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1505A - 복약관리 시스템 및 장치 - Google Patents

복약관리 시스템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1505A
KR20210111505A KR1020200026535A KR20200026535A KR20210111505A KR 20210111505 A KR20210111505 A KR 20210111505A KR 1020200026535 A KR1020200026535 A KR 1020200026535A KR 20200026535 A KR20200026535 A KR 20200026535A KR 20210111505 A KR20210111505 A KR 20210111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tion
medicine
medication management
user
managemen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6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1650B1 (ko
Inventor
최창규
Original Assignee
최창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규 filed Critical 최창규
Priority to KR1020200026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650B1/ko
Publication of KR20210111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505A/ko
Priority to KR1020220015685A priority patent/KR1024325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7Calendar blocks in which the calendar sheet or sheets are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G06K9/2063
    • G06K9/7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2Image preprocessing by selection of a specific region containing or referencing a pattern; Locating or processing of specific regions to guide the detection or recognition
    • G06V10/225Image preprocessing by selection of a specific region containing or referencing a pattern; Locating or processing of specific regions to guide the detection or recognition based on a marking or identifier characterising the are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4Image or video pattern matching; Proximity measures in feature spa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5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computer net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5/0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 A61J2205/4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by shape or form, e.g. by using shape recognition

Abstract

복약관리 장치 및 복약관리 단말을 포함하는 복약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복약관리 장치는, 식약품이 1회 복약 단위로 개별 포장된 복수의 약포지를 고정 가능한 고정부; 상기 복수의 약포지가 고정되는 경우에도 달력 형태의 표시가 시인 가능하도록 배치된 배경부; 상기 조명에 노출된 약포지를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을 상기 복약관리 단말 또는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약관리 단말은, 상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 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연산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이 저장된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연산은, 상기 수신된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약품의 복약 시간 및 복약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복약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약관리 시스템 및 장치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AKING FOOD AND DRUG}
본 발명은 복약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장기복약 식약품의 복약관리를 위한 복약관리 장치를 구매자에게 제공하고, 복약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정보를 기반으로 적절한 복약계획을 수립하고, 수립된 복약계획에 따른 정기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장기 복약 식약품(예컨대, 영양제와 같은 식품 또는 특정 만성 질환에 관련된 의약품 등)을 정기적으로 복약하고 구매하는 구매자의 경우, 매번 식약품이 떨어질 때 마다 직접 구매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습관적으로 같은 식약품을 구매하기 때문에 복약방법, 효과 및 식약품 조합에 대해 불만이 있더라도 쉽게 바꾸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장기복약 식약품의 경우 복약 시간을 놓치거나 수 시간이 지난 상태에서 복약 사실을 망각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복약 계획에 따라 식약품을 정확하게 복약하는 것이 어려웠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복약 계획을 보조하기 위한 복약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약품을 셋팅하기 위해 구매자의 노력이 다소 많이 필요할 뿐 아니라 가격대도 높게 형성되어, 효과도 크지 않을뿐더러 실 구매자자들이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09901호, 2018.10.0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장기복약 식약품의 복약관리를 위해 개별 포장된 식약품과 함께 복약관리를 보조하는 복약관리 장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복약계획에 따라 규칙적으로 식약품을 복약할 수 있도록 보조 할 수 있다.
또한, 복약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피드백 정보(식약품 복용 여부 및 복용 시간 등)들을 기반으로 적절한 복약계획을 수립하고, 수립된 복약계획에 따른 정기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약관리 장치 및 복약관리 단말을 포함하는 복약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약관리 장치는, 식약품이 1회 복약 단위로 개별 포장된 복수의 약포지를 고정 가능한 고정부; 상기 복수의 약포지가 고정되는 경우에도 달력 형태의 표시가 시인 가능하도록 배치된 배경부;; 상기 조명에 노출된 약포지를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을 상기 복약관리 단말 또는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약관리 단말은, 상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 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연산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이 저장된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연산은, 상기 수신된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약품의 복약 시간 및 복약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복약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복약관리 장치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약포지들을 적층하여 고정가능한 걸쇠를 포함하고, 고정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약포지가 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약관리 단말의 프로세서는,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약포지의 위치변화에 기초하여 복약 여부를 판단하는 연산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약관리 단말의 프로세서는,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식별되는 약포지의 수량이 소정 개수 이하로 줄어들면 새로운 식약품이 배송될 수 있도록 피드백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연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약관리 단말은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인식된 약포지의 기호 또는 날짜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복약 계획에 따라 식약품을 복약할 수 있도록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약관리 시스템은 상기 복약관리 단말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비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복약을 생략한 상태에서 상기 비콘의 반경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복약관리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관리 방법은, 복약관리 장치에 고정된 복수의 약포지를 촬영한 촬영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촬영영상에서 약포지의 복약계획 및 약포지의 위치변화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약포지의 복약 계획에 따라 사용자에게 복약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약포지의 위치변화에 기초하여 복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식별되는 약포지의 수량이 소정 개수 이하로 줄어들면 새로운 식약품이 배송될 수 있도록 피드백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약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약포지의 위치변화에 기초하여 약포지의 탈착이 감지된 경우 복약 준비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복약 준비상태일 때, 상기 복약계획에 기초하여, 복약 알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드백 데이터는, 사용자의 건강, 생활 습관, 식습관 또는 복약습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새롭게 배송되는 식약품의 복약계획은 상기 피드백 데이터에 기초하여 변경 될 수 있다.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약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복약 시간을 놓치기 쉬운 장기복약 식약품을 보다 편리하고 규칙적으로 복약할 수 있도록 사용자들을 보조 할 수 있다.
또한, 복약관리장치를 통해 수집된 복약습관 및 생활습관 등을 통해 개인 맞춤형 복약 계획이 수립될 수 있으며 따라서 구매자의 건강 증진에 보다 적합한 식약품이 정기적으로 제공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약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약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약관리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약관리 장치의 정면도와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약관리 단말이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약관리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약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약관리 시스템은 복약관리 장치(10), 복약관리 단말(100), 서버(20) 및 식약품의 배송을 담당하는 물류센터(3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약관리 장치(10)는, 달력형태로 식약품의 복약을 관리하는 장치로 1회 복약 단위로 개별 포장된 복수의 약포지를 고정 가능한 고정부와 복수의 약포지가 고정되는 경우에도 달력 형태의 표시가 시인 가능하도록 배치된 배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약포지를 조명에 노출시키기 위한 조명부, 조명에 노출된 약포지를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을 상기 복약관리 단말(100) 또는 서버(20)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다른 복약관리 단말(100)은, 상기 수신된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약품의 복약 시간 및 복약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복약관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복약관리 단말(100)은 복약 계획에 따른 복약 안내 및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푸쉬 알람등을 통해 지정된 시간 및 상황에 따른 투약 알림/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100)은 촬영된 영상에서 약포지에 인쇄된 기호 또는 날짜를 인식하여 해당 일정에 따른 식약품 복용을 알릴 수 있다.
또한, 단말(100)은 수신된 촬영된 영상에서 약포지의 지정된 위치가 변경된 경우 사용자가 약포지를 탈착했다고 판단하고, 약포지에 들어 있는 식약품을 복약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100)은 사용자가 복약 알림을 무시하고 소정 지역을 벗어나 이동한 경우, 수신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실제 복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단말(100)은 수신된 촬영된 영상에서 약포지의 지정된 위치가 변경된 경우 사용자가 약포지를 탈착했다고 판단하고, 사용자가 복약을 위한 준비단계를 마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단말(100)은 비콘(미도시) 기반으로 사용자가 복약을 생략하였는지 판단하고, 이 경우 사용자에게 복약 알림을 제공할 수도 있다. 물론, 비콘뿐 아니라 종래 설치된 블루투스, WIFI, GPS 좌표 등 다양한 통신 신호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이 정기적으로 식약품을 복약하는 장소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복약관리 단말(100)은 소정 위치에 장착된 비콘을 이용하여 단말(100)이 해당 위치를 통과 할 때마다 알림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단말(100)은 지정한 네트워크 위치를 벗어난 경우(예컨대, 복약을 생략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 복약알람이 필요한 경우라고 판단하고, 알림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단말(100)은 피드백 데이터를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 데이터는 구매자가 상기 복약계획에 따라 적절히 식약품을 복약하는지 모니터링 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피드백 데이터는 빅데이터를 통해 수집된 구매자의 건강, 생활 습관, 식습관 또는 복약습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피드백 데이터는 구매자의 단말이 수집한 데이터 수 있으며, 사용자가 기록한 복약 정보나, 설문조사에 대한 응답으로 수집될 수도 있다. 서버(20)는, 수신된 피드백 데이터 이용하여 사용자의 복약계획을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캡슐 형 알약을 선호하는지 가루약을 선호하는지 판단하여 복약계획을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매 끼니마다 정기적으로 복약하는 것을 선호하는지 1일 1회만 복약하는 것을 선호하는지 판단하여 복약계획을 변경할 수 도 있다. 나아가 복약하는 약의 효능에 따라 적절한 복약 계획을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서버(20)는, 변경된 복약계획을 물류창고(30)로 전송하여, 물류창고에서 식약품을 사용자에게 정기배송 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식약품은 복약단위로 개별포장 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처방약의 경우는 약국에서 제공하는 개별포장을 이용하여 관리될 수 있다. 또는, 영양제와 같이 구성품이 별도로 구매되는 식품인 경우 배송 시 별도의 개별 포장을 제공하여 투약의 편리성이 확보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약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복약 시간을 놓치기 쉬운 장기복약 식약품을 보다 편리하고 규칙적으로 복약할 수 있도록 사용자들을 보조 할 수 있다.
또한, 복약관리장치를 통해 수집된 복약습관 및 생활습관 등을 통해 개인 맞춤형 복약 계획이 수립될 수 있으며 따라서 구매자의 건강 증진에 보다 적합한 식약품이 정기적으로 제공 될 수 있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관리 방법을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약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20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약관리 단말(100)은 복약관리 장치(10)에 고정된 복수의 약포지를 촬영한 촬영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약관리 장치(10)는 촬영부와 통신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고정된 약포지를 소정 주기로 촬영하고 통신부를 통해 복약관리 단말(100)로 전송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약관리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복약 스케줄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달력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복약관리 장치(10)는 식약품이 1회 복약 단위로 개별 포장된 복수의 약포지를 고정 가능한 고정부(203), 복수의 약포지가 고정되는 경우에도 달력 형태의 표시가 시인 가능하도록 배치된 배경부(205), 약포지를 조명에 노출시키기 위한 조명부(201) 및 조명에 노출된 약포지를 촬영하는 촬영부(202) 및 촬영된 영상을 복약관리 단말(100)로 전송부(미도시)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부와(201) 와 촬영부(202)는 복약관리 장치(10)의 상부에 위치하며 고정된 복수의 약포지(204)들을 시간 및 명암에 구애 받지 않고 촬영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203)는 클립 형태로 구현되어 종래 시판되는 약포지(204)들의 규격에 상관없이 고정이 가능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고정부(203)의 구성이 반드시 이러한 현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규격의 약포지를 그대로 고정 가능한 구성이 모두 포함 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약관리 장치의 측면도(도 4의 (a))와 정면도(도 4의 (b))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부(202)는 복약관리 장치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약포지들을 적층하여 고정가능한 걸쇠를 포함하고, 고정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약포지가 탈착될 수 있다. 특히, 종래 시판되는 약포지의 규격에 상관없이 복수개를 적층하여 고정할 수 있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관리 장치(100)는 배경부(205)를 포함하지 않고 1줄로 복수의 약포지만 적층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조명부(20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조명을 포함할 수 있으며, 촬영부(202)는 조명부(201) 사이에 배치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약포지(204)들을 촬영할 수도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21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약관리 단말(100)은 수신된 촬영영상에서 약포지의 복약계획 및 약포지의 위치변화를 식별한다.
다음으로, 단계 S22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약관리 단말은 약포지의 복약 계획에 따라 사용자에게 복약 알람을 제공 할 수 있다. 여기서, 복약알림은 사용자의 복약 정보, 복약 알림 및 기타 헬스케어에 관련된 여려가지 알람을 포함 할 수 있다.
한편, 복약 알림은 단말(100)이 직접 복약 관리장치(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판단 할 수도 있지만, 서버(20)를 경유 하여 수신 할 수도 있다.
단계 S23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약관리 단말(100)은 약포지의 위치변화에 기초하여 복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약관리 단말(100)은 약포지의 위치변화가 감지된 경우 사용자가 해당 약포지의 식약품을 복약 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약관리 단말은 약포지의 위치변화에 기초하여 약포지의 탈착이 감지된 경우 복약 준비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예컨대, 아침에 사용자가 점심에 복용해야 될 약포지를 탈착하는 경우, 학교/회사에 등교/출근하여 약을 복용하기 위한 준비가 되었다고 판단한다), 상기 복약 준비상태일 때만, 상기 복약계획에 기초하여 특정 시간 및 날짜에 복약 알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단계 S240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약관리 단말은 촬영된 영상에서 식별되는 약포지의 수량이 소정 개수 이하로 줄어들면 새로운 식약품이 배송될 수 있도록 피드백데이터를 서버로 전송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장기복용 식약품의 수량에 크게 관심을 갖지 않더라도 불편함 없이 식약품이 적절히 정기 배송 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드백 데이터는, 사용자의 건강, 생활 습관, 식습관 또는 복약습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새롭게 배송되는 식약품의 복약계획은 상기 피드백 데이터에 기초하여 변경 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약관리 단말이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따른 복약관리 단말(100)은 비콘(502) 기반으로 사용자가 복약을 생략하였는지 판단하고, 사용자에게 복약 알림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이 정기적으로 식약품을 복약하는 장소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복약관리 단말(100)은 단말(100)이 소정 영역(501)을 벗어 날 때마다 알림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100)은 비콘(502) 또는 소정 네트워크 위치(WiFi, 블루투스 등)를 벗어난 경우를 복약을 생략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라고 판단하고, 알림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약관리 단말(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약관리 단말(100)은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및 통신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약관리 단말(100)의 동작은 메모리(1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110)를 통해서 실행시킴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6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약관리 단말(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만을 도시하였지만, 도 1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기위한 다양한 구성이 추가적으로 더 포함 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10)는 통신모듈(130)을 통해 복약관리 장치(10) 및 서버(20)와 통신하며, 촬영 영상데이터, 복약 계획, 피드백 데이터 등을 송수신 하도록 제어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모듈(130)은 LAN(Local Area Network),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URLLC(Ultra 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s),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WiBro(Wireless Broadband),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등의 방식에 따른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관리 단말(10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 및/또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1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2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에 의한 실행 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가 연산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연산은, 수신된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약품의 복약 시간 및 복약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복약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촬영된 영상에서, 약포지의 위치변화에 기초하여 복약 여부를 판단하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식별되는 약포지의 수량이 소정 개수 이하로 줄어들면 새로운 식약품이 배송될 수 있도록 피드백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서 자동으로 정기 배송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복약관리 장치 및 복약관리 단말을 포함하는 복약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약관리 장치는,
    식약품이 1회 복약 단위로 개별 포장된 복수의 약포지를 고정 가능한 고정부; 상기 복수의 약포지가 고정되는 경우에도 달력 형태의 표시가 시인 가능하도록 배치된 배경부; 상기 조명에 노출된 약포지를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을 상기 복약관리 단말 또는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약관리 단말은,
    상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 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연산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이 저장된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연산은,
    상기 수신된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약품의 복약 시간 및 복약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복약관리를 수행하는 것인, 복약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복약관리 장치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약포지들을 적층하여 고정가능한 걸쇠를 포함하고, 고정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약포지가 탈착될 수 있는 복약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관리 단말의 프로세서는,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약포지의 위치변화에 기초하여 복약 여부를 판단하는 연산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복약관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관리 단말의 프로세서는,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식별되는 약포지의 수량이 소정 개수 이하로 줄어들면 새로운 식약품이 배송될 수 있도록 피드백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연산을 더 포함하는 것인, 복약관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관리 단말은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인식된 약포지의 기호 또는 날짜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복약 계획에 따라 식약품을 복약할 수 있도록 알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관리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관리 시스템은 상기 복약관리 단말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비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복약을 생략한 상태에서 상기 비콘의 반경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복약관리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관리 시스템.
  7. 식약품이 1회 복약 단위로 개별 포장된 복수의 약포지를 고정 가능한 고정부;
    상기 복수의 약포지가 고정되는 경우에도 달력 형태의 표시가 시인 가능하도록 배치된 배경부; 및
    촬영된 영상을 복약관리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약품의 복약 시간 및 복약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복약관리를 수행하는 복약 관리 장치.
  8. 복약관리 장치에 고정된 복수의 약포지를 촬영한 촬영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촬영영상에서 약포지의 복약계획 및 약포지의 위치변화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약포지의 복약 계획에 따라 사용자에게 복약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약포지의 위치변화에 기초하여 복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식별되는 약포지의 수량이 소정 개수 이하로 줄어들면 새로운 식약품이 배송될 수 있도록 피드백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약관리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약포지의 위치변화에 기초하여 약포지의 탈착이 감지된 경우 복약 준비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복약 준비상태일 때, 상기 복약계획에 기초하여, 복약 알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약관리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관리 방법은,
    상기 피드백 데이터는, 사용자의 건강, 생활 습관, 식습관 또는 복약습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새롭게 배송되는 식약품의 복약계획은 상기 피드백 데이터에 기초하여 변경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관리 방법.
KR1020200026535A 2020-03-03 2020-03-03 복약관리 시스템 및 장치 KR102361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535A KR102361650B1 (ko) 2020-03-03 2020-03-03 복약관리 시스템 및 장치
KR1020220015685A KR102432513B1 (ko) 2020-03-03 2022-02-07 영상 분석 기반의 식약품 복약 관리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535A KR102361650B1 (ko) 2020-03-03 2020-03-03 복약관리 시스템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5685A Division KR102432513B1 (ko) 2020-03-03 2022-02-07 영상 분석 기반의 식약품 복약 관리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505A true KR20210111505A (ko) 2021-09-13
KR102361650B1 KR102361650B1 (ko) 2022-02-09

Family

ID=7779675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535A KR102361650B1 (ko) 2020-03-03 2020-03-03 복약관리 시스템 및 장치
KR1020220015685A KR102432513B1 (ko) 2020-03-03 2022-02-07 영상 분석 기반의 식약품 복약 관리 단말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5685A KR102432513B1 (ko) 2020-03-03 2022-02-07 영상 분석 기반의 식약품 복약 관리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6165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2110A (ko) * 2010-12-23 2012-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약복용 순응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72109A (ko) * 2010-12-23 2012-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약복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15366A (ko) * 2013-06-06 2016-02-12 얀센 파마슈티카 엔.브이. 전자 복약 이행, 식별 및 분배
KR20170001716U (ko) * 2015-11-09 2017-05-17 서주연 복약 관리 달력
KR20180087796A (ko) * 2017-01-25 2018-08-0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약 복용 지원 장치
KR20180109901A (ko) 2016-01-31 2018-10-08 워터리오 엘티디 사용자에게 약물 복용 알림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2110A (ko) * 2010-12-23 2012-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약복용 순응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72109A (ko) * 2010-12-23 2012-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약복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15366A (ko) * 2013-06-06 2016-02-12 얀센 파마슈티카 엔.브이. 전자 복약 이행, 식별 및 분배
KR20170001716U (ko) * 2015-11-09 2017-05-17 서주연 복약 관리 달력
KR20180109901A (ko) 2016-01-31 2018-10-08 워터리오 엘티디 사용자에게 약물 복용 알림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80087796A (ko) * 2017-01-25 2018-08-0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약 복용 지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1650B1 (ko) 2022-02-09
KR20220020326A (ko) 2022-02-18
KR102432513B1 (ko) 202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8408B2 (en) Home medication manager
JP7024841B2 (ja) 配薬支援システム
EP2142161B1 (en) Tablet dispenser system
AU2018222082A1 (en) Smart pill box, pill supply method and system thereof
US20140156064A1 (en) Techniques to deliver multiple medications in a synchronized manner
US9427377B1 (en) Compliance pill tray system
CA2905855A1 (en) Methods and systems of real-time medication adherence monitoring
US9542533B2 (en) Medication dosage dispensing system and methods having customization and modification for medicine dispensing configurations
JP7421143B2 (ja) 配薬支援システム
US20120285858A1 (en) Device for drug distribution and method of using thereof
KR20160022557A (ko) 스마트 복약 지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32631B1 (ko) 모바일 기기 기반 복약 관리 시스템
JP2022172375A (ja) 薬剤手撒き装置、薬剤手撒き装置の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支援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2361650B1 (ko) 복약관리 시스템 및 장치
US20210398635A1 (en) Medication compliance device
JP2021164716A (ja) 薬剤配置確認システム
US11344477B2 (en) Synchronized medication tracking system
US20170076061A1 (en) Monitoring system for medication compliance
KR20190130870A (ko) 알약 분배 장치 및 시스템
KR102409931B1 (ko) 장기복용 식약품의 정기배송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