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0913A - A vent mast - Google Patents

A vent ma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0913A
KR20210110913A KR1020200025732A KR20200025732A KR20210110913A KR 20210110913 A KR20210110913 A KR 20210110913A KR 1020200025732 A KR1020200025732 A KR 1020200025732A KR 20200025732 A KR20200025732 A KR 20200025732A KR 20210110913 A KR20210110913 A KR 20210110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elevating
fixed pipe
vent mast
fuel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7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민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5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0913A/en
Publication of KR20210110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091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08Ventilation; Air-conditioning of ho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4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for large storage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9/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52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3Treating the boil-off
    • F17C2265/031Treating the boil-off by dis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nt mast, comprising: a fixed pipe connected to a fuel tank provided in a hull and disposed to be protrud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hull; an elevating pipe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part of the fixed pipe and provided to be able to elevate from the fixed pipe; and a driving unit for raising the elevating pipe to discharge a boil-off gas in the fuel tank to the outside through the elevating pipe when the pressure in the fuel tank increases by more than a certain leve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nt mast, specifically, the upper pipe of the vent mas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elevate. When the boil-off gas is discharged, by raising the upper pipe of the vent mast to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a cabin, the boil-off gas can be discharged at a location spaced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top of the cabin. Thus, the vent mast can promote the safety of crewmen in the cabin.

Description

벤트 마스트{A VENT MAST}Vent Mast {A VENT MAST}

본 발명은 벤트 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선박에 설치되는 벤트 마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 mast,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nt mast installed in a ship.

일반적으로 선박은 대량의 광물이나 원유, 천연가스 또는 수천 개의 컨테이너 박스 등을 싣고 대양을 항해하는 운송 수단으로서, 강철로 이루어져 있고 부력에 의해 수면에 부유한 상태에서 프로펠러의 회전을 통해 발생되는 추력을 통해 이동한다.In general, a ship is a means of transport that carries a large amount of minerals, crude oil, natural gas, or thousands of container boxes and sails the ocean. move through

이러한 선박은 연료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 받아 엔진을 구동함으로써, 추력을 발생시키는데, 최근에는 환경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LNG 등의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Such ships generate thrust by driving an engine by receiving fuel from a fuel tank. Recently, as environmental problems arise, ships using liquefied gas such as LNG are widely used as fuel.

이때, 선박에서 액화가스가 저장되는 연료탱크나 저장탱크의 경우, 액화가스의 슬로싱 현상 및 불완전한 단열 등의 다양한 이유로, 증발가스(BOG, Boiled Off Gas)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이로 인해 연료탱크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일정 압력(예: 0.3 bar)을 초과하게 되면 안전을 위해 안전밸브가 동작하여 연료탱크 내 증발가스 중 일부를 벤트 마스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a fuel tank or a storage tank in which liquefied gas is stored in a ship, BOG (Boiled Off Gas) is continuously generated for various reasons such as sloshing of the liquefied gas and incomplete insulation. Since the internal pressure increases, when a certain pressure (eg, 0.3 bar) is exceeded, the safety valve operates for safety, and some of the boil-off gas in the fuel tank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vent mast.

한편,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컨테이너 선박의 경우, 조정실의 시야확보를 위해 선원이 거주하는 거주구가 선체의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고, 효율적인 공간활용을 위해 컨테이너 박스를 적재하기 어려운 거주구의 하부 공간에 연료탱크가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container ship using liquefied gas as a fuel, the residence where the crew lives can be arrang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hull to secure the visibility of the control room, and for efficient space utilization, the residence area where it is difficult to load the container box A fuel tank may be disposed in the lower space.

이와 같은 컨테이너 선박은 선체 내 화물창 및 선체 상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컨테이너 박스를 적재해야 하고, 또한 비상 상황에서 즉각적으로 연료탱크 내 증발가스를 배출할 수 있도록, 연료탱크와 연결되는 벤트 마스트가 연료탱크 상부에 배치된 거주구를 따라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such a container ship, the container box must be loaded by maximizing the cargo hold and the space above the hull in the hull, and a vent mast connected to the fuel tank is installed so that the boil-off gas in the fuel tank can be discharged immediately in an emergency situation. It can be installed vertically along the living quarters arranged on the upper part.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의 벤트 마스트는 증발가스 배출 시 거주구의 주변으로 증발가스가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거주구 내로 증발가스가 유입될 수 있어 선원의 안전에 문제가 되고, 각종 전자 장비에 의한 폭발 사고를 야기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vent mast having such a structure may discharge BOG to the periphery of the residence when BOG is discharged, BOG may flow into the residence, which poses a problem for the safety of the crew and causes explosions caused by various electronic equipment. There are problems that can cause accidents.

등록특허 제10-1532035호(등록일: 2015.06.22) "일체형 벤트 마스트 구조"Registered Patent No. 10-1532035 (Registration date: June 22, 2015) "Integrated vent mast structure"

본 발명에서는 벤트 마스트, 구체적으로는 벤트 마스트의 상부쪽 배관을 승강 가능하게 구성하여, 증발가스를 배출하는 경우 벤트 마스트의 상부쪽 배관을 거주구 상측으로 소정 높이 상승시킴으로써, 거주구의 최상부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 위치에서 증발가스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거주구 내 선원의 안전을 도모할 있는 벤트 마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nt mast, specifically, the upper pipe of the vent mast is configured to be elevating, and when the boil-off gas is discharged, the upper pipe of the vent mast is raised to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dwelling, thereby increasing the height from the top of the dwelling to a predetermined height. It is intended to provide a vent mast that can discharge the boil-off gas at a spaced apart location to promote the safety of crew members in the living quarters.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able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체 내에 구비된 연료탱크와 연결되고, 선체의 상부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고정배관, 고정배관의 상부에 연통하도록 연결되고, 고정배관으로부터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배관 및 연료탱크 내 압력이 일정 이상 증가하는 경우, 연료탱크 내의 증발가스를 승강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승강배관을 상승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벤트 마스트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fuel tank provided in the hull, and is connected to a fixed pipe protrud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hull,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part of the fixed pipe, and elevating and lowering from the fixed pipe Provided is a vent mast including a lifting pipe and a driving unit for raising the elevating pipe to discharge the boil-off gas in the fuel tank to the outside through the elevating pipe when the pressure in the fuel tank increases by more than a certain level.

또한, 고정배관은 연료탱크로부터 수직하게 연결되어 선체의 상부에 구비된 거주구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고, 승강배관은 증발가스 배출 시, 구동부에 의해 거주구의 상측으로 소정 높이 상승되어, 거주구의 최상부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 위치에서 증발가스를 배출하는 벤트 마스트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fixed pipe is vertically connected from the fuel tank and is disposed along the side of the residenc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hull, and the elevating pipe is raised to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residence by the driving unit when the BOG is discharged, and from the top of the residence. It provides a vent mast for discharging boil-off gas at position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height.

또한, 고정배관과 승강배관 사이에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는 벨로우즈 형태의 연결관을 더 포함하는 벤트 마스트를 제공한다.In addition, it provides a vent mast further comprising a bellows-type connection pipe that is telescopically connected between the fixed pipe and the elevating pipe.

또한, 구동부는 승강배관과 연결되는 와이어를 구비하고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 고정배관으로부터 승강배관을 승하강시키는 윈치부를 포함하는 벤트 마스트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provides a vent mast including a winch unit having a wire connected to the elevating pipe and winding or unwinding the wire to elevate the elevating pipe from the fixed pipe.

또한, 구동부는 실린더몸체로부터 수축 또는 연장되는 실린더로드를 통해 고정배관으로부터 승강배관을 승하강시키는 실린더부재를 포함하는 벤트 마스트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provides a vent mast including a cylinder member for elevating the elevating pipe from the fixed pipe through the cylinder rod contracted or extended from the cylinder body.

또한, 고정배관의 내측에 구비되어, 고정배관으로부터 승강배관이 상승하는 경우에만 고정배관을 개방하는 댐퍼 및 승강배관의 내측에 구비되어, 증발가스를 외부로 토출하도록 회전하는 배기팬을 더 포함하는 벤트 마스트를 제공한다.In addition, a damper provided inside the fixed pipe, which opens the fixed pipe only when the elevating pipe rises from the fixed pipe, and an exhaust fan provided inside the elevating pipe and rotating to discharge the boil-off gas to the outside further comprising A vent mast is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트 마스트는, 선체 내 연료탱크로부터 수직하게 연결되어 거주구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고, 연료탱크 내 압력이 높아지는 경우, 벤트 마스트의 상부쪽 승강배관을 거주구의 최상부로부터 소정 높이 상승시킴으로써, 거주구의 최상부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 위치에서 연료탱크로부터 유입되는 증발가스(BOG, Boiled Off Gas)를 배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거주구 또는 그 주변으로 증발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선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The vent ma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tically connected from the fuel tank in the hull and disposed along the side of the habitable port, and when the pressure in the fuel tank increases, the upper lifting pipe of the vent mast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top of the vent. By raising it, it is possible to discharge BOG (Boiled Off Gas) flowing in from the fuel tank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top of the residence,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OG from flowing into the residence or its surroundings. can ensure the safety of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트 마스트가 구비된 선박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선박의 정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내 벤트 마스트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트 마스트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트 마스트에 구비된 구동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트 마스트에 구비되는 댐퍼와 배기팬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 side view of a ship equipped with a vent ma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ship shown in FIG. 1 .
Figure 3 shows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vent mast in the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vent ma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a driving unit provided in the vent ma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damper and an exhaust fan provided in the vent ma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DETAILED DESCRIP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appended drawings is intended to describ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represent the only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may b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pressions such as “or” and “at least one” may indicate one of the words listed together,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트 마스트(100)가 구비된 선박(1)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선박(1)의 정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 내 벤트 마스트(100)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1 shows a side view of a ship 1 equipped with a vent mas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show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ship 1 shown in FIG. , Figure 3 shows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vent mast 100 in the ship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트 마스트(100)는 선박(1)에 적용되는 벤트 마스트(100)로, 대표적인 실시예로서 가스연료로 이용하고, 컨테이너 박스(c) 등의 화물을 싣는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선박(1)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벤트 마스트(100)에 대해 설명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the vent mas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nt mast 100 applied to the ship 1, and is used as a gas fuel as a representative embodiment, and cargo such as a container box (c).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vent mast 100 that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gas fuel propulsion container ship 1 for loading.

여기서, 가스연료는 LNG, LPG, 에틸렌, 암모니아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액체 상태로 보관되는 모든 액화가스 연료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일 예로써 LNG 가스를 이용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Here, the gas fuel may be used to encompass all liquefied gas fuels that are generally stored in a liquid state, such as LNG, LPG, ethylene, ammonia, etc. In this embodiment, an example using LNG ga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벤트 마스트(100)가 구비된 선박(1)은, 선체(10), 엔진(20), 연료탱크(30), 연료공급라인(40) 및 벤트 마스트(1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 the ship 1 provided with the vent mas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hull 10 , an engine 20 , a fuel tank 30 , and a fuel supply line 40 . and a vent mast 100 .

선체(10)는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선박(1)의 외관을 형성하고, 상갑판, 선측외판 및 선저판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전후 방향으로 선수에는 구상선수가 형성되고 선미에는 프로펠러(22) 등의 추진장치와 러더 등의 조향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The hull 10 forms the exterior of the gas fuel propulsion container ship 1, and is surrounded by an upper deck, a side shell plate and a bottom plate, and a spherical bow is formed in the bow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propulsion device such as a propeller 22 in the stern. and a steering device such as a rudder may be provided.

선체(10)의 내부에는 복수의 컨테이너 박스(c)가 적재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선체(10) 내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복수개의 화물창(11)이 구비될 수 있으며, 화물창(11) 내에는 셀 가이드(미도시)가 마련되어 컨테이너 박스(c)의 적재를 가이드할 수 있다.A plurality of container boxes (c) may be loaded inside the hull 10, and for this purpose, a plurality of cargo holds 11 may be provided inside the hull 10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cells in the cargo hold 11 A guide (not shown) may be provided to guide the loading of the container box (c).

또한, 화물창(11) 내에는 격벽(미도시)이 구비되어, 격벽(미도시)을 통해 화물창(11)을 이루는 복수개의 베이를 구획할 수 있다.In addition, a bulkhead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cargo hold 11 , and a plurality of bays constituting the cargo hold 11 may be partitioned through the bulkhead (not shown).

또한, 화물창(11) 내부에는 컨테이너 박스(c)를 최대한 많이 적재하기 위해 좌우측 하단에 각각 계단 형태의 단턱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rgo hold 11, each step 12 in the form of a step may be formed in the lower left and right to load the container box (c) as much as possible.

또한, 화물창(11)의 상부에는 해치코밍(13)이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a hatch coaming 13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rgo hold 11 .

즉, 도 2를 참조하면, 컨테이너 선박(1)에는 화물을 싣고 내리거나 사람이 출입하기 위한 해치(hatch)가 형성되고, 또한 선박(1)의 선창 등으로 파랑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해치 입구 주위에 격벽인 해치코밍(13)이 설치될 수 있다.That is, referring to FIG. 2 , a hatch for loading and unloading cargo or a person is formed in the container ship 1 , and also the hatch entrance to prevent the intrusion of waves into the dock of the ship 1 , etc. A hatch coaming 13 which is a bulkhead may be installed around it.

더욱이, 해치코밍(13)의 측벽 상부에는 수평하게 구비되어 해치커버(15)를 지지하는 수평 플레이트(14a)와, 수평 플레이트(14a)의 측단 하부에 연결되어 종강도를 보강하는 수직 플레이트(14b)로 이루어지는 "ㄱ" 형태의 해치코밍 탑 플레이트(14)가 구비될 수 있다.Furthermore, a horizontal plate 14a provided horizontally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wall of the hatch coaming 13 to support the hatch cover 15, and a vertical plate 14b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ide end of the horizontal plate 14a to reinforce longitudinal strength ) may be provided with a hatch coaming top plate 14 in the form of "a".

여기서, 수평 플레이트(14a)에 지지되는 해치커버(15)는 해치코밍(13) 상부에서 해치를 덮도록 구비되고, 해치커버(15) 상부로 복수의 컨테이너 박스(c)가 적재될 수 있다.Here, the hatch cover 15 supported by the horizontal plate 14a is provided to cover the hatch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hatch coaming 13 , and a plurality of container boxes c may be loaded onto the hatch cover 15 .

컨테이너 선박(1)의 경우, 화물 적재 능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선원들이 거주하는 거주구(50), 엔진룸(21)에 설치되는 엔진(20), 연료탱크(30)가 설치되는 공간 및 기계실 등을 제외한 선체(10)의 내부 및 상갑판 상에 다수의 컨테이너 박스(c)가 적재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container ship (1), in order to maximize the cargo loading capacity, the space and the machine room where the engine 20, the fuel tank 30 are installed, and the living area 50 where the sailors live, the engine room 21 are installed. A plurality of container boxes (c) can be loaded on the inside and upper deck of the hull 10 except for the back.

엔진(20)은 선체(10)의 내부에서 선미 쪽에 인접한 엔진룸(21)에 구비되어 선박(1)의 추진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engine 20 may be provided in the engine room 21 adjacent to the stern side in the interior of the hull 10 to provide propulsion power of the ship 1 .

즉, 엔진룸(21) 내에는 선박 추진을 위한 엔진(20)이 수용되고, 엔진(20)은 프로펠러(22)와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가스연료를 소비하며 프로펠러(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That is, the engine 20 for propulsion of the vessel is accommodated in the engine room 21 , and the engine 20 is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peller 22 to consume gas fuel and rotate the propeller 22 . have.

또한, 엔진룸(21)의 상부에는 엔진케이싱(60)이 구비될 수 있는데, 엔진케이싱(60)은 엔진(20)에서 발생하는 배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연돌을 가지며, 비상발전기나 소화시설 등이 마련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n engine casing 60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engine room 21 , the engine casing 60 having a stack for discharging exhaust generated from the engine 20 to the outside, and an emergency generator or fire extinguishing facility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back is provided.

연료탱크(30)는 LNG 등의 액화가스 연료를 저장할 수 있고, 선미 쪽의 엔진(20)과 이격되어 선체(10)의 중앙 부분에서 거주구(5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fuel tank 30 may store liquefied gas fuel such as LNG,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engine 20 at the stern side and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50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hull 10 .

이때, 액화가스는 연료탱크(30)에 액화 상태로 저장될 수 있고, 연료공급라인(40)을 통해 엔진(20)으로 공급되어 컨테이너 선박(1)을 운항하기 위한 추진 연료로 소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iquefied gas may be stored in a liquefied state in the fuel tank 30 , and may be supplied to the engine 20 through the fuel supply line 40 to be consumed as a propulsion fuel for operating the container ship 1 . .

이를 위해 연료탱크(30)는 액화가스를 극저온 상태로 저장할 수 있고, 액화가스가 자연 기화되어 증발가스로 변화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연료탱크(30)는 다양한 단열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fuel tank 30 may store the liquefied gas in a cryogenic state, and in order to minimize the natural vaporization of the liquefied gas and the change into the boil-off gas, the fuel tank 30 may employ various insulating structures.

또한, 연료탱크(30)의 상부에는 돔이 구비될 수 있고, 돔에는 연료공급라인(40)이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a dome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uel tank 30 , and a fuel supply line 40 may be connected to the dome.

이러한 연료탱크(30)는 거주구(50)의 직하방에 배치될 수 있고, 코퍼댐(미도시)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Such a fuel tank 30 may be disposed directly below the residence 50 and may be surrounded by a cofferdam (not shown).

즉, 연료탱크(30)는 위험물질을 수용하는 구성이므로, 연료탱크(30)로부터 거주구(50) 등을 보호하면서 단열을 구현하기 위해, 연료탱크(30)의 둘레에는 코퍼댐(미도시)이 둘러싸일 수 있다.That is, since the fuel tank 30 is a configuration for accommodating hazardous substances, a cofferdam (not shown) is formed around the fuel tank 30 in order to implement thermal insulation while protecting the housing 50 and the like from the fuel tank 30 . ) may be enclosed.

여기서, 선체(10)의 중앙 부분 쪽 상갑판에는 선원이 거주하는 거주구(50)가 구비될 수 있는데, 거주구(50)는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되고 최상부 층에는 항해를 제어하는 조종실이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upper deck of the central part of the hull 10 may be provided with a residence 50 in which a sailor resides. can

즉, 컨테이너 선박(1)에서 조정실의 시야확보를 위해 거주구(50)는 선체(10)의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효율적인 공간활용을 위해 컨테이너 박스(c)를 적재하기 어려운 거주구(50)의 하부 공간에 연료탱크(30)가 배치될 수 있다.That is, in order to secure a view of the control room in the container ship 1, the residence 50 may be dispos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hull 10, and thus it is difficult to load the container box c for efficient space utilization. A fuel tank 30 may be disposed in the lower space of the sphere 50 .

연료공급라인(40)은 선체(10) 내에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엔진(20)과 연료탱크(30) 사이를 연결하여, 연료탱크(30)에 저장된 연료를 엔진(20)으로 공급할 수 있다.The fuel supply line 40 connects between the engine 20 and the fuel tank 30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ull 10 , so that the fuel stored in the fuel tank 30 can be supplied to the engine 20 . .

이와 같은 연료공급라인(40)은 컨테이너 박스(c)가 적재되는 선체(10) 내의 화물창(11)을 우회하도록 선체(10) 상부로 돌출되어 선체(10) 상부의 해치코밍(13)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Such a fuel supply line 40 protrudes above the hull 10 so as to bypass the cargo hold 11 in the hull 10 on which the container box c is loaded. can be placed.

즉, 컨테이너 선박(1)은 선체(10) 내 화물창(11) 및 선체(10) 상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컨테이너 박스(c)를 적재해야 하기 때문에, 화물창(11) 내에 연료공급라인(40)을 배치할 공간이 넉넉치 않으며, 또한 화물창(11) 내 연료공급라인(40)을 배치하는 경우, 중량물인 컨테이너 박스(c)와의 충돌 또는 간섭을 방지하고 보호할 수 있도록 별도의 구조물을 통해 파이프 통로를 만들어야 함으로써, 적재 효율이 떨어지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That is, since the container ship 1 must load the container box c by maximally utilizing the cargo hold 11 and the upper space of the hull 10 in the hull 10, the fuel supply line 40 in the cargo hold 11 If there is not enough space to place a fuel supply line 40 in the cargo hold 11, a pipe passage through a separate structure to prevent and protect collision or interference with the heavy container box (c) By making the ,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oading efficiency decreases and the cost increases.

이에 따라, 선체(10) 내 컨테이너 박스(c)의 적재 효율을 높이기 위해, 엔진(20)과 연료탱크(30)의 사이에 연결되는 연료공급라인(40)을 선체(10) 상부로 돌출시켜 선체(10) 상부에 설치된 해치코밍(13)의 탑 플레이트(14)의 안쪽에 수용하여 배치함으로써, 화물창(11) 내 컨테이너 박스(c)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적재 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고, 외부로부터 연료공급라인(40)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Accordingly, in order to increase the loading efficiency of the container box (c) in the hull 10, the fuel supply line 40 connected between the engine 20 and the fuel tank 30 is protruded to the upper part of the hull 10. By accommodating and arranging inside the top plate 14 of the hatch coaming 13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hull 10, interference with the container box c in the cargo hold 11 can be prevented, and the loading space can be increased. and can safely protect the fuel supply line 40 from the outside.

구체적으로, 연료공급라인(40)은 연료탱크(30)로부터 선체(10) 상부의 해치코밍(13)까지 수직하게 연장되고, 연장된 끝단에서 절곡되어 해치코밍 탑 플레이트(14)의 내측을 따라 수평하게 연장되며, 연장된 끝단에서 절곡되어 엔진(20)까지 수직하게 연결됨으로써, 선체(10) 내의 화물창(11)을 우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uel supply line 40 extends vertically from the fuel tank 30 to the hatch coaming 13 of the upper part of the hull 10 , and is bent at the extended end along the inner side of the hatch coaming top plate 14 . It extends horizontally and is bent at the extended end to be vertically connected to the engine 20 , so that it can be formed to bypass the cargo hold 11 in the hull 10 .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벤트 마스트(100)는 연료탱크(30)와 연결되고 거주구(50)의 측면을 따라 수직하게 배치되어 거주구(50)의 상측으로 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3 , the vent mast 100 is connected to the fuel tank 30 and is vertically disposed along the side of the living hole 50 to discharge gas to the upper side of the living hole 50 .

구체적으로, 벤트 마스트(100)는 선체(10)에서 컨테이너 박스(c)가 적재되는 공간을 회피할 수 있도록 연료탱크(30)로부터 거주구(50)의 측면을 따라 수직하게 배치되고, 벤트 마스트(100) 끝단의 배기구(p)가 거주구(50)의 최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vent mast 100 is vertically disposed along the side of the living port 50 from the fuel tank 30 so as to avoid the space in which the container box c is loaded in the hull 10, and the vent mast (100) The exhaust port (p) of the end may be disposed at the top of the residence port (50).

액화가스가 저장된 연료탱크(30)는 시간이 지날수록 증발가스(BOG, Boiled Off Gas)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이로 인해 연료탱크(30)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일정 압력(예: 0.3 bar)을 초과하게 되면 연료탱크(30)의 안전밸브(미도시)가 동작하여 연료탱크(30) 내 증발가스 중 일부가 벤트 마스트(1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Since the fuel tank 30 in which the liquefied gas is stored continuously generates BOG (Boiled Off Gas) as time passes, and this increases the pressure inside the fuel tank 30, a certain pressure (eg, 0.3 bar) is exceeded, a safety valve (not shown) of the fuel tank 30 may operate, and some of the boil-off gas in the fuel tank 3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vent mast 100 .

이때, 벤트 마스트(100)를 통해 거주구(50)의 주변으로 증발가스가 배출되면, 거주구(50)로 증발가스가 유입될 수 있어 선원의 안전에 문제가 되고, 각종 전자 장비에 의한 폭발 사고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벤트 마스트(100)의 상부쪽 배관을 승강 가능하게 구성하여, 증발가스 배출 시, 벤트 마스트(100)의 상부쪽 배관을 거주구(50) 상측으로 소정 높이 상승시킴으로써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BOG is discharged to the vicinity of the residence 50 through the vent mast 100 , BOG may flow into the residence 50 , which poses a problem to the safety of the crew and causes explosions caused by various electronic equipment. Since it may cause an accident,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pipe of the vent mast 100 is configured to be elevating, and when the boil-off gas is discharged, the upper pipe of the vent mast 100 is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residence 50 . Safety can be achieved by raising it to a predetermined heigh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트 마스트(1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4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vent mas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벤트 마스트(100)는, 고정배관(110), 승강배관(120) 및 구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vent mas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fixed pipe 110 , a lifting pipe 120 , and a driving unit 130 .

여기서, 고정배관(110)은 연료탱크(30)로부터 수직하게 연결되어 거주구(50)의 측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fixed pipe 110 may be vertically connected from the fuel tank 30 and disposed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living port 50 .

또한, 승강배관(120)은 고정배관(110)의 상단에 연결되어 고정배관(110)으로부터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vating pipe 12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ed pipe 110 to be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elevate from the fixed pipe (110).

이에 따라, 연료탱크(30)로부터 유입되는 증발가스는 고정배관(110)을 통과하여 승강배관(1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boil-off gas flowing in from the fuel tank 30 may pass through the fixed pipe 110 and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levating pipe 120 .

이때, 고정배관(110)은 상단이 거주구(50)의 최상부 부근까지 구비되고, 승강배관(120)은 구동부(130)에 의해 고정배관(110)으로부터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평상시에는 거주구(50)의 최상부에서 고정배관(110)의 상단에 배치되어 있다가, 증발가스 배출 시 구동부(130)에 의해 거주구(50)의 상측으로 소정 높이 상승되어 승강배관(120) 끝단의 배기구(p)를 통해 외부로 증발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fixed pipe 110 is provided up to the vicinity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residence port 50 , and the elevating pipe 120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elevate from the fixed pipe 110 by the driving unit 130 , and is usually provided for residence. It is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fixed pipe 110 at the top of the sphere 50, and when the boil-off gas is discharged, it is raised to a predetermined height upward of the residence port 50 by the driving unit 130 and the exhaust port of the end of the elevating pipe 120 BOG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p).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배관(110)의 일측에 승강배관(120)을 소정 간격 이격시켜 배치하고, 고정배관(110)과 승강배관(120) 사이에 신축성이 있는 벨로우즈관 등의 소정 길이를 갖는 연결관(140)을 연결하여, 증발가스의 누설을 효과적을 방지할 수 있고, 고정배관(110)의 간섭 없이 승강배관(120)을 용이하게 승하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elevating pipe 120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one side of the fixed pipe 110, and a predetermined length such as a bellows pipe having elasticity between the fixed pipe 110 and the elevating pipe 120 is selected. By connecting the connecting pipe 140 having, the leakage of boil-off gas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and the lifting pipe 120 can be easily raised and lowered without interference of the fixed pipe 110 .

고정배관(110)의 상단에 직접적으로 승강배관(120)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연결하는 경우, 고정배관(110)과 승강배관(120) 사이에 틈이 형성될 수 있어 증발가스의 누출이 발생될 수 있어, 고정배관(110)과 승강배관(120) 사이에 신축성이 있는 연결관(140)을 연결하는 것이 좋다.When the elevating pipe 12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ed pipe 110 in a sliding manner, a gap may be formed between the fixed pipe 110 and the elevating pipe 120, so that leakage of boil-off gas may occur. There, it is preferable to connect the flexible connector 140 between the fixed pipe 110 and the elevating pipe 120 .

더욱이, 고정배관(110)의 내측에 가스 검출부(150)를 구비하여 가스 누출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Furthermore, by providing a gas detection unit 150 inside the fixed pipe 110 , it is possible to detect gas leakage.

구동부(130)는 연료탱크(30)에 구비된 압력측정부(미도시)와 연동하여 고정배관(110)으로부터 승강배관(120)을 승하강시킬 수 있다.The driving unit 130 may raise and lower the lifting pipe 120 from the fixed pipe 110 by interworking with a pressure measuring unit (not shown) provided in the fuel tank 30 .

구체적으로, 연료탱크(30)에서는 압력측정부(미도시)에 의해 기설정된 일정 압력 이상으로 탱크 내 압력이 증가하면 안전밸브(미도시)가 개방되어 연료탱크(30) 내 증발가스가 고정배관(110)으로 유입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fuel tank 30 , when the pressure in the tank increases above a predetermined pressure preset by the pressure measuring unit (not shown), a safety valve (not shown) is opened and the boil-off gas in the fuel tank 30 is fixed in the pipe. (110) may be introduced.

이때, 구동부(130)는 압력측정부(미도시)와 연동하여, 압력측정부(미도시)에 의해 기설정된 일정 압력 이상으로 탱크 내 압력이 증가할 때, 거주구(50)의 상측 위치에서 증발가스를 배출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고정배관(110)으로부터 승강배관(120)을 상승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driving unit 130 interlocks with the pressure measuring unit (not shown), and when the pressure in the tank increases above a predetermined pressure preset by the pressure measuring unit (not shown), at the upper position of the residence port 50 .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raise the elevating pipe 120 from the fixed pipe 110 to discharge the boil-off gas.

여기서, 구동부(130)와 압력측정부(미도시) 사이에는 전선 등을 통해 연결되는 컨트롤부(160)가 구비될 수 있고, 압력측정부(미도시)의 측정 신호에 따라 컨트롤부(160)가 구동부(130)를 동작시킬 수 있다.Here, a control unit 160 connected through an electric wire or the lik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driving unit 130 and the pressure measuring unit (not shown), and the control unit 160 according to a measurement signal of the pressure measuring unit (not shown). may operate the driving unit 130 .

더불어, 컨트롤부(160)는 고정배관(110) 내측에 구비된 가스 검출부(150)와 연결되어, 가스 검출부(150)를 통해 누출 가스가 검출되는 경우, 선박(1) 내 기계실이나 조종실 등에 알람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is connected to the gas detection unit 150 provided inside the fixed pipe 110 , and when leaking gas is detected through the gas detection unit 150 , an alarm in the machine room or the cockpit of the ship 1 , etc. can give

일 예로써, 도 4를 참조하면, 구동부(130)는 승강배관(120)과 연결되는 와이어(w)를 구비하고 와이어(w)를 감거나 풀어 고정배관(110)으로부터 승강배관(120)을 승하강시키는 윈치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ferring to FIG. 4 , the driving unit 130 includes a wire w connected to the elevating pipe 120 and winding or unwinding the wire w to remove the elevating pipe 120 from the fixed pipe 110 . It may include a winch unit 131 for elevating and lowering.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대 등에 의해 거주구(50)의 상측으로 소정 높이 이격되어 설치되는 도르래부(132)를 구비하여, 승강배관(120)과 연결되는 와이어(w)를 도르래부(132)에 걸고 윈치부(131)를 통해 와이어(w)를 감거나 풀어 고정배관(110)으로부터 승강배관(120)을 거주구(50) 상측으로 들어올리거나 거주구(50) 쪽으로 내릴 수 있다.At this time, in this embodiment, a pulley part 132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residence 50 by a support or the like is provided, and the wire w connected to the elevating pipe 120 is connected to the pulley part 132 . It is possible to hang the wire (w) through the winch unit 131 and unwind or unwind the elevating pipe 120 from the fixed pipe 110 to the upper side of the residence port 50 or lower toward the residence port 50 .

또한, 지지대 등에 의해 윈치부(131)가 거주구(50)의 상측으로 소정 높이 이격되어 설치되는 경우, 직접적으로 와이어(w)를 통해 고정배관(110)으로부터 승강배관(120)을 거주구(50) 상측으로 들어올리거나 거주구(50) 쪽으로 내릴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winch unit 131 is installed to be spaced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residence 50 by a support, etc., the lifting pipe 120 is directly connected from the fixed pipe 110 through the wire w. 50) may be lifted upwards or lowered toward the residence (50).

이에 따라, 연료탱크(30) 내 압력측정부(미도시)에 의해 기설정된 일정 압력 이상으로 탱크 내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 구동부(130)는 컨트롤부(160)의 제어에 따라, 윈치부(131)를 통해 고정배관(110)으로부터 승강배관(120)을 상승시킴으로써 거주구(50)의 최상부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 위치에서 연료탱크(30)로부터 유입되는 증발가스를 배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거주구(50)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pressure in the tank increases above a predetermined pressure by the pressure measuring unit (not shown) in the fuel tank 30 , the driving unit 130 operates the winch unit ( By elevating the elevating pipe 120 from the fixed pipe 110 through 131),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boil-off gas flowing from the fuel tank 30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top of the residence 50,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omote the safety of the residence 50 .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트 마스트(100)에 구비된 구동부(130')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In addition, FIG. 5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driving unit 130' provided in the vent mas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130')는 거주구(50)의 최상부에 설치되어 고정배관(110)으로부터 승강배관(120)을 승하강시키는 실린더부재(13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in this embodiment, the driving unit 130 ′ may include a cylinder member 133 installed at the top of the residence port 50 to elevate the lifting pipe 120 from the fixed pipe 110 . have.

구체적으로, 실린더부재(133)는 거주구(50)의 최상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실린더몸체(134)와, 실린더몸체(134)로부터 수축 또는 연장되며 고정배관(110)으로부터 승강배관(120)을 승하강시키는 실린더로드(135)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ylinder member 133 includes a cylinder body 134 vertically installed on the uppermost part of the housing 50 , contracted or extended from the cylinder body 134 , and a lifting pipe 120 from the fixed pipe 110 . It may include a cylinder rod 135 to elevate.

이때, 실린더부재(133)는 공압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cylinder member 133 may be formed of a pneumatic cylinder or a hydraulic cylinder.

이와 같은 구동부(130')는, 연료탱크(30) 내 압력측정부(미도시)에 의해 기설정된 일정 압력 이상으로 탱크 내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 컨트롤부(16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실린더몸체(134)로부터 실린더로드(135)를 수직 방향으로 연장시켜 고정배관(110)으로부터 승강배관(120)을 상승시킴으로써, 거주구(50)의 최상부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 위치에서 연료탱크(30)로부터 유입되는 증발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Such a driving unit 130 ′ operates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60 when the pressure in the tank increases above a predetermined pressure by a pressure measuring unit (not shown) in the fuel tank 30 , By extending the cylinder rod 135 from the cylinder body 134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raise the elevating pipe 120 from the fixed pipe 110 , the fuel tank 30 is spaced from the top of the housing 50 by a predetermined height. ) can be discharged from the inflow of boil-off gas.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트 마스트(100)는 댐퍼(170)와 배기팬(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vent mas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amper 170 and an exhaust fan 180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트 마스트(100)에 구비되는 댐퍼(170)와 배기팬(18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6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amper 170 and the exhaust fan 180 provided in the vent mas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벤트 마스트(100)의 고정배관(110) 내측에는 댐퍼(170)가 설치될 수 있고, 승강배관(120)의 내측에는 배기팬(180)이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a damper 17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fixed pipe 110 of the vent mast 100 , and an exhaust fan 18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elevating pipe 120 .

이때, 댐퍼(170)와 배기팬(180)은 컨트롤부(160)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amper 170 and the exhaust fan 180 may be removed by the control unit 160 .

구체적으로, 댐퍼(170)는 고정배관(110)을 폐쇄하고 있다가, 구동부(130)에 의해 고정배관(110)으로부터 승강배관(120)이 상승하여 거주구(50)의 최상부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면 고정배관(110)을 개방하도록 동작함으로써, 거주구(50) 주변으로 증발가스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amper 170 closes the fixed pipe 110 , and the lifting pipe 120 rises from the fixed pipe 110 by the driving unit 130 , and is spaced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top of the residence 50 . By operating to open the fixed pipe 1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oil-off gas from leaking to the vicinity of the residence 50.

또한, 배기팬(180)은 댐퍼(170)가 고정배관(110)을 개방하는 경우 회전하도록 동작하여 승강배관(120)으로부터 수월하게 증발가스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haust fan 180 operates to rotate when the damper 170 opens the fixed pipe 110 , so that the boil-off gas can be easily discharged from the elevating pipe 120 .

더욱이, 거주구(50)의 상부에 배기팬(180)과 연동하는 모션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승강배관(120) 끝단의 배기구(p)를 통해 증발가스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모션센서(미도시)에 의해 주변에서 선원의 움직이 감지되는 경우, 선원의 안전을 위해 배기팬(180)을 동작시켜 긴급하게 증발가스를 강제 배출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boil-off gas through the exhaust port (p) of the end of the lifting pipe 120 by providing a motion sensor (not shown) interlocking with the exhaust fan 180 at the upper portion of the residence 50, the motion When the movement of a crew member is detected in the vicinity by a sensor (not shown), the exhaust fan 180 may be operated for the safety of the crew member to urgently discharge the boil-off ga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트 마스트(100)는, 선체(10) 내 연료탱크(30)로부터 수직하게 연결되어 거주구(50)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고, 연료탱크(30) 내 압력이 높아지는 경우, 벤트 마스트(100)의 상부쪽 승강배관(120)을 거주구(50)의 최상부로부터 소정 높이 상승시킴으로써, 거주구(50)의 최상부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 위치에서 연료탱크(30)로부터 유입되는 증발가스(BOG, Boiled Off Gas)를 배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거주구(50) 또는 그 주변으로 증발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선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ent mas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tically connected from the fuel tank 30 in the hull 10 and is disposed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living port 50, and the fuel tank ( 30) When the internal pressure increases, by raising the upper lifting pipe 120 of the vent mast 100 to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top of the residence 50, the fuel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top of the residence 50 by a predetermined height BOG (Boiled Off Gas) flowing in from the tank 30 can be discharged, thereby preventing the BOG from flowing into the residence 50 or its surroundings, thereby promoting the safety of the crew.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ovided for specific examples in order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based 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선박 10 : 선체
20 : 엔진 30 : 연료탱크
40 : 연료공급라인 50 : 거주구
60 : 엔진케이싱 100 : 벤트 마스트
110 : 고정배관 120 : 승강배관
130 : 구동부 140 : 연결관
150 : 가스 검출부 160 : 컨트롤부
130 : 댐퍼 140 : 배기팬
1: ship 10: hull
20: engine 30: fuel tank
40: fuel supply line 50: residence
60: engine casing 100: vent mast
110: fixed pipe 120: elevating pipe
130: driving unit 140: connector
150: gas detection unit 160: control unit
130: damper 140: exhaust fan

Claims (6)

선체 내에 구비된 연료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선체의 상부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고정배관;
상기 고정배관의 상부에 연통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고정배관으로부터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배관; 및
상기 연료탱크 내 압력이 일정 이상 증가하는 경우, 상기 연료탱크 내의 증발가스를 상기 승강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승강배관을 상승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벤트 마스트.
a fixed pipe connected to the fuel tank provided in the hull and dispos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part of the hull;
an elevating pipe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fixed pipe and provided to be able to elevate from the fixed pipe; and
and a driving unit for raising the elevating pipe to discharge the boil-off gas in the fuel tank to the outside through the elevating pipe when the pressure in the fuel tank increases by more than a certain leve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배관은 상기 연료탱크로부터 수직하게 연결되어 상기 선체의 상부에 구비된 거주구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승강배관은 증발가스 배출 시,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거주구의 상측으로 소정 높이 상승되어, 상기 거주구의 최상부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 위치에서 증발가스를 배출하는 벤트 마스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ed pipe is vertically connected from the fuel tank and disposed along the side of the living port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hull,
When the BOG is discharged, the lifting pipe is raised to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residence by the driving unit, and the vent mast discharges BOG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top of the residence by a predetermined heigh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배관과 상기 승강배관 사이에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는 벨로우즈 형태의 연결관을 더 포함하는 벤트 마스트.
The method of claim 1 .
The vent mast further comprising a bellows-type connector flexibly connected between the fixed pipe and the elevating pi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승강배관과 연결되는 와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 상기 고정배관으로부터 상기 승강배관을 승하강시키는 윈치부를 포함하는 벤트 마스트.
The method of claim 1 .
The drive unit,
A vent mast comprising a winch unit having a wire connected to the elevating pipe and winding or unwinding the wire to elevate the elevating pipe from the fixed pi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실린더몸체로부터 수축 또는 연장되는 실린더로드를 통해 상기 고정배관으로부터 상기 승강배관을 승하강시키는 실린더부재를 포함하는 벤트 마스트.
The method of claim 1 .
The drive unit,
A vent mast comprising a cylinder member for elevating the elevating pipe from the fixed pipe through a cylinder rod that is contracted or extended from the cylinder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배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배관으로부터 상기 승강배관이 상승하는 경우에만 상기 고정배관을 개방하는 댐퍼; 및
상기 승강배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증발가스를 외부로 토출하도록 회전하는 배기팬을 더 포함하는 벤트 마스트.
The method of claim 1,
a damper provided inside the fixed pipe to open the fixed pipe only when the elevating pipe rises from the fixed pipe; and
The vent mast further comprising an exhaust fan provided inside the lifting pipe and rotating to discharge the boil-off gas to the outside.
KR1020200025732A 2020-03-02 2020-03-02 A vent mast KR2021011091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732A KR20210110913A (en) 2020-03-02 2020-03-02 A vent ma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732A KR20210110913A (en) 2020-03-02 2020-03-02 A vent mas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913A true KR20210110913A (en) 2021-09-10

Family

ID=77777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732A KR20210110913A (en) 2020-03-02 2020-03-02 A vent ma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0913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035B1 (en) 2013-10-24 2015-06-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Unified vent mast struc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035B1 (en) 2013-10-24 2015-06-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Unified vent mast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3594B1 (en) Ship
CN104159816B (en) Floating body
KR20210110913A (en) A vent mast
KR20150128631A (en) Airbag apparatus for ship sinking prevention
KR20210110911A (en) A vent mast
US9132892B2 (en) Floating vessel with tunnel
KR100802584B1 (en) Ship having heavy fuel oil storing tank on upper deck
US10081412B2 (en) Floating vessel with tank trough deck
KR20140049642A (en) Entrance structure for air lock space of ship
KR20210108717A (en) A vent mast
JP2020152248A (en) Vessel
KR102605383B1 (en) A system for supplying fuel
KR102459476B1 (en) ship
KR20210106087A (en) A system for supplying fuel
KR102628425B1 (en) Arrangement structure of echo sounder and speed log of shuttle tanker and shuttle tanker including the arrangement structure
KR102442095B1 (en) Upright fuel tank-based propulsion assistance rotor sail system, equipped vessel
CN215826931U (en) Transport ship suitable for shallow water area
KR20220029976A (en) A container module for maintaining ship
WO2022092234A1 (en) Floating body
KR20230113173A (en) ship
KR20210106246A (en) A system for supplying fuel
KR20210120409A (en) A liquefied fuel propulsion ship
KR20210120410A (en) A container ship
KR20220163253A (en) ship
KR20240030933A (en) Container 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