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5398A - Drone-based wild animal combat system - Google Patents

Drone-based wild animal comba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5398A
KR20210115398A KR1020200031111A KR20200031111A KR20210115398A KR 20210115398 A KR20210115398 A KR 20210115398A KR 1020200031111 A KR1020200031111 A KR 1020200031111A KR 20200031111 A KR20200031111 A KR 20200031111A KR 20210115398 A KR20210115398 A KR 20210115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animal
area
sens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1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현승
Original Assignee
㈜글로벌인터렉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벌인터렉티브 filed Critical ㈜글로벌인터렉티브
Priority to KR1020200031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5398A/en
Publication of KR20210115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39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odoriferous substances, e.g. aromas, pheromones or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0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mechan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5/00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B64C2201/14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1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autonomous, i.e. by navigating independently from ground or air stations, e.g. by using inertial navigation systems [INS]
    • B64U2201/102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autonomous, i.e. by navigating independently from ground or air stations, e.g. by using inertial navigation systems [INS] adapted for flying in form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0/00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based wild animal eradicating system comprising: at least three sensors which are distributed and installed outside a sensing area, and output a sensing signal by sensing at least one among sound, movement, and smell generated by an animal; at least one drone which outputs sound, light, and smell for animal eradication while flying through an animal intrusion area after identifying the animal intrusion area by receiving and analyzing each sensing signal; and at least one drone charging device which is installed outside the sensing area, supports docking of the drone, and charges the docked drone. The drone calculates a current flight position by analyzing the sensing signal depending on a triangulation technique, and performs a position control operation to allow the current flight position to correspond to the animal intrusion area.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and eradicates intrusion of a wild animal.

Description

드론 기반의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Drone-based wild animal combat system}Drone-based wild animal combat system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하여 농작지와 같은 감시 영역에 칩입한 야생동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지 및 퇴치할 수 있도록 하는 드론 기반의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based wildlife extermination system capable of more effectively detecting and eradicating wild animals that have invaded a surveillance area such as a farmland using a drone.

일반적으로,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가에서는 수확기를 앞두고 노루, 멧돼지, 조류 등의 유해한 야생동물의 침입에 의하여 막대한 수확량의 손실이 있음에 따라 야생 동물의 퇴치를 위하여 여러 가지 수단이 동원되고 있다.In general, in farmhouses cultivating crops, various means are mobilized to combat wild animals as there is a huge loss of yield due to intrusion of harmful wild animals such as roe deer, wild boar, and birds ahead of the harvest season.

그 대표적인 종래의 유해동물 퇴치수단에는 논이나 밭, 과수원 등에 그물망을 펜스로 이용하거나 철책(펜스) 및 철조망에 고압을 흘려 보내는 조형물을 설치하는 것에서부터 호랑이와 같은 천적의 배설물을 배치하여 유해 동물의 후각을 자극하여 침입 및 접근을 방지하는 동물퇴치수단 등이 사용되고 있다.The representative conventional means of repelling harmful animals include using nets as fences in rice fields, fields, orchards, etc., or installing sculptures that send high pressure to iron fences and barbed wire, to placing excrement of natural enemies such as tigers to control harmful animals. Animal repelling means that stimulate the sense of smell to prevent invasion and access are being us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유해 동물퇴치수단에 의하면 상기 퇴치수단을 위한 그물망은 멧돼지 등과 같이 힘있고 덩치가 큰 유해동물에게는 그 효과를 신뢰 할 수 없거나 일시적인 방편으로 시설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철책과 철조망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인력 동원 및 시설 설비 경비 소요가 높아지고 한번 시설된 설비를 재사용을 위하여 옮겨 사용하는 방법 등에서는 많은 문제점이 있으며, 철조망에 고압을 흘려보내는 방법 등은 기본적으로 전원 공급이 지속되어야하는 환경 즉, 전기 인입이 용이한 지역에서만 가능하고 지속적인 유지보수가 필요하며 또한 주변의 사람이나 가축이 놀라거나 다치는 등 안전상의 문제점이 상존하고 있으며 천적 등의 배설물을 이용하는 방법 등도 현실적으로 천적이 없는 상황에서 배설물을 구하기가 용이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harmful animal extermination means as described above, the net for the repelling means is not reliable for its effect on powerful and bulky harmful animals such as wild boars, or it is used as a temporary facility, and iron fences and barbed wire are used. In order to install it, the cost of mobilizing manpower and facility equipment is high, and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e method of transferring and using the equipment once installed for reuse. , it is possible only in an area where electricity is easily accessible, requires continuous maintenance, and there are safety problems such as surprise or injury to people or livestock nearby. There were problems such as not being easy to obtain.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하여 야생동물의 침입을 감지하고 퇴치할 수 있도록 하는 드론 기반의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one-based wild animal extermination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eradicating the invasion of wild animals using a drone.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bject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감시 영역의 외곽에 분산 설치되어, 동물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 움직임, 및 냄새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여 센싱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세 개의 센서; 상기 센싱 신호 각각을 수신 및 분석하여 동물 침입 영역을 파악한 후, 상기 동물 침입 영역을 비행하면서 동물 퇴치를 위한 소리, 빛, 냄새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드론; 상기 감시 영역의 외곽에 설치되어, 상기 드론의 도킹을 지원하고, 도킹된 상기 드론을 충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드론 충전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드론은 상기 센싱 신호를 삼각 측량 기법에 따라 분석하여 현재 비행 위치를 산출하며, 상기 현재 비행 위치가 상기 동물 침입 영역에 일치되도록 위치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기반의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을 제공한다. 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hree are distributed and installed outside the monitoring area to sense at least one of a sound, a movement, and a smell generated by an animal to output a sensing signal. dog sensors; at least one drone that receives and analyzes each of the sensing signals to identify an animal invasion area, and outputs sound, light, and smell for animal extermination while flying over the animal invasion area; at least one drone charging device installed outside the monitoring area to support the docking of the drone and to charge the docked drone, wherein the drone analyzes the sensing signal according to a triangulation technique and is currently flying A drone-based wildlife extermination system is provided, which calculates a position and performs a position control operation so that the current flight position matches the animal intrusion area.

상기 드론은 비행 가능한 비행 본체; 동물 퇴치를 위한 소리, 빛, 냄새를 출력하는 동물 퇴치 장치; 상기 센서들과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여 상기 센싱 신호들을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센싱 신호 각각의 신호 세기로부터 센서 거리 각각을 유추한 후, 센서 거리를 삼각 측량 기법에 따라 분석하여 현재 비행 위치를 산출하는 드론 위치 추적부; 상기 센싱 신호들을 수신 및 분석하여 동물 침입 영역을 파악하는 동물 침입 영역 검출부; 상기 동물 침입 영역의 검출시에는 상기 현재 비행 위치가 상기 동물 침입 영역에 일치되도록 상기 비행 본체의 비행 위치를 실시간 제어하되, 상기 동물 침입 영역의 미 검출시에는 상기 비행 본체를 상기 드론 충전 장치로 위치 이동시키는 드론 제어부; 및 상기 드론 충전 장치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전력을 배터리에 충전하고, 배터리 충전 전압을 이용하여 드론 구동 전원을 생성 및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rone may include a flight body capable of flying; an animal repelling device that outputs sound, light, and odor for repelling animal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sensing signals by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nsors; After inferring each sensor distance from the signal strength of each of the sensing signals, the drone position tracking unit for calculating the current flight position by analyzing the sensor distance according to the triangulation technique; an animal invasion area detection unit for receiving and analyzing the sensing signals to identify an animal invasion area; When the animal intrusion area is detected, the flight position of the flight body is controlled in real time so that the current flight position matches the animal intrusion area, but when the animal intrusion area is not detected, the flight body is positioned as the drone charging device a drone control unit that moves; and a power supply unit that charges a battery with power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drone charging device, and generates and supplies drone driving power using a battery charging voltage.

상기 드론 제어부는 배터리 충전 전압이 기 설정치 이하이면, 상기 비행 본체를 상기 드론 충전 장치로 위치 이동시키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When the battery charging voltag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the dron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es a function of moving the flight body to the drone charging device.

상기 드론은 상기 비행 본체의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센싱 및 통보하는 장애물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ron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obstacle detection sensor for sensing and notifying an obstacle located in front of the flight body.

상기 드론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의 센싱 결과에 따라 장애물 회피 주행 동작을 추가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rone control unit may additionally perform an obstacle avoidance driving operation according to a sensing result of the obstacle detection sensor.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는 360도 회전 기능을 구비한 3차원 레이저 스캐너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bstacle detection senso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mplemented as a three-dimensional laser scanner having a 360 degree rotation function.

상기 드론 제어부는 동물 종류별로 주행 패턴을 달리 설정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ron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function of setting a different driving pattern for each animal type.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하여 야생동물의 침입을 감지하고 퇴치할 수 있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detect and combat the invasion of wild animals using drones.

또한 별도의 GPS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센싱 장치에 의해 생성 및 제공되는 활용하여 드론의 현재 비행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소한의 장치로 보다 정확한 위치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without having a separate GPS devic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current flight position of the drone by utilizing the generated and provided by the sensing device, so that a more accurate position control operation can be performed with a minimum number of devices.

뿐 아니라 드론의 도킹 및 충전 동작을 구비하는 드론 충전 장치를 이용하여, 드론은 감시 영역에 상시 배치하고 상시 구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드론 구동을 위한 사용자 개입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by using a drone charging device having a docking and charging operation of the drone, the drone is always placed in the monitoring area and can be operated at all times, so that user intervention for driving the drone can be minimized.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기반의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충전 장치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현재 비행 위치 산출을 위한 삼각 측정 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기반의 유해동물 퇴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 기반의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and 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drone-based wild animal extermin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a drone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triangulation method for calculating a current flight position of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drone-based pes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drone-based wild animal extermin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following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devise various devices which, although not explicitly described or shown herein, embody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o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conditional terms and examples listed herein are, in principle, expressly intended solely for the purpose of enabling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understood, and not limited to the specifically enumerated embodiments and states as such. should be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Moreo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detailed description reciting specific embodiments, as well as principles, aspects,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nclude structural and functional equivalents of such matter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such equivalents include not only currently known equivalents, but also equivalents developed in the future, i.e., all devices invented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regardless of structure.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us, for example, the block diagrams herein are to be understood as representing conceptual views of illustrative circuitry embodying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Similarly, all flowcharts, state transition diagrams, pseudo code, etc. may be tangibly embodied on computer-readable media and be understood to represent various processes performed by a computer or processor, whether or not a computer or processor is explicitly shown. should be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The functions of the various elements shown in the figures including a processor or functional blocks represented by similar concepts may be provided by the use of dedicated hardware as well as hardware having the ability to execute software in association with appropriate software. When provided by a processor, the functionality may be provided by a single dedicated processor, a single shared processor, or a plurality of separate processors, some of which may be shared.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clear use of terms presented as processor, control, or similar concepts should not be construed as exclusively referring to hardware having the ability to execute software, and without limitation,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hardware, ROM for storing software. It should be understood to implicitly include (ROM), RAM (RAM) and non-volatile memory. Other common hardware may also be included.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claim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component expressed as a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ncludes, for example, a combination of circuit elements that perform the function or software in any form including firmware/microcode, etc. It is intended to include all methods of performing the functions of the device, coupled with suitable circuitry for executing the software to perform the functions.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by these claims is combined with the functions provided by the various enumerated means and combined in a manner required by the claims, any means capable of providing the functions are equivalent to those contemplated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relation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will b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기반의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and 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drone-based wild animal extermin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감시 영역의 외곽에 분산 설치되어, 동물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 움직임, 및 냄새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여 센싱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3개의 센싱 장치(100), 센싱 신호들을 수신 및 분석하여 동물 침입 영역을 파악한 후, 동물 침입 영역의 상공을 비행하면서 동물 퇴치를 위한 소리, 빛, 냄새를 출력하는 드론(200), 감시 영역의 외곽에 설치되어, 드론(200)의 도킹을 지원하고, 도킹된 상기 드론을 충전시키는 드론 충전 장치(300) 등으로 구성된다. 1 and 2,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tributed around the monitoring area, and senses at least one of sounds, motions, and smells generated by animals and outputs a sensing signal. The sensing device 100, the drone 200 that receives and analyzes the sensing signals to identify the animal invasion area, and then flies over the animal invasion area and outputs sound, light, and smell for animal extermination, is located outside the monitoring area. It is installed, supports docking of the drone 200, and consists of a drone charging device 300 that charges the docked drone, and the like.

특히, 드론(200)은 센싱 신호 각각의 신호 세기로부터 센싱 장치와의 거리 각각을 유추한 후, 센싱 장치와의 거리를 삼각 측량 기법에 따라 분석하여 현재 비행 위치를 산출한다. 그리고 현재 비행 위치가 센싱 신호들로부터 추출된 동물 침입 영역에 일치되도록 위치 제어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별도의 GPS 장치 없이도 드론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이에 기반한 드론 위치 제어 동작을 보다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the drone 200 infers each distance to the sensing device from the signal strength of each sensing signal, and then analyzes the distance to the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triangulation technique to calculate the current flight position. And by performing a position control operation so that the current flight position matches the animal intrusion area extracted from the sensing signal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drone can be identified without a separate GPS device, and the drone position control operation based on this can be performed more precisely. there will be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장치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센싱 장치(100)는 소정 높이를 가지는 센서 지지대(110)와, 센서 지지대(1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센싱부(120) 및 무선 통신부(130)로 구현된다. Referring to FIG. 3 , the sens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with a sensor support 110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 sensing unit 12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nsor support 110 . .

센싱부(120)는 이들을 통해 감시 영역에 침입한 동물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 움직임, 및 냄새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여 센싱 신호를 출력한다. 이는 기 설정된 크기 또는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소리 발생을 센싱 및 통보하는 소리 센서, 움직임 발생 여부를 센싱 및 통보하는 움직임 센서, 기 설정된 화학 성분의 발생 여부를 센싱 및 통보하는 냄새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여 구현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120 senses at least one of a sound, a movement, and a smell generated by an animal that invades the monitoring area through these, and outputs a sensing signal. This includes at least one of a sound sensor for sensing and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 sound belonging to a preset size or frequency band, a motion sensor for sensing and notifying whether a motion occurs, and an odor sensor for sensing and notifying whether a preset chemical component is generated can be implemented.

무선 통신부(130)는 드론(200)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 및 운영하며, 센싱부(120)의 센싱 신호를 무선 송출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forms and operate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drone 200 , and wirelessly transmits a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120 .

특히, 본 발명의 센싱 장치(100)는 센서 지지대(110)를 통해 소정 높이 이상에서 동물 센싱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지상에 존재하는 각종 장애물에 의한 센싱 오류 발생을 사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In particular, the sens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n animal sens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height or higher through the sensor support 110 ,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sensing error due to various obstacles existing on the ground in advanc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충전 장치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a drone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드론(200)은 소정 높이를 가지는 드론 지지대(310)와, 드론 지지대(310)의 상측에 설치된 도킹부(320) 및 충전부(330)로 구현된다. Referring to FIG. 4 , the dron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with a drone support 310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docking unit 320 and a charging unit 330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drone support 310 .

도킹부(320)는 드론(200)의 도킹을 지원한다. 즉, 드론(200)의 이/착륙을 지원하며, 착륙 완료된 드론(200)을 위치 고정시켜준다. The docking unit 320 supports docking of the drone 200 . That is, it supports take-off/landing of the drone 200 and fixes the position of the drone 200 that has landed.

충전부(330)는 상용 전력을 수신 및 이용하여 드론 충전 전력을 생성 및 공급한다 이때, 충전부(330)는 유선 방식으로 드론(200)을 충전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나, 필요한 경우 무선 방식으로 드론 충전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도록 한다. The charging unit 330 receives and uses commercial power to generate and supply drone charging power. At this time, the charging unit 330 may supply charging power to the drone 200 in a wired manner, but, if necessary, a drone charging operation in a wireless manner. to be able to perform

또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풍력 발전 시스템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 발전 시스템이 구비된 경우에는, 사용 전력 이외에 신재생 에너지를 추가 이용하여 드론 충전 전력을 생성 및 공급할 수도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when a new and renewable energy generation system such as a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and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d supply drone charging power by additionally using new and renewable energy in addition to the used power.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드론(200)은 비행 가능한 비행 본체(210), 비행 본체(210)에 내장된 동물 퇴치 장치(220), 무선 통신부(230), 드론 위치 추적부(240), 동물 침입 영역 검출부(250), 장애물 센싱 장치(260), 드론 제어부(270), 전원 공급부(280) 등으로 구현된다. Referring to FIG. 5 , the dron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ightable body 210 , an animal repelling device 220 built into the flight body 210 ,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30 , and a drone location tracking unit 240 . , an animal intrusion area detection unit 250 , an obstacle sensing device 260 , a drone control unit 270 , a power supply unit 280 , and the like.

비행 본체(210)는 비행 가능한 구조 및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구동 모터와 복수의 프로펠러를 구비하고, 복수의 구동 모터 각각을 통해 프로펠러 각각의 회전 속도 및 방향을 조정함으로써, 드론의 이동 속도, 방향, 고도 등을 제어한다. The flight body 210 may have a structure and configuration capable of flying. For example, it includes a plurality of driving motors and a plurality of propellers, and controls the moving speed, direction, altitude, etc. of the drone by adjusting the rotation speed and direction of each of the propellers through each of the plurality of driving motors.

동물 퇴치 장치(220)는 스피커, 조명, 냄새 분사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동물 퇴치를 위한 소리, 빛, 냄새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한다. 이때, 소리, 빛, 냄새의 발생 패턴은 동물의 종류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은 물론 당연하다. The animal repelling device 220 includes at least one of a speaker, a lighting, and a smell spraying device, and outputs at least one of a sound, light, and smell for repelling animals through this. In this cas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generation pattern of sound, light, and smell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ype of animal.

무선 통신부(230)는 센싱 장치(100) 각각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 및 운영하며, 센싱 장치(100) 각각의 전송하는 센싱 신호를 무선 수신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30 forms and operate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with each of the sensing devices 100 , and wirelessly receives a sensing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sensing devices 100 .

드론 위치 추적부(240)는 센싱 신호 각각의 신호 세기로부터 센싱 장치와의 거리 각각을 유추한 후, 이들 거리를 삼각 측량 기법에 따라 분석하여 현재 비행 위치를 산출한다. The drone position tracking unit 240 infers each distance from the sensing device from the signal strength of each sensing signal, and then analyzes these distances according to the triangulation technique to calculate the current flight position.

삼각 측량 기법은 어떤 한 점의 좌표와 거리를 삼각형의 성질을 이용하여 알아내는 방법으로, 특히 본 발명은 도 6에서와 같이 센싱 장치(100) 각각의 고정 위치값을 (x1,y1), (x2,y2), (x3,y3)로 정의하고, 센싱 장치와의 거리 각각을 d1,d2,d3로 설정한 후, 센싱 장치(100) 각각에 대응되는 세 개의 구면을 생성하고, 이들 구면의 접점을 드론의 현재 비행 위치(x,y)로 획득하도록 한다. The triangulation technique is a method of finding out the coordinates and distance of a point using the properties of a triangle, and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xed position value of each of the sensing devices 100 as shown in FIG. 6 (x1, y1), ( x2, y2), (x3, y3) are defined, and distances from the sensing device are set to d1, d2, d3, respectively, three spher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nsing devices 100 are generated, and the Acquire the contact point as the drone's current flight position (x,y).

동물 침입 영역 검출부(250)는 센싱 신호들을 통해 동물 침입을 감지한 센싱 장치(100) 각각을 파악하고, 해당 센싱 장치들의 위치 기반으로 동물 침입 영역을 역추적한다. The animal intrusion area detection unit 250 detects each of the sensing devices 100 that have detected an animal intrusion through sensing signals, and traces back the animal intrusion area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sensing devices.

장애물 센싱 장치(260)는 비행 본체(210)의 전방에 위치하는(즉, 비행 경로상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센싱 및 통보한다. The obstacle sensing device 260 senses and notifies an obstacle located in front of the flight body 210 (ie, located on the flight path).

드론 제어부(270)는 동물 칩임 여부를 확인한 후, 동물 침입이 감지되면 드론(200)을 이륙시킨 후, 드론(200)의 현재 비행 위치가 동물 침입 영역에 일치되도록 비행 본체(210)의 위치를 실시간 제어한다. 반면 동물 침입이 미감지되면, 비행 본체(210)를 드론 충전 장치(300)로 위치 이동시킨다. 또한 장애물 센싱 장치(260)의 센싱 결과에 따라 장애물 회피 주행 동작을 추가 수행하기도 한다. The drone control unit 270 checks whether an animal chip is an animal chip, and when an animal invasion is detected, takes off the drone 200, and then adjusts the position of the flight body 210 so that the current flight position of the drone 200 matches the animal intrusion area. Real-time control. On the other hand, when the animal intrusion is not detected, the flight body 210 is moved to the drone charging device 300 . In addition, an obstacle avoidance driving operation is additional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sensing result of the obstacle sensing device 260 .

또한 배터리 충전 전압을 체크하여, 기 설정치 이하가 되면 동물 침입 여부와 상관없이 비행 본체(210)를 우선적으로 드론 충전 장치(300)로 위치 이동시킨다. In addition, the battery charging voltage is checked, and when it is less than a preset value, the flight body 210 is preferentially moved to the drone charging device 300 regardless of whether an animal has invaded or not.

전원 공급부(280)는 드론 충전 장치(300)로부터 전송되는 전력을 배터리에 충전하고, 배터리 충전 전압을 이용하여 드론 구동 전원을 생성 및 공급한다. The power supply unit 280 charges the battery with power transmitted from the drone charging device 300 , and generates and supplies drone driving power using the battery charging voltage.

도 7 내지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기반의 유해동물 퇴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7 to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drone-based pes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드론 제어부(270)는 감시 영역 전체를 센싱 장치(100) 각각의 설치 위치 및 센싱 범위에 기반하여 다수의 영역(Area1~4)으로 세분화한다. First, the drone control unit 270 subdivides the entire monitoring area into a plurality of areas Areas 1 to 4 based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sensing range of each of the sensing devices 100 .

센싱 장치(100) 각각을 통해 동물 침입 여부를 센싱한다. It is sensed whether an animal has invaded through each of the sensing devices 100 .

만약, 영역1에 대응되는 센싱 장치(100)가 동물 침입을 센싱 및 통보하면, 영역1을 동물 침입 영역으로 설정하고, 영역1 및 2에 대응되는 센싱 장치(100)가 동물 침입을 센싱 및 통보하면, 영역1 및 2을 동물 침입 영역으로 설정하고, 영역1 내지 3에 대응되는 센싱 장치(100)가 동물 침입을 센싱 및 통보하면, 영역1 내지 3을 동물 침입 영역으로 설정하고, 영역1 내지 4에 대응되는 센싱 장치(100) 모두가 동물 침입을 센싱 및 통보하면, 영역1 내지 4 모두를 동물 침입 영역으로 설정한다. 즉, 해당 센싱 장치들의 위치 기반으로 동물 침입 영역을 역추적한다. If the sensing device 100 corresponding to the area 1 senses and notifies an animal invasion, the area 1 is set as an animal invasion area, and the sensing device 100 corresponding to the areas 1 and 2 senses and notifies the animal invasion. Then, the areas 1 and 2 are set as animal invasion areas, and when the sensing device 100 corresponding to the areas 1 to 3 senses and notifies the animal invasion, the areas 1 to 3 are set as the animal invasion areas, and the areas 1 to 3 are set as the animal invasion areas. When all of the sensing devices 100 corresponding to 4 sense and notify the intrusion of an animal, all of the areas 1 to 4 are set as the animal intrusion area. That is, the animal intrusion area is traced back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sensing devices.

그러면, 드론(200)은 드론 충전 장치(300)으로부터 이륙한 후, 동물 침입 영역으로 위치 이동한 후, 동물 퇴치를 위한 자극을 발생하기 시작한다. Then, after taking off from the drone charging device 300 , the drone 200 moves to an animal intrusion area, and then starts to generate a stimulus for repelling the animal.

본 발명은 동물 종류별로 동물의 이동 패턴이 달라질 수 있음을 고려하여, 동물 종류별로 주행 패턴을 달리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8에서와 같이 동물 침입 영역의 한 지점에 위치 고정된 형태로 주행하거나, 동물 침입 영역의 상공을 지그재그 패턴으로 위치 이동하는 형태로 주행하거나, 동물 침입 영역의 외곽을 따라 위치 이동하는 형태로 주행하거나, 또는 동물 침입 영역의 상공을 원형 회전하면서 위치 이동하는 형태로 주행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different driving pattern to be set for each animal type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an animal's movement pattern may vary for each animal typ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the vehicle travels in a fixed position at a point in the animal invasion area, or moves in a zigzag pattern above the animal invasion area, or moves along the periphery of the animal invasion area. It can be driven in the form of moving in the form of moving in a position while rotating circularly over the animal invasion area.

또한 도 8의 주행 패턴을 우선한 드론 제어 동작을 수행하되, 드론 전방에 장애물이 있음을 감지되면, 도 9에서와 같이 경로 우회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장애물과의 충돌을 사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drone control operation that has priority over the driving pattern of FIG. 8 is performed, but when an obstacle is detected in front of the drone, the path bypass operation is automatically performed as in FIG. 9 to prevent a collision with the obstacle in advance. .

더하여, 상기의 설명에는 하나의 드론만을 이용하는 경우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도 10에서와 같이 다수의 드론을 구비하고 이들을 동시 이용하여 동물 퇴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음을 물론 당연하다. In addition, although only one drone is used in the above description, it is of course natural that in some cases, a plurality of drones may be provided as shown in FIG.

이러한 경우, 다수의 드론 중 하나를 마스터 드론으로, 나머지 드론들을 슬레이브 드론으로 설정한 후, 마스터 드론이 슬레이브 드론의 동작을 총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is case, after setting one of the plurality of drones as the master drone and the remaining drones as slave drones, the master drone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lave drones in general.

예를 들어, 동물 침입 영역의 위치에 인접된 드론만을 선택 및 구동시키도록 한다. 또한 동물 침입 영역의 크기에 따라 드론의 구동 개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동물 칩임 영역의 크기가 기 설정치 이하로 협소한 경우에는 하나의 드론만을 구동시키되, 동물 침입 영역이 기 설정치 보다 커지는 경우에만 다수의 드론을 동시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For example, only the drones adjacent to the location of the animal invasion area are selected and driven. In addition, the number of drones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animal invasion area. That is, when the size of the animal chip area is smaller than the preset value, only one drone is driven, but a plurality of drones can be simultaneously driven only when the animal invasion area becomes larger than the preset value.

또 다르게는 동물의 종류에 따라 드론 이용 개수를 조정할 수도 있도록 한다. 즉, 동물이 외부 자극에 민감한 경우에는 하나의 드론만을 구동시키고, 외부 자극에 둔감한 경우에만 다수의 드론을 동시 구동하여 대상 동물에 보다 강한 자극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Alternatively, the number of drones used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ype of animal. That is, when the animal is sensitive to external stimuli, only one drone is driven, and only when the animal is insensitive to external stimuli, multiple drones are simultaneously driven to provide a stronger stimulus to the target animal.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produced as a program to be executed by a computer and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also includes thos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through the Internet).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in a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 so that the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method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having the knowledge of, of course,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감시 영역의 외곽에 분산 설치되어, 동물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 움직임, 및 냄새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여 센싱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세 개의 센서;
상기 센싱 신호 각각을 수신 및 분석하여 동물 침입 영역을 파악한 후, 상기 동물 침입 영역을 비행하면서 동물 퇴치를 위한 소리, 빛, 냄새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드론;
상기 감시 영역의 외곽에 설치되어, 상기 드론의 도킹을 지원하고, 도킹된 상기 드론을 충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드론 충전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드론은
상기 센싱 신호를 삼각 측량 기법에 따라 분석하여 현재 비행 위치를 산출하며, 상기 현재 비행 위치가 상기 동물 침입 영역에 일치되도록 위치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기반의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at least three sensors dispersedly installed outside the monitoring area and configured to sense at least one of a sound, movement, and smell generated by an animal and output a sensing signal;
at least one drone that receives and analyzes each of the sensing signals to identify an animal invasion area, and outputs sound, light, and smell for animal extermination while flying over the animal invasion area;
At least one drone charging device installed outside the monitoring area to support docking of the drone and to charge the docked drone,
the drone is
A drone-based wildlife extermin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by analyzing the sensing signal according to a triangulation technique, a current flight position is calculated, and a position control operation is performed so that the current flight position matches the animal invasion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비행 가능한 비행 본체;
동물 퇴치를 위한 소리, 빛, 냄새를 출력하는 동물 퇴치 장치;
상기 센서들과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여 상기 센싱 신호들을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센싱 신호 각각의 신호 세기로부터 센서 거리 각각을 유추한 후, 센서 거리를 삼각 측량 기법에 따라 분석하여 현재 비행 위치를 산출하는 드론 위치 추적부;
상기 센싱 신호들을 수신 및 분석하여 동물 침입 영역을 파악하는 동물 침입 영역 검출부;
상기 동물 침입 영역의 검출시에는 상기 현재 비행 위치가 상기 동물 침입 영역에 일치되도록 상기 비행 본체의 비행 위치를 실시간 제어하되, 상기 동물 침입 영역의 미 검출시에는 상기 비행 본체를 상기 드론 충전 장치로 위치 이동시키는 드론 제어부; 및
상기 드론 충전 장치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전력을 배터리에 충전하고, 배터리 충전 전압을 이용하여 드론 구동 전원을 생성 및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기반의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one
Flyable flying body;
an animal repelling device that outputs sound, light, and odor for repelling animal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sensing signals by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nsors;
After inferring each sensor distance from the signal strength of each of the sensing signals, the drone position tracking unit for calculating the current flight position by analyzing the sensor distance according to the triangulation technique;
an animal invasion area detection unit for receiving and analyzing the sensing signals to identify an animal invasion area;
When the animal intrusion area is detected, the flight position of the flight body is controlled in real time so that the current flight position matches the animal intrusion area, but when the animal intrusion area is not detected, the flight body is positioned as the drone charging device a drone control unit that moves; and
and a power supply unit for charging a battery with power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drone charging device, and generating and supplying power to drive the drone using the battery charging voltag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제어부는
배터리 충전 전압이 기 설정치 이하이면, 상기 비행 본체를 상기 드론 충전 장치로 위치 이동시키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기반의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drone control unit
When the battery charging voltag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the drone-based wildlife extermina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a function of moving the flight body to the drone charging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상기 비행 본체의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센싱 및 통보하는 장애물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기반의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rone
Drone-based wildlife extermin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obstacle detection sensor for sensing and notifying an obstacle located in front of the flight bod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의 센싱 결과에 따라 장애물 회피 주행 동작을 추가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기반의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drone control unit
Drone-based wildlife extermin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dditionally performing an obstacle avoidance driv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sensing result of the obstacle detection sens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는
360도 회전 기능을 구비한 3차원 레이저 스캐너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기반의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obstacle detection sensor is
A drone-based wildlife extermin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mplemented as a 3D laser scanner with a 360 degree rotation fun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제어부는
동물 종류별로 주행 패턴을 달리 설정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기반의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drone control unit
Drone-based wildlife extermin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unction of setting different driving patterns for each animal type.
KR1020200031111A 2020-03-13 2020-03-13 Drone-based wild animal combat system KR2021011539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111A KR20210115398A (en) 2020-03-13 2020-03-13 Drone-based wild animal comba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111A KR20210115398A (en) 2020-03-13 2020-03-13 Drone-based wild animal comba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398A true KR20210115398A (en) 2021-09-27

Family

ID=77925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111A KR20210115398A (en) 2020-03-13 2020-03-13 Drone-based wild animal comba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539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28189A (en) * 2023-10-20 2024-02-06 江苏科学梦创展科技有限公司 5G transmission VR interactive system suitable for animal exhibition hal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28189A (en) * 2023-10-20 2024-02-06 江苏科学梦创展科技有限公司 5G transmission VR interactive system suitable for animal exhibition ha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3190B1 (en) Automatic animal detection and deterrent system
JP6181321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guiding a target object
US11617363B2 (en) Robotic agriculture protection system
US947426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recting birds away from equipment
JP6560392B1 (en) Control device, security system and program
CN109996729A (en) For the system and method based on damaged crops detection via unmanned vehicle identity comprising the harmful organism in the region of crops
JP2018078814A (en) Underwater mover, and program
CA303506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ensing an insecticide via unmanned vehicles to defend a crop-containing area against pests
US2018006816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pests in crop-containing areas via unmanned vehicles
CA303461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fending crops from crop-damaging pests via unmanned vehicles
KR102200384B1 (en) Birds detterent system
JP6372835B1 (en) Warning method
WO2015139091A1 (en) System for detecting target animals in a protected area
US20210084886A1 (en) Wild animal repulsing apparatus
WO201408532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recting birds away from equipment
KR101937597B1 (en) Drone for the extermination of harmful animals and their flying method
KR20210115398A (en) Drone-based wild animal combat system
JP6560305B2 (en) Method for guiding a target object and UAV
KR102421330B1 (en) A device to repel tracked wildlife animal to prevent damage to crops
KR10231858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away of harmful animals
Nguyen et al. U sing a UAV for Destructive Surveys of Mosquito Population
JP6422090B2 (en) Warning method and warning device
CN116602140A (en) Crop growth control method, device, equipment, system and storage medium
Li Some problems of deployment and navigation of civilian aerial drones
JP2019097472A (en) Vibration generation device and vibration gener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