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4224A -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4224A
KR20210114224A KR1020200029643A KR20200029643A KR20210114224A KR 20210114224 A KR20210114224 A KR 20210114224A KR 1020200029643 A KR1020200029643 A KR 1020200029643A KR 20200029643 A KR20200029643 A KR 20200029643A KR 20210114224 A KR20210114224 A KR 20210114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mand
terminal
supply
win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계복
Original Assignee
이계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복 filed Critical 이계복
Priority to KR1020200029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4224A/ko
Publication of KR20210114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2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장비 또는 부품의 제작 또는 주문을 포함하는 발주 데이터가 수신되고,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파라미터를 만족하기 위한 매칭을 받는 수요 단말, 제작 또는 판매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장비 또는 부품의 상세정보를 등록하고, 수요 단말의 파라미터를 만족시키기 위한 매칭을 받는 경우 수요 단말로 파라미터를 제공하기 위한 견적서를 제공하고, 수요 단말의 협력 발주가 수신되면 제작 및 납품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로부터 제작 또는 판매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장비 또는 부품의 상세정보를 등록받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화부, 수요 단말로부터 매칭을 요청받는 경우 수요 단말의 발주 데이터 및 매칭을 요청하는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을 필터링 및 추출하여 매칭하는 매칭부,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로부터 파라미터를 만족시키기 위한 견적서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견적서를 수요 단말로 전송하는 견적관리부, 수요 단말에서 견적서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견적서를 제출한 공급 단말로 협력발주를 전송하는 협력관리부를 포함하는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DEMAND AND SUPPLY MATCHING SERVICE OF APPRATUS AND PART FOR WIN-WIN PARTNERSHIP AND COOPERATION BETWEEN MANUFACTURERS}
본 발명은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 간의 상생 및 협력 관계를 구축함으로써 발주의 공유 및 납기를 준수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전 세계적인 경기침체 분위기는 새로운 성장의 모멘텀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들로 이어지고 있으며, 성장을 통한 경제안정은 국가차원의 핵심 아젠다(Agenda)이자 정책적 지향점이 되고 있는 현실이다. 정부주도의 경제 활성화 방안으로 추진하는 실현 노력들은 기존의 경제 및 산업 체제를 보다 혁신적인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혁신형 중소기업 또는 초기 창업 기업이 보다 안정적인 환경에서 경영활동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뛰어난 기술력과 참신한 아이디어에 기반 한 제품 및 서비스의 개발도 중요하지만, 이러한 상품이 거래될 수 있는 시장의 조성 역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다만, 국내의 산업구조는 대기업 중심의 수직계열화된 특성이 강하며, 대다수의 중소기업은 시장에서 독자적인 판로 개척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구조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대기업의 하청 또는 계열사로 편입되거나 영세한 규모로 시장의 독립적인 지위를 확보하는 경향이 주로 나타난다.
이때, 제조업의 장비 및 파트 구매를 위한 수요공급매칭 플랫폼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4-0058817호(2014년05월15일 공개)에는, 수요기업의 요구조건을 반영한 온톨로지에 기반하여 공급기업을 발굴하기 위하여, 공급기업 발굴을 위한 시스템은, 수요기업의 요구조건을 수집하여 구조화한 수요기업 요구정보와, 공급기업이 속한 산업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한 도메인 지식정보에 기반하여 온톨로지를 생성하는 온톨로지 관리부와, 공급기업에 대한 선정조건 및 공급기업의 핵심역량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온톨로지에 기반하여 인스턴스 파일을 생성하고, 공급기업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는 검색정보를 입력받아 공급기업에 대한 선정조건으로 변환하는 검색 요청 처리부와, 변환된 공급기업에 대한 선정조건과 매칭되는 공급기업을 인스턴스 파일을 활용하여 탐색하는 결과 처리부의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을 이용한다고 할지라도 소규모로 진행되는 장비나 파트의 구매나 주문생산의 경우 여전히 각 개인이나 중소기업 간 협력이 이루어지지 않고 협력을 위한 플랫폼이 존재하지 않으며, 정밀도, 가격, 품질 및 납기를 포함한 파라미터로 분석된 체계화된 자료의 부재로 인하여 수요공급매칭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또, 규모의 경제 또는 범위의 경제를 이루지 못한 개인 또는 중소기업의 경우 여전히 구매담당인력을 별도로 채용하여 제조업의 구매를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겸직을 하거나 전문인력없이 다양한 업무를 복합적으로 담당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전문성이 대기업에 비하여 현저하게 떨어진다. 한국에서 지난 경제성장기 동안 제조업은 한국경제의 주요 경제성장 원동력이었으며 서비스업 비중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중요하나, 과거와 달리 제조업의 경쟁력은 저하되고 있어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위해서는 제조업의 성장 동력확충과 경쟁력강화가 필요하다. 이에, 제조업의 장비 및 파트 구매의 전문성을 기르기 위한 수요공급매칭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각 공급업체를 정밀도, 가격, 품질 및 납기를 포함한 파라미터로 체계적으로 평가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수요업체로부터 발주를 받는 경우에 캐퍼시티(Capacity)가 부족한 영역은 다른 공급업체와의 협력 및 상생을 통하여 부족한 부분의 자질을 갖추며, 수요업체에서 발주를 받지 못하는 경우일지라도 타 공급업체로 자산을 공유함으로써 고정비 지출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고, 상생 및 협력의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출혈경쟁으로 발주를 받기 위한 에너지 및 자원 낭비를 하지 않을 수 있는,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장비 또는 부품의 제작 또는 주문을 포함하는 발주 데이터가 수신되고,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파라미터를 만족하기 위한 매칭을 받는 수요 단말, 제작 또는 판매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장비 또는 부품의 상세정보를 등록하고, 수요 단말의 파라미터를 만족시키기 위한 매칭을 받는 경우 수요 단말로 파라미터를 제공하기 위한 견적서를 제공하고, 수요 단말의 협력 발주가 수신되면 제작 및 납품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로부터 제작 또는 판매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장비 또는 부품의 상세정보를 등록받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화부, 수요 단말로부터 매칭을 요청받는 경우 수요 단말의 발주 데이터 및 매칭을 요청하는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을 필터링 및 추출하여 매칭하는 매칭부,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로부터 파라미터를 만족시키기 위한 견적서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견적서를 수요 단말로 전송하는 견적관리부, 수요 단말에서 견적서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견적서를 제출한 공급 단말로 협력발주를 전송하는 협력관리부를 포함하는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각 공급업체를 정밀도, 가격, 품질 및 납기를 포함한 파라미터로 체계적으로 평가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수요업체로부터 발주를 받는 경우에 캐퍼시티(Capacity)가 부족한 영역은 다른 공급업체와의 협력 및 상생을 통하여 부족한 부분의 자질을 갖추며, 수요업체에서 발주를 받지 못하는 경우일지라도 타 공급업체로 자산을 공유함으로써 고정비 지출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고, 상생 및 협력의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출혈경쟁으로 발주를 받기 위한 에너지 및 자원 낭비를 하지 않을 수 있고, 원가절감이나 특성화 전략에 매진하여 보다 나은 경쟁력을 추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수요 단말(100),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수요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수요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수요 단말(100)은,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수요공급매칭을 요청하는 수요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수요 단말(100)도 실시예에 따라 공급 단말(40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그 역도 성립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요 단말(100)은, 공급을 요청하는 수요자, 즉 개인이나 소상공인 또는 중소기업의 단말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수요 단말(100)은, 타 기업이나 개인으로부터 발주 데이터를 받고, 발주 내용 중 어느 한 부분에 대응하는 부품이나 장비의 공급이나 제작을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요청하여, 부품이나 장비의 공급자 또는 제작자인 공급 단말(400)과의 매칭을 받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수요 단말(100)은,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400)에서 견적서를 전송하면, 이 중 어느 하나의 공급 단말(400)을 선택하고 견적서 등 내용에 대한 협의를 요청하는 단말일 수 있고, 협의가 완료되는 경우 협력발주를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수요 단말(100)은, 협력발주가 되었던 부품 또는 장비를 납품받고, 납품된 부품 또는 장비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피드백으로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수요 단말(100)은, 발주에 대한 금액을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정산하거나, 초기 협력발주에 대한 견적금액 협의가 된 경우 먼저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입금을 해두고 스마트컨트랙트 또는 에스크로를 이용하여 납품완료가 되는 경우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공급 단말(400)로 정산이 되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수요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수요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수요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 업체(400)로부터 제작 또는 생산가능한 부품 또는 장비의 상세정보를 업로드받고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요 단말(100)로부터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파라미터를 만족하기 위한 매칭을 요청받고, 만족되지 못하는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부품이나 장비를 공급가능한 공급 단말(400)을 매칭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매칭 후 견적서를 공급 단말(400)로부터 수신하여 수요 단말(100)로 전송하고, 견적협의요청이 수요 단말(100)로부터 존재하는 경우, 공급 단말(400)로 전송하고 견적협의가 완료될 때까지 협의 및 조정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협의완료 후 수요 단말(100)로부터 공급업체 선정 및 협력발주가 입력되면, 선정된 공급업체의 공급 단말(400)로 협력발주 데이터를 전송하고 납기관리를 수행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납기가 완료되고 수요 단말(100)에서 납품된 장비 또는 부품에 대한 승인을 하는 경우, 공급 단말(400)로 정산을 수행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400)은,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공급자, 소상공인 또는 중소기업 등의 단말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400)은, 생산 또는 제작가능한 부품 또는 장비의 상세정보를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업로드하여 등록하고,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매칭을 받는 경우 매칭에 응할 것인지의 여부를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400)은 매칭에 응한 뒤 견적요청이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경우,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수요 단말(100)로 견적서를 전송하고 견적조건에 대한 합의요청이 존재하는 경우 합의에 응할 것인지 등에 대한 답변을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견적조건에 대한 합의가 완료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400)은, 수요 단말(100)에서 해당 견적조건으로 협력발주를 전송하면, 부품 또는 장비의 생산 프로세스를 시작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400)은, 불완전이행으로 하자담보책임이 발생하거나 수요 단말(100)에서 사정변경으로 설계변경 또는 부품변경이 존재하지 않는 한, 수요 단말(100)의 승인으로 정산을 받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하자담보책임이 발생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400)은 재생산 또는 설계변경 등을 진행하거나 부품교체 등을 진행하는 단말일 수 있고, 수요 단말(100)의 사정변경으로 변경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변경이 발생된 부분에 대한 금액을 수요 단말(100)과 합의하여 재생산이나 교체 또는 설계변경을 수행하는 업체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화부(310), 매칭부(320), 견적관리부(330), 협력관리부(340), 평가관리부(350), 우선추출부(360) 견적협의부(370), 중재부(380) 및 스마트컨트랙트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수요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400)로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수요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400)은,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수요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화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400)로부터 제작 또는 판매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장비 또는 부품의 상세정보를 등록받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후방산업은 장비, 부품 및 소재인데, 이는 원청업체가 하지 않고 대부분 하청구조로 돌아간다. 또, 메모리 반도체는 설계를 담당하는 팹리스(Fabless), 팹리스의 의뢰를 받아 제조를 담당하는 파운드리(Foundary), 설계부터 제조까지 모든 공정을 처리할 수 있는 종합반도체(Integrated Device Manufacturer)로 나뉘는데, 이 과정 중 팹리스나 파운드리도 하청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팹리스는 반도체를 생산할 공장은 없지만 칩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기업을 말하고, 파운드리는, 팹리스가 할 수 없는, 즉 반도체를 생산하는 공장을 가진 업체를 의미한다. 반도체와 같은 경우 초기 투자비용, 즉 규모의 경제를 이룰 때까지의 초기자본이 조 단위로 대거 투입되는데, 이러한 자본이 없거나 필요를 가지지 않는 팹리스 업체에서는 굳이 공장을 만들지 않고 파운드리로 위탁을 맡기게 된다. 팹리스는, 이에 따라, 반도체 설계는 하지 않지만 고도화된 공정 기술을 바탕으로 반도체를 생산한다.
이때, 하청을 받은 하청업체는 원청에 납기일을 맞춰야 하는데, 정밀도, 가격, 품질, 납기 중 어느 하나라도 만족되지 못하면 하청업체인 중소기업이 패널티를 받게 된다. 실제로, 코로나바이러스로 중국의 공장이 모두 문을 닫은 상태에서도 원청인 대기업의 하청업체인 중소기업의 패널티부과로 인하여 위험이전이 발생하고,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위험을 모두 영세업체가 떠안게 되었다. 채권채무관계에서 불완전이행이 아닌 이행불능의 경우, 예를 들어 천재지변의 경우 손해배상이 아닌 전보배상책임이고 이행불능당시의 가액에 따라 배상하지만, 상당수의 하청업체들이 1주일 정도의 재고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중국의 부품조달이 지연됨에 따른 납기차질과 이에 따른 패널티가 불가피한 상황이었고, 전보배상책임보다 큰 불완전이행의 손해배상책임을 떠안게 된 것이다. 상술한 경우는 납기지연이 발생하는 경우인데, 이러한 경우 납기지연을 막을 수 있는, 예를 들어, 동일 부품을 생산하는 공급 업체(400)와 연결을 해주기 위하여, 공급 업체(400)로부터 미리 상세정보를 등록받는 것이다. 물론, 반도체 공장을 예로 들었지만, 가전, 무선통신기기, 바이오산업, 기타 생필품 제조업 등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나열된 제조업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열거되지 않은 이유로 배제되지 않는다.
매칭부(320)는, 수요 단말(100)로부터 매칭을 요청받는 경우 수요 단말(100)의 발주 데이터 및 매칭을 요청하는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400)을 필터링 및 추출하여 매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기업으로부터 수요 단말(100)의 업체인 C 업체가 B 제품 만(10,000)개의 생산을 발주받았고, C 업체는 B 제품을 이루는 부품인 D 부품을 수입 또는 생산할 수 없거나 부족한 경우를 가정하면, 발주 데이터는, A 기업으로부터 C 업체가 받은 발주의 조건 또는 상세내역이 포함된 데이터이고, 매칭을 요청하는 파라미터는, D 부품의 납기, 가격, 품질, 정밀도 등일 수 있다.
이때, C 업체가 자체생산 또는 수입할 수 없는 부품인 D 부품을 생산, 수입, 사용, 양도, 대여 등을 하는 E 업체, 즉 공급 단말(400)의 업체와 매칭해주는 것이다. 이때, A 업체(발주자) -> C 업체(수주자) -> E 업체(2차 수주자 또는 C의 파트너사)의 연결고리가 생기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C 업체와 E 업체 간의 관계를 연결 또는 매칭해주는 것이다. 물론, A 업체와 C 업체 간을 연결해줄 수 있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C 업체와 E 업체 간 상생을 이룰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생이 없으면 미래에 생존도 없다는 모토하에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하도급거래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가맹사업거래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표시 · 광고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약관의 규제에 관한 법률, 할부거래에 관한 법률, 방문판매 등에 관한 법률 및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에 기반한 중재 및 조율 등을 수행함으로써, 갑을 관계가 아닌 동등한 협력사의 관계를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매칭을 수행할 때에는 매칭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400)에서 등록한 인력현황, 생산 또는 제조하는 부품이나 장비의 스펙(Specification), 하루 생산량, 정밀도, 납기지연횟수나 빈도, 가격, 품질(QoS) 등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주기, 빈도, 및 수량 미만의 작업할당량을 가지는 공급 단말(400)을 자동으로 분류 및 추출하여 우선순위로 매칭시킬 수 있다. 이때, 온톨로지 매칭을 이용할 수 있는데, 온톨로지 매칭 기법은 어휘 유사성 기법, 구조 유사성 기법, 인스턴스 유사성 기법, 추론 기반 유사성 기법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온톨로지 매칭 기법을 이용하여 온톨로지 매칭을 수행한 후 얻은 온톨로지 매칭 결과를 분석하여 매칭이 되어야 하는데 매칭이 안된 개념을 추출할 수 있다. 이 개념은 트리플 비매칭 개념(Triple Unmatched Concept)인데, 트리플 비매칭 개념의 매칭을 위해 의미 관계 유사성(Semantic Relationship Similarity)을 이용할 수 있다. 의미 관계 유사성은 워드넷의 동의어 집합 단어가 워드넷의 상위어, 하위어, 전체어, 부분어 집합에 포함된 비율로 정의할 수 있고, 트리플 비매칭 개념의 매칭 여부와 매칭할 때 적용할 의미 관계를 결정하기 위해 최대 포함 집합과 이에 따른 매칭 임계값을 실험을 통해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수행된 온톨로지 매칭 결과에서 도메인 개념과 레인지 개념이 교차로 매칭된 매칭 프로퍼티를 추출하고, 이를 온톨로지 교차 매칭(Ontology Cross Matching)으로 정의한다. 대부분의 온톨로지 매칭 기법에서는 오브젝트 프로퍼티의 도메인 개념과 레인지 개념의 매칭 결과와는 상관없이 등치 프로퍼티 관계로 매칭을 수행하지만, 온톨로지 교차 매칭에 해당하는 프로퍼티에 등치 프로퍼티 관계로 매칭한다면 추론 결과가 기존 설계된 온톨로지 구조에 상충되므로, 등치 프로퍼티 관계로 매칭된 온톨로지 교차 매칭을 역 프로퍼티 특성으로 매칭 정제함으로써 온톨로지 매칭 후에도 온톨로지가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납기관리는, 주어진 기간 내 프로젝트를 완수시키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다. 액티비티를 결정하고 선후행 관계를 정립하여 연결하는 것은 일정관리의 가장 기본적인 단계인데, 스케줄링을 하더라도 작업할당량을 적절히 수주하지 못하여 일이 몰리거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m 개의 공장에 n 개의 작업을 할당하는 할당문제는, 예를 들어, 헝가리안 알고리즘(Hungarian Algorithm)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할당문제를 Polynomial 시간(Polynomial Time)에 해결할 수 있는 최적해 알고리즘인데, 다수의 작업과 기계가 존재하는 상황과, 각 작업을 특정 기계에서 수행하는 작업시간이나 비용이 다른 상황을 가정한다. 하나의 작업은 반드시 하나의 기계에서만 작업이 이루어진다는 가정하에, 처리시간이나 비용의 총합이 최소가 되는 최적해를 구하도록, 각 발주작업들을 각 기계나 인력을 보유한 공장에 배정하는 문제이다. 이를 할당 문제(Assignment Problem)라 하는데, 균형 할당 문제(Balanced Assignment Problem), 불균형 할당 문제(Unbalanced Assignment Problem)를 포함하므로, 할당문제는 균형과 불균형의 2가지 경우가 존재한다. 할당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헝가리안(Hungarian) 알고리즘이나,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지만, 불균형 할당 문제에 대해서는 최적 해를 찾지 못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비용이 모두 0인 가상의 행이나 열을 추가하여 균형 할당문제로 변환시킬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공급사슬관리(Supply Chain Management)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으며, 나열된 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견적관리부(330)는,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400)로부터 파라미터를 만족시키기 위한 견적서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견적서를 수요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견적서에는 납기, 품질, 가격, 정밀도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후 납기지연시 패널티도 함께 설정될 수 있다. 물론, 후술될 불완전이행으로 인한 하자담보책임 및 사정변경으로 인한 사정변경비용의 부담에 대해서도 함께 설정될 수 있으며, 이 두 개의 데이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적관리부(380)에서 자동으로 기 저장된 디폴트 데이터를 삽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추후 분쟁이 발생하더라도 현행법에 맞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협력관리부(340)는, 수요 단말(100)에서 견적서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견적서를 제출한 공급 단말(400)로 협력발주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예를 그대로 인용하면, 발주 데이터는, A 업체가 수요 단말(100)의 C 업체로 발주한 데이터이고, 협력발주는, 수요 단말(100)의 C 업체가 E 업체의 공급 단말(400)로 발주한 데이터로 서로 다른 주체와 서로 다른 내용이므로 구분하여 정의하기로 한다. 협력발주에는, 부품 또는 장비의 제작 등의 납기, 품질, 정밀도 및 가격 등을 포함하는 견적서 또는 계약사항이 포함될 수 있고, 이는 협력관리부(340)에서 관리하며, 이후 블록체인을 이용한 스마트컨트랙트로 협력발주의 조건들을 모두 만족하는 납기가 이루어졌을 때 공급 단말(400)로 정산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요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장비 또는 부품의 제작 또는 주문을 포함하는 발주 데이터가 수신되고,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파라미터를 만족하기 위한 매칭을 받을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400)은, 제작 또는 판매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장비 또는 부품의 상세정보를 등록하고, 수요 단말(100)의 파라미터를 만족시키기 위한 매칭을 받는 경우 수요 단말(100)로 파라미터를 제공하기 위한 견적서를 제공하고, 수요 단말(100)의 협력 발주가 수신되면 제작 및 납품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평가관리부(350)는, 협력발주가 전송된 공급 단말(400)의 공급업체에서 공급한 장비 또는 부품의 피드백 데이터를 수요 단말(100)로부터 수신하여 공급업체의 평가 데이터로 누적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이때, 피드백 데이터는, 정밀도, 가격, 품질 및 납기의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수신된 피드백데이터들은 기 설정된 태그를 통하여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태그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등록되는 리뷰 데이터에 따라 새로 생성되거나 변경 또는 삭제될 수도 있는 유동적인 분류자일 수 있다. 데이터의 정제와 분류를 위해서는 정보자원의 분석이 요구되나, 다양한 종류의 수요 업체에서 사용하는 용어가 서로 다르고, 공급 업체에서 보유하고 있는 인적자원 및 물적자원 등이 서로 다름에 따라 각각의 수요 업체 및 공급 업체가 기 설정된 태그로 자신의 평가를 표현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때, 태그(선택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대부분의 플랫폼에서는 기타 박스를 생성하고, 기타에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정보를 기재하도록 하는데, 이렇게 기재된 데이터를 태그화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타 박스에 포함된 단어 및 문장을 벡터 형태로 표현한 후 벡터 형태로 표현된 기타 박스의 단어 및 문장의 클러스터링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때, 클러스터링이란 텍스트 마이닝과 정보검색이론 분야의 연구에서 많이 적용되는 대표적인 비지도학습 방법이며, 군집화 방법에 따라 계층구조 클러스터링(Hierarchical Clustering), 분할구조 클러스터링(Partitional Clustering), 그리고 스펙트럼구조클러스터링(Spectral Clustering)으로 나누어진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은 상향식 계층군집화(Agglomerative hierarchical clustering) 알고리즘과 K-means 알고리즘이 있는데, K-means 알고리즘은 상향식 계층 클러스터링보다 성능은 떨어지지만 효율적인 군집화 알고리즘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군집화 성능보다 효율성에 더 초점을 맞추어 K-means 알고리즘을 군집화 알고리즘으로 적용할 수 있다. 물론, 상향식 계층군집화 알고리즘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K-means 알고리즘은, 벡터 공간내의 K개의 중심점을 K개의 클러스터로 표현할 수 있다는 전제를 가지고 수행되며, 일반적으로 각 벡터의 코사인 유사도 산출을 통해 클러스터를 형성한다. K-means 알고리즘은 클러스터를 생성하는 방법에 따라 Bisecting, Antipole, Multipole 등의 다양한 확장 알고리즘을 더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기타 박스에 기재된 단어 및 문장의 형태소 분석 및 불용어 제거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기타 박스에 기재된 단어 및 문장을 가지고 K-means를 수행하기 위해 기타 박스에 기재된 데이터들은 클러스터링 수행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되어어야 한다. 이를 위해, 단어 및 문장을 벡터로 변환하는 수치화 작업을 진행한다. 수치화 작업을 위하여 단어 및 문장에 대한 형태소 분석을 실시하며, 그 결과 형태소 하나하나가 한 벡터의 차원을 이루게 된다. 해당 형태소의 포함 여부에 따라 각각의 벡터 요소들은 1 또는 0의 값을 가지게 되며, 이 과정에서 형태소 분석기를 이용할 수 있다. 두 번째는, 태그 풀(Tag Pool)을 생성하는 것이다. 단어 및 문장이 기재된 기타 박스 간의 거리 측정 및 비교 가능한 기준은 벡터 곱을 통해 달성된다. 이를 위해 모든 형태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표준벡터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며, 이러한 표준벡터로 모든 기타 박스로부터 추출된 태그 풀을 사용할 수 있다. 태그 풀은, 모든 기타 박스에 포함된 단어 및 문장으로부터 추출된 태그들을 중복 없이 모두 담고 있는 풀을 의미한다.
세 번째는, 태그의 계층구조를 제작하는 과정인데, 태그 계층구조는 앞서 제작한 태그 풀을 기반으로 제작된다. 태그 계층구조 생성을 위한 벡터는 태그 풀의 요소를 서로 비교하면서 임의의 태그들이 동일한 태그 풀에 포함된 경우가 몇 번 있는가에 따라 벡터 값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수요 단말(100)에서 하나의 기타 박스에 입력한 단어 및 문장에서 임의의 두 태그를 동시에 입력한 정도에 따라 벡터값이 부여된다. 이러한 방식을 따라 산출된 각각의 태그 벡터들은 단위벡터로 변환 후 K-means를 통해 클러스터링 되고, 군집 분석을 통해 유사도가 높은 벡터들끼리 그룹화하여 몇 개의 태그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각각의 그룹에 대해 위와 같은 클러스터링 작업을 반복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전체 태그 집합에 대한 태그 계층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태그 벡터를 계산해야 하는데, 마지막으로 태그 벡터를 만드는 과정을 통해 군집화 알고리즘을 수행하기 위한 모든 준비 과정이 끝나게 된다. 이 과정을 통해 각각의 기타 박스가 서로 얼마나 닮은 정보를 가지고 있는지 유추해 볼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태그 계층구조를 태그 벡터에 반영하기 위해 계층구조를 바탕으로 계산된 값을 사용할 수 있고, 이때 부여되는 벡터 값은 예를 들어, Leacock-Chodorow Measure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Leacock-Chodorow Measure는 0부터 무한대까지의 값으로 어휘 유사도를 표현하기 때문에, 태그 벡터의 가중치를 업데이트하는 용도로 적용할 수 있다.
이렇게 클러스터링을 위한 모든 준비가 완료되면, 각 기타 박스를 묶는 작업을 통하여 새로운 태그를 도출할 수 있다. 이때, 첫 클러스터링 K 값의 결정을 위해, K-means 클러스터링 적용할 때, 군집화 결과 그룹의 개수(K)는 군집화 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대부분의 경우 K는 정적인 변수로 설정되어 그 개수에 맞추어 클러스터링 결과를 도출하도록 하고 있지만 서로 다른 수요 업체와 공급 업체의 방향성, 특이성으로 인하여 다른 방향의 태그를 가지는 특성을 고려하면 일정한 K값을 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는 기타 박스에 포함된 단어 및 문장에 따른 각기 다른 태그에 따라 각기 다른 K값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K-means는 최적의 클러스터가 생성될 때까지 반복하여 군집을 재생성한다. 즉, K-means에 의해 일단 클러스터가 생성되면 클러스터된 모든 그룹들에 대하여 중심 값을 다시 계산하고 모든 태그 풀을 대상으로 K개의 클러스터에 순서대로 벡터 곱을 수행한다. 그 후 수행결과 벡터 곱이 가장 컸던 그룹에 다시 그 태그 풀을 배정하며 마지막 태그 풀까지 벡터곱과 배정 과정을 수행한다. 이로 인해 새로운 클러스터링 결과가 산출되면 다시 중심 값을 구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최적의 클러스터링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이때, 종료 시점은, 새롭게 형성된 결과들이 직전의 클러스터링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아무런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을 때이다.
우선추출부(360)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400)로 할당된 협력발주현황 및 제작 스케줄을 관리하고, 수요 단말(100)에서 매칭요청한 파라미터가 납기인 경우, 파라미터 내 포함된 납기까지 협력발주현황 및 제작 스케줄이 존재하지 않는 공급 단말(400)을 우선순위로 추출할 수 있다. 물론, 납기일 이외의 다른 요건이 우선순위로 설정된다면, 우선순위로 설정된 파라미터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필터링 및 정렬을 수행할 수도 있다.
견적협의부(370)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400)에서 전송한 견적서를 수요 단말(100)로 전송한 후, 수요 단말(100)의 견적금액 협의요청이 전송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400)로 견적금액 협의요청에 대한 응답을 요청하고,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400)로부터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수요 단말(100)로 전송하며, 수요 단말(100)에서 견적서에 대한 승인이 될 때까지 루프를 돌며 프로세스를 반복할 수 있다.
중재부(380)는, 수요 단말(100)에서 사정변경에 의한 장비 또는 부품을 변경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400)의 불완전이행으로 인한 하자담보를 요청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400)로 사정변경 데이터 또는 하자담보요청 데이터를 전송하고, 장비 또는 부품을 변경하는 사정변경비용을 산정하여 수요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는, 수요 단말(100)의 업체의 장비의 설계변경이나 부품변경 등과 같은 사정변경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수요 단말(100)의 책임으로 하는 것이다. 이때, 사정변경의 원칙이란, 법률행위에 있어서 그 기초가 된 사정이 그후에 당사자가 예견하지 못한 또는 예견할 수 없었던 중대한 변경을 받게 되어, 당초에 정하여진 행위의 효과를 그대로 유지하거나 강제한다면 대단히 부당한 결과가 생기는 경우에는, 당사자는 그러한 행위의 결과를 신의성실의 원칙에 맞도록 적당히 변경할 것을 상대방에게 청구하거나, 또는 계약을 해제ㆍ해지할 수 있다는 원칙이다. 이때, 사정은 당사자의 주관적인 사정이 아니라 객관적인 사정에 한하게 되므로, 계약해지는 할 수 없고 그 증감분을 수요 단말(100)에서 배상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요 단말(100)이 발주자라는 위치에 있다는 것만으로 사정변경에 따른 위험이전을 계약의 채권자인 공급 단말(400)로 이전시키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식각 장비 시스템의 제조, 설치에 관하여 A 회사가 B 회사(수요업체, 수요 단말(100))에 도급하고, B 회사가 C 회사(공급 업체, 공급 단말(400))에 하도급을 하면서, B 회사와 C 회사는 제품을 견적서 등에 따라 제작하며 중도금은 제품 입고 완료 후 14일 이내에, 잔금은 최종 검수 완료, 승인 후 다음달 말 지급하기로 하는 하도급계약을 체결한 후, C 회사는 위 장비의 제작을 마치고 A 회사의 공장에 이를 설치하기 시작하였는데, B 회사는 C 회사에 견적서에서 정한 것과 다른 부품, 수량으로 위 장비가 제작되었다면서 견적서에서 정한 대로 완전한 장비를 납품할 것을 통지한 경우를 가정하자. 견적서에는 부품의 사양이 변경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어 C 회사는 B 회사와 수차례 협의하여 견적서와 다른 사양의 부품으로 변경한 것이었고, 제작된 장비는 주요 구조부분이 약정된 대로 시공되고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성능도 갖추고 있었는데, 이에 C 회사는 B 회사에 중도금을 지급할 것과 남은 업무를 마칠 수 있도록 협조해 달라고 요청하였으나 B 회사는 이를 거부하고 위 하도급계약의 해제를 통보하였다면, C 회사인 공급 단말(400)은, 하도급계약상 최종 검수 완료, 승인 후 잔금 지급 조건에도 불구하고 잔금을 지급받을 수 있다. 물론, 후자의 경우, 즉 불완전이행으로 인한 하자담보책임도 마찬가지로 정산불이행의 이유는 아니며, 하자담보책임에 대응하는 손해배상이나 추후처리만 중재부(380)에서 중재하게 된다.
스마트컨트랙트부(390)는, 수요 단말(1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400)의 공급업체에서 공급한 장비 또는 부품에 대한 승인(Confirm)이 이루어지는 경우, 블록체인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400)로 정산을 수행할 수 있다. 신뢰관계가 쌓이지 않은 계약양사자의 경우 서로 위험, 즉 리스크를 안고 시작할 수 있다. 발주하는 수요 단말(100) 측에서는 납기, 품질, 정밀도 등의 위험, 수주하는 공급 단말(400) 측에서는 정산불이행 리스크, 하자담보책임 및 발주인인 수요자나 업체의 사정변경으로 인한 발주취소, 발주변경 또는 설계변경 등에 따른 비용부담의 리스크를 안고 시작한다. 여기서, 하자담보책임이나 사정변경으로 인한 비용부담은 중재부(380)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처리하고, 스마트컨트랙트부(390)에서는, 중재부(380)에서 처리한 사항 이외의 위험이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계약당사자의 조건을 협력관리부(340)에서 관리하고, 이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 자동으로 정산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스마트컨트랙트부(390)는, 승인을 수요 단말(100)에서 진행하지만, 각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 승인간주처리하여 정산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각 조건이 만족되었음에도 수요 단말(100)의 자금부족 등의 사정으로 인하여 제 때 공급 단말(400)로 정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공급 단말(400)의 업체, 즉 공급 업체의 기반이 무너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하도급의 예를 계속 인용하면, 도급계약상 일의 완성에 관하여 도급계약에서 목적물의 주요 구조부분이 약정된 대로 시공되어 사회통념상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성능을 갖추었고 당초 예정된 최후의 공정까지 마쳤다면 일이 완성되었다고 보고 있으며, 목적물이 완성되었다면 목적물의 하자는 하자담보책임에 관한 민법 규정에 따라 처리하도록 하고 있고, 도급계약에서 보수는 완성된 목적물의 인도와 동시에 지급해야 한다고 정하고 있는 민법 제665조 제1항에 관하여 목적물의 인도는 단순한 점유의 이전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도급인이 목적물을 검사한 후 목적물이 계약 내용대로 완성되었음을 명시적 또는 묵시적으로 시인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의미이고, 도급계약의 당사자들이 수급인이 공급한 목적물을 도급인이 검사하여 합격하면, 도급인은 수급인에게 보수를 지급한다라고 정한 경우 도급인의 수급인에 대한 보수 지급의무와 동시이행 관계에 있는 수급인의 목적물 인도의무를 확인한 것에 불과하며 검사 합격은 법률행위의 효력 발생을 좌우하는 조건이 아니라 보수 지급시기에 관한 불확정 기한이다. 또, 장비의 주요 구조부분이 약정된 대로 시공되어 사회통념상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성능을 갖추었고, C 회사가 이를 완성하여 설치를 시작하였으나 B 회사의 비협조로 설치를 마치지 못한 것으로서 C 회사는 위 하도급계약이 정한 대로 일을 완성하였다고 볼 수 있으므로 잔금을 청구할 수 있다고 볼 수 있고, 특히 위 하도급계약에서 최종 검수의 완료, 승인은 잔금 지급의 조건이 아니라 불확정 기한이므로, C 회사가 위 하도급계약에서 예정한 최후 공정을 마쳤음에도 B 회사가 최종 검수를 거부하고 해제를 통보함으로써 최종 검수 완료, 승인이 불가능한 것으로 확정되어 잔금청구권의 이행기가 도래하였기 때문에, 상술한 수요 단말(100)의 승인은 정산 조건이 아닐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블록체인 플랫폼에 구현된 소프트웨어 코드로서 미리 부여한 조건의 성취에 따라 블록체인에 담긴 자산에 대하여 계약이 자동으로 이행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다. 즉, 스마트 컨트랙트는 스스로 이행이 되는 자동화된 약정(Automated Self-Enforced Agreements)으로 계약의 성립과 이행이라는 두 과정을 블록체인 기술에 의해 하나로 합친 개념이다. 스마트 컨트랙트의 기술적 개념은 거래기록이 분산되어 저장되고 탈중앙화하여 공유되며, 복제된 원장이 작동 및 보관됨과 동시에 다시 그 원장에 자산의 이전을 지시하는 사건에 따라 자동으로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일종(Event-Driven Program)이다. 한편 스마트 컨트랙트는 법적으로 ① 2 명 이상의 당사자가 있어야 하고, ② 일방 당사자로부터 다른 당사자로의 자산이전과 관련되고, ③ 그 이행(Implementation)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일단 계약이 개시(Initiated)된 이후에는 인간의 개입이 요구되지 않는 계약개념이다. 이러한 면에서 살펴보면 계약법적 요소로서의 스마트 컨트랙트는 알고리즘 계약의 일종인데, 알고리즘 계약에서는 일방 당사자 또는 쌍방 모두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계약의 체결 여부 및 조건을 결정하기로 약속한다.
한편, 스마트 컨트랙트는 인간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실행되므로 당사자의 신뢰를 중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계약의 가장 큰 약점이라 할 수 있는 계약의 불이행 문제가 상대방의 신용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래밍된 조건의 성취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소위 조건부 계약(Conditional Nature)의 일종이다. 따라서 스마트 컨트랙트에서는 조건 성취 여부를 해석, 판단, 평가하는 것이 법적으로 중요한 쟁점이 되고, 조건의 설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수요 단말(100)에서 설정하거나, 채권자인 공급 단말(400)과 합의로 설정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스마트 컨트랙트의 트랜잭션(Transaction)은, ① 프로그래밍 코드 작성, ② 코드 서명, ③ 블록체인 저장, ④ 거래실행 순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와 그 결과는 트랜잭션에 포함되어 체인으로 연결된 블록(Block)에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되어 모든 참여자가 거래정보를 공유하게 되며, 거래내역과 계약내용은 추가나 변경 없이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에 상호 독립적으로 보관된다. 여기서 참여자들은 공개키 암호화 방식으로 만들어진 지갑 주소(Wallet address)를 블록체인과 연동하여 계약을 체결하고 전자서명을 하게 된다. 스마트 컨트랙트 트랜잭션은 계약의 수행을 네트워크상에서 실행하거나 입증이 쉽고 편리하도록 만들어진 컴퓨터 프로토콜(Protocol)이다. 이러한 트랜잭션은 추적이 가능하지만, 거래기록을 이전의 상태로 되돌리거나 변경할 수 없는 불가역성을 가진다. 이때, 튜링-완전(Turing-completeness), 가치 인지능력(Value-awareness), 블록체인 인지능력(Blockchain-awareness), 상태(State) 개념 등이 포함된 기능들이 제공될 수 있다.
덧붙여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응형 ERP 플랫폼을 각 수요 단말(100)의 수요 기업과, 공급 단말(400)의 공급 기업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공급망 적응형 ERP는, 기업의 기본정보와 이 기업의 공급망에 연결되어 있는 타 기업들의 정보를 기반으로 한다. 온톨로지 구축을 위한 기업기본정보는 해당 기업의 현재 상태를 정량적으로 표현 할 수 있는 지표들로 구성되며, 매출, 직원 수, 업종, 업무 부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업기본정보와 가치사슬(Value Chain)정보를 분석 후, 기업간 ECDL(Enterprise Capability Description Language)와 ERDL(Enterprise Requirement Description Capability)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정의된 ECDL과 ERDL의 온톨로지는 미들웨어(Middle ware)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고, ECDL은 기업이 생산자(공급자)로서 필요한 제조 공급망 내의 생산능력을 기술하는 온톨로지이고, ERDL은 기업이 소비자(수요자)로서 필요한 제조 공급망 내의 생산요구조건을 나타내는 온톨로지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 산업에서 자동차부품기업 A 고객사와 B 협력사 사이에는 제조 공급망 내에서 제조 정보 공유가 가능하도록 하는 ERP 시스템이 필요하다. A 기업에서 자동차부품 A에 대한 생산계획이 나오면, 부품 A를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부품 B에 대한 발주정보가 생성되고 A 기업에서 B 기업으로 전달된다. B 기업은 부품 B에 대한 자재 재고관리와 생산계획을 조정하고 납품전표를 발행한다. A 기업은 부품 B의 품질을 검사하고, 불량이 발생하면 B 기업에 클레임(Claim)을 한다. 이러한 상황과 같이, 중소 자동차 부품 업체는 기업간 정보 교환이 빈번하게 이루어진다.
적응형 ERP 모듈 설계를 위해 입력한 기업의 공급망 정보는 ECDL/ERDL로 변환되고 SCXML(State Chart XML)로 표현될 수 있는데, 다시 말하면, 기업 기본정보, 공급망 정보, 생산능력(Capability), 생산요구조건(Requirem-ent)은, ECDL과 ERDL로 표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정보를 분석하여 기업에 적합한 ERP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ECDL과 ERDL은 기업간 이종 정보를 체계화하여 호환성과 재활용성을 확보하기 위해 온톨로지 기반으로 구축할 수 있다. 온톨로지로 구축된 언어는 하나의 논리 이론으로 표현되어 있고, 사용된 용어(Term)간 공리(Axiom)로 표현 되어 있으므로 SCXML로 표현이 가능하다. 데이터 구조는, 적응형 ERP의 기준자료가 되는, 기업기본정보 설정기준은 ERP 구축기업 전문가와의 인터뷰 결과, 기업의 운영 및 전략과 관련된 정보, 그리고 다양한 정량적 지표를 참고하여 결정할 수 있다. 기업 기본정보에는 기업의 규모를 파악하기 위한 매출과 직원 수, 모듈 설계를 위한 기업의 업종과 업무부서 설정이 있다. 또한, 기업간 정보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위치관련 정보와 협력사-고객사 관계도가 포함되어 있다. 기업 기본정보 기준을 설정한 후, 온톨로지 구축을 위해 기업 내, 외부의 업무 연관성을 분석하여야 한다. 이러한 기업정보는 기업하부구조, 인적자원관리, 기술개발, 조달, 내부 로지스틱스, 생산활동, 외부로지스틱스, 마케팅 및 판매, 그리고 서비스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ERP 시스템에서는 기업 내부 자원만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SCM(Supply Chain Management)상에서 다른 기업과 거래하는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다른 기업과 공유가 필요한 정보는 온톨로지 기반의 ECDL/ERDL을 만들고, SCXML 코드를 생성한다. 즉, ERDL을 생성하면, 자사의 생산요구조건이 미들웨어를 통해 다른 기업에게 공유된다. 그리고 미들웨어에 저장되어 있는 거래기업의 ECDL을 참고하여 거래요청을 할 수 있다. 두 기업간 이해관계가 맞을 경우 신규 거래가 발생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적응형 ERP 시스템은 기업기본정보 입력, 기본 모듈 설계, 상세 모듈 설계로 크게 구분 할 수 있다. 첫 번째는 기본모듈을 제공하기 위해 기업기본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이다. 세부적으로는 네 단계로 구분 한다. 첫 단계에서는 기업 기본정보 중, 기업규모를 파악하기 위해 기업의 매출액과 직원 수를 입력한다. 두 번째에는, 특화 모듈 설계를 위해 업종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대표적 자동차 부품 기업의 업종을 선택한다면, 내장, 차체금형, 금속, 전장 4가지 중 하나를 선택 할 수 있다. 세 번째에서는 고객사와 협력사 정보를 입력한다.
상세 모듈 설계를 위해, 기업의 생산 능력(Capability) 및 고객사의 생산 요구조건(Requirement)과 관련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 기업기본정보 중, 적응형 ERP 시스템에서 관리가 필요한 부서와 업무를 입력한다. 해외 기업이 공급망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수출 통관, 선적, 비용 등 수출입에 관련된 모듈을 선택 할 수 있다. 무역관련 업무가 없다면 선택 하지 않을 수 있다. 또, 자재/구매 모듈을 분리하거나 통합할 수 있으며, 완성된 ERP는, 필요에 따라 재선택하여 조정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응형 ERP 시스템을 도입한 기업들의 정보 교환은 온톨로지 기반으로 작성된 ERDL과 ECDL을 사용하기에 추가적인 정보 구축 없이 가능하다. 공급기업과 고객사가 존재하는 경우, 생산 요구조건과 생산능력이 맞으면 미들웨어 역할을 하는 코디네이터(Coordinator)에 의해 양사에 필요한 ERP 기능들이 추출될 수 있다.
이때, ERP 프로그램을 판매하는 형식으로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SaaS(Software as a Service)로 제공될 수도 있다. SaaS는 인터넷 어디에서든 쉽게 이용할 수 있고, 웹브라우저만 있으면 어디서든 접근할 수 있다. 이때, BaaS(Backend as a Service)를 더 추가할 수도 있다. 물론, 인프라나 플랫폼 자체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로 서버 운영에 필요한 서버자원, IP, Network, Storage, 전력 등 여러 인프라 자원을 탄력적이고 빠르게 제공할 수 있다. IaaS는 자원을 쉽게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으며 운영체제를 제공하므로 친숙한 환경이 주어질 수 있다. 또, PaaS(Platform as a Service)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안정적인 환경과 그 환경을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API까지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PaaS는 간편하게 원시코드를 빌드 및 배포할 수 있으며 사용량에 따라 스케일 아웃(Scale Out)을 하기 용이하다. BaaS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서비스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기 힘든 사용자 및 총기 관리 및 푸시, 파일 처리 등 서버 측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PaaS의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고 제공되는 백앤드 모듈을 REST API나 라이브러리 CALL을 통해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a)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400)로부터 부품이나 장비 등의 상세정보를 등록하고, 수요 단말(100)로부터 매칭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공급 업체를 필터링하고 매칭된 공급 업체의 공급 단말(400)로 견적서를 요청하며, 견적서가 공급 단말(400)로부터 도착하는 경우 수요 단말(100)로 견적서를 전달한다. 그리고,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요 단말(100)에서 견적서에 포함된 조건에 대한 합의요청이 수신되면, 공급 단말(400)로 합의요청을 전송하고, 합의가 완료될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한다. 그리고, (b) 최종적으로 수요 단말(100)에서 공급 업체를 선정하면,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납품 기일을 관리하고 (c) 견적서의 조건이 만족되면 자동으로 공급 단말(400)로 정산을 수행하거나 수요 단말(100)의 승인(컨펌)이 존재하면 자동정산되도록 한다. 이때, 도 3b를 참조하면, 해외 부품 또는 장비 이송, 새로운 장비의 제조, 부품 가공, 재료 공급 등 다양한 분야의 매칭이 가능하며, 중소 업체 간 작업능력을 공유하고 서로 부족한 부분을 지원하고 협력할 수 있도록 하며, 재료 업체 정보를 통하여 바로 구매 시장을 구성할 수 있고(원스톱 서비스), 해외 협력 분야의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장비 제작에 필요한 부품을 구매하거나 중개할 수 있고, 해외 배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나열된 서비스에 한하지 않고 열거되지 않은 이유로 배제되지 않는다.
상술한 구성 및 동작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작이 필요한 제작품을 수요자와 공급자가 온라인 상에서 정보공유 및 협약을 통하여 계약을 진행하고 진행과정을 공유할 수 있으며, 제작단가를 줄이기 위하여 공작기계의 공유정보 및 이용이 자유롭게 협약되는 것 또한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양 당사자 간의 계약에 의해 결정되는 사항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적용범위는 공작기계, 도면, 재료, 단가, 품질, 정밀도, 납기 등을 온톨로지 개념의 자료를 생성하여 최종 업체능력 정보를 제공하고, 잉여기계 현황을 파악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나 이 또한 특허법에서 적용범위는 특허를 한정하는 사항이 아니므로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공급 단말(400)로부터 부품 또는 장비 등의 상세정보를 등록하고(S4100), 공급업체와 부품 또는 장비를 등록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400)로부터 지역, 작업공정, 거래처, 최소오더수량, 생산품종, 수입부품 또는 장비, 인력현황 등을 등록할 수 있고, 보유설비, 샘플 이미지, 업체 사진, 생산, 제조, 사용, 대여, 수입하는 장비나 부품의 종류나 스펙, 월 생산량, 제작 또는 납품기간, 제작인원수나 인력현황, 업체인증현황, 주소, 제작 또는 부품의 생산공정 및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를 더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요 단말(100)로부터 부품 또는 장비를 요청받고(S4300), 발주 데이터를 수신하면(S4310), 발주 데이터 내에서 하도급을 할 부품이나 장비의 스펙, 납기, 가격, 정밀도, 품질 등의 데이터를 추출하고(S4400), 이를 만족하는 공급 단말(400)을 필터링 및 매칭한다(S4500, S4510). 또한,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요 단말(100)로부터 견적 요청을 받으면(S4600), 이를 공급 단말(400)로 전달하고, 공급 단말(400)로부터 견적서를 수신하면 이 또한 수요 단말(100)에 전송한다(S4610). 이때, 수요 단말(100)의 합의요청이 존재하는 경우(S4630), 합의가 완료될 때까지 피드백 및 응답을 전달하는 중개역할을 수행한다(S4650~S4700).
또,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협력발주의 조건에 대하여 양당사자 간 합의완료하면, 공급 단말(400)로 협력발주를 전송하고(S4800), 이에 대한 승인을 받으면(S4810)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납기일에 대한 모니터링을 진행한다(S4830). 예를 들어, 최종완료까지 1 차 기일 및 2 차 기일이 존재하는 경우, 각 기일에 대한 리마인더 및 기일을 지키지 않았을 경우 패널티 정산에 대한 근거자료를 히스토리 로그로 저장할 수 있다(S4910). 그리고, 납기가 완료되면(S4900),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요 단말(100)로 피드백을 요청하고(S4930) 이에 대한 피드백이 수요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경우, 공급 업체의 평가 데이터를 업데이트한다(S4970).
상술한 단계들(S4100~S497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7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4의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로부터 제작 또는 판매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장비 또는 부품의 상세정보를 등록받아 저장한다(S5100).
그리고,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는, 수요 단말로부터 매칭을 요청받는 경우 수요 단말의 발주 데이터 및 매칭을 요청하는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을 필터링 및 추출하여 매칭하고(S5200),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로부터 파라미터를 만족시키기 위한 견적서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견적서를 수요 단말로 전송한다(S5300).
또,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는, 수요 단말에서 견적서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견적서를 제출한 공급 단말로 협력발주를 전송한다(S5400).
이와 같은 도 5의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적어도 하나의 장비 또는 부품의 제작 또는 주문을 포함하는 발주 데이터가 수신되고,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파라미터를 만족하기 위한 매칭을 받는 수요 단말;
    제작 또는 판매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장비 또는 부품의 상세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수요 단말의 파라미터를 만족시키기 위한 매칭을 받는 경우 상기 수요 단말로 상기 파라미터를 제공하기 위한 견적서를 제공하고, 상기 수요 단말의 협력 발주가 수신되면 제작 및 납품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로부터 제작 또는 판매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장비 또는 부품의 상세정보를 등록받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화부, 상기 수요 단말로부터 매칭을 요청받는 경우 상기 수요 단말의 발주 데이터 및 매칭을 요청하는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을 필터링 및 추출하여 매칭하는 매칭부,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로부터 상기 파라미터를 만족시키기 위한 견적서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신된 견적서를 상기 수요 단말로 전송하는 견적관리부, 상기 수요 단말에서 상기 견적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견적서를 제출한 공급 단말로 협력발주를 전송하는 협력관리부를 포함하는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협력발주가 전송된 공급 단말의 공급업체에서 공급한 장비 또는 부품의 피드백 데이터를 상기 수요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공급업체의 평가 데이터로 누적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평가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데이터는 정밀도, 가격, 품질 및 납기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로 할당된 협력발주현황 및 제작 스케줄을 관리하고, 상기 수요 단말에서 매칭요청한 파라미터가 납기인 경우, 상기 파라미터 내 포함된 납기까지 협력발주현황 및 제작 스케줄이 존재하지 않는 공급 단말을 우선순위로 추출하는 우선추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에서 전송한 견적서를 상기 수요 단말로 전송한 후, 상기 수요 단말의 견적금액 협의요청이 전송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로 상기 견적금액 협의요청에 대한 응답을 요청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로부터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요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수요 단말에서 견적서에 대한 승인이 될 때까지 루프를 돌며 프로세스를 반복하는 견적협의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수요 단말에서 사정변경에 의한 장비 또는 부품을 변경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의 불완전이행으로 인한 하자담보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로 사정변경 데이터 또는 하자담보요청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장비 또는 부품을 변경하는 사정변경비용을 산정하여 상기 수요 단말로 전송하는 중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수요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의 공급업체에서 공급한 장비 또는 부품에 대한 승인이 이루어지는 경우, 블록체인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 단말로 정산을 수행하는 스마트컨트랙트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00029643A 2020-03-10 2020-03-10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1142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643A KR20210114224A (ko) 2020-03-10 2020-03-10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643A KR20210114224A (ko) 2020-03-10 2020-03-10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224A true KR20210114224A (ko) 2021-09-23

Family

ID=77926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643A KR20210114224A (ko) 2020-03-10 2020-03-10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422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562B1 (ko) 2021-11-05 2022-05-16 (주)테온 인공지능 기반 it 인프라 구축을 위한 자동 견적 생성 및 공급사 매칭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6091093A (zh) * 2022-12-01 2023-05-09 深圳市创芯人科技有限公司 基于云数据的前置仓SaaS平台管理方法、系统及介质
KR102571942B1 (ko) * 2022-09-30 2023-08-29 주식회사 이투비플러스 산업용 포장재 제조 및 유통을 위한 제조 중소기업과 유통 마케터 협업 플랫폼 시스템
WO2024010403A1 (ko) * 2022-07-08 2024-01-11 (주)연합시스템 자동화된 도급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562B1 (ko) 2021-11-05 2022-05-16 (주)테온 인공지능 기반 it 인프라 구축을 위한 자동 견적 생성 및 공급사 매칭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24010403A1 (ko) * 2022-07-08 2024-01-11 (주)연합시스템 자동화된 도급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KR20240007361A (ko) * 2022-07-08 2024-01-16 (주)연합시스템 자동화된 도급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71942B1 (ko) * 2022-09-30 2023-08-29 주식회사 이투비플러스 산업용 포장재 제조 및 유통을 위한 제조 중소기업과 유통 마케터 협업 플랫폼 시스템
CN116091093A (zh) * 2022-12-01 2023-05-09 深圳市创芯人科技有限公司 基于云数据的前置仓SaaS平台管理方法、系统及介质
CN116091093B (zh) * 2022-12-01 2024-01-16 深圳市创芯人科技有限公司 基于云数据的前置仓SaaS平台管理方法、系统及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denstierna et al. Economies of collaboration in build‐to‐model operations
TW535088B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parts procurement and production planning across an extended supply chain
KR20210114224A (ko) 제조업 업체 간 상생 및 협력을 위한 장비 및 부품의 수요공급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Aslan et al.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ystems: An assessment of applicability to make-to-order companies
US7574379B2 (en) Method and system of using artifacts to identify elements of a component business model
Basu et al. Research commentary: Workflow management issues in e-business
Cole et al. Extending support for contracts in ebXML
Al-Sabri et al. A comparative study and evaluation of ERP reference models in the context of ERP IT-driven implementation: SAP ERP as a case study
Wanchun et al. A QoS-aware service evaluation method for co-selecting a shared service
TW200535584A (en) A method for optimizing foundry capacity
US20100250298A1 (en) Prioritization enablement for soa governance
US20010011295A1 (en) Method for cooperating multiple application programs
EP3387788A1 (en) Real time digital value nodes and networks
Xu et al. Integrated optimisation for production capacity, raw material ordering and production planning under time and quantity uncertainties based on two case studies
Pant et al. Bank mediated financial supply chains: Implications for supply chain strategy and operations
Di Leva et al. Business process analysis and change management: The role of material resource planning and discrete-event simulation
Andry et al.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for Order Fulfillment: A Case Study
Lupi et al. Blockchain-based shared additive manufacturing
Romanovskaya et al. Improvement of the quality system of manufactured products at the enterprise of mechanical engineering
Chien et al. Modeling order assignment for semiconductor assembly hierarchical outsourcing and developing the decision support system
US20140149186A1 (en) Method and system of using artifacts to identify elements of a component business model
Sarraipa et al. Annotation for enterprise information management traceability
Otto et al. Towards a process reference model for information supply chain management
Mahdavi Pajouh et al. A specialty steel bar company uses analytics to determine available-to-promise dates
Galeta et al. Product model suited for the ERP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