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5757A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ing of baby swing equipment based on voice recogni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ing of baby swing equipment based on voice recogn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5757A
KR20210105757A KR1020200020641A KR20200020641A KR20210105757A KR 20210105757 A KR20210105757 A KR 20210105757A KR 1020200020641 A KR1020200020641 A KR 1020200020641A KR 20200020641 A KR20200020641 A KR 20200020641A KR 20210105757 A KR20210105757 A KR 20210105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value
output
control signal
gene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6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98100B1 (en
Inventor
이재완
이지영
Original Assignee
이재완
이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완, 이지영 filed Critical 이재완
Priority to KR1020200020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100B1/en
Publication of KR20210105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57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1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2Cradles ; Bassinets with rock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26Recognition of special voice characteristics, e.g. for use in lie detectors; Recognition of animal vo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03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xtracted parameters
    • G10L25/1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xtracted parameters the extracted parameters being spectral information of each sub-ban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78Detection of presence or absence of voice signals
    • G10L2025/783Detection of presence or absence of voice signals based on threshold dec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baby swing device based on voice recognition. 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baby swing device based on voice recognition comprises: a weight detection unit installed on the swing device and detecting the weight of the infant as the infant is seated; a voice recognition module installed on the swing device and recognizing the voice and outputting a digital voice signal; a voice analysis module which analyzes the frequency of the digital voice signal, and outputs one or more of a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crying of the infant and a second voice classifica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voice of an adult; a control unit which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the swing device when the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is outputted; and a status analysis unit which selects and outputs one of a plurality of preset status values based on the generation or non-generation of a control signal in the control unit at a point of time for starting voice recognition in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and the plurality of points of time in accordance with a preset determination cycle, and the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or the second voice classification value outputted by the voice analysis module.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baby swing device based on voice recognition, which are able to improve the consumption efficiency for driving the swing device.

Description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ING OF BABY SWING EQUIPMENT BASED ON VOICE RECOGNITION}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speech recognition-based infant swing devic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ING OF BABY SWING EQUIPMENT BASED ON VOICE RECOGNITION}

본 발명은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충격 또는 무게 감지에 따라 음성을 인식하고, 음성에 따라 스윙 기기를 동작시키는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recognition-based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an infant sw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oice recognition-based control device for an infant swing device that recognizes a voice according to shock or weight detection, and operates the swing device according to the voice and methods.

적당한 크기의 일정한 진동과 소음은, 뇌에서 쓸데없는 정보로 받아들이게 된다. 쓸데없는 정보를 처리하는데 에너지가 소비되는 것을 막기 위해 뇌에서 이러한 감각을 무시함에 따라 잠이오게 되는데, 같은 원리로 우는 아기를 달래거나, 재우기 위해 보호자가 아기를 안고 흔들리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The constant vibration and noise of an appropriate size are accepted as useless information in the brain. In order to prevent energy being expended on processing useless information, the brain ignores these sensations and falls asleep.

보호자의 편의를 위해 유아를 눕히거나 앉혀 전후방으로 흔드는 주기능 외에 필요에 따라 모빌이 돌아가거나, 음악이 나오는 등의 부가적인 기능을 포함한 전동 스윙 기기들이 개발되고 있다.For the convenience of parents, electric swing devices are being developed that include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turning a mobile or playing music, as needed, in addition to the main function of waving an infant on a lying or sitting position.

원거리에서 전동 스윙 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아이가 울음소리가 인식되거나 보호자의 음성에 따라 스윙 동작하거나 기저장된 음성 또는 음악을 출력하는 음성 인식 기반의 유아 스윙 기기 제어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으나, 종래의 음성 인식 기반의 유아 스윙 기기 제어 기술은 음성과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측정함에 따라 전력 소비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control the electric swing device from a distance, a voice recognition-based infant swing device control technology that recognizes a cry of a child, swings motion according to a guardian's voice, or outputs a pre-stored voice or music has been proposed, but the conventional voice recognition Based on infant swing device control technology, there is a problem in that power consumption increases as voice and movement are continuously measured.

또한, 단순히 움직임 여부와 아이의 울음소리 인식 여부에 따라 스윙 기기를 동작시키는 경우, 아이가 스윙 장치의 인근에서 울거나, 아이가 잠깐 뒤척이는 경우에 불필요하게 스윙 및 음성 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 비효율적이라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f the swing device is operated simply depending on the movement and whether the child's cry is recognized, the swing and voice output operation can be performed unnecessarily when the child cries near the swing device or the child turns to and fro for a while, which is inefficient. there is a problem called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9-0071712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7171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416917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16917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충격 및 움직임 감지 여부에 따라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 인식에 따라 스윙 기기를 구동시키는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a baby swing device based on voice recognition for recognizing a voice according to whether shock and motion are detected and driving the swing device according to voice recogni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description below.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장치는 스윙 기기에 설치되어 유아의 탑승에 따른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부, 스윙 기기에 설치되어 음성을 인식하고, 디지털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인식모듈, 디지털 음성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유아울음에 대응되는 제1 음성분류값과 성인음성에 대응되는 제2 음성분류값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음성분석모듈, 제1 음성분류값이 출력되면 스윙 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음성인식모듈에서 음성 인식을 시작한 시점과 기설정된 판단주기에 따른 복수의 시점들에서의 제어부에서의 제어신호 발생 여부, 음성분석모듈에서 출력되는 제1 음성분류값 또는 제2 음성분류값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복수의 상태값들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값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상태분석부를 포함한다.In accordance with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control device for a voice recognition-based infant sw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swing device to detect a weight according to the ride of the infant, and is installed in the swing device to recognize a voice, A voice recognition module for outputting a digital voice signal, a voice analysis module for analyzing the frequency of the digital voice signal and outputting at least one of a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corresponding to infant crying and a second voice classification value corresponding to an adult voice; 1 When the voice classification value is output, whether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in the control unit at a plurality of time points according to the start time of voice recognition in the control unit and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the swing device and at a plurality of time points according to the preset determination period; and a state analyzer for selecting and outputting any one state value from among a plurality of preset state values based on the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or the second voice classification value output from the voice analysis module.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방법은 유아의 탑승에 따른 무게를 감지하는 단계, 음성을 인식하여 디지털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디지털 음성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유아울음에 대응되는 제1 음성분류값과 성인음성에 대응되는 제2 음성분류값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 제1 음성분류값이 출력되면 스윙 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기설정된 판단주기에 따른 복수의 시점들에서 제어신호 발생 여부, 제1 음성분류값 또는 제2 음성분류값의 출력 여부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복수의 상태값들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값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control method for a baby swing device based on voice recogni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detecting the weight of an infant on board, recognizing the voice and outputting a digital voice signal, analyzing the frequency of the digital voice signal to reduce the crying of the infant Outputting at least one of a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corresponding to a corresponding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and a second voice classification value corresponding to an adult voice;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the swing device when the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is output; and a preset determination Selecting and output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preset state values based on whether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t a plurality of time points according to the period and whether the first audio classification value or the second audio classification value is output; include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충격 및 움직임 감지 여부에 따라 음성을 인식하고, 스윙 기기를 구동시키는 소비효율이 향상된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a baby swing device based on voice recognition with improved consumption efficiency for recognizing a voice depending on whether shock and motion are detected and driving the swing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르면, 음성에 따라 스윙 기기를 구동시킨 시점의 전후에 있어서 측정된 음성과 무게에 따라 스윙 기기 구동시간 동안 유아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상태값을 출력하여, 스윙 기기에서 음성을 수집한 기간 동안 유아의 상태를 보호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utputting a state value for indicating the state of the infant during the swing device driving time according to the measured voice and weight before and after the time of driving the swing device according to the voice, the voice from the swing device is output. It can be expected to have the effect of allowing the guardian to intuitively grasp the condition of the infant during the period during which the data was collected.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장치에 있어서 모니터링정보생성부에서 생성된 모니터링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장치에 있어서 모니터링정보생성부에서 생성된 모니터링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장치의 상태값에 따른 상태아이콘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device for a baby swing device based on voice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monitoring information generated by a monitor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in a control apparatus for a baby swing device based on voice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monitoring information generated by a monitor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in a control apparatus for a baby swing device based on voice recogn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provided from a control device for a baby swing device based on voice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con according to a state value of a control device for a voice recognition-based infant sw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for a voice recognition-based infant sw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On the other hand,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device for a baby swing device based on voice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장치(10)는 무게감지부(101), 충격감지부(102), 전원제어부(111), 전원부(112), 음성인식모듈(210), 음성분석모듈(220), 제어부(300), 상태분석부(400), 모니터링정보생성부(500), 시각정보부(501), 출력모듈(60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control device 10 for a voice recognition-based infant sw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ight sensing unit 101, an impact sensing unit 102, a power control unit 111, a power supply unit 112, It may include a voice recognition module 210, a voice analysis module 220, a control unit 300, a state analysis unit 400, a monitor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00, a visual information unit 501, and an output module 600 have.

무게감지부(101)는 스윙 기기에 설치되어 유아의 탑승에 따른 무게를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The weight sensing unit 101 may be installed in the swing device to detect the weight of the infant on board.

충격 감지부(102)는 스윙 기기에 설치되어 충격을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The impact sensor 102 may be installed in a swing device to detect an impact.

전원제어부(111)는 충격감지부(102)에서 충격이 감지되고 무게감지부(101)에서 기설정된 중량값 이상의 무게가 감지되면 전원공급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일수 있다.The power control unit 111 may generate a power supply signal when an impact is sensed by the shock sensing unit 102 and a weight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weight is detected by the weight sensing unit 101 .

전원부(112)는 전원제어부(111)에서 전원공급신호가 발생하면, 음성인식모듈(210) 및 음성분석모듈(22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일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12 may supply power to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210 and the voice analysis module 220 when a power supply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power control unit 111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장치(10)에 있어서, 전원부(112)는 충격감지부(102)에서 충격이 감지되고 무게감지부(101)에서 기설정된 중량값 이상의 무게가 감지되면, 음성인식모듈(210) 및 음성분석모듈(22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여, 유아가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음성을 수집함에 따른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In the control apparatus 10 for a voice recognition-based infant sw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unit 112 detects an impact in the shock sensing unit 102 and has a weight valu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weight in the weight sensing unit 101 . When the weight is sensed, power is supplied to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210 and the voice analysis module 220, thereby reduc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caused by collecting voices while the infant is not on board.

음성인식모듈(210)은 스윙 기기에 설치되어 음성을 인식하고, 디지털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The voice recognition module 210 may be installed in a swing device to recognize voice and output a digital voice signal.

음성인식모듈(210)은 마이크(211), 신호증폭부(212), 컨버터부(2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voice recognition module 2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icrophone 211 , a signal amplifier 212 , and a converter 213 .

마이크(211)는 스윙 기기에 설치되어 음성신호를 수집하는 것일 수 있다.The microphone 211 may be installed in a swing device to collect voice signals.

신호증폭부(212)는 음성신호를 기설정된 증폭비에 따라 증폭하는 것일 수 있다.The signal amplifying unit 212 may amplify the audio signal according to a preset amplification ratio.

컨버터부(213)는 신호증폭부(212)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The converter unit 213 may convert the audio signal amplified and output by the signal amplifier 212 into a digital audio signal and output the converted audio signal.

음성분석모듈(220)은 디지털 음성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유아울음에 대응되는 제1 음성분류값과 성인음성에 대응되는 제2 음성분류값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The voice analysis module 220 may analyze the frequency of the digital voice signal and output at least one of a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corresponding to infant crying and a second voice classification value corresponding to an adult voice.

음성분석모듈(220)은 디지털 음성신호를 주파수 대역별로 구분하고 주파수 대역별 신호 분포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빈도를 가지는 주파수값이 기설정된 주파수 범위에 대응되는지 여부에 따라 유아울음에 대응되는 제1 음성분류값과 성인음성에 대응되는 제2 음성분류값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The voice analysis module 220 divides the digital voice signal by frequency band and responds to infant crying according to whether a frequency value having a frequency high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corresponds to a preset frequency range based on the signal distribution for each frequency band It may be to output at least one of the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and the second voice classifica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adult voice.

음성분석모듈(220)은 디지털 음성신호의 주파수 대역별 신호 분포에서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빈도를 가지는 주파수값이 250 내지 450Hz에 해당하는 경우 제1 음성분류값을 출력하고, 디지털 음성신호의 주파수 대역별 신호 분포에서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빈도를 가지는 주파수값이 100 내지 250Hz에 해당하는 경우 제2 음성분류값을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The voice analysis module 220 outputs a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when a frequency value having a frequency high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in the signal distribution for each frequency band of the digital voice signal corresponds to 250 to 450 Hz, and the frequency of the digital voice signal When a frequency value having a frequency high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in the signal distribution for each band corresponds to 100 to 250 Hz, the second voice classification value may be output.

음성분석모듈(220)은 2bit로 구성된 값을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음성분류값은 10 이고, 제2 음성분류값은 01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voice analysis module 220 may output a value composed of 2 bits. Here, the first negative classification value may be 10 and the second negative classification value may be 01,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장치(10)에 있어서 음성분석모듈(220)은 디지털 음성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제1 음성분류값 또는 제2 음성분류값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control apparatus 10 for a voice recognition-based infant sw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ice analysis module 220 includes at least one of a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or a second voice classification valu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digital voice signal. may be output.

제어부(300)는 음성분석모듈(220)에서 제1 음성분류값이 출력되면 스윙 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the swing device when the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is output from the voice analysis module 22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장치(10)는 제어부(300)로부터 생성된 제어신호에 따라 스윙 기기를 스윙 동작하도록 하는 모터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The control apparatus 10 for an infant swing device based on voice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otor for swinging the swing devic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generated from the control unit 300 .

스윙 기기는 제어부(300)로부터 생성된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기설정된 속도로 스윙 동작하는 것일 수 있다.The swing device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generated from the controller 300 and swing at a preset speed.

상태분석부(400)는 음성인식모듈(210)에서 음성 인식을 시작한 시점과 기설정된 판단주기에 따른 복수의 시점들에서의 제어부(300)에서 제어신호 발생 여부, 음성분석모듈(220)에서 출력되는 제1 음성분류값 또는 제2 음성분류값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복수의 상태값들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값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The state analysis unit 400 outputs whether or not a control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control unit 300 at the time when the voice recognition starts in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210 and at a plurality of time points according to the preset determination period, and the voice analysis module 220 . It may be to select and output any one state value from among a plurality of preset state values based on the first audio classification value or the second audio classification value.

상태분석부(400)는 음성인식모듈(210)에서 음성 인식을 시작한 시점부터 기설정된 판단주기에 따른 복수의 시점들 중 어느 한 시점인 제1 시점과, 제1 시점에서 판단주기 이후의 시점인 제2 시점 사이에 제어부에서의 제어신호 발생 여부와,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에서 음성분석모듈(220)에서 출력되는 제1 음성분류값 또는 제2 음성분류값과,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 이후 제2 시점 이전의 음성분석모듈(220)에서 출력되는 제1 음성분류값 또는 제2 음성분류값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복수의 상태값들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값을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The state analysis unit 400 includes a first time point that is any one of a plurality of time points according to a preset determination period from the time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210 starts voice recognition, and a time point after the determination period from the first time point. Whether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control unit between the second time points, the first audio classification value or the second audio classification value output from the voice analysis module 220 at the time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the second after the time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It may be to output any one of a plurality of preset state values based on the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or the second voice classification value output from the voice analysis module 220 before the time point.

상태분석부(400)는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에서 음성분석모듈(220)에서 제1 음성분류값이 출력되고,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 이후 제2 시점 이전의 음성분석모듈(220)에서 제1 음성분류값이 출력되지 않으면 제1 상태값을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The state analysis unit 400 outputs the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from the voice analysis module 220 at the time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the first voice from the voice analysis module 220 before the second time after the time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If the classification value is not output, the first state value may be output.

상태분석부(400)는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과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 이후 제2 시점 이전의 음성분석모듈(220)에서 제1 음성분류값이 출력되고,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과 제2 시점에서 무게감지부(101)에서 기설정된 중량값 이상의 무게가 출력되면 제2 상태값을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The state analysis unit 400 outputs the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from the voice analysis module 220 before the second time point after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at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time and the second time point When a weight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weight is output from the weight sensing unit 101 , the second state value may be output.

상태분석부(400)는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과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 이후 제2 시점 이전에서 음성분석모듈(220)에서 제1 음성분류값이 출력되고,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에서 무게감지부(101)에서 기설정된 중량값 이상의 무게가 출력되고, 제2 시점에서 무게감지부(101)에서 중량값 미만의 무게가 출력되며,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 이후 제2 시점 이전의 무게감지부(101)에서 제2 음성분류값이 출력되지 않으면 제3 상태값을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The state analysis unit 400 outputs the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from the voice analysis module 220 before the second time point after the time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the time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the weight detection unit 101 at the time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a weight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weight is outputted, a weight less than the weight value is output from the weight sensing unit 101 at the second time point, and the second time from the weight sensing unit 101 before the second time point after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If the voice classification value is not output, the third state value may be output.

상태분석부(400)는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과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 이후 제2 시점 이전에 음성분석모듈(220)에서 제1 음성분류값이 출력되고,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과 제2 시점에서 무게감지부(101)에서 기설정된 중량값 미만의 무게가 출력되면 제4 상태값을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The state analysis unit 400 outputs the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from the voice analysis module 220 before the second time point after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at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time and the second time point When the weight less than the preset weight value is output from the weight sensing unit 101 , the fourth state value may be output.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장치(10)에 있어서, 상태분석부(400)는 제1 시점, 제2 시점에서 제어신호 발생 여부,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 제2 시점에서의 무게감지부(101)의 출력 및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 이후 제2 시점 이전에서 음성분석모듈(220)의 출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상태값들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값으로 구분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trol apparatus 10 for a voice recognition-based infant sw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e analysis unit 400 determines whether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t the first time point and the second time point, and the control signal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output of the weight sensing unit 101 at the second time point, the time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the output of the voice analysis module 220 before the second time after the time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he output is divided into any one of the status values.

여기서, 상태분석부(400)가 제1 상태값을 출력하는 경우 스윙 기기에 탑승중이 유아가 울고 스윙 동작 후 울음을 그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고, 제2 상태값을 출력하는 경우 스윙 기기에 탑승 중인 유아가 스윙 동작 후에도 계속 울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으며, 제3 상태값을 출력하는 경우 스윙 기기에 탑승 중인 유아가 스윙 동작 후 스윙 기기를 이탈하여 울고 있고 성인음성이 감지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고, 제4 상태값을 출력하는 경우 유아가 스윙 기기에 탑승되어 있지 않으며 스윙 기기가 동작한 후 유아 울음이 지속적으로 감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Here, when the state analysis unit 400 outputs the first state value, it can be recognized as indicating a state in which the infant cries while riding the swing device and stops crying after the swing operation, and when outputting the second state value, the swing It can be recognized as indicating that the infant riding on the device is still crying even after the swing motion, and the third state value is output. In this case,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 infant riding on the swing device is crying after leaving the swing device after the swing motion, and an adult voice is not detected. If the fourth state value is output, the infant is not on the swing device After the swing device operates, it may be recognized as indicating a state in which the crying of an infant is continuously detect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장치(10)에 있어서 상태분석부(400)는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과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 이후 제2 시점 이전의 음성분석모듈(220)에서 제1 음성분류값이 출력되고,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과 제2 시점에서 무게감지부(101)에서 기설정된 중량값 이상의 무게가 출력되고, 제1 시점과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 사이의 시간이 기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제2 상태값을 출력하고,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과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 이후 제2 시점 이전의 음성분석모듈(220)에서 제1 음성분류값이 출력되고,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과 제2 시점에서 무게감지부(101)에서 기설정된 중량값 이상의 무게가 출력되고, 제1 시점과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 사이의 시간이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제5 상태값을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control device 10 for a voice recognition-based infant sw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e analysis unit 400 includes a voice analysis module ( 220), a first audio classification value is output, a weight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weight value is output from the weight sensing unit 101 at a time point at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a second time point, and the time between the first time point and the time point at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If it is less than this preset threshold value, the second state value is output, and the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is output from the voice analysis module 220 before the second time point after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the control signal At the time of occurrence and the second time, a weight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weight value is output from the weight sensing unit 101, and when the time between the first time point and the time at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threshold value, a fifth state value is output. it could be

여기서, 상태분석부(400)가 제2 상태값을 출력하는 경우 스윙 기기에 탑승 중인 유아가 스윙 동작 후에도 계속 울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으며, 제5 상태값을 출력하는 경우 스윙 기기에 탑승 중인 유아가 울어, 막 스윙 기기를 동작 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Here, when the state analysis unit 400 outputs the second state value, it may be recognized as indicating a state in which the infant riding on the swing device continues to cry even after the swing operation, and when outputting the fifth state value, the swing device It may be recognized that the infant on board cries, indicating that the swing device has just been operated.

모니터링정보생성부(500)는 제어부(30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와 음성분석모듈(220)에서 출력되는 제1 음성분류값, 제2 음성분류값, 상태분석부(400)에서 출력되는 상태값 중 적어도 하나를 시각별로 기록함에 따른 모니터링정보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The monitor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00 includes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300 and a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output from the voice analysis module 220, a second voice classification value, and a state value output from the state analysis unit 400 The monitoring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y recording at least one of them for each time.

시각정보부(501)는 내부 클록을 가지며, 시, 분, 초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시각정보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The time information unit 501 may have an internal clock and provide ti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hours, minutes, and second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장치(10)에 있어서 모니터링정보생성부(500)에서 생성된 모니터링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monitor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monitor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00 in the control apparatus 10 for a voice recognition-based infant sw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신호는 음성분석모듈(220)에서 유아울음에 대응되는 음성분류값이 출력되고 기설정된 딜레이타임(Δtdelay) 이후에 일정한 작동시간(Δtset)동안 활성화되는 것일 수 있다.The control signal may be a voice classification value corresponding to infant crying is output from the voice analysis module 220 and activated for a predetermined operation time Δt set after a preset delay time Δt delay .

모니터링정보생성부(500)는 제어부(30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와 음성분석모듈(220)에서 출력되는 제1 음성분류값, 제2 음성분류값을 시각별로 기록하고, 음성 인식을 시작한 시점부터 기설정된 판단주기에 따른 복수의 시점들 중 어느 한 시점인 제1 시점과 대응되는 시각(t0, t1, t2, t3)과 제1 시점에서 판단주기 이후의 시점인 제2 시점과 대응되는 시각(t1, t2, t3, t4)에 있어서 제어부(30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와 음성분석모듈(220)에서 출력되는 제1 음성분류값, 제2 음성분류값에 따라 상태분석부(400)에서 출력되는 상태값을 시각별로 기록함에 따른 모니터링정보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The monitor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00 records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300 and the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and the second voice classification value output from the voice analysis module 220 for each time, and from the time when voice recognition is started A time (t 0 , t 1 , t 2 , t 3 ) corresponding to the first time point, which is any one of a plurality of time points according to the preset judgment period, and a second time point which is a time point after the judgment period from the first time point; At the corresponding time (t 1 , t 2 , t 3 , t 4 ),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300 and the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and the second voice classification value output from the voice analysis module 220 The monitoring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y recording the state value output from the state analysis unit 400 for each time.

t0 내지 t1에 있어서,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1001)에서 음성분석모듈(220)에서 제1 음성분류값(10)이 출력되고,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1001) 이후 제2 시점 이전(t1)에서 음성분석모듈(220)에서 제1 음성분류값(10)이 출력되지 않으므로, 상태분석부(400)는 제1 상태값을 출력하고, 모니터링정보생성부(500)는 t0 내지 t1에 있어서 제1 상태값을 기록하는 것일 수 있다.In t 0 to t 1 , the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10 is output from the voice analysis module 220 at the time point 1001 at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before the second time point after the time point 1001 at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Since the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10 is not output from the voice analysis module 220 at t 1 ), the state analyzer 400 outputs the first state value, and the monitor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500 operates from t 0 to In t 1 , the first state value may be recorded.

t1 내지 t2에 있어서,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1003)에서 음성분석모듈(220)에서 제1 음성분류값(10)이 출력되고,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1003) 이후 제2 시점(t2) 이전에서 음성분석모듈(220)에서 제1 음성분류값(10)이 출력되고,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1003)에서 무게가 중량값(wmin) 이상이고, 제2 시점(t2)에서 무게가 중량값(wmin) 이상이므로, 상태분석부(400)는 제2 상태값을 출력하고, 모니터링정보생성부(500)는 t1 내지 t2에 있어서 제2 상태값을 기록하는 것일 수 있다.In t 1 to t 2 , the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10 is output from the voice analysis module 220 at the time point 1003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the second time point t after the time point 1003 at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2 ) The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10 is output from the previous voice analysis module 220, and the weigh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weight value (w min ) at the time point 1003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the second time point (t 2 ) Since the weigh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weight value (w min ), the state analysis unit 400 outputs the second state value, and the monitor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500 records the second state value in t 1 to t 2 . can

t2 내지 t3에 있어서,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1005)에서 음성분석모듈(220)에서 제1 음성분류값(10)이 출력되고,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1005) 이후 제2 시점 이전(t3)에서 음성분석모듈(220)에서 제1 음성분류값(10)이 출력되고,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1005)에서 무게가 중량값(wmin) 이상이고, 제2 시점(t3)에서 무게가 중량값(wmin) 미만이고,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1005) 이후 제2 시점 이전(t3)에서 제2 음성분류값(01)이 출력되지 않으므로, 상태분석부(400)는 제3 상태값을 출력하고, 모니터링정보생성부(500)는 t2 내지 t3에 있어서 제3 상태값을 기록하는 것일 수 있다.In t 2 to t 3 , the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10 is output from the voice analysis module 220 at the time point 1005 at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before the second time point after the time point 1005 at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At t 3 ), the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10 is output from the voice analysis module 220, and the weigh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weight value (w min ) at the time point 1005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the second time point (t 3 ) Since the weight is less than the weight value (w min ) and the second negative classification value (01) is not output before the second time point (t 3 ) after the time point 1005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he state analysis unit 400 is The third state value may be output, and the monitor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00 may record the third state value from t 2 to t 3 .

t3 내지 t4에 있어서,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1007)에서 음성분석모듈(220)에서 제1 음성분류값(10)이 출력되고,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1007) 이후 제2 시점 이전(t4)에서 음성분석모듈(220)에서 제1 음성분류값(10)이 출력되고,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1007)에서 무게가 중량값(wmin) 미만이고, 제2 시점(t4)에서 무게가 중량값(wmin) 미만이므로, 상태분석부(400)는 제4 상태값을 출력하고, 모니터링정보생성부(500)는 t3 내지 t4에 있어서 제4 상태값을 기록하는 것일 수 있다.In t 3 to t 4 , the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10 is output from the voice analysis module 220 at the time point 1007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before the second time point after the time point 1007 at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At t 4 ), the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10 is output from the voice analysis module 220, and the weight is less than the weight value (w min ) at the time point 1007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the second time point (t 4 ) Since the weight is less than the weight value w min , the state analysis unit 400 outputs a fourth state value, and the monitor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500 records the fourth state value in t 3 to t 4 . can

도 3을 참조하면, t0 내지 t1에 있어서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2001)에서 음성분석모듈(220)에서 제1 음성분류값(10)이 출력되고,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2001) 이후 제2 시점(t1) 이전에서 음성분석모듈(220)에서 제1 음성분류값(10)이 출력되고,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2001)과 제2 시점(t1)에서 무게가 중량값(wmin) 이상이고, 제1 시점(t0)과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2001) 사이의 시간이 임계값(Δtth) 이상이므로, 상태분석부(400)는 제5 상태값을 출력하고, 모니터링정보생성부(500)는 t0 내지 t1에 있어서 제5 상태값을 기록하는 것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10 is output from the voice analysis module 220 at the time point 2001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from t 0 to t 1 , and after the time point 2001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 second point in time (t 1) in the speech analysis module 220 in the preceding first audio classification value 10, the output is, the weight i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point (2001) and the second point in time (t 1) weight ( w min ) or more, and since the time between the first time point (t 0 ) and the time point 2001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Δt th ), the state analysis unit 400 outputs a fifth state value, The monitor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00 may record the fifth state value from t 0 to t 1 .

t1 내지 t2에 있어서,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2002)에서 음성분석모듈(220)에서 제1 음성분류값(10)이 출력되고,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2002) 이후 제2 시점 이전(t2)에서 음성분석모듈(220)에서 제1 음성분류값(10)이 출력되지 않으므로, 상태분석부(400)는 제1 상태값을 출력하고, 모니터링정보생성부(500)는 t1 내지 t2에 있어서 제1 상태값을 기록하는 것일 수 있다.In t 1 to t 2 , the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10 is output from the voice analysis module 220 at the time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2002), and after the time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2002) and before the second time ( Since the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10 is not output from the voice analysis module 220 at t 2 ), the state analyzer 400 outputs the first state value, and the monitor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500 operates from t 1 to At t 2 , the first state value may be recorded.

t2 내지 t3에 있어서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2003)에서 음성분석모듈(220)에서 제1 음성분류값(10)이 출력되고,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2003) 이후 제2 시점(t3) 이전에서 음성분석모듈(220)에서 제1 음성분류값(10)이 출력되고,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2003)과 제2 시점(t3)에서 무게가 중량값(wmin) 이상이고, 제1 시점(t0)과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2001) 사이의 시간이 임계값(Δtth) 미만이므로, 상태분석부(400)는 제2 상태값을 출력하고, 모니터링정보생성부(500)는 t2 내지 t3에 있어서 제5 상태값을 기록하는 것일 수 있다.In t 2 to t 3 , the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10 is output from the voice analysis module 220 at the time point 2003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the second time point t 3 after the time point 2003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before the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10 is output from the voice analysis module 220, and the weigh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weight value (w min ) at the time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2003) and at the second time (t 3 ), Since the time between the first time point (t 0 ) and the time point 2001 at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Δt th ), the state analysis unit 400 outputs the second state value, and the monitor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500 ) may be to record the fifth state value in t 2 to t 3 .

출력모듈(600)은 표시부(610), 통신부(620) 및 스피커(6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output module 6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isplay unit 610 , a communication unit 620 , and a speaker 630 .

표시부(610)는 상태분석부(400)에서 출력되는 상태값에 기초하여 기저장된 상태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상태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The display unit 610 may display any one of the pre-stored state icons based on the state value output from the state analysis unit 400 .

표시부(610)는 화면상에 구분되는 영역으로서, 모니터링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모니터링정보 표시영역과, 상태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상태표시영역과, 제어신호 발생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기기동작여부 표시영역을 생성하여, 모니터링정보, 상태아이콘, 제어신호에 기초한 기기동작여부를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The display unit 610 is a divided area on the screen, and includes a monitoring information display area for displaying monitoring information, a status display area for displaying a status icon, and a device operation status display area for displaying whether a control signal is generated. It may be to display whether the device is operating based on the monitoring information, the status icon, and the control signal.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장치(10)에 있어서 표시부(610)에서 표시되는 화면(1000)은 모니터링정보 표시영역(1100), 상태표시영역(1200), 기기동작여부 표시영역(130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in the control apparatus 10 for a voice recognition-based infant sw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1000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610 includes a monitoring information display area 1100 and a status display area. 1200 , may include a device operation indication area 1300 .

모니터링정보 표시영역(1100)은 모니터링정보생성부(500)에서 생성된 모니터링정보를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The monitoring information display area 1100 may display monitor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monitor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00 .

상태표시영역(1200)은 상태값에 따라 기저장된 상태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상태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The status display area 1200 may display any one status icon among pre-stored status icons according to a status valu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장치의 상태값에 따른 상태아이콘을 나타낸 것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con according to a state value of a control device for a voice recognition-based infant sw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표시부(610)는 상태값에 따라 기저장된 복수의 상태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상태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display unit 610 may display any one of a plurality of pre-stored status icons according to a status value.

기기동작여부 표시영역(1300)은 현재시점을 기준으로 제어신호의 발생여부를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The device operation status display area 1300 may display whether a control signal is generated based on a current time point.

기기동작여부 표시영역(1300)은 현재시점을 기준으로 제어신호가 발생하고 있으면, 기설정된 색상 또는 무늬를 가지고, 제어신호의 발생여부, 즉 스윙 기기 동작여부를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If a control signal is generated based on the current time point, the device operation status display area 1300 may have a preset color or pattern and display whether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hat is, whether the swing device is operating.

여기서, 현재시점이란 화면(1000)이 출력되는 시각과 대응되는 시점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Here, the current time may mean a time point corresponding to the time at which the screen 1000 is outpu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장치(10)에 있어서 표시부(610)는 모니터링정보 표시영역(1100), 상태표시영역(1200), 기기동작여부 표시영역(1300)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스윙 기기의 동작 상태 및 스윙 기기에 탑승한 유아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voice recognition-based infant swing device control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610 includes a monitoring information display area 1100 , a status display area 1200 , and a device operation display area 1300 . may be displayed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grasp the operating state of the swing device and the state of the infant riding on the swing device.

통신부(620)는 스윙 기기 또는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1)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620 may communicate with the swing device or the terminal 1 possessed by the user.

통신부(620)는 스윙 기기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스윙 기기가 제어신호의 수신에 따라 스윙 동작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62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swing device so that the swing device swings according to the reception of the control signal.

통신부(620)는 단말기(1)에 모니터링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원격으로 시각별 무게, 제어신호 발생 여부, 제1 음성분류값, 제2 음성분류값의 출력 및 상태값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620 transmits monitoring information to the terminal 1 so that the user can remotely check at least one of the weight by time, whether a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he output of the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the second voice classification value, and the state value. may be doing

스피커(630)는 제어부(300)로부터 발생한 제어신호에 따라 기저장된 음성 또는 노래를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The speaker 630 may output a pre-stored voice or song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generated from the controller 300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for a voice recognition-based infant sw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방법은 스윙 기기에서 충격을 감지하고(S101), 유아의 탑승에 따른 무게를 감지하고(S102), 무게가 기설정된 중량값 이상인지 판단하여(S103), 무게가 중량값 이상이면 음성인식모듈(210) 및 음성분석모듈(220)에 전원을 공급(S104)하는 것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control method for a baby swing device based on voice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n impact in the swing device (S101), detects the weight according to the infant's boarding (S102), and the weight is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weigh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weight value (S103), and if the weigh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weight value,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210 and the voice analysis module 220 (S10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방법은 충격 및 무게 감지에 기초하여 음성인식모듈(210) 및 음성분석모듈(220)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이는 이점을 가진다.The control method for a voice recognition-based infant sw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dvantage of reduc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by supplying power to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210 and the voice analysis module 220 based on shock and weight detection have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장치(10)는 기설정된 중량값 이상의 무게가 감지되면 음성을 인식하여 디지털 음성신호를 출력하고(S105), 디지털 음성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유아울음에 대응되는 제1 음성분류값과 성인음성에 대응되는 제2 음성분류값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고(S106), 음성분류값에 기초하여 스윙 기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S107)하여, 제어신호에 따라 스윙 기기를 구동시키는(S108) 것일 수 있다.The voice recognition-based control device for infant swing device 10 recognizes a voice and outputs a digital voice signal when a weight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weight value is detected (S105), and analyzes the frequency of the digital voice signal to produce a system corresponding to infant crying Outputs at least one of the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and the second voice classifica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adult voice (S106),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swing device based on the voice classification value (S107),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It may be to drive the swing device (S108).

S107 단계에서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장치(10)는 제1 음성분류값이 출력되면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In step S107, the control apparatus 10 for a voice recognition-based infant swing device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when the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is output.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장치(10)는 무게를 감지하는 단계(S102) 내지 스윙 기기를 구동시키는 단계(S108)를 반복수행하고, 음성을 인식한 시점과 기설정된 판단주기에 따른 복수의 시점들에서 제어신호 발생 여부, 제1 음성분류값 또는 상기 제2 음성분류값의 출력 여부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복수의 상태값들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값을 선택하여 출력하고(S109), 제어신호의 발생여부, 제1 음성분류값 또는 제2 음성분류값의 출력 여부, 출력되는 상태값 중 적어도 하나를 시각별로 기록함에 따른 모니터링정보를 생성(S110)하는 것일 수 있다.The voice recognition-based infant swing device control device 10 repeatedly performs steps (S102) to driving the swing device (S108) for detecting the weight, and a plurality of Selecting and output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preset state values based on whether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t the time points, whether the first audio classification value or the second audio classification value is output (S109), and the control signal The monitoring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S110) by recording at least one of the occurrence of , whether the first or second audio classification values are output, and the output state values for each time (S110).

S109 단계는 음성을 인식한 시점부터 기설정된 판단주기에 따른 복수의 시점들 중 어느 한 시점인 제1 시점과, 제1 시점에서 판단주기 이후의 시점인 제2 시점 사이에 제어신호의 발생여부와 상기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과 상기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 이후 상기 제2 시점 이전에서 상기 제1 음성분류값 또는 상기 제2 음성분류값의 출력여부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복수의 상태값들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값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In step S109,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between a first time point, which is one of a plurality of time points according to a preset determination period, and a second time point, which is a time point after the determination period from the time point of recognizing the voice. Any one of a plurality of preset state values based on whether the first audio classification value or the second audio classification value is output at the time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before the second time after the time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It may be to select and output a state value.

S109 단계는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에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에서 제1 음성분류값이 출력되고,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 이후 제2 시점 이전에서 제1 음성분류값이 출력되지 않으면 제1 상태값을 출력하는 것이고,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과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 이후 제2 시점 이전에서 제1 음성분류값이 출력되고,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과 제2 시점에서 기설정된 중량값 이상의 무게가 감지되면 제2 상태값을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In step S109, the first audio classification value is output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time point and the second time point, and when the first audio classification value is not output before the second time point after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he first state The value is output, and the first audio classification value is output before the second time point after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a weight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weight is detected at the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time point If so, the second state value may be output.

S109 단계는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과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 이후 제2 시점 이전에서 제1 음성분류값이 출력되고,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에서 기설정된 중량값 이상의 무게가 출력되고, 제2 시점에서 중량값 미만의 무게가 출력되며,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 이후 제2 시점 이전의 중량값 미만의 무게가 출력된 시점에서 제2 음성분류값이 출력되지 않으면 제3 상태값을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In step S109, the first audio classification value is output at the time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before the second time after the time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he weight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weight value is output at the time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the weight at the second time A weight less than the value may be output, and if the second audio classification value is not output when the weight less than the weight value before the second time point after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is output, the third state value may be output.

S109 단계는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과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 이후 제2 시점 이전에서 제1 음성분류값이 출력되고,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과 제2 시점에서 무게감지부에서 기설정된 중량값 미만의 무게가 출력되면 제4 상태값을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In step S109, the first audio classification value is output before the second time point after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When outputted, the fourth state value may be output.

S110 단계는 S106 단계에서 출력되는 제1 음성분류값 또는 제2 음성분류값, S107 단계에서 생성된 제어신호, S109 단계에서 출력된 상태값 중 적어도 하나를 시각별로 기록함에 따른 모니터링정보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Step S110 is to generate monitoring information by record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audio classification value or the second audio classification value output in step S106,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in step S107, and the state value output in step S109 by time. can

S109 단계 이후 S110 단계 이전에 있어서 S109 단계에서 출력되는 상태값에 기초하여 기저장된 상태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상태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fter step S109 and before step S110,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one of the pre-stored status icons based on the status value output in step S109.

S110단계 이후에 있어서, 모니터링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모니터링정보 표시영역, S109 단계에서 출력되는 상태값에 기초하여 기저장된 상태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상태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상태 표시영역, 현재시점에서 제어신호 발생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기기동작여부 표시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fter step S110, a monitoring information display area for displaying monitoring information, a status display area for displaying any one of the pre-stored status icons based on the status value output in step S109, control at the current tim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a device operation status display area for displaying whether a signal is gener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방법은 음성신호에 따라 스윙 기기를 동작시키고, 제어신호의 발생여부, 제1 음성분류값 또는 제2 음성분류값의 출력 여부, 출력되는 상태값 중 적어도 하나를 시각별로 기록함에 따른 모니터링정보를 생성하고, 상태값, 모니터링정보, 제어신호에 기초한 기기동작여부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스윙 기기에 탑승한 유아의 상태 및 스윙 기기의 동작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A control method for a swing device for infants based on voice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 swing device according to a voice signal, whether a control signal is generated, whether a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or a second voice classification value is output, output Monitoring information is generated by recording at least one of the state values for each time, and the state value, monitoring information, and whether the device operates based on the control signal are displayed to the user to the user the state of the infant riding the swing device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swing device. can provid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장치
101 : 무게감지부
102 : 충격감지부
111 : 전원제어부
112 : 전원부
210 : 음성인식모듈
220 : 음성분석모듈
300 : 제어부
400 : 상태분석부
500 : 모니터링정보생성부
600 : 출력모듈
10: Control device for infant swing device based on voice recognition
101: weight sensing unit
102: impact sensing unit
111: power control unit
112: power supply
210: voice recognition module
220: voice analysis module
300: control unit
400: state analysis unit
500: monitor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600: output module

Claims (18)

스윙 기기에 설치되어 유아의 탑승에 따른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부;
스윙 기기에 설치되어 음성을 인식하고, 디지털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인식모듈;
상기 디지털 음성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유아울음에 대응되는 제1 음성분류값과 성인음성에 대응되는 제2 음성분류값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음성분석모듈;
상기 제1 음성분류값이 출력되면 스윙 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음성인식모듈에서 음성 인식을 시작한 시점과 기설정된 판단주기에 따른 복수의 시점들에서의 상기 제어부에서의 제어신호 발생 여부, 상기 음성분석모듈에서 출력되는 제1 음성분류값 또는 제2 음성분류값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복수의 상태값들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값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상태분석부;
를 포함하는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장치.
a weight sensing unit installed on the swing device to detect the weight of the infant on board;
a voice recognition module installed in the swing device to recognize voice and output a digital voice signal;
a voice analysis module for analyzing the frequency of the digital voice signal and outputting at least one of a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corresponding to infant crying and a second voice classification value corresponding to an adult voice;
a control unit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the swing device when the first audio classification value is output; and
Whether or not a control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control unit at a plurality of time points according to the time when the voice recognition starts voice recognition in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and a preset judgment period, the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or the second voice classification value output from the voice analysis module a state analysis unit for selecting and outputting any one state value from among a plurality of preset state values;
A control device for a voice recognition-based infant swing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분석부는
상기 음성인식모듈에서 음성 인식을 시작한 시점부터 기설정된 판단주기에 따른 복수의 시점들 중 어느 한 시점인 제1 시점과, 상기 제1 시점에서 상기 판단주기 이후의 시점인 제2 시점 사이에 상기 제어부에서의 제어신호 발생 여부와, 상기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에서 상기 음성분석모듈에서 출력되는 제1 음성분류값 또는 제2 음성분류값과, 상기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 이후 상기 제2 시점 이전의 상기 음성분석모듈에서 출력되는 제1 음성분류값 또는 제2 음성분류값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복수의 상태값들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값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것
인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ate analysis unit
The control unit between a first time point, which is any one of a plurality of time points according to a preset determination period, and a second time point, which is a time point after the determination period from the time point when the speech recognition module starts the speech recognition whether a control signal is generated in the , the first audio classification value or the second audio classification value output from the audio analysis module at the time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the audio before the second time after the time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Selecting and outputting any one state value from among a plurality of preset state values based on the first audio classification value or the second audio classification value output from the analysis module
A control device for an infant swing device based on voice recogni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분석부는
상기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에서 상기 음성분석모듈에서 제1 음성분류값이 출력되고, 상기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 이후 상기 제2 시점 이전의 상기 음성분석모듈에서 제1 음성분류값이 출력되지 않으면 제1 상태값을 출력하는 것이고,
상기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과 상기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 이후 상기 제2 시점 이전의 상기 음성분석모듈에서 제1 음성분류값이 출력되고, 상기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과 상기 제2 시점에서 상기 무게감지부에서 기설정된 중량값 이상의 무게가 출력되면 제2 상태값을 출력하는 것
인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ate analysis unit
If the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is output from the voice analysis module at the time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the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is not output from the voice analysis module before the second time after the time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he first to output the status value,
A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is output from the voice analysis module before the second time after the time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the time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in the weight sensing unit at the time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the second time Outputting the second state value when the weight greater than the preset weight value is output
A control device for an infant swing device based on voice recogni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분석부는
상기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과 상기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 이후 상기 제2 시점 이전에서 상기 음성분석모듈에서 제1 음성분류값이 출력되고, 상기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에서 상기 무게감지부에서 기설정된 중량값 이상의 무게가 출력되고, 상기 제2 시점에서 상기 무게감지부에서 상기 중량값 미만의 무게가 출력되며, 상기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 이후 상기 제2 시점 이전의 상기 무게감지부에서 상기 중량값 미만의 무게가 출력된 시점에서 상기 음성분석모듈에서 제2 음성분류값이 출력되지 않으면 제3 상태값을 출력하는 것
인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tate analysis unit
A first audio classification value is output from the voice analysis module at a time point at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before the second time point after the time at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at a time point at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he weight valu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weight value in the weight sensing unit The weight is output, the weight less than the weight value is output from the weight sensing unit at the second time point, and the weight less than the weight value is output from the weight sensing unit before the second time point after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Outputting a third state value if the second voice classification value is not output from the voice analysis module at a time point
A control device for an infant swing device based on voice recogni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분석부는
상기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과 상기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 이후 상기 제2 시점 이전에서 상기 음성분석모듈에서 제1 음성분류값이 출력되고, 상기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과 상기 제2 시점에서 상기 무게감지부에서 기설정된 중량값 미만의 무게가 출력되면 제4 상태값을 출력하는 것
인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ate analysis unit
A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is output from the voice analysis module at a time point at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before the second time point after the time at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at the time point at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the second time point at the weight sensing unit Outputting the fourth state value when the weight less than the preset weight value is output
A control device for an infant swing device based on voice recognition.
제1항에 있어서
스윙 기기에 설치되어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부;
상기 충격감지부에서 충격이 감지되고, 상기 무게감지부에서 기설정된 중량값 이상의 무게가 감지되면 전원공급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원제어부; 및
상기 전원제어부에서 상기 전원공급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음성인식모듈 및 상기 음성분석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더 포함하는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impact sensing unit installed on a swing device to detect an impact;
a power control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power supply signal when an impact is sensed by the shock sensing unit and a weight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weight is detected by the weight sensing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and the voice analysis module when the power supply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power control unit;
A control device for a voice recognition-based infant sw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분석모듈은
상기 디지털 음성신호를 주파수 대역별로 구분하고 주파수 대역별 신호 분포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빈도를 가지는 주파수값이 기설정된 주파수 범위에 대응되는지 여부에 따라 유아울음에 대응되는 제1 음성분류값과 성인음성에 대응되는 제2 음성분류값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것
인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oice analysis module
The digital voice signal is divided for each frequency band, and a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corresponding to infant cries according to whether a frequency value having a frequency high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corresponds to a preset frequency range based on the signal distribution for each frequency band. and outputting at least one of the second speech classification values corresponding to the adult speech
A control device for an infant swing device based on voice recogni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분석모듈은
상기 디지털 음성신호의 주파수 대역별 신호 분포에서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빈도를 가지는 주파수값이 250 내지 450Hz에 해당하는 경우 제1 음성분류값을 출력하고,
상기 디지털 음성신호의 주파수 대역별 신호 분포에서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빈도를 가지는 주파수값이 100 내지 250Hz에 해당하는 경우 제2 음성분류값을 출력하는 것
인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voice analysis module
When a frequency value having a frequency high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in the signal distribution for each frequency band of the digital voice signal corresponds to 250 to 450 Hz, a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is output,
Outputting a second voice classification value when a frequency value having a frequency high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in the signal distribution for each frequency band of the digital voice signal corresponds to 100 to 250 Hz
A control device for an infant swing device based on voice recogn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와 상기 음성분석모듈에서 출력되는 제1 음성분류값, 제2 음성분류값, 상기 상태분석부에서 출력되는 상태값 중 적어도 하나를 시각별로 기록함에 따른 모니터링정보를 생성하는 모니터링정보생성부;
를 더 포함하는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o generate monitoring information by recording at least one of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a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output from the voice analysis module, a second voice classification value, and a state value output from the state analysis unit by time monitor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A control device for a voice recognition-based infant sw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분석부에서 출력되는 상태값에 기초하여 기저장된 상태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상태아이콘을 표시하는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y one of the pre-stored state icons based on the state value output from the state analysis unit;
A control device for a voice recognition-based infant sw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화면상에 구분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모니터링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모니터링정보 표시영역과, 상기 상태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상태 표시영역과, 제어신호 발생여부를 표시하는 기기동작여부 표시영역을 생성하여 상기 모니터링정보, 상기 상태아이콘,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한 기기동작여부를 표시하는 것
인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isplay unit
As a divided area on the screen, a monitoring information display area for displaying the monitoring information, a status display area for displaying the status icon, and a device operation status display area for displaying whether a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re generated to monitor the monitoring. Information, the status icon, and displaying whether the device operates based on the control signal
A control device for an infant swing device based on voice recognition.
유아의 탑승에 따른 무게를 감지하는 단계;
음성을 인식하여 디지털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음성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유아울음에 대응되는 제1 음성분류값과 성인음성에 대응되는 제2 음성분류값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음성분류값이 출력되면 스윙 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스윙 기기를 구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무게를 감지하는 단계 내지 상기 스윙 기기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반복수행하고, 상기 음성을 인식한 시점과 기설정된 판단주기에 따른 복수의 시점들에서 상기 제어신호 발생 여부, 상기 제1 음성분류값 또는 상기 제2 음성분류값의 출력 여부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복수의 상태값들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값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방법.
Sensing the weight according to the infant's boarding;
Recognizing a voice and outputting a digital voice signal;
analyzing the frequency of the digital voice signal and outputting at least one of a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corresponding to infant crying and a second voice classification value corresponding to an adult voice;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a swing device when the first audio classification value is output;
driving the swing devic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nd
The step of sensing the weight and the step of driving the swing device are repeatedly performed, and whether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t a time point at which the speech is recognized and a plurality of points according to a preset determination period, the first speech classification value, or selecting and outputting one of a plurality of preset state values based on whether the second audio classification value is output;
A control method for a voice recognition-based infant swing device comprising a.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복수의 상태값들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값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을 인식한 시점부터 기설정된 판단주기에 따른 복수의 시점들 중 어느 한 시점인 제1 시점과, 상기 제1 시점에서 상기 판단주기 이후의 시점인 제2 시점 사이에 제어신호의 발생여부와 상기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과 상기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 이후 상기 제2 시점 이전에서 상기 제1 음성분류값 또는 상기 제2 음성분류값의 출력여부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복수의 상태값들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값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것
인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tep of selecting and outputting any one state value from among the plurality of preset state values includes:
Whether a control signal is generated between a first time point that is any one of a plurality of time points according to a preset determination period from the time the voice is recognized and a second time point that is a time point after the determination period from the first time point; Any one of a plurality of preset state values based on whether the first audio classification value or the second audio classification value is output at the time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before the second time after the time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Selecting and outputting a status value
A control method for an infant swing device based on voice recognitio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복수의 상태값들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값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에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에서 제1 음성분류값이 출력되고, 상기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 이후 상기 제2 시점 이전에서 제1 음성분류값이 출력되지 않으면 제1 상태값을 출력하는 것이고,
상기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과 상기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 이후 상기 제2 시점 이전에서 제1 음성분류값이 출력되고, 상기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과 상기 제2 시점에서 기설정된 중량값 이상의 무게가 감지되면 제2 상태값을 출력하는 것
인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tep of selecting and outputting any one state value from among the plurality of preset state values includes: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time point and the second time point, the first audio classification value is output, and after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if the first audio classification value is not output before the second time point, the first to output the status value,
When the first audio classification value is output before the second time after the time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the time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a weight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weight is detected at the time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the second time outputting the second state value
A control method for an infant swing device based on voice recogni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복수의 상태값들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값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과 상기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 이후 상기 제2 시점 이전에서 제1 음성분류값이 출력되고, 상기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에서 기설정된 중량값 이상의 무게가 출력되고, 상기 제2 시점에서 상기 중량값 미만의 무게가 출력되며, 상기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 이후 상기 제2 시점 이전의 상기 중량값 미만의 무게가 출력된 시점에서 제2 음성분류값이 출력되지 않으면 제3 상태값을 출력하는 것
인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tep of selecting and outputting any one state value from among the plurality of preset state values includes:
A first audio classification value is output at a time point at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before the second time point after the time at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 weight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weight value is output at a time point at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the second time point is outputted from the weight less than the weight value, and if the second audio classification value is not output when the weight less than the weight value before the second time point is output after the time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 third state value is output to do
A control method for an infant swing device based on voice recogniti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복수의 상태값들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값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과 상기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 이후 상기 제2 시점 이전에서 제1 음성분류값이 출력되고, 상기 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과 상기 제2 시점에서 상기 무게감지부에서 기설정된 중량값 미만의 무게가 출력되면 제4 상태값을 출력하는 것
인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step of selecting and outputting any one state value from among the plurality of preset state values includes:
A first audio classification value is output at the time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before the second time after the time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less than a weight value preset by the weight sensing unit at the time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the second time to output the fourth state value when the weight of
A control method for an infant swing device based on voice recogni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를 감지하는 단계 이전에 있어서,
스윙 기기에서 충격을 감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게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을 인식하여 디지털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사이에 있어서,
상기 무게가 기설정된 중량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을 인식하여 디지털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무게가 기설정된 중량값 이상이면, 상기 음성을 인식하여 디지털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것
인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Before the step of sensing the weight,
detecting an impact in the sw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Between the step of sensing the weight and the step of recognizing the voice and outputting a digital voice signal,
determining whether the weigh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weight value; further comprising,
Recognizing the voice and outputting a digital voice signal
If the weigh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weight value, recognizing the voice and outputting a digital voice signal
A control method for an infant swing device based on voice recogni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복수의 상태값들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값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단계 이후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성분류값과 성인음성에 대응되는 제2 음성분류값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에서 출력되는 제1 음성분류값 또는 제2 음성분류값,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제어신호, 어느 하나의 상태값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단계에서 출력된 상태값 중 적어도 하나를 시각별로 기록함에 따른 모니터링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음성 인식 기반 유아 스윙 기기용 제어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After the step of selecting and outputting any one state value from among the plurality of preset state values,
The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or the second voice classification value output in the step of output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voice classification value and the second voice classifica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adult voice, and the control generated 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generating monitoring information by recording at least one of the signal and the state value outputted in the step of selecting and outputting one state value;
A control method for a voice recognition-based infant sw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KR1020200020641A 2020-02-19 2020-02-19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ing of baby swing equipment based on voice recognition KR1022981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641A KR102298100B1 (en) 2020-02-19 2020-02-19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ing of baby swing equipment based on voice recogn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641A KR102298100B1 (en) 2020-02-19 2020-02-19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ing of baby swing equipment based on voice recogn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757A true KR20210105757A (en) 2021-08-27
KR102298100B1 KR102298100B1 (en) 2021-09-02

Family

ID=77504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641A KR102298100B1 (en) 2020-02-19 2020-02-19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ing of baby swing equipment based on voice recogni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100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917Y1 (en) 2006-02-24 2006-05-22 김휘욱 Electric type cradle
KR20140026910A (en) * 2012-08-24 2014-03-0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bed apparatus for baby
KR101970919B1 (en) * 2018-07-04 2019-04-19 장원 An intelligent baby care device control method
KR20190052369A (en) * 2017-11-08 2019-05-16 주식회사 아이앤나 Stationary Sound Device for Baby
KR20190071712A (en) 2016-10-17 2019-06-24 해피스트 베이비 인코퍼레이티드 Infant calm / sleep-aid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917Y1 (en) 2006-02-24 2006-05-22 김휘욱 Electric type cradle
KR20140026910A (en) * 2012-08-24 2014-03-0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bed apparatus for baby
KR20190071712A (en) 2016-10-17 2019-06-24 해피스트 베이비 인코퍼레이티드 Infant calm / sleep-aids
KR20190052369A (en) * 2017-11-08 2019-05-16 주식회사 아이앤나 Stationary Sound Device for Baby
KR101970919B1 (en) * 2018-07-04 2019-04-19 장원 An intelligent baby care device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8100B1 (en)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08621B2 (e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earphones with activity control output, methods for adjusting audio output from a media player by earphones, and computer programming means are stored.
JP5646146B2 (en) Voice input device, voice recognition system, and voice recognition method
US8165307B2 (en) Audio electronic device
CN101060879B (en) System for and method of controlling playback of audio signals
CN102065350B (en) Method, system and earphone for intelligently controlling multimedia playing
CN107424627A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nomous baby soothing
CN103137155B (en) According to Play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of external voice signal change adjustment voice signal
WO2011100890A1 (en) Reminding method of environmental sound and mobile terminal thereof
US10831437B2 (en) Sound signal controlling apparatus, sound signal controll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3134032U (en) Golf swing sensor
US8792655B2 (en) Apparatus for detecting the approach distance of a human body and performing different actions according to the detecting results
US20220122592A1 (en) Energy efficient custom deep learning circuits for always-on embedded applications
TW201308196A (en) Electronic device and volume control method
CN201570225U (en) Control device capable of judging approaching distance of human bodies to execute different actions
KR10229810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ing of baby swing equipment based on voice recognition
CN100334513C (en) Media play device capable of range information interaction with users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KR102382669B1 (en) System for controlliing of cradles based on voice recognition using iot
US20080111700A1 (en) Recordable smoke detector with recorded message playback verification system
TW201840210A (en) Dynamic control headphone device and method thereof
JP6337752B2 (en) Infant cry detection device
CN109168098B (en) System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o suspend and open Bluetooth headset when mobile phone is away from ea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70070812A (en) Warning device for portable multimedia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109151195B (en) Earphone control method and control system during running exercise
JP3196003U (en) Voice guidance device
CN212782717U (en) Music equipment is dressed to intellig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