착부(4), 제2 안착부(5) 및 제3 안착부(6)는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안착부들의 회전여부는 독립적으로 결정될 수 있으나,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각각의 안착부들의 회전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안착부들이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모드, 제2 모드 및 제3 모드 들간의 모드 변경에 따라 제1 안착부(4), 제2 안착부(5) 및 제3 안착부(6)가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3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제1 안착부(4) 및 제2 안착부(5)의 각도가 180도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100)가 벽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안마장치가 제3 모드를 구현하기 위해 제2 안착부(5)의 길이보다 벽면과 베이스와의 거리가 더 작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베이스(2)가 제1 베이스(1) 상에서 슬라이딩되면 지지부재(31)가 제2 베이스(2)와 함께 이동되므로 제2 안착부(5)의 길이보다 벽면과 제2 베이스(2)의 거리가 짧게 구비되어도 정상적으로 제3 모드가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100)가 제3 모드로 실행되는 경우 트위스팅 작동이 가능할 수 있다.
제어부(9)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트위스팅 작동을 하기 위해서 트위스팅부(8)를 작동시킬 수 있다. 트위스팅부(8)는 제어부(9)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후술하는 탄성부(53)의 작동도 제어부(9)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트위스팅부(8)는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512)을 트위스팅 시킬 수 있다.
제1 안착부(4) 및 제2 안착부(5)가 소정 각도를 형성할 ‹š 트위스팅부(8)가 작동될 수 있다. 이는 제어부(9)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안착부(4) 및 제2 안착부(5)가 180도를 형성할 때 트위스팅부(8)가 작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안착부(4) 및 제2 안착부(5) 모두가 지면에 평행하게 구비될 때 트위스팅부(8)가 작동될 수 있다.
물론, 제1 안착부(4) 및 제2 안착부(5)가 180도를 초과하는 각도일때도 트위스팅부(8)가 작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트레칭작동 중에 트위스팅작동도 함께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트위스팅부(8)는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512)의 너비방향을 기준으로 양측 중 일측을 너비방향의 상측에 위치되고, 타측을 너비방향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512)의 너비방향을 기준으로 양측 중 일측을 너비방향의 하측에 위치되고, 타측을 너비방향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의 작동이 반복되며 사용자의 신체를 트위스팅시켜 사용자에게 스트레칭의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트위스팅부(8)는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512)을 회전시킬 때,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512)의 너비방향과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512)의 너비방향의 중심에 수직인 선을 기준으로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512)의 양측 중 일측으로 20도 내지 25도 기울어지도록 회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2도 기울어질 수 있다..
즉, 트위스팅부(8)의 회동 각도는 약 40도 내지 50도, 바람직하게는 약 45도가 될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의 제2 안착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의 트위스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트위스팅부(8)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트위스팅부(8)를 설명하기에 앞서,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512)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512)은 보조프레임 회전부(5122)와 보조프레임 연동부(5123)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프레임 회전부(5122)는 트위스팅부(8)에 결합되어 트위스팅부(8)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부분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보조프레임 회전부(5122)는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512) 중 트위스팅부(8)에 결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보조프레임 회전부(5122)는 사용자의 신체 중 머리 및 어깨가 안착되는 부분일 수 있다. 보조프레임 회전부(5122)가 회전됨에 따라 사용자의 둔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신체가 자연스럽게 트위스팅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보조프레임 회전부(5122)는 사용자의 신체 중 머리 및 어깨가 안착되고, 보조프레임 회전부(5122)가 형성하는 공간에는 사용자의 허리의 상측이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프레임 회전부(5122)가 회전되면 사용자의 일측 어깨를 타측 어깨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신체는 자연스럽게 트위스트되어 근육이 이완될 수 있다. 일측 어깨의 회전이 끝나면 타측 어깨가 일측 어깨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신체가 자연스럽게 트위스트될 수 있다.
보조프레임 연동부(5123)는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511)에 연결되어 제2 안착부(5)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보조프레임 연동부(5123)는 제2 샤프트 연결부(511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샤프트 연결부(5112)는 지지부재(31)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안착부(5)의 회전축이 되는 제2 샤프트(33)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샤프트 연결부(5112)는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511)과 제2 샤프트(33) 간의 소정거리 이격을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 샤프트 연결부(5112)는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511)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어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512) 중 보조프레임 연동부(5123)가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즉, 지지부재(31)에는 제2 샤프트(33)가 연결되고 제2 샤프트(33)에는 제2 샤프트 연결부(5112)가 연결되므로 보조프레임 연동부(5123)는 지지부재(31) 또는 제2 샤프트 연결부(5112)에 연결될 수 있다.
보조프레임 연동부(5123)는 제2 샤프트 연결부(5112)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신체의 하중이 가해짐에 따라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511)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512) 중 보조프레임 연동부(5123)는 트위스팅부(8)에 의해 회전되는 보조프레임 회전부(5122)에 의해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512)에 안착된 사용자의 신체가 제2 안착부(5)의 양측 중 일측에 하중이 더 많이 가해지도록 위치되면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511)측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조프레임 연동부(5123)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프레임 회전부(5122)의 회전에 의해 종속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조프레임 연동부(5123)와 보조프레임 회전부(5122)는 힌지결합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조프레임 회전부(5122)와 보조프레임 연동부(5123)가 완전히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경우 보조프레임 회전부(5122)가 회전될 때 보조프레임 회전부(5122)와 보조프레임 연동부(5123)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어 원래 상태로 복귀될 때 다칠 수 있다. 따라서 보조프레임 회전부(5122)와 보조프레임 연동부(5123)는 서로 연결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트위스팅부(8)는 웜기어부(81) 및 트위스팅 하우징(80)를 포함할 수 있다.
웜기어부(81)는 웜(811) 및 기어부(812)를 포함할 수 있다.
웜(811)은 나사산이 형성되며 회전되어 후술하는 기어부(812)에 동력을 전달하는 부분일 수 있다. 웜(811)에 형성되는 나사산은 오른 나사 방향 또는 왼 나사 방향이 될 수 있다. 즉, 나사산의 형태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면에서 나타난 방향과 반대로 나사산이 형성되는 경우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한 수준에서 적절히 구조가 변경될 수 있다.
웜(811)은 웜기어부 모터(813)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다. 웜기어부 모터(813)는 후술하는 트위스팅 하우징(80)에 구비되는 모터 수용부(814)에 의해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다.
기어부(812)는 웜(811)의 회전에 따라 웜(811)의 회전축과 수직인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부분일 수 있다.
기어부(812) 중 웜(811)가 연결되는 부분은 단차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톱니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웜(811)과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된 톱니들은 웜(811)이 회전됨에 따라 웜(811)과 이격되면서 이격된 톱니와 이웃하는 톱니가 웜(811)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웜(811)에 형성된 나사산이 톱니의 이탈 및 연결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기어부(812)를 회전시킬 수 있다.
기어부(812) 중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512)과 연결되는 부분은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512)이 결합될 수 있도록 기어부(812)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 결합홈(8121)이 형성될 수 있다. 기어부(812)와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512)의 연결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트위스팅 하우징(80)은 상술한 웜기어부(81)를 수용하는 부분일 수 있다. 트위스팅 하우징(80)은 웜기어부(81)를 수용하는 수용부(801) 및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511)에 결합되는 결합부(80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802)는 수용부(801)에 연결되어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511)에 수용부(801)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결합부(802)는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511)에 형성된 통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802)에 형성된 통공과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511)에 형성된 통공이 일치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때 통공들 간에 볼트결합을 통해 트위스팅 하우징(80)이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511)에 결합될 수 있다.
수용부(801)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웜기어부(81)가 수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수용부(801)의 측면은 기어부(812)가 회전될 때 방해되지 않기 위해 개방될 수 있다.
수용부(801)의 측면이 개방되도록 구비됨으로써 기어부(812)가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801)의 측면이 개방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수용부(801)의 크기가 지나치게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수용부(801)는 기어부(812)의 회전반경보다 크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어부(812)는 웜(811)의 회전에 따라 웜(811)의 회전축과 수직인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수용부(801)의 크기가 지나치게 작은 경우에는 기어부(812)의 회전이 수용부(801)의 크기에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801)의 측면을 개방하여 기어부(812)의 회전에 작용할 수 있는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의 제2 안착부 조립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는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 및 트위스팅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b)는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트위스팅부 및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2 안착부(5)는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511) 및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5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안착부(5)는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511)과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512)을 연결시키는 트위스팅부(8)를 포함할 수 있다.
트위스팅부(8)는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511)의 길이방향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511)의 일단은 지지부재에 결합되고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511)의 타단에는 트위스팅부(8)가 결합될 수 있다.
트위스팅부(8)는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511)에 결합될 수 있다. 기어부(812)에 형성되는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 결합홈(8121)은 제2 안착부(5)의 외측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512)은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 결합홈(8121)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5121)가 구비될 수 있다. 결합돌기(5121)는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51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512) 중 보조프레임 회전부(5122)에 결합돌기(51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기어부(812)의 회전에 따라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512)도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결합돌기(5121)는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 결합홈(8121)에 억지끼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512)과 트위스팅부(8)는 결합을 위해 별도로 다른 부재가 사용되지 않고도 간단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도록 결합되는 경우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511)과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512)은 소정의 이격거리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511)과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 결합홈(8121)은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511)과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 결합홈(8121)의 이격거리는 수용부(801)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웜(811) 및 웜을 구동시키는 웜기어부 모터(813) 등이 수용부(801)의 길이방향 하측에 구비되고 수용부(801)의 길이방향 하측이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511)의 전후방향의 후방까지 연장되어 구비되는 경우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511)과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512)의 이격거리는 상대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반대로, 웜(811) 및 웜을 구동시키는 웜기어부 모터(813) 등이 수용부(801)의 길이방향 하측에 구비되고 수용부(801)의 길이방향 하측이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511)의 전후방향의 후방까지 연장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경우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511)과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512)의 이격거리는 상대적으로 커질 수 있다.
도 10은 본 실시예의 안마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상술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 모두를 생략하는 것은 아니고, 설명의 편의 및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해 일부분은 다시 설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100)는 제1 베이스(1) 및 제2 베이스(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1)는 설치면에 구비되어 지지력을 제공하고 제2 베이스(2)는 제1 베이스(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베이스(2)에는 지지부재(31)가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재(31)는 제1 베이스(1) 및 제2 베이스(2)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재(31)가 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면 사용자의 둔부 중 적어도 일부가 안착될 수 있는 제1 안착부(4)가 소정의 높이에 구비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안마장치(100)를 의자처럼 사용할 수 있다.
지지부재(31)에는 제1 샤프트(32)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샤프트(32)는 지지부재(31)와 별개의 부재로 구비될 수도 있고, 지지부재(3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샤프트(32)는 제1 안착부(4)와 지지부재(31)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샤프트(32)가 제1 안착부(4)와 직접 연결될 필요는 없고, 제1 샤프트(32)와 제1 안착부(4) 사이에 별도의 부재가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안마장치(100)의 크기 또는 설계 상의 이유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지지부재(31)에는 제2 샤프트(33)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샤프트(33)에는 제2 안착부(5)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샤프트(33)는 제1 샤프트(32)와 마찬가지로 지지부재(31)와 별개의 부재로 구비될 수도 있고, 지지부재(3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샤프트(33)는 제2 안착부(5)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안착부(5)는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511) 및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5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511)이 제2 샤프트(33)와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제1 안착부(4) 및 제2 안착부(5)가 형성하는 각도가 180도가 될 때 사용자의 신체가 안착되는 부분인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512)이 제1 안착부(4)와 자연스럽게 연결되기 위해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511)은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512)보다 안마장치(100)의 후방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511)은 제2 안착부(5)가 지면에 평행하게 구비될 때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512)보다 하측에 구비될 수 있고, 제2 안착부(5)가 지면과 소정각도를 형성할 때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511)은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보다 후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기준이 되는 위치에 따라 표현이 달라질 수 있다. 이는 상술한 구조를 통해 자명하게 도출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511)이 제2 샤프트(33)에 연결되기 위해 안마장치(100)에는 제2 샤프트 연결부(5112)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샤프트 연결부(5112)는 일단이 제2 샤프트(33)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511)에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2 샤프트 연결부(5112)는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별도의 부재를 통해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511)에 연결될 수도 있고,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직접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511)에 직접연결될 수도 있다.
즉, 제2 샤프트 연결부(5112)는 제2 안착부(5)가 지면에 평행하게 구비될 때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511)이 제1 안착부 프레임(41)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면 족하다.
이때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512)에 안착된 사용자의 신체가 제2 안착부(5)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중심과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512)의 회전중심이 일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제2 안착부(5)의 각도가 조절될 때 사용자의 머리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안착부(5)가 회전함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가 불필요하게 움직이게 되면 사용자는 안마장치(100)의 모드가 변경됨에 따라 사용자가 다시 자세를 바로잡아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제2 안착부(5)의 각도가 조절될 때 사용자의 머리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되면 안마장치(100)의 모드가 변경되어 제2 안착부(5)의 각도가 조절될 때마다 사용자가 위치가 재설정해야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샤프트(32) 및 제2 샤프트(33)는 지지부재(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지부재(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1, 2)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지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 샤프트(32)는 제2 샤프트(33)보다 지면을 기준으로 지지부재(3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샤프트(32) 및 제2 샤프트(33)가 지지부재(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헤드슬립(Head-slip)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512)이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511)보다 제2 샤프트(33)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512)이 상기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511)보다 사용자의 신체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511)은 지지부재(31)와 연결되어 지지력을 제공하고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512)은 사용자의 신체가 안착된다.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512)의 회전반경과 사용자의 신체의 회전반경이 동심원을 이루면 헤드슬립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1은 종래의 안마장치와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의 작동을 비교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1(a) 및 도 11(b)는 종래의 안마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c) 및 도 11(d)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1(a) 내지 도 11(d)를 참조하여 일례를 들어 설명한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사용자 신체의 회전중심과 제2 안착부(5)의 회전중심이 상이하다.
종래의 경우 제1 샤프트(32)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1 안착부(4) 및 제2 안착부(5)가 회전되고 제1 안착부(4)의 상측에 안착되는 사용자는 엉덩이의 상측 또는 허리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신체의 회전중심과 제2 안착부(5)의 회전중심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제2 안착부(5)가 회전됨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가 제2 안착부(5)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이에 반해 도 11(c) 및 도 11(d)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 안착부(5)의 회전중심이 신체의 회전중심이 일치할 수 있다. 제2 안착부(5)가 제공하는 공간에 사용자의 신체가 안착되므로 제2 안착부(5)의 회전반경은 신체의 회전반경보다 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512)의 회전반경이 신체의 회전반경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512)이 제2 샤프트(33)를 기준으로 회전되고, 제2 샤프트(33)는 인체의 회전중심과 일치하도록 구비되므로 제2 안착부(5)의 회전중심과 인체의 회전중심이 일치될 수 있다.
사용자 신체의 회전중심과 제2 안착부(5)의 회전중심이 일치한다는 것은 엄격하게 판단할 성질의 것은 아니다. 사용자의 자세가 사람마다 다르고 사람마다 신체의 크기나 모양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사람이 안마장치를 사용할 때 제2 안착부(5)의 회전중심과 인체의 회전중심이 일치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신체의 회전중심과 제2 안착부의 회전중심이 일치한다는 것은 완벽하게 회전중심이 일치한다기 보다 사용자의 신체 회전중심과 제2 안착부의 회전중심이 최대한 동일하게 위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명세서에서 사용자 신체의 회전중심과 제2 안착부의 회전중심이 일치한다는 것의 의미는 사용자 신체의 회전중심과 제2 안착부의 회전중심이 서로 가능한 가장 근접하게 위치되어 사용자의 헤드슬립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의 작동도이고,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의 작동도이고 도 14는 안마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4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드 및 작동이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의 제어방법은 입력단계(S10), 모드판단단계(S2), 각도조절단계(S3, S4) 및 정렬단계(S5)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단계(S10)는 안마장치(100)의 모드나 특정 작동이 입력되는 단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100)는 제1 안착부(4) 및 제2 안착부(5)의 각도가 변화될 수 있다.
안마장치(100)는 안마장치(100)가 비통전시 상태의 형태 즉, 의자의 형태를 띠는 제1 모드, 사용자가 안착되었을 때 사용자의 허리측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제2 모드, 제1 안착부(4) 및 제2 안착부(5)가 지면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제3 모드가 구현 가능하다. 즉, 안마장치(100)는 제1 모드 내지 제3 모드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안마장치(100)는 제2 안착부(5)가 제2 안착부(5)의 너비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제2 안착부(5)의 양측이 서로 번갈아가며 상하로 회전되는 트위스팅 작동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안마장치(100)는 제1 안착부(4) 및 제2 안착부(5)가 형성하는 각도가 180도를 초과하는 스트레칭 작동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입력단계(S10)는 안마장치(100)가 제3 모드로 변경되거나 트위스팅 작동 또는 스트레칭 작동이 입력되는 단계일 수 있다.
트위스팅 작동 또는 스트레칭 작동은 제3 모드에서 수행될 수 있다.
트위스팅 작동은 제3 모드에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위스팅부(8)가 다른 부품들에 간섭되지 않는다면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에서 작동될 수 있다.
스트레칭 작동은 제1 안착부(4)와 제2 안착부(5)가 형성하는 각도가 180도를 초과하도록 수행되는 작동이므로 제1 안착부(4)와 제2 안착부(5)가 180도를 형성하는 제3 모드로 변경되는 것이 선행되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입력단계(S10)는 상기 제1 안착부(4) 및 상기 제2 안착부(5)가 지면에 평행하게 위치되는 모드 또는 상기 제1 안착부(4) 및 상기 제2 안착부(5)가 지면에 평행하게 위치되는 모드에서 실행되는 작동이 입력되는 단계일 수 있다.
입력단계(S10)에서 제3 모드로 변경되는 명령이 입력되면 모드판단단계(S2)가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안마장치(100)가 제1 모드인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S21)할 수 있다. 안마장치가 제1 모드가 아니라면 제2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S22)할 수 있다. 안마장치(100)가 제1 모드 및 제2 모드가 아니라면, 제3 모드인 상태이므로 별도의 모드변경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모드변경이 입력된 상태라면 별다른 모드변경이 수행되지 않고, 트위스팅 작동 또는 스트레칭 작동이 입력된 경우면, 트위스팅 작동 또는 스트레칭 작동이 수행될 수 있다.
모드판단단계(S2)에서는 반드시 안마장치가 제1 모드인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S21)이 제2 모드인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S22)보다 먼저 실행될 필요는 없다.
안마장치(100)가 제3 모드가 아니라면, 각도조절단계(S3, S4)가 수행될 수 있다.
각도조절단계(S3, S4)는 모드판단단계(S2)에서 판단된 모드에 기초하여 제1 안착부(4) 및 제2 안착부(5)의 각도를 조절하는 단계일 수 있다.
각도조절단계(S3, S4)는 안마장치가 제1 모드인 상태에서 수행되는 제1 각도조절단계(S3) 및 안마장치가 제2 모드인 상태에서 수행되는 제2 각도조절단계(S4)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각도조절단계(S3)는 안마장치(100)가 제1 모드인 상태에서 수행되므로, 제1 안착부(4)가 회전되는 제1 안착부 작동단계(S31)가 수행될 수 있다.
제1 안착부 작동단계(S31)는 제1 안착부(4)가 지면과 형성하는 각도가 커지는 단계일 수 있다. 제1 안착부(4)는 지면과 7도 내지 12도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안착부(4)는 약 10도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안착부(4)는 사용자의 신체가 제2 안착부(5)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면과 소정각도를 형성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제1 안착부 작동단계(S31)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가 안마장치(100) 내에서 제2 안착부(5)를 따라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잇다.
제1 안착부 작동단계(S31)가 완료되면 제2 안착부 작동단계(S33)가 수행될 수 있다.
제2 안착부 작동단계(S33)는 제2 안착부(5)가 지면과 평행하게 조절되는 단계일 수 있다. 제2 안착부 작동단계(S33)에서 제1 안착부(4)의 회전이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2 안착부 작동단계(S33)에서는 제2 안착부(5)만 작동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제1 안착부 작동단계(S31)가 완료된 후 제1 안착부(4)는 지면과 약 10도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2 안착부 작동단계(S33)에서는 제2 안착부(5)가 지면을 향해 회전되기 전 제1 안착부(4)가 더 상승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안착부(4)가 지면과 형성하는 각도가 18도 내지 22도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안착부(4)가 지면과 형성하는 각도가 약 20도가 되도록 제1 안착부(4)가 회전될 수 있다.
제2 안착부(5)가 회전되기 전 제1 안착부(4)의 각도가 상승되면 제2 안착부(5)가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회전될 때 사용자의 상체가 제2 안착부(5)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강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제1 안착부(4)의 각도를 크게 하여 사용자의 머리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다시 자세를 바로잡지 않아도 안마장치가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다.
제2 안착부 작동단계(S33)는 제2 안착부(5)가 지면을 향해 회전되는 단계일 수 있다. 안마장치(100)가 제3 모드로 변경되기 위해서는 제2 안착부(5)가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트위스팅 작동 및 스트레칭 작동이 수행되기 위해서 안마장치는 제3 모드로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안마장치가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 제2 안착부 작동단계(S33)는 제3 모드로의 변경 또는 트위스팅 작동 또는 스트레칭 작동을 위해 필수적으로 필요한 단계일 수 있다.
제2 안착부(5)가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되면 상승한 제1 안착부(4)가 다시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정렬단계(S5)가 수행될 수 잇다.
정렬단계(S5)는 제1 안착부(4)가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되며 제3 모드가 구현되는 마지막 단계일 수 있다.
정렬단계(S5)를 통해 사용자는 안마장치(100) 상에 신체를 안착시켜 안마를 수행하거나 트위스팅 작동 또는 스트레칭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안착부 작동단계(S31)와 제2 안착부 작동단계(S33) 사이에 제3 안착부 작동단계(S32)가 수행될 수 있다. 제3 안착부 작동단계(S32)는 제1 안착부(4)가 상승됨에 따라 제3 안착부(6)도 함께 각도가 조절되는 단계일 수 있다.
제3 안착부(6)는 제1 모드에서는 제1 안착부(4)와 약 90도를 이루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안착부 작동단계(S31)가 수행됨에 따라 제1 안착부(4)의 지면과의 각도가 커지면 제3 안착부(6)는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정렬단계(S5)를 통해 제1 안착부(4)가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될 때에도 제1 안착부(4)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제3 안착부(6)가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즉, 정렬단계(S5)에서도 제3 안착부(6)가 회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안마장치가 제2 모드로 작동하고 있을 때 입력단계(S10)에서 명령입력된 경우에 대해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안마장치(100)가 제2 모드인 상태라면 제1 안착부(4)가 이미 지면과 약 20도의 각도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제1 안착부 작동단계(S31)와 같은 단계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안마장치(100)가 제2 모드인 경우 곧바로 제2 안착부 작동단계(S42)가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안마장치(100)가 제1 모드인 경우에 비해 빠르게 제3 모드로 모드가 변경될 수 있다.
안마장치(100)가 제2 모드에서 제3 안착부(6)가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하지 않는다면 제2 안착부 작동단계(S42)가 수행되기 전에 제3 안착부 작동단계(S41)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제3 안착부(6)는 제1 안착부(4)가 지면과 약 20도를 형성하는 위치에서 지면과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3 안착부(6)가 지면과 평행하게 구비됨에 따라 제1 안착부(4)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에게 안락감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안착부 작동단계(S42)가 수행되고 나면 정렬단계(S5)가 수행될 수 있다. 정렬단계(S5)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제1 베이스 11: 제1 프레임 2: 제2 베이스 21: 제2 프레임
3: 지지부 31: 지지부재 32: 제1 샤프트 33: 제2 샤프트
4: 제1 안착부 41: 제1 안착부 프레임 42: 제1 작동부
5: 제2 안착부 51: 제2 안착부 프레임 511: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
511-1: 메인프레임 회전부 511-2: 메인프레임 고정부
5111: 회전 연결부 5112: 제2 샤프트 연결부 5113: 메인프레임 지지부
5114: 트위스팅 지지부 512: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 5121: 결합돌기
5122: 보조프레임 회전부 5123: 보조프레임 연동부 5123a: 제1 연동부
6: 제3 안착부 61: 제3 안착부 프레임 62: 제3 작동부
M: 마사지부 M1: 제1 마사지부 M2: 제2 마사지부 M3: 제3 마사지부
7: 팔안착부 8: 트위스팅부 80: 트위스팅하우징 801: 수용부 802: 결합부
81: 웜기어부 811: 웜 812: 기어부 8121: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 결합홈
8122: 트위스팅 샤프트 813: 웜기어부 모터 814: 모터 수용부 9: 제어부

Claims (12)

  1. 설치면에 구비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의 둔부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될 수 있는 제1 안착부;
    상기 지지부재에 상기 제1 안착부와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의 둔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신체가 지지되고 사용자의 신체를 안마하는 안마부가 구비되는 제2 안착부;
    상기 제1 안착부가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제1 샤프트; 및
    상기 제2 안착부가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제2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샤프트는 상기 지지부재가 연장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샤프트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안착부가 회전될 때 상기 제2 안착부와 상기 제2 안착부에 지지되는 사용자의 신체의 회전중심이 일치되는 안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설치면에 안착되는 제1 베이스; 및
    상기 제1 베이스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베이스;를 포함하는 안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에는 상기 제2 베이스를 작동시키는 베이스 작동부가 구비되는 안마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부를 회전시키는 제1 작동부;
    상기 제2 안착부를 작동시키는 제2 작동부; 및
    상기 제2 베이스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작동부 및 상기 제2 작동부가 연결되는 작동 연결부;를 포함하는 안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부 및 상기 제2 작동부는 엑추에이터로 구비되는 안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안마부가 수용되며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
    상기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안착부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트위스팅부; 및
    상기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과 이격되도록 상기 트위스팅부에 결합되는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를 포함하는 안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과 상기 제2 샤프트를 연결하는 제2 샤프트 연결부를 포함하는 안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샤프트 연결부는 상기 제1 샤프트 및 상기 제2 샤프트의 이격거리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안마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의 회전반경은 사용자의 인체의 회전반경보다 큰 안마장치.
  10. 제6항에 잇어서,
    상기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이 상기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보다 사용자의 신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안마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의 일단은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의 타단은 상기 트위스팅부와 결합되는 안마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트위스팅부는,
    상기 제2 안착부 보조프레임을 회전시키는 웜기어부; 및
    상기 웜기어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2 안착부 메인프레임에 결합되는 트위스팅 하우징;을 포함하는 안마장치.
KR1020200032152A 2020-03-16 2020-03-16 안마장치 KR202101158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152A KR20210115828A (ko) 2020-03-16 2020-03-16 안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152A KR20210115828A (ko) 2020-03-16 2020-03-16 안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828A true KR20210115828A (ko) 2021-09-27

Family

ID=77925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152A KR20210115828A (ko) 2020-03-16 2020-03-16 안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582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519B1 (ko) 2011-08-01 2013-01-15 (주)서흥메가텍 침대형 자동 멀티플렉스 마사지기
KR101810501B1 (ko) 2016-06-27 2017-12-20 김영해 매트리스용 안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519B1 (ko) 2011-08-01 2013-01-15 (주)서흥메가텍 침대형 자동 멀티플렉스 마사지기
KR101810501B1 (ko) 2016-06-27 2017-12-20 김영해 매트리스용 안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8960B1 (ko) 곡형 레일을 갖춘 마사지 의자
US20190160253A1 (en) Method for operating a sleep mode in a massage chair using progressive muscular relaxation and the massage chair capable of using the same
SG189446A1 (en) Chair-type massage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chair-type massage device
US20150305954A1 (en) Balance bed
KR20160098740A (ko) 등 및 허벅지 안마를 위한 롤러를 구비한 안마의자
US20200022867A1 (en) Treatment unit and massage machine using treatment unit
KR20060027736A (ko) 전신 안마기
JP4037674B2 (ja) 椅子
KR20210115779A (ko) 안마장치
KR20210115828A (ko) 안마장치
KR20210115824A (ko) 안마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108099A (ko) 안마장치
KR20210115827A (ko) 안마장치
KR20210115823A (ko) 안마장치
KR20210108101A (ko) 안마장치
KR20210108100A (ko) 안마장치
KR20210115826A (ko) 안마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115835A (ko) 안마장치
KR20210115804A (ko) 안마장치
CN213075097U (zh) 折叠按摩躺椅
KR20210115825A (ko) 안마장치
KR20210115836A (ko) 안마장치
KR101152803B1 (ko) 기능성 쿠션시트
KR20210108135A (ko) 안마장치
KR20210020212A (ko) 안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