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9546A - 슬롯 경계들에 걸친 스케줄링 - Google Patents

슬롯 경계들에 걸친 스케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9546A
KR20210109546A KR1020217020540A KR20217020540A KR20210109546A KR 20210109546 A KR20210109546 A KR 20210109546A KR 1020217020540 A KR1020217020540 A KR 1020217020540A KR 20217020540 A KR20217020540 A KR 20217020540A KR 20210109546 A KR20210109546 A KR 20210109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tition
uplink
nominal
resources
ac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0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예드 알리 아크바르 파코리안
세예드키아누쉬 호세이니
완시 천
징 장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09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5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128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frequency 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frequency hopping
    • H04B1/7143Arrangements for generation of hop patter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2Hopping in multicarrie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04W72/1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04W28/065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using assembly or disassembly of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04W72/569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of the traffic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업링크 송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이 개시된다. 일 양태에서, 사용자 장비 (UE) 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는 다중 인접한 공칭 업링크 반복들에 대한 업링크 승인을 표시하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신호를 수신하고, 업링크 승인에 기초하여 다중 인접한 공칭 업링크 반복들을 위해 할당된 리소스들을 식별하는 것으로서, 식별된 리소스들은 업링크 데이터의 제 1 실제 반복을 위한 제 1 리소스들 및 업링크 데이터의 제 2 실제 반복을 위한 제 2 리소스들을 포함하는, 상기 리소스들을 식별하고, 제 1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업링크 데이터의 제 1 실제 반복을 송신하고, 그리고 제 2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업링크 데이터의 제 2 실제 반복을 송신한다.

Description

슬롯 경계들에 걸친 스케줄링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
본 특허 출원은, "SCHEDULING ACROSS SLOT BOUNDARIES" 를 발명의 명칭으로 하여 2019년 8월 26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891,846호, "SCHEDULING ACROSS SLOT BOUNDARIES" 를 발명의 명칭으로 하여 2019년 8월 23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891,255호, "SCHEDULING ACROSS SLOT BOUNDARIES" 를 발명의 명칭으로 하여 2019년 6월 24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865,690호, "SCHEDULING ACROSS SLOT BOUNDARIES" 를 발명의 명칭으로 하여 2019년 1월 9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790,098호, 및 "SCHEDULING ACROSS SLOT BOUNDARIES" 를 발명의 명칭으로 하여 2020년 1월 8일자로 출원된 미국 정규출원 제16/737,784호의 이익을 주장하고, 이들 각각은 본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전부 참조로 본 명세서에 분명히 통합된다.
본 개시의 분야
본 개시의 양태들은 일반적으로 원격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슬롯 경계들에 걸친 스케줄링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제 1 세대 아날로그 무선 전화 서비스 (1G), 제 2 세대 (2G) 디지털 무선 전화 서비스 (중간 2.5G 및 2.75G 네트워크들을 포함함), 제 3 세대 (3G) 고속 데이터, 인터넷 가능 무선 서비스 및 제 4 세대 (4G) 서비스 (예를 들어, 롱 텀 에볼루션 (LTE) 또는 WiMax) 를 포함하는 다양한 세대들을 통해 개발되었다. 현재, 셀룰러 및 퍼스널 통신 서비스 (PCS) 시스템들을 포함하는 많은 상이한 타입들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이 사용중에 있다. 알려진 셀룰러 시스템들의 예들은 셀룰러 아날로그 어드밴스드 모바일 전화 시스템 (AMPS), 및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CDMA),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FDMA), 시간 분할 다중 액세스 (TDMA), TDMA 의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access) 변형 등에 기초한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뉴 라디오 (New Radio)" (NR) 로 지칭되는 제 5 세대 (5G) 모바일 표준은, 다른 향상들 중에서도, 더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들, 더 많은 수의 접속들, 및 더 양호한 커버리지를 요구한다. 차세대 모바일 네트워크 연합에 따른 5G 표준은, 사무실의 수십명의 작업자들에 대해 초 당 1 기가비트로, 수만 명의 사용자들의 각각에 대해 초 당 수십 메가비트의 데이터 레이트들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대규모 센서 배치들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수십만의 동시 접속들이 지원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5G 모바일 통신의 스펙트럼 효율은 현재 4G 표준에 비해 상당히 강화되어야 한다. 더욱이, 현재 표준들과 비교하여 시그널링 효율들이 강화되어야 하고 레이턴시 (latency) 가 실질적으로 감소되어야 한다.
레이턴시 감소가 또한 중요한 문제로 떠올랐다. 일부 애플리케이션들, 예를 들어, 자율 주행 시스템들, 원격수술 애플리케이션들 등은 레이턴시가 너무 높으면 안전하게 및/또는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없다. 따라서, 5G 시스템들은 초고 신뢰가능 저 레이턴시 통신 (ultra 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s; URLLC) 에 대한 표준들을 통합하여, 레이턴시들이 1 밀리초 이하의 지속기간으로 감소되는 것을 보장하려고 시도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목표들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법들이 필요하다.
다음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하나 이상의 양태들에 관한 갼략화된 개요를 제시한다. 이와 같이, 다음의 개요는 모든 고려된 양태들에 관한 광범위한 개관으로 고려되지 않아야 하고, 다음의 개요는 모든 고려된 양태들에 관한 중요한 또는 결정적인 엘리먼트들을 식별하거나 또는 임의의 특정 양태와 연관된 범위를 기술하도록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다음의 개요는 이하에 제시된 상세한 설명에 선행하기 위해 간략화된 형태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메커니즘들에 관한 하나 이상의 양태들에 관련된 소정의 개념들을 제시하기 위한 유일한 목적을 갖는다.
일 양태에서, 사용자 장비 (UE) 에 의해 수행된 무선 통신의 방법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신호는 다중 인접한 공칭 업링크 반복들에 대한 업링크 승인 (uplink grant) 을 표시하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업링크 승인에 기초하여 다중 인접한 공칭 업링크 반복들을 위해 할당된 리소스들을 식별하는 단계로서, 식별된 리소스들은 업링크 데이터의 제 1 실제 반복을 위한 제 1 리소스들 및 업링크 데이터의 제 2 실제 반복을 위한 제 2 리소스들을 포함하는, 상기 리소스들을 식별하는 단계; 제 1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업링크 데이터의 제 1 실제 반복을 송신하는 단계; 및 제 2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업링크 데이터의 제 2 실제 반복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UE 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를 통해,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는 다중 인접한 공칭 업링크 반복들에 대한 업링크 승인을 표시하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신호를 수신하고; 업링크 승인에 기초하여 다중 인접한 공칭 업링크 반복들을 위해 할당된 리소스들을 식별하는 것으로서, 식별된 리소스들은 업링크 데이터의 제 1 실제 반복을 위한 제 1 리소스들 및 업링크 데이터의 제 2 실제 반복을 위한 제 2 리소스들을 포함하는, 상기 리소스들을 식별하고;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로 하여금, 제 1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업링크 데이터의 제 1 실제 반복을 송신하게 하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로 하여금, 제 2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업링크 데이터의 제 2 실제 반복을 송신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일 양태에서, UE 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는 다중 인접한 공칭 업링크 반복들에 대한 업링크 승인을 표시하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업링크 승인에 기초하여 다중 인접한 공칭 업링크 반복들을 위해 할당된 리소스들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식별된 리소스들은 업링크 데이터의 제 1 실제 반복을 위한 제 1 리소스들 및 업링크 데이터의 제 2 실제 반복을 위한 제 2 리소스들을 포함하는, 상기 리소스들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 제 1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업링크 데이터의 제 1 실제 반복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 및 제 2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업링크 데이터의 제 2 실제 반복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UE 에,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신호를 수신하도록 명령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으로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는 다중 인접한 공칭 업링크 반복들에 대한 업링크 승인을 표시하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신호를 수신하도록 명령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 UE 에, 업링크 승인에 기초하여 다중 인접한 공칭 업링크 반복들을 위해 할당된 리소스들을 식별하도록 명령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으로서, 식별된 리소스들은 업링크 데이터의 제 1 실제 반복을 위한 제 1 리소스들 및 업링크 데이터의 제 2 실제 반복을 위한 제 2 리소스들을 포함하는, 상기 리소스들을 식별하도록 명령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 UE 에, 제 1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업링크 데이터의 제 1 실제 반복을 송신하도록 명령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 및 UE 에, 제 2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업링크 데이터의 제 2 실제 반복을 송신하도록 명령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양태들과 연관된 다른 목적들 및 장점들은 첨부 도면들 및 상세한 설명에 기초하여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첨부 도면들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의 설명을 돕기 위해 제시되며, 오로지 양태들의 예시를 위해 제공될 뿐 그 한정을 위해 제공되지 않는다.
도 1 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무선 환경을 일반적으로 예시한다.
도 2a 는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 구조를 일반적으로 예시한다.
도 2b 는 다른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 구조를 일반적으로 예시한다.
도 3a 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예시적인 장치들을 예시한다.
도 3b 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도 3a 에 도시된 UE 및 기지국이 무선 통신을 위해 활용할 수도 있는 시간 분할 듀플렉스 (TDD) 프레임 구조를 일반적으로 예시한다.
도 4a 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연속적인 슬롯들에서 반복들을 송신하기 위한 타이밍 리소스들을 식별하기 위한 옵션을 일반적으로 예시한다.
도 4b 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연속적인 슬롯들에서 반복들을 송신하기 위한 타이밍 리소스들을 식별하기 위한 다른 옵션을 일반적으로 예시한다.
도 4c 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연속적인 슬롯들에서 반복들을 송신하기 위한 타이밍 리소스들을 식별하기 위한 다른 옵션을 일반적으로 예시한다.
도 4d 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연속적인 슬롯들에서 반복들을 송신하기 위한 타이밍 리소스들을 식별하기 위한 다른 옵션을 일반적으로 예시한다.
도 5 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연속적인 슬롯들에서 반복들을 송신하기 위한 주파수 리소스들을 식별하기 위한 옵션을 일반적으로 예시한다.
도 6a 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주파수 호핑 패턴을 식별하기 위한 옵션을 일반적으로 예시한다.
도 6b 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주파수 호핑 패턴을 식별하기 위한 다른 옵션을 일반적으로 예시한다.
도 7a 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SRS) 송신을 중재하기 위한 옵션을 일반적으로 예시한다.
도 7b 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SRS 송신을 중재하기 위한 다른 옵션을 일반적으로 예시한다.
도 8 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업링크 송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을 일반적으로 예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양태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위치 추정을 위한 관심 빔들을 식별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들 및 다른 양태들은 예시적인 양태들에 관련된 특정 예들을 보여주기 위하여 다음의 설명 및 관련된 도면들에서 개시되어 있다. 대안적인 양태들은 본 개시를 읽을 때 관련 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고, 본 개시의 범위 또는 사상으로부터 일탈함 없이 구성 및 실시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양태들의 관련 상세들을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잘 알려진 엘리먼트들은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거나 또는 생략될 수도 있다.
단어 "예시적인" 은 "예, 실례, 또는 예시로서 작용하는 것" 을 의미하도록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예시적인" 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양태가 반드시 다른 양태들에 비해 유리하거나 또는 바람직한 것으로서 해석될 필요는 없다. 마찬가지로, 용어 "양태들" 은 모든 양태들이 논의된 특징, 장점, 또는 동작 모드를 포함할 것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오직 특정 양태들만을 설명하고,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임의의 양태들을 한정하도록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들 ("a, "an" 및 "the") 은, 문맥에서 분명하게 달리 표시되지 않는다면 복수의 형태들을 물론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들 "구비한다", "구비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 은, 서술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엘리먼트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명시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엘리먼트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이들의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지 않음을 추가로 이해할 것이다.
추가로, 다양한 양태들은,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에 의해 수행될 액션들의 시퀀스들의 관점에서 설명될 수도 있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액션들이 특정 회로들 (예컨대,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에 의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들에 의해, 또는 이들 양자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인정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액션들의 이들 시퀀스들은, 실행 시, 연관된 프로세서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성을 수행하게 할 컴퓨터 명령들의 대응하는 세트가 저장된 임의의 형태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내에서 완전히 구현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양태들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도 있고, 이들 모두는 청구된 청구물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되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양태들의 각각에 대해, 임의의 그러한 양태들의 대응하는 형태는, 예를 들어, 설명된 액션을 수행 "하도록 구성된 로직" 및/또는 설명된 액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다른 구조적 컴포넌트들로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들 "사용자 장비" (UE) 및 "기지국" 은 달리 언급되지 않으면, 임의의 특정 무선 액세스 기술 (RAT) 에 특정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UE 는 사용자에 의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데 사용되는 임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 (예를 들어, 모바일 폰, 라우터, 태블릿 컴퓨터, 랩탑 컴퓨터, 추적 디바이스, 웨어러블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 안경, 증강 현실 (AR)/가상 현실 (VR) 헤드셋 등), 차량 (예를 들어, 자동차, 오토바이, 자전거 등),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 등) 일 수도 있다. UE 는 이동식일 수도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소정의 시간에) 정지식일 수도 있고,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RAN) 와 통신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UE" 는 "액세스 단말기" 또는 "AT",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가입자 디바이스", "가입자 단말기", "가입자국", "사용자 단말기" 또는 UT, "모바일 단말기", "이동국", 또는 이들의 변형으로 상호교환가능하게 지칭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UE들은 RAN 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고,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UE들은 인터넷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들과 그리고 다른 UE들과 접속될 수 있다. 물론, 유선 액세스 네트워크들, (예를 들어, IEEE 802.11 등에 기초한)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네트워크들 등과 같은, 코어 네트워크 및/또는 인터넷에 접속하는 다른 메커니즘들이 또한 UE들에 대해 가능하다.
기지국은 그 자신이 배치되는 네트워크에 의존하여 UE들과 통신하는 여러 RAT들 중 하나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고, 대안적으로는 액세스 포인트 (AP), 네트워크 노드, NodeB, 진화된 NodeB (eNB), NR 노드 B (gNB 또는 gNodeB 로도 또한 지칭됨)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시스템들에서, 기지국은 순수 에지 노드 시그널링 기능들을 제공할 수도 있지만, 다른 시스템들에서, 그 기지국은 추가적인 제어 및/또는 네트워크 관리 기능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UE들이 신호들을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는 통신 링크는 업링크 (UL) 채널 (예를 들어, 역방향 트래픽 채널, 역방향 제어 채널, 액세스 채널 등) 로 칭해진다. 기지국이 신호들을 UE들로 전송할 수 있는 통신 링크는 다운링크 (DL) 또는 순방향 링크 채널 (예를 들어, 페이징 채널, 제어 채널, 브로드캐스트 채널, 순방향 트래픽 채널 등) 로 칭해진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트래픽 채널 (TCH) 은 UL/역방향 또는 DL/순방향 트래픽 채널 중 어느 하나를 지칭할 수 있다.
용어 "기지국" 은 단일 물리적 송신-수신 포인트 (TRP) 를 지칭하거나 또는 공동-위치 (co-located) 수도 있거나 또는 공동-위치되지 않을 수도 있는 다중 물리적 TRP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용어 "기지국" 이 단일 물리적 TRP 를 지칭하는 경우, 물리적 TRP 는 기지국의 셀에 대응하는 기지국의 안테나일 수도 있다. 용어 "기지국" 이 다중 공동-위치된 물리적 TRP들을 지칭하는 경우, 물리적 TRP들은 기지국의 (다중 입력 다중 출력 (MIMO) 시스템 또는 기지국이 빔포밍을 채용하는 경우에서와 같은) 안테나들의 어레이일 수도 있다. 용어 "기지국" 이 다중 공동-위치되지 않은 물리적 TRP들을 지칭하는 경우, 물리적 TRP들은 분산형 안테나 시스템 (DAS) (전송 매체를 통해 공통 소스에 접속된 공간적으로 분리된 안테나들의 네트워크) 또는 원격 무선 헤드 (RRH) (서빙 기지국에 접속된 원격 기지국) 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공동-위치되지 않은 물리적 TRP들은 UE 로부터 측정 레포트를 수신하는 서빙 기지국 및 UE 가 레퍼런스 RF 신호들을 측정하고 있는 이웃 기지국일 수도 있다. TRP 는 기지국이 무선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는 포인트이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 또는 기지국에서의 수신에 대한 참조는 기지국의 특정 TRP 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RF 신호" 는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정보를 전송하는 주어진 주파수의 전자기 파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송신기는 수신기에 단일 "RF 신호" 또는 다중 "RF 신호들" 을 송신할 수도 있다. 그러나, 수신기는 다중경로 채널들을 통한 RF 신호들의 전파 특성들로 인해 각각의 송신된 RF 신호에 대응하는 다중 "RF 신호들" 을 수신할 수도 있다.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상이한 경로들 상의 동일한 송신된 RF 신호는 "다중경로" RF 신호로 지칭될 수도 있다.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도 1 은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을 예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이는 무선 광역 네트워크 (WWAN) 로도 또한 지칭될 수도 있음) 은 다양한 기지국들 (102) 및 다양한 UE들 (104) 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2) 은 매크로 셀 기지국들 (고 전력 셀룰러 기지국들) 및/또는 소형 셀 기지국들 (저 전력 셀룰러 기지국들)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매크로 셀 기지국은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이 LTE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eNB들, 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이 NR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gNB들, 또는 이들 양자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고, 소형 셀 기지국들은 펨토셀들, 피코셀들, 마이크로셀들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2) 은 집합적으로 RAN 을 형성하고 백홀 링크들 (122) 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 (170) (예를 들어, 진화된 패킷 코어 (EPC) 또는 차세대 코어 (NGC)) 와, 그리고 코어 네트워크 (170) 를 통해 하나 이상의 로케이션 서버들 (172) 에 인터페이스할 수도 있다. 다른 기능들에 더하여, 기지국들 (102) 은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무선 채널 암호화 및 복호화, 무결성 보호, 헤더 압축, 이동성 제어 기능들 (예를 들어, 핸드오버, 이중 접속성), 셀간 간섭 조정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접속 설정 및 해제, 로드 밸런싱 (load balancing), NAS (non-access stratum) 메시지들에 대한 분배, NAS 노드 선택, 동기화, RAN 공유,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MBMS), 가입자 및 장비 트레이스, RAN 정보 관리 (RIM), 페이징, 포지셔닝, 및 경고 메시지들의 전달 중 하나 이상에 관련된 기능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2) 은, 유선 또는 무선일 수도 있는 백홀 링크들 (134) 을 통해 서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예컨대, EPC/NGC 를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2) 은 UE들 (104) 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2) 의 각각은 개별의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 (110) 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셀들은 각각의 커버리지 영역 (110) 에서 기지국 (102) 에 의해 지원될 수도 있다. "셀" 은 (예를 들어, 캐리어 주파수, 컴포넌트 캐리어, 캐리어, 대역 등으로 지칭되는 일부 주파수 리소스를 통해)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논리적 통신 엔티티이고, 동일한 또는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를 통해 동작하는 셀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자 (예를 들어, 물리적 셀 식별자 (PCID), 가상 셀 식별자 (VCID)) 와 연관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상이한 셀들은 상이한 타입들의 UE들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할 수도 있는 상이한 프로토콜 타입들 (예를 들어, 머신 타입 통신 (MTC), 협대역 IoT (NB-IoT), 강화된 모바일 브로드밴드 (eMBB) 등등) 에 따라 구성될 수도 있다. 셀은 특정 기지국에 의해 지원되기 때문에, 용어 "셀" 은, 문맥에 따라, 논리적 통신 엔티티 및 그것을 지원하는 기지국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지칭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용어 "셀" 은, 캐리어 주파수가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들 (110) 의 일부 부분 내에서 통신을 위해 검출 및 사용될 수 있는 한은, 기지국의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 (예를 들어, 섹터) 을 또한 지칭할 수도 있다.
이웃하는 매크로 셀 기지국 (102)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들 (110) 은 (예를 들어, 핸드오버 영역에서) 부분적으로 오버랩할 수도 있지만,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들 (110) 의 일부는 더 큰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 (110) 에 의해 실질적으로 오버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형 셀 기지국 (102') 은 하나 이상의 매크로 셀 기지국들 (102) 의 커버리지 영역 (110) 과 실질적으로 오버랩하는 커버리지 영역 (110') 을 가질 수도 있다. 소형 셀 및 매크로 셀 기지국들 양자 모두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는 이종 네트워크로 알려질 수도 있다. 이종 네트워크는 또한 폐쇄 가입자 그룹 (CSG) 으로 알려진 제한된 그룹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는 홈 eNB들 (HeNB들) 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2) 과 UE들 (104) 사이의 통신 링크들 (120) 은 UE (104) 로부터 기지국 (102) 으로의 UL (역방향 링크로도 또한 지칭됨) 송신들 및/또는 기지국 (102) 으로부터 UE (104) 로의 다운링크 (DL) (순방향 링크로도 또한 지칭됨) 송신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링크들 (120) 은 공간 멀티플렉싱, 빔포밍, 및/또는 송신 다이버시티를 포함하는, MIMO 안테나 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다. 통신 링크들 (120) 은 하나 이상의 캐리어 주파수들을 통할 수도 있다. 캐리어들의 할당은 DL 및 UL 에 관하여 비대칭적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L 에 대한 것보다 더 많거나 또는 더 적은 캐리어들이 DL 에 대해 할당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은 비허가 주파수 스펙트럼 (예를 들어, 5 GHz) 에서 통신 링크들 (154) 을 통해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스테이션들 (STA들) (152) 과 통신하는 WLAN 액세스 포인트 (AP) (150) 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비허가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통신할 경우, WLAN STA들 (152) 및/또는 WLAN AP (150) 는 채널이 이용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통신하기 전에 클리어 채널 평가 (clear channel assessment; CCA) 를 수행할 수도 있다.
소형 셀 기지국 (102') 은 허가 및/또는 비허가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동작할 수도 있다. 비허가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동작할 경우, 소형 셀 기지국 (102') 은 LTE 또는 NR 기술을 채용하고 WLAN AP (150) 에 의해 사용된 것과 동일한 5 GHz 비허가 주파수 스펙트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비허가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LTE/5G 를 채용하는 소형 셀 기지국 (102') 은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커버리지를 신장시키고/시키거나 액세스 네트워크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비허가 스펙트럼에서의 NR 는 NR-U 로 지칭될 수도 있다. 비허가 스펙트럼에서의 LTE 는 LTE-U, 허가 지원 액세스 (licensed assisted access; LAA), 또는 MulteFire 로 지칭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은, UE (182) 와 통신하는 밀리미터 파 (mmW) 주파수들 및/또는 근 (near) mmW 주파수들에서 동작할 수도 있는 mmW 기지국 (180) 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극고 주파수 (extremely high frequency; EHF) 는 전자기 스펙트럼에서의 RF 의 부분이다. EHF 는 30 GHz 내지 300 GHz 의 범위 및 1 밀리미터와 10 밀리미터 사이의 파장을 갖는다. 이 대역에서의 무선 파들은 밀리미터 파로 지칭될 수도 있다. 근 mmW 는 100 밀리미터의 파장을 갖는 3 GHz 의 주파수까지 아래로 확장할 수도 있다. 초고 주파수 (super high frequency; SHF) 대역은 3 GHz 와 30 GHz 사이로 확장되고, 또한 센티미터 파 (centimeter wave) 로 지칭된다. mmW/근 mmW 무선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통신은 높은 경로 손실 및 비교적 짧은 범위를 갖는다. mmW 기지국 (180) 및 UE (182) 는 극단적으로 높은 경로 손실 및 짧은 범위를 보상하기 위해 mmW 통신 링크 (184) 를 통한 빔포밍을 활용 (송신 및/또는 수신) 할 수도 있다. 추가로, 대안적인 구성들에서,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 (102) 은 또한 mmW 또는 근 mmW 및 빔포밍을 사용하여 송신할 수도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예시들은 오직 예들일 뿐이며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다양한 양태들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송신 빔포밍은 RF 신호를 특정 방향으로 포커싱하기 위한 기법이다. 전통적으로, 네트워크 노드 (예를 들어, 기지국) 가 RF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경우, 그 네트워크 노드는 신호를 모든 방향들로 (전방향으로) 브로드캐스팅한다. 송신 빔포밍으로, 네트워크 노드는 주어진 타겟 디바이스 (예를 들어, UE) 가 (송신 네트워크 노드에 대하여) 위치되는 곳을 결정하고 보다 강한 다운링크 RF 신호를 그 특정 방향으로 프로젝팅하여, 그것에 의해 수신 디바이스(들)에 대해 (데이터 레이트 관점에서) 더 빠르고 더 강한 RF 신호를 제공한다. 송신할 때 RF 신호의 방향성을 변경하기 위해, 네트워크 노드는 RF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송신기들의 각각에서의 RF 신호의 위상 및 상대 진폭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는 안테나들을 실제로 이동시키지 않고, 상이한 방향들을 향하도록 "스티어링" 될 수 있는 RF 파들의 빔을 생성하는 안테나들의 어레이 ("페이즈드 어레이 (phased array)" 또는 "안테나 어레이" 로 지칭됨) 를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송신기로부터의 RF 전류는, 별도의 안테나들로부터의 무선 파들이 원하지 않는 방향들로의 방사를 억제하기 위해 캔슬되면서, 원하는 방향으로의 방사를 증가시키기 위해 합산되도록 정확한 위상 관계로 개개의 안테나들에 공급된다.
송신 빔들은 의사-병치될 (quasi-collocated) 수도 있는데, 이는 그 송신 빔들이, 네트워크 노드의 송신 안테나들 자체가 물리적으로 병치되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수신기 (예를 들어, UE) 에 동일한 파라미터들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NR 에는, 4 개의 타입들의 의사-병치 (QCL) 관계들이 있다. 구체적으로, 주어진 타입의 QCL 관계는, 제 2 빔 상의 제 2 레퍼런스 RF 신호에 관한 소정의 파라미터들이 소스 빔 상의 소스 레퍼런스 RF 신호에 관한 정보로부터 도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소스 레퍼런스 RF 신호가 QCL 타입 A 이면, 수신기는 동일한 채널 상에서 송신된 제 2 레퍼런스 RF 신호의 도플러 시프트, 도플러 확산, 평균 지연, 및 지연 확산을 추정하기 위해 소스 레퍼런스 RF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소스 레퍼런스 RF 신호가 QCL 타입 B 이면, 수신기는 동일한 채널 상에서 송신된 제 2 레퍼런스 RF 신호의 도플러 시프트 및 도플러 확산을 추정하기 위해 소스 레퍼런스 RF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소스 레퍼런스 RF 신호가 QCL 타입 C 이면, 수신기는 동일한 채널 상에서 송신된 제 2 레퍼런스 RF 신호의 도플러 시프트 및 평균 지연을 추정하기 위해 소스 레퍼런스 RF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소스 레퍼런스 RF 신호가 QCL 타입 D 이면, 수신기는 동일한 채널 상에서 송신된 제 2 레퍼런스 RF 신호의 공간 수신 파라미터를 추정하기 위해 소스 레퍼런스 RF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수신 빔포밍에서, 수신기는 주어진 채널 상에서 검출된 RF 신호들을 증폭시키기 위해 수신 빔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수신기는 이득 설정을 증가시키고/증가시키거나 특정 방향으로 안테나들의 어레이의 위상 설정을 조정하여 그 방향으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들을 증폭 (예를 들어, 그의 이득 레벨을 증가)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신기가 소정의 방향으로 빔포밍한다고 하면, 그것은 그 방향의 빔 이득이 다른 방향들을 따른 빔 이득에 비해 높거나, 또는 그 방향의 빔 이득이 수신기에 이용가능한 모든 다른 수신 빔들의 그 방향의 빔 이득과 비교하여 가장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그 방향으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들의 더 강한 수신 신호 강도 (예를 들어, 레퍼런스 신호 수신 전력 (RSRP), 레퍼런스 신호 수신 품질 (RSRQ), 신호 대 간섭 플러스 잡음비 (SINR) 등) 를 초래한다.
수신 빔들은 공간적으로 관련될 수도 있다. 공간 관계는 제 2 레퍼런스 신호에 대한 송신 빔에 대한 파라미터들이 제 1 레퍼런스 신호에 대한 수신 빔에 관한 정보로부터 도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UE 는 기지국으로부터 레퍼런스 다운링크 레퍼런스 신호 (예를 들어, 동기화 신호 블록 (SSB)) 를 수신하기 위해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할 수도 있다. UE 는 그 후 수신 빔의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업링크 레퍼런스 신호 (예를 들어,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SRS)) 를 그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송신 빔을 형성할 수 있다.
"다운링크" 빔은 그것을 형성하는 엔티티에 따라 송신 빔 또는 수신 빔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음에 주목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UE 에 레퍼런스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다운링크 빔을 형성하고 있다면, 다운링크 빔은 송신 빔이다. 그러나, UE 가 다운링크 빔을 형성하고 있다면, 그것은 다운링크 레퍼런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빔이다. 유사하게, "업링크" 빔은 그것을 형성하는 엔티티에 따라, 송신 빔 또는 수신 빔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업링크 빔을 형성하고 있으면, 그것은 업링크 수신 빔이고, UE 가 업링크 빔을 형성하고 있으면, 그것은 업링크 송신 빔이다.
5G 에서, 무선 노드들 (예를 들어, 기지국들 (102/180), UE들 (104/182)) 이 동작하는 주파수 스펙트럼은 다중 주파수 범위들, FR1 (450 내지 6000 MHz), FR2 (24250 내지 52600 MHz), FR3 (52600 MHz 초과), 및 FR4 (FR1 과 FR2 사이) 로 분할된다. 5G 와 같은 멀티-캐리어 시스템에서, 캐리어 주파수들 중 하나는 "프라이머리 캐리어" 또는 "앵커 캐리어" 또는 "프라이머리 서빙 셀" 또는 "PCell" 로 지칭되고, 나머지 캐리어 주파수들은 "세컨더리 캐리어들" 또는 "세컨더리 서빙 셀들" 또는 "SCell들" 로 지칭된다. 캐리어 집성에서, 앵커 캐리어는 UE (104/182) 에 의해 활용된 프라이머리 주파수 (예를 들어, FR1) 에서 동작하는 캐리어 및 UE (104/182) 가 초기 무선 리소스 제어 (RRC) 접속 확립 절차를 수행하거나 또는 RRC 접속 재확립 절차를 개시하거나 둘 중 하나를 행하는 셀이다. 프라이머리 캐리어는 모든 공통 및 UE 특정 제어 채널들을 반송하고, 허가 주파수의 캐리어일 수도 있다 (그러나,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세컨더리 캐리어는 RRC 접속이 UE (104) 와 앵커 캐리어 사이에 확립되면 구성될 수도 있고 추가적인 무선 리소스들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는 제 2 주파수 (예를 들어, RF2) 에서 동작하는 캐리어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세컨더리 캐리어는 비허가 주파수의 캐리어일 수도 있다. 세컨더리 캐리어는 오직 필수적인 시그널링 정보 및 신호들만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업링크 및 다운링크 캐리어들 양자 모두가 통상적으로 UE 특정적이기 때문에, UE 특정적인 것들은 세컨더리 캐리어에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는 셀 내의 상이한 UE들 (104/182) 이 상이한 다운링크 프라이머리 캐리어들을 가질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업링크 프라이머리 캐리어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네트워크는 언제라도 임의의 UE (104/182) 의 프라이머리 캐리어를 변경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상이한 캐리어들에 대한 부하를 밸런싱하기 위해 행해진다. (PCell 이든 SCell 이든) "서빙 셀" 이 일부 기지국이 통신하고 있는 캐리어 주파수/컴포넌트 캐리어에 대응하기 때문에, 용어 "셀", "서빙 셀", "컴포넌트 캐리어", "캐리어 주파수" 등이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전히 도 1 을 참조하면, 매크로 셀 기지국들 (102) 에 의해 활용된 주파수들 중 하나는 앵커 캐리어 (또는 "PCell") 일 수도 있고 매크로 셀 기지국들 (102) 및/또는 mmW 기지국 (180) 에 의해 활용된 다른 주파수들은 세컨더리 캐리어들 ("SCell들") 일 수도 있다. 다중 캐리어들의 동시 송신 및/또는 수신은 UE (104/182) 로 하여금, 그 데이터 송신 및/또는 수신 레이트들을 상당히 증가시킬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멀티-캐리어 시스템에서의 2 개의 20 MHz 집성 캐리어들은 이론적으로는, 단일 20 MHz 캐리어에 의해 얻어진 것과 비교하여, 데이터 레이트의 2 배 증가 (즉, 40 MHz) 를 야기할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투-디바이스 (D2D) 피어-투-피어 (P2P) 링크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들에 간접적으로 접속하는 UE (190) 와 같은 하나 이상의 UE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 의 예에서, UE (190) 는 (UE (190) 가 셀룰러 접속성을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도 있는) 기지국들 (102) 중 하나에 접속된 UE들 (104) 중 하나와의 D2D P2P 링크 (192) 및 (UE (190) 가 WLAN 기반 인터넷 접속성을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도 있는) WLAN AP (150) 에 접속된 WLAN STA (152) 와의 D2D P2P 링크 (194) 를 갖는다. 일 예로, D2D P2P 링크들 (192 및 194) 은 LTE-D (LTE Direct), WiFi-D (WiFi Direct), Bluetooth® 등과 같은 임의의 잘 알려진 D2D RAT 로 지원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은 통신 링크 (120) 를 통해 매크로 셀 기지국 (102) 및/또는 mmW 통신 링크 (184) 를 통해 mmW 기지국 (180) 과 통신할 수도 있는 UE (164) 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매크로 셀 기지국 (102) 은 UE (164) 에 대해 PCell 및 하나 이상의 SCell들을 지원할 수도 있고 mmW 기지국 (180) 은 UE (164) 에 대해 하나 이상의 SCell들을 지원할 수도 있다.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도 2a 는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 구조 (200) 를 예시한다. 예를 들어, NGC (210) ("5GC" 로도 또한 지칭됨) 는, 코어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협력하여 동작하는 제어 평면 기능들 (214) (예컨대, UE 등록, 인증, 네트워크 액세스, 게이트웨이 선택 등), 및 사용자 평면 기능들 (212) (예컨대, UE 게이트웨이 기능, 데이터 네트워크들에 대한 액세스, IP 라우팅 등) 로서 기능적으로 보여질 수 있다. 사용자 평면 인터페이스 (NG-U) (213) 및 제어 평면 인터페이스 (NG-C) (215) 는 gNB (222) 를 NGC (210) 에 그리고 구체적으로 제어 평면 기능들 (214) 및 사용자 평면 기능들 (212) 에 접속한다. 추가적인 구성에서, eNB (224) 는 또한 NGC (210) 에, 제어 평면 기능들 (214) 에 대한 NG-C (219) 및 사용자 평면 기능들 (212) 에 대한 NG-U (217) 를 통해 접속될 수도 있다. 추가로, eNB (224) 는 백홀 접속 (223) 을 통해 gNB (222) 와 직접 통신할 수도 있다. 일부 구성들에서, 뉴 RAN (220) 은 오직 하나 이상의 gNB들 (222) 만을 가질 수도 있는 한편, 다른 구성들은 하나 이상의 eNB들 (224) 과 gNB들 (222) 양자 모두를 포함한다. gNB (222) 또는 eNB (224) 중 어느 하나는 UE들 (204) (예를 들어, 도 1 에 도시된 UE들 중 임의의 것) 과 통신할 수도 있다. 다른 옵션의 양태는 UE들 (204) 에 대한 로케이션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NGC (210) 와 통신할 수도 있는 로케이션 서버 (location server) (23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로케이션 서버 (230) 는 복수의 별도의 서버들 (예를 들어, 물리적으로 분리된 서버들, 단일 서버 상의 상이한 소프트웨어 모듈들, 다중 물리적 서버들에 걸쳐 확산된 상이한 소프트웨어 모듈들 등) 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단일 서버에 각각 대응할 수도 있다. 로케이션 서버 (230) 는 코어 네트워크, NGC (210) 를 통해, 및/또는 인터넷 (예시되지 않음) 을 통해 로케이션 서버 (230) 에 접속할 수 있는 UE들 (204) 에 대해 하나 이상의 로케이션 서비스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로케이션 서버 (230) 는 코어 네트워크의 컴포넌트에 통합될 수도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코어 네트워크 외부에 있을 수도 있다.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도 2b 는 다른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 구조 (250) 를 예시한다. 예를 들어, NGC (260) ("5GC" 로도 또한 지칭됨) 는 코어 네트워크 (즉, NGC (260)) 를 형성하기 위해 협력하여 동작하는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 (AMF)/사용자 평면 기능 (UPF) (264) 에 의해 제공된 제어 평면 기능들, 및 세션 관리 기능 (SMF) (262) 에 의해 제공된 사용자 평면 기능들로서 기능적으로 보여질 수 있다. 사용자 평면 인터페이스 (267) 및 제어 평면 인터페이스 (269) 는 eNB (224) 를 NGC (260) 에 그리고 구체적으로 SMF (262) 및 AMF/UPF (264) 에 각각 접속한다. 추가적인 구성에서, gNB (222) 는 또한, NGC (260) 에, AMF/UPF (264) 에 대한 제어 평면 인터페이스 (265) 및 SMF (262) 에 대한 사용자 평면 인터페이스 (263) 를 통해 접속될 수도 있다. 추가로, eNB (224) 는 NGC (260) 에 대한 gNB 직접 접속성을 가지고 또는 없이, 백홀 접속 (223) 을 통해 gNB (222) 와 직접 통신할 수도 있다. 일부 구성들에서, 뉴 RAN (220) 은 오직 하나 이상의 gNB들 (222) 만을 포함할 수도 있는 한편, 다른 구성들은 하나 이상의 eNB들 (224) 및 gNB들 (222) 양자 모두를 포함한다. gNB (222) 및 eNB (224) 중 어느 하나는 UE들 (204) (예를 들어, 도 1 에 도시된 UE들 중 임의의 것) 과 통신할 수도 있다. 뉴 RAN (220) 의 기지국들은 N2 인터페이스를 통해 AMF/UPF (264) 의 AMF 측 및 N3 인터페이스를 통해 AMF/UPF (264) 의 UPF 측과 통신한다.
AMF 의 기능들은 등록 관리, 접속 관리, 도달가능성 관리, 이동성 관리, 합법적 인터셉션, UE (204) 와 SMF (262) 사이의 세션 관리 (SM) 메시지들에 대한 전송, SM 메시지들을 라우팅하기 위한 투명 프록시 서비스들, 액세스 인증 및 액세스 인가, UE (204) 와 단문 메시지 서비스 기능 (SMSF) (도시되지 않음) 사이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SMS) 메시지들에 대한 전송, 및 보안 앵커 기능성 (SEAF) 을 포함한다. AMF 는 또한, 인증 서버 기능 (AUSF) (도시되지 않음) 및 UE (204) 와 상호작용하고 UE (204) 인증 프로세스의 결과로서 확립되었던 중간 키를 수신한다. UMTS (유니버셜 모바일 원격통신 시스템) 가입자 아이덴티티 모듈 (USIM) 에 기초한 인증의 경우에, AMF 는 AUSF 로부터 보안 자료를 취출한다. AMF 의 기능들은 또한 보안 컨텍스트 관리 (SCM) 를 포함한다. SCM 은 액세스 네트워크 특정 키들을 도출하는데 사용하는 키를 SEAF 로부터 수신한다. AMF 의 기능성은 또한, 규제 서비스들에 대한 로케이션 서비스들 관리, UE (204) 와 로케이션 관리 기능 (LMF) (270) 사이 뿐만 아니라 뉴 RAN (220) 과 LMF (270) 사이의 로케이션 서비스들 메시지들에 대한 전송, EPS 와 상호연동하기 위한 진화된 패킷 시스템 (EPS) 베어러 식별자 할당, 및 UE (204) 이동성 이벤트 통지를 포함한다. 또한, AMF 는 또한,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들에 대한 기능성들을 지원한다.
UPF 의 기능들은 (적용가능한 경우) RAT 내 (intra)/간 (inter) 이동성을 위한 앵커 포인트로서의 역할, 데이터 네트워크 (도시되지 않음) 에 대한 상호접속의 외부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PDU) 세션 포인트로서의 역할, 패킷 라우팅 및 포워딩, 패킷 검사, 사용자 평면 정책 규칙 시행 (예를 들어, 게이팅, 방향수정 (redirection), 트래픽 스티어링), 합법적 인터셉션 (사용자 평면 컬렉션), 트래픽 사용 보고, 사용자 평면에 대한 서비스 품질 (QoS) 핸들링 (예를 들어, UL/DL 레이트 시행, DL 에서의 반사적 QoS 마킹), UL 트래픽 검증 (서비스 데이터 플로우 (SDF) 대 QoS 플로우 맵핑), UL 및 DL 에서의 전송 레벨 패킷 마킹, DL 패킷 버퍼링 및 DL 데이터 통지 트리거링의 제공, 및 하나 이상의 "엔드 마커들" 의 소스 RAN 노드로의 전송 및 포워딩을 포함한다.
SMF (262) 의 기능들은 세션 관리, UE 인터넷 프로토콜 (IP) 어드레스 할당 및 관리, 사용자 평면 기능들의 선택 및 제어, 적절한 목적지로 트래픽을 라우팅하기 위한 UPF 에서의 트래픽 스티어링의 구성, 정책 시행 및 QoS 의 부분의 제어, 및 다운링크 데이터 통지를 포함한다. SMF (262) 가 AMF/UPF (264) 의 AMF 측과 통신하는 인터페이스는 N11 인터페이스로 지칭된다.
다른 옵션의 양태는 UE들 (204) 에 대한 로케이션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NGC (260) 와 통신할 수도 있는 LMF (27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LMF (270) 는 복수의 별도의 서버들 (예를 들어, 물리적으로 분리된 서버들, 단일 서버 상의 상이한 소프트웨어 모듈들, 다중 물리적 서버들에 걸쳐 확산된 상이한 소프트웨어 모듈들 등) 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단일 서버에 각각 대응할 수도 있다. LMF (270) 는 코어 네트워크, NGC (260) 를 통해, 및/또는 인터넷 (예시되지 않음) 을 통해 LMF (270) 에 접속할 수 있는 UE들 (204) 에 대해 하나 이상의 로케이션 서비스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a 는 본 명세서에서 교시된 바와 같은 파일 송신 동작들을 지원하기 위해 UE (302)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UE들 중 임의의 것에 대응할 수도 있음), 기지국 (304)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지국들 중 임의의 것에 대응할 수도 있음), 및 네트워크 엔티티 (306)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네트워크 기능들 중 임의의 것에 대응하거나 또는 그를 구현할 수도 있음, 로케이션 서버 (230) 및 LMF (270) 를 포함함) 에 통합될 수도 있는 여러 샘플 컴포넌트들 (대응하는 블록들에 의해 표현됨) 을 예시한다. 이들 컴포넌트들은 상이한 구현들에서 (예를 들어, ASIC 에서, 시스템-온-칩 (SoC) 에서 등등에서) 상이한 타입들의 장치들로 구현될 수도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예시된 컴포넌트들은 또한 통신 시스템의 다른 장치들에 통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의 다른 장치들은 유사한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해 설명된 것들과 유사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주어진 장치는 컴포넌트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장치는 그 장치로 하여금, 다중 캐리어들 상에서 동작하고/동작하거나 상이한 RAT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다중 트랜시버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UE (302) 및 기지국 (304) 은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RAT 를 통해 다른 노드들과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 (통신 디바이스들 (308 및 314) (및 장치 (304) 가 중계기인 경우 통신 디바이스 (320)) 에 의해 표현됨) 를 각각 포함한다.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들 (308 및 314) 은 도 1 의 통신 링크 (120) 에 대응할 수도 있는 무선 통신 링크 (360) 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각각의 통신 디바이스 (308) 는 신호들 (예를 들어, 메시지들, 표시들, 정보 등) 을 송신 및 인코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송신기 (310) 에 의해 표현됨) 및 신호들 (예를 들어, 메시지들, 표시들, 정보, 파일럿들 등) 을 수신 및 디코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수신기 (312) 에 의해 표현됨) 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 (308) 는 TDD 무선 아키텍처와 연관된 다운링크 주기 동안 기지국 (304) 으로부터 송신된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통신 디바이스 (308) 는 TDD 무선 아키텍처와 연관된 업링크 주기 동안 기지국 (BS) 에 하나 이상의 업링크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운링크 신호들은 다운링크 캐리어 파를 사용하여 변조될 수도 있고, 업링크 신호들은 업링크 캐리어 파를 사용하여 변조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각각의 통신 디바이스 (314) 는 신호들 (예를 들어, 메시지들, 표시들, 정보, 파일럿들 등) 을 송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송신기 (316) 에 의해 표현됨) 및 신호들 (예를 들어, 메시지들, 표시들, 정보 등) 을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수신기 (318) 에 의해 표현됨) 를 포함한다. 기지국 (304) 이 중계국이면, 각각의 통신 디바이스 (320) 는 신호들 (예를 들어, 메시지들, 표시들, 정보, 파일럿들 등) 을 송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송신기 (322) 에 의해 표현됨) 및 신호들 (예를 들어, 메시지들, 표시들, 정보 등) 을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수신기 (324) 에 의해 표현됨)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 (314) 는, TDD 무선 아키텍처와 연관된 업링크 주기 동안 예를 들어, UE (302) 로부터 송신된 하나 이상의 업링크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통신 디바이스 (314) 는 TDD 무선 아키텍처와 연관된 다운링크 주기 동안 UE (302) 에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운링크 신호들은 다운링크 캐리어 파를 사용하여 변조될 수도 있고, 업링크 신호들은 업링크 캐리어 파를 사용하여 변조될 수도 있다.
송신기 및 수신기는 일부 구현들에서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트랜시버" 로 지칭되는 단일 통신 디바이스의 송신기 회로 및 수신기 회로로서 구현된) 집적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거나, 일부 구현들에서 별도의 송신기 디바이스 및 별도의 수신기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거나, 또는 다른 구현들에서 다른 방식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기지국 (304) 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 (예를 들어, 다중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 는 또한 다양한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해 NLM (network listen module)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엔티티 (306) (및 중계국이 아니면 기지국 (304)) 는 다른 노드들과 통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통신 디바이스 (통신 디바이스 (326, 및 옵션으로는 320) 에 의해 표현됨) 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 (326) 는 유선 기반 또는 무선 백홀 (370) (도 1 의 백홀 링크 (122) 에 대응할 수도 있음) 을 통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엔티티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통신 디바이스 (326) 는 유선 기반 또는 무선 신호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로서 구현될 수도 있고, 송신기 (328) 및 수신기 (330) 는 집적 유닛일 수도 있다. 이 통신은, 예를 들어, 메시지들, 파라미터들, 또는 다른 타입들의 정보를 전송하는 것 및 수신하는 것을 수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3a 의 예에서, 통신 디바이스 (326) 는 송신기 (328) 및 수신기 (330) 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대안적으로, 송신기 (328) 및 수신기 (330) 는 통신 디바이스 (326) 내의 별도의 디바이스들일 수도 있다. 유사하게, 기지국 (304) 이 중계국이 아니면, 통신 디바이스 (320) 는 유선 기반 또는 무선 백홀 (370) 을 통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엔티티들 (306) 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디바이스 (326) 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통신 디바이스 (320) 는 송신기 (322) 및 수신기 (324) 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장치들 (302, 304, 및 306) 은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바와 같은 파일 송신 동작들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는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UE (302) 는,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UE 동작들에 관한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한 그리고 다른 프로세싱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싱 시스템 (332) 을 포함한다. 기지국 (304) 은,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지국 동작들에 관한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한 그리고 다른 프로세싱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싱 시스템 (334) 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엔티티 (306) 는,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네트워크 기능 동작들에 관한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한 그리고 다른 프로세싱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싱 시스템 (336) 을 포함한다. 장치들 (302, 304, 및 306) 은, 정보 (예를 들어, 예약된 리소스들, 임계치들, 파라미터들 등을 표시하는 정보) 를 유지하기 위해 각각 메모리 컴포넌트들 (338, 340, 및 342) (예를 들어, 메모리 디바이스를 각각 포함함) 을 포함한다. 또한, UE (302) 는 사용자에게 표시들 (예를 들어, 청각적 및/또는 시각적 표시들) 을 제공하기 위한 및/또는 (예를 들어, 키패드, 터치 스크린, 마이크로폰 등과 같은 센싱 디바이스의 사용자 작동 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350) 를 포함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장치들 (304 및 306) 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 (334) 을 더 상세히 참조하면, 다운링크에서, 네트워크 엔티티 (306) 로부터의 IP 패킷들은 프로세싱 시스템 (334) 에 제공될 수도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 (334) 은 RRC 계층,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계층, 무선 링크 제어 (RLC) 계층, 및 매체 액세스 제어 (MAC) 계층에 대한 기능성을 구현할 수도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 (334) 은 시스템 정보 (예를 들어, 마스터 정보 블록 (MIB), 시스템 정보 블록들 (SIB들)) 의 브로드캐스팅, RRC 접속 제어 (예를 들어, RRC 접속 페이징, RRC 접속 확립, RRC 접속 수정, 및 RRC 접속 해제), RAT 간 이동성, 및 UE 측정 보고를 위한 측정 구성과 연관된 RRC 계층 기능성; 헤더 압축/압축해제, 보안 (암호화, 복호화, 무결성 보호, 무결성 검증), 및 핸드오버 지원 기능들과 연관된 PDCP 계층 기능성; 상위 계층 패킷 데이터 유닛들 (PDU들) 의 전송, 자동 반복 요청 (ARQ) 을 통한 에러 정정, RLC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 (SDU들) 의 연결 (concatenation), 세그먼트화, 및 리어셈블리, RLC 데이터 PDU들의 리세그먼트화, 및 RLC 데이터 PDU들의 리오더링 (reordering) 과 연관된 RLC 계층 기능성; 및 논리 채널들과 전송 채널들 사이의 맵핑, 스케줄링 정보 보고, 에러 정정, 우선순위 핸들링, 및 논리 채널 우선순위화와 연관된 MAC 계층 기능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송신기 (316) 및 수신기 (318) 는 다양한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과 연관된 계층-1 기능성을 구현할 수도 있다. 물리 (PHY) 계층을 포함하는 계층-1 은, 전송 채널들 상의 에러 검출, 전송 채널들의 순방향 에러 정정 (FEC) 코딩/디코딩, 인터리빙, 레이트 매칭, 물리 채널들 상으로의 맵핑, 물리 채널들의 변조/복조, 및 MIMO 안테나 프로세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송신기 (316) 는 다양한 변조 스킴들 (예를 들어,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 (BPSK), 직교 위상 시프트 키잉 (QPSK), M-위상 시프트 키잉 (M-PSK), M-직교 진폭 변조 (M-QAM)) 에 기초한 신호 콘스텔레이션들로의 맵핑을 핸들링한다. 코딩된 및 변조된 심볼들은 그 후 병렬 스트림들로 스플리팅될 수도 있다. 각각의 스트림은 그 후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OFDM) 서브캐리어에 맵핑되고, 시간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레퍼런스 신호 (예를 들어, 파일럿) 로 멀티플렉싱되고, 그 후 역 고속 푸리에 변환 (IFFT) 을 사용하여 함께 결합되어 시간 도메인 OFDM 심볼 스트림을 반송하는 물리 채널을 생성할 수도 있다. OFDM 스트림은 다중 공간 스트림들을 생성하기 위해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다. 채널 추정기로부터의 채널 추정치들은 공간 프로세싱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코딩 및 변조 스킴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채널 추정치는 UE (302) 에 의해 송신된 레퍼런스 신호 및/또는 채널 컨디션 피드백으로부터 도출될 수도 있다. 각각의 공간 스트림은 그 후 하나 이상의 상이한 안테나들에 제공될 수도 있다. 송신기 (316) 는 송신을 위해 개별의 공간 스트림으로 RF 캐리어를 변조할 수도 있다.
UE (302) 에서, 수신기 (312) 는 그 개별의 안테나(들)를 통해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기 (312) 는 RF 캐리어 상으로 변조된 정보를 복구하고, 그 정보를 프로세싱 시스템 (332) 에 제공한다. 송신기 (310) 및 수신기 (312) 는 다양한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과 연관된 계층-1 기능성을 구현한다. 수신기 (312) 는 UE (302) 에 대해 예정된 임의의 공간 스트림들을 복구하기 위해 정보에 대한 공간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중 공간 스트림들이 UE (302) 에 대해 예정된 경우, 그들은 수신기 (312) 에 의해 단일 OFDM 심볼 스트림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수신기 (312) 는 그 후 고속 푸리에 변환 (TTF) 을 사용하여 시간 도메인으로부터 주파수 도메인으로 OFDM 심볼 스트림을 변환한다. 주파수 도메인 신호는 OFDM 신호의 각각의 서브캐리어에 대해 별도의 OFDM 심볼 스트림을 포함한다. 각각의 서브캐리어 상의 심볼들, 및 레퍼런스 신호는, 기지국 (304) 에 의해 송신된 가장 가능성있는 신호 콘스텔레이션 포인트들을 결정함으로써 복구 및 복조된다. 이들 소프트 판정 (soft decision) 들은 채널 추정기에 의해 컴퓨팅된 채널 추정치들에 기초할 수도 있다. 소프트 판정들은 그 후 물리 채널 상에서 기지국 (304) 에 의해 원래 송신되었던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을 복구하기 위해 디코딩 및 디인터리빙된다.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은 그 후 계층-3 및 계층 2 기능성을 구현하는 프로세싱 시스템 (332) 에 제공된다.
DL 에서, 프로세싱 시스템 (332) 은 전송 채널과 논리 채널 사이의 디멀티플렉싱, 패킷 리어셈블리, 복호화, 헤더 압축해제, 및 제어 신호 프로세싱을 제공하여,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IP 패킷들을 복구한다. 프로세싱 시스템 (332) 은 또한 에러 검출을 책임진다.
기지국 (304) 에 의한 DL 송신과 관련하여 설명된 기능성과 유사하게, 프로세싱 시스템 (332) 은 시스템 정보 (예를 들어, MIB, SIB들) 포착, RRC 접속들, 및 측정 보고와 연관된 RRC 계층 기능성; 헤더 압축/압축해제, 및 보안 (암호화, 복호화, 무결성 보호, 무결성 검증) 과 연관된 PDCP 계층 기능성; 상위 계층 PDU들의 전송, ARQ 를 통한 에러 정정, RLC SDU들의 연결, 세그먼트화, 및 리어셈블리, RLC 데이터 PDU들의 리세그먼트화, 및 RLC 데이터 PDU들의 리오더링과 연관된 RLC 계층 기능성; 및 논리 채널들과 전송 채널들 사이의 맵핑, 전송 블록들 (TB들) 상으로의 MAC SDU들의 멀티플렉싱, TB들로부터의 MAC SDU들의 디멀티플렉싱, 스케줄링 정보 보고,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 (HARQ) 을 통한 에러 정정, 우선순위 핸들링, 및 논리 채널 우선순위화와 연관된 MAC 계층 기능성을 제공한다.
기지국 (304) 에 의해 송신된 레퍼런스 신호 또는 피드백으로부터 채널 추정기에 의해 도출된 채널 추정치들은, 적절한 코딩 및 변조 스킴들을 선택하고 공간 프로세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송신기 (310) 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송신기 (310) 에 의해 생성된 공간 스트림들은 상이한 안테나(들)에 제공될 수도 있다. 송신기 (310) 는 송신을 위한 개별의 공간 스트림으로 RF 캐리어를 변조할 수도 있다.
UL 송신은 UE (302) 에서 수신기 기능과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기지국 (304) 에서 프로세싱된다. 수신기 (318) 는 그 개별의 안테나(들)를 통해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기 (318) 는 RF 캐리어 상으로 변조된 정보를 복구하고 그 정보를 프로세싱 시스템 (334) 에 제공한다.
UL 에서, 프로세싱 시스템 (334) 은 전송 채널과 논리 채널 사이의 디멀티플렉싱, 패킷 리어셈블리, 복호화, 헤더 압축해제, 제어 신호 프로세싱을 제공하여, UE (302) 로부터 IP 패킷들을 복구한다. 프로세싱 시스템 (334) 으로부터의 IP 패킷들은 코어 네트워크에 제공될 수도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 (334) 은 또한 에러 검출을 책임진다.
일 양태에서, 장치들 (302 및 304) 은 각각 업링크 스케줄링 관리기들 (344 및 348)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업링크 스케줄링 관리기들 (344 및 348) 은, 실행될 경우, 장치들 (302 및 304) 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성을 수행하게 하는 프로세싱 시스템들 (332 및 334) 의 부분이거나 또는 그들에 각각 커플링되는 하드웨어 회로들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업링크 스케줄링 관리기들 (344 및 348) 은, 프로세싱 시스템들 (332 및 334) 에 의해 실행될 경우, 장치들 (302 및 304) 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성을 수행하게 하는, 각각, 메모리 컴포넌트들 (338 및 340) 에 저장된 메모리 모듈들일 수도 있다.
편의상, 장치들 (302, 304, 및/또는 306) 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예들에 따라 구성될 수도 있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도 3a 에 도시된다. 그러나, 예시된 블록들은 상이한 설계들에서 상이한 기능성을 가질 수도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장치들 (302, 304, 및 306) 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각각 데이터 버스들 (352, 354, 및 356) 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도 3a 의 컴포넌트들은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도 3a 의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ASIC들 (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도 있음) 과 같은 하나 이상의 회로들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각각의 회로는 이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해 회로에 의해 사용되는 정보 또는 실행가능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컴포넌트를 사용 및/또는 통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블록들 (308, 332, 338, 344, 및 350) 에 의해 표현된 기능성의 일부 또는 전부는 (예컨대, 적절한 코드의 실행에 의해 및/또는 프로세서 컴포넌트들의 적절한 구성에 의해) UE (302) 의 메모리 컴포넌트(들) 및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블록들 (314, 320, 334, 340, 및 348) 에 의해 표현된 기능성의 일부 또는 전부는 (예컨대, 적절한 코드의 실행에 의해 및/또는 프로세서 컴포넌트들의 적절한 구성에 의해) 기지국 (304) 의 메모리 컴포넌트(들) 및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블록들 (326, 336, 및 342) 에 의해 표현된 기능성의 일부 또는 전부는 (예컨대, 적절한 코드의 실행에 의해 및/또는 프로세서 컴포넌트들의 적절한 구성에 의해) 네트워크 엔티티 (306) 의 메모리 컴포넌트(들) 및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간략화를 위해, 다양한 동작들, 액트들, 및/또는 기능들은 "UE 에 의해", "기지국에 의해",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등등으로 수행되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그러나, 인식될 바와 같이, 그러한 동작들, 액트들, 및/또는 기능들은 실제로는, 프로세싱 시스템들 (332, 334, 336), 통신 디바이스들 (308, 314, 326), 업링크 스케줄링 관리기들 (344 및 348) 등과 같은, UE, 기지국, 포지셔닝 엔티티 등등의 특정 컴포넌트들 또는 컴포넌트들의 조합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3b 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도 3a 에 도시된 UE (302) 및 기지국 (304) 이 무선 통신을 위해 활용할 수도 있는 TDD 프레임 구조 (330) 를 일반적으로 예시한다. TDD 프레임 구조 (330) 는 예를 들어 5G TDD 프레임 구조일 수도 있다.
TDD 프레임 구조 (330) 는 시스템 프레임 번호 (SFN) 수비학 (SFN N, N+1, N+2 등) 에 따라 인덱싱되는 일련의 무선 프레임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b 의 예에서, TDD 프레임 구조 (330) 는 1024 개의 무선 프레임들에 의해 구성되고, 각각의 무선 프레임은 10 밀리초의 지속기간을 갖는다. 각각의 무선 프레임은, 또한 인덱싱될 수도 있는 (예를 들어, SF0, SF1 등) 서브프레임들 (SF들) 로 분할될 수도 있다. 도 3b 의 예에서, TDD 프레임 구조 (330) 에서의 각각의 무선 프레임은 10 개의 서브프레임들에 의해 구성되고,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1 밀리초의 지속기간을 갖는다.
각각의 개별의 서브프레임은 슬롯들로 추가로 분할될 수도 있다. 서브프레임 당 슬롯들의 고정된 수 (예를 들어, 2 개) 를 명시하는 이전 아키텍처들과 달리, 5G 는 다중 구성들 μ 를 가질 수도 있고, 여기서 각각의 구성 μ 는 서브프레임 당 슬롯들의 특정 수 N 과 연관될 수도 있다. 도 3b 는 다양한 구성들 (μ=0, μ=1, μ=2 등) 및 각각의 구성과 연관된 서브프레임 당 슬롯들의 특정된 수 (N=1, N=2, N=4 등) 를 보여주는 구성 차트 (340) 를 도시한다. 도 3b 로부터 추가로 이해될 바와 같이, 구성 차트 (340) 는 또한 각각의 구성 μ 에 대해 특정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f SC 를 또한 명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성 μ=2 는 N=4 및 f SC =60 kHz 에 대응할 수도 있다. 도 3b 는 4 개 이상의 슬롯들 (0, 1… N-1 로 넘버링됨) 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을 도시하지만, 소정의 구성들 (예를 들어, μ=0 및 μ=1) 에는, 4 개보다 적은 슬롯들 (예를 들어, 1 개 또는 2 개) 이 있을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상이한 구성들 μ 는 상이한 환경들에 적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매크로셀 커버리지는 3 GHz 미만의 주파수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μ=0, μ=1, 또는 μ=2 와 연관된 더 좁은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은 매크로셀 커버리지에 최적일 수도 있다. 그에 반해서, μ=3 은 3 GHz 이상의 주파수들에서 구현된 소형 셀 커버리지에 더 적합할 수도 있고, μ=4 는 약 5 GHz 정도의 주파수들에 가까운 실내 광대역 커버리지에 적합할 수도 있고, μ=5 는 예를 들어 28 GHz 에서 mmW 커버리지에 적합할 수도 있다.
각각의 슬롯은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OFDM) 심볼 주기들로 추가로 분할될 수도 있다. 도 3b 의 예에는, 사용되고 있는 구성 μ 와 상관없이, 슬롯 당 14 개의 OFDM 심볼들 (또는 간단히 "심볼들") 이 있다. 각각의 심볼은 업링크용으로 예약되거나, 다운링크용으로 예약되거나, 또는 플렉서블 스케줄링 (즉, 요구하는 대로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로서의 스케줄링을 위해 선택가능함) 용으로 예약될 수도 있다. 도 3b 는 처음 3 개의 심볼들이 다운링크용으로 예약되고, 마지막 3 개의 심볼들이 업링크용으로 예약되고, 그들 사이의 8 개의 심볼들이 플렉서블 스케줄링용으로 예약되는 특정 슬롯 구성을 도시한다. 그러나, 많은 가능한 슬롯 구성들이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3b 에 도시된 슬롯 구성은 3 개 및 11 개의 심볼 주기들 사이의 다운링크 주기 및 3 개 및 11 개의 심볼 주기들 사이로 구성된 업링크 갭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플렉스 심볼 주기들의 8 개 전부가 업링크용으로 예약되면, 다운링크 주기는 3 개의 심볼 주기들로 구성될 수도 있고 업링크 갭은 11 개의 심볼 주기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에 반해서, 업링크 갭은 3 개의 심볼 주기들만큼 작을 수도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URLLC 시스템들은 레이턴시들이 1 밀리초 이하의 지속기간으로 감소되는 것을 보장하려고 시도한다. 레이턴시 감소를 위한 하나의 제안은 단일 슬롯 미만의 지속기간을 갖는 데이터 송신들을 지원하는 것이다. 업링크 송신들의 경우, 타입 B 할당은 데이터 송신들이 특정 슬롯의 임의의 심볼 주기 동안 시작될 수 있게 하고 최대 14 개의 심볼들의 지속기간을 가질 수도 있다. 다운링크 송신들은 또한 특정 슬롯의 임의의 심볼 주기 동안 시작될 수도 있고 2 개, 4 개, 또는 7 개의 심볼들의 지속기간을 가질 수도 있다.
일부 시나리오들에서, 슬롯의 부분은 특정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할당될 수도 있고, 슬롯의 나머지 심볼들은 데이터 송신을 완료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존 표준들은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 (PUSCH) 송신이 연속적인 슬롯들 사이의 경계를 가로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 결과, 현재 슬롯이 남아있는 미사용된 심볼 주기들을 갖는 경우에도, 일부 데이터 송신들은 적절한 코드 레이트를 활용하기 위하여 다음 슬롯까지 대기해야 한다.
이하에 더 상세히 논의될 바와 같이, 단일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 송신에서 제공된 업링크 승인은 다중 슬롯들에서 다중 반복들에 대응하는 리소스 할당을 표시할 수도 있다. 업링크 승인은 어느 리소스들이 다중 반복들을 위해 할당되었는지 표시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반복은 특정 타이밍 리소스들, 주파수 리소스들, 전송 블록 사이즈, 및 주파수 호핑 패턴이 할당될 수도 있고, 후속 반복들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할당들을 가질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르면, 단일 DCI 송신은 연속적인/인접한 슬롯들에서 PUSCH 데이터의 반복들을 송신하기 위한 타이밍 리소스들을 할당하는 업링크 승인을 표시할 수도 있다. 업링크 승인은 연속적인 슬롯들에 걸쳐서 타이밍 리소스들을 할당하기 위해 시작 및 길이 표시자 값 (start and length indicator value; SLIV) 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일 DCI 는 단일 HARQ 재송신을 위한 업링크 리소스들의 할당을 표시하고, 재송신되는 PUSCH 데이터는 할당된 HARQ 재송신 주기 내의 다중 "공칭" 반복들에서 반복적으로 송신될 수도 있다. HARQ 재송신 주기의 길이 및 그 내에서 허용된 공칭 반복들의 수를 표시하기 위해, DCI 는 제 1 공칭 반복에 대한 SLIV 및 공칭 반복들의 총 수를 포함한다. 공칭 반복들은 각각의 후속 반복이 이전 공칭 반복의 마지막 심볼 다음의 첫번째 심볼에서 시작된다는 점에서 인접한다.
SLIV 를 계산하기 위한 방정식의 일부 구현들에서, 기지국 (304) 은 먼저 슬롯의 시작부에 상대적인 시작 심볼 ("S") 및 심볼 주기들의 수를 나타내는 길이 ("L") 를 결정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L-1 이 7 보다 작거나 같으면, SLIV 는 [(14*(L-1))+S] 와 같은 것으로 결정된다. 반면에, L-1 이 7 보다 크면, SLIV 는 [(14*(14-L+1))+(14-1-S)] 와 같은 것으로 결정된다. 이들 구현들에서, S+L 은 0 보다 크고 14 보다 작은 값들로 제한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르면, SLIV 는 다중 슬롯들에서 다중 반복들을 위한 타이밍 리소스들을 할당하기 위하여 적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304) 은 반복들의 특정 수를 선택하고 그 특정 수를 SLIV 에 표시할 수도 있고, 그 결과 UE (302) 는 특정 수와 매칭하는 수의 반복들을 송신할 수도 있다. 본 개시는 단일 DCI 송신을 사용하여 다중 슬롯들에서 다중 반복들을 위한 타이밍 리소스들을 할당하기 위한 3 개의 상이한 옵션들에 관한 것이다. DCI 신호는 도 3a 에 도시된 기지국 (304) 과 유사한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될 수도 있다. 도 3a 에 도시된 UE (302) 와 유사한 UE 는 기지국 (304) 으로부터 DCI 신호를 수신하고 DCI 신호에 포함된 SLIV 값에 기초하여 타이밍 리소스들의 할당을 식별할 수도 있다.
SLIV 를 사용하여 타이밍 리소스들을 할당하기 위한 제 1 옵션에서, L 은 확장될 수도 있어, S+L 은 14 보다 클 수도 있고 L 은 하나 이상의 슬롯 경계들을 가로지를 수도 있다. 일 예가 도 4a 에 도시된다. 이 예에서, 기지국 (304) 은 슬롯 n 의 심볼 주기 8 (S=8) 에서 시작하여 10 개의 심볼들 (L=10) 을 할당할 수도 있다. 따라서, 기지국 (304) 은 [(14*(14-10+1))+(14-1-8)] = [75] 와 같은 SLIV 를 계산할 수도 있다. 계산된 SLIV 는 DCI 신호에서 제공되고 UE (302) 에 송신될 수도 있다. UE (302) 는 기지국 (304) 으로부터 DCI 신호를 수신하고 그로부터 SLIV 를 획득할 수도 있다. UE (302) 는 제 1 반복이 L1 개의 심볼들을 사용하여 슬롯 n 에서 송신되고 제 2 반복이 L2=L-L1 개의 심볼들을 사용하여 미래 (future) 슬롯에서 송신되도록 제 1 반복을 제 2 반복으로부터 스플리팅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슬롯 n 에서의 L1 개의 심볼들은 본 예에서 L1=6 과 같은 슬롯 n 에서 이용가능한 모든 나머지 업링크 심볼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2 반복은 일부 미래 슬롯에서 L2=10-6=4 개의 심볼 주기들이 할당된다. 특히, 제 2 반복은 L2 개의 연속적인 심볼 주기들을 포함하는 제 2 슬롯에 할당될 수도 있다. 도 4a 의 예에서, 제 2 반복은 슬롯 n+1 의 처음 4 개의 업링크 심볼 주기들을 사용하여 송신된다.
제 1 옵션의 다른 예가 도 4b 에 도시된다. 이 예에서, 기지국 (304) 은 (다시) 슬롯 n 의 심볼 주기 8 (S=8) 에서 시작하여 10 개의 심볼들 (L=10) 을 할당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예에서, 슬롯 n 의 심볼 주기들 12-13 은 다운링크용으로 지정되기 때문에 오직 4 개의 심볼 주기들만이 슬롯 n 에서 이용가능하다. 따라서, L1=4 및 L2=10-4=6 이다. L2 가 6 과 같다는 것을 고려하면, UE (302) 는 6 개의 연속적인 업링크 신호들 상에서 업링크 송신을 수행할 기회를 대기할 수도 있다. 슬롯 n+1 과 관련하여, 심볼 주기들 0-2 및 6-9 는 다운링크용으로 지정된다. 심볼 주기들 3-5 및 10-13 은 업링크용으로 지정되지만, 제 2 반복의 송신은 6 개의 연속적인 업링크 심볼들을 요구하기 때문에, 송신이 지연된다. 이 특정 예에서, UE (302) 는 업링크용으로 지정된 6 개의 연속적인 심볼 주기들 (즉, 슬롯 n+2 의 심볼 주기들 2-7) 을 찾기 위하여 슬롯 n+2 까지 대기해야 한다.
제 1 옵션의 다른 예가 도 4c 에 도시된다. 이 예에서 (이전 예에서와 같이), 기지국 (304) 은 슬롯 n 의 심볼 주기 8 (S=8) 에서 시작하여 10 개의 심볼들 (L=10) 을 할당할 수도 있다. 더욱이, 이 예에서 (이전 예에서와 같이), 오직 4 개의 심볼 주기들만이 슬롯 n 에서 이용가능하다. 따라서, L1=4 및 L2=6 이다. 그러나, UE (302) 는 L2=L21+L22 가 되도록 L2 를 스플리팅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슬롯 n+1 은 3 개의 연속적인 업링크 심볼 주기들 (심볼 주기들 3-5) 의 블록을 포함하기 때문에, 심볼 주기들은 (L21=3 이 되도록) 제 2 반복을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그 결과, UE (302) 는 L22=L2-L21=3 인 것을 결정하고 3 개의 연속적인 업링크 심볼 주기들 (슬롯 n+1 의 심볼 주기들 10-12) 의 처음 이용가능한 블록을 찾는다. UE (302) 는 그 후 제 3 반복을 송신하기 위해 이들 심볼 주기들을 사용한다. 도 4b 의 예에 관하여, 도 4c 에 도시된 L2 스플리팅 기법은 (2 회가 아닌) 3 회의 총 반복들이 생기게 하며, 여기서 모든 반복들은 더 짧은 시간에 완료된다. 그러나, 도 4c 에 도시된 제 2 및 제 3 반복들의 코딩 레이트가 도 4b 에 도시된 제 2 반복의 코드 레이트의 2 배일 수도 있음을 또한 이해할 것이다.
제 1 옵션의 또 다른 예에서, 나머지 심볼들을 스플리팅할지 (도 4c 에 도시된 바와 같음, 여기서 L2 는 L21 및 L22 로 스플리팅됨) 또는 나머지 심볼들을 함께 유지할지 (도 4a 및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음, 여기서 L2 는 연속적인 업링크 심볼 주기들의 블록을 포함함) 에 대한 결정은 표시자에 기초할 수도 있다. 표시자는 예를 들어, DCI 신호를 사용하여 기지국 (304) 에 의해 명시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표시자는 그 반복에서 심볼들의 수 및/또는 코드 레이트에 기초하여 암시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SLIV 를 사용하여 타이밍 리소스들을 할당하기 위한 제 2 옵션에서, S+L 이 14 보다 큰 것으로 결정되면, 이는 PUSCH 신호의 제 1 반복이 심볼 주기 S 에서 시작하여 슬롯의 마지막 업링크 심볼 주기까지 확장될 수도 있음을 나타내고, 하나 이상의 후속 반복들이 제 1 반복과 동일한 길이를 가져야 한다는 것을 추가로 나타낸다. 더욱이, S 및 L 의 값들은 송신될 반복들의 수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예가 도 4d 에 도시된다. 이 예에서, 기지국 (304) 은 슬롯 n 의 심볼 주기 8 에서 시작하여 15 개의 심볼들을 할당할 수도 있다. 따라서, 기지국 (304) 은 UE (302) 에 SLIV 를 제공할 수도 있고, UE (302) 는 S=8 및 L=15 임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UE (302) 는 이들 값들에 기초하여 송신될 반복들의 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UE (302) 는 반복들의 수가 [ceiling((14-S)/L)] 과 같다고 결정할 수도 있다. 이 예에서, 반복들의 수는 [ceiling(6/15)]=3 과 같을 것이다. 그 결과, UE (302) 는 각각 6 개의 심볼 주기들의 3 회 반복들을 송신할 것이다. 기지국 (304) 이 L 을 15 가 아니라 18 인 것으로 선택했다면, UE (302) 는 동일한 송신들을 수행했을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기지국 (304) 이 L 을 15 가 아니라 12 인 것으로 선택했다면, UE (302) 는 오직 2 회의 반복들만을 수행했을 것임을 추가로 이해할 것이다.
SLIV 를 사용하여 타이밍 리소스들을 할당하기 위한 제 3 옵션에서, L 은 0 보다 크고 (14-S) 보다 작은 값들로 제한될 수도 있다. 그러나, SLIV 로부터 도출된 S 및 L 의 값들은 제 1 반복에만 적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 반복들에 대해, UE (302) 는 반복을 시작하기 위해 처음 이용가능한 업링크 심볼을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그 반복은 제 1 반복과 동일한 길이 L 을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서, 반복들의 수는 DCI 신호에 포함된 명시적 표시자를 사용하여, 또는 예를 들어, 효과적인 코드 레이트가 RRC 동안 특정된 코드 레이트에 도달할 때까지 UE 가 반복하는 암시적 표시자를 사용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이전 옵션들 (예를 들어, 제 1 옵션 및 제 2 옵션) 에서, SLIV 는 이전에 실시된 것과는 상이한 방식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특히, L-1 이 7 보다 작거나 같으면, SLIV 는 [(14*(L-1))+S] 와 같은 것으로 결정된다. L-1 이 7 보다 크지만 14 보다 작으면, SLIV 는 [(14*(14-L+1))+(14-1-S)] 와 같은 것으로 결정된다. L-1 이 14 보다 크거나 같으면, SLIV 는 [A*(L-1)+S] 와 같은 것으로 결정되고, 여기서 A 는 9, 11, 또는 13 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들 구현들에서, L 은 0 보다 크고 (14-S) 보다 작은 값들로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S+L 이 14 보다 큰 것으로 결정되는 다른 옵션에서, SLIV 는 14×(L-1+X)+(S+1)-Y 로서 계산될 수도 있고, 여기서 X 는 7 보다 크거나 같고 Y 는 7 보다 크거나 같다. 예를 들어, X 및 Y 는 양자 모두 7 일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X 는 7 일 수도 있고 Y 는 5*7+4=39 일 수도 있다. X 및 Y 의 값들은 적용가능한 표준에 명시될 수도 있다. 이 방정식은 종래에 계산된 SLIV 수들로부터 고유하고 상이한 새로운 수들을 초래할 것임에 주목한다. 또한, 이 방정식의 이익은 S+L 이 14 보다 큰 것으로 결정되면 UE 가 계산할 필요가 있는 유일한 방정식이라는 것이다.
S 및 L 의 추가적인 유효한 조합들이 다양한 방식들로 저장될 수도 있다. 제 1 옵션으로서, 기존 SLIV 표는 확장될 수 있다. 현재, SLIV 는 7 비트로 표시된다. S 및 L 의 추가적인 조합들을 수용하기 위해, 추가적인 비트들이 7 비트 SLIV 필드에 추가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추가적인 오버헤드를 도입한다. 제 2 옵션으로서, 현재 SLIV 표는 128 개의 엔트리들을 갖지만, 오직 105 개의 엔트리들만이 사용되는데, 이는 23 개의 엔트리들이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는 S 및 L 의 추가적인 유효한 조합들을 저장하기 위해 이들 23 개의 엔트리들을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S 및 L 의 예시적인 조합들은 표 1 에 도시된다. 인식될 바와 같이, S 및 L 의 다른 조합들이 또한 유효할 수도 있다.
Figure pct00001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S+L 이 14 보다 큰 것으로 결정될 경우에 대한 개시된 SLIV 방정식 (즉, 14×(L-1+X)+(S+1)-Y) 을 사용할 경우, UE 는 128 보다 크지 않은 SLIV들을 유효한 SLIV 값들/구성들로서 고려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SLIV 방정식을 129 와 같게 (즉, 128 보다 큼) 만드는 S 및 L 값들의 쌍이 존재하더라도, UE 는 129 의 값이 7 비트로 표현될 수 없기 때문에 (즉, 129 는 27 보다 큼) 그러한 S 및 L 의 쌍을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고려할 것이다.
UE 가 SLIV 를 계산하기 위한 이전 방정식과, S+L 이 14 보다 큰 것으로 결정될 경우의 개시된 방정식 (즉, 14×(L-1+X)+(S+1)-Y) 과 같은, 새로운 방정식 양자 모두에 맵핑될 수 있는 SLIV 를 수신하는 경우에, UE 는 SLIV 가 표 1 의 (S,L) 조합과 같은, 새로운 (S,L) 조합이라기 보다는, 이전 (S,L) 조합을 나타낸다고 가정할 수 있다. UE 는 따라서 S 및 L 의 값들을 도출하기 위해 이전 방정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는, 다른 것들 중에서도, 개시된 방정식을 사용하여 (S,L) 조합을 계산할 수 없는 UE들에 대한 역호환성을 허용한다.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르면, 단일 DCI 송신은 연속적인 슬롯들에서 PUSCH 데이터의 반복들을 송신하기 위한 주파수 리소스들을 할당하는 업링크 승인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는 단일 DCI 송신을 사용하여 다중 슬롯들에서 다중 반복들을 위한 주파수 리소스들을 할당하기 위한 4 개의 상이한 옵션들에 관한 것이다.
주파수 리소스들을 할당하기 위한 제 1 옵션에서, 제 1 반복에 적용되는 동일한 주파수 할당은 모든 후속 반복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주파수 리소스들을 할당하기 위한 제 2 옵션에서, UE (302) 는 다음 반복에서의 PUSCH 심볼들의 수가 제 1 반복의 것보다 작은 경우 에러를 가정할 수도 있다.
주파수 리소스들을 할당하기 위한 제 3 옵션에서, DCI 는 가장 많은 수의 심볼들로 반복을 위한 주파수 리소스들을 표시할 수도 있다. 후속 반복들을 위해, 매칭하는 수의 리소스들이 할당될 수도 있다. 특히, 타이밍 리소스들의 더 작은 할당을 갖는 반복들 (더 적은 심볼 주기들) 은, 리소스 블록들 (RB들) 의 수가 각각의 반복에 대해 동일하도록, 주파수 리소스들의 더 큰 할당을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 n 에서의) 제 1 반복이 총 12 개의 RB들을 위해 6 개의 심볼 주기들에 걸쳐 있는 2 개의 RB들이 할당되면, 후속 반복은 또한 12 개의 리소스 블록들이 할당될 수도 있다. 타이밍 할당이 제 2 반복이 더 적은 심볼 주기들 (예를 들어, 슬롯 n+1 에서 4 개의 심볼 주기들) 을 포함한다는 것을 표시하면, 주파수 할당은 리소스 할당의 차이를 구성하기 위해 증가될 수도 있다. 특히, 총 12 개의 RB들에 도달하기 위해, 제 2 반복은 4 개의 심볼 주기들에 걸쳐 있는 3 개의 RB들이 할당될 수도 있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적인 RB들은 할당을 상향 확장함으로써 (즉, 더 높은 주파수들을 추가함으로써) 추가될 수도 있다. 그러나, 추가적인 RB들은 대신 할당을 하향 확장함으로서 (즉, 더 낮은 주파수들을 추가함으로써) 추가될 수도 있다. 상향 확장할지 또는 하향 확장할지에 대한 결정은 대역폭 부분 (bandwidth part; BWP) 으로부터의 거리에 기초할 수도 있다. 할당된 주파수들과 BWP 의 하위 에지 사이에 있는 것보다 할당된 주파수들과 BWP 의 상위 에지 사이에 더 많은 주파수들이 있으면, 확장은 상향 (즉, 가장 많은 주파수들이 있는 방향) 일 수도 있다.
일부 시나리오들에서, BWP 의 에지에 도달하기 때문에 특정 심볼 주기에 대해 추가적인 RB들을 할당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BWP 의 에지에 도달하면, UE (302) 는 DCI 가 에러들과 함께 수신되었다고 가정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UE (302) 는 반복이 충분한 리소스들을 가질 때까지 BWP 의 에지 주위를 랩핑할 수도 있다. 랩핑은, 예를 들어, BWP 의 상위 에지에 가장 가까운 RB들이 모두 할당되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할당에 BWP 의 하위 에지에 가장 가까운 RB들을 추가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들에 따라 주파수 리소스들을 할당하기 위한 제 4 옵션에서, DCI 는 (이전 예에서와 같이) 가장 많은 수의 심볼들로 반복을 위한 주파수 리소스들을 표시할 수도 있고, 매칭하는 수의 리소스들이 리소스 엘리먼트들 (RE들) 의 관점에서 후속 반복들에 할당될 수도 있다. RB들이 상이한 수들의 사용가능한 데이터 RE들을 갖는다면, (동일한 수의 RB들에서) 더 적은 사용가능한 RE들이 할당되는 반복들은 반복의 송신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이한 복조 레퍼런스 신호 (DMRS) 오버헤드로 인해) PUSCH 에 대해 상이한 수의 사용가능한 RE들을 갖는 상이한 반복들의 경우에서, UE (302) 는 서브-RB 송신을 수행하고 각각의 반복에 동일한 수의 사용가능한 RE들이 주어지는 것을 보장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르면, 단일 DCI 송신은 PUSCH 상에서 반복들을 송신하기 위한 전송 블록 사이즈 (TBS) 를 표시하는 업링크 승인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는 TBS 를 표시하기 위한 3 개의 상이한 옵션들에 관한 것이다.
TBS 를 표시하기 위한 제 1 옵션에서, 최소 수의 RB들 및/또는 RE들과 연관된 반복이 식별되고 TBS 는 그 반복의 TBS 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그 결과, 다른 반복들은 최소 수의 RB들 및/또는 RE들과 연관된 반복의 코딩 레이트보다 작거나 같은 코딩 레이트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 옵션에서, 모든 반복들은 자체-디코딩가능할 수도 있다.
TBS 를 표시하기 위한 제 2 옵션에서, 가장 많은 수의 RB들 및/또는 RE들과 연관된 반복이 식별되고 TBS 는 그 반복의 TBS 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그 결과, 다른 반복들은 가장 많은 수의 RB들 및/또는 RE들과 연관된 반복의 코딩 레이트보다 크거나 같은 코딩 레이트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 옵션에서, 일부 반복들은 자체-디코딩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TBS 를 표시하기 위한 제 3 옵션에서, TBS 는 제 1 실제 반복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그 결과, 다른 반복들은 제 1 실제 반복보다 더 높거나 또는 더 낮은 코딩 레이트를 가질 수도 있다. "실제 반복" 은 도 4a 에 예시된 길이 "L1" 및 "L2" 의 반복들과 같은, UE 에 의해 실제로 송신되는 공칭 반복의 세그먼트임에 주목한다. "공칭 반복" 은, 도 4a 에 예시된 길이 "L" 의 반복과 같은, UE 가 업링크 승인을 수신하는 반복이다.
TBS 를 표시하기 위한 제 4 옵션에서, TBS 는 제 1 공칭 반복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그 결과, 다른 반복들은 제 1 반복의 코딩 레이트보다 더 높거나 또는 더 낮은 코딩 레이트를 가질 수도 있다. 공칭 반복이 (도 4a 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슬롯 경계를 가로지르면, 제 1 옵션으로서, DMRS 오버헤드 (즉, DMRS 가 스케줄링되는 심볼들) 는 공칭 반복 내의 가능한 세그먼트화들 (예를 들어, 도 4a 에서 각각 길이들 L1 및 L2 의 반복들 0 및 1) 을 고려함 없이, 공칭 제 1 반복에 기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칭 반복의 스케줄링은 공칭 PUSCH 송신 내에 어떠한 세그먼트화도 없이 스케줄링의 공칭 길이 내에 스케줄링된 DMRS 의 수만을 고려한다. 이 옵션에서, TBS 결정을 위한 DMRS 심볼들의 수는 공칭 길이 L 을 갖는 연속적인 업링크 송신을 가정함으로써 획득된다. 공칭 반복은 다중 실제 반복들로 세그먼트화되지 않을 수도 있고, 따라서 실제 반복에 비례할 수도 있음에 주목한다. 즉, 공칭 반복이 다중 실제 반복들로 세그먼트화되지 않으면, 그것은 그 자체로 실제 반복이다. 그러나, 공칭 반복은 또한 도 4a 에 예시된 바와 같이, 2 개 이상의 실제 반복들로 세그먼트화될 수 있다.
제 2 옵션으로서, DMRS 오버헤드 및/또는 업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가능하지 않은 임의의 심볼들 (예를 들어, 다운링크 심볼들) 은 제 1 공칭 반복 (예를 들어, 도 4a 에서 길이 L 의 반복) 내의 실제 반복들 (예를 들어, 도 4a 에서, 각각 길이들 L1 및 L2 의 반복들 0 및 1) 에 기초하여 고려된다. 즉, 실제 반복들을 위해 실제로 사용가능한 심볼들만이 TBS 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고려된다.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르면, 단일 DCI 송신은 PUSCH 상의 반복들의 송신을 위한 주파수 호핑 패턴을 정의하는 업링크 승인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는 TBS 를 정의하기 위한 2 개의 상이한 옵션들에 관한 것이다.
주파수 호핑 패턴을 정의하기 위한 제 1 옵션에서, 슬롯간 주파수 호핑이 수행된다. 일 예가 도 6a 에 도시된다. 도 6a 에서, 제 1 반복은 슬롯 n 에서 주파수 호핑 패턴으로 제 1 주파수에서 송신된다. 그 후, 제 2 반복은 슬롯 n+1 에서 주파수 호핑 패턴으로 제 2 주파수에서 송신된다.
주파수 호핑 패턴을 정의하기 위한 제 2 옵션에서, 슬롯내 주파수 호핑이 수행된다. 일 예가 도 6b 에 도시된다. 도 6b 에서, 제 1 반복의 제 1 부분은 슬롯 n 에서 주파수 호핑 패턴으로 제 1 주파수에서 송신되고 제 1 반복의 제 2 부분은 주파수 호핑 패턴으로 제 2 주파수에서 송신된다. 그 후, 제 2 반복의 제 1 부분은 슬롯 n+1 에서 주파수 호핑 패턴으로 제 1 주파수에서 송신되고 제 2 반복의 제 2 부분은 주파수 호핑 패턴으로 제 2 주파수에서 송신된다.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르면, DMRS 고려사항들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PUSCH 맵핑 타입 B 는 모든 반복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각각의 반복은 시간 도메인에서 실제 반복의 길이에 기초하여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UE (302) 는 다중 DMRS 로케이션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DMRS 로케이션들은 각각의 실제 반복의 시작 심볼 및/또는 길이의 함수로서 결정될 수도 있다.
기지국 (304) 은 DMRS 로케이션들 중 어느 것이 DCI 신호에 명시적 표시자를 제공함으로써 사용될 것인지를 시그널링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DMRS 로케이션은 제 1 PUSCH 에 사용되는 패턴 및/또는 포트들의 수의 함수로서 암시적으로 시그널링될 수도 있다. 스크램블링 ID 는 각각의 반복에 대해 동일할 수도 있거나, 또는 그 대신 동적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르면, 업링크 제어 정보 (UCI) 가 고려된다. 제 1 옵션에서, UCI 는 모든 반복들로 멀티플렉싱될 수도 있다. 제 2 옵션에서, 멀티플렉싱은 예를 들어, 심볼 주기들의 타임라인 또는 수에 기초하여 하나의 PUSCH 반복에만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USCH 반복에서의 심볼들의 수가 임계치를 초과하면, UCI 는 멀티플렉싱될 수도 있다. 제 3 옵션에서, UCI 는 드롭된다.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르면, SRS 의 타이밍이 고려된다. SRS 송신은 SRS 슬롯 오프셋의 마지막 6 개의 심볼들 중 임의의 것에서 시작될 수도 있고, 1 개, 2 개, 또는 4 개의 심볼들의 지속기간을 가질 수도 있다. 더욱이, UE (302) 는 비주기적 SRS 리소스를 사용하여 SRS 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는 하나 이상의 PUSCH 반복들을 승인하는 동일한 DCI 에 의해 트리거링될 수도 있다. 본 개시는 SRS 송신과 하나 이상의 PUSCH 반복들을 중재하는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2 개의 상이한 옵션들에 관한 것이다.
PUSCH 및 SRS 가 동일한 슬롯에서 송신될 때, UE (302) 가 오직 PUSCH 및 대응하는 DMRS 의 각각의 반복의 송신 후에 SRS 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우선순위화 규칙들은 짧은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 (PUCCH) 송신과 SRS 의 충돌이 있을 때의 결과를 정의할 수도 있다. SRS 가 드롭되는 경우에, 드롭하는 것은 시간 도메인에서 부분적일 수 있으며, 즉, 짧은 PUCCH 와 충돌하는 그 OFDM 심볼들만이 드롭될 수도 있다.
SRS 송신과 하나 이상의 PUSCH 반복들을 중재하기 위한 제 1 옵션에서, SLIV 에 의해 표시된 길이 값은 하나 이상의 반복들을 송신하기 위한 총 수의 심볼 주기들을 표시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표시된 심볼 주기들은 비연속적일 수도 있다. 도 7a 로부터 이해될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슬롯 n 의 심볼 주기들 12-13 을 위해 스케줄링되는 SRS 송신이 있을 수도 있다. 이 예에서, SLIV 는 S=8 및 L=8 임을 표시할 수도 있다. SRS 송신의 부재시, 제 1 반복은 슬롯 n 의 심볼 주기들 8-13 에서 송신될 것이고 제 2 반복은 슬롯 n+1 의 심볼 주기들 0-1 에서 송신될 것이다. 그러나, 심볼 주기들 12-13 에 대한 SRS 송신의 스케줄링으로 인해, 반복들은 비연속적인 심볼 주기들, 즉 (제 1 반복에 대한) 슬롯 n 의 심볼 주기들 8-11 및 (제 2 반복에 대한) 슬롯 n+1 의 심볼 주기들 0-3 에 대해 스케줄링될 수도 있다. 따라서, SLIV 에 의해 표시된 총 길이 L 은 각각 제 1 반복 및 제 2 반복을 송신하기 위해 비연속적인 길이들 L1 및 L2 로 스플리팅될 수도 있다. SRS 는 도 7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복들 사이에서 송신될 수도 있다.
SRS 송신과 하나 이상의 PUSCH 반복들을 중재하기 위한 제 2 옵션에서, UE (302) 는 슬롯 오프셋 파라미터에 따라 SRS 송신을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b 로부터 이해될 바와 같이, 예를 들어, SRS 송신은 PUSCH 송신에서의 각각의 반복이 완료된 후 제 1 업링크 기회로 이동될 수도 있다. 도 7b 에서, 제 1 반복 및 제 2 반복은 각각 슬롯 n 의 단부 및 슬롯 n+1 의 시작부에서 완료된다. 그 후, SRS 송신은 각각의 반복의 송신이 완료된 후 슬롯 n+1 의 심볼 주기들 12-13 동안 수행된다.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르면, 주기적 또는 반지속적 SRS 의 타이밍이 또한 고려된다. 본 개시는 주기적 또는 반지속적 SRS 송신과 하나 이상의 PUSCH 반복들을 중재하는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2 개의 상이한 옵션들에 관한 것이다. 주기적 또는 반지속적 SRS 송신과 하나 이상의 PUSCH 반복들을 중재하기 위한 제 1 옵션에서, SRS 송신은 캔슬될 수도 있다. 주기적 또는 반지속적 SRS 송신과 하나 이상의 PUSCH 반복들을 중재하기 위한 제 2 옵션에서, SRS 송신은 각각의 반복의 송신이 완료된 후 다음 이용가능한 업링크 기회로 연기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르면, 업링크 전력 제어가 또한 고려된다. 슬롯 i 에서의 승인 기반 PUSCH 송신의 경우, UE (302) 는 3GPP 기술 사양 (TS) 38.213, 섹션 7.1.1 에 명시된 바와 같이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라 슬롯들에 걸친 반복을 수행할 경우, 제 1 반복을 위해 결정된 동일한 세트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 (예를 들어, ρ 0 , α) 은 모든 후속 반복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나중의 반복이 제 1 반복 M RB PUSCH (i) 와 동일한 수의 RB들을 갖지 않으면, 나중의 반복을 위한 대역폭은 그에 따라 스케일링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각각의 실제 반복은 동일한 리던던시 버전을 가질 수도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각각의 실제 반복의 리던던시 버전들은 동적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도 8 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업링크 송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 (800) 을 일반적으로 예시한다. 일 양태에서, 방법 (800) 은 UE (302) 와 같은 UE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810 에서, UE 는 DCI 신호를 수신하며, 여기서 DCI 신호는 다중 인접한 공칭 업링크 반복들에 대한 업링크 승인을 표시한다. 다운링크 제어 정보는 기지국 (304) 으로부터 UE (302) 에서 수신될 수도 있다. 동작 (810) 은, 임의의 것 또는 전부가 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고려될 수도 있는, 예를 들어, 도 3a 에 도시된 수신기 (312), 프로세싱 시스템 (332), 메모리 컴포넌트 (338), 및/또는 업링크 스케줄링 관리기 (344)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820 에서, UE 는 업링크 승인에 기초하여 다중 인접한 공칭 업링크 반복들을 위해 할당된 리소스들을 식별하고, 여기서 식별된 리소스들은 업링크 데이터의 제 1 실제 반복을 위한 제 1 리소스들 및 업링크 데이터의 제 2 실제 반복을 위한 제 2 리소스들을 포함한다. 동작 (820) 은, 임의의 것 또는 전부가 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고려될 수도 있는, 예를 들어, 도 3a 에 도시된 통신 디바이스 (308), 프로세싱 시스템 (332), 메모리 컴포넌트 (338), 및/또는 업링크 스케줄링 관리기 (344)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830 에서, UE 는 제 1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업링크 데이터의 제 1 실제 반복을 송신한다. 동작 (830) 은, 임의의 것 또는 전부가 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고려될 수도 있는, 예를 들어, 도 3a 에 도시된 송신기 (310), 프로세싱 시스템 (332), 메모리 컴포넌트 (338), 및/또는 업링크 스케줄링 관리기 (344)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840 에서, UE 는 제 2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업링크 데이터의 제 2 실제 반복을 송신한다. 동작 (840) 은, 임의의 것 또는 전부가 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고려될 수도 있는, 예를 들어, 도 3a 에 도시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310), 프로세싱 시스템 (332), 메모리 컴포넌트 (338), 및/또는 업링크 스케줄링 관리기 (344)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제 1 실제 반복은 다중 인접한 공칭 업링크 반복들 중 제 1 공칭 반복에 대응할 수도 있고, 및/또는 제 2 실제 반복은 다중 인접한 공칭 업링크 반복들 중 제 2 공칭 반복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제 1 실제 반복은 다중 인접한 공칭 업링크 반복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공칭 반복의 제 1 세그먼트일 수도 있고, 제 2 실제 반복은 다중 인접한 공칭 업링크 반복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공칭 반복의 제 2 세그먼트일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제 1 실제 반복 및 제 2 실제 반복은 동일한 슬롯에서 송신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제 1 실제 반복 및 제 2 실제 반복은 상이한 슬롯들에서 송신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업링크 데이터는 PUSCH 상에서 송신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방법 (800) 은 업링크 승인을 위한 TBS 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음). 그 경우에, TBS 는 제 1 반복의 심볼들의 실제 길이에 기초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TBS 는 제 1 공칭 반복의 길이에 기초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 TBS 는 제 1 공칭 반복 동안 스케줄링된 DMRS 를 반송하는 심볼들의 수에 추가로 기초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을, TBS 는 제 1 공칭 반복을 위한 사용가능한 심볼들의 수에 추가로 기초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업링크 승인은 타이밍 리소스 할당을 포함할 수도 있고, 타이밍 리소스 할당은, 제 1 슬롯 내의 특정 심볼 주기 값을 표시하는 시작 심볼 표시자, 및 특정 수의 심볼 주기들을 나타내는 길이 값을 표시하는 길이 표시자를 포함한다. 특정 심볼 주기 값과 길이 표시자의 합은 14 보다 클 수도 있다. 그 경우에, 타이밍 리소스 할당은 제 1 슬롯에서의 하나 이상의 심볼 주기들 및 제 2 슬롯에서의 하나 이상의 심볼들을 표시할 수도 있다. 방법 (800) 은 타이밍 리소스 할당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심볼 주기들 동안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를 송신하기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음). 제 1 반복의 송신은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의 송신 전에, 제 1 수의 심볼 주기들에 걸쳐 발생할 수도 있고, 제 2 반복의 송신은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의 송신 후에, 제 2 수의 심볼 주기들에 걸쳐 발생할 수도 있고, 제 1 수의 심볼 주기들과 제 2 수의 심볼 주기들의 합은 타이밍 리소스 할당에 포함된 길이 값과 같을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제 1 반복의 송신 및 제 2 반복의 송신은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의 송신 전에, 타이밍 리소스 할당에 포함된 길이 값에 대응하는 수의 심볼 주기들에 걸쳐 발생할 수도 있고,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의 송신을 위한 타이밍은 슬롯 오프셋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업링크 승인은 다수의 리소스 블록들 및/또는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주파수 리소스 할당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 방법 (800) 은, 제 1 반복 및 제 2 반복을 포함하는 다중 인접한 반복들 중에서, 가장 많은 수의 심볼 주기들에 걸쳐 송신되는 가장 긴 반복을 식별하는 단계, 가장 긴 반복과 연관된 지속기간 및 대역폭에 기초하여 가장 긴 반복과 연관된 리소스 블록들 및/또는 리소스 엘리먼트들의 총 수를 결정하는 단계, 가장 긴 반복보다 짧은 더 짧은 반복을 식별하는 단계, 및 더 짧은 반복과 연관된 리소스 블록들 및/또는 리소스 엘리먼트들의 총 수가 가장 긴 반복과 연관된 리소스 블록들 및/또는 리소스 엘리먼트들의 총 수와 매칭할 때까지 더 짧은 반복과 연관된 대역폭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음). 일 양태에서, 가장 긴 반복은 공칭 반복 또는 실제 반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업링크 승인은 슬롯간 주파수 호핑 패턴을 표시할 수도 있고, 제 1 반복의 송신은 슬롯간 주파수 호핑 패턴으로 제 1 주파수에서 제 1 반복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제 2 반복의 송신은 슬롯간 주파수 호핑 패턴으로 제 2 주파수에서 제 2 반복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업링크 승인은 슬롯내 주파수 호핑 패턴을 표시할 수도 있고, 제 1 반복의 송신은 슬롯내 주파수 호핑 패턴으로 제 1 주파수에서 제 1 반복의 제 1 부분 및 슬롯내 주파수 호핑 패턴으로 제 2 주파수에서 제 1 반복의 제 2 부분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제 2 반복의 송신은 슬롯내 주파수 호핑 패턴으로 제 1 주파수에서 제 2 반복의 제 1 부분 및 슬롯내 주파수 호핑 패턴으로 제 2 주파수에서 제 2 반복의 제 2 부분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PUSCH 맵핑 타입 B 는 다중 인접한 공칭 업링크 반복들 모두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다중 인접한 공칭 업링크 반복들의 각각은 시간 도메인에서 실제 반복들의 길이에 기초하여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UE 는 다중 DMRS 로케이션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중 DMRS 로케이션들은 각각의 실제 반복의 시작 심볼 및/또는 길이의 함수로서 결정될 수도 있다.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신호는 다중 DMRS 로케이션들 중 어느 것이 사용될 것인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다중 DMRS 로케이션들은 제 1 PUSCH 에 사용되는 패턴 및/또는 포트들의 수의 함수로서 시그널링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집적 회로는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다른 관련 컴포넌트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이들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된 기능들은, 예를 들어, 집적 회로의 상이한 서브세트들로서, 소프트웨어 모듈들의 세트의 상이한 서브세트들로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집적 회로의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들의 세트의) 주어진 서브세트는 1 초과의 모듈에 대한 기능성의 적어도 부분을 제공할 수도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당업자는 본 개시에 있어서, 의사코드에 의해 표현될 수도 있는 액션들의 시퀀스들에서는 물론, 상기 설명된 설명에서 제시된 알고리즘을 인정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컴포넌트들 및 기능들은 임의의 적합한 수단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한 수단은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교시된 바와 같은 대응하는 구조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된 컴포넌트들은 유사하게 지정된 기능성 "을 위한 코드" 에 대응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일부 양태들에서, 그러한 수단 중 하나 이상은 프로세서 컴포넌트들, 집적 회로들, 또는 본 명세서에서 교시된 바와 같은 다른 적합한 구조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오직 특정 실시형태들을 설명할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임의의 실시형태들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들 ("a", "an" 및 "the" ) 은, 문맥에서 분명하게 달리 표시되지 않는다면 복수의 형태들을 물론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용어들 "구비한다", "구비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 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경우, 서술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엘리먼트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명시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엘리먼트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이들의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지 않음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유사하게,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어구 "에 기초하여" 는 다른 팩터들의 영향을 반드시 배제하는 것은 아니며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예를 들어, "에 오로지 기초하여" 라기 보다는 "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상단" 및 "하단", "좌측" 및 "우측", "수직" 및 "수평" 등과 같은 용어들은 서로에 관하여 엄격히 사용되는 상대적인 용어들이며, 중력,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컴포넌트들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제조 디바이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컴포넌트들이 커플링, 장착 등등되는 일부 다른 디바이스에 대한 임의의 관계를 표현 또는 암시하지 않음이 이해될 것이다.
"제 1", "제 2" 등과 같은 지정을 사용한 본 명세서에서의 엘리먼트에 대한 임의의 참조는 일반적으로 그 엘리먼트들의 양 또는 순서를 한정하지 않음이 추가로 이해되어야 한다. 오히려, 이들 지정들은 2 이상의 엘리먼트들 또는 엘리먼트의 인스턴스들 간을 구별하는 편리한 방법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엘리먼트들에 대한 참조는 오직 2 개의 엘리먼트들만이 있음을 암시하지 않고 또한 제 1 엘리먼트가 일부 방식으로 제 2 엘리먼트에 선행해야 함을 암시하지 않는다. 또한, 달리 서술되지 않으면, 엘리먼트들의 세트는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항에서 사용된 형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B 또는 C 중 하나 이상" 또는 "A, B 및 C 로 이루어진 그룹의 적어도 하나" 의 용어는 "A 또는 B 또는 C 또는 이들 엘리먼트들의 임의의 조합" 을 의미한다.
상기의 기술들 및 설명들의 관점에서,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양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 양자의 조합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교환가능성을 명백하게 예시하기 위하여,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일반적으로 그들의 기능성의 관점에서 상기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로 구현될지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약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한다. 당업자는 설명된 기능성을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그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일탈함을 야기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장치 또는 장치의 임의의 컴포넌트는 본 명세서에서 교시된 바와 같은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또는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하게 되거나 또는 적응될) 수도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이는, 예를 들어,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장치 또는 컴포넌트를 제조함 (예를 들어, 제작함) 으로써;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장치 또는 컴포넌트를 프로그래밍함으로써; 또는 일부 다른 적합한 구현 기법의 사용을 통해, 달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집적 회로는 필수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집적 회로는 필수 기능성을 지원하도록 제작되고 그 후 필수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예를 들어, 프로그래밍을 통해) 구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 회로는 필수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한 코드를 실행할 수도 있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양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들, 시퀀스들, 및/또는 알고리즘들은 직접 하드웨어에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서, 또는 이들 양자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ROM),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밍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밍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EEPROM),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착탈가능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비일시적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비일시적" 은 임의의 물리적 저장 매체 또는 메모리를 배제하지 않으며 특히 동적 메모리 (예를 들어, RAM) 를 배제하지 않고 오히려 매체가 일시적 전파 신호로서 해석될 수 있다는 해석만을 배제한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커플링된다. 대안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 (예컨대, 캐시 메모리) 에 통합될 수도 있다.
전술한 개시는 다양한 예시적인 양태들을 나타내지만,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범위로부터 일탈함 없이,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이 예시된 예들에 행해질 수 있음이 주목되어야 한다. 본 개시는 구체적으로 예시된 예들에만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달리 언급되지 않는다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방법 청구항들의 기능들, 단계들, 및/또는 액션들은 임의의 특정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더욱이, 비록 소정의 양태들이 단수로 설명 또는 청구될 수도 있지만, 그 단수로의 제한이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다면, 복수가 고려된다.

Claims (54)

  1. 사용자 장비 (UE) 에 의해 수행된 무선 통신의 방법으로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신호는 다중 인접한 공칭 업링크 반복들에 대한 업링크 승인을 표시하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업링크 승인에 기초하여 상기 다중 인접한 공칭 업링크 반복들을 위해 할당된 리소스들을 식별하는 단계로서, 식별된 상기 리소스들은 업링크 데이터의 제 1 실제 반복을 위한 제 1 리소스들 및 업링크 데이터의 제 2 실제 반복을 위한 제 2 리소스들을 포함하는, 상기 리소스들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 1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상기 업링크 데이터의 제 1 실제 반복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상기 업링크 데이터의 제 2 실제 반복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UE) 에 의해 수행된 무선 통신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제 반복은 상기 다중 인접한 공칭 업링크 반복들 중 제 1 공칭 반복에 대응하고, 및/또는
    상기 제 2 실제 반복은 상기 다중 인접한 공칭 업링크 반복들 중 제 2 공칭 반복에 대응하는, 사용자 장비 (UE) 에 의해 수행된 무선 통신의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제 반복은 상기 다중 인접한 공칭 업링크 반복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공칭 반복의 제 1 세그먼트이고, 그리고
    상기 제 2 실제 반복은 상기 다중 인접한 공칭 업링크 반복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칭 반복의 제 2 세그먼트인, 사용자 장비 (UE) 에 의해 수행된 무선 통신의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제 반복 및 상기 제 2 실제 반복은 동일한 슬롯에서 송신되는, 사용자 장비 (UE) 에 의해 수행된 무선 통신의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제 반복 및 상기 제 2 실제 반복은 상이한 슬롯들에서 송신되는, 사용자 장비 (UE) 에 의해 수행된 무선 통신의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 (PUSCH) 상에서 송신되는, 사용자 장비 (UE) 에 의해 수행된 무선 통신의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승인을 위한 전송 블록 사이즈 (TBS) 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UE) 에 의해 수행된 무선 통신의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TBS 는 제 1 반복의 심볼들의 실제 길이에 기초하는, 사용자 장비 (UE) 에 의해 수행된 무선 통신의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TBS 는 제 1 공칭 반복의 길이에 기초하는, 사용자 장비 (UE) 에 의해 수행된 무선 통신의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TBS 는 상기 제 1 공칭 반복 동안 스케줄링된 복조 레퍼런스 신호들 (DMRS) 을 반송하는 심볼들의 수에 추가로 기초하는, 사용자 장비 (UE) 에 의해 수행된 무선 통신의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TBS 는 상기 제 1 공칭 반복을 위한 사용가능한 심볼들의 수에 추가로 기초하는, 사용자 장비 (UE) 에 의해 수행된 무선 통신의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승인은 타이밍 리소스 할당을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리소스 할당은,
    제 1 슬롯 내의 특정 심볼 주기 값을 표시하는 시작 심볼 표시자; 및
    특정 수의 심볼 주기들을 나타내는 길이 값을 표시하는 길이 표시자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심볼 주기 값과 상기 길이 표시자의 합은 14 보다 큰, 사용자 장비 (UE) 에 의해 수행된 무선 통신의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리소스 할당은 상기 제 1 슬롯에서의 하나 이상의 심볼 주기들 및 제 2 슬롯에서의 하나 이상의 심볼들을 표시하는, 사용자 장비 (UE) 에 의해 수행된 무선 통신의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리소스 할당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심볼 주기들 동안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를 송신하기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 1 반복의 상기 송신은 상기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의 송신 전에, 제 1 수의 심볼 주기들에 걸쳐 발생하고;
    제 2 반복의 상기 송신은 상기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의 송신 후에, 제 2 수의 심볼 주기들에 걸쳐 발생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수의 심볼 주기들과 상기 제 2 수의 심볼 주기들의 합은 상기 타이밍 리소스 할당에 포함된 상기 길이 값과 같은, 사용자 장비 (UE) 에 의해 수행된 무선 통신의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리소스 할당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심볼 주기들 동안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를 송신하기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 1 반복의 상기 송신 및 제 2 반복의 상기 송신은 상기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의 송신 전에, 상기 타이밍 리소스 할당에 포함된 상기 길이 값에 대응하는 수의 심볼 주기들에 걸쳐 발생하고; 그리고
    상기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의 송신을 위한 타이밍은 슬롯 오프셋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되는, 사용자 장비 (UE) 에 의해 수행된 무선 통신의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승인은 다수의 리소스 블록들 및/또는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주파수 리소스 할당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UE) 에 의해 수행된 무선 통신의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제 1 반복 및 제 2 반복을 포함하는 다중 인접한 반복들 중에서, 가장 많은 수의 심볼 주기들에 걸쳐 송신되는 가장 긴 반복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가장 긴 반복과 연관된 지속기간 및 대역폭에 기초하여 상기 가장 긴 반복과 연관된 리소스 블록들 및/또는 리소스 엘리먼트들의 총 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가장 긴 반복보다 짧은 더 짧은 반복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더 짧은 반복과 연관된 리소스 블록들 및/또는 리소스 엘리먼트들의 총 수가 상기 가장 긴 반복과 연관된 리소스 블록들 및/또는 리소스 엘리먼트들의 상기 총 수와 매칭할 때까지 상기 더 짧은 반복과 연관된 대역폭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UE) 에 의해 수행된 무선 통신의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긴 반복은 공칭 반복 또는 실제 반복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UE) 에 의해 수행된 무선 통신의 방법.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승인은 슬롯간 주파수 호핑 패턴을 표시하고;
    제 1 반복의 상기 송신은 상기 슬롯간 주파수 호핑 패턴으로 제 1 주파수에서 상기 제 1 반복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제 2 반복의 상기 송신은 상기 슬롯간 주파수 호핑 패턴으로 제 2 주파수에서 상기 제 2 반복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UE) 에 의해 수행된 무선 통신의 방법.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승인은 슬롯내 주파수 호핑 패턴을 표시하고;
    제 1 반복의 상기 송신은 상기 슬롯내 주파수 호핑 패턴으로 제 1 주파수에서 상기 제 1 반복의 제 1 부분 및 상기 슬롯내 주파수 호핑 패턴으로 제 2 주파수에서 상기 제 1 반복의 제 2 부분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제 2 반복의 상기 송신은 상기 슬롯내 주파수 호핑 패턴으로 제 1 주파수에서 상기 제 2 반복의 제 1 부분 및 상기 슬롯내 주파수 호핑 패턴으로 제 2 주파수에서 상기 제 2 반복의 제 2 부분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UE) 에 의해 수행된 무선 통신의 방법.
  21. 제 1 항에 있어서,
    PUSCH 맵핑 타입 B 는 상기 다중 인접한 공칭 업링크 반복들 모두에 적용되는, 사용자 장비 (UE) 에 의해 수행된 무선 통신의 방법.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인접한 공칭 업링크 반복들의 각각은 시간 도메인에서 실제 반복들의 길이에 기초하여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UE) 에 의해 수행된 무선 통신의 방법.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E 는 다중 DMRS 로케이션들로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UE) 에 의해 수행된 무선 통신의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DMRS 로케이션들은 각각의 실제 반복의 시작 심볼 및/또는 길이의 함수로서 결정되는, 사용자 장비 (UE) 에 의해 수행된 무선 통신의 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신호는 상기 다중 DMRS 로케이션들 중 어느 것이 사용될 것인지를 표시하는, 사용자 장비 (UE) 에 의해 수행된 무선 통신의 방법.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DMRS 로케이션들은 제 1 PUSCH 에 사용된 패턴 및/또는 포트들의 수의 함수로서 시그널링되는, 사용자 장비 (UE) 에 의해 수행된 무선 통신의 방법.
  27. 사용자 장비 (UE) 로서,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를 통해,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서,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신호는 다중 인접한 공칭 업링크 반복들에 대한 업링크 승인을 표시하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업링크 승인에 기초하여 상기 다중 인접한 공칭 업링크 반복들을 위해 할당된 리소스들을 식별하는 것으로서, 식별된 상기 리소스들은 업링크 데이터의 제 1 실제 반복을 위한 제 1 리소스들 및 업링크 데이터의 제 2 실제 반복을 위한 제 2 리소스들을 포함하는, 상기 리소스들을 식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로 하여금, 상기 제 1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상기 업링크 데이터의 제 1 실제 반복을 송신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로 하여금, 상기 제 2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상기 업링크 데이터의 제 2 실제 반복을 송신하게 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 (UE).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제 반복은 상기 다중 인접한 공칭 업링크 반복들 중 제 1 공칭 반복에 대응하고, 및/또는
    상기 제 2 실제 반복은 상기 다중 인접한 공칭 업링크 반복들 중 제 2 공칭 반복에 대응하는, 사용자 장비 (UE).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제 반복은 상기 다중 인접한 공칭 업링크 반복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공칭 반복의 제 1 세그먼트이고, 그리고
    상기 제 2 실제 반복은 상기 다중 인접한 공칭 업링크 반복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칭 반복의 제 2 세그먼트인, 사용자 장비 (UE).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제 반복 및 상기 제 2 실제 반복은 동일한 슬롯에서 송신되는, 사용자 장비 (UE).
  31.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제 반복 및 상기 제 2 실제 반복은 상이한 슬롯들에서 송신되는, 사용자 장비 (UE).
  32.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 (PUSCH) 상에서 송신되는, 사용자 장비 (UE).
  33.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업링크 승인을 위한 전송 블록 사이즈 (TBS) 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UE).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TBS 는 제 1 반복의 심볼들의 실제 길이에 기초하는, 사용자 장비 (UE).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TBS 는 제 1 공칭 반복의 길이에 기초하는, 사용자 장비 (UE).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TBS 는 상기 제 1 공칭 반복 동안 스케줄링된 복조 레퍼런스 신호들 (DMRS) 을 반송하는 심볼들의 수에 추가로 기초하는, 사용자 장비 (UE).
  37.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TBS 는 상기 제 1 공칭 반복을 위한 사용가능한 심볼들의 수에 추가로 기초하는, 사용자 장비 (UE).
  3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승인은 타이밍 리소스 할당을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리소스 할당은,
    제 1 슬롯 내의 특정 심볼 주기 값을 표시하는 시작 심볼 표시자; 및
    특정 수의 심볼 주기들을 나타내는 길이 값을 표시하는 길이 표시자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심볼 주기 값과 상기 길이 표시자의 합은 14 보다 큰, 사용자 장비 (UE).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리소스 할당은 상기 제 1 슬롯에서의 하나 이상의 심볼 주기들 및 제 2 슬롯에서의 하나 이상의 심볼들을 표시하는, 사용자 장비 (UE).
  40.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타이밍 리소스 할당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심볼 주기들 동안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를 송신하기로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제 1 반복의 상기 송신은 상기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의 송신 전에, 제 1 수의 심볼 주기들에 걸쳐 발생하고,
    제 2 반복의 상기 송신은 상기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의 송신 후에, 제 2 수의 심볼 주기들에 걸쳐 발생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수의 심볼 주기들과 상기 제 2 수의 심볼 주기들의 합은 상기 타이밍 리소스 할당에 포함된 상기 길이 값과 같은, 사용자 장비 (UE).
  41.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타이밍 리소스 할당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심볼 주기들 동안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를 송신하기로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제 1 반복의 상기 송신 및 제 2 반복의 상기 송신은 상기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의 송신 전에, 상기 타이밍 리소스 할당에 포함된 상기 길이 값에 대응하는 수의 심볼 주기들에 걸쳐 발생하고; 그리고
    상기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의 송신을 위한 타이밍은 슬롯 오프셋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되는, 사용자 장비 (UE).
  42.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승인은 다수의 리소스 블록들 및/또는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주파수 리소스 할당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UE).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1 반복 및 제 2 반복을 포함하는 다중 인접한 반복들 중에서, 가장 많은 수의 심볼 주기들에 걸쳐 송신되는 가장 긴 반복을 식별하고;
    상기 가장 긴 반복과 연관된 지속기간 및 대역폭에 기초하여 상기 가장 긴 반복과 연관된 리소스 블록들 및/또는 리소스 엘리먼트들의 총 수를 결정하고;
    상기 가장 긴 반복보다 짧은 더 짧은 반복을 식별하고; 그리고
    상기 더 짧은 반복과 연관된 리소스 블록들 및/또는 리소스 엘리먼트들의 총 수가 상기 가장 긴 반복과 연관된 리소스 블록들 및/또는 리소스 엘리먼트들의 상기 총 수와 매칭할 때까지 상기 더 짧은 반복과 연관된 대역폭을 증가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UE).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긴 반복은 공칭 반복 또는 실제 반복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UE).
  45.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승인은 슬롯간 주파수 호핑 패턴을 표시하고;
    제 1 반복의 상기 송신은 상기 슬롯간 주파수 호핑 패턴으로 제 1 주파수에서 상기 제 1 반복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제 2 반복의 상기 송신은 상기 슬롯간 주파수 호핑 패턴으로 제 2 주파수에서 상기 제 2 반복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UE).
  46.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승인은 슬롯내 주파수 호핑 패턴을 표시하고;
    제 1 반복의 상기 송신은 상기 슬롯내 주파수 호핑 패턴으로 제 1 주파수에서 상기 제 1 반복의 제 1 부분 및 상기 슬롯내 주파수 호핑 패턴으로 제 2 주파수에서 상기 제 1 반복의 제 2 부분의 송신을 포함하고; 그리고
    제 2 반복의 상기 송신은 상기 슬롯내 주파수 호핑 패턴으로 제 1 주파수에서 상기 제 2 반복의 제 1 부분 및 상기 슬롯내 주파수 호핑 패턴으로 제 2 주파수에서 상기 제 2 반복의 제 2 부분의 송신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UE).
  47. 제 27 항에 있어서,
    PUSCH 맵핑 타입 B 는 상기 다중 인접한 공칭 업링크 반복들 모두에 적용되는, 사용자 장비 (UE).
  4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인접한 공칭 업링크 반복들의 각각은 시간 도메인에서 실제 반복들의 길이에 기초하여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UE).
  4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UE 는 다중 DMRS 로케이션들로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UE).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DMRS 로케이션들은 각각의 실제 반복의 시작 심볼 및/또는 길이의 함수로서 결정되는, 사용자 장비 (UE).
  51.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신호는 상기 다중 DMRS 로케이션들 중 어느 것이 사용될 것인지를 표시하는, 사용자 장비 (UE).
  52.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DMRS 로케이션들은 제 1 PUSCH 에 사용된 패턴 및/또는 포트들의 수의 함수로서 시그널링되는, 사용자 장비 (UE).
  53. 사용자 장비 (UE) 로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신호는 다중 인접한 공칭 업링크 반복들에 대한 업링크 승인을 표시하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업링크 승인에 기초하여 상기 다중 인접한 공칭 업링크 반복들을 위해 할당된 리소스들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식별된 상기 리소스들은 업링크 데이터의 제 1 실제 반복을 위한 제 1 리소스들 및 업링크 데이터의 제 2 실제 반복을 위한 제 2 리소스들을 포함하는, 상기 리소스들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상기 업링크 데이터의 제 1 실제 반복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2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상기 업링크 데이터의 제 2 실제 반복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UE).
  54.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은,
    사용자 장비 (UE) 에,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신호를 수신하도록 명령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으로서,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신호는 다중 인접한 공칭 업링크 반복들에 대한 업링크 승인을 표시하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 신호를 수신하도록 명령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
    상기 UE 에, 상기 업링크 승인에 기초하여 상기 다중 인접한 공칭 업링크 반복들을 위해 할당된 리소스들을 식별하도록 명령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으로서, 식별된 상기 리소스들은 업링크 데이터의 제 1 실제 반복을 위한 제 1 리소스들 및 업링크 데이터의 제 2 실제 반복을 위한 제 2 리소스들을 포함하는, 상기 리소스들을 식별하도록 명령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
    상기 UE 에, 상기 제 1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상기 업링크 데이터의 제 1 실제 반복을 송신하도록 명령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 및
    상기 UE 에, 상기 제 2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상기 업링크 데이터의 제 2 실제 반복을 송신하도록 명령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17020540A 2019-01-09 2020-01-09 슬롯 경계들에 걸친 스케줄링 KR202101095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790098P 2019-01-09 2019-01-09
US62/790,098 2019-01-09
US201962865690P 2019-06-24 2019-06-24
US62/865,690 2019-06-24
US201962891255P 2019-08-23 2019-08-23
US62/891,255 2019-08-23
US201962891846P 2019-08-26 2019-08-26
US62/891,846 2019-08-26
US16/737,784 2020-01-08
US16/737,784 US11304219B2 (en) 2019-01-09 2020-01-08 Scheduling across slot boundaries
PCT/US2020/012981 WO2020146672A1 (en) 2019-01-09 2020-01-09 Scheduling across slot boundari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546A true KR20210109546A (ko) 2021-09-06

Family

ID=71405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0540A KR20210109546A (ko) 2019-01-09 2020-01-09 슬롯 경계들에 걸친 스케줄링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304219B2 (ko)
EP (1) EP3909371B1 (ko)
KR (1) KR20210109546A (ko)
CN (2) CN118042626A (ko)
SG (1) SG11202105856WA (ko)
TW (1) TWI822940B (ko)
WO (1) WO20201466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26043B2 (ja) * 2018-09-20 2021-08-25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その通信方法
US11304219B2 (en) 2019-01-09 2022-04-12 Qualcomm Incorporated Scheduling across slot boundaries
EP3996315A4 (en) 2019-08-01 2023-09-06 Wilus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Inc.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A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503609B2 (en) * 2019-09-27 2022-11-15 Qualcomm Incorporated PUCCH repetition before RRC connection setup
CN114070535A (zh) * 2020-08-04 2022-02-18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上行链路控制信道的发送和接收方法、用户设备和基站
WO2022036535A1 (en) * 2020-08-18 2022-02-24 Qualcomm Incorporated Uci piggyback in pusch with type b repetition
US11784702B2 (en) * 2020-09-29 2023-10-10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transmission/reception point and beam selection in ultra-wide bandwidth systems
WO2022067476A1 (en) * 2020-09-29 2022-04-07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repetitions with transport block scaling and frequency hopping
EP4222895A4 (en) * 2020-09-29 2024-04-24 Qualcomm Inc TRANSPORT BLOCK SCALING TO REPEAT A SHARED PHYSICAL UPLINK CHANNEL
CN116210193A (zh) * 2020-09-29 2023-06-02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利用传输块缩放和跳频的物理上行链路共享信道重复的码块操作
CN114339998A (zh) * 2020-09-30 2022-04-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处理方法、装置及相关设备
EP4223042A1 (en) * 2020-10-03 2023-08-09 Qualcomm Incorporated Time gaps between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repetitions
WO2022165836A1 (zh) * 2021-02-08 2022-08-11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方法及通信装置
US11540268B2 (en) * 2021-02-10 2022-12-27 Qualcomm Incorporated Single transport block over multiple slots with discontinuous SLIVs
EP4316123A1 (en) * 2021-04-02 2024-02-07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transmission repetition with multiple transport blocks
KR20220137473A (ko) * 2021-04-02 2022-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채널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5323A1 (ko) * 2016-03-10 2017-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721756B2 (en) 2017-02-13 2020-07-21 Qualcomm Incorporated Repetition-based uplink for low latency communications in a new radi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603259B1 (en) 2017-03-20 2021-05-26 Convida Wireless, LLC Scheduling and control in new radio using preemption indication
US20200128579A1 (en) * 2017-06-12 2020-04-23 Intel IP Corporation CHANNEL DESIGN FOR ENHANCED MACHINE TYPE COMMUNICATION IN AN UNLICENSED SPECTRUM (eMTC-U) SYSTEM
US10568129B2 (en) * 2017-06-15 2020-02-18 Ofinno, Llc Grant free configuration
KR102507150B1 (ko) * 2017-06-15 2023-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승인 불요 구성
US11096043B2 (en) 2018-02-16 2021-08-17 Apple Inc.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format for ultra-reliable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P3827536B1 (en) * 2018-07-25 2023-09-13 Sony Group Corporation Base station, user equipment, circuitry and method
US20210314982A1 (en) * 2018-08-10 2021-10-07 Apple Inc.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enhancements for new radio 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
WO2020091403A1 (ko) * 2018-10-31 2020-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rs의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US11304219B2 (en) 2019-01-09 2022-04-12 Qualcomm Incorporated Scheduling across slot boundar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042626A (zh) 2024-05-14
TWI822940B (zh) 2023-11-21
EP3909371C0 (en) 2023-10-04
US20220191904A1 (en) 2022-06-16
EP3909371A1 (en) 2021-11-17
WO2020146672A1 (en) 2020-07-16
CN113228804A (zh) 2021-08-06
US20200221478A1 (en) 2020-07-09
SG11202105856WA (en) 2021-07-29
EP3909371B1 (en) 2023-10-04
US11304219B2 (en) 2022-04-12
CN113228804B (zh) 2024-02-20
US11917639B2 (en) 2024-02-27
TW202029821A (zh) 2020-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7639B2 (en) Scheduling across slot boundaries
CN112970315B (zh) 用于无线通信的方法、装置和非暂时性计算机可读介质
US11638309B2 (en) Positioning assisted resource configuration and selection for two-step random access channel procedure
TW202133636A (zh) 在未連接或非有效狀態期間的ue 定位信號傳輸
CN114467274A (zh) 用于一个或多个跳频的探测参考信号(srs)配置
KR20220047975A (ko) 포지셔닝 기준 신호 펑처링 목적들을 위한 이웃하는 송신-수신 포인트들의 시간-주파수 동기화 신호 블록(ssb) 위치들의 표시
US20240049193A1 (en) Indication of slot offset for a sounding reference signal via trigger value
US20240049279A1 (en) Partial random access channel procedure
CN117203928A (zh) 上行链路控制信息传输格式选择
US20230105758A1 (en) Mac ce with spatial relation information for srs resources across a list of cells
JP2023520115A (ja) 非地上ネットワーク用の測位基準信号のための相補的タイミング情報
TW202410728A (zh) 用於跨時槽邊界排程的方法及使用者設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