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4172A - 2차 권선측 비절연을 갖는 자속결합형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 - Google Patents

2차 권선측 비절연을 갖는 자속결합형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4172A
KR20210114172A KR1020200029494A KR20200029494A KR20210114172A KR 20210114172 A KR20210114172 A KR 20210114172A KR 1020200029494 A KR1020200029494 A KR 1020200029494A KR 20200029494 A KR20200029494 A KR 20200029494A KR 20210114172 A KR20210114172 A KR 20210114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winding
winding
fault current
superconducting
superconduc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8560B1 (ko
Inventor
고석철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29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560B1/ko
Publication of KR20210114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02H9/023Current limitation using superconduct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60Superconducting electric elements or equipment; Power systems integrating superconducting elements or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05/00Superconductor technology: apparatus, material, process
    • Y10S505/825Apparatus per se, device per se, or process of making or operating same
    • Y10S505/85Protective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2차 권선측 비절연을 갖는 자속결합형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가 개시된다. 2차 권선측 비절연을 갖는 자속결합형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는, 대향하는 1차 권선부 및 2차 권선부가 형성되는 철심(Iron core), 1차 권선부에 결선되는 1차 권선, 2차 권선부에 결선되는 2차 권선 및 3차 권선, 3차 권선에 연결되는 제1 초전도 소자 및 2차 권선에 연결되는 제2 초전도 소자를 포함하되, 2차 권선과 3차 권선은 직렬로 연결되고, 직렬로 연결된 2차 권선 및 3차 권선은, 1차 권선과 병렬로 연결된다.

Description

2차 권선측 비절연을 갖는 자속결합형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Flux-Coupling type superconducting fault current limiter with non-isolated secondary winding}
본 발명은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직류 시스템에서 고장전류를 제한하는 2차 권선측 비절연을 갖는 자속결합형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에 관한 것이다.
산업발전으로 전력공급설비가 증가하여 전력계통이 복잡해지고 송전용량이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단락 발생 시, 고장전류가 증가하여 기존 차단기의 내력을 초과하게 되어 전력계통 보호기기들이 심각한 피해를 받게 되었다. 그래서,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단락 용량이 큰 차단기로 교체하거나 높은 임피던스를 가지는 전력설비를 마련하는 등의 방안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경제적, 기술적, 계통 안정도면에서 해결해야 할 많은 문제가 남아 있다.
한편, 보다 효과적인 방안으로서, 고장전류를 제어할 수 있는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SFCL: Superconducting Fault Current Limiter)가 개발되었다.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는 전력계통에서 발생하는 고장전류를 제한하는 장치로서, 초전도 소자(HTSC: High-Temperature superconducting)의 고유 특성인 급격한 저항 증가를 이용하여 고장전류의 크기를 제한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는 전력공급원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손실 없이 계통으로 공급하고, 사고 시에 발생하는 고장전류를 제한할 수 있다.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에 사용되는 초전도 소자는 전류나 온도에 따라 상태를 전이하는 특성을 가지며, 이러한 소자 특성을 이용하여 과전류를 제한할 수 있다. 즉, 초전도 소자는 임계치 이상의 전류나 온도가 가해지면 상전도 상태로 전이되고, 이에 따라 높은 저항을 발생하여 과전류를 제한한다. 이후, 초전도 소자는 냉각되면, 다시 초전도 상태로 복귀한다.
일반적으로,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는 철심(Iron core)에 1차 및 2차 권선되고, 2차 권선에 초전도 소자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두 권선의 자기결합을 이용한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는, 고장 시에 전력 부담을 병렬 또는 직렬 연결된 두 권선과 초전도 소자로 분산함으로써, 초전도 소자의 개수를 줄일 수 있으면서도 퀀치(Quench) 현상을 유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이러한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는, 권선의 권선비를 조절하여 임피던스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전류제한 크기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는 1차 및 2차 권선의 결선 구조, 권선과 초전도 소자의 결선 구조 등에 따라 초전도 소자의 부담 가중 문제, 고장전류의 제한효과의 저하 문제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2749호(2011.01.10)
본 발명은 직류 시스템에서 보다 신속하게 고장전류를 제한하며, 고장 제거 후에 보다 신속하게 초전도 상태로 복귀하게 할 수 있는 2차 권선측 비절연을 갖는 자속결합형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직류 시스템에서 고장전류를 제한하는 2차 권선측 비절연을 갖는 자속결합형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권선측 비절연을 갖는 자속결합형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는, 대향하는 1차 권선부 및 2차 권선부가 형성되는 철심(Iron core), 상기 1차 권선부에 결선되는 1차 권선, 상기 2차 권선부에 결선되는 2차 권선 및 3차 권선, 상기 3차 권선에 연결되는 제1 초전도 소자 및 상기 2차 권선에 연결되는 제2 초전도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2차 권선과 상기 3차 권선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직렬로 연결된 2차 권선 및 3차 권선은, 상기 1차 권선과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철심은 사각형의 중공이 형성된 사각통 형태를 가지며, 상기 사각형의 대향하는 변에 상응하는 부분에 상기 1차 권선부 및 상기 2차 권선부가 형성된다.
상기 3차 권선에 흐르는 제1 전류의 크기가 상기 제1 초전도 소자의 임계치를 초과함에 따라 상기 제1 초전도 소자에 발생하는 제1 저항에 의하여 제1 전압이 발생하여, 고장전류가 제한된다.
상기 2차 권선에 흐르는 제2 전류의 크기가 상기 제2 초전도 소자의 임계치를 초과함에 따라 상기 제2 초전도 소자에 발생하는 제2 저항에 의하여 제2 전압이 발생하여, 고장전류가 제한된다.
상기 제1 초전도 소자가 상기 제2 초전도 소자보다 낮은 임계치를 가지도록 설정된다.
상기 1차 권선부는 절연형이고, 상기 2차 권선부는 비절연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권선측 비절연을 갖는 자속결합형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는, 직류 시스템에서 보다 신속하게 고장전류를 제한하며, 고장 제거 후에 보다 신속하게 초전도 상태로 복귀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권선측 비절연을 갖는 자속결합형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가 적용된 직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권선측 비절연을 갖는 자속결합형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권선측 비절연을 갖는 자속결합형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의 동작에 따른 전압 및 전류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권선측 비절연을 갖는 자속결합형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가 적용된 직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직류 시스템은, 교류전원소스(Es)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원이 정류기(10) 및 캐패시터(capacitor)를 통해 직류전원으로 변환되며, 변환된 직류전원이 부하저항(RLoad)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권선측 비절연을 갖는 자속결합형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100)가 부하저항(RLoad)의 후단에 연결되어, 발생하는 고장전류를 제한할 수 있다.
즉, 제1 스위치(SW1)가 온(ON)되면 교류전원이 Udc의 전압과 idc의 전류를 가지는 직류전원으로 변환된다. 이어, 제2 스위치(SW2)가 온(ON)되면 부하저항(RLoad)에 부하전류(iLoad)가 흐름으로써, 직류전원이 부하저항(RLoad)으로 인가될 수 있다. 이후, 제3 스위치(SW3)가 온(ON)되는 경우, 고장저항(RFire)에 고장전류(iFire)가 흐른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권선측 비절연을 갖는 자속결합형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100)가 동작하여, 발생한 고장전류(iFire)를 제한한다. 여기서,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100)의 전류 제한 동작은 제3 스위치(SW3)가 오프(OFF)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장저항(RFire)은 부하저항(RLoad)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저항값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부하저항(RLoad)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큰 고장전류(iFire)가 고장저항(RFire)에 발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권선측 비절연을 갖는 자속결합형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권선측 비절연을 갖는 자속결합형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100)는, 철심(Iron core)(110), 1차 권선(N1), 2차 권선(N2), 3차 권선(N3), 제1 초전도 소자(120) 및 제2 초전도 소자(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철심(110)은 사각형의 중공이 형성된 사각통 형태를 가지며, 사각형의 대향하는 변에 상응하는 부분에, 1차 권선(N1), 2차 권선(N2) 및 3차 권선(N3)이 결선되는 1차 권선부(111) 및 2차 권선부(112)가 형성된다.
즉, 1차 권선부(111) 및 2차 권선부(112)는 철심(110)에서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1차 권선부(111)에는 1차 권선(N1)이 결선되고, 2차 권선부(112)에는 2차 권선(N2) 및 3차 권선(N3)이 결선된다.
여기서, 2차 권선(N2) 및 3차 권선(N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직렬로 연결되고, 1차 권선(N1)과는 병렬로 연결된다.
그리고, 3차 권선(N3) 및 2차 권선(N2)에는 각각 제1 초전도 소자(120) 및 제2 초전도 소자(130)가 연결된다.
즉, 1차 권선(N1)의 일측과 2차 권선(N2)의 일측이 연결되고, 2차 권선(N2)의 타측과 3차 권선(N3)의 일측이 연결되고, 2차 권선(N2)의 타측 및 3차 권선(N3)의 타측은 1차 권선(N1)의 타측과 연결된다. 이때, 3차 권선(N3)의 타측과 1차 권선(N1)의 타측 사이에는 제1 초전도 소자(120)가 연결되고, 2차 권선(N2)의 타측과 1차 권선(N1)의 타측 사이에는 제2 초전도 소자(130)가 연결된다.
예를 들어, 2차 권선(N2) 및 3차 권선(N3)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권선이 철심(110)의 2차 권선부(112)에 결선된 후, 결선된 권선의 미리 설정된 지점에 제2 초전도 소자(130)를 전선으로 연결하여 2차 권선(N2)과 3차 권선(N3)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권선측 비절연을 갖는 자속결합형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100)는, 1차 권선측이 절연형 권선이고, 2차 권선측이 비절연형 권선이다. 즉, 1차 권선부(111)는 절연형이고, 2차 권선부(112)는 비절연형이다.
제1 초전도 소자(120) 및 제2 초전도 소자(130)는 고장전류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한하고자 하는 전류 크기에 대응하는 임계치를 갖는다.
즉, 고장전류를 제한하는데 있어서, 제1 초전도 소자(120)의 임계치와 제2 초전도 소자(130)의 임계치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초전도 소자(120)가 제2 초전도 소자(130)보다 낮은 임계치를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1 초전도 소자(120)가 제2 초전도 소자(130)보다 낮은 임계치를 갖는 경우, 고장전류가 발생 시 제1 초전도 소자(120)가 제2 초전도 소자(130)보다 먼저 반응하여 저항을 발생시켜 고장전류를 제한한다. 이후, 고장전류의 크기가 증가하여 제2 초전도 소자(130)의 임계치를 초과하면 제2 초전도 소자(130)도 저항을 발생시켜 고장전류를 제한한다. 다만, 고장전류의 크기가 제2 초전도 소자(130)의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제2 초전도 소자(130)에는 저항이 발생되지 않으며, 제1 초전도 소자(120)가 발생시킨 저항만으로, 고장전류가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제1 초전도 소자(120)는 3차 권선(N3)과 직렬 연결되고, 제2 초전도 소자(130)는 2차 권선(N2)과 직렬 연결된다. 여기서, 2차 권선(N2) 및 3차 권선(N3)에는 각각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권선(N1)에 흐르는 전류(i1)에 의하여 isc2 및 isc1의 전류가 흐른다.
예를 들어, 제1 초전도 소자(120)가 제2 초전도 소자(130)보다 낮은 임계치를 갖는 경우, 3차 권선(N3)에 흐르는 전류(isc1)의 크기가 제1 초전도 소자(120)의 임계치를 초과함에 따라 제1 초전도 소자(120)에 저항(Rsc1)이 발생하여 이에 따른 전압(Vsc1)이 발생한다. 다음으로, 2차 권선(N2)에 흐르는 전류(isc2)의 크기가 제2 초전도 소자(130)의 임계치를 초과함에 따라 제2 초전도 소자(130)에 저항(Rsc2)이 발생하여 이에 따른 전압(Vsc2)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고장전류가 제한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권선측 비절연을 갖는 자속결합형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의 동작에 따른 전압 및 전류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 3은 가극 결선의 경우에 고장전류가 발생했을 때의 전압 및 전류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감극 결선의 경우에 고장전류가 발생했을 때의 전압 및 전류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3차 권선(N3)에 흐르는 전류(isc1)의 크기가 제1 초전도 소자(120)의 임계치를 초과함에 따라 제1 초전도 소자(120)에 저항(Rsc1)이 발생하여 이에 따른 전압(Vsc1)이 발생하고, 2차 권선(N2)에 흐르는 전류(isc2)의 크기가 제2 초전도 소자(130)의 임계치를 초과함에 따라 제2 초전도 소자(130)에 저항(Rsc2)이 발생하여 이에 따른 전압(Vsc2)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 고장전류가 제한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
110: 철심(Iron core)
111: 1차 권선부
112: 2차 권선부
120: 제1 초전도 소자
130: 제2 초전도 소자

Claims (6)

  1. 대향하는 1차 권선부 및 2차 권선부가 형성되는 철심(Iron core);
    상기 1차 권선부에 결선되는 1차 권선;
    상기 2차 권선부에 결선되는 2차 권선 및 3차 권선;
    상기 3차 권선에 연결되는 제1 초전도 소자; 및
    상기 2차 권선에 연결되는 제2 초전도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2차 권선과 상기 3차 권선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직렬로 연결된 2차 권선 및 3차 권선은, 상기 1차 권선과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권선측 비절연을 갖는 자속결합형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심은 사각형의 중공이 형성된 사각통 형태를 가지며, 상기 사각형의 대향하는 변에 상응하는 부분에 상기 1차 권선부 및 상기 2차 권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권선측 비절연을 갖는 자속결합형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 권선에 흐르는 제1 전류의 크기가 상기 제1 초전도 소자의 임계치를 초과함에 따라 상기 제1 초전도 소자에 발생하는 제1 저항에 의하여 제1 전압이 발생하여, 고장전류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권선측 비절연을 갖는 자속결합형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권선에 흐르는 제2 전류의 크기가 상기 제2 초전도 소자의 임계치를 초과함에 따라 상기 제2 초전도 소자에 발생하는 제2 저항에 의하여 제2 전압이 발생하여, 고장전류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권선측 비절연을 갖는 자속결합형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초전도 소자가 상기 제2 초전도 소자보다 낮은 임계치를 가지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권선측 비절연을 갖는 자속결합형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권선부는 절연형이고, 상기 2차 권선부는 비절연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권선측 비절연을 갖는 자속결합형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





KR1020200029494A 2020-03-10 2020-03-10 2차 권선측 비절연을 갖는 자속결합형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 KR102358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494A KR102358560B1 (ko) 2020-03-10 2020-03-10 2차 권선측 비절연을 갖는 자속결합형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494A KR102358560B1 (ko) 2020-03-10 2020-03-10 2차 권선측 비절연을 갖는 자속결합형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172A true KR20210114172A (ko) 2021-09-23
KR102358560B1 KR102358560B1 (ko) 2022-02-04

Family

ID=77926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494A KR102358560B1 (ko) 2020-03-10 2020-03-10 2차 권선측 비절연을 갖는 자속결합형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56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2644A (en) * 1997-11-20 1999-04-06 The University Of Chicago Passive fault current limiting device
KR20110002749A (ko) 2009-07-02 2011-01-10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두 코일의 자기결합을 가진 초전도 전류제한기의 초전도체의 트리거를 이용한 회복특성 향상 방법
KR101785838B1 (ko) * 2016-04-12 2017-10-1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두 개의 동작전류 조절이 가능한 비절연 이차권선을 갖는 변압기형 초전도 한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2644A (en) * 1997-11-20 1999-04-06 The University Of Chicago Passive fault current limiting device
KR20110002749A (ko) 2009-07-02 2011-01-10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두 코일의 자기결합을 가진 초전도 전류제한기의 초전도체의 트리거를 이용한 회복특성 향상 방법
KR101785838B1 (ko) * 2016-04-12 2017-10-1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두 개의 동작전류 조절이 가능한 비절연 이차권선을 갖는 변압기형 초전도 한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8560B1 (ko) 2022-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0647B2 (en) Fault current limiter
US10424918B2 (en) Fault current limiter
US10651646B2 (en) Fault current limiter
KR101490420B1 (ko) 2개의 초전도 소자를 사용하여 피크전류를 제한하는 자속구속형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
JP2012505634A (ja) 超電導限流器
KR102289336B1 (ko) 이중 철심을 이용한 변압기형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
JP2006295994A (ja) 故障電流限流器及びそれを用いた電力システム
US10218170B2 (en) Current-limiting device utilizing a superconductor for a current-limiting operation
KR102358560B1 (ko) 2차 권선측 비절연을 갖는 자속결합형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
KR101159460B1 (ko) 피크전류 제한 기능을 가지는 자기결합을 이용한 초전도 한류기
KR102264598B1 (ko) 두 트리거 전류제한 레벨을 갖는 자속결합형 초전도 고장전류 제한기
CN111628475A (zh) 一种基于耦合电感的固态直流断路器
Naghibi et al. Interline bridge‐type fault current limiter: a novel approach for limiting fault current in distribution network
CN110649583A (zh) 一种基于磁耦合增强特性的阻感型直流限流装置及方法
KR20180099431A (ko) 교류 및 직류용 이중 ?치 한류 장치
Zheng et al. An Ultralow-Loss Fault-Current-Limiting Z-Source LVDC Circuit Breaker Using Cryogenic Power Electronics
CN216162403U (zh) 一种有源调压器的故障穿越电路
JP3399905B2 (ja) 三相限流装置
CN113394741B (zh) 一种多电飞机直流供电系统保护方法
JP2792182B2 (ja) 過電流限流装置
JP6077247B2 (ja) 静止形高圧自動電圧調整器
CN217984509U (zh) 变压器保护电路以及多路输出反激电路
KR102414095B1 (ko) 비정상 접속시 차단 기능을 갖는 3상 4선식 스마트 누전 차단기 및 이를 포함하는 분배전반
Reddy et al. Resistive superconducting fault current limiter-integrated bidirectional hybrid DC circuit breaker for HVDC systems
Axente et al. Protection of DVR against short circuit faults at the load s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