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0931A -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 - Google Patents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0931A
KR20210110931A KR1020200025793A KR20200025793A KR20210110931A KR 20210110931 A KR20210110931 A KR 20210110931A KR 1020200025793 A KR1020200025793 A KR 1020200025793A KR 20200025793 A KR20200025793 A KR 20200025793A KR 20210110931 A KR20210110931 A KR 20210110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te
present
pump
fluid
outle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창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5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0931A/ko
Publication of KR20210110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09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어 입구 포트와 출구 포트를 연통하는 벌루트에 대해, 비대칭 원형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은 유체의 배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고양정 펌프를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fluid circulation type volute pump}
본 발명은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벌루트 펌프(Volute Pump)는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유체를 가속시킨 후 유체의 속도 에너지가 펌프의 내부 구조에 의해 압력 에너지로 변환되면서 유체가 이송되도록 하는 펌프이다.
이러한 벌루트 펌프에서는 유체에 가속도를 부여하는 부분인 컷오프(cut-off) 영역을 지나면 유체는 이송 속도가 증가하는데 이 영역을 속도실이라고 한다. 속도실에서는 유로의 폭이 좁아지면서 유체에 가속도를 부여하지만 상대적으로 압력은 낮다. 속도실의 반대측에서는 유로의 폭이 넓어지면서 속도는 감소하지만 압력이 높아지는 압력실의 영역이 위치한다.
이때, 벌루트의 형상은 대칭 원형을 이루며, 원형의 중심에 유입구가 위치하고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하나만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임펠러가 회전하여 유체를 흡입할 때 내부 압력이 대칭되어 균형을 이루지 못한다.
이렇게 펌프의 내부에서 속도실과 압력실이 상대적인 압력 차이를 가짐에 따라 임펠러의 구동축은 한 쪽 방향으로 치우친 압력에 의해 한 쪽으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구동축의 변형과 축수 베어링의 부하를 증가시켜 동력손실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구조와 그에 따른 작용으로 벌루트 펌프는 배출구로 토출되는 유체의 배출량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유럽 등록특허 제1903216호(등록일: 2008.03.26)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의 배출량을 증가시키는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양정을 실현하는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어 입구 포트와 출구 포트를 연통하는 벌루트에 대해 비대칭 원형을 갖도록 함으로써, 유체의 배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고양정 펌프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벌루트는, 비대칭 원형의 원주를 따라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가속된 유체를 빠르게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벌루트에서, 유로의 폭은 비대칭 원형의 원주를 따라 출구 포트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따라서 벌루트가 비대칭을 이루므로 임펠러가 회전하여 유체를 흡입할 때 내부 압력이 대칭되어 균형을 이루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에서, 출구 포트의 유로와 벌루트가 만나는 컷오프 영역의 간극은 비대칭 원형의 원주를 따라 일정 지점까지 동일하고, 일정 지점을 지나면서 출구 포트까지 커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벌루트가 비대칭을 이루므로 내부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어 가속된 유체를 증가된 압력으로 빠르게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벌루트는, 반경이 43mm이고, 컷오프 각도가 40이며, 팽창 각도가 0일 때 8.9m의 기준 양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벌루트는, 반경이 46mm이고, 컷오프 각도가 31이며, 팽창 각도가 2.5일 때 8.8m의 양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벌루트는, 반경이 44mm이고, 컷오프 각도가 20이며, 팽창 각도가 2일 때 9.6m의 양정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는, 양정이 기준 양정 대비 0.8m 증가되고, 펌핑 효율이 3% 증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는, 벌루트를 비대칭으로 형성함으로써 출구 포트의 출구 각도가 커지게 되어, 유체의 배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는, 벌루트를 비대칭으로 형성함으로써 고양정 펌프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는, 보일러용 순환 펌프, 물 순환용 펌프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는, 비대칭 원형의 원주를 따라 벌루트에 유로가 형성됨으로써,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가속된 유체를 빠르게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는, 벌루트에서 유로의 폭이 비대칭 원형의 원주를 따라 출구 포트로 갈수록 커짐으로써 벌루트가 비대칭을 이루게 되고, 임펠러가 회전하여 유체를 흡입할 때 내부 압력이 균형을 이루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는, 벌루트가 비대칭을 이루므로 내부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어 가속된 유체를 증가된 압력으로 빠르게 토출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의 외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에서 입구 포트와 출구 포트 간의 치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에 벨마우스가 결합된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에서 분리된 벨마우스의 외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에서 벌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벌루트의 임펠러 매칭 조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에서 벌루트와 임펠러를 매칭하는 케이싱 조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에서 벌루트 케이싱 치수를 개선함에 따른 양정 및 효율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의 외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에서 입구 포트와 출구 포트 간의 치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100)는, 일측에 입구 포트(110)가 형성되고, 타측에 출구 포트(120)가 형성된 하우징(2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측과 타측은 서로 마주보는 반대 방향에 위치할 수 있고, 서로 수직한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200)은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내부 공간에 임펠러(impeller, 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임펠러는 하우징(200)의 내벽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입구 포트(110)로 유체를 흡입하여 출구 포트(120)로 토출시킨다. 따라서 임펠러는 회전체로서 회전 운동 에너지를 유체에 전달시켜 유체의 압력을 상승시키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임펠러에는 유체의 이동을 돕고 에너지를 유체에 전달하는 다수 개의 블레이드(blade)가 배치될 수 있다. 임펠러의 구성은 일반적인 원심 펌프나 압축기에서 사용되는 주지 관용의 임펠러 기술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구조 및 배치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입구 포트(110)는 유체를 흡입하고, 출구 포트(120)는 하우징(200)의 내부 공간에서 가속된 유체를 외부로 토출한다. 여기서, 입구 포트(110)와 출구 포트(120)는 유체의 흡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하우징(200)은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유체를 가속시킨 후 유체의 속도 에너지가 내부 구조에 의해 압력 에너지로 변환되면서 유체가 토출되게 한다.
출구 포트(120)와 입구 포트(110) 간의 높이(a)는 21.9 ㎜로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치수로 변경될 수도 있다.
입구 포트(110)로부터 출구 포트(120)까지의 길이(b)는 123 ㎜로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치수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에 벨마우스가 결합된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에서 분리된 벨마우스의 외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200)에는 벨 마우스(10)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200)에는 벨 마우스(10)의 외경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외경을 갖는 원형 홈이 형성되어 있어, 이 원형 홈에 벨 마우스(10)가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벨 마우스(10)는, 중앙에 소정의 직경을 갖는 흡입 포트(11)가 구비됨으로써, 유체가 흡입 포트(11)를 통해 중앙을 향하여 용이하게 이동되어 흡입될 수 있다.
이러한 벨 마우스(10)는 링 형태를 갖도록 구비된 벨 마우스 몸체(101)의 내주연부에 일측 방향인 전방을 향하여 좁아지는 형태를 갖는 벨 마우스 흡입 가이드부(10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벨 마우스(100)는 벨 마우스 흡입 가이드부(102)의 중앙에 흡입 포트(11)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흡입 포트(11)는 벨 마우스(10)가 하우징(200)에 결합될 때 입구 포트(110)와 근접할 수 있으며, 입구 포트(110)의 크기와 동일한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벨 마우스(10)는, 벨 마우스 몸체(101), 벨 마우스 흡입 가이드부(102), 흡입 포트(11)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벨 마우스 흡입 가이드(102)는 벨 마우스 몸체(101)로부터 흡입 포트(11)를 향하여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태를 갖도록 구비됨으로써 소재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에 의해 벨 마우스 흡입 가이드(102)는 충분한 강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유체가 더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다.
흡입 포트(110)는 유체가 타측 공간에서 일측 공간으로 흡입되는 형태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으로, 소정의 직경을 갖는 관통유로(111)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관통유로(111)의 내주연부에 타측 방향인 후방을 향하여 링 형태를 갖는 보강 포트 가이드(112)가 돌출되게 구비되어 관통유로(111)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에서 벌루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벌루트의 임펠러 매칭 조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100)는, 하우징(20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어 입구 포트(110)와 출구 포트(120)를 연통하는 벌루트(volute)(300)를 포함할 수 있다.
벌루트(300)는 하우징(20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될 때, 벌루트(300)의 중앙이 입구 포트(110)의 중앙과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벌루트(300)는 중앙을 기준으로 비대칭 원형을 갖는다. 따라서, 벌루트(300)는, 비대칭 원형의 원주를 따라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대칭 달팽이관 형상의 유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벌루트(300)에서, 유로의 폭은 비대칭 원형의 원주를 따라 출구 포트(120)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또한, 도 3의 벌루트(300)에서, 출구 포트(120)의 유로와 벌루트(300)의 원주가 만나는 컷오프 영역에는 간극(3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간극(310)은 비대칭 원형의 원주를 따라 일정 지점(330)까지 동일하고, 일정 지점을 지나면서 출구 포트(120)까지 커질 수 있다. 즉, 벌루트(300)의 원주를 4등분 할 경우, 간극(310)은 비대칭 원형의 원주를 따라 1/4 지점(330)까지 일정한 폭을 가지며, 1/4 지점부터 비대칭 원형의 원주를 따라 출구 포트(120)까지 점진적으로 더 커지는 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간극(310)은 비대칭 원형의 원주를 따라 1/4 지점(330)에서 점진적으로 커지다 3/4 지점(320)에서는 1/4 지점(330)보다 더 크고, 4/4 지점을 지나 출구 포트(120)와 만나는 지점에서는 최대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벌루트(300)는 가상의 중앙 수직선을 기준으로 출구 포트(120)의 유로와 원주가 만나는 지점까지의 각도인 컷오프각(410)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벌루트(300)는 컷오프각(410)이 제외되고, 출구 포트(120)의 유로와 원주가 만나는 지점부터 비대칭 원형의 원주를 따라 회전하여 원주가 끝나는 지점까지의 각도인 스윕각(420)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100)는,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유체를 가속시킨 후 벌루트(300)의 구조에 의해 유체의 속도 에너지가 압력 에너지로 변환되면서 압력 에너지에 의해 유체가 토출되는 원리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100)는 임펠러의 회전력을 증가시켜 고양정을 가지도록 임펠러에 매칭하기 위해 다음 표 1과 같은 볼루트(300)의 케이싱 조건을 가질 수 있다.
설계 인자 기본값

케이싱
치수
입/출구 길이 [㎜] 123
입/출구 높이 [㎜] 21.9
벌루트 반경 [㎜] 43
Cut-Off 위치 [˚] 40
팽창 각 [˚] 0
표 1에서, 출구 포트(120)와 입구 포트(110) 간의 높이(a)는 21.9 ㎜로 고정되고, 입구 포트(110)로부터 출구 포트(120)까지의 길이(b)는 123 ㎜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벌루트(300)는 벌루트 반경이 43 ㎜이고, 컷오프각(410)은 40˚이며, 팽창 각은 0˚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에서 벌루트와 임펠러를 매칭하는 케이싱 조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벌루트(300)는 임펠러 컷오프각(410)이 40일 때 다음 표 2와 같이 8.9m의 기준 양정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벌루트(300)는 반경이 43mm이고, 팽창 각도가 0이다. 이 경우, 펌프는 45 LPM의 유량을 가지는 그런포스(Grundfos) 펌프로 구현한 예이다.
구분 설게 인자 Grundfos PT 2차 PT 3차

케이싱
치수
벌루트 반경 [] 43 46 44
Cut-Off 위치 [] 40 31 20
팽창 각 [] 0 2.5 2
성능 양정(@45LPM0[m] 8.9 8.8 9.6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벌루트(30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컷오프각(410)이 31일 때 8.8m의 양정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 벌루트(300)는 45 LPM 유량이고, 반경이 46mm이며, 팽창 각도가 2.5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벌루트(300)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컷오프 각(410)이 20일 때 9.6m의 양정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 벌루트(300)는 45 LPM 유량이고, 반경이 44mm이며, 팽창 각도가 2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100)는, 컷오프각(410)이 점진적으로 커질수록 벌루트(300)의 원주와 접하는 출구 포트(120)의 출구 방향 각도가 점진적으로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출구 포트(120)의 출구 방향이 굽어져 있는 상태에서 펴지는 상태로 변화됨으로써 45 LPM 단위로 8.9m 양정에서 9.6m 양정으로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100)는, 전술한 수치를 갖는 벌루트(300)를 구현할 때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양정을 실현할 수 있고, 펌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에서 벌루트 케이싱 치수를 개선함에 따른 양정 및 효율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100)는, 벌루트(300)의 컷오프각(410)을 40에서 20로 변화시킴으로써 양정이 45 LPM 단위로 8.9m에서 9.6m로 증가되어, 기준 양정 대비 약 0.8m가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100)는, 벌루트(300)의 컷오프각(410)을 40에서 20로 변화시킴으로써, 펌핑 효율이 3%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벌루트를 비대칭으로 형성함으로써 유체의 배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고양정 펌프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 벨마우스 11 : 흡입 포트
31 : 걸림턱 100 :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
101 : 벨마우스 몸체 102 : 벨마우스 흡입 가이드부
111 : 관통유로 112 : 보강포트 가이드
110 : 입구 포트 120 : 출구 포트
200 : 하우징 300 : 벌루트
310 : 간극 320 : 원주의 1/4 지점
330 : 원주의 3/4 지점 410 : 컷오프각
420 : 스윕각

Claims (8)

  1. 일측에 입구 포트가 형성되고, 타측에 출구 포트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입구 포트와 상기 출구 포트를 연통하는 벌루트(volute);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상기 입구 포트로 유체를 흡입하여 상기 출구 포트로 토출시키는 임펠러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 포트의 중앙은 상기 벌루트의 중앙과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벌루트는 중앙을 기준으로 비대칭 원형을 갖는,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벌루트는, 상기 비대칭 원형의 원주를 따라 유로가 형성되는,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의 폭은 상기 비대칭 원형의 원주를 따라 상기 출구 포트로 갈수록 커지는,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포트의 유로와 상기 벌루트가 만나는 컷오프 영역의 간극은 상기 비대칭 원형의 원주를 따라 일정 지점까지 동일하고, 상기 일정 지점을 지나면서 상기 출구 포트까지 커지는,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벌루트의 반경이 43mm이고, 컷오프 각도가 40ㅀ이며, 팽창 각도가 0ㅀ일 때 8.9m의 기준 양정을 갖는,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벌루트의 반경이 46mm이고, 컷오프 각도가 31ㅀ이며, 팽창 각도가 2.5ㅀ일 때 8.8m의 양정을 갖는,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벌루트의 반경이 44mm이고, 컷오프 각도가 20ㅀ이며, 팽창 각도가 2ㅀ일 때 9.6m의 양정을 갖는,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포트의 단부에서 상기 출구 포트의 단부까지의 길이는 123mm이고, 상기 입구 포트의 중심선에서 상기 출구 포트의 중심선까지의 높이는 21.9mm인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
KR1020200025793A 2020-03-02 2020-03-02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 KR202101109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793A KR20210110931A (ko) 2020-03-02 2020-03-02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793A KR20210110931A (ko) 2020-03-02 2020-03-02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931A true KR20210110931A (ko) 2021-09-10

Family

ID=77777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793A KR20210110931A (ko) 2020-03-02 2020-03-02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093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03216A1 (en) 2006-09-18 2008-03-26 IHC Holland NV Centrifugal pump, and use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03216A1 (en) 2006-09-18 2008-03-26 IHC Holland NV Centrifugal pump, and use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309082A1 (en) Centrifugal turbomachine
KR102118500B1 (ko) 마그넷 펌프
WO2018181343A1 (ja) 遠心圧縮機
US10443606B2 (en) Side-channel blowe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10393143B2 (en) Compressor with annular diffuser having first vanes and second vanes
WO2016125335A1 (ja) 遠心圧縮機
US10309413B2 (en) Impeller and rotating machine provided with same
US11035380B2 (en) Diffuser vane and centrifugal compressor
WO2014122819A1 (ja) 遠心圧縮機
US11215195B2 (en) Centrifugal compressor and turbo refrigerator
US9638211B2 (en) Scroll tongue part and rotary machine including the same
JP5251587B2 (ja) 遠心圧縮機
KR20210110931A (ko) 유체 순환용 벌루트 펌프
JP2016133105A (ja) 電動送風機
US20220372992A1 (en) Rotating machinery
US10844863B2 (en) Centrifugal rotary machine
JPS6131695A (ja) タ−ボ分子ポンプ
CN111356843B (zh) 多级离心压缩机、壳体以及回流翼片
KR102313450B1 (ko) 원심펌프
KR100339550B1 (ko) 터보 압축기의 디퓨져 구조
KR100420516B1 (ko) 송풍장치
JP2014202102A (ja) 遠心圧縮機
JPS63280893A (ja) タ−ボ真空ポンプ
US20180291920A1 (en) Centrifugal compressor impeller and compressor comprising said impeller
RU2347110C1 (ru) Ступень осевого компрессор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