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5750A - 백신접종에 따른 보상을 지급하는 자발적 가축질병 감시지원시스템 - Google Patents

백신접종에 따른 보상을 지급하는 자발적 가축질병 감시지원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5750A
KR20210105750A KR1020200020630A KR20200020630A KR20210105750A KR 20210105750 A KR20210105750 A KR 20210105750A KR 1020200020630 A KR1020200020630 A KR 1020200020630A KR 20200020630 A KR20200020630 A KR 20200020630A KR 20210105750 A KR20210105750 A KR 20210105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information
compensation
module
dis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5157B1 (ko
Inventor
이석
우덕하
이준석
이선미
송현석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20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157B1/ko
Publication of KR20210105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5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7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livestock or poul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질병 감시지원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백신 접종 등의 가축질병 확산 방지 활동에 대한 축산관련자의 참여 정보를 파악하여 축산관련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보상을 산정하고 이에 따른 보상을 수행함으로써,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여 시스템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보상을 통한 자발적 가축질병 감시지원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백신접종에 따른 보상을 지급하는 자발적 가축질병 감시지원시스템{Supporting system for monitoring livestock disease that provides compensation for vaccination}
본 발명은 가축질병 감시지원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백신 접종 등의 가축질병 확산 방지 활동에 대한 축산관련자의 참여 정보를 파악하여 축산관련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보상을 산정하고 이에 따른 보상을 수행함으로써,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여 시스템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보상을 통한 자발적 가축질병 감시지원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상업적 축산으로 인한 고밀도 사육 환경, 기후 변화 등의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과거보다 조류독감, 구제역 등의 가축 질병이 빈번하고 오랜 기간 동안 발병하고 있다. 이로 인해, 금전적 피해가 축산 농가에 발생하고, 질병에 걸린 가축을 살처분함으로써 환경 오염 등의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축산농가의 안정적 성장을 도모하고 하기 위해, 가축의 위생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질병 발생 시 적절한 관리대책을 조기에 세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하기의 특허 문헌처럼, CCTV, 적외선 센서, GPS 등에서 출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가축 질병의 발생을 확인하여 조기 경보하기 위한 시스템이 널리 개발되고 있다.
<특허문헌>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13425호(2014. 02. 05. 공개) "가축질병 모니터링 시스템, 가축질병 모니터링 서버 및 그 모니터링 방법"
하지만, 종래의 가축질병 감시시스템은 사육중인 가축의 정보를 취득하여 분석하여 질병을 판별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어, 백신 투여 등의 가축질병 방지에 적극적인 행위를 유도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백신 접종 등의 가축질병 확산 방지 활동에 대한 축산관련자의 참여 정보를 파악하여 축산관련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보상을 산정하고 이에 따른 보상을 수행함으로써,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여 시스템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백신접종에 따른 보상을 지급하는 자발적 가축질병 감시지원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보상을 통한 자발적 가축질병 감시지원시스템은 가축의 정보를 센싱하여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출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가축 질병 진단 및 확산 방지 활동에 대한 축산관련자의 참여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축산관련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보상을 산정하는 보상산정부를 가지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보상산정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축산관련자가 가축의 질병의 질병의 진단 및 확산 방지에 능동적 행위를 수행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축산관련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보상을 산정하는 능동참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능동참여모듈은 상기 센서부에서 출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가축 질병에 대한 백신이 접종되었는지 판단하여 보상을 산정하는 백신접종평가모듈을 가지는 능동행위평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보상을 통한 자발적 가축질병 감시지원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상산정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축산관련자가 상기 센서부의 작동을 방해하는 행위를 수행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축산관련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보상을 산정하는 수동참여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능동참여모듈에 의해 산정된 보상은 상기 수동참여모듈에 의해 산정된 보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보상을 통한 자발적 가축질병 감시지원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능동참여모듈은 축산관련자단말기에 특정 농장에서 질병이 발생하였다는 정보가 출력된 후 상기 센서부에서 출력된 수집하는 경보후수집모듈과, 상기 축산관련자의 능동적 행위가 가축 질병의 확산 방지에 기여한 정도를 가축 질병의 종료 후에 파악하여 상기 능동행위평가모듈에서 산정된 보상을 수정하는 방지효과평가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능동행위평가모듈은 상기 경보후수집모듈을 통해 얻은 정보를 분석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축산관련자가 가축의 질병의 확산 방지에 능동적 행위를 수행하였는지 판단하여 보상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보상을 통한 자발적 가축질병 감시지원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능동행위평가모듈은 상기 경보후수집모듈을 통해 얻은 정보를 분석하여 질병이 발생한 농가의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농가에서 가축을 출하하지 않았는지 판단하여 보상을 산정하는 출하판단모듈과, 상기 경보후수집모듈을 통해 얻은 정보를 분석하여 질병이 발생한 농가의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농가의 축산관련자단말기로부터 간이진단키트를 이용한 검사 결과가 출력되었는지 판단하여 보상을 산정하는 검사판단모듈과, 상기 경보후수집모듈을 통해 얻은 정보를 분석하여 질병이 발생한 농가의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농가의 축산관련자단말기로부터 간이진단키트를 이용한 특정 질병에 대한 항체 검사 결과가 출력되었는지 판단하여 항체가 생성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백신접종평가모듈에서 산정한 보상을 재산정하는 항체생성확인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보상을 통한 자발적 가축질병 감시지원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지효과평가모듈은 상기 센서부 또는 국가에서 가축 질병을 관리하는 부서가 운영하는 서버에서 출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가축 질병이 종료하였는지 판단하는 종료확인모듈과, 상기 종료확인모듈이 가축 질병이 종료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능동행위평가모듈이 의해 보상이 산정된 축산관련자의 능동행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능동행위수집모듈과, 상기 능동행위수집모듈이 수집한 축산관련자별 능동적 행위가 가축 질병의 확산 방지에 기여한 정보를 파악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기여도판단모듈과, 상기 기여도판단모듈에서 출력된 가축 질병의 확산 방지에 대한 축산관련자의 기여도에 따라 상기 능동행위평가모듈에서 산정된 보상을 수정하는 정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보상을 통한 자발적 가축질병 감시지원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사육 중인 가축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제1센서부와, 가축의 이동 경로를 확인할 수 있는 제2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센서부는 특정 위치에 설치되어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계속적으로 가축의 상태를 확인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능동센서와, 축산업에 관련된 업자의 작동에 의해 일시적으로 가축의 상태를 확인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수동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보상을 통한 자발적 가축질병 감시지원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보상산정부에서 산정된 축산관련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보상에 따라 축산업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가상화폐인 축산코인을 발행하여 축산관련자단말기에 전송하는 가상화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상화폐부는 축산관련자단말기와 정보를 교환하여 축산업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가상화폐인 축산코인을 생성하는 화폐생성모듈과, 상기 보상산정부에서 산정된 축산관련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보상 정보를 수집하는 보상정보수집모듈과, 수집된 보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화폐생성모듈에서 생성된 가상화폐인 축산코인이 특정 축산관련자에게 일정량 할당되도록 하는 할당모듈과, 상기 할당모듈에 의해 할당된 가상화페인 축산코인이 보상을 지급받어야 할 특정 축산관련자의 축산관련자단말기에 전송되도록 하는 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보상을 통한 자발적 가축질병 감시지원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축산관련자단말기는 축산관련자단말기에 설치되어 타 축산관련자단말기 및 관리서버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처리앱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처리앱은 타 축산관련자단말기 및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자신의 축산관련자단말기에서 생성된 정보를 타 축산관련자단말기 및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정보관리부와,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분석하여 가축 질병 진단 및 확산 방지 활동에 대한 축산관련자의 참여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축산관련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보상을 산정하고 산정된 보상 결과에 따라 축산관련자가 지급받아야할 축산코인을 계산하여 그 지급 요청하는 정보가 관리서버에 전송되도록 하는 보상자동청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보상을 통한 자발적 가축질병 감시지원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앱은 축산코인을 이용한 축산관련자간의 거래가 체결되도록 하고 거래 완료시 축산코인이 상대방의 축산관련자단말기에 전송되도록 하고 거래 완료의 정보를 모든 축산관련자단말기 및 관리서버에 전송되도록 하는 스마트계약처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계약처리부는 타 축산관련자단말기에 축산코인을 이용한 거래를 요청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요청모듈과, 상기 타 축산관련자단말기로부터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대응 정보가 출력되었는지 확인하는 확인모듈과, 상기 요청 정보 및 대응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에 매칭되는지 확인하여 매칭시 계약이 완성되도록 하는 계약처리모듈과, 상기 계약처리모듈에 계약이 완성되었다는 정보 출력시 축산코인을 거래 상대방 축산관련자단말기에 전송하고 거래 완료 정보를 모든 축산관련자단말기 및 관리서버에 전송되도록 하는 지급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백신 접종 등의 가축질병 확산 방지 활동에 대한 축산관련자의 참여 정보를 파악하여 축산관련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보상을 산정하고 이에 따른 보상을 수행함으로써,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여 시스템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지원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관리서버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도 2의 보상산정부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도 3의 능동참여모듈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도 4의 방지효과평가모듈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도 2의 가상화폐부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도 2의 연계처리부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은 도 1의 정보처리앱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9는 도 8의 스마트계약처리부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백신접종에 따른 보상을 지급하는 자발적 가축질병 감시지원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신접종에 따른 보상을 지급하는 자발적 가축질병 감시지원시스템을 도 1 및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감시지원시스템은 축산관련자단말기(1), 센서부(2), 관리서버(3) 등을 포함한다.
상기 축산관련자단말기(1)는 축산업에 관련된 업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 타 축산관련자단말기(1) 및 상기 관리서버(3)와 정보를 교환한다. 상기 축산관련자단말기(1)는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교환할 수 있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전자기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PC, 서버, 스마트폰, 태블릿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축산업에 관련된 업자에는 가축을 사육하는 업자, 가축을 가공하는 업자, 가축을 유통하는 업자, 가축을 운송하는 업자, 가축 사육에 필요한 물품 및/또는 용역을 제공하는 업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감시지원시스템의 설정 정보 및 생성 정보가 축산관련자단말기들 및 관리서버(3)에 각각 분산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축산관련자단말기들과 상기 관리서버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축산관련자단말기(1)를 통한 정보의 교환은 상기 관리서버(3)에서 전송받아 설치된 정보처리앱(11)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정보처리앱(11)은 블록체인을 활용한 보상금 자동 청구 및 축산관련자들 사이의 스마트 계약이 가능하게 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센서부(2)는 가축의 정보를 센싱하여 상기 축산관련자단말기(1) 및/또는 관리서버(3)에 전송하는 구성으로, 예컨대, 사육 중인 가축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제1센서부(21), 가축의 이동 경로를 확인할 수 있는 제2센서부(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부(21)는 특정 위치에 설치되어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계속적으로 가축의 상태를 확인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능동센서(211)와, 축산업에 관련된 업자의 작동에 의해 일시적으로 가축의 상태를 확인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수동센서(21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능동센서(211)는 축사에 설치되어 가축을 촬영하는 CCTV, 축사에 설치되어 가축의 온도를 측정하는 적외선 센서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상기 수동센서(212)는 가축의 체액을 시료로 하여 조류독감, 구제역 등의 바이러스성 질병을 진단하거나 백신 접종에 따른 항체 생성여부를 판단하는 간이진단키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같은 센서라도 어떻게 이용되는냐에 따라 능동센서(211)로 이용될 수 있고 수동센서(212)로 이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센서부(22)는 가축을 이동시키는 차량에 부착된 GPS 장치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간이진단키트 등은 전자적으로 질병을 진단 및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춰 자체적으로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고, 상기 간이진단키트를 사용한 사람의 축산관련자단말기(1)를 통해 정보가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2)는 독립된 형태로 존재하거나 상기 축산관련자단말기(1)에 일 구성품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
상기 관리서버(3)는 상기 축산관련자단말기(1) 및 센서부(2)와 정보를 교환하여, 가축 질병 진단 및 확산 방지 활동에 대한 축산관련자의 참여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축산관련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보상을 산정하는 구성으로, 송수신부(31), 질병판단부(32), 경보부(33), 보상산정부(34), 가상화폐부(35), 연계처리부(36), 앱관리부(37), 저장부(38), 제어부(39) 등을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부(31)는 상기 축산관련자단말기(1) 및 센서부(2) 등과 정보를 송수신한다.
상기 질병판단부(32)는 상기 센서부(2)에서 전송된 정보를 확인하여 가축의 질병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으로, 예컨대 가축의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일정 기간동안 이상 행동을 보이는 가축이 있는 경우 가축에 질병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고, 간이진단키트의 진단 결과에 이상 신호가 발생한 경우 가축에 질병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상기 경보부(33)는 상기 질병판단부(32)가 가축의 질병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질병이 발생한 가축과 관련된 상기 축산관련자단말기(1)에 질병 발생의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경보부(33)는 국가에서 가축 질병을 관리하는 부서가 운영하는 서버(미도시)와 정보를 교환하여, 질병이 발생하였다는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할 수도 있고, 상기 서버로부터 가축 질병의 발생 정보를 수신하여 경보 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상기 질병이 발생한 가축과 관련된 상기 축산관련자단말기(1)란, 질병이 발생한 가축을 사육하는 농가의 업자, 상기 농가와 일정 거리 이내 위치하는 다른 농가의 업자, 질병이 발생한 가축을 사육하는 농가의 가축을 운송, 가공, 유통한 업자 등의 단말기를 의미한다.
상기 보상산정부(34)는 센서부(2)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가축 질병 진단 및 확산 방지 활동에 대한 축산관련자의 참여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축산관련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보상을 산정하는 구성으로, 수동참여모듈(341), 능동참여모듈(342) 등을 포함한다. 상기 보상산정부(34)는 축산관련자의 감시지원시스템의 참여 정도를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차등 분류하고, 이에 따라 축산관련자에게 지급하여 할 보상을 차등 산정하게 되며, 상기 보상은 예컨대 축산업과 관련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상화페를 들 수 있다.
상기 수동참여모듈(341)은 상기 센서부(2)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축산관련자가 상기 센서부(2)의 작동을 방해하는 행위를 수행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축산관련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보상을 산정하는 구성으로, 예컨대 특정 위치에 설치되어 계속적으로 정보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센서부(2)가 설정 정보에 매칭되는 정보를 계속적으로 출력하는 경우(예를 들어, 축사에 설치된 CCTV, 적외선 센서가 설정된 일정 주기별로 정보를 출력하는 경우, 가축을 운송한다고 등록된 차량에 설치된 GPS 장치가 계속적인 정보를 출력하는 경우 등), 축산관련자가 상기 센서부(2)의 작동을 방해하는 행위를 수행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능동참여모듈(342)은 상기 센서부(2)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축산관련자가 가축의 질병의 질병의 진단 및 확산 방지에 능동적 행위를 수행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축산관련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보상을 산정하는 구성으로, 경보후수집모듈(342a), 능동행위평가모듈(342b), 방지효과평가모듈(342c) 등을 포함한다.
상기 경보후수집모듈(342a)은 상기 경보부(33)에 의해 상기 축산관련자단말기(1)에 특정 농장에서 질병이 발생하였다는 정보가 출력된 후, 상기 센서부(2)에서 출력되어 저장부(38)에 저장된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능동행위평가모듈(342b)은 상기 경보후수집모듈(342a)을 통해 얻은 정보를 분석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축산관련자가 가축의 질병의 확산 방지에 능동적 행위를 수행하였는지 판단하여 보상을 산정하는 구성으로, 출하판단모듈(3421), 검사판단모듈(3422), 백신접종평가모듈(3423), 항체생성확인모듈(3424) 등을 포함한다.
상기 출하판단모듈(3421)은 상기 경보후수집모듈(342a)을 통해 얻은 정보를 분석하여 질병이 발생한 농장의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농가가 가축을 출하하지 않았는지 판단하여(예컨대, 농가에 설치된 CCTV 영상을 통해 출하 사실의 확인이 가능함) 보상을 산정한다.
상기 검사판단모듈(3422)은 상기 경보후수집모듈(342a)을 통해 얻은 정보를 분석하여 질병이 발생한 농장의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농가의 축산관련자단말기(1)로부터 간이진단키트를 이용한 검사 결과가 출력되었는지 판단하여 보상을 산정한다.
상기 백신접종평가모듈(3423)은 상기 경보후수집모듈(342a)을 통해 얻은 정보를 분석하여 질병이 발생한 농장의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농가의 축산관련자단말기로(1)로부터 경보된 질병에 대한 백신이 접종되었는지 판단하여 보상을 산정한다.
상기 항체생성확인모듈(3424)은 상기 경보후수집모듈(342a)을 통해 얻은 정보를 분석하여 질병이 발생한 농장의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농가의 축산관련자단말기(1)로부터 간이진단키트를 이용한 특정 질병에 대한 항체 검사 결과가 출력되었는지 판단하여, 항체가 생성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백신접종평가모듈(3423)에서 산정한 보상을 재산정하는 구성이다.
상기 방지효과평가모듈(342c)은 상기 축산관련자의 능동적 행위가 가축 질병의 확산 방지에 기여한 정도를 가축 질병의 종료 후에 파악하여 상기 능동행위평가모듈(342b)에서 산정된 보상을 수정하는 구성으로, 종료확인모듈(3425), 능동행위수집모듈(3425), 기여도판단모듈(3427), 정정모듈(3428) 등을 포함한다.
상기 종료확인모듈(3425)은 상기 센서부(2) 또는 국가에서 가축 질병을 관리하는 부서가 운영하는 서버에서 출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가축 질병이 종료하였는지 판단한다. 예컨대, 농가에 설치된 CCTV 영상, 적외선 센서 등을 통해 가축이 일정 기간 이상 이상 행동을 보이지 않거나 일정 체온을 유지하는 경우, 상기 서버에 특정 가축 질병의 발생이 종료하였다는 정보를 출력한 경우 가축 질병이 종료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능동행위수집모듈(3426)은 상기 종료확인모듈(3425)이 가축 질병이 종료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능동행위평가모듈(342b)에 의해 보상이 산정된 축산관련자의 능동행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기여도판단모듈(3427)은 상기 능동행위수집모듈(3425)에서 수집한 축산관련자별 능동적 행위가 가축 질병의 확산 방지에 기여한 정보를 파악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예컨대, 같은 능동적 행위라도 조기에 수행한 경우 기여도가 더 크며, 가축이 발생한 A 농가로부터 B 농가는 남쪽으로 100m 떨어져 있고 C 농가는 북쪽으로 100m 떨어져 있고 B, C 농가 경보 후 모두 가축을 출하한 사실 없는데 A 농가로부터 남쪽으로 100m 초과하여 떨어진 농가에서 질병이 발생하고 A 농가로부터 북쪽으로 100m 초과하여 떨어진 농가에서 질병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C 농가가 B 농가보다 가축 질병의 확산 방지에 기여도가 큰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정정모듈(3428)은 상기 기여도판단모듈(3427)에서 출력된 가축 질병의 확산 방지에 대한 축산관련자의 기여도에 따라, 상기 능동행위평가모듈(342b)에서 산정된 보상을 수정하는 구성이다. 예컨대, 축산관련자 A의 능동적 행위에 대해 상기 능동행위평가모듈이 보상으로 100으로 평가하고, 축산관련자 B의 능동적 행위에 대해 상기 능동행위평가모듈이 보상으로 50으로 평가하였는데, 기여도판단모듈(3425)가 A의 기여도 1이고 B의 기여도가 2라고 평가하였다면, 상기 정정모듈(3426)은 축산관련자 A에게 지급할 보상으로 100을 산정하고, 축산관련자 B에게 지급할 보상으로 100을 산정하게 된다. 축산관련자단말기(1), 센서부(2), 관리서버(3) 등을 포함하는 감시지원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어도, 사육 환경 노출, 이동 경로 노출 등을 통한 사생활이 공개되는 거부감에 따라 CCTV, 적외선 센서, GPS 장치를 꺼 놓은 경우가 빈번하므로, 상기 감시지원시스템의 활성화를 위해서 상기 센서부(2)에서 출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축산관련자의 상기 감시지원시스템의 참여 정보를 파악하여 이에 따른 보상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감시지원시스템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축산관련자의 감시지원시스템의 참여 정도를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차등 분류하고 능동적 참여자에 대한 보상이 수동적 참여자에 대한 보상보다 크게 하여 능동적 참여를 유도하여 시스템의 활성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능동적 행위 자체만으로도 보상을 지급하나, 축산관련자의 능동적 행위별로 질방 확산 방지의 기여도를 파악하여 많은 기여가 있는 경우 더 많은 보상이 지급되도록 하여 정당한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상화폐부(35)는 상기 보상산정부(34)에서 산정된 축산관련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보상에 따라 축산업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가상화폐인 축산코인을 발행하여 상기 축산관련자단말기(1)에 전송하는 구성으로, 화폐생성모듈(351), 보상정보수집모듈(352), 할당모듈(353), 전송모듈(354) 등을 포함한다. 상기 가상화폐부(35)에서 발행된 가상화폐는 축산업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폐생성모듈(351)은 상기 축산관련자단말기(1)와 정보를 교환하여 축산업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가상화폐인 축산코인을 생성하는 구성이다. 상기 축산코인은 축산업에서 사용되어야 하므로, 본 시스템의 운영자(관리서버 운영함)와 축산 관련자의 기설정된 계약 관계에 따라 상기 운영자는 계약 관계에 있는 축산 관련자의 상품 및 용역을 제공받을 수 있는 가상화폐를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화폐생성모듈(351)이 상기 축산관련자단말기(1)와 정보를 교환하여 가상화폐인 축산코인을 생성하게 된다.
상기 보상정보수집모듈(352)은 상기 보상산정부(34)에서 산정된 축산관련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보상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할당모듈(353)은 수집된 보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화폐생성부(351)에서 생성된 가상화폐인 축산코인이 특정 축산관련자에게 일정량 할당되도록 한다. 본 시스템에 참여도가 높은 경우 더 많은 축산코인이 할당되게 되게, 같은 능동적 행위에 있어서도 질병의 확산 방지에 기여도가 큰 경우 더 많은 축산코인이 할당되게 된다.
상기 전송모듈(354)는 상기 할당모듈(353)에 의해 할당된 가상화페인 축산코인이 보상을 지급받어야 할 특정 축산관련자의 축산관련자단말기(1)에 전송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가상화폐인 축산코인을 축산관련자단말기(1)를 통해 지급받은 축산 관련자는 상기 축산코인의 사용 계약이 맺어진 축산 관련자에 제시하고 축산업과 관련된 제품 및/또는 용역을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센서부에서 출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축산관련자의 감시지원시스템의 참여 정도를 파악하여 이에 따른 보상을 지급할 시, 축산업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가상화폐인 축산코인을 지급함으로써, 감시지원시스템 및 축산산업 활성화를 동시에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계처리부(36)는 상기 축산관련자단말기(1) 및 관리서버(3)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 상기 저장부(38)에 저장된 상기 감시지원시스템을 운영하는 필요한 설정정보 및 상기 관리서버(3)가 생성한 생성정보를 상기 축산관련자단말기들에 전송하는 정보전송모듈(361)과, 상기 축산관련자단말기(1)에서 생성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저장부(38)에 저장하는 정보저장모듈(362)과, 상기 축산관련자단말기(1)에서 축산코인의 청구를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보상산정부(34) 및 상기 가상화폐부(35)를 제어하여 상기 축산관련자단말기(1)에서 출력한 정보의 적법성을 판단하여 적법성이 인정된 경우 상기 축산코인이 상기 축산관련자단말기(1)에서 지급되도록 하는 청구확인모듈(363)을 포함한다. 예컨대, 축산관련자단말기 A에서 축산코인 100의 지급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청구확인모듈(363)은 상기 보상산정부(34) 및 상기 가상화폐부(35)를 제어하여 축산관련자단말기 A에게 지급되어야 할 축산코인 100인지 확인하고 이에 해당 시 상기 축산관련자단말기 A에게 축산코인 100이 지급되도록 한다. 상기 축산관련자단말기(1)들 및 상기 관리서버(3)는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상기 연계처리부(36)는 상기 관리서버(3)의 운영에 필요한 설정 정보(보상 산정, 가상 화페 산정, 스마트 계약에 필요한 정보 등) 및 상기 관리서버(3)에서 생성된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3)의 저장부(38)뿐만 아리라 각 축산관련자단말기(1)에 각각 분산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축산관련자단말기(1)에서 생성된 정보를 상기 저장부(38)에도 분산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시지원시스템은 설정 및 생성정보가 담긴 블록을 형성하고 상기 블록이 네트워크에 있는 축산관련자단말기들(1) 및 관리서버에 전송되도록 하여 블록체인 상에 분산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앱관리부(37)는 상기 축산관련자단말기(1)에 설치되어 타 축산관련자단말기(1) 및 관리서버(3)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처리앱의 다운을 요청하는 신호가 출력된 경우 상기 축산관련자단말기들(1)에 상기 정보처리앱이 설치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 정보처리앱(11)은 상기 축산관련자단말기(1)에 설치되어 타 축산관련자단말기(1) 및 관리서버(3)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정보관리부(111), 보상자동청구부(112), 스마트계약처리부(113)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정보관리부(111)는 타 축산관련자단말기(1) 및 관리서버(3)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축산관련자단말기(1)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하고 자신의 축산관련자단말기(1)에서 생성된 정보를 타 축산관련자단말기(1) 및 관리서버(3)에 전송하는 구성이다.
상기 보상자동청구부(112)는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분석하여, 가축 질병 진단 및 확산 방지 활동에 대한, 축산관련자의 참여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축산관련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보상을 산정하고 산정된 보상 결과에 따라 축산관련자가 지급받아야할 축산코인을 계산하여 그 지급 요청하는 정보가 관리서버(3)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구성이다.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감시지원시스템을 운영하는 필요한 설정정보 및 상기 관리서버가 생성한 생성정보 및 센서부(2)가 출력한 정보가 저장되므로, 상기 보상자동청구부(112)는 이를 이용하여 축산코인을 자동 청구하게 된다. 상기 보상자동청구부(112)는 상기 관리서버(3)의 보상산정부(34) 및 가상화폐부(35)와 동일한 기능(단, 가상화폐부(35)의 화폐를 생성하는 기능 및 전송하는 기능은 제외)을 수행하는 구성을 포함하게 되며, 즉, 상기 보상자동청구부(112)는 상기 보상산정부(34) 및 가상화폐부(35)(단, 화폐생성모듈(351) 및 전송모듈(354)은 제외)의 세부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을 포함하여 특정 축산관련자가 지급받아야할 축산코인을 산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축산관련자단말기(1) 및 관리서버(3)는 동일한 자료에 대해 동일한 판단방법에 의해 축산코인을 산정하므로, 상기 축산관련자단말기(1)가 자동 청구하는 축산코인의 양과 상기 관리서버(3)에서 산정된 축산코인의 양이 동일하게 된다. 상기 축산관련자단말기는 축산관련자단말기들 및 관리서버에 공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축산코인을 산정하여 이를 자동청구할 수 있으므로, 상기 감시지원시스템은 블록체인을 활용한 보상금 자동 청구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축산관련자는 관리서버(3)에 의해 산정된 보상금에 대한 결과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을 넘어 상기 보상금을 자동 산정 및 청구가 가능하므로 축산관련자의 이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계약처리부(113)은 축산코인을 이용한 축산관련자간의 거래가 체결되도록 하고, 거래 완료시 축산코인이 상대방의 축산관련자단말기(1)에 전송되도록 하고, 거래 완료의 정보를 모든 축산관련자단말기(1) 및 관리서버(3)에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스마트계약처리부(113)는 타 축산관련자단말기(1)에 축산코인을 이용한 거래를 요청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요청모듈(113a)와, 상기 타 축산관련자단말기(1)로부터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가 출력되었는지 확인하는 확인모듈(113b)와, 상기 요청 정보 및 대응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에 매칭되는지 확인하여 매칭시 계약이 완성되도록 하는 계약처리모듈(113c)와, 상기 계약처리모듈(113c)에 계약이 완성되었다는 정보 출력시 축산코인을 거래 상대방 축산관련자단말기(1)에 전송하고 거래 완료 정보를 모든 축산관련자단말기(1) 및 관리서버(3)에 전송되도록 하는 지급처리모듈(113d) 등을 포함한다. 예컨대, 축산 농가와 사료 납품업자 사이의 사료 납품에 대한 계약이 상기 스마트계약처리부(113)에 의해 자동 처리되어 축산 농가의 축산코인이 사료 납품업자에게 전송되고 상기 거래 완료의 정보가 나머지 축산관련자단말기(1) 및 관리서버(3)에 전송되어, 상기 사료 납품업자는 상기 축산코인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스마트계약처리부(113)에 의해 스마트계약의 형태로 축산코인을 이용한 거래가 이루어지므로, 거래의 편리성 및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저장부(38)은 상기 축산관련자단말기와 교환되는 정보를 저장하며, 예컨대, 상기 감시지원시스템을 운영하는 필요한 설정정보, 상기 관리서버(3)가 생성한 생성정보 및 상기 축산관련자단말기(1)에서 생성한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 저장부(38)에 저장된 정보는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축산관련자단말기(1)의 메모리에 저장되게 된다.
상기 제어부(39)는 관리서버(3)의 전체적인 자동을 제어하며, 즉 관리서버(3)의 송수신부(31), 질병판단부(32), 경보부(33), 보상산정부(34), 가상화폐부(35), 연계처리부(36), 앱관리부(37)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보상을 통한 자발적 가축질병 감시지원시스템을 이용하는 가축질병 감시지원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보상을 통한 자발적 가축질병 감시지원시스템을 이용하는 가축질병 감시지원방법은 질병판단부(32)가 센서부(2)에서 전송된 정보를 확인하여 가축의 질병 여부를 판단하는 질병판단단계와, 상기 질병판단단계에서 가축의 질병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경보부가 질병이 발생한 가축과 연계된 축산관련자단말기(1)에 질병 발생의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보단계와, 보상부(34)가 센서부(2)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가축 질병 진단 및 확산 방지 활동에 대한 축산관련자의 참여 정보를 파악하여 축산관련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보상을 산정하는 보상산정단계와, 가상화폐부(35)가 상기 보상산정단계(34)에서 산정된 축산관련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보상에 따라 축산업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가상화폐인 축산코인을 발행하여 상기 축산관련자단말기(1)에 전송하는 가상화폐생성단계 등을 포함한다.
상기 보상산정단계는 보상부(34)가 센서부(2)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가축 질병 진단 및 확산 방지 활동에 대한 축산관련자의 참여 정보를 파악하여 축산관련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보상을 산정하는 단계로, 수동참여판단단계, 능동참여판단계 등을 포함한다.
상기 수동참여판단단계는 수동참여모듈(341)이 센서부(2)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축산관련자가 상기 센서부(2)의 작동을 방해하는 행위를 수행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축산관련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보상을 산정한다.
상기 능동참여판단계는 능동참여모듈(342)이 상기 센서부(2)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축산관련자가 가축의 질병의 질병의 진단 및 확산 방지에 능동적 행위를 수행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축산관련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보상을 산정하는 단계로, 경보후수집단계, 능동행위평가단계, 방지효과평가단계 등을 포함한다.
상기 경보후수집단계는 경보후수집모듈(342a)이 상기 경보단계에서 상기 축산관련자단말기(1)에 특정 농장에서 질병이 발생하였다는 정보가 출력한 후, 상기 센서부(2)에서 출력되어 저장부(38)에 저장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이다.
상기 능동행위평가단계는 능동행위평가모듈(342b)이 상기 경보후수집단계에서 얻은 정보를 분석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축산관련자가 가축의 질병의 확산 방지에 능동적 행위를 수행하였는지 판단하여 보상을 산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방지효과평가단계는 방지효과평가모듈(342c)이 상기 축산관련자의 능동적 행위가 가축 질병의 확산 방지에 기여한 정도를 가축 질병의 종료 후에 파악하여 상기 능동행위평가단계에서 산정된 보상을 수정하는 단계로, 종료확인단계, 능동행위수집단계, 기여도판단단계, 정정단계 등을 포함한다.
상기 종료확인단계는 종료확인모듈(3423)이 상기 센서부(2) 또는 국가에서 가축 질병을 관리하는 부서가 운영하는 서버에서 출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가축 질병이 종료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능동행위수집단계는 능동행위수집모듈(3424)이 상기 종료확인단계에서 가축 질병이 종료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능동행위평가모듈(342b)에 의해 보상이 산정된 축산관련자의 능동행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이다.
상기 기여도판단단계는 기여도판단모듈(3425)이 상기 능동행위수집단계에서 수집한 축산관련자별 능동적 행위가 가축 질병의 확산 방지에 기여한 정보를 파악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이다.
상기 정정단계는 정정모듈(3426)이 상기 기여도판단단계에서 판단된 가축 질병의 확산 방지에 대한 축산관련자의 기여도에 따라, 상기 능동행위평가단계에서 산정된 보상을 수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가상화폐생성단계는 가상화폐부(35)가 상기 보상산정단계(34)에서 산정된 축산관련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보상에 따라 축산업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가상화폐인 축산코인을 발행하여 상기 축산관련자단말기(1)에 전송하는 단계로, 화폐생성모듈(351)이 축산관련자단말기(1)와 정보를 교환하여 축산업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가상화폐인 축산코인을 생성하는 화폐생성단계와, 보상정보수집모듈(352)이 상기 보상산정단계에서 산정된 축산관련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보상 정보를 수집하는 보상정보수집단계와, 할당모듈(353)이 수집된 보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화폐생성단계에서 생성된 가상화폐인 축산코인이 특정 축산관련자에게 일정량 할당되도록 하는 할당단계와, 전송모듈(354)이 상기 할당단계에서 할당된 가상화페인 축산코인이 보상을 지급받어야 할 특정 축산관련자의 축산관련자단말기(1)에 전송되도록 하는 전송단계 등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축산관련자단말기 2: 센서부 3: 관리서버
11: 정보처리앱 21: 제1센서부 22: 제2센서부
31: 송수신부 32: 질병판단부 33: 경보부
34: 보상산정부 35: 가상화폐부 36: 연계처리부
37: 앱관리부 38: 저장부 39: 제어부
111: 정보관리부 112: 보상자동청구부 113: 스마트계약처리부
211: 능동센서 212: 수동센서 341: 수동참여모듈
342: 능동참여모듈 351: 화페생성모듈 352: 보상정보수집모듈
353: 할당모듈 354: 전송모듈 361: 정보전송모듈
362: 정보저장모듈 363: 청구확인모듈 113a: 요청모듈
113b: 확인모듈 113c: 계약처리모듈 113d: 지급처리모듈
342a: 경보후수집모듈 342b: 능동행위평가모듈 342c: 방지효과평가모듈
3421: 출하판단모듈 3422: 검사판단모듈 3423: 백신접종평가모듈
3424: 항체생성확인모듈 3425: 종료확인모듈 3426: 능동행위수집모듈
3427: 기여도판단모듈 3428: 정정모듈

Claims (9)

  1. 가축의 정보를 센싱하여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출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가축 질병 진단 및 확산 방지 활동에 대한 축산관련자의 참여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축산관련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보상을 산정하는 보상산정부를 가지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보상산정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축산관련자가 가축의 질병의 질병의 진단 및 확산 방지에 능동적 행위를 수행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축산관련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보상을 산정하는 능동참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능동참여모듈은 상기 센서부에서 출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가축 질병에 대한 백신이 접종되었는지 판단하여 보상을 산정하는 백신접종평가모듈을 가지는 능동행위평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을 통한 자발적 가축질병 감시지원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산정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축산관련자가 상기 센서부의 작동을 방해하는 행위를 수행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축산관련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보상을 산정하는 수동참여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능동참여모듈에 의해 산정된 보상은 상기 수동참여모듈에 의해 산정된 보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을 통한 자발적 가축질병 감시지원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참여모듈은 축산관련자단말기에 특정 농장에서 질병이 발생하였다는 정보가 출력된 후 상기 센서부에서 출력된 수집하는 경보후수집모듈과, 상기 축산관련자의 능동적 행위가 가축 질병의 확산 방지에 기여한 정도를 가축 질병의 종료 후에 파악하여 상기 능동행위평가모듈에서 산정된 보상을 수정하는 방지효과평가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능동행위평가모듈은 상기 경보후수집모듈을 통해 얻은 정보를 분석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축산관련자가 가축의 질병의 확산 방지에 능동적 행위를 수행하였는지 판단하여 보상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을 통한 자발적 가축질병 감시지원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행위평가모듈은 상기 경보후수집모듈을 통해 얻은 정보를 분석하여 질병이 발생한 농가의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농가에서 가축을 출하하지 않았는지 판단하여 보상을 산정하는 출하판단모듈과, 상기 경보후수집모듈을 통해 얻은 정보를 분석하여 질병이 발생한 농가의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농가의 축산관련자단말기로부터 간이진단키트를 이용한 검사 결과가 출력되었는지 판단하여 보상을 산정하는 검사판단모듈과, 상기 경보후수집모듈을 통해 얻은 정보를 분석하여 질병이 발생한 농가의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농가의 축산관련자단말기로부터 간이진단키트를 이용한 특정 질병에 대한 항체 검사 결과가 출력되었는지 판단하여 항체가 생성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백신접종평가모듈에서 산정한 보상을 재산정하는 항체생성확인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을 통한 자발적 가축질병 감시지원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효과평가모듈은 상기 센서부 또는 국가에서 가축 질병을 관리하는 부서가 운영하는 서버에서 출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가축 질병이 종료하였는지 판단하는 종료확인모듈과, 상기 종료확인모듈이 가축 질병이 종료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능동행위평가모듈이 의해 보상이 산정된 축산관련자의 능동행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능동행위수집모듈과, 상기 능동행위수집모듈이 수집한 축산관련자별 능동적 행위가 가축 질병의 확산 방지에 기여한 정보를 파악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기여도판단모듈과, 상기 기여도판단모듈에서 출력된 가축 질병의 확산 방지에 대한 축산관련자의 기여도에 따라 상기 능동행위평가모듈에서 산정된 보상을 수정하는 정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을 통한 자발적 가축질병 감시지원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사육 중인 가축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제1센서부와, 가축의 이동 경로를 확인할 수 있는 제2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센서부는 특정 위치에 설치되어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계속적으로 가축의 상태를 확인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능동센서와, 축산업에 관련된 업자의 작동에 의해 일시적으로 가축의 상태를 확인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수동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을 통한 자발적 가축질병 감시지원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보상산정부에서 산정된 축산관련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보상에 따라 축산업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가상화폐인 축산코인을 발행하여 축산관련자단말기에 전송하는 가상화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상화폐부는 축산관련자단말기와 정보를 교환하여 축산업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가상화폐인 축산코인을 생성하는 화폐생성모듈과, 상기 보상산정부에서 산정된 축산관련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보상 정보를 수집하는 보상정보수집모듈과, 수집된 보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화폐생성모듈에서 생성된 가상화폐인 축산코인이 특정 축산관련자에게 일정량 할당되도록 하는 할당모듈과, 상기 할당모듈에 의해 할당된 가상화페인 축산코인이 보상을 지급받어야 할 특정 축산관련자의 축산관련자단말기에 전송되도록 하는 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을 통한 자발적 가축질병 감시지원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축산관련자단말기는 축산관련자단말기에 설치되어 타 축산관련자단말기 및 관리서버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처리앱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처리앱은 타 축산관련자단말기 및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자신의 축산관련자단말기에서 생성된 정보를 타 축산관련자단말기 및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정보관리부와,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분석하여 가축 질병 진단 및 확산 방지 활동에 대한 축산관련자의 참여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축산관련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보상을 산정하고 산정된 보상 결과에 따라 축산관련자가 지급받아야할 축산코인을 계산하여 그 지급 요청하는 정보가 관리서버에 전송되도록 하는 보상자동청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을 통한 자발적 가축질병 감시지원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앱은 축산코인을 이용한 축산관련자간의 거래가 체결되도록 하고 거래 완료시 축산코인이 상대방의 축산관련자단말기에 전송되도록 하고 거래 완료의 정보를 모든 축산관련자단말기 및 관리서버에 전송되도록 하는 스마트계약처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계약처리부는 타 축산관련자단말기에 축산코인을 이용한 거래를 요청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요청모듈과, 상기 타 축산관련자단말기로부터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대응 정보가 출력되었는지 확인하는 확인모듈과, 상기 요청 정보 및 대응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에 매칭되는지 확인하여 매칭시 계약이 완성되도록 하는 계약처리모듈과, 상기 계약처리모듈에 계약이 완성되었다는 정보 출력시 축산코인을 거래 상대방 축산관련자단말기에 전송하고 거래 완료 정보를 모든 축산관련자단말기 및 관리서버에 전송되도록 하는 지급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을 통한 자발적 가축질병 감시지원시스템.
KR1020200020630A 2020-02-19 2020-02-19 백신접종에 따른 보상을 지급하는 자발적 가축질병 감시지원시스템 KR102415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630A KR102415157B1 (ko) 2020-02-19 2020-02-19 백신접종에 따른 보상을 지급하는 자발적 가축질병 감시지원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630A KR102415157B1 (ko) 2020-02-19 2020-02-19 백신접종에 따른 보상을 지급하는 자발적 가축질병 감시지원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750A true KR20210105750A (ko) 2021-08-27
KR102415157B1 KR102415157B1 (ko) 2022-07-01

Family

ID=77504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630A KR102415157B1 (ko) 2020-02-19 2020-02-19 백신접종에 따른 보상을 지급하는 자발적 가축질병 감시지원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51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2121B1 (ko) * 2021-09-03 2022-07-21 주식회사 애슬레저 고객 맞춤형 스포츠 제품 판매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45210A (ja) * 2005-06-30 2008-12-11 アール. エッシグ、ジョン 消費者主導の生産前ワクチンの予約システムおよびワクチン予約システムの使用方法
KR20160139845A (ko) * 2015-05-29 2016-12-07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현장 현시 진단 서비스 운영 방법과, 시스템 및 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170142561A (ko) * 2016-06-20 2017-12-28 안경모 방목가축 통합관리시스템
KR101914576B1 (ko) * 2018-03-23 2018-11-02 데이터 엠 리미티드 암호화폐를 이용한 탄소배출감축을 위한 보상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45210A (ja) * 2005-06-30 2008-12-11 アール. エッシグ、ジョン 消費者主導の生産前ワクチンの予約システムおよびワクチン予約システムの使用方法
KR20160139845A (ko) * 2015-05-29 2016-12-07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현장 현시 진단 서비스 운영 방법과, 시스템 및 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170142561A (ko) * 2016-06-20 2017-12-28 안경모 방목가축 통합관리시스템
KR101914576B1 (ko) * 2018-03-23 2018-11-02 데이터 엠 리미티드 암호화폐를 이용한 탄소배출감축을 위한 보상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가축질병」현장조치 행동매뉴얼’, 대전광역시 동구청 홈페이지(2014.)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2121B1 (ko) * 2021-09-03 2022-07-21 주식회사 애슬레저 고객 맞춤형 스포츠 제품 판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5157B1 (ko) 2022-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19789B (zh) 一种人工智能保险审核方法及装置
US201203306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ite-related weather insurance contract
US11003871B2 (en) Agriculture exchange
BR102013027430A2 (pt) método para lutar prematuramente contra a doença e o furto de gado; método de baixo custo; dispositivo
KR101977965B1 (ko) 애완 동물 관리 방법 및 애완 동물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
KR20140119228A (ko)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실시간 검진 방법 및 이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KR102415157B1 (ko) 백신접종에 따른 보상을 지급하는 자발적 가축질병 감시지원시스템
CN110049041A (zh) 招聘网站开放平台的接口调用方法和接口调用系统
KR102415158B1 (ko) 양식어류의 질병 감시를 위한 스마트 지원시스템
KR102368151B1 (ko) 가상화폐 보상지원을 통한 가축질병 감시지원시스템
KR20220010844A (ko) 맞춤형 급이조절이 가능한 양어시스템
KR102368153B1 (ko) 보상을 통한 자발적 가축질병 감시지원시스템
KR102292110B1 (ko) 보상 차별화를 통해 활성화되는 가축질병 감시지원시스템
KR102054143B1 (ko) 반려동물 분양 및 정기 관리 시스템
JP2014197355A (ja) 遺失物追跡装置、遺失物管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207242B1 (ko) 빅데이터 기반 반려동물 위기관리 통합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1742908B1 (ko) 가축분뇨 전자인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17975A (ko) 가축 혈청 예찰용 대상 개체 선정 방법
KR20220094930A (ko) 블록체인 기반의 반려동물 보호 이력 관리 시스템
CZ2019502A3 (cs) Způsob shromažďování dat o zvěři, přístupu k nim a nakládání s těmito daty a zařízení k provedení tohoto způsobu
CN111260480A (zh) 理赔方法、服务器、终端设备及存储介质
KR102409506B1 (ko) 틀니/보철물의 소독·관리가 가능한 구강케어서비스 시스템
WO2024014479A1 (ja) カーボン・クレジットの創出を支援する情報処理装置、端末装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7593114A (zh) 贷款授信方法及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20230125575A (ko) 카메라, 인공지능, 블록체인 기반 반려견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