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5175A - Waste toner collecting for preventing full detection error - Google Patents

Waste toner collecting for preventing full detection err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5175A
KR20210115175A KR1020200030573A KR20200030573A KR20210115175A KR 20210115175 A KR20210115175 A KR 20210115175A KR 1020200030573 A KR1020200030573 A KR 1020200030573A KR 20200030573 A KR20200030573 A KR 20200030573A KR 20210115175 A KR20210115175 A KR 20210115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toner
area
image forming
shutter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5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동우
이한준
노승훈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200030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5175A/en
Priority to PCT/US2020/047751 priority patent/WO2021183177A1/en
Publication of KR20210115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17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05Arrangements for conveying toner was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2Toner waste contain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56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Abstract

Disclosed is a waste toner collection device capable of being detachable from an image forming device. The present waste toner collection device comprises: a waste toner container comprising a collection area and a waste toner detection area disposed in the collection area to detect an amount of waste toner collected by a sensor; and a shutter that selectively opens/closes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waste toner collection device is detached.

Description

풀감지 오류 방지를 위한 폐토너 수거{WASTE TONER COLLECTING FOR PREVENTING FULL DETECTION ERROR}Waste toner collection to prevent full detection errors

화상형성장치는 화상 신호에 따라 용지상에 흑백화상이나 컬러화상을 현상시키는 장치로, 레이저 프린터, 잉크젯 프린터, 복사기, 복합기, 팩시밀리 등이 있다. An image forming apparatus is an apparatus that develops a black-and-white image or a color image on paper according to an image signal, and includes a laser printer, an inkjet printer, a copier, a multifunction printer, a facsimile, and the like.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이송 장치, 폐토너 수거 장치 및 스토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의 내부 및 스토퍼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가 만충이 아닌 상태에서, 셔터가 폐토너 감지 영역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가 만충이 아닌 상태에서, 셔터가 폐토너 감지 영역을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가 만충이 아닌 상태에서, 셔터가 폐토너 감지 영역을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가 만충이 아닌 상태에서, 셔터가 폐토너 감지 영역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가 만충이 아니고 셔터가 폐토너 감지 영역을 개방하고 있는 상태에서, 폐토너 수거 장치를 기울였을 때 토너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가 만충인 상태에서, 셔터가 폐토너 감지 영역을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가 만충인 상태에서, 셔터가 폐토너 감지 영역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가 만충이고 셔터가 폐토너 감지 영역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폐토너 수거 장치를 기울였을 때 토너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가 만충이 아닌 상태에서, 셔터가 폐토너 감지 영역 및 폐토너 감지 영역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가 만충이 아닌 상태에서, 셔터가 폐토너 감지 영역 및 폐토너 감지 영역을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c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가 만충이고, 셔터가 폐토너 감지 영역 및 폐토너 감지 영역을 개방하고 있는 상태에서, 폐토너 감지 영역 및 폐토너 감지 영역에 토너가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가 만충이 아닌 상태에서, 셔터가 폐토너 감지 영역 및 폐토너 감지 영역을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가 만충이 아닌 상태에서, 셔터가 폐토너 감지 영역 및 폐토너 감지 영역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c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가 만충이 아니고 셔터가 폐토너 감지 영역 및 폐토너 감지 영역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폐토너 수거 장치를 기울였을 때 토너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가 만충인 상태에서, 셔터가 폐토너 감지 영역 및 폐토너 감지 영역을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가 만충인 상태에서, 셔터가 폐토너 감지 영역 및 폐토너 감지 영역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c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가 만충이고 셔터가 폐토너 감지 영역 및 폐토너 감지 영역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폐토너 수거 장치를 기울였을 때 토너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aste toner transferring device, a waste toner collecting device, and a stopp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side and a stopper of a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hutter closes a waste toner sensing area in a state in which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s not fully charged.
4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hutter opens a waste toner sensing area in a state in which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s not fully charged.
5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hutter opens a waste toner sensing area in a state in which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s not fully charged.
5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hutter closes a waste toner sensing area in a state in which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s not fully charged.
5C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toner when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is tilted while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is not fully charged and the shutter opens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hutter opens a waste toner sensing area in a state in which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fully charged.
6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hutter closes a waste toner sensing area in a state in which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fully charged.
6C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toner when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is tilted in a state where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is fully charged and the shutter closes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7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hutter closes a waste toner sensing area and a waste toner sensing area in a state in which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is not fully charge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7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hutter opens a waste toner sensing area and a waste toner sensing area when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is not fully charge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7C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fully charged and the shutter opens the waste toner detecting area and the waste toner detecting area, and toner is loaded in the waste toner detecting area and the waste toner detecting area;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8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hutter opens a waste toner detection area and a waste toner detection area when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is not fully charge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8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hutter closes a waste toner sensing area and a waste toner sensing area when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is not fully charge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8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of toner when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is tilted while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is not fully charged and the shutter closes the waste toner detecting area and the waste toner detecting are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a cross section.
9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hutter opens a waste toner sensing area and a waste toner sensing area in a state in which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is fully charge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9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hutter closes a waste toner sensing area and a waste toner sensing area in a state in which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is fully charge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9C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toner when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is tilted while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is fully charged and the shutter closes the waste toner detecting area and the waste toner detecting are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m.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개시는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illustratively shown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differently from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Howev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mponen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illustra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in order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disclosure, but dimensions of som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이하, 도 1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 후, 폐토너 수거 장치(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schematic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and then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mage form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화상형성장치란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기록 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등을 들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refers to an apparatus for printing print data generated by a terminal device such as a computer on a recording paper. Examples of such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e a copier, a printer, a facsimile, or a multi-function printer (MFP) that complexly implements these functions through one device.

화상형성장치는 그 크기나 성능, 가격, 사용 용도, 모델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한 구조 및 기능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그러한 구조 중 하나를 예시하여 설명한다.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structures and functions according to its size, performance, price, usage purpose, model type, and the like. 1 exemplifies and describes one of such structures.

도 1을 참고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10), 급지장치(20), 인쇄 엔진(30), 현상기(40), 현상 카트리지(50), 전사기(60), 정착기(70) 및 배출 장치(80), 폐토너 이송 장치(90) 및 폐토너 수거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an image form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main body 10 , a paper feeding device 20 , a print engine 30 , a developing device 40 , a developing cartridge 50 , and a former It may include a machine 60 , a fixing unit 70 and a discharging device 80 , a waste toner transferring device 90 , and a waste toner collecting device 100 .

화상형성장치(1)는 용지(P)에 토너를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본체(10) 내부에 인쇄 작업을 위한 급지장치(20), 인쇄 엔진(30), 현상기(40), 현상 카트리지(50), 전사기(60), 정착기(70) 및 배출 장치(80)를 수용할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includes a paper feeder 20, a print engine 30, a developer 40, and a developer for a print job inside the main body 10 to form an image on the paper P using toner. It can accommodate the cartridge 50 , the imprinter 60 , the fixing device 70 , and the ejection device 80 .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체(10)에는 화상형성장치(1)를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미도시)나 메모리(미도시) 등이 포함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1 , the main body 10 may include a main controller (not shown) or a memory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

이하, 도 1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인쇄 과정 및 인쇄 동작 중 폐토너가 발생하는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printing proces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a process in which waste toner is generated during a printing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본체(10)는 상부에 화상 형성이 완료된 용지가 적재되는 배출트레이(10a)가 마련되며, 배출트레이(10a)의 일측에는 화상형성이 완료된 용지가 배출되는 배지구(10b)가 마련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tray 10a on which the image-formed paper is loaded, and a discharge port 10b through which the image-formed paper is discharged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ischarge tray 10a. .

급지장치(20)는 본체(1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급지장치(20) 내에 배치되어 용지가 적재되는 녹업플레이트(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per feeding device 20 may b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10 , and may include a knock-up plate 22 disposed in the paper feeding device 20 on which paper is loaded.

급지장치(20)는 급지장치(20)의 일측 상부에 배치되어 녹업플레이트(22)에 적재된 용지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4), 픽업롤러(24)에 의해 픽업된 용지를 전달받아 이송롤러(29)를 향해 이동시키는 포워드롤러(26), 포워드롤러(26)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복수의 용지가 동시에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리타드롤러(28), 픽업롤러(24) 상측에 배치되어 픽업롤러(24)에 의해 픽업된 용지를 인쇄 엔진(30)으로 안내하는 한 쌍의 이송롤러(29)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per feed device 2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paper feed device 20 and receives the paper picked up by the pickup roller 24 and the pickup roller 24 for picking up the paper loaded on the knock-up plate 22 one by one. The forward roller 26 that moves toward the transfer roller 29, the retard roller 28 that is disposed opposite the forward roller 26 to prevent simultaneous movement of a plurality of papers, and the pickup roller 24 are disposed on the upper side It may include a pair of conveying rollers 29 for guiding the paper picked up by the pickup roller 24 to the print engine 30 .

인쇄 엔진(30)은 급지장치(20)로부터 공급받은 용지(P)에 토너를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인쇄 엔진(30)은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용지(P)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The print engine 30 may form an image on the paper P supplied from the paper feeding device 20 using toner. The print engine 30 may form an image on the paper P by an electrophotographic method.

인쇄 엔진(30)에서 화상형성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용지(P)에 화상으로 전사되지 않은 미전사 토너(이하, “폐토너”라 한다)가 발생할 수 있다. 폐토너는 다음 화상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므로 제거할 필요가 있다.When the print engine 30 performs the image forming operation, untransferred ton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waste toner”) that is not transferred as an image to the paper P may be generated. Waste toner needs to be removed as it adversely affects the next image.

폐토너는 폐토너 이송 장치(90)에 의해 이송되어 폐토너 수거 장치(100)로 적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폐토너 수거 장치(100)는 수거 영역과 폐토너 감지 영역으로 구획된 폐토너 통(110, 도 3 참고)을 포함한다. The waste toner is transferred by the waste toner transferring device 90 and loaded into the waste toner collecting device 10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te toner collection apparatus 100 includes a waste toner container 110 (refer to FIG. 3 ) divided into a collection area and a waste toner detection area.

본체(10)의 메인 컨트롤러는 폐토너 감지 영역에 수용되는 폐토너 양을 감지하여, 폐토너 수거 장치(100)에 폐토너가 가득 찼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는, 폐토너가 가득 찼다고 판단되면, 조작 패널(미도시)을 통해서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폐토너가 가득 찼는지 여부를 인지하여, 폐토너 통을 교체할 수 있다.The main controller of the main body 10 may detect the amount of waste toner accommodated in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and determine whether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is full of waste ton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aste toner is full, the main controller may output an alarm through an operation panel (not shown). Accordingly, the user may recognize whether the waste toner is full and replace the waste toner container.

폐토너 감지 영역은 수거 영역에 쌓이는 폐토너 양과 비례하도록 폐토너가 쌓일 수 있다.In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waste toner may be accumulated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waste toner accumulated in the collection area.

폐토너 수거 장치(100)의 구조 및 폐토너 감지 영역에 적재되는 폐토너의 감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and the detection of waste toner loaded in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화상형성장치(1)의 인쇄 동작 및 폐토너 수거 동작은 다음과 같다.Meanwhile, the printing operation and the waste toner collection operation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are as follows.

인쇄 엔진(30)은 현상기(40), 현상 카트리지(50), 전사기(60) 및 정착기(70)를 구비할 수 있다.The print engine 30 may include a developing unit 40 , a developing cartridge 50 , an imprinter 60 , and a fixing unit 70 .

현상기(40)는 공급된 용지(P)에 소정의 화상을 형성하고, 정착기(70)는 가시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킬 수 있다. 현상기(40)는 토너에 의한 가시화상을 수용하는 상담지체로 이루어져 노광기에 의해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41)와, 감광체(41)에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체(41)의 정전잠상이 토너에 의한 가시화상으로 현상 되도록 하는 현상롤러(43)와, 감광체(41)의 표면이 대전 되도록 하는 대전롤러(45)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veloping unit 40 forms a predetermined image on the supplied paper P, and the fixing unit 70 can fix the visible image on the paper. The developing unit 40 includes a photoreceptor 41, which is composed of an image carrier for receiving a visible image by the toner, on which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is formed on the surface by the exposure machine, and supplies toner to the photoreceptor 41 so that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of the photoreceptor 41 is generated. It may include a developing roller 43 for developing a visible image by the toner, and a charging roller 45 for charging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41 .

현상기(40)와 현상 카트리지(50)는 복수 개로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현상 카트리지(50)는 복수의 현상기(40)와 각각 연결되며, 복수의 현상 카트리지(50)에 수용된 토너는 복수의 현상기(40)로 각각 공급될 수 있다. 복수의 현상 카트리지(50)와 복수의 현상기(40)는 개별적으로 교체될 수 있다.The developing device 40 and the developing cartridge 5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The plurality of developing cartridges 5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developing units 40 , and the toner contained in the plurality of developing cartridges 50 may be respectively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developing units 40 . The plurality of developing cartridges 50 and the plurality of developing devices 40 can be replaced individually.

복수의 감광체(41)는 정전 잠상이 형성하고, 현상 카트리지(50)는 각 감광체(41)에 토너를 부착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키고, 전사기(60)는 가시화상을 용지로 전사시킬 수 있다.The plurality of photosensitive members 41 form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the developing cartridge 50 attaches toner to each photosensitive member 41 to form a visible image, and the transfer machine 60 transfers the visible image to paper. .

복수의 현상 카트리지(50)는 복수의 현상기(40)로 공급하기 위한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토너가 각각 수용된 복수의 토너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의하여 본 개시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색상 이외에도 라이트 마젠타(light magenta), 백색(white) 등의 다양한 색상의 토너를 수용하고 현상하기 위한 현상 카트리지(50) 및 현상기(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developing cartridges 50 contain toners of cyan (C: cyan), magenta (M: magenta), yellow (Y: yellow), and black (K: black) colors to be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developing units 40 , respectively.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toner accommodating units accommodated therein.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eveloping cartridge 50 and the developing device 40 for accommodating and developing toners of various colors such as light magenta and whit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lors. ) may be further provided.

복수의 현상 카트리지(50) 각각은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예컨대,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를 저장하고, 정전잠상이 형성된 각 감광체(41)에 토너를 부착하여 서로 다른 색상의 가시화상을 만들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developing cartridges 50 stores toners of different colors (eg, yellow, magenta, cyan, and black), and attaches the toners to each photoreceptor 41 on which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is formed to produce visible images of different colors. can make

그리고, 전사기(60)는 각 감광체(41)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중첩시켜 컬러 가시화상을 만드는 중간전사벨트(61)와, 중간전사벨트(61)에 형성된 컬러 가시화상을 용지로 전사시키는 최종전사롤러(63)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전사벨트(61)는 각 감광체(41)에 형성된 가시화상이 차례로 전사되어 중첩되고, 각 감광체(41)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중간전사벨트(61)로 전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fer device 60 superimposes the visible images formed on each photoconductor 41 to create a color visible image, and transfers the color visible image formed on the intermediate transfer belt 61 to paper. A transfer roller 63 may be included. The intermediate transfer belt 61 may transfer the visible images formed on each photoconductor 41 in order and overlap them, and transfer the visible images formed on each photoconductor 41 to the intermediate transfer belt 61 .

용지(P)에 전사되는 가시화상은 정착기(70)를 통과하면서 열과 압력을 받아 용지 표면에 융착될 수 있다. 정착기(70)는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롤러(71)와, 외주면이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용지를 가열롤러(71)의 외주면에 가압하는 가압롤러(73)를 포함할 수 있다.The visible image transferred to the paper P may be fused to the paper surface by receiving heat and pressure while passing through the fixing unit 70 . The fixing unit 70 may include a heating roller 71 for generating heat, and a pressing roller 73 having an outer peripheral surface formed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to press the paper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eating roller 71 .

정착기(70)를 통과한 용지(P)는 배출 장치(80)에 의해 화상형성장치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paper P passing through the fixing unit 7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in body 10 by the discharge device 80 .

용지(P)에 토너에 의한 현상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현상기(40)에서는 불가피하게 폐토너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현상기(40)는 전사 과정을 거친 후에 감광체(41)에 잔류 되는 페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paper P by the toner, the developing device 40 inevitably generates waste toner. Accordingl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developer 40 may further include a cleaning means for removing the petoner remaining on the photosensitive member 41 after the transfer process.

클리닝 수단은 감광체(41)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감광체(41)에서 전사되지 못하고 남아있는 폐토너를 제거할 수 있다. The cleaning means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photosensitive member 41 to remove the remaining waste toner that has not been transferred from the photosensitive member 41 .

제거된 폐토너의 저장을 위해 본체(10)의 일측에는 폐토너 이송 장치(90) 및 폐토너 수거 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다. 폐토너 이송 장치(90)는 감광체(41)에서 분리된 폐토너를 폐토너 수거 장치(100)로 안내하고, 폐토너 수거 장치(100)는 폐토너 이송 장치(90)로부터 수거된 폐토너가 저장될 수 있다. A waste toner transferring device 90 and a waste toner collecting device 100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to store the removed waste toner. The waste toner transport device 90 guides the waste toner separated from the photosensitive member 41 to the waste toner collecting device 100 , and the waste toner collecting device 100 collects the waste toner collected from the waste toner transport device 90 . can be saved.

폐토너 수거 장치(100)는 본체(10)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폐토너 수거 장치(100)에 수거된 폐토너에 의해 폐토너를 저장하는 공간이 만충(full)되면 폐토너 수거 장치(100)를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 폐토너 수거 장치(100)의 탈착 동작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may be detach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 Accordingly, when the space for storing waste toner becomes full by the waste toner collected in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 the user can replace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by separating it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 ca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etachment operation of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폐토너는 중간전사벨트(61)에서도 발생될 수 있다. 용지(P)로 전사되지 못하고 중간전사벨트(61) 상에 잔류 되는 토너는 클리닝 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제거되어 폐토너 이송 장치(90)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폐토너 역시 폐토너 수거 장치(100)로 배출될 수 있다.Meanwhile, waste toner may also be generated from the intermediate transfer belt 61 . The toner remaining on the intermediate transfer belt 61 without being transferred to the paper P may be removed by a cleaning means (not shown) and accommodated in the waste toner transfer device 90 . Such waste toner may also be discharged to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

이상,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 및 화상 형성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현상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현상 방식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은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The configuration and image forming operation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ve been described above in detail, but the developing method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developing method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9c를 참고하여, 폐토너 수거 장치(100)의 구조 및 폐토너 수거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structure of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and a waste toner collecting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9C .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이송 장치(90), 폐토너 수거 장치(100) 및 스토퍼(2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aste toner transfer device 90 , a waste toner collecting device 100 , and a stopper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를 참고하면, 폐토너 수거 장치(100)는 폐토너 이송 장치(90)의 하면 일측에 배치되어, 폐토너 이송 장치(90)의 출구로부터 배출된 폐토너가 폐토너 수거 장치(100)로 수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waste toner collecting device 10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waste toner transferring device 90 , and the waste toner discharged from the outlet of the waste toner transferring device 90 is collected by the waste toner collecting device 100 . can be collected as

스토퍼(stopper)(200)는 폐토너 수거 장치(100)가 화상형성장치(1)에 탈착되는 경우 폐토너 수거 장치(100) 내부의 특정 영역을 개폐하도록 셔터(120, 도 3 참고)를 가이드할 수 있다. 스토퍼(200)에 의한 셔터(120)의 개폐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stopper 200 guides the shutter 120 (refer to FIG. 3 ) to open and close a specific area inside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when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is detached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 can d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pening/closing operation of the shutter 120 by the stopper 200 will be described later.

스토퍼(200)는 폐토너 수거 장치(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화상형성장치(1)에 고정된 구성일 수 있다.The stopper 200 may be disposed above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and may be fixed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100)의 내부 및 스토퍼(2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side of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and the stopper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3을 참고하면, 폐토너 수거 장치(100)는 폐토너 통(110), 셔터(120), 오거(15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 waste toner container 110 , a shutter 120 , and an auger 150 .

폐토너 통(110)의 상면 일측에는 폐토너 이송 장치(90)에 의해 이송된 폐토너가 유입되는 폐토너 통 유입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폐토너 통(110)의 내부 공간에는 폐토너 통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폐토너가 수용될 수 있다.A waste toner container inlet 111 through which the waste toner transferred by the waste toner transfer device 90 is introduced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 The waste toner introduced through the waste toner container inlet 111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

폐토너 통 유입구(111)에는 폐토너 통 유입구(11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폐토너 통 셔터(112)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폐토너 통 셔터(112)는 폐토너 수거 장치(100)와 폐토너 이송 장치(90)가 서로 결합되는 경우 폐토너 통 유입구(111)를 개방하고, 폐토너 수거 장치(100)가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폐토너 통 유입구(111)를 닫을 수 있다.A waste toner container shutter 112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waste toner container inlet 111 may be disposed at the waste toner container inlet 111 . For example, the waste toner container shutter 112 opens the waste toner container inlet 111 when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and the waste toner transfer apparatus 9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When is separated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 the waste toner container inlet 111 may be closed.

폐토너 통(110) 내부에는 폐토너 통(110) 내부에 쌓이는 폐토너를 분산시키기 위한 오거(150)가 배치될 수 있다. 오거(150)는 폐토너를 폐토너 통(110)의 수평 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폐토너 통(11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An auger 150 for dispersing waste toner accumulated in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may be disposed inside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 The auger 150 may be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to disperse the waste ton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

오거(150)는 폐토너 통(1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폐토너 통(110) 내부에 수거된 폐토너가 평탄화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폐토너 통 유입구(111)를 통해 폐토너 통(110)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폐토너는 폐토너 통(110)의 수평 방향으로 고르게 분산될 수 있다.The auger 150 is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to induce the waste toner collected in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to be flattened. Accordingly, the waste toner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through the waste toner container inlet 111 may be evenly distribu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

폐토너 통(110)의 내부 공간은 폐토너의 주된 수용 공간인 수거 영역(140)과, 폐토너 통(110) 내부 공간의 일측에 형성되는 폐토너 감지 영역(130)으로 구획될 수 있다.The inner space of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may be divided into a collection area 140 , which is a main accommodating space of the waste toner, and a waste toner sensing area 130 formed at one side of the inner space of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

폐토너 통 유입구(111)는 폐토너 통(110)에서 수거 영역(140)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폐토너 감지 영역(130)은 폐토너 통 유입구(111)가 형성된 위치의 반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The waste toner container inlet 111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llection area 140 in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 Meanwhile,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may be loc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osition where the waste toner container inlet 111 is formed.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에서 발생한 폐토너는 폐토너 통 유입구(111)를 통해 수거 영역(140)으로 일차적으로 유입되고, 오거(150)의 작동을 통해 폐토너 통(110) 내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분산되어 폐토너 감지 영역(130)으로 유입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waste toner generated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is primarily introduced into the collection area 140 through the waste toner box inlet 111 , and then inside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auger 150 . It may be disper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introduced into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130 .

오거(150)에 의해 수거 영역(140)에 적재되는 폐토너가 폐토너 통(110)의 수평 방향으로 고르게 분산될 수 있고, 수거 영역(140)에 폐토너가 기설정된 높이만큼 쌓이게 되면 오거(150)에 의해 수거 영역(140)에 적재된 폐토너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거 영역(140)에 폐토너가 일정 높이 쌓이게 되면, 폐토너 감지 영역(130)에는 수거 영역(140)에 수용되는 폐토너량에 비례하도록 폐토너가 적재될 수 있다. The waste toner loaded in the collection area 140 by the auger 150 may be evenly distribu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and when the waste toner is accumulated in the collection area 140 by a predetermined height, the auger ( 150 ), the waste toner loaded in the collection area 140 may flow into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130 . Accordingly, when waste toner is accumula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collection area 140 , waste toner may be loaded in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130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waste toner accommodated in the collection area 140 .

이에 따라, 폐토너 감지 영역(130)에 쌓이는 폐토너량 감지를 통해 전체 폐토너 통(110)의 만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entire waste toner container 110 is fully charged by detecting the amount of waste toner accumulated in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폐토너량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폐토너 통(110)에 쌓이는 폐토너량을 감지함으로써 폐토너 통(110)이 만충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amount of waste toner. The sensor may determine whether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is in a full state by detecting the amount of waste toner accumulated in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1)는 폐토너 감지 영역(130)에 적재된 폐토너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132)는 폐토너 감지 영역(130)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폐토너 감지 영역(130)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may include a sensor 132 for detecting the amount of waste toner loaded in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 In this case, the sensor 132 may be disposed inside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or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

폐토너 감지 영역(130)은 폐토너 통 유입구(111)의 반대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폐토너 감지 영역(130) 내부에 배치되거나 인접하게 배치되는 센서(132)는 폐토너가 유입되는 지점에서 가장 멀리 위치하여 폐토너 통(110)에 보다 많은 양의 폐토너를 수용할 수 있다.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may b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waste toner container inlet 111 . Accordingly, the sensor 132 disposed inside or adjacent to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is located furthest from the point where the waste toner is introduced, so as to accommodate a larger amount of waste toner in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 can

센서(132)의 위치에 대응되는 폐토너 감지 영역(130)의 일측에는 폐토너 감지 영역(130) 내부로 빛을 통과시킬 수 있는 광창(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광창을 통해 센서(132)에서 발생한 빛이 폐토너 감지 영역(130) 내부로 조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센서(132)는 폐토너 감지 영역(130) 내부에 적재된 폐토너의 양을 센싱할 수 있다.A light window (not shown) through which light can pass into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nsor 132 . In this case, the light generated by the sensor 132 may be irradiated into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through the light window, and accordingly, the sensor 132 determines the amount of waste toner loaded in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 can be sensed.

센서(132)는 폐토너 수거 장치(100)의 외부에서 폐토너 수거 장치(100)의 광창과 연결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nsor 132 may be disposed outside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at a position connected to the light window of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

이에 따라, 폐토너가 만충이 될 때마다 교체해야 하는 소모품인 폐토너 수거 장치(100)에 센서(132)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폐토너 수거 장치(100)를 제작하기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ly, there is no need to install the sensor 132 in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 which is a consumable item that needs to be replaced whenever the waste toner is fully charged, so the cost for manufacturing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can be reduced. have.

폐토너 감지 영역(130)은 광창을 통과한 빛을 폐토너 감지 영역(130) 내부의 기설정된 영역으로 유도하는 광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ste toner sensing area 130 may include a light member (not shown) for guiding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light window to a preset area inside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130 .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132)는 발광 소자(132-1)와 수광 소자(132-2)를 구비하는 광센서일 수 있다. The sensor 13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an optical sensor including a light emitting device 132-1 and a light receiving device 132-2.

발광 소자(132-1)는 광 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광 부재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발광 소자(132-1)에서 방출된 광은 발광 소자(132-1)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수광 소자(132-2)로 입사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device 132-1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 member to irradiate light to the light member.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132-1 may be incident on the light receiving device 132-2 disposed adjacent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132-1.

이 경우, 폐토너 감지 영역(130)에 폐토너가 기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쌓이면, 발광 소자(132-1)에서 방출된 광은 폐토너에 의해 일부 차단되어, 수광 소자(132-2)로 입사되는 광량이 감소하게 된다. 수광 소자(132-2)에서 검출되는 광량이 소정 기준 이하로 떨어지면, 폐토너 통(110)이 만충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 경우, 폐토너 수거 장치(100)를 교체하도록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In this case, when waste toner is accumulated in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130 to a predetermined height or mor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132-1 is partially blocked by the waste toner and is incident on the light receiving device 132-2. the amount of light is decreased. When the amount of light detected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 132 - 2 falls below a predetermined standar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is in a fully charged state. In this case, the user may be notified to replace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

센서(132)는 폐토너 감지 영역(130)의 기설정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32)는 폐토너 감지 영역(13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폐토너 감지 영역(130)이 만충이 되기 전에 센서(132)가 폐토너를 감지하게 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nsor 132 may be disposed at a preset height of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 For example, the sensor 132 may be disposed above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malfunction in which the sensor 132 detects waste toner before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is fully charged.

폐토너 감지 영역(130)은 셔터(12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셔터(120)는 폐토너 통(110)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셔터(120)는 슬라이딩 방식을 통해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may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the shutter 120 . For example, the shutter 120 may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130 when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direction. The shutter 120 may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130 through a sliding method.

한편, 셔터(120)는 폐토너 수거 장치(100)가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시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개방하고, 폐토너 수거 장치(100)가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분리시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폐쇄할 수 있다.Meanwhile, the shutter 120 opens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when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is mounted 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 and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receives the waste toner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 During separation,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130 may be closed.

도 3을 참고하면, 셔터(120)는 폐토너 통(110)이 폐토너 수거 장치(100)가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되는 P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개방할 수 있고, 폐토너 통(110)이 폐토너 수거 장치(100)가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분리되는 P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닫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shutter 120 opens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when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moves in the direction P1 in which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is mounted 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 Also, when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moves in the P2 direction in which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is separated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130 may be closed.

셔터(120)에 의한 폐토너 감지 영역(130)의 개폐 동작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pening/closing operation of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130 by the shutter 120 will be described later.

스토퍼(200)는 폐토너 수거 장치(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폐토너 수거 장치(100)가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폐토너 수거 장치(100)와 스토퍼(200)의 배치 관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The stopper 200 may be disposed above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 FIG. 3 exemplarily illustrates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and the stopper 200 in a state in which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is mounted 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

폐토너 수거 장치(100)가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탈착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폐토너 수거 장치(100)와 스토퍼(200)의 상대적인 배치 관계가 바뀔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토퍼(200)는 셔터(120)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스토퍼(200)가 셔터(120)를 가이드하는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As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moves in a horizontal direction when it is detached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 the relativ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and the stopper 200 may change, and accordingly, the stopper 200 . may guide the movement of the shutter 120 . A detailed description of an operation in which the stopper 200 guides the shutter 120 will be described later.

도 4a 내지 도 6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100)의 셔터(120)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A to 6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the shutter 120 of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도 4a 내지 도 6c를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100)의 이동에 따라 셔터(120)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개폐하는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the shutter 120 opening and closing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13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6C . .

도 4a 내지 도 6c는 도 3에 표시된 선 I-I 에 해당하는 위치의 단면도이다.4A to 6C are cross-sectional views of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line I-I shown in FIG. 3 .

도 4a 내지 도 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100)가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시 셔터(1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폐토너 수거 장치(100)가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되는 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4A to 4B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hutter 120 when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 4A to 4B are views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is mounted 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in time series.

도 4a를 참고하면, 폐토너 통(110)의 내부 공간은 수거 영역(140)과 폐토너 감지 영역(130)으로 구획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A , the inner space of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may be divided into a collection area 140 and a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

도 4a는 폐토너 통(110)이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되기 전, 셔터(120)가 폐토너 감지 영역을 폐쇄하고 있고, 수거 영역(140)에만 폐토너가 적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4A shows a state in which the shutter 120 closes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and waste toner is loaded only in the collection area 140 before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is mounted 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have.

사용자는 폐토너 통(110)을 화상형성장치(1)에 연결하여 장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 내지 도 4b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폐토너 통(110)을 P1 방향으로 이동시켜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할 수 있다.A user may connect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and mount it. 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4A to 4B , the user may move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in the P1 direction to mount it 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

셔터(120)는 폐토너 통(110)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 부재(1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폐토너 통(110)이 P1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돌출 부재(121)는 화상형성장치(1)에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셔터 개방 부재(11)와 접촉할 수 있다.The shutter 120 may include a protruding member 121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 In this case, as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moves in the P1 direction, the protruding member 121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shutter opening member 11 having a fixed position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

폐토너 통(110)이 P1 방향으로 이동시, 셔터 개방 부재(11)는 돌출 부재(121)에 P1의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4b를 참고하면, 셔터 개방 부재(11)는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닫고 있었던 셔터(120)를 P1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개방할 수 있다.When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moves in the P1 direction, the shutter opening member 11 applies a force to the protruding member 121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P1 direction. Accordingly, referring to FIG. 4B , the shutter opening member 11 may open the waste toner sensing region 130 by pushing the shutter 120 that has closed the waste toner sensing region 130 in a direction opposite to P1. .

한편, 폐토너 통(110)을 장착하는 과정에서 충격으로 인해 수거 영역(140)에 쌓여 있는 폐토너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 측으로 순간적으로 쏠릴 수 있으나, 셔터(120)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개방하며 폐토너가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폐토너를 밀어서 폐토너가 장착 충격에 의해 폐토너 감지 영역(13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ile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is mounted, the waste toner accumulated in the collection area 140 may be momentarily focused toward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due to an impact, but the shutter 120 moves to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By opening 130 and pushing the waste ton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ste toner move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ste toner from flowing into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130 due to a mounting shock.

도 4b와 같이 폐토너 통(110)이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된 후, 개방된 폐토너 감지 영역(130)으로 폐토너가 유입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B , after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is mounted 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 waste ton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open waste toner sensing area 130 .

예를 들어, 수거 영역(140)에 기설정된 양의 폐토너가 적재되면, 적재된 폐토너의 일부가 오거(150)의 동작으로 인해 분산되어 폐토너 감지 영역(130)으로 유입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waste toner is loaded in the collection area 140 , a portion of the loaded waste toner may be dispersed due to the operation of the auger 150 and introduced into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130 .

폐토너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에 유입되면, 센서(132)는 폐토너 통(110)이 만충 상태임을 감지할 수 있다.When waste toner flows into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 the sensor 132 may detect that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is in a full state.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100)가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분리시 셔터(1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폐토너 수거 장치(100)가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5A to 5C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shutter 120 when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is separated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A to 5C are views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is separated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in time series.

도 5a는 폐토너 통(110)이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된 후, 셔터(120)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개방하고 있고, 폐토너 통(110)이 만충이 아닌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5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shutter 120 opens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after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is mounted 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and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is not fully charged. is showing

사용자는 폐토너 통(110)을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 내지 도 5c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폐토너 통(110)을 P2 방향으로 이동시켜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A user may separate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 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5A to 5C , the user may separate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by moving it in the P2 direction.

셔터(120)는 폐토너 통(110)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 부재(121)를 포함할 수 있고, 폐토너 통(110)이 P2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돌출 부재(121)는 화상형성장치(1)에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스토퍼(200)와 접촉할 수 있다.The shutter 120 may include a protruding member 121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 and as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moves in the P2 direction, the protruding member 121 moves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 1) may be in contact with the stopper 200 having a fixed position.

폐토너 통(110)이 P2 방향으로 이동시, 스토퍼(200)는 돌출 부재(121)에 P2의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5b를 참고하면, 스토퍼(200)는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개방하고 있었던 셔터(120)를 P2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폐쇄할 수 있다. 폐토너 감지 영역(130)이 폐쇄된 후, 셔터(120)는 스토퍼(200)와 접촉하는 구조로부터 빠져나와 폐토너 통(110)의 이동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When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moves in the P2 direction, the stopper 200 applies a force to the protruding member 121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P2 direction. Accordingly, referring to FIG. 5B , the stopper 200 may close the waste toner sensing region 130 by pushing the shutter 120 that has opened the waste toner sensing region 13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P2 . After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130 is closed, the shutter 120 may come out of the structure in contact with the stopper 200 and move along with the movement of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

이에 따라, 도 5c를 참고하면, 폐토너 통(110)이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분리된 경우 셔터(120)에 의해 폐토너 감지 영역(130)이 폐쇄되므로, 폐토너 통(110)을 기울이거나 외부에서 충격을 가하더라도, 폐토너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으로 유입될 수 없다.Accordingly, referring to FIG. 5C , when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is separated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is closed by the shutter 120 , so that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is closed. Even if it is tilted or an external shock is applied, waste toner cannot flow into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130 .

따라서, 폐토너 수거 장치(100)를 화상형성장치(1)에서 분리한 경우, 폐토너량을 감지하는 센서(132)가 위치하는 폐토너 감지 영역(130)에 폐토너가 유입되지 않으므로, 폐토너 통(110)이 만충이 아닌 상태에서 만충으로 감지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is separated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waste toner does not flow into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where the sensor 132 for detecting the amount of waste toner is loc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toner bottle 110 is detected as full when not fully charged.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100)에 폐토너가 만충인 경우에, 폐토너 수거 장치(100)가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분리시 셔터(1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폐토너 수거 장치(100)가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6A to 6C show the shutter 120 when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is separated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when the waste toner is full in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6A to 6C are views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is separated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in time series.

도 6a는 폐토너 통(110)이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된 상태에서, 셔터(120)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개방하고 있고, 폐토너 통(110)이 만충이 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6A shows a state in which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is mounted 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the shutter 120 opens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and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is fully charged. is showing

사용자는 만충 상태의 폐토너 통(110)을 교체하기 위해, 폐토너 통(110)을 P2 방향으로 이동시켜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The user may separate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by moving it in the P2 direction in order to replace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in a fully charged state.

셔터(120)는 폐토너 통(110)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 부재(121)를 포함할 수 있고, 폐토너 통(110)이 P2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돌출 부재(121)는 화상형성장치(1)에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스토퍼(200)와 접촉할 수 있다.The shutter 120 may include a protruding member 121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 and as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moves in the P2 direction, the protruding member 121 moves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 1) may be in contact with the stopper 200 having a fixed position.

폐토너 통(110)이 P2 방향으로 이동시, 스토퍼(200)는 돌출 부재(121)에 P2의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b를 참고하면, 스토퍼(200)는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개방하고 있었던 셔터(120)를 P2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폐쇄할 수 있다.When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moves in the P2 direction, the stopper 200 may apply a force to the protruding member 121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P2 direction. Accordingly, referring to FIG. 6B , the stopper 200 may close the waste toner sensing region 130 by pushing the shutter 120 that has opened the waste toner sensing region 13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P2 .

이 경우, 셔터(120)는 폐토너 감지 영역(130) 주위에 적재된 폐토너를 폐토너 감지 영역(130) 내부로 밀면서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폐쇄하게 되므로, 폐토너를 폐토너 감지 영역(130) 내부에 밀폐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shutter 120 closes the waste toner detecting area 130 while pushing the waste toner stacked around the waste toner detecting area 130 into the waste toner detecting area 130 , so that the waste toner is detected as waste toner. It is sealed inside the region 130 .

이에 따라, 폐토너 통(110)이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분리된 경우 셔터(120)는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폐쇄하여 폐토너 감지 영역(130) 내부로 폐토너가 더이상 유입되는 것을 막음과 동시에, 폐토너 감지 영역(130) 내부에 적재된 폐토너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 외부로 유출될 수 없게 한다.Accordingly, when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is separated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 the shutter 120 closes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so that waste toner is no longer introduced into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 At the same time, the waste toner loaded in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cannot be leaked out of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

도 6c를 참고하면, 폐토너 통(110)을 기울이거나 외부에서 충격을 가하여 폐토너가 P2 방향으로 쏠리더라도, 폐토너 감지 영역(130) 내의 폐토너가 밖으로 유출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6C , even if the waste toner is tilted in the P2 direction by tilting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or applying an external impact, the waste toner in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130 does not leak out.

따라서, 만충 상태의 폐토너 수거 장치(100)를 화상형성장치(1)에서 분리한 경우, 폐토너량을 감지하는 센서(132)가 위치하는 폐토너 감지 영역(130)에 이미 적재된 폐토너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므로, 폐토너 통(110)이 만충인 상태에서 만충이 아닌 것으로 감지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in a full state is separated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 the waste toner already loaded in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where the sensor 132 for detecting the amount of waste toner is located. Since the waste toner container does not leak out of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roblem in that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is not fully sensed in a full state.

한편, 도 7a 내지 도 9c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100)의 셔터(120)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Meanwhile, FIGS. 7A to 9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the shutter 120 of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도 7a 내지 도 9c를 참고하여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100)의 이동에 따라 셔터(120)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 및 보조 감지 영역(160)을 개폐하는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7A to 9C , the shutter 120 opens and closes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130 and the auxiliary sensing area 16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도 7a 내지 도 9c는 도 3에 표시된 선 I-I 에 해당하는 위치의 단면도이다.7A to 9C are cross-sectional views of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line I-I shown in FIG. 3 .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100)가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시 셔터(1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7A to 7C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hutter 120 when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

도 7a를 참고하면, 폐토너 통(110)의 내부 공간은 수거 영역(140), 폐토너 감지 영역(130) 및 보조 감지 영역(160)으로 구획될 수 있다. 수거 영역(140)과 보조 감지 영역(160)은 사이에 가벽(133)을 두고 구획될 수 있으며, 보조 감지 영역(160)과 폐토너 감지 영역(130)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7A , the inner space of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may be divided into a collection area 140 , a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 and an auxiliary detection area 160 . The collection area 140 and the auxiliary sensing area 160 may be partitioned with a temporary wall 133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auxiliary sensing area 160 and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13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이 경우, 셔터(120)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개방하면 폐토너 감지 영역(130) 및 보조 감지 영역(160)으로 수거 영역(140)에 적재된 폐토너가 유입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shutter 120 opens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 the waste toner loaded in the collection area 140 may flow into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and the auxiliary detection area 160 .

폐토너 감지 영역(130)은 폐토너 통(110) 내부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 감지 영역(160)은 폐토너 감지 영역(13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셔터(120)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개방하는 경우, 수거 영역(140)으로부터 유입된 폐토너는 보조 감지 영역(160)에 먼저 적재될 수 있다.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may be located at an upper side inside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 In this case, the auxiliary sensing area 160 may be located below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130 . Accordingly, when the shutter 120 opens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 the waste toner introduced from the collection area 140 may be first loaded into the auxiliary detection area 160 .

도 7a는 폐토너 통(110)이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되기 전, 셔터(120)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폐쇄하고 있고, 수거 영역(140)에만 폐토너가 적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7A shows a state in which the shutter 120 closes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and waste toner is loaded only in the collection area 140 before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is mounted 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 is showing

사용자는 폐토너 통(110)을 화상형성장치(1)에 연결하여 장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 내지 도 7c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폐토너 통(110)을 P1 방향으로 이동시켜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할 수 있다.A user may connect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and mount it. 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7A to 7C , the user may move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in the P1 direction to mount it 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

셔터(120)는 폐토너 통(110)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 부재(1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폐토너 통(110)이 P1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돌출 부재(121)는 화상형성장치(1)에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스토퍼(200)의 가이드 부재(210)와 접촉할 수 있다.The shutter 120 may include a protruding member 121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 In this case, as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moves in the P1 direction, the protruding member 121 may contact the guide member 210 of the stopper 200 fixed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 .

폐토너 통(110)이 P1 방향으로 이동시, 가이드 부재(210)는 돌출 부재(121)에 P1의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7b를 참고하면, 스토퍼(200)는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닫고 있었던 셔터(120)를 P1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개방하게 된다. 폐토너 감지 영역(130)이 개방된 후, 셔터(120)는 스토퍼(200)와 접촉하는 구조로부터 빠져나와 폐토너 통(110)의 이동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When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moves in the P1 direction, the guide member 210 applies a force to the protruding member 121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P1 direction. Accordingly, referring to FIG. 7B , the stopper 200 pushes the shutter 120 that has closed the waste toner sensing region 13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P1 to open the waste toner sensing region 130 . After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130 is opened, the shutter 120 may come out of the structure in contact with the stopper 200 and move along with the movement of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

한편, 폐토너 통(110)을 장착하는 과정에서 충격으로 인해 수거 영역(140)에 쌓여 있는 폐토너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 측으로 순간적으로 쏠릴 수 있으나, 셔터(120)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개방하며 폐토너가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폐토너를 밀어서 폐토너가 장착 충격에 의해 폐토너 감지 영역(13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ile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is mounted, the waste toner accumulated in the collection area 140 may be momentarily focused toward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due to an impact, but the shutter 120 moves to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By opening 130 and pushing the waste ton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ste toner move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ste toner from flowing into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130 due to a mounting shock.

또한, 도 7c를 참고하면, 폐토너 통(110)이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된 후, 개방된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통해 폐토너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 및 보조 감지 영역(160)으로 유입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7C , after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is mounted 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 the waste toner is detected by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and the auxiliary detection area through the open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 may be introduced into the region 160 .

폐토너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에 기설정된 높이만큼 쌓이게 되면, 센서(132)는 폐토너 통(110)이 만충 상태임을 감지할 수 있다. 도 7c를 참고하면, 센서(132)가 위치하는 높이까지 폐토너가 적재된 상태이므로, 센서(132)는 폐토너 통(110)이 만충 상태임을 감지할 수 있다.When waste toner is accumulated in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by a preset height, the sensor 132 may detect that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is in a full state. Referring to FIG. 7C , since the waste toner is loaded up to the height at which the sensor 132 is located, the sensor 132 may detect that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is in a full state.

도 8a 내지 도 8c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100)가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분리시 셔터(1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8A to 8C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hutter 120 when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is separated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8a는 폐토너 통(110)이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된 후, 셔터(120)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개방하고 있고, 폐토너 통(110)이 만충이 아닌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8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shutter 120 opens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after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is mounted 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and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is not fully charged. is showing

사용자는 폐토너 통(110)을 P2 방향으로 이동시켜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The user may separate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by moving it in the P2 direction.

폐토너 통(110)이 P2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돌출 부재(121)는 화상형성장치(1)에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스토퍼(200)의 가이드 부재(210)와 접촉할 수 있다.As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moves in the P2 direction, the protruding member 121 may contact the guide member 210 of the stopper 200 fixed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

폐토너 통(110)이 P2 방향으로 이동시, 가이드 부재(210)는 돌출 부재(121)에 P2의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8b를 참고하면, 스토퍼(200)는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개방하고 있었던 셔터(120)를 P2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폐쇄할 수 있다. 이 경우, 셔터(120)는 가벽(133)과 밀착하여 보조 감지 영역(160) 또한 폐쇄될 수 있다. 폐토너 감지 영역(130)이 폐쇄된 후, 셔터(120)는 스토퍼(200)와 접촉하는 구조로부터 빠져나와 폐토너 통(110)의 이동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When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moves in the P2 direction, the guide member 210 applies a force to the protruding member 121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P2 direction. Accordingly, referring to FIG. 8B , the stopper 200 may close the waste toner sensing region 130 by pushing the shutter 120 that has opened the waste toner sensing region 13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P2 . In this case, the shutter 12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emporary wall 133 so that the auxiliary sensing region 160 may also be closed. After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130 is closed, the shutter 120 may come out of the structure in contact with the stopper 200 and move along with the movement of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

이에 따라, 도 8c를 참고하면, 폐토너 통(110)이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분리된 경우 셔터(120)에 의해 폐토너 감지 영역(130) 및 보조 감지 영역(160)이 폐쇄되므로, 폐토너 통(110)을 기울이거나 외부에서 충격을 가하더라도 폐토너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으로 유입될 수 없고, 폐토너 통(110)이 만충이 아닌 상태에서 만충으로 감지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referring to FIG. 8C , when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is separated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and the auxiliary detection area 160 are closed by the shutter 120 , Even if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is tilted or an external shock is applied, waste toner cannot flow into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 and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is not fully charged but is detected as full. can do.

도 9a 내지 도 9c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100)에 폐토너가 만충인 경우에, 폐토너 수거 장치(100)가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분리시 셔터(1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9A to 9C show the shutter 120 when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is separated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when the waste toner is full in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도 9a는 폐토너 통(110)이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된 상태에서, 셔터(120)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개방하고 있고, 폐토너 통(110)이 만충이 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9A shows a state in which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is mounted 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the shutter 120 opens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and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is fully charged. is showing

사용자는 만충 상태의 폐토너 통(110)을 교체하기 위해, 폐토너 통(110)을 P2 방향으로 이동시켜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The user may separate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by moving it in the P2 direction in order to replace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in a fully charged state.

폐토너 통(110)이 P2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돌출 부재(121)는 화상형성장치(1)에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스토퍼(200)의 가이드 부재(210)와 접촉할 수 있다.As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moves in the P2 direction, the protruding member 121 may contact the guide member 210 of the stopper 200 fixed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

폐토너 통(110)이 P2 방향으로 이동시, 가이드 부재(210)는 돌출 부재(121)에 P2의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9b를 참고하면, 스토퍼(200)는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개방하고 있었던 셔터(120)를 P2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 폐토너 감지 영역(130) 및 보조 감지 영역(160)을 폐쇄할 수 있다.When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moves in the P2 direction, the guide member 210 applies a force to the protruding member 121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P2 direction. Accordingly, referring to FIG. 9B , the stopper 200 pushes the shutter 120 that has opened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P2 to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and the auxiliary detection area 160 . ) can be closed.

이 경우, 셔터(120)는 폐토너 감지 영역(130) 주위에 적재된 폐토너를 폐토너 감지 영역(130)으로 밀면서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폐쇄하게 되므로, 폐토너를 폐토너 감지 영역(130) 및 보조 감지 영역(160) 내부에 밀폐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shutter 120 closes the waste toner detecting area 130 while pushing the waste toner stacked around the waste toner detecting area 130 toward the waste toner detecting area 130 , so that the waste toner is transferred to the waste toner detecting area. 130 and the auxiliary sensing region 160 are sealed inside.

이에 따라, 폐토너 통(110)이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분리된 경우 셔터(120)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폐쇄하여 폐토너 감지 영역(130) 내부로 폐토너가 더이상 유입되는 것을 막음과 동시에, 폐토너 감지 영역(130) 및 보조 감지 영역(160) 내부에 적재된 폐토너가 유출될 수 없게 한다.Accordingly, when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is separated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 the shutter 120 closes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so that waste toner is no longer introduced into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 At the same time, the waste toner loaded in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130 and the auxiliary sensing area 160 is prevented from leaking out.

도 9c를 참고하면, 폐토너 통(110)을 기울이거나 외부에서 충격을 가하여 폐토너가 P2 방향으로 쏠리더라도, 폐토너 감지 영역(130) 및 보조 감지 영역(160) 내의 폐토너가 밖으로 유출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9C , even if the waste toner is tilted in the P2 direction by tilting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or applying an external impact, the waste toner in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0 and the auxiliary detection area 160 does not leak out. does not

따라서, 만충 상태의 폐토너 수거 장치(100)를 화상형성장치(1)에서 분리한 경우, 폐토너 통(110)이 만충인 상태에서 만충이 아닌 것으로 감지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100 in a full state is separated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 , a problem in which the waste toner container 110 is not fully sensed in a full state can be prevented.

상기에서 본 개시는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개시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개시는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has been described above in an exemplary manner. The terms u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limiting sen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possible according to the above contents. Accordingly, unless otherwise stated,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practiced freely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 화상형성장치 10: 본체
100: 폐토너 수거 장치 110: 폐토너 통
120: 셔터 130: 폐토너 감지 영역
132: 센서 140: 수거 영역
150: 오거 160: 보조 감지 영역
200: 스토퍼 210: 가이드 부재
1: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in body
100: waste toner collecting device 110: waste toner box
120: shutter 130: waste toner detection area
132: sensor 140: collection area
150: Auger 160: Secondary detection area
200: stopper 210: guide member

Claims (15)

화상형성장치에 탈착 가능한 폐토너 수거 장치에 있어서,
수거 영역 및 상기 수거 영역에 배치되어 수거되는 폐토너의 양을 센서에 의해 감지하는 폐토너 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폐토너 통; 및
상기 폐토너 수거 장치의 탈착 여부에 따라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셔터;를 포함하는, 폐토너 수거 장치.
A waste toner collection device detachable from an image forming device, comprising:
a waste toner container including a collection area and a waste toner detection area disposed in the collection area to detect an amount of waste toner collected by a sensor; and
and a shutte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according to whether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is detached or detach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상기 폐토너 수거 장치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을 개방하고,
상기 폐토너 수거 장치가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을 폐쇄하는, 폐토너 수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hutter is
When the waste toner collection device is mounted on the image forming device,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is opened;
and closing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when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is separated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은,
상기 폐토너 통 내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폐토너 수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is
A waste toner collecting device located above the inside of the waste toner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토너 통은,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의 하부 영역을 상기 수거 영역과 구획하는 가벽;을 포함하고,
상기 셔터는 상기 가벽과 함께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폐토너 수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aste toner container,
a temporary wall dividing a lower area of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from the collection area;
and the shutter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together with the temporary w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은,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 내부에 수용된 폐토너의 양을 센싱하기 위해 외부 센서의 빛을 통과시키는 광창이 형성되는, 폐토너 수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is
and a light window through which light from an external sensor passes to sense the amount of waste toner contained in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is form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은,
상기 외부 센서의 빛이 상기 광창을 통과하면 상기 빛을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 내부의 기설정된 영역으로 유도하는 광 부재를 포함하는, 폐토너 수거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is
and a light member for guiding the light to a predetermined area inside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when the light from the external sensor passes through the light windo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슬라이딩 방식을 통해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폐토너 수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hutter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through a sliding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토너 통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발생하는 폐토너를 상기 폐토너 통 내부로 유입하기 위한 폐토너 통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은 상기 폐토너 통 유입구가 형성된 위치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폐토너 수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aste toner container,
a waste toner container inlet for introducing waste toner generated by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nto the waste toner container;
and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is loc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position where the waste toner container inlet is formed.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토너를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인쇄 엔진;
상기 인쇄 엔진에서 발생한 폐토너가 수거되는 폐토너 수거 장치; 및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폐토너 수거 장치는,
수거 영역 및 상기 수거 영역에 배치되어 수거되는 폐토너의 양을 센서에 의해 감지하는 폐토너 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폐토너 통; 및
상기 폐토너 수거 장치의 탈착 여부에 따라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셔터;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 print engine that forms an image using toner;
a waste toner collecting device for collecting waste toner generated by the print engine; and
sensor; including;
The waste toner collecting device,
a waste toner container including a collection area and a waste toner detection area disposed in the collection area to detect an amount of waste toner collected by a sensor; and
and a shutte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according to whether the waste toner collecting device is detached or detach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상기 폐토너 수거 장치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을 개방하고,
상기 폐토너 수거 장치가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을 폐쇄하는, 화상형성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hutter is
When the waste toner collection device is mounted on the image forming device,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is opened;
and closing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when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is separated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상기 폐토너 수거 장치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될 때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스토퍼(stopper)에 접촉하여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을 개방하고,
상기 폐토너 수거 장치가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을 폐쇄하는, 화상형성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hutter is
When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is connected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t contacts a stopper provided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o open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and closing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when the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is separated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슬라이딩 방식을 통해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화상형성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hutter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through a sliding metho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은,
상기 폐토너 통 내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화상형성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waste toner detection area is
An image forming apparatus located above the inside of the waste toner contain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폐토너 통은,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의 하부 영역을 상기 수거 영역과 구획하는 가벽;을 포함하고,
상기 셔터는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함에 따라 상기 가벽으로 구획된 영역을 개폐하는, 화상형성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waste toner container,
a temporary wall dividing a lower area of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from the collection area;
and the shutter opens and closes the area partitioned by the temporary wall by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 내부에 빛을 조사하고,
상기 수광 소자는 상기 발광 소자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수광하는, 화상형성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ensor is
It includes a light emitting element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The light emitting device irradiates light into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is disposed adjacent 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to receive light reflected from the waste toner sensing area.
KR1020200030573A 2020-03-12 2020-03-12 Waste toner collecting for preventing full detection error KR20210115175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573A KR20210115175A (en) 2020-03-12 2020-03-12 Waste toner collecting for preventing full detection error
PCT/US2020/047751 WO2021183177A1 (en) 2020-03-12 2020-08-25 Waste toner collecting for preventing full detection err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573A KR20210115175A (en) 2020-03-12 2020-03-12 Waste toner collecting for preventing full detection err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175A true KR20210115175A (en) 2021-09-27

Family

ID=77672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573A KR20210115175A (en) 2020-03-12 2020-03-12 Waste toner collecting for preventing full detection err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115175A (en)
WO (1) WO2021183177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84011A (en) * 2021-05-31 2022-12-13 キヤノン株式会社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5203A (en) * 2002-05-23 2003-12-03 Panasonic Communications Co Ltd Waste toner detection device and electrophotographic recording means
JP2006337409A (en) * 2005-05-31 2006-12-14 Kyocera Mita Corp Waste toner recovering device
KR100694128B1 (en) * 2005-06-20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Toner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JP4518135B2 (en) * 2007-11-14 2010-08-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Waste developer recovery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83177A1 (en) 202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9770B2 (en) Collection container, clean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collecting waste toner efficiently
US967173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478171B2 (en) Toner bottle and image formation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CN110133979B (en) Waste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1709455B2 (en)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9210650A (en) Toner recover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90002599A (en) Waste-toner collec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210115175A (en) Waste toner collecting for preventing full detection error
KR20090105044A (en) Image form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21156949A (en) Waste toner storage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25056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container with a replenishment hole and at least one collection hole
JP2011095399A (en) Waste toner full state detecting device
CN107111266B (en)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827710B2 (en) Collection container
JP4992763B2 (en) Toner recovery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9007443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N210895003U (en) Waste tone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67099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649725B2 (en) Collection container with an elastic body and image-forming apparatus
JP2020064228A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5225159A (en) Waste toner recovery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80060644A (en) Multi-functional device
KR20060059570A (en) Jam sensing method of image forming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