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2601A - 콧구멍 마스크 - Google Patents

콧구멍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2601A
KR20210112601A KR1020200027810A KR20200027810A KR20210112601A KR 20210112601 A KR20210112601 A KR 20210112601A KR 1020200027810 A KR1020200027810 A KR 1020200027810A KR 20200027810 A KR20200027810 A KR 20200027810A KR 20210112601 A KR20210112601 A KR 20210112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portion
inner diameter
nostril
rear end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0498B1 (ko
Inventor
홍기업
Original Assignee
홍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기업 filed Critical 홍기업
Priority to KR1020200027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498B1/ko
Publication of KR20210112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6Nose fil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콧구멍에 삽입을 안내하고 선단은 직경이 작고 후단은 커지는 테이퍼부(10);
테이퍼부 후단에 이어지며 콕구멍 내벽에 안치되는 원통부(20);
원통부 후단에 이어지며 콧구멍 선단부에서 이탈 빙지토록 후단으로 갈 수록 직경이 커지는 스커트부(30);
원통부 선단 내경에 부가되어 내경을 유지하며 통기 가능하고 필터시트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틀(40);
필터시트의 하부 이탈을 방지하며 원통부의 내경을 유지하며 통기 가능토록 하는 리브 형상의 리브체(50); 및
상기 이탈방지틀과 리브체 상단 사이에 통기 가능토록 안치되는 시트상의 필터시트(60)를 포함하여 구성한 콧구멍 마스크 이다.

Description

콧구멍 마스크{Mask for a naris}
본 발명은 콧구멍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코의 7대 기능은 공기의 통로, 냄새를 맡고 구별하는 기능, 건조한 공기의 습도조절, 소리의 공명 기능, 차가운 외부 공기를 데워주고 외부의 뜨거운 공기는 식혀주는 온도조절 기능, 먼지와 세균의 이물질을 막아주는 필터기능, 뇌에서 발생하는 많은 양의 열을 두개골의 부비동과 함께 식혀주는 냉각 기능을 들 수 있다.
마스크는 코와 얼굴을 덮는 안면마스크와, 안면마스크에 코부분을 밀착하여 덮는 기능성 마스크와, 콧구멍 위주로 막는 코마스크로 구분된다.
대부분의 코마스크는 양 비공을 중앙에서 구획하고 코의 중격헤드 부분과 콧구멍 내부에 삽입형으로 고정하고, 콧구멍을 막는 필터체는 집게 또는 연결체의 양단에 지지되어 필터체가 콧구멍에 깊게 삽입되어 필터링하는 구조가 국내특허등록 10-0815448호, 10-0792647호, 10-1290487호, 10-1273735호로 알려져 있다.
또한 집게체의 양측면에 비공을 막는 필터체가 결합된 구조가 국내실용신안 등록 20-0441273호로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기술들은 콧구멍에 깊이 삽입되어 사용하는 것으로, 필터체로 인하여 공기의 유입이 어려워 유산소 운동이 어렵고 대화가 불편하며, 코의 생리적인 기능을 방해하거나 마비시키는 등 사용상 불쾌감을 초래하여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한다.
특히 심한 머리동작과 재채기 등이 일어날 경우 비공에 끼워진 마스크가 비공에서 이탈하기도 하는 등의 부작용이 있다. 이는 콧구멍에 깊숙이 삽입되는 필터체를 가지는 종래 기술 등은 코의 7대 기능인 공기통로의 역할을 방해하고 코의 온도조절 및 습도조절을 오히려 방해하고 삽입 깊이로 인하여 코털의 내분비 점액과 코의 섬모 점액에 대한 생리적인 정화 작용을 방해하여 미세먼지, 황사, 세균침입 차단의 2차적인 차단효과가 감소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콧구멍에 잘들어가고 스크트부에 의하여 콧구멍에서 잘 빠지지 않고 원통부는 리브체에 의하여 일정한 공간을 유지토록 하여 콧구멍에 착용하여도 본연의 숨쉬는 기능은 불편이 없도록 하는 콧구멍 마스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터가 필터스트 형태로 삽입되어 통기는 가능토록 하고 필터 기능은 유지되도록 하며, 콧물 발생시에는 선두의 직경이 작도록 한 테이퍼부 외경 측으로 흘러내려 필터시트의 기능은 유지되도록 하는 콧구멍 마스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원발명은 콧구멍에 삽입을 안내하고 선단은 직경이 작고 후단은 커지는 테이퍼부;
테이퍼부 후단에 이어지며 콕구멍 내벽에 안치되는 원통부;
원통부 후단에 이어지며 콧구멍 선단부에서 이탈 빙지토록 후단으로 갈 수록 직경이 커지는 스커트부;
원통부 선단 내경에 부가되어 내경을 유지하며 통기 가능하고 필터시트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틀;
필터시트의 하부 이탈을 방지하며 원통부의 내경을 유지하며 통기 가능토록 하는 리브 형상의 리브체; 및
상기 이탈방지틀과 리브체 상단 사이에 통기 가능토록 안치되는 시트상의 필터시트를 포함하여 구성한 콧구멍 마스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원발명은 콧구멍에 잘들어가고 스크트부에 의하여 콧구멍에서 잘 빠지지 않고 원통부는 리브체에 의하여 일정한 공간을 유지토록 하여 콧구멍에 착용하여도 본연의 숨쉬는 기능은 불편이 없도록 하는 콧구멍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필터가 필터스트 형태로 삽입되어 통기는 가능토록 하고 필터 기능은 유지되도록 하며, 콧물 발생시에는 선두의 직경이 작도록 한 테이퍼부 외경 측으로 흘러내려 필터시트의 기능은 유지되도록 하는내구성을 제공한다.
도 1 은 본원발명의 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A-A선 단면도,
도 3 은 도 1의 B-B 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수직단면도,
도 6은 도 5의 리브체 하나를 수직 단면상태로 보인 수직단면도,
도 7은 도 6의 테이퍼부가 절단된 상태로 보인 평면도이다.
이하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발명은 콧구멍에 삽입을 안내하고 선단은 직경이 작고 후단은 커지는 테이퍼부(10);
테이퍼부 후단에 이어지며 콕구멍 내벽에 안치되는 원통부(20);
원통부 후단에 이어지며 콧구멍 선단부에서 이탈 빙지토록 후단으로 갈 수록 직경이 커지는 스커트부(30);
원통부 선단 내경에 부가되어 내경을 유지하며 통기 가능하고 필터시트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틀(40);
필터시트의 하부 이탈을 방지하며 원통부의 내경을 유지하며 통기 가능토록 하는 리브 형상의 리브체(50); 및
상기 이탈방지틀과 리브체 상단 사이에 통기 가능토록 안치되는 시트상의 필터시트(6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콧구멍 마스크.
상기, 리브체(50)는 원통부(20)의 내경부에 반경보다는 작게 일정 방사각으로 분산 돌출된 분할바(51)와,
각 분할바(51)의 하단측 원통부(20) 내경을 향하여 돌출 길이가 작아지는 만곡바(52)와,
만곡바(52)의 하단측 원통부(20) 내경을 따라 띠상으로 보강하는 링띠(53)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분할바(51)의 내경중심측 선단에는 브이홈(54)을 이루고, 다른 분할바 선단측으로 중격을 받을 때, 이동을 정지토록 기능하는 스토퍼 기능을 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의 원통부(20)의 직경과 길이는 사용자에 따라 달리하여 구성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원발명은 도시하지 않은 사용자의 콧구멍에 테이퍼부(10)를 먼저 삽입시키고, 테이퍼부(10) 후단에는 원통부(20)를 콧구멍에 집어놓고, 스커트부(30)까지 마저 들어가면 멈춘다. 이 경우 스커트부(30)는 콧구멍 입구측에 위치하여 입구측을 강하게 밀어주어 삽입 삽태를 유지토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스커트부(20)의 상단 직경이 작으므로 콧구멍 삽입이 용이하고, 콧 구멍의 코털도 자연스럽게 지나쳐서 코틸의 기능은 유지토록 하여 인체 리듬의 변화를 줄여주어 착용상의 불편함을 중려주고, 콧물이 발생하여도 코털을 따라 안내되어 본 발명의 착용에 따른 마스크 기능에는 변함이 없도록 작용한다.
본원발명에서의 필터시트(60)는 다공성의 시트상의 필터이므로 통기는 가능하고 필터 기능은 유지토록 하므로 사용자의 착용감 불편을 없애주고, 필터시트(60)는 시트 상이므로 원통부(20) 내에서 정위치 유지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원발명은 도 2 와 같이 필터시트(60) 상부는 통공(42)과 통공을 제공하는 브리지 형상의 연결브리지(41)로 이루어진 이탈방지틀(40)을 부가하여 테이퍼부(10)로의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필터시트(60) 하단은 도 3 과 같이 리브체(50)를 이루는 방사상의 분할바(51)가 링띠(53)에 일체로 지지되고, 분할바(51)의 선단에 브이홈(54)을 이루므로, 분할바(51)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원통부(20)에 고정된다. 여기서 리브체(50)는 상단부가 도 3에 보인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브이홈(54)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므로, 원통부(20)에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져도 브이홈(54)에 의하여 분할바(51)가 원통부(20) 중심축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므로 원통부(20)의 변형이나 직경이 줄어드는 것을 막아주고, 일시적으로 직경이 조금 즐어들어도 다시 복원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원통부(20)의 내경이 일정하여 필터시트(60)를 통과하는 공기의 이동가능 공간을 일정하도록 작용한다.
또한 리브체(50)는 상단은 분할바(51)에 의하여 원통부(20)의 내경을 유지토록 기능하고, 만곡바(52)는 링띠(53)까지 높이가 아래로 갈수록 길어지는 대신 축중심까지의 거리는 짧아지므로 원활한 복원력 기능을 수행하여 텐션작용과 복귀력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원통부(20)의 길이를 길게하여 코가 길거나 큰 사람에게도 사용 가능함을 예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제 2항에 있어서, 분할바(51) 사이의 원통부(20)에는 강도보강 및 필터시트(60) 테두리 받침용 보강띠(55)가 일체로 형성된 콧구멍 마스크이다.
상기, 원통부(20)의 원통벽 두께는 테이퍼부(10) 및 스커트부(30) 두께보다 두껍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원통부(20)의 원통벽이 테이퍼부(10) 및 스커트부(30) 두께보다 두끼워 착용감은 좋고 원통부(20)의 형태유지 및 복원력이 좋아 아정적인 마스크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분할바(51) 사이의 원통부(20)에는 강도보강 및 필터시트(60) 테두리 받침용 보강띠(55)가 일체로 형성되어, 직경방향으로의 강도가 보강되므로 분할바(51)의 길이가 짧아도 원상복원 및 형태 유지 기능을 할 수 있다.
10;테이퍼부 20;원통부 30;스커트부 40;이탈방지틀 50;리브체 51;분할바 52;만곡바 53;링띠 54;브이홈 55;보강띠

Claims (5)

  1. 콧구멍에 삽입을 안내하고 선단은 직경이 작고 후단은 커지는 테이퍼부(10);
    테이퍼부 후단에 이어지며 콕구멍 내벽에 안치되는 원통부(20);
    원통부 후단에 이어지며 콧구멍 선단부에서 이탈 빙지토록 후단으로 갈 수록 직경이 커지는 스커트부(30);
    원통부 선단 내경에 부가되어 내경을 유지하며 통기 가능하고 필터시트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틀(40);
    필터시트의 하부 이탈을 방지하며 원통부의 내경을 유지하며 통기 가능토록 하는 리브 형상의 리브체(50); 및
    상기 이탈방지틀과 리브체 상단 사이에 통기 가능토록 안치되는 시트상의 필터시트(6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콧구멍 마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리브체(50)는 원통부(20)의 내경부에 반경보다는 작게 일정 방사각으로 분산 돌출된 분할바(51)와,
    각 분할바(51)의 하단측 원통부(20) 내경을 향하여 돌출 길이가 작아지는 만곡바(52)와,
    만곡바(52)의 하단측 원통부(20) 내경을 따라 띠상으로 보강하는 링띠(53)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콧구멍 마스크.
  3. 제 2항에 있어서, 분할바(51)의 내경중심측 선단에는 브이홈(54)을 이루고, 다른 분할바 선단측으로 충격을 받을 때, 이동을 정지하는 스토퍼 기능틀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콧구멍 마스크.
  4. 제 2항에 있어서, 분할바(51) 사이의 원통부(20)에는 강도보강 및 필터시트(60) 테두리 받침용 보강띠(55)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콧구멍 마스크.
  5. 제 2항에 있어서, 원통부(20)의 원통벽 두께는 테이퍼부(10) 및 스커트부(30) 두께보다 두껍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콧구멍 마스크.
KR1020200027810A 2020-03-05 2020-03-05 콧구멍 마스크 KR102360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810A KR102360498B1 (ko) 2020-03-05 2020-03-05 콧구멍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810A KR102360498B1 (ko) 2020-03-05 2020-03-05 콧구멍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601A true KR20210112601A (ko) 2021-09-15
KR102360498B1 KR102360498B1 (ko) 2022-02-08

Family

ID=77793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810A KR102360498B1 (ko) 2020-03-05 2020-03-05 콧구멍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4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2983A (en) * 1975-09-04 1977-10-11 Bovender Coy R Nasal filter
KR800000795Y1 (ko) * 1979-02-19 1980-06-09 조성봉 비공용 마스크
KR19980065775U (ko) * 1997-05-03 1998-12-05 김상수 콧구멍에 삽입하는 마스크대용 공기여과기
US20070175478A1 (en) * 2006-02-01 2007-08-02 Brunst Robert F Nasal air purifi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2983A (en) * 1975-09-04 1977-10-11 Bovender Coy R Nasal filter
KR800000795Y1 (ko) * 1979-02-19 1980-06-09 조성봉 비공용 마스크
KR19980065775U (ko) * 1997-05-03 1998-12-05 김상수 콧구멍에 삽입하는 마스크대용 공기여과기
US20070175478A1 (en) * 2006-02-01 2007-08-02 Brunst Robert F Nasal air pur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0498B1 (ko)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65573T3 (es) Conjunto de mascarilla respiratoria ergonómica y ajustable con almohadilla
EP3254721B1 (en) Face mask
KR102065708B1 (ko) 안면 마스크
KR102193162B1 (ko) 마스크용 김서림방지 및 호흡이 편한 장치
EP3254720B1 (en) Nasal mask
KR20200000600U (ko) 습기조절 프레임과 필터 및 외피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고정부를 구비한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
KR102273343B1 (ko) 날숨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특정방향으로 안내하는 마스크
KR102471392B1 (ko) 기능성 마스크
KR101969677B1 (ko) 비강확장기를 갖는 코마스크
KR102360498B1 (ko) 콧구멍 마스크
WO2000035525A1 (en) Respiratory mask
JP3393100B2 (ja) ダイビング用フェイスマスク
KR101798821B1 (ko) 비공 마스크
KR100928385B1 (ko) 비강 마스크
KR102584190B1 (ko) 스포츠 마스크
KR102219597B1 (ko) 호흡 개선용 마스크
KR102265308B1 (ko) 기능성 코편을 갖는 마스크
KR20040039250A (ko) 코 마스크와 이의 제조방법
KR102396474B1 (ko) 마스크용 귀 보호링
JP2007136161A (ja) 口呼吸防止具
KR102507808B1 (ko) 밴드 가변형 마스크
CN212593570U (zh) 一种硅胶口罩
KR102570836B1 (ko) 김서림 방지용 마스크
KR102576918B1 (ko) 마스크 형상 유지용 프레임
KR102380977B1 (ko) 비강용 마스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