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1132A - 안테나 위장 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 위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1132A
KR20210111132A KR1020200026251A KR20200026251A KR20210111132A KR 20210111132 A KR20210111132 A KR 20210111132A KR 1020200026251 A KR1020200026251 A KR 1020200026251A KR 20200026251 A KR20200026251 A KR 20200026251A KR 20210111132 A KR20210111132 A KR 20210111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rail
coupled
fixed
camoufl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6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숙
김문규
Original Assignee
조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숙 filed Critical 조현숙
Priority to KR1020200026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1132A/ko
Publication of KR20210111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1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42Rigid mas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n aerial

Landscapes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도록 위장하는 가림막을 손쉽게 제거하여 안테나를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안테나 위장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바닥으로부터 세워지는 지주; 상기 지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안테나의 후면부위에 결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나란히 고정되는 레일부; 상기 안테나의 전면과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레일부에 결합되기 위하여 가이드 홈이 형성된 가림막;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안테나 위장 장치{Antenna camouflage apparatus}
본 발명은 안테나 위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주에 설치되는 이동통신 안테나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위장하기 위한 안테나 위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지국은 건물의 옥상, 도로변, 야산 등에 다수의 안테나가 고정설치되어 이동통신 신호를 중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통신용 기지국을 설치하는 경우 여러 통신상의 중계 안테나를 하나의 지주에 빼곡히 설치함으로써 미관상 보기 좋지 않아서 주변 환경을 해치고, 아울러 전자파 발생이 염려되는 혐오시설로 인정됨으로써 거부감이 심해 이에 대한 설치를 매우 꺼리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이동통신 기지국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위장 장치를 이용하여 가리게 되는데, 그 하나의 예로서 공개특허 10-2017-0057320(무선통신용 안테나의 환경 친화적 위장장치)에 나타나 있는데, 이를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위장용 커버(110)는 안테나(10) 및 고정부재(20)를 감싸기 위하여 안테나(10) 및 고정부재(20)의 외측에 위치하며, 결합수단(120)이 설치된다.
고정부재(20)는 안테나(10)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로서, 안테나(10)를 고정시키는 브라켓(21)이 설치되는 고정용 폴(pole)이며, 기초(30)상에 수직되게 고정된다.
또한, 브라켓(21)은 안테나(10)마다 상측과 하측에 각각 결합되며, 조임볼트(22)의 조임과 풀림에 의해 안테나(10)를 고정시킨다.
결합수단(120)은 위장용 커버(110)에 고정되는 프레임(121)과, 프레임(121)에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고정용 폴 형태의 고정부재(20) 일측을 지지하는 제1 클램프(122)와, 고정부재(20)를 사이에 두고 제1 클램프(122)에 결합볼트(124)로 결합되는 제2 클램프(123)로 구성된다.
프레임(121)은 "H"자 형상을 가지고, 위장용 커버(110)의 몸체(111) 상단에 형성되는 걸림턱(111a)과 몸체(111) 하단에 각각 복수의 볼트(121a)로 고정된다.
제1 및 제2 클램프(122,123)는 중심부분이 고정부재(20)의 외주면과 상응하도록 반원형상을 가지고, 이들 사이에 고정부재(20)가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양측이 결합볼트(124)로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도어(113)를 개방 후 몸체(111) 내측에 안테나(10) 및 고정부재(20)를 위치시킨 다음 지지용 폴인 고정부재(20)를 결합수단(120)의 제 1 클램프(122)에 밀착시킨 다음 제2 클램프(123)를 고정부재(20)를 사이에 두고 제1 클램프(122)에 결합볼트(124)로 결합시킴으로써 고정부재(20)의 상부와 하부를 결합수단(120)으로 위장용 커버(110)에 고정시킨다.
그러므로, 위장용 커버(110)가 안테나(10) 및 고정부재(20)를 감싸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 안 보이도록 한다.
위장용 커버(110)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FRP"라고도 함)으로 제작됨으로써 안테나(10)를 감싸더라도 안테나(10)의 전파를 잘 투과시키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구조에 따른 위장용 커버는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안테나의 유지보수를 하는 경우에는 모든 볼트를 풀어서 위장용 커버를 해체한 다음 안테나를 노출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위장용 커버를 부분적으로 해체하여 유지보수하는 경우에는 유지보수를 위한 공간을 마련하여야 하므로 위장용 커버의 부피가 커질 수 밖에 없으며, 부피가 커지는 경우에는 풍압에 영향을 많이 받아 구조물의 안전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그리고, 안테나의 상부가 바닥으로부터 3m 높이에 주로 위치하게 됨으로써 안테나의 설치 및 유지보수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사다리를 이용하여 위장용 커버의 해체작업을 하게 되므로, 옥상의 난간 등에 근접하여 고소작업시 자칫 추락 등의 안전사고 위험이 뒤따르고, 또한 많은 작업시간과 작업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테나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도록 위장하는 가림막을 손쉽게 제거하여 안테나를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안테나 위장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위장 장치는,
바닥으로부터 세워지는 지주;
상기 지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안테나의 후면부위에 결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서 상기 지지부에 나란히 고정되는 레일부;
상기 안테나의 전면과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레일부에 결합되기 위하여 양측부위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가이드 홈이 형성된 가림막;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림막을 관통하여 상기 레일부에 고정되는 고정핀이 더 구비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가림막이 레일을 타고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안테나를 위장하거나 또는 가림막의 회전 개방에 의해 안테나를 노출시키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를 위하여 안테나 구조물을 외부로 노출시키기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가림막 내부에 유지보수를 위한 공간이 마련되지 않아도 되므로, 위장 장치의 부피가 최소화되어 풍압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가림막의 슬라이딩 이동 또는 회전에 의하여 안테나를 노출시킬 수 있으므로, 가림막을 해체하기 위한 고소작업이 불필요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1 및 도2는 종래의 기지국 위장 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안테나 위장 장치의 레일 구조를 보인 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가림막의 구조를 보인 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레일에 가림막이 설치된 상태의 외관을 보인 도.
도6은 가림막이 레일을 타고 하향 이동하여 안테나를 노출시키는 상태를 보인 도.
도7은 안테나의 각도조절시에도 가림막이 기울어지는 상태를 보인 도.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
도9는 도8의 결합상태를 보인 도.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가림막이 레일을 타고 하향 이동하여 안테나의 하부 구조물을 노출시키는 상태를 보인 도.
도11은 도9의 안테나 위장 장치가 옥상에 설치되어 안테나의 하부 구조물을 위장한 상태를 보인 도.
도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
도13은 도12의 부분적인 상세 구조를 보인 도.
도14는 지지부와 고정 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보인 도.
도15는 도14의 부분적인 상세 구조를 보인 도.
도16은 지지부의 결합부와 고정 프레임의 결합구의 상세 구조를 보인 도.
도17은 결합부와 결합구의 고정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구의 구조를 보인 도.
도18은 가림막을 열어서 안테나를 개방시키는 상태를 보인 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3 및 도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지주(100), 설치구(200), 지지부(300), 레일(530,540), 가림막(6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주(100)는 봉 형태로서, 바닥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구조물로서, 하부에는 중량체에 연결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수직형태로 세워지게 된다.
상기 설치구(200)는 상기 지주(100)의 상측부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부(30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물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300)는 안테나(400)의 후면부위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결합되고, 그 하측부위는 상기 설치구(200)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며, 상기 설치구(200)와의 사이에 각도조절을 위한 구조물이 연결됨으로써 안테나(400)의 전파 지향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레일(530,540)은 상기 지지부(300)의 양측에서 나란히 위치하고, 그 상측부위와 하측부위는 상기 지지부(300)에 상부 연결부(510)와 하부 연결부(520)에 의해 연결된다.
즉, 상기 지지부(300)의 양측에서 우측레일(530)과 좌측레일(540)이 나란히 위치하여 상하측 부위가 상기 지지부(300)에 각각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가림막(600)은 도4에서와 같이 그 횡단면이 'ㄷ'형태를 가지는 판체의 구조를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가림막(600)은 하나의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고, 또 다르게는 사출 금형에 의해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림막(600)은 도13 (b)에서와 같이 다수의 인조식물 장식재가 고정된 망체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림막(600)은 안테나(400)의 전면과 양측면 부위를 충분히 가릴 수 있는 크기를 가지게 되며, 그 양측부위 내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가이드 홈(610,620)이 구비되어 상기 레일부(530,540)에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일측의 가이드 홈(610)은 한 쌍의 날개부(611,612)가 서로 간격으로 두고 나란히 설치되어 이격부(613)가 형성됨으로써 그 이격부(613)에 의해 상기 상부 연결부(510)와 하부 연결부(520)에 간섭받지 않은 상태로 가이드 홈(610)이 우측레일(530)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타측의 가이드 홈(620)도 마찬가지로, 한 쌍의 날개부(621,622)가 이격부(623)를 가지고 나란히 형성되어 좌측레일(540)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따라서, 가림막(600)이 우측레일(530)과 좌측레일(54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안테나(400)를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또는 위장하게 되는데, 도5에서 과ㅌ이 안테나(400)를 가려서 위장하는 경우에는 가림막(600)의 상측부위와 하측부위가 레일(530,540)의 상측부위와 하측부위에 각각 위치하여 고정되어야 하므로, 고정핀(630)을 더 구비하게 된다.
상기 고정핀(630)은 상기 가림막(600)의 좌측에서 가림막(600)을 관통하여 삽입됨으로써 상기 좌측레일(540)의 하측에 형성된 핀공(541)에 삽입되고, 또한 가림막(600)의 우측에서도 고정핀이 관통삽입되어 핀공에 우측레일에 형성된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핀공(541)의 레일(530,540)의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을 가지면서 다수개가 형성됨으로써 가림막(600)의 상하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잇을 것이다.
즉, 도5에서와 같이 가림막(600)에 의해 안테나(400)를 완전히 위장하는 경우에는 고정핀(630)이 가림막(600)의 하측에서 레일(530,540)의 하측부위에 고정되고, 도6(a)에서와 같이 유지보수를 위하여 안테나(400)의 하측부위를 노출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림막(600)을 레일(530,540)을 따라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 다음, 고정핀(630)을 레일(530,540)의 중간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6(b)에서와 같이 안테나(400) 전체를 노출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림막(600)을 하측으로 완전히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이러한 안테나(400)를 노출시키기 위한 모든 작업이 안테나(400)의 하측에서 이루어질 수 있어서,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사다리를 이용하여 안테나(400)의 상측으로 올라가 볼트 등을 체결하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방지되는 것이다.
도7은 지지부(300)에 레일(530,540)이 고정되어 안테나(400)의 후면 부위를 지지하는 지지부(300)의 기울기 각도 즉 안테나(400)의 전파 지향 각도와 동일하게 가림막(600)도 각도가 조절됨으로써 안테나(400)의 위장 상태가 계속 유지되는 상태를 보인 것이다.
결국, 안테나(400)를 위장하는 가림막(600)이 안테나(400) 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고, 또한 가림막(600)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유지보수를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됨으로써 가림막(600)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풍압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가림막(600)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안테나(400)를 손쉽게 노츨시켜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8 및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로서, 안테나(400)의 하부 구조물, 예를 들면, 여러가닥의 복잡한 안테나 선 등을 위장하기 위하여 레일(530,540)이 안테나(400)의 하측에서 지주(100)에 고정부(550)를 매개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이다.
이때 상기 레일(530,540)은 지주(100)의 우측과 좌측에서 각각 나란히 위치하여 고정부(550)에 의해 고정되며, 지주(100)를 따라서 연속하여 설치되는 하부 구조물을 위장하기 위하여 이러한 레일(530,540)이 다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하측의 레일이 상측의 레일(530,540) 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지주(100)에 고정되고, 마찬가지로 가림막(600)도 상하 분리되도록 형성되며, 상측의 가림막(600)에는 고정핀(630)이 상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하측의 위장막에는 고정핀이 하측이 구비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도10에서와 같이 상측의 가림막(600)이 하측의 위장막의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한 후 고정핀(630)에 의해 상부레일(530,540)의 하측에 고정됨으로써 안테나(400) 하부 구조물의 상측부위를 노출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하측의 위장막이 상측의 위장막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한 후 고정핀(630)에 의해 하부레일의 상측에 고정됨으로서 안테나(400) 하부 구조물의 하측부위를 노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다단의 가림막(600) 구조를 가지는 이유는 안테나(400)의 높이가 설치현장마다 다르게 때문에 그 높이에 따라 가림막(600)을 일일이 구비하는 경우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가림막을 다단으로 설치함으로써 안테나(400)의 설치 높이에 따른 하부 구조물을 위장하는 가림막(600)을 비교적 저렴한 비용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가림막(600)의 전면부위는 도11에서와 같이 옥상의 난간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가림막(600)의 전면부위는 하측으로 갈수록 내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도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로서, 도12(a)와 같이 지지부(300)에 걸이방식에 의해 판체 형태의 가림막(600)을 탈부착이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구조이다.
도12(b)의 경우는 가림막(600)이 망체로 되어 있으며, 그 가림막(600)에 나뭇잎 등과 같은 장식재(660)가 부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엔 풍압의 영향을 더욱 줄일 수 있으면서도 외관상으로도 도시미관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도12(a)의 가림막(600)은 도13(a)에서와 같이 안테나(400)의 전면과 양측면 부위를 감싸는 가림막(600)의 양측 끝부위에 상하방향으로 고정프레임(640,650)이 각각 고정되어 설치되고, 그 고정프레임(640,650)에는 상하방향으로 등간격을 유지하면서 돌기 형태의 결합구(641,651)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구(641,651)는 'T' 형태로 된 머리부를 갖는 돌기이거나 또는 머리부를 갖는 볼트가 고정프레임(640,650)에 체결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고정프레임(640,650)을 배제하고, 결합구(641,651)가 곧바로 가림막(600)의 양측 끝부위에서 상하방향으로 등간격을 유지하면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도12(b)의 가림막(600)은 도13(b)에서와 같이 안테나(400)의 전면과 양측면 부위를 감싸는 망체로 된 가림막(600)의 양측 끝부위에 상하방향으로 고정프레임(640,650)이 각각 고정되어 설치되고, 그 고정프레임(640,650)에는 상하방향으로 등간격을 유지하면서 돌기 형태의 결합구(641,651)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망체로 된 가림막(600)에 인조 나뭇잎, 인조 꽃 등과 같은 장식재(660)가 부착되거나 결속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가림막(600)을 안테나(400)의 주변 둘레를 감싸고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프레임(640,650)이 지지부(300)에 고정되는데, 이러한 지지부(300)는 도14 및 도15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하방향으로 상기 결합구(641,651)와 동일한 간격을 가지면서 복수의 결합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300)는 한 쌍의 지지부가 간격을 두고 나란히 안테나(400)의 후면에 고정되고, 각각 복수의 결합부(3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지지부(300)가 안테나(400)의 후면에 고정되고, 그 하나의 지지부(300)에 상기 고정프레임(640,650)의 결합구(641,651)가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의 결합부(310)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310)는 도16(a)와 같이 상기 돌기 형태의 결합구(641,651)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된 구멍(311) 형태로서, 이러한 구멍(311)은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312)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구멍(311)의 구경은 상기 결합구(641,651)의 머리부의 지름과 같거나 약간 크게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312)의 폭은 상기 결합구(641,651)의 몸체의 지름과 같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16(b)와 같이 결합구(641,651)가 구멍(311)에 삽입되어 연장부(312)를 통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결합구(641,651)의 머리부에 의해 고정프레임(640,650)이 지지부(3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가림막(600)이 안테나(400)의 둘레를 감싸면서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결합구(641,651)가 결합부(310)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구멍(311)에 고무마개 형태로 된 고정구(320)를 끼워넣게 되면 결합구(641,651)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가림막(600)이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가림막(600)이 설치되고, 유지보수를 위하여 안테나(400)를 노출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어느 한쪽의 고정구(320)를 제거한 다음 고정프레임(650)을 안테나(400)의 하측에서 위로 살짝 들어올린 후 외측으로 회전시키면 결합구(651)가 결합부(310)로부터 이탈되면서 도18에서와 같이 고정프레임(640)을 축으로 하여 가림막(600)이 안테나(400)의 전면부위로 회전하여 열리게 된다.
가림막(600)은 얇은 판재로 형성되므로, 안테나(400)의 전방으로 쉽게 열릴 수 있게 되어 손쉽게 안테나(400)를 노출시켜 유지보수가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 - 지주
200 - 설치구
300 - 지지부
310 - 결합부
400 - 안테나
510,520 - 연결부
530,540 - 레일부
541 - 핀공
600 - 가림막
610,620 - 가이드 홈
630 - 고정핀
640,650 - 고정프레임
641,651 - 결합구
660 - 장식재

Claims (11)

  1. 바닥으로부터 세워지는 지주;
    상기 지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안테나의 후면부위에 결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나란히 고정되는 레일부;
    상기 안테나의 전면과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레일부에 결합되기 위하여 가이드 홈이 형성된 가림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위장 장치.
  2. 바닥으로부터 세워지며, 안테나의 후면부위에 결합된 지지부가 설치된 지주;
    상기 안테나의 하측에서 상기 지주에 나란히 고정되는 레일부;
    상기 안테나 하부 구조물의 전면부와 측면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레일부에 결합되기 위하여 가이드 홈이 형성된 가림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위장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을 관통하여 상기 레일부에 고정되는 고정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위장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측과 하측에 각각 구비되고, 하측에 구비된 레일부는 상측에 구비된 레일부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며,
    상기 가림막은 상기 상측과 하측의 레일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측의 가림막이 하측의 가림막보다 폭이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위장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의 전면부위는 하측으로 갈수록 내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위장 장치.
  6. 바닥으로부터 세워지는 지주;
    상기 지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안테나의 후면부위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결합부가 형성된 지지부;
    상기 안테나의 전면과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크기를 가지며, 양끝단에 상기 지지부의 결합부와 결합되기 위하여 상하방향으로 결합구가 구비된 가림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위장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의 양끝단에는 상하방향으로 세워진 고정프레임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상기 결합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위장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구멍 형태이고, 상기 결합구는 돌기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위장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 형태의 결합부는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 형태의 결합구는 그 단면이 'T'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위장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은 판체 또는 망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위장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은 망체로 형성되고, 그 망체에 장식재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위장 장치.

KR1020200026251A 2020-03-02 2020-03-02 안테나 위장 장치 KR202101111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251A KR20210111132A (ko) 2020-03-02 2020-03-02 안테나 위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251A KR20210111132A (ko) 2020-03-02 2020-03-02 안테나 위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132A true KR20210111132A (ko) 2021-09-10

Family

ID=77777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251A KR20210111132A (ko) 2020-03-02 2020-03-02 안테나 위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11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289B1 (ko) 2023-03-13 2023-10-19 김미경 기지국용 안테나 가림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289B1 (ko) 2023-03-13 2023-10-19 김미경 기지국용 안테나 가림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7881B2 (ja) 柵のビーム取付構造
US20120256810A1 (en) Methods of modifying erect concealed antenna towers and associated modified towers and devices therefor
JPH10510018A (ja) 仮設の保護用カバーシステム
CA2457005A1 (en) Roof scuttle safety railing system
KR20210111132A (ko) 안테나 위장 장치
KR20070057320A (ko) 무선통신용 안테나의 환경 친화적 위장장치
KR101880188B1 (ko) 다단 슬라이드 도어 타입 이동통신 옥외형 안테나의 환경친화 및 슬림형 가림막 구조물
KR20190011025A (ko) 건물 옥상 안테나 위장용 펜스 조립모듈 및 이를 이용하여 설치된 안테나 위장 펜스
KR20220069751A (ko) 기지국용 안테나의 위장을 위한 풍압 흡수형 위장장치
CN105804467A (zh) 一种移动式可拆卸蒙皮骨架机库
US11306503B1 (en) Fence post leveling bracket assembly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8683752B1 (en) Modular shelter assembly
KR20190103696A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보행자 안전 휀스
KR20220031952A (ko) 기지국 안테나 가림 펜스
US8928549B2 (en) Antenna window bracket
KR20210158283A (ko) 기지국용 안테나 설치 장치 및 설치 방법
KR20210154055A (ko) 기지국용 안테나 지지장치
WO2011127988A1 (en) An antenna attachment arrangement, a module comprising such an arrangement and an antenna mast arrangement
RU2776318C1 (ru) Способ монтажа высокочастот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информационной связи
KR20220023422A (ko) 기지국 안테나 가림 펜스
CN215871557U (zh) 一种出入口道闸监控设备
KR20220022074A (ko) 기지국 안테나 가림 펜스
KR102118830B1 (ko) 기지국용 안테나 위장 장치
CN208142346U (zh) 带有广告牌型美化天线外罩的结构
CN220080881U (zh) 一种用于建筑施工的防护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