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4299A - 공기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4299A
KR20210114299A KR1020200029851A KR20200029851A KR20210114299A KR 20210114299 A KR20210114299 A KR 20210114299A KR 1020200029851 A KR1020200029851 A KR 1020200029851A KR 20200029851 A KR20200029851 A KR 20200029851A KR 20210114299 A KR20210114299 A KR 20210114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refrigerant
compressor
expansion valve
electronic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길언
곽민석
정겨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9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4299A/ko
Publication of KR20210114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2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9Calculation of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3Expans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5Temperatures of a compressor or the drive means therefor
    • F25B2700/21152Temperatures of a compressor or the drive means therefor at the discharge side of the compres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6Temperatures of a cond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압축하여 배출하는 압축기, 냉매가 배출되는 상기 압축기의 출측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기의 출측의 온도를 센싱하여 제1 온도를 출력하는 제1 온도 센서, 상기 압축기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흡입하고, 흡입된 냉매를 응축시켜 배출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기의 온도를 센싱하여 제2 온도를 출력하는 제2 온도 센서, 상기 응축기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팽창시켜 배출하는 전자팽창변, 상기 전자팽창변으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흡입하고, 증발시켜 상기 압축기로 배출하는 증발기,및 상기 전자팽창변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와 상기 제2 온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팽창변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대상 공간의 공기를 냉각, 가열, 또는 정화시키거나, 대상 공간에 대하여 가습 동작 또는 제습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를 말한다. 공기조화기가 대상 공간의 공기를 냉각하기 위해, 배관에 의해 순차적으로 연결된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냉방 운전 시, 냉매는 배관을 통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를 순환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제어기는 압축기 및 팽창장치를 제어한다. 공기조화기가 압축기 및 팽창장치를 적절히 제어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센서가 필요하며, 그에 따라 제조 단가가 올라가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73475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다 적은 수의 센서를 포함하더라도 적절하게 제어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다 적은 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또는 이의 제어 방법은 토출온도와 응축온도 만을 이용하여 공기조화기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또는 이의 제어 방법은 토출온도와 응축온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전자팽창변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도는 이의 제어 방법은 토출온도와 응축온도의 차이를 기초로 토출과열도를 계산하고, 토출과열도를 기초로 목표 토출온도를 보정하고, 목표 토출온도와 토출온도에 따라 전자팽창변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압축하여 배출하는 압축기, 냉매가 배출되는 상기 압축기의 출측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기의 출측의 온도를 센싱하여 제1 온도를 출력하는 제1 온도 센서, 상기 압축기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흡입하고, 흡입된 냉매를 응축시켜 배출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기의 온도를 센싱하여 제2 온도를 출력하는 제2 온도 센서, 상기 응축기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팽창시켜 배출하는 전자팽창변, 상기 전자팽창변으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흡입하고, 증발시켜 상기 압축기로 배출하는 증발기, 및 상기 전자팽창변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와 상기 제2 온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팽창변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발기의 온도 및 상기 응축기의 온도에 기초하여 목표 토출온도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온도와 상기 제2 온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토출온도를 보정하고, 보정된 상기 목표 토출온도에 따라 상기 전자팽창변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와 상기 제2 온도의 차이가 기준 온도보다 크면, 상기 목표 토출온도를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의 상기 제2 온도의 차이에 비례하여 상기 목표 토출온도의 보정량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냉매를 압축하여 배출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흡입하고, 흡입된 냉매를 응축시켜 배출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팽창시켜 배출하는 전자팽창변과, 상기 전자팽창변으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흡입하고, 증발시켜 상기 압축기로 배출하는 증발기와, 상기 전자팽창변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압축기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의 온도인 제1 온도와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의 온도인 제2 온도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온도와 상기 제2 온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팽창변의 개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의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의 온도와 상기 제2 온도에 기초하여 목표 토출온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온도와 상기 제2 온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토출온도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토출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팽창변의 개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의 상기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온도와 상기 제2 온도의 차이가 기준 온도보다 크면, 상기 목표 토출온도를 낮추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의 상기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온도와 상기 제2 온도의 차이에 비례하여 상기 목표 토출온도의 보정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또는 이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보다 적은 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공기조화기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즉,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센서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제어부(100), 압축기(210), 실내열교환기(220), 실외열교환기(230), 사방변(240), 전자팽창변(250), 실내팬(260), 실외팬(270), 제1 온도 센서(280), 및 제2 온도 센서(2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제1 온도 센서(280)로부터 입력된 제1 온도와, 제2 온도 센서(290)로부터 입력된 제2 온도에 응답하여 전자팽창변(250)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con)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00)는 실내 온도 및 공기조화기의 상태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설정값 등을 기초로 압축기(210), 실내팬(260), 및 실외팬(270) 등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 (CPU), 그래픽처리장치 (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추가적인 스토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리지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에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접속(들) 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접속(들) 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212)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접속(들) 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제어부(100)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1228)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압축기(210)는 배관을 통해 사방변(24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사방변(240)을 통해 유입된 냉매를 압축하여 사방변(240)으로 배출할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220)는 냉매와 실내 공기 사이에 열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가 냉방 운전을 할 경우, 실내열교환기(220)는 증발기로 기능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가 난방 운전을 할 경우, 실내열교환기(220)는 응축기로 기능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230)는 냉매와 실외 공기 사이에 열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가 냉방 운전을 할 경우, 실외열교환기(230)는 응축기로 기능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가 난방 운전을 할 경우, 실외열교환기(230)는 증발기로 기능할 수 있다.
사방변(240)은 공기조화기의 운전 종류에 따라 냉매의 순환 방향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공기조화기가 냉방 운전을 수행할 경우, 사방변(240)은 도 1의 실선을 따라 배관을 연결함으로써, 냉매를 압축기(210), 사방변(240), 실외열교환기(230), 전자팽창변(250), 및 실내열교환기(220)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가 난방 운전을 수행할 경우, 사방변(240)은 도 1의 점선을 따라 배관을 연결함으로써, 냉매를 압축기(210), 사방변(240), 실내열교환기(220), 전자팽창변(250), 및 실외열교환기(230)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전자팽창변(250)은 실내열교환기(220) 및 실외열교환기(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냉매를 단열팽창시킬 수 있다. 전자팽창변(250)은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개도 정도가 가변될 수 있다.
실내팬(260)은 실내 공기가 실내열교환기(220)를 통과할 수 있도록, 실내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실외팬(270)은 실외 공기가 실외열교환기(230)를 통과할 수 있도록, 실외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제1 온도 센서(280)는 압축기(210)의 출측(즉, 냉매가 배출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온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온도 센서(280)는 압축기(210)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온도 센서(290)는 실외열교환기(230)(즉, 냉방 운전 중의 응축기)에 배치될 수 있으며, 온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온도 센서(290)는 실외열교환기(230)에서 응축된 냉매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 온도 센서 대신 실외열교환기의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을 이용하여 응축된 냉매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공기조화기의 압축기(도 1의 210)의 신뢰성은 온도, 압력, 흡입되는 냉매의 상태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일정한 수준 이상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압축기(도 1의 210)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 및 냉매가 응축되는 온도(또는 압력)를 측정하고, 측정값이 설계된 범위 내가 되도록 공기조화기를 제어한다.
또한, 압축기는 기체를 압축하는 구성이므로, 액체 상태의 냉매가 흡입되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그런데,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흡입 후 토출될 때까지의 냉매의 변화 기울기 부분은 크게 변화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토출과열도로부터 흡입 시점의 냉매의 상태를 추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자팽창변의 개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르면, 신뢰성 획보를 위해 측정되는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와 냉매가 응축되는 온도(또는 압력)으로부터 토출과열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토출과열도를 이용하여 전자팽창변의 개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에 나타낸 각 단계는 제어부(도 1의 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제어부(도 1의 100)는 토출 온도와 응축 온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00 단계). 토출 온도는 압축기(도 1의 210)에서 냉매가 배출되는 부분에서 측정된 온도일 수 있다. 즉, 토출 온도는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일 수 있다. 응축 온도는 실외열교환기(도 1의 230)(즉, 냉방 운전 시의 응축기)의 온도일 수 있다. 즉, 응축 온도는 응축된 냉매의 온도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도 1의 100)는 목표 토출온도를 결정할 수 있다(S200 단계). 제어부는 압력, 온도, 및 폴리트로픽 지수를 기초로 목표 토출온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도 1의 100)는 다음과 같은 수학식을 이용하여 목표 토출온도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수학식에서, Td는 목표 토출온도를, Ts는 흡입 온도를, Pd는 토출 압력을, Ps는 흡입 압력을, n은 폴리트로픽 지수를 각각 나타낸다. 흡입 온도(Ts) 및 흡입 압력(Ps)은 실내열교환기(즉, 냉방 운전 시의 증발기)에 배치된 온도 센서 또는 압력 센서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입 온도(Ts)는 실내열교환기(즉, 냉방 운전 시의 증발기)의 온도(즉, 증발 냉매 온도)에 설계에 따라 결정된 흡입과열도를 더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흡입 압력(Ps)은 실내열교환기(즉, 냉방 운전 시의 증발기)의 온도(즉, 증발 냉매 온도)로부터 계산되거나, 실내열교환기(즉, 냉방 운전 시의 증발기)의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토출 압력(Pd)은 실외열교환기(즉, 냉방 운전 시의 응축기)의 온도로부터 계산되거나, 실외열교환기(즉, 냉방 운전 시의 응축기)의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폴리트로픽 지수(n)는 압축기와 공기조화기의 효율에 따라 결정된 값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도 1의 100)는 토출과열도가 기준온도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00 단계). 토출과열도는 S100 단계에서 획득한 토출 온도와 흡입 온도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는 토출 온도와 흡입 온도의 차이를 토출과열도로 결정하고, 토출과열도를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와 비교할 수 있다. 기준온도는 공기조화기의 신뢰성 및 성능을 높이도록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S30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토출과열도가 기준온도보다 크다면, 제어부(도 1의 100)는 S200 단계에서 결정된 목표 토출온도를 보정할 수 있다(S400 단계). 예를 들면, 제어부(도 1의 100)는 토출과열도와 기준온도의 차이에 따라 목표 토출온도의 보정량을 결정하고, S200 단계에서 결정된 목표 토출온도에 목표 토출온도의 보정량을 감산한 값을 새로운 목표 토출온도로 결정할 수 있다. 목표 토출온도의 보정량은 토출과열도와 기준온도의 차이가 클수록 커지는 값일 수 있다.
S30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토출과열도가 기준온도 이하라면, 제어부(도 1의 100)는 S200 단계에서 결정된 목표 토출온도를 보정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도 1의 100)는 목표 토출온도와 현재의 토출온도를 비교할 수 있다(S500 단계). 현재의 토출온도는 제1 온도센서(도 1의 280)로부터 측정된 값일 수 있다.
S50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목표 토출온도가 토출온도보다 낮다면, 제어부(도 1의 100)는 전자팽창변(도 1의 250)이 열리도록, 즉, 전자팽창변(도 1의 250)의 개도 정도가 증가하도록 전자팽창변(도 1의 250)을 제어할 수 있다(S600 단계).
S50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목표 토출온도가 토출온도보다 높다면, 제어부(도 1의 100)는 전자팽창변(도 1의 250)이 닫히도록, 즉, 전자팽창변(도 1의 250)의 개도 정도가 감소하도록 전자팽창변(도 1의 250)을 제어할 수 있다(S700 단계).
이상에서는 공기조화기가 냉방 운전을 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공기조화기가 난방 운전을 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다.
다음의 표 1은 비교예의 공기조화기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냉방 난방
실내온도 (건구온도/습구온도)[℃] 32/23 24/17 27/19
실외온도 (건구온도/습구온도)[℃] 43/26 43/26 7/6
제어방법 비교예 본발명 비교예 본발명 비교예 본발명
압축기 운전주파수 [Hz] 55 54 55 57 50 51
전자팽창변 개도값 [pls] 138 152 95 110 57 101
토출온도 [℃] 77 74 83 78 65 64
토출과열도 [℃] 23.8 21.4 32.9 27.3 20.4 15.6
흡입과열도 [℃] 5.7 3.0 11.1 4.5 7.3 0.9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동일한 조건에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가 비교예의 공기조화기보다 낮은 토출온도, 토출과열도, 및 흡입과열도를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가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을 표 1로부터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 제어부 210 : 압축기
220 : 실내열교환기 230 : 실외열교환기
240 : 사방변 250 : 전자팽창변
260 : 실내팬 270 : 실외팬
280 : 압력 센서 290 : 실외 온도센서

Claims (8)

  1. 냉매를 압축하여 배출하는 압축기;
    냉매가 배출되는 상기 압축기의 출측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기의 출측의 온도를 센싱하여 제1 온도를 출력하는 제1 온도 센서;
    상기 압축기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흡입하고, 흡입된 냉매를 응축시켜 배출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기의 온도를 센싱하여 제2 온도를 출력하는 제2 온도 센서;
    상기 응축기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팽창시켜 배출하는 전자팽창변;
    상기 전자팽창변으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흡입하고, 증발시켜 상기 압축기로 배출하는 증발기; 및
    상기 전자팽창변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와 상기 제2 온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팽창변의 개도를 조절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발기의 온도 및 상기 응축기의 온도에 기초하여 목표 토출온도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온도와 상기 제2 온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토출온도를 보정하고, 보정된 상기 목표 토출온도에 따라 상기 전자팽창변의 개도를 조절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와 상기 제2 온도의 차이가 기준 온도보다 크면, 상기 목표 토출온도를 낮추는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의 상기 제2 온도의 차이에 비례하여 상기 목표 토출온도의 보정량을 결정하는 공기조화기.
  5. 냉매를 압축하여 배출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흡입하고, 흡입된 냉매를 응축시켜 배출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팽창시켜 배출하는 전자팽창변과, 상기 전자팽창변으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흡입하고, 증발시켜 상기 압축기로 배출하는 증발기와, 상기 전자팽창변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압축기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의 온도인 제1 온도와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의 온도인 제2 온도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온도와 상기 제2 온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팽창변의 개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의 온도와 상기 제2 온도에 기초하여 목표 토출온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온도와 상기 제2 온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토출온도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토출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팽창변의 개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온도와 상기 제2 온도의 차이가 기준 온도보다 크면, 상기 목표 토출온도를 낮추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온도와 상기 제2 온도의 차이에 비례하여 상기 목표 토출온도의 보정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20200029851A 2020-03-10 2020-03-10 공기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101142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851A KR20210114299A (ko) 2020-03-10 2020-03-10 공기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851A KR20210114299A (ko) 2020-03-10 2020-03-10 공기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299A true KR20210114299A (ko) 2021-09-23

Family

ID=77926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851A KR20210114299A (ko) 2020-03-10 2020-03-10 공기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429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3475A (ko) 2007-02-06 2008-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전동변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3475A (ko) 2007-02-06 2008-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전동변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23435B (zh) 一种空调器的膨胀阀的控制方法及其系统、空调器
US677935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ir conditioner
CN107407494B (zh) 空调
KR102237600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법
US20190086113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EP1586836A2 (en) Cooling cycle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linear expansion valve of the same
WO2019052074A1 (zh) 空调器及其控制方法、装置
KR102122592B1 (ko)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
JP6707187B2 (ja) 空調システム
US11874006B2 (en) Alternative feedback usage for HVAC system
US20220090813A1 (en) Outside air treatment device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1083047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zoning system setup
CN101910762A (zh) 使用可调整膨胀阀来控制去湿
KR20210114299A (ko) 공기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2400191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charge level of hvac system
KR102310350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JP6656400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及び空気調和装置
KR102355461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20100082521A (ko) 가전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JP3843038B2 (ja) 圧縮空気除湿装置
US20210293435A1 (en) Zone air flow rate adjustment for an hvac system
JP2019011950A (ja) 空気調和機
US11808477B2 (en) Outdoor unit of air-conditioning apparatus
CN114576825B (zh) 空调器控制方法、空调器及可读存储介质
TWI806661B (zh) 具補償功能的除濕機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