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4291A - 체크밸브 - Google Patents

체크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4291A
KR20210114291A KR1020200029829A KR20200029829A KR20210114291A KR 20210114291 A KR20210114291 A KR 20210114291A KR 1020200029829 A KR1020200029829 A KR 1020200029829A KR 20200029829 A KR20200029829 A KR 20200029829A KR 20210114291 A KR20210114291 A KR 20210114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air
valve
check valv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8676B1 (ko
Inventor
홍춘강
Original Assignee
홍춘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춘강 filed Critical 홍춘강
Priority to KR1020200029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676B1/ko
Publication of KR20210114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4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 F16K51/02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igh-vacuum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효과적으로 공기의 흡입 및 차단할 수 있는 체크밸브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내부가 진공으로 형성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장치와 흡입장치가 결합되며, 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차단하는 차단밸브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체크밸브{A Check Valve}
본 발명은 케이스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효과적으로 공기의 흡입 및 차단할 수 있는 체크밸브에 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밀폐커버의 돌출리브에 압입 결합되는 링형으로 형성되면서 휨 변형 가능한 연질의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가이드패킹; 상기 가이드패킹의 상단에 고정되면서 내측 중앙 부위에는 상기 연통공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밸브캡; 상기 밸브캡의 관통공에 설치되며, 진공 흡입력의 비제공시에는 용기본체 내부로부터 제공되는 진공압에 의해 상기 관통공을 폐쇄함과 더불어 진공 흡입력의 제공시에는 상승 이동되면서 상기 관통공을 개방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 하부에 이어진 상부디스크와 상기 설치부의 하면부와 접하는 하부디스크와 상기 상부디스크와 하부디스크를 잇는 연결부 및 밸브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연질의 러버 또는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 중 파지부에 위치하는 부분은 체적이 증가된 확장공간부를 이루고 있어, 용기의 진공 후 공간부가 수축되어 상기 파지부가 찌그러져 외부에서 쉽게 용기의 진공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되며, 상기 공간부 중 파지부에 위치하는 부분은 체적이 감소된 축소공간부를 이루고 있어, 용기의 진공 후 공간부가 수축되어 상기 파지부가 찌그러져 외부에서 쉽게 용기의 진공여부를 파악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모터의 동력을 인가받아 회전되는 임펠러에 의해 진공되어 유체를 펌핑(pumping)하는 펌프실이 용이하게 진공상태를 이룸은 물론, 외부에서 유체가 흡입구 이외의 다른 부위에서 흡입되지 않아 진공펌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임펠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유체를 흡입/토출하는 펌프실이 마련되며 상기 펌프실의 일측에 외부와 연통된 통공이 구비된 진공펌프에 있어서; 상기한 통공에는 펌프실의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고 외부의 유체는 펌프실로 유입되지 않도록 된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4는 공기배출구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접착되며, 외측으로 흡입력을 받는 경우에 몸체의 일부가 상기 베이스로부터 들뜨도록 구성된 커버필름;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필름 사이에 상기 공기배출구를 밀폐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커버필름이 들뜨는 경우 상기 커버필름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상기 공기배출구와 연결되는 공기유통채널을 형성하는 개폐부; 상기 공기배출구에 구비되며, 공기는 통과시키고 입자상 물질은 거르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1511661 B1 (2015년04월07일) KR 10-2006-0010074 A (2006년02월02일) KR 20-2013-0001126 U (2013년02월19일) KR 10-2015-0086897 A (2015년07월29일)
본 발명은 케이스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효과적으로 공기의 흡입 및 차단할 수 있는 체크밸브에 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내부가 진공으로 형성되는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장치(200);, 상기 흡입장치(200)가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100) 내부의 공기를 차단하는 차단밸브(3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체크밸브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케이스(100);, 흡입장치(200);, 차단밸브(3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차단밸브(300)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00)에 결합되는 고정체(400); 상기 고정체(400)에 결합되며, 상기 흡입장치(200)가 결합되는 결합체(50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체크밸브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케이스(100);, 흡입장치(200);, 차단밸브(3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결합체(500)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장치(200)가 결합되는 결합부(510); 상기 결합부(510)에 형성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5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체크밸브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케이스(100);, 흡입장치(200);, 차단밸브(3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케이스(100) 및 상기 차단밸브(300)에 형성되며,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는 복수의 실링재(60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체크밸브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케이스(100);, 흡입장치(200);, 차단밸브(3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고정체(400)에 형성되며, 공기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볼밸브(70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케이스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진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케이스에 삽입되는 삽입홈에 차단밸브가 형성되어 흡입장치에 의하여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흡입장치와 결합체가 고정체에 결합되는 나선 방향이 다르게 형성되어 공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결합체와 고정체가 결합됨에 따라 흡입장치가 이탈됨과 동시에 공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결합체와 고정체가 점 및 선 접합됨에 따라 효과적으로 공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마찰판이 소정의 각도 및 길이로 이동하여 결합체의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체크밸브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단밸브의 분해사시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차단밸브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흡입장치가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결합체와 고정체가 접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마찰판이 형성된 고정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유입홈을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볼밸브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체크밸브에 있어서, 내부가 진공으로 형성되는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장치(200);, 상기 흡입장치(200)가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100) 내부의 공기를 차단하는 차단밸브(300);를 포함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체크밸브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의 외측에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차단밸브(300)가 삽입되는 삽입홈(110);을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체크밸브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복수가 서로 이웃하도록 연결되는 모듈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체크밸브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에 내측 및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00)를 보강하는 보강판(120);을 포함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의 체크밸브는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흡입장치(200)는 상기 차단밸브(300)에 결합되는 결합밸브(210);, 상기 결합밸브(210)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1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펌프(2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체크밸브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철재, 합성수지 등 다양한 물건을 장기간 보관하기 위한 케이스(100)를 진공으로 형성하기 위한 체크밸브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케이스(100)는 복수가 서로 이웃하도록 모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물건을 보관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이며, 각각의 케이스(100)가 서로 연결되어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모듈 형식의 케이스(100)는 서로 접하도록 접합장치가 형성되며, 접합장치는 암수로 형성됨에 따라 복수의 케이스(100)가 서로 접하도록 한다. 그리고 케이스(100)는 내부 및 외부에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진공에 따라 압력 변화를 견딜 수 있는 보강판(120)으로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100)를 진공으로 형성하기 위한 체크밸브는 케이스(100)에 형성되며,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장치(200)가 결합된다. 흡입장치(200)에서 케이스(1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흡입장치(200)가 케이스(100)에서 이탈되면 차단밸브(300)에 의하여 공기의 유입을 차단한다. 이러한 차단밸브(300)는 케이스(100)의 외측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삽입홈(110)에 설치된다. 삽입홈(110)에 삽입된 차단밸브(300)는 흡입장치(200)에 의하여 결합되며, 흡입장치(200)는 차단밸브(300)에 결합되는 결합밸브(210)가 형성된다. 결합밸브(210)는 차단밸브(300)와 억지끼움, 탄성결합, 나선결합 등 다양한 형태로 결합된다. 그리고 결합밸브(210)는 흡입펌프(220)와 연결호스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흡입펌프(220)는 케이스(1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다. 이때, 흡입펌프(220)는 콘프레셔 등 동력에 의하여 공기를 흡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체크밸브는 케이스(100)에 형성되며, 흡입장치(200)에 의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케이스(100)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1-6) 본 발명의 체크밸브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에 형성되며,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정압조절장치;를 포함한다.
(실시예 1-7) 본 발명의 체크밸브는 실시예 1-6에 있어서, 상기 정압조절장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00) 내부의 압력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가변판; 상기 가변판에 형성되며, 상기 가변판의 위치를 조절하는 가변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정압조절장치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정압조절장치는 케이스(100)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압조절장치는 차단밸브(300)에 연결되어 케이스(10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함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정압조절장치는 본체가 형성되며, 차단밸브(300)의 외측에 연결된다. 그리고 본체는 내부에 가변판이 형성되며, 가변판은 가변장치에 의하여 위치가 가변된다. 가변판은 본체 내부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케이스(1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면 가변판이 본체의 단부에서 밀려 케이스(100)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거나 경고한다. 이때, 가변판을 가변시키는 가변장치는 가변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탄성체가 형성되며, 탄성체에 의하여 케이스(100) 내부에 공기가 유입될 경우 가변판이 후진한다. 그리고 가변장치는 본체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압력바가 형성되며, 압력바의 단부에는 회전장치가 형성된다. 회전장치는 본체의 외측에 형성됨에 따라 회전장치를 회전시켜 압력바와 가변판을 케이스(100) 방면으로 가변시킨다. 이와 같이 케이스(100) 내부에 진공이 유지될 경우 가변판이 본체의 단부에 유지되고, 케이스(1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면 가변판이 조절본체의 타단부로 후진하는 것이다. 이때, 가변판은 회전장치에 의하여 압력바가 본체와 나선결합되어 케이스(100) 방면으로 이동하며, 본체는 가변판의 위치를 확인하는 확인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압조절장치는 케이스(100) 내부의 진공 상태를 확인함과 동시에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일정량 본체로 배출하여 케이스(100)의 압력을 조절하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체크밸브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차단밸브(300)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00)에 결합되는 고정체(400); 상기 고정체(400)에 결합되며, 상기 흡입장치(200)가 결합되는 결합체(500);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체크밸브는 실시예 1-2 또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400)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110)에 삽입되는 삽입부(410); 상기 삽입부(410)의 단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삽입홈(110)을 관통하는 관통부(420);를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체크밸브는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420)는 단차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00)의 이탈을 방지하는 너트(430);를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의 체크밸브는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400)는 상기 결합체(500)가 수용되는 수용홈(411);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차단밸브(3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차단밸브(300)는 케이스(100)에 형성되는 삽입홈(110)에 삽입되며, 흡입장치(200)가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차단밸브(300)는 삽입홈(110)에 삽입되는 고정체(400)와 흡입장치(200)가 결합되는 결합체(500)가 형성되며, 결합체(500)는 고정체(400)에 결합되는 것이다. 고정체(400)는 결합체(500)와 접합에 따라 형태가 변형되어 접합면적을 높이도록 구리,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되거나 고무 및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결합체(500)는 고정체(400)의 형태를 변형하도록 철재 및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체(500)는 고정체(400)와 동일하게 고무 및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마찰력을 높일 수 있다. 이때, 결합체(500)와 고정체(400)의 간격에 따라 흡입장치(200)로 공기가 흡입되는 것이다. 고정체(400)는 삽입홈(110)에 형성되는 삽입홀(111)을 일 단부가 관통하여 케이스(100)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부(420)가 형성되며, 관통부(420)의 일단부에는 삽입부(410)가 형성된다. 삽입부(410)는 삽입홈(110)에 안착되어 형성되며, 관통부(420)는 삽입홈(110)의 삽입홀(111)을 관통하여 케이스(100) 내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관통부(420)는 외주면에 나선홈 및 나선돌기가 형성되어 너트(430)가 결합된다. 케이스(100) 내부에 형성되는 너트(430)에 의하여 고정체(400)는 삽입홈(110)에 고정되는 것으로 삽입부(410)의 이탈을 방지한다. 그리고 삽입부(410)는 관통부(420)의 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케이스(100)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삽입홈(110)에 안착되는 것으로 중심에는 결합체(500)가 결합되는 수용홈(411)이 형성된다. 또한, 수용홈(411)은 관통부(420)를 관통하는 관통홈(421)과 연결되어 흡입장치(200)에 의하여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차단밸브(300)는 케이스(100)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것으로 흡입장치(200)에 의하여 케이스(100)의 공기를 흡입하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2-5) 본 발명의 체크밸브는 실시예 2-4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411)은 공기가 이탈되는 경로이며, 복수의 단차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6) 본 발명의 체크밸브는 실시예 2-5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411)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체(500)의 하단이 접하는 제 1단차(412); 상기 결합체(500)가 안착되는 제 2단차(413);를 포함한다.
(실시예 2-7) 본 발명의 체크밸브는 실시예 2-6에 있어서, 상기 제 1단차(412)는 사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고정체(4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케이스(100)의 삽입홈(110)에 삽입되어 결합체(500)가 결합됨에 따라 공기의 흡입 및 차단되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체(400)는 수용홈(411)의 형상에 따라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며, 관통부(420)는 삽입홈(110)의 삽입홀(111)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나 너트(430)의 크기에 따라 단차가 형성된다. 그리고 관통부(420)의 단부에 형성되는 삽입부(410)는 삽입홈(110)의 깊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며, 고무,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삽입홈(110)과 고정체(400)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삽입부(410)에 형성되는 수용홈(411)은 결합체(500)가 순차적으로 결합되도록 단차가 형성되며, 단차는 결합체(500)의 하단이 접하는 제 1단차(412)와 결합체(500)가 상단이 안착되는 제 2단차(413)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1단차(412)는 결합체(500)의 하단과 점접합으로 접하여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제 1단차(412)는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이는 결합체(500)의 하단과 선접촉으로 고정체(400)가 접하게 된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제 1단차(412)가 사선으로 형성될 경우 제 1단차(412)가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보다 결합체(500)와 고정체(400)의 각도가 좁아지므로 공기가 유입되는 압력이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제 1단차(412)에는 별도의 패킹이 형성되어 결합체(500)와 고정체(400)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체(400)는 결합체(500)가 결합된 후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2-8) 본 발명의 체크밸브는 실시예 2-4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411)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체(500)에 접하는 마찰판(414); 상기 마찰판(414)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415);을 포함한다.
(실시예 2-9) 본 발명의 체크밸브는 실시예 2-8에 있어서, 상기 마찰판(414)은 내주면이 사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체(500)와의 접합력을 높이기 위한 가스켓(416);을 포함한다.
(실시예 2-10) 본 발명의 체크밸브는 실시예 2-9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415)은 상기 마찰판(414)보다 넓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고정체(4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고정체(400)는 결합체(500)가 효과적으로 접함에 따라 케이스(100)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고정체(400)의 수용홈(411)의 측면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가이드홈(415)에 마찰판(414)이 수용된다. 가이드홈(415)의 깊이는 마찰판(414)보다 좁게 형성되어 마찰판(414)의 내주면이 결합체(500) 방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나 가이드홈(415)의 높이는 마찰판(414)의 두께보다 높게 형성되어 마찰판(414)이 상하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는 결합체(500)가 케이스(100)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하면 마찰판(414)의 내주면에 결합체(500)가 접함에 따라 마찰판(414)의 내주면은 하부로 향하나 외주면은 상부로 향하도록 경사진다. 이에 따라 마찰판(414)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결합체(500)와 마찰판(414)의 접촉력이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마찰판(414)이 가이드홈(415)에 마찰계수가 낮게 형성되어 결합체(500)가 하강함에 따라 마찰판(414)의 외주면은 결합체(500) 중심으로 이동하며, 가이드홈(415)에 걸려 결합체(500)와 마찰판(414)의 접하는 면적이 순차적으로 늘어나게 되어 결합체(500)의 하단 전체가 마찰판(414)과 접하는 것이다. 이러한 마찰판(414)에 의하여 결합체(500)의 형태가 변형되거나 비틀림이 발생하여도 마찰판(414)과 결합체(500)의 접착력은 상승하고 마찰판(414)과 고정체(400)의 접착력도 상승하여 케이스(100)의 진공을 효과적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마찰판(414)과 결합체(500)가 접하는 위치에는 가스켓(416)이 형성되며, 가스켓(416)은 탄성을 갖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결합체(500)가 고정체(400)에 삽입되는 압력에 의하여 형태가 변형되어 효과적으로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이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체크밸브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500)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장치(200)가 결합되는 결합부(510); 상기 결합부(510)에 형성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520);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체크밸브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510)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장치(200)가 결합되는 결합홈(511);을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체크밸브는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520)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장치(200)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홈(521); 상기 유입부(520)에 관통되며, 상기 흡입홈(521)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홈(522);을 포함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의 체크밸브는 실시예 3-3에 있어서, 상기 유입홈(522)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5) 본 발명의 체크밸브는 실시예 3-4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520)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체(400)가 접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6) 본 발명의 체크밸브는 실시예 3-4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510)는 상기 흡입장치(200)가 나선결합되는 제 1나선부(530); 상기 고정체(400)에 나선결합되는 제 2나선부(540);를 포함한다.
(실시예 3-7) 본 발명의 체크밸브는 실시예 3-6에 있어서, 상기 제 1나선부(530)와 제 2나선부(540)는 각각 다른 방향으로 나선 결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결합체(5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결합체(500)는 일단부가 흡입장치(200)와 결합되며, 타단부는 고정체(400)에 삽입되어 공기의 흡입을 원활하게 진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체(500)는 흡입장치(200)가 결합되는 결합부(510)가 형성되며, 결합부(510)는 결합홈(511)이 형성되어 흡입장치(200)의 결합밸브(210)가 삽입되어 형성된다. 결합홈(511)은 흡입장치(200)가 나선결합되도록 나선홈 및 나선돌기가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부(510)의 하단에는 케이스(100)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520)가 형성되며, 유입부(520)는 고정체(400)에 나선결합된다. 이때, 유입부(520)는 결합부(510)와 결합 방향이 다르게 형성되어 흡입장치(200)가 결합홈(511)에 결합될 때 유입부(520)는 고정체(400)에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결합체(500)를 고정체(400)에 삽입할 때 왼쪽으로 회전시켜 고정하면 흡입장치(200)의 결합밸브(210)는 결합홈(511)에 오른쪽으로 회전시켜 고정한다. 이는 결합밸브(210)를 흡입장치(200)에 고정할 때 결합체(500)와 고정체(400)가 이격되도록 하여 공기의 배출을 유도하고 결합밸브(210)를 흡입장치(200)에서 분리할 때 결합체(500)와 고정체(400)가 접하도록 하여 공기를 차단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유입부(520)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홈(521)이 형성되며, 흡입홈(521)의 길이는 고정체(400)에 삽입되는 유입부(520)의 길이와 유사하게 형성된다. 흡입홈(521)의 하단에는 수직하도록 유입홈(522)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유입홈(522)은 고정체(400)와 결합체(500)가 이격되면 케이스(100)의 공기가 흡입홈(521)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유입홈(522)은 케이스(100)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수량이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유입홈(522)은 결합체(500)에서 복수로 형성되며, 부채꼴로 형성될 수 있다. 부채꼴 형상은 외측 및 내측의 직격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결합체(500)에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결합체(500)는 흡입장치(200)가 결합되며, 고정체(400)와 이격됨에 따라 케이스(100)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것이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체크밸브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 및 상기 차단밸브(300)에 형성되며,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는 복수의 실링재(600);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체크밸브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관통되는 상기 고정체(400)에 형성되는 제 1실링재(610); 상기 케이스(100)와 상기 고정체(400)가 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2실링재(620);, 상기 결합체(500)에 형성되는 제 3실링재(630);를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의 체크밸브는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제 1실링재(610)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체(400)에 결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의 체크밸브는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제 2실링재(620)는 상기 케이스(100)의 삽입홈(110)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00)와 상기 고정체(400) 사이를 밀폐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5) 본 발명의 체크밸브는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제 3실링재(630)는 상기 결합체(500)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체(500)와 상기 고정체(400) 사이를 밀폐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실링재(6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케이스(100)와 고정체(400)와 결합체(500)는 복수의 실링재(600)가 형성되어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실링재(600)는 삽입홈(110)과 고정체(400)와 결합체(500)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며, 흡입장치(200)와 결합체(500)가 분리된 후 케이스(100) 내부가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밀봉한다. 제 1실링재(610)는 삽입홈(110)의 일면과 고정체(400)의 관통부(420)에 결합되는 너트(430)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너트(430)를 통해 삽입홈(110)과 밀찰되며, 삽입홈(110)의 삽입홀(111)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2실링재(620)는 케이스(100)와 고정체(400)의 하단이 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삽입홈(110)을 형성하는 삽입판(112)이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삽입판(112)과 고정체(400)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3실링재(630)는 결합체(500)의 유입부(520)와 결합부(510) 사이가 함몰되어 형성되며, 유입부(520)에 형성되는 제 2나선부(540)의 상단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실링재(600)에 의하여 공기가 흡입된 케이스(1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체크밸브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400)에 형성되며, 공기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볼밸브(700);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의 체크밸브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볼밸브(700)는 상기 고정체(400) 내부에 형성되는 밸브홀(710); 상기 밸브홀(710)에 형성되며, 공기의 흐름에 따라 이동하는 차단볼(720);을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의 체크밸브는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밸브홀(710)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체(400) 내부의 관통홈(421)과 연결되는 연결홈(730);을 포함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의 체크밸브는 실시예 5-3에 있어서, 상기 차단볼(720)은 상기 흡입장치(200)에서 공기를 흡입하면 상기 흡입장치(200) 방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볼밸브(7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볼밸브(700)는 고정체(400)의 관통홈(421)에 형성되며, 흡입장치(200)에 의하여 케이스(1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할 때 상승하여 공기를 배출시키고 흡입장치(200)에서 공기를 흡입하지 않을 때는 압력에 의하여 하강하여 공기의 배출을 차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볼밸브(700)는 고정체(400)의 관통홈(421)에 형성되며, 공기의 이동 경로에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공기의 배출 및 차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볼밸브(700)는 관통홈(421)에 형성되는 밸브홀(710)에 차단볼(720)이 형성되는 것이며, 밸브홀(710)은 차단볼(720)보다 넓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차단볼(720)이 원활히 이동하도록 한다. 이때, 밸브홀(710)과 차단볼(720)은 관통홈(421)보다 넓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차단볼(720)에 의하여 관통홈(421)이 차단되도록 한다. 그리고 밸브홀(710)은 결합체(500) 방면의 관통홈(421)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홈(730)이 형성되어 차단볼(720)이 흡입장치(200)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이동하면 연결홈(730)을 통해 케이스(100) 내부의 공기가 흡입장치(200)로 흡입된다. 그리고 흡입장치(200)에서 공기를 흡입하지 않으면 케이스(100) 내부의 압력에 의하여 차단볼(720)이 케이스(100) 내부 방면으로 이동함에 따라 관통홈(421)이 막히게 된다. 이에 따라 흡입장치(200)가 정지되면 차단볼(720)에 의하여 공기의 배출을 방지하므로 흡입장치(200)를 분리할 때 발생하는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이다.
100: 케이스 110: 삽입홈
111: 삽입홀 112: 삽입판
120: 보강판 200: 흡입장치
210: 결합밸브 220: 흡입펌프
300: 차단밸브 400: 고정체
410: 삽입부 411: 수용홈
412: 제 1단차 413: 제 2단차
414: 마찰판 415: 가이드홈
416: 가스켓 420: 관통부
421: 관통홈 430: 너트
500: 결합체 510: 결합부
511: 결합홈 520: 유입부
521: 흡입홈 522: 유입홈
530: 제 1나선부 540: 제 2나선부
600: 실링재 610: 제 1실링재
620: 제 2실링재 630: 제 3실링재
700: 볼밸브 710: 밸브홀
720: 차단볼 730: 연결홈

Claims (5)

  1. 내부가 진공으로 형성되는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장치(200);,
    상기 흡입장치(200)가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100) 내부의 공기를 차단하는 차단밸브(300);를 포함하는 체크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밸브(300)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00)에 결합되는 고정체(400);
    상기 고정체(400)에 결합되며, 상기 흡입장치(200)가 결합되는 결합체(500);를 포함하는 체크밸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500)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장치(200)가 결합되는 결합부(510);
    상기 결합부(510)에 형성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520);를 포함하는 체크밸브.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 및 상기 차단밸브(300)에 형성되며,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는 복수의 실링재(600);를 포함하는 체크밸브.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400)에 형성되며, 공기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볼밸브(700);를 포함하는 체크밸브.

KR1020200029829A 2020-03-10 2020-03-10 체크밸브 KR102348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829A KR102348676B1 (ko) 2020-03-10 2020-03-10 체크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829A KR102348676B1 (ko) 2020-03-10 2020-03-10 체크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291A true KR20210114291A (ko) 2021-09-23
KR102348676B1 KR102348676B1 (ko) 2022-01-07

Family

ID=77926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829A KR102348676B1 (ko) 2020-03-10 2020-03-10 체크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67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016Y1 (ko) * 2000-01-03 2000-06-15 이정자 진공 물품 보관장치
KR20060010074A (ko) 2004-07-27 2006-02-02 (주)씨에스이 진공용기용 체크밸브
KR20120019981A (ko) * 2010-08-27 2012-03-07 태성정밀(주) 역류방지용 체크밸브
KR20130001126U (ko) 2011-08-09 2013-02-19 지효근 체크밸브가 구비된 진공펌프
KR101511661B1 (ko) 2013-10-15 2015-04-14 (주)포에스텍 진공용기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KR20150086897A (ko) 2014-01-21 2015-07-29 주식회사 롤팩 체크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저장 용기
US9752473B1 (en) * 2015-06-03 2017-09-05 Valvomax, Inc. Oil drain valve with check ball and detachable bayonet-style actuato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016Y1 (ko) * 2000-01-03 2000-06-15 이정자 진공 물품 보관장치
KR20060010074A (ko) 2004-07-27 2006-02-02 (주)씨에스이 진공용기용 체크밸브
KR20120019981A (ko) * 2010-08-27 2012-03-07 태성정밀(주) 역류방지용 체크밸브
KR20130001126U (ko) 2011-08-09 2013-02-19 지효근 체크밸브가 구비된 진공펌프
KR101511661B1 (ko) 2013-10-15 2015-04-14 (주)포에스텍 진공용기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KR20150086897A (ko) 2014-01-21 2015-07-29 주식회사 롤팩 체크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저장 용기
US9752473B1 (en) * 2015-06-03 2017-09-05 Valvomax, Inc. Oil drain valve with check ball and detachable bayonet-style actu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676B1 (ko) 2022-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2407A (en) One-way flex valve
US5082240A (en) Quiet water valve
US20120063930A1 (en) Manual/pneumatic pump structure
KR102360318B1 (ko) 벤튜리 효과를 이용한 진공 생성 장치
EP1099853B1 (en) Diaphragm breakage protection in a reciprocating diaphragm pump
CN1176686A (zh) 输送气体脉冲的气体阀门和方法
US8480635B2 (en) Automatic intravenous fluid flow control device
CN105275818B (zh) 压缩机回油装置及压缩机和空调器
US6932110B2 (en) Unidirectional valve appliance
JP2015521264A (ja) 即応答フロート動作型蒸気ベントバルブ
US4827973A (en) One way flow valve
EP1624190A1 (en) Pumping system
KR102348676B1 (ko) 체크밸브
TWI698607B (zh) 閘閥
EP1352176B1 (en) Centrifugal pump with facilitated self-priming
KR200446108Y1 (ko) 펌프 제어용 밸브
US20170241309A1 (en) Drainage device
CN204921344U (zh) 一种用于往复泵的吸排阀组
US20150118070A1 (en) Automatic draining system
US10883617B2 (en) Valve
US20130015117A1 (en) Drainage device for closed chamber containing liquid
US10302229B1 (en) Adjustable suction pipe assembly with improved pressure activated seal
US7074014B2 (en) Dipping type pump where discharging performance at a time of actuation has been improved
US9028681B2 (en) Drainage device for closed chamber containing liquid
JP2007506890A (ja) 燃料タンクから内燃機関に燃料を搬送す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