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4474A - 랜덤 액세스 전송 방법 및 단말 - Google Patents

랜덤 액세스 전송 방법 및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4474A
KR20210114474A KR1020217025652A KR20217025652A KR20210114474A KR 20210114474 A KR20210114474 A KR 20210114474A KR 1020217025652 A KR1020217025652 A KR 1020217025652A KR 20217025652 A KR20217025652 A KR 20217025652A KR 20210114474 A KR20210114474 A KR 20210114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random access
candidate
resources
data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5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민 우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14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4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04W74/0841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collision trea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4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uplink, i.e. toward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랜덤 액세스 전송 방법 및 단말을 제공하며, 해당 방법은, 랜덤 액세스를 위한 자원 할당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자원 할당 정보는 적어도 두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을 지시하고,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은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을 포함함 -;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 중에서 목표 랜덤 액세스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 및 목표 랜덤 액세스 자원 상에서, 랜덤 액세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랜덤 액세스 전송 방법 및 단말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1월 25일 중국 특허청에 제출한, 출원번호 제201910075313.6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참조로서 본 출원에 원용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랜덤 액세스 전송 방법 및 단말에 관한 것이다.
엔알(New Radio, NR) 시스템으로도 지칭되는 제5세대(5th Generation, 5G) 이동 통신 시스템은 다양한 시나리오 및 서비스 수요에 적응할 필요가 있다. 업링크 전송 모드에서, 단말이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필요로 할 때, 우선 랜덤 액세스 과정을 통해 업링크 타이밍 동기화를 얻어야 하고, 즉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TA) 정보를 얻어야 하며, 업링크 타이밍 동기화를 획득한 후, 단말은 동적 스케줄링 또는 반정적 스케줄링을 통해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업링크 데이터 패킷이 비교적 작을 때, 자원과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단말은 비동기화 상태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이 비동기화 상태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때, 단말이 비동기화 상태에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 Channel, PUSC)을 송신할 때, 랜덤 액세스 과정을 통해 실현할 수 있다.
그 중, 랜덤 액세스 과정은 4 스텝 랜덤 액세스 또는 2 스텝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실현된다. 2 스텝 랜덤 액세스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을 위해 2 스텝 랜덤 액세스 채널(2-step Random Access Channel, 2-step RACH)의 구성 정보를 구성하고, 단말은 두 스텝 RACH 과정을 트리거할 때, 네트워크 기기에 랜덤 액세스 요청 메시지(Massage A, MsgA)를 송신하며, MsgA는 PUSCH 또는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는 MsgA를 수신한 후, 단말에 랜덤 액세스 확인 메시지(Massage B, MsgB)를 송신한다. 만약 단말이 MsgB 수신 실패하면, 단말은 MsgA를 재전송한다.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을 위해 랜덤 액세스 과정을 위한 복수개의 자원을 구성할 수 있으며, 단말은 2 스텝 RACH 과정을 트리거할 때, 어느 자원을 통해 랜덤 액세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지 확정할 수 없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랜덤 액세스 자원의 선택 문제를 해결하지 위한 랜덤 액세스 전송 방법 및 단말을 제공한다.
제1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 측에 적용되는 랜덤 액세스 전송 방법을 제공하며,
랜덤 액세스를 위한 자원 할당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자원 할당 정보는 적어도 두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을 지시하고, 상기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은: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을 포함함 -;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 중에서 목표 랜덤 액세스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랜덤 액세스 자원 상에서, 상기 랜덤 액세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더 제공하며,
랜덤 액세스를 위한 자원 할당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모듈 - 상기 자원 할당 정보는 적어도 두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을 지시하고, 상기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은: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을 포함함 -;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 중에서 목표 랜덤 액세스 자원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모듈; 및
상기 목표 랜덤 액세스 자원 상에서, 상기 랜덤 액세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 을 포함한다.
제3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제공하며, 단말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랜덤 액세스 전송 방법의 단계를 실현한다.
제4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랜덤 액세스 전송 방법의 단계를 실현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단말은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복수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의 위치를 고려하여 랜덤 액세스 자원을 선택하며, 단말은 가능한 빨리 랜덤 액세스 메시지를 송신하여 랜덤 액세스 시간 지연을 감소시키며, 또한 복수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이 모두 선택될 기회를 가지도록 보장하여, 랜뎀 액세스 성공률과 자원 이용률을 제고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되어야 할 도면들을 간단하게 소개하기로 한다. 하기 설명에서의 도면들은 단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인 것으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있어서,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이러한 도면들에 의해 기타 도면들을 더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2 스텝 랜덤 액세스 과정의 흐름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랜덤 액세스 전송 방법의 흐름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4와 도 5는 시간 도메인 연속의 자원 매핑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6과 도 7은 주파수 도메인 연속의 자원 매핑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8과 도 9는 시간 도메인 및 주파수 도메인이 모두 연속인 자원 매핑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단말의 모듈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단말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면에 도시하였지만, 본 개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될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반대로,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보다 철저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그리고 본 개시의 범위를 해당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에게 완전히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본 출원의 명세서와 청구범위 중의 “제1”,“제2” 등 용어는 유사한 객체를 구별하는데 사용되며 반드시 특정 순서 또는 선차적인 순서를 설명하는데 사용 될 필요는 없다. 이에 따라 사용되는 데이터는 적절한 경우, 여기서 설명된 본 출원의 실시예들이, 예컨대 도시 또는 설명된 것 이외의 순서로 수행될 수 있도록, 상호 교환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리고, 용어 “포함하다”, “가지다” 및 그들의 어떠한 변형도, 배타적 포함을 포괄하는데 의도가 있으며, 예컨대,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한 과정,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기기는 명시적으로 열거된 단계 또는 유닛에만 제한될 것이 아니라,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은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기기에 고유한 기타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중의 “및/또는”은 액세스 대상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낸다.
본문에 설명된 기술은 장기 진화형(Long Time Evolution, LTE)/LTE의 진화(LTE-Advanced, LTE-A)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예컨대 코드 분할 다원 액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간 분할 다원 액세스(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주파수 분할 다원 액세스(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원 액세스(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원 액세스(Single-carrier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SC-FDMA) 및 기타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용어 "시스템” 및 “네트워크”는 자주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CDMA 시스템은 예컨대 CDMA2000,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는 광대역 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및 기타 CDMA 변체를 포함한다. TDMA 시스템은 예컨대 글로벌 이동 통신 시스템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한다. OFDMA 시스템은 예컨대 초이동 광대역(Ultra Mobile Broadband, UMB), 진화형 UTRA (Evolution-UTRA, E-UTRA),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Flash-OFDM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및 E-UTRA는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의 부분이다. LTE 및 더 고급진 LTE(예컨대, LTE-A)는 E-UTRA를 사용하는 새로운 UMTS 버전이다. UTRA, E-UTRA, UMTS, LTE, LTE-A 및 GSM은 “제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라는 명칭의 조직의 문헌에 기술되어 있다. CDMA2000 및 UMB는 제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3GPP2)라는 명칭의 조직의 문헌에 기술되어 있다. 본문에 설명된 기술은 위에서 언급한 시스템 및 무선 기술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기타 시스템 및 무선 기술에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하기 설명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NR 시스템을 설명하고, 또한 이러한 기술이 NR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이외의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하기 대부분 설명에서 NR 용어를 사용한다.
하기 설명은 예시를 제공하나, 청구범위에 기술된 범위, 적합성 또는 구성을 한정하지 않는다. 논의된 요소의 기능 및 구성은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개변시킬 수 있다. 다양한 예시는 적절한 경우 생략, 대체되거나 또는 다양한 절차 또는 어셈블리를 추가할 수 있다. 예컨대, 설명된 방법은 설명된 것과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고, 또한 다양한 단계를 추가, 생략 또는 조합할 수 있다.또한, 일부 예시에 의해 설명된 특징들은 다른 예시에서 결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말(21) 및 네트워크 기기(22)를 포함한다. 그 중, 단말(21)은 단말 기기 또는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로 칭할 수도 있으며, 단말(21)은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Tablet Personal Computer), 랩탑형 컴퓨터(Laptop Computer), 개인 디지털 보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모바일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 MID), 착용가능한 디바이스 (Wearable Device) 또는 탑재형 기기 등의 단말측 기기일 수 있으며,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단말(21)의 특정 유형을 한정하지 않는다. 네트워크 기기(22)는 기지국 또는 코어 네트워크일 수 있고, 그 중, 상술한 기지국은 5G 및 그 이후 버전의 기지국(예컨대, gNB, 5G NR NB 등)일 수 있으며, 또는 기타 통신 시스템 중의 기지국(예컨대, eNB, WLAN 액세스 포인트, 또는 기타 액세스 포인트 등)일 수 있으며, 그 중 기지국은 노드 B, 진화 노드 B, 액세스 포인트,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ase Transceiver Station, BTS), 무선 기지국, 무선 송수신기,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 확장 서비스 세트(Extended Service Set, ESS), B 노드, 진화형 노드 B 노드(eNB), 홈 B 노드, 홈 진화형 B 노드, WLAN 액세스 포인트, WiFi 노드 또는 상기 기술분야에서의 기타 어떤 적절한 용어로서 칭될 수 있으며, 동일한 기술효과에 도달하기만 하면, 상기 기지국은 특정 기술적 어휘에 제한되지 않으며,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NR 시스템에서의 기지국만을 예로 하였으나, 기지국의 구체적인 유형은 한정하지 않는다.
기지국은 기지국 제어기의 제어 하에 단말(21)과 통신할 수 있고, 각종 예시에서, 기지국 제어기는 코어 네트워크 또는 어떤 기지국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일부 기지국은 백홀과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제어하거나 또는 사용자 데이터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이러한 기지국 중의 일부는 백홀 링크를 통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서로 통신할 수 있고, 백홀 링크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 개의 반송파(상이한 주파수의 파형 신호) 상에서의 작업을 지원할 수 있다. 다중 반송파 송신기는 동시에 이러한 복수 개의 반송파 상에서 변조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각 통신 링크는 다양한 무선 기술에 기초하여 변조된 다중 반송파 신호일 수 있다. 각각의 변조된 신호는 상이한 반송파 상에서 송신될 수 있고, 또한 제어 정보(예컨대, 기준 신호, 제어 채널 등), 오버헤드 정보, 데이터 등을 캐리할 수 있다.
기지국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액세스 포인트 안테나를 경유하여 단말(21)과무선 통신할 수 있다. 각각의 기지국은 각 상응하는 커버리지 영역에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의 커버리지 영역은 해당 커버리지 영역의 일부만을 구성하는 섹터로 분할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이한 유형의 기지국(예컨대, 매크로 기지국, 마이크로폰로 기지국, 또는 피코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또한 예컨대 셀룰러 또는 WLAN 무선 액세스 기술과 같은 상이한 무선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기지국은 동일한 또는 상이한 액세스 네트워크 또는 운영자 배치와 관련될 수 있다. 상이한 기지국의 커버리지 영역(동일한 또는 상이한 유형의 기지국의 커버리지 영역, 동일한 또는 상이한 무선 기술을 이용하는 커버리지 영역, 또는 동일한 또는 상이한 액세스 네트워크에 속하는 커버리지 영역을 포함함)은 오버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링크는 업링크(Uplink, UL) 전송(예컨대, 단말(21)로부터 네트워크 기기(22)로)을 캐리하기 위한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Downlink, DL) 전송(예컨대, 네트워크 기기(22)로부터 단말(21)로)을 캐리하기 위한 다운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UL 전송은 또한 역방향 링크 전송으로 칭될 수 있으나, DL 전송은 또한 순방향 링크 전송으로 칭될 수 있다. 다운링크 전송은 허가된 주파수 대역, 비허가된 주파수 대역 또는 이들 둘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유사하게는, 업링크 송신은 허간된 주파수 대역, 비허가된 주파수 대역 또는 이들 둘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 측에 적용되는 랜덤 액세스 전송 방법을 제공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은 이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31: 액세스를 위한 자원 할당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자원 할당 정보는 적어도 두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을 지시하고, 상기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은: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자원 할당 정보는 프로토콜 약속과 같이 미리 정의된 것일 수 있고, 또한 단말이 네트워크 측으로부터 수신한 것일 수 있는바, 즉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을 위해 랜덤 액세스를 위한 자원을 구성한다. 여기서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은 랜덤 액세스 과정을 위한 선택적인 자원을 나타낸다. 진일보하여, 해당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은, 예컨대 데이터 송신을 위한 PUSCH 후보 자원과 같은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해당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은, 예컨대 PRACH 후보 자원과 같은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중,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은: 랜덤 액세스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후보 위치 및/또는 랜덤 액세스 채널의 프리앰플(PRACH preamble)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랜덤 액세스 채널의 시간 도메인 자원 후보 위치는 랜덤 액세스 채널 기회(PRACH Occasion, PRO)를 포함하고, PUSCH 후보 자원과 PRACH 후보 자원 간에 일일이 대응할 수 있으며, 또한 복수개의 PUSCH 후보 자원은 동일한 PRACH 후보 자원에 대응할 수 있으며, 또한 복수개의 PRACH 후보 자원은 동일한 PUSCH 후보 자원에 대응할 수 있다.
단계 32: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 중에서 목표 랜덤 액세스 자원을 선택한다.
해당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은 적어도 두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의 위치와 관련되며, 즉, 단말은 적어도 두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의 위치에 기초하여, 이 적어도 두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 중에서 목표 랜덤 액세스 자원을 선택할 수 있다. 주목해야 할 것은,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이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만을 포함하는 경우, 단말은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목표 랜덤 액세스 자원을 선택한다.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이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 및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을 포함하는 경우, 단말은 각각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의 위치 정보 및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목표 랜덤 액세스 자원을 선택한다. 또는, 단말은 관련 관계가 존재하는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과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을 전체로 간주하고, 전체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목표 랜덤 액세스 자원을 선택한다. 주목해야 할 것은,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이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 및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을 포함하는 경우, 단말이 선택한 목표 랜덤 액세스 자원이 포함하는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이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과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은 관련 관계를 가진다.
단계 33: 목표 랜덤 액세스 자원 상에서, 랜덤 액세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단말은 선택된 목표 랜덤 액세스 자원 상에서, 랜덤 액세스 요청 메시지(MsgA)를 송신한다. 상응하게는. 네트워크 기기는 수신한 MsgA에 기초하여 단말에 랜덤 액세스 확인 메시지(MsgB)를 피드백한다. 그 중,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은 MsgA의 송신 자원으로도 칭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자원 할당 정보는 적어도 두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을 지시하며,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은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만을 포함할 수 있고;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은 관련 관계를 갖는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과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을 동시에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자원 할당 정보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의 제1 자원 할당 정보, 해당 제1 자원 할당 정보는 데이터 송신 자원 할당 정보로 칭되며, 데이터 송신을 위한 PUSCH의 후보 자원을 지시한다.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의 제2 자원 할당 정보, 해당 제2 자원 할당 정보는 제어 정보 송신 자원 할당 정보로도 칭되며, 예컨대 PRACH의 후보 자원과 같은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 송신 자원을 지시한다.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과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 사이의 관련 관계를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과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 사이의 관련 관계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해당 관련 관계는: 1개 또는 복수개의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이 1개의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고; 또는, 1개 또는 복수개의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이 1개의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후보 랜뎀 액세스 자원과 캐리어 사이의 관련 관계를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정보, 그 중, 후보 랜뎀 액세스 자원과 캐리어 사이의 관련 관계는: 1개 또는 복수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이 1개의 업링크 캐리어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고, 또는 1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이 2개 및 그 이상의 업링크 캐리어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후보 랜뎀 액세스 자원과 신호 사이의 관련 관계를 지시하기 위한 제3 지시 정보. 그 중, 후보 랜뎀 액세스 자원과 신호 사이의 관련 관계는: 1개 또는 복수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이 1개의 신호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고, 또는, 1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이 2개 및 그 이상의 신호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의 신호는: 동기화 신호 블록(Synchronous Signal Block, SSB) 및/또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CSI-RS)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 중의 PRACH 후보 자원과 특정 캐리어 및/또는 특정 신호를 관련시킨다. 또는,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의 PUSCH 후보 자원과 특정 캐리어 및/또는 특정 신호를 관련시킨다. 또는,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의PRACH 후보 자원과 PUSCH 후보 자원을 동시에 특정 캐리어 및/또는 특정 신호와 관련시킨다. 예컨대, 후보 랜뎀 액세스 자원 1은 업링크 캐리어 1 및 SSB1에 대응한다. 주목해야 할 것은, M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과 특정 캐리어 및/또는 특정 신호를 관련시킬 때, 목표 랜덤 액세스 자원을 선택할 때 먼저 특정 캐리어 및/또는 특정 신호를 선택하고, 그 후 해당 특정 캐리어 및/또는 특정 신호와 관련된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을 선택할 가치가 있다.
아래에 본 개시의 실시예를,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이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만을 포함할 수 있는 시나리오, 및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이 관련 관계를 가지는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과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을 동시에 포함하는 시나리오에 따라 진일보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시나리오 1: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은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만을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시나리오 하에서, 미리 설정된 규칙은: 자원이 연속인 경우, 연속의 자원 중에서 하나를 랜덤으로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응하게는, 단계 32는: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의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 중에서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 및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을 목표 랜덤 액세스 자원으로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의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 중에서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는: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이 연속인 경우, 단말은 연속인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따라서 구성한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이 모두 선택될 기회를 가져, 랜덤 액세스 성공률과 자원 이용률을 제고시킬 수 있다.
또는, 미리 설정된 규칙은: 자원이 비연속인 경우, 비연속의 자원 중에서 가장 가까운 사용가능한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의 자원이 비연속인 경우는 자원이 연속이 경우 이외의 모든 경우, 또는 자원 위치가 어떤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응하게는,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의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 중에서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는: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이 비연속인 경우, 단말은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 중에서 가장 가까운 사용가능한 하나를 선택하여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따라서 단말이 가능한 빨리 MsgA의 송신을 완료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시나리오 2: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은 관련 관계를 가지는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과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을 동시에 포함한다.
해당 시나리오 하에서, 단말은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과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을 각각 차례로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상호 관련된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과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을 전체로 하여 선택할 수 있다.
방식 1: 단말은 먼저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 중에서 선택하고, 그 후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 중에서 선택한다.
해당 방식에서, 단계 32는: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의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 중에서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 중에서 목표 제어 정보 송신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 및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과 목표 제어 정보 송신 자원을 목표 랜뎀 액세스 자원으로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주목해야 할 것은, 여기서의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은: 자원이 연속인 경우, 연속의 자원 중에서 하나를 랜덤으로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거나; 또는, 자원이 비연속인 경우, 비연속의 자원 중에서 가장 가까운 사용가능한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해당 방식에서, 단말은 연속의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에 대해, 단말은 연속의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 중에서 1개의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을 랜덤으로 선택하여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으로 한다. 기타 경우의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즉, 비연속의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에 대해, 단말은 가장 가까운 사용가능한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예컨대, 랜덤 액세스 자원 선택을 트리거하는 시각으로부터 시작하여, 이어서 다음의 사용가능한 데이터 송신 자원)을 선택하여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으로 한다. 단말은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을 선택한 후, 만약 해당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이 복수개이면, 연속의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에 대해, 단말은 연속의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 중에서 1개를 랜덤으로 선택하여 목표 제어 정보 송신 자원으로 한다. 기타 경우의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즉, 비연속의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에 대해, 단말은 가장 가까운 사용가능한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예컨대, 랜덤 액세스 자원 선택을 트리거하는 시각으로부터 시작하여, 이어서 다음의 사용가능한 제어 정보 송신 자원)을 선택하여 목표 제어 정보 송신 자원으로 한다. 단말은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과 목표 제어 정보 송신 자원을 선택한 후, 이들을 목표 랜덤 액세스 자원으로 확정한다.
방식 2: 단말은 먼저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 중에서 선택하고, 그 후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 중에서 선택한다.
해당 방식에서, 단계 32는: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의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 중에서 목표 제어 정보 송신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목표 제어 정보 송신 자원에 대응하는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 중에서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 및 목표 제어 정보 송신 자원과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을 목표 랜뎀 액세스 자원으로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주목해야 할 것은, 여기서의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은: 자원이 연속인 경우, 연속의 자원 중에서 하나를 랜덤으로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거나; 또는, 자원이 비연속인 경우, 비연속의 자원 중에서 가장 가까운 사용가능한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해당 방식에서, 단말은 연속의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에 대해, 단말은 연속의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 중에서 1개의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을 랜덤으로 선택하여 목표 제어 정보 송신 자원으로 한다. 기타 경우의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즉, 비연속의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에 대해, 단말은 가장 가까운 사용가능한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예컨대, 랜덤 액세스 자원 선택을 트리거하는 시각으로부터 시작하여, 이어서 다음의 사용가능한 제어 정보 송신 자원)을 선택하여 목표 제어 정보 송신 자원으로 한다. 단말은 목표 제어 정보 송신 자원을 선택한 후, 만약 해당 목표 제어 정보 송신 자원에 대응하는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이 복수개이면, 연속의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에 대해, 단말은 연속의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 중에서 1개를 랜덤으로 선택하여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으로 한다. 기타 경우의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즉, 비연속의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에 대해, 단말은 가장 가까운 사용가능한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예컨대, 랜덤 액세스 자원 선택을 트리거하는 시각으로부터 시작하여, 이어서 다음의 사용가능한 데이터 송신 자원)을 선택하여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으로 한다. 단말은 목표 제어 정보 송신 자원과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을 선택한 후, 이들을 목표 랜덤 액세스 자원으로 확정한다.
방식 3: 단말은 목표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과 목표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을 동시에 선택한다.
해당 방식에서, 단계 32는: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 중에서 목표 제어 정보 송신 자원과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 목표 제어 정보 송신 자원과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을 목표 랜뎀 액세스 자원으로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주목해야 할 것은, 여기서의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은: 자원이 연속인 경우, 연속의 자원 중에서 하나를 랜덤으로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거나; 또는, 자원이 비연속인 경우, 비연속의 자원 중에서 가장 가까운 사용가능한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해당 방식에서, 단말은 연속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에 대해, 단말은 연속의랜덤 액세스 자원 중에서 한쌍의 관련된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과 목표 제어 정보 송신 자원을 선택하여 목표 랜덤 액세스 자원으로 한다. 기타 경우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즉, 비연속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에 대해, 단말은 비연속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 중에서 송신 종료 위치가 가장 이른 한쌍의 관련된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과 목표 제어 정보 송신 자원을 선택하여 목표 랜덤 액세스 자원으로 한다.
이상 상이한 시나리오 하에서 목표 랜덤 액세스 자원의 상이한 선택 방식을 소개하였고, 상술한 선택 방식에서는 모두 자원 위치와 관련된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을 언급하였으며, 이하 실시예는 진일보하여 도면을 결부시켜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서 언급된 자원 연속과 자연 비연속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그 중, 미리 설정된 규칙에서 언급된 자원이 연속인 경우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 중의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이 연속이다. 예컨대,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에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만 포함될 때,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 연속은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 연속으로 여길 수 있다. 또는, 예컨대,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에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과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이 동시에 포함될 때,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 연속은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 연속으로 여길 수 있다.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 중의 적어도 두개의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이 연속이다. 예컨대,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에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과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이 동시에 포함될 때,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이 연속이기만 하면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 연속으로 여길 수 있다.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 중의 적어도 두개의 상기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 및 적어도 두개의 상기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이 모두 연속이다. 예컨대,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에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과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이 동시에 포함될 때, 적어도 두개의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이 연속이고, 또한 연속의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에 대응하는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도 연속이여야만,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 연속으로 여길 수 있다. 또는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이 연속이고, 또한 연속의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도 연속이여야만,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 연속으로 여길 수 있다.
진일보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가 말하는 자원 연속은:
자원이 시간 도메인 상에서 연속이며, 예컨대,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은 시간 연속의 MsgA 송신 자원임;
자원이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연속이며, 예컨대,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은 주파수 연속의 MsgA 송신 자원임; 및
자원이 시간 도메인과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모두 연속이며, 예컨대,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은 시간 및 주파수가 모두 연속인 MsgA 송신 자원임; 중 하나를 포함한다.
1. 그 중, 자원이 시간 도메인 상에서 연속인 것은: 인접한 자원이 시간 상에서 완전히 연속이고, 또는, 인접한 자원 간의 시간 도메인 간격이 제1 임계치보다 작은 것을 포함한다. 그 중, 인접한 자원이 시간 상에서 완전히 연속인 것은: 인접한 자원에서 앞의 자원의 시간 도메인 종료 위치는 뒤의 자원의 시간 도메인 개시 위치이고, 또는 인접한 자원에서 앞의 자원의 시간 도메인 종료 위치는 뒤의 자원의 시간 도메인 개시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가리킨다. 인접한 자원 간의 시간 도메인 간격이 제1 임계치보다 작은 것은: 인접한 자원에서 앞의 자원의 시간 도메인 종료 위치와 뒤의 자원의 시간 도메인 개시 위치 간의 시간 간격이 제1 임계치보다 작은 것을 가리킨다. 그 중, 제1 임계치가 지시한 시간 간격은 비교적 작고, 프로토콜 약속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을 예로 하면,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은 PUSCH 기회(USCH Occasion, PUO)를 포함하고, 자원 할당 정보가 지시한 랜덤 액세스 과정을 위한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은: PUO1, PUO2, PUO3, PUO4, PUO5 및 PUO6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PUO1의 시간 도메인 종료 위치는 PUO2의 시간 도메인 개시 위치이고, PUO3의 시간 도메인 종료 위치는 PUO4의 시간 도메인 개시 위치이며, PUO5의 시간 도메인 종료 위치는 PUO6의 시간 도메인 개시 위치 간의 시간 간격은 제1 임계치보다 작다. 이 때, PUO1과 PUO2는 자원으로 간주될 수 있고, PUO3과 PUO4는 자원 연속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PUO5와 PUO6은 자원 연속으로 간주될 수 있다. 즉 세그룹의 PUO1과 PUO는 각각 연속이나, 각 그룹의 자원은 비연속으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을 선택할 때, 이 세그룹의 PUO 중에서 가장 가까운 사용가능한 PUO1과 PUO2를 선택하며, 그 후 연속의 PUO1과 PUO2 중에서 하나를 랜덤으로 선택하여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으로 한다.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과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을 전체로 간주하는 것을 예로 하면,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은 PUO를 포함하고,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은 PRO를 포함하며, 할당 정보가 지시한 랜덤 액세스 과정을 위한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은: PUO1, PUO2, PUO3, PUO4, PUO5와 PUO6, 및 상술한 6개의 PUO에 각각 대응하는 PRO1, PRO2, PRO3, PRO4, PRO5와 PRO6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PRO1과 PUO1의 전체 주파수 도메인 종료 위치는 PRO2와 PUO2의 전체 주파수 도메인 개시 위치이고, PRO3과 PUO3의 전체 주파수 도메인 종료 위치는 PRO4와 PUO4의 전체 주파수 도메인 개시 위치 후에 위치하며, PRO5와 PUO5의 전체 주파수 도메인 종료 위치와 PRO6와 PUO6의 전체 주파수 도메인 개시 위치 간의 시간 간격은 제2 임계치보다 작다. 따라서, 이 때, 이 세그룹의 PRO+PUO 중에서 가장 가까운 사용가능한 PRO1+PUO1와 PRO2+PUO2를 선택하며, 그 후 연속의 PRO1+PUO1와 PRO2+PUO2 중에서 하나를 랜덤으로 선택하여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으로 한다.
주목해야 할 것은, 인접한 자원이 시간 도메인 상에서 연속일 때,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연속 또는 비연속일 수 있다.
2. 그 중, 자원이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연속인 것은: 인접한 자원이 주파수 상에서 완전히 연속이고, 또는, 인접한 자원 간의 주파수 도메인 간격이 제1 임계치보다 작은 것을 포함한다. 그 중, 인접한 자원이 주파수 상에서 완전히 연속인 것은: 인접한 자원에서 앞의 자원의 주파수간 도메인 종료 위치는 뒤의 자원의 주파수 도메인 개시 위치이고, 또는 인접한 자원에서 앞의 자원의 주파수 도메인 종료 위치는 뒤의 자원의 주파수 도메인 개시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가리킨다. 인접한 자원 간의 주파수 도메인 간격이 제1 임계치보다 작은 것은: 인접한 자원에서 앞의 자원의 주파수 도메인 종료 위치와 뒤의 자원의 주파수 도메인 개시 위치 간의 시간 간격이 제2 임계치보다 작은 것을 가리킨다. 그 중, 제2 임계치가 지시한 시간 간격은 비교적 작고, 프로토콜 약속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을 예로 하면,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은 PUO를 포함하고, 자원 할당 정보가 지시한 랜덤 액세스 과정을 위한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은: PUO1, PUO2, PUO3, PUO4, PUO5 및 PUO6을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PUO1의 주파수 도메인 종료 위치는 PUO2의 주파수 도메인 개시 위치이고, PUO3의 주파수 도메인 종료 위치는 PUO4의 주파수 도메인 개시 위치이며, PUO5의 주파수 도메인 종료 위치는 PUO6의 주파수 도메인 개시 위치 간의 시간 간격은 제1 임계치보다 작다. 이 때, PUO1과 PUO2는 자원으로 간주될 수 있고, PUO3과 PUO4는 자원 연속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PUO5와 PUO6은 자원 연속으로 간주될 수 있다. 즉 세그룹의 PUO1과 PUO는 각각 연속이나, 각 그룹의 자원은 비연속으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을 선택할 때, 이 세그룹의 PUO 중에서 가장 가까운 사용가능한 PUO1과 PUO2를 선택하며, 그 후 연속의 PUO1과 PUO2 중에서 하나를 랜덤으로 선택하여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으로 한다.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과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을 전체로 간주하는 것을 예로 하면,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은 PUO를 포함하고,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은 PRO를 포함하며, 할당 정보가 지시한 랜덤 액세스 과정을 위한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은: PUO1, PUO2, PUO3, PUO4, PUO5와 PUO6, 및 상술한 6개의 PUO에 각각 대응하는 PRO1, PRO2, PRO3, PRO4, PRO5와 PRO6을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PRO1과 PUO1의 전체 주파수 도메인 종료 위치는 PRO2와 PUO2의 전체 주파수 도메인 개시 위치이고, PRO3과 PUO3의 전체 주파수 도메인 종료 위치는 PRO4와 PUO4의 전체 주파수 도메인 개시 위치 후에 위치하며, PRO5와 PUO5의 전체 주파수 도메인 종료 위치와 PRO6와 PUO6의 전체 주파수 도메인 개시 위치 간의 시간 간격은 제2 임계치보다 작다. 이 때, 이 세그룹의 PRO+PUO는 모두 자원 연속으로 간주될 수 있으나, 각 그룹의 PRO+PUO는 비연속으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을 선택할 때, 이 세그룹의 PRO+PUO 중에서 가장 가까운 사용가능한 PRO1+PUO1와 PRO2+PUO2를 선택하며, 그 후 연속의 PRO1+PUO1와 PRO2+PUO2 중에서 하나를 랜덤으로 선택하여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으로 한다.
주목해야 할 것은, 인접한 자원이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연속일 때, 시간 도메인 상에서 연속 또는 비연속일 수 있다.
3. 그 중, 자원이 시간 도메인 상과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모두 연속인 것은: 인접한 자원이 시간 상에서 완전히 연속이고 또한 주파수 상에서도 완전히 연속이며, 또는, 인접한 자원이 주파수 상에서 완전히 연속이나 시간 도메인 간의 간격이 제3 임계치보다 작으며, 또는, 인접한 자원이 시간 상에서 완전히 연속이나 주파수 도메인 간의 간격이 제4 임계치보다 작으며, 또는, 인접한 자원 간의 시간 도메인 간격이 제3 임계치보다 작고 또한 주파수 도메인 간격이 제4 임계치보다 작은 것을 포함한다. 그 중, 제3 임계치가 지시한 시간 간격은 비교적 작고, 제4 임계치가 지시한 주파수 간격도 비교적 작으며, 이 두 임계치는 프로토콜 약속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을 예로 하면,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은 PUO를 포함하고, 자원 할당 정보가 지시한 랜덤 액세스 과정을 위한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은: PUO1, PUO2, PUO3, PUO4, PUO5, PUO6, PUO7, PUO8, PUO9, PUO10, PUO11, PUO12, PUO13, PUO14, PUO15 및 PUO16을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PUO1, PUO2, PUO3 및 PUO4는 시간 도메인과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모두 완전히 연속이고, PUO5, PUO6, PUO7 및 PUO8은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모두 완전히 연속이고 또한 시간 도메인 간격이 제3 임계치보다 작으며, PUO9, PUO10, PUO11 및 PUO12는 시간 도메인 상에서 모두 완전히 연속이고 또한 주파수 도메인 간격이 제4 임계치보다 작다. 이 네그룹의 PUO는 각각 연속이나, 각 그룹의 자원은 비연속으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을 선택할 때, 이 네그룹의 PUO 중에서 가장 가까운 사용가능한 PUO1, PUO2, PUO3 및 PUO4를 선택하며, 그 후 연속의 PUO1, PUO2, PUO3 및 PUO4 중에서 하나를 랜덤으로 선택하여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으로 한다.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과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을 전체로 간주하는 것을 예로 하면,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은 PUO를 포함하고,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은 PRO를 포함하며, 할당 정보가 지시한 랜덤 액세스 과정을 위한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은: PUO1, PUO2, PUO3, PUO4, PUO5, PUO6, PUO7, PUO8, PUO9, PUO10, PUO11, PUO12, PUO13, PUO14, PUO15와 PUO16, 및 상술한 16개의 PUO에 각각 대응하는 PRO1, PRO2, PRO3, PRO4, PRO5, PRO6, PRO7, PRO8, PRO9, PRO10, PRO11, PRO12, PRO13, PRO14, PRO15, PRO16을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PRO1+PUO1, PRO2+PUO2, PRO3+PUO3 및 PRO4+PUO4는 시간 도메인과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모두 완전히 연속이고, PRO5+PUO5, PRO6+PUO6, PRO7+PUO7 및 PRO8+PUO8은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모두 완전히 연속이고 또한 시간 도메인 간격이 제3 임계치보다 작으며, RO9+PUO9, PRO10+PUO10, PRO11+PUO11 및 PRO12+PUO12는 시간 도메인 상에서 모두 완전히 연속이고 또한 주파수 도메인 간격이 제4 임계치보다 작으며, PRO13+PUO13, PRO14+PUO14, PRO15+PUO15 및 PRO16+PUO116의 시간 도메인 간격은 제3 임계치보다 작고 또한 주파수 도메인 간격은 제4 임계치보다 작다. 이 네그룹의 PRO+PUO은 각각 연속이나, 각 그룹의 자원은 비연속으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을 선택할 때, 이 네그룹의 PRO+PUO 중에서 가장 가까운 사용가능한 PRO1+PUO1, PRO2+PUO2, PRO3+PUO3, PRO4+PUO4를 선택하며, 그 후 연속의 PRO1+PUO1, PRO2+PUO2, PRO3+PUO3, PRO4+PUO4 중에서 하나를 랜덤으로 선택하여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으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랜덤 액세스 전송 방법에서, 단말은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복수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의 위치를 고려하여 랜덤 액세스 자원을 선택하며, 단말은 가능한 빨리 랜덤 액세스 메시지를 송신하여 랜덤 액세스 시간 지연을 감소시키며, 또한 복수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이 모두 선택될 기회를 가지도록 보장하여, 랜뎀 액세스 성공률과 자원 이용률을 제고시킬 수 있다.
이상 실시예는 상이한 시나리오 하에서의 랜덤 액세스 전송 방법에 대해 소개하였으며, 아래에 도면을 결부시켜 대응하는 단말에 대해 진일보하여 소개하기로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단말(1000)은,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랜덤 액세스를 위한 자원 할당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자원 할당 정보는 적어도 두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을 지시하고,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은: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을 포함함 -;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 중에서 목표 랜덤 액세스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랜덤 액세스 자원 상에서, 랜덤 액세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의 세부사항을 실현할 수 있고, 또한 동일한 효과에 도달할 수 있으며, 해당 단말(1000)은 구체적으로 이하 기능 모듈을 포함한다:
랜덤 액세스를 위한 자원 할당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모듈(1010) - 자원 할당 정보는 적어도 두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을 지시하고,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은: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을 포함함 -;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 중에서 목표 랜덤 액세스 자원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모듈(1020); 및
목표 랜덤 액세스 자원 상에서, 랜덤 액세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1030).
그 중, 선택 모듈(1020)은: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의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 중에서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을 선택하기 위한 제1 선택 서브 모듈; 및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을 목표 랜뎀 액세스 자원으로 확정하기 위한 제1 확정 서브 모듈; 을 포함한다
그 중,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은: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을 더 포함한다.
그 중, 선택 모듈(1020)은: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의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 중에서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을 선택하기 위한 제2 선택 서브 모듈;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 중에서 목표 제어 정보 송신 자원을 선택하기 위한 제3 선택 서브 모듈; 및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과 상기 목표 제어 정보 송신 자원을 목표 랜뎀 액세스 자원으로 확정하기 위한 제2 확정 서브 모듈; 을 포함한다.
그 중, 선택 모듈(1020)은: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의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 중에서 목표 제어 정보 송신 자원을 선택하기 위한 제4 선택 서브 모듈;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상기 목표 제어 정보 송신 자원에 대응하는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 중에서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을 선택하기 위한 제5 선택 서브 모듈; 및
목표 제어 정보 송신 자원과 상기 데이터 정보 송신 자원을 목표 랜뎀 액세스 자원으로 확정하기 위한 제3 확정 서브 모듈; 을 포함한다.
그 중,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은:
자원이 연속인 경우, 연속의 자원 중에서 하나를 랜덤으로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거나;
또는,
자원이 비연속인 경우, 비연속의 자원 중에서 가장 가까운 사용가능한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 중, 자원이 연속인 경우는: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 중의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이 연속임;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 중의 적어도 두개의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이 연속임; 및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 중의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 및 적어도 두개의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이 모두 연속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그 중, 자원 연속은:
자원이 시간 도메인 상에서 연속임;
자원이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연속임; 및
자원이 시간 도메인과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모두 연속임; 중 하나를 포함한다.
그 중, 자원이 시간 도메인 상에서 연속인 것은:
인접한 자원 간의 시간 도메인 간격이 제1 임계치보다 작은 것을 포함한다.
그 중, 자원이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연속인 것은:
인접한 자원 간의 주파수 도메인 간격이 제2 임계치보다 작은 것을 포함한다.
그 중, 자원이 시간 도메인과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모두 연속인 것은:
인접한 자원 간의 시간 도메인 간격이 제3 임계치보다 작고, 또한 주파수 도메인 간격이 제4 임계치보다 작은 것을 포함한다.
그 중, 자원 할당 정보는: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의 제1 자원 할당 정보;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의 제2 자원 할당 정보;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과 상기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 사이의 관련 관계를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
후보 랜뎀 액세스 자원과 캐리어 사이의 관련 관계를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정보; 및
후보 랜뎀 액세스 자원과 신호 사이의 관련 관계를 지시하기 위한 제3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주목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단말은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복수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의 위치를 고려하여 랜덤 액세스 자원을 선택하며, 단말은 가능한 빨리 랜덤 액세스 메시지를 송신하여 랜덤 액세스 시간 지연을 감소시키며, 또한 복수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이 모두 선택될 기회를 가지도록 보장하여, 랜뎀 액세스 성공률과 자원 이용률을 제고시킬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단말의 각 모듈의 분할은 단지 하나의 논리 기능의 분할이고, 실제 구현에 따라서,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하나의 물리 실체에 통합되고, 또는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이런 모듈은 전부 처리 요소에 의해 호출된 스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전부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부분 모듈은 처리 요소에 의해 호출된 스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부분 모듈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확정 모듈은 개별적으로 설치된 처리 요소이거나, 또는 상술한 장치의 어느 한 칩에 집적되여 구현될 수도 있으며, 또한,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상술한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술한 장치의 어느 처리 요소에 의해 호출되어 상술한 확정 모듈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기타 모듈의 구현도 이와 유사하다. 또한, 이런 모듈은 전부 또는 일부가 함께 집적될 수 있고,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처리 요소는 신호 처리 능력을 가진 집적 회로일 수 있다. 구현 과정에 있어서, 상술한 방법의 각 단계 또는 이상 각각의 모듈은 프로세서 요소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을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예컨대, 이상 모듈들은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집적회로일 수 있고, 예컨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특정 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현장 프로그램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등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이상의 어느 모듈이 처리 요소들의 스케줄링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를 통해 실행될 때, 해당 처리 요소는 범용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예컨대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또는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할 수 있는 기타 프로세서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이런 모듈은 함께 통합되여 시스템 온 칩(System-On-a-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더 잘 구현하기 위하여, 진일보하여, 도 11은 본 개시의 각각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단말의 하드웨어 구조 개략도이며, 해당 단말(110)는 무선 주파수 유닛(111), 네트워크 모듈(112), 오디오 출력 유닛(113), 입력 유닛(114), 센서(115), 표시 유닛(116), 사용자 입력 유닛(117), 인터페이스 유닛(118), 메모리(119), 프로세서(1110), 및 전원(1111) 등 컴포넌트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도11에서 나타내는 단말 구조는 단말에 대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으며, 단말은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 컴포넌트들을 조합하거나, 또는 상이한 컴포넌트를 배치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은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팜톱 컴퓨터, 차량 탑재 단말, 웨어러블 기기, 및 보수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무선 주파수 유닛(111)은 랜덤 액세스를 위한 자원 할당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며, 자원 할당 정보는 적어도 두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을 지시하고,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은: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110)는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 중에서 목표 랜덤 액세스 자원을 선택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무선 주파수 유닛(111)을 제어하여 목표 랜덤 액세스 자원 상에서, 랜덤 액세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단말은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복수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의 위치를 고려하여 랜덤 액세스 자원을 선택하며, 단말은 가능한 빨리 랜덤 액세스 메시지를 송신하여 랜덤 액세스 시간 지연을 감소시키며, 또한 복수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이 모두 선택될 기회를 가지도록 보장하여, 랜뎀 액세스 성공률과 자원 이용률을 제고시킬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111)은 정보 송수신 또는 통화 과정에서,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1110)에 의해 처리되도록 하고; 또한,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통상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111)은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무선 주파수 유닛(111)은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기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은 네트워크 모듈(112)을 통해 사용자에게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하는바, 예컨대, 사용자를 도와 이메일 송수신, 웹 페이지 브라우징, 스트리밍 미디어 액세스 등을 수행한다.
오디오 출력 유닛(113)은 무선 주파수 유닛(111) 또는 네트워크 모듈(112)이 수신한 또는 메모리(11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시켜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유닛(113)은 또한, 단말(110)이 수행하는 특정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예컨대, 콜 신호 수신 소리, 메시지 수신 소리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유닛(113)은 스피커, 버저 및 수화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 유닛(114)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입력 유닛(114)은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s Processing Unit, GPU, 1141) 및 마이크(1142)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래픽 프로세서(1141)는 비디오 캡쳐 모드 또는 이미지 캡쳐 모드에서 이미지 캡쳐 장치(예컨대,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스틸 사진 또는 비디오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표시 유닛(116) 상에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1141)에 의한 처리를 거친 후의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119)(또는 기타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또는 무선 주파수 유닛(111) 또는 네트워크 모듈(112)을 경유하여 송신된다. 마이크(1142)는 소리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소리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의 경우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 유닛(111)을 경유하여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가능한 포맷으로 전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단말(110)는, 예컨대 광 센서, 운동 센서 및 기타 센서와 같은 적어도 한 가지 센서(115)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광 센서는 환경광 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한다. 환경광 센서는 환경 광선의 명도에 따라 표시 패널(1161)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고, 근접 센서는 단말(110)이 귓가로 이동했을 때, 표시 패널(1161) 및/또는 백라이트를 턴 오프할 수 있다. 운동 센서의 일종으로서, 가속도계 센서는 각각의 방향에서의(통상적으로, 3 축) 가속도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고, 정지 시, 중력의 크기 및 방향을 검출할 수 있으며, 단말 기기 자태(예컨대, 가로 및 세로 스크린 스위칭, 관련 게임, 자기력계 자세 교정), 진동 식별 관련 기능 (예컨대, 보수계, 태핑) 등을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센서(115)는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을 더 포함하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표시 유닛(116)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 유닛(116)은 표시 패널(11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의 형태로 표시 패널(1161)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117)은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부호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산생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유닛(117)은 터치 패널(1171) 및 기타 입력 기기(11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1171)은, 터치 스크린으로 칭하기도 하며, 사용자가 터치 패널 상 또는 부근에서의 터치 조작(예컨대,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 등 임의의 적합한 물체 또는 액세서리로 터치 패널(1171) 상 또는 터치 패널(1171) 부근에서의 조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1171)은 터치 검출 장치 및 터치 제어기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검출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방위를 검출하고, 터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검출하고, 신호를 터치 제어기로 송신하며; 터치 제어기는 터치 검출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접점 좌표로 전환시킨 후에 프로세서(1110)로 보내고, 프로세서(1110)가 보낸 명령을 수신하여 실행한다. 또한, 저항식, 정전용량식, 적외선 및 표면탄성파 등 다양한 유형으로 터치 패널(1171)을 구현할 수 있다. 터치 패널(1171)외에, 사용자 입력 유닛(117)은 기타 입력 기기(11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타 입력 기기(1172)는 물리 키보드, 기능키(예컨대, 음량 제어 키버튼, 전원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및 조이스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진일보하여, 터치 패널(1171)은 표시 패널(1161)을 커버할 수 있으며, 터치 패널(1171)은 터치 패널(1171) 상 또는 부근의 터치 조작을 검출한 후, 프로세서(1110)에 전송하여 터치 이벤트의 유형을 확정하도록 하고, 그 후, 프로세서(1110)는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표시 패널(1161) 상에 상응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11에서 터치 패널(1171)과 표시 패널(1161)이 독립된 두 컴포넌트로서 단말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하고 있으나, 몇몇 실시예들에서, 터치 패널(1171)과 표시 패널(1161)을 집적하여 단말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바, 여기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인터페이스 유닛(118)은 외부 장치가 단말(110)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이다. 예컨대, 외부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을 갖는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 오디오 입력/출력(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헤드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118)은 외부 장치로부터의 입력(예컨대, 데이터 정보, 전력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을 단말(110) 내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소자에 전송하기 위한 것 또는 단말(110)와 외부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메모리(11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메모리(119)는 주로 저장 프로그램 영역 및 저장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저장 프로그램 영역은 작업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예컨대,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 데이터 영역은 휴대폰의 사용에 따라 작성된 데이터(예컨대, 오디오 데이터, 전화 번호부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고,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기타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저장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단말제어 중심이고, 각종 인터페이스 및 회선을 이용하여 전체 단말의 각 부분을 연결시킨다. 메모리(119) 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실행 또는 수행하고, 그리고 메모리(119)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단말각종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단말에 대해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한다. 프로세서(111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111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모뎀 프로세서를 집적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작업 시스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술한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1110)에 집적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단말(110)는 각각의 컴포넌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1111)(예컨대,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전원(11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1110)와 로직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관리 및 전력 소비 관리 등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110)은 도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더 제공하고, 프로세서(1110), 메모리(119) 및 메(119)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1110)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1110)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랜덤 액세스 전송 방법 실시예의 각각의 과정을 실현하고, 또한 동일한 기술효과에 도달할 수 있는바, 중복을 피면하기 위해,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그 중, 단말은 무선 단말일 수 있고 유선 단말일 수도 있으며, 무선 단말은 음성 및/또는 기타 트래픽 데이터 접속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기를 가리킬 수 있으며, 무선 접속 기능을 갖는 핸드헬드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되는 기타 처리 기기일 수도 있다. 무선 단말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를 통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고, 무선 단말은 이동 전화(또는 “셀룰러” 전화로 칭함) 및 이동 단말을 구비한 컴퓨터와 같은 이동 단말일 수 있고, 예컨대, 휴대식, 포켓식, 핸드헬드식, 컴퓨터 내장 또는 차량 탑재용 장치일 수 있으며, 그들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음성 및/또는 데이터를 교환한다. 예컨대, 개인 통신 서비스(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CS) 전화,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기,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 디지털 보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등 기기이다. 무선 단말은 또한 시스템,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이동국(Mobile Station), 모바일(Mobile), 원격 스테이션(Remote Station), 원격 단말 (Remote Terminal), 액세스 단말(Access Terminal), 사용자 단말(User Terminal), 사용자 에이전트(User Agent), 사용자 디바이스(User Device or User Equipment)로 칭하고, 여기서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랜덤 액세스 전송 방법 실시예의 각각의 과정을 구현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에 도달할 수 있는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여기서, 해당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예컨대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으로 약칭),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으로 약칭),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이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문에 개시된 실시예가 설명하는 각 예시들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들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것을 알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능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수행되는지 여부는, 기술적 솔루션의 특정된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전문적 지식을 가진 자들은 기술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매개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은 본 개시의 범위를 넘어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기술의 편의성 및 간략화를 위해 상기 기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작업 과정은 전술한 실시예중의 대응 과정을 참조할수 있다는 것을 잘 이해할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 더 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도록 한다.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에서, 개시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상기 기술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상기 유닛의 분할은 단지 하나의 논리 기능 분할일 뿐이며, 실제로 구현될 때 다른 분할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다수의 유닛 또는 조립체는 결부되거나 다른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고, 또는 일부 특징들은 무시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추가로, 디스플레이되거나 논의된 서로 사이에서 커플링된 또는 직접 커플링된 또는 통신 접속은 전자적, 기계학적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는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에 의한 간접 커플링 또는 통신 접속일 수 있다.
상기 분리 부품으로서 설명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유닛으로서 표시된 부품은 물리적 유닛이거나,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도 있으며, 즉 한 장소에 위치될 수도 있고, 다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도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그중의 일부 또는 전체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각각의 실시예 중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고, 각각의 유닛은 단독적으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두개 혹은 두개 이상의 유닛들이 하나의 유닛으로 집적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개별 제품으로서 판매 또는 사용 될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토대로, 본 개시에 따른 기술방안의 본질적 또는 관련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방안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몇몇 명령들을 포함하여 하나의 컴퓨터 장치(개인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가 본 개시의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전술한 메모리는 U 디스크, 가동 하드 디스크, ROM,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의 각종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주목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장치 및 방법에서 각 부품 또는 단계들이 분해 및/또는 재결부될 수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분해 및/또는 재결부는 본 개시의 등가 방안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상기 일련의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는 자연적으로 설명한 순서로 시간의 순서로 수행될 수 있으나, 반드시 시간의 순서로 수행 될 필요는 없다. 어떤 단계들은 병렬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개시의 방법 및 장치의 전부 또는 임의의 단계 또는 부품은, 임의의 컴퓨팅 장치(프로세서, 저장 매체 등을 포함) 또는 컴퓨팅 장치의 네트워크에서,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속에서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개시의 설명을 읽었을 때 그들의 기본적인 프로그래밍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목적은 또한 임의의 컴퓨팅 장치상에서 하나의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의 그룹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장치는 공지된 범용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목적은 또한 단지 상기 방법 또는 장치를 구현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즉, 이러한 프로그램 제품 또는 이러한 프로그램 제품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도 본 개시를 구성한다. 상기 저장 매체는 임의의 공지된 저장 매체 또는 차후에 개발 될 임의의 저장 매체일 수 있음은 자명한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장치 및 방법에서, 각 부품 또는 단계들이 분해 및/ 또는 재결부될 수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분해 및/또는 재결부은 본 개시의 등가 방안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또한,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는 자연적으로 설명한 순서로 시간의 순서로 수행될 수 있으나, 반드시 시간의 순서로 수행 될 필요는 없다. 어떤 단계들은 병렬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는 본 개시의 선택적인 실시형태이고,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서 여러가지 개선과 윤색을 진행할수 있으며, 이러한 개선 또는 윤색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26)

  1. 단말 측에 적용되는 랜덤 액세스 전송 방법에 있어서,
    랜덤 액세스를 위한 자원 할당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자원 할당 정보는 적어도 두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을 지시하고, 상기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은: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을 포함함 -;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 중에서 목표 랜덤 액세스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랜덤 액세스 자원 상에서, 상기 랜덤 액세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 중에서 목표 랜덤 액세스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의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 중에서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을 목표 랜뎀 액세스 자원으로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은: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을 더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전송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 중에서 목표 랜덤 액세스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의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 중에서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상기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 중에서 목표 제어 정보 송신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과 상기 목표 제어 정보 송신 자원을 목표 랜뎀 액세스 자원으로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전송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 중에서 목표 랜덤 액세스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의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 중에서 목표 제어 정보 송신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상기 목표 제어 정보 송신 자원에 대응하는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 중에서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제어 정보 송신 자원과 상기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을 목표 랜뎀 액세스 자원으로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전송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은:
    자원이 연속인 경우, 연속의 자원 중에서 하나를 랜덤으로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거나;
    또는,
    자원이 비연속인 경우, 비연속의 자원 중에서 가장 가까운 사용가능한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전송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이 연속인 경우는:
    상기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 중의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이 연속임;
    상기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 중의 적어도 두개의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이 연속임; 및
    상기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 중의 적어도 두개의 상기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 및 적어도 두개의 상기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이 모두 연속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전송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연속은:
    자원이 시간 도메인 상에서 연속임;
    자원이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연속임; 및
    자원이 시간 도메인과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모두 연속임; 중 하나를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전송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이 시간 도메인 상에서 연속인 것은:
    인접한 자원 간의 시간 도메인 간격이 제1 임계치보다 작은 것을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전송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이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연속인 것은:
    인접한 자원 간의 주파수 도메인 간격이 제2 임계치보다 작은 것을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전송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이 시간 도메인과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모두 연속인 것은:
    인접한 자원 간의 시간 도메인 간격이 제3 임계치보다 작고, 또한 주파수 도메인 간격이 제4 임계치보다 작은 것을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전송 방법.
  12. 제1항 내지 제5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정보는:
    상기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의 제1 자원 할당 정보;
    상기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의 제2 자원 할당 정보;
    상기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과 상기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 사이의 관련 관계를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
    상기 후보 랜뎀 액세스 자원과 캐리어 사이의 관련 관계를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정보; 및
    상기 후보 랜뎀 액세스 자원과 신호 사이의 관련 관계를 지시하기 위한 제3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전송 방법.
  13. 단말에 있어서,
    랜덤 액세스를 위한 자원 할당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모듈 - 상기 자원 할당 정보는 적어도 두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을 지시하고, 상기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은: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을 포함함 -;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 중에서 목표 랜덤 액세스 자원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모듈; 및
    상기 목표 랜덤 액세스 자원 상에서, 상기 랜덤 액세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 을 포함하는 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모듈은:
    상기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의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 중에서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을 선택하기 위한 제1 선택 서브 모듈; 및
    상기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을 목표 랜뎀 액세스 자원으로 확정하기 위한 제1 확정 서브 모듈; 을 포함하는 단말.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은: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을 더 포함하는 단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모듈은:
    상기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의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 중에서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을 선택하기 위한 제2 선택 서브 모듈;
    상기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상기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 중에서 목표 제어 정보 송신 자원을 선택하기 위한 제3 선택 서브 모듈; 및
    상기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과 상기 목표 제어 정보 송신 자원을 목표 랜뎀 액세스 자원으로 확정하기 위한 제2 확정 서브 모듈; 을 포함하는 단말.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모듈은:
    상기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개의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의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 중에서 목표 제어 정보 송신 자원을 선택하기 위한 제4 선택 서브 모듈;
    상기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에 따라, 상기 목표 제어 정보 송신 자원에 대응하는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 중에서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을 선택하기 위한 제5 선택 서브 모듈; 및
    상기 목표 제어 정보 송신 자원과 상기 목표 데이터 송신 자원을 목표 랜뎀 액세스 자원으로 확정하기 위한 제3 확정 서브 모듈; 을 포함하는 단말.
  18.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선택 규칙은:
    자원이 연속인 경우, 연속의 자원 중에서 하나를 랜덤으로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거나;
    또는,
    자원이 비연속인 경우, 비연속의 자원 중에서 가장 가까운 사용가능한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이 연속인 경우는:
    상기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 중의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이 연속임;
    상기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 중의 적어도 두개의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이 연속임; 및
    상기 후보 랜덤 액세스 자원 중의 적어도 두개의 상기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 및 적어도 두개의 상기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이 모두 연속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연속은:
    자원이 시간 도메인 상에서 연속임;
    자원이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연속임; 및
    자원이 시간 도메인과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모두 연속임; 중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이 시간 도메인 상에서 연속인 것은:
    인접한 자원 간의 시간 도메인 간격이 제1 임계치보다 작은 것을 포함하는 단말.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이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연속인 것은:
    인접한 자원 간의 주파수 도메인 간격이 제2 임계치보다 작은 것을 포함하는 단말.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이 시간 도메인과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모두 연속인 것은:
    인접한 자원 간의 시간 도메인 간격이 제3 임계치보다 작고, 또한 주파수 도메인 간격이 제4 임계치보다 작은 것을 포함하는 단말.
  24.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정보는:
    상기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의 제1 자원 할당 정보;
    상기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의 제2 자원 할당 정보;
    상기 데이터 송신 후보 자원과 상기 제어 정보 송신 후보 자원 사이의 관련 관계를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
    상기 후보 랜뎀 액세스 자원과 캐리어 사이의 관련 관계를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정보; 및
    상기 후보 랜뎀 액세스 자원과 신호 사이의 관련 관계를 지시하기 위한 제3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25. 단말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랜덤 액세스 전송 방법의 단계를 실현하는 단말.
  26.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랜덤 액세스 전송 방법의 단계를 실현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17025652A 2019-01-25 2020-01-21 랜덤 액세스 전송 방법 및 단말 KR202101144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075313.6 2019-01-25
CN201910075313.6A CN111278121B (zh) 2019-01-25 2019-01-25 一种随机接入传输方法及终端
PCT/CN2020/073524 WO2020151706A1 (zh) 2019-01-25 2020-01-21 随机接入传输方法及终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474A true KR20210114474A (ko) 2021-09-23

Family

ID=71001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5652A KR20210114474A (ko) 2019-01-25 2020-01-21 랜덤 액세스 전송 방법 및 단말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991756B2 (ko)
EP (1) EP3917240A4 (ko)
JP (1) JP7367035B2 (ko)
KR (1) KR20210114474A (ko)
CN (1) CN111278121B (ko)
AU (1) AU2020210990B2 (ko)
BR (1) BR112021014532A2 (ko)
CA (1) CA3127702C (ko)
SG (1) SG11202108145PA (ko)
WO (1) WO20201517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83973A (zh) * 2022-02-11 2023-11-1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调度方法及其装置
WO2024036595A1 (en) * 2022-08-19 2024-02-22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on of random access resour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750B1 (ko) 2008-01-04 2014-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랜덤 액세스 과정을 수행하는 방법
CN101686544A (zh) 2008-09-22 2010-03-3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专用随机接入资源的分配方法和基站
CN106031287B (zh) * 2015-01-26 2019-06-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随机接入的方法、终端及基站
CN111741517A (zh) 2015-08-14 2020-10-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的传输方法和基站以及用户设备
CN110213834B (zh) * 2017-01-06 2020-09-29 华为技术有限公司 随机接入方法、用户设备和网络设备
EP3566535A1 (en) * 2017-01-06 2019-11-13 IDAC Holdings, Inc. Collision mitigation procedures for grant-less uplink multiple access
CN108289338B (zh) 2017-01-09 2023-07-04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随机接入信道选择的方法及用户设备
CN108633050B (zh) * 2017-03-24 2020-02-0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随机接入方法、终端及基站
JP6888115B2 (ja) 2017-04-01 2021-06-16 深▲セン▼前▲海▼▲達▼▲闥▼▲雲▼端智能科技有限公司Cloudminds (Shenzhen) Robotics Systems Co., Ltd. ランダムアクセス方法および装置
CN109392186B (zh) * 2017-08-10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随机接入方法、终端、网络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034799B (zh) * 2018-01-11 2023-09-01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通信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67035B2 (ja) 2023-10-23
US11991756B2 (en) 2024-05-21
CA3127702A1 (en) 2020-07-30
US20210352742A1 (en) 2021-11-11
BR112021014532A2 (pt) 2021-10-13
WO2020151706A1 (zh) 2020-07-30
CN111278121A (zh) 2020-06-12
EP3917240A1 (en) 2021-12-01
AU2020210990A1 (en) 2021-09-16
JP2022518537A (ja) 2022-03-15
AU2020210990B2 (en) 2022-11-10
CN111278121B (zh) 2021-10-12
CA3127702C (en) 2023-11-07
SG11202108145PA (en) 2021-08-30
EP3917240A4 (en) 202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6792B1 (ko) 정보 전송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JP7090180B2 (ja) 疑似コロケーション設定方法、端末及びネットワーク機器
JP7369782B2 (ja) ハイブリッド自動再送要求harqフィードバック方法、端末及びネットワーク機器
WO2019214664A1 (zh) 传输资源指示方法、网络设备及终端
US11601902B2 (en)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transmiss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KR20210028725A (ko) 채널 검측 지시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US20210352741A1 (en) Random access method and terminal
CN110719646B (zh) 一种上行传输方法及终端
KR20210042136A (ko) 확정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CN110545582B (zh) 一种随机接入资源确定方法及终端
US20210314779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in unlicensed band, terminal, and network device
US11991756B2 (en) Random access transmission method and terminal
KR20210103568A (ko) 랜덤 액세스 전송 방법 및 단말
KR20210024167A (ko) 정보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RU2785440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произвольного доступа и оконе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111315015B (zh) 非授权频段信息传输方法、终端及网络设备
US20210329470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and network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