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4734A - 병해충 예방 기능의 작물 보호제 및 이를 이용한 작물의 병해충 방제 방법 - Google Patents

병해충 예방 기능의 작물 보호제 및 이를 이용한 작물의 병해충 방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4734A
KR20210114734A KR1020200030249A KR20200030249A KR20210114734A KR 20210114734 A KR20210114734 A KR 20210114734A KR 1020200030249 A KR1020200030249 A KR 1020200030249A KR 20200030249 A KR20200030249 A KR 20200030249A KR 20210114734 A KR20210114734 A KR 20210114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p protection
organosilane
protection agent
present
cro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3950B1 (ko
Inventor
전재욱
Original Assignee
전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재욱 filed Critical 전재욱
Priority to KR1020200030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950B1/ko
Publication of KR20210114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and sulfu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충, 항균 등의 병해충 예방 기능이 있는 작물보호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가노 실란을 함유하는 살충, 항균, 항바이러스 등의 병해충 예방 기능이 있는 작물보호제 및 작물의 병해충 방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오가노실란과 물을 혼합하여 조성한 살충, 항균, 항바이러스 등의 병해충 예방 기능이 있는 작물보호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가노실란 100중량부에 물 100~20,0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한 살충, 항균, 항바이러스 등의 병해충 예방 기능이 있는 작물보호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과채류 모종의 뿌리를 오가노실란 작물보호제로 적시는 과정(1과정),
과채류가 심어질 토양에 상기한 오가노실란 작물보호제를 살포하는 과정(2과정),
과채류를 심고 나서 작물의 잎에 오가노실란 작물보호제를 초벌 살포 소독하는 과정(3과정),
작물의 잎, 줄기, 토양에 오가노실란 작물보호제에 재배 소독하는 과정(4과정),
을 포함하는 작물의 병해충 방제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병해충 예방 기능의 작물 보호제 및 이를 이용한 작물의 병해충 방제 방법{a disease and pest preventing pesticide and the disease and pest preventing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살충, 항균 등의 병해충 예방 기능이 있는 작물보호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가노 실란을 함유하는 살충, 항균, 항바이러스 등의 병해충 예방 기능이 있는 작물보호제 및 작물의 병해충 방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유해충으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농약을 살포하게 되는데, 농약을 너무 과다하게 사용하면 농작물 자체에 약흔 문제가 발생하는 부작용이 생기게 되고, 또한 농약은 인체에 유해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농작물을 해치는 균, 곤충, 응애, 선충, 바이러스, 잡초, 그 밖에 농림수 산식품부령으로 정하는 동식물을 방제하는데 사용하는 살균제, 살충제, 제초제와 농작물의 생리기능을 증진하거나 억제하는데 사용하는 약제를 농약으로 정의[농약관리법 2조] 하였으나 사용 목적과 대상이 모호하기 때문에 이를 구체적으로 표현하고자, 연구자 중심으로 그동안 사용되던“농약”이란 용어 대신“작물보호제”라 보편적인 용어로 사용된다.
종래에, 은 나노 입자는 현재까지 화농성 질환, 황색포도상구균, 요소부태균, 대장균, 녹농균, 폐렴균, 레지오넬라균, O-157균 등 각동 내성균에 대한 단 세포 병원균을 살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개발한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물살균제의 경우 아직까 지 방제할 수 있는 식물병의 범위가 아주 좁은 범위에 제한되어 있으므로, 보다 광범위하게 살균활성을 보이거나, 기존 제품과 다른 살균스펙트럼을 가지고 있는 천연물 살균제가 제시되기도 하였다.
관련된 선행기술로 카레의 주요 성분으로 우리에게 친숙한 울금과 강황의 추출물인 turmeric(또는 curcumin)을 이용한 벼 도열병과 고추 탄저병 방제용 약제의 경우, 두 가지 식물병에 대하여 합성 살균제와 유사한 방제효과를 보이고 있다.
농작물 호보제의 주요 역할 중 항균 성능과 항충 성능을 동시에 발휘하는 것이 쉽지 않으나 화학 케이칼의 농약 성분이 아닌 생체 친화적인 금속 나노입자와 천연 울금 추출물 및 유황을 혼합한 효과가 뛰어난 작물보호제를 제시하기도 하였다.
또한 관련된 선행기술로 공개특허(10-2019-0080066, 작물보호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은 "구리 나노 수용액 또는 은-구리 나노 수용액, 울금추출물 용액, 유황합제 용액, Isobutyl alcohol 요액, Tween 20 용액을 혼합한 작물보호제 조성물을 제조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 및 선행기술은 다양한 금속성분 및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포함되어 환경적인 문제점 및 인체에 유해한 문제점이 있는바,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병해충 예방 기능의 작물 보호제 및 이를 이용한 작물의 병해충 방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체에 유해성이 없는 오가노실란과 물을 혼합하여 조성한 살충, 항균, 항바이러스 등의 병해충 예방 기능이 있는 작물보호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의 추출 조성물을 포함하여 살충, 항균, 항바이러스 등의 병해충 예방 기능이 더욱 상승된 병해충 예방 기능의 작물 보호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의 접착 조성물을 포함하여 작물보호제를 살포된 과채류에 잔류능력을 향상시켜서 살충, 항균, 항바이러스 등의 병해충 예방 기능을 더욱 상승시킴에도 인체에 무해한 작용이 나타나게 하는 병해충 예방 기능의 작물 보호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작물보호제를 이용하여 과채류의 살충, 항균, 항바이러스 등의 병해충 예방 기능을 더욱 상승시키고 인체에 무해한 작용이 나타나게 하는 작물의 병해충 방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및 요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오가노실란과 물을 혼합하여 조성한 살충, 항균, 항바이러스 등의 병해충 예방 기능이 있는 작물보호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가노실란 100중량부에 물 100~20,0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한 살충, 항균, 항바이러스 등의 병해충 예방 기능이 있는 작물보호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과채류 모종의 뿌리를 오가노실란 작물보호제로 적시는 과정(1과정),
과채류가 심어질 토양에 상기한 오가노실란 작물보호제를 살포하는 과정(2과정),
과채류를 심고 나서 작물의 잎에 오가노실란 작물보호제를 초벌 살포 소독하는 과정(3과정),
작물의 잎, 줄기, 토양에 오가노실란 작물보호제에 재배 소독하는 과정(4과정),
을 포함하는 작물의 병해충 방제 방법을 제공한다.
종래기술 및 선행기술은 다양한 금속성분 및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포함되어 환경적인 문제점 및 인체에 유해한 문제점이 있는바, 본 발명에 따른 병해충 예방 기능의 작물 보호제 및 이를 이용한 작물의 병해충 방제 방법은 상기한 금속성분 및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환경적인 문제점 및 인체에 유해한 문제점이 없는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병해충 예방 기능의 작물 보호제는 인체에 유해성이 없는 오가노실란과 물을 혼합하여 조성한 것으로서 살충, 항균, 항바이러스 등의 병해충 예방 기능이 현저히 높은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병해충 예방 기능의 작물 보호제는 천연의 추출 조성물을 포함하여 살충, 항균, 항바이러스 등의 병해충 예방 기능이 더욱 상승된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병해충 예방 기능의 작물 보호제는 천연의 접착 조성물을 포함하여 작물보호제를 살포된 과채류에 잔류능력을 향상시켜서 살충, 항균, 항바이러스 등의 병해충 예방 기능을 더욱 상승시킴에도 인체에 무해한 작용이 나타나게 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병해충 예방 기능의 작물 보호제를 이용하여 작물의 병해충 방제 방법을 시행한 결과 과채류의 살충, 항균, 항바이러스 등의 병해충 예방 기능을 더욱 상승시키고 인체에 무해한 작용이 나타나게 하며 생산능력이 현저히 상승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병해충 예방 기능의 작물 보호제를 이용한 작물의 병해충 방제 방법의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오가노실란과 물을 혼합하여 조성한 살충, 항균, 항바이러스 등의 병해충 예방 기능이 있는 작물보호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오가노실란 100중량부에 물 100~20,0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한 살충, 항균, 항바이러스 등의 병해충 예방 기능이 있는 작물보호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오가노실란과 물이 혼합된 작물보호제를 오가노실란 작물보호제라고 칭한다.
상기한 오가노실란은 오가노실란 용액을 의미하는 것으로 순수 오가노실란이 1~10%(중량부)로 바람직하게는 5%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오가노실란은 바람직하게는 오가노실란 4급 암모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오가노실란은 아래의 화학식 1로 정의되는 오가노실란 4급 암모늄 화합물을 포함한다.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에서, R은 수소 및/또는 C1 내지 C4 알킬이고;
R2는 C1 내지 C8의 탄소원자를 갖는 2가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R3은 수소 또는 C1 내지 C4 알킬이고,
R4는 수소 또는 C1 내지 C10 알킬이고,
R5 는 C10 내지 C22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 라디칼이며,
X는 할라이드(바람직하게는 클로라이드 또는 브로마이드), 카복실레이트 (아세테이트, 글리콜레이트), 설포네이트, 하이드록사이드, 설페이트 또는 포스페이트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오가노실란 4급 암모늄 화합물은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디메틸옥타데실 암모늄 클로라이드,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디데실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데실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디메틸소야 암모늄 클로라이드,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디메틸올레일 암모늄클로라이드,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옥타데실 암모늄 클로라이드,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올레일 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디메틸옥타데실 암모늄 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기타 적합한 오가노실란 4급 암모늄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물은 증류수 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4급 암모늄 화합물은 음이온성 표면에서 흡수된 물과 상호작용하여 음이온성 표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는 다음 [식 1]으로 기술할 수 있다.
표면-H2O + M+(수성) + X-(수성) → 표면-OH-M+ + X-(수성) + H+(수성) ---[식1]
상기식에서,
M+은 수소 이온 이외의 유기 양이온이고, 수소 이온은 흡수된 표면 물로부터 치환되어 수화되며 수성 상을 H+(수성)으로서 도입한다. 따라서, 유기 양이온(M+)은 음이온성 표면에 "수소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으로 작물에 적용하는 경우 살충, 항균, 항바이러스 등의 병해충 예방 기능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작물보호제에 천연의 기능 조성물을 포함하여 살충, 항균, 항바이러스 등의 병해충 예방 기능을 더욱 상승시키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의 천연의 기능 조성물은 오가노실란 작물보호제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2 중량%로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천연의 기능 조성물은 천연의 약재를 포함하여 조성한 것으로 살충, 항균, 항바이러스 등의 병해충 예방 기능을 더욱 상승시키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상기한 천연의 기능 조성물은 라임, 솔잎, 회향 씨(aniseed), 정향(clove), 시더우드(cederwood), 가시오가피, 구기자를 혼합하여 추출한 조성물을 의미한다.
상기한 천연의 기능 조성물은 라임 100중량부에 솔잎 50~150중량부, 회향 씨(aniseed) 50~150중량부, 정향(clove) 50~150중량부, 시더우드(cederwood) 50~150중량부, 가시오가피 50~150중량부, 구기자 50~150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한 것이 효과적이다.
천연의 기능 조성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상기한 중량부대로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에 물 100~5,000 중량부를 혼합하고 가열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한 원재료 100중량부에 물 1000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하면 약80~1000중량부 정도의 추출액이 나오게 된다.
또 다른 추출 방법으로는 상기의 혼합한 원재료 100 중량부에 75~85%[질량%] 에탄올 1000중량부를 넣고, 2~4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고 여액을 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는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작물보호제에 천연의 접착 조성물을 포함하여 살포된 과채류에 잔류능력을 향상시켜서 살충, 항균, 항바이러스 등의 병해충 예방 기능을 더욱 상승시킴에도 인체에 무해한 작용이 나타나게 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상기한 천연의 접착 조성물은 오가노실란 작물보호제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 중량%로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연의 접착 조성물은 오미자, 산수유, 당귀, 천공, 숙지황, 백작약, 석창포, 봉령, 산약을 혼합하여 추출한 조성물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오미자 100중량부에 산수유 50~150중량부, 당귀 50~150중량부, 천공 50~150중량부, 숙지황 50~150중량부, 백작약 50~150중량부, 석창포 50~150중량부, 봉령 50~150중량부, 산약 50~150중량부을 혼합하여 추출한 조성물을 의미한다.
상기한 천연의 접착 조성물은 상기한 천연의 기능 조성물을 추출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면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오가노실란을 포함한 작물보호제를 이용하여 병해충을 방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한 작물보호제는 토마토, 딸기 등과 같은 과채류의 병해충 예방에 매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작물 모종의 뿌리를 오가노실란 작물보호제로 적시는 과정을 수행한다.(1과정)
본 발명에서 상기한 작물은 야채류, 과채류, 곡물류, 나무류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특히 본 발명의 상기한 작물보호제는 토마토, 딸기 등과 같은 과채류의 병해충 예방에 매우 효과적이다.
상기한 오가노실란 작물보호제의 구성인 오가노실란 용액에서 오가노실란이 1~10%(중량%)로 포함된 것을 바람직하게는 5%(중량%)로 포함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농도의 오가노실란이 포함된 오가노실란 작물보호제는 물로 100~20,000배 희석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오가노실란이 포함된 오가노실란 작물보호제를 물로 500~1000배 희석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또한 아래의 과정에서 사용되는 오가노실란 작물보호제는 마찬가지로 오가노실란 작물보호제를 물로 100~20,000배 희석한 것을 바람직하게는 500~1000배 희석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채류가 심어질 토양에 상기한 오가노실란 작물보호제를 살포하는 과정을 수행한다.(2과정)
상기한 오가노실란 작물보호제를 살포하는 량은 0.05~ 1 liter/m2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채류를 심고 나서 작물의 잎에 오가노실란 작물보호제를 초벌 살포 소독하는 과정을 수행한다.(3과정)
작물의 잎에 오가노실란 작물보호제를 살포하는 량은 과채류가 심어진 단위 면적당(m2) 0.05~ 1 liter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정 후 작물의 잎, 줄기, 토양에 오가노실란 작물보호제에 재배 소독하는 과정을 수행한다.(4과정)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정 후 15~35일 사이의 간격으로 작물의 잎, 줄기, 토양에 오가노실란 작물보호제를 과채류가 심어진 단위 면적당(m2) 0.01~ 3 liter 로 재배 소독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재배 소독 과정은 과채류가 자라는 속도에 따라서 1회 또는 2회 이상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토마토는 약 8~11회 정도 재배 소독 과정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딸기는 약 10~15회 정도 재배 소독 과정을 수행한다.
<실시예>
토마토, 딸기에 본 발명의 상기한 방법으로 병해충 방제 방법을 실시한 결과, 작물의 수확량이 현저히 상승한 것을 알게 되었다.
(1) 토마토 재배 실시 실험결과
1) 실험방법
실험군 1, 2, 3 및 대비군 1, 2, 3으로 하여 면적 10m2 에 토마토를 재배하고 본 발명에 따른 병해충 방제 방법을 실시한 경우(실험군)와 일반 방법으로 병해중 방제 방법을 실시한 경우(대비군)에서의 총생산량(단위 kg)을 살펴보았다.
2) 실시결과
항목 1 2 3 총계 생산성상승률
실험군 320 362 356 1,038 37%
대비군 242 260 255 757
상기의 실시결과에 따르면 실험군에 의한 생산성이 대비군에 비하여 37%의 생산량이 증대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는바, 본 발명에 따른 병해충 방제 방법으로 작물을 재배한 것이 일반 방법으로 병해중 방제 방법을 실시하여 재배한 경우보다 효과가 현저히 높음을 알 수가 있다.
(2) 딸기 재배 실시 실험결과
1) 실험방법
실험군 1, 2, 3 및 대비군 1, 2, 3으로 하여 면적 10m2 에 딸기를 재배하고 본 발명에 따른 병해충 방제 방법을 실시한 경우와 일반 방법으로 병해중 방제 방법을 실시한 경우에서의 총생산량(단위 kg)을 살펴보았다.
2) 실시결과
항목 1 2 3 총계 생산성상승률
실험군 41 44 38 123 36.7%
대비군 32 28 30 90
상기의 실시결과에 따르면 실험군에 의한 생산성이 대비군에 비하여 36.7%의 생산량이 증대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는바, 본 발명에 따른 병해충 방제 방법으로 작물을 재배한 것이 일반 방법으로 병해중 방제 방법을 실시하여 재배한 경우보다 효과가 현저히 높음을 알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과 기능으로 이루어진 작물보호제 및 이를 이용한 딸기, 토마토의 과채류에 대한 이용한 병해충 방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야채, 과일, 작물 등에 대한 작물보호제를 생산, 제조, 판매, 유통, 연구하는 산업에 매우 유용하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한 작물보호제를 이용한 딸기, 토마토의 과채류에 대한 이용한 병해충 방제 방법에 대한 산업에 매우 유용하다.

Claims (3)

  1. 오가노실란과 물을 혼합하여 조성한 살충, 항균, 항바이러스 등의 병해충 예방 기능이 있는 작물보호제.
  2. 제1항에 있어서,
    오가노실란 100중량부에 물 100~20,0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한 살충, 항균, 항바이러스 등의 병해충 예방 기능이 있는 작물보호제.
  3. 과채류 모종의 뿌리를 오가노실란 작물보호제로 적시는 과정(1과정),
    과채류가 심어질 토양에 오가노실란 작물보호제를 살포하는 과정(2과정),
    과채류를 심고 나서 작물의 잎에 오가노실란 작물보호제를 초벌 살포 소독하는 과정(3과정),
    작물의 잎, 줄기, 토양에 오가노실란 작물보호제에 재배 소독하는 과정(4과정),
    을 포함하는 작물의 병해충 방제 방법.


KR1020200030249A 2020-03-11 2020-03-11 병해충 예방 기능의 작물 보호제 및 이를 이용한 작물의 병해충 방제 방법 KR102443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249A KR102443950B1 (ko) 2020-03-11 2020-03-11 병해충 예방 기능의 작물 보호제 및 이를 이용한 작물의 병해충 방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249A KR102443950B1 (ko) 2020-03-11 2020-03-11 병해충 예방 기능의 작물 보호제 및 이를 이용한 작물의 병해충 방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734A true KR20210114734A (ko) 2021-09-24
KR102443950B1 KR102443950B1 (ko) 2022-09-16

Family

ID=77914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249A KR102443950B1 (ko) 2020-03-11 2020-03-11 병해충 예방 기능의 작물 보호제 및 이를 이용한 작물의 병해충 방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395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7000006A1 (en) * 1985-07-09 1987-01-15 Agri-Shield, Inc. Plant microbiocidal compound and method
JPH09157650A (ja) * 1995-12-05 1997-06-17 Koei Kagaku Kogyo Kk 土壌浄化剤および植物の植え付け方法
KR101653815B1 (ko) * 2015-12-29 2016-09-05 주식회사 다림바이오텍 흰가루병 방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흰가루병 방제용 조성물
KR101789595B1 (ko) * 2017-05-19 2017-11-20 주식회사 한별씨앤이 식물성장촉진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07744A (ko) * 2016-07-14 2018-01-24 주식회사 그린팜바이오 식물병원성 곰팡이 방제용 조성물
KR20190028764A (ko) * 2016-07-12 2019-03-19 바스프아그로케미칼 프로덕츠 비.브이. 살충 활성 혼합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7000006A1 (en) * 1985-07-09 1987-01-15 Agri-Shield, Inc. Plant microbiocidal compound and method
JPH09157650A (ja) * 1995-12-05 1997-06-17 Koei Kagaku Kogyo Kk 土壌浄化剤および植物の植え付け方法
KR101653815B1 (ko) * 2015-12-29 2016-09-05 주식회사 다림바이오텍 흰가루병 방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흰가루병 방제용 조성물
KR20190028764A (ko) * 2016-07-12 2019-03-19 바스프아그로케미칼 프로덕츠 비.브이. 살충 활성 혼합물
KR20180007744A (ko) * 2016-07-14 2018-01-24 주식회사 그린팜바이오 식물병원성 곰팡이 방제용 조성물
KR101789595B1 (ko) * 2017-05-19 2017-11-20 주식회사 한별씨앤이 식물성장촉진제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3950B1 (ko) 202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34494B1 (de) Schutzschicht für planzen und bäume,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TW529906B (en) Method for protecting surfaces from arthropod infestation
NZ525093A (en) Pesticide delivery system
CN1985591A (zh) 含有有机多硫醚类化合物的组合物及其应用
CN103651638A (zh) 复合生物广谱农药
AU2020102090A4 (en) Composite wheat seed coating agen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060015600A (ko) 항균ㆍ항바이러스 조성물
US20070087978A1 (en) Method of Controlling Animal Pests
KR102443950B1 (ko) 병해충 예방 기능의 작물 보호제 및 이를 이용한 작물의 병해충 방제 방법
CN101347113A (zh) 杀菌杀虫烟雾弹
CN107372548A (zh) 含有克菌丹和氟唑环菌胺的农药组合物及其用途
WO2004026033A1 (en) Plant pesticides and uses thereof
JPH08193002A (ja) 三七粉添加の土壌改良材
RU2812704C1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повышения урожайности и качества томатов в условиях защищенного грунта
JPS59139307A (ja) 殺虫剤混合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2331449B1 (ko) 농약이 포함되지 않은 서방형 토양 살생제 및 그 제조방법
JPH05194129A (ja) 農園芸用殺菌剤
WO2022064262A1 (en) Nano-silver for the preservation and treatment of diseases in agriculture
KR101625599B1 (ko) 오이 흰가루병 및 오이 노균병 방제를 위한 친환경 방제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990992B (zh) 一种含氟唑菌酰羟胺和代森锰锌的杀菌组合物
CN106259434B (zh) 一种增强甲基硫菌灵防效的杀菌混剂配方及制备方法
RU2629775C1 (ru) Биоци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и способы обработки растений и животных с ее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JP3061174B2 (ja) 病害防除資材
IL296523A (en) Protected plants and methods of obtaining them
EP2208418A1 (en) Protective coating that can be applied as a phytosanitary protection means to protect against agricultural pests and diseases and method for apply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