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8081A -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온보드 충전기 하우징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온보드 충전기 하우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08081A KR20210108081A KR1020200022857A KR20200022857A KR20210108081A KR 20210108081 A KR20210108081 A KR 20210108081A KR 1020200022857 A KR1020200022857 A KR 1020200022857A KR 20200022857 A KR20200022857 A KR 20200022857A KR 20210108081 A KR20210108081 A KR 2021010808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hybrid vehicle
- board charger
- electric vehicle
- charger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2—Cooling of charging equip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09—Outer radiating structures o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fins integrated with the hous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3—Lubric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온보드 충전기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내측에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는 외측벽이 구비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 외측벽에는 냉각수가 순환하는 냉각수 유입홀과 냉각수 유출홀이 구비되어 있는 하우징 본체, 하우징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온보드 충전기 하우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온보드 충전기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온보드 충전기 하우징에 있어서, 하우징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 강도를 높여 파손 위험을 줄이면서, 하우징 내부에서 발생되는 발열의 냉각 효과를 높여 전자부품의 성능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온보드 충전기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친환경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일반적으로 주행을 위한 동력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전기에너지를 이용하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자동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자동차(PHEV) 등(이하 전기차로 통일함)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전기차에는 차량 탑재형 충전기(OBC: On Board Charger), 저압컨버터(LDC: Low Voltage DC/DC Converter) 등이 탑재되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차 충전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의 전기차 충전기는 크게 하우징(100), 수냉부(125), 냉각핀(135), 냉각팬(145), 제어부(150), 전원공급부(1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에 냉각핀(135)이 구비된 하우징(100)의 내부 설치 공간(110)에는 충전기 부품(10)과 공기(A)를 순환시키는 냉각팬(145), 온도센서(130) 등이 설치되고, 하우징(100)의 하측에는 냉각수(W)가 유입구(120)에서 유출구(140)로 순환하는 수냉부(125)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차 차량 탑재형 충전기는 자동차의 한정된 공간내에 설치되어 고출력, 고효율의 성능이 발휘되어야 하며, 이와 동시에 가혹한 환경 조건에서도 정상적인 작동이 가능하기 위해 소형, 경량화, 방열냉각 등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기차 충전기 하우징은, 부피가 크고 구조가 복잡하며 강도상의 문제점이 많았고, 하우징이 제대로 냉각되지 못하고 과열로 이어지게 되어, 하우징에 내장되는 전자부품의 성능 및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도 발생되었다.
따라서, 전기차 충전기 하우징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 강도를 높여 파손 위험을 줄이면서, 이와 동시에 하우징 내부에서 발생되는 발열의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온보드 충전기 하우징의 연구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온보드 충전기 하우징에 있어서, 하우징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 강도를 높여 파손 위험을 줄이고, 하우징 내부에서 발생되는 발열의 냉각 효과를 높여 전자부품의 성능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온보드 충전기 하우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내측에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는 외측벽이 구비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 외측벽에는 냉각수가 순환하는 냉각수 유입홀과 냉각수 유출홀이 구비되어 있는 하우징 본체, 하우징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온보드 충전기 하우징을 제공한다.
또한, 하우징 본체와 하우징 커버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합금 또는 아연 또는 황동 또는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합금으로 다이캐스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본체와 하우징 커버는 구리, 실리콘, 마그네슘, 아연, 철, 망간, 니켈, 주석, 납, 티타늄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질과 알루미늄이 혼합되어 다이캐스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리는 1.5 ~ 3.5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실리콘은 9.5 ~ 12.0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철은 0.6 ~ 1.0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커버에는 상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냉각핀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냉각핀은 복수개가 구비되며, 격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냉각핀은 길이방향으로 두께가 일정하게 형성되며, 일측단에서 타측단 방향으로 인접된 냉각핀 사이의 이격거리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온보드 충전기 하우징에 있어서, 하우징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 강도를 높여 파손 위험을 줄이면서, 하우징 내부에서 발생되는 발열의 냉각 효과를 높여 전자부품의 성능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차 충전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온보드 충전기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온보드 충전기 하우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5의 T-T 부위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온보드 충전기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온보드 충전기 하우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5의 T-T 부위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온보드 충전기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온보드 충전기 하우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5의 T-T 부위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온보드 충전기 하우징(200)은, 내측에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는 외측벽(231)이 구비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 외측벽(231)에는 냉각수가 순환하는 냉각수 유입홀(201)과 냉각수 유출홀(203)이 구비되어 있는 하우징 본체(230), 하우징 본체(230)의 상단에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210)를 포함한다.
하우징 본체(230)는 내측에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대략 상단부가 개구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자동차의 차체에 조립을 위한 고정부(205a, 205b)가 구비된다.
하우징 본체(230)는 상단부의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는 외측벽(231)의 내부 공간에는 IC 칩, 콘덴서, 커패시터, 저항, 인쇄회로기판 등의 전자부품이 실장된다.
여기서, IC 칩, 콘덴서, 커패시터, 저항 등이 실장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 등의 전자부품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과 도면을 생략하기로 한다.
하우징 본체(230)의 일측 외측벽(231)에는 하우징 내부로 냉각수가 순환되도록 형성된 냉각수 유입홀(201)과 냉각수 유출홀(203)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 본체(230)의 상단에는 인쇄회로기판 등의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공간을 외부와 차단시키며 하우징 커버(210)가 결합되며, 하우징 커버(210)에는 자동차의 차체에 조립을 위한 고정부(205c, 205d)가 구비된다.
하우징 본체(230)와 하우징 커버(210)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합금 또는 아연 또는 황동 또는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합금으로 다이캐스팅되어 형성됨으로써, 종래에 주조품의 제조 후 별도의 기계 가공이 필요 없어지게 되고, 전기차 충전기의 성능 대비 하우징 본체(230)의 크기와 부피 및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하우징 본체(230)와 하우징 커버(210)는 구리, 실리콘, 마그네슘, 아연, 철, 망간, 니켈, 주석, 납, 티타늄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질과 알루미늄이 혼합되어 다이캐스팅될 수 있다.
여기서, 구리는 1.5 ~ 3.5 중량% 로 포함되어 완성된 제품의 기계적 강도를 보완하게 되며, 1.5 중량% 보다 적거나 3.5 중량% 보다 많은 경우에는 하우징 본체(230)와 하우징 커버(210)에 요구되는 기계적 강도를 만족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실리콘은 9.5 ~ 12.0 중량% 로 포함되어 완성된 제품의 내열성과 내마모성을 높이면서 열팽창률을 최소화하게 되며, 9.5 중량% 보다 적거나 12.0 중량% 보다 많은 경우에는 하우징 본체(230)와 하우징 커버(210)에 요구되는 내열성이 떨어지고 내마모성도 줄어들게 된다.
또한, 철은 0.6 ~ 1.0 중량% 로 포함되어 완성된 제품의 기계적 강도를 보완하면서 고온취성과 저온취성을 개선하게 되며, 0.6 중량% 보다 적거나 1.0 중량% 보다 많은 경우에는 하우징 본체(230)와 하우징 커버(210)에 요구되는 기계적 강도를 만족하지 못하고 고온취성과 저온취성이 악화되어 제품 제조 과정이나 완성 후에 파손이나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커버(210)에는 상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냉각핀(213, 215)이 구비되어 있어서, 하우징 본체(230)의 내부에 실장된 IC 칩, 콘덴서, 커패시터, 저항, 인쇄회로기판 등의 전자부품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핀(213, 215)을 통해 보다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냉각핀(213, 215)은 하우징 커버(210)의 상측면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대향되는 테두리 방향으로 연결되어 서로 격자형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냉각핀(213, 215)은 하우징 커버(210)의 일측단에서 타측단으로의 길이방향으로 두께가 일정하게 형성되는데, 일측단에서 타측단 방향으로 인접된 냉각핀 사이의 이격거리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어서 하우징 본체(230)와 하우징 커버(210)에서 전달되는 열이 냉각핀(213, 215) 주변의 이격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순간적인 냉각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하우징 본체(230)의 테두리에는 본체체결홀(237a)이 형성된 본체보스(237)가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 커버(210)의 테두리에도 하우징 본체(230)의 본체체결홀(237a)과 연통되는 커버체결홀(217a)이 형성된 커버보스(217)가 형성되어 있어서, 하우징 본체(230)와 하우징 커버(210)가 적층된 상태에서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본체(230)에는 외측벽(231)에서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내측벽(233)으로 둘러싸인 장착공간(235)이 구비되어 있어서 전자부품들이 서로 분리된 장착공간(235)에 내장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장착공간(235)은 하우징 본체(230)의 중심부에 형성된 것을 일례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개의 내측벽(233)을 이격시켜 복수개의 장착공간(235)이 구비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그리고,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230)에는 외측벽(231)과 내측벽(233)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수평벽(239)이 구비되고, 수평벽(239)과 바닥면(240) 사이에 냉각수 유입홀(201) 및 냉각수 유출홀(203)과 연통되는 냉각수 순환공간(201a, 201b, 203a, 203b)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 본체(230)의 장착공간(235)에 내장된 전자부품들에서 발생되는 열이 내측벽(233)과 수평벽(239) 사이을 순환하는 냉각수로 전달되면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냉각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바닥면(240)은 하우징 본체(230)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 본체(230)의 내측벽(233)에 냉각수 순환공간(201a, 201b, 203a, 203b)과 연통되는 연통홈(234)이 형성되어 있어서 내측벽(233)으로 전달되는 열이 냉각수로 연전달이 이루어지게 되며 냉각수의 순환을 통해 보다 신속하게 냉각된다.
또한, 하우징 본체(230)는 냉각수 유입홀(201)과 냉각수 유출홀(203)이 구비되어 있는 외측벽(231)과 대응되는 위치의 내측벽(233)이 냉각수 유입홀(201)과 냉각수 유출홀(203) 사이에서 서로 연결되는 연결벽(232)으로 냉각수 순환공간(201a, 201b, 203a, 203b)이 분리된다.
즉, 냉각수 유입홀(201)에서 유입된 냉각수가 바로 냉각수 유출홀(203)로 빠져나가지 않고 본체유입홈(201a)을 통해 제1순환공간(201b)과 연통홈(234), 제2순환공간(203b), 본체유출홈(203a)으로 순차적으로 순환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본체유입홈(201a)과 본체유출홈(203a)은 각각 냉각수 유입홀(201)과 냉각수 유출홀(203)과 연통되도록 하우징 본체(230)에 함몰 형성되며, 냉각수 유입홀(201)과 냉각수 유출홀(203)에서 냉각수 순환공간(201a, 201b, 203a, 203b)으로 갈수록 개구된 폭이 넓어지게 형성된다.
한편, 연통홈(234)은 내측벽(233)으로부터 냉각수 순환공간(201a, 201b, 203a, 203b)의 개구부쪽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며, 연통홈(234)의 서로 대향되는 양측면이 이루는 각도(A)가 7.5°~ 8.5°테이퍼지게 형성되며 대략 35 mm ~ 40 mm 의 깊이로 형성된다.
여기서, 연통홈(234)의 테이퍼 각도와 깊이는 내측벽(233)의 강도 및 냉각효율과 밀접한 관련을 갖게 되는데 연통홈(234)의 깊이가 35 mm 보다 작으면 연통홈(234)을 순환하는 냉각수의 양이 부족하여 발열이 과대해지고 연통홈(234)의 깊이가 40 mm 보다 크면 냉각은 잘 이루어지지만 하우징 본체(230)의 다이캐스팅시 내측벽(233)에 미세한 크랙이 잔존되어 내측벽(233)의 강도가 낮아져 파손의 위험이 발생된다.
따라서, 장착공간(235)에 내장되는 전자부품의 평균적인 부피에 맞추어 효율적인 냉각이 이루어지려면 연통홈(234)의 깊이가 35 mm ~ 40 mm 의 깊이로 형성되어야 하며, 이때 연통홈(234)의 서로 대향되는 양측면이 이루는 각도(A)가 7.5°보다 작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230)의 다이캐스팅시 내측벽(233)에 미세한 크랙이 잔존되어 내측벽(233)의 강도가 낮아지게 된다.
그리고, 연통홈(234)의 서로 대향되는 양측면이 이루는 각도(A)가 8.5°보다 크게 되면 내측벽(233)의 부피가 커지면서 하우징 본체(230) 전체의 부피도 커지고 냉각수의 순환량도 많아져야 해서 경제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연통홈(234)의 서로 대향되는 양측면이 이루는 각도(A)는 내측벽(233)의 강도와 하우징 본체(230) 전체의 부피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7.5°~ 8.5°테이퍼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냉각수 유입홀(201)과 냉각수 유출홀(203)은 하우징 본체(230)의 일측 외측벽(231)에 배치되어 수온이 낮은 냉각수 유입부와 수온이 높은 냉각수 유출부가 서로 인접되도록 배치됨으로써 하우징 본체(230)를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온보드 충전기 하우징에 있어서, 하우징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 강도를 높여 파손 위험을 줄이면서, 하우징 내부에서 발생되는 발열의 냉각 효과를 높여 전자부품의 성능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충전기 하우징
201: 냉각수 유입홀
203: 냉각수 유출홀 210: 하우징 커버
213,215: 냉각핀 230: 하우징 본체
231: 외측벽 233: 내측벽
234: 연통홈 235: 장착공간
203: 냉각수 유출홀 210: 하우징 커버
213,215: 냉각핀 230: 하우징 본체
231: 외측벽 233: 내측벽
234: 연통홈 235: 장착공간
Claims (9)
- 내측에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는 외측벽이 구비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 외측벽에는 냉각수가 순환하는 냉각수 유입홀과 냉각수 유출홀이 구비되어 있는 하우징 본체;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
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온보드 충전기 하우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와 하우징 커버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합금 또는 아연 또는 황동 또는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합금으로 다이캐스팅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온보드 충전기 하우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와 하우징 커버는 구리, 실리콘, 마그네슘, 아연, 철, 망간, 니켈, 주석, 납, 티타늄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질과 알루미늄이 혼합되어 다이캐스팅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온보드 충전기 하우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는 1.5 ~ 3.5 중량% 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온보드 충전기 하우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은 9.5 ~ 12.0 중량% 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온보드 충전기 하우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철은 0.6 ~ 1.0 중량% 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온보드 충전기 하우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에는 상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냉각핀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온보드 충전기 하우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핀은 복수개가 구비되며, 격자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온보드 충전기 하우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핀은 길이방향으로 두께가 일정하게 형성되며, 일측단에서 타측단 방향으로 인접된 냉각핀 사이의 이격거리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온보드 충전기 하우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2857A KR20210108081A (ko) | 2020-02-25 | 2020-02-25 |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온보드 충전기 하우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2857A KR20210108081A (ko) | 2020-02-25 | 2020-02-25 |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온보드 충전기 하우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08081A true KR20210108081A (ko) | 2021-09-02 |
Family
ID=77794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2857A KR20210108081A (ko) | 2020-02-25 | 2020-02-25 |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온보드 충전기 하우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108081A (ko) |
-
2020
- 2020-02-25 KR KR1020200022857A patent/KR20210108081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352972B2 (ja) | 車載用バッテリー | |
CN106160454B (zh) | 车用功率转换模块 | |
EP1940011B1 (en) | Drive unit | |
US10933725B2 (en) | Electrical axle drive for a vehicle | |
WO2022178868A1 (zh) | 动力总成及电动车 | |
KR20190134754A (ko) | 전력 변환 장치의 냉각 구조 | |
JP4874890B2 (ja) | 駆動装置 | |
KR20210108091A (ko) | 냉각부를 구비한 전기차용 온보드 충전기 | |
JP2017165222A (ja) | 車両、バッテリユニット、及び車両のバッテリ搭載方法 | |
US11465490B2 (en) | Cooling structure of vehicle | |
KR102653325B1 (ko) |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전력변환장치 하우징 | |
JP5640875B2 (ja) | 複合熱交換器 | |
KR20210108081A (ko) |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온보드 충전기 하우징 | |
EP3534454B1 (en) | Integrated battery cooling system | |
JP2022052843A (ja) | 車両用冷却構造 | |
EP3579322B1 (en) | Battery-cooling device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ame | |
US20220158567A1 (en) | Inverter device, motor unit, and vehicle | |
CN116209222A (zh) | 车载无线充电设备及具有其的车辆 | |
JP6879815B2 (ja) | 車載用バッテリー | |
JP5947071B2 (ja) | バッテリ冷却装置 | |
CN111196181B (zh) | 用于车辆的冷却系统 | |
JP7207342B2 (ja) | 車両用バッテリパック | |
EP4138531A1 (en) | Inverter apparatus of mobility | |
CN208593284U (zh) | 车辆驱动装置 | |
JP7452790B2 (ja) | 車両用充電インレットの冷却装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