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6750A -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의 이동형 차폐 장치 및 방사선량률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의 이동형 차폐 장치 및 방사선량률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6750A
KR20210106750A KR1020200021647A KR20200021647A KR20210106750A KR 20210106750 A KR20210106750 A KR 20210106750A KR 1020200021647 A KR1020200021647 A KR 1020200021647A KR 20200021647 A KR20200021647 A KR 20200021647A KR 20210106750 A KR20210106750 A KR 20210106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space
dose rate
radiation dose
decommissioning
power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5426B1 (ko
Inventor
김기림
윤창연
정혜진
송명호
김정운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1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426B1/ko
Publication of KR20210106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1/00Shield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terials
    • G21F1/02Selection of uniform shielding materials
    • G21F1/08Metals; Alloys; Cermets, i.e. sintered mixtures of ceramics and metals
    • G21F1/085Heavy metals or allo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1/00Details of nuclear power plant
    • G21D1/003Nuclear facilities decommissio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3/00Shielding characterised by its physical form, e.g. granules, or shape of th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tallur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의 이동형 차폐 장치는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에서 방사성 물질과 대응하여 위치되는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 상기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에 장착되며, 상기 해체 작업 공간의 방사선량률을 측정하는 감시부, 및 상기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에 장착되며, 상기 해체 작업 공간의 방사선량률에 따라 복수의 색상들 중 선택된 색상을 가지는 빛을 상기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으로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의 이동형 차폐 장치 및 방사선량률 감시 시스템{MOVABLE SHIELDING APPARATUS AND RADIATION DOSE RATE MONITORING SYSTEM OF DECOMMISSIONING WORKSPACE IN NUCLEAR POWER PLANT}
본 기재는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의 이동형 차폐 장치 및 방사선량률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기간에는 다양한 해체 작업으로 인한 해체 작업 공간 내부의 방사선량률의 변동, 구조물 절단 등의 해체 작업으로 인한 해체 작업 공간 내부의 소음 증가, 해체 작업 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방사성 물질 등으로 인해 해체 작업 공간 내부에서 해체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피폭을 유발할 수 있는 여러 변수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기간 중 해체 공정에 따라 원자력 발전소의 내부에 설치된 방사선 감시기가 제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체 작업 공간 내부의 방사선량률 감시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에는 원자력 발전소의 운영 기간 대비 변경될 수 있는 해체 작업 환경을 고려하여, 작업자 안전을 보완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일 실시예는,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환경을 고려하여,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에서 방사선 물질로부터 발생되는 방사선을 차폐하는 동시에 해체 작업 공간의 방사선량률을 감시하여 경보를 발생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의 이동형 차폐 장치 및 방사선량률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은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에서 방사성 물질과 대응하여 위치되는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 상기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에 장착되며, 상기 해체 작업 공간의 방사선량률을 측정하는 감시부, 및 상기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에 장착되며, 상기 해체 작업 공간의 방사선량률에 따라 복수의 색상들 중 선택된 색상을 가지는 빛을 상기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으로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의 이동형 차폐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광원부는, 상기 감시부가 측정한 상기 해체 작업 공간의 방사선량률이 설정된 값 미만이면 제1 색상을 가지는 빛을 상기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으로 조사하며, 상기 감시부가 측정한 상기 해체 작업 공간의 방사선량률이 설정된 값 이상이면 제2 색상을 가지는 빛을 상기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으로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일 측면은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에서 방사성 물질과 대응하여 위치되는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 상기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에 장착되며 상기 해체 작업 공간의 방사선량률을 측정하는 감시부, 및 상기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에 장착되며 상기 해체 작업 공간의 방사선량률에 따라 복수의 색상들 중 선택된 색상을 가지는 빛을 상기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으로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이동형 차폐 장치, 및 상기 해체 작업 공간의 외부에서 상기 이동형 차폐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감시부가 측정한 상기 해체 작업 공간의 방사선량률에 따라 상기 광원부를 제어하는 감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의 방사선량률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이동형 차폐 장치는 상기 해체 작업 공간에 위치하는 작업자와 상기 방사성 물질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해체 작업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감시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감시부가 측정한 상기 해체 작업 공간의 방사선량률에 따라 상기 감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시각 경보 및 청각 경보를 발생하는 포터블 경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체 작업 공간에 위치하는 작업자에게 착용되어 상기 감시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감시부가 측정한 상기 해체 작업 공간의 방사선량률에 따라 상기 감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시각 경보, 청각 경보, 및 촉각 경보를 발생하는 웨어러블 경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환경을 고려하여,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에서 방사선 물질로부터 발생되는 방사선을 차폐하는 동시에 해체 작업 공간의 방사선량률을 감시하여 경보를 발생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의 이동형 차폐 장치 및 방사선량률 감시 시스템이 제공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의 이동형 차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의 방사선량률 감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의 이동형 차폐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의 이동형 차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해체 작업 공간(WS)은 운영 기간 중의 원자력 발전소가 아닌 해체 기간 중의 원자력 발전소 내부에 위치하는 공간이며, 해체 작업 공간(WS)의 내부에는 작업자(20)가 공지된 다양한 해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해체 작업 공간(WS)의 내부에는 방사선(11)을 발생하는 원자력 발전소 내부의 공지된 다양한 방사성 물질(10)이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WS)의 이동형 차폐 장치(100)는 해체 작업 공간(WS)의 내부에서 방사성 물질(10)과 작업자(20) 사이에 위치하며, 방사성 물질(10)로부터 발생하는 방사선(11)을 차폐하는 동시에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을 측정한다. 이동형 차폐 장치(100)는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의 값에 따라 복수의 색상들 중 선택된 색상을 가지는 빛을 발광하여 작업자(20)에게 시각 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이동형 차폐 장치(100)는 방사성 물질(10)로부터 발생하는 방사선(11)의 차폐를 위해 작업자(20)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공지된 다양한 이동 수단이 이동형 차폐 장치(1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동형 차폐 장치(100)는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 감시부(120), 광원부(130)를 포함한다.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은 해체 작업 공간(WS)에서 방사성 물질(10)과 대응하여 위치된다.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은 작업자(20)와 방사성 물질(10) 사이에 위치한다.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은 방사선(11)을 차단하는 공지된 다양한 납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은 방사성 물질(10)로부터 발생하는 방사선(11)의 차단을 위해 작업자(20)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공지된 다양한 이동 수단이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에는 감시부(120) 및 광원부(130)가 장착된다.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은 광원부(130)로부터 조사된 빛에 대응하는 색상으로 발광하여 작업자(20)에게 시각 경보를 발생한다.
감시부(120)는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에 장착된다. 감시부(120)는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을 측정한다. 감시부(120)가 측정한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은 해체 작업 공간(WS)의 외부, 내부 또는 이동형 차폐 장치(1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는 다양한 제어부로 전송될 수 있다. 감시부(120)는 제어부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감시부(120)는 방사선량률을 측정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선량계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130)는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에 장착된다. 광원부(130)는 빛을 발광하는 공지의 다양한 발광 소자(LED)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130)는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에 따라 복수의 색상들 중 선택된 색상을 가지는 빛을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으로 조사한다. 감시부(120)가 측정한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이 전송된 다양한 제어부와 연결될 수 있는 광원부(130)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례로, 광원부(130)는 감시부(120)가 측정한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이 설정된 값 미만이면 제1 색상(일례로, 녹색)을 가지는 빛을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으로 조사하며, 감시부(120)가 측정한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이 설정된 값 이상이면 제2 색상(일례로, 적색)을 가지는 빛을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으로 조사할 수 있다. 즉, 감시부(120)가 측정한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이 설정된 값 미만인 안전 상태인 경우 광원부(130)에 의해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이 녹색의 빛을 발광하여 작업자(20)에게 시각 정보를 발생할 수 있으며, 감시부(120)가 측정한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이 설정된 값 이상인 위험 상태인 경우 광원부(130)에 의해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이 적색의 빛을 발광하여 작업자(20)에게 시각 경보를 발생하여 작업자(20)에게 위험 상황을 인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광원부(130)는 감시부(120)가 측정한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이, 제1 설정 값 미만이면 제1 색상을 가지는 빛을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으로 조사하며, 제1 설정 값 내지 제2 설정 값이면 제2 색상을 가지는 빛을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으로 조사하며, 제2 설정 값 내지 제3 설정 값이면 제3 색상을 가지는 빛을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으로 조사하며, 제3 설정 값 초과이면 제4 색상을 가지는 빛을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으로 조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광원부(130)는 감시부(120)가 측정한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이, 0.005 mSv/hr 미만이면 녹색의 빛을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으로 조사하며, 0.005 mSv/hr 내지 0.025 mSv/hr 이면 노란색의 빛을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으로 조사하며, 0.025 mSv/hr 내지 0.25 mSv/hr 이면 주황색의 빛을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으로 조사하며, 0.25mSv/hr 초과이면 적색의 빛을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으로 조사할 수 있다.
한편, 광원부(130)가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으로 조사하는 제1 색상의 빛은 녹색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색, 적색, 노랑색, 주황색 등의 다양한 색일 수 있다. 또한, 광원부(130)가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으로 조사하는 제2 색상의 빛은 적색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색상의 빛과 다른 녹색, 청색, 노랑색, 주황색 등의 다양한 색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차폐 장치(100)는, 다양한 해체 작업으로 인한 해체 작업 공간(WS) 내부의 방사선량률의 변동, 구조물 절단 등의 해체 작업으로 인한 해체 작업 공간(WS) 내부의 소음 증가, 해체 작업 공간(WS) 내부에 위치하는 방사성 물질(10), 해체 공정에 따라 원자력 발전소의 내부에 설치된 방사선 감시기가 제거되는 등의 해체 작업 공간(WS) 내부의 작업자(20)의 피폭을 유발할 수 있는 여러 변수를 고려하여,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 감시부(120), 광원부(13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차폐 장치(100)는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을 이용해 해체 작업 공간(WS)에 위치하는 방사성 물질(10)로부터 작업자(20)로 조사되는 방사선(11)을 차단하고, 감시부(120)를 이용해 해체 작업 공간(WS) 내부의 방사선량률을 측정하고, 방사선량률에 따라 광원부(130)를 이용해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에 제1 색상의 빛 또는 제2 색상의 빛을 조사하여 시각 경보를 발생함으로써,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WS)에서 방사성 물질(10)로부터 발생되는 방사선(11)을 차폐하는 동시에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을 감시하여 시각 경보를 발생하여 작업자(20)의 안전을 보완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차폐 장치(100)는 감시부(120)가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에 장착됨으로써, 해체 작업 공간(WS) 내부의 작업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즉,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환경을 고려하여,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WS)에서 방사성 물질(10)로부터 발생되는 방사선(11)을 차폐하는 동시에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을 감시하여 시각 경보를 발생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WS)의 이동형 차폐 장치(100)가 제공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의 방사선량률 감시 시스템을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의 방사선량률 감시 시스템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의 이동형 차폐 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의 방사선량률 감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 감시 시스템(1000)은 해체 작업 공간(WS)의 내부에서 방사성 물질(10)로부터 발생되는 방사선(11)이 작업자(20)에게 조사되는 것을 차폐하는 동시에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을 측정하여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의 값에 따라 작업자(20)에게 시각 경보, 청각 정보, 촉각 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 감시 시스템(1000)은 이동형 차폐 장치(100), 감시 제어부(200), 포터블 경보 장치(300), 웨어러블 경보 장치(400)를 포함한다.
이동형 차폐 장치(100)는 해체 작업 공간(WS)의 내부에서 방사성 물질(10)로부터 발생하는 방사선(11)의 차폐를 위해 작업자(20)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공지된 다양한 이동 수단이 이동형 차폐 장치(1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동형 차폐 장치(100)는 해체 작업 공간(WS)에 위치하는 작업자(20)와 방사성 물질(10) 사이에 위치하며,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 감시부(120), 광원부(130)를 포함한다.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은 해체 작업 공간(WS)에서 방사성 물질(10)과 대응하여 위치된다.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은 작업자(20)와 방사성 물질(10) 사이에 위치한다.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은 방사선(11)을 차단하는 공지된 다양한 납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은 방사성 물질(10)로부터 발생하는 방사선(11)의 차단을 위해 작업자(20)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공지된 다양한 이동 수단이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에는 감시부(120) 및 광원부(130)가 장착된다.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은 광원부(130)로부터 조사된 빛에 대응하는 색상으로 발광하여 작업자(20)에게 시각 경보를 발생한다.
감시부(120)는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에 장착된다. 감시부(120)는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을 측정한다. 감시부(120)가 측정한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은 해체 작업 공간(WS)의 외부에 위치하는 감시 제어부(200)로 전송될 수 있다. 감시부(120)는 감시 제어부(20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감시부(120)는 방사선량률을 측정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선량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감시부(120)가 측정한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수신 신호(RS)는 감시 제어부(200)로 수신된다.
광원부(130)는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에 장착된다. 광원부(130)는 빛을 발광하는 공지의 다양한 발광 소자(LED)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130)는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에 따라 복수의 색상들 중 선택된 색상을 가지는 빛을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으로 조사한다. 광원부(130)는 감시 제어부(200)와 연결되며, 감시 제어부(2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광원부(130)는 감시부(120)로부터 수신 신호(RS)를 수신한 감시 제어부(200)로부터 제1 송신 신호(SS1)를 수신하여,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에 따라 복수의 색상들 중 선택된 색상을 가지는 빛을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으로 조사한다.
일례로, 광원부(130)는 감시부(120)가 측정한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이 설정된 값 미만이면 감시 제어부(200)로부터 제1 송신 신호(SS1)를 수신하여 제1 색상(일례로, 녹색)을 가지는 빛을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으로 조사하며, 감시부(120)가 측정한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이 설정된 값 이상이면 감시 제어부(200)로부터 제1 송신 신호(SS1)를 수신하여 제2 색상(일례로, 적색)을 가지는 빛을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으로 조사할 수 있다.
즉, 감시부(120)가 측정한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이 설정된 값 미만인 안전 상태인 경우 광원부(130)에 의해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이 녹색의 빛을 발광하여 작업자(20)에게 시각 정보를 발생할 수 있으며, 감시부(120)가 측정한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이 설정된 값 이상인 위험 상태인 경우 광원부(130)에 의해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이 적색의 빛을 발광하여 작업자(20)에게 시각 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한편, 광원부(130)가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으로 조사하는 제1 색상의 빛은 녹색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색, 적색 등의 다양한 색일 수 있다. 또한, 광원부(130)가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으로 조사하는 제2 색상의 빛은 적색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색상의 빛과 다른 녹색, 청색 등의 다양한 색일 수 있다.
감시 제어부(200)는 해체 작업 공간(WS)의 외부에서 이동형 차폐 장치(100), 포터블 경보 장치(300), 웨어러블 경보 장치(40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다. 감시 제어부(200)는 이동형 차폐 장치(100)의 감시부(120)가 측정한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수신 신호(RS)를 수신하고,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에 따라 광원부(130)를 제어하는 정보를 가지는 제1 송신 신호(SS1), 포터블 경보 장치(300)를 제어하는 정보를 가지는 제2 송신 신호(SS2), 웨어러블 경보 장치(400)를 제어하는 정보를 가지는 제3 송신 신호(SS3) 각각을 광원부(130), 포터블 경보 장치(300), 웨어러블 경보 장치(400) 각각으로 송신하여 광원부(130)를 포함하는 이동형 차폐 장치(100), 포터블 경보 장치(300), 웨어러블 경보 장치(400) 각각을 제어한다.
감시 제어부(200)는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이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자동으로 이동형 차폐 장치(100), 포터블 경보 장치(300), 웨어러블 경보 장치(400) 각각에 경보를 지시할 수 있다.
포터블 경보 장치(300)는 작업자(20)가 휴대할 수 있는 경보 장치이며, 작업자(20)가 해체 작업 공간(WS)에 설치할 수 있다. 포터블 경보 장치(300)는 감시 제어부(200)와 연결되며, 감시부(120)가 측정한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에 따라 감시 제어부(200)에 의해 제어된다. 포터블 경보 장치(300)는 시각 경보 및 청각 경보를 발생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경보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포터블 경보 장치(300)는 감시부(120)가 측정한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이 설정된 값 이상이면 감시 제어부(200)로부터 제2 송신 신호(SS2)를 수신하여 시각 경보를 발생하는 동시에 청각 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즉, 이동형 차폐 장치(100)의 감시부(120)가 측정한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이 설정된 값 미만인 안전 상태인 경우 포터블 경보 장치(300)는 시각 경보 및 청각 경보를 발생하지 않으며, 감시부(120)가 측정한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이 설정된 값 이상인 위험 상태인 경우 포터블 경보 장치(300)는 시각 경보 및 청각 경보를 발생하여 작업자(20)에게 위험 상황을 인지시킬 수 있다.
웨어러블 경보 장치(400)는 작업자(20)가 착용할 수 있는 경보 장치이며, 해체 작업 공간(WS)에 위치하는 작업자(20)에게 착용된다. 웨어러블 경보 장치(400)는 감시 제어부(200)와 연결되며, 감시부(120)가 측정한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에 따라 감시 제어부(200)에 의해 제어된다. 웨어러블 경보 장치(400)는 시각 경보, 청각 경보, 촉각 경보를 발생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경보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경보 장치(400)는 팔찌 형태, 시계 형태, 이어폰 형태 등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례로, 웨어러블 경보 장치(400)는 감시부(120)가 측정한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이 설정된 값 이상이면 감시 제어부(200)로부터 제3 송신 신호(SS3)를 수신하여 시각 경보, 청각 경보, 촉각 경보를 발생한다.
즉, 이동형 차폐 장치(100)의 감시부(120)가 측정한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이 설정된 값 미만인 안전 상태인 경우 웨어러블 경보 장치(400)는 시각 경보, 청각 경보, 촉각 경보를 발생하지 않으며, 감시부(120)가 측정한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이 설정된 값 이상인 위험 상태인 경우 웨어러블 경보 장치(400)는 시각 경보, 청각 경보, 촉각 경보를 발생하여 작업자(20)에게 위험 상황을 인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감시부(120)가 감지한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 정보는 무선원격(RF) 원리를 이용하여 감시 제어부(200)로 실시간 전송된다. 전송 결과는 감시 제어부(200)의 모니터에 표시되어 방사선안전관리원이 작업 환경을 확인하고 필요한 조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감시 제어부(200)로부터 이동형 차폐 장치(100)로 정보를 전송하여 방사선량률에 따라 납유리 색상이 변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20) 및 감독원이 방사선학적 환경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방사선량률 감시 시스템(1000)이 설정한 기준치 이상의 방사선량률이 감지되었을 경우, 해체 작업 공간(WS) 내부 현장의 작업자(20)나 감독원이 알 수 있도록 포터블 경보 장치(300) 및 웨어러블 경보 장치(400)로 정보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량률 감시 시스템(1000)은, 다양한 해체 작업으로 인한 해체 작업 공간(WS) 내부의 방사선량률의 변동, 구조물 절단 등의 해체 작업으로 인한 해체 작업 공간(WS) 내부의 소음 증가, 해체 작업 공간(WS) 내부에 위치하는 방사성 물질(10), 해체 공정에 따라 원자력 발전소의 내부에 설치된 방사선 감시기가 제거되는 등의 해체 작업 공간(WS) 내부의 작업자(20)의 피폭을 유발할 수 있는 여러 변수를 고려하여, 이동형 차폐 장치(100), 감시 제어부(200), 포터블 경보 장치(300), 웨어러블 경보 장치(400)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량률 감시 시스템(1000)은 이동형 차폐 장치(100)를 이용해 해체 작업 공간(WS)에 위치하는 방사성 물질(10)로부터 작업자(20)로 조사되는 방사선(11)을 차단하고, 이동형 차폐 장치(100)의 감시부(120)를 이용해 해체 작업 공간(WS) 내부의 방사선량률을 측정하고, 방사선량률에 따라 감시 제어부(200)를 이용해 이동형 차폐 장치(100)의 광원부(130), 포터블 경보 장치(300), 웨어러블 경보 장치(400)를 제어하여 이동형 차폐 장치(100)로 시각 경보를 발생하고 포터블 경보 장치(300)로 시각 정보 및 청각 정보를 발생하고 웨어러블 경보 장치(400)를 시각 정보, 청각 정보, 및 촉각 정보를 발생함으로써,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WS)에서 방사성 물질(10)로부터 발생되는 방사선(11)을 차폐하는 동시에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을 감시하여 복수의 시각 경보, 청각 경보, 촉각 경보를 발생하여 작업자(20)의 안전을 보완한다.
즉,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환경을 고려하여,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WS)에서 방사성 물질(10)로부터 발생되는 방사선(11)을 차폐하는 동시에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을 감시하여 시각 경보, 청각 경보, 촉각 경보를 발생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WS)의 방사선량률 감시 시스템(1000)이 제공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110), 감시부(120), 광원부(130), 이동형 차폐 장치(100), 감시 제어부(200), 포터블 경보 장치(300), 웨어러블 경보 장치(400)

Claims (6)

  1.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에서 방사성 물질과 대응하여 위치되는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
    상기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에 장착되며, 상기 해체 작업 공간의 방사선량률을 측정하는 감시부; 및
    상기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에 장착되며, 상기 해체 작업 공간의 방사선량률에 따라 복수의 색상들 중 선택된 색상을 가지는 빛을 상기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으로 조사하는 광원부
    를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의 이동형 차폐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감시부가 측정한 상기 해체 작업 공간의 방사선량률이 설정된 값 미만이면 제1 색상을 가지는 빛을 상기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으로 조사하며,
    상기 감시부가 측정한 상기 해체 작업 공간의 방사선량률이 설정된 값 이상이면 제2 색상을 가지는 빛을 상기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으로 조사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의 이동형 차폐 장치.
  3.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에서 방사성 물질과 대응하여 위치되는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 상기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에 장착되며 상기 해체 작업 공간의 방사선량률을 측정하는 감시부, 및 상기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에 장착되며 상기 해체 작업 공간의 방사선량률에 따라 복수의 색상들 중 선택된 색상을 가지는 빛을 상기 이동형 납유리 차폐벽으로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이동형 차폐 장치; 및
    상기 해체 작업 공간의 외부에서 상기 이동형 차폐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감시부가 측정한 상기 해체 작업 공간의 방사선량률에 따라 상기 광원부를 제어하는 감시 제어부
    를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의 방사선량률 감시 시스템.
  4. 제3항에서,
    상기 이동형 차폐 장치는 상기 해체 작업 공간에 위치하는 작업자와 상기 방사성 물질 사이에 위치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의 방사선량률 감시 시스템.
  5. 제3항에서,
    상기 해체 작업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감시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감시부가 측정한 상기 해체 작업 공간의 방사선량률에 따라 상기 감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시각 경보 및 청각 경보를 발생하는 포터블 경보 장치를 더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의 방사선량률 감시 시스템.
  6. 제3항에서,
    상기 해체 작업 공간에 위치하는 작업자에게 착용되어 상기 감시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감시부가 측정한 상기 해체 작업 공간의 방사선량률에 따라 상기 감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시각 경보, 청각 경보, 및 촉각 경보를 발생하는 웨어러블 경보 장치를 더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의 방사선량률 감시 시스템.
KR1020200021647A 2020-02-21 2020-02-21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의 이동형 차폐 장치 및 방사선량률 감시 시스템 KR102385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647A KR102385426B1 (ko) 2020-02-21 2020-02-21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의 이동형 차폐 장치 및 방사선량률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647A KR102385426B1 (ko) 2020-02-21 2020-02-21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의 이동형 차폐 장치 및 방사선량률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750A true KR20210106750A (ko) 2021-08-31
KR102385426B1 KR102385426B1 (ko) 2022-04-08

Family

ID=77489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647A KR102385426B1 (ko) 2020-02-21 2020-02-21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의 이동형 차폐 장치 및 방사선량률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4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437Y1 (ko) * 2003-04-30 2003-07-28 고려공업검사 주식회사 이동형 방사선 차폐장치
KR101973612B1 (ko) * 2018-10-29 2019-04-29 (주)뉴클리어엔지니어링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개인선량계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해체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437Y1 (ko) * 2003-04-30 2003-07-28 고려공업검사 주식회사 이동형 방사선 차폐장치
KR101973612B1 (ko) * 2018-10-29 2019-04-29 (주)뉴클리어엔지니어링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개인선량계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해체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426B1 (ko) 2022-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85771B (zh) 用于个人防护设备的智能安全监视和分析系统
KR101973612B1 (ko)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개인선량계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해체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US10310267B2 (en) Method of detecting and outputting radiation dose rate information
KR101587591B1 (ko) 광산 통합 중앙관리 시스템
KR101339928B1 (ko) 위치기반의 통합형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
KR101574076B1 (ko) 방사선 작업자의 안전 및 피폭 관리 시스템
JPS6081698A (ja) 電磁波を用いた監視および指令誘導システム
JP2008530561A (ja) 動的非常時放射線モニタ
KR101670306B1 (ko) 방사선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KR102385426B1 (ko) 원자력 발전소의 해체 작업 공간의 이동형 차폐 장치 및 방사선량률 감시 시스템
JP2019003623A (ja) 装置から見て障壁の反対側に作業領域を有する工程用の安全システム
KR101207898B1 (ko) 방사선 개인선량계의 관리시스템
KR20210155243A (ko) 활선 경보 안전모 및 활선 경보 안전모 시스템
JP2016080529A (ja) 放射線計測装置および放射線計測方法
KR102456180B1 (ko) 방음귀마개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경보 처리 시스템
CA3149280C (en) Process, system and alarm management system for analyzing data of a mobile gas measuring device
US11011040B2 (en) Electronic personal dosimeter smart accessory system
JP6321838B1 (ja) 放射線量視認用防護マスク
CN208076729U (zh) 带报警功能的辐射检测装置
CN110782614A (zh) 一种射线现场检测安全报警系统
KR20220112326A (ko) 지게차 접근 경고 장치
CN209979528U (zh) 一种微波暗室的门机联锁装置
KR102015243B1 (ko) 발광 헬멧
RU266475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радиоактивности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и дозиметрического контроля обслуживающего персонала
DK3297538T3 (en) DEVICE FOR SIGNALING THE STATUS OF A DEVICE FOR SENDING RADIO TO THE ENVIRONMENT, IN PARTICULAR A DEVICE WITH AN X-ray tu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