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2390A - 촬영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촬영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2390A
KR20210112390A KR1020217027007A KR20217027007A KR20210112390A KR 20210112390 A KR20210112390 A KR 20210112390A KR 1020217027007 A KR1020217027007 A KR 1020217027007A KR 20217027007 A KR20217027007 A KR 20217027007A KR 20210112390 A KR20210112390 A KR 20210112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eground
photographing
target
back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7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롱춘 리
웨이궈 리
Original Assignee
바이두 온라인 네트웍 테크놀러지 (베이징)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010598649.3A external-priority patent/CN111935393A/zh
Application filed by 바이두 온라인 네트웍 테크놀러지 (베이징)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바이두 온라인 네트웍 테크놀러지 (베이징)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12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3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32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4Warning ind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3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a processor, e.g. controlling the readout of an image memory
    • H04N5/23251
    • H04N5/23267
    • H04N5/232933
    • H04N5/23293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촬영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컴퓨터 시각, 인공지능, 딥러닝 분야에 관한 것이다. 구현 수단은, 영상 수집 기기가 수집한 미리 보기 영상에 대해 전경 및 배경의 인식을 하고, 전경 및 배경과 영상 수집 기기 사이의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를 검출하여,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에 따라, 영상 수집 기기의 타겟 촬영 위치를 결정하고, 타겟 촬영 위치의 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당해 수단은, 사용자가 영상을 촬영할 경우, 자동적으로 사용자를 위해 바람직한 촬영 위치를 계산하고, 본 발명에서 타겟 촬영 위치로 표시되고, 당해 타겟 촬영 위치를 제시하여, 사용자는 제시 정보에 따라, 영상 수집 기기를 타겟 촬영 위치로 이동하여 촬영을 할 수 있어, 이미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중복으로 촬영하고 영상을 선별할 필요 없고, 사용자가 영상에 대해 후기 처리할 필요도 없어, 사용자의 사용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촬영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
본 발명은 바이두 온라인 네트워크 기술 유한회사가 2020년 06월 28일에 제출한, 발명의 명칭이 "촬영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이고, 중국 특허 출원 번호가 "202010598649.3"인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영상 처리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계산기 시각, 인공지능, 딥러닝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고, 특히 촬영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기의 보급에 따라, 점점 더 많은 사용자들은 전자 기기의 촬영 기능으로 촬영하거나 생활을 기록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고화질 사진을 원할 경우, 촬영 각도, 광선 등 각 요소를 감안해야 하고, 일반적인 사용자에게 있어서, 조작이 비교적 어렵다.
관련 기술에서, 사용자는 촬영한 복수의 사진에서 한장의 만족스러운 사진을 선택한다. 또는, 후기의 이미지 처리를 통해, 만족스러운 사진을 획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일정한 정도에서 상기 기술 과제 중의 하나를 해결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촬영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영상을 촬영할 경우, 사용자를 위해 바람직한 촬영 위치를 자동적으로 계산할 것을 구현하고, 본 발명에서 타겟 촬영 위치로 표시되고, 당해 타겟 촬영 위치를 제시하여, 사용자는 제시 정보에 따라, 영상 수집 기기를 타겟 촬영 위치로 이동하여 촬영을 한다. 일 측면에서, 이미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다른 한 측면에서, 사용자가 중복으로 촬영하고 영상을 선별할 필요 없고, 사용자가 영상에 대해 후기 처리할 필요도 없어, 사용자의 사용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고, 관련 기술에서 사용자가 촬영한 복수의 사진에서 한장의 만족스러운 사진을 선택하는 방식에, 존재하는 비교적 오랜 시간을 거쳐 촬영을 해야하고, 비교적 오랜 시간을 거쳐 사진을 선택해야 하여, 사용자 체험이 낮은 기술 과제를 해결하는데 사용되고, 관련 기술에서 후기 영상 처리를 통해, 만족스러운 사진을 선택하는 방식은, 더 많은 시간과 정력이 수요하고, 모든 사용자가 영상 처리를 할 수 있는것이 아니므로, 사용자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는 기술 과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 실시예는 촬영 방법을 제공하였고, 당해 방법은,
영상 수집 기기가 수집한 미리보기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미리 보기 영상 중의 전경 및 배경에 대해, 상기 영상 수집 기기와의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를 각각 검출하는 단계;
상기 상대 거리 및 상기 상대 각도에 따라, 상기 영상 수집 기기의 타겟 촬영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타겟 촬영 위치에서 상기 전경 및 상기 배경을 촬영하여 획득한 화면은 설정 구도 전략과 매칭됨 - ;
상기 타겟 촬영 위치의 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영상 수집 기기가 상기 타겟 촬영 위치로 이동해야 할 것을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 실시예는 촬영 장치를 제공하였고, 당해 장치는,
영상 수집 기기가 수집한 미리보기 영상을 획득하는데 사용되는 획득 모듈;
상기 미리 보기 영상 중의 전경 및 배경에 대해, 상기 영상 수집 기기와의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를 각각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검출 모듈;
상기 상대 거리 및 상기 상대 각도에 따라, 상기 영상 수집 기기의 타겟 촬영 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결정 모듈 - 상기 타겟 촬영 위치에서 상기 전경 및 상기 배경을 촬영하여 획득한 화면은 설정 구도 전략과 매칭됨 - ;
상기 타겟 촬영 위치의 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영상 수집 기기가 상기 타겟 촬영 위치로 이동해야 할 것을 제시하는데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 실시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였고, 당해 전자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명령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본 발명의 제1 측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촬영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4 측면 실시예는 컴퓨터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명령은 상기 컴퓨터가 본 발명제1 측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촬영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출원 중의 일 실시예는 하기의 우점 또는 유익한 효과를 구비한다.
영상 수집 기기가 수집한 미리 보기 영상에 대해 전경 및 배경의 인식을 하고, 전경 및 배경과 영상 수집 기기 사이의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를 검출하여,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에 따라, 영상 수집 기기의 타겟 촬영 위치를 결정하고, 타겟 촬영 위치에서 전경 및 배경을 촬영하여 획득한 화면은 설정 구도와 매칭되고, 마지막으로 타겟 촬영 위치의 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영상 수집 기기가 타겟 촬영 위치로 이동해야 할 것을 제시한다. 이로하여, 사용자가 영상을 촬영할 경우, 자동적으로 사용자를 위해 바람직한 촬영 위치를 계산해 낼 수 있고, 본 발명에서 타겟 촬영 위치로 표시되고, 당해 타겟 촬영 위치를 제시하여, 사용자는 제시 정보에 따라, 영상 수집 기기를 타겟 촬영 위치로 이동하여 촬영을 한다. 일 측면에서, 이미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다른 한 측면에서, 사용자가 중복으로 촬영하고 영상을 선별할 필요 없고, 사용자가 영상에 대해 후기 처리할 필요도 없어, 사용자의 사용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부분에서 설명한 내용은 본 출원 실시예의 관건 또는 중요 특징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본 출원의 범위를 한정하는데 사용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기타 특징은 이하의 설명에 의해 더욱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면은 본 방안을 더 잘 이해하는데 사용되고, 본 출원에 한정을 구성하지 않는다. 여기서,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촬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촬영 인터페이스 개략도1이다.
도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촬영 인터페이스 개략도2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서 제공하는 촬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서 제공하는 촬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4에서 제공하는 촬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5에서 제공하는 촬영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6에서 제공하는 촬영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9는 본 발명 실시예의 촬영 방법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전자 기기의 블록이다.
아래 도면과 결합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려 한다. 여기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 실시예의 여러 세부 사항을 포함하고,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때문에 이 분야에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실시예에 여러가지 변경과 수정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동시에 정확성과 간결성을 위해 아래의 설명에서는 공지 기능과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실시예의 촬영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촬영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해 촬영 방법이 촬영 장치에 배치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당해 촬영 장치는 임의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어, 당해 전자 기기가 촬영 기능을 수행하게 한다.
전자 기기는 임의 계산 기능을 구비한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모바일 단말, 서버 등일 수 있고, 모바일 단말은 휴대폰, 태블릿 PC, 개인 정보 단말, 웨어러블 기기, 차량 탑재 기기 등 다양한 동작 시스템, 터치 스크린 및/또는 스크린의 하드웨어 기기일 수 있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촬영 방법은 단계101 내지 단계104를 포함한다.
단계101에서, 영상 수집 기기가 수집한 미리보기 영상을 획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영상 수집 기기는 영상 수집을 할 수 있는 기기다. 예를 들면, 전하 결합 소자(Charge Coupled Device, CCD), 금속산화물 반도체(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등 영상 수집 기기, 또는, 휴대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기기 등 이동 단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영상 수집 기기에 카메라를 설치할 수 있고, 카메라를 통해 미리보기 영상을 수집한다. 예를 들면, 영상 수집 기기에는 적색 녹색 청색(Red Green Blue, RGB)카메라와 같은 가시 광선 카메라를 설치할 수 있고, 당해 RGB 카메라를 통해 미리보기 영상을 획득한다.
카메라의 설치 수량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하나일 수 있고, 복수일 수 있고, 카메라는 전자 기기에 설치하는 형식은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자 기기에 내장된 카메라, 또는, 전자 기기에 외장되어 있는 카메라일 수 있고, 더 예를 들면, 전면 카메라일 수 있고, 후면 카메라일 수도 있다. 카메라는 임의 유형의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는 컬러 카메라, 흑백 카메라, 망원 카메라, 광각 카메라 등일 수 있고, 여기서 한정하지 않는다.
전자 기기에 복수의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복수의 카메라는 동일 유형의 카메라일 수 있고, 부동한 유형의 카메라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모두 컬러 카메라일 수 있고, 모두 흑백 카메라일 수 있고, 또는, 그 중 하나의 카메라는 망원 카메라일 수 있고, 기타 카메라는 광각 카메라 등일 수 있다.
단계102에서, 미리 보기 영상 중의 전경 및 배경에 대해, 상기 영상 수집 기기와의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를 각각 검출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구현 가능한 방식으로서, 영상 수집 기기는 심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카메라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비행 시간(Time of Flight, TOF)카메라, 구조광 카메라, RGB-D(Depth, 심도)카메라 등 심도 카메라를 포함한다. 가시 광선 카메라를 제어하여 미리보기 영상을 수집할 경우, 심도 카메라가 동시에 심도 영상을 수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심도 영상은 미리보기 영상의 각 픽셀에 대응하는 각 픽셀 심도 정보를 지시하는데 사용됨으로, 심도 영상에 따라, 미리보기 영상 중의 전경 및 배경을 결정한다. 일반적으로, 심도 정보는 피사체부터 카메라가 있는 평면까지의 거리가 비교적 가깝고, 심도값이 비교적 작을 경우, 당해 피사체가 전경임을 결정할 수 있다. 아니면, 당해 피사체는 배경이다. 따라서, 심도 영상 중의 각 피사체의 심도 정보에 따라, 미리 보기 영상 중의 전경 및 배경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의 다른 하나의 구현 가능한 방식으로서, 영상 수집 기기는 메인 카메라 및 보조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고, 메인 카메라 및 보조 카메라 중 다른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미리보기 영상을 수집하고, 메인 카메라 및 보조 카메라 중 다른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측정 영상을 수집하여, 측정한 영상 및 미리보기 영상에 따라, 미리보기 영상의 심도 정보를 결정하고, 미리보기 영상의 심도 정보에 따라, 전경 및 배경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카메라 및 보조 카메라 사이에 일정한 거리가 있으므로, 당해 두가지 카메라에 시차가 생기게 되고, 부동한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은 부동하다. 삼각 측량의 원리로, 미리보기 영상 및 측정 영상에서, 동일 피사체의 심도 정보를 계산해 낼 수 있다. 즉, 당해 피사체부터 메인 카메라 및 보조 카메라가 있는 평면까지의 거리다. 미리보기 영상의 심도 정보를 계산하여 획득한 후, 미리보기 영상의 각 피사체의 심도 정보에 따라, 당해 피사체가 전경인지 배경인지를 결정하여, 미리보기 영상 중의 전경 및 배경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미리보기 영상 중의 전경 및 배경을 결정한 후, 전경 및 배경과 영상 수집 기기 사이의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경의 각 픽셀에 대응하는 좌표 및 심도 정보에 따라, 전경과 영상 수집 기기 사이의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로서, 전경의 각 픽셀에 대응하는 좌표에 따라, 전경의 중심 픽셀을 결정하고, 당해 중심 픽셀에 대응하는 좌표 및 심도 정보에 따라, 전경과 영상 수집 기기 사이의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배경의 각 픽셀에 대응하는 좌표에 따라, 배경의 중심 픽셀을 결정하고, 당해 중심 픽셀에 대응하는 좌표 및 심도 정보에 따라, 배경과 영상 수집 기기 사이의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시로서, 전경의 각 픽셀에 대응하는 좌표 및 심도 정보에 따라, 전경의 각 픽셀과 영상 수집 기기 사이의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를 각각 계산하고, 전경의 각 픽셀과 영상 수집 기기 사이의 상대 거리의 평균값을, 전경과 영상 수집 기기 사이의 상대 거리로 하고, 전경의 각 픽셀과 영상 수집 기기 사이의 상대 각도의 평균값을, 전경과 영상 수집 기기 사이의 상대 각도로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배경의 각 픽셀과 영상 수집 기기 사이의 상대 거리의 평균값을, 배경과 영상 수집 기기 사이의 상대 거리로 하고, 배경의 각 픽셀과 영상 수집 기기 사이의 상대 각도의 평균값을, 배경과 영상 수집 기기 사이의 상대 각도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예시로서, 전경의 모든 픽셀과 영상 수집 기기 사이의 상대 거리를, 전경과 영상 수집 기기 사이의 상대 거리로 할 수 있다. 즉, 전경과 영상 수집 기기 사이의 상대 거리는, 전경의 모든 픽셀과 영상 수집 기기 사이의 거리를 포함하고, 전경의 모든 픽셀과 영상 수집 기기 사이의 상대 각도를, 전경과 영상 수집 기기 사이의 상대 각도로 한다. 마찬가지로, 배경의 모든 픽셀과 영상 수집 기기 사이의 상대 거리를, 배경과 영상 수집 기기 사이의 상대 거리로 하고, 배경의 모든 픽셀과 영상 수집 기기 사이의 상대 각도를, 배경과 영상 수집 기기 사이의 상대 각도로 한다.
단계103에서,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에 따라, 영상 수집 기기의 타겟 촬영 위치를 결정하고, 타겟 촬영 위치에서 전경 및 배경을 촬영하여 획득한 화면은 설정 구도와 매칭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정 구도 전략은 전경과 배경 사이의 구도 위치, 전경과 배경의 상대 면적의 크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설정 구도 전략은 현재 촬영 장면과 관련되고, 촬영 장면이 부동할 경우, 설정 구도 전략은 부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촬영 장면이 풍경 장면이고, 바람직한 화질의 풍경도를 촬영하여 획득하기 위해, 전경은 조금 작고, 배경은 조금 커도 된다. 따라서, 설정 구도 전략은, 전경의 상대 면적은 배경의 상대 면적보다 작을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더 예를 들면, 현재의 촬영 장면은 인물 장면이 인물 또는 단체 촬영 장면일 경우, 바람직한 화질의 단체 사진을 촬영하여 획득하기 위해, 전경은 비교적 크게 설정하고, 배경은 비교적 작게 설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설정 구도 전략은 전경의 상대 면적이 배경의 상대 면적보다 큰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예시는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실제로 사용할 경우, 실제 수요 및 촬영 장면에 따라 설정 구도 전략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촬영 장면과 설정 구도 전략 사이의 대응 관계를 미리 설정할 수 있어, 본 발명에서, 현재 촬영 장면을 결정할 수 있고, 현재 촬영 장면에 따라, 상기 대응 관계를 조회하고, 대응하는 설정 구도 전략을 결정할 수 있고, 동작이 간단하며, 구현하기 쉽다.
본 발명 실시예의 구현 가능한 방식으로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현재의 촬영 장면을 선택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현재의 촬영 장면에 따라, 설정 구도 전략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촬영 인터페이스에는 해당 장면 선택 컨트롤을 구비하고, 사용자는 자신의 촬영 수요에 따라, 대응되는 장면을 트리거링하여 컨트롤을 선택함으로, 현재 촬영 장면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의 다른 하나의 구현 가능한 방식으로서, 촬영 장치를 통해 자동으로 현재 촬영 장면을 인식할 수 있고, 인식하여 획득한 현재 촬영 장면에 따라, 설정 구도 전략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촬영 장치는 미리보기 영상의 화면 내용에 따라, 현재 촬영 장면을 결정한다.
하나의 예시로서, 미리보기 영상의 화면 내용에 따라, 현재의 촬영 장면이 초상 장면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면 인식 기술을 기반으로, 미리보기 영상의 화면 내용에 적어도 두장의 안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적어도 두장의 안면이 존재할 경우, 현재 촬영 장면이 초상 장면임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에지 특징 검출 기술을 기반으로, 미리보기 영상의 각 이미징 피사체를 추출하여, 각 이미징 피사체에 따라, 현재 촬영 장면이 초상 장면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추출한 이미징 피사체에 따라 적어도 두사람이 존재함을 결정할 경우, 현재 촬영 장면을 초상 장면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시로서, 미리보기 영상의 화면 내용 및/또는 미리보기 영상 각 영역의 환경 밝기에 따라, 현재의 촬영 장면이 야경 장면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미리보기 영상의 화면 내용에 밤하늘 또는 야경 광원 등을 포함할 경우, 현재의 촬영 장면은 야경 장면임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미리보기 영상의 각 영역에서 환경 밝기가 야경 환경에서 영상의 밝기 분포 특성에 해당될 경우, 현재의 촬영 장면을 야경 장면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예시로서, 미리보기 영상의 화면 내용에 따라, 현재 촬영 장면이 풍경 장면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미리보기 영상의 화면 내용에 명승지, 꽃, 새 및 나무 등을 포함할 경우, 현재 촬영 장면을 풍경 장면으로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인식 결과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서, 심도 학습 기술을 통해, 현재의 촬영 장면을 인식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특징 추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미리보기 영상의 영상 특징을 추출하고, 영상 특징을 미리 구축한 장면 인식 모델에 입력하여, 현재 촬영 장면을 인식할 수 있다.
영상 특징은 색채 특징, 무늬 특징, 모양 특징, 공간 관계 특징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징 추출은 계산기 시각 및 영상 처리 중 하나의 개념이다. 이것은 컴퓨터로 영상 정보를 추출하고, 각 영상의 포인트가 하나의 영상 특징에 속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가리킨다. 특징 추출한 결과는 영상의 포인트를 부동한 서브 집합으로 나누는 것이고, 당해 서브 집합은 늘 고립된 포인트, 연속적인 곡선 또는 연속적인 영역에 속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경 및 배경과 영상 수집 기기 사이의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를 각각 결정한 후, 전경과 영상 수집 기기 사이의 상대 거리, 상대 각도 및 배경과 영상 수집 기기 사이의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에 따라, 3D 모델링을 하고, 영상 수집 기기가 있는 3차원 좌표계에서 전경 및 배경의 위치를 결정하고, 후에 구축한 3D 모델에 대해 시뮬레이션 분석을 하고, 바람직한 촬영 위치를 결정하고, 본 발명에서 타겟 촬영 위치로 기록할 수 있다. 타겟 촬영 위치에서 전경 및 배경를 촬영하여 획득한 화면과 설정 구도 전략을 매칭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정 구도 전략은 촬영 장면과 관련되고, 촬영 장면이 부동할 경우, 설정 구도 전략은 부동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부동한 장면에서 바람직한 화질의 영상을 획득하는 수요를 만족할 수 있다.
단계104에서, 타겟 촬영 위치의 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영상 수집 기기가 타겟 촬영 위치로 이동해야 할 것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 정보는 문자 정보, 화살표 및 회전 각도 중의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타겟 촬영 위치를 결정한 후, 타겟 촬영 위치의 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 사용자가 제시 정보에 따라, 영상 수집 기기를 타겟 촬영 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예를 들면, 영상 수집 기기의 현재 위치와 타겟 촬영 위치에 따라,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결정함으로,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에 따라, 제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영상 수집 기기가 타겟 촬영 위치로 이동할 것을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시 정보가 문자 정보일 경우, 촬영 인터페이스에서 타겟 촬영 위치의 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영상 수집 기기를 타겟 촬영 위치로 이동하여 촬영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풍경도를 촬영할 경우, 촬영 인터페이스에서 "앞으로 1m 걷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해해야할 것은, 타겟 촬영 위치가 3차원 공간의 포인트이고, 촬영 인터페이스에서 직접 당해 타겟 촬영 위치의 좌표 정보를 직접 디스플레이할 경우, 사용자는 당해 포인트가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동작하도록, 당해 제시 정보는 화살표 및/또는 회전 각도를 더 포함할 수 있어, 사용자가 화살표 및/또는 회전 각도에 따라, 영상 수집 기기를 회전하거나 동영상 수집 기기를 타겟 촬영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간단명료한 제시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해당 동작을 쉽게 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의 사용 체험을 향상할 수 있다.
물론, 당해 제시 정보는 음성 정보일 수도 있고, 스피커를 통해 당해 제시 정보를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풍경도를 촬영할 경우, 스피커를 통해 "앞으로 1m 걷기"를 음성으로 제시할 수 있다. 이로하여, 사용자가 영상 수집 기기 스크린의 촬영 화면을 검열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기반에서, 사용자가 해당 동작을 하는데 편리하고, 사용자의 사용 체험을 향상한다. 본 발명에서, 복수의 방식을 통해, 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당해 방법의 적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의 촬영 방법은, 영상 수집 기기가 수집한 미리 보기 영상에 대해 전경 및 배경의 인식을 하고, 전경 및 배경과 영상 수집 기기 사이의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를 검출하여,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에 따라, 영상 수집 기기의 타겟 촬영 위치를 결정하고, 타겟 촬영 위치에서 전경 및 배경을 촬영하여 획득한 화면은 설정 구도와 매칭되고, 마지막으로 타겟 촬영 위치의 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영상 수집 기기가 타겟 촬영 위치로 이동해야 할 것을 제시한다. 이로하여, 사용자가 영상을 촬영할 경우, 자동적으로 사용자를 위해 바람직한 촬영 위치를 계산해 낼 수 있고, 본 발명에서 타겟 촬영 위치로 표시되고, 당해 타겟 촬영 위치를 제시하여, 사용자는 제시 정보에 따라, 영상 수집 기기를 타겟 촬영 위치로 이동하여 촬영을 한다. 일 측면에서, 이미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다른 한 측면에서, 사용자가 중복으로 촬영하고 영상을 선별할 필요 없고, 사용자가 영상에 대해 후기 처리할 필요도 없어, 사용자의 사용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나의 예시로서, 도2를 참조하고, 도2는 촬영 인터페이스의 개략도를 전시하였고, 촬영 인터페이스에서 화살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한 화살표에 따라, 영상 수집 기기를 타겟 촬영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앞으로 영상 수집 기기를 타겟 촬영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시로서, 도3을 참조하고, 도3은 다른 하나의 촬영 인터페이스의 개략도를 전시하고, 촬영 인터페이스에서 회전 각도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한 회전 각도에 따라, 영상 수집 기기를 타겟 촬영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영상 수집 기기를 손에 쥐고, 오른쪽으로 30°회전하고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하나의 구현 가능한 방식으로서, 타겟 촬영 위치 결정 결과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경과 영상 수집 기기 사이의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 배경과 영상 수집 기기 사이의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에 따라, 3D 모델링을 한 후, 복수의 후보 위치를 결정하여, 각 후보 위치에서, 구축한 3D 모델에 대해 시뮬레이션 촬영을 하고, 촬영하여 획득한 각 화면과 설정 구도 전략을 매칭하는 방식으로, 타겟 촬영 위치를 결정한다. 아래 실시예2와 결합하여, 상기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서 제공하는 촬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영 방법은 단계201 내지 단계207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201에서, 영상 수집 기기가 수집한 미리보기 영상을 획득한다.
단계202에서, 미리 보기 영상 중의 전경 및 배경에 대해, 상기 영상 수집 기기와의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를 각각 검출한다.
단계201 내지 202의 수행 과정은 상기 실시예의 단계101 내지 102의 수행 과정을 참조할 수 있고, 더는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203에서,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에 따라, 영상 수집 기기가 있는 3차원 좌표계에서 전경과 배경의 위치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영상 수집 기기의 현재 위치, 전경과 영상 수집 기기 사이의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 배경과 영상 수집 기기 사이의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에 따라, 3차원 모델링을 하고, 영상 수집 기기가 있는 3차원 좌표계에서 전경 및 배경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수집 기기는 글로벌 위치 측정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을 포함할 수 있고, GPS 정보에 따라, 영상 수집 기기의 현재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영상 수집 기기의 현재 위치, 전경의 각 픽셀과 영상 수집 기기 사이의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에 따라, 3D 모델링을 하여, 영상 수집 기기가 있는 3차원 좌표계에서 전경의 각 픽셀의 대응 위치를 획득하는 동시에, 배경의 각 픽셀과 영상 수집 기기 사이의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에 따라, 3D 모델링을 하여, 영상 수집 기기가 있는 3차원 좌표계에서 배경의 각 픽셀의 대응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204에서, 3차원 좌표계에서, 복수의 후보 위치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3차원 좌표계에서, 랜덤으로 복수의 후보 위치를 선택하거나,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복수의 후보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D 모델링 후, 3차원 좌표계에서 전경의 각 픽셀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어, 3차원 좌표계에서 각 픽셀의 위치에 따라, 전경에 대응하는 위치 구간을 결정하고, 복수의 후보 위치는, 전경에 대응하는 위치 구간에 있을 수 있고, 또는, 전경과 비교적 가까운 위치 포인트일 수 있다.
단계205에서, 복수의 후보 위치에 대해, 영상 수집 기기가 있는 3차원 좌표계에서 전경 및 배경의 위치에 따라, 복수의 후보 위치에서 전경 및 배경을 촬영하여 획득한 화면을 예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 후보 위치를 결정한 후, 각 후보 위치에서, 구축한 3D 모델에 대해 시뮬레이션 촬영을 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복수의 후보 위치에 대해, 영상 수집 기기가 있는 3차원 좌표계에서 전경 및 배경의 위치에 따라, 복수의 후보 위치에서 전경 및 배경을 촬영하여 획득한 화면을 예측할 수 있다.
단계206에서, 복수의 후보 위치에서 화면과 설정 구도 전략 사이의 매칭 정도에 따라, 복수의 후보 위치에서, 타겟 촬영 위치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후보 위치에서, 시뮬레이션 촬영하여 화면을 획득한 후, 각 후보 위치의 화면을, 설정 구도 전략에 매칭할 수 있고, 각 후보 위치에서 화면과 설정 구도 전략 사이의 매칭 정도를 결정하여, 매칭 정도에 따라, 복수의 후보 위치에서, 타겟 촬영 위치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현재의 촬영 장면이 초상 장면과 같은 인물 장면일 경우, 설정 구도 전략은 전경의 면적이 배경의 면적보다 크도록 지시할 수 있고, 각 후보 위치에서 화면에 전경의 면적이 배경의 면적보다 큰 화면이 존재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존재할 경우, 전경의 면적이 배경의 면적보다 큰 화면에 대응하는 후보 위치를, 타겟 촬영 위치로 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실제로 응용할 경우, 설정 구도 전략과 매칭되는 화면의 개수는 여러 개일 수 있다. 따라서, 영상의 촬영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매칭 정도가 가장 높은 화면에 대응하는 후보 위치를, 타겟 촬영 위치로 할 수 있다.
단계207에서, 타겟 촬영 위치의 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영상 수집 기기가 타겟 촬영 위치로 이동해야 할 것을 제시한다.
단계207의 수행 과정은 상기 실시예의 단계104의 수행 과정을 참조할 수 있고, 더는 설명하지 않는다.
설명해야 할 것은, 실제로 응용할 경우, 사용자는 영상을 촬영하는 과정에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면을 변경하여 영상을 촬영하거나, 촬영할 타겟을 찾는 등일 수 있다. 이때, 획득한 데이터를 모델링 분석에 사용하는 것은 부적절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실시예의 가능한 구현 방식으로서, 영상 수집 기기의 떨림 정도가 비교적 높을 경우, 비촬영 행위로 판정할 수 있고, 모델링 분석할 필요가 없으므로, 계산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아래는 실시예3과 결합하여, 상기 과정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서 제공하는 촬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촬영 방법은 단계301 내지 307를 포함한다.
단계301에서, 영상 수집 기기가 수집한 미리보기 영상을 획득한다.
단계301의 수행 과정은 상기 실시예의 단계101의 수행 과정을 참조할 수 있고, 더는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302에서, 센서에 의해 주기적으로 수집된 자세 정보에 따라, 현재 주기에서 영상 수집 기기의 떨림 정도를 결정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으로서, 상기 센서는 위치 이동 감시센서일 수 있고, 위치 이동 감시센서를 통해, 촬영 과정에서 영상 수집 기기의 위치 이동 정보를 수집하여, 획득한 위치 이동 정보에 따라, 영상 수집 기기에 떨림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영상 수집 기기의 떨림 정도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영상 수집 기기의 현재의 회전의(Gyro-sensor)정보를 통해, 회전의 정보에 따라, 영상 수집 기기에 떨림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영상 수집 기기의 떨림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회전의는 각속도 센서라고도 하고, 물리적인 양의 편향, 기울었을 경우 회전각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영상 수집 기기에서, 회전의는 회전, 편향의 동작을 좋게 측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실제 동작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판단할 수 있다. 회전의 정보(gyro 정보)는 3차원 공간의 3개 차원 방향에서 영상 수집 기기의 운동 정보을 포함할 수 있고, 3차원 공간의 3개 차원은 각각 X축, Y축, Z축 3개 방향을 나타낼 수 있고, X축, Y축, Z축은 서로 수직되는 관계이다.
이로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현재 주기의 gyro 정보에 따라, 영상 수집 기기에 떨림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현재 주기에서 영상 수집 기기의 떨림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3개 방향에서 영상 수집 기기의 운동 정보의 절대치가 클수록, 영상 수집 기기의 떨림 정도는 크다.
본 발명에서, 현재 주기의 gyro 정보를 획득한 후, 3개 방향에서 당해 현재 주기 gyro 정보의 운동 정보에 따라, 현재 주기에서 영상 수집 기기 자세의 떨림 정도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개 방향에서 현재 주기의 gyro 정보의 운동 정보를 각각 A, B, C로 표기할 경우, 현재 주기에서 영상 수집 기기 자세의 떨림 정도는
Figure pct00001
일 수 있다.
단계303에서, 현재 주기에서 영상 센서 자세의 떨림 정도가 떨림 역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작을 경우, 단계304 내지 306을 수행하고, 아닐 경우, 단계307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떨림 역치는 미리 설정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현재 주기에서 영상 센서 자세의 떨림 정도가 떨림 역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현재 주기에서 영상 수집 기기 자세의 떨림 정도가 떨림 역치보다 작을 경우, 단계304 내지 306을 수행하고, 현재 주기에서 영상 센서 자세의 떨림 정도가 떨림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단계307을 수행한다.
단계304에서, 미리 보기 영상 중의 전경 및 배경에 대해, 상기 영상 수집 기기와의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를 각각 검출한다.
단계305에서,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에 따라, 영상 수집 기기의 타겟 촬영 위치를 결정하고, 타겟 촬영 위치에서 전경 및 배경을 촬영하여 획득한 화면은 설정 구도와 매칭된다.
단계306에서, 타겟 촬영 위치의 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영상 수집 기기가 타겟 촬영 위치로 이동해야 할 것을 제시한다.
단계304 내지 306의 수행 과정은 상기 실시예의 수행 과정을 참조할 수 있고, 더는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307에서, 비촬영 행위를 인식하고, 미리 보기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현재 주기에서 영상 센서 자세의 떨림 정도가 떨림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사용자가 이동하고 있는 과정, 또는, 촬영 타겟을 찾고 있어나, 촬영 장면을 변경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초상 장면에서 풍경 장면으로 변경할 경우, 획득한 데이터를 모델링 분석에 사용하는 것은 부적절한 것이다. 따라서, 비촬영 행위로 판정할 수 있고, 모델링 분석할 필요가 없으므로, 미리 보기 영상을 다시 수집하고, 수집한 후의 미리 보기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로하여, 계산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으로서, 사용자는 촬영 인터페이스에서의 촬영 컨트롤을 가볍게 누를 경우, 영상 수집 기기가 미리 보기 영상을 수집하도록 트리거링한다. 이로하여, 사용자는 기성 촬영 컨트롤을 누르면, 미리 보기 영상을 수집할 수 있고, 다른 컨트롤을 설정할 필요 없이, 촬영 인터페이스의 외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래는 실시예4와 결합하여, 상기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4에서 제공하는 촬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촬영 방법은 단계401 내지 405를 포함한다.
단계401에서, 촬영 인터페이스에서의 촬영 컨트롤에 대한 누르는 힘을 탐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촬영 장치는 사용자가 촬영 인터페이스의 촬영 컨트롤에 대한 누르는 힘을 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수집 기기에 압력 소자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압력 소자를 통해, 사용자가 촬영 인터페이스의 촬영 컨트롤에 대한 누르는 힘을 수집할 수 있어, 촬영 장치는 압력 소자가 수집한 누르는 힘을 수집할 수 있다. 압력 소자는 압전 재료 또는 압력 센서일 수 있다.
단계402에서, 누르는 힘이 타겟 힘 구간에 속할 경우, 영상 수집 기기가 수집한 미리 보기 영상을 획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타겟 힘 구간은 미리 설정된 것이고, 타겟 힘 구간은 비교적 작은 값의 구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누르는 힘이 타겟 힘 구간에 속할 경우, 영상 수집 기기가 수집한 미리 보기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단계403에서, 미리 보기 영상 중의 전경 및 배경에 대해, 상기 영상 수집 기기와의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를 각각 검출한다.
단계404에서,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에 따라, 영상 수집 기기의 타겟 촬영 위치를 결정하고, 타겟 촬영 위치에서 전경 및 배경을 촬영하여 획득한 화면은 설정 구도와 매칭된다.
단계405에서, 타겟 촬영 위치의 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영상 수집 기기가 타겟 촬영 위치로 이동해야 할 것을 제시한다.
단계403 내지 405의 수행 과정은 상기 실시예의 수행 과정을 참조할 수 있고, 더는 설명하지 않는다.
나아가, 영상 수집 기기가 타겟 촬영 위치로 이동한 후, 영상 기기가 촬영하도록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또는, 사용자가 촬영 컨트롤을 눌러 촬영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누르는 힘이 타겟 힘 구간의 상한보다 클 경우, 영상 수집 기기가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로하여, 사용자 수요에 따라 촬영할 것을 구현할 수 있어, 사용자를 위해 바람직한 촬영 위치를 추천할 필요 없게 된다. 일 측면에서 사용자의 실제 촬영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고, 다른 한 측면에서 계산 자원을 절약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촬영 장치를 더 제공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5에서 제공하는 촬영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촬영 장치(700)는, 획득 모듈(710), 검출 모듈(720), 결정 모듈(730) 및 디스플레이 모듈(740)을 포함한다.
획득 모듈(710)은, 영상 수집 기기가 수집한 미리보기 영상을 획득하는데 사용된다.
검출 모듈(720), 미리보기 영상 중의 전경 및 배경에 대해, 영상 수집 기기와의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를 각각 검출하는데 사용된다.
결정 모듈(730),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에 따라, 영상 수집 기기의 타겟 촬영 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타겟 촬영 위치에서 전경 및 배경을 촬영하여 획득한 화면은 설정 구도와 매칭된다.
디스플레이 모듈(740), 타겟 촬영 위치의 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영상 수집 기기가 타겟 촬영 위치로 이동해야 할 것을 제시하는데 사용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으로서, 결정 모듈(730)은, 구체적으로,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에 따라, 영상 수집 기기가 있는 3차원 좌표계에서 전경과 배경의 위치를 결정하고; 3차원 좌표계에서, 복수의 후보 위치를 결정하고; 복수의 후보 위치에 대해, 영상 수집 기기가 있는 3차원 좌표계에서 전경 및 배경의 위치에 따라, 복수의 후보 위치에서 전경 및 배경을 촬영하여 획득한 화면을 예측하며; 복수의 후보 위치에서 화면과 설정 구도 전략 사이의 매칭 정도에 따라, 복수의 후보 위치에서, 타겟 촬영 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으로서, 검출 모듈(720)은, 구체적으로, 센서에 의해 주기적으로 수집된 자세 정보에 따라, 현재 주기에서 영상 센서의 떨림 정도를 결정하고; 현재 주기에서 영상 센서 자세의 떨림 정도가 떨림 역치보다 작을 경우, 미리보기 영상 중의 전경 및 배경에 대해, 영상 수집 기기와의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를 각각 검출하고; 현재 주기에서 영상 센서 자세의 떨림 정도가 떨림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비촬영 행위로 인식하고, 미리 보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된다.
나아가, 본 발명 실시예의 가능한 구현 방식으로서, 도8을 참조하고, 도7에서 도시한 실시예의 기반에서, 당해 촬영 장치(700)는 제어 모듈(750)을 더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으로서, 획득 모듈(710)은, 구체적으로, 촬영 인터페이스에서의 촬영 컨트롤에 대한 누르는 힘을 탐지하고; 누르는 힘이 타겟 힘 구간에 속할 경우, 영상 수집 기기가 수집한 미리 보기 영상을 획득하는데 사용된다.
제어 모듈(750)은, 누르는 힘이 타겟 힘 구간의 상한보다 클 경우, 영상 수집 기기가 촬영하도록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으로서, 제시 정보는 화살표와 회전 각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도1 내지 도6의 실시예가 촬영 방법에 대한 해석 설명은 당해 실시예의 촬영 장치에도 적용되고, 더는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 실시예의 촬영 장치는, 영상 수집 기기가 수집한 미리 보기 영상에 대해 전경 및 배경의 인식을 하고, 전경 및 배경과 영상 수집 기기 사이의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를 검출하여,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에 따라, 영상 수집 기기의 타겟 촬영 위치를 결정하고, 타겟 촬영 위치에서 전경 및 배경을 촬영하여 획득한 화면은 설정 구도와 매칭되고, 마지막으로 타겟 촬영 위치의 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영상 수집 기기가 타겟 촬영 위치로 이동해야 할 것을 제시한다. 이로하여, 사용자가 영상을 촬영할 경우, 자동적으로 사용자를 위해 바람직한 촬영 위치를 계산해 낼 수 있고, 본 발명에서 타겟 촬영 위치로 표시되고, 당해 타겟 촬영 위치를 제시하여, 사용자는 제시 정보에 따라, 영상 수집 기기를 타겟 촬영 위치로 이동하여 촬영을 한다. 일 측면에서, 이미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다른 한 측면에서, 사용자가 중복으로 촬영하고 영상을 선별할 필요 없고, 사용자가 영상에 대해 후기 처리할 필요도 없어, 사용자의 사용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자 기기와 판독 가능 저장 메체를 제공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촬영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전자 기기의 블록도이다. 전자 기기는 복수 형식의 디지털 컴퓨터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랩톱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개인 정보 단말(PAD), 서버, 블레이드 서버, 메인 프레임 및 기타 적합한 컴퓨터일 수 있다. 전자 기기는 복수 형식의 모바일 장치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개인 정보 단말(PAD), 셀룰러 폰, 스마트 폰, 웨어러블 기기 및 기타 유사한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본 출원에 나타난 컴포넌트, 이들의 연결와 관계, 및 기능은 단지 예시적인 것 뿐이며, 본 발명에서 설명 및/또는 요구한 본 출원의 구현을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전자 기기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901), 메모리(902) 및 각 컴포넌트를 연결하기 위한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각 컴포넌트는 서로 다른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되고, 공동 메인보드에 장착될 수 있고 수요에 의해 기타 방식으로 장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 또는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외부의 입력 / 출력 장치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기기)에 GUI의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 전자 기기 내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기타 실시 방식에서, 필요에 따라, 복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복수의 버스를 복수의 메모리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전자 기기를 연결할 수 있고. 각 전자 기기는 일부 필요한 동작(예를 들면, 서버 어레이, 한 그룹의 블레이드 서버 또는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9에서는 하나의 프로세서(901)를 예로 든다.
메모리(90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이다. 상기 메모리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 가능한 명령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촬영 방법을 실행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명령이 저장되어 있고, 당해 컴퓨터 명령은 컴퓨터가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촬영 방법을 실행하게 한다.
메모리(902)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비일시적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비일시적 컴퓨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및 모듈을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촬영 방법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명령/모듈(예를 들면,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은 획득 모듈(710), 검출 모듈(720), 결정 모듈(730)以及디스플레이 모듈(740))일 수 있다. 프로세서(901)는 메모리(902)에 저장된 비일시적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명령 및 모듈을 작동시켜, 서버의 복수의 기능 응용 및 데이터 처리를 실행한다. 즉 상기 방법 실시예의 촬영 방법을 구현한다.
메모리(902)는 프로그램 저장영역과 데이터 저장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프로그램 저장영역은 운영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데이터 저장영역은 촬영 방법의 전자 기기의 사용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 외에, 메모리(902)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비일시적 메모리,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비일시적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902)는 선택적으로 프로세서(901)에 대해 원격으로 설치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이러한 원격 메모리는 네트워크를 통해 촬영 방법의 전자 기기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의 구현예는 인터넷, 인트라넷, 근거리 통신망, 이동 통신망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촬영 방법의 전자 기기는 입력 장치(903) 및 출력 장치(9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01), 메모리(902), 입력 장치(903) 및 출력 장치(904)는 버스 또는 기타 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도 9에서는 버스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예로 한다.
입력 장치(903)는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촬영 방법의 전자 기기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되는 키 신호 입력을 생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키드, 마우스, 트랙패드, 터치패드, 포인팅 스틱, 하나 또는 복수의 마우스 버튼, 트랙볼, 조이스틱 등 입력 장치이다. 출력 장치(904)는 디스플레이 기기, 보조 조명 장치(예를 들면, LED)와 촉각 피드백 장치(예를 들면, 진동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당해 디스플레이 기기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기기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는 시스템과 기술의 여러 가지 실시형태는 디지털 전자회로 시스템, 집적회로 시스템, 전용 ASIC(특정 용도 지향 집적 회로),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실시형태는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실시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당해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 가능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가능 시스템에서 실행 및/또는 해석되며, 당해 프로그래밍 가능 프로세서는 전용 또는 일반 프로그래밍 가능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저장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 장치에서 데이터와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데이터와 명령을 당해 저장 시스템, 당해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 및 당해 적어도 하나의 출력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팅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코드라고도 한다)은 프로그래밍 가능 프로세서의 기계 명령을 포함하고, 고급 절차 및/또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및/또는 어셈블리/기계 언어를 이용하여 이러한 컴퓨팅 프로그램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 "기계 판독 가능 매체"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기계 명령 및/또는 데이터를 프로그래밍 가능 프로세서에 제공하는 임의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기기 및/또는 장치(예를 들면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메모리, 프로그래밍 가능 로직 장치(PLD))를 가리키고, 기계 판독 가능 신호인 기계 명령을 수신하는 기계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용어 "기계 판독 가능 신호"는 기계 명령 및/또는 데이터를 프로그래밍 가능 프로세서에 제공하는 임의의 신호를 가리킨다.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제공하기 위해, 여기서 설명된 시스템 및 기술은 컴퓨터 상에서 구현할 수 있으며, 당해 컴퓨터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예를 들면 CRT(음극선관) 또는 LCD(액정 디스플레이) 모니터); 및 키보드와 지향 장치(예를 들면, 마우스 또는 트랙볼)를 구비하고, 사용자는 당해 키보드와 당해 지향 장치를 통해 컴퓨터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기타 유형의 장치도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에 사용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제공된 피드백은 임의의 형식의 감각 피드백(예를 들면 시각적 피드백, 청각적 피드백 또는 촉각적 피드백)일 수 있고, 임의의 형식(음향 입력, 음성 입력 또는 촉각 입력을 포함)에 의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한 시스템과 기술을 백그라운드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예를 들면 데이터 서버), 또는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프론트 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예를 들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네트워크 브라우저를 구비한 사용자 컴퓨터이며, 사용자는 당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당해 네트워크 브라우저를 통해 여기서 설명한 시스템과 기술의 실시형태와 인터랙션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백그라운드 컴포넌트, 미들웨어 컴포넌트 또는 프론트 엔드 컴포넌트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에서 실시될 수 있다. 임의의 형태 또는 매체의 디지털 데이터 통신(예를 들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시스템의 컴포넌트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의 예시는 근거리 통신망 (LAN), 광역 통신망 (WAN) 및 인터넷을 포함한다.
컴퓨터 시스템은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일반적으로 서로 떨어져 있으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인터랙션한다. 대응하는 컴퓨터에서 운행되고 서로 클라이언트-서버 관계를 가지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관계를 생성한다. 서버는 클라우드 서버일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 또는 클라우드 호스트라고도 하고,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시스템의 일 호스트 제품이고, 전통적인 물리 호트트와 VPS 서비스의 관리가 어렵고, 업무 확정성이 약한 결함을 해결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기술 방안에 따라, 영상 수집 기기가 수집한 미리 보기 영상에 대해 전경 및 배경의 인식을 하고, 전경 및 배경과 영상 수집 기기 사이의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를 검출하여,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에 따라, 영상 수집 기기의 타겟 촬영 위치를 결정하고, 타겟 촬영 위치에서 전경 및 배경을 촬영하여 획득한 화면은 설정 구도와 매칭되고, 마지막으로 타겟 촬영 위치의 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영상 수집 기기가 타겟 촬영 위치로 이동해야 할 것을 제시한다. 이로하여, 사용자가 영상을 촬영할 경우, 자동적으로 사용자를 위해 바람직한 촬영 위치를 계산해 낼 수 있고, 본 발명에서 타겟 촬영 위치로 표시되고, 당해 타겟 촬영 위치를 제시하여, 사용자는 제시 정보에 따라, 영상 수집 기기를 타겟 촬영 위치로 이동하여 촬영을 한다. 일 측면에서, 이미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다른 한 측면에서, 사용자가 중복으로 촬영하고 영상을 선별할 필요 없고, 사용자가 영상에 대해 후기 처리할 필요도 없어, 사용자의 사용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복수 형식의 흐름에 의해, 단계를 재정열,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출원에 기재한 각 단계는 병행하여 또는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순서로 실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개시한 기술 방안이 원하는 결과만 구현할 수 있으면 본 발명에서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구체적인 실시 방식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설계 요구 및 기타 요소에 의해 여러가지 수정, 조합, 서브 조합 및 대체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정신과 원칙 내에서 이루어진 모든 수정, 동등한 대체 및 향상은 본 발명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4)

  1. 촬영 방법에 있어서,
    영상 수집 기기가 수집한 미리보기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미리 보기 영상 중의 전경 및 배경에 대해, 상기 영상 수집 기기와의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를 각각 검출하는 단계;
    상기 상대 거리 및 상기 상대 각도에 따라, 상기 영상 수집 기기의 타겟 촬영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타겟 촬영 위치에서 상기 전경 및 상기 배경을 촬영하여 획득한 화면은 설정 구도 전략과 매칭됨 - ; 및
    상기 타겟 촬영 위치의 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영상 수집 기기가 상기 타겟 촬영 위치로 이동해야 할 것을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거리 및 상기 상대 각도에 따라, 상기 영상 수집 기기의 타겟 촬영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 거리 및 상기 상대 각도에 따라, 상기 영상 수집 기기가 있는 3차원 좌표계에서 상기 전경 및 상기 배경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3차원 좌표계에서, 복수의 후보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후보 위치에 대해, 상기 영상 수집 기기가 있는 3차원 좌표계에서 상기 전경 및 상기 배경의 위치에 따라, 상기 복수의 후보 위치에서 상기 전경 및 사익 배경을 촬영하여 획득한 화면을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후보 위치에서 화면과 설정 구도 전략 사이의 매칭 정도에 따라, 상기복수의 후보 위치에서, 상기 타겟 촬영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보기 영상 중의 전경 및 배경에 대해, 상기 영상 수집 기기와의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를 각각 검출하는 단계는,
    센서에 의해 주기적으로 수집된 자세 정보에 따라, 상기 현재 주기에서 영상 수집 기기의 떨림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
    현재 주기에서 상기 영상 수집 기기 자세의 떨림 정도가 떨림 역치보다 작을 경우, 상기 미리 보기 영상 중의 전경 및 배경에 대해, 상기 영상 수집 기기와의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를 각각 검출하는 단계; 및
    현재 주기에서 상기 영상 센서 자세의 떨림 정도가 상기 떨림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비촬영 행위로 인식하고, 상기 미리 보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수집 기기가 수집한 미리 보기 영상은,
    촬영 인터페이스에서의 촬영 컨트롤에 대한 누르는 힘을 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누르는 힘이 타겟 힘 구간에 속할 경우, 상기 영상 수집 기기가 수집한 미리 보기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촬영 인터페이스의 촬영 컨트롤에 대한 누르는 힘을 탐지한 후,
    상기 누르는 힘이 상기 타겟 힘 구간의 상한보다 클 경우, 상기 영상 수집 기기가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시 정보는 화살표와 회전 각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법.
  7. 촬영 장치에 있어서,
    영상 수집 기기가 수집한 미리보기 영상을 획득하는데 사용되는 획득 모듈;
    상기 미리 보기 영상 중의 전경 및 배경에 대해, 상기 영상 수집 기기와의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를 각각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검출 모듈;
    상기 상대 거리 및 상기 상대 각도에 따라, 상기 영상 수집 기기의 타겟 촬영 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결정 모듈 - 상기 타겟 촬영 위치에서 상기 전경 및 상기 배경을 촬영하여 획득한 화면은 설정 구도 전략과 매칭됨 - ; 및
    상기 타겟 촬영 위치의 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영상 수집 기기가 상기 타겟 촬영 위치로 이동해야 할 것을 제시하는데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상대 거리 및 상기 상대 각도에 따라, 상기 영상 수집 기기가 있는 3차원 좌표계에서 상기 전경 및 상기 배경의 위치를 결정하고;
    3차원 좌표계에서, 복수의 후보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후보 위치에 대해, 상기 영상 수집 기기가 있는 3차원 좌표계에서 상기 전경 및 상기 배경의 위치에 따라, 상기 복수의 후보 위치에서 상기 전경 및 상기 배경을 촬영하여 획득한 화면을 예측하며;
    상기 복수의 후보 위치에서 화면과 설정 구도 전략 사이의 매칭 정도에 따라, 상기복수의 후보 위치에서, 상기 타겟 촬영 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모듈은, 구체적으로,
    센서에 의해 주기적으로 수집된 자세 정보에 따라, 현재 주기에서 사익 영상 수집 기기의 떨림 정도를 결정하고;
    현재 주기에서 상기 영상 센서 자세의 떨림 정도가 떨림 역치보다 작을 경우, 상기 미리보기 영상의 상기 전경 및 상기 배경에 대해, 상기 영상 수집 기기와의 상대 거리 및 상대 각도를 각각 검출하고;
    현재 주기에서 상기 영상 센서 자세의 떨림 정도가 상기 떨림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비촬영 행위로 인식하고, 상기 미리 보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촬영 인터페이스에서의 촬영 컨트롤에 대한 누르는 힘을 탐지하고;
    상기 누르는 힘이 타겟 힘 구간에 속할 경우, 상기 영상 수집 기기가 수집한 미리 보기 영상을 획득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누르는 힘이 상기 타겟 힘 구간의 상한보다 클 경우, 상기 영상 수집 기기가 촬영하도록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시 정보는 화살표와 회전 각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3. 전자 기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명령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촬영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4. 컴퓨터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명령은 상기 컴퓨터가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촬영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명령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17027007A 2020-06-28 2020-12-03 촬영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 KR202101123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598649.3 2020-06-28
CN202010598649.3A CN111935393A (zh) 2020-06-28 2020-06-28 拍摄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PCT/CN2020/133675 WO2022000992A1 (zh) 2020-06-28 2020-12-03 拍摄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390A true KR20210112390A (ko) 2021-09-14

Family

ID=77798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7007A KR20210112390A (ko) 2020-06-28 2020-12-03 촬영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36795B2 (ko)
EP (1) EP3962062A1 (ko)
JP (1) JP7293362B2 (ko)
KR (1) KR2021011239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09733A1 (en) * 2021-03-29 2022-09-29 Tetavi Ltd. Surface texturing from multiple camera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2995B2 (ja) 1997-01-21 2007-11-28 ソニー株式会社 画像撮像装置および方法
JP2002040321A (ja) 2000-07-24 2002-02-06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
JP2005099164A (ja) 2003-09-22 2005-04-14 Fuji Photo Film Co Ltd 自動撮影システム
US9049434B2 (en) 2010-03-05 2015-06-0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3D imaging device and 3D imaging method
US8379999B2 (en) * 2011-01-18 2013-02-19 Chanan Gabay Methods, circuits, devices, apparatuses and systems for providing image composition rules, analysis and improvement
JP2012244249A (ja) 2011-05-16 2012-12-10 Olympus Corp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13070303A (ja) * 2011-09-26 2013-04-18 Kddi Corp 画面への押圧で撮影が可能な撮影装置、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32370B2 (ja) 2015-10-02 2019-06-19 株式会社Nttドコモ 撮像システム、構図設定装置、及び構図設定プログラム
KR20170112497A (ko) * 2016-03-31 2017-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1272113B2 (en) 2017-10-24 2022-03-08 Sony Corporation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exposure adjus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62062A1 (en) 2022-03-02
US11736795B2 (en) 2023-08-22
US20220321798A1 (en) 2022-10-06
JP7293362B2 (ja) 2023-06-19
JP2022543510A (ja) 2022-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000992A1 (zh) 拍摄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11100664B2 (en) Depth-aware photo editing
JP6292867B2 (ja) 合成イメージを撮影する撮影装置及びその方法
EP3570553B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haptic feedback
JP5740884B2 (ja) 繰り返し撮影用arナビゲーション及び差異抽出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313657B2 (en) Depth map generation apparatus,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therefor
CN109040474B (zh) 照片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JP2013162487A (ja) 画像表示装置及び撮像装置
US10545215B2 (en) 4D camera tracking and optical stabilization
JP2014014076A (ja) 3d深度情報に基づいたイメージぼかし
CN110035218B (zh) 一种图像处理方法、图像处理装置及拍照设备
US11044398B2 (en) Panoramic light field capture, processing, and display
CN112637500A (zh) 图像处理方法及装置
KR20210112390A (ko) 촬영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
CN114390186A (zh) 视频拍摄方法及电子设备
JP6483661B2 (ja) 撮像制御装置、撮像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385481A (zh) 图像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1500225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s in portable terminal
CN114600162A (zh) 用于捕捉摄像机图像的场景锁定模式
CN110599602A (zh) 一种ar模型的训练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339029B (zh) 拍摄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1601042B (zh) 图像采集方法、图像展示方法及装置
CN112634339B (zh) 商品对象信息展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5118879A (zh) 图像拍摄、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7934769A (zh) 图像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