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1395A -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1395A
KR20210111395A KR1020200026149A KR20200026149A KR20210111395A KR 20210111395 A KR20210111395 A KR 20210111395A KR 1020200026149 A KR1020200026149 A KR 1020200026149A KR 20200026149 A KR20200026149 A KR 20200026149A KR 20210111395 A KR20210111395 A KR 20210111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l
gamma
correction data
control unit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6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규
김희준
장시훈
문회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6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1395A/ko
Priority to US17/093,117 priority patent/US11380241B2/en
Priority to CN202110226333.6A priority patent/CN113345373A/zh
Publication of KR20210111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3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52Details of colour pixel setup, e.g. pixel composed of a red, a blue and two green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09G2320/0276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for the purpose of adapt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a display device, i.e. gamma corr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85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using tables for spatial correction of display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73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gamma adjustment, e.g. selecting another gamma cur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보정하여 표시 패널에 전달하는 타이밍 제어부, 복수의 타이밍 제어부의 모델에 대응하여 계조 값을 보정하는 모델 보정 데이터 및 표시 패널의 감마 편차를 보정하기 위한 화질 보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모리, 모델 보정 데이터 및 화질 보정 데이터를 사용하여 최종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타이밍 제어부가 최종 보정 데이터를 사용하여 영상 신호를 보정하도록, 최종 보정 데이터를 타이밍 제어부에 전달하는 보정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본 개시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소스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영상 신호를 표시 패널에 표시한다. 표시 패널은 디지털 영상 신호가 적절히 처리된 아날로그 신호, 예를 들어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각각의 화소는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발광하거나(예컨대, OLED 디스플레이), 또는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조절되는 액정의 투과율에 의해 액정을 통과하는 빛의 세기를 조절한다(예컨대, LCD 디스플레이).
표시 패널을 생산하기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 공정 진행 시 설비 제약에 의해 표시 패널마다 상이한 노광량으로 광이 조사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노광량의 차이는 결국 조사량의 편차를 유발시키고, 이는 화질 특성의 변경을 가져오게 되어 감마 편차(gamma trend)의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감마 편차를 감소시키기 위해, 각 표시 패널은 비전 검사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된 휘도를 사용하여 화질 보정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다.
동일한 공정에 의해 생성된 표시 패널이라고 하더라도, 수요자들의 요구에 따라 상이한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가 탑재될 수 있다. 그러나 화질 보정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의 어드레스가 타이밍 제어부의 모델에 따라 상이하고, 각 모델마다 표시 패널의 측정 감마 값과 목표 감마 값이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공정에 의해 생성된 표시 패널이라고 하더라도, 대응하는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가 탑재될 때만 감마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고, 상이한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를 탑재하기 어렵다.
실시예들은 표시 패널의 감마 편차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들은 결합되는 타이밍 제어부의 모델이 달라지더라도, 화질을 보정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보정하여 표시 패널에 전달하는 타이밍 제어부, 복수의 타이밍 제어부의 모델에 대응하여 계조 값을 보정하는 모델 보정 데이터 및 표시 패널의 감마 편차를 보정하는 데 사용되는 화질 보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모리, 모델 보정 데이터 및 화질 보정 데이터를 사용하여 최종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최종 보정 데이터를 타이밍 제어부에 전달하는 보정 제어부를 포함한다.
감마 편차는 제1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로 구동될 때의 표시 패널의 측정 감마와 제1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목표 감마 사이의 차이이다.
모델 보정 데이터에 의해 보정되는 감마는 제1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중심치 감마 및 제1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목표 감마 사이의 차이 값과, 제2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중심치 감마 및 제2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목표 감마 사이의 차이 값의 감마 차이 값이고, 중심치 감마는 표시 패널과 동일한 제조 공정에서 생성된 복수의 표시 패널의 소정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로 구동될 때의 계조 별 측정 감마를 대표하는 값이다.
중심치 감마는 복수의 표시 패널의 계조 별 측정 감마들의 평균 값 또는 중간 값이다.
최종 보정 데이터에 의해 보정되는 감마 값은, g(x) = CB(x) + d2 - TB(x), f(x) = CA(x) + d1 - TA(x), CA(x)) = CB(x) + X, 및 If d1 = d2, g(x) = CA(x) - X + d1 - TB(x) = f(x) + (TB(x) - CB(x)) - (TA(x) - CA(x))을 사용하여 계산되며, g(x)는 최종 보정 데이터에 의해 보정되는 감마 값, CB(x)는 제2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중심치 감마, d2는 제2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에 대응하여 보정된 표시 패널의 감마 편차, TB(x)는 제2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목표 감마, f(x)는 화질 보정 데이터에 의해 보정되는 감마 값, CA(x)는 제1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중심치 감마, d1은 제1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에 대응하여 보정된 표시 패널의 감마 편차, TA(x)는 제1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목표 감마이다.
제1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목표 감마는 제2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목표 감마와 상이하다.
화질 보정 데이터는 타이밍 제어부의 모델에 따라 메모리의 상이한 어드레스에 저장되어 있다.
보정 제어부는 최종 보정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모델 보정 데이터와 화질 보정 데이터는 룩업 테이블(LUT: look-up table)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화소들 각각은 레드, 그린, 및 블루 서브 화소를 포함하고, 영상 신호는 레드, 그린, 및 블루 데이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보정하여 표시 패널에 전달하는 타이밍 제어부, 및 복수의 타이밍 제어부의 모델에 대응하여 계조 값을 보정하는 모델 보정 데이터 및 표시 패널의 감마 편차를 보정하는 데 사용되는 화질 보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타이밍 제어부의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모델 보정 데이터 중 타이밍 제어부의 식별 정보에 따른 모델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 표시 패널의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표시 패널의 식별 정보를 사용하여 화질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 그리고 모델 보정 데이터 및 화질 보정 데이터를 사용하여 최종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타이밍 제어부가 최종 보정 데이터를 사용하여 영상 신호를 보정하도록, 최종 보정 데이터를 타이밍 제어부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감마 편차는 제1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로 구동될 때의 표시 패널의 측정 감마와 제1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목표 감마 사이의 차이이다.
모델 보정 데이터에 의해 보정되는 감마는 제1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중심치 감마 및 제1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목표 감마 사이의 차이 값과, 제2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중심치 감마 및 제2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목표 감마 사이의 차이 값의 감마 차이 값이고, 중심치 감마는 표시 패널과 동일한 제조 공정에서 생성된 복수의 표시 패널의 소정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로 구동될 때의 계조 별 측정 감마를 대표하는 값이다.
중심치 감마는 복수의 표시 패널의 계조 별 측정 감마들의 평균 값 또는 중간 값이다.
최종 보정 데이터에 의해 보정되는 감마 값은, g(x) = CB(x) + d2 - TB(x), f(x) = CA(x) + d1 - TA(x), CA(x)) = CB(x) + X, 및 If d1 = d2, g(x) = CA(x) - X + d1 - TB(x) = f(x) + (TB(x) - CB(x)) - (TA(x) - CA(x))을 사용하여 계산되며, g(x)는 최종 보정 데이터에 의해 보정되는 감마 값, CB(x)는 제2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중심치 감마, d2는 제2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에 대응하여 보정된 표시 패널의 감마 편차, TB(x)는 제2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목표 감마, f(x)는 화질 보정 데이터에 의해 보정되는 감마 값, CA(x)는 제1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중심치 감마, d1은 제1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에 대응하여 보정된 표시 패널의 감마 편차, TA(x)는 제1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목표 감마이다.
제1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목표 감마는 제2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목표 감마와 상이하다.
화질 보정 데이터는 타이밍 제어부의 모델에 따라 메모리의 상이한 어드레스에 저장되어 있다.
최종 보정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모델 보정 데이터와 화질 보정 데이터는 룩업 테이블(LUT: look-up table)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하나의 표시 패널에 다양한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1회의 비전 검사를 통해 표시 패널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의 플래시 메모리, 보정 제어부, 및 타이밍 제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보정 제어부 및 타이밍 제어부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모델 보정 데이터 및 화질 보정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2의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모델 보정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 쪽으로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block diagram)이다.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00), 스캔 구동부(110), 데이터 구동부(120), 보정 제어부(140), 및 타이밍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표시 장치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표시 장치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등으로 구현되는 플렉서블(flexible) 표시 장치, 롤러블(rollable) 표시 장치, 커브드(curved) 표시 장치, 투명 표시 장치, 미러(mirror) 표시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복수의 화소(PX)가 위치하는 표시 영역(102)을 갖는다. 표시 영역 외의 비표시 영역에 메모리(104)가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영역(102)에는 복수의 화소(PX)가 위치하고, 복수의 화소(PX)에 의해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각 화소(PX)는 복수의 컬러(레드(red), 그린(green), 및 블루(blue)) 서브 화소(sub pixel)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100)은 복수의 스캔 라인(SL) 중 대응하는 스캔 라인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DL) 중 대응하는 데이터 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화소(PX)를 복수로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4)는 각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로 구동될 때의 모델 보정 데이터와, 특정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로 구동될 때의 화질 보정 데이터를 저장한다. 모델 보정 데이터와 화질 보정 데이터는 룩업 테이블(LUT: look-up table)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스캔 구동부(110)는 스캔 라인들(SL)을 통하여 표시 패널(100)의 화소들(PX)에 스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스캔 구동부(110)는 타이밍 제어부(130)로부터 수신되는 제1 제어 신호(CONT1)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100)에 상기 스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20)는 데이터 라인들(DL)을 통해 표시 패널(100)의 화소들(PX)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20)는 영상 데이터 신호(DATA)에 따라, 계조 전압을 선택하여 데이터 신호로서 복수의 데이터선에 전달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구동부(120)는 제어 신호(CONT2)에 따라 입력된 영상 데이터 신호(DATA)를 샘플링 및 홀딩하고, 복수의 데이터선(DL)에 복수의 데이터 신호를 전달한다. 데이터 구동부(120)는 이네이블(enable) 레벨의 스캔 신호가 복수의 화소(PX)에 인가되는 동안, 소정의 전압 범위를 갖는 데이터 신호를 복수의 데이터선(DL)에 인가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30)는 외부의 그래픽 소스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IS) 및 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입력 제어 신호(CONT)를 수신한다. 영상 신호(IS)는 표시 패널(100)의 화소(PX) 각각의 계조(gray)로 구분되는 휘도(luminanc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신호(IS)는 레드, 그린, 및 블루 서브 화소에 각각 대응하는 레드, 그린, 및 블루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130)는 보정 제어부(140)로부터 보정 데이터(COR2)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타이밍 제어부(130)에 전달되는 입력 제어 신호(CONT)는 데이터 수직 동기 신호(Vsync)와 수평 동기 신호(Hsync), 메인 클록 신호(MCLK), 데이터 이네이블 신호(DE) 등을 포함한다.
타이밍 제어부(130)는 영상 신호(IS), 보정 데이터(COR2), 수평 동기 신호(Hsync), 수직 동기 신호(Vsync), 메인 클록 신호(MCLK), 데이터 이네이블 신호(DE) 등에 따라, 제어 신호들(CONT1, CONT2) 및 영상 데이터 신호(DATA)를 생성한다.
타이밍 제어부(13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IS) 및 보정 데이터(COR2)와 상기의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기초로 영상 신호(IS)를 표시 패널(100) 및 데이터 구동부(120)의 동작 조건에 맞게 적절히 영상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타이밍 제어부(130)는 보정 데이터(COR2)를 사용하여 영상 신호(IS)에 대하여 감마 보정, 휘도 보상 등의 영상 처리 과정을 거쳐 영상 데이터 신호(DATA)를 생성할 수 있다.
보정 제어부(140)는 플래시 메모리(104)로부터 모델 보정 데이터와 화질 보정 데이터(COR1)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타이밍 제어부(130)의 모델과 표시 패널(100)의 모델을 고려한 최종 보정 데이터(COR2)를 생성하여 타이밍 제어부(130)에 전달한다. 보정 제어부(140)는 플래시 메모리(104)에 최종 보정 데이터(COR2)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정 제어부(140)는 별도의 AP(Application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보정 제어부(140)는 타이밍 제어부(130)에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보정 제어부(140)는 표시 패널(100)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표시 장치(10)의 구동 방법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의 플래시 메모리, 보정 제어부, 및 타이밍 제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보정 제어부 및 타이밍 제어부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정 제어부(140)는 타이밍 제어부(130)의 식별정보를 결정(S100)한다. 타이밍 제어부(130)는 제조사, 적용 모델, 적용 패널 등에 따라 여러 모델로 제조될 수 있다. 동일한 표시 패널(100)이라도, 상이한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130)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 측정되는 휘도 프로파일이 상이하다. 보정 제어부(140)는 타이밍 제어부(130)의 식별 코드(MO)를 타이밍 제어부(130)로부터 전달받아 타이밍 제어부(130)의 모델을 판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보정 제어부(140)는 타이밍 제어부(130)의 모델에 따른 모델 보정 데이터(1040)를 플래시 메모리(104)로부터 판독(S110)한다. 플래시 메모리(104)에는 해당 표시 패널(100)이 각각 상이한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에 의해 구동될 경우, 컬러 감마 보정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컬러 감마 보정은 표시 패널(100) 별 제조 공정에 의한 물질적 특성 편차에 따른 컬러 감마를 보정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보정 제어부(140)는 표시 패널(100)의 식별정보를 결정(S120)한다. 표시 패널(100)의 식별정보는 표시 패널(100)이 어느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130)에 의해 구동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는지 나타내는 정보이다. 보정 제어부(140)는 플래시 메모리(104)에 저장되어 있는 표시 패널(100)의 식별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보정 제어부(140)는 표시 패널(100)의 식별정보를 사용하여 화질 보정 데이터(1048)를 판독(S130)한다. 이러한 화질 보정 데이터(1048)는 표시 패널(100)의 셀(cell)별 제조 공정에 의한 물리적 특성 편차에 따른 컬러 감마를 보정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이러한 화질 보정 데이터(1048)가 메모리(104)에 저장되는 위치는 표시 패널(100)이 어느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는지에 따라 상이하다. 표시 패널(100)을 구동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는 타이밍 제어부의 모델과 표시 패널(100)에 연결되어 현재 표시 패널(100)을 구동하는 타이밍 제어부(130)의 모델이 상이하면, 화질 보정 데이터(1048)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104)의 어드레스가 서로 상이하므로, 현재 표시 패널(100)을 구동하는 타이밍 제어부(130)는 메모리(104)로부터 화질 보정 데이터(1048)를 판독할 수 없다.
따라서, 보정 제어부(140)는 표시 패널(100)의 식별정보를 사용하여 화질 보정 데이터(1048)가 저장된 메모리(104)의 어드레스를 결정함으로써, 해당 어드레스로부터 화질 보정 데이터(1048)를 독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보정 제어부(140)는 메모리(104)로부터 판독한 모델 보정 데이터(1042, 1044, 또는 1046)와 화질 보정 데이터(1048)를 조합하여 최종 보정 데이터(1400)를 생성(S140)한다. 그리고, 보정 제어부(140)는 생성된 최종 보정 데이터(1400)를 타이밍 제어부(130)에 전달한다.
한편, 보정 제어부(140)는, 현재 표시 패널(100)을 구동하는 타이밍 제어부(130)의 모델에 대응하는 메모리(104)의 새로운 어드레스에 최종 보정 데이터(1400)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보정 제어부(140)는 최종 보정 데이터(1400)를 1회만 생성할 수 있으며, 이후의 동작에서는 보정 제어부(140)는 메모리(104)에 저장된 최종 보정 데이터(1400)를 타이밍 제어부(130)에 전달하거나, 타이밍 제어부(130)가 직접 메모리(104)에 저장된 최종 보정 데이터(1400)를 판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모델 보정 데이터와 화질 보정 데이터, 그리고 이들로부터 생성되는 최종 보정 데이터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함께 설명한다.
도 4는 모델 보정 데이터 및 화질 보정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동일한 표시 패널이라도, 상이한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 측정되는 휘도 프로파일이 상이하다. 따라서, 상이한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에 대응하는 상이한 측정 감마(GA(x), GB(x))이 생성된다.
따라서 동일한 제조 공정에서 생성된 N개의 표시 패널의 경우, 제1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에 의해 구동될 때의 측정 감마의 중심치와 제2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에 의해 구동될 때의 측정 감마의 중심치가 서로 상이하다.
예를 들어, 비전 검사 장치를 통해, N개의 표시 패널 중 i개의 표시 패널에 대해 제1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로 구동될 때의 계조 별 감마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로 구동되는 i개의 표시 패널의 계조 별 측정 감마를 사용하여, 제1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로 구동되는 i개의 표시 패널의 계조 별 측정 감마의 중심치(중심치 감마)가 산출된다.
중심치 감마는 소정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로 구동될 때의 복수의 표시 패널의 계조 별 측정 감마를 대표하는 값으로서, 복수의 표시 패널의 계조 별 측정 감마들의 평균 값 또는 중간 값일 수 있다. 제1 모델의 중심치 감마(CA(X))는 복수의 표시 패널이 제1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로 구동될 때의 계조 별 측정 감마를 대표하는 값이고, 제2 모델의 중심치 감마(CB(X))는 복수의 표시 패널이 제2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로 구동될 때의 계조 별 측정 감마를 대표하는 값이다.
모델 보정 데이터는 동일한 제조 공정에 의해 생성된 표시 패널이, 상이한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로 구동될 때의 중심치 감마와 목표 감마의 차이들을 보정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동일한 제조 공정에서 생성된 표시 패널들이 동일한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더라도, 표시 패널 별로 측정되는 계조 별 측정 감마가 상이하므로, 계조 별 측정 감마 각각은 목표 감마에 대한 편차를 갖는다. 화질 보정 데이터는 이러한 편차를 고려하여 각각의 표시 패널이 목표 감마(TA(x)/TB(x))를 표현하도록 입력 데이터를 보정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표시 패널(100)은 각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에 대응하는 모델 보정 데이터와, 특정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로 구동될 때의 화질 보정 데이터를 저장한 메모리(104)를 포함할 수 있다.
보정 제어부(140)는 이러한 메모리(104)로부터 모델 보정 데이터와 화질 보정 데이터를 판독하여 입력 계조 데이터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기 위한 최종 보정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1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로 구동될 때의 화질 보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갖는 표시 패널 A에, 제2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가 부착되면, 보정 제어부(140)는 화질 보정 데이터와, 제2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에 대응하는 모델 보정 데이터를 메모리로부터 판독한다. 보정 제어부(140)는 화질 보정 데이터와 모델 보정 데이터를 사용하여 최종 보정 데이터를 계산한다.
화질 보정 데이터는 표시 패널 A의 측정 감마(GA(x))(즉, 제1 모델의 중심치 감마(CA(x)) + 패널 A의 감마 편차(d1))와 제1 모델 타이밍 제어부의 목표 감마(TA(x)) 사이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한 값이다.
최종 보정 데이터는 제2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로 구동될 때의 표시 패널 A의 측정 감마(GB(x))와 제2 모델 타이밍 제어부의 목표 감마(TB(x)) 사이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한 값이다.
이하에서, 화질 보정 데이터에 의해 보정되는 감마 값을 화질 보정 값(f(x))이라고 지칭하고, 최종 보정 데이터에 의해 보정되는 감마 값을 최종 보정 값(g(x))이라고 지칭한다.
표시 패널 A의 생산이 완료된 상태이므로, 표시 패널 A가 제2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로 구동될 때의 감마를 측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제2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로 구동될 때의 표시 패널 A의 측정 감마(GB(x))는 제2 모델로 구동될 때의 패널의 중심치 감마(CB(x))에 패널 A의 감마 편차(d2)를 합산한 감마로 설정한다.
제1 모델의 중심치 감마(CA(X))는 제2 모델의 중심치 감마(CB(x))와 동일할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제1 모델의 중심치 감마(CA(x))와 제2 모델의 중심치 감마(CB(x)) 사이의 차이를 X(d3)라고 지칭한다.
그러면, 하기의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4를 사용하여 최종 보정 값을 계산할 수 있고, 이로부터 최종 보정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여기서, g(x)는 최종 보정 값, CB(x)는 제2 모델의 중심치 감마, d2는 제2 모델로 보정된 표시 패널의 감마 편차, TB(x)는 제2 모델의 목표 감마, f(x)는 화질 보정 값, CA(x)는 제1 모델의 중심치 감마, d1은 제1 모델로 보정된 패널의 감마 편차, TA(x)는 제1 모델의 목표 감마이다.
수학식 4에서, 하나의 표시 패널(100)이 상이한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로 동작하므로, 제1 모델로 보정된 표시 패널의 감마 편차와 제2 모델로 보정된 패널의 감마 편차는 동일하다. 그리고, 모델 보정 데이터는 (TB(x) - CB(x)) - (TA(x) - CA(x)) 만큼의 감마를 보정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관련하여, 도 5를 참조하여 모델 보정 데이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도 2의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모델 보정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모델 보정 데이터는 입력 데이터인 레드, 그린, 및 블루 데이터(R, G, B)에 대응하는 레드, 그린, 및 블루 감마 보정 데이터가 룩업테이블 형태로 저장된다. 모델 보정 데이터는 타이밍 제어부(130)의 모델에 따라 상이한 값을 가진다.
타이밍 제어부(130)는 최종 보정 데이터(1400)를 사용하여 영상 신호(IS)의 레드, 그린, 및 블루 데이터(RGB) 각각에 대응하여 컬러 감마 보정을 수행(S150)한다. 타이밍 제어부(130)는 칼라 감마 보정된 데이터(RGB')를 데이터 구동부(120)에 출력할 수 있다.
종래에는 타이밍 제어부(130)의 모델 별로 화질 보정데이터가 결정되어 표시 패널(100)에 연결되는 타이밍 제어부(130)의 모델 변경 시, 비전 검사 장치를 사용하여 화질 보정 데이터를 다시 생성해야만 했다.
그러나, 본 개시에 따르면, 특정 모델의 화질 보정 데이터로도 모델 변경 시 정상적인 화질 보정 데이터를 비전 검사 장치의 사용 없이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100)에 결합될 타이밍 제어부(130)의 모델 변경이 용이하여 생산성 증대 및 제품 납기에 탄력적 대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0)

  1.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보정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전달하는 타이밍 제어부,
    복수의 타이밍 제어부의 모델에 대응하여 계조 값을 보정하는 모델 보정 데이터 및 상기 표시 패널의 감마 편차를 보정하는 데 사용되는 화질 보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모리,
    상기 모델 보정 데이터 및 상기 화질 보정 데이터를 사용하여 최종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최종 보정 데이터를 상기 타이밍 제어부에 전달하는 보정 제어부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마 편차는 제1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로 구동될 때의 상기 표시 패널의 측정 감마와 상기 제1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목표 감마 사이의 차이인,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 보정 데이터에 의해 보정되는 감마는 상기 제1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중심치 감마 및 상기 제1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목표 감마 사이의 차이 값과, 상기 제2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중심치 감마 및 상기 제2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목표 감마 사이의 차이 값의 감마 차이 값이고,
    상기 중심치 감마는 상기 표시 패널과 동일한 제조 공정에서 생성된 복수의 표시 패널의 소정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로 구동될 때의 계조 별 측정 감마를 대표하는 값인,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치 감마는 상기 복수의 표시 패널의 계조 별 측정 감마들의 평균 값 또는 중간 값인,
    표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보정 데이터에 의해 보정되는 감마 값은,
    g(x) = CB(x) + d2 - TB(x),
    f(x) = CA(x) + d1 - TA(x),
    CA(x)) = CB(x) + X, 및
    If d1 = d2, g(x) = CA(x) - X + d1 - TB(x) = f(x) + (TB(x) - CB(x)) - (TA(x) - CA(x))
    을 사용하여 계산되며,
    g(x)는 상기 최종 보정 데이터에 의해 보정되는 감마 값, CB(x)는 상기 제2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중심치 감마, d2는 상기 제2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에 대응하여 보정된 표시 패널의 감마 편차, TB(x)는 상기 제2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목표 감마, f(x)는 상기 화질 보정 데이터에 의해 보정되는 감마 값, CA(x)는 상기 제1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중심치 감마, d1은 상기 제1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에 대응하여 보정된 표시 패널의 감마 편차, TA(x)는 상기 제1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목표 감마인,
    표시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목표 감마는 상기 제2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목표 감마와 상이한,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질 보정 데이터는 상기 타이밍 제어부의 모델에 따라 상기 메모리의 상이한 어드레스에 저장되어 있는,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최종 보정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영상 신호를 보정하고,
    상기 보정 제어부는 상기 최종 보정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 보정 데이터와 상기 화질 보정 데이터는 룩업 테이블(LUT: look-up table)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들 각각은 레드, 그린, 및 블루 서브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신호는 레드, 그린, 및 블루 데이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보정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전달하는 타이밍 제어부, 및 복수의 타이밍 제어부의 모델에 대응하여 계조 값을 보정하는 모델 보정 데이터 및 상기 표시 패널의 감마 편차를 보정하는 데 사용되는 화질 보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의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모델 보정 데이터 중 상기 타이밍 제어부의 식별 정보에 따른 모델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표시 패널의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표시 패널의 식별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화질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모델 보정 데이터 및 상기 화질 보정 데이터를 사용하여 최종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가 상기 최종 보정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영상 신호를 보정하도록, 상기 최종 보정 데이터를 상기 타이밍 제어부에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감마 편차는 제1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로 구동될 때의 상기 표시 패널의 측정 감마와 상기 제1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목표 감마 사이의 차이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 보정 데이터에 의해 보정되는 감마는 상기 제1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중심치 감마 및 상기 제1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목표 감마 사이의 차이 값과, 상기 제2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중심치 감마 및 상기 제2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목표 감마 사이의 차이 값의 감마 차이 값이고,
    상기 중심치 감마는 상기 표시 패널과 동일한 제조 공정에서 생성된 복수의 표시 패널의 소정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로 구동될 때의 계조 별 측정 감마를 대표하는 값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치 감마는 상기 복수의 표시 패널의 계조 별 측정 감마들의 평균 값 또는 중간 값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보정 데이터에 의해 보정되는 감마 값은,
    g(x) = CB(x) + d2 - TB(x),
    f(x) = CA(x) + d1 - TA(x),
    CA(x)) = CB(x) + X, 및
    If d1 = d2, g(x) = CA(x) - X + d1 - TB(x) = f(x) + (TB(x) - CB(x)) - (TA(x) - CA(x))
    을 사용하여 계산되며,
    g(x)는 상기 최종 보정 데이터에 의해 보정되는 감마 값, CB(x)는 상기 제2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중심치 감마, d2는 상기 제2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에 대응하여 보정된 표시 패널의 감마 편차, TB(x)는 상기 제2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목표 감마, f(x)는 상기 화질 보정 데이터에 의해 보정되는 감마 값, CA(x)는 상기 제1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중심치 감마, d1은 상기 제1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에 대응하여 보정된 표시 패널의 감마 편차, TA(x)는 상기 제1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목표 감마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목표 감마는 상기 제2 모델의 타이밍 제어부의 목표 감마와 상이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질 보정 데이터는 상기 타이밍 제어부의 모델에 따라 상기 메모리의 상이한 어드레스에 저장되어 있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보정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 보정 데이터와 상기 화질 보정 데이터는 룩업 테이블(LUT: look-up table)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200026149A 2020-03-02 2020-03-02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1011139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149A KR20210111395A (ko) 2020-03-02 2020-03-02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17/093,117 US11380241B2 (en) 2020-03-02 2020-11-09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CN202110226333.6A CN113345373A (zh) 2020-03-02 2021-03-01 显示装置和用于驱动该显示装置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149A KR20210111395A (ko) 2020-03-02 2020-03-02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395A true KR20210111395A (ko) 2021-09-13

Family

ID=77463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149A KR20210111395A (ko) 2020-03-02 2020-03-02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80241B2 (ko)
KR (1) KR20210111395A (ko)
CN (1) CN113345373A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301B1 (ko) 2003-11-24 2006-08-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그 구동방법
KR101650779B1 (ko) 2010-02-01 2016-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단일 칩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JP5476289B2 (ja) 2010-12-22 2014-04-23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情報処理装置、その表示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6177606B2 (ja) 2013-07-05 2017-08-09 シナプティ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表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281099B1 (ko) 2014-12-10 2021-07-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이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위한 비젼 검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80241B2 (en) 2022-07-05
US20210272502A1 (en) 2021-09-02
CN113345373A (zh) 2021-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9662B2 (en) Integrated circuit for driving display panel and method thereof
JP4787081B2 (ja) 平板表示装置及びその画質制御方法
EP1780690B1 (en) Flat display apparatus and picture quality controlling method based on panel defects
JP4555259B2 (ja) 平板表示装置及びその画質制御方法
KR101439333B1 (ko) 유기전계 발광 표시장치용 휘도 보정 시스템
KR102197270B1 (ko) 표시 패널의 영상 보정 방법, 이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KR101243817B1 (ko) 평판표시장치와 그 데이터 다중 변조방법
US2007019504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improved side visibility
US9262987B2 (en) Compensation methods for display brightness change associated with reduced refresh rate
US20080122874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WO2010013308A1 (ja) グレースケール表示装置
CN113674663B (zh) 显示装置亮度补偿查找表产生方法、其装置、及显示装置
US2011026738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12369006B (zh) 显示面板的驱动方法和用于执行其的显示装置
JP2019040036A (ja) 電子機器、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KR20160011300A (ko) 영상 표시 방법,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이에 적용되는 보정값 산출 방법 및 계조 데이터의 보정 방법
US8044985B2 (en) Display overdrive method
US20210287620A1 (en) Data processing device for compensating for data and display device
KR20170023615A (ko) 보상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보상방법
US10419708B2 (en) Image processing circuit and image contrast enhancement method thereof
KR20210111395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9818324B2 (en) Transmiss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JP7044478B2 (ja) 表示装置
KR20070020888A (ko) 계조 표현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