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3726A -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 - Google Patents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3726A
KR20210113726A KR1020200028805A KR20200028805A KR20210113726A KR 20210113726 A KR20210113726 A KR 20210113726A KR 1020200028805 A KR1020200028805 A KR 1020200028805A KR 20200028805 A KR20200028805 A KR 20200028805A KR 20210113726 A KR20210113726 A KR 20210113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flow
ultraviolet
sterilization
out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욱
송현돈
조영우
이태돈
이국회
남대호
배석태
송문규
Original Assignee
(주) 에이프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이프로 filed Critical (주) 에이프로
Priority to KR1020200028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3726A/ko
Publication of KR20210113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37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개시되는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가 외부 커버 부재와, 필터 부재와, 자외선 필터 살균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자외선 필터 살균 부재를 구성하는 상기 자외선 조사 램프가 자외선을 조사해줌으로써, 상기 필터 부재가 살균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외부 커버 부재를 통해 상기 필터 부재로 향하는 외부 공기도 살균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가 착용자에게 착용되어 사용되면서 상기 필터 부재에서 발생될 수 있는 바이러스나 세균 증식의 오염을 방지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ultraviolet rays filter sterilization mask}
본 발명은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는 병균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을 막기 위하여 착용자의 안면의 입과 코를 가리는 물건으로,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이다.
이러한 마스크에는 상기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가 적용되는데, 상기 착용자가 상기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로 사용 시간이 지속되면, 상기 필터에 상기 이물질은 물론 습기도 차게 되어, 상기 필터에서 바이러스나 세균 증식이 발생되는 필터 오염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 10-1968591호, 등록일자: 2019.04.08., 발명의 명칭: 고성능 공기정화 마스크
본 발명은 착용자에게 착용되어 사용되면서 필터 부재에서 발생될 수 있는 바이러스나 세균 증식의 오염을 방지시킬 수 있는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는 착용자의 안면 외측을 향하면서 외면을 형성하는 외부 커버 부재; 상기 외부 커버 부재를 통해 상기 착용자의 호흡기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 부재; 및 상기 필터 부재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필터 부재를 살균시킬 수 있는 자외선 필터 살균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에 의하면, 상기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가 외부 커버 부재와, 필터 부재와, 자외선 필터 살균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자외선 필터 살균 부재를 구성하는 상기 자외선 조사 램프가 자외선을 조사해줌으로써, 상기 필터 부재가 살균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외부 커버 부재를 통해 상기 필터 부재로 향하는 외부 공기도 살균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가 착용자에게 착용되어 사용되면서 상기 필터 부재에서 발생될 수 있는 바이러스나 세균 증식의 오염을 방지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를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를 보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를 보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를 보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를 보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에 살균 방향 가변 부재가 적용된 모습을 확대한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살균 방향 가변 부재에 의해 살균 방향이 착용자의 안면 외측을 향하는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살균 방향 가변 부재에 의해 살균 방향이 착용자의 안면 쪽을 향하는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를 보이는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100)는 외부 커버 부재(111)와, 필터 부재(115)와, 자외선 필터 살균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커버 부재(111)는 착용자의 안면 외측(정면)을 향하면서 상기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100)의 외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착용자의 입과 코 부분을 덮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도면 번호 105는 상기 외부 커버 부재(111)의 양 측부에 연결되어 상기 착용자의 귀에 걸릴 수 있는 귀걸이부이다.
상기 필터 부재(115)는 상기 외부 커버 부재(111)를 통해 상기 착용자의 호흡기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 중의 병균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것이다.
도면 번호 120은 상기 필터 부재(115) 중 상기 착용자의 안면에 직접 접하게 되는 면 상에 형성되는 내피 부재이다.
상기 자외선 필터 살균 부재는 상기 필터 부재(115)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필터 부재(115)를 살균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외부 커버 부재(111)와 상기 필터 부재(115) 사이에 형성된 살균 공간(130)에 배치된다.
상세히, 상기 자외선 필터 살균 부재는 자외선 조사 램프(140)와, 배터리(150)와, 작동 제어부(155)를 포함한다.
상기 자외선 조사 램프(140)는 상기 필터 부재(115)로 상기 자외선을 조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외부 커버 부재(111)와 상기 필터 부재(115) 사이의 상기 살균 공간(130)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엘이디(LED) 램프가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조사 램프(140)가 상기 자외선을 조사해줌으로써, 상기 필터 부재(115)가 살균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외부 커버 부재(111)를 통해 상기 필터 부재(115)로 향하는 상기 외부 공기도 살균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외선 조사 램프(140)가 상기 외부 커버 부재(111)의 내면에 고정되어, 상기 필터 부재(115)를 향하여 상기 자외선을 조사해주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50)는 판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살균 공간(130)의 일부에 설치되어, 상기 자외선 조사 램프(14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작동 제어부(155)는 상기 배터리(150)로부터 상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는 상기 자외선 조사 램프(140)의 작동을 제어(상기 자외선 조사 램프(140)를 켜거나 끄는 작동, 상기 자외선 조사 램프(140)의 발광 정도를 제어하는 작동)하는 것으로, 누름식, 터치식 등의 온오프 스위치가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착용자가 안면에 상기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작동 제어부(155)를 조작하여 상기 자외선 조사 램프(140)를 켜게 되면, 상기 자외선 조사 램프(140)가 상기 자외선을 상기 필터 부재(115)를 향해 조사해줌으로써, 상기 필터 부재(115)는 물론 상기 필터 부재(115)로 향하는 상기 외부 공기가 살균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100)가 상기 외부 커버 부재(111)와, 상기 필터 부재(115)와, 상기 자외선 필터 살균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자외선 조사 램프(140)가 상기 자외선을 조사해줌으로써, 상기 필터 부재(115)가 살균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외부 커버 부재(111)를 통해 상기 필터 부재(115)로 향하는 상기 외부 공기도 살균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100)가 상기 착용자에게 착용되어 사용되면서 상기 필터 부재(115)에서 발생될 수 있는 바이러스나 세균 증식의 오염을 방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를 보이는 정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 커버 부재(211)에 공기 유입홀(212)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 유입홀(212)은 외부 공기가 관통되어 필터 부재로 직접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커버 부재(211)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기 유입홀(212)이 원형의 통공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외부 공기가 상기 외부 커버 부재(211)를 거치지 아니하고 상기 공기 유입홀(212)을 통해 직접 상기 필터 부재로 향하게 됨으로써, 상기 외부 공기의 유동이 유도되어 상기 외부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 및 제 4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를 보이는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 유입홀(312)이 외부 커버 부재(311)가 착용자의 안면을 감싸는 좌우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입홀(312)이 복수 개 형성되되, 상기 착용자의 안면을 감싸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공기 유입홀(312)을 통한 외부 공기의 원활한 유동이 유동될 수 있음과 함께,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를 접을 때, 상기 공기 유입홀(312)이 상기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가 접히는 선으로 작용되어, 상기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가 원활하게 접힐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를 보이는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 유입홀(412)이 외부 커버 부재(411)가 착용자의 안면을 감싸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입홀(412)이 복수 개 형성되되, 상기 착용자의 안면을 감싸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에 살균 방향 가변 부재가 적용된 모습을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살균 방향 가변 부재에 의해 살균 방향이 착용자의 안면 외측을 향하는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살균 방향 가변 부재에 의해 살균 방향이 착용자의 안면 쪽을 향하는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는 살균 방향 가변 부재(5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살균 방향 가변 부재(560)는 자외선 필터 살균 부재를 구성하는 자외선 조사 램프(540)가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향인 살균 방향이 착용자의 안면 외측을 향하거나, 상기 살균 방향이 상기 착용자의 안면 쪽을 향하도록, 상기 자외선 필터 살균 부재의 상기 살균 방향을 가변시켜줄 수 있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살균 방향 가변 부재(560)는 커버 연장체(561)와, 회전축(563)과, 회전 바아(564)와, 기류 수렴 곡면체(565)와, 수렴 기류 토출구(566)와, 기류 수렴 안내체(562)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 연장체(561)는 외부 커버 부재(511)의 내면으로부터 필터 부재(515) 쪽으로 살균 공간(530)을 가로질러 소정 길이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축(563)은 상기 커버 연장체(561)의 말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 바아(564)는 상기 회전축(563)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 연장체(561)에 대해 회전될 수 있고, 일정 길이의 바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 바아(564)의 일부는 상기 회전축(563)의 일 측으로 연장된 형태를 이루어, 상기 회전 바아(564)의 일 측 말단부에 상기 기류 수렴 곡면체(565)가 연결되고, 상기 회전 바아(564)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회전축(563)의 타 측으로 연장된 형태를 이루어, 상기 회전 바아(564)의 타 측 말단부에 상기 자외선 필터 살균 부재를 구성하는 상기 자외선 조사 램프(540)가 연결된다.
상기 기류 수렴 곡면체(565)는 상기 회전 바아(564)의 일 측 말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563)을 둘러싼 형태로 상기 회전 바아(564)와 연결되는 면이 소정 곡률로 만곡된 내측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 커버 부재(511)와 상기 필터 부재(515) 사이의 상기 살균 공간(530)에서 유동되는 기류(외부 공기와 상기 착용자의 날숨 중 어느 하나)에 대향하게 되면서, 상기 외부 커버 부재(511)와 상기 필터 부재(515) 사이에서의 상기 기류를 수렴시키는 것이다.
상기 기류 수렴 곡면체(565)의 외면은 상기 회전축(563)을 둘러싼 형태로 소정 곡률로 만곡된 외측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렴 기류 토출구(566)는 상기 기류 수렴 곡면체(565)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기류 수렴 곡면체(565)에 의해 수렴된 상기 기류가 토출되는 것이다.
상기 기류 수렴 곡면체(565)는 초승달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기류 수렴 곡면체(565)의 내면에 상기 내측 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기류 수렴 곡면체(565)의 외면에 상기 외측 곡면이 형성되며, 상기 기류 수렴 곡면체(565)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수렴 기류 토출구(566)가 형성되고, 상기 기류 수렴 곡면체(565)의 상기 내측 곡면의 중앙부에 상기 회전 바아(564)가 연결된다.
물론, 상기 기류 수렴 곡면체(565)의 중앙부의 일부에 상기 회전 바아(564)가 연결되고, 상기 기류 수렴 곡면체(565)의 중앙부의 나머지에 상기 수렴 기류 토출구(566)가 형성된다.
상기 기류 수렴 안내체(562)는 상기 외부 커버 부재(511)의 내면 중 상기 커버 연장체(561)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필터 부재(515) 쪽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되, 상기 외부 커버 부재(511)로부터 상기 필터 부재(515) 쪽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상기 회전축(563) 쪽으로 수렴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기류 수렴 안내체(562)는 곡면체 또는 경사체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 커버 부재(511)로부터 상기 필터 부재(515)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상기 커버 연장체(561)에 상대적으로 근접되어, 상기 외부 커버 부재(511)로부터 상기 필터 부재(515)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기류 수렴 안내체(562)는 한 쌍으로 구성되되, 상기 커버 연장체(561)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외부 커버 부재(511)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외부 공기가 상기 기류 수렴 안내체(562)를 경유하면서 점진적으로 서로 수렴되면서 밀집되어, 상기 기류 수렴 곡면체(565)를 향해 분사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외선 필터 살균 부재를 구성하는 상기 자외선 조사 램프(540)가 상기 회전 바아(564)의 타 측 말단부에 연결되되, 상기 회전 바아(564)의 타 측 말단부의 연장선 상의 외측 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살균 방향 가변 부재(560)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상기 기류가 없는 상태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류 수렴 곡면체(565)의 자체 중량에 의해 상기 기류 수렴 곡면체(565)가 중력 방향으로 하향된 형태가 된다.
그러다가, 상기 착용자의 들숨 시에 상기 외부 공기가 상기 기류가 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커버 부재(511)를 통과한 상기 외부 공기가 상기 각 상기 기류 수렴 안내체(562)에 의해 점진적으로 수렴되면서 상기 기류 수렴 곡면체(565)로 유동되고, 상기 기류 수렴 곡면체(565)로 유동된 상기 외부 공기는 상기 기류 수렴 곡면체(565)의 상기 내측 곡면을 따라 유동되면서 수렴되어 상기 수렴 기류 토출구(566)를 통해 토출되고, 그에 따라 낙하산이 공기의 저항을 받듯이, 상기 외부 공기가 상기 내측 곡면을 상기 필터 부재(515) 쪽으로 밀어주게 되어, 상기 기류 수렴 곡면체(565)가 상기 회전축(563)과 상기 필터 부재(515) 사이 중 상기 커버 연장체(561)의 가상의 연장선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전 바아(564)가 상기 회전축(563)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상기 자외선 조사 램프(540)는 상기 외부 커버 부재(511)를 향하게 되어, 상기 외부 커버 부재(511) 쪽에 상기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외부 공기를 살균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다가, 상기 기류가 상기 착용자의 상기 날숨인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 부재(515)를 통과한 상기 날숨이 상기 내측 곡면을 따라 유동되면서 수렴되어 상기 수렴 기류 토출구(566)를 통해 토출되고, 그에 따라 상기 날숨이 상기 내측 곡면을 상기 외부 커버 부재(511) 쪽으로 밀어주게 되어, 상기 기류 수렴 곡면체(565)가 상기 회전축(563)과 상기 외부 커버 부재(511) 중 상기 커버 연장체(561)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전 바아(564)가 상기 회전축(563)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상기 자외선 조사 램프(540)는 상기 필터 부재(515)를 향하게 되어, 상기 필터 부재(515) 쪽에 상기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필터 부재(515)를 살균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가 상기 살균 방향 가변 부재(560)를 더 포함함에 따라, 상기 착용자의 들숨날숨에 따라, 상기 자외선 필터 살균 부재를 구성하는 상기 자외선 조사 램프(540)가 상기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향이 자동적으로 가변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외부 커버 부재(511) 쪽과 상기 필터 부재(515) 쪽이 자동적으로 교번으로 살균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에 의하면, 착용자에게 착용되어 사용되면서 필터 부재에서 발생될 수 있는 바이러스나 세균 증식의 오염을 방지시킬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
111 : 외부 커버 부재
115 : 필터 부재
140 : 자외선 조사 램프
150 : 배터리
155 : 작동 제어부

Claims (5)

  1. 착용자의 안면 외측을 향하면서 외면을 형성하는 외부 커버 부재;
    상기 외부 커버 부재를 통해 상기 착용자의 호흡기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 부재; 및
    상기 필터 부재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필터 부재를 살균시킬 수 있는 자외선 필터 살균 부재;를 포함하는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필터 살균 부재는
    상기 필터 부재로 상기 자외선을 조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외부 커버 부재와 상기 필터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자외선 조사 램프와,
    상기 자외선 조사 램프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는 상기 자외선 조사 램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커버 부재에는
    상기 외부 공기가 관통되어 상기 필터 부재로 직접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커버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공기 유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는
    상기 자외선 필터 살균 부재가 상기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향인 살균 방향이 착용자의 안면 외측을 향하거나, 상기 살균 방향이 상기 착용자의 안면 쪽을 향하도록, 상기 자외선 필터 살균 부재의 상기 살균 방향을 가변시켜줄 수 있는 살균 방향 가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방향 가변 부재는
    상기 외부 커버 부재로부터 상기 필터 부재 쪽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커버 연장체와,
    상기 커버 연장체의 말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 연장체에 대해 회전될 수 있고, 일정 길이의 바아 형태로 형성되는 회전 바아와,
    상기 회전 바아의 일 측 말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을 둘러싼 형태로 상기 회전 바아와 연결되는 면이 소정 곡률로 만곡된 내측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 커버 부재와 상기 필터 부재 사이에서 유동되는 기류(상기 외부 공기와 상기 착용자의 날숨 중 어느 하나)에 대향하게 되면서, 상기 외부 커버 부재와 상기 필터 부재 사이에서의 상기 기류를 수렴시키는 기류 수렴 곡면체와,
    상기 기류 수렴 곡면체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기류 수렴 곡면체에 의해 수렴된 상기 기류가 토출되는 수렴 기류 토출구와,
    상기 외부 커버 부재 중 상기 커버 연장체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필터 부재 쪽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되, 상기 외부 커버 부재로부터 상기 필터 부재 쪽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상기 회전축 쪽으로 수렴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기류 수렴 안내체를 포함하고,
    상기 기류 수렴 안내체는 한 쌍으로 구성되되, 상기 커버 연장체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류 수렴 곡면체의 외면은 상기 회전축을 둘러싼 형태로 소정 곡률로 만곡된 외측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자외선 필터 살균 부재는 상기 회전 바아의 타 측 말단부에 연결되되, 상기 회전 바아의 타 측 말단부의 연장선 상의 외측 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기류가 상기 외부 공기인 경우, 상기 외부 커버 부재를 통과한 상기 외부 공기가 상기 각 상기 기류 수렴 안내체에 의해 점진적으로 수렴되면서 상기 기류 수렴 곡면체로 유동되고, 상기 기류 수렴 곡면체로 유동된 상기 외부 공기는 상기 기류 수렴 곡면체의 상기 내측 곡면을 따라 유동되면서 수렴되어 상기 수렴 기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고, 그에 따라 상기 외부 공기가 상기 내측 곡면을 상기 필터 부재 쪽으로 밀어주게 되어, 상기 기류 수렴 곡면체가 상기 회전축과 상기 필터 부재 사이 중 상기 커버 연장체의 가상의 연장선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전 바아가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상기 자외선 필터 살균 부재는 상기 외부 커버 부재를 향하여 상기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외부 공기를 살균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기류가 상기 착용자의 상기 날숨인 경우, 상기 필터 부재를 통과한 상기 날숨이 상기 내측 곡면을 따라 유동되면서 수렴되어 상기 수렴 기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고, 그에 따라 상기 날숨이 상기 내측 곡면을 상기 외부 커버 부재 쪽으로 밀어주게 되어, 상기 기류 수렴 곡면체가 상기 회전축과 상기 외부 커버 부재 중 상기 커버 연장체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전 바아가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상기 자외선 필터 살균 부재는 상기 필터 부재를 향하여 상기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필터 부재를 살균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
KR1020200028805A 2020-03-09 2020-03-09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 KR202101137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805A KR20210113726A (ko) 2020-03-09 2020-03-09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805A KR20210113726A (ko) 2020-03-09 2020-03-09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726A true KR20210113726A (ko) 2021-09-17

Family

ID=77924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805A KR20210113726A (ko) 2020-03-09 2020-03-09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372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591B1 (ko) 2017-10-26 2019-04-15 최정일 고성능 공기정화 마스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591B1 (ko) 2017-10-26 2019-04-15 최정일 고성능 공기정화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100228A4 (en) Filter Mask with UVC LED
JP2021185274A (ja) 紫外線照射によるマスク用空気殺菌装置とそれを用いたマスク及びフルフェイスマスク
CN215024359U (zh) 呼吸装置
US11752232B2 (en) Personalized forced air purifier
WO2021175179A1 (zh) 杀菌口罩
KR102428122B1 (ko) 휴대용 공기공급장치
KR102210712B1 (ko) 필터 마스크
KR20210113726A (ko) 자외선 필터 살균 마스크
CN111840718A (zh) 人工呼吸器
CN111165954A (zh) 一种函道式眼镜口罩及其工作方法
KR102551526B1 (ko) 싸이클론을 활용한 이동형 음압기
EP4126257B1 (en) Ultraviolet decontaminating mask
CN212814404U (zh) 口罩
WO2021187989A1 (en) A face mask, an air treatment unit and a protection system comprising the face mask and the air treatment unit
KR20210125876A (ko) 필터 튜브를 구비한 마스크
JP2021168769A (ja) エアマスクとマスクユニット
TW592747B (en) Mask
JP2022029390A (ja) 紫外線マスク
JP2022083945A (ja) 紫外線マスク
CN213045324U (zh) 防护面罩
US20220143257A1 (en) Uvc steriliz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atient ventilation
TW202140100A (zh) 口罩
TWI798132B (zh) 穿戴式裝置及其運作方法
JP3242439U (ja) 殺菌マスク
KR102538582B1 (ko) 감염병의 공기전파 차단 기능을 갖는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