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3824A -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의 활성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분 장애의 예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의 활성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분 장애의 예방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3824A
KR20210113824A KR1020200029055A KR20200029055A KR20210113824A KR 20210113824 A KR20210113824 A KR 20210113824A KR 1020200029055 A KR1020200029055 A KR 1020200029055A KR 20200029055 A KR20200029055 A KR 20200029055A KR 20210113824 A KR20210113824 A KR 20210113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damgo
disorder
depression
opioid recep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혜
박호용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29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3824A/ko
Publication of KR20210113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38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5Amines having aromatic rings, e.g. ketamine, nortripty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61K31/4468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having a nitrogen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e.g. clebopride, fentany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85Morphinan derivatives, e.g. morphine, code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705Assays involving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Toxi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ll B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sychiatr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분 장애(mood disorder)의 예방용 조성물 및 이의 스크리닝 방법; 그리고 대상체의 측유상핵(the lateral habenula) 뉴런의 시냅스 전송(synaptic transmission)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측유상핵(LHb)에서의 시냅스 기능이상을 수반하는 다양한 기분 장애의 발생을 스트레스 노출 전에 사전 차단하는 효율적인 항-우울 예방제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의 활성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분 장애의 예방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Preventing Mood Disorders Comprising a Mu Opioid Receptor Agonist as an Active Ingredients}
본 발명은 대상체가 스트레스에 노출되기 전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μ Opioid receptor)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대상체에서의 스트레스-유도된 우울 증상의 발생을 차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적절한 생리학적 반응은 개체의 생존에 있어 중요하다. 몇몇 형태의 신경조절인자는 스트레스 반응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에 내인성 오피오이드(opioid) 시스템은 감정 변화, 스트레스 적응 및 내분비 조절에 관여하며1-8,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반응을 촉진한다2,9,10. 스트레스 인자에 노출되면 엔케팔린(ENK)과 같은 내인성 오피오이드 펩타이드의 활성이 증가한다9,10. 스트레스 요인 또는 스트레스 호르몬에 노출되면 방실(paraventricular) 시상하부핵 및 전뇌의 ENK 및 pro-ENK(ENK의 전구체) mRNA 수준이 증가한다2.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오피오이드 시스템의 저해는 주요우울장애(MDD) 및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와 같은 정신과적 질환을 유발한다6,7,11. 임상시험에서, MDD를 가진 환자는 오피오이드 수용체의 결합 능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7, 전임상 연구에서는 취약성 동물의 기저측 편도체(basolateral amygdala), 선조체(striatum) 및 중격측좌핵(nucleus accumbens)에서 내인성 오피오이드 mRNA가 회복력이 우수한 동물 및 대조군 동물에 비해 감소한다고 보고되었다9. 뿐만 아니라, 외인성 오피오이드 시스템의 조정은 항우울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β-엔돌핀과 같은 오피오이드를 투여하면 우울증을 겪는 환자에게 항우울 효과가 나타난다12. 또 다른 임상 연구에 따르면 중증 우울증 환자에 대해 전기충격을 가하면 우울증 증상이 회복되는 동시에 혈장의 β-엔돌핀 수준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3.
기분장애(mood disorder)를 가지는 환자의 몇몇 뇌 영역에서 시냅스 변형이 관찰되었으며, 두드러진 영역 중 하나가 측유상핵(lateral habenula, LHb)이다. 몇몇 연구는 우울증 동물모델에서 LHb 뉴런이 과다활성을 가진다고 보고하였다14-17. 우울증 유사 동물모델에서의 LHb의 시냅스 강화와 관련한 시냅스전(presynaptic) 특성은 아직 알려져있지 않다. μ형 오피오이드 수용체(μOR)는 유상핵 복합체에서 고발현된다18. 시냅스전 LHb에서의 μOR 활성화는 LHb 뉴런으로의 글루타메이트 분비를 억제한다19. 그러나, 스트레스 노출 후 LHb에서의 μOR 기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특허문헌 1. 국제공제공보 제WO/2018/188643호
본 발명자들은 대상체의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을 개선시킴으로써 스트레스에 노출되더라도 기분 장애 및 우울 증상의 발생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효율적인 항-기분 장애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μ Opioid receptor)의 활성화제를 대상체에 투여할 경우, 투여 이후의 스트레스 노출 시 대상체 내 측유상핵(LHb) 뉴런의 작동률을 저하되면서 스트레스 민감성이 유의하게 감소하고, 우울증 행동이 현저히 개선됨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분 장애(mood disorder)의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상체의 측유상핵(the lateral habenula) 뉴런의 시냅스 전송(synaptic transmission)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분장애(mood disorder)의 예방용 조성물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μ Opioid receptor)의 활성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분 장애(mood disorder)의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대상체의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을 개선시킴으로써 스트레스에 노출되더라도 기분 장애 및 우울 증상의 발생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효율적인 항-기분 장애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μ Opioid receptor)의 활성화제를 대상체에 투여할 경우, 투여 이후의 스트레스 노출 시 대상체 내 측유상핵(LHb) 뉴런의 작동률을 저하되면서 스트레스 민감성이 유의하게 감소하고, 우울증 행동이 현저히 개선됨을 발견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예방”은 질환 또는 장애를 보유하고 있다고 진단된 적은 없으나, 이러한 질환 또는 장애에 걸릴 가능성이 있는 대상체에서 질환 또는 장애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예방용 조성물”아직 기분 장애로 확진되지 않은 정상인에게 예방적 유효량으로 투여되었을 때 향후 기분 장애 요인(예를 들어 스트레스)에 노출되어도 기분 장애의 발생을 유의하게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자들은 종래에 스트레스 적응 및 내분비 조절에 관여할 것이라고 막연하게 제안되었던 뮤 오피오이드 시스템이, 실제로는 스트레스 노출 전에 활성화되어야만 스트레스-유도된 우울증 유사 행동 및 LHb에서의 시냅스 기능이상이 방지되며, 스트레스 노출 후에 활성화될 경우에는 이러한 항-우울 작용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새로이 발견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 활성화제는 이미 발생한 질환 또는 증상의 발전의 억제, 증상의 경감 또는 제거가 아닌, 질환의 예방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뮤 오피오이드 수용체의 활성화제”는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의 발현량 또는 활성을 증진시키는 유효성분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당업계에 이미 그 서열 및 구조가 공지된 단백질인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의 발현을 유전자 또는 단백질 수준에서 증진시키거나 고유의 생물학적 활성 또는 리간드와의 결합 친화도 등을 증진시키는 핵산분자, 펩타이드, 단백질, 화합물 및 천연물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뮤 오피오이드 수용체의 활성화제(activator)”는“뮤 오피오니드 작용제(agonist)”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의 활성화제는 DAMGO([3H]-[D-Ala2, N-Me-Phe4, Gly5-ol]-엔케팔린), NFEPP((±)-N-(3-플루오로-1-펜에틸피페리딘-4-일)-N-페닐프로피온아마이드), DADLE(([D-Ala2, D-Leu5]-엔케팔린), DSLET([D-Ser2, Leu5, Thr6]-엔케팔린) DPDPE([D-Pen2, D-Pen5]-엔케팔린), TRIMU-5, 펜타닐(N-페닐-N-[1-(2-페닐에틸)피페리딘-4-일]프로판아마이드), 옥시코돈 베타 엔돌핀, 트라마돌(Tramadol)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무기산, 유기산, 또는 염기로부터 유도된 염을 포함한다. 적합한 산의 예로는 염산, 브롬산, 황산, 질산, 과염소산, 푸마르산, 말레산, 인산, 글리콜산, 락트산, 살리실산, 숙신산, 톨루엔-p-설폰산, 타르타르산, 아세트산, 트리플루로초산, 시트르산, 메탄설폰산, 포름산, 벤조산, 말론산, 나프탈렌-2-설폰산, 벤젠설폰산 등을 들 수 있다. 적합한 염기로부터 유도된 염은 나트륨 등의 알칼리 금속,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 토금속, 및 암모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나트륨염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로 예방되는 기분 장애는 비정형 우울증(Atypical depression) 멜랑콜리형 우울증(Melancholic depression), 정신병적 주요 우울증(Psychotic major depression), 긴장형 우울증(Catatonic depression), 산후 우울증(Postpartum depression), 월경전불쾌감장애(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감정부전장애(Dysthymic disorder), 수면장애(sleep disorder) 및 불안장애(anxiety disorder)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측유상핵(the lateral habenula) 뉴런의 시냅스 전송(synaptic transmission)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대상체의 스트레스 노출 전에 투여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스트레스”는 대상체가 적응하기 어려운 환경에 처할 때 느끼는 심리적 및 신체적 긴장 상태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기분 장애 발생의 직, 간접적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모든 생물학적, 비생물학적 스트레스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스트레스에 이미 노출된 후가 아닌, 노출 전에 예방적으로 투여되어 기분 장애의 발생을 사전에 차단하는 작용을 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대상체”제한없이 인간, 마우스, 래트, 기니아 피그, 개, 고양이, 말, 소, 돼지, 원숭이, 침팬지, 비비 또는 붉은털 원숭이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는 인간이다. 본 발명의 대상체는 기분 장애 환자이면서 아직 스트레스에 노출되지 않은 환자일 수도 있고, 혹은 기분 장애로 확진되지도 않고 스트레스에 노출되지도 않은 정상개체(healthy subject)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투여”또는“투여하다”는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의 활성화제를 치료적 유효량으로 대상체에 직접적으로 투여함으로써 대상체의 체내에서 동일한 양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경구, 정맥, 피하, 복강 또는 뇌실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 ㎎/kg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대상체가 스트레스에 노출되기 전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μ Opioid receptor)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체의 측유상핵(the lateral habenula) 뉴런의 시냅스 전송(synaptic transmission)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대상체에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의 활성화제를 투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의 활성화제에 대해서는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과도한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기분 장애(mood disorder)의 예방용 조성물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a)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μ Opioid receptor)를 발현하는 세포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시료에 시험물질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의 발현 또는 활성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의 발현 또는 활성이 증가한 경우, 상기 시험물질은 기분 장애(mood disorder)의 예방용 조성물로 판정한다.
본 발명에서 예방하고자 하는 기분 장애 및 예방의 의미에 대해서는 이미 방상술하였으므로 과도한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생물학적 시료”는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로부터 얻어지는,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를 포함하고 있는 모든 시료로서, 조직, 기관, 세포 또는 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생물학적 시료는 중추신경계 조직으로부터 유래한 세포 또는 세포 배양액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을 언급하면서 사용되는 용어“시험물질”은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를 포함하는 시료에 첨가되어 이의 활성 또는 발현량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하여 스크리닝에서 이용되는 미지의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시험물질은 화합물, 뉴클레오타이드, 펩타이드 및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물질을 처리한 생물학적 시료에서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의 발현량 또는 활성을 측정하는 단계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발현량 및 활성 측정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측정 결과,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의 발현량 또는 활성이 증가한 경우 상기 시험물질은 타목시펜 보조제 조성물로 판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발현의 증가”는 대상체 내에서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에 의해 LHb에서의 시냅스 기능 이상이 유의하게 개선될 정도로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의 발현량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대조군에 비하여 발현량이 20% 이상 증가한 상태, 보다 구체적으로는 30% 이상 증가한 상태, 더욱 구체적으로는 40% 이상 증가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활성의 증가”란 대조군에 비하여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의 생체내 고유한 기능이 측정 가능할 정도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을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스트레스-유도된 우울증 증상의 개선 및 회복에 이를 정도로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의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말한다. 활성(activity)의 증가는 단순한 기능(function)의 증가 뿐 아니라 안정성(stability)의 증가로 기인한 궁극적인 활성 증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기분 장애(mood disorder)의 예방용 조성물 및 이의 스크리닝 방법; 그리고 대상체의 측유상핵(the lateral habenula) 뉴런의 시냅스 전송(synaptic transmission)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b) 본 발명은 측유상핵(LHb)에서의 시냅스 기능이상을 수반하는 다양한 기분 장애의 발생을 스트레스 노출 전에 사전 차단하는 효율적인 항-우울 예방제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μOR 활성화가 LHb 뉴런의 시냅스 전송을 감소시킴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1a는 DAMGO 투여 전후로 축소 흥분 시냅스 전류(mEPSC)의 주파수 및 진폭을 보여주는 막대그래프이다. mEPSC 주파수는 DAMGO 처리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1 mM; n=34, p<0.01), mEPSC 진폭은 DAMGO 처리에 의해 변화하지 않았다(n = 34, p > 0.7). 도 1b는 DAMGO 처리 전후의 축소 억제성 시냅스 전류(mIPSC) 주파수 및 진폭을 보여주는 막대그래프이다. DAMGO 처리 후 mIPSC의 주파수는 감소하였으나, 진폭은 변하지 않았다(주파수는 n=12, p<0.05, 진폭은 p>0.5). representative traces의 스케일바: 20 ms 및 50 pA. 도 1c는 LHb 뉴런의 자발적인 시냅스 전송에 DAMGO가 미치는 영향을 요약한 그림이다. 흥분 및 억제성의 자발적 시냅스 전송 주파수는 감소하였다. 도 1d는 CTOP(μOR 길항제; 1 mM)의 존재 하에서 DAMGO 처리 전후로 정상 동물의 LHb 뉴런에서의 mEPSC 주파수 및 진폭을 보여주는 막대그래프이다. DAMGO 처리 후 mEPSC 주파수 및 진폭의 차이는 없었다 (n = 6, p > 0.2). representative traces의 스케일바: 20 ms 및 50 pA. 도 1e는 정규화된 유발된 흥분 시냅스후 전류(eEPSC)의 진폭이 기저선 5분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함을 보여주는 그림이다(n = 20, p < 0.001). 도 1f는 정상 동물의 LHb 뉴런의 정규화된 eEPSC의 폭이 CTOP 존재 하에 DAMGO 처리 후 기저선 5분에 비해 변화하지 않음을 보여준다(n=5, p>0.5). 도 1g는 정규화된 유발된 억제성 시냅스후 전류(eIPSC)의 진폭이 DAMGO 처리 후 기저선 5분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함을 나타낸다(n=17, p<0.001). 도 1h는 LHb 뉴런의 작동률(Firing rate)이 DAMGO 처리 후 유의하게 감소함으로 나타낸다(n=23, p<0.001). representative traces의 부동 시간: 1초.
도 2는 μOR가 급성의 학습된 무기력(acute learned helplessness, aLH)이 가해진 동물의 LHb에서 대조군과 구별되는 작용을 함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2a는 aLH 동물에서 DAMGO 처리 전후로 LHb 뉴런에서의 mEPSC 주파수와 진폭을 보여주는 막대그래프이다(n = 16, p < 0.01). representative traces의 스케일바: 20 ms 및 50 pA. 도 2b는 aLH 동물의 mEPSC 주파수 및 진폭의 배수 변화를 보여주는 그림으로, DAMGO 처리 후 유의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다(n = 16, p < 0.01). 도 2c는 aLH 동물에서 LHb 뉴런의 정규화된 eEPSC 진폭을 보여주는 그림으로, 5분 기저선과 비교하였을 때 DAMGO 처리 후 유의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다(n = 16, p < 0.01). 도 2d는 eIPSC의 진폭 역시 5분 기저선과 비교하였을 때 DAMGO 처리 후 유의하게 감소함을 보여주는 그림이다(n = 8, p < 0.05). 도 2e는 aLH 동물에서 LHb 뉴런의 작동률이 DAMGO 처리 후에서 유의하게 변하지 않음을 보여주는 그림이다(n = 15, p > 0.18). representative traces의 스케일바: 1초.
도 3은 LHb에서의 μOR 활성화에 의한 시냅스전 방출 확률의 변화가 aLH에서 관찰되지 않으나, 뉴런의 흥분성은 감소함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3a는 DAMGO 처리 후 LHb 뉴런의 쌍-펄스 비율(PPR)의 변화를 보여주는 막대 그래프이다. PPR은 DAMGO 처리 후 흥분성 및 억제성 시냅스 전송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eEPSC PPR: n = 17, p < 0.05; eIPSC PPR: n = 6, p > 0.3]. eEPSC의 PPR은 CTOP 존재 하에서는 DAMGO 처리 후에도 기저선 5분과 비교하여 변화하지 않았다(n = 5, p > 0.5). 도 3b는 aLH 동물의 LHb 뉴런에서의 두 형태의 유발된 시냅스 전송 모두에서 PPR이 DAMGO 처리 후에도 변화하지 않음을 보여준다(eEPSC PPR: n = 16, p > 0.08; eIPSC PPR: n = 8, p > 0.1). representative traces의 스케일바: 20 ms 및 100 pA. 도 3c는 LHb 뉴런의 휴지 막전위가 정상 동물과 aLH 동물 간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는 그림이다[Na
Figure pat00001
ve (-) vs. aLH (-); n = 10, 10; p < 0.05]. DAMGO 처리는 양 그룹 모두에서 LHb 뉴런의 휴지 막전위를 현저히 과분극화하였다[양 그룹에서 (-) vs. (+); n = 10, 10, p < 0.001]. 도 3d는 전류 주입 동안 활동 전위의 수가 DAMGO 처리 후 aLH 동물의 LHb 뉴런에서만 유의하게 감소함을 보여주는 그림이다(n = 10, 100 pA 전류 주입 후 p < 0.05). representative traces의 스케일바: 100 ms 및 5 mV.
도 4는 eCB가 μOR 활성화-유도된 LHb 시냅스 전송의 감소를 매개함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4a는 GDP-bS-함유 내부 용액(n = 7, p > 0.4)을 사용할 경우 DAMGO 투여 후에도 LHb 뉴런의 정규화된 eEPSC의 폭이 감소하지 않음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4b는 GDP-bS-함유 내부 용액을 사용할 경우 DAMGO 처리 후에도 PPR이 증가하지 않음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n = 7, p < 0.7). 도 4c는 THL(tetrahydrolipstatin) 전배양(pre-incubation) 후 DAMGO-유도된 LHb 뉴런의 eEPSC 폭 감소가 완전히 차단됨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4d는 THL 전배양된 LHb 뉴런의 PPR이 DAMGO 처리 후 증가하지 않음을 보여주는 그림이다(n=5, p>0.7). 도 4e는 AM251의 존재 하에서는 DAMGO 처리 후에도 LHb 뉴런의 정규화된 eEPSC의 폭이 변화하지 않음을 보여주는 그림이다(n=7, p>0.7). 도 4f는 AM251의 존재 하에서는 DAMGO 처리 후에도 LHb 뉴런의 PPR이 변화하지 않음을 보여주는 그림이다(n=7, p>0.8). representative traces의 스케일바: 20 ms 및 100 pA.
도 5는 스트레스 인자에 노출되기 전에 μOR를 억제할 경우 우울증 행동이 개선됨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5a는 스트레스 요인에 노출된 후의 DAMGO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행동 검사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5b는 캐뉼러 이식 부위의 대표적인 이미지를 보여준다. 도 5c는 DAMGO- 및 식염수-주입 동물 간에 강제수영 시험 동안 부동(부동) 시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보여주는 그림이다(각 그룹의 N = 10; 1일째: p > 0.2, 2일째: p > 0.6). 도 5d는 능동 회피 시험에서 DAMGO- 및 식염수-주입 동물 간 충격 챔버 탈출의 소요시간 및 실패율에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보여주는 그림이다(각 그룹의 N = 10, 소요시간: p < 0.7, 실패율: p > 0.8). 도 5e는 운동 활성(Locomotor 활성) DAMGO 주입에 의해 변동되지 않음을 보여주는 그림이다(각 그룹의 N = 10, p < 0.08). 도 5f는 스트레스 요인에 노출 전 DAMGO에 의한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행동 검사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5g는 강제수영 시험에서 2일째의 부동 시간이 DAMGO-주입 동물에서 유의하게 감소함을 보여준다(DAMGO 군: N = 18, 식염수 군: N = 19, p < 0.05). 도 5h는 DAMGO-주입 동물에서 능동 회피시험의 탈출소요시간 및 실패율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음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실패율의 분포는 DAMGO-주입 동물이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회복력이 있음을 보여준다(DAMGO 군: N = 18, 식염수 군: N = 19, 소요시간: p<0.05, 실패율: p<0.01; 콜모고로프-스미르노프(Kolmogorov-Smirnov) 검정: p<0.01). 도 5i는 DAMGO- 및 식염수-주입 동물 간 운동 활성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보여주는 그림이다(p > 0.4).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험방법
실험 동물
6 - 7주령의 수컷 스프라규-다우리 랫트(Orient Bio, a branch of Charles River, Korea)를 전기생리학적 기록 및 행동 시험에 사용하였다. 동물들을 음식에 무제한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면서 기후 및 광 조절 환경에서 집단 사육하였다(22±1℃, 습도 45%, 12:12시간 광/암 주기). 모든 동물 실험은 실험동물 관리 및 이용에 관한 NIH(National Institutes Health) 가이드라인의 권장 사항을 엄격히 준수하면서 수행되었다. 동물실험 프로토콜은 건국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Seoul, Korea)의 승인을 받았다.
정위 수술(Stereotaxic surgery)
동물을 이소플루란으로 마취한 후, 약물을 LHb에 표적화 주입하기 위해 양측 플라스틱 가이드 캐뉼러(Protech, USA)를 LHb의 후면에 삽입하였다(A/P, -3.48 mm; M/L, ± 1.0 mm; D/V, -4.2 mm). 가이드 캐뉼러는 치과용 시멘트(Poly F, DENTSPLY, USA)를 이용하여 고정하였다. 수술 후, 랫트를 단독 사육하고 10일간 회복시켰다. 회복기간 동안 가이드 캐뉼러가 막히지 않도록 더미(Dummy) 캐뉼러를 가이드 튜브에 삽입하였다.
행동 관찰
스트레스 노출
랫트에 행동 검사, 면역형광 측정 또는 전기생리학적 측정을 위한 조직 절편 제작 24시간 전에 급성의 학습된 무기력(acute learned 무력감, aLH) 스트레스를 가하였다. aLH 모델 구축을 위해, 동물들을 그리드 바닥(너비 24cm, 깊이 22cm, 높이 22cm)을 포함하는 회피불가(inescapable) 발-충격 챔버에 넣고 발에 정밀 조절 충격기(Coulbourn Instruments, USA)로 예측 불가한 전기충격을 가하였다(120회, 6-16초의 무작위 간격, 0.8 mA, 각 충격은 10초간 부과)
약물 주입
시린지 펌프를 이용하여, aLH 패러다임에 노출하거나 각 행동 실험을 시작하기 15분 전에 높은 선택성의 μOR 아고니스트인 [D-Ala2, N-MePhe4, Gly-ol]-엔케팔린(DAMGO; 1 mg/mL) 및 식염수를 LHb에 주입하였다. 약물은 이식된 가이드 캐뉼러에 삽입될 수 있는 양측 내부 캐뉼러를 통해 전달되었으며, 가이드 캐뉼러 너머 0.3 mm가 연장되었다. 약물 부피는 반구당 0.5 mL가 0.1 mL/min의 유속으로 전달되었다.
강제수영시험(FST).
동물들을 26±1℃ 물을 35cm 높이까지 채워넣은 실린더형 수조(직경 24cm x 높이 50cm)에 넣고, 15분간 강제로 수영하도록 하였다. 15분 뒤, 동물들을 꺼내어 타월로 건조시키고 다음날도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였다. 수조 옆에서 비디오 카메라로 진행과정을 촬영하였으며, FST의 마지막 5분 이상의 부동 시간을 기록하였다
능동 회피 시험 (AAT).
랫트를 챔버(그리드 바닥 및 챔버 사이의 문을 포함하는 2-챔버 AAT 장치, 너비 24cm x 깊이 22cm x 높이 22cm)의 한쪽 편에 넣었다. 5분간 오르내리고 돌아다닐 수 있도록 한 뒤 큐 신호에 따라 그리드 바닥을 통해 30회의 전기 발-쇼크(12-36-s time interval, 0.8 mA, 10 s for each shock)를 가하였다(각 큐 신호당 5 kHz, 75 dB, 2초). 동물들이 다른 챔버로 이동하여 충격을 회피하는 경우, 발-충격 부하는 중단되고 다음 실험을 개시하였다. 30회 이상의 AAT에 대해 탈출 소요시간 및 탈출에 실패한 비율을 분석 소프트웨어(B.S Technolab INC. Kore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개방장 실험(Open field test, OFT)
OFT를 위해 아크릴 챔버(너비 80cm x 깊이 80cm x 높이 43cm)를 사용하였다. 랫트를 벽의 한쪽에 위치시키고 움직임을 챔버 상부의 비디오 카메라로 10분 간 기록하였다. 필드를 9개의 구획으로 나누고 OFT의 마지막 5분 동안 실험동물의 이동 거리 및 중심에서 머무른 시간을 측정하였다. OFT 분석기(version.1.10, offered from Daniel Johnston's Lab.)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절편 제작 및 전기생리학 분석
실험동물들을 이소플루란으로 마취하고 뇌를 추출하여 212 mM 수크로오스, 3 mM KCl, 26 mM NaHCO3, 1.25 mM NaH2PO4, 7 mM MgCl2 및 10 mM 글루코스를 포함하는 얼음으로 냉각된 절개 완충액에 보관하고, 95% O2 및 5% CO2를 가하였다. vibratome(Leica VT 1000S)을 이용하여 LHb를 포함하는 관상 뇌 절편(두께 350mm)을 제작하였다. 뇌 절편을 인공 뇌척수액(aCSF) 및 118 mM NaCl, 2.5 mM KCl, 11 mM glucose, 1 mM NaH2PO4 및 26.2 mM NaHCO3를 포함하는 회복 챔버로 옮기고, 35 ℃에서 95% O2 및 5% CO2를 1시간 동안 가하고 상온에서 보관하였다.
LHb 뉴런이 다양한 소구역(subregion) 내에서 무작위적으로 기록되었으나, 주로 μOR가 고발현되는 LHb의 중앙 부위가 기록에 사용되었다18,20. LHb 뉴런 활성은 덥혀진 aCSF에서 Axopatch 200B 및 Clampex 10.3 (Molecular Devices), 또는 WinLTP(Synaptic Electrophysiology Software)를 이용하여 2 kHz에서 필터링하고 축소(miniature) 시냅스 전송은 40 kHz에서, 유발된 시냅스 전송은 20 kHz에서 샘플링하여 기록하였다. 2-6 MΩ의 저항을 가지는 유리 피펫에 115 mM Cs-메탄설포네이트, 20 mM CsCl, 10 mM HEPES, 2.5 mM MgCl2, 0.6 mM EGTA, 5 mM QX314, 4 mM Na2-ATP, 0.4 mM Na2-GTP 및 10 mM Na-포스포크레아틴(pH 7.3)을 포함하는 내부 용액을 채워 전압 고정(voltage-clamp) 분석을 수행하였다. G-단백질 결합 수용체 신호경로를 억제하기 위해, Na2-GTP를 동일한 농도의 Na2-GDP-bS로 대체하였다. 유발된 전송을 기록하기 위해 백금/이리듐 클러스터 전극을 이용하여 종말줄(stria medullaris, LHb의 축색돌기 입력 영역)을 자극함으로써 유발된 흥분 시냅스후(postsynaptic) 전류(eEPSCs) 및 억제성 시냅스후 전류(eIPSCs)를 유도하였다. eEPSC를 50 mM PTX-함유 aCSF로 -60 mV의 유지전위(holding potential)에서 기록하고, eIPSC는 10 mM CNQX 및 50 mM AP5를 함유하는 aCSF로 0 mV의 유지전위(holding potential)에서 기록하였다. 축소 기록을 위하여, 1 mM TTX를 aCSF에 첨가하였다. 전류 고정 기록을 위해, 유리 피펫에 30 mM K-글루코네이트, 10 mM HEPES, 0.6 mM EGTA, 5 mM KCl 및 2.5 mM Mg-ATP(pH 7.3)를 포함하는 내부 용액을 채워 넣었다. 0 pA의 유지전류(holding current)에서 휴지 막전위를 측정하였다. 단계적 주입 전류(0-180 pA, 20 pA/step)를 이용하여 활동 전위 작동률(Firing rate)을 측정하였다. 염과 약물은 Sigma-Aldrich에서 구입하되, AM251, AP5, CNQX 및 DAMGO는 Tocris Biosciences에서 구입하였다.
조직학적 평가
이식된 캐뉼러 부위의 위치를 정하기 위해, 모든 랫트에 를 마취하고 종래에 보고된 방법에 따라 PBS 및 PFA를 심장에 관류시키고 PFA로 고정하였다21. 마이크로톰(Spencer Lens Co.)을 이용하여 관상 단면(60μm)을 제작하고 코팅된 유리 슬라이드에 마운팅하였다. 해부학적 구조의 동정을 위해 티오닌 염색을 사용하였다. 건조된 단면을 90%, 70%, 50% 에탄올 및 증류수의 각 용액 당 3분간 담그고 3- 5분 간 1% 티오닌(Fisher Scientific) 용액으로 염색하였다. 염색된 뇌 단면을 70%, 90% 및 100% 에탄올과 에탄올 및 자일렌(1:1) 혼합용액에서 각 3분씩 탈수시키고, Permount 톨루엔 용액(Fisher Scientific)과 함께 커버 슬립을 덮었다.
데이터 분석
데이터는 Clampfit 10.3 (Molecular Devices), Mini Analysis 소프트웨러(Synaptosoft) 및 WinLTP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유발된 시냅스 전송은 약물 적용 전 최소 5분 간 평균 피크 진폭에 대해 정규화하였다. 쌍-펄스 비율(PPR)을 2nd 피크 진폭/1st 피크 진폭으로 측정하였다. 각 값들은 평균 ± 표준오차로 나타내었고, n은 세포 수를, N은 실험에 사용된 동물 수를 나타낸다. 통계적 비교를 위해 양측 독립 또는 대응 t-검정, 부트스트랩 분석 및 콜모고로프-스미르노프 검정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μOR 활성화는 LHb 뉴런의 시냅스 전송을 감소시킨다
μOR 활성화는 인 비트로에서 LHb의 출력 활성을 감소시킨다고 보고되었다19. μOR 아고니스트인 DAMGO의 존재 하에(1 mM, 10분) LHb 뉴런으로부터 mEPSC를 기록하였다. 종래 보고된 바와 같이19, DAMGO를 처리하자 mEPSC의 진폭이 아닌 주파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도 1a 및 1c). mEPSC 주파수의 감소가 μOR 활성화에 의한 것인지를 조사하기 위해, μOR 길항제인 D-Phe-Cys-Tyr-D-Trp-Orn-Thr-Pen-Thr-NH2 (CTOP; 1mM)를 DAMGO 처리 전에 기록 챔버에 첨가하였다. CTOP는 DAMGO가 mEPSC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히 차단하였다(도 1d). 나아가, mIPSC의 주파수는 DAMGO 처리시에 감소하였으나, mIPSC 진폭은 변화가 없었다(도 1b 및 1c).
eEPSC 기록 도중 DAMGO를 처리하면 eEPSC 진폭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도 1e). CTOP는 DAMGO-유도된 EPSC 진폭 감소효과를 차단하여(도 1f), μOR 활성화가 실제로 DAMGO-유도된 eEPSC 감소를 매개함으로 보여준다. eIPSC을 LHb 뉴런에서 기록하자, DAMGO 역시 eIPSC의 진폭을 감소시켰다(도 1g). 이러한 관찰은 LHb에서 μOR 활성화가 자발적 시냅스 전송 및 유발된 시냅스 전송 모두를 감소시킴을 말해준다.
DAMGO가 흥분 및 억제성 전송 모두를 감소시켰기 때문에, 본 발명자들은 세포-흡착 기록을 이용하여 DAMGO 처리 후의 자발적인 작동률을 기록하여 LHb에서 μOR 활성화의 종합적인 영향을 결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DAMGO 처리를 처리하자 LHb 뉴런의 작동률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도 1h). 이를 종합하면, μOR 활성화는 LHb에서 흥분 및 억제성 전송 모두를 억제하지만, 이의 전체적인 영향은 LHb뉴런의 작동률을 저하시키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스트레스 노출 후 μOR 활성화는 LHb 뉴런의 시냅스 전송을 감소시킨다.
스트레스 노출이 LHb 시냅스에 대한 DAMGO의 영향을 변화시키는지 조사하기 위해, aLH 패러다임 적용 24시간 뒤에 aLH 동물로부터 LHb를 함유하는 뇌 조직 절편을 제작하였다. DAMGO를 처리하자 LHb 뉴런의 mEPSC 주파수 및 진폭이 감소하였다(도 2a 및 2b). DAMGO 처리 후 mEPSC 진폭의 배수 변화는 정상 및 aLH 동물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반면(n=7-12, p<0.05; 도 1c 및 2b), mEPSC 주파수의 배수 변화는 두 그룹에서 유사하였다(p > 0.7).
aLH 동물에서 eEPSC 진폭은 DAMGO를 처리하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도 2c), 감소의 정도는 정상 동물에 비해 낮았다(n = 16-17, p < 0.05; 도 1e 및 2c). aLH 동물에서 eIPSC 진폭도 DAMGO를 처리하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도 2d), 변화 정도는 각 그룹이 유사하였다(n = 6-8, p > 0.2; 도 1g 및 2d). μOR 활성화는 aLH 동물의 LHb에서 작동률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도 2e). 이를 통해 μOR가 aLH 동물에서 유사한 수준으로 발현되더라도, LHb의 시냅스 전송에서의 μOR 활성화로 인한 효과는 스트레스 노출 후에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정상 및 aLH 동물에서, LHb 뉴런에서의 μOR 활성화는 상이한 세포 신호 경로를 유도한다 .
DAMGO는 정상 동물에서 선택적으로 mEPSC 주파수를 감소시켜(도 1c), 시냅스전 μOR이 DAMGO-유도 시냅스 억제에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aLH 동물의 LHb에서, DAMGO는 주파수 및 진폭 모두를 감소시킨다(도 2b). 스트레스 노출 전후로 μOR의 상이한 작용을 추가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DAMGO를 처리하면서 LHb 뉴런의 eEPSC 및 eIPSC의 PPR를 기록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DAMGO를 처리하자 정상 동물의 eEPSC PPR이 유의하게 감소하나(p < 0.05; 도 3A), CTOP의 존재하에서는 그렇지 않고, eIPSC의 PPR 역시 변화하지 않음을 관찰함으로써 정상 동물에서 DAMGO-유도된 eEPSC 진폭의 감소가 시냅스전 방출 확률(Pr)에 의해 야기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aLH 동물에서 eEPSC 또는 eIPSC의 PPR 모두 DAMGO 처리시 증가하지 않았다(도 3b). 이러한 데이터는 aLH 동물에서 DAMGO-유도된 eEPSC 진폭 감소가 시냅스전 변화를 동반하며, 스트레스 노출 후 다양한 μOR 신호가 발생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시냅스전 기여가 없는 경우의 μOR 활성화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본 발병자들은 정상 및 aLH 동물에서 시냅스 전송을 차단한 후 DAMGO 처리시 LHb 뉴런의 흥분성을 측정하였다. aLH 동물에서 LHb 뉴런의 RMP는 대조군 LHb 뉴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극(depolarized)되었다(도 3c). DAMGO 처리는 양 그룹 모두에서 RMP를 과분극화하고(도 3a), aLH에서 활동 전위 작동(firing)을 감소시켰으나, 정상 동물에서는 그렇지 않았다(도 3d). 이러한 데이터는 μOR 활성화가 정상 동물에서는 시냅스전 변화를 통해, aLH 동물에서는 시냅스후 변화를 통해 LHb 뉴런 활성을 감소시킴을 말해준다.
정상 동물의 LHb 뉴런 상에서 μOR 활성화에 의한 효과는 엔도카나비노이드(endocannabinoid)에 의해 매개된다
본 발명을 통한 연구결과로 μOR은 정상 동물에서 시냅스전 작용을 하고 aLH 동물에서는 시냅스후 작용을 함을 알 수 있었다. μOR의 시냅스 후 작용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GDP-βS를 내부 용액에 첨가하였으며, 이 경우 DAMGO 처리시 eEPSC 진폭 또는 PPR는 유의하게 감소하지 않아(도 4a 및 4b), 시냅스후 G 단백질-결합 수용체 활성화가 DAMGO-유도 시냅스전 변형에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다. 엔도카나비노이드(eCB)는 시냅스후 뉴런에 의해 생성되는 역행 신호 분자로서 시냅스전 소포체 방출을 억제한다22-25. 우울증 동물 모델에서는 eCB 신호가 손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26. μOR 활성화가 eCB 신호경로와 상호작용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LHb-함유 뇌 조직 절편을 eCB 합성 효소의 억제제인 THL (tetrahydrolipstatin, 10 mM)23,27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THL 에서의 배양을 통해 DAMGO-매개된 eEPSC 진폭 및 Pr의 감소가 완전히 차단되었다(도 4c 및 4d). 또한, 카나비노이드 1 수용체(CB1R) 차단제인 AM251 (5 mM) 역시 DAMGO가 eEPSC 진폭 및 Pr에 미치는 영향을 차단하였다(도 4e 및 4f). 이러한 데이터는 μOR이 LHb에 작용하는 데에 eCB 합성 및 CB1R 활성화가 필수적임을 말해준다.
스트레스 노출 전 LHb에서의 μOR 활성화는 우울증 행동을 약화시킨다.
우울증 동물 모델에서 비정상적인 LHb의 활성화는 우울증 유사 행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몇몇 연구에서 감소된 LHb 활성이 우울증 행동을 개선시킨다고 보고되었다14-17. 이에, 본 발명자들은 LHb에서의 μOR 활성화가 aLH 동물에서 우울증 증상을 감소시킬 것이라 가정하고 이를 시험하기 위해 정위수술(stereotaxic surgery)을 시행하여 양측 캐뉼러를 랫트의 LHb 상단에 이식하고 DAMGO를 LHb에 선택적으로 주입하였다. 10일 간의 회복 뒤에, 랫트를 aLH 스트레스에 노출시켰다. 스트레스 인자에 노출된지 24시간 뒤, 랫트에 대해 DAMGO 주입 15분 뒤 FST 및 AAT를 수행하였다(도 5a 및 5b). FST에서 부동 시간은 DAMGO- 및 식염수- 주입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도 5c). AAT에서는 실패율 또는 탈출 소요시간에서 그룹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도 5d), 행동 검사 이전의 μOR 활성화는 우울증 유사 행동을 회복시키지만 스트레스 노출 후에는 그렇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aLH 스트레스 패러다임에 노출되기 15분 전에 DAMGO를 주입한 경우(도 5f), DAMGO-주입 aLH 동물은 FST 동안 부동시간, AAT에서의 실패율 및 탈출 소요시간이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도 5g 및 5h). 나아가, DAMGO-주입 동물군에서는 AAT 동안 낮은 실패율을 보이는 비율이 높아(도 5h), 스트레스 요인에 노출되기 전 DAMGO 주입이 스트레스 민감성을 감소시킴을 알 수 있다.
몇몇 연구는 각성 효과를 가지는 μOR 아고니스트인 몰핀의 대뇌 주사가 운동성 및 불안감을 조절한다고 보고하였다28-30. DAMGO 주입이 운동성과 불안 행동에 영향을 주는지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AAT 30분 뒤에 각 그룹에서 OFT를 수행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이동 거리 또는 중심에서 머무른 시간에 변화가 없음을 관찰함으로써 LHb에서의 μOR 활성화가 무력감을 조절하지만 운동성과 불안감을 조절하지는 못함을 알 수 있었다(도 5e 및 5i). 이들 데이터는 μOR 활성화가 스트레스 노출 전에 이루어졌을 때에만 스트레스-유도된 우울증 유사 행동 및 LHb에서의 시냅스 기능이상이 방지되고, 스트레스 노출은 LHb에서의 μOR 활성화의 효과를 변화시킴을 보여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Drolet, G.et al. Progress in neuro-psychopharmacology & biological psychiatry 25, 729-741 (2001).
2. Borsook, D., Falkowski, O., Rosen, H., Comb, M. & Hyman, S. E. The Journal of neuroscience : the official journal of the Society for Neuroscience 14, 7261-7271 (1994).
3. Bowers, M. E., Choi, D. C. & Ressler, K. J. Physiology & behavior 107, 699-710, doi:10.1016/j.physbeh.2012.03.004 (2012).
4. Tejedor-Real, P.et al.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354, 1-7 (1998).
5. Rivier, C., Brownstein, M., Spiess, J., Rivier, J. & Vale, W. Endocrinology 110, 272-278, doi:10.1210/endo-110-1-272 (1982).
6. Tejedor-Real, P. et al. Pharmacology, biochemistry, and behavior 52, 145-152 (1995).
7. Kennedy, S. E. et al., Dysregulation of endogenous opioid emotion regulation circuitry in major depression in wome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63, 1199-1208, doi:10.1001/archpsyc.63.11.1199 (2006).
8. Kavushansky, A. et al. European neuropsychopharmacology : the journal of the European College of Neuropsychopharmacology 23, 1779-1788, doi:10.1016/j.euroneuro.2012.12.003 (2013).
9. Berube, P., Laforest, S., Bhatnagar, S. & Drolet, G. Physiology & behavior 122, 237-245, doi:10.1016/j.physbeh.2013.04.009 (2013).
10. Dumont, E. C., Kinkead, R., Trottier, J. F., Gosselin, I. & Drolet, G. Journal of neurochemistry 75, 2200-2211 (2000).
11. Pecina, M. et al. Molecular psychiatry, doi:10.1038/s41380-018-0117-2 (2018).
12. Kline, N. S.et al.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34, 1111-1113 (1977).
13. Inturrisi, C. E., Alexopoulos, G., Lipman, R., Foley, K. & Rossier, J.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398, 413-423 (1982).
14. Lecca, S.et al. Nature medicine 22, 254-261, doi:10.1038/nm.4037 (2016).
15. Seo, J. S., Zhong, P., Liu, A., Yan, Z. & Greengard, P. Molecular psychiatry, doi:10.1038/mp.2017.96 (2017).
16. Li, K.et al. Science 341, 1016-1020, doi:10.1126/science.1240729 (2013).
17. Li, B.et al. Nature 470, 535-539, doi:10.1038/nature09742 (2011).
18. Gardon, O. et al. Neuroscience 277, 595-609, doi:10.1016/j.neuroscience. 2014.07.053 (2014).
19. Margolis, E. B. & Fields, H. L. PloS one 11, e0159097, doi:10.1371/journal.pone.0159097 (2016).
20. Li, J.et al. Alcoh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41, 637-643, doi:10.1111/acer.13332 (2017).
21. Park, H.et al. The Journal of neuroscience : the official journal of the Society for Neuroscience 37, 6021-6030, doi:10.1523/JNEUROSCI.2281-16.2017 (2017).
22. Hashimotodani, Y., Ohno-Shosaku, T. & Kano, M. Current opinion in neurobiology 17, 360-365, doi:10.1016/j.conb.2007.03.012 (2007).
23. Shonesy, B. C.et al. Nature neuroscience 16, 456-463, doi:10.1038/nn.3353 (2013).
24. Yuan, S. & Burrell, B. D. The Journal of neuroscience : the official journal of the Society for Neuroscience 33, 4349-4358, doi:10.1523/JNEUROSCI.3922-12.2013 (2013).
25. Lafourcade, C. A. Journal of neurophysiology 102, 2009-2012, doi:10.1152/jn.00441.2009 (2009).
26. Park, H., Rhee, J., Lee, S. & Chung, C. Cell reports 20, 289-296, doi:10.1016/j.celrep.2017.06.049 (2017).
27. Yoshino, H. et al. The Journal of physiology 589, 4857-4884, doi:10.1113/jphysiol.2011.212225 (2011).
28. Katsuura, Y. & Taha, S. A. Neuropeptides 44, 225-232, doi:10.1016/j.npep.2009.12.002 (2010).
29 Nikulina, E. M., Miczek, K. A. & Hammer, R. P., Jr. Neuropsychopharmacology : official publication of the American College of Neuropsychopharmacology 30, 1096-1103, doi:10.1038/sj.npp.1300658 (2005).
30 Le Merrer, J., Cagniard, B. & Cazala, P. Pharmacology, biochemistry, and behavior 83, 465-479, doi:10.1016/j.pbb.2006.03.008 (2006).
31. Rossier, J.et al. Nature 270, 618-620 (1977).
32. Yabaluri, N. & Medzihradsky, F. Molecular pharmacology 52, 896-902 (1997).
33. Dang, V. C. & Williams, J. T. The Journal of neuroscience : the official journal of the Society for Neuroscience 24, 7699-7706, doi:10.1523/JNEUROSCI.2499-04.2004 (2004).
34. Dang, V. C., Napier, I. A. & Christie, M. J. The Journal of neuroscience : the official journal of the Society for Neuroscience 29, 3322-3327, doi:10.1523/JNEUROSCI.4749-08.2009 (2009).
35. Barfield, E. T., Moser, V. A., Hand, A. & Grisel, J. E. Frontiers in behavioral neuroscience 7, 19, doi:10.3389/fnbeh.2013.00019 (2013).
36. Nam, H.et al. Neuropsychopharmacology : official publication of the American College of Neuropsychopharmacology, doi:10.1038/s41386-019-0422-8 (2019).
37. Darcq, E.et al. Neuropsychopharmacology : official publication of the American College of Neuropsychopharmacology 37, 1288-1296, doi:10.1038/npp.2011.316 (2012).
38. Boulos, L. J.et al. Neuropsychopharmacology : official publication of the American College of Neuropsychopharmacology, doi:10.1038/s41386-019-0395-7 (2019).
39. Shumake, J., Edwards, E. & Gonzalez-Lima, F. Opposite metabolic changes in the habenula and ventral tegmental area of a genetic model of helpless behavior. Brain research 963, 274-281 (2003).
40. Hsu, Y. W.et al. The Journal of neuroscience : the official journal of the Society for Neuroscience 34, 11366-11384, doi:10.1523/JNEUROSCI.1861-14.2014 (2014).
41. Svenningsen, K.et al. PloS one 11, e0160318, doi:10.1371/journal.pone.0160318 (2016).
42. Stamatakis, A. M.et al. The Journal of neuroscience : the official journal of the Society for Neuroscience 36, 302-311, doi:10.1523/JNEUROSCI.1202-15.2016 (2016).
43. Lazaridis, I.et al. Molecular psychiatry, doi:10.1038/s41380-019-0369-5 (2019).
44. Li, H., Pullmann, D. & Jhou, T. C. eLife 8, doi:10.7554/eLife.41223 (2019).
45. Manduca, A. et al. Frontiers in behavioral neuroscience 10, 211, doi:10.3389/fnbeh.2016.00211 (2016).
46. Hojo, M.et al. Journal of pharmacological sciences 108, 308-319 (2008).
47. Kam, A. Y., Liao, D., Loh, H. H. & Law, P. Y. The Journal of neuroscience : the official journal of the Society for Neuroscience 30, 15304-15316, doi:10.1523/JNEUROSCI.4255-10.2010 (2010).
48. Kolaj, M. & Randic, M. Neuroscience letters 204, 133-137 (1996).
49. Torrecilla, M.et al. The Journal of neuroscience : the official journal of the Society for Neuroscience 22, 4328-4334, doi:20026414 (2002).

Claims (11)

  1.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μ Opioid receptor)의 활성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분 장애(mood disorder)의 예방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분 장애는 비정형 우울증(Atypical depression), 멜랑콜리형 우울증(Melancholic depression), 정신병적 주요 우울증(Psychotic major depression), 긴장형 우울증(Catatonic depression), 산후 우울증(Postpartum depression), 월경전불쾌감장애(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감정부전장애(Dysthymic disorder), 수면장애(sleep disorder) 및 불안장애(anxiety disorder)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의 활성화제는 DAMGO([3H]-[D-Ala2, N-Me-Phe4, Gly5-ol]-엔케팔린), NFEPP((±)-N-(3-플루오로-1-펜에틸피페리딘-4-일)-N-페닐프로피온아마이드), DADLE([D-Ala2, D-Leu5]-엔케팔린), DSLET([D-Ser2, Leu5, Thr6]-엔케팔린) DPDPE([D-Pen2, D-Pen5]-엔케팔린), TRIMU-5, 펜타닐(N-페닐-N-[1-(2-페닐에틸)피페리딘-4-일]프로판아마이드), 옥시코돈, 베타 엔돌핀, 트라마돌(Tramadol)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측유상핵(the lateral habenula) 뉴런의 시냅스 전송(synaptic transmission)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대상체의 스트레스 노출 전에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대상체가 스트레스에 노출되기 전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μ Opioid receptor)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체의 측유상핵(the lateral habenula) 뉴런의 시냅스 전송(synaptic transmission)을 감소시키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대상체에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의 활성화제를 투여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의 활성화제는 DAMGO([3H]-[D-Ala2, N-Me-Phe4, Gly5-ol]-엔케팔린), NFEPP((±)-N-(3-플루오로-1-펜에틸피페리딘-4-일)-N-페닐프로피온아마이드), DADLE(([D-Ala2, D-Leu5]-엔케팔린), DSLET([D-Ser2, Leu5, Thr6]-엔케팔린) DPDPE([D-Pen2, D-Pen5]-엔케팔린), TRIMU-5, 펜타닐(N-페닐-N-[1-(2-페닐에틸)피페리딘-4-일]프로판아마이드), 옥시코돈, 베타 엔돌핀, 트라마돌(Tramadol)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기분 장애(mood disorder)의 예방용 조성물의 스크리닝 방법:
    (a)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μ Opioid receptor)를 발현하는 세포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시료에 시험물질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의 발현 또는 활성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의 발현 또는 활성이 증가한 경우, 상기 시험물질은 기분 장애(mood disorder)의 예방용 조성물로 판정한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는 중추신경계 유래 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분 장애는 비정형 우울증(Atypical depression) 멜랑콜리형 우울증(Melancholic depression), 정신병적 주요 우울증(Psychotic major depression), 긴장형 우울증(Catatonic depression), 산후 우울증(Postpartum depression), 월경전불쾌감장애(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감정부전장애(Dysthymic disorder), 수면장애(sleep disorder) 및 불안장애(anxiety disorder)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00029055A 2020-03-09 2020-03-09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의 활성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분 장애의 예방용 조성물 KR202101138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055A KR20210113824A (ko) 2020-03-09 2020-03-09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의 활성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분 장애의 예방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055A KR20210113824A (ko) 2020-03-09 2020-03-09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의 활성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분 장애의 예방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824A true KR20210113824A (ko) 2021-09-17

Family

ID=77924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055A KR20210113824A (ko) 2020-03-09 2020-03-09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의 활성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분 장애의 예방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382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8643A1 (zh) 2017-04-14 2018-10-18 江苏恒瑞医药股份有限公司 一种阿片样物质受体(mor)激动剂的盐、其富马酸盐i晶型及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8643A1 (zh) 2017-04-14 2018-10-18 江苏恒瑞医药股份有限公司 一种阿片样物质受体(mor)激动剂的盐、其富马酸盐i晶型及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Xu et al. Astrocyte-derived CCL2 participates in surgery-induced cognitive dysfunction and neuroinflammation via evoking microglia activation
Yanagisawa et al. Tail-pinch method in vitro and the effects of some antinociceptive compounds
Bie et al. Increased synaptic GluR1 subunits in the anterior cingulate cortex of rats with peripheral inflammation
Yang et al. Involvement of 5-HT7 receptors in the pathogenesis of temporal lobe epilepsy
Dong et al. Sitagliptin protects the cognition function of the Alzheimer’s disease mice through activating glucagon-like peptide-1 and BDNF-TrkB signalings
Aloisi et al. Effects of the essential oil from citrus lemon in male and female rats exposed to a persistent painful stimulation
KR102460731B1 (ko) 요실금 예방용 및/또는 치료용의 신규한 의약 조성물
US20070270432A1 (en) Novel Method
WO2009088054A1 (ja) 精巣の疼痛又は不快感行動及び頻尿併発モデル動物
US8795632B2 (en) Disease animal model for chronic pain
Reguilón et al. Resilience to social defeat stress in adolescent male mice
US20120014880A1 (en) METHOD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ESSENTIAL TREMOR BY REGULATING alpha1G T-TYPE CALCIUM CHANNEL OR BY T-TYPE CALCIUM CHANNEL BLOCKERS
KR20210113824A (ko)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의 활성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분 장애의 예방용 조성물
Taber et al. Neurochemical, pharmacokinetic, and behavioral effects of the novel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BMS-505130
Tanaka et al. Effects of TAK-480, a Novel Tachykinin NK2–Receptor Antagonist, on Visceral Hypersensitivity in Rabbits and Ricinoleic Acid–Induced Defecation in Guinea Pigs
Yang et al. Adrenomedullin influences dissociated rat area postrema neurons
CN111084776A (zh) 匹立尼酸及其衍生物用于治疗和/或预防神经退行性疾病的用途
US20230233539A1 (en) Use of Serotonin 5-HT1A Receptor Agonists to Treat Diseases Associated with Sudden Unexpected Death in Epilepsy
Matta Mesolimbic dopamine, its receptors and social learning
Kang The effect of nerve injury on behavioural selection and its relationship to prefrontal cortex function
Scott Serotonin 1B Receptor Modulation of cocaine Abuse-Like Behavior in Female Rats Before and After Abstinence from Self-Administration
Adedipe The role of astrocytes in the effects of early-life stress on lateral amygdala-dependent behaviour
Peterson The regulation of subfornical organ neurons
Chan In search of animal models for male sexual dysfunction
US20080010691A1 (en) Method of Screening Therapeutic Agent for Irritable Bowel Syndro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