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9963A - 미세먼지 차단 효과가 있는 창호용 방풍가스켓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차단 효과가 있는 창호용 방풍가스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9963A
KR20210109963A KR1020200025282A KR20200025282A KR20210109963A KR 20210109963 A KR20210109963 A KR 20210109963A KR 1020200025282 A KR1020200025282 A KR 1020200025282A KR 20200025282 A KR20200025282 A KR 20200025282A KR 20210109963 A KR20210109963 A KR 20210109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lastic
window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운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라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라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라썸
Priority to KR1020200025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9963A/ko
Publication of KR20210109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9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14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와 창호틀 사이를 효과적으로 밀폐시켜서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창호의 작동에 방해되지 않는 새로운 구성의 미세먼지 차단 효과가 있는 창호용 방풍가스켓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창호틀(10)에 형성된 레일(12)이 삽입되는 레일홈(22)이 형성되어, 상기 레일(12)을 따라 슬라이드개폐되는 창호(20)에 사용되는 방풍가스켓에 있어서, 경질 합성수지로 성형되며, 스트랩형상을 갖는 기재(100); 및 상기 기재(100)의 외측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며, 선단부가 일측으로 만곡된 탄성날개(200):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날개(200)는 탄성소재로 성형되는 날개본체(210)와, 상기 날개본체(2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슬립성이 우수한 소재로 성형되어 상기 날개본체(21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슬립층(220)으로 이루어진 미세먼지 차단 효과가 있는 창호용 방풍가스켓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미세먼지 차단 효과가 있는 창호용 방풍가스켓{WINDPROOF GASKET FOR WINDOW AND DOOR WITH FINE DUST BLOCKING EFFECT}
본 발명은 미세먼지 차단 효과가 있는 창호용 방풍가스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호와 창호틀 사이를 효과적으로 밀폐시켜서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창호의 작동에 방해되지 않는 새로운 구성의 미세먼지 차단 효과가 있는 창호용 방풍가스켓에 관한 것이다.
미닫이식 또는 미서기식 창호는 상면과 저면에 레일홈이 형성되어, 창호틀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되어 개폐된다. 그런데 창호를 창호틀에 용이하게 조립하기 위해 레일홈의 폭이 레일의 폭보다 다소 넓게 형성되는 등의 이유로 창호와 창호틀 사이에 틈이 발생되고, 이 틈을 통해 외부의 공기와 소음이 실내로 유입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창호(2)와 창호틀(4) 사이를 방풍하기 위해, 창호(2)의 레일홈(6)양측에 모헤어(8)를 장착하였다. 그러나 모헤어(8)는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털이 눌려서 잘 복원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털이 빠져서 방풍기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4319호(2012. 04. 02.)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창호와 창호틀 사이를 효과적으로 밀폐시켜서 방풍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창호를 여닫는데 방해되지 않으며, 내구성도 우수한 새로운 구성의 미세먼지 차단 효과가 있는 창호용 방풍가스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창호틀(10)에 형성된 레일(12)이 삽입되는 레일홈(22)이 형성되어, 상기 레일(12)을 따라 슬라이드개폐되는 창호(20)에 사용되는 방풍가스켓에 있어서, 경질 합성수지로 성형되며, 스트랩형상을 갖는 기재(100); 및 상기 기재(100)의 외측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며, 선단부가 일측으로 만곡된 탄성날개(200):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날개(200)는 탄성소재로 성형되는 날개본체(210)와, 상기 날개본체(2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슬립성이 우수한 소재로 성형되어 상기 날개본체(21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슬립층(220)으로 이루어진 미세먼지 차단 효과가 있는 창호용 방풍가스켓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날개본체(210)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로 성형되며, 상기 슬립층(220)은 전체 총 중량에 대해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이피디엠고무 50~100중량부, 호모폴리프로필렌 300~500중량부,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1~10중량부, 팔미트산 0.1~1중량부, 칼슘포스페이트 0.4~2중량부, 가교제 2~10중량부, 충진제 10~40중량부로 이루어진 컴파운드로 성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슬립층(220)는 접착제층(221)에 폴리아미드 단섬유(222)가 부착되어 형성된 후로킹층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접착제층(221)은 폴리클로로프렌과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그라프트공중합체 35~45중량부, 폴리클로로프렌과 에틸아크릴레이트의 그라프트공중합체 40~50중량부, 로진에스테르수지 0.1~7중량부, 유기용제 5~10중량부로 이루어진 접착성 컴파운드로 성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탄성날개(200)의 선단부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선단부 외측면은 볼록면(202)을 가지며, 상기 기재(100)와 탄성날개(200) 사이에는 상기 볼록면(202)의 외측으로 가장 돌출된 부위와 정렬되는 위치에서 상기 기재(100)와 직교되도록 탄성보강부(212)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창호(20)와 창호틀(10) 사이의 틈새를 효과적으로 밀폐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을 사용하면 우수한 방풍 및 방음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창호(20)와 창호틀(10) 사이를 밀폐시키는 탄성날개(200)가 탄성력이 우수한 날개본체(210)와 슬립성이 우수한 슬립층(220)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우수한 밀폐성을 가지면서도, 상기 슬립층(220)으로 인해 탄성날개(200)와 레일(12)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되어 창호가 부드럽게 열리고 닫힌다.
또한, 슬립층(220)이 후로킹층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후로킹층에 의해 슬립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날개본체(210)의 탄성력에 후로킹층의 완충성이 더해져서 탄성날개(200)가 레일(120에 좀 더 효과적으로 밀착되어 밀폐성이 향상된다.
또, 기재(100)와 탄성날개(200) 사이에 탄성보강부(212)가 더 구비되면, 탄성보강부(212)에 의해 탄성날개(200)의 탄성반발력이 증가되므로 탄성날개(200)와 레일(12)의 밀착성이 한층 더 향상된다.
도 1은 종래 모헤어가 장착된 창호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측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장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단면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과 도 4는 각각 그 측면도와 사용상태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창호(창문과 문)와 창호틀(창문틀과 문틀) 사이를 방풍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창호(20)의 레일홈(22) 양측면에 형성된 장착홈(26)에 끼워져서, 창호(20)의 레일홈(22)과 창호틀(10)의 레일(12)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밀폐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100)와, 기재(100)의 일측면에 형성된 탄성날개(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재(100)는 긴 스트랩형상을 갖도록 경질합성수지로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날개(200)는 기재(100)의 일측면에서 기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데, 탄성소재로 성형되는 날개본체(210)와, 날개본체(21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슬립층(2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날개본체(210)는 기재(100)의 측면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선단부는 상향으로 만곡된다. 이러한 탄성날개(200)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성형되어, 우수한 탄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탄성날개(200)는 우수한 탄성을 가지면서도 내후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하여, 장기간 사용하여도 쉽게 노화되지 않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슬립층(220)은 날개본체(21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데, 상기 날개본체(210)에 비해 상대적으로 마찰계수가 적어서 슬립성이 우수한 소재로 형성된다. 이러한 슬립층(22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날개본체(210)와 레일(12)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켜서 창호(20)가 부드럽게 슬라이드 개폐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탄성날개(200)에 슬립층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탄성날개(200)에 의해 창호(20)의 슬라이드개폐가 방해될 수 있으므로 날개본체(210)에 슬립성이 부여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는 날개본체(210)의 성형재료 선택시에, 탄성력과 더불어 슬립성까지 고려하여 재료를 선택하여야 하므로, 탄성력이 우수한 성형원료를 선택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탄성날개(200)에 슬립층(220)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날개본체(210)의 성형 재료는 탄성력만 고려하여 선택하면 되므로 탄성력이 우수한 성형원료를 사용하여 탄성력이 우수한 날개본체(210)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슬립층(220)이 레일(12)에 밀착됨에 따라 창호(20)의 개폐시에 슬립층(220)과 레일(12)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되므로, 슬립층(220)은 슬립성과 더불어 내마모성도 요구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슬립층(220)에 우수한 슬립성과 내마모성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슬립층(220)은 컴파운드 전체 중량에 대해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이피디엠고무 50~100중량부, 호모폴리프로필렌 300~500중량부,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1~10중량부, 팔미트산 0.1~1중량부, 칼슘포스페이트 0.4~2중량부, 가교제 2~10중량부, 충진제 10~40중량부를 포함하는 컴파운드로 이루어진다.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이피디엠고무로는 에틸리덴노보넨(Ethylidene-norbonene)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이피디엠고무에 의해 컴파운드에 탄성력이 부여된다. 이피디엠고무는 전체 컴파운드 중에서 50~100중량부 함유된다.
그리고 상기 호모 폴리프로필렌(Homo Polypropylene)은 하드세그먼트로서 기능을 하는데, 이러한 호모 폴리프로필렌는 전체 컴파운드 중에서 300~500 중량부 함유된다.
상기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상기 이피디엠고무와 호모 폴리프로필렌 사이의 계면접착력을 높여서 이피디엠고무의 크기를 작게 줄이고, 이에 따라 뛰어난 내마모성 및 낮은 마찰계수와 높은 슬립성을 부여한다.
이러한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전체 컴파운드 중에서 1~10중량부 함유된다.
상기 팔미트산(Palmitic acid)은 적은 양으로도 컴파운드의 마찰계수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사용이 바람직하다. 팔미트산은 0.1~1 중량부 함유되는데, 0.1중량부 미만으로 함유되면 마찰계수감소 효과를 기대하기 곤란하고, 1중량부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마찰계수감소 효과는 우수하나 컴파운드의 내마모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칼슘포스페이트는 팔미트산과 함께 사용되어 마찰계수를 안정화시키며, 내마모성도 증가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칼슘포스페이트는 평균입경이 3∼10㎛인 것이 사용되는데, 전체 컴파운드 중에서 0.4~2중량부 함유된다. 칼슘포스페이트가 0. 4중량부 미만으로 함유되면 내마모성 향상 효과를 기대하기 곤란하며, 2중량부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오히려 내마모성의 감소가 우려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가교제로는 디큐밀 퍼옥사이드(DCP) 또는 퍼부틸 퍼옥사이드와 같은 과산화물이 1종 이상 사용되는데, 전체 컴파운드 중에서 2~10중량부 함유된다. 가교제가 10중량부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컴파운드의 압축성형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상기 충진제는 보강, 증량 목적으로 사용되며, 카본블랙 또는 실리카가 전체 컴파운드 중에서 10~40 중량부 함유된다.
실험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조성을 갖는 컴파운드로 슬립층(220)을 형성하여 실험한 결과, 슬립층(220)은 동마찰계수가 0.11~0.15 정도로 우수한 슬립성을 보였으며, 내마모성 실험에서는 DIN 마모량이 35~40㎥로서 우수한 내마모성을 보였다. 동적마찰계수는 ASTM D-1894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내마모성은 KS M 6518을 이용하여 'DIN 마모량' 시험으로 측정하였다.
슬립성을 부여하기 위해 흔히 사용되는 테프론코팅의 동마찰계수가 0.20~0.25수준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본 발명에 의한 슬립층은 상당히 우수한 슬립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슬립층(220)이 탄성도 가지기 때문에, 슬립층(220)에 의해 날개본체(210)의 탄성력이 저감될 우려도 없다.
한편,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삼중압출방식으로 성형된다. 즉, 기재(100), 날개본체(210), 슬립층(220)을 형성하는 원료들을 압출금형을 통해 압출하여 가스켓이 성형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사용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창호(20)의 레일홈(22) 양측면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켓이 장착되는 ┣형상의 장착홈(26)이 형성된다. 따라서 가스켓의 탄성날개(200)가 레일홈(22)으로 돌출되도록 기재(100)를 장착홈(26)에 끼운다.
이때 탄성날개(200)의 선단부가 레일홈(22)의 내측, 즉, 창호(20)의 중심을 향하도록 가스켓을 장착홈(26)에 끼운다. 즉, 창호(20) 하측에 형성된 레일홈(22)에는 탄성날개(200)의 선단부가 상부를 향하도록 가스켓을 끼우고, 창호(20) 상측에 형성된 레일홈(22)에는 탄성날개(200)의 선단부가 하부를 향하도록 가스켓을 끼운다.
이는 창호(20)를 창호틀(10)에 조립할 때에 탄성날개(200)의 선단부가 뒤집어 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가스켓을 창호(20)에 장착하고, 창호(20)를 창호틀(10)에 조립한다. 창호(20)를 창호틀(10)에 조립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날개(200)의 외측면 즉, 슬립층(220)이 레일(12)의 측면에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밀착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레일홈(22)과 레일(12) 사이의 틈새가 밀폐되어 방풍과 더불어, 방음이 이루어진다. 미 설명 부호 24는 창호의 저면에 구비된 호차이다.
특히, 탄성날개(200)의 슬립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한 외측면 즉, 슬립층(220)이 레일(12)에 밀착되기 때문에, 탄성날개(200)에 의해 창호(20)의 여닫힘이 방해되지 않고 창호(20)가 부드럽게 슬라이드 개폐된다. 또한, 슬립층(220)의 내마모성에 의해 장기간 사용하여도 탄성날개(200)의 손상이 방지된다. 더욱이 날개본체(210)가 내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로 형성되어 노화도 방지되므로 가스켓의 수명이 연장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상기 슬립층(220)이 후로킹층으로 이루어진다. 후로킹층은 일반적인 후로킹형성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날개본체(210)의 외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제층(221)을 형성하고, 후로킹용 단섬유(222)를 정전기장 내에서 살포하여 접착제층(221)에 단섬유(222)를 식모한 후 건조시키는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후로킹층을 형성하는 단섬유(222)로는 복원력과 표면 평활도가 우수한 폴리아미드섬유가 사용된다.
이와 같이 슬립층(220)이 후로킹층으로 이루어지면, 후로킹층에 의해 탄성날개(200)에 슬립성이 부여되는 것은 물론이며, 날개본체(210)의 탄성력에 후로킹층의 완충성이 더해져서 탄성날개(200)가 레일(12)에 한층 더 효과적으로 밀착된다.
즉, 후로킹층이 완충성을 갖기 때문에, 이러한 후로킹층의 완충성과 날개본체(210)의 탄성력이 더해져서 탄성날개(200)와 레일(12)의 밀착성이 향상되어, 창호(20)와 창호틀(10) 사이의 틈새가 한층 더 효과적으로 밀폐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후로킹층을 형성하기 위한 접착제층(221)에 의해 날개본체(210)의 탄성력이 저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탄성 및 연성을 가지는 접착제가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서는 컴파운드 전체 중량에 대해 폴리클로로프렌과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그라프트공 중합체 35~45중량부, 폴리클로로프렌과 에틸아크릴레이트의 그라프트공중합체 40~50중량부, 로진에스테르수지 0.1~7중량부, 유기용제 5~10중량부로 이루어진 접착성 컴파운드로 상기 접착제층(221)이 형성된다.
상기 폴리클로로프렌과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그라프트공중합체는 접착제에 접착성을 부여하는 성분이며, 상기 폴리클로로프렌과 에틸아크릴레이트의 그라프트공중합체는 유연성을 부여하는 성분이다. 상기 폴리클로로프렌과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그라프트공중합체는 전체 컴파운드 중에서 35~45중량부 함유된다. 35중량부 미만으로 함유되면 접착제의 응집력이 저하되어 요구되는 수준의 접착성을 기대하기 곤란하며 따라서 후로킹층에서 단섬유(221)가 탈락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45중량부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접착제의 유연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않다.
그리고 폴리클로로프렌과 에틸아크릴레이트의 그라프트공중합체는 전체 컴파운드 중에서 40~50중량부 함유되는데, 40중량부 미만으로 함유되면 유연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50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제의 접착성능이 저하되어 후로킹층에서 단섬유(221)가 탈락될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클로로프렌과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그라프트공중합체와 상기 폴리클로로프렌과 에틸아크릴레이트의 그라프트공중합체는 폴리클로로프렌에 대해 메일메타크릴레이트와 에틸아크릴레이트가 각각 0.1~0.5중량부로 혼합되어 공중합된 것이 사용된다.
상기 로진에스테르수지는 접착제의 접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인데, 로진 에스테르수지가 전체 컴파운드 중에서 0.1중량부 미만으로 함유되면, 접착강도 향상을 기대하기 곤란하며, 7중량부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오히려 접착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유기용제로는 벤젠, 톨루엔, 크실렌, 메틸에틸케톤, 이소부티메틸케톤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이 사용되는데, 유기용제는 전체 컴파운드 중에서 5~10중량부 사용된다.
이러한 접착성 컴파운드를 사용하면 접착성이 우수하면서도 탄성 및 유연성을 가지는 접착제층(221)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접착제층(221)에 의해 날개본체(210)의 탄성이 저감되는 문제는 발생되지 않으며, 단섬유(222)가 후로킹층에서 탈리될 우려도 없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기재(100)와 탄성날개(200) 사이에 탄성보강부(212)가 더 구비된 것을 보인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날개(200)는 선단부가 만곡형성되어,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볼록면(202)을 가지는데, 실질적으로 이 볼록면(202)이 레일(12)에 밀착된다.
상기 탄성보강부(212)는 상기 볼록면(202)의 외측으로 가장 돌출된 부위와 정렬되는 위치에서 상기 기재(100)와 직교되도록 형성된다.
탄성날개(200)가 레일(12)에 닿게 되면, 탄성날개(200)가 내측으로 가압되고, 이때 발생되는 탄성반발력에 의해 탄성날개(200)가 레일(12)에 밀착되어, 바람이 탄성날개(200)와 레일(12) 사이를 통과하지 못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날개(200)가 레일(12)에 닿아서 내측으로 가압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보강부(212)가 수축되기 때문에, 탄성보강부(212)에 의해 강한 탄성반발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탄성날개(200)가 좀 더 강한 탄성반발력으로 레일(12)에 밀착된다. 특히, 탄성보강부(212)가 기재에 대해 직교되게 형성되기 때문에, 외력과 나란한 방향으로 강한 탄성반발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실외에 바람이 강하게 부는 경우에도 탄성날개(200)가 바람에 의해 들썩이지 않고 창호(20)와 창호틀(20) 사이가 효과적으로 밀폐된다.
10. 창호틀
12. 레일
20. 창호
22. 레일홈
26. 장착홈
100. 기재
200. 탄성날개
202. 볼록면
210. 날개본체
212. 탄성보강부
220. 슬립층
221. 접착제층
222. 단섬유

Claims (3)

  1. 창호틀(10)에 형성된 레일(12)이 삽입되는 레일홈(22)이 형성되어, 상기 레일(12)을 따라 슬라이드개폐되는 창호(20)에 사용되는 방풍가스켓에 있어서,
    경질 합성수지로 성형되며, 스트랩형상을 갖는 기재(100); 및
    상기 기재(100)의 외측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며, 선단부가 일측으로 만곡된 탄성날개(200);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날개(200)는 탄성소재로 성형되는 날개본체(210)와, 상기 날개본체(2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슬립성이 우수한 소재로 성형되어 상기 날개본체(21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슬립층(220)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레일홈(22)의 양측면에 길게 형성된 장착홈(26)에 상기 기재(100)를 끼우면, 상기 탄성날개(200)가 상기 레일(12)의 측면에 밀착되어 창호(20)와 창호틀(10) 사이가 밀폐되며,
    상기 슬립층(220)는 접착제층(221)에 폴리아미드 단섬유(222)가 부착되어 형성된 후로킹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날개본체(210)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로 성형되며,
    상기 슬립층(220)은 전체 총 중량에 대해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이피디엠고무 50~100중량부, 호모폴리 프로필렌 300~500중량부,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1~10중량부, 팔미트산 0.1~1중량부, 칼슘포스페이트 0.4~2중량부, 가교제 2~10중량부, 충진제 10~40중량부로 이루어진 컴파운드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차단 효과가 있는 창호용 방풍가스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221)은,
    폴리클로로프렌과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그라프트공중합체 35~45중량부, 폴리클로로프렌과 에틸아크릴레이트의 그라프트공중합체 40~50중량부, 로진에스테르수지 0.1~7중량부, 유기용제 5~10중량부로 이루어진 접착성 컴파운드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차단 효과가 있는 창호용 방풍가스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날개(200)의 선단부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선단부 외측면은 볼록면(202)을 가지며,
    상기 기재(100)와 탄성날개(200) 사이에는 상기 볼록면(202)의 외측으로 가장 돌출된 부위와 정렬되는 위치에서 상기 기재(100)와 직교되도록 탄성보강부(2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차단 효과가 있는 창호용 방풍가스켓.
KR1020200025282A 2020-02-28 2020-02-28 미세먼지 차단 효과가 있는 창호용 방풍가스켓 KR202101099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282A KR20210109963A (ko) 2020-02-28 2020-02-28 미세먼지 차단 효과가 있는 창호용 방풍가스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282A KR20210109963A (ko) 2020-02-28 2020-02-28 미세먼지 차단 효과가 있는 창호용 방풍가스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963A true KR20210109963A (ko) 2021-09-07

Family

ID=77797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282A KR20210109963A (ko) 2020-02-28 2020-02-28 미세먼지 차단 효과가 있는 창호용 방풍가스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99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41710A (zh) * 2023-10-30 2023-12-01 西安现代控制技术研究所 一种高超声速折叠翼面缝隙气流隔断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319B1 (ko) 2010-06-07 2012-04-13 효창건설 주식회사 기밀성이 향상된 슬라이드 창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319B1 (ko) 2010-06-07 2012-04-13 효창건설 주식회사 기밀성이 향상된 슬라이드 창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41710A (zh) * 2023-10-30 2023-12-01 西安现代控制技术研究所 一种高超声速折叠翼面缝隙气流隔断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22216C (en) Window pane sealing strip having a rigid non-reinforced glass-run channel
KR101382559B1 (ko) 창호용 방풍가스켓
US6389754B2 (en) Glass run of an automobile
US9027282B2 (en) Modifiable slider glass assemblies for utility cabs and vehicles, and/or methods of making the same
EP0978404B1 (en) Weather strip
JP2004510835A (ja) 自動車のウェザーシール用のオレフィンスリップコーティング
KR101877146B1 (ko) 차량 창문용 밀폐 배열체
US7316097B2 (en) Glass run channel for vehicle and glass run channel assembly for vehicle
US20020155253A1 (en) Automobile novel sealing joint for a motor vehicle body opening frame
KR20210109963A (ko) 미세먼지 차단 효과가 있는 창호용 방풍가스켓
WO2013161380A1 (ja) 車両用のトリム材
US20050095397A1 (en) Glass weather strip for vehicle
US6601345B2 (en) Sealing structure for vehicle door
KR101541419B1 (ko) 창호기밀재 풍지튜브
KR20120043536A (ko) 구조 및 기능이 향상된 창호용 가스켓
CN214492490U (zh) 平面减震密封门及平面减震密封汽车车门
ES2287669T3 (es) Junta que comprende al menos un labio flexible que esta en contacto con una ventanilla de un vehiculo automovil.
US20050100747A1 (en) Weatherstrip for automotive glass window and the like
KR200455083Y1 (ko) 문짝용 방풍부재
CN112238740A (zh) 一种用于连接排水装置和车窗玻璃的密封系统
JP5687004B2 (ja) 障子のシール構造
CN212555783U (zh) 一种用于连接排水装置和车窗玻璃的密封系统
GB2411924A8 (en) Window pane support strip
CN114715287B (zh) 一种平齐车门c柱结构
JP4306425B2 (ja) ウエザーストリッ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