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4688A - Versatile Women's Clothing - Google Patents

Versatile Women's Cloth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4688A
KR20210114688A KR1020200030097A KR20200030097A KR20210114688A KR 20210114688 A KR20210114688 A KR 20210114688A KR 1020200030097 A KR1020200030097 A KR 1020200030097A KR 20200030097 A KR20200030097 A KR 20200030097A KR 20210114688 A KR20210114688 A KR 20210114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et
fastening means
clothing
women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0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민성
Original Assignee
(주)엠에스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에스컴퍼니 filed Critical (주)엠에스컴퍼니
Priority to KR1020200030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4688A/en
Publication of KR20210114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68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5/00Convertible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9/00Uniforms; Parts or accessories of unifor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women's clothing capable of providing various appearances and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riable clothing which can increase or decrease various parts according to the taste and body of a wearer and includes a detachable piece with ornaments to provide a stylish appearance. To achieve this, the variable women's clothing comprises: a jacket with a vertically open front part; a detachable piece disposed at the open end part of the jacket and having both sides fastened to the open end part of the jacket; and fastening mean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detachable piece and the open end part of the jacket, respectively, to be mutually fastened to each other, wherein the fastening means mounted on the open end part of the jacket can be mutually fastened.

Description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다변형 여성 의류{Versatile Women's Clothing}{Versatile Women's Clothing}

본 발명은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다변형 여성 의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착용자의 취향 및 몸매에 맞게 다양한 부위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고, 재킷, 원피스, 투피스, 스커트 등 여러 유형으로 변형 가능하며, 장식구가 달린 착탈편을 장착하여 맵시를 살릴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ultimodal women's clothing that can be produced in various ways, and in particular, various parts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taste and body of the wearer, and can be transformed into various types such as jackets, one-pieces, two-pieces, and skirts. It is configured so that you can save your appearance by attaching a detachable piece.

종래의 여성 의류는 제작된 형태에 따라 재킷, 원피스, 투피스, 정장 스커트, 미니스커트 등 정해진 형태로만 입을 수 있으며 수선을 하더라도 그 형태를 크게 벗어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Conventional women's clothing can only be worn in a predetermined shape, such as a jacket, one-piece, two-piece, suit skirt, and mini-skirt, depending on the manufactured shape,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cannot be significantly deviated from the shape even if it is repaired.

또한 체형에 맞는 의류의 경우에는 착용자의 체중이 증가할 경우 작아져서 입기 어려운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clothing that fits the body type, it is often difficult to wear because the wearer's weight increases.

이와 같은 경우에 의류를 착용할 수 없어 버리거나 또는 체중을 뺄 때까지 착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In such a cas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clothing cannot be worn or worn until it is thrown away or the weight is lost.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착용자의 취향 및 몸매에 맞게 다양한 부위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며 장식구가 달린 착탈편을 장착하여 맵시를 살릴 수 있게 구성한 다변형 의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or decrease various parts according to the taste and body of the wearer, and to attach a detachable piece with ornaments to make it look good. Its purpose is to provide transformative cloth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다변형 여성 의류는 전방부가 수직하게 개방된 재킷과, 상기 재킷의 개방된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재킷의 개방된 단부에 양측부가 각각 체결되는 착탈편과, 상기 착탈편의 양측부와 상기 재킷의 개방된 단부에 장착되어 상호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재킷의 개방된 단부에 장착된 체결수단끼리 상호 체결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versatile women's cloth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jacket with a vertically open front part, and is located at the open end of the jacket, and both sides are respectively fastened to the open end of the jacket. It includes a detachable piece, and fastening mean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detachable piece and the open end of the jacket to mutually fasten, and the fastening means mounted on the open end of the jacket can be mutually fasten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재킷은 허리 부위의 둘레를 따라 재킷 상부와 재킷 하부로 분할되며, 상기 재킷 상부의 하단과 상기 재킷 하부의 상단은 상호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체결수단이 각각 장착된다.Fur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acket is divided into a jacket upper part and a jacket lower par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waist, and the fastening mean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or separated from the lower end of the upper part of the jacket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part of the jacket. is mount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재킷의 목 둘레에는 칼라가 착탈되도록 상기 재킷의 목 둘레와 상기 칼라의 하단 둘레에 체결수단이 장착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astening means are mounted around the neck of the jacket and around the lower end of the collar so that the collar is detachable around the neck of the jacket.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재킷의 소매부위에 소매가 착탈되도록 상기 재킷의 소매부위와 소매의 단부에 체결수단이 장착된다.Fur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astening means are mounted on the sleeve portion of the jacket and the end of the sleeve so that the sleeve is detachable from the sleeve portion of the jacket.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재킷 하부의 안쪽에는 재킷 하부의 둘레를 따라 분할되어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덧단들이 상기 재킷 하부의 안쪽에 부착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inside of the jacket lower part, a plurality of patters di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jacket lower part and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jacket lower part.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칼라는 목둘레의 길이를 따라 3분할되며, 가운데 부위는 목등과 대응하며 가운데 부위의 양측에 위치한 양측 부위는 재킷의 전방쪽에 위치하며 상기 가운데 부위와 양측 부위는 체결수단에 의해 착탈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lar is divided into three along the length of the neck circumference, the middle part corresponds to the back of the neck, and both part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middle part are located in the front of the jacket, and the middle part and the middle part Both sides are detachable by fastening means.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덧단들과 상기 재킷 하부의 안쪽면은 체결수단에 의해 부착하거나 분리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ribs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jacket are attached or separated by a fastening means.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덧단들은 3개로서, 상부에 위치한 제1덧단과, 상기 제1덧단의 아래에 위치한 제2덧단 그리고 상기 제2덧단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3덧단을 포함하며, 제2덧단의 하단과 제3덧단의 상단은 상호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destal is three, and a first pedestal located on the upper part, a second pedet located under the first pedestal, and a third pedet located under the second pedestal Including,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ad and the upper end of the third pad can be fastened by a fastening means to be mutually connected or separat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재킷 하부의 하단과 상기 제2덧단의 상단은 상호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 of the jacket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ad can be fastened by a fastening means so as to be mutually connected or separat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재킷은 안과 밖을 뒤집어 입는 양면 의류로서, 상기 재킷 하부는 외측 겉감과 안감 및 내측 겉감이 겹쳐진 상태로 전방에 수직하게 개방된 부위에는 상기 착탈편과 체결되는 상기 체결수단이 고정되며, 상기 외측 겉감과 내측 겉감 중 어느 한 쪽에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를 통해 상기 덧단들이 안감에 부착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acket is a double-sided garment that is worn inside and out, and the lower part of the jacket has the outer outer, lining and inner outer fabric overlapped, and the detachable piece and the The fastening means to be fastened is fixed, and a cutout is formed in either side of the outer outer fabric and the inner outer fabric, so that the extra ends are attached to the lining through the cutout.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절개부는 체결수단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tout is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fastening means.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수단은 슬라이드파스너, 벨크로테이프, 스냅버튼, 단추, 후크 중 어느 하나이다.Furt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means is any one of a slide fastener, a Velcro tape, a snap button, a button, and a hook.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수단이 장착된 부위에는 덧감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수단을 덮어 감춘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means is mounted on the portion is formed with a sense of the fastening means to cover and hid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탈편에는 길이 방향으로 장식구가 장착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chable piece is equipped with a decorative too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식구는 착탈편에 체결수단에 의해 장착되어 착탈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nament is attached to the detachable piece by a fastening means is detachabl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재킷 하부에는 상기 장식구가 장착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nament is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jacket.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다변형 여성 의류는 숏재킷, 일반 재킷, 원피스, 투피스, 스커트 등으로 변형하여 착용이 가능하여 하나의 의류로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ultimodal women's clothing that can be produced in various way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transformed into a short jacket, a general jacket, a one-piece, a two-piece, a skirt, and the like and can be worn with a single clothing.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다변형 여성 의류는 신체부위에 따라 늘리거나 줄일 수 있어 체중이 증가한 착용자라도 몸매에 맞춰 착용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하게 작아진 의류를 버리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lti-variable women's clothing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body parts, so that even a wearer who has increased weight can wear it according to the body shap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throwing away clothes that are unnecessarily small.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다변형 여성 의류는 착용자의 취향에 따라 장식구로 장착하거나 탈착할 수 있어 자신만의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multi-variable women's clothing capable of various present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mounted or detached as a decoration according to the taste of the wearer, so that the user can create his or her own style.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다변형 여성 의류의 정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착탈편을 나타낸 상세도이며,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착탈편에 장착된 장식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칼라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칼라를 분할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는 칼라를 변형시킨 예들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1a에 도시된 소매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6은 소매를 변형시킨 예들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1a에 도시된 재킷 상부와 재킷 하부의 분해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재킷 하부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재킷 하부를 이용하여 원피스를 구성한 상태의 개념도이고,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재킷 하부를 이용하여 투피스를 구성한 상태의 개념도이다.
도 11은 양면 의류 형태의 재킷 하부를 구성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재킷 하부의 측단면도이며,
도 13은 재킷 하부에 장식구를 장착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다변형 여성 의류의 변형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1a is a front view of a multivariate women's clothing that can be produc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b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detachable piece shown in Figure 1a,
Figure 1c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decorative tool mounted on the detachable piece shown in Figure 1a.
Figure 2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llar shown in Figure 1a is separated,
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llar shown in FIG. 2 is divided,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examples in which a color is modified.
Figure 5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leeve shown in Figure 1a is removed,
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examples of modified sleeves.
7 is a front view of an exploded state of the upper part of the jacket and the lower part of the jacket shown in FIG. 1A;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wer portion of the jacket shown in FIG. 7,
9 is a conceptual view of a state in which a dress is configured using the lower part of the jacket shown in FIG. 7;
10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tate in which a two-piece is configured using the lower part of the jacket shown in FIG. 7 .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part of the jacket in the form of double-sided clothing;
1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wer part of the jacket shown in FIG. 11;
13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a decorative tool is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jacket.
1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odified example of a multivariate women's clothing that can be produc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다변형 여성 의류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ulti-modal women's clothing capable of various produc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에서,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다변형 여성 의류의 정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착탈편을 나타낸 상세도이며,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착탈편에 장착된 장식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칼라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칼라를 분할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는 칼라를 변형시킨 예들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1a에 도시된 소매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6은 소매를 변형시킨 예들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1a에 도시된 재킷 상부와 재킷 하부의 분해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재킷 하부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재킷 하부를 이용하여 원피스를 구성한 상태의 개념도이고,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재킷 하부를 이용하여 투피스를 구성한 상태의 개념도이다. 도 11은 양면 의류 형태의 재킷 하부를 구성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재킷 하부의 측단면도이며, 도 13은 재킷 하부에 장식구를 장착한 상태의 정면도이다.In the drawings, FIG. 1a is a front view of a multivariate women's clothing that can be produc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detachable piece shown in FIG. 1a, and FIG. 1c is mounted on the detachable piece shown in FIG. 1a It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decorated ornaments.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llar shown in FIG. 1A is separated, FIG. 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llar shown in FIG. 2 is divided, and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examples in which the collar is modified.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leeve shown in FIG. 1A is removed, and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examples in which the sleeve is modified. 7 is a front view of an exploded state of the jacket upper part and the jacket lower part shown in FIG. 1A,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wer part of the jacket shown in FIG. 7, and FIG. 9 is a one piece using the jacket lower part shown in FIG. It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configured state, and FIG. 10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tate in which a two-piece is configured using the lower jacket shown in FIG. 7 .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part of the jacket in the form of double-sided clothing, FIG. 1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wer part of the jacket shown in FIG. 11, and FIG.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변형 의류(100)는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재킷(110)과 상기 재킷(110)의 안쪽에 부착되며 펼쳐 형성하는 스커트(180)로 구분되며, 재킷(110)의 앞가슴 쪽에는 수직방향으로 착탈편(121)이 위치하여 착탈편(121)의 착탈에 의해 재킷(110)의 흉부 둘레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또한 재킷(110)은 팔과 앞가슴에 대응하는 재킷 상부(110H)와 허리에서 엉덩이를 덮는 길이 정도의 재킷 하부(110L)로 구분되며, 재킷 상부(110H)와 재킷 하부(110L)는 상호 체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체결수단으로 연결된다.As shown in FIG. 1A , the multimodal clothing 100 is divided into a jacket 110 tha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nd a skirt 180 that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jacket 110 and formed to spread, the jacket 110 . ), the detachable piece 121 is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chest side, so that the chest circumference of the jacket 110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by the detachment of the detachable piece 121 . In addition, the jacket 110 is divided into a jacket upper part 110H corresponding to the arms and chest, and a jacket lower part 110L having a length that covers the hip from the waist, and the jacket upper part 110H and the jacket lower part 110L are mutually fastened or It is connected by a fastening means so that it can be separated.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다변형 여성 의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multivariate women's clothing that can be produced in various way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킷(110)의 앞쪽에는 수직방향으로 착탈편(121)이 위치한다. 착탈편(121)의 폭 양단에는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파스너(122)가 재봉되어 고정되고, 착탈편(121)의 폭 양단과 대응하는 재킷(110)의 개방부위 양단에도 슬라이드파스너(111)가 각각 재봉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착탈편(121)의 양단에 고정된 슬라이드파스너(122)와 재킷(110)의 슬라이드파스너(111)를 체결하면 재킷(110)은 착탈편(121)의 폭만큼 흉부 둘레가 넓어진다. 반대로 착탈편(121)을 제거한 후에 재킷(110)의 슬라이드파스너(111)끼리 체결하면 흉부 둘레는 좁아진다. 이와 같이 착용자의 흉부 둘레에 따라 착탈편(121)을 착탈할 수 있다.1A to 1C , the detachable piece 121 is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front of the jacket 110 . Slide fasteners 122 are sewn and fixed to both ends of the width of the detachable piece 121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slide fasteners 111 are also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opening portion of the jacket 110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detachable piece 121, respectively. sewn and fixed Accordingly, when the slide fasteners 122 fixed to both ends of the detachable piece 121 and the slide fastener 111 of the jacket 110 are fastened, the perimeter of the chest of the jacket 110 is widened by the width of the detachable piece 121 . Conversely, when the slide fasteners 111 of the jacket 110 are fastened together after the detachable piece 121 is removed, the chest circumference is narrowed. In this way, the detachable piece 121 can be detached along the wearer's chest circumference.

한편, 착탈편(121)의 바깥면에는 장식구(150)들이 재봉되어 고정되거나 또는 부착된다. 장식구(150)를 실로 재봉하여 착탈편(121)에 고정할 수 있고, 장식구(150)를 착탈할 수 있게 구성할 경우에는 스냅버튼(151)의 암컷(151F)을 착탈편(121)의 바깥면에 고정하고 장식구(150)에 스냅버튼(151)의 수컷(151M)을 고정하여 장식구(150)를 착탈편(121)에 착탈하게 구성한다. 여기에서 스냅버튼(151)의 암컷(151F)과 수컷(151M)은 바뀌어 장착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etachable piece 121, the decorations 150 are sewn and fixed or attached. The ornament 150 can be fixed to the detachable piece 121 by sewing with a thread, and when the ornament 15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the female 151F of the snap button 151 is attached to the detachable piece 121. It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ecorative member 150 by fixing the male (151M) of the snap button 151 to the decorative member 15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detachable piece (121). Here, the female (151F) and the male (151M) of the snap button 151 may be mounted interchangeably.

또한, 재킷(110)은 앞에서 설명한 재킷 상부(110H)와 재킷 하부(110L)로 구분되며, 재킷 상부(110H)와 재킷 하부(110L)는 상호 분리하거나 체결할 수 있게 체결수단인 벨크로테이프(127, 128)과 스냅버튼(151)의 암컷(151F)과 수컷(151M)을 이용하여 연결된다. 재킷 상부(110H)의 하단 안쪽면과 재킷 하부(110L)의 상단 바깥면에 상호 부착되는 벨크로테이프(127, 128)과 스냅버튼(151)의 암컷(151F)과 수컷(151M)이 각각 부착 고정되어 재킷 상부(110H)와 재킷 하부(110L)를 상호 부착하여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하부(110L)를 제거하고 재킷(110)의 상부(110H)만을 착용함으로써, 숏재킷의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재킷 하부(110L)에 대한 구성은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In addition, the jacket 110 is divided into the jacket upper part 110H and the jacket lower part 110L as described above, and the jacket upper part 110H and the jacket lower part 110L are separated or fastened with a Velcro tape 127, which is a fastening means. , 128) and the snap button 151 are connected using a female 151F and a male 151M. Velcro tapes 127 and 128 that are mutually attached to the bottom inner surface of the jacket upper part 110H and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jacket lower part 110L, and the female (151F) and the male (151M) of the snap button 151 are attached and fixed, respectively. It can be connected or separated by attaching the jacket upper part 110H and the jacket lower part 110L to each other. Here, by removing the lower part 110L and wearing only the upper part 110H of the jacket 110, the atmosphere of the short jacket can be created. The configuration of the jacket lower portion 110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다변형 여성 의류(100)에 있어서, 착탈 가능한 부위에 고정된 착탈수단은 가장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한 것뿐이며, 그 외에 다른 착탈수단을 대신하여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 예로서, 착탈편(121)과 재킷(110)에는 슬라이드파스너(122, 111)가 장착되고, 재킷 상부와 재킷 하부의 연결은 벨크로테이프(127, 128)과 스냅버튼(151)의 암컷(151F)과 수컷(151M)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착탈수단으로서 다른 종류의 슬라이드파스너, 벨크로테이프, 스냅버튼, 단추와 구멍, 후크와 구멍 등 다양한 착탈수단들을 대신하여 장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착탈수단으로 착탈하는 것은 동일한 기술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가장 바람직한 착탈수단의 일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일 뿐 설명된 착탈수단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착탈수단으로 교체하여 사용하더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In the multi-variable women's clothing 100 that can be produc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chable means fixed to the detachable portion is only described as the most preferable example, and can be sufficiently used instead of other detachable means. For example, the slide fasteners 122 and 111 are mounted on the detachable piece 121 and the jacket 110,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jacket and the lower part of the jacket is connected to the Velcro tapes 127 and 128 and the female 151F of the snap button 151. ) and the male 151M, but can be installed in place of various detachable means such as other types of slide fasteners, Velcro tape, snap buttons, buttons and holes, hooks and holes as detachable means. Removal by means of detachment belongs to the same technical scope. Therefore,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most preferred detachable means, and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detachable means, and it is natural that it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it is used by replacing other detachable mean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다변형 여성 의류는 칼라(160)가 착탈식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multi-variable women's clothing that can be produc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lar 160 is detachable.

재킷(110)은 목 테두리를 따라 도 1b에 보이듯이 2겹의 겉감으로 이루어지며 겉감의 안쪽에는 벨크로테이프가 재봉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보이듯이 칼라(160)의 하단에는 재킷(110)의 벨크로테이프에 부착 가능한 벨크로테이프(161)가 고정된다. 따라서 칼라(160)의 하단을 재킷(110)의 목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2겹의 겉감 사이에 끼워 착용한다.The jacket 110 is made of two layers of outer fabric along the neck edge as shown in FIG. 1B, and Velcro tape is sewn and fixed on the inside of the outer fabric. And as shown in FIGS. 2 and 3 , a Velcro tape 161 attachable to the Velcro tape of the jacket 110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collar 160 . Therefore, the lower end of the collar 160 is worn between the two layers of outer fabric formed along the neck edge of the jacket 110 .

상기 칼라(16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160)를 전개하였을 때에 길이방향으로 복수 분할된 구조로서, 분할된 부위에는 각각 착탈 가능한 착탈수단이 고정된다. 특히 3부위로 분할되는 것일 바람직한데, 가운데 부분(163)은 목 뒤에 대응하는 부위이고 양측 부분(165)은 목 앞쪽에 대응하는 부위로서, 양측 부분(16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분위기에 따라 칼라(160)의 형태를 바꿔가며 재킷(110)에 부착 고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운데 부분(163)과 양측 부분(165)을 연결하는 체결수단은 벨크로테이프(167)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스냅버튼, 단추와 구멍, 후크와 구멍 등이 대신 사용될 수 있으며, 벨크로테이프(161) 또한 스냅버튼, 단추와 구멍, 후크와 구멍 등이 대신 사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to 4 , the collar 160 has a structure divided into a pluralit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collar 160 is deployed, and detachable and detachable means are fixed to each of the divided portions.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o be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middle part 163 is a part corresponding to the back of the neck, and both parts 165 are parts corresponding to the front of the neck, and both parts 165 are various parts as shown in FIG. By configuring the shape, the shape of the collar 160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atmosphere, and it can be attached and fixed to the jacket 110 . Here, the fastening means for connecting the central portion 163 and the side portions 165 is preferably a Velcro tape 167, but a snap button, a button and a hole, a hook and a hole, etc. may be used instead, and the Velcro tape 161 ) can also be used instead of snap buttons, buttons and holes, hooks and hole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재킷(110)은 소매(170)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jacket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sleeve 170.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민소매 형태의 재킷(110)에는 소매(170)가 부착될 부위에 슬라이드파스너(115)가 재봉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소매(170)에는 상기 슬라이드파스너(115)와 체결되거나 분리 가능한 슬라이드파스너(171)가 재봉 고정되며, 소매(170)를 재킷(110)에 착탈 가능하다. 그리고 슬라이드파스너(115, 171)가 감춰지도록 소매가 부착될 부위에는 덧감(119)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5 to 6 , a slide fastener 115 is sewn and fixed to the sleeve 170 to be attached to the sleeveless jacket 110 . In addition, a slide fastener 171 that is fastened with the slide fastener 115 or detachable is sewn and fixed to the sleeve 170 , and the sleeve 170 is detachable from the jacket 110 . In addition, a padding 119 is formed on the portion to which the sleeve is to be attached so that the slide fasteners 115 and 171 are hidden.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매(170)의 형태 즉 반팔 소매, 긴팔 소매, 셔링 소매, 일자 소매, 블라우스 소매, 민소매 등 다양한 소매를 재킷(110)에 부착하여 착용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6 , various sleeves such as a short sleeve sleeve, a long sleeve sleeve, a shirring sleeve, a straight sleeve, a blouse sleeve, and a sleeveless sleeve may be attached to the jacket 110 and worn in the form of the sleeve 170 .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다변형 여성 의류(100)는 여러 부위를 착탈 가능하게 한 것으로서, 착탈을 위한 착탈수단인 슬라이드파스너, 벨크로테이프, 스냅버튼, 단추와 구멍, 후크와 구멍 등을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multimodal women's clothing 100 that can be produc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e from various parts, and is a detachable means such as a slide fastener, a Velcro tape, a snap button, a button and a hole, a hook and a hole, etc. can be used

아래에서는 재킷 하부(110L)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jacket lower portion 110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킷 하부(110L)는 재킷 상부(110H)와 벨크로테이프(127, 128)와 스냅버튼(151)의 암컷(151F)과 수컷(151M)로 부착되어 있어 재킷 하부(110L)를 재킷 상부(110H)에 부착하여 일반적인 재킷(110)으로 착용이 가능하며, 재킷 하부(110L)를 분리하여 숏재킷으로 착용이 가능하다. 필요에 따라서는 재킷 하부(110L)에 부착된 3개의 덧단(181a, 181b, 181c)을 이용하여 다양한 패션으로 착용이 가능하다.7 and 8, the jacket lower part 110L is attached with the jacket upper part 110H, the velcro tapes 127, 128, and the female 151F and the male 151M of the snap button 151, It can be worn as a general jacket 110 by attaching the lower jacket 110L to the jacket upper part 110H, and can be worn as a short jacket by removing the jacket lower part 110L. If necessary, it is possible to wear it in various fashions using the three hem (181a, 181b, 181c) attached to the jacket lower part (110L).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킷 하부(110L)의 상단에는 벨크로테이프(128)와 스냅버튼의 암컷(151F)이 부착되어 재킷 상부(110H)의 하단 안쪽에 부착된 벨크로테이프(127)와 스냅버튼의 수컷(151M)에 부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벨크로테이프(127, 128)와 스냅버튼(151)은 다른 착탈수단으로 대치 가능하다.7, the Velcro tape 128 and the female 151F of the snap button are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jacket lower part 110L, and the Velcro tape 127 and the snap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lower end of the jacket upper part 110H are attached. It can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male 151M of the button. Here, the Velcro tapes 127 and 128 and the snap button 151 can be replaced with other detachable means.

한편, 재킷 하부(110L)의 안쪽에는 길이방향으로 3단으로 분할된 덧단(181a, 181b, 181c)들이 부착 고정된다. 맨 상부에 위치한 덧단을 아래에서는 제1덧단(181a)이라 하고, 제1덧단의 아래에 위치한 덧단을 제2덧단(181b)이라 하며, 제2덧단의 아래에 위치한 덧단을 제3덧단(181c)이라 한다.On the other hand, on the inside of the jacket lower portion (110L) is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ree-stage extra ends (181a, 181b, 181c) are attached and fixed. The top located at the top is referred to as a first overhang (181a) from below, the second overstep is referred to as a second overstep (181b), and the second overstep is referred to as a third overstep (181c). it is said

각 덧단(181a, 181b, 181c)들은 재킷 하부(110L)의 안쪽면에 벨크로테이프에 의해 부착 고정된다. 그리고 상부에 위치한 덧단과 하부에 위치한 덧단 즉 제1덧단(181a)과 제2덧단(181b), 그리고 제2덧단(181b)과 제3덧단(181c)을 부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파스너(183)가 제1덧단(181a)의 하단과 제2덧단(181b)의 상단, 그리고 제2덧단(181b)의 하단과 제3덧단(181c)의 상단에 재봉 고정되어 상호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재킷 하부(110L)의 하단에도 슬라이드파스너(117)가 재봉 고정된다.Each of the extra ends (181a, 181b, 181c) is attached and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jacket lower part (110L) by Velcro tape. And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that is, the first end (181a) and the second end (181b), and the second end (181b) and the third end (181c) can be attached to or separated from Figs. As shown in 10, the slide fastener 183 is sewn on the lower end of the first pad 181a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ad 181b,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end end 181b and the upper end of the third pad end 181c. It is fixed and configured to be mutually coupled or detachable. In addition, the slide fastener 117 is sewn and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jacket lower portion 110L.

이와 같이 구성된 덧단들을 이용하여 연출할 수 있는 각 스타일에 대해 설명한다.Each style that can be produced using the paddings configured in this way will be described.

첫번째 원피스를 연출할 경우에, 도 9에 보이듯이, 제2덧단(181b)과 제3덧단(181c)을 재킷 하부(110L)의 안쪽에서 분리한 후에 제2덧단(181b)의 슬라이드파스너(183)를 재킷 하부(110L)의 슬라이드파스너(117)에 연결하고 제2덧단(181b)의 하단에 제3덧단(181c)을 연결하여 재킷 하부(110L)로 제2덧단(181b)과 제3덧단(181c)이 내려져 정장 스커트의 원피스를 구성한다.In the case of directing the first dress, as shown in FIG. 9, after separating the second hem 181b and the third hem 181c from the inside of the jacket lower part 110L, the slide fastener 183 of the second hem 181b. is connected to the slide fastener 117 of the jacket lower part 110L, and a third extra end 181c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extra end 181b to the jacket lower end 110L. 181c) is lowered and constitutes the one-piece of the formal skirt.

두번째 투피스를 연출하고자 할 경우에, 도 10에 보이듯이, 원피스의 형태로 구성하고, 이 상태에서 제1덧단(181a)을 재킷 하부(110L)의 안쪽에서 분리하여 재킷 하부(110L)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제1덧단(181a)을 재킷 상부(110H)의 하단에 연결한다. 여기에서 재킷 상부(110H)의 하단에 고정된 벨크로테이프(127)에 부착하여 연결한다. 그러면 제1덧단(181a)에 의해 재킷(110)의 형태를 연출하면서 제1덧단(181a)의 안쪽에 위치하는 재킷 하부(110L)와 제2덧단(181b) 및 제3덧단(181c)에 의해 투피스 형태를 연출할 수 있다.In the case of directing the second two-piece, as shown in FIG. 10 , it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one-piece, and in this state, the first pad 181a is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jacket lower part 110L to the outside of the jacket lower part 110L. Positioned and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pad (181a) the jacket upper portion (110H). Here, it is attached to and connected to the Velcro tape 127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jacket upper part 110H. Then, while directing the shape of the jacket 110 by the first over-end 181a, by the jacket lower end 110L and the second over-end 181b and the third over-end 181c located on the inside of the first over-end 181a. You can create a two-piece shape.

세번째 미니스커트를 연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원피스든 투피스를 연출한 상태에서 제3덧단(181c)을 분리하여 재킷 하부(110L)의 안쪽에 부착하면 스커트(180)의 길이가 짧아져서 미니스커트를 연출할 수 있다.If you want to create a third mini skirt, detach the third hem 181c in a one-piece or two-piece state and attach it to the inside of the jacket lower part 110L, the length of the skirt 180 can be shortened to produce a mini skirt. .

한편 아래에서는 양면 의류로 착용할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Meanwhile, the case of wearing as double-sided clothing will be described below.

양면 의류로 착용할 경우에 재킷 상부(110H)를 외측 겉감(191)과 내측 겉감(193)으로 구성되어 상용화된 양면 재킷으로 구성할 수 있다.When worn as a double-sided garment, the upper part of the jacket 110H is composed of an outer outer material 191 and an inner outer material 193 and can be configured as a commercially available double-sided jacket.

앞에서 설명한 재킷 하부(110L)의 구성으로는 양면으로 뒤집어 착용할 경우에 제1덧단(181a) 내지 제3덧단(181c)이 외측으로 노출되어 지저분해 보인다.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lower jacket 110L described above, when worn over on both sides, the first over-end (181a) to the third over-end (181c) are exposed to the outside and look messy.

따라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킷 하부(110L)는 외측 겉감(191)과 안감(192) 및 내측 겉감(193)을 포함하며, 각 덧단(181a, 181b, 181c)들이 안감(192)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재킷 하부(110L)는 전개될 수 있도록 외측 겉감(191)과 안감(192) 및 내측 겉감(193)의 길이 양단을 각각 슬라이드파스너(195)로 재봉하여 고정한다. 따라서 외측 겉감(191)과 안감(192) 및 내측 겉감(193)을 둥글게 형성한 후 양단에 재봉된 슬라이드파스너(195)를 체결하면 재킷 하부(110L) 또한 양면으로 뒤집어 착용이 가능하다. 또한 재킷 상부(110H)에 착탈편(121)이 장착된 경우에 슬라이드파스너(195)는 착탈편(121)의 슬라이드파스너(122)에 장착되며, 착탈편(121)은 재킷 상부(110H)와 재킷 하부(110L)의 폭을 넓히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S. 11 and 12, the jacket lower part 110L includes an outer outer material 191, a lining 192, and an inner outer material 193, and each of the upper ends 181a, 181b, 181c is a lining ( 192) is attached. The jacket lower part 110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fixed by sewing the lengthwise ends of the outer outer fabric 191, the lining 192, and the inner outer fabric 193 with slide fasteners 195, respectively, so that they can be deployed. Therefore, when the outer outer material 191, the lining 192, and the inner outer material 193 are formed in a round shape and the slide fasteners 195 sewn at both ends are fastened, the jacket lower portion 110L can also be turned over and worn on both sides. In addition, when the detachable piece 121 is mounted on the jacket upper part 110H, the slide fastener 195 is mounted on the slide fastener 122 of the detachable piece 121, and the detachable piece 121 is connected with the jacket upper part 110H. The width of the jacket lower portion (110L) is widened.

한편, 도 7과 도 9 및 도 10을 비교하였을 때에, 스커트는 앞과 뒤로 돌려 입을 수 있어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파스너(195)가 노출될 수 있고 뒤로 돌려 입었을 경우에는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슬라이드파스너(195)가 정면에 노출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when comparing FIGS. 7 and 9 and 10, the skirt can be worn backwards and forwards, so even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slide fastener 195 can be exposed as shown in FIG. 9 and 10, the slide fastener 195 is not exposed to the front.

한편, 안감(192)에 부착된 덧단(181a, 181b, 181c)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외측 겉감(191) 또는 내측 겉감(193) 어느 한 쪽에 절개부(196)를 형성하고 절개부(196)에 슬라이드파스너(199)를 고정하여 절개부(196)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덧단(181a, 181b, 181c)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착용하기 위해서는 절개부(196)를 개방하고 덧단(181a, 181b, 181c)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패션을 연출할 수 있다. 양면으로 뒤집어 착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절개부(196)를 폐쇄한 후에 재킷 하부(110L)를 뒤집어 착용한다.On the other hand, to use the extra ends (181a, 181b, 181c) attached to the lining 192, an incision 196 is formed on either side of the outer outer fabric 191 or the inner outer fabric 193, and the cutout 196 slides into the cutout 196. The fastener 199 is fixed to open or close the cutout 196 .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be worn in various shapes using the hem 181a, 181b, 181c, the cutout 196 is opened and various fashions can be produced using the hem 181a, 181b, 181c. If you want to wear it upside down on both sides, after closing the cutout 196, the jacket lower part 110L is turned over and worn.

한편, 도 1a에 도시된 장식구(150)는 착탈편(121)에 장착될 수 있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킷 하부(110L)에 장착될 수 있다. 더불어 장식구는 재킷 어디에라도 장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장식구의 장착 부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ornament 150 shown in Figure 1a may be mounted on the detachable piece 121, as shown in Figure 13 may be mounted on the jacket lower portion (110L). In addition, ornaments can be installed anywhere on the jacket.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ornament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다변형 여성 의류는 각 부위별 착탈이 가능함에 따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하여 착용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른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The multi-variable women's clothing configured in this 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formed and worn as shown in FIG. 14 as it is detachable for each part, and can be deformed into other forms in addition to this.

100 : 의류
110 : 재킷
110H : 재킷 상부
110L : 재킷 하부
111, 115, 117, 122, 171, 183, 195, 199: 슬라이드파스너
127, 128, 161, 167 : 벨크로테이프
119 : 덧감
121 : 착탈편
150 : 장식구
151 : 스냅버튼
160 : 칼라
170 : 소매
180 : 스커트
181a : 제1덧단
181b : 제2덧단
181c : 제3덧단
191 : 외측 겉감
192 : 안감
193 : 내측 겉감
196 : 절개부
100: clothing
110 : jacket
110H: upper jacket
110L: lower jacket
111, 115, 117, 122, 171, 183, 195, 199: slide fastener
127, 128, 161, 167: Velcro tape
119: add
121: detachable flight
150: ornament
151: snap button
160: color
170: sleeve
180: skirt
181a: first pad
181b: second pad
181c : 3rd pad
191: outer outer material
192: lining
193: inner outer material
196: cutout

Claims (16)

전방부가 수직하게 개방된 재킷으로서,
상기 재킷은 허리 부위의 둘레를 따라 재킷 상부와 재킷 하부로 분할되며, 상기 재킷 상부의 하단과 상기 재킷 하부의 상단은 상호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체결수단이 각각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다변형 여성 의류.
A jacket with a vertically open front part,
The jacket is divided into a jacket upper part and a jacket lower par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waist,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part of the jacket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part of the jacket are each equipped with fastening means so that they are mutually connected or separated. Variant women's cloth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킷은, 상기 재킷의 개방된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재킷의 개방된 단부에 양측부가 각각 체결되는 착탈편과, 상기 착탈편의 양측부와 상기 재킷의 개방된 단부에 장착되어 상호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재킷의 개방된 단부에 장착된 체결수단끼리 상호 체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다변형 여성 의류.
According to claim 1,
The jacket includes a detachable piece positioned at the open end of the jacket and both sides fastened to the open end of the jacket, respectively, and fastening mean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detachable piece and the open end of the jacket for mutually fastening. It further comprises, wherein the fastening means mounted on the open end of the jacket can be mutually fastened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킷의 목 둘레에는 칼라가 착탈되도록 상기 재킷의 목 둘레와 상기 칼라의 하단 둘레에 체결수단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다변형 여성 의류.
According to claim 1,
Multi-variable women's clothing capable of various productions, characterized in that fastening means are mounted around the neck of the jacket and around the lower end of the collar so that the collar is detachable around the neck of the jack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킷의 소매부위에 소매가 착탈되도록 상기 재킷의 소매부위와 소매의 단부에 체결수단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다변형 여성 의류.
According to claim 1,
A variety of versatile women's clothing, characterized in that fastening means are mounted on the sleeve and the end of the sleeve so that the sleeve is detachable from the sleeve of the jack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킷 하부의 안쪽에는 재킷 하부의 둘레를 따라 분할되어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덧단들이 상기 재킷 하부의 안쪽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다변형 여성 의류.
According to claim 1,
Inside the jacket lower part, a plurality of extra hem divided along the perimeter of the jacket lower part and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jacket lower par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는 목둘레의 길이를 따라 3분할되며, 가운데 부위는 목등과 대응하며 가운데 부위의 양측에 위치한 양측 부위는 재킷의 전방쪽에 위치하며 상기 가운데 부위와 양측 부위는 체결수단에 의해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다변형 여성 의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llar is divided into three parts along the length of the neck circumference, the middle part corresponds to the back of the neck, both side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middle part are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jacket, and the middle part and both sides are attached and detached by means of fastening means A versatile women's clothing that can be produced in a variety of way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덧단들과 상기 재킷 하부의 안쪽면은 체결수단에 의해 부착하거나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다변형 여성 의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lurality of hem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jacket are attached to or separated by means of a fastening mean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덧단들은 3개로서, 상부에 위치한 제1덧단과, 상기 제1덧단의 아래에 위치한 제2덧단 그리고 상기 제2덧단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3덧단을 포함하며, 제2덧단의 하단과 제3덧단의 상단은 상호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다변형 여성 의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edestals are three, including a first pedestal located on the upper part, a second pedestal located below the first pedestal, and a third pedestal located below the second pedestal,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edestal and the second pedestal The upper end of the three tiers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or separated by a fastening mean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재킷 하부의 하단과 상기 제2덧단의 상단은 상호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다변형 여성 의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lower end of the jacket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ad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or separated by a fasten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produce a variety of versatile women's clothin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재킷은 안과 밖을 뒤집어 입는 양면 의류로서,
상기 재킷 하부는 외측 겉감과 안감 및 내측 겉감이 겹쳐진 상태로 전방에 수직하게 개방된 부위에는 상기 착탈편과 체결되는 상기 체결수단이 고정되며,
상기 외측 겉감과 내측 겉감 중 어느 한 쪽에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를 통해 상기 덧단들이 안감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다변형 여성 의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jacket is a double-sided garment that is worn inside out and inside out,
In the lower portion of the jacket, the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with the detachable piece is fixed to a portion vertically open in front in a state where the outer outer lining, the lining and the inner outer fabric are overlapped,
Multi-dimensional women's clothing capable of various productions, characterized in that an incision is formed in either one of the outer outer and inner outer fabric, and the hem is attached to the lining through the incis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체결수단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다변형 여성 의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utout portion is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fastening means, and can be produced in various ways.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슬라이드파스너, 벨크로테이프, 스냅버튼, 단추, 후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다변형 여성 의류.
1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Wherein the fastening means is any one of a slide fastener, a Velcro tape, a snap button, a button, and a hook.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이 장착된 부위에는 덧감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수단을 덮어 감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다변형 여성 의류.
1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A multiform women's clothing capable of various production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means is mounted to cover and hide the fastening means.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편에는 길이 방향으로 장식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다변형 여성 의류.
1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Multi-dimensional women's clothing that can be produced in a variety of way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achable piece is equipped with ornamen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구는 착탈편에 체결수단에 의해 장착되어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다변형 여성 의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decorative tool is attached to the detachable piece by a fasten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achable multi-dimensional women's clothing capable of various production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재킷 하부에는 상기 장식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다변형 여성 의류.
16. The method of claim 15,
A variety of versatile women's cloth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decoration is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jacket.
KR1020200030097A 2020-03-11 2020-03-11 Versatile Women's Clothing KR2021011468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097A KR20210114688A (en) 2020-03-11 2020-03-11 Versatile Women's Cloth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097A KR20210114688A (en) 2020-03-11 2020-03-11 Versatile Women's Cloth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688A true KR20210114688A (en) 2021-09-24

Family

ID=77914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097A KR20210114688A (en) 2020-03-11 2020-03-11 Versatile Women's Cloth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468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1629B2 (en) Washable costume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1958186B1 (en) Shirts comprising strap-adjustable loop unit
US20100199404A1 (en) Jacket and coat construction with interchangable components
US20090070914A1 (en) Garment having a combination jacket and vest
US20110289646A1 (en) Swimwear with interchangeable components
US9204676B2 (en) Attachable garments
GB2192529A (en) Clothing product
US2250094A (en) Garment for ladies
KR100987889B1 (en) Multi convertible clothes
US3949426A (en) Conforming ladies garments having smooth lines
US6557175B2 (en) Convertible garment
US2115443A (en) Bathing suit
KR20210114688A (en) Versatile Women's Clothing
US2101911A (en) Collar
US20200275715A1 (en) Clothing product with mutually detachable garment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JP3110289U (en) Clothing with back
JP4160655B2 (en) Front dress with shoulder strap
US2526785A (en) Shirt
KR102660843B1 (en) detachable Interchangeable clothing
KR102346909B1 (en) all-in-one robes
JP7019167B2 (en) Ballet costume
CN211065117U (en) Front split type zipper one-piece dress
KR200435141Y1 (en) An Attachable and detachable hood and an upper garment which it is attached and detached on
JP3214944U (en) clothes
JP3138876U (en) Lacey be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