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9917A - 무선 충전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및 무선 충전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및 무선 충전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9917A
KR20210109917A KR1020200025138A KR20200025138A KR20210109917A KR 20210109917 A KR20210109917 A KR 20210109917A KR 1020200025138 A KR1020200025138 A KR 1020200025138A KR 20200025138 A KR20200025138 A KR 20200025138A KR 20210109917 A KR20210109917 A KR 20210109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external electronic
condition
processor
wireless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현
이정수
임대형
조민현
조주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5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9917A/ko
Priority to PCT/KR2021/002356 priority patent/WO2021172884A1/ko
Publication of KR20210109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9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08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무선 충전 회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면 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발생 여부와 연관된 제1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하고 - 상기 무선 충전 회로에 의하여 발생되는 상기 전력의 상기 제1 면 상에서의 세기는,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제1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인 제2 면에서의 세기보다 큼-; 상기 제1 면이 향하는 방향과 연관된 제2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하고; 상기 제1 조건 및 상기 제2 조건이 만족됨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 밖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무선 충전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및 무선 충전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PERFORM WIRELESS CHARGING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다양한 실시예는 무선 충전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및 무선 충전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를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에게 휴대용 디지털 통신기기들은 하나의 필수 요소가 되었다. 소비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자신이 원하는 다양한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받고 싶어한다. 뿐만 아니라 최근 IoT (Internet of Thing)로 인하여 우리 생활 속에 존재하는 각종 센서, 가전기기, 통신기기 등은 하나로 네트워크화 되고 있다. 이러한 각종 전자 기기들을 원활하게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무선 충전이 필요하다.
무선 충전은 자기유도, 자기공진, 그리고 전자기파 방식이 있다. 자기유도 또는 자기공진 방식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상대적으로 근거리에 위치한 전자 장치를 충전하는데 유리하다. 전자기파 방식은, 자기유도 또는 자기 공진 방식에 수 m에 이르는 원거리 전력 전송에 보다 유리하다. 전자기파 방식은 주로 원거리 전력 전송에 사용되며, 원거리에 있는 전력 수신기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여 전력을 가장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에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를 발견할 것이 요구된다.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를 발견하기 위하여 발견 신호를 송신하는 것은 많은 전력을 소모하기 때문에, 전자 장치에서 상시적으로 무선 전력 송신 모드를 활성화하는 경우 전자 장치의 전력 소모가 지나치게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에 무선 전력을 송신하고자 하는 경우, 전자 장치의 사용자는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서 무선 전력 송신 모드를 활성화한 다음, 무선 전력 송신을 위한 자기장이 주로 방출되는 면이 위를 향하도록 전자 장치를 위치시키고, 외부 전자 장치를 무선 전력 송신을 위한 자기장이 주로 방출되는 면 위에 위치시킬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에 무선 전력을 송신함에 따라 전자 장치의 배터리의 잔여 전압 수준을 파악할 것이 요구된다. 이 경우, 기존의 전자 장치에서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의 잔여 전압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충전이 수행되는 중에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를 뒤집어서 전자 장치의 주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위치한 면을 보아야 하는 불편이 발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및 무선 충전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무선 충전 회로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력의 세기가 가장 강한 면이 향하는 방향과 관련된 조건이 만족되고, 무선 충전 회로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력의 세기가 가장 강한 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무선 전력 송신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및 무선 충전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무선 충전 회로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력의 세기가 가장 강한 면을 통한 출력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배터리의 잔여 전압 수준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무선 충전 회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면 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발생 여부와 연관된 제1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하고 - 상기 무선 충전 회로에 의하여 발생되는 상기 전력의 상기 제1 면 상에서의 세기는,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제1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인 제2 면에서의 세기보다 큼-; 상기 제1 면이 향하는 방향과 연관된 제2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하고; 상기 제1 조건 및 상기 제2 조건이 만족됨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발생 여부와 연관된 제1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하는 동작 - 상기 전자 장치의 무선 충전 회로에 의하여 발생되는 상기 전력의 상기 제1 면 상에서의 세기는,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제1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인 제2 면에서의 세기보다 큼-; 상기 제1 면이 향하는 방향과 연관된 제2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조건 및 상기 제2 조건이 만족됨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외부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무선 충전 회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확인되는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주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면이 평면 상에 놓여있다고 확인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표면 중 상기 평면에 접하는 면을 제외한 영역에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함을 확인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평면 상에 놓여 있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였다고 확인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충전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및 무선 충전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무선 충전 회로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력의 세기가 가장 강한 면이 향하는 방향과 관련된 조건이 만족되고, 무선 충전 회로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력의 세기가 가장 강한 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무선 전력 송신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충전을 수행할 때마다 사용자가 직접 무선 전력 송신 모드를 활성화하는 불편이 경감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는 무선 충전 회로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력의 세기가 가장 강한 면 상의 출력 장치를 통하여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게 무선 충전 회로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력의 세기가 가장 강한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볼 것을 요구하지 않고도 전자 장치의 배터리의 잔여 전압 수준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를 도시한다.
도 2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의 무선 충전 회로를 도시한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a 내지 4f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1a 내지 11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3a 내지 13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를 도시한다. 전자 장치(210a)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a), 무선 충전 회로(230a), 통신 회로(240a), 출력 장치(250a), 및 센서(260a)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a)는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프로세서(120)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a)는 센서(260a)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무선 충전 회로(230a), 통신 회로(240a), 또는 출력 장치(250a)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a)는, 무선 충전 회로(230a)가 송신하는 전력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a)는 전자 장치(210a)의 전력 소스(미도시)에서 출력되는 전력의 크기를 제어하거나, 또는 무선 충전 회로(230a)에 포함된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의 증폭 이득, 또는 무선 충전 회로(230a) 내의 변조 회로의 변조 파라미터(예: PWM 변조 시의 width 값)를 제어함에 따라, 무선 충전 회로(230a)가 송신하는 전력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전력의 크기 제어의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a)는, 전자 장치(210a)의 전력 소스(미도시)에서 출력되는 전력의 듀티 사이클 또는 주파수를 제어함으로써, 전자 장치(210a)의 전력 소스(미도시)에서 출력되는 전력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a)는,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의 바이어스 전압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무선 충전 회로(230a)로 인가되는 전력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a)는, CPU와 같은 범용 프로세서, 미니 컴퓨터, 마이크로 프로세서, MCU(micro controlling un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회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a)는, 예를 들어 결정된 크기의 전력을 송신하도록 전자 장치(210a)의 전력 소스(미도시) 또는 무선 충전 회로(230a)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회로(230a)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270a)에 무선으로 무선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충전 회로(230a)는, 다양한 충전 방식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270a)로 무선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회로(230a)는, 유도 방식에 따라 무선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충전 회로(230a)가 유도 방식에 의한 경우에, 무선 충전 회로(230a)는, 예를 들어 전력 소스, 직류-교류 변환 회로, 증폭 회로, 임피던스 매칭 회로,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 적어도 하나의 코일, 통신 변복조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과 함께 공진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무선 충전 회로(230a)는,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표준 (또는, Qi 표준)에서 정의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회로(230a)는, 공진 방식에 따라 무선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공진 방식에 의한 경우에는, 무선 충전 회로(230a)는, 예를 들어 전력 소스, 직류-교류 변환 회로, 증폭 회로, 임피던스 매칭 회로,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 적어도 하나의 코일, 아웃 밴드 통신 회로(240a)(예: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 및 적어도 하나의 코일은 공진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무선 충전 회로(230a)는, A4WP(Alliance for Wireless Power) 표준 (또는, AFA(air fuel alliance) 표준)에서 정의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충전 회로(230a)는, 공진 방식 또는 유도 방식에 따라 전류가 흐르면 유도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회로(230a)가 유도 자기장을 생성하는 과정을, 무선 충전 회로(230a)가 무선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한다고 표현할 수 있다. 아울러, 외부 전자 장치(270a)는, 주변에 형성된 시간에 따라 크기가 변경되는 자기장에 의하여 유도 기전력이 발생되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70a)가, 코일을 통하여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외부 전자 장치(270a)가 무선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한다고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회로(230a)는, 전자기파 방식에 따라 무선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충전 회로(230a)가 전자기파 방식에 의한 경우에, 무선 충전 회로(230a)는, 예를 들어 전력 소스, 직류-교류 변환 회로, 증폭 회로, 분배 회로, 위상 쉬프터,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력 송신용 안테나 어레이, 아웃 밴드 방식의 통신 회로(240a)(예: BLE 통신 모듈)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패치 안테나 각각은 RF(radio frequency) 웨이브를 형성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70a)는, 주변에 형성된 RF 웨이브를 이용하여 전류를 출력할 수 있는 패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회로(230a)가 RF 웨이브를 형성하는 과정을, 무선 충전 회로(230a)가 무선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한다고 표현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70a)가 RF 웨이브를 이용하여 패치 안테나로부터 전류를 출력하는 과정을, 외부 전자 장치(270a)가 무선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한다고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무선 충전 회로(230a)는, 외부 전자 장치(270a)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회로(230a)는, 인-밴드 방식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270a)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충전 회로(230a) 또는 외부 전자 장치(270a)는,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예를 들어 온/오프 키잉(on/off keying) 변조 방식에 따라, 로드(또는, 임피던스)를 변경할 수 있다. 무선 충전 회로(230a) 또는 외부 전자 장치(270a)는, 코일의 전류, 전압 또는 전력의 크기 변경에 기초하여 로드 변경(또는, 임피던스 변경)을 측정함으로써, 상대 장치에서 송신하는 데이터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회로(230a)는, 통신 회로(240a)를 통하여 아웃-밴드 방식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270a)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충전 회로(230a) 또는 외부 전자 장치(270a)는, 코일 또는 패치 안테나와 별도로 구비된 통신 회로(240a)(예: BLE 통신 모듈)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충전 회로(230a) 및 외부 전자 장치(270a)의 무선 충전 회로의 상세 구성에 대하여서는 도 2b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통신 회로(240a)는,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통신 모듈(190)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충전 회로(230a)가 외부 전자 장치(270a)의 무선 충전 회로에 무선 전력을 송신하고 있을 때, 통신 회로(240a)는 아웃-밴드 방식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270a)에 전자 장치(210a)의 알림 이벤트 발생에 대한 정보 및/또는 전자 장치(210a)의 배터리 잔량에 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출력 장치(250a)는 제1면 표시 장치(251a), 제2면 표시 장치(252a), 또는 음성 출력 장치(253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면 표시 장치(251a)는 전자 장치의 제1 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면 표시 장치(251a)는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표시 장치(160)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면 표시 장치(251a)는 LED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로서, 색상을 표시하거나, 색상의 흐름을 표시하거나, 특정한 형태 및 색상을 갖는 도형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면 표시 장치(251a)는 LCD 또는 O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면 표시 장치(251a)는 광전용적맥파(photoplethysmogram, PPG) 센서에 이용되는 발광부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면 표시 장치(251a)는 스마트 스킨일 수 있다. 제1 면의 정의에 대해서는 도 4a 내지 4f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2면 표시 장치(252a)는 전자 장치의 제2 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제2 면의 정의에 대해서는 도 4a 내지 4f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2면 표시 장치(252a)는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표시 장치(160)일 수 있다. 음성 출력 장치(253a)에 관해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음향 출력 장치(155)일 수 있다.
센서(260a)는 가속도 센서(261a), 지자계 센서(262a), 자이로 센서(263a), 제1 광센서(264a), 및 제2 광센서(265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센서(264a)는 전자 장치(210a)의 제1 면으로부터 빛을 방출하고, 방출된 빛의 반사광의 세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220a)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광센서(265a)는 전자 장치(210a)의 제2 면으로부터 빛을 방출하고, 방출된 빛의 반사광의 세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220a)에 전달할 수 있다. 제1 면 및 제2 면의 정의에 대해서는 도 4a 내지 4f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외부 전자 장치(270a)는 전자 장치(210a)와 상이한 전자 장치로서, 전자 장치(210a)로부터 무선 전력을 공급받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전자 장치(210a)로부터 무선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전자 장치라면, 외부 전자 장치(270a)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270a)는 무선 이어폰 및 무선 이어폰을 수용하고 무선 이어폰에 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충전 케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270a)는 휴대폰, 태블릿 PC, 및/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도 2a에 도시된 전자 장치(210a)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가 생략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된 전자 장치(210a)의 센서(260a)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지자계 센서(262a), 자이로 센서(263a), 제1 광센서(264a), 및/또는 제2 광센서(265a)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된 전자 장치(210a)의 출력 장치(250a)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제1면 표시 장치(251a) 및/또는 음성 출력 장치(253)가 생략될 수 있다.
도 2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의 무선 충전 회로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210a)의 무선 충전 회로(230a)는, 전력 어댑터(231b), 전력 생성 회로(232b), 코일(233b) 및 매칭 회로(234b)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어댑터(231b)는, 전력 소스(106)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전력 생성 회로(232b)로 제공할 수 있다. 전력 생성 회로(232b)는, 수신된 전력을 예를 들어 교류 파형으로 변환하거나, 증폭하여 코일(233b)로 전달할 수 있다. 코일(233b)에 전력이 인가되면, 코일(233b)로부터 시간에 따라 크기가 변경되는 유도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무선으로 전력이 송신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코일(233b)과 함께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커패시터들이 전자 장치(210a)의 무선 충전 회로(230a)에 더 포함될 수도 있다. 공진 주파수는, 표준에 따라 정의될 수 있으며, 유도 방식에 의한 Qi 표준에 따라 100 내지 205 kHz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으며, 공진 방식에 의한 AFA 표준에 따라 6.78MHz를 가질 수 있다. 매칭 회로(234b)는, 프로세서(220a)의 제어에 따라 코일(233b)과 연결되는 회로의 커패시턴스 또는 리액턴스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함으로써, 전자 장치(210a)의 무선 충전 회로(230a) 및 외부 전자 장치(270a)의 무선 충전 회로(270b)가 서로 임피던스 매칭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외부 전자 장치(270a)의 무선 충전 회로(270b)는 코일(271b), 정류 회로(272b), 컨버팅 회로(273b), 및 매칭 회로(274b)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70a)의 무선 충전 회로(270b)의 코일(271b)에는, 주변에 형성된 시간에 따라 크기가 변경되는 자기장에 의하여 유도 기전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270a)의 무선 충전 회로(270b)는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정류 회로(272b)는, 수신된 교류 파형의 전력을 정류할 수 있다. 컨버팅 회로(273b)는 정류된 전력의 전압을 조정하여 외부 전자 장치(270a)의 PMIC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270a)의 무선 충전 회로(270b)는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또는 컨버팅 회로(273b)가 레귤레이터로 치환될 수도 있다. 매칭 회로(274b)는, 외부 전자 장치(270a)의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코일(271b)과 연결되는 회로의 커패시턴스 또는 리액턴스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함으로써, 전자 장치(210a)의 무선 충전 회로(230a) 및 외부 전자 장치(270a)의 무선 충전 회로(270b)가 서로 임피던스 매칭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31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a)는 제1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조건은, 전자 장치(210a)의 제1 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발생 여부와 연관된 조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조건은, 전자 장치(210a)의 제1 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할 때 만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10a)의 제1 면에는 제1 광센서(264a)가 위치할 수 있고, 제1 광센서(264a)로부터 방출된 빛의 반사광의 세기가 임계 세기 이상임이 확인될 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a)는 제1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전자 장치(210a)의 제1 면에는 물리 키가 위치할 수 있고, 물리 키를 누르는 입력이 이루어졌을 때 제1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전자 장치(210a)의 제1 면에는 지문 센서가 위치할 수 있고, 지문 센서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접촉하고, 지문 센서에 의하여 판독된 사용자의 지문이 미리 설정된 지문과 일치하는 경우 제1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전자 장치(210a)의 제1 면에는 터치스크린이 위치할 수 있고,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이 이루어졌을 때 또는 미리 설정된 패턴의 입력이 이루어졌을 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a)는 제1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패턴의 입력은 롱 터치 및/또는 숏 터치의 조합, 또는 미리 설정된 모양을 그리는 입력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술한 제1 조건의 예시들은 조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a)는 물리 키를 누르는 입력이 이루어지고, 지문 센서에 의하여 판독된 사용자의 지문이 미리 설정된 지문과 일치하는 경우 제1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320 동작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a)는 제2 조건이 만족된다고 확인할 수 있다. 제2 조건은 제1 면이 향하는 방향과 연관된 조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조건은 제1 면이 지면과 연직 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한다고 확인될 때 만족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제2 조건은 제1 면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가 미리 설정된 각도 미만이라고 확인될 때 만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a)는 가속도 센서(261a)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면이 향하는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330 동작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a)는 제1 조건 및 상기 제2 조건이 만족됨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무선 충전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a)는 제1 조건 및 상기 제2 조건이 만족된다고 확인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외부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무선 충전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330 동작에서 외부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무선 충전 회로를 제어한다는 것은, AFA 표준, Qi 표준과 같은 무선 충전 표준에서 정의된, 무선 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무선 충전 회로를 제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외부 전자 장치로의 전력 제공을 의미할 수 있거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로의 전력 제공에 수행되도록 설정된 동작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Qi 표준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외부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핑(ping)에 대응하는 전류를 코일에 인가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핑에 대응하는 전류가 전력 제공에 수행되도록 설정된 동작일 수 있다. 또는, AFA 표준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외부 전자 장치의 충전 영역 내의 배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로드 변경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전류를 코일에 인가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검출 전류의 인가가 전력 제공이 수행되도록 설정된 동작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표준에 의거한 동작 이외에도,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외부 전자 장치를 검출하거나, 파라미터를 교환하거나, 인증하거나, 또는 전력을 제공하는 절차 중 적어도 일부가 전력 제공이 수행되도록 설정된 동작일 수 있으며, 제한은 없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외부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무선 충전 회로를 제어한다는 것은, 전자 장치(210a)의 무선 전력 송신 모드를 활성화시킨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310 동작이 수행된 후에 320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320 동작이 수행된 후에 310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면이 향하는 방향과 연관된 조건인 제2 조건이 만족됨을 먼저 확인한 후 320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2 조건이 제1 광센서(264a)를 이용하여 확인되는, 반사광의 세기가 임계 세기 이상인 조건인 경우, 제1 광센서(264a)를 이용하여 반사광의 세기를 확인하는 동작은 320 동작에 비하여 전력을 비교적 많이 요구하므로, 전력을 비교적 적게 요구하는 320 동작을 먼저 수행하고, 제2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확인되었을 때 비로소 제1 광센서(264a)를 이용하여 반사광의 세기를 확인함으로써, 전력 요구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미도시되었으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310 에서 제1 조건이 만족됨이 확인되는 것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a)는 제1 면 상의 출력 장치를 통하여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조건 및 제2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것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a)는 제1 면 상의 출력 장치를 통하여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면 상의 출력 장치를 통하여 알림을 출력하는 동작은, 제1면 표시 장치(251a)를 통하여 알림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동작, 또는 음성 출력 장치(253a)를 통하여 알림에 관한 음성을 출력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알림은 전자 장치(210a)의 통신 회로(240a)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전화, SMS 메시지, 소셜 네트워크 메시지, 및/또는 이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알림은 전자 장치(210a)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푸쉬 알림 및/또는 팝업 알림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알림은 전자 장치(210a)의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된 수준 이하로 내려갔다는 정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면 표시 장치(251a)가 LED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이고, 알림은 전자 장치(210a)의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된 수준 이하로 내려갔다는 정보인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a)는 배터리 잔량에 대응하는 색상을 LED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a)는 배터리 잔량이 50%일 때 LED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상에 초록색을 표시하고, 배터리 잔량이 30%일 때 LED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상에 노란색을 표시하고, 배터리 잔량이 10%일 때 LED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상에 빨간색을 표시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a)는 제1 면 상의 출력 장치를 통하여 알림을 출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제1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인 제2 면 상에 위치한 제2면 표시 장치(252a)를 확인하기 곤란할 때, 제2면 표시 장치(252a)의 역할을 보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무선 충전을 위한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도 4a 내지 4f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예시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4a 및 도 4b는 전자 장치(400a)가 바 형태의 스마트폰인 예시를 도시한다. 도 4a는 전자 장치(400a)가 바 형태의 스마트폰인 예시에서, 제2 면(440a)의 예시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400a)의 제2 면에는 전면 카메라(420a), 제2면 표시 장치(410a), 및 제2 광센서(430a)가 위치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a)의 제2 면(440a)은 전면 카메라(420a), 제2면 표시 장치(410a), 및 제2 광센서(430a)뿐 아니라, 제2면 표시 장치(410a)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베젤을 포함하는, 전면 카메라(420a), 제2면 표시 장치(410a), 및 제2 광센서(430a)가 위치한 평면 전체를 의미한다.
도 4b는 전자 장치(400a)가 바 형태의 스마트폰인 예시에서, 제1 면의 예시를 도시한다. 전자 장치(400a)의 후면(440b)에는 LED를 포함하는 제1면 표시 장치(410b), 복수의 후면 카메라(420b, 421b), 플래시 디바이스(430b)가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 면은 전자 장치(400a)의 후면(440b)만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 면은 전자 장치(400a)의 후면(440b)뿐 아니라 측면(450b), 상단면(미도시) 및 하단면(460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도 4b에서 제2 면 및 제1 면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된 구체적인 구성요소들은 통상적인 스마트폰의 후면 및 전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전자 장치는 도 4a, 도 4b에 도시된 전면, 후면, 또는 측면을 가지는 전자 장치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4a, 도 4b에서 제2 면 및 제1 면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된 구체적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생략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제1 면은 무선 충전 회로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력의 제1 면(440b, 450b, 460b) 상에서의 세기가, 전자 장치(400a)의 제1 면(440b, 450b, 460b)을 제외한 나머지 면인 제2 면(440a)에서의 세기보다 큰 면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무선 충전 회로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력의 특정한 면에서의 세기는, 무선 충전 회로의 코일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발생하는 자기장의 특정한 면에서의 자속 밀도의 크기(예: T)를 의미할 수 있으나, 자기장의 세기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라면 제한이 없다. 전자 장치(400a)의 무선 충전 회로는 전자 장치(400a)의 후면(440b) 및 전면 사이에 위치하고, 전자 장치(400a)의 전면에는 제2면 표시 장치(410a)가 위치하여 무선 충전 회로의 코일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발생하는 자기장의 적어도 일부가 차폐되므로, 코일로부터 발진된 전력의 제2 면(440a)상에서의 세기는, 제1 면(440b, 450b, 460b) 상에서의 세기보다 낮다. 전자 장치(400a)의 측면(450b), 상단면(미도시) 및 하단면(460b)은 메탈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 경우 무선 충전 회로의 코일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발생하는 자기장이 차폐되어 측면(450b), 상단면(미도시) 및 하단면(460b) 상에서의 전력의 세기는 낮다. 그러나, 전자 장치(400a)의 후면(440b) 상에서의 전력의 세기가 높으므로, 후면(440b), 측면(450b), 상단면(미도시) 및 하단면(460b)을 포함하는 제1 면에서의 전력의 세기는 제2 면에서의 전력의 세기보다 높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400a)의 후면(440b)이 무선 전력 송신을 위한 면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송신 모드가 설정된 경우, 전자 장치(400a)는, 후면(440b)의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하라는 취지의 UI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4c 및 도 4d는 전자 장치(400c)가 폴더블 디바이스인 예시를 도시한다. 도 4c는 전자 장치(400c)가 접힌 상태의 폴더블 디바이스인 예시를 도시한다. 도 4c에서 전자 장치(400c)는 제1 하우징(410c), 제2 하우징(420c), 및 제1 하우징(410c)과 제2 하우징(420c)을 연결하는 연결부(440c)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400c)가 접힌 상태일 때, 제1 면은 제1 하우징(410c)의 외표면 중 후면(430c)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제1 면은 제1 하우징(410c)의 후면(430c), 측면(450c), 제2 하우징(420c)의 외표면 중 측면 부분(420c), 및 연결부(440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d는 전자 장치(400c)가 펼쳐진 상태의 폴더블 디바이스인 예시를 도시한다. 도 4d에서 전자 장치(400c)는 제1 하우징(410c) 및 제2 하우징(420c)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c에서 도시되었던 연결부(440c)는 전자 장치(400c)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전자 장치(400c)의 외표면에 드러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400c)가 펼쳐진 상태일 때, 제1 면은 제1 하우징(410c)의 후면(430c) 및 제2 하우징의 전면(440d)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제1 면은 제1 하우징(410c)의 후면(430c), 제2 하우징의 전면(440d), 및 제1 하우징(410c) 및 제2 하우징의 상단면 및 하단면을 포함한 측면 전체(450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e 및 도 4f는 전자 장치(400e)가 하우징을 3개 포함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인 예시를 도시한다. 도 4e는 전자 장치(400e)의 세 하우징이 모두 접혀 있는 예시를 도시한다. 전자 장치(400e)는 제1 하우징(410e), 제2 하우징(420e), 제3 하우징(430e), 제1 하우징(410e)과 제2 하우징(420e)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440e), 및 제1 하우징(410e)과 제3 하우징(430e) 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445e)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 면은 제1 하우징(410e)의 후면(450e)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제1 면은 제1 하우징(410e)의 후면(450e), 제1 하우징(410e), 제2 하우징(420e), 및 제3 하우징(430e)의 상단면 및 하단면을 포함한 측면 전체(460e)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f는 전자 장치(400e)의 세 하우징이 모두 펼쳐져 있는 예시를 도시한다. 전자 장치(400e)는 제1 하우징(410e), 제2 하우징(420e), 및 제3 하우징(430e)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410e)과 제2 하우징(420e)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 및 제1 하우징(410e)과 제3 하우징(430e) 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는 세 하우징이 모두 펼쳐져 있는 예시에서는 전자 장치(400e)의 외표면에 드러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 면은 제1 하우징(410e)의 후면(450e), 제2 하우징(420e)의 외표면 중 제1 하우징(410e)의 후면(450e)과 동일한 기하학적 평면상에 위치하는 면(460f), 및 제3 하우징(430e)의 외표면 중 제1 하우징(410e)의 후면(450e)과 동일한 기하학적 평면상에 위치하는 면(470f)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제1 면은 제1 하우징(410e)의 후면(450e), 제2 하우징(420e)의 외표면 중 제1 하우징(410e)의 후면(450e)과 동일한 기하학적 평면상에 위치하는 면(460f), 제3 하우징(430e)의 외표면 중 제1 하우징(410e)의 후면(450e)과 동일한 기하학적 평면상에 위치하는 면(470f), 및 제1 하우징(410e), 제2 하우징(420e), 및 제3 하우징(430e)의 상단면 및 하단면을 포함한 측면 전체(480f)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5는 제1 조건이 제1 광센서(264a)로부터 방출된 빛의 반사광의 세기가 임계 세기 이상일 때 만족되는 실시예에서, 제1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확인하기 위한 동작들의 예시를 도시한다. 51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제1 면으로부터 빛을 방출하도록 제1 광센서(264a)를 제어할 수 있다. 52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제1 광센서(264a)를 통하여, 제1 광센서(264a)로부터 방출된 빛의 반사광의 세기를 검출할 수 있다.
53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반사광의 세기가 임계 세기 이상인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반사광의 세기를 검출하기 전에 카운트를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반사광의 세기가 임계 세기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카운트를 1만큼 증가시킨 후 제1 광센서(264a)를 통하여 빛을 방출하고 반사광의 세기를 검출하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또는, 반사광의 세기가 임계 세기 미만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카운트를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 후, 카운트가 미리 설정된 제1 임계 횟수에 도달하는 경우,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반사광의 세기가 임계 세기 이상인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센서(264a)를 통하여 빛을 방출하고 반사광의 세기를 검출하는 동작은 10ms마다 반복될 수 있고, 반사광의 세기가 임계 세기 이상인 상태가 0.5초 이상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임계 횟수는 50회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제1 광센서(264a)를 통하여 빛을 방출하고 반사광의 세기를 검출하는 동작을 상기 일정 시간 동안 반복하고, 다수 회 검출된 반사광의 세기에 다양한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반사광의 세기가 임계 세기 이상인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반사광의 세기에 대한 다수 개의 측정값의 평균을 고려하여 반사광의 세기가 임계 세기 이상인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평균 값 산정 시 다수 개의 측정값 중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측정값은 배제할 수 있다. 이외에도, 반사광의 세기가 임계 세기 이상인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기준에는 제한이 없다는 것을 통상의 기술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530 동작에서 반사광의 세기가 임계 세기 미만이거나, 반사광의 세기가 임계 세기 이상인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지 않는다고 확인되는 것은 제1 광센서(264a)를 덮는 물체가 없었다는 의미이다. 즉, 사용자가 제1 광센서(264a)를 덮는 입력을 하지 않은 것이다. 530 동작에서 반사광의 세기가 임계 세기 미만이라고 확인되는 경우,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510 동작으로 돌아갈 수 있다.
530 동작에서 반사광의 세기가 임계 세기 이상이라고 확인되는 경우,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540 동작에서 제1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동작들(500)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제1 면으로부터 방출된 빛의 반사광의 세기가 임계 세기 이상인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어야 제1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확인한다. 즉,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서가 아닌 주변의 순간적인 변화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제1 면으로부터 방출된 빛의 반사광의 세기가 임계 세기 이상이라고 확인되는 경우는 제1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확인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동작(500)을 통하여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개선된 정확도로 제1 조건이 만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6은 제2 조건이 만족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동작들의 예시를 도시한다. 61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제1 면 중 무선 충전 회로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력의 세기가 가장 큰 면이 지면과 멀어지는 방향을 향한다고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도 4a 및 도 4b의 예시에서, 제1 면 중 무선 충전 회로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력의 세기가 가장 큰 면은 전자 장치(400a)의 후면(440b)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충전을 위한 면 상에 외부 전자 장치가 배치되어야 무선 충전이 가능할 수 있으므로, 전력의 세기가 가장 큰 면이, 뒤집혀 있는 경우를 나타내는 다양한 조건이 제 2 조건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도 4c 및 도 4d의 예시에서, 제1 면 중 무선 충전 회로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력의 세기가 가장 큰 면은 전자 장치(400c)의 제1 하우징(410c)의 후면(430c)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도 4e 및 도 4f의 예시에서, 제1 면 중 무선 충전 회로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력의 세기가 가장 큰 면은 전자 장치(400e)의 제1 하우징(410e)의 후면(450e)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가속도 센서(261a) 또는 지자계 센서(262a)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제1 면 중 무선 충전 회로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력의 세기가 가장 큰 면이 지면과 멀어지는 방향을 향한다고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 면 중 무선 충전 회로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력의 세기가 가장 큰 면이 지면과 멀어지는 방향을 향한다는 것은, 제1 면 중 무선 충전 회로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력의 세기가 가장 큰 면이 위로 가도록 전자 장치(210a)가 배열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 면 중 무선 충전 회로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력의 세기가 가장 큰 면이 지면과 멀어지는 방향을 향한다는 것은, 제1 면 중 무선 충전 회로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력의 세기가 가장 큰 면의 법선이 지면의 법선과 이루는 각도가 미리 정해진 값 이내임을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지면과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조건은, 센서로부터 측정된 센싱 데이터와 연관되어 설정될 수 있으며, 센싱 데이터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62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제2 면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 물체와 근접해있다고 확인하거나, 임계 시간 동안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이 임계 수준 이하라고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제1 광센서(264a) 대신 제2 광센서(265a)를 이용하여 도 5에 도시된 동작들(500)을 수행함으로써 제2 면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 물체와 근접해있다고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가속도 센서(261a) 또는 자이로 센서(263a)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임계 시간 동안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이 임계 수준 이하라고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가 620 동작에서 제2 면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 물체와 근접해 있고, 임계 시간 동안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이 임계 수준 이하임을 둘 다 확인할 때, 630 동작으로 진행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63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제2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동작들(600)은 620 동작에서 제2 면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 물체와 근접해 있거나, 임계 시간 동안 전자 장치의 움직임이 임계 수준 이하임을 확인함으로써 외부 전자 장치가 전자 장치 위에 역학적으로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조건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동작들(600)에 따르면 무선 충전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620 동작이 도시되었으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620 동작은 생략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제1 면 중 무선 충전 회로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력의 세기가 가장 큰 면이 지면과 멀어지는 방향을 향한다고 확인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630 동작에서 제2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71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제1 조건 및 제2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조건에 관해서는 도 3의 310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세부 사항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2 조건에 관해서는 도 3의 320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세부 사항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72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외부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무선 충전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720 동작에 관해서는, 도 3의 330을 참조하여 상술한 세부 사항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73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제1 면에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 730 동작에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였다고 확인될 조건은 710 동작에서의 제1 조건과 동일할 수 있다. 다만, 730 동작은 시간적으로 710 동작에서 제1 조건 및 제2 조건이 만족됨이 확인되고 720 동작에서 외부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무선 충전 회로가 제어되기 시작한 후에 일어난다는 점에서 710 동작에서의 제1 조건과 구별될 수 있다.
74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제1 면에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함이 확인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서, 제1 조건 및 제2 조건이 만족된 후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알림 이벤트에 관한 음성 알림을 출력하거나, 전자 장치의 배터리 잔량을 제1 면 상의 표시 장치 상에 표시하거나, 전자 장치의 배터리 잔량에 관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74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앞서 열거된 3가지 동작 중 임의의 두 가지 또는 세 가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알림 이벤트는 전자 장치(210a)의 통신 회로(240a)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전화, SMS 메시지, 소셜 네트워크 메시지, 및/또는 이메일을 수신하는 이벤트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알림 이벤트는 전자 장치(210a)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푸쉬 알림 및/또는 팝업 알림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알림은 전자 장치(210a)의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된 수준 이하로 내려갔다는 정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음성 출력 장치(253a)를 통하여 제1 조건 및 제2 조건이 만족된 후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알림 이벤트에 관한 음성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의 배터리 잔량을 제1 면 상의 표시 장치 상에 표시하는 동작은 제1면 표시 장치(251a)에 전자 장치의 배터리 잔량을 숫자 형식으로 표시하는 동작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의 배터리 잔량을 제1 면 상의 표시 장치 상에 표시하는 동작은 전자 장치의 배터리 잔량에 대응되는 색상을 표시하는 동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a)는 배터리 잔량이 50%일 때 제1면 표시 장치(251a) 상에 초록색을 표시하고, 배터리 잔량이 30%일 때 제1면 표시 장치(251a)상에 노란색을 표시하고, 배터리 잔량이 10%일 때 제1면 표시 장치(251a)상에 빨간색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조건이 만족하는 상태, 즉 전자 장치의 제1 면 중 무선 충전 회로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력의 세기가 가장 큰 면이 지면과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제2 면에 위치한 제2면 표시 장치(252a)를 확인하기 곤란하다. 도 7에 도시된 동작들(700)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제2면 표시 장치(252a)를 확인할 것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사용자에게 알림 이벤트 또는 전자 장치의 배터리 잔량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전자 장치(210a) 및 외부 전자 장치(270a) 간의 상대적 위치로서 허용되는 범위가 좁은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무선 충전의 안정성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사용자에게 알림 이벤트 또는 전자 장치의 배터리 잔량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81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제1 조건 및 제2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할 수 있다. 82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제1 조건 및 제2 조건이 만족됨이 확인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서 외부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무선 충전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810 동작 및 820 동작에 관해서는 도 7의 710 동작 및 720 동작과 관련하여 상술한 세부 사항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83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무선 충전 회로(230a) 또는 통신 회로(240a)를 통하여 검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무선 충전 회로(230a)를 통하여 인-밴드 방식에 따라 검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예를 들어 온/오프 키잉(on/off keying) 변조 방식에 따라 변조하고, 이에 기초하여 로드를 변경하면서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도록 무선 충전 회로(230a)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통신 회로(240a)를 통하여 아웃-밴드 방식에 따라 검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84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무선 충전 회로(230a) 또는 통신 회로(240a)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무선 충전 회로(230a)를 통하여 인-밴드 방식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무선 충전 회로(230a)의 코일에서 검출되는 로드 또는 임피던스의 변경을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통신 회로(240a)를 통하여 아웃-밴드 방식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무선 충전 회로(230a) 또는 통신 회로(240a)를 통하여 검출 신호를 송신하고 제1 임계 시간 내에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을 제1 임계 시간 내에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것이 확인될 때까지 반복하고, 반복 횟수가 제1 임계 횟수에 도달하기 전에 제1 임계 시간 내에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확인할 수 있다. 또는, 반복 횟수가 제1 임계 횟수에 도달하는 경우,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무선 충전 회로(230a) 또는 통신 회로(240a)를 통하여 검출 신호를 송신하고 제1 임계 시간 동안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는 동작을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다수 회 반복하고, 다수 회 검출된 응답 신호의 세기에 다양한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응답 신호의 세기에 대한 다수 개의 측정값의 평균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평균 값 산정 시 다수 개의 측정값 중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측정값은 배제할 수 있다. 이외에도,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기준에는 제한이 없다는 것을 통상의 기술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840 동작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확인되는 경우, 85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외부 전자 장치에 무선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850 동작에서 외부 전자 장치에 무선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절차는 820 동작에서 정의된, 외부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 중 830 동작 및 840 동작을 통하여 수행된, 외부 전자 장치를 검출하는 동작을 제외한 나머지 동작들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외부 전자 장치가 검출되는 것에 응답하여 외부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840 동작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다고 확인되는 경우,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860 동작에서, 외부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의 수행을 중단하도록 무선 충전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더 이상 외부 전자 장치의 검출을 시도하지 않고, 외부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의 수행을 중단하도록 무선 충전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86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제1면 표시 장치(251a), 제2면 표시 장치(252a), 또는 음성 출력 장치(253a)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검출이 실패했다는 것을 알리는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동작들(800)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외부 전자 장치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더 이상 외부 전자 장치의 검출을 시도하지 않는다. 외부 전자 장치의 검출을 위하여 검출 신호를 송신하고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전력을 요구하므로, 도 8에 도시된 동작들(800)은 과도한 전력 소모를 예방할 수 있다.
도 9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91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제1 조건 및 제2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할 수 있다. 92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외부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무선 충전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93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검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94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910 동작, 920 동작, 930 동작, 및 940 동작에 관해서는, 도 8의 810 동작, 820 동작, 830 동작, 및 840 동작의 세부 사항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95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통신 회로(240a)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270a)와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비록 도 9에서는 950 동작이 940 동작이 수행된 후에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950 동작은 940 동작보다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즉,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외부 전자 장치(270a)와 전자 장치(210a) 간의 통신 연결은 미리 수립되어 있을 수 있다.
96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또는 제1 면에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알림 이벤트에 관해서는 도 7의 740 동작을 참조하여 상술한 세부 사항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제1 면에서의 사용자 입력에 관해서는 도 7의 730 동작을 참조하여 상술한 세부 사항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97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통신 회로(240a)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270a)에 알림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알림 신호는 외부 전자 장치(270a)에서 알림 이벤트 또는 사용자 입력의 발생에 대응한 알림을 출력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외부 전자 장치(270a)는 알림 신호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270a)의 디스플레이 및/또는 스피커를 통하여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제2 조건이 만족하는 상태, 즉 전자 장치의 제1 면 중 무선 충전 회로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력의 세기가 가장 큰 면이 지면과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제2 면에 위치한 제2면 표시 장치(252a)를 확인하기 곤란하다. 도 9에 도시된 동작들(900)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제2면 표시 장치(252a)를 확인할 것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외부 전자 장치(270a)의 디스플레이 및/또는 스피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림 이벤트 또는 전자 장치의 배터리 잔량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전자 장치(210a) 및 외부 전자 장치(270a) 간의 상대적 위치로서 허용되는 범위가 좁은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무선 충전의 안정성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사용자에게 알림 이벤트 또는 전자 장치의 배터리 잔량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전자 장치(210a)에 의하여 충전되는 외부 전자 장치(270a)와 통신 연결을 수립하고 외부 전자 장치(270a)에 알림 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210a)는 외부 전자 장치(270a) 이외의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립하고 다른 전자 장치에 알림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알림 신호를 수신한 다른 전자 장치는 알림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및/또는 스피커를 통하여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101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제1 조건 및 제2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할 수 있다. 102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외부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무선 충전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103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검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104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105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1010 동작 내지 1050 동작에 관해서는 도 9의 910 내지 950 동작에 관한 세부 사항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106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통신 회로(240a)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270a)로부터 외부 전자 장치(270a)의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외부 전자 장치(270a)의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는 외부 전자 장치(270a)에 포함된 출력 장치의 종류, 수량, 크기, 및/또는 외부 전자 장치(270a) 내에서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270a)의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는 외부 전자 장치(270a)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없으며, 음성 출력 장치가 없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270a)의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는 외부 전자 장치(270a)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고, 외부 전자 장치(270a)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270a)의 외표면 중 전자 장치(210a)로부터 주로 자기장을 받아들이는 표면의 반대 면에 위치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107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또는 제1 면에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070 동작에 관해서는 960 동작에 관한 세부 사항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108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외부 전자 장치의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면 상의 출력 장치를 통하여 알림을 출력하거나, 또는 외부 전자 장치에 알림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외부 전자 장치의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의 내용에 종속적으로, 제1 면 상의 출력 장치를 통하여 알림을 출력할지, 외부 전자 장치에 알림 신호를 송신하고 제1 면 상의 출력 장치를 통하여 알림을 출력하지 않을지, 아니면 제1 면 상의 출력 장치를 통하여 알림을 출력하고 외부 전자 장치에 알림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을 모두 수행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에 알림 신호를 송신하고 제1 면 상의 출력 장치를 통하여 알림을 출력하지 않기로 결정된 경우,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제1 면 상의 출력 장치를 턴 오프할 수 있다.
108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가 외부 전자 장치에 알림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외부 전자 장치에 전자 장치(210a)의 상태에 관한 부가적인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부가적인 정보는 외부 전자 장치의 출력 장치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도 11a 내지 11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11a는 전자 장치(210a)가 바형 스마트폰이고, 외부 전자 장치(270a)가 무선 이어폰 및 무선 이어폰을 수용하고 무선 이어폰에 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충전 케이스인 예시를 도시한다. 도 11a에서 전자 장치(1110a)는 바형 스마트폰이고, 전자 장치(1110a)의 제1 면에는 LED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1115a) 및 스피커가 배치되어 있다. 외부 전자 장치(1120a)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지 않으며, 음성 출력이 충분한 음성 출력 장치 또한 포함하지 않는다. 이 경우, 외부 전자 장치의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는 외부 전자 장치(1120a)가 표시 장치를 포함하지 않으며, 음성 출력이 충분한 음성 출력 장치 또한 포함하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1080 동작에서, 전자 장치(1110a)의 프로세서는 제1 면 상의 출력 장치인 LED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1115a) 및/또는 및 스피커를 통하여 알림을 출력하고, 외부 전자 장치(1120a)에는 알림 신호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1b는 전자 장치(210a)가 바형 스마트폰이고, 외부 전자 장치(270a)가 스마트 워치인 예시를 도시한다. 도 11b에서 전자 장치(1110b)는 바형 스마트폰이고, 전자 장치(1110a)의 제1 면에는 LED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1115b) 및 스피커가 배치되어 있다. 외부 전자 장치(1120b)는 표시 장치(1125b)를 포함하며, 스피커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외부 전자 장치(1120b)의 표시 장치(1125b)는 외부 전자 장치(1120b)의 외표면 중 전자 장치(1110b)로부터 주로 자기장을 받아들이는 표면의 반대 면에 위치하고 있다. 이 경우, 외부 전자 장치의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는 외부 전자 장치(1120b)가 외부 전자 장치(1120b)의 외표면 중 전자 장치(1110b)로부터 주로 자기장을 받아들이는 표면의 반대 면에 위치한 표시 장치(1125b)를 포함하며, 스피커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1080 동작에서, 전자 장치(1110b)의 프로세서는 음성 형태로 알림을 출력할 필요가 있을 경우 전자 장치(1110b)의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1080 동작에서, 전자 장치(1110b)의 프로세서는 시각적인 형태로 알림을 출력할 필요가 있을 경우 외부 전자 장치(1120b)에 알림 신호를 송신하거나, LED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1115b)를 통하여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1080 동작에서 전자 장치(1110b)의 프로세서가 외부 전자 장치(1120b)에 전자 장치(1110b)의 상태에 관한 부가적인 정보를 송신한 경우, 부가적인 정보는 외부 전자 장치(1120b)의 표시 장치(1125b)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1c는 전자 장치(210a) 및 외부 전자 장치(270a)가 바형 스마트폰인 예시를 도시한다. 도 11c에서 전자 장치(1110c)는 바형 스마트폰이고, 전자 장치(1110c)의 제1 면에는 LED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1115c) 및 스피커가 배치되어 있다. 외부 전자 장치(1120c)는 표시 장치(1125c)를 포함하며, 스피커를 포함한다. 또한, 외부 전자 장치(1120c)의 표시 장치(1125c)는 외부 전자 장치(1120c)의 외표면 중 전자 장치(1110c)로부터 주로 자기장을 받아들이는 표면의 반대 면에 위치하고 있다. 이 경우, 외부 전자 장치의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는 외부 전자 장치(1120c)가 외부 전자 장치(1120c)의 외표면 중 전자 장치(1110c)로부터 주로 자기장을 받아들이는 표면의 반대 면에 위치한 표시 장치(1125c)를 포함하며, 스피커를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1080 동작에서, 전자 장치(1110c)의 프로세서는 음성 형태로 알림을 출력할 필요가 있을 경우 전자 장치(1110c)의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1120c)에 알림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1080 동작에서, 전자 장치(1110c)의 프로세서는 시각적인 형태로 알림을 출력할 필요가 있을 경우 외부 전자 장치(1120c)에 알림 신호를 송신하거나, LED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1115c)를 통하여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1080 동작에서 전자 장치(1110c)의 프로세서가 외부 전자 장치(1120c)에 전자 장치(1110c)의 상태에 관한 부가적인 정보를 송신한 경우, 부가적인 정보는 외부 전자 장치(1120c)의 표시 장치(1125b) 상에 표시되거나, 외부 전자 장치(1120c)의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동작들(1000)에 따르면, 사용자가 제2면 표시 장치(252a)를 보는 것이 제한된 상황에서, 전자 장치의 제1 면 상의 표시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의 출력 장치의 상황에 맞게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2는 전자 장치가 알림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고자 할 때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121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제1 조건 및 제2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할 수 있다. 122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외부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무선 충전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123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검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124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125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1210 동작 내지 1250 동작에 관해서는 도 9의 910 내지 950 동작에 관한 세부 사항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126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통신 회로(240a)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270a)로부터 외부 전자 장치(270a)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외부 전자 장치(270a)에 관한 정보는 외부 전자 장치(270a)의 종류, 외부 전자 장치(270a)의 배터리의 용량, 또는 외부 전자 장치(270a)의 크기, 모양, 또는 배열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127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또는 제1 면에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270 동작에 관해서는 960 동작에 관한 세부 사항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128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외부 전자 장치(270a)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면 표시 장치(251a) 상에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3a 내지 13c를 참조하여 1280 동작을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13a 내지 13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13a는 전자 장치(210a)가 하우징이 2개인 폴더블 스마트폰이고, 외부 전자 장치(270a)가 무선 이어폰 및 무선 이어폰을 수용하고 무선 이어폰에 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충전 케이스인 예시를 도시한다. 전자 장치(1310a)의 제1 면에는 제1 하우징의 LED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1315a) 및 제2 하우징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316a)가 위치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128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외부 전자 장치(1320a)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1320a)에 의하여 제1 하우징의 LED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1315a) 및 제2 하우징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316a)가 가려지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제1 하우징의 LED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1315a) 및 제2 하우징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316a)의 모든 영역 상에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128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외부 전자 장치(1320a)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1320a)의 배터리 용량이 전자 장치(1310a)의 배터리 용량에 비하여 작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제1 하우징의 LED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1315a) 및 제2 하우징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316a)를 모두 이용하여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3b는 전자 장치(210a)가 하우징이 2개인 폴더블 스마트폰이고, 외부 전자 장치(270a)가 스마트 워치인 예시를 도시한다. 전자 장치(1310b)의 제1 면에는 제1 하우징의 LED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1315b) 및 제2 하우징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316b)가 위치한다. 128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외부 전자 장치(1320b)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1320b)에 의하여 제1 하우징의 LED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1315a)는 가려지지 않고, 제2 하우징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316b)의 일부 영역이 가려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제1 하우징의 LED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1315b)의 모든 영역 및 제2 하우징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316b)의 가려지지 않는 일부 영역(1317b) 상에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1280 동작에서, 전자 장치(1310b)의 프로세서는 외부 전자 장치(1320b)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1320b)의 배터리 용량이 전자 장치(1310b)의 배터리 용량에 비하여 작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310b)의 프로세서는 제1 하우징의 LED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1315b) 및 제2 하우징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316b)를 모두 이용하여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3c는 전자 장치(210a)가 하우징이 2개인 폴더블 스마트폰이고, 외부 전자 장치(270a)는 바형 스마트폰인 예시를 도시한다. 전자 장치(1310c)의 제1 면에는 제1 하우징의 LED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1315c) 및 제2 하우징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316c)가 위치한다. 128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외부 전자 장치(1320c)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1320c)에 의하여 제1 하우징의 LED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1315c)는 가려지지 않고, 제2 하우징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316c)의 일부 영역이 가려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제1 하우징의 LED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1315c)의 모든 영역 및 제2 하우징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316c)의 가려지지 않는 일부 영역(1317c) 상에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1280 동작에서, 전자 장치(1310c)의 프로세서는 외부 전자 장치(1320c)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1320c)의 배터리 용량이 전자 장치(1310c)의 배터리 용량에 비하여 크거나, 전자 장치(1310c)의 배터리 용량의 일정 비율을 초과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310c)의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1310c)의 배터리 소모를 저감하기 위하여, 제1 하우징의 LED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1315c) 또는 제2 하우징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316c)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지 않고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310c)의 프로세서는 알림을 표시하는 시간을 감소시키거나, 알림이 표시되는 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전자 장치(1310c)의 배터리 소모를 저감할 수 있다.도 12에 도시된 동작들(1200)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270a)에 의하여 가려지지 않는 영역 상에 알림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동작들(1000) 및 도 12에 도시된 동작들(1200)이 조합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 외부 전자 장치(270a)로부터 외부 전자 장치(270a)의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 및 외부 전자 장치(270a)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141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전자 장치(210a)의 주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면이 평면 상에 놓여있다고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210a)의 주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자 장치(210a)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중 가장 표시 화면이 넓은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가속도 센서(261a), 지자계 센서(262a), 자이로 센서(263a), 제2 광센서(265a)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10a)의 주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면이 평면 상에 놓여있다고 확인할 수 있다.
142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전자 장치(210a)의 표면 중 평면에 접하는 면을 제외한 영역에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대해서는 도 3의 310 동작과 관련하여 상술한 제1 조건에 관한 세부 사항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1430 동작에서, 전자 장치(210a)의 프로세서(220a)는 외부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무선 충전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1430 동작과 관련하여서는 도 3의 330 동작과 관련하여 상술한 제1 조건에 관한 세부 사항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도 14에 도시된 동작들(1400)은 도 5, 6, 7, 8, 9, 10, 또는 12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설명된 동작들과 조합되어 수행될 수 있다. 그 경우, 도 5, 6, 7, 8, 9, 10, 또는 12에 관한 설명에서 제1 면은 전자 장치의 표면 중 평면에 접하는 면을 제외한 영역, 제2 면은 전자 장치의 주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210a)는, 외부 전자 장치(270a)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무선 충전 회로(230a);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a)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a)는: 상기 전자 장치(210a)의 제1 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발생 여부와 연관된 제1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하고 - 상기 무선 충전 회로(230a)에 의하여 발생되는 상기 전력의 상기 제1 면 상에서의 세기는, 상기 전자 장치(210a)의 상기 제1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인 제2 면에서의 세기보다 큼-; 상기 제1 면이 향하는 방향과 연관된 제2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하고; 상기 제1 조건 및 상기 제2 조건이 만족됨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270a)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무선 충전 회로(230a)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전자 장치(210a)는 광센서(264a)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a)는, 상기 제1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광센서(264a)로부터 상기 제1 면으로부터 방출된 빛의 반사광의 세기를 상기 광센서(264a)를 통하여 복수 회 검출하고, 상기 복수 회의 검출 결과, 상기 반사광의 세기가 임계 세기 이상인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된다고 확인될 때, 상기 제1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하도록 더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a)는, 상기 제2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제1 면 중 무선 충전 회로(230a)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력의 세기가 가장 큰 면이 지면과 멀어지는 방향을 향한다고 확인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a)는, 상기 제2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제2 면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 물체와 근접해있다고 확인하는 동작, 또는 임계 시간 동안 상기 전자 장치(210a)의 움직임이 임계 수준 이하라고 확인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a)는, 제1 조건이 만족된다고 확인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면 상의 표시 장치 상에 알림을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a)는, 상기 제1 조건 및 상기 제2 조건이 만족된 후에, 상기 제1 면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조건 및 상기 제2 조건이 만족된 후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알림 이벤트에 관한 음성 알림을 출력하거나, 상기 전자 장치(210a)의 배터리 잔량을 상기 제1 면 상의 표시 장치 상에 표시하거나, 상기 전자 장치(210a)의 상기 배터리 잔량에 관한 음성을 출력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a)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270a)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검출 신호를 송신하고; 외부 전자 장치(270a)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무선 충전 회로(230a)를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270a)에 무선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a)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270a)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응답 신호가 임계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검출 신호를 재송신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a)는,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것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270a)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의 수행을 중단하도록 상기 무선 충전 회로(230a)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a)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270a)에서 알림을 출력하는 데 이용되는 알림 신호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270a)에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a)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270a)로부터, 상기 외부 전자 장치(270a)의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270a)의 출력 장치에 관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면 상의 출력 장치를 통하여 알림을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270a)에서 알림을 출력하는 데 이용되는 알림 신호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270a)에 송신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a)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270a)의 종류, 배터리 용량, 크기, 모양, 또는 배열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270a)에 관한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270a)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270a)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면 상의 상기 표시 장치 상에 알림을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210a)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외부 전자 장치(270a)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무선 충전 회로(230a);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a)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a)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확인되는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210a)의 주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면이 평면 상에 놓여있다고 확인하고; 상기 전자 장치(210a)의 표면 중 상기 평면에 접하는 면을 제외한 영역에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함을 확인하고; 상기 전자 장치(210a)가 상기 평면 상에 놓여 있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였다고 확인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270a)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무선 충전 회로(230a)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210a)에서 수행되는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210a)의 제1 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발생 여부와 연관된 제1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하는 동작 - 상기 전자 장치(210a)의 무선 충전 회로(230a)에 의하여 발생되는 상기 전력의 상기 제1 면 상에서의 세기는, 상기 전자 장치(210a)의 상기 제1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인 제2 면에서의 세기보다 큼-; 상기 제1 면이 향하는 방향과 연관된 제2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조건 및 상기 제2 조건이 만족됨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270a)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무선 충전 회로(230a)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1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210a)의 광센서(264a)로부터 상기 제1 면으로부터 방출된 빛의 반사광의 세기를 상기 광센서(264a)를 통하여 복수 회 검출하는 동작; 및 상기 복수 회의 검출 결과, 상기 반사광의 세기가 임계 세기 이상인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된다고 확인될 때, 상기 제1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2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제1 면 중 무선 충전 회로(230a)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력의 세기가 가장 큰 면이 지면과 멀어지는 방향을 향한다고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2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제2 면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 물체와 근접해있다고 확인하는 동작, 또는 임계 시간 동안 상기 전자 장치(210a)의 움직임이 임계 수준 이하라고 확인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1 조건 및 상기 제2 조건이 만족된 후에, 상기 제1 면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조건 및 상기 제2 조건이 만족된 후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알림 이벤트에 관한 음성 알림을 출력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210a)의 배터리 잔량을 상기 제1 면 상의 표시 장치 상에 표시하는 동작; 또는 상기 전자 장치(210a)의 상기 배터리 잔량에 관한 음성을 출력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270a)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검출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 외부 전자 장치(270a)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무선 충전 회로(230a)를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270a)에 무선 전력을 공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270a)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상기 응답 신호가 임계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검출 신호를 재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것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270a)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의 수행을 중단하도록 상기 무선 충전 회로(230a)를 제어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270a)에서 알림을 출력하는 데 이용되는 알림 신호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270a)에 송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일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외부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무선 충전 회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발생 여부와 연관된 제1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하고 - 상기 무선 충전 회로에 의하여 발생되는 상기 전력의 상기 제1 면 상에서의 세기는,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제1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인 제2 면에서의 세기보다 큼-;
    상기 제1 면이 향하는 방향과 연관된 제2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하고;
    상기 제1 조건 및 상기 제2 조건이 만족됨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제어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광센서로부터 상기 제1 면으로부터 방출된 빛의 반사광의 세기를 상기 광센서를 통하여 복수 회 검출하고,
    상기 복수 회의 검출 결과, 상기 반사광의 세기가 임계 세기 이상인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된다고 확인될 때, 상기 제1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하도록 더 설정된,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제1 면 중 무선 충전 회로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력의 세기가 가장 큰 면이 지면과 멀어지는 방향을 향한다고 확인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제2 면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 물체와 근접해있다고 확인하는 동작, 또는
    임계 시간 동안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이 임계 수준 이하라고 확인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조건이 만족된다고 확인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면 상의 출력 장치를 통하여 알림을 출력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조건 및 상기 제2 조건이 만족된 후에, 상기 제1 면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조건 및 상기 제2 조건이 만족된 후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알림 이벤트에 관한 음성 알림을 출력하거나,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잔량을 상기 제1 면 상의 표시 장치 상에 표시하거나,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배터리 잔량에 관한 음성을 출력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검출 신호를 송신하고;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무선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응답 신호가 임계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검출 신호를 재송신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것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의 수행을 중단하도록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제어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알림을 출력하는 데 이용되는 알림 신호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송신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출력 장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출력 장치에 관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면 상의 출력 장치를 통하여 알림을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알림을 출력하는 데 이용되는 알림 신호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송신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종류, 배터리 용량, 크기, 모양, 또는 배열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면 상의 상기 표시 장치 상에 알림을 표시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2. 전자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발생 여부와 연관된 제1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하는 동작 - 상기 전자 장치의 무선 충전 회로에 의하여 발생되는 상기 전력의 상기 제1 면 상에서의 세기는,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제1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인 제2 면에서의 세기보다 큼-;
    상기 제1 면이 향하는 방향과 연관된 제2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조건 및 상기 제2 조건이 만족됨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제어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광센서로부터 상기 제1 면으로부터 방출된 빛의 반사광의 세기를 상기 광센서를 통하여 복수 회 검출하는 동작; 및
    상기 복수 회의 검출 결과, 상기 반사광의 세기가 임계 세기 이상인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된다고 확인될 때, 상기 제1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제1 면 중 무선 충전 회로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력의 세기가 가장 큰 면이 지면과 멀어지는 방향을 향한다고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제2 면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 물체와 근접해있다고 확인하는 동작, 또는
    임계 시간 동안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이 임계 수준 이하라고 확인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 및 상기 제2 조건이 만족된 후에, 상기 제1 면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조건 및 상기 제2 조건이 만족된 후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알림 이벤트에 관한 음성 알림을 출력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잔량을 상기 제1 면 상의 표시 장치 상에 표시하는 동작;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배터리 잔량에 관한 음성을 출력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검출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무선 전력을 공급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상기 응답 신호가 임계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검출 신호를 재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것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의 수행을 중단하도록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제어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알림을 출력하는 데 이용되는 알림 신호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송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외부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무선 충전 회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확인되는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주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면이 평면 상에 놓여있다고 확인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표면 중 상기 평면에 접하는 면을 제외한 영역에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함을 확인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평면 상에 놓여 있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였다고 확인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제어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KR1020200025138A 2020-02-28 2020-02-28 무선 충전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및 무선 충전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1010991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138A KR20210109917A (ko) 2020-02-28 2020-02-28 무선 충전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및 무선 충전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PCT/KR2021/002356 WO2021172884A1 (ko) 2020-02-28 2021-02-25 무선 충전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및 무선 충전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138A KR20210109917A (ko) 2020-02-28 2020-02-28 무선 충전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및 무선 충전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917A true KR20210109917A (ko) 2021-09-07

Family

ID=77491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138A KR20210109917A (ko) 2020-02-28 2020-02-28 무선 충전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및 무선 충전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109917A (ko)
WO (1) WO202117288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366B1 (ko) * 2015-12-03 2023-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630656B1 (ko) * 2016-11-01 2024-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JP6745715B2 (ja) * 2016-12-20 2020-08-2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270270B2 (en) * 2017-06-04 2019-04-23 Apple Inc. Coordinating complementary notifications across related computing devices connected to a wireless charging apparatus
KR102574899B1 (ko) * 2018-05-15 2023-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객체의 근접에 기반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될 무선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72884A1 (ko)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4555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reason wireless charging is stopping
KR102402639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통신 방법
KR102484416B1 (ko)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코일 장치
US1119630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wireless charging
US11728682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200017308A (ko) 입력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80345B1 (ko) 레인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509173B2 (en) Method of wireless charging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wireless charging
KR20200017305A (ko) 전자 펜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전자 펜과의 통신 연결 제어 방법
KR102434405B1 (ko)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비활성화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00052611A (ko)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85546A (ko) 그립 센서를 이용하여 파워 백 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00008319A (ko)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충전 방법
KR20200101035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외부 객체 검출 기반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US11307618B2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garding stylus pen and method thereof
US11942800B2 (en) Method for wireless power transfer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210101525A (ko) 무선 전력 전송 중 통신 성능 안정화 방법 및 장치
KR20210109916A (ko)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US11599866B2 (en) Electronic device for selectively using coils supporting power sharing
EP3843242B1 (en) Method for confirming state information of wireless charging,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20210101718A (ko) 무선 충전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EP3777654A1 (en) Method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by using biosensor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20210109917A (ko) 무선 충전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및 무선 충전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653440B1 (ko) 무선 전력 송신 및 수신 장치 및 그 전력 조정 방법
KR20210128607A (ko)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충전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