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6146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6146A
KR20210106146A KR1020200020931A KR20200020931A KR20210106146A KR 20210106146 A KR20210106146 A KR 20210106146A KR 1020200020931 A KR1020200020931 A KR 1020200020931A KR 20200020931 A KR20200020931 A KR 20200020931A KR 20210106146 A KR20210106146 A KR 20210106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formation
resource
control channe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재원
권호중
변명광
설지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0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6146A/ko
Priority to PCT/KR2021/002197 priority patent/WO2021167424A1/ko
Publication of KR20210106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1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9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5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collaboration of different radio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반지속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반고정 데이터 전송 방법은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 중 특정 TTI에서 스케쥴링 되지 않은 데이터와 관련된 제어 자원 정보 및 상기 TTI의 제어 채널 영역에서의 미할당 제어 자원 정보에 기반하여 제어 채널 자원 부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와 관련된 데이터 자원 정보 및 상기 TTI의 데이터 채널 영역에서의 미할당 데이터 자원 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 자원 이득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 채널 자원 부족 정보 및 상기 데이터 자원 이득 정보에 기반하여 반 지속 스케쥴링 적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에 기반하여 스케쥴링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OF A BASE S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명세서의 실시 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 기술을 위한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 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 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많은 무선 통신 시스템 술에서의 공통의 목적 중 하나는 무선 자원 할당의 효율성 증대이다. 무선 이동통신 사업의 핵심이 되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의 경우, 패킷 사이즈는 작지만 빈번한 송신이 필요하여 제어 채널 오버헤드비율이 높은 트래픽이다. 이러한 비효율성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 중 대표적인 것이 반지속적 스케줄링(SPS) 의 사용이다. SPS를 효과적으로 운용한다면 제어 채널 자원의 저감을 가능하게 하고 제어 채널 자원의 부족으로 인해 전송하지 못했던 데이터 채널 자원을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종래 SPS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방식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셀 내 추가적으로 필요한 제어 자원, 데이터 자원을 예측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효과적으로 SPS를 운용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개시에 따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기지국이 SPS를 효과적으로 운용하여 제어 채널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제어 채널 자원의 부족으로 인해 전송하지 못했던 데이터 채널 자원을 할당을 가능하도록 하는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통신 방법은,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 중 특정 TTI에서 스케쥴링 되지 않은 데이터와 관련된 제어 자원 정보 및 상기 TTI의 제어 채널 영역에서의 미할당 제어 자원 정보에 기반하여 제어 채널 자원 부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와 관련된 데이터 자원 정보 및 상기 TTI의 데이터 채널 영역에서의 미할당 데이터 자원 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 자원 이득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 채널 자원 부족 정보 및 상기 데이터 자원 이득 정보에 기반하여 반 지속 스케쥴링 적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에 기반하여 스케쥴링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지국은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 중 특정 TTI에서 스케쥴링 되지 않은 데이터와 관련된 제어 자원 정보 및 상기 TTI의 제어 채널 영역에서의 미할당 제어 자원 정보에 기반하여 제어 채널 자원 부족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데이터와 관련된 데이터 자원 정보 및 상기 TTI의 데이터 채널 영역에서의 미할당 데이터 자원 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 자원 이득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제어 채널 자원 부족 정보 및 상기 데이터 자원 이득 정보에 기반하여 반 지속 스케쥴링 적용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에 기반하여 스케쥴링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셀 내 추가적으로 필요한 제어 자원, 데이터 자원을 예측하여 반지속 스케쥴링을 효율적으로 운용하므로 제어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데이터 자원 전송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동적 스케쥴링을 적용하였을 때의 단말과 기지국의 전체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반지속 스케쥴링(SPS)을 적용하였을 때의 단말과 기지국의 전체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케쥴링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b는 RLC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 중 특정 TTI 동안 스케쥴링 되지 않은 데이터에 관한 구조도이다.
도 3c는 특정 TTI 동안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에 할당된 자원에 관한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이 제어 채널 자원 부족 정보를 결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이 데이터 자원 이득 정보를 결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a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이 스케쥴링 방법을 결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이 스케쥴링 방법을 결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제어부에 대한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케쥴링 방법 결정 기준에 관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개시를 설명하기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개시는 3GPP LTE(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개시가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면,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하기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은 현재 존재하는 통신표준 가운데 3GPP(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단체에서 정의하는 가장 최신의 표준인 LTE 및 NR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3GPP NR(5세대 이동통신 표준)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케쥴링이란 무선 자원 스케쥴링(Radio Resource Scheduling)으로, 한정된 무선 자원을 이동통신 셀 내 여러 사용자에게 시간, 주파수, 공간에 따라 할당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지국이 단말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다운링크(downlink) 전송에 대한 스케줄링을 예시로서 설명할 것이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사이드 링크(sidelink) 전송 또는 업링크(uplink) 전송 등을 포함한 임의의 통신에 대한 스케줄링에 대하여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동적 스케쥴링(Dynamic Scheduling: DS)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의 전체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있어서 동적 스케쥴링은, 기지국이 송수신할 데이터 패킷이 없는 단말에 대해서는 무선 자원을 할당하지 않고, 송수신할 데이터 패킷이 있는 단말에게는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 과 변조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을 선택하여 단말에게 알려주고, 각 단말은 상기 기지국이 알려준 RB와 MCS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법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100)은 S100 단계에서, 다운 링크 서브프레임에서 물리 다운 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S110 단계에서, 제어 채널 상에서, 셀-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C-RNTI)를 이용하여 단말(100)에 자원 블록 및 변조 코딩 방식을 동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기지국은 상기 할당된 자원 블록 및 변조 코딩 방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 및 그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S120 단계 및 S130 단계 각각에서, 해당 전송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C-RNTI를 이용하여 다시 단말(100)에 자원 블록 및 변조 코딩 방식을 동적으로 할당하고, 제어 신호 및 데이터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동적 스케쥴링은 기지국이 자원을 사용함에 있어, 각 TTI 마다 RB 및 MCS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채널 환경에 따라 유연하게 스케쥴링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동적 스케쥴링은 각 TTI 마다 스케쥴링 정보가 전송되기 때문에 제어 신호 오버 헤드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VoIP와 같이 비교적 작은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작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스케쥴링으로 인해 제어 신호 오버 헤드가 증가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채널에 자원이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데이터 전송이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스케쥴링 방법으로 반지속 스케쥴링(Semi Persistent Scheduling: SPS) 기법이 고안되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반지속 스케쥴링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의 전체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반지속 스케쥴링이란, 주기적으로 고정된 크기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쥴링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근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채널의 변화나 기지국이 전송하는 자원의 양에 따라서 매 전송 시점마다 적응적인(adaptive) 전송을 수행한다. 이와는 달리 반지속 전송의 경우는 기지국이 미리 전송 주기, 전송 자원의 양 등의 구성 정보를 설정하면, 해당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기까지 상기 구성 정보가 변하지 않는 전송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반지속 전송에 대한 대표적인 예시로,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와 같은 음성전송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S200 단계에서, 반지속 전송을 위해서 기지국(210)은 단말(200)에 상위 시그널링으로 표 1과 같이 반지속 전송을 위한 반지속 전송 단말 식별자(Semi-persistent scheduling RNTI), 송신 주기, HARQ process 번호, 응답 채널 자원 등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하기의 표 1은 SPS 전송을 위한 상위 시그널링에 포함되는 정보 엘리먼트(information element)의 구성 예를 도시한다.
SPS-ConfigDL ::= CHOICE{
release NULL,
setup SEQUENCE {
semiPersistSchedIntervalDL ENUMERATED {
sf10, sf20, sf32, sf40, sf64, sf80,
sf128, sf160, sf320, sf640, spare6,
spare5, spare4, spare3, spare2,
spare1},
numberOfConfSPS-Processes INTEGER(1..8),
n1PUCCH-AN-PersistentList N1PUCCH-AN-PersistentList,
...,
[[twoAntennaPortActivated-r10 CHOICE {
release NULL,
setup SEQUENCE {
n1PUCCH-AN-PersistentListP1-r10 N1PUCCH-AN-PersistentList
}
} OPTIONAL -- Need ON
]]
이후 단말(200)은 S210 단계에서, 다운 링크 서브프레임에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모니터할 수 있다. 기지국(210)은 S220 단계에서 제어 채널 상에서 설정된 스케쥴링-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onfigured scheduling RNTI: CS-RNTI)를 이용하여 반지속 전송을 위한 트리거링(triggering)을 지시할 수 있다. Triggering 제어 채널을 수신한 단말(200)은 해당 제어 채널이 지시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위 시그널링 정보를 고려하여, 반지속 전송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반지속 데이터 전송의 경우 데이터가 전송되는 주기인 송신 주기를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으며, 따라서 모든 데이터 전송의 초기 전송에 대해서는 별도의 제어 채널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일반적인 데이터 전송의 경우 서브프레임마다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이 존재하지만, 반지속 데이터 전송의 경우 반지속 전송의 트리거링(triggering)을 위한 제어 채널의 전송 이후에는 제어 신호 없이 전송 주기 마다 데이터 신호만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S230 및 S240 단계 각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제어 신호 전송 없이 송신 주기 간격에 따라 데이터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위와 같이 SPS는 비교적 작은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경우에 제어 채널 자원의 저감을 가능하게 하여 제어 신호 오버헤드를 줄이고, 제어 채널 자원의 부족으로 인해 전송하지 못했던 데이터 채널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하지만 스케쥴링 방식이 SPS이라 하더라도, 재전송 요청에 따른 스케쥴링에 대해서는 SPS 방식이 아니라 DS 방식을 따르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자원 간 충돌의 우려가 있다는 문제와 SPS 방식의 경우 채널 상태의 변화에 따라 유연성 있게 스케쥴링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SPS를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하기와 같은 방안들이 제안될 수 있다.
A. 접속 UE 수가 많을수록 물리 채널 사용 자원량이 증가한다. 이에 근거하여 기지국은 접속 UE가 특정 수보다 큰 경우에 대해 SPS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B. 기지국은 스케줄러에서 할당한 제어 자원량을 측정하여 자원 사용량이 많은 경우 SPS 활성화할 수 있다.
C. 기지국은 재전송으로 인한 제어 자원량이 최소가 되도록 SPS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하지만 A, B, C에 따른 SPS 활성화 결정 방안은 셀 내 추가적으로 필요한 제어 자원, 데이터 자원을 예측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셀 내 추가적으로 필요한 제어 자원, 데이터 자원을 예측하고, 이에 기반하여 SPS 적용을 결정하는 방법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자원 관리가 가능할 것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케쥴링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b는 RLC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 중 특정 TTI 동안 스케쥴링 되지 않은 데이터에 관한 구조도이다. 도 3b를 참고하면, RLC 버퍼 내부의 버퍼 데이터(301, 303, 305..)는 특정 TTI 동안 스케쥴링 되지 않은 데이터일 수 있다.
도 3c는 특정 TTI 동안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에 할당된 자원에 관한 구조도이다. 도 3c를 참고하면, 특정 TTI 동안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에 할당된 제어 자원(311)은 특정 TTI 동안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에 할당된 데이터 자원(321)을 전송하기 위한 제어자원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 TTI 동안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에 할당된 제어 자원(311)은, 채널 자원 요소 (Control Channel Element: CCE) 들로 표현할 수 있다. 이때 CCE는 9세트의 자원 요소 그룹(Resource Element Group: REG)에 대응되며, REG는 4개의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RE)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자원 영역, 제어 채널 영역은 CCE 개수로 환산할 수 있으며, 데이터 자원 크기, 데이터 자원 영역은 자원 블록 (Resource Block: RB)의 크기 단위로 환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b와, 도 3c를 이용하여 도 3a의 단계를 설명한다.
도 3a을 참고하면, 기지국은 S310 단계에서, RLC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 중 특정 TTI에서 스케쥴링 되지 않은 데이터(301, 303, 305...)를 이후에 전송하기 위한 제어 자원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S310 단계에서, 특정 TTI 동안 할당된 제어 채널 영역에서의 제어 자원(311) 정보를 확인하여 미할당 제어 자원(313)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할당 제어 자원 정보는 CCE의 개수 또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S310 단계에서, 스케쥴링 되지 않은 데이터와 관련된 제어 자원 정보 및 상기 TTI의 제어 채널 영역에서의 미할당 제어 자원 정보에 기반하여 제어 채널 자원 부족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채널 자원 부족 정보는 스케쥴링 되지 않은 데이터와 관련된 제어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제어 채널 자원 영역이 부족한 정도에 대한 정보 일 수 있다.
기지국은 S320 단계에서, 스케쥴링 되지 않은 데이터(301, 303, 305 ...)와 관련된 데이터 자원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S320 단계에서, 특정 TTI 동안 할당된 데이터 채널 영역에서의 데이터 자원(321) 정보를 확인하여 미할당 데이터 자원(323)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S320 단계에서, 스케쥴링 되지 않은 데이터와 관련된 데이터 자원 정보 및 상기 TTI의 데이터 채널 영역에서의 미할당 데이터 자원 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 자원 이득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자원 이득 정보는 제어 자원 할당에 제약이 없다고 가정했을 경우, 추가로 할당 가능한 최대 데이터 자원량에 관련된 정보 일 수 있다.
기지국은 S330 단계에서, 상기 결정된 제어 채널 자원 부족 정보 및 데이터 자원 이득 정보에 기반하여 SPS 적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SPS 적용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S340 단계에서 SPS를 적용하여 스케쥴링을 수행하고, 기지국이 SPS 적용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하면, S350 단계에서 동적 스케쥴링을 적용하여 스케쥴링을 수행할 수 있다.
SPS 적용 여부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채널 자원 부족 정보에 기반한 비율이 임계값 이상이고, 데이터 자원 이득 정보에 기반한 비율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SPS 적용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SPS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이 S310 단계에서, 제어 채널 자원 부족 정보를 결정하는 동작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기지국은 S410 단계에서 제어 채널 자원 부족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RLC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 중 특정 TTI 동안 스케쥴링 되지 않은 데이터와 관련된 제어 자원 정보(301,303,305...)에 기반하여, 복수의 제어 채널 요소(control channel element: CCE)에 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복수의 제어 채널 요소에 관한 정보는 특정 TTI 동안 할당되지 못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CCE의 개수 또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어 채널 요소에 관한 정보는 이전 TTI 동안 할당되지 못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CCE의 개수 또는 영역을 히스토리 정보로 저장하고, 이후 특정 TTI 동안 할당되지 못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CCE의 개수 또는 영역에 히스토리 정보를 가중치로 두어 필터링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S420 단계에서, 특정 TTI 동안 물리 다운 링크 제어 채널(PDCCH) 영역에 할당된 제어 자원(311)의 제어 채널 요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확인된 제어 채널 요소 정보는 특정 TTI 동안 제어 채널 영역에 할당된 제어 채널 요소의 개수 또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확인된 제어 채널 요소 정보는 이전 TTI 동안 제어 채널 영역에 할당된 제어 채널 요소 개수 또는 영역을 확인하여 히스토리 정보로 저장하고, 이후 특정 TTI 동안 제어 채널 영역에 할당된 제어 채널 요소의 개수 또는 영역을 확인한 값에 히스토리 정보를 가중치로 두어 필터링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S430 단계에서 확인된 제어 채널 요소 정보를 기반으로 미할당 제어 자원(313)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미할당 제어 자원 정보는 구체적으로 특정 TTI 동안 단말에 대한 제어 채널 영역에서, 확인된 제어 채널 요소에 해당하는 영역을 을 제외한 영역인 미할당 제어 자원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미할당 제어 자원 영역은 하기의 수학식 1을 통해 CCE의 개수 단위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1) UnusedCCE: 미할당 제어 자원 영역
2) usedCCE: 제어 채널 영역에 할당된 제어 채널 요소
3) Total CCE: TTI 동안 단말에 대한 총 제어 채널 영역
기지국은 S440 단계에서, 특정 TTI 동안 스케쥴링 되지 않은 데이터와 관련된 복수의 CCE 개수와 미할당 제어 자원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채널 자원 부족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위 동작에서 제어 채널 자원 부족 정보는 제어 채널 자원 부족 비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 채널 자원 부족 비율은 하기의 수학식 2을 통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2
1) control_shortage_ratio: 제어 채널 자원 부족비율
2) FailedCCE: 스케쥴링 되지 않은 데이터와 관련된 CCE 영역
3) UnusedCCE: 미할당 제어 자원 영역
4) usedCCE: 제어 채널 영역에 할당된 제어 채널 요소
5) Total CCE: TTI 동안 단말에 대한 총 제어 채널 영역
이하에서 수학식 2의 물리적 의미를 살핀다.
기지국은 특정 TTI 동안 RLC 버퍼에 스케쥴링 되지 않은 데이터를 향후 스케쥴링 하기 위해 필요한 CCE 개수 또는 영역으로 환산할 수 있다. 향후 스케쥴링 하기 위해 필요한 CCE 개수가 많을 수록 또는 영역이 클 수록 제어 자원의 효율적 사용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이에 따라 반지속 스케쥴링 적용의 필요성이 커진다.
또한 기지국은 특정 TTI 동안 제어 채널에 할당되지 않은 제어 자원 영역인 미할당 제어 자원을 CCE 개수 또는 영역으로 환산할 수 있다. 환산된 미할당 제어 자원 CCE 개수가 적을 수록 또는 영역이 작을 수록 제어 자원의 효율적 사용 필요성이 증대되고, 이에 따라 반지속 스케쥴링 적용의 필요성이 커지게 된다.
즉, 수학식 2를 통해 개시된 제어 채널 자원 부족 비율의 값이 클수록 반지속 스케쥴링 적용의 필요성이 커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이 S320 단계에서, 데이터 자원 이득 정보를 결정하는 동작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우선 기지국은 S510 단계에서, RLC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 중 특정 TTI에서 스케쥴링 되지 않은 데이터 자원(301, 303, 305...) 정보에 대한 데이터 크기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스케쥴링 되지 않은 데이터 자원 정보에 대한 데이터 크기 정보는, 이전 TTI에서 스케쥴링 되지 않은 데이터 자원 정보에 대한 데이터 크기 정보를 히스토리 정보로 저장하고, 이후 특정 TTI 동안 스케쥴링 되지 못한 데이터에 대한 크기정보에 히스토리 정보를 가중치로 두어 필터링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기지국은 S520 단계에서, 특정 TTI 동안 물리 다운 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에 할당된 데이터 자원(321)의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할당된 자원 블록에 관한 정보는, 특정 TTI 동안 PDSCH에 할당된 자원 블록의 개수 또는 자원 블록들의 데이터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할당된 자원 블록에 관한 정보는 이전 TTI에서 PDSCH에 할당된 자원 블록의 개수 또는 자원 블록들의 데이터 크기를 확인해 두어 히스토리 정보로 저장하고, 이후 특정 TTI 동안 할당된 자원 블록의 개수 또는 자원 블록들의 데이터 크기에 히스토리 정보를 가중치로 두어 필터링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S530 단계에서, 확인한 자원 블록들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미할당 데이터 자원(323)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미할당 데이터 자원 정보는 구체적으로 특정 TTI 동안 복수의 단말에 대한 데이터 채널 영역 에서, 데이터 채널에 할당된 자원 블록들의 크기에 해당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인, 미할당 데이터 자원 영역의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미할당 데이터 자원 영역의 크기는 하기의 수학식 3을 통해 RB의 단위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pat00003
1) UnusedRB: 미할당 데이터 자원 크기
2) usedRB: 데이터 채널에 할당된 자원 블록들의 크기
3) Total_PDSCH_region: TTI 동안 단말에 대한 총 데이터 채널 영역 크기
기지국은 S540 단계에서 특정 TTI에서 스케쥴링 되지 않은 데이터 자원 정보에 대한 복수의 데이터 크기 정보 및 미할당 데이터 자원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 자원 이득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자원 이득 정보는 데이터 자원 이득 비율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데이터 자원 이득 비율은 데이터 크기 정보 및 미할당 데이터 자원의 크기 중 최소값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하기의 수학식 4를 통해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pat00004
1) data_gain_ratio: 데이터 자원 이득 비율
2) RemainingRB: 스케쥴링 되지 않은 데이터 자원 크기
3) UnusedRB: 미할당 데이터 자원 크기
4) usedRB: 데이터 채널에 할당된 자원 블록들의 크기
5) Total_PDSCH_region: TTI 동안 단말에 대한 총 데이터 채널 영역 크기
수학식 4의 물리적 의미를 살필 때. 기지국은 기지국은 특정 TTI 동안 RLC 버퍼에 스케쥴링 되지 않은 데이터의 크기를 RB들의 크기로 환산할 수 있다. 스케쥴링 되지 않은 데이터의 크기가 클 수록 반지속 스케쥴링을 적용하였을 때의 데이터 자원 이득 비율이 커진다.
또한 특정 TTI 동안 데이터 채널에 할당되지 않은 데이터 자원의 크기가 클 수록 스케쥴링 되지 않은 데이터의 크기가 클 수록 반지속 스케쥴링을 적용하였을 때의 데이터 자원 이득 비율이 커진다.
이처럼 데이터 자원 이득 비율이 가지는 특징은, 데이터 자원 이득 비율이 클수록 반지속 스케쥴링 적용 시 추가할당 가능한 PDSCH 자원량이 커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자원 이득 정보는 PDCCH 할당에 제약이 없다고 가정했을 경우, 할당 가능한 PDSCH 자원 블록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이 S330 단계에서 스케쥴링 방법을 결정하는 동작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기지국은 스케쥴링을 환경에 따라 효과적으로 운영 하기 위해, 제어 채널 자원 부족 정보와 데이터 자원 이득 정보를 기반으로 반지속 스케쥴링의 필요성과, 자원 이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6a을 참고하면, 기지국은 S610 단계에서 효율적인 자원 관리를 위해 제어 채널 자원 부족 비율에 대한 임계값(Threshold1: Th1)을 미리 정해둘 수 있다. 이후 기지국은 제어 채널 자원 부족 비율을 결정한 뒤, 결정된 제어 채널 자원 부족 비율을 미리 정해둔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 제어 채널 자원 부족 비율이 Th1 보다 큰 경우, 이는 할당 예정인 데이터 양보다 제어 채널 자원이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S630 단계에서 반지속 스케쥴링을 적용하여 스케쥴링을 할 수 있다.
제어 채널 자원 부족 비율이 Th1 보다 작은 경우, 기지국은 S640 단계에서 동적 스케쥴링을 적용하여 스케쥴링을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기지국은 데이터 자원 이득 비율에 대한 임계값(Threshold2: Th2)을 미리 정해둘 수 있다.
이후 기지국은 S620 단계에서 데이터 자원 이득 비율을 결정한 뒤, 결정된 데이터 자원 이득 비율을 미리 정해둔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 데이터 자원 이득 비율이 Th2보다 큰 경우, 기지국은 S630 단계에서 반지속 스케쥴링을 적용하여 스케쥴링을 할 수 있다. 반면 데이터 자원 이득 비율이 Th2 보다 작은 경우, 기지국은 S640 단계에서 동적 스케쥴링을 적용하여 스케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지국이 제어 채널 자원 부족 비율이 Th1 보다 크고, 데이터 자원 이득 비율이 Th2 보다 큰 경우 반지속 스케쥴링을 적용하는 것을 예시로서 설명할 것이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제어 채널 자원 부족 비율이 Th1 보다 큰 경우, 또는 데이터 자원 이득 비율이 Th2 보다 큰 경우에 대해 반지속 스케쥴링을 적용할 수도 있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이 S630, S640 단계에서 스케쥴링 방법을 결정하는 동작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반 지속 스케쥴링을 하게 되면 자원에 대한 이득이 있는 상태를 Heavy load mode 라고 정의하고, 반 지속 스케쥴링을 하게 되더라도 자원에 대한 이득이 적은 상태를 light load mode 라고 정의할 수 있다.
control_shortage_ratio<Th1 control_shortage_ratio>Th1
data_gain_ratio <Th2 light load mode light load mode
data_gain_ratio >Th2 light load mode Heavy load mode
상기 표 2는 기지국이 제어 채널 자원 부족 비율이 Th1 보다 크고, 데이터 자원 이득 비율이 Th2 보다 큰 경우를 Heavy load mode, 그렇지 않은 경우를 light load mode로 정의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이다.도 6b을 참고하면, 기지국은 S650 단계에서 제어 채널 자원 부족 정보 및 데이터 자원 이득 정보에 기반하여 Heavy load mode 상태인지 light load mode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기지국이 Heavy load mode 상태인 경우, 기지국은 S660 단계로 진행하여 반지속 스케쥴링을 활성화할 대상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반지속 스케쥴링을 활성화할 대상 단말을 결정하는 경우, 기지국은 단말의 유형, 현재 적용된 스케쥴링 방법, 현재 단말의 상태, 단말이 반지속 스케쥴링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S660 단계에서, 반지속 스케쥴링을 활성화할 대상 단말을 결정하고, 제어 채널 상에서, 설정된 스케쥴링-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onfigured scheduling RNTI: CS-RNTI)를 이용하여 반지속 전송을 활성화하기 위한 트리거링(triggering)을 지시할 수 있다. Triggering 제어 채널을 수신한 단말은 해당 제어 채널이 지시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위 시그널링 정보를 고려하여, 반지속 전송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이 light load mode 상태인 경우, 기지국은 S670 단계로 진행하여 반지속 스케쥴링을 비활성화할 대상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반지속 스케쥴링 비활성화 대상 단말을 결정하기 위해 단말의 유형, 현재 적용된 스케쥴링 방법, 현재 단말의 상태, 단말이 반지속 스케쥴링을 지원하는지, 단말이 반지속 스케쥴링에 의한 데이터 신호 수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S670 단계에서, 반지속 스케쥴링을 활성화할 대상 단말을 결정하고, 제어 채널 상에서, 설정된 스케쥴링-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onfigured scheduling RNTI: CS-RNTI)를 이용하여 반지속 전송 비활성을 위한 트리거링(triggering)을 지시할 수 있다. Triggering 제어 채널을 수신한 단말은 동적 전송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은 특정 TTI 이후 현재 상태가 Heavy load mode 상태인지 light load mode 상태인지 여부를 다시 판단할 수 있다. 이전에 기지국의 상태가 Heavy load mode였다가 light load mode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기지국은 반지속 스케쥴링을 비활성화 할 대상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이전에 기지국의 상태가 light load mode였다가 Heavy load mode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기지국은 반지속 스케쥴링을 활성화할 대상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위와 같은 동작을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Heavy load mode 상태인지 light load mode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상태에 따른 동작을 주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기지국은 환경에 따라 스케쥴링을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기지국은 통신부(720)와 제어부(7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72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710)는 기지국에 포함된 모든 구성부들의 상태 및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기지국의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710)는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 중 특정 TTI에서 스케쥴링 되지 않은 데이터와 관련된 제어 자원 정보 및 TTI의 제어 채널 영역에서의 미할당 제어 자원 정보에 기반하여 제어 채널 자원 부족 정보를 결정하고, 데이터와 관련된 데이터 자원 정보 및 TTI의 데이터 채널 영역에서의 미할당 데이터 자원 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 자원 이득 정보를 결정하고, 제어 채널 자원 부족 정보 및 데이터 자원 이득 정보에 기반하여 반 지속 스케쥴링 적용 여부를 판단하며, 적용 여부 판단에 기반하여 스케쥴링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용은 도 8 기지국 제어부(710)에 대한 블록 구성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제어부(710)에 대한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8의 스케쥴러(800), 부하 계산부(810), 부하 모드 결정부(820), 반지속 스케쥴링 대상 단말 선정부(830)가 제어부에 포함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부하 계산부(810), 부하 모드 결정부(820), 반지속 스케쥴링 대상 단말 선정부(830)는 상기 제어부에 포함되지 않고 물리적으로 독립적인 하나의 구성부로서 기지국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제어부는 부하 계산부(810)를 통해 스케쥴러(800)로 부터 스케쥴링 정보를 수신하고, 스케쥴링 정보를 통해 제어 채널 자원 부족 정보 또는 데이터 자원 이득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부하 모드 결정부(820)를 통해 부하 계산부(810)의 결정값을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 채널 자원 부족 정보 또는 데이터 자원 이득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기지국의 상태를 Heavy load mode인지 Light load mode 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는 반지속 스케쥴링 대상 단말 선정부(830)를 통해 기지국과 단말간 스케쥴링 방법을 선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케쥴링 방법 결정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영역 차트에 관한 도면이다. 가로축은 제어 채널 자원 부족 비율(control_shortage_ratio)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데이터 자원 이득 비율(data_gain_ratio)을 나타낸다. 기지국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을 통해 제어 채널 자원 부족 비율 및, 데이터 자원 이득 비율을 결정하여 현재 상태를 영역 차트 위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영역 차트 위에 표시된 기지국의 상태가 제어 채널 자원 부족 비율이 Th1 보다 크고, 데이터 자원 이득 비율이 Th2 보다 큰 경우, 기지국은 Heavy load mode 상태이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Light load mode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셀 내 추가적으로 필요한 제어 자원, 데이터 자원을 예측하여 반지속 스케쥴링을 효율적으로 운용하므로 제어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데이터 자원 전송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는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6)

  1. 기지국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 중 특정 TTI에서 스케쥴링 되지 않은 데이터와 관련된 제어 자원 정보 및 상기 TTI의 제어 채널 영역에서의 미할당 제어 자원 정보에 기반하여 제어 채널 자원 부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와 관련된 데이터 자원 정보 및 상기 TTI의 데이터 채널 영역에서의 미할당 데이터 자원 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 자원 이득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 채널 자원 부족 정보 및 상기 데이터 자원 이득 정보에 기반하여 반 지속 스케쥴링 적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에 기반하여 스케쥴링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 자원 부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와 관련된 제어 자원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 요소(control channel element)를 결정하는 단계;
    제어 채널 영역에 할당된 제어 채널 요소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제어 채널 요소를 기반으로, 상기 미할당 제어 자원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 요소 및 미할당 제어 자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채널 자원 부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통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할당 제어 자원 정보는, 상기 TTI의 제어 채널 영역에서 상기 확인된 제어 채널 요소에 해당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통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자원 이득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와 관련된 데이터 자원 정보에 기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크기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데이터 채널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Resource Block)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자원 블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미할당 데이터 자원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크기 정보 및 상기 미할당 데이터 자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 자원 이득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통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미할당 데이터 자원 정보는, 상기 TTI의 데이터 채널 영역에서 상기 확인된 자원 블록에 해당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통신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자원 이득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크기 정보 및 상기 미할당 데이터 자원의 크기 중 최소값을 기반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통신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 지속 스케쥴링 적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제 1 비율이 제 1 임계값 이상이고, 제 2 비율이 제 2 임계값 이상인 경우 반 지속 스케쥴링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비율은 상기 제어 채널 자원 부족 정보에 기반한 비율이고,
    상기 제 2 비율은 상기 데이터 자원 이득 정보에 기반한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통신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율은 상기 제어 채널 자원 부족 정보 및 제어 채널 자원 부족 히스토리 정보에 기반한 비율이고,
    상기 제 2 비율은 상기 데이터 자원 이득 정보 및 데이터 자원 이득 히스토리 정보에 기반한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통신 방법.
  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 중 특정 TTI에서 스케쥴링 되지 않은 데이터와 관련된 제어 자원 정보 및 상기 TTI의 제어 채널 영역에서의 미할당 제어 자원 정보에 기반하여 제어 채널 자원 부족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데이터와 관련된 데이터 자원 정보 및 상기 TTI의 데이터 채널 영역에서의 미할당 데이터 자원 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 자원 이득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제어 채널 자원 부족 정보 및 상기 데이터 자원 이득 정보에 기반하여 반 지속 스케쥴링 적용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에 기반하여 스케쥴링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와 관련된 제어 자원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 요소(control channel element)를 결정하고, 제어 채널에 할당된 제어 채널 요소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제어 채널 요소를 기반으로, 상기 미할당 제어 자원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 요소 및 미할당 제어 자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채널 자원 부족 정보를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미할당 제어 자원 정보는, 상기 TTI의 제어 채널 영역에서 상기 확인된 제어 채널 요소에 해당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와 관련된 데이터 자원 정보에 기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크기 정보를 결정하고, 데이터 채널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Resource Block)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자원 블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미할당 데이터 자원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크기 정보 및 상기 미할당 데이터 자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 자원 이득 정보를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미할당 데이터 자원 정보는, 상기 TTI의 데이터 채널 영역에서 상기 확인된 자원 블록에 해당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크기 정보 및 상기 미할당 데이터 자원의 크기 중 최소값을 기반으로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1 비율이 제 1 임계값 이상이고, 제 2 비율이 제 2 임계값 이상인 경우 반 지속 스케쥴링 적용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비율은 상기 제어 채널 자원 부족 정보에 기반한 비율이고, 상기 제 2 비율은 상기 데이터 자원 이득 정보에 기반한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율은 상기 제어 채널 자원 부족 정보 및 제어 채널 자원 부족 히스토리 정보에 기반한 비율이고,
    상기 제 2 비율은 상기 데이터 자원 이득 정보 및 데이터 자원 이득 히스토리 정보에 기반한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통신 방법.
KR1020200020931A 2020-02-20 2020-02-2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KR2021010614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931A KR20210106146A (ko) 2020-02-20 2020-02-2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PCT/KR2021/002197 WO2021167424A1 (ko) 2020-02-20 2021-02-2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931A KR20210106146A (ko) 2020-02-20 2020-02-2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146A true KR20210106146A (ko) 2021-08-30

Family

ID=77392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931A KR20210106146A (ko) 2020-02-20 2020-02-2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106146A (ko)
WO (1) WO202116742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99039B2 (en) * 2015-07-23 2018-06-12 Qualcomm Incorporated Semi-persistent scheduling for enhanced machine type communications
EP3482595B1 (en) * 2016-07-07 2021-09-0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eceiving downlink signal
US11284416B2 (en) * 2016-12-22 2022-03-22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s (URLLC) semi-persistent scheduling
KR102503950B1 (ko) * 2017-09-07 2023-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사용자기기
KR102009432B1 (ko) * 2017-10-26 2019-08-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적응적 상향 링크 자원 할당 방법과, 상기 방법이 적용된 기지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67424A1 (ko) 2021-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21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uplink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2647886B1 (ko) V2x 시스템에서 dmrs 정보 설정 방법 및 장치
JP5263340B2 (ja) リソース割当情報伝達装置、伝達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069906B (zh) 在无线网络中使用基于竞争的资源区域发射数据的方法和装备
US9351310B2 (en) Method in a base station for allocating communication resources to a user equipment, base station,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2372581B1 (ko) 리소스 블록 그룹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349604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Logical Channel의 우선 순위에 따른 Uplink Scheduling 방법
JP2018528694A (ja) 低複雑度の狭帯域端末のためのランダムアクセス手順でのharqメッセージに割り当てられたリソースを示すための方法
KR20210106273A (ko) V2x 시스템에서 단말 간 협력을 통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US100570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back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21006196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위한 기준신호 송신 및 수신 방법 및 장치
US201803681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cheduling request to support plurality of services efficiently
US10897767B2 (en) Resource schedul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20210376960A1 (en)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processes for sub-band full duplex
JP2015529423A (ja) 制御チャネル処理方法および装置
US11576177B2 (en) Method and terminal device for determining priorities of multiple BWPS
KR20200115002A (ko) Configured Grant의 충돌 시 대안자원을 지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1490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d2d 신호 전송 지원을 위한 기지국 동작 방법 및 장치
KR2022010303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인접 Configured Grant 자원을 사용한 재전송 방법 및 장치
CN112566265B (zh) 一种调度请求触发方法、信息配置方法、终端及网络设备
US9967010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KR20210145562A (ko) V2x 시스템에서 단말 간 협력을 통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CN111147193B (zh) 一种车联网的重传请求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KR20160056771A (ko) 상향링크 자원 할당 요청 방법 및 장치
KR2021010614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