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2632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저감 캐퍼빌리티 단말을 위한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저감 캐퍼빌리티 단말을 위한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2632A
KR20210112632A KR1020200027883A KR20200027883A KR20210112632A KR 20210112632 A KR20210112632 A KR 20210112632A KR 1020200027883 A KR1020200027883 A KR 1020200027883A KR 20200027883 A KR20200027883 A KR 20200027883A KR 20210112632 A KR20210112632 A KR 20210112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amble
terminal
group
random access
ro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티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티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티엘
Priority to KR1020200027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2632A/ko
Priority to EP21763555.6A priority patent/EP4117378A1/en
Priority to PCT/KR2021/002672 priority patent/WO2021177741A1/ko
Priority to CN202180018431.9A priority patent/CN115211219A/zh
Publication of KR20210112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632A/ko
Priority to US17/929,459 priority patent/US2023000770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04W74/0841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collision trea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4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uplink, i.e. toward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6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a dedicated channel for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8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with additional processing of random access related information at receiving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저감 캐퍼빌리티 단말을 위한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랜덤 액세스 관련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랜덤 액세스 관련 설정 정보, 단말 타입 또는 반복 레벨 중의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전송에 관련된 RO(RACH Occasion) 그룹, 하나 이상의 RO 또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중의 하나 이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RO의 각각에서 하나 이상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저감 캐퍼빌리티 단말을 위한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FOR USER EQUIPMENT WITH REDUCED CAPABIL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와 관련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단말에 비하여 저감 캐퍼빌리티 단말을 위한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NR(New Radio) 시스템은, 5세대(5G) 통신을 위한 요구사항들을 충족하기 위해서 다양한 시나리오, 서비스 요구사항, 잠재적인 시스템 호환성 등을 고려하여, 시간-주파수 자원 단위 기준에 대한 다양한 뉴머롤러지(numerology)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NR 시스템은 높은 캐리어 주파수(carrier frequency) 상에서 발생하는 높은 경로-손실(path-loss), 페이즈-잡음(phase-noise), 주파수 오프셋(frequency offset) 등의 좋지 않은 채널 환경을 극복하고자 복수의 빔을 통한 물리 신호 또는 물리채널의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NR 시스템에서는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mMTC와 URLLC 사이의 경계에 위치한 TSC(Time Sensitive Communication)의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mMTC, URLLC 및 TSC는 버티컬한 산업계를 고려한 진화된 IoT(Internet of Things) 활용과 연관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들은 동일한 네트워크에서 지원될 수 있다.
3GPP NR 시스템에서 새로운 타입의 디바이스를 지원하기 위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예를 들어, 새로운 타입의 디바이스는, 산업 무선 센서(industrial wireless sensors), 비디오 감시(video surveillance),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타입의 디바이스를 위한 서비스에 대한 요구사항은, 종래의 LTE-M(LTE-MTC) 또는 NB-IoT(Narrow Band-IoT)와 같은 LPWAN(Low Power Wide Area Network)보다는 높지만, eMBB 또는 URLLC보다는 낮은 특징을 가진다. 이를 고려하여, 위와 같은 새로운 타입의 디바이스를 저감 캐퍼빌리티(Reduced Capability, RC) 디바이스라고 할 수 있다. 3GPP NR 시스템에서 RC 단말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은 논의 중이며, 특히 RC 단말의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C 단말을 위한 새로운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추가적인 기술적 과제는 단말의 초기 액세스 동안 네트워크에서 RC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추가적인 기술적 과제는 단말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전송 과정에서 네트워크에서 RC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양상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랜덤 액세스 관련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랜덤 액세스 관련 설정 정보, 단말 타입 또는 반복 레벨 중의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전송에 관련된 RO(RACH Occasion) 그룹, 하나 이상의 RO 또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중의 하나 이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RO의 각각에서 하나 이상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대하여 위에서 간략하게 요약된 특징들은 후술하는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의 예시적인 양상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C 단말을 위한 새로운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단말의 초기 액세스 동안 네트워크에서 RC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단말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전송 과정에서 네트워크에서 RC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NR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NR 자원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NR 랜덤 액세스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프리앰블 그룹 설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프리앰블 그룹 설정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프리앰블 그룹 설정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초기 액티브 대역폭부분(BWP) 설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RO 설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RO 설정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프리앰블 그룹 설정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프리앰블 그룹 설정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프리앰블 그룹 설정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에 따른 단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에 따른 기지국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인다.
본 개시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용어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는 언급된 특징,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단계, 동작, 요소,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고 구성요소들을 제한하기 위해서 사용되지 않으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 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일 실시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일 실시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위한 것이며 청구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도록 의도한 것이다. 또한,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 "및/또는"은 관련된 열거 항목 중의 하나를 지칭할 수도 있고, 또는 그 중의 둘 이상의 임의의 및 모든 가능한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대상으로 설명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동작은 해당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장치(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결합한 단말에서 또는 단말간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BS: Base Station)'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B(eNB), ng-eNB, gNodeB(gNB),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terminal)'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비-AP 스테이션(non-AP STA)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채널을 전송 또는 수신한다는 것은 해당 채널을 통해서 정보 또는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한다는 의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어 채널을 전송한다는 것은, 제어 채널을 통해서 제어 정보 또는 신호를 전송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사하게, 데이터 채널을 전송한다는 것은, 데이터 채널을 통해서 데이터 정보 또는 신호를 전송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하는 약어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BSR: Buffer Status Report
CSI-RS: 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MAC: Medium Access Control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RA: Random Access
RACH: Random Access Channel
RC: Reduced Capability 또는 Reduced Complexity
RO: RACH Occasion 또는 PRACH Occasion
RRC: Radio Resource Control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SCS: Sub-Carrier Spacing
SIB: System Information Block
SSB: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5G 시스템은 NR 시스템 뿐만 아니라 기존 LTE(Long Term Evolution) 계열의 시스템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5G 시스템은 NR 무선 접속 기술이 단독으로 적용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LTE 계열의 무선 접속 기술과 NR 무선 접속 기술이 같이 적용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5G 사이드링크 기술은 NR 단독 또는 LTE 계열과 NR이 함께 적용되는 사이드링크 기술을 모두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NR 시스템의 물리 자원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NR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NR에서 시간 도메인의 기본 단위는
Figure pat00001
일 수 있고,
Figure pat00002
이고,
Figure pat00003
일 수 있다. 한편, LTE에서 시간 도메인 기본 단위는
Figure pat00004
일 수 있고,
Figure pat00005
이고,
Figure pat00006
일 수 있다. NR 시간 기본 단위와 LTE 시간 기본 단위 사이의 배수 관계에 대한 상수는
Figure pat00007
로서 정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DL/UL 전송을 위한 프레임의 시간 구조는
Figure pat00008
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하나의 프레임은
Figure pat00009
시간에 해당하는 10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서브프레임마다 연속적인 OFDM 심볼의 수는
Figure pat00010
일 수 있다. 또한, 각 프레임은 동일한 크기의 2개의 하프 프레임(half frame)으로 나누어지며, 하프 프레임 1은 서브 프레임 0-4로 구성되고, 하프 프레임 2는 서브 프레임 5-9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Figure pat00011
는 하향링크(DL)와 상향링크(UL) 간의 타이밍 어드밴스(TA)를 나타낸다. 이때, 상향링크 전송 프레임 i의 전송 타이밍은 단말에서 하향링크 수신 타이밍을 기반으로 아래의 수학식 1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Figure pat00012
수학식 1에서
Figure pat00013
은 듀플렉스 모드 (duplex mode) 차이 등으로 발생하는 TA 오프셋 (TA offset) 값일 수 있다. 기본적으로 FDD (Frequency Division Duplex)에서
Figure pat00014
은 0 값을 가지지만, TDD (Time Division Duplex)에서는 DL-UL 스위칭 시간에 대한 마진을 고려해서
Figure pat00015
의 고정된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NR 자원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 내의 자원요소(Resource Element, RE)는 각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에 따라서 인덱싱될 수 있다. 이때, 안테나 포트마다 그리고 서브캐리어 스페이싱마다 하나의 자원 그리드를 생성할 수 있다.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송수신은 해당 자원 그리드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하나의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은 12개의 RE로 구성되며 12개의 RE마다 하나의 RB에 대한 인덱스(
Figure pat00016
)를 구성할 수 있다. RB에 대한 인덱스는 특정 주파수 대역 또는 시스템 대역폭 내에서 활용될 수 있다. RB에 대한 인덱스는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Figure pat00017
는 하나의 RB 당 서브캐리어의 개수를 의미하고, k는 서브캐리어 인덱스를 의미한다.
Figure pat00018
뉴머롤러지는 NR 시스템의 다양한 서비스와 요구사항을 만족하도록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NR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뉴머롤러지의 예시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19
표 1을 참조하면, 뉴머롤러지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ubcarrier Spacing, SCS), CP(Cyclic Prefix) 길이 및 슬롯당 OFDM 심볼의 수 등을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술한 값들은 하향링크에 대해서 상위계층 파라미터 DL-BWP-mu 및 DL-BWP-cp을 통하여, 상향링크에 대해서 상위계층 파라미터 UL-BWP-mu 및 UL-BWP-cp을 통해 단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표 1에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설정 인덱스(
Figure pat00020
)가 2인 경우,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Figure pat00021
)은 60kHz이고, 노멀 CP 및 확장 CP(Extended CP)가 적용될 수 있다. 그 외의 뉴머롤러지 인덱스의 경우에는 노멀 CP만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노멀 슬롯(Normal slot)은 NR 시스템에서 기본적으로 하나의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기본 시간 단위로 정의할 수 있다. 노멀 슬롯의 길이는 기본적으로 14개 OFDM 심볼의 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슬롯과 다르게 서브 프레임은 NR시스템에서 1ms에 해당하는 절대적인 시간 길이를 가지고, 다른 시간 구간의 길이를 위한 참고 시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때, LTE와 NR 시스템의 공존 또는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위해 LTE의 서브 프레임과 같은 시간 구간이 NR 규격에 필요할 수 있다.
일 예로, LTE에서 데이터는 단위 시간인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에 기초하여 전송될 수 있으며, TTI는 하나 이상의 서브 프레임 단위로 구성될 수 있었다. 이때, LTE에서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은 1ms로 설정될 수 있으며, 14개의 OFDM 심볼(또는 12개의 OFDM 심볼)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NR에서 넌슬롯 (non-slot)이 정의될 수 있다. 넌슬롯은 노멀슬롯보다 적어도 하나의 심볼만큼 작은 수를 가지는 슬롯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URLLC 서비스와 같이 낮은 지연 시간을 제공하는 경우, 노멀슬롯보다 작은 심볼 수를 가지는 넌슬롯을 통해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때, 넌슬롯에 포함된 OFDM 심볼 수는 주파수 범위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6GHz 이상의 주파수 범위에서는 1 OFDM 심볼 길이의 넌슬롯을 고려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넌슬롯을 정의하는 OFDM 심볼의 수는 적어도 2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넌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 수의 범위는 노멀슬롯 길이-1까지 미니 슬롯의 길이로써 구성이 가능할 수 있다. 다만, 넌슬롯의 규격으로서 OFDM 심볼 수는 2, 4 또는 7개의 심볼로 범위가 제한될 수 있으나,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6GHz 이하의 비면허 대역에서는
Figure pat00022
가 1 및 2에 해당하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이 사용되고, 6GHz 초과의 비면허 대역에서는
Figure pat00023
가 3 및 4에 해당하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Figure pat00024
가 4인 경우는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를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Figure pat00025
표 2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설정(
Figure pat00026
)별로, 노멀 CP의 경우의 슬롯 당 OFDM 심볼 개수(
Figure pat00027
), 프레임 당 슬롯 개수(
Figure pat00028
), 서브프레임 당 슬롯의 개수(
Figure pat00029
)를 나타낸다. 표 2에서는 14개의 OFDM 심볼을 갖는 노멀슬롯을 기준으로 상술한 값들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30
표 3은 확장 CP가 적용되는 경우(즉,
Figure pat00031
가 2인 경우로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이 60kHz일 때), 슬롯 당 OFDM 심볼 개수가 12인 노멀슬롯을 기준으로 프레임 당 슬롯의 수 및 서브프레임당 슬롯의 수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RC NR에 대해서 설명한다.
3GPP에서는 NB-IoT 또는 LTE-M을 통해 IMT-2020 요구사항들을 mMTC 목적을 위해서 인증받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URLLC 지원을 위해 URLLC 기능들이 Rel-15 LTE/NR에 모두 소개되었다. 그리고 NR URLLC는 지금도 Rel-16 eURLLC 그리고 IIoT(Industrial IoT) 워크아이템을 통해 계속 진화 중에 있다. 또한, Rel-16에서는 TSN(Time-Sensitive Networking) 및 TSC(Time Sensitive Communication) 적용을 위한 5G 통합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5G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커넥티드 인더스트리(connected industry)를 지원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5G 연결성(connectivity)은 이후 산업계와 디지털화의 차기 동력에 대한 바탕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산업계의 환경 내에서 5G 연결성에 기반하는 단말들은 많은 수를 이루어 서로 연결될 것이며, 이러한 대규모 산업 무선 네트워크(massive industrial wireless network)는 높은 요구사항을 가지는 URLLC 서비스들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낮은 성능을 가지는 작은 단말까지 지원하며, 그리고 완벽하게 수년 동안 동작이 가능한 배터리 라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서비스를 위한 요구사항들은 실제 NB-IoT나 LTE-M과 같은 LPWA 보다는 높지만 eMBB 또는 URLLC 보다는 낮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전술한 커넥티드 인더스트리와 유사하게 5G 연결성은 차세대 스마트시티 혁신(smart city innovation)을 위한 기반으로써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시티 활용 케이스에서, 5G 연결성은 도시내의 데이터 수집 그리고 도시 자원 활용 및 모니터링을 위해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특별히, 감시카메라의 설치는 도시 뿐만 아니라 공장지대에서 중요한/필수적인 역할을 위해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 링, 건강 관련 장치 등은 작은 크기를 가지는 하나의 활용 케이스로서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시나리오와 활용 케이스 등을 고려했을 때 기술적 관점의 요구사항으로는, 단말 연결에 대해서는 Rel-15 또는 Rel-16의 eMBB 또는 URLLC 단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단말 비용 및 복잡도가 요구되고, 단말 크기는 컴팩트 폼 팩터(form factor)를 가지는 크기가 요구되며, 설치 환경은 FDD 및 TDD에 대한 FR1(Frequency Range 1) 및 FR2 대역이 고려될 수 있다.
산업 무선 센서의 경우에, 통신 서비스 가용성은 99.99%이고, 단-대-단(end-to-end) 레이턴시는 100ms 미만이고, 모든 유스케이스에 대해서 레퍼런스 비트 레이트는 2Mbps 미만(예를 들어, 하향링크에 비하여 높은 상향링크 트래픽과 같은 잠재적으로 비대칭적인 경우를 고려함)이고, 단말은 고정적인 것을 가정하며, 배터리는 적어도 수년동인 유지되어야 하고, 보안 관련 센서의 경우에는 레이턴시 요구사항은 5-10ms 미만일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비디오 감시의 경우에는, 레퍼런스로 경제적인 비디오 비트레이트는 2-4Mbps이고, 500ms 미만의 레이턴시와, 99%-99.9%의 신뢰성(reliability)가 고려될 수 있으며, 최상위(high-end) 비디오의 경우에는 7.5-25Mbps의 비트레이트가 고려될 수 있고, 하향링크에 비하여 상향링크 전송이 지배적인 트래픽 패턴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CTV와 같은 비디오 카메라 장치는 종래의 NB-IoT와 eMTC 같은 LPWA 기술로는 지원하기 어려운 중상위 캐퍼빌리티의 디바이스이다. 특별히 CCTV는 스마트시티의 구성의 하나의 모델로서 높은 성장세를 가지고, 많은 회사들이 관련 제조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들 장치 간의 연결성에 대해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웨어러블의 경우에는, 스마트 웨어러블 애플리케이션에 대해서 하향링크에서 10-50Mbps 및 상향링크에서 최소 5Mbps의 레퍼런스 비트레이트, 및 하향링크에서 150Mbps 및 상향링크에서 50Mbps의 피크 비트레이트가 고려될 수 있다.
이와 같이, RC 단말 또는 RC NR에 대해서, 기존의 eMTC(또는 LTE-M) 또는 NB-IoT에 의해서는 지원할 수 없는 새로운 IoT 기술이 요구된다. 구체적으로, eMTC 또는 NB-IoT 단말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레이턴시와 상대적으로 높은 데이터레이트 및 신뢰도가 요구되고, eMBB 단말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 및 복잡도와 상대적으로 긴 배터리 사용 시간이 요구되며, URLLC 단말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커버리지를 지원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와 관련된 NR 시스템에서의 랜덤 액세스 절차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NR 랜덤 액세스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랜덤 액세스 절차는 단말이 기지국과 상향링크(UL) 동기를 얻거나 UL 자원을 할당받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경쟁-기반(Contention-Based, CB) 랜덤 액세스 절차는, 단말이 기지국으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또는 Msg1)을 전송하는 제 1 단계,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랜덤 액세스 응답(Random Access Response, RAR)(또는 Msg2)을 수신하는 제 2 단계, 단말이 기지국으로 제2계층/제3계층(L2/L3) 메시지(또는 Msg3)를 전송하는 제 3 단계, 및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경쟁 해소(contention resolution) 메시지(또는 Msg4)를 수신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2 단계만을 이용한 경쟁-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 또한 포함할 수 있다. 그 2단계 기반 경쟁-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는 단말이 기지국으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과 상향링크 채널을 통한 랜덤 액세스 관련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A 단계,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랜덤 액세스 응답 및 경쟁 해소 메시지 등을 수신하는 제 B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비-경쟁(Contention-Free, CF) 랜덤 액세스 절차는 CB 랜덤 액세스 절차 중의 제 1 및 제 2 단계만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간 경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제 3 및 제 4 단계는 요구되지 않는다.
이러한 랜덤 액세스 절차는, 트리거 이벤트의 발생 및 이에 따른 초기화 동작에 의해서 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랜덤 액세스 절차는, PDCCH 명령(order), MAC 서브레이어(sublayer), RRC 서브레이어, 또는 물리계층(PHY)로부터의 빔 실패(Beam Failure) 지시(indication)에 의해서 초기화가 수행될 수 있다. NR 시스템에서의 랜덤 액세스를 트리거(trigger)하는 구체적인 원인(cause)와 그 이벤트(event) 사이의 관계는 표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32
PSCell(Primary Secondary Cell)을 제외한 SCell(Secondary Cell) 상에서의 랜덤 액세스 절차는 PDCCH order에 의해서만 초기화되며, PDCCH order에 의해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인덱스 값이 지시될 수 있다. 여기서, PSCell은 이중-연결성(dual connectivity)의 경우에 MCG(Master Cell Group) 또는 SCG(Secondary Cell Group)에서의 PCell(Primary Cell)을 의미한다.
또한, RRC 시그널링을 통해서, 랜덤 액세스 설정 관련 정보가 단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설정 관련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은 시스템 정보 블록 1(SIB1)을 통하여 단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IB1은 ServingCellConfigCommonSIB 등의 정보 요소(IE)를 포함할 수 있고, ServingCellConfigCommonSIB는 UplinkConfigCommonSIB 등의 IE를 포함할 수 있고, UplinkConfigCommonSIB는 initialUplinkBWP(또는 BWP-UplinkCommon) 등의 IE를 포함할 수 있고, BWP-UplinkCommon은 RACH-ConfigCommon 등의 IE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CH-ConfigCommon는 랜덤 액세스 설정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랜덤 액세스 설정 관련 정보로서 다음과 같은 정보들이 단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 Prach-ConfigIndex: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전송을 위한 PRACH 자원(예를 들어, PRACH 기회(occasions))의 이용가능한 집합;
- PreambleReceivedTargetPower: 초기(initial)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전력;
- rsrp-ThresholdSSB: SSB 선택을 위한 RSRP 임계값;
- rsrp-ThresholdCSI-RS: CSI-RS 선택을 위한 RSRP 임계값;
- rsrp-ThresholdSSB-SUL: NUL (Normal Uplink) 캐리어와 SUL (Supplementary Uplink) 캐리어 간의 선택을 위한 RSRP 임계값;
- powerRampingStep: 전력-램핑 인자(power-ramping factor);
- ra-PreambleIndex: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인덱스;
- preambleTransMax: 프리앰블 전송의 최대 횟수;
- ra-ResponseWindow: RAR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간 윈도우의 크기 (슬롯의 개수로 단말에게 지시됨);
- SI(System Information) 요청을 위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집합 및/또는 해당 PRACH 자원 (필요한 경우)
- ra-ContentionResolutionTimer: 경쟁 해소 타이머;
- groupBconfigured: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B의 설정 여부;
- numberOfRA-PreamblesGroupA: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A에 속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개수. 프리앰블 그룹 B가 설정되는 경우, numberOfRA-PreamblesGroupA 개의 프리앰블을 제외한 나머지는 그룹 B에 속함.
이와 관련하여, 각각의 SSB(또는 CSI-RS)와 프리앰블 전송 자원 및 인덱스 사이의 매핑 관계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지에 따라서, 각각의 SSB(또는 CSI-RS) 마다 프리앰블 인덱스의 그룹과 그 그룹내의 인덱스들이 순차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프리앰블 그룹은 Msg3 전송을 위해 요구되는 UL 자원의 크기를 기지국이 예상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즉, 프리앰블 그룹 B가 단말에게 설정되었다면, 소정의 Msg3 임계 크기(예를 들어, ra-Msg3SizeGroupA 파라미터에 의해서 정해지는 값이며, MAC 헤더 그리고 MAC CE들이 포함된 UL 데이터 정보의 크기)보다 단말이 전송하려는 Msg3 크기가 크고, 그 경로 손실(pathloss) 값이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고 있는 “서빙셀의 PCMAX - preambleReceivedTargetPower - msg3-DeltaPreamble - messagePowerOffsetGroupB” 보다 작다면, 단말은 그룹 B내에서 프리앰블 인덱스를 선택하여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그룹 B에 속한 프리앰블이 수신된 것으로 파악하였다면, 해당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정보인 Msg2 내에 Msg3 전송을 위해 필요한 UL 자원의 크기 정보를 단말에게 포함하여 스케줄링할 수 있다. 즉,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전송에는 Msg3 (즉, L2/L3 메시지) 크기에 대한 1-비트 지시가 임베드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즉, 단말이 전송하려는 Msg3 크기가 상기 소정의 Msg3 임계 크기 이하이거나, 또는 경로 손실 값이 “서빙셀의 PCMAX - preambleReceivedTargetPower - msg3-DeltaPreamble - messagePowerOffsetGroupB” 이상인 경우), 단말은 그룹 A내에서 프리앰블 인덱스를 선택하여 프리앰블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 입장에서는 설정된 RACH 기회(occasion)들 내의 프리앰블 그룹 내의 설정된 모든 프리앰블 인덱스 상에서 잠재적 프리앰블 수신을 기대하며 연관된 프리앰블 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랜덤 액세스 절차를 초기화할 때, Msg3 버퍼를 비우고 프리앰블 전송 카운터를 1로, 프리앰블 파워 램핑 카운터를 1로, 그리고 프리앰블 백오프를 0ms로 셋팅할 수 있다. 다음 만약 랜덤 액세스 절차가 수행되는 캐리어가 명시적으로 시그널링되었으면 해당 캐리어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한 셀에서 SUL이 설정되었고 해당 셀의 하향링크 경로손실(DL pathloss)의 RSRP 값이 rsrp-ThresholdSSB-SUL 값보다 작다면, SUL을 랜덤 액세스 절차 수행을 위한 캐리어로 선택하고 SUL을 위한 PCMAX (단말 최대 전송 전력) 값도 셋팅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NUL 캐리어를 랜덤 액세스 절차 수행을 위한 캐리어로 선택하고 NUL 캐리어를 위한 PCMAX 값을 셋팅할 수 있다.
그 후, 단말은 자원 선택 절차를 통해서 프리앰블 인덱스 값을 셋팅하고, 연관된 다음 이용 가능한 PRACH 기회(occasion)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SSB 블록 인덱스와 PRACH 기회에 대한 연관 설정이 존재하는 경우, 또는 CSI-RS와 PRACH 기회에 대한 연관 설정이 존재하는 경우, 또는 상기 연관 설정들이 단말에게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 따라서 PRACH 기회가 결정된다. SSB 또는 CSI-RS와 PRACH 기회와의 연관 설정이 있는 경우에는, 단말이 선택한 SSB 또는 CSI-RS에 따라서 그에 연관된 PRACH 기회가 결정될 수 있다. SSB 또는 CSI-RS와 PRACH 기회와의 연관 설정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단말은 다음 이용 가능한 PRACH 기회에서 프리앰블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단말은 선택한 PRACH 기회를 기반으로 프리앰블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MAC은 PHY에게 선택한 프리앰블, 연관된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프리앰블 인덱스, 수신 타겟 전력을 제공하여 선택한 프리앰블 전송을 수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단말이 프리앰블을 전송한 후 이에 대응하는 Msg2(또는 RAR) 수신을 모니터링해야 하는데, 이를 위한 시간(윈도우) 구간은 ra-ResponseWindow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 프리앰블을 전송한 후 일정 심볼 후에 단말은 RAR 수신을 기대하고 상기 윈도우 구간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Msg2에 대한 PDCCH/PDSCH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RAR 정보는 PDSCH를 통하여 MAC PDU의 형식으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PDSCH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은 RA(Random Access)-RNTI 값을 기반으로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즉, PDCCH에는 PDSCH를 수신해야 하는 단말의 정보와, PDSCH 전송 자원의 정보, PDSCH의 전송 형식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RAR에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식별자(Random Access Preamble Identifier, RAPID), Msg3 전송을 자원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 임시 셀 식별자(Temporary C(Cell)-RNTI), 타이밍 조정/어드밴스 명령(Timing Adjustment/Advance Command, TAC)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말은 수신한 Msg2에 응답정보(예를 들어, RAPID)가 포함된 경우에는 성공적인 RAR 수신으로 고려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프리앰블 재전송을 준비하기 위해 전술한 프리앰블 자원 선택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수신된 Msg2 내의 UL grant 정보와 같은 Msg3 전송을 위한 파라미터 정보들을 기반으로, 단말은 Msg3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일단 Msg3 전송이 수행되면 단말은 경쟁 해소 타이머(CR 타이머)를 시작하고, Msg4 수신을 위해 C(Cell)-RNTI 기반으로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CR 타이머가 동작하는 동안에 Msg4가 수신되면 단말은 경쟁 해소가 성공적으로 이행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RC NR 시스템에서의 랜덤 액세스 절차에 대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존의 NR 시스템에는 eMBB 및/또는 URLLC 서비스를 위한 최상위 단말 캐퍼빌리티(high-end UE capability)를 가지는 일반 단말들이 존재한다. 한편, 산업 무선 센서, 비디오 감시, 웨어러블 등의 서비스를 위하여 중하위 단말 캐퍼빌리티(medium-low UE capability)를 가지는 단말(즉, 저감 캐퍼빌리티/복잡도(RC) 단말)들이 도입되는 경우, NR 네트워크 상에는 다양한 캐퍼빌리티를 가지는 단말들이 혼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C 단말은 송수신 안테나의 개수가 각각 1개로 제한되거나, 대역폭이 저감되거나, 낮은 전송 전력 클래스를 가지거나, 또는 제한된 하프 듀플렉스가 적용되는 캐퍼빌리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셀 내에서 서로 다른 채널 환경과 서로 다른 캐퍼빌리티를 가지는 단말들이 존재하므로, 기지국(예를 들어, NG-RAN)은 초기 셀 접속 과정에서부터 신속하게 해당 단말들의 구별되는 캐퍼빌리티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기존의 기지국이 NR eMBB, URLLC 및/또는 광대역(wideband)을 지원하는 단말(예를 들어, 최상위 캐퍼빌리티 단말, 이하, "일반 단말" 또는 "제 1 타입 단말"이라 함)을 기준으로 설정한 셀 커버리지(cell coverage) 또는 자원 할당 방식은, eMBB, URLLC 및/또는 광대역을 지원하지 못하는(예를 들어, 협대역(narrow band)을 지원하는) 새로운 타입의 단말(예를 들어, 중하위 캐퍼빌리티 단말, 이하, "RC 단말" 또는 "제 2 타입 단말"이라 함)에게 적절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RC 단말의 커버리지 레벨(예를 들어, 반복 레벨(repetition level))을 초기 셀 선택(또는 초기 액세스) 과정 중에 기지국이 사전에 알 수 있다면, 초기 액세스 과정 중에 존재하는 다양한 기지국-단말 사이의 송수신을 위한 자원 활용을 최적화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과정 중, 일반 단말(예를 들어, Rel-15 및/또는 Rel-16 UE (또는 eMBB, URLLC 및/또는 wideband UE))과 구분하여 RC 단말을 미리 식별할 수 있다면, 랜덤 액세스 과정 이후 기지국-단말 사이의 송수신을 위한 자원 활용을 최적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RC 단말의 수신 신뢰도 및 커버리지를 보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 복잡도 저감으로 인한 성능 저하를 최소화하거나 제한하기 위해서, 단말 복잡도 저감으로 인한 잠재적인 커버리지 저감을 보상하기 위한 커버리지 리커버리 기능이 요구되고, 이를 위해서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RC 단말을 명시적으로 식별하도록 하는 것이 요구되며, 일반 단말과 RC 단말의 공존을 보장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RC 단말을 위한 랜덤 액세스에 대한 실시예들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소정의 전송 패턴에 기초하여 SSB를 전송할 수 있다. SSB는 동기화 신호(SS) 및 PBCH(Physical Broadcast Signal)를 포함하고, SS는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를 포함하고, PBCH는 PBCH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및 PBCH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초기 액세스(initial access) 과정 중에 기지국으로부터 SSB 및 SIB1를 수신한 이후, 가장 먼저 단말이 상향링크를 통해 전송하는 물리 신호 또는 물리 채널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또는 PRACH 또는 Msg1)이다.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SSB를 기반으로, NR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단말들은 각각의 채널 환경에 맞는 최적의 SSB 인덱스(예를 들어, 가장 높은 SSB-RSRP를 가지는 SSB의 인덱스)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 단말(예를 들어, Rel-15 및/또는 Rel-16 UE (또는 eMBB, URLLC 및/또는 wideband UE))과는 다르게, RC 단말은 더 긴 SSB 모니터링 또는 측정을 수행해야 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SSB 및 SIB1의 수신 레벨 또는 수신 커버리지가 동일한 상황에서도, 일반 단말에 비하여 RC 단말은 더 긴 시간 동안 SSB 및/또는 SIB1을 수신하여야 해당 정보를 확인가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SSB 및 SIB1 정보를 확인한 후, RC 단말은 선택한 SSB 인덱스(또는, RRC CONNECTED 모드에서 CSI-RS 인덱스)와 SIB1를 통하여 제공되는 랜덤 액세스 설정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전송을 포함하는 랜덤 엑세스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RC 단말에 대해서 일반 단말과 유사한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RC 단말의 저감된 캐퍼빌리티 또는 저감된 복잡도로 인한 커버리지 손실 및 수신 신뢰도 저하를 보상하는 기능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전송은 임의의 단말이 기지국에게 처음으로 전송하는 신호이기 때문에, RC 단말을 위한 커버리지 보상 또는 안정적인 무선 접속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지국이 초기 액세스 또는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해당 단말이 RC 단말인지 여부(또는 RC 단말의 존재 여부)를 미리 파악하고, 해당 단말에 특화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기존에 정의된 절차에서는 초기 액세스 또는 랜덤 액세스 절차 중에는 단말의 캐퍼빌리티를 명시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어려웠고, 초기 액세스 또는 랜덤 액세스 절차 이후에 기지국이 단말의 캐퍼빌리티에 대한 시그널링을 수신함으로써 단말의 캐퍼빌리티를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말이 기지국에게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전송을 통해서 기지국이 해당 단말의 RC 단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방안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단말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전송 이후에 수행되는, RAR(또는 Msg2), L2/L3 메시지(또는 Msg3) 및 경쟁 해소 메시지(또는 Msg4) 등과 같은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전송을 통하여 해당 단말에 대한 커버리지 보상, 자원 활용의 최적화등의 추가적인 또는 개선된 방안이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시스템정보 전송, 전송 캐리어 선택, 프리앰블 선택, RO(RACH Occasion) 설정의 측면에서 일반 단말과 구분하여 RC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랜덤 액세스 동작을 정의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 전송
기지국은 랜덤 액세스 설정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SIB1)를 전송함으로써 일반 단말과 RC 단말 모두에게 공통적인(또는 셀-특정) 시스템 파라미터를 공통의 채널(예를 들어, PDCCH 및 PDSCH)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일반 단말과 구분하여 RC 단말을 식별함으로써, 일반 단말 및 RC 단말 각각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최적의 SIB1 전송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일반 단말을 위한 SIB1 정보의 크기에 비하여 더 작은 크기로 RC 단말을 위한 SIB1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또는 별도로, 일반 단말을 위한 SIB1 스케줄링을 위한 PDCCH 및 SIB1을 포함하는 PDSCH(이하, SIB1 PDCCH/PDSCH)의 전송 주기인 160ms에 비하여 짧은 전송 주기(예를 들어, 20, 40, 80ms)로 RC 단말을 위한 동일한 시스템 정보를 제공하는 SIB1 PDCCH/PDSCH를 반복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반 단말과 RC 단말을 구분하여 SIB1 정보 및/또는 전송 주기를 별도로 설정하는 것은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증가시켜 셀 관점에서 자원 이용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일반 단말과 RC 단말을 구분하지 않고 공통의 SIB1를 동일한 방식으로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RC 단말을 위한 수신 커버리지 및 신뢰도 등을 보상하기 위해서, RC 단말은 일반 단말에 비하여 더 오랜 시간 동안 SIB1 수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반 단말에 비해서 RC 단말의 SIB1 수신은 더 많은 지연 시간이 예상될 수 있다.
전송 캐리어 선택
단말은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전송 캐리어(Tx carrier)를 선택할 수 있다.
일반 단말의 경우, SUL이 추가로 설정된 광대역(wideband) 단말이라면, 하향링크 경로손실의 RSRP 값이 랜덤 액세스 설정 관련 정보 내의 rsrp-ThresholdSSB-SUL 미만인지 또는 이상인지에 따라 SUL 또는 NUL을 선택하고 이에 따른 PCMAX 값을 셋팅할 수 있다.
RC 단말의 경우(만약 그 RC 단말이 SUL 설정되었다면), 하향링크 경로손실과 설정된 상기와 같은 임계값을 비교하는 방법(즉, 상기 임계값보다 하향링크 경로손실의 RSRP 값이 작다면 SUL 전송 캐리어를 선택 그렇지 않으면 NUL 전송 캐리어를 선택하는 방법)에 추가적으로, 커버리지 레벨, 반복 전송 레벨(또는 반복 레벨), 단말 타입, 또는 단말 카테고리 중의 하나 이상에 더 기초하여, SUL과 NUL 중에서 랜덤 액세스를 위한 전송 캐리어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향링크 경로손실의 RSRP 값이 그 임계값 보다 작고 커버리지 레벨/반복 전송 레벨 같은 경우 특정 레벨 이상 (즉, 높은 커버리지 레벨을 요구하는 상황)에 해당하는 RC 단말은 SUL 캐리어를 사용할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RC 단말은 NUL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RC 단말에 대해서, 일반 단말을 위한 전송 캐리어 선택 임계값(예를 들어, rsrp-ThresholdSSB-SUL)과 구별되는 새로운 전송 캐리어 선택 임계값(예를 들어, rsrp-ThresholdSSB-SUL-RCNR)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전송 캐리어 선택 임계값(예를 들어, rsrp-ThresholdSSB-SUL)을 일반 단말과 RC 단말에게 공통적으로 설정하되, RC 단말은 하향링크 경로손실, 커버리지 레벨, 반복 전송 레벨, 단말 타입, 또는 단말 카테고리 중의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SUL과 NUL 중에서 랜덤 액세스를 위한 전송 캐리어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RC 단말에 대해서 SUL이 설정된 경우, 전송 캐리어 선택 임계값에 무관하게 항상 SUL을 랜덤 액세스를 위한 전송 캐리어로서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RC 단말에 대해서 상위 레이어 정보를 통해서 하나의 서빙셀을 위해 설정된 캐리어들(NUL 또는 SUL) 중 하나의 UL 캐리어를 랜덤 액세스를 위한 캐리어로서 바로 설정할 수 있다.
프리앰블 선택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SIB1)를 통하여 랜덤 액세스 설정 관련 정보를 수신한 RC 단말은, 랜덤 액세스 수행을 위한 파라미터들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랜덤 액세스 설정 관련 정보와 관련된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SIB1)의 일부는 표 5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표 5에 포함된 파라미터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로서 랜덤 액세스 설정 관련 정보가 구성될 수도 있으며, 예시되지 않은 파라미터가 랜덤 액세스 설정 관련 정보에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SIB1
> ServingCellConfigCommonSIB
>> UplinkConfigCommonSIB
>>> initialUplinkBWP (BWP-UplinkCommon)
>>>> RACH-ConfigCommon
>>>>>>>> RACH-ConfigGeneric
>>>>>>>>>>>> prach-ConfigurationIndex
>>>>>>>>>>>> msg1-FDM
>>>>>>>>>>>> msg1-FrequencyStart
>>>>>>>>>>>> zeroCorrelationZoneConfig
>>>>>>>>>>>> preambleReceivedTargetPower
>>>>>>>>>>>> preambleTransMax
>>>>>>>>>>>> powerRampingStep
>>>>>>>>>>>> ra-ResponseWindow
>>>>>>>> totalNumberOfRA-Preambles
>>>>>>>> ssb-perRACH-OccasionAndCB-PreamblesPerSSB
>>>>>>>> groupBconfigured
>>>>>>>>>>>> ra-Msg3SizeGroupA
>>>>>>>>>>>> messagePowerOffsetGroupB
>>>>>>>>>>>> numberOfRA-PreamblesGroupA
>>>>>>>> ra-ContentionResolutionTimer
>>>>>>>> rsrp-ThresholdSSB
>>>>>>>> rsrp-ThresholdSSB-SUL
>>>>>>>> prach-RootSequenceIndex
>>>>>>>> msg1-SubcarrierSpacing
>>>>>>>> restrictedSetConfig
>>>>>>>> msg3-transformPrecoding
>>>>>>>> rsrp-ThresholdSSB-repetition
>>>>>>>> groupCconfigured
>>>>>>>>>>>> ra-Msg3SizeGroupA
>>>>>>>>>>>> messagePowerOffsetGroupC
>>>>>>>>>>>> numberOfRA-PreamblesGroupB
>>>>>>>>>>>> offsetOfRA-PreamblesGroupC
>>>>>>>>>>>> numRepetitionPerPreamble
>>>>>>>>>>>> sub-group-list
>>>>>>>>>>>>>>> numberOfRA-PreamblesSubGroup
>>>>>>>>>>>>>>>> ...
>>>>>>>> ssb-perRACH-OccasionAndCB-PreamblesPerSSB-RCNR
...
표 5의 예시와 같은 셀-특정(또는 단말-공통) 랜덤 액세스 설정 관련 정보는, 만약 동일한 시스템 정보를 일반 단말과 RC 단말이 공유한다면, 일반 단말을 위한 파라미터 및 RC 단말을 위한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C 단말을 위한 파라미터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또는 Msg1) 반복 전송 횟수(예를 들어, numRepetitionPerPreamble), RC 단말을 위한 새로운 프리앰블 그룹(예를 들어, 그룹 C)에 관련된 파라미터(예를 들어, groupCconfigured, ra-Msg3SizeGroupA, messagePowerOffsetGroupC, numberOfRA-PreamblesGroupB, sub-group-list, numberOfRA-PreamblesSubGrou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groupCconfigured: 프리앰블 그룹C 설정 유무 지시
ra-Msg3SizeGroupA: 프리앰블 그룹C 선택을 위해 Msg3크기에 대한 임계값
messagePowerOffsetGroupC: 프리앰블 그룹 C 내의 프리앰블 전송 전력을 위한 오프셋
numberOfRA-PreamblesGroupB: 프리앰블 그룹 B 내의 프리앰블 인덱스의 수
sub-group-list: 프리앰블 그룹 C 내의 서브 그룹 리스트(만약 필요하다면)
numberOfRA-PreamblesSubGroup: 상기 각 서브 그룹 내에 속한 프리앰블 인덱스의 수
여기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반복 전송 횟수 및 전송 전력 조정에 관한 파라미터는, 상향링크 전송 관점에서 낮은 전송 캐퍼빌리티를 가지는 RC 단말에 대한 커버리지 보상을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의 시그널링(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또는 전용 RRC 시그널링(Dedicated RRC signaling))에 기초하여, 적어도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반복 전송 횟수(또는, 반복 전송 레벨) 그리고/또는 전송 전력 오프셋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프리앰블 반복 전송 횟수와 프리앰블 인덱스/RO 사이의 매핑 관계가 정의되는 경우, 단말은 아래와 같이 측정한 채널 정보와 반복 레벨 마다 설정되는 채널 측정 임계값들을 기반으로 해당 반복 전송 레벨 그리고/또는 전송 전력 오프셋 값에 대응하는 프리앰블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동일한 RO(들)을 공유하는 SSB 인덱스(들)에 대한 설정에 기초하여 반복 레벨을 단말이 결정할 수도 있다.
또는, 단말은 스스로 측정한 채널 정보(예를 들어, 하향링크 경로손실의 RSRP), 전송 전력, 전송 전력 오프셋, 전력 클래스, 단말 타입, 단말 카테고리 등에 기초하여, 단말에 대해서 설정된 또는 미리 정의된 소정의 임계값을 기준으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반복 전송 횟수(또는, 반복 전송 레벨)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는, 프리앰블 반복 전송 횟수와 프리앰블의 매핑 관계가 정의되는 경우, 단말은 해당 반복 전송 레벨에 대응하는 프리앰블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하향링크 경로손실의 RSRP 값에 기초하여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반복 전송 횟수(또는, 반복 전송 레벨)를 결정하는 경우, 단말에 대해서 설정된 소정의 임계값(예를 들어, rsrp-ThresholdSSB-repetition)이 적용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소정의 임계값 미만의 하향링크 경로손실 RSRP 값이 측정되는 경우에, 단말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i 번 반복 전송(또는 i 번 반복 전송에 해당하는 프리앰블을 선택 및 반복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소정의 임계값 이상의 하향링크 경로손실 RSRP 값이 측정되는 경우에, 단말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j 번 반복 전송(또는 j 번 반복 전송에 해당하는 프리앰블을 선택 및 반복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i(i는 1 이상) 및 j(j는 1 이상)의 값은 단말에 대해서 설정되거나 미리 정의될 수 있다. 또한, i<j 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반복 전송의 수를 단말이 결정하는 것 뿐만 아니라 전송 전력의 오프셋 값의 크기(레벨)를 상기와 같이 하향링크 경로 손실의 RSRP 값과 소정의 임계값을 비교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반복 전송은, 프리앰블 전송 후 적어도 RAR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또는 프리앰블이 기지국에게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못하는 경우에 수행되는 프리앰블 재전송과 구별된다. 즉, 종래 한 번의 프리앰블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와 달리, 상기 본 발명에서 고려하고 있는 반복 전송은 한 번의 프리앰블 전송 시에 고려할 수 있는 여러 번의 반복 전송에 대한 동작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하향링크 경로 손실의 RSRP 측정 값과 그 임계값을 비교하는 것에 추가적으로 단말 타입 (또는 단말 카테고리 또는 단말 케퍼빌러티(UE capability))에 따른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반복 전송 횟수가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언급하는 단말 타입 (또는 단말 카테고리 또는 단말 케퍼빌러티(UE capability))는 RC 단말의 송수신 능력(예를 들어, 최대 지원 가능 대역폭, 하프 듀플렉스(half duplex) 모드 가능 여부, 안테나 수, MIMO 전송 여부 등), 전송 전력, 전송 전력 오프셋, 전력 클래스 등을 구분하기 위해서 고려할 수 있으며, 각각의 단말 타입은 서로 다른 단말의 특성 및 능력을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랜덤엑세스 절차에 관한 방식 (즉, 4-단계 CBRA, 2-단계 CBRA 혹은 4-단계 CFRA, 2-단계 CFRA)에 따라서 다른 프리앰블 전송 횟수를 RC 단말이 결정할 수 있다. 특히, 2-단계 CBRA와 2-단계 CFRA인 경우, 프리앰블 전송과 상향링크 메세지(PUSCH) 전송이 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프리앰블과 상향링크 메시지의 성공적인 수신을 위해 상기와 같은 방법을 기반으로 독립적으로 반복 전송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RO 설정
RO(RACH Occasion 또는 PRACH Occasion)은 단말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 자원에 해당한다. RO는 시간 도메인 자원 및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 RO 설정에 관련된 시간 도메인 자원을 PRACH 슬롯(slot)이라 칭할 수 있으며, PRACH 슬롯은 프리앰블의 포맷(예를 들어, 짧은 프리앰블 포맷 또는 긴 프리앰블 포맷)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시간 슬롯 혹은 하나의 슬랏 내 복수의 OFDM 심볼에 대응할 수 있다. RO 설정에 관련된 주파수 도메인 자원은 서브캐리어, 자원요소(RE), 자원블록(RB), 또는 대역폭 부분(BWP)의 단위로 정의될 수 있으며, 그 크기는 프리앰블 시퀀스의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일반 단말 및 RC 단말의 RO를 각각 제 1 RO 및 제 2 RO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RO와 제 2 RO는 일부-중첩(partially-overlapped) 또는 공통(common)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즉, 일반 단말을 위한 제 1 RO의 일부 또는 전부가 RC 단말을 위한 제 2 RO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일부-중첩 또는 공통된 RO는 일반 단말 또는 RC 단말 중의 무엇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제 1 RO와 제 2 RO는 별도(separate)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일반 단말을 위한 제 1 RO와 시간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구별되는 제 2 RO가, 제 1 RO에 추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제 1 RO는 일반 단말 전용 RO 및 RC 단말과의 공유(shared) RO를 포함하고, 제 2 RO는 RC 단말 전용 RO 및 일반 단말과의 공유 RO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RO와 제 2 RO가 일반 단말과 RC 단말에 대해서 공통으로 또는 일부-중첩되어, 또는 별도로 설정되는지 여부에 따라서, 표 5에 포함된 파라미터 중 일부가 포함되거나 제외될 수도 있다.
일반 단말과 RC 단말에 대한 제 1 RO 및 제 2 RO는 기지국에 의해서 단말(들)에게 설정될 수 있다.
RO 설정에 있어서, 기지국은 설정된 RO 중에서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RO 마스킹(masking) 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마스킹 정보는 설정된 RO들 중에서 특정 인덱스(들)에 해당하는 RO(들)의 가용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단말에게 제 1 RO가 설정되고, RC 단말에게 제 2 RO가 설정된 후, 마스킹 정보가 추가적으로 제공된다면, RC 단말은 마스킹 정보를 고려하여 가용 RO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RC 단말의 가용 RO는 일반 단말의 가용 RO와 공통되거나, 일부-중첩되거나, 또는 전부 구별될 수 있다. 만약, 마스킹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는, RC 단말은 제 2 RO를 가용 RO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일반 단말과 RC 단말의 가용 RO는 기본적으로 제 1 및 제 2 RO 설정에 따라 결정되며, 만약 추가적인 마스킹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이를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가용 RO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RO의 중첩 여부는, 마스킹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이에 기초하여, 최종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제 1 RO 및 제 2 RO는, 마스킹 정보가 제공된다면 이를 적용한, 일반 단말과 RC 단말 각각에 대한 가용 RO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RO와 제 2 RO가 일부-중첩 또는 공통으로 설정되는 경우, 기지국은 마스킹 정보(예를 들어, rc-ssb-sharedROmaskindex)를 통하여 일반 단말이 사용하는 RO의 부분집합 또는 전체집합을 RC 단말이 공유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RO와 제 2 RO는 교집합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제 1 RO는 제 2 RO를 모두 포함하거나, 제 1 RO와 제 2 RO가 동일한 집합이 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설정된 SSB(혹은 CSI-RS)마다 연관된 제 1 RO와 제 2 RO 들 중에서 상기와 같은 마스킹 정보(또는 RO 마스크 인덱스)를 통해서 RC 단말들이 실제 프리앰블 전송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RO를 지시할 수 있다. 즉, 일반 단말과 RC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RO는 상기와 같은 파라미터를 통해서 구분되거나 독립적으로 지시될 수 있으며 그 지시된 정보에 따라서 일반 단말의 RO와 RC 단말의 RO는 중첩되지 않거나 일부 중첩되거나 혹은 동일하게 설정이 자유롭게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제 1 및 제 2 RO가 고려되는데 각각은 서로 독립적인 RO 설정 혹은 동일한 RO 설정을 기반으로 상기 언급한 서로 독립적인 RO 마스크(mask) 설정을 통해서 구분되어 지시될 수 있다. 이 경우, 마스크 설정에 기초하여 지시된 제 1 및 제 2 RO들은 이하 언급한 바와 같이 공통/일부-중첩 또는 중첩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시스템정보 전송, 전송 캐리어 선택, 프리앰블 선택, 및/또는 RO 설정에 기초하여, 단말의 초기 액세스 또는 랜덤 액세스 절차 중에 해당 단말이 RC 단말인지 여부를 기지국에게 알리기 위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제 1 및 제 2 RO가 공통 또는 일부-중첩되어 설정되는 경우, 그 중첩된 RO 내, 프리앰블 인덱스 그룹을 활용하여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단말이 RC 단말인지 여부를 기지국에게 알리는 방안을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일반 단말과 RC 단말에 대해서 구별되는 프리앰블 자원(예를 들어, 프리앰블 그룹 및/또는 인덱스)을 할당하는 방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반 단말에 대해서는 프리앰블 그룹 A 및/또는 그룹 B가 할당될 수 있으며, 이를 제 1 프리앰블 그룹이라 한다. 한편, RC 단말에 대해서는 프리앰블 그룹 C가 할당될 수 있으며, 이를 제 2 프리앰블 그룹이라 한다. 즉, 제 1 프리앰블 그룹은 그룹 A를 포함하고 제 2 프리앰블 그룹은 그룹 C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제 1 프리앰블 그룹은 그룹 A 및 그룹 B를 포함하고 제 2 프리앰블 그룹은 그룹 C를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또한, 각각의 프리앰블 그룹 A, B 및 C에 대해서 할당되는 프리앰블 인덱스 범위 또는 그룹 별 프리앰블 인덱스의 개수는 기지국에 의해서 설정되거나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범위는 프리앰블 그룹은 그 명칭(즉, 그룹 A, B 또는 C)이나 각각의 그룹에 속하는 프리앰블 인덱스의 범위 또는 개수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으며, 일반 단말과 RC 단말에 대해서 구별되는 임의의 프리앰블 그룹이 할당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범위는 하나의 SSB(혹은 하나의 CSI-RS)가 하나의 RO에 연관되는 경우, 하나의 SSB(혹은 하나의 CSI-RS)가 복수의 RO에 연관되는 경우, 및 복수의 SSB(혹은 복수의 CSI-RS)가 하나의 RO에 연관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명료성을 위해서 SSB와 연관된 RO를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SSB 대신에 CSI-RS와 연관된 RO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 1-1
도 4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프리앰블 그룹 설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나의 SSB#k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RO가 존재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RO는 일반 단말과 RC 단말이 공유하는(즉, 제 1 RO와 제 2 RO가 동일한 집합) 경우를 가정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RO에 대해서 하나의 RO 당 전체 프리앰블 인덱스의 개수(또는 프리앰블 개수)가 설정될 수 있다. 하나의 RO에서의 전체 프리앰블 개수는 제 1 프리앰블 그룹(즉, 그룹 A 및/또는 B)에 속한 프리앰블 개수 및 제 2 프리앰블 그룹에 속한 프리앰블 개수의 합에 해당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RO에서의 전체 프리앰블 개수는 제 1 및/또는 제 2 프리앰블 그룹으로 가용한 후보 프리앰블의 개수에 해당할 수도 있다.
일반 단말을 위한 제 1 프리앰블 그룹에 추가적으로, RC 단말을 위한 제 2 프리앰블 그룹에 대한 설정 정보가 기지국에 의해서 단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SIB1 혹은 전용 RRC 시그널링)를 통해서 RC 단말을 위한 그룹 C 설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 C 설정 정보는, 그룹 C 설정 여부(groupCconfigured)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룹 C가 설정되는 것으로 지시되는 경우에는, 전체 프리앰블 개수에서, 그룹 B 프리앰블 개수(numberOfRa-PreambleGroupB) 및 그룹 A 프리앰블 개수(numberOfRA-PreamblesGroupA)를 차감한 개수가 그룹 C 프리앰블 개수로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제 1 프리앰블 그룹이 그룹 A만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전체 프리앰블 개수에서, 그룹 A 프리앰블 개수(numberOfRA-PreamblesGroupA)를 차감한 개수가 그룹 C 프리앰블 개수로 결정될 수도 있다.
제 2 프리앰블 그룹(또는 그룹 C)에 속하는 프리앰블의 시작 인덱스는, 제 1 프리앰블 그룹(또는 그룹 A 및/또는 B)에 속하는 프리앰블의 종료 인덱스의 다음 인덱스로 결정될 수 있다.
추가적인 예시로서, 제 2 프리앰블 그룹(또는 그룹 C)에 속하는 프리앰블의 시작 인덱스를 지시하기 위한 오프셋(예를 들어, offsetOfRA-PreamblesGroupC)이 설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1 프리앰블 그룹(또는 그룹 A 및/또는 B)에 속하는 프리앰블이 종료 인덱스로부터 오프셋 값 만큼 이격된 프리앰블 인덱스가 제 2 프리앰블 그룹의 시작 프리앰블 인덱스가 되고, 시작 프리앰블 인덱스로부터 전체 프리앰블의 종료 인덱스 혹은 제 2 프리앰블 그룹의 수에 해당하는 프리앰블 인덱스까지가 제 2 프리앰블 그룹에 속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오프셋 대신에 제 2 프리앰블 그룹(또는 그룹 C)에 속하는 프리앰블의 시작 인덱스가 직접 설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2 프리앰블 그룹의 시작 인덱스는 제 1 프리앰블 그룹에 속하는 인덱스와 중복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프리앰블 그룹의 프리앰블 개수는, 전체 프리앰블 개수에서, 제 1 프리앰블 그룹(또는 그룹 A 및/또는 B)의 프리앰블 개수를 차감하고, 상기 오프셋 또는 제 1 프리앰블 그룹 종료 인덱스 다음 인덱스부터 제 2 프리앰블 그룹 시작 인덱스 전의 인덱스까지의 개수를 더 차감한 개수로 결정될 수 있다.
추가적인 예시로서, 제 2 프리앰블 그룹은 전체 프리앰블 그룹의 종료 인덱스로부터, 프리앰블 인덱스의 내림차순으로 소정의 개수의 프리앰블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소정의 개수는 기지국에 의해서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를 통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RO에서의 가용한 전체 프리앰블 개수는 41개로 설정되며, 가용한 프리앰블 인덱스는 0 내지 4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 1 프리앰블 그룹은 프리앰블 인덱스 0 내지 23으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리앰블 인덱스 0 내지 16은 그룹 A로 설정되고, 프리앰블 인덱스 17 내지 23은 그룹 B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 2 프리앰블 그룹은 프리앰블 인덱스 32 내지 4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프리앰블 그룹 설정은 예시적인 것일 뿐 본 개시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각각의 그룹에 속한 프리앰블 개수 및 인덱스 범위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단말은 소정의 기준에 따라서 프리앰블 그룹을 선택한 후, 선택된 프리앰블 그룹 내에서 하나의 프리앰블 인덱스를 랜덤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자신의 타입 또는 단말 캐퍼빌리티에 기초하여 제 1 또는 제 2 프리앰블 그룹 중의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반 단말인 경우 제 1 프리앰블 그룹 중에서 하나의 프리앰블 인덱스를 선택할 수 있고, RC 단말인 경우 제 2 프리앰블 그룹 중의 하나의 프리앰블 인덱스를 선택할 수 있다.
만약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수신한 프리앰블 인덱스가 어떤 프리앰블 그룹에 속하는 지에 따라 단말 타입 또는 단말 캐퍼빌리티를 초기에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수신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인덱스가 제 2 프리앰블 그룹에 속하는 경우, 기지국은 랜덤 액세스를 시도하는 해당 단말이 RC 단말 혹은 RC 단말이며 그 RC 단말의 타입, 반복 전송 레벨, 커버리지 레벨 및/또는 단말 캐퍼빌리티가 어떤 것인 지를 초기에 식별할 수 있다.
기지국 관점에서는 이러한 단말 타입 반복 전송 레벨, 커버리지 레벨 및/또는 캐퍼빌리티 정보는 후속 절차에서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RC 단말로부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수신한 것으로 식별한 경우, 이후의 절차에서 RC 단말의 저감 캐퍼빌리티에 부합하는 독립적이거나 새로운 자원, 전송, 반복 전송 등을 설정, 적용 또는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수신 후의 절차는, 랜덤 액세스 절차 중의 Msg2, Msg3 및 Msg4 교환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상향링크 채널(예를 들어, PUCCH)을 통해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HARQ-ACK/NACK에 대한 설정 또는 이에 대한 처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시로서, 단말은 전송하려는 Msg3의 크기 및 하향링크 경로손실 값에 기초하여 프리앰블 그룹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예시는 전술한 단말 타입 또는 캐퍼빌리티에 기초한 프리앰블 그룹 선택과 함께 또는 별도로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RC 단말들에 대해서 최소한의 크기를 가지는 하향링크/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해야, 일반 단말들에 대응할 만한 커버리지 및 수신 신뢰도를 시스템에서 적용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면, 랜덤 액세스 절차와 관련하여, RC 단말은 일반 단말에 비하여 작은 Msg3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Msg3 크기에 대한 소정의 임계치(예를 들어, ra-Msg3SizeGroupA)에 기초하여 단말이 프리앰블 그룹을 선택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시로서, 기지국에 의해서 프리앰블 그룹으로 그룹 A, B 및 C가 설정된 경우에, Msg3의 크기는 그룹 B > 그룹 A > 그룹 C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전송하려는 Msg3의 크기에 기초하여 표 6과 같은 조건에 따라 프리앰블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표 6의 예시에서는, RC 단말을 위한 새로운 Msg3 크기가 정의되고 이를 위한 MAC-subPDU 포맷이 정의되는 경우 (즉, 일반 단말을 위한 Msg3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Msg3 MAC-subPDU 포맷이 정의되는 경우), 새로운 Msg3 크기를 고려하여 제 2 프리앰블 그룹(또는 그룹 C)를 선택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낸다.
조건 1:
- 단말의 Msg3 크기 < ra-Msg3SizeGroupA, 및
단말에 의해 측정된 경로손실 > [PCMAX] - [preambleReceivedTargetPower] - [RC-msg3-Deltapreamble] - [messagePowerOffsetGroupC]; 또는
- 랜덤 액세스 절차가 CCCH(Common Control Channel) 논리채널을 위해서 초기화 되었고, 해당 CCCH SDU(Service Data Unit) 크기 + MAC 헤더의 크기가 ra-Msg3SizeGroupA 보다 작은 경우.
표 6의 파라미터들 중, ra-Msg3SizeGroupA는 그룹 A에 속하는 프리앰블과 연관된 Msg3 크기를 나타낸다. PCMAX는 단말 최대 송신 전력 값을 나타낸다. preambleReceivedTargetPower는 기지국이 프리앰블을 수신하기를 원하는 타겟 수신 전력을 나타낸다. RC-msg3-Deltapreamble은 RC 단말을 위한 프리앰블 전송 전력에 대한 차이값(예를 들어, preambleReceivedTargetPower와의 차이값)을 나타낸다. messagePowerOffsetGroupC는 그룹 C에 속하는 프리앰블과 연관된 Msg3의 전력 오프셋 값을 나타낸다. 만약 그룹 C에 속하는 프리앰블과 연관된 Msg3 전력 조절 값이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면(즉, 새로운 독립적인 파라미터에 의해), 상기 RC-msg3-Deltapreamble와 messagePowerOffsetGroupC는 하나의 파라미터로 대체될 수 있다.예를 들어, 단말이 전송하려는 Msg3 크기가 ra-Msg3SizeGroupA 보다 작거나 또는 이하이면서 단말에 의해 측정된 경로손실이 조건 1에서 특정하는 사항을 만족하고, 또는 단말이 전송하려는 CCCH SDU 크기와 MAC 헤더의 크기를 합한 크기가 ra-Msg3SizeGroupA보다 작은 경우에, 제 2 프리앰블 그룹(예를 들어, 그룹 C)가 선택될 수 있다.
한편, 그룹 B가 설정되고, Msg3 크기가 ra-Msg3SizeGroupA 초과인 경우에는 그룹 B가 선택될 수 있다. 또는, 그룹 B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도, 표 6과 같은 조건에 따라서 제 1 프리앰블 그룹(예를 들어, 그룹 A) 또는 제 2 프리앰블 그룹(예를 들어, 그룹 C) 중의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실시예 1-2
도 5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프리앰블 그룹 설정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의 예시와 유사하게 제 1 RO와 제 2 RO가 공유되는 경우, 하나의 SSB에 연관된 하나의 RO에 대해서 제 1 프리앰블 그룹(즉, 그룹 A 및/또는 B)가 설정되고, 제 2 프리앰블 그룹(즉, 그룹 C)가 설정될 수 있다. 도 4의 예시와 유사하게 그룹 C가 설정되지만, 프리앰블의 개수 및 범위는 도 4의 예시와 달리 도 5의 예시에서는 그룹 C가 프리앰블 인덱스 32 내지 56의 25개의 프리앰블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의 예시에서, SSB#k와 연관된 하나의 RO 내에서 가용한 프리앰블 인덱스의 개수는 전체 57개로 설정되며, 가용한 프리앰블 인덱스의 범위는 0 내지 56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 1 프리앰블 그룹은 프리앰블 인덱스 0 내지 23으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리앰블 인덱스 0 내지 16은 그룹 A로 설정되고, 프리앰블 인덱스 17 내지 23은 그룹 B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 2 프리앰블 그룹은 프리앰블 인덱스 32 내지 56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프리앰블 그룹 설정은 예시적인 것일 뿐 본 개시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각각의 그룹에 속한 프리앰블 개수 및 인덱스 범위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5의 예시에서는, 제 2 프리앰블 그룹이 최대 M 개의 (M는 1 이상의 정수) 서브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그룹은 표 5의 numRepetitionPerPreamble, sub-group-list, numberOfRA-PreamblesSubGroup 등의 파라미터에 의해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로서, 프리앰블 반복 전송 횟수(또는 반복 레벨 또는 커버리지 레벨)가 최대 M회(예를 들어, M=3)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반복 레벨 1, 2 및 3이 설정될 수 있고, 각각의 반복 레벨에 대응하는 프리앰블 서브그룹에 속하는 프리앰블의 개수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예시와 같이, 반복 레벨 1은 제 1 서브 그룹(예를 들어, 프리앰블 인덱스 32 내지 40)에, 반복 레벨 2는 제 2 서브 그룹(예를 들어, 프리앰블 인덱스 41 내지 48)에, 반복 레벨 3은 제 3 서브 그룹(예를 들어, 프리앰블 인덱스 49 내지 56)에 매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 이상의 반복 전송의 횟수(또는 반복 레벨 또는 커버리지 레벨) 값 M에 해당하는 프리앰블 인덱스 그룹을 정의할 수 있다. 만약 일반 단말과 RC 단말이 동일한 RO를 공유한다면, 일반 단말들에게 설정된 제 1 프리앰블 그룹(예를 들어, 그룹 A 및/또는 B)에 해당하는 프리앰블 인덱스들을 제외하고, 나머지 프리앰블 인덱스들을 하나 이상의 서브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서브 그룹의 각각은 서로 다른 프리앰블 반복 레벨과 일-대-일 매핑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서브 그룹의 개수는 기지국에 의해서 설정될 수 있다. 모든 서브 그룹을 포함하는 제 2 프리앰블 그룹(예를 들어, 그룹 C) 내의 프리앰블들은 모두 RC 단말을 위해서 기지국이 설정한 것이며, 해당 프리앰블 자원 또는 인덱스를 사용한 단말의 프리앰블 전송이 기지국에서 수신된다면, 기지국은 RC 단말의 랜덤 액세스 수행임을 미리 식별하여 후속하는 Msg2, Msg3, Msg4 교환 절차를 준비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프리앰블 그룹 설정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예시에서는 도 5의 예시와 유사하게 제 1 프리앰블 그룹이 설정되지만, 도 5의 예시와 달리 RC 단말을 위한 프리앰블 그룹이 하나 이상 설정될 수 있다. 또한, RC 단말을 위한 하나 이상의 프리앰블 그룹의 각각은 하나의 반복 레벨(또는 커버리지 레벨)에 대응할 수 있다.
즉, 도 5의 예시와 같이 제 2 프리앰블 그룹 내에서 반복 레벨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서브 그룹이 설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6의 예시에서는 RC 단말을 위해서 반복 레벨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프리앰블 그룹(예를 들어, 제 2, 제 3, 제 4, ... 프리앰블 그룹, 또는 그룹 C, D, E, ...)이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은 자신의 캐퍼빌리티(예를 들어, 반복 레벨) 및/또는 하향링크 경로손실의 측정값에 따라서 독립적인 프리앰블 반복 전송을 수행하도록 기지국이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자신의 캐퍼빌리티 및/또는 하향링크 경로손실의 측정값을 기반으로 설정된/결정된 반복 전송에 대응하는 프리앰블 그룹(또는 서브 그룹)을 선택하고, 선택된 프리앰블 그룹(또는 서브 그룹) 내에서 하나의 프리앰블을 선택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된 프리앰블 인덱스가 어떤 프리앰블 그룹(또는 서브 그룹)에 속하는지 (즉, 해당 단말이 어떤 반복 레벨을 지원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해당 단말의 캐퍼빌리티를 대략적으로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해당 단말(특히 RC 단말)의 캐퍼빌리티를 고려하여 후속하는 Msg2, Msg3, Msg4 교환을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리앰블 반복 전송 횟수(또는 반복 레벨 또는 커버리지 레벨)이 설정되는 경우, 이를 고려하여 단말이 프리앰블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전송하려는 Msg3의 크기에 기초하여 표 7과 같은 조건에 따라 프리앰블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조건 2:
- 단말의 Msg3 크기 < ra-Msg3SizeGroupA, 및
단말에 의해 측정된 경로손실 > [PCMAX] - [preambleReceivedTargetPower'] - [RC-msg3-Deltapreamble'] - [messagePowerOffsetGroupC']; 또는
- 랜덤 액세스 절차가 CCCH 논리 채널을 위해서 초기화 되었고, 해당 CCCH SDU 크기 + MAC 헤더의 크기가 ra-Msg3SizeGroupA 보다 작은 경우.
표 7의 파라미터들 중, [preambleReceivedTargetPower'], [RC-msg3-Deltapreamble'], [messagePowerOffsetGroupC']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 값들은 프리앰블 반복 전송 레벨 또는 MSG3 반복 전송 레벨(단말에게 설정되거나 단말에 의해서 결정) 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즉, 표 6의 예시에서 [preambleReceivedTargetPower], [RC-msg3-Deltapreamble] 및 [messagePowerOffsetGroupC] 파라미터들은 프리앰블 반복 전송 레벨 또는 Msg3 반복 전송 레벨과 무관하게 기지국에 의해서 주어지지만, 표 7의 예시에서 [preambleReceivedTargetPower'], [RC-msg3-Deltapreamble'], [messagePowerOffsetGroupC'] 중의 하나 이상은 프리앰블 반복 전송 레벨 또는 Msg3 반복 전송 레벨에 기초하여 기지국에 의해서 설정되거나 단말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전송하려는 Msg3 크기가 ra-Msg3SizeGroupA 보다 작거나 또는 이하이면서 단말에 의해 측정된 경로손실이 조건 2에서 특정하는 사항(즉, 조건 1에 비하여 반복 레벨을 추가적으로 고려한 요건)을 만족하고, 또는 단말이 전송하려는 CCCH SDU 크기와 MAC 헤더의 크기를 합한 크기가 ra-Msg3SizeGroupA 보다 작은 경우에, 제 2 프리앰블 그룹(또는 제 2, 제 3, 제 4, ... 프리앰블 그룹, 또는 그룹 C, D, E, ... 중의 하나)이 선택될 수 있다.
한편, 그룹 B가 설정되고, Msg3 크기가 ra-Msg3SizeGroupA 초과인 경우에는 그룹 B가 선택될 수 있다. 또는, 그룹 B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도, 표 6과 같은 조건에 따라서 제 1 프리앰블 그룹(예를 들어, 그룹 A) 또는 제 2 프리앰블 그룹(예를 들어, 그룹 C, 또는 제 2, 제 3, 제 4, ... 프리앰블 그룹, 또는 그룹 C, D, E, ... 중의 하나)이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SIB1 또는 dedicated RRC signaling)을 통하여 RC 단말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전송에 대한 반복 전송 횟수(또는 반복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시스템 정보를 통하여 설정된 반복 전송 횟수(또는 반복 레벨)에 따라서 제 2 프리앰블 그룹 내에서(구체적으로, 제 2 프리앰블 그룹 내에서 반복 레벨에 매핑되는 특정 서브 그룹 내에서, 또는 제 2, 제 3, 제 4, ... 프리앰블 그룹, 또는 그룹 C, D, E, ... 중의 하나에서) 선택된 하나의 프리앰블을 반복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향링크 커버리지 손실이 보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지국은 단말이 전송하는 특정 프리앰블 그룹 및/또는 프리앰블 인덱스를 기준으로, RC 단말에 의한 랜덤 액세스 시도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만약 RC 단말로부터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전송임을 식별한 경우, 기지국은 후속하는 RAR(또는 Msg2) 전송에 있어서 RC 단말에 적합한 저감된 메시지 크기, 반복 전송 적용 여부 등을 설정하고, 이에 기초하여 해당 RC 단말에 대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 1-3
하나의 SSB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RO를 일반 단말과 RC 단말이 공유하는 경우를 가정한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SSB와 연관된 복수의 RO가 존재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RO는 일반 단말에 대해서 설정되며, 상기 복수의 RO 중의 일부가 RC 단말에 대해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SSB와 RO의 연관 관계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RC 단말의 프리앰블 반복 전송을 위한 SSB-대-RO 연관을 위한 설정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초기 액티브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 설정과, RC 단말을 위한 RO(즉, 제 2 RO) 설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SIB1 또는 전용 RRC 시그널링)에는 RC 단말의 프리앰블 전송에 대해서 반복 전송이 적용되도록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다른 정보 또는 다른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프리앰블 그룹 및/또는 인덱스, 프리앰블 전송 전력 오프셋 등)에 기초하여, 단말의 프리앰블 반복 전송 레벨이 묵시적으로 지시될 수도 있다.
또한, 단말이 프리앰블 반복 전송이 수행되기 위해서는, SSB-대-RO 연관을 새롭게 정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일반 단말을 위한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는 프리앰블의 반복 전송이 지원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나의 Msg1 전송 단계에서(즉, 프리앰블 전송 후 RAR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 수행되는 프리앰블 재전송과 구별하여) 프리앰블의 반복 전송을 지원하기 위해서, RO 설정 및 선택을 위한 새로운 방안이 요구된다.
본 개시에 따른 RC 단말을 위한 제 2 프리앰블 그룹 내의 특정 반복 전송 횟수에 대응하는 프리앰블 인덱스 또는 프리앰블 인덱스 그룹들은 기지국에 의해서 설정될 수 있으며, 어떤 프리앰블 인덱스 또는 프리앰블 인덱스 그룹 사용할 것인지 또한 기지국이 RC 단말을 위해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에 의해서 설정된 반복 전송 횟수에 대응하는 인덱스 및/또는 프리앰블 인덱스 그룹들 중에서 단말의 채널 환경(예를 들어, 경로손실의 측정값, CSI, HARQ-ACK, SSB/CSI-RS 기반 RSRP/RSRQ 등) 및/또는 단말 캐퍼빌러티/카테고리/타입에 기반하여 특정 반복 전송 횟수에 대응하는 프리앰블 인덱스 및/또는 프리앰블 인덱스 그룹을 단말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RC 단말에 대해서, 하나 이상의 RO에 연관된 프리앰블 인덱스(또는 프리앰블 그룹)와 반복 레벨(또는 반복 전송 횟수)의 대응 관계가 사전에 제공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대응 관계는 기지국에 의해서 제공될 수도 있고, 기지국으로부터의 시그널링 없이도 미리 정해진 규칙으로서 주어질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단말이 결정한 반복 레벨에 대응하는 RO 및/또는 프리앰블(또는 프리앰블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수신한 경우, 해당 프리앰블의 인덱스, 해당 프리앰블이 속한 프리앰블 그룹, 또는 해당 프리앰블이 수신된 RO 중의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해당 단말의 반복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 따른 프리앰블 반복전송 방식은 상기와 같은 방법들에 의해서 선택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리앰블 인덱스들과 이하 언급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선택된 RO들과의 조합을 통해서 최종적인 프리앰블 반복전송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만약 오직 하나의 RO 만이 단말에 의해서 선택 되도록 설정/결정 되었다면, RC 단말의 프리앰블 반복전송을 위해 해당 RO 내의 프리앰블 그룹(제 2프리앰블 그룹) 내의 하나 이상의 프리앰블 인덱스를 선택하여 복수의 프리앰블 전송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하나 이상의 FDM, TDM 또는 FDM 및 TDM 조합을 고려하여 선택한 복수의 RO들을 통해 선택한 각각의 RO 마다 RC 단말을 위한 프리앰블을 선택하여 반복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RC 단말의 하나의 프리앰블 반복 전송에 연관된 복수의 RO 내 프리앰블 인덱스의 값들은 미리 정해진 규칙이나 추가적인 기지국 시그널링에 의해서 서로 같거나 혹은 다르게 선택될 수 있다. 즉, 하나의 프리앰블 반복 전송에 연관된 프리앰블 인덱스 및 RO들에 대한 선택은 미리 정해진 규칙(예를 들어, 연속적인 혹은 규칙에 의한 프리앰블 인덱스 및 하나의 SSB에 연관된 시간/주파수 도메인 상의 연속적인 RO) 또는 기지국 상위레이어 시그널링에 따라서 하나의 프리앰블 반복전송에 연관된 프리앰블 인덱스들 및/또는 RO 자원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기지국 수신단에서 하나의 RC 단말에 의한 하나의 프리앰블 반복 전송의 연관성을 쉽게 파악하여 이후 RAR 전송 내에 포함되는 RAPID (Random Access Preamble ID)값등 올바른 프리앰블 수신을 통해서 획득하는 정보들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언급한 RO에 관한 내용은 이후 RO 선택에 대한 방법에도 동일하게 가정되어야 한다.
도 7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초기 액티브 대역폭부분(BWP) 설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RO는 특정 자원 상에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자원은 BWP로 정의될 수 있으며, 초기 액티브 BWP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정 자원은 초기 액티브 상향링크(Initial Active Uplink, IAU) BWP라 칭할 수 있다. 만약 단말이 이후, RRC CONNECTED 모드로 진입하였을 시에는 전용 RRC 시그널링 에 의해서 RC 단말을 위한 BWP 설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RRC CONNECTED 모드 RC 단말을 위한 BWP 설정은 초기 액세스(initial access) 상에서 설정되는 IAU BWP와는 다를 수 있다. 기본적으로, RC 단말은 RRC 연결모드 인지 아닌지에 상관없이 설정된 BWP 상에서 RO가 정의된다고 가정한다. 먼저, RO 설정에 앞서서 초기 셀접속시에 고려되는 IAU BWP 설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반면, RRC 연결 모드 상에서 설정될 수 있는 BWP는 IAU BWP와 다른 설정(예를 들어, 대역폭, 뉴머럴러지 등)을 가질 수 있지만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설정된 BWP 내에 RO들이 정의된다는 것은 동일하게 가정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일반 단말(또는 광대역 NR UE)들을 위한 IAU BWP(즉, 제 1 IAU BWP)는 설정될 수 있다 (도 7의 대한 IAU BWP). 또한, RC 단말들을 위한 IAU BWP(즉, 제 2 IAU BWP)가 설정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IAU BWP는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SIB1 또는 전용 RRC 시그널링)을 통하여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RRC CONNECTED 모드 인 경우에는 전용 RRC 시그널링을 통해서 RC 단말의 랜덤 액세스 수행을 위한 제 2 IAU BWP가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IAU BWP는 제 1 IAU BWP의 일부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제 2 IAU BWP의 일부분이 제 1 IAU BWP의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또는, 제 1 IAU BWP와 제 2 IAU BWP가 중첩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또는, 제 1 IAU BWP와 제 2 IAU BWP가 동일하게(또는, 전부 중첩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정보에서 제 1 IAU BWP에 대한 설정 파라미터와 제 2 IAU BWP에 대한 설정 파라미터가 별도로 정의될 수 있다. 또는, 시스템 정보에서 제 1 및 제 2 IAU BWP에 대해서 공통의 설정 파라미터가 정의될 수도 있다. 만약, 제 2 IAU BWP 설정 파라미터가 별도로 정의되지 않는 경우, 제 1 IAU BWP에 대한 설정 파라미터를 그대로 제 2 IAU BWP의 설정 파라미터로서 적용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RO 설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RO 설정 파라미터(제 1 RO 설정 파라미터)는, 하나의 SSB에 연관되는 RO의 개수를 지시할 수 있다. 제 1 RO 설정 파라미터는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SIB1)을 통하여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RO 설정 파라미터는 표 5의 ssb-perRACH-OccasionAndCB-PreamblesPerSSB 파라미터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RO 당 SSB의 개수, 및 SSB 당 CBRA(Contention-Based Random Access) 프리앰블 개수가 지시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RC 단말에 대한 새로운 RO 설정 파라미터(제 2 RO 설정 파라미터)를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RC 단말에 대한 제 2 RO 설정 파라미터는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SIB1)을 통하여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RO 설정 파라미터는 ssb-perRACH-OccasionAndCB-PreamblesPerSSB-RCNR라 칭할 수 있다.
일반 단말과 달리 RC 단말에 대해서는, 커버리지 손실에 대한 추가적인 보상을 위해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반복 전송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반복적인 프리앰블 전송은 각각의 연관된 SSB 마다 수행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RC 단말은, 제 1 RO 설정 파라미터(예를 들어, ssb-perRACH-OccasionAndCB-PreamblesPerSSB)에 의해서 지시되는 SSB에 연관되는 RO개수 내에서, 제2 RO 설정 파라미터(예를 들어, ssb-perRACH-OccasionAndCB-PreamblesPerSSB-RCNR)에 의해서 지시되는 특정 RO를 RC 단말의 프리앰블 전송을 위한 RO로서 고려할 수 있다. 즉, RC 단말은 일반 단말과 공유하는 하나 이상의 RO 집합 중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RO를 선택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은 복수의 SSB(예를 들어, SSB1, SSB2, SSB3, ...) 중에서 가장 좋은 SSB-RSRP 값이 측정된 하나의 SSB를 이후 연관된 RO 선택을 위해 선택할 수 있다. 단말은 선택한 하나의 SSB 인덱스와 연관된 RO들 중에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반복 전송을 위해서 사용할 하나 이상의 RO를 선택할 수 있다., 하나의 프리앰블 반복전송에 연관된 그 하나 이상의 RO를 선택하는 방식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규칙(예를 들어, 시간/주파수 도메인 상 연속적인 RO 또는 미리 정해진 RO 패턴) 혹은 기지국 시그널링에 의해서 설정된 RO를 기반한다.
여기서, RO는 시간 도메인 자원(예를 들어, PRACH 슬롯) 및 주파수 도메인 자원(예를 들어, 서브캐리어, RE, RB, 또는 BWP)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RO는 시간분할다중화(TDM) 및/또는 주파수분할다중화(FDM) 방식으로 구별될 수 있다. 즉, 동일한 주파수 도메인 자원 상에서 복수의 RO가 상이한 시간 도메인 자원에 의해서 구별될 수도 있고, 동일한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복수의 RO가 상이한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의해 구별될 수 있다.
도 8의 예시에서, prach_FDM은 동일한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RO를 구별하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개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prach_FDM=4는 동일한 하나의 시간 도메인 자원(또는 PRACH 슬롯) 상에서 4 개의 구별되는 RO가 설정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ssb_per_RO는 SSB와 RO의 연관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ssb_per_RO의 값은 x/y 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만약, x가 1이고 y가 1, 2, 4, 8, ... 인 경우, 하나의 SSB에 대해서 1개의 RO, 2개의 RO, 4개의 RO, 8개의 RO, ... 가 연관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만약, y가 1이고 x가 1, 2, 4, 8, ... 인 경우, 하나의 RO에 대해서 1개의 SSB, 2개의 SSB, 4개의 SSB, 8개의 SSB, ... 가 연관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x/y 값이 1보다 큰 정수인 경우에 하나의 RO에서 가용한 개수(최대 64개)의 프리앰블이 하나 이상의 SSB에 나눠서 연관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8의 예시에서, ssb_per_RO=1/8는 하나의 SSB에 대해서 8 개의 구별되는 RO가 설정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되는 RO(들)의 시간-주파수 도메인 상에서의 위치는,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SIB1 내의 PRACH 설정 정보)를 통하여 단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자신이 선택한 SSB와 연관되는 RO의 시간-주파수 도메인 상에서의 위치를 모두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SB#2에 연관되는 8개의 RO는, 제 1 시간 자원 상에서 제 1 내지 제 4 주파수 자원에 대응하는 4개의 RO와, 제 2 시간 자원 상에서 제 1 내지 제 4 주파수 자원에 대응하는 추가적인 4개의 RO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의 예시에서, 단말이 SSB#2를 선택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또한, 각각의 SSB는 2 개의 시간 도메인 RO 자원(또는 PRACH 슬롯)에 매핑되고, prach_FDM 값이 4이므로 하나의 시간 도메인 RO 자원 상에서 4개의 구별되는 RO 자원이 설정되므로, 결과적으로 하나의 SSB에 대해서 8개의 구별되는 RO 자원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RO 설정 정보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의 시스템 정보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일반 단말(또는 wideband UE)의 경우에는 SSB#2와 연관된 RO들 중에서 랜덤하게 하나의 RO를 선택하여 프리앰블 전송을 시도할 수 있다. 도 8에서 일반 단말은 SSB#2와 연관된 8개의 RO 중에서 제 1 시간 자원 및 제 3 주파수 자원 상의 하나의 RO를 선택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RC 단말의 경우에는 프리앰블 반복 전송을 지원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RO를 반복 레벨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SB#2와 연관된 RO들 중에서, 반복 레벨이 1인 경우에는 하나의 RO를 선택하고, 반복 레벨이 2인 경우에는 2 개의 RO를 선택할 수 있다. 도 8의 예시에서 RC 단말은 시스템 정보 또는 다른 시스템 파라미터를 통해서 반복 레벨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반복 레벨(또는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서 그에 대응하는 RO(들)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RC 단말이 반복 전송을 위해서 하나 이상의 RO를 선택함에 있어서, 가용한 RO 중에서 랜덤하게 하나 이상의 RO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RC 단말은 가용한 RO 중에서 소정의 패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RO를 선택할 수도 있다. 또는, RC 단말은 가용한 RO 중에서 시간 도메인 자원 인덱스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 인덱스가 낮은(또는 가장 높은) 순서대로 하나 이상의 RO를 선택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가용한 RO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 정보에 의해서 지시되는, RC 단말이 일반 단말과 공유하는 하나 이상의 RO 집합 중의 일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도 8에서 RC 단말에 대한 반복 레벨은 2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SSB#2에 연관되는 8개의 RO 중에서, RC 단말은 제 1 시간 자원 및 제 1 주파수 상의 하나의 RO와, 제 2 시간 자원 및 제 1 주파수 자원 상의 또 다른 RO를 선택할 수 있다. RC 단말은 선택된 2개의 RO에서 동일한 프리앰블을 반복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8에서 RC 단말의 RO 선택은 예시적인 것이며, 본 개시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반복 전송은 시간 도메인 상에서 구별되는 복수의 RO 상에서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반복 전송은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구별되는 복수의 RO 상에서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반복 전송은 시간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구별되는 복수의 RO 상에서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제 1 및 제 2 RO가 별도로 설정되는 경우,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단말이 RC 단말인지 여부를 기지국에게 알리는 방안을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 1에서는 일반 단말과 RC 단말에 대해서 공통의 또는 일부 중복의 랜덤 액세스 관련 설정이 적용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반 단말과 RC 단말에 대해서 독립적인 랜덤 액세스 관련 설정을 기반으로, 일반 단말에 대한 제 1 RO와 RC 단말에 대한 제 2 RO를 나누어(즉, 별도로) 설정하는 경우에서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전송 방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RO 설정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서는 일반 단말에 대한 제 1 RO와 RC 단말에 대한 제 2 RO가 별도로 설정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이 경우, RC 단말에 대해서 독립적인 RO 설정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RC 단말에 대해서 독립적인 RO가 설정되는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RC 단말은 RO 상에서 프리앰블 전송(특히, 프리앰블 반복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RC 단말에 대한 독립적인 RO 설정이란, 시스템 정보를 통하여 일반 단말과 RC 단말에 대해서 공통으로(또는 일반 단말과 RC 단말을 구분하지 않고) 설정되는 전체 RO 내에서, 일부 RO(들)를 RC 단말을 위해서 할당 또는 설정하고, 나머지 RO(들)를 일반 단말을 위해서 할당 또는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일반 단말을 위한 제 1 RO에 대한 설정과, RC 단말을 위한 제 2 RO에 대한 설정을 별도의 시스템 정보 파라미터를 통하여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에 추가적으로, RO mask 시그널링(예를 들어, rc-ssb-sharedROmaskindex)을 통해서, 일반 단말과 RC 단말에 대해서 공통으로(또는 일반 단말과 RC 단말을 구분하지 않고) 설정되는 전체 RO 중에서, 일반 단말과 RC 단말 각각을 위한 가용한 RO가 지시 또는 설정될 수 있다.
도 9의 예시에서는 일반 단말(또는 wideband UE)에 대해서 SSB#2에 연관되는 2개의 제 1 RO가 설정되고, 이와 별도로 RC 단말에 대해서 SSB#2에 연관되는 2개의 제 2 RO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 2 개의 제 1 RO와 상기 2 개의 제 2 RO는 시간 자원 및/또는 주파수 자원 상에서 구별될 수 있다.
위와 같은 RO 설정들은 예시일 뿐, 본 개시의 범위가 특정 RO 설정 방식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일반 단말과 RC 단말에 대한 RO가 임의의 방식으로 설정되는 것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에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는 다양한 RO 설정 방식에 의해서 일반 단말과 RC 단말에 대해서 별도의 RO가 설정되는 것을 가정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프리앰블 전송 방안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일반 단말과 RC 단말에 대해서 일부 또는 전부 공통의 RO가 설정되므로, 일반 단말과 RC 단말을 구별하기 위하여 새로운 프리앰블 그룹(예를 들어, 제 2(, 제 3, 제 4, ...) 프리앰블 그룹, 또는 그룹 C(, D, E, ...))이 정의될 필요가 있다. 이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일반 단말에 대한 제 1 RO와 RC 단말에 대한 제 2 RO가 구별되어 설정되므로, 일반 단말과 RC 단말을 구별하기 위한 새로운 프리앰블 그룹이 정의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새로운 프리앰블 그룹을 정의하지 않고, 반복 레벨(또는 반복 전송 횟수/레벨 또는 커버리지 레벨)에 따라서 프리앰블 인덱스 그룹 및/또는 RO를 선택하는 방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일반 단말과 RC 단말에 대해서 별도의 RO가 설정되는 경우, 각각에 대해서 상이한 프리앰블 포맷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C 단말은 일반 단말에 대해서 설정되는 프리앰블 포맷 모두를 지원하지 않고 일부만을 지원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반 단말에 대해서 제 1 프리앰블 타입(예를 들어, 짧은 프리앰블 타입) 및 제 2 프리앰블 타입(예를 들어, 긴 프리앰블 타입)이 지원되는 경우, RC 단말은 제 1 및 제 2 프리앰블 타입 중 특정 프리앰블 포맷(예를 들어, 제 2 프리앰블 타입)만을 지원할 수도 있다. 또는, 일반 단말에 대해서 프리앰블 포맷 인덱스 (예를 들어, 프리앰블 포맷 #0, #1, #2, #3, A1, A2, A3, B1, B2, B3, B4, C0, C2 등)이 지원되는 경우, RC 단말은 특정 프리앰블 포맷 인덱스(예를 들어, 프리앰블 포맷 #0, #1, #2, #3)만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RC 단말에 대한 프리앰블 타입 또는 포맷의 제한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기지국에 의한 설정에 따라 또는 미리 정의된 방식으로 RC 단말이 이용가능한 프리앰블 타입 및/또는 포맷이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일반 단말과 RC 단말에 대해서 별도의 RO를 설정하기 위해서, 랜덤 액세스 관련 설정 테이블이 이용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관련 설정 테이블은, 각각의 랜덤 액세스 관련 설정 인덱스(예를 들어, PRACH 설정 인덱스(Configuration Index))에 대응하는 설정 파라미터의 집합(예를 들어, 프리앰블 포맷, 주기, 서브프레임 번호, 시작 심볼, PRACH 슬롯의 개수, PRACH 슬롯 내 시간 도메인 RO 개수, PRACH 듀레이션 등)을 미리 정의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반 단말과 RC 단말에 대해서 공통으로(또는 일반 단말과 RC 단말을 구분하지 않고) 적용되는 전체 RO가 설정되는 경우, 각각의 타입의 단말은 설정된 전체 RO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전체 RO 중의 일부 RO(들)가 RC 단말을 위해서 (또는 일반 단말에 대해서 배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일반 단말과 RC 단말은 동일한 랜덤 액세스 관련 설정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prach-ConfigurationIndex 값은, 일반 단말과 RC 단말에게 동일한 랜덤 액세스 파라미터의 집합을 지시할 수 있다.
일반 단말을 위한 제 1 RO에 대한 설정과, RC 단말을 위한 제 2 RO에 대한 설정을 별도의 시스템 정보 파라미터를 통하여 개별적으로 설정되는 경우, 각각의 타입의 단말은 독립적인 랜덤 액세스 관련 설정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prach-ConfigurationIndex 값은, 일반 단말과 RC 단말에게 상이한 랜덤 액세스 파라미터의 집합을 지시할 수 있다. 한편, 제 1 RO와 제 2 RO가 개별적으로 설정되는 경우라도, RC 단말을 위한 별도의 랜덤 액세스 관련 설정 테이블이 정의되지 않는 경우, 일반 단말을 위한 랜덤 액세스 관련 설정 테이블을 RC 단말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prach-ConfigurationIndex 값은, 일반 단말과 RC 단말에게 동일한 랜덤 액세스 파라미터의 집합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일반 단말과 RC 단말에 대해서 별도의 RO가 설정되는 경우, 일반 단말에 대한 제 1 RO 및 RC 단말에 대한 제 2 RO는 시간 자원 및/또는 주파수 자원 상에서 구별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RO와 제 2 RO에 대해서 FDM 관련 설정이 기지국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다. 즉, 동일한 시간 자원 상에서도 제 1 및 제 2 RO가 주파수 자원 상에서 구별(즉, FDM)될 수 있다. 제 1 및 제2 RO의 FDM 설정을 위해서, 예를 들어, 기지국은 표 5의 msg1-FDM 및 msg1-FrequencyStart 파라미터를, 일반 단말과 RC 단말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만약 RC 단말을 위한 독립적인 FDM 관련 파라미터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RC 단말은 일반 단말에 대한 FDM 관련 파라미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일반 단말에 대한 제 1 RO 및 RC 단말에 대한 제 2 RO는 시간 및/또는 주파수 상에서 구별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RO는 각각의 가용 RO(또는 RO 후보 또는 RO 풀)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일반 단말이 선택하는 RO와 RC 단말이 선택하는 RO는 구별되지만, 일반 단말이 RO를 선택할 수 있는 범위와 RC 단말이 RO를 선택할 수 있는 범위는 일부 또는 전부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일반 단말과 RC 단말에 대한 각각의 RO 후보가 시간 자원 및 주파수 상에서 중첩되는 경우에, 해당 RO 후보에 대해서 일반 단말과 RC 단말 모두 유효하지 않은(invalid)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즉, 해당 RO 후보는 제 1 RO 또는 제 2 RO 중 어느 것로도 선택되지 않음). 또는, 해당 RO 후보에 대해서 RC 단말은 유효하지 않다고 가정하는 반면, 일반 단말은 유효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즉, 해당 RO 후보는 제 1 RO로 선택될 수 있지만 제 2 RO로는 선택되지 않음). 또는, 해당 RO 후보에 대해서 일반 단말은 유효하지 않다고 가정하는 반면, RC 단말은 유효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즉, 해당 RO 후보는 제 1 RO로 선택되지 않지만 제 2 RO로 선택될 수 있음). 또는, 해당 RO 후보에 대한 선택 여부는 단말의 자체적인 설정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또한, 일반 단말과 RC 단말에 대해서 별도의 RO가 설정되는 경우, 일반 단말과 RC 단말의 프리앰블 전송을 위한 SCS 값이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단말의 프리앰블 전송에 대해서 제 1 SCS 값이, RC 단말의 프리앰블 전송에 대해서 제 2 SCS 값이 각각 설정되거나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C 단말의 경우에 프리앰블 반복 전송을 위해서 동일한 시간 내에 보다 많은 RO를 확보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서 일반 단말에 비하여 RC 단말에 대해서 더 높은 SCS 값이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일반 단말과 RC 단말에 대해서 별도의 RO가 설정되는 경우, RO 당 SSB의 개수, 및 SSB 당 CBRA 프리앰블 개수는 일반 단말과 RC 단말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단말에 대해서는 표 5의 ssb-perRACH-OccasionAndCBPreamblesPerSSB 파라미터가 적용되고, RC 단말에 대해서는 표 5의 ssb-perRACH-OccasionAndCB-PreamblesPerSSB-RCNR 파라미터가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서, 일반 단말과 RC 단말에 대해서 별도의 RO가 설정되는 경우, 하나의 RO에는 하나의 타입의 단말에 대한 프리앰블이 설정될 수 있다. 즉, 제 1 RO에는 일반 단말에 대한 프리앰블만이 설정되고, 제 2 RO에는 RC 단말에 대한 프리앰블만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RC 단말을 위한 제 2 RO에서 하나 이상의 반복 레벨이 적용되는 경우, 일반 단말을 위한 프리앰블 그룹(예를 들어, 그룹 A 및/또는 B)는 제 2 RO에서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RC 단말을 위한 제 2 RO에서는, 일반 단말을 위한 제 1 프리앰블 그룹은 정의되지 않고, RC 단말을 위한 제 2(, 제 3, 제 4, ...) 프리앰블 그룹(또는 그룹 C(, D, E, ...))만이 정의될 수 있다. 즉, 반복 레벨이 1로 설정되는 경우, 제 2 RO에서 제 2 프리앰블 그룹(또는 그룹 C)만이 정의될 수 있다. 반복 레벨이 2 이상으로 설정되는 경우, 제 2 RO에서 제 2, 제 3, ... (또는 그룹 C, D, ...)가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프리앰블 그룹 인덱스는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제 2 RO 내에서 복수의 프리앰블 그룹은 (일반 단말에 대한 제 1 RO 내에서의 프리앰블 그룹과 독립적으로) 제 1, 제 2, 제 3, ... 프리앰블 그룹(또는 그룹 A, B, C, ...)로 지칭할 수도 있다.
실시예 2-1
도 10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프리앰블 그룹 설정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서는 RC 단말을 위한 하나의 SSB에 대응하는 하나의 RO(예를 들어, 제 2 RO) 내에서의 프리앰블 설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하나의 RO 내에서 프리앰블 인덱스 0 내지 47 범위의 총 48 개의 프리앰블 개수가 설정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시스템에 의해 설정되는 하나의 SSB에 연관되는 4가지 반복 레벨(또는 커버리지 레벨)에 따라서 상이한 4개의 프리앰블 그룹이 설정될 수 있다. 각각의 프리앰블 그룹에 속하는 프리앰블의 개수는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이에 추가적으로, 각각의 프리앰블 그룹마다 실제 이용가능한 프리앰블 인덱스 세트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SB#k에 연관된 하나의 RO 내의 제 1 프리앰블 그룹 (또는 그룹 A)는 반복 레벨#1에 대응하고, 그룹 A는 전체 프리앰블 인덱스 0 내지 15의 17개의 프리앰블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체 16개의 프리앰블 인덱스 중에서 실제 이용가능한 프리앰블 인덱스들의 개수는 16보다 작은 값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 2, 제 3 및 제 4 프리앰블 그룹(또는 그룹 B, C, D)에 대해서도, 각각의 그룹마다의 전체 프리앰블 인덱스의 범위 내에서 실제 이용가능한 프리앰블 인덱스의 개수 또는 집합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SSB마다 연관된 RO 각각에 대해서, 하나의 RO에 연관된 프리앰블 그룹의 개수, 및 프리앰블 그룹 마다 설정된 프리앰블 인덱스의 개수가 설정될 수 있으며, 프리앰블 그룹마다 설정된 프리앰블 인덱스의 전체 개수 중에서 실제 이용가능하도록 설정된 프리앰블 인덱스의 개수 또는 집합이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0의 예시에서 단말이 최적의 SSB-RSRP에 기초하여 SSB#k를 선택한 것으로 가정한다. SSB#k에 연관되는 하나 이상의 RO 각각에 대해서 4개의 반복 레벨(또는 커버리지 레벨)에 대응하는 4개의 프리앰블 그룹이 설정될 수 있다. 단말은 자신의 캐퍼빌리티에 따라서 반복 레벨을 결정하고, 결정된 반복 레벨에 대응하는 하나의 프리앰블 그룹 중에서 (또는 하나의 프리앰블 그룹 내의 이용가능한 프리앰블 인덱스 범위 중에서) 하나의 프리앰블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프리앰블은 상기 반복 레벨에 따라서 반복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반복 레벨 #2로 결정한 경우, 제 2 프리앰블 그룹(또는 그룹 B)를 선택할 수 있고, 그룹 B 내의 전체 프리앰블 인덱스 16 내지 22 중에서(또는 프리앰블 인덱스 16 내지 22 중에서 이용가능하게 설정된 프리앰블 인덱스 개수 또는 집합 중에서) 하나의 프리앰블 인덱스를 선택할 수 있다. 단말은 선택된 프리앰블 인덱스에 해당하는 프리앰블을 2회 반복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해당 RO에서 제 2 프리앰블 그룹(또는 그룹 B)에 속하는 프리앰블이 수신된 것으로부터 해당 단말의 반복 레벨(또는 커버리지 레벨)을 파악할 수 있다.
실시예 2-2
도 11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프리앰블 그룹 설정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하나 이상의 SSB에 하나의 RO가 연관되고, 하나의 SSB에 대응하는 RO에서 하나 이상의 반복 레벨에 대응하는 프리앰블 그룹이 설정될 수 있다.
도 11의 예시에서는 하나의 RO에 2 개의 SSB(즉, SSB#k 및 SSB#k+1)이 연관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 하나의 RO에 대응하는 전체 프리앰블 인덱스의 집합은 각각의 SSB에 대응하는 부분들로 구별될 수 있다. 하나의 RO에 대응하는 전체 프리앰블 인덱스 0 내지 63 중에서, 0 내지 23 범위의 프리앰블 인덱스는 SSB#k에 대응하고, 32 내지 55 범위의 프리앰블 인덱스는 SSB#k+1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SSB에 대응하는 프리앰블 인덱스 부분 내에서, 반복 레벨에 따라 하나 이상의 프리앰블 그룹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SB#k에 대응하는 프리앰블 인덱스 부분(0 내지 23) 중에서, 반복 레벨 #1, #2, #3 및 #4에 각각 대응하는 프리앰블 그룹 A, B, C 및 D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SSB#k+1에 대응하는 프리앰블 인덱스 부분(32 내지 55) 중에서, 반복 레벨 #1, #2, #3 및 #4에 각각 대응하는 프리앰블 그룹 A, B, C 및 D가 설정될 수 있다. 즉, 하나의 RO 내에서, 해당 RO에 연관된 SSB의 개수와 (최대) 반복 레벨의 곱에 해당하는 개수의 프리앰블 그룹이 설정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RO 내에서, 각각의 SSB에 해당하는 프리앰블 부분을 프리앰블 그룹으로 설정하고, 해당 프리앰블 그룹 내에서 반복 레벨에 대응하는 프리앰블 인덱스의 집합을 서브 그룹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하나의 RO 내에서 각각의 프리앰블 그룹(또는 서브 그룹)에 대한, 시작 인덱스, 종료 인덱스, 및/또는 프리앰블 인덱스의 개수에 대한 정보는, 사전에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통해서 단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하나의 RO 내에서 대응하는 SSB 및 반복 레벨에 따라서 프리앰블 그룹(또는 서브 그룹)을 선택하고, 그 중에서 하나의 프리앰블을 선택하여 기지국으로 (반복)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기지국은 해당 RO에서 어떤 프리앰블 그룹에 속하는 프리앰블이 수신된 것인지 식별함으로써, 해당 RO에 연관된 SSB 및 해당 단말의 반복 레벨(또는 커버리지 레벨)을 파악할 수 있다.
실시예 2-3
도 12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프리앰블 그룹 설정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하나의 SSB에 연관되는 복수의 RO가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RO는 반복 레벨에 따라서 그룹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서로 다른 반복 레벨(또는 커버리지 레벨)에 대응하는 독립적인 RO가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하나의 RO 내의 프리앰블 인덱스들을 반복 레벨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프리앰블 그룹으로 설정하는 경우에 해당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RO 내의 프리앰블 인덱스들은 모두 동일한 반복 레벨에 대응하고, 서로 다른 반복 레벨은 서로 다른 RO(또는 RO 그룹)에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RO 또는 RO 그룹 단위로 프리앰블 반복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반복 레벨에 대응하는 RO 또는 기지국의 설정에 따른 RO를 선택하고, 해당 RO 내에서 프리앰블 인덱스를 선택하여 기지국으로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반복 레벨에 대응하는 RO 그룹 내에서, 상기 특정 반복 레벨에 대응하는 개수의 복수의 RO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RO의 각각에서 단말은 프리앰블 인덱스를 선택하고, 상기 복수의 RO 상에서 선택된 프리앰블 인덱스에 기초하여 프리앰블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RO의 각각에서 단말은 동일한 또는 상이한 프리앰블 인덱스를 선택할 수도 있고, 또는 각각의 RO에서 랜덤으로 프리앰블 인덱스를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반복 레벨에 대응하는 하나의 RO 그룹 내에서, 반복 레벨에 대응하는 개수의 RO는 시간 자원 및/또는 주파수 자원에서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복 레벨이 2 이상인 경우, 단말은 동일한 시간 자원 상에서 구별되는 주파수 자원 상의 복수의 RO 상에서 프리앰블 전송을 수행할 수도 있고, 동일한 주파수 자원 상에서 구별되는 시간 자원 상의 복수의 RO 상에서 프리앰블 전송을 수행할 수도 있고, 또는 구별되는 시간 자원 및 주파수 자원 상의 복수의 RO 상에서 프리앰블 전송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2의 예시에서 단말은 SSB#1을 최적의 SSB로 결정하고, SSB#1에 대응하는 전체 32개의 RO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SSB에 대응하는 전체 32개의 RO는 4개의 RO 그룹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 1 RO 그룹은 반복 레벨 #1에 대응하고, 제 2 RO 그룹은 반복 레벨 #2에 대응하고, 제 3 RO 그룹은 반복 레벨 #3에 대응하고, 제 4 RO 그룹은 반복 레벨 #4에 대응할 수 있다. 하나의 SSB에 대응하는 전체 RO들 중에서 반복 레벨 인덱스(0부터 시작)가 증가하면서 일부 RO들이 각각의 반복 레벨 인덱스에 맵핑되어 도 12 예시와 같은 맵핑 관계가 설정될 수 있다. 만약 단말이 반복 레벨 2를 결정하는 경우, 제 2 RO 그룹에 속하는 8개의 RO 중에서 2개(제 1 RO 및 제 2 RO)를 선택하여 2회의 프리앰블 반복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RO에서 단말은 랜덤으로 프리앰블 인덱스를 선택할 수도 있고, 제 1 RO와 제 2 RO에서 동일한 프리앰블 인덱스를 선택할 수도 있고, 제 1 RO와 제 2 RO에서 상이한 프리앰블 인덱스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단말이 특정 반복 레벨에 대응하는 동일한 RO 그룹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RO 상에서 프리앰블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기지국은 어떤 RO 그룹에서 단말이 프리앰블 전송을 수행하는지에 따라서 해당 단말의 반복 레벨을 파악할 수 있다.
전술한 예시들에서의 프리앰블 반복 전송 방식은, 하나의 RO에서 하나의 프리앰블 인덱스의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즉, 반복 레벨의 값에 대응하는 개수의 RO가 프리앰블 반복 전송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결정한 반복 레벨 M에 대응하는 하나의 프리앰블 그룹이 선택되는 경우에 선택된 프리앰블 그룹 내에서 하나의 프리앰블 인덱스를 선택하여, M 개의 RO 상에서 각각 하나의 프리앰블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결정한 반복 레벨 M에 대응하는 하나의 RO 그룹이 선택되는 경우에, 선택된 RO 그룹 내의 M 개의 RO 상에서 각각 하나의 프리앰블이 전송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추가적인 프리앰블 반복 전송 방식으로서, 하나의 RO에서 복수의 프리앰블들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RO 내에서 구별되는 시간 및/또는 주파수 자원을 통하여 복수의 프리앰블들이 다중화될 수도 있고, 또는 하나의 RO 내의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 상에서 복수의 프리앰블들은 코드분할다중화(CDM) 방식으로 구별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RO에서 전송되는 복수의 프리앰블들은 동일한 프리앰블 인덱스를 가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프리앰블 인덱스를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반복 레벨 M은, 하나의 RO에서 전송되는 프리앰블의 개수(M_Preamble)와 프리앰블 전송 RO의 개수(M_RO)의 곱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RO에서 전송되는 프리앰블의 개수는, 하나의 RO에서 전송되는 상이한 프리앰블 인덱스의 개수와 구별됨).
예를 들어, 반복 레벨 M에 따라서, 하나의 RO에서 전송되는 프리앰블의 개수 M_Preamble 및 프리앰블 전송 RO의 개수 M_RO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결정한 반복 레벨 M=4인 경우, M_Preamble=2 및 M_RO=2로 결정될 수도 있고, M_Preamble=1 및 M_RO=4로 결정될 수 있고, 또는, M_Preamble=4 및 M_RO=1로 결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RO에서 하나 이상의 프리앰블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하나의 RO에서의 허용되는 프리앰블의 개수가 기지국에 의해서 설정될 수도 있다. 또는, 하나의 RO에서 전송되는 프리앰블의 개수에 따라서 RO 그룹이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2 이상의 반복 레벨에 대응하는 RO 그룹들 중의 일부 RO 그룹에서는, 하나의 RO에서 복수의(예를 들어, 2 개의) 프리앰블의 전송이 설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리앰블 반복 전송 방식은, 반복 전송 레벨과 프리앰블 그룹 및/또는 RO 그룹의 대응 관계와 구별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단말의 반복 레벨에 대응하는 프리앰블 그룹 및/또는 RO 그룹의 선택은, 전술한 예시들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단말이 결정한 반복 레벨을, 실제로 프리앰블이 반복 수신되는 횟수에 기초하여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단말이 선택한 프리앰블 그룹 또는 RO 그룹 인덱스로부터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이 결정한 반복 레벨 M에 해당하는 하나의 프리앰블 그룹 중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리앰블 인덱스가 선택될 수 있다. 또는, 단말이 결정한 반복 레벨 M에 해당하는 RO 그룹 중에서 하나의 RO 그룹이 선택되고, 해당 RO 내에서 (프리앰블 그룹의 구별 없이) 하나 또는 복수의 프리앰블 인덱스가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반복 레벨 M=4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반복 레벨 M=4에 해당하는 하나의 프리앰블 그룹을 선택하고, 선택된 프리앰블 그룹 중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리앰블 인덱스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SSB(또는 CSI-RS)에 연관된 RO들 중의 M_RO개의 RO의 각각에서, 선택된 프리앰블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프리앰블 인덱스가 M_Preamble 개의 프리앰블로서 반복 전송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반복 레벨 M=4에 해당하는 하나의 RO 그룹을 선택하고, 해당 RO 그룹에 속하는 RO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리앰블 인덱스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택된 RO 그룹 내의 M_RO개의 RO의 각각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프리앰블 인덱스가 M_Preamble 개의 프리앰블로서 반복 전송될 수 있다.
추가적인 예시로서, 단말이 결정한 반복 레벨은, RO 그룹 및 프리앰블 그룹의 조합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SSB(또는 CSI-RS)에 연관된 RO들은 복수의 RO 그룹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RO는 복수의 프리앰블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단말이 결정한 반복 레벨을, 단말이 선택한 프리앰블 그룹 및 RO 그룹의 조합으로부터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결정한 반복 레벨은, RO 그룹에 대응하는 제 1 반복 레벨과 프리앰블 그룹에 대응하는 제 2 반복 레벨의 조합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결정한 반복 레벨 M=4인 경우, 단말은 제 1 반복 레벨=2에 대응하는 하나의 RO 그룹을 선택하고, 해당 RO 그룹에 속하는 RO 내에서 제 2 반복 레벨=2에 대응하는 하나의 프리앰블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제 1 반복 레벨=1에 대응하는 하나의 RO 그룹을 선택하고, 해당 RO 그룹에 속하는 RO 내에서 제 2 반복 레벨=4에 대응하는 하나의 프리앰블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제 1 반복 레벨=4에 대응하는 하나의 RO 그룹을 선택하고, 해당 RO 그룹에 속하는 RO 내에서 제 2 반복 레벨=1에 대응하는 하나의 프리앰블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은 선택된 RO 그룹 및 해당 RO 그룹에 속한 RO 내에서 선택된 프리앰블 그룹에서 하나 이상의 프리앰블 인덱스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택된 RO 그룹 내의 M_RO개의 RO의 각각에서, 선택된 프리앰블 그룹 내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프리앰블 인덱스가 M_Preamble 개의 프리앰블로서 반복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만약 기지국이 RC 단말의 채널 상태와 그 타입/캐퍼빌러티 및/또는 RRC 연결모드 여부를 기초하여 프리앰블 반복 전송 레벨을 명시적으로 단말에게 지시 또는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서는 상기와 다르게 단말이 그 반복레벨을 선택하는 것이라 아니라 기지국이 그 반복 레벨을 DCI 시그널링 및/또는 상위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서 지시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그 반복 레벨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후, 그 정보에 기초하여 이후 프리앰블 또는 메세지A(예를 들어, 2-단계 CBRA 및 2-단계 CFRA 경우 프리앰블 및 PUSCH)를 반복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A 를 전송하는 2-단계 CBRA 또는 2-단계 CFRA 에서는 메시지 A에 포함되는 프리앰블과 PUSCH 페이로드 각각은 서로 독립적인 반복 전송이 기지국에 의해서 설정되거나 또는 단말에 의해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안된 방법에 의해서 단말이 선택한 혹은 기지국에 의해 지시된 반복 레벨에 대응하는 프리앰블 반복 전송 횟수(P)와 PUSCH 페이로드 반복 전송 횟수(P')이 서로 독립적으로 결정되거나 혹은 동일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에 따른 단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1310에서 단말은 랜덤 액세스 관련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관련 설정 정보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시스템 정보 시그널링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단말은 SSB를 통한 하향링크 동기화, PBCH를 통한 MIB(Master Information Block) 수신 등의 셀 서치 동작을 통해, 랜덤 액세스 관련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SIB1 또는 전용 RRC 시그널링)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1320에서 단말은 단말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제 1 타입 단말(또는 일반 단말)인 경우 단계 S1330으로, 제 2 타입 단말(또는 RC 단말)인 경우 단계 S1335로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의 타입에 따라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전송 동작이 결정될 수 있다.
단계 S1330 및 S1335에서 단말은 RO 설정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타입 단말에 대해서 일부 또는 전부의 공통되는 공유 RO가 설정되거나, 제 1 및 제 2 타입 단말에 대해서 구별되는 별도의 RO가 설정될 수 있다.
제 1 타입 단말이고, 별도 RO가 설정되는 경우에는, 단계 S1350에서 단말은 최적의 SSB(또는 CSI-RS)를 결정하고, 결정된 SSB(또는 CSI-RS)에 연관되는 가용 RO 중에서 하나의 RO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RO의 전체 프리앰블 인덱스 중 하나의 프리앰블 인덱스를 (랜덤으로)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프리앰블 그룹 A 또는 B 중의 하나의 프리앰블 그룹에서 하나의 프리앰블 인덱스가 선택될 수도 있다. 이후, 단계 S1364로 진행하여 선택된 프리앰블 인덱스에 따른 프리앰블을 하나의 RO 상에서 전송할 수 있다.
제 1 타입 단말이고, 공유 RO가 설정되는 경우에는, 단계 S1360에서 단말은 최적의 SSB(또는 CSI-RS)를 결정하고, 결정된 SSB(또는 CSI-RS)에 연관되는 가용 RO 중에서 하나의 RO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RO의 전체 프리앰블 인덱스는 단말 타입에 따라서 구별되는 프리앰블 그룹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 1 타입 단말은 제 1 프리앰블 그룹(또는 그룹 A 및/또는 B)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1362에서 단말은 선택된 프리앰블 그룹 내에서 하나의 프리앰블 인덱스를 (랜덤으로)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1364에서 단말은 선택된 프리앰블 인덱스에 따른 프리앰블을 하나의 RO 상에서 전송할 수 있다.
제 2 타입 단말인 경우, 반복 레벨이 결정될 수 있다. 반복 레벨은 단말이 결정할 수도 있고, 기지국에 의해서 명시적으로 지시될 수도 있다. 또한, 반복 레벨에 대응하는 RO 그룹, 프리앰블 그룹, 또는 RO 그룹 및 프리앰블 그룹의 조합이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또는 기지국의 시그널링에 의해서 설정될 수 있다.
제 2 타입 단말이고, 공유 RO가 설정되는 경우에는, 단계 S1370에서 단말은 최적의 SSB(또는 CSI-RS)를 결정하고, 결정된 SSB(또는 CSI-RS)에 연관되는 가용 RO 중에서 하나 이상의 RO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RO에서 하나의 프리앰블 전송이 지원되는 경우에 선택되는 RO의 개수는 반복 레벨에 대응할 수 있고, 하나의 RO에서 복수의 프리앰블 전송이 지원되는 경우에 RO 개수 및 하나의 RO에서 전송되는 프리앰블 개수의 곱이 반복 레벨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하나 이상의 RO의 각각에서 전체 프리앰블 인덱스는 단말 타입에 따라서 구별되는 프리앰블 그룹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하나 이상의 RO 각각에서 단말 타입 및 반복 레벨에 기초하여 프리앰블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제 2 타입 단말은 제 2 프리앰블 그룹(또는 그룹 C)를 선택하거나, 반복 레벨에 따라서 제 2 프리앰블 그룹 중의 하나 이상의 서브 그룹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반복 레벨에 따라서 제 2, 제 3, ... 프리앰블 그룹(또는 그룹 C, D, ...) 중 하나의 프리앰블 그룹을 선택할 수도 있다.
단계 S1372에서 단말은 선택된 프리앰블 그룹 내에서 하나 이상의 프리앰블 인덱스를 (랜덤으로) 선택할 수 있다. 만약 반복 레벨이 2 이상인 경우 2 이상의 RO가 선택되고, 2 이상의 RO의 각각에서 단말 타입 및 반복 레벨에 기초한 하나의 프리앰블 그룹이 선택되며, 선택된 프리앰블 그룹 내에서 하나 이상의 프리앰블 인덱스가 선택될 수 있다. 또는, 반복 레벨이 2 이상인 경우 프리앰블 전송 RO의 개수 및 하나의 RO에서 전송되는 프리앰블 개수가 결정되고, 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RO, 하나의 프리앰블 그룹 및/또는 하나 이상의 프리앰블 인덱스가 선택될 수 있다.
단계 S1374에서 단말은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프리앰블 인덱스에 따른 하나 이상의 프리앰블을 하나 이상의 RO 상에서 전송할 수 있다.
제 2 타입 단말이고, 별도 RO가 설정되는 경우에는, 단계 S1340에서 반복 레벨 구분 타입이 결정될 수 있다. 반복 레벨 구분 타입에 따라, 반복 레벨에 대응하는 프리앰블 그룹이 설정되거나, 또는 반복 레벨에 대응하는 RO 그룹이 설정될 수도 있다.
제 2 타입 단말이고, 별도 RO가 설정되며, 반복 레벨 구분 타입이 프리앰블 그룹으로 설정되는 경우, 단계 S1380에서 단말은 최적의 SSB(또는 CSI-RS)를 결정하고, 결정된 SSB(또는 CSI-RS)에 연관되는 가용 RO 중에서 하나 이상의 RO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RO에서 하나의 프리앰블 전송이 지원되는 경우에 선택되는 RO의 개수는 반복 레벨에 대응할 수 있고, 하나의 RO에서 복수의 프리앰블 전송이 지원되는 경우에 RO 개수 및 하나의 RO에서 전송되는 프리앰블 개수의 곱이 반복 레벨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하나 이상의 RO의 각각에서 전체 프리앰블 인덱스는 반복 레벨에 따라서 구별되는 프리앰블 그룹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단말은 반복 레벨에 기초하여 하나의 프리앰블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단계 S1372에서 단말은 선택된 프리앰블 그룹 내에서 하나 이상의 프리앰블 인덱스를 선택할 수 있다. 만약 반복 레벨이 2 이상인 경우 2 이상의 RO가 선택되고, 2 이상의 RO의 각각에서 단말 타입 및 반복 레벨에 기초한 하나의 프리앰블 그룹이 선택되며, 선택된 프리앰블 그룹 내에서 하나 이상의 프리앰블 인덱스가 선택될 수 있다. 또는, 반복 레벨이 2 이상인 경우 프리앰블 전송 RO의 개수 및 하나의 RO에서 전송되는 프리앰블 개수가 결정되고, 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RO, 하나의 프리앰블 그룹 및/또는 하나 이상의 프리앰블 인덱스가 선택될 수 있다.
단계 S1374에서 단말은 선택된 프리앰블 인덱스에 따른 하나 이상의 프리앰블을 하나 이상의 RO 상에서 전송할 수 있다.
제 2 타입 단말이고, 별도 RO가 설정되며, 반복 레벨 구분 타입이 RO 그룹으로 설정되는 경우, 단계 S1390에서 단말은 최적의 SSB(또는 CSI-RS)를 결정하고, 결정된 SSB(또는 CSI-RS)에 연관되는 가용 RO 중에서 반복 레벨에 기초하여 하나의 RO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1392에서 단말은 선택된 RO 그룹 내에서 하나 이상의 RO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RO에서 하나의 프리앰블 전송이 지원되는 경우에 선택되는 RO의 개수는 반복 레벨에 대응할 수 있고, 하나의 RO에서 복수의 프리앰블 전송이 지원되는 경우에 RO 개수 및 하나의 RO에서 전송되는 프리앰블 개수의 곱이 반복 레벨에 대응할 수 있다.
단계 S1394에서 단말은 선택된 하나 이상의 RO 각각에서 하나 이상의 프리앰블을 선택할 수 있다. 만약 반복 레벨이 2 이상인 경우 2 이상의 RO가 선택되고, 2 이상의 RO의 각각에서 하나 이상의 프리앰블 인덱스가 선택될 수 있다. 또는, 반복 레벨이 2 이상인 경우 프리앰블 전송 RO의 개수 및 하나의 RO에서 전송되는 프리앰블 개수가 결정되고, 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RO 및/또는 하나 이상의 프리앰블 인덱스가 선택될 수 있다.
이후, 단계 S1374로 진행하여 단말은 선택된 프리앰블 인덱스에 따른 하나 이상의 프리앰블을 하나 이상의 RO 상에서 전송할 수 있다.
제 2 타입 단말이고, 별도 RO가 설정되며, 반복 레벨 구분 타입이 RO 그룹 및 프리앰블 그룹의 조합으로 설정되는 경우, 단계 S1342에서 단말은 최적의 SSB(또는 CSI-RS)를 결정하고, 결정된 SSB(또는 CSI-RS)에 연관되는 가용 RO 중에서 반복 레벨에 기초하여 하나의 RO 그룹 및 하나의 프리앰블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1344에서 단말은 선택된 RO 그룹 내에서 하나 이상의 RO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RO에서 하나의 프리앰블 전송이 지원되는 경우에 선택되는 RO의 개수는 반복 레벨에 대응할 수 있고, 하나의 RO에서 복수의 프리앰블 전송이 지원되는 경우에 RO 개수 및 하나의 RO에서 전송되는 프리앰블 개수의 곱이 반복 레벨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하나 이상의 RO의 각각에서 전체 프리앰블 인덱스는 반복 레벨에 따라서 구별되는 프리앰블 그룹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단말은 반복 레벨 및 선택된 하나의 RO 그룹에 기초하여 하나의 프리앰블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1346에서 단말은 선택된 하나 이상의 RO 각각에서, 선택된 프리앰블 그룹 내에서 하나 이상의 프리앰블 인덱스를 선택할 수 있다. 만약 반복 레벨이 2 이상인 경우 2 이상의 RO가 선택되고, 2 이상의 RO의 각각에서 단말 타입 및 반복 레벨에 기초한 하나의 프리앰블 그룹이 선택되며, 선택된 프리앰블 그룹 내에서 하나 이상의 프리앰블 인덱스가 선택될 수 있다. 또는, 반복 레벨이 2 이상인 경우 프리앰블 전송 RO의 개수 및 하나의 RO에서 전송되는 프리앰블 개수가 결정되고, 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RO, 하나의 프리앰블 그룹 및/또는 하나 이상의 프리앰블 인덱스가 선택될 수 있다.
이후, 단계 S1374로 진행하여 단말은 선택된 프리앰블 인덱스에 따른 하나 이상의 프리앰블을 하나 이상의 RO 상에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단계 S1364 또는 단계 S1374에서 프리앰블을 전송한 단말은, 단계 S1366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랜덤 액세스 응답(RAR)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RAR(또는 Msg2) 수신 이후, 단말은 기지국과 Msg3 및 Msg4 교환을 통해 랜덤 액세스 절차를 완료할 수 있다.
전술한 예시들에서와 같이, 단말은 캐퍼빌리티(또는 타입) 및/또는 반복 레벨에 따라서 RO 그룹, 프리앰블 그룹 및/또는 프리앰블 인덱스를 선택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또는 Msg1)을 수신한 경우, 프리앰블이 수신되는 RO 그룹, 프리앰블이 속한 그룹 및/또는 프리앰블 인덱스에 기초하여, 해당 단말이 일반 단말에 또는 RC 단말에 속하는지를 식별하고, RC 단말인 경우 반복 레벨(또는 커버리지 레벨)을 식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지국은 랜덤 액세스 절차를 시도하는 RC 단말의 존재를 초기에 파악할 수 있고, RC 단말에 대해서 적합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지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이 RC 단말의 랜덤 액세스 시도를 식별한 경우, 후속하는 Msg2, Msg3 및 Msg4의 교환 및 HARQ-ACK/NACK 전송에 있어서, 반복 레벨, 메시지 송수신 타이밍, 메시지 크기 등을 고려하여 해당 RC 단말의 캐퍼빌리티에 적합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기지국 및/또는 단말의 동작 또는 구성은, 4-단계 RACH 절차(예를 들어, 도 3의 예시와 유사한 Msg1, Msg2, Msg3, 및 Msg4의 교환을 통한 경쟁-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는 물론, 2-단계 경쟁-기반 RACH 절차(예를 들어, Msg1 및 Msg3에 해당하는 정보를 단말이 전송하는 A 단계, 및 Msg4(및 Msg2)에 해당하는 정보를 기지국이 전송하는 B 단계로 이루어지는 경쟁-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RC 단말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선택 및 Msg1 전송에 관련되므로, 4-단계 또는 2-단계 경쟁-기반 RACH 절차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에 따른 기지국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지국 장치(1400)는 프로세서(1410), 안테나부(1420), 트랜시버(1430), 메모리(14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10)는 베이스밴드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며, 상위계층 처리부(1411) 및 물리계층 처리부(14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위계층 처리부(1411)는 MAC 계층, RRC 계층, 또는 그 이상의 상위계층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물리계층 처리부(1415)는 PHY 계층의 동작(예를 들어, 상향링크 수신 신호 처리, 하향링크 송신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410)는 베이스밴드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것 외에도, 기지국 장치(14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안테나부(1420)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경우 MIMO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트랜시버(1430)는 RF 송신기와 RF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40)는 프로세서(1410)의 연산 처리된 정보, 기지국 장치(1400)의 동작에 관련된 소프트웨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 장치(1400)의 프로세서(1410)는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서의 기지국의 동작을 구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1400)의 프로세서(1410)의 상위계층 처리부(1411)는 랜덤 액세스 관련 설정 정보 생성부(1412), 단말 타입 결정부(1413) 및 반복 레벨 결정부(1414)를 포함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관련 설정 정보 생성부(1412)는 단말 타입 및/또는 반복 레벨에 기초하여 RO 그룹, 프리앰블 그룹 및/또는 프리앰블 인덱스를 설정하고, 이러한 설정 정보를 시스템 정보 시그널링을 통하여 단말 장치(145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말 타입 결정부(1413)은 단말 장치(1450)로부터 수신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이 속한 RO 그룹 및/또는 프리앰블 그룹에 기초하여, 프리앰블을 전송한 단말 장치(1450)의 타입(예를 들어, 일반 단말 또는 RC 단말)을 식별할 수 있다.
프리앰블을 전송한 단말 장치(1450)이 제 2 타입 단말(또는 RC 단말)로 식별되는 경우, 반복 레벨 결정부(1414)은 단말 장치(1450)로부터 수신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해서, 프리앰블이 수신된 RO 그룹, 프리앰블이 속한 프리앰블 그룹 등에 기초하여, 프리앰블을 전송한 단말 장치(1450)의 반복 레벨(또는 커버리지 레벨)을 식별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1400)는 랜덤 액세스를 시도하는 단말 장치(1450)의 타입 및 반복 레벨을 고려하여, 후속하는 랜덤 액세스 절차 등에서 해당 단말에 적합한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단말 장치(1450)는 프로세서(1460), 안테나부(1470), 트랜시버(1480), 메모리(149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60)는 베이스밴드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며, 상위계층 처리부(1461) 및 물리계층 처리부(14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위계층 처리부(1461)는 MAC 계층, RRC 계층, 또는 그 이상의 상위계층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물리계층 처리부(1465)는 PHY 계층의 동작(예를 들어, 하향링크 수신 신호 처리, 상향링크 송신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460)는 베이스밴드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것 외에도, 단말 장치(146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안테나부(1470)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경우 MIMO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트랜시버(1480)는 RF 송신기와 RF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90)는 프로세서(1460)의 연산 처리된 정보, 단말 장치(1450)의 동작에 관련된 소프트웨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 장치(1450)의 프로세서(1460)는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서의 단말의 동작을 구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450)의 프로세서(1460)의 상위계층 처리부(1461)는 랜덤 액세스 관련 설정 결정부(1462), RO 결정부(1463), 프리앰블 그룹 결정부(1464)를 포함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관련 설정 결정부(1462)는 기지국 장치(1400)로부터 제공되는 랜덤 액세스 관련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1450)에 적용될 설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450)는 단말 타입 및/또는 반복 레벨에 따라서 RO 그룹, 프리앰블 그룹 및/또는 프리앰블 인덱스에 대한 설정을 확인할 수 있다.
RO 결정부(1463)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전송을 위한 RO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450)이 결정한 최적의 SSB(또는 CSI-RS)에 연관되는 가용 RO 중에서, 단말 타입 및/또는 반복 레벨에 따라서 RO 그룹 또는 하나 이상의 RO가 결정될 수 있다. 먼저, 랜덤 액세스 관련 설정 정보에 따라서 RO 설정 타입이 결정될 수 있다. RO 설정 타입은, 서로 다른 단말 타입에 대해 일부 또는 전부가 공유되거나 또는 별도의 RO가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RO 설정 타입에 따라서, 단말 장치(1450)는 자신의 단말 타입에 해당하는 RO 중에서 하나 이상의 RO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반복 레벨 구분 설정이 RO 그룹에 연관되는 경우, 반복 레벨에 대응하는 RO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프리앰블 그룹 결정부(1464)는 단말 타입 및/또는 반복 레벨에 따라서 RO 당 하나의 프리앰블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만약 반복 레벨 구분 설정이 프리앰블 그룹에 연관되는 경우, 반복 레벨에 대응하는 프리앰블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프리앰블 그룹 내에서 하나 이상의 프리앰블 인덱스가 선택될 수 있다.
RO 결정부(1463) 및 프리앰블 그룹 결정부(1464)는, 만약 반복 레벨 구분 설정이 RO 그룹 및 프리앰블 그룹의 조합에 연관되는 경우, 반복 레벨에 대응하는 RO 그룹 및 프리앰블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물리 계층 처리부(1465)는 상위 계층 처리부(1461)에 의해서 결정된 RO, 및 프리앰블 인덱스에 따라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기지국 장치(1400)로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 장치(1400) 및 단말 장치(1450)의 동작에 있어서 본 발명의 예시들에서 기지국 및 단말에 대해서 설명한 사항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방법들은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서 동작의 시리즈로 표현되어 있지만, 이는 단계가 수행되는 순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에는 각각의 단계가 동시에 또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예시하는 단계에 추가적으로 다른 단계를 포함하거나,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나머지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추가적인 다른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빠짐없이 나열한 것이 아니고 본 개시의 대표적인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사항들 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범용 프로세서(general processor),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다양한 실시예의 방법에 따른 동작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머신-실행가능한 명령들(예를 들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펌웨어(firmware), 프로그램 등), 및 이러한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 등이 저장되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 가능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특징을 수행하는 프로세싱 시스템을 프로그래밍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명령은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상에/내에 저장될 수 있고, 이러한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이용하여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특징이 구현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DRAM, SRAM, DDR RAM 또는 다른 랜덤 액세스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 디바이스와 같은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 광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또는 다른 비-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저장 디바이스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선택적으로 프로세서(들)로부터 원격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메모리 또는 대안적으로 메모리 내의 비-휘발성 메모리 디바이스(들)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특징은, 머신 판독가능 매체 중 임의의 하나에 저장되어 프로세싱 시스템의 하드웨어를 제어할 수 있고, 프로세싱 시스템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결과를 활용하는 다른 메커니즘과 상호작용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에 통합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는 애플리케이션 코드, 디바이스 드라이버, 운영 체제 및 실행 환경/컨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1)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랜덤 액세스 관련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랜덤 액세스 관련 설정 정보, 단말 타입 또는 반복 레벨 중의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전송에 관련된 RO(RACH Occasion) 그룹, 하나 이상의 RO 또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중의 하나 이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RO의 각각에서 하나 이상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수행 방법.
KR1020200027883A 2020-03-05 2020-03-0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저감 캐퍼빌리티 단말을 위한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 KR2021011263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883A KR20210112632A (ko) 2020-03-05 2020-03-0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저감 캐퍼빌리티 단말을 위한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
EP21763555.6A EP4117378A1 (en) 2020-03-05 2021-03-04 Random access method and device for reduced capabilit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21/002672 WO2021177741A1 (ko) 2020-03-05 2021-03-0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저감 캐퍼빌리티 단말을 위한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
CN202180018431.9A CN115211219A (zh) 2020-03-05 2021-03-04 无线通信系统中降低能力的用户设备的随机接入方法和装置
US17/929,459 US20230007702A1 (en) 2020-03-05 2022-09-02 Random access method and device for reduced capabilit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883A KR20210112632A (ko) 2020-03-05 2020-03-0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저감 캐퍼빌리티 단말을 위한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632A true KR20210112632A (ko) 2021-09-15

Family

ID=77612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883A KR20210112632A (ko) 2020-03-05 2020-03-0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저감 캐퍼빌리티 단말을 위한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07702A1 (ko)
EP (1) EP4117378A1 (ko)
KR (1) KR20210112632A (ko)
CN (1) CN115211219A (ko)
WO (1) WO20211777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25514B2 (en) * 2020-04-21 2023-11-21 Qualcomm Incorporated Repetitive random access transmissions
US20220039137A1 (en) * 2020-07-31 2022-02-03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and uplink scheduling using resource configurations
US20230007581A1 (en) * 2021-06-30 2023-01-05 Qualcomm Incorporated Wake up signal for base station
CN115884394A (zh) * 2021-09-28 2023-03-3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随机接入前导的发送方法、接收方法及通信装置
KR20230050886A (ko) * 2021-10-08 2023-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접속을 위한 상향링크 채널 송신 방법 및 장치
CN114223229A (zh) * 2021-11-01 2022-03-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随机接入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230224977A1 (en) * 2022-01-13 2023-07-13 Qualcomm Incorporated Facilitating the use of random access channel occasions for full-duplex communication
WO2023193133A1 (en) * 2022-04-06 2023-10-12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mapping for random access repetitions using a same spatial filter
CN118019135A (zh) * 2022-10-31 2024-05-10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一种随机接入方法、装置、芯片及模组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416B1 (ko) * 2006-02-07 2009-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 전송방법
KR101995798B1 (ko) * 2012-07-03 2019-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빔포밍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랜덤 억세스 장치 및 방법
KR102354591B1 (ko) * 2017-05-18 2022-01-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초기 접속 방법 및 장치
CN110312309B (zh) * 2018-03-27 2021-12-3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随机接入的方法及装置
WO2019216702A1 (ko) * 2018-05-10 2019-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 면허대역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prach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17378A1 (en) 2023-01-11
CN115211219A (zh) 2022-10-18
US20230007702A1 (en) 2023-01-05
WO2021177741A1 (ko) 2021-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5852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リソースを選択しpscchを伝送する方法及び装置
US11303421B2 (en) Layer 1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eporting for a secondary cell
US11968740B2 (en) Layer 1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eporting during a discontinuous reception operation
US11122642B2 (en) Beam failure recovery procedure
CA3081606C (en) Communications based on wireless device capabilities
US20210235247A1 (en)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2d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20200413364A1 (en) Random Access Preambles Using Transmit Beams of a Base Station
US20230085104A1 (en) Random access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ed capabilit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1011263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저감 캐퍼빌리티 단말을 위한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
JP731787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リソースを選択してpsschを伝送する方法及び装置
CN110855412B (zh) 发送和接收信道状态信息的方法以及用户设备和基站
JP6526207B2 (ja) 上りリンク信号を送信する方法及び使用者器機、並びに上りリンク信号を受信する方法及び基地局
EP3723321A1 (en)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 on bandwidth part
EP3190854B1 (en) Transmitting data on unlicensed band and base station therefor
US11076357B2 (en) Uplink power control on unlicensed carriers
JP2020524942A (ja) 補助アップリンクランダムアクセス構成のための技法および装置
KR2021015383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저감 캐퍼빌리티 단말을 위한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
KR20200025437A (ko) 비면허 대역을 위한 nr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