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5747A -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5747A
KR20210105747A KR1020200020623A KR20200020623A KR20210105747A KR 20210105747 A KR20210105747 A KR 20210105747A KR 1020200020623 A KR1020200020623 A KR 1020200020623A KR 20200020623 A KR20200020623 A KR 20200020623A KR 20210105747 A KR20210105747 A KR 20210105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coupling
patch
radiating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일희
장태경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0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5747A/ko
Priority to US17/904,667 priority patent/US20230107359A1/en
Priority to JP2022547963A priority patent/JP2023515772A/ja
Priority to PCT/KR2020/016784 priority patent/WO2021167211A1/ko
Priority to EP20920484.1A priority patent/EP4109678A4/en
Priority to CN202080096719.3A priority patent/CN115136412A/zh
Priority to TW110105790A priority patent/TW202141853A/zh
Publication of KR20210105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57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21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a shorting wall or a shorting pin at one end of the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5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particular feed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9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in bluetooth or WI-FI devices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H01Q1/46Electric supply lines or communication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30Combinations of separate antenna units operating in different wavebands and connected to a common feeder sys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78Combination of fed elements with parasitic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1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급전선을 통해 전류가 인가되는 제1 방사부 및 제2 방사부, 제1 방사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1 방사부와 커플링되는 제1 커플링 방사부, 및 제2 방사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2 방사부와 커플링되는 제2 커플링 방사부를 포함하되, 제1 방사부와 상기 제2 방사부는, 방사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서로 상이하다.

Description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Antenna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안테나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커플링 방사부를 이용하여 방사 공간 제약에 대해 극복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 TV의 두께가 얇아지며, TV와 벽면 사이의 공간이 점차 줄어가는 추세이다. TV가 얇고 벽면에 가까울수록, 특히, TV를 벽에 걸었을 때, TV와 벽면 사이에서 방사의 공간적인 제약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TV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안테나)모듈과 TV의 메타 플레이트(Metal plate)사이 배면거리가 축소됨에 따라 (기존 : 15 mm → Slim TV : 5 mm) 방사 열화 발생할 수 있다. 기존 15 mm에서는 메탈 플레이트 영향이 크지 않으나, 5mm 배면거리에서 방사 전류 형성이 원활하지 않아 방사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무선 모듈과 콘크리트 벽 사이 거리도 축소됨에 따라 (기존 : 15 mm → Slim TV : 5 mm) 역시, 방사 열화 발생할 수 있다. 기존에는 TV를 스탠드(Stand)형으로 사용하거나 벽걸이 TV를 하더라도 TV 두께가 50 mm 이상으로 방사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가 되었으나, TV 두께가 20 mm이하가 되면서 벽까지 거리가 3 mm 밖에 되지 않아 방사 자체가 일어나지 않거나 대부분의 방사 전계가 벽에 흡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커플링 방사부를 이용하여 방사 공간 제약에 대해 극복이 가능한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위치 측정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급전선을 통해 전류가 인가되는 제1 방사부 및 제2 방사부; 상기 제1 방사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방사부와 커플링되는 제1 커플링 방사부; 및 상기 제2 방사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2 방사부와 커플링되는 제2 커플링 방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방사부와 상기 제2 방사부는, 방사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서로 상이하다.
또한, 상기 제1 커플링 방사부 및 상기 제2 커플링 방사부는 일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방사부의 방사패치의 길이는 17.5 내지 17.7 mm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방사부의 방사패치의 길이는 17.2 내지 17.4 mm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커플링 방사부는, 소정의 너비를 가지는 라인 패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인 패치의 길이는 31.3 내지 31.5 mm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인 패치는 미앤더 라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커플링 방사부는, 사각형상의 사각 패치; 상기 사각 패치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제1 라인 패치; 및 상기 사각 패치의 타단에서 연장되는 제2 라인 패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라인 패치 또는 상기 제2 라인 패치 중 적어도 하나의 라인 패치는 미앤더 라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각 패치는 21. 6 내지 21.8 mm 길이 및 4.9 내지 5.1 mm 너비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라인 패치의 길이는 24.25 내지 24.45 mm 이고, 상기 제2 라인 패치의 길이는 18.75 내지 18.95 mm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커플링 방사부 또는 상기 제2 커플링 방사부는, 서로 다른 커플링 방사부와 격리도(isolation)가 임계값 이하가 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방사부는, 상기 제1 커플링 방사부와 2.4 내지 2.5GHz 대역 또는 5.0 내지 5.2 GHz 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대역에서 공진이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방사부는, 상기 제2 커플링 방사부와 2.4 내지 2.5GHz 대역에서 공진이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방사부 및 상기 제2 방사부 중 어느 하나는 와이파이용 방사부이고, 다른 하나는 블루투스용 방사부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급전선을 통해 전류가 인가되는 제3 방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방사부는, 상기 제1 방사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방사부의 방사패치는, 상기 제1 방사부의 방사패치와 길이 방향이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방사부 및 상기 제2 방사부는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커플링 방사부 및 상기 제2 커플링 방사부는 기판을 덮는 브라켓의 적어도 하나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과 적어도 하나의 급전선을 통해 연결되어, 전류가 인가되는 제1 방사부 및 제2 방사부; 상기 기판을 덮는 브라켓; 상기 제1 방사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브라켓의 적어도 하나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방사부와 커플링되는 제1 커플링 방사부; 및 상기 제2 방사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브라켓의 적어도 하나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방사부와 커플링되는 제2 커플링 방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커플링 안테나를 이용하여 신호의 방사방향을 방사가 가능한 공간으로 지향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방사 공간이 제약되는 공간에서 방사 열화를 극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탈 플레이트(Metal Plate)와 안테나 모듈 사이 배면 거리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방사 열화를 극복할 수 있고, 콘크리트 벽면에서의 거리 영향을 최소화하여 방사 열화를 극복할 수 있다.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이 결합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의 방사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이 메탈 플레이트와 벽면 사이에 위치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100)은 제1 방사부(110), 제2 방사부(120), 제1 커플링 방사부(130), 및 제2 커플링 방사부(140)로 구성되며, 기판(210), 브라켓(220), 제3 방사부(212), 통신 모듈 칩(2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사부(110) 및 제2 방사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급전선을 통해 전류가 인가되며, 주파수 대역이 서로 상이한 신호를 방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방사부(110) 및 제2 방사부(120)는 기판(210) 상에 형성되며, 기판(210)과 적어도 하나의 급전선을 통해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급전선을 통해 전류가 인가되면, 제1 방사부(110) 및 제2 방사부(120)는 인가된 전류에 따라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신호를 외부로 방출한다. 제1 방사부(110)에서 방사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제2 방사부(120)에서 방사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1 방사부(110) 및 제2 방사부(120)의 구체적인 형상에 대해서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커플링 방사부(130)는 제1 방사부(110)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1 방사부(110)와 커플링되어 신호를 방사하고, 제2 커플링 방사부(140)는 제2 방사부(120)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2 방사부(120)와 커플링되어 신호를 방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커플링 방사부(130)는 제1 방사부(110)와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1 커플링 방사부(130)와 제1 방사부(110)는 서로 연결되지 않으며, 제1 커플링 방사부(130)는 급전부를 포함하지 않아, 전원 또는 접지와 직접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커플링 방사부(130)는 다른 구성들과 절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방사부(110)에 전류가 인가되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 커플링 방사부(130)가 제1 방사부(110)에 커플링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며, 그에 따라 신호를 방사한다. 제1 커플링 방사부(130)에 커플링되어 방사되는 신호는 제1 방사부(110)의 형상, 제1 커플링 방사부(130)의 형상, 및 제1 방사부(110)와 제1 커플링 방사부(130)의 간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2 커플링 방사부(140)는 제2 방사부(120)와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2 커플링 방사부(140)와 제2 방사부(120)는 서로 연결되지 않으며, 제2 커플링 방사부(140)는 급전부를 포함하지 않아, 전원 또는 접지와 직접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커플링 방사부(140)는 다른 구성들과 절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방사부(120)에 전류가 인가되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 커플링 방사부(140)가 제2 방사부(120)에 커플링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며, 그에 따라 신호를 방사한다. 제2 커플링 방사부(140)에 커플링되어 방사되는 신호는 제2 방사부(120)의 형상, 제2 커플링 방사부(140)의 형상, 및 제2 방사부(120)와 제2 커플링 방사부(140)의 간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 커플링 방사부(130) 및 제2 커플링 방사부(140)의 구체적인 형상에 대해서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양한 통신을 위해서 하나의 안테나 모듈에 다양한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복수의 방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근거리 통신을 위하여, 와이파이, 블루투스, GPS, NFC 용 방사부가 필요할 수 있다. 스마트 TV의 경우, TV와 공유기 또는 휴대단말 등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하여,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가 필수적이며, 해당 통신을 위한 방사부가 형성되는 안테나 모듈이 필요하다.
제1 방사부(110) 및 제2 방사부(120) 중 어느 하나는 와이파이용 방사부이고, 다른 하나는 블루투스용 방사부일 수 있다. 또는, NFC용 방사부 등 다른 통신을 위한 방사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방사부(110)는 와이파이용 방사부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방사부(110)는 제1 커플링 방사부(130)와 와이파이 주파수 대역인 2.4 내지 2.5GHz 대역 또는 5.0 내지 5.2 GHz 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대역에서 공진이 일으킬 수 있다. 제2 방사부(120)는 블루투스용 방사부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방사부(120)는 제2 커플링 방사부(140)와 블루투스 주파수 대역인 2.4 내지 2.5GHz 대역에서 공진이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100)은 도 2와 같이, 기판(210) 및 기판(210)을 덮는 브라켓(2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100)은 제1 방사부(110), 제2 방사부(120), 제1 커플링 방사부(130), 및 제2 커플링 방사부(140)를 형성함에 있어서, 제1 방사부(110) 및 제2 방사부(120)는 기판(210)상에 형성될 수 있고, 제1 커플링 방사부(130) 및 제2 커플링 방사부(140)는 브라켓(22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방사부(110) 및 제2 방사부(120)가 형성된 기판(210) 상에 제1 커플링 방사부(130) 및 제2 커플링 방사부(140)가 형성된 브라켓(220)을 결합함으로써 안테나 모듈(100)을 형성할 수 있다. 기판(210) 상에는 통신 모듈 칩(211) 또는 제3 방사부(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 칩(211)은 안테나 모듈(100)에서 수행하고자 하는 통신에 필요한 신호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일 수 있다. 통신 모듈 칩(211)은 통신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방사부(110) 및 제2 방사부(120)를 기판(210) 상에 형성하고, 제1 커플링 방사부(130) 및 제2 커플링 방사부(140)를 브라켓(220)에 형성함으로써 제1 방사부(110)와 제1 커플링 방사부(130)를 일정 간격 및 제2 방사부(120) 및 제2 커플링 방사부(140)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브라켓에 제1 커플링 방사부(130) 및 제2 커플링 방사부를 형성함으로써, 제1 커플링 방사부(130) 및 제2 커플링 방사부를 제1 방사부(110) 및 제2 방사부(120)와 접촉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전원 또는 접지와 연결되지 않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제1 커플링 방사부(130) 및 제2 커플링 방사부(140)를 브라켓에 형성하여 제1 방사부(110) 및 제2 방사부(120)와 이격시키거나 전원 또는 접지와 연결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은 하나의 구현예에 해당하며, 브라켓(220)이 아닌 기판에 제1 커플링 방사부(130) 및 제2 커플링 방사부(140)를 제1 방사부(110) 및 제2 방사부(120)와 이격시켜 형성하는 것과 같이, 다른 형태로 제1 커플링 방사부(130) 및 제2 커플링 방사부(140)가 제1 방사부(110) 및 제2 방사부(120)와 이격되도록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제1 커플링 방사부(130) 및 제2 커플링 방사부(140)는 제1 방사부(110) 또는 제2 방사부(120)의 방사방향과 독립적으로 동일방향 또는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커플링 방사부(130)는 제1 방사부(110)와 커플링되어 신호를 방사하며, 제2 커플링 방사부(140)는 제2 방사부(120)와 커플링되어 신호를 방사한다. 이때, 제1 커플링 방사부(130) 또는 제2 커플링 방사부(140)의 방사방향에 따라 신호가 방사되는 방향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커플링 방사부(130)의 방사방향을 제1 방사부(110)와 다르게 형성하는 경우, 제1 커플링 방사부(130)에서 커플링되어 방사되는 신호는 제1 커플링 방사부(130)의 방사방향에 따르게 되어, 제1 방사부(110)에서 신호가 방사되더라도, 해당 신호에 따른 커플링되어 방상되는 신호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방사부(110)는 기판의 상면을 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방사방향이 기판의 상면방향으로 형성되더라도 제1 커플링 방사부(130)가 기판의 상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제1 커플링 방사부(130)에서 방사되는 신호의 방향을 해당 특정 방향으로 지향시킬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커플링 방사부(140) 또한 제1 방사부(110)와 다른 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제2 커플링 방사부(140)에서 방사되는 신호의 방사 방향을 특정 방향으로 지향시킬 수 있다. 제1 커플링 방사부(130) 및 제2 커플링 방사부(140)는 기판(210)을 덮는 브라켓(220)의 적어도 하나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방사부(110) 및 제2 방사부(120)가 기판(210) 상에 형성되어 기판(210)의 상면으로 신호를 방사하는 것을 제1 커플링 방사부(130) 및 제2 커플링 방사부(140)는 브라켓(220)의 적어도 하나의 외측면에 형성함으로써 측면방향으로 신호를 방사할 수 있다. 기판(210)의 상면으로 신호를 방사하는 제1 방사부(110) 및 제2 방사부(120)만 형성되는 경우, 기판(210)의 상면 방향에 방해물이나 벽이 위치하는 경우, 방사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측면 방향으로 신호를 방사하는 제1 커플링 방사부(130) 및 제2 커플링 방사부(140)를 형성함으로써 기판의 상면 방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방사 공간 제약을 벗어날 수 있다.
또는 제1 커플링 방사부(130) 또는 제2 커플링 방사부(140)의 방사방향을 제1 방사부(110) 및 제2 방사부(120)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커플링 방사부(130)의 방사방향을 제1 방사부(110)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경우, 제1 커플링 방사부(130)에서 커플링되어 방사되는 신호는 제1 방사부(110)에서 신호와 동일하게 방사되며, 해당 방향으로 방사되는 신호의 크기를 키울 수 있다.
제1 커플링 방사부(130) 및 제2 커플링 방사부(140)는 일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방사부(110) 및 제2 방사부(120)가 특정 방향으로 방사가 되도록 형성되고, 방사방향에 벽과 같은 장애물이 위치하여 방사 공간에 제약이 발생하는 경우, 제1 커플링 방사부(130) 및 제2 커플링 방사부(140)는 제1 방사부(110) 및 제2 방사부(120)의 방상방향과 다른, 방사 공간에 제약이 없는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제1 방사부(110), 제2 방사부(120), 제1 커플링 방사부(130), 제2 커플링 방사부(140)의 형상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커플링 방사부(130) 및 제2 커플링 방사부(140)는 각각 제1 방사부(110) 및 제2 방사부(120)와 커플링되어 신호를 방사하게 되는데, 제1 커플링 방사부(130)와 제1 방사부(110) 사이에 형성되는 커플링 특성은 도 3A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제1 커플링 방사부(130)와 제1 방사부(110) 사이의 간격(D1)에 영향을 받는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커플링 방사부(140)와 제2 방사부(120) 사이에 형성되는 커플링 특성을 제2 커플링 방사부(140)와 제2 방사부(120) 사이의 간격(D2)에 영향을 받는다.
도 3B는 D1 및 D2에 따른 반사손실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여기서, 반사손실은 특정 방사부를 기준으로 전기적 신호가 방사할 때 얼마나 반사가 일어나는지의 비율을 의미하며, 반사가 적을수록 전기적 신호가 손실이 적게 방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그래프 상 Y축 값이 아래로 내려갈 수록 방사 특성이 좋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D1 및 D2의 변수 범위는 2.7 내지 3.5 mm (단위:0.1 mm)이다. 제1 방사부(110)에서의 반사손실은 도 3B-(A)와 같고, 제2 방사부(120)에서의 반사손실은 도 3B-(B)와 같다.
반사손실을 고려한 결과, D1 및 D2의 간격이 2.7 내지 2.9 mm 에서는 제1 방사부(110) 또는 제2 방사부(120)에서의 공진이 틀어지고, 방사 특성이 열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3.0 내지 3.5 mm 에서 공진이 이루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두 방사부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커플링 특성이 좋아지는데, 일정 거리 이하에서 공진이 틀어지기 때문에, 공진이 맞는 범위에서 최소 거리인 3.0 mm로 D1 및 D2를 설정할 수 있다. 오차를 고려하여, D1 및 D2는 2.9 내지 3.1 mm로 설정할 수 있다.
제1 방사부(110)는 방사패치, 적어도 하나의 급전부,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써 도 4A 및 4B와 같이 제1 방사부(110)는 방사패치(111), 적어도 하나의 급전부(112), 및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113 내지 115)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를 방사하는 방사패치(111)를 포함하며, 기판(210)으로부터 전류를 인가받는 급전부(112)를 통해 기판(210)과 연결될 수 있다. 방사패치(111)는 기판(210)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기판(210)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방사패치(111)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13 내지 115)를 포함한다. 급전부로 설명되는 구성 및 지지부로 설명되는 구성들은 기판(210)의 급전선과 연결되는지 여부에 따라 급전부 또는 지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방사부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 방사부(110)는 PIFA 안테나일 수 있다. PIFA(Planar Inverted F Antenna)는 평판 역 에프 안테나로, 에프(F)를 뒤집어 높은 것처럼 평판의 접지면 위에 보다 작은 면적의 사각 패치판을 얹은 평판 안테나를 의미한다. 접지면, 방사패치, 급전부, 단락부(단락핀 또는 단락 스트립)으로 구성될 수 있다. PIFA 안테나는 전류 급전에 의해 패치가 접지면과 공진되면서 방사 소자로서 역할을 하며, 패치의 길이, 폭, 높이와 급전선의 위치와 단락핀의 위치 등에 따라 대역폭, 이득, 공진 주파수 등이 결정될 수 있다. 제1 방사부(110)는 PIFA 안테나로 한정되지 않으며, 헬리컬 및 모노폴(monopole) 안테나, SMD 안테나 등 다양한 안테나일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제1 방사부(110)의 특성은 방사패치(111)의 길이(D401), 폭(D410), 기판(210)에서 방사패치(111)가 이격되는 길이(D409) 등에 영향을 받는데, 특히, 방사패치(111)의 길이(D401)에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도 5는 방사패치(111)의 길이(D401)에 따른 반사손실을 나타내는 그래프로, 이를 통해, 제1 커플링 방사부(130)와 공진 주파수에서 가장 공진이 잘 일어나는 제1 방사부(110)의 방사패치(111)의 길이를 도출하여, 해당 길이를 방사패치(111)의 길이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사부(110)는 2.4 내지 2.5 GHz 대역에서 제1 커플링 방사부(130)와 공진이 가장 잘 일어나는 길이를 최적의 길이로 판단하여, 제1 방사부(110)의 길이를 해당 길이로 설정할 수 있다. 변수범위를 14.6 내지 17.6 mm (단위 길이: 1 mm)로 하여, 길이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제1 커플링 방사부(130)와 공진이 가장 잘 일어나는 길이로 17.6 mm 임을 확인할 수 있다. 오차를 고려하여, 제1 방사부(110)의 방사패치(111)의 길이는 17.5 내지 17.7 mm 일 수 있다.
제1 방사부(110)의 방사패치(111)의 길이가 17.5 내지 17.7 mm 일 때, 도 4B의 각 길이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참조번호 길이(mm)
D401 17.6
Figure pat00001
0.1
D402 19.6
Figure pat00002
0.1
D403 2.3
D404 2.0
D405 16.55
Figure pat00003
0.1
D406 13.05
Figure pat00004
0.1
D407 2.0
D408 3.0
Figure pat00005
0.1
D409 3.0
Figure pat00006
0.1
D410 3.95
Figure pat00007
0.1
D411 2.1
D412 1.0
Figure pat00008
0.1
D413 5.4
Figure pat00009
0.1
D414 3.0
Figure pat00010
0.1
표 1의 각 길이는 하나의 실시예에서의 길이를 나타낸 것으로, 제1 방사부(110)의 방사패치(111)의 길이에 따라 동일한 비율로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의 형상 내지 길이는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제2 방사부(120)는 방사패치 적어도 하나의 급전부,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써 도 5A 및 5B와 같이 제2 방사부(120)는 방사패치(121 내지 123), 적어도 하나의 급전부(124), 및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를 방사하는 방사패치는 기판(210)과 평행하는 제1 방사패치(121)와 기판(210)과 수직인 제2 방사패치(122), 기판(210) 및 제1 방사패치(122)와 수직인 제3 방사패치(123)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방사패치(122) 및 제3 방사패치(123)는 급전부(124)와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는 급전패치라 할 수도 있다. 방사패치(121 내지 123)은 기판(210)으로부터 전류를 인가받는 급전부(124)를 통해 기판(210)과 연결될 수 있다. 급전부(124)와 방사패치(121)는 방사패치(122)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방사패치(121)는 기판(210)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방사패치(122, 123) 및 지지부(12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급전부로 설명되는 구성 및 지지부로 설명되는 구성들은 기판(210)의 급전선과 연결되는지 여부에 따라 급전부 또는 지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방사패치 또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방사부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2 방사부(120) 역시, PIFA 안테나일 수 있다. 또한, 제2 방사부(120)는 PIFA 안테나로 한정되지 않으며, 헬리컬 및 모노폴(monopole) 안테나, SMD 안테나 등 다양한 안테나일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제2 방사부(120)의 특성은 방사패치의 길이(D601), 폭(D605), 기판(210)에서 방사패치가 이격되는 길이(D602) 등에 영향을 받는데, 특히, 방사패치의 길이(D601)에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도 7은 방사패치의 길이(D601)에 따른 반사손실을 나타내는 그래프로, 이를 통해, 제2 커플링 방사부(140)와 공진 주파수에서 가장 공진이 잘 일어나는 제2 방사부(120)의 방사패치의 길이를 도출하여, 해당 길이를 방사패치의 길이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방사부(120)는 2.4 내지 2.5 GHz 대역에서 제2 커플링 방사부(140)와 공진이 가장 잘 일어나는 길이를 최적의 길이로 판단하여, 제2 방사부(120)의 길이를 해당 길이로 설정할 수 있다. 변수범위를 15.3 내지 18.3 mm (단위 길이: 1 mm)로 하여, 길이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제2 커플링 방사부(140)와 공진이 가장 잘 일어나는 길이로 17.3 mm (Length = 2)임을 확인할 수 있다. 오차를 고려하여, 제2 방사부(120)의 방사패치의 길이는 17.2 내지 17.4 mm 일 수 있다.
제2 방사부(110)의 방사패치의 길이가 17.2 내지 17.4 mm 일 때, 도 6B의 각 길이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참조번호 길이(mm)
D601 17.3
Figure pat00011
0.1
D602 3.0
Figure pat00012
0.1
D603 8.0
D604 4.65
D605 3.5
D606 3.0
Figure pat00013
0.1
D607 1.4
Figure pat00014
0.1
D608 13.05
Figure pat00015
0.1
D609 16.55
Figure pat00016
0.1
D610 1.0
Figure pat00017
0.1
D611 0.9
Figure pat00018
0.1
D612 90
Figure pat00019
1.5(°)
표 2의 각 길이 및 각도는 하나의 실시예에서의 길이 및 각도를 나타낸 것으로, 제2 방사부(120)의 방사패치의 길이에 따라 동일한 비율로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의 형상 내지 길이는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제1 커플링 방사부(130)는 도 8과 같이, 라인 패치(131)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플링 방사부(130)는 라인 형상의 라인 패치(131)로 형성되어 제1 방사부(110)와 커플링되어 공진을 일으킬 수 있다. 이때, 제1 커플링 방사부(130)의 라인 패치(131)는 미앤더 라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미앤더(Meander) 라인 형상은 도 8과 같이, 굽어진 형태 또는 꼬불꼬불한 형태를 의미하여, 지그재그 형상으로도 표현될 수 있다. 좁은 영역 내에 일정 길이의 라인을 형성하기 위하여, 미앤더 라인 형상으로 라인 패치(13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형 안테나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제1 커플링 방사부(130) 라인 패치(131)의 총길이에 따른 제1 방사부(110)의 반사손실을 나타내는 그래프로, 이를 통해, 제1 방사부(110)와 공진 주파수에서 가장 공진이 잘 일어나는 제1 커플링 방사부(110)의 라인패치(131)의 길이를 도출하여, 해당 길이를 라인패치(131)의 길이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커플링 방사부(130)는 2.4 내지 2.5 GHz 대역에서 제1 방사부(110)와 공진이 가장 잘 일어나는 길이를 최적의 길이로 판단하여, 제1 커플링 방사부(130)의 라인패치(131)의 길이를 해당 길이로 설정할 수 있다. 변수범위를 31.4 내지 35.4 mm (단위 길이: 1 mm)로 하여, 길이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제1 방사부(110)와 공진이 가장 잘 일어나는 길이로 31.4 mm (Length = 1)임을 확인할 수 있다. 오차를 고려하여, 제1 커플링 방사부(130)의 라인패치의 길이는 31.3 내지 31.5 mm 일 수 있다.
제2 커플링 방사부(140)는, 사각 패치, 적어도 하나의 라인 패치를 포함할 수 있고, 도 8과 같이, 사각 패치(141), 라인 패치(142,143)로 형성될 수 있다. 사각 패치(141)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라인 패치(142)는 사각 패치(141)의 일단에서 연장되며, 제2 라인 패치(143)는 사각 패치(141)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라인 패치(142) 또는 제2 라인 패치(143) 중 적어도 하나의 라인 패치는 미앤더 라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제2 커플링 방사부(140) 제2 라인 패치(143)의 총길이에 따른 제2 방사부(120)의 반사손실을 나타내는 그래프로, 이를 통해, 제2 방사부(120)와 공진 주파수에서 가장 공진이 잘 일어나는 제2 커플링 방사부(140)의 라인패치의 길이를 도출하여, 해당 길이를 라인패치의 길이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커플링 방사부(140)는 2.4 내지 2.5 GHz 대역에서 제2 방사부(120)와 공진이 가장 잘 일어나는 길이를 최적의 길이로 판단하여, 제2 커플링 방사부(140)의 제2 라인패치(143)의 길이를 해당 길이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각 패치(141)는 21.7 mm 길이 및 5 mm 너비로 형성되고, 제1 라인 패치(142)의 길이는 24.35 mm 이며, 제2 라인패치(143) 길이의 변수범위를 17.85 내지 35.85 mm (단위 길이: 2 mm)로 하여, 길이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제2 방사부(120)와 공진이 가장 잘 일어나는 길이로 18.85mm임을 확인할 수 있다. 오차를 고려하여, 제2 커플링 방사부(140)의 사각 패치(141)는 21. 6 내지 21.8 mm 길이 및 4.9 내지 5.1 mm 너비로 형성되고, 제1 라인 패치(142)의 길이는 24.25 내지 24.45 mm 이고, 제2 라인 패치(143)의 길이는 18.75 내지 18.95 mm 일 수 있다.
제1 커플링 방사부(130)의 라인패치(131)의 길이가 31.3 내지 31.5 mm이고, 제2 커플링 방사부(140)의 사각 패치(141)는 21. 6 내지 21.8 mm 길이 및 4.9 내지 5.1 mm 너비로 형성되고, 제1 라인 패치(142)의 길이는 24.25 내지 24.45 mm 이고, 제2 라인 패치(143)의 길이는 18.75 내지 18.95 mm 일 때, 도 8의 각 길이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참조번호 길이(mm) 참조번호 길이(mm)
D801 31.7 D814 1.3
D802 1.63 D815 0.9
D803 9.0 D816 17.1
D804 9.0 D817 21.7
D805 1.0 D818 24.3
D806 0.85 D819 0.85
D807 1.7 D820 10.0
D808 2.55 D821 0.85
D809 3.4 D822 1.15
D810 4.25 D823 9.15
D811 0.85 D824 0.85
D812 6.75 D825 R0.4
D813 3.8
표 3의 각 길이는 하나의 실시예에서의 길이를 나타낸 것으로, 제1 커플링 방사부(130)의 라인패치(131)의 길이 또는 제2 커플링 방사부의 제2 라인패치(143)의 길이에 따라 동일한 비율로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의 형상 내지 길이는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제1 커플링 방사부(130) 또는 제2 커플링 방사부(140)는 서로 다른 커플링 방사부와 격리도(isolation)가 임계값 이하가 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플링 방사부(130)는 제1 방사부(110)와 커플링되고, 제2 커플링 방사부(140)는 제2 방사부(120)와 커플링되는데, 두 커플링 방사부 모두 커플링되는 경우, 서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서로 다른 커플링 방사부와 격리도가 임계값 이하가 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격리도는 두 방사부 사이에 영향을 나타내며, 하나의 방사부에서 방사한 신호가 다른 방사부로 들어오는 비율을 의미하며, 낮을수록 방사 특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도 11은 격리도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상기와 같이, 제1 커플링 방사부(130)의 라인패치(131)의 길이가 31.3 내지 31.5 mm이고, 제2 커플링 방사부(140)의 사각 패치(141)는 21. 6 내지 21.8 mm 길이 및 4.9 내지 5.1 mm 너비로 형성되고, 제1 라인 패치(142)의 길이는 24.25 내지 24.45 mm 이고, 제2 라인 패치(143)의 길이는 18.75 내지 18.95 mm 일 때 격리도가 낮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100)은 제1 방사부(110) 및 제2 방사부(120) 이외에 다른 방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사부(110)가 와이파이용 방사부일 때, 와이파이 신호의 방사 특성을 높이기 위하여, 제3 방사부(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00)에 형성되는 방사부의 수와 형상은 안테나 모듈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100)은 적어도 하나의 급전선을 통해 전류가 인가되는 제3 방사부(212)를 포함할 수 있고, 제3 방사부(212)는 제1 방사부(110)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 방사부(212)의 방사패치는 제1 방사부(110)의 방사패치와 길이 방향이 상이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기판(210) 상에 제1 방사부(110) 및 제2 방사부(120) 이외에 제3 방사부(212)를 형성할 수 있고, 이때, 제3 방사부(212)는 제1 방사부(110)와 함께 와이파이용 방사부일 수 있다. 제3 방사부(212)를 형성함에 있어서, 제1 방사부(110)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할 수 있고, 방사부간 간섭을 줄이기 위하여, 방사패치의 길이 방향이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제3 방사부(212)는 방사패치, 적어도 하나의 급전부,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써 도 12A 및 12B와 같이 제3 방사부(212)는 방사패치(1210), 적어도 하나의 급전부(1220), 및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1230, 124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를 방사하는 방사패치(1210)를 포함하며, 기판(210)으로부터 전류를 인가받는 급전부(1220)를 통해 기판(210)과 연결될 수 있다. 방사패치(1210)는 기판(210)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기판(210)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방사패치(12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230, 1240)를 포함한다. 급전부로 설명되는 구성 및 지지부로 설명되는 구성들은 기판의 급전선과 연결되는지 여부에 따라 급전부 또는 지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방사부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3 방사부(212)는 PIFA 안테나일 수 있고, 헬리컬 및 모노폴(monopole) 안테나, SMD 안테나 등 다양한 안테나일 수 있다. 제3 방사부(212)의 도 12B의 각 길이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참조번호 길이(mm)
D1201 13.6
Figure pat00020
0.1
D1202 2.3
D1203 2.0
D1204 7.05
Figure pat00021
0.1
D1205 10.55
Figure pat00022
0.1
D1206 3.0
Figure pat00023
0.1
D1207 4.5
Figure pat00024
0.1
D1208 1.0
Figure pat00025
0.1
D1209 3.55
Figure pat00026
0.1
D1210 3.0
Figure pat00027
0.1
D1211 2.1
표 4의 각 길이는 하나의 실시예에서의 길이를 나타낸 것으로, 각 구성의 형상 내지 길이는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4는 도 15와 같은 환경에서 측정되는 방사특성일 수 있다. 도 15는 안테나 모듈(100)이 메탈 플레이트(Metal Plate, 1510)와 벽면(1520)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로, 기판에 형성되는 방사부는 벽면(1520)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커플링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의 경우에는 커플링 안테나가 벽면(1520)이 아닌 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A는 커플링 안테나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의 2.4 GHz에서 측정되는 전류의 흐름으로, 낮은 배면 거리로 인해 바닥면 메탈 플레이트(1510) 영향이 크게 작용하여 방사가 잘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도 13B는 제1 커플링 안테나 및 제2 커플링 안테나를 포함한 경우의 2.4 GHz에서 측정되는 전류의 흐름으로, 도 13A와 비교하여, 측면, 즉 커플링 안테나가 형성되는 영역(1310)에 전류 흐름이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커플링 안테나를 사용하여 커플링 안테나에 방사 전류 유기되게 함으로써 커플링 안테나 전면부(메탈 플레이트와 벽면 사이 공간)로 방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4A는 커플링 안테나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의 5 GHz에서 측정되는 전류의 흐름으로, 벽면(1520)에 의한 영향으로 방사 패턴에 Null point가 다수 발생하여 방사가 잘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도 14B는 제1 커플링 안테나 및 제2 커플링 안테나를 포함한 경우의 5 GHz에서 측정되는 전류의 흐름으로, 도 14A와 비교하여, 측면, 즉 커플링 안테나가 형성되는 영역(1410)에 전류 흐름이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커플링 안테나를 사용하여 커플링 안테나에 방사 전류 유기되게 함으로써 커플링 안테나 전면부(메탈 플레이트와 벽면 사이 공간)로 방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과 적어도 하나의 급전선을 통해 연결되어, 전류가 인가되는 제1 방사부 및 제2 방사부, 상기 기판을 덮는 브라켓, 상기 제1 방사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브라켓의 적어도 하나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방사부와 커플링되는 제1 커플링 방사부, 및 상기 제2 방사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브라켓의 적어도 하나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방사부와 커플링되는 제2 커플링 방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제1 방사부, 제2 방사부, 제1 커플링 방사부 및 제2 커플링 방사부로 구성되는 안테나 모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15에 대한 안테나 모듈(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대응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갖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치, 즉 TV(특히, 스마트 TV), 모니터, PDA, PC, 노트북, 휴대 단말, 스마트 단말, 네비게이션 등 다양한 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며, 이외에 통신을 기능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다.
전자 장치는 제1 방사부, 제2 방사부, 제1 커플링 방사부, 제2 커플링 방사부를 이용하여 신호의 방사방향을 방사 가능한 방향으로 지향함으로써 벽면 등에 전자 장치 밀착시키더라도 통신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벽걸이 내지 벽부착 스마트 TV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메탈 플레이트(Metal Plate)와 안테나 모듈 사이 배면 거리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방사 열화를 극복할 수 있고, 콘크리트 벽면에서의 거리 영향을 최소화하여 방사 열화를 극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위치 측정부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1530: 안테나 모듈
110: 제1 방사부
120: 제2 방사부
130: 제1 커플링 방사부
140: 제2 커플링 방사부
210: 기판
211: 통신 모듈 칩
212: 제3 방사부
220: 브라켓
1510: 메탈 플레이트
1520: 벽면

Claims (18)

  1. 적어도 하나의 급전선을 통해 전류가 인가되는 제1 방사부 및 제2 방사부;
    상기 제1 방사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방사부와 커플링되는 제1 커플링 방사부; 및
    상기 제2 방사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2 방사부와 커플링되는 제2 커플링 방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방사부와 상기 제2 방사부는, 방사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서로 상이한 안테나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플링 방사부 및 상기 제2 커플링 방사부는 일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안테나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사부의 방사패치의 길이는 17.5 내지 17.7 mm 인 안테나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사부의 방사패치의 길이는 17.2 내지 17.4 mm 인 안테나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플링 방사부는,
    소정의 너비를 가지는 라인 패치로 형성되는 안테나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패치의 길이는 31.3 내지 31.5 mm 인 안테나 모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패치는 미앤더 라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테나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플링 방사부는,
    사각형상의 사각 패치;
    상기 사각 패치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제1 라인 패치; 및
    상기 사각 패치의 타단에서 연장되는 제2 라인 패치를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인 패치 또는 상기 제2 라인 패치 중 적어도 하나의 라인 패치는 미앤더 라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테나 모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 패치는 21. 6 내지 21.8 mm 길이 및 4.9 내지 5.1 mm 너비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라인 패치의 길이는 24.25 내지 24.45 mm 이고,
    상기 제2 라인 패치의 길이는 18.75 내지 18.95 mm 인 안테나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플링 방사부 또는 상기 제2 커플링 방사부는,
    서로 다른 커플링 방사부와 격리도(isolation)가 임계값 이하가 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안테나 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사부는,
    상기 제1 커플링 방사부와 2.4 내지 2.5GHz 대역 또는 5.0 내지 5.2 GHz 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대역에서 공진이 일으키는 안테나 모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사부는,
    상기 제2 커플링 방사부와 2.4 내지 2.5GHz 대역에서 공진이 일으키는 안테나 모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사부 및 상기 제2 방사부 중 어느 하나는 와이파이용 방사부이고, 다른 하나는 블루투스용 방사부인 안테나 모듈.
  15.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급전선을 통해 전류가 인가되는 제3 방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방사부는,
    상기 제1 방사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안테나 모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방사부의 방사패치는,
    상기 제1 방사부의 방사패치와 길이 방향이 상이한 안테나 모듈.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사부 및 상기 제2 방사부는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커플링 방사부 및 상기 제2 커플링 방사부는 기판을 덮는 브라켓의 적어도 하나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안테나 모듈.
  18. 기판;
    상기 기판과 적어도 하나의 급전선을 통해 연결되어, 전류가 인가되는 제1 방사부 및 제2 방사부;
    상기 기판을 덮는 브라켓;
    상기 제1 방사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브라켓의 적어도 하나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방사부와 커플링되는 제1 커플링 방사부; 및
    상기 제2 방사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브라켓의 적어도 하나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방사부와 커플링되는 제2 커플링 방사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200020623A 2020-02-19 2020-02-19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105747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623A KR20210105747A (ko) 2020-02-19 2020-02-19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7/904,667 US20230107359A1 (en) 2020-02-19 2020-11-25 Antenn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JP2022547963A JP2023515772A (ja) 2020-02-19 2020-11-25 アンテナ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含む電子装置
PCT/KR2020/016784 WO2021167211A1 (ko) 2020-02-19 2020-11-25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20920484.1A EP4109678A4 (en) 2020-02-19 2020-11-25 ANTENN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CN202080096719.3A CN115136412A (zh) 2020-02-19 2020-11-25 天线模块和包括该天线模块的电子设备
TW110105790A TW202141853A (zh) 2020-02-19 2021-02-19 天線模組及包含其之電子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623A KR20210105747A (ko) 2020-02-19 2020-02-19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747A true KR20210105747A (ko) 2021-08-27

Family

ID=77390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623A KR20210105747A (ko) 2020-02-19 2020-02-19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107359A1 (ko)
EP (1) EP4109678A4 (ko)
JP (1) JP2023515772A (ko)
KR (1) KR20210105747A (ko)
CN (1) CN115136412A (ko)
TW (1) TW202141853A (ko)
WO (1) WO2021167211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88267B2 (en) * 2006-11-06 2010-03-30 Apple Inc. Broadband antenna with coupled feed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WO2008148569A2 (en) * 2007-06-06 2008-12-11 Fractus, S.A. Dual-polarized radiating element, dual-band dual-polarized antenna assembly and dual-polarized antenna array
KR101174739B1 (ko) * 2011-08-17 2012-08-17 황도인 듀얼 패치 안테나
US9620849B2 (en) * 2013-06-03 2017-04-11 Blackberry Limited Coupled-feed wideband antenna
KR20160060352A (ko) * 2014-11-20 2016-05-30 대산전자(주) 안테나 장치
KR102246973B1 (ko) * 2015-04-06 2021-04-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다중밴드 안테나
JP6857811B2 (ja) * 2016-02-18 2021-04-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136412A (zh) 2022-09-30
JP2023515772A (ja) 2023-04-14
EP4109678A4 (en) 2024-03-13
US20230107359A1 (en) 2023-04-06
WO2021167211A1 (ko) 2021-08-26
EP4109678A1 (en) 2022-12-28
TW202141853A (zh) 202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4142B2 (en) Dual band antenna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mploying same
KR101690259B1 (ko) 안테나 구조체
JP5712964B2 (ja) アンテナ装置
US7209087B2 (en) Mobile phone antenna
WO2012147817A1 (ja) 電子機器
KR20140117309A (ko) 평면형 안테나 장치 및 방법
KR101870760B1 (ko) 다중 대역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US9979074B2 (en) Mobile device
US9419338B2 (en) Antenna apparatus
US9521222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100253580A1 (en) Printed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employing the same
KR20100059076A (ko) 접지 패턴을 이용한 지향성 광대역 안테나
KR20210105747A (ko)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5837452B2 (ja) アンテナ装置
KR101679925B1 (ko) 링크 라인을 이용한 안테나 장치
CN104681993B (zh) 天线装置
JP2019004328A (ja) ループアンテナ及び電子機器
US10283841B2 (en) Wireless antenna
KR20220046941A (ko)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5983089B2 (ja) アンテナおよびこれを備えた無線通信装置
JP5576951B2 (ja) 2周波アンテナ
US20100123637A1 (en) Antenna
KR20120051505A (ko) 일체형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CN116345156A (zh) 天线结构及电子装置
KR200477552Y1 (ko) 슬롯을 이용한 기지국 안테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