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5108A -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5108A
KR20210115108A KR1020200030245A KR20200030245A KR20210115108A KR 20210115108 A KR20210115108 A KR 20210115108A KR 1020200030245 A KR1020200030245 A KR 1020200030245A KR 20200030245 A KR20200030245 A KR 20200030245A KR 20210115108 A KR20210115108 A KR 20210115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engine
valve
purg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현
서민수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0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5108A/ko
Publication of KR20210115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1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4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relating to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03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gaseous fuel
    • F02M21/0209Hydrocarbon fuels, e.g. methane or acetyle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3Valves; Pressure or flow regulators in the fuel supply or return system
    • F02M21/0242Shut-off valves; Check valves; Safety valves; 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4Nitro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6Fluid distrib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 Y02T70/5218Less carbon-intensive fuels, e.g. natural gas,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가스를 사용하는 엔진을 구비하는 선박에 있어서, 엔진으로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라인; 연료공급라인 상에 설치되어 연료가스의 압력을 제어하는 가스밸브유닛(Gas Valve Unit); 엔진의 내부 및 연료공급라인의 내부를 퍼징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엔진으로 질소가스를 공급하는 퍼징라인을 포함하고, 퍼징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질소가스는, 엔진으로 직접 공급되어 엔진의 내부 및 연료공급라인을 퍼징시킨 후, 가스밸브유닛을 통해 외기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 {GAS PURGING SYSTEM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가스를 사용하는 엔진 시스템의 내부에 남아있는 잔류가스를 퍼징시키는 시스템에 있어서, 잔류가스가 배출되는 배관이 최대한 엔진룸 내부에 배치되지 않도록 설계를 변경 적용하여, 폭발의 위험으로부터 안정성을 극대화시킨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선박에 설치되는 엔진 등의 연소장치들은 MDO(Marine Diesel Oil), HFO(Heavy Fuel Oil) 등의 오일을 연료로서 사용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연료오일은 연소시 발생하는 온실가스와 각종 유해물질로 인하여 환경오염을 초래하는 주범이 되어 왔다. 또한, 화석연료의 고갈이나 국제정세 불안 등의 요인으로 유가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연료비가 급등하는 등 선박 운영상의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선박의 추진을 위하여 전기를 사용하거나 LNG(Liquefied Natural Gas)나 LPG(Liquefied Peroleum Gas) 등의 청정연료를 사용하는 방법이 고려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최근 기술 개발에 따라 연료오일과 연료가스를 모두 연료로써 사용할 수 있는 DF 엔진(Dual Fuel Engine)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DF 엔진은 중유(HFO)와 천연가스(Natural Gas)를 혼소(混燒)하여 연료로 사용하는 일종의 하이브리드 개념의 엔진으로, 연료 소모량, 탄소 배출량, 운항 경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친환경 엔진이다.
일례로, ME-GI 엔진은 중유와 천연가스를 모두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2-Stroke 고압가스 분사엔진으로서, 동급출력의 디젤 엔진에 비해 오염물질 배출량을 이산화탄소는 23%, 질소화합물은 80%, 황화합물은 95% 이상 줄일 수 있는 차세대 친환경 엔진으로 각광받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연료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엔진의 작동을 장시간 중지하거나 내부 시스템을 정비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엔진의 사용연료를 연료가스에서 연료오일로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엔진으로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배관 계통을 포함하여 엔진 시스템 내부에 잔류하는 연료가스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가연성의 연료가스가 시스템 내에 잔류하면 폭발 위험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료가스를 사용하는 엔진이 구비되는 선박에는 엔진 시스템 내부에 잔류하는 연료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가스 퍼징시스템(Gas Purging System)이 반드시 설치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가스 퍼징시스템은 질소(N2)와 같은 비활성가스를 이용하여 엔진 시스템 내부에 잔류하는 연료가스를 밀어내어 배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선박에서 연료가스를 사용하는 엔진(1)에는, 연료저장탱크(미도시)로부터 연료가스가 공급되는 연료공급라인(2)과, 엔진(1)으로부터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라인(3)이 각각 연결된다. 연료공급라인(2) 상에는 엔진(1)으로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압력 및 유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가스밸브유닛(GVU: Gas Valve Unit)(4)이 설치된다.
또한, 엔진 시스템 내부를 퍼징(Purging)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질소버퍼탱크(5)로부터 공급되는 질소가스를 연료공급라인(2) 상으로 주입시키는 퍼징라인(6)이 연결된다.
종래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은, 질소버퍼탱크(5)로부터 공급되는 질소가스를 이용하여 연료공급라인(2) 및 엔진(1) 내부를 퍼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엔진 시스템의 퍼징 작업이 개시되면, 연료공급라인(2) 상에 설치되는 연료공급밸브(2-1)는 차단되고, 퍼징라인(6) 상에 설치되는 퍼징밸브(6-1)가 개방되어 질소버퍼탱크(5)에 저장된 질소가 가스 상태로 연료공급라인(2) 상으로 주입된다.
연료공급라인(2) 상으로 주입된 질소가스는 가스밸브유닛(4)을 거쳐 엔진(1)으로 공급되며, 엔진 시스템 내부에 잔류하는 연료가스는 질소가스에 밀려 배기라인(3)을 통해 안전한 구역(Safe Area)(예컨대, 외기)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종래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에서는 질소가스에 의한 퍼징이 가스밸브유닛(4) → 엔진(1) → Safe Area 순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가스 퍼징시스템에 따르면, 엔진 시스템으로부터 잔류가스가 퍼징되어 나가는 배기라인(3)이 엔진룸(Engine Room) 내에 배치되는 위험성이 있으며, 가스안전구역(Gas Safe Zone)으로 분류되는 엔진룸 내부에 벤트 파이프(Vent Pipe)를 구비하기 위해서는 이중관 또는 덕트 처리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YARD 물량이 많아지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4146호 (2013.11.29)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LNG와 같은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엔진 시스템의 퍼징 과정에서 잔류가스가 배출되는 배관이 최대한 엔진룸 내부에 배치되지 않도록 설계를 변경 적용하여, 폭발의 위험으로부터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가스 퍼징시스템에서 LNG 가스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밸브들을 하나의 밸브셋으로 통합시킴으로써 역류 방지 컨트롤을 위한 로직(Logic)을 단순화시키고, 이에 따라 선내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원가 절감의 효과를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연료가스를 사용하는 엔진을 구비하는 선박에 있어서, 상기 엔진으로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라인; 상기 연료공급라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연료가스의 압력을 제어하는 가스밸브유닛(Gas Valve Unit); 상기 엔진의 내부 및 상기 연료공급라인의 내부를 퍼징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엔진으로 질소가스를 공급하는 퍼징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퍼징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질소가스는, 상기 엔진으로 직접 공급되어 상기 엔진의 내부 및 상기 연료공급라인을 퍼징시킨 후, 상기 가스밸브유닛을 통해 외기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은, 상기 퍼징라인으로 공급되기 위한 질소가스를 저장하는 버퍼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밸브유닛은 가스위험구역(Gas Hazardous Zone)로 분류되는 구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스위험구역은 주기적으로 벤틸레이션(Ventilation)이 이루어지는 구역이며, 가스밸브유닛룸(GVU Room) 또는 카고컴프레서룸(Cargo Compressor Room)일 수 있다.
상기 가스밸브유닛에는 상기 질소가스에 의해 밀려 상기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잔류가스를 외기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배기라인 상에는 라인을 개폐시키는 퍼징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퍼징라인 상에는 상기 엔진으로부터 연료가스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 밸브셋이 설치되고, 상기 역류방지 밸브셋은 상기 가스위험구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 밸브셋은, 상기 퍼징라인 상의 상류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제1 차단밸브, 제2 차단밸브, 체크밸브; 및 상기 제1 차단밸브와 상기 제2 차단밸브 사이의 상기 퍼징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누수된 가스를 외기로 배출하는 누수배출라인 상에 설치되는 블리드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차단밸브 및 상기 제2 차단밸브는 개폐 기능을 가진 밸브로 마련되어, 상기 퍼징라인의 내부 유로를 이중으로 개방 또는 차단하고,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퍼징라인 내부의 유체의 흐름을 일방향으로만 흐르게 하여, 상기 엔진으로부터 상기 퍼징라인 측으로 연료가스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블리드밸브는 상기 제1 차단밸브 및 상기 제2 차단밸브의 차단시 상기 제1 차단밸브 및 상기 제2 차단밸브 사이의 잔류 압력을 제거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 차단밸브와 상기 제2 차단밸브는 개폐 상태가 항시 같도록 동작하고, 상기 블리드밸브는 상기 제1 차단밸브 및 상기 제2 차단밸브와 개폐 상태가 항시 반대가 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 밸브셋은, 상기 제1 차단밸브, 상기 제2 차단밸브 및 상기 블리드밸브를 개폐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 상기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위한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튜빙라인; 및 상기 튜빙라인 상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그룹화시킨 솔레노이드밸브유닛(Solenoid Valve Unit)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역류방지밸브셋은 상기 가스밸브유닛룸 내에 배치하되,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유닛은 상기 가스밸브유닛룸을 구획하는 벽에 근접하도록 상기 엔진룸(Engine Room) 내에 배치하고, 상기 튜빙라인을 상기 엔진룸으로부터 상기 가스밸브유닛룸으로 관통 연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엔진은, 10 bar 이상으로 압축된 연료가스를 공급받아 구동되는 고압가스 분사엔진; 및 10 bar 미만으로 압축된 연료가스를 공급받아 구동되는 저압가스 분사엔진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밸브유닛은, 상기 고압가스 분사엔진으로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고압 가스밸브유닛; 및 상기 저압가스 분사엔진으로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저압 가스밸브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퍼징라인은, 상기 버퍼탱크로부터 상기 고압가스 분사엔진으로 연결되는 라인과, 상기 버퍼탱크로부터 상기 저압가스 분사엔진으로 연결되는 라인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 밸브셋은, 상기 고압가스 분사엔진으로 연결되는 퍼징라인과 상기 저압가스 분사엔진으로 연결되는 퍼징라인 상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압 가스밸브유닛은 카고컴프레서룸(Cargo Compressor Room)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저압 가스밸브유닛과 상기 역류방지밸브셋은 가스밸브유닛룸(GVU Room)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연료가스를 사용하는 엔진을 구비하는 선박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연료로써 사용되는 연료가스를 액화 상태로 저장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상기 엔진으로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라인; 상기 연료공급라인 상에 설치되어 연료가스의 압력을 제어하는 가스밸브유닛(Gas Valve Unt); 상기 엔진의 퍼징을 위한 목적으로 공급되는 불활성가스를 저장하는 버퍼탱크; 및 상기 버퍼탱크로부터 상기 엔진으로 연결되는 퍼징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연료가스를 사용하여 상기 엔진의 구동시에는.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상기 연료공급라인을 통해 엔진으로 공급하고, 상기 엔진의 퍼징시에는, 상기 버퍼탱크에 저장된 불활성가스를 상기 엔진으로 공급하여 상기 엔진의 내부에 잔류하는 가스를 밀어내며, 상기 불활성가스에 의해 상기 엔진으로부터 밀려 나가는 잔류가스는 상기 연료공급라인 측으로 배출되되, 상기 연료공급라인 상에 설치되는 상기 가스밸브유닛을 통해 안전한 구역으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상기 엔진으로 상기 연료가스가 공급되는 방향과, 상기 엔진의 퍼징시 상기 잔류가스가 배출되어 나가는 방향이 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LNG와 같은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엔진 시스템의 퍼징 과정에서 잔류가스가 배출되는 배관이 최대한 엔진룸 내부에 배치되지 않도록 가스 퍼징시스템의 설계가 변경 적용됨에 따라, 폭발의 위험으로부터 안정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YARD 물량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여 선박 건조에 있어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 퍼징시스템에서 LNG 가스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어야 하는 밸브들을 하나의 밸브셋으로 통합시킴으로써 역류 방지 컨트롤을 위한 로직(Logic)이 단순화되고, 이에 따라 선내 공간 활용도 및 원가 절감의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에서 역류방지 밸브셋이 설치되는 부분의 배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밸브셋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밸브셋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액화가스"는 LNG, LPG(Liquefied Petroleum Gas), LEG(Liquefied Ethane Gas), 액화에틸렌가스(Liquefied Ethylene Gas), 액화프로필렌가스(Liquefied Propylene Gas) 등과 같이, 저온으로 액화시켜 저장 및 수송될 수 있고, 기화된 상태에서 엔진의 연료로 공급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액화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대표적인 액화가스인 LNG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선박"은 액화가스를 추진용 엔진의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선박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LNG를 연료로 사용하여 추진하는 LFS(LNG Fueled Ship)나 LNG를 수송하는 선박으로서 저장탱크 내에 저장된 LNG 또는 저장탱크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엔진의 연료로 사용하는 LNGC(LNG Carrier)와 같이 자체 추진 능력을 갖춘 선박을 비롯하여, LN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LNG FSRU(Floating Storage Regasification Unit)와 같이 해상에 부유하고 있는 해상 구조물을 예로 들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에서 역류방지 밸브셋이 설치되는 부분의 배관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은, LNG와 같은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엔진(100)과, 엔진(100)으로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압력 및 유량을 제어하는 가스밸브유닛(GVU: Gas Valve Unit)(210, 220)과, 엔진(100) 및 엔진(100)으로 연료가스가 공급되는 라인 내부를 퍼징(Purging)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불활성가스를 공급하는 버퍼탱크(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엔진(100)은 LNG를 연료로 사용하여 구동이 가능한 엔진일 수 있으며, 따라서 중유와 천연가스를 모두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DF 엔진(Dual Fuel Engine)도 이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엔진(100)은, 고압으로 압축된 LNG 가스를 공급받아 구동되는 고압가스 분사엔진(110)과, 저압으로 압축된 LNG 가스를 공급받아 구동되는 저압가스 분사엔진(12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압가스 분사엔진(110)은 10 bar 이상으로 압축 및 기화된 LNG 가스를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으며, 예컨대 ME-GI 엔진과 같은 추진엔진일 수 있다.
저압가스 분사엔진(120)은 10 bar 미만으로 압축 및 기화된 LNG 가스를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으며, 예컨대 DFDG(Dual Fuel Diesel Generator) 등과 같은 일반적인 DF 발전기엔진이나 X-DF(eXtreme Dual Fuel)과 같은 추진엔진일 수 있다.
고압가스 분사엔진(110) 및 저압가스 분사엔진(120)은 선박의 선미 측에 구획되는 엔진룸(Engine Room) 내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에는 엔진(100)으로 공급되는 LNG 가스(천연가스)를 액화 상태로 저장하는 LNG 저장탱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LNG 저장탱크에 저장된 LNG는 연료공급시스템(FGSS: Fuel Gas Supply System)(400)에서 압축 및 기화되어 엔진(100)의 연료로써 공급될 수 있다.
연료공급시스템(400)은 LNG를 강제 기화시키기 위한 기화기(Vaporizer)와 LNG 가스를 엔진이 요구하는 압력으로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Compressor)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카고컴프레서룸(Cargo Compressor Room) 내에 배치된다.
연료공급시스템(400)에서 압축 및 기화된 LNG 가스는 연료공급라인(L1, L2)을 따라 엔진(100)으로 공급될 수 있는데, 고압가스 분사엔진(110)과 저압가스 분사엔진(120)이 각각 요구하는 압력 및 온도가 상이하기에, 고압가스 분사엔진(110)으로 연결되는 제1 연료공급라인(L1)과 저압가스 분사엔진(120)으로 연결되는 제2 연료공급라인(L2)이 각각 별도의 라인으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연료공급시스템(400)에서 고압으로 압축 및 기화된 LNG 가스는 제1 연료공급라인(L1)을 따라 고압가스 분사엔진(110)으로 공급되고, 저압으로 압축 및 기화된 LNG 가스는 제2 연료공급라인(L2)을 따라 저압가스 분사엔진(120)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에는 LNG 저장탱크로부터 연결되는 배관을 통해 LNG 가스를 엔진(110, 120)으로 공급하는데, LNG 가스를 엔진(110, 120)으로 공급하는 라인(L1, L2) 상에는 가스밸브유닛(210, 220)이 구비된다.
가스밸브유닛(210, 220)은 엔진(100)으로 공급되는 LNG 가스의 압력 및 유량을 제어하는 밸브들을 그룹화한 장비로서, 엔진(100)과 LNG 저장탱크의 사이에 설치되어 LNG 가스를 엔진(100)의 부하에 대응되는 압력으로 공급하며, 여과필터, 가스공급밸브 및 가스유량계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가스밸브유닛(210, 220)은, 고압가스 분사엔진(110)으로 공급되는 LNG 가스를 제어하는 고압 가스밸브유닛(210)과, 저압가스 분사엔진(120)으로 공급되는 LNG 가스를 제어하는 저압 가스밸브유닛(22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압 가스밸브유닛(210)은 제1 연료공급라인(L1) 상에 설치되며, 통상적으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고컴프레서룸 내에 배치되나, 후술하는 가스밸브유닛룸(GVU Room) 내에 저압 가스밸브유닛(220)과 함께 배치될 수도 있다.
저압 가스밸브유닛(220)은 제2 연료공급라인(L2) 상에 설치되며, 가스밸브유닛룸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스밸브유닛룸은 엔진룸과는 격리되도록 별도로 마련된 구역에 위치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룸의 선미 측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저압 가스밸브유닛(220)을 고압 가스밸브유닛(210)과 함께 카고컴프레서룸 내에 함께 배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술한 카고컴프레서룸과 가스밸브유닛룸은 가스위험구역(Gas Hazardous Zone)으로 분류되는 공간으로서, 기화된 LNG 가스를 다루는 공간이기에 안전상의 이유로 주기적인 벤틸레이션(Ventilation)이 이루어져야 하며, 통상 건조된 공기를 시간당 30번 교환될 수 있도록 하여 가스의 누출에 대비한다. 따라서 카고컴프레서룸과 가스밸브유닛룸에는 항시 벤틸레이션이 가능하도록 배기 팬(Ventilation Fan)(f)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 연료공급라인(L1)에서 적어도 카고컴프레서룸으로부터(고압 가스밸브유닛(210)이 가스밸브유닛룸에 마련되는 경우에는 가스밸브유닛룸으로부터) 고압가스 분사엔진(110)으로 이르는 라인은 이중관(Double Pipe)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중관 내부는 시간당 30번의 공기를 교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연료공급라인(L2)에서 적어도 가스밸브유닛룸으로부터 저압가스 분사엔진(120)으로 이르는 라인은 이중관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중관 내부는 시간당 30번의 공기를 교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버퍼탱크(300)에는 엔진(100)과 엔진(100)으로 LNG 가스가 공급되는 연료공급라인(L1, L2) 내부를 퍼징시키기 위해 공급되는 불활성가스가 저장된다. 불활성가스로는 질소(N2)가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하에서는 질소를 예로 들어 설명을 이어 나가도록 한다.
본 발명의 선박에는 퍼징가스(Purging Gas)로서 질소를 이용하기 위하여 질소 발생기(미도시)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으며, 질소 발생기에서 생성된 질소는 버퍼탱크(300)에 임시적으로 저장된 후 엔진 시스템의 퍼징시 공급될 수 있다.
버퍼탱크(300)는 엔진룸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엔진룸은 가스안전구역(Gas Safe Zone)으로 분류되며, 가스위험구역으로부터의 안전이 확보되어야 하는 구역이다. 예컨대, 가스위험구역으로부터 가스안전구역으로의 직접적인 출입은 금지되며(필요시 Air Lock 설치), 가스안전구역을 통과하는 연료공급관은 이중관 또는 덕트에 의해 완전히 폐위되어야 한다.
버퍼탱크(300)로부터 엔진(100) 측으로 질소가스를 공급하기 위하여 퍼징라인(PL)이 연결될 수 있다. 퍼징라인(PL)은 버퍼탱크(300)로부터 고압가스 분사엔진(110)으로 연결되는 라인과 저압가스 분사엔진(120)으로 연결되는 라인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퍼징라인(PL) 상에는 엔진(100) 내부의 LNG 가스가 버퍼탱크(300)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 밸브셋(500)이 설치될 수 있다.
역류방지 밸브셋(500)은 엔진당 하나의 셋이 구성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또는 선박의 추진을 위해 설치되는 메인엔진(Main Engine)과 선내 필요한 전력을 생산하기 위해 설치되는 발전기엔진(Generator Engine)으로 나누어 2개만 설치될 수도 있다.
역류방지 밸브셋(500)은 가스밸브유닛룸과 같이 시간당 30번의 공기가 교환되는 가스위험구역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역류방지 밸브셋(500)은 카고컴프레서룸이나 기타 다른 가스위험구역에 배치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다만, 역류방지 밸브셋(500)은 물량 절감을 위하여 엔진(100) 및 버퍼탱크(300)와 최대한 가까운 곳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류방지 밸브셋(500)을 가스밸브유닛룸에 배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역류방지 밸브셋(500)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뒤에서 더 자세히 다루도록 한다.
엔진 시스템의 퍼징을 위해 버퍼탱크(300)로부터 공급되는 질소가스는 엔진(100) 내부의 잔류가스를 밀어내며, 엔진(100)으로부터 밀려 나가는 잔류가스와 질소가스는 가스밸브유닛(210, 220)을 통하여 안전한 구역(Safe Area)(예컨대, 외기)으로 방출될 수 있다.
가스밸브유닛(210, 220)에는 엔진(100)으로부터 배출되는 잔류가스 및 질소가스를 안전한 구역으로 방출시키기 위한 벤트라인(VL)이 연결될 수 있으며, 벤트라인(VL) 상에는 라인을 개폐시키는 퍼징밸브(PV)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고압가스 분사엔진(110)과 저압가스 분사엔진(120) 측의 퍼징 동작을 각각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고압가스 분사엔진(110) 측의 퍼징시에는, 우선 연료공급시스템(400)으로부터 고압가스 분사엔진(110) 측으로의 LNG 가스의 공급을 중단한다. 그리고 버퍼탱크(300)로부터 고압가스 분사엔진(110) 내부로 질소가스를 공급하는 동시에, 고압 가스밸브유닛(210)에 연결된 벤트라인(VL) 상의 퍼징밸브(PV)를 개방한다. 버퍼탱크(300)로부터 공급되는 질소가스에 의해 고압가스 분사엔진(110)에서 밀려나가는 잔류가스는 질소가스와 함께 제1 연료공급라인(L1)의 일부를 거쳐 고압 가스밸브유닛(210)을 통해 안전한 구역으로 방출된다.
저압가스 분사엔진(120) 측의 퍼징도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저압가스 분사엔진(120)의 퍼징시에는, 우선 연료공급시스템(400)으로부터 저압가스 분사엔진(120) 측으로의 LNG 가스의 공급을 중단한다. 그리고 버퍼탱크(300)로부터 저압가스 분사엔진(120) 내부로 질소가스를 공급하는 동시에, 저압 가스밸브유닛(220)에 연결된 벤트라인(VL) 상의 퍼징밸브(PV)를 개방한다. 버퍼탱크(300)로부터 공급되는 질소가스에 의해 저압가스 분사엔진(120)에서 밀려나가는 잔류가스는 질소가스와 함께 제2 연료공급라인(L2)의 일부를 거쳐 저압 가스밸브유닛(220)을 통해 안전한 구역으로 방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에 엔진 시스템 내부를 퍼징시키기 위하여 질소가스를 연료공급라인 상으로 주입하는 것과는 달리, 질소가스를 엔진(100) 측으로 바로 공급하여 엔진 시스템 내부의 잔류가스가 엔진(100)으로부터 가스밸브유닛(210, 220) 측으로 퍼징된다.
즉, 종래(도 1 참조)에는 엔진 시스템의 퍼징이 가스밸브유닛(4) → 엔진(1) → Safe Area 순으로 이루어지는 것과는 반대로, 본 발명에서는 엔진 시스템의 퍼징이 엔진(100) → 가스밸브유닛(210, 220) → Safe Area 순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엔진(100)의 연료로써 LNG 가스가 공급되는 방향과 엔진 시스템 내부를 퍼징시키는 방향이 역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버퍼탱크(300)로부터 질소가스가 엔진(100)으로 직접 주입되고, 엔진(100) 내부의 잔류가스는 가스밸브유닛(210, 220)을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엔진룸 내부에 별도의 벤트 파이프(Vent Pipe)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종래 대비 YARD 물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엔진(100)으로부터 잔류가스가 퍼징되어 배출되는 배관이 대부분 가스밸브유닛룸 또는 카고컴프레서룸 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엔진룸 내에 배치되는 가스 배관을 대폭 줄일 수 있어 안정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엔진룸에는 전기 장비나 오일류를 다루는 장비, 점화 장비 등이 많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와 같이 가스 배관을 최대한 엔진룸 내에 배치하지 않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가스밸브유닛룸(가스위험구역)은 가스가 누출될 수 있다는 가정 하에 설계되기 때문에 시간당 30번의 공기 교환이 항시 실시되고 있으므로, 해당 구역을 이용하여 엔진 시스템의 잔류가스를 배출하는 것이 벤틸레이션에 매우 유리하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와 같이 엔진(100)으로부터 가스밸브유닛(210, 220) 측으로 퍼징을 실시하면 잔류가스가 이미 이중관으로 구성되어 있는 연료공급라인(L1, L2)을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기존 설비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잔류가스의 배출을 위한 별도의 이중관을 더 구비할 필요가 없어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바람직하다.
한편, LNGC나 LFS와 같은 선박에서는, 엔진 시스템의 퍼징을 위한 배관이 다이렉트로 연결되는 경우에, 엔진 시스템 내부의 연료가스가 질소 공급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크밸브(Check Valve)를 설치하고, 그에 추가하여 이중블록밸브(Double Block Valve)와 블리드밸브(Bleed Valve)를 설치하여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것을 선급에서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사항은 이미 IGF CODE에서는 필수로 적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향후 LFS 선박의 증가가 예상되고 있는 만큼 해당 사항이 필수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밸브들은 필히 가스위험구역에 배치되어야 하고, 폭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폭이 적용되어야 하므로 상당히 고가이다. 따라서 해당 포인트(퍼징 배관이 다이렉트로 연결되는 부분)가 발생하는 지점마다 고가의 밸브를 3개씩 설치하는 것은 선박의 건조 가격에 있어서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중블록밸브와 블리드밸브 및 체크밸브를 하나의 밸브셋(Valve Set)으로 구성하는 컨셉을 개발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상기의 컨셉이 적용되어 하나의 밸브셋으로 구성되는 역류방지 밸브셋(5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밸브셋(500)은, 버퍼탱크(300)로부터 엔진(100) 측으로 질소가스를 공급하는 퍼징라인(PL) 상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제1 차단밸브(510), 제2 차단밸브(520) 및 체크밸브(53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밸브셋(500)은, 제1 차단밸브(510)와 제2 차단밸브(520) 사이의 퍼징라인(PL)으로부터 분기되어 누수된 가스를 배출하는 누수배출라인(LL)과, 누수배출라인(LL) 상에 설치되는 블리드밸브(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단밸브(510)와 제2 차단밸브(520)는 퍼징라인(PL)의 내부 유로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밸브로서, 예컨대 볼밸브(Ball Valve) 등과 같이 개폐 기능을 가진 밸브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차단밸브(510)와 제2 차단밸브(520)는 퍼징라인(PL)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각각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항상 동시에 열리거나 닫힘으로써 질소가스의 흐름을 이중으로 차단 또는 개방한다.
제1 차단밸브(510)와 제2 차단밸브(520)는 버퍼탱크(300)로부터 엔진(100) 측으로 질소가스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만 개방되고, 평상시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체크밸브(530)는 퍼징라인(PL)에서 가장 하류측에 설치되어 엔진(100) 측으로부터 LNG 가스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체크밸브(530)는 항시 개방 상태이지만 유체의 흐름을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기능을 하므로, 엔진(100) 측으로부터 LNG 가스가 역류하는 것을 첫 번째로 방지한다.
본 발명에서 체크밸브(530)는 유지보수시 차단이 가능하도록 클로저블 체크밸브(Closable Check Valve)로 마련될 수 있다.
블리드밸브(540)는 제1 차단밸브(510)와 제2 차단밸브(520)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차단밸브(510)와 제2 차단밸브(520)의 차단시 그 내부의 잔류 압력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블리드밸브(540)는 평상시에는 항시 개방되어 제2 차단밸브(520)에서 누수 발생시 제1 차단밸브(510)와 제2 차단밸브(520) 사이로 스며든 누수 가스를 안전한 구역으로 배출한다. 이때 제1 차단밸브(510)가 누수된 가스를 다시 막아주고 있기 때문에 엔진(100) 측으로부터의 역류를 이중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블리드밸브(540)는 제1 차단밸브(510) 및 제2 차단밸브(520)가 개방될 시에는 차단된다. 즉, 제1 및 제2 차단밸브(510, 520)와 블리드밸브(540)는 개폐 동작이 항상 반대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밸브셋(500)은, 제1 및 제2 차단밸브(510, 520) 그리고 블리드밸브(540)를 개폐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Actuator)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액추에이터 구동을 위하여 압축공기(또는 작동유)를 공급하는 튜빙라인(TL)이 연결되고, 튜빙라인(TL) 상에는 솔레노이드밸브(SV)가 설치될 수 있다.
튜빙라인(TL)이 하나 이상 마련되는 경우, 각각의 튜빙라인(TL)마다 대응되도록 솔레노이드밸브(SV) 역시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는데, 하나 이상의 솔레노이드밸브(SV)를 묶어서 솔레노이드밸브유닛(Solenoid Valve Unit)(600)이라 칭할 수 있다.
이때, 솔레노이드밸브유닛(600)의 경우에는 가스를 취급하는 라인이 아니기에 굳이 방폭 설계가 필요하지 않은데, 가스밸브유닛룸 내부에 배치시킬 경우에는 전장품이라는 이유로 고가의 방폭 장비를 적용해야 하므로 비용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밸브유닛(600)을 가스밸브유닛룸을 구획하는 벽 쪽에 최근접한 위치에서 엔진룸 내부의 가스안전구역(Gas Safe Zone)에 배치하되, 튜빙라인(TL)만 가스밸브유닛룸으로 관통 연장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 배치에 따르면, 고가의 방폭 장비가 적용되지 않은 일반 솔레노이드밸브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비용적인 측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밸브셋(500)은, 퍼징라인(PL) 상에서 체크밸브(530)의 하류 측에 설치되는 오피리스(Orifice)(710)와, 오리피스(710)의 전후 압력차를 측정하는 차압계(DTP: Differential Pressure Transmitter)(72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엔진(100) 측에서 LNG 가스가 역류하여 오리피스(710)를 통한 차압이 발생하는 경우, 엔진(100)을 트립(Trip)시킴으로써 추가적인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역류방지 밸브셋(500)에서는 3개의 밸브(510, 520, 530)의 개폐가 서로 연계되어 동작되는데, 특정한 패턴을 가지는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밸브들(510, 520, 530)이 하나의 액추에이터로 해당 기능이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제1 및 제2 차단밸브(510, 520)와 블리드밸브(540)의 동작은 언제나 반대로 이루어지므로, 제1 및 제2 차단밸브(510, 520)와 블리드밸브(540)를 하나의 액추에이터에 방향만 반대로 하여 연결함으로써 한꺼번에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및 제2 차단밸브(510, 520) 그리고 블리드밸브(540)의 개폐 동작이 하나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실시예 별로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밸브셋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밸브셋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LNG 가스 파이프(LNG Gas Pipe)는 도 2의 엔진(100) 내부에 구비되는 배관일 수 있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 밸브셋(500)은, 제1 차단밸브(510), 제2 차단밸브(520) 및 블리드밸브(540)의 개폐를 제어하는 왕복동식 액추에이터(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왕복동식 액추에이터(550)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제1 차단밸브(510) 및 제2 차단밸브(520)와 연결되는 제1 동력전달부(551)와, 블리드밸브(540)와 연결되는 제2 동력전달부(5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동력전달부(551)와 제2 동력전달부(552)는 왕복동식 액추에이터(550)의 실린더 내부에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의 동력을 전달받아 밸브(510, 520, 540)를 개폐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동력전달부(551)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차단밸브(510, 520)와 제2 동력전달부(552)에 연결되는 블리드밸브(540)는 방향이 반대로 설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동력전달부(551)에 의한 제1 및 제2 차단밸브(510, 520)의 개폐 방향과 제2 동력전달부(552)에 의한 블리드밸브(540)의 개폐 방향이 서로 반대로 동작될 수 있다.
일례로, 왕복동식 액추에이터(550)의 하부로 작동유체가 공급되면 실린더 내부의 피스톤이 상방으로 밀려 올라가게 되는데, 제1 동력전달부(551)는 피스톤의 운동을 전달받아 제1 및 제2 차단밸브(510, 520)를 개방시키고, 제2 동력전달부(552)는 피스톤의 운동을 전달받아 블리드밸브(540)를 차단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반대로, 왕복동식 액추에이터(550)의 상부로 작동유체가 공급되면 실린더 내부의 피스톤이 하강하게 되는데, 제1 동력전달부(551)는 피스톤의 운동을 전달받아 제1 및 제2 차단밸브(510, 520)를 차단시키고, 제2 동력전달부(552)는 피스톤의 운동을 전달받아 블리드밸브(540)를 개방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왕복동식 액추에이터(550)는 제1 및 제2 차단밸브(510, 520)와 블리드밸브(540)를 항시 반대의 상태로 동작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왕복동식 액추에이터(550)는 유압식 뿐만 아니라 공압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밸브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다른 장치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동력전달부(551) 및 제2 동력전달부(552)의 경우에는 다른 기계식 방법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 밸브셋(500)은,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되, 왕복동식 액추에이터(550)가 회전식 액추에이터(560)로 바뀌어 구성되는 것에만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회전식 액추에이터(560)는, 모터(Motor) 또는 기타 회전식 구동부에 의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주축기어(564)와, 주축기어(564)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제1 차단밸브(510)를 개폐시키는 제1 동력전달부(561)와, 주축기어(564)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제2 차단밸브(520)를 개폐시키는 제2 동력전달부(562)와, 주축기어(564)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블리드밸브(540)를 개폐시키는 제3 동력전달부(5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동력전달부(561, 562, 563)는 주축기어(564)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으며, 회전하는 힘을 이용하여 밸브(510, 520, 540)를 개폐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동력전달부(561)와 제2 동력전달부(562)는 주축기어(564)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제1 차단밸브(510) 및 제2 차단밸브(520)는 개폐 상태가 동일하게 동작될 수 있다.
반면, 제3 동력전달부(563)는 주축기어(564)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블리드밸브(540)는 개폐 상태가 제1 및 제2 차단밸브(510, 520)와는 반대가 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주축기어(564)는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되는 원통 형태의 기어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일례로 톱니의 줄이 축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평기어(Spur Gear)일 수 있다.
제1 동력전달부(561)는, 주축기어(564)의 톱니와 맞물리게 설치되어 주축기어(564)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전달기어(561-1)와, 제1 전달기어(561-1)와 제1 차단밸브(510) 사이에 연결되어 제1 전달기어(561-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1 차단밸브(510)를 개폐시키는 제1 연결부(56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동력전달부(562)는, 주축기어(564)의 톱니와 맞물리게 설치되어 주축기어(564)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전달기어(562-1)와, 제2 전달기어(562-1)와 제2 차단밸브(520) 사이에 연결되어 제2 전달기어(562-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2 차단밸브(520)를 개폐시키는 제2 연결부(56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동력전달부(563)는, 주축기어(564)의 회전운동을 그대로 전달받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3 전달기어(563-1)와, 제3 전달기어(563-1)와 상하로 맞물리게 설치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4 전달기어(563-2)와, 제4 전달기어(563-2)와 블리드밸브(540) 사이에 연결되어 제4 전달기어(563-2)의 회전 방향에 따라 블리드밸브(540)를 개폐시키는 제3 연결부(563-3)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제3 연결부(563-3)가 주축기어(564)에 바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제3 전달기어(563-1) 및 제4 전달기어(563-2)의 구성은 삭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회전식 액추에이터(560)는 제1 및 제2 차단밸브(510, 520)와 블리드밸브(540)를 항시 반대의 상태로 동작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식 액추에이터(560)를 구성하는 기어들(561-1, 562-1, 563-1, 563-2, 564)을 대체하여 다른 회전식 수단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차단밸브(510, 520), 체크밸브(530) 및 블리드밸브(540)를 하나의 밸브셋으로 구성하고, 개폐 동작이 필요한 밸브(510, 520, 540)를 하나의 액추에이터(550/560)를 통해 한꺼번에 동작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면, 컨트롤 로직(Control Logic)이 간단하게 되어 케이블(Cable) 및 작동유 공급라인이 줄어들게 되며, 이에 따라 콤팩트한 구성이 가능하여 선박의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밸브의 작동을 위한 액추에이터(550/560)의 개수가 줄어들고 여러 개의 밸브를 하나의 셋(set)으로 제작함으로써 원가 절감의 효과가 기대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안되는 역류방지 밸브셋(500)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가스 퍼징시스템에만 적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엔진의 연료로써 공급되는 LNG가 유동하는 배관으로 퍼징라인이 직접 연결되는 어떠한 시스템에라도 적용이 가능하며, 종래와 같이 질소가스를 연료공급라인 상으로 주입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역류방지 밸브셋(500)은 가스 퍼징시스템 뿐만 아니라 유체의 역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성이 있는 기타 다른 가스 취급시스템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엔진
110 : 고압가스 분사엔진
120 : 저압가스 분사엔진
210 : 고압 가스밸브유닛
220 : 저압 가스밸브유닛
300 : 버퍼탱크
400 : 연료공급시스템
500 : 역류방지 밸브셋
510 : 제1 차단밸브
520 : 제2 차단밸브
530 : 체크밸브
540 : 블리드밸브
550 : 왕복동식 액추에이터
551 : 제1 동력전달부
552 : 제2 동력전달부
560 : 회전식 액추에이터
561 : 제1 동력전달부
562 : 제2 동력전달부
563 : 제3 동력전달부
564 : 주축기어
600 : 솔레노이드밸브유닛
L1 : 제1 연료공급라인
L2 : 제2 연료공급라인
PL : 퍼징라인
VL : 벤트라인
PV : 퍼징밸브
LL : 누수배출라인
TL : 튜빙라인
SV : 솔레노이드밸브

Claims (14)

  1. 연료가스를 사용하는 엔진을 구비하는 선박에 있어서,
    상기 엔진으로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라인;
    상기 연료공급라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연료가스의 압력을 제어하는 가스밸브유닛(Gas Valve Unit);
    상기 엔진의 내부 및 상기 연료공급라인의 내부를 퍼징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엔진으로 질소가스를 공급하는 퍼징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퍼징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질소가스는, 상기 엔진으로 직접 공급되어 상기 엔진의 내부 및 상기 연료공급라인을 퍼징시킨 후, 상기 가스밸브유닛을 통해 외기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퍼징라인으로 공급되기 위한 질소가스를 저장하는 버퍼탱크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스밸브유닛은 가스위험구역(Gas Hazardous Zone)로 분류되는 구역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스위험구역은 주기적으로 벤틸레이션(Ventilation)이 이루어지는 구역이며, 가스밸브유닛룸(GVU Room) 또는 카고컴프레서룸(Cargo Compressor Roo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스밸브유닛에는 상기 질소가스에 의해 밀려 상기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잔류가스를 외기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배기라인 상에는 라인을 개폐시키는 퍼징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퍼징라인 상에는 상기 엔진으로부터 연료가스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 밸브셋이 설치되고,
    상기 역류방지 밸브셋은 상기 가스위험구역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 밸브셋은,
    상기 퍼징라인 상의 상류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제1 차단밸브, 제2 차단밸브, 체크밸브; 및
    상기 제1 차단밸브와 상기 제2 차단밸브 사이의 상기 퍼징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누수된 가스를 외기로 배출하는 누수배출라인 상에 설치되는 블리드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차단밸브 및 상기 제2 차단밸브는 개폐 기능을 가진 밸브로 마련되어, 상기 퍼징라인의 내부 유로를 이중으로 개방 또는 차단하고,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퍼징라인 내부의 유체의 흐름을 일방향으로만 흐르게 하여, 상기 엔진으로부터 상기 퍼징라인 측으로 연료가스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블리드밸브는 상기 제1 차단밸브 및 상기 제2 차단밸브의 차단시 상기 제1 차단밸브 및 상기 제2 차단밸브 사이의 잔류 압력을 제거하는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밸브와 상기 제2 차단밸브는 개폐 상태가 항시 같도록 동작하고,
    상기 블리드밸브는 상기 제1 차단밸브 및 상기 제2 차단밸브와 개폐 상태가 항시 반대가 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 밸브셋은,
    상기 제1 차단밸브, 상기 제2 차단밸브 및 상기 블리드밸브를 개폐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
    상기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위한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튜빙라인; 및
    상기 튜빙라인 상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그룹화시킨 솔레노이드밸브유닛(Solenoid Valve Unit)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역류방지밸브셋은 상기 가스밸브유닛룸 내에 배치하되,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유닛은 상기 가스밸브유닛룸을 구획하는 벽에 근접하도록 상기 엔진룸(Engine Room) 내에 배치하고,
    상기 튜빙라인을 상기 엔진룸으로부터 상기 가스밸브유닛룸으로 관통 연장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엔진은,
    10 bar 이상으로 압축된 연료가스를 공급받아 구동되는 고압가스 분사엔진; 및
    10 bar 미만으로 압축된 연료가스를 공급받아 구동되는 저압가스 분사엔진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밸브유닛은,
    상기 고압가스 분사엔진으로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고압 가스밸브유닛; 및
    상기 저압가스 분사엔진으로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저압 가스밸브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퍼징라인은, 상기 버퍼탱크로부터 상기 고압가스 분사엔진으로 연결되는 라인과, 상기 버퍼탱크로부터 상기 저압가스 분사엔진으로 연결되는 라인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 밸브셋은, 상기 고압가스 분사엔진으로 연결되는 퍼징라인과 상기 저압가스 분사엔진으로 연결되는 퍼징라인 상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고압 가스밸브유닛은 카고컴프레서룸(Cargo Compressor Room)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저압 가스밸브유닛과 상기 역류방지밸브셋은 가스밸브유닛룸(GVU Room)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
  13. 연료가스를 사용하는 엔진을 구비하는 선박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연료로써 사용되는 연료가스를 액화 상태로 저장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상기 엔진으로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라인;
    상기 연료공급라인 상에 설치되어 연료가스의 압력을 제어하는 가스밸브유닛(Gas Valve Unt);
    상기 엔진의 퍼징을 위한 목적으로 공급되는 불활성가스를 저장하는 버퍼탱크; 및
    상기 버퍼탱크로부터 상기 엔진으로 연결되는 퍼징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연료가스를 사용하여 상기 엔진의 구동시에는,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상기 연료공급라인을 통해 엔진으로 공급하고,
    상기 엔진의 퍼징시에는, 상기 버퍼탱크에 저장된 불활성가스를 상기 엔진으로 공급하여 상기 엔진의 내부에 잔류하는 가스를 밀어내며, 상기 불활성가스에 의해 상기 엔진으로부터 밀려 나가는 잔류가스는 상기 연료공급라인 측으로 배출되되, 상기 연료공급라인 상에 설치되는 상기 가스밸브유닛을 통해 안전한 구역으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상기 엔진으로 상기 연료가스가 공급되는 방향과, 상기 엔진의 퍼징시 상기 잔류가스가 배출되어 나가는 방향이 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
KR1020200030245A 2020-03-11 2020-03-11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 KR202101151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245A KR20210115108A (ko) 2020-03-11 2020-03-11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245A KR20210115108A (ko) 2020-03-11 2020-03-11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108A true KR20210115108A (ko) 2021-09-27

Family

ID=77925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245A KR20210115108A (ko) 2020-03-11 2020-03-11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510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42993A (zh) * 2022-07-06 2022-10-04 上海中船三井造船柴油机有限公司 一种用于船用双燃料主机燃气管路的燃气吹扫装置及方法
CN115370508A (zh) * 2022-07-14 2022-11-22 友联船厂(蛇口)有限公司 一种惰化lpg主机及其管路的方法
WO2024058463A1 (ko) * 2022-09-16 2024-03-21 한화오션 주식회사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146B1 (ko) 2012-08-01 2013-11-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Df 엔진의 가스 라인 퍼징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146B1 (ko) 2012-08-01 2013-11-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Df 엔진의 가스 라인 퍼징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42993A (zh) * 2022-07-06 2022-10-04 上海中船三井造船柴油机有限公司 一种用于船用双燃料主机燃气管路的燃气吹扫装置及方法
CN115142993B (zh) * 2022-07-06 2023-08-11 上海中船三井造船柴油机有限公司 一种用于船用双燃料主机燃气管路的燃气吹扫装置及方法
CN115370508A (zh) * 2022-07-14 2022-11-22 友联船厂(蛇口)有限公司 一种惰化lpg主机及其管路的方法
CN115370508B (zh) * 2022-07-14 2024-02-20 友联船厂(蛇口)有限公司 一种惰化lpg主机及其管路的方法
WO2024058463A1 (ko) * 2022-09-16 2024-03-21 한화오션 주식회사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2723B1 (ko) 액화가스운반선의 연료 공급 장치 및 방법
KR20210115108A (ko)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
KR101245644B1 (ko) 해상 구조물용 천연가스 공급 시스템의 펌프 연결구조
US9683518B2 (en) Fuel gas supply apparatus
KR102333073B1 (ko) 선박의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및 방법
US915124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inflammable material on marine structure
US975160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inflammable material on marine structure
KR20210133724A (ko) 가스 퍼징시스템의 역류방지 밸브셋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
JP2017502208A (ja) 船舶用エンジンに燃料を供給する装置及び方法
KR20140002789A (ko) 액화 가스 배출 시스템, 액화 가스 저장용 탱크, 액화 가스 탱크를 개조하는 방법, 및 액화 가스 탱크를 구축하는 방법
KR101334146B1 (ko) Df 엔진의 가스 라인 퍼징 시스템
KR20210128527A (ko) 컨테이너선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20210145035A (ko) 선박용 연료 공급 시스템
KR20140052887A (ko) 선박용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56567A (ko) 메탄올 연료 공급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KR102426560B1 (ko) 선박의 가스 퍼징시스템
KR102297873B1 (ko) 이중연료 엔진을 구비하는 선박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20210120702A (ko) 가스 퍼징시스템의 역류방지 밸브셋
KR102327408B1 (ko) 컨테이너선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0774836B1 (ko) 액화천연가스 중간저장 탱크와 배관 혼합기를 이용한 잉여자연발생가스 처리장치
KR102297872B1 (ko) 선박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20220012468A (ko) 선박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20150032445A (ko) 해양구조물의 연료가스 이송장치
KR102051685B1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20120125129A (ko) 고압가스 분사엔진용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을 갖는 lng 운반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