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5530A - 미수신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에 기초하여 미수신 생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미수신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에 기초하여 미수신 생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5530A
KR20210105530A KR1020200020123A KR20200020123A KR20210105530A KR 20210105530 A KR20210105530 A KR 20210105530A KR 1020200020123 A KR1020200020123 A KR 1020200020123A KR 20200020123 A KR20200020123 A KR 20200020123A KR 20210105530 A KR20210105530 A KR 20210105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metric information
unreceived
received
blood glucos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0512B1 (ko
Inventor
유충범
이예정
허훈우
서아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센스
Priority to KR1020200020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512B1/ko
Priority to AU2021222845A priority patent/AU2021222845A1/en
Priority to PCT/KR2021/002092 priority patent/WO2021167384A1/ko
Priority to EP21757294.0A priority patent/EP4085823A4/en
Priority to US17/797,722 priority patent/US20230337916A1/en
Priority to JP2022548086A priority patent/JP2023514165A/ja
Priority to CN202180012819.8A priority patent/CN115052517A/zh
Publication of KR20210105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5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Monitoring the patient using a local or closed circuit, e.g. in a room or bui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03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invasive, e.g. introduced into the body by a catheter or needle or using implanted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847Communication to or from blood sampl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 or multiple sampling, e.g. at predetermined interv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1Determining signal validity, reliability or qua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57Implicit acknowledgement of correct or incorrect reception, e.g. with a moving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71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수신한 생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 단말기가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이 위험 영역인지 아니면 정상 영역인지 수신한 인접 생체 정보로부터 판단하여 미수신한 생체 정보의 수신을 상이하게 제어하는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수신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에 기초하여 미수신 생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Method for communicating biometric data based on domain of biometric}
본 발명은 미수신한 생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 단말기가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이 위험 영역인지 아니면 정상 영역인지 수신한 인접 생체 정보로부터 판단하여 미수신한 생체 정보의 수신을 상이하게 제어하는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현대인에게 많이 발생되는 만성질환으로 국내의 경우 전체 인구의 5%에 해당하는 200만 명 이상에 이르고 있다.
당뇨병은 비만, 스트레스, 잘못된 식습관, 선천적 유전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췌장에서 만들어지는 인슐린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거나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혈액에서 당에 대한 균형을 바로 잡아주지 못함으로써 혈액 안에 당 성분이 절대적으로 많아지게 되어 발병한다.
혈액 중에는 보통 일정 농도의 포도당이 함유되어 있으며 조직 세포는 여기에서 에너지를 얻고 있다.
그러나, 포도당이 필요 이상으로 증가하게 되면 간장이나 근육 또는 지방세포 등에 적절히 저장되지 못하고 혈액 속에 축적되며, 이로 인해 당뇨병 환자는 정상인보다 훨씬 높은 혈당이 유지되며, 과다한 혈당은 조직을 그대로 통과하여 소변으로 배출됨에 따라 신체의 각 조직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당분은 부족해져서 신체 각 조직에 이상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당뇨병은 초기에는 거의 자각 증상이 없는 것이 특징인데, 병이 진행되면 당뇨병 특유의 다음, 다식, 다뇨, 체중감소, 전신 권태, 피부 가려움증, 손과 발의 상처가 낫지 않고 오래가는 경우 등의 특유의 증상이 나타나며, 병이 한층 더 진행되면 시력장애, 고혈압, 신장병, 중풍, 치주질환, 근육 경련 및 신경통, 괴저 등으로 진전되는 합병증이 나타난다.
이러한 당뇨병을 진단하고 합병증으로 진전되지 않도록 관리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혈당 측정과 치료가 병행되어야 한다.
당뇨병은 관리를 위해 꾸준하게 혈당을 측정할 필요가 있어 혈당 측정과 관련된 장치는 그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당뇨병 환자가 혈당 조절을 엄격하게 하는 경우, 당뇨병의 합병증 발생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것은 각종 연구를 통해 확인되고 있다. 그에 따라 당뇨병 환자는 혈당 조절을 위해 규칙적으로 혈당을 측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당뇨병 환자의 혈당 관리를 위해 일반적으로 채혈식 혈당기(finger prick method)가 주로 사용되는데, 이러한 채혈식 혈당기는 당뇨병 환자의 혈당 관리에 도움을 주지만, 측정 당시의 결과만 나타나기 때문에 자주 변화하는 혈당 수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채혈식 혈당기는 하루에도 수시로 혈당을 측정하기 위해 매번 채혈을 할 필요가 있어, 당뇨병 환자에게 채혈에 대한 부담이 큰 문제가 있다.
당뇨병 환자는, 일반적으로 고혈당 및 저혈당 상태를 오가는데, 응급상황은 저혈당 상태에서 발생한다. 저혈당 상태는 당분이 오랫동안 지속되지 않는 경우에 발생하며, 의식을 잃거나 최악의 경우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따라서 저혈당 상태를 즉각적으로 발견하는 것은 당뇨병 환자에게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간헐적으로 혈당을 측정하는 채혈식 혈당기는 분명한 한계가 있다.
이러한 채혈식 혈당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인체 내에 삽입하여 수분 간격으로 혈당을 측정하는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CGMS,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이 개발되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당뇨병 환자의 관리와 응급 상황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부착되어 체액을 추출하여 혈당을 측정하는 센서 트랜스미터와, 전송받은 혈당 수치를 출력하는 통신 단말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센서 트랜스미터는 인체에 센서가 삽입된 상태로 일정기간, 예컨대, 대략 15일 정도 동안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하여 혈당 정보를 생성한다. 센서 트랜스미터 주기적으로 혈당 정보를 생성하며, 통신 단말기는 혈당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수신한 혈당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출력한다.
위에서 설명한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에서 센서 트랜스미터와 통신 단말기는 유선 통신 방식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혈당 정보를 송수신하는데, 통신 단말기는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송신 패킷을 연속하여 수신하여야 한다.
그러나 센서 트랜스미터와 통신 단말기 사이의 일시적 통신 단절 또는 사용자의 동작 미숙으로 인하여 통신 단말기는 혈당 정보를 연속하여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수신하지 못하거나 통신 단말기와 센서 트랜스미터가 상당한 시간 동안 서로 통신을 할 수 없는 거리로 떨어져 있는 경우 통신 단말기는 해당 시간 동안 사용자의 혈당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센서 트랜스미터의 혈당 정보를 통신 단말기에서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에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존재함으로 알려주고 미수신한 혈당 정보를 수신할 필요가 있는데, 통신 단말기에서 미수신 혈당 정보가 존재함을 반복하여 사용자에 알리거나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사용자에 불필요한 경우에도 사용자에 반복하여 미수신 혈당 정보가 존재함으로 알리는 경우 사용자에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통신 단말기가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며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이에 대한 지시자를 사용자에 출력하여 지시자를 통해 미수신한 생체 정보를 수신하도록 유도하는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통신 단말기가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이 위험 영역인지 아니면 정상 영역인지 판단하여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에 따라 수신을 상이하게 제어하는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통신 단말기가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존재하며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이 정상 영역인 경우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존재함을 알리는 지시자를 블라인드 처리하거나 일정 시간 경과 후 제거하여 불필요한 미수신 생체 정보의 빈번한 알림으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을 줄여주는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통신 단말기가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위험 영역에 속한 것으로 판단하여 미수신한 생체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실제 위험 영역에 속하는지 판단하여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실제 위험 영역임을 사용자에 알려주는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수신한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은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측정한 생체 정보 중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미수신한 생체 정보를 존재함을 알려주기 위한 지시자를 출력하여 사용자에 알려주는 단계와, 미수신한 생체 정보를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미수신한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은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이 위험 영역인지 또는 정상 영역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미수신한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은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에 대한 정보를 지시자에 포함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미수신한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은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미수신한 생체 정보의 측정 시각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미수신한 생체 정보의 측정 시간에 인접하여 수신한 생체 정보로부터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미수신한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은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이 정상 영역인 경우, 지시자는 사용자자 시각적으로 인식하지 못하도록 블라인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미수신한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은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존재하며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이 정상 영역인 경우, 미수신한 생체 정보의 수신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한해 미수신한 생체 정보를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요청하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미수신한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은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존재하며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이 정상 영역인 경우, 미수신한 생체 정보의 수신 명령이 설정된 제1 임계 시간 이내에 입력되면 미수신한 생체 정보를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요청하여 수신하며, 제1 임계 시간 동안 수신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자동으로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지시자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미수신한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은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존재하며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이 위험 영역인 경우, 미수신한 생체 정보의 수신 명령이 설정된 제2 임계 시간 이내에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제2 임계 시간 이내에 수신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미수신한 생체 정보를 수신할 것인지 문의하기 위한 문의 메시지를 사용자에 출력하는 단계와, 문의 메시지를 출력 후 제3 임계 시간 이내에 수신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제3 임계 시간 이내에 수신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미수신한 생체 정보를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요청하여 수신하며, 제3 임계 시간 이내에 수신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지시자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미수신한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은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미수신한 생체 정보의 측정 시각을 판단하는 단계와, 미수신한 생체 정보의 측정 시각에 기초하여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미수신한 생체 정보를 측정 저장 후 설정된 보관 시간이 경과하여 미수신한 생체 정보를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삭제하는 삭제 시각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제1 임계 시간, 제2 임계 시간 및 제3 임계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삭제 시각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 임계 시간, 제2 임계 시간 및 상기 제3 임계 시간은 삭제 시각 이전으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미수신한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은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이 위험 영역으로 판단되는 경우,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미수신한 생체 정보를 수신하여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실제 위험 영역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실제 위험 영역으로 판단되는 경우 위험 영역을 알리는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수신한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미수신한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은 통신 단말기가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며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이에 대한 지시자를 사용자에 출력함으로써, 지시자를 통해 미수신한 생체 정보를 수신하도록 유도하여 분실없이 생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미수신한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은 통신 단말기가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이 위험 영역인지 아니면 정상 영역인지 판단함으로써,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에 따라 미수신한 생체 정보를 상이하게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미수신한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은 통신 단말기가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존재하며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이 정상 영역인 경우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존재함을 알리는 지시자를 블라인드 처리하거나 일정 시간 경과 후 제거함으로써, 불필요한 미수신 생체 정보의 잦은 알림으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을 줄여 준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미수신한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은 통신 단말기가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위험 영역에 속한 것으로 판단하여 미수신한 생체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실제 위험 영역에 속하는지 판단하여 사용자에 알려줌으로써,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실제 위험한지 여부를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혈당 정보가 생성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송신 패킷을 생성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정보 관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수신한 혈당 정보의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시자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미수신 혈당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미수신 혈당 정보가 속한 영역에 기초하여 미수신 혈당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혈당 정보를 미수신하는 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인접 혈당 정보로부터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속한 영역을 판단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인접 혈당 정보로부터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속한 영역을 판단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미수신 혈당 정보가 속한 영역에 기초하여 미수신 혈당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서 제1 임계 시간, 제2 임계 시간 또는 제3 임계 시간을 계산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제1 임계 시간 내지 제3 임계 시간을 계산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1)은 센서 트랜스미터(10) 및 통신 단말기(30)를 포함한다.
센서 트랜스미터(10)는 신체에 부착되는데 센서 트랜스미터(10)가 신체에 부착시 센서 트랜스미터(10)의 센서 일단은 피부에 삽입되어 인체의 체액을 주기적으로 추출하여 혈당을 측정한다.
통신 단말기(30)는 센서 트랜스미터(10)로부터 혈당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혈당 정보를 사용자에 표시할 수 있는 단말기로,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 등과 같이 센서 트랜스미터(10)와 통신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가 이용될 수 있다. 물론, 통신 단말기(13)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 기능을 포함하고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는 단말기이면 어떤 종류의 단말기일 수 있다.
센서 트랜스미터(10)는 통신 단말기(30)의 요청에 의해 또는 설정된 시각마다 주기적으로 측정된 혈당 정보를 통신 단말기(30)로 전송하는데, 센서 트랜스미터(10)와 통신 단말기(30)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해 센서 트랜스미터(10)와 통신 단말기(30)는 서로 USB 케이블 등에 의해 유선으로 통신 연결되거나 또는 적외선 통신, NFC 통신,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단말기(30)는 센서 트랜스미터(10)로부터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에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존재함을 알리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혈당 정보가 속한 영역에 따라 미수신한 혈당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혈당 정보 이외에 다양한 종류의 생체 정보가 측정될 수 있는데 이하 생체 정보의 일 예로서 혈당 정보를 설명한다.
도 2는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혈당 정보가 생성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측정되는 혈당 신호에 대한 데이터는 소정의 간격마다 측정되는데, 한 번 측정될 때마다 여러 번에 걸쳐 측정될 수 있다. 예컨대, 센서 트랜스미터는 10초마다 혈당 신호 데이터를 측정한다. 이때, 한 번 측정할 때마다 30번에 걸쳐 혈당 신호를 측정하며, 혈당 신호의 측정에 소요되는 시간은 1초일 수 있다. 따라서 센서 트랜스미터는 10초마다 30번의 아날로그 혈당 신호 데이터를 측정한다.
즉, 일례로, 오후 2시 14분 25초부터 26초 사이에 혈당 정보를 30번 측정하고, 오후 2시 14분 35초부터 36초 사이에 혈당 정보를 다시 30번 측정하는 것과 같이, 10초 간격으로 혈당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이렇게 측정된 혈당 신호 데이터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센서 트랜스미터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혈당 정보 데이터 30개를 절삭 평균 방식으로 평균값을 계산하여 10초마다 하나의 평균값을 산정한다. 이때, 30개의 혈당 정보 데이터 중 상위 7개의 데이터와 하위 7개의 데이터를 제거하고, 나머지 16개의 데이터의 평균값(A)을 산정한다.
이렇게 산정된 절삭 평균값(A)은 10초 단위로 생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1분 동안 여섯 개의 절삭 평균값(A1 ~ A6)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1분 동안 여섯 개의 절삭 평균값(A1 ~ A6)을 생성하고, 생성한 여섯 개의 절삭 평균값(A1 ~ A6)을 이용하여 다시 2차 절삭 평균값(B1)을 생성한다. 이때, 생성된 2차 절삭 평균값(B1)은 여섯 개의 절삭 평균값(A1 ~ A6) 중 가장 큰 값 및 가장 작은 값을 제거하고 나머지 네 개의 값의 평균으로부터 계산된다. 따라서 1분에 하나의 2차 절삭 평균값(B)으로부터 혈당 정보를 생성한다.
이렇게 1분마다 생성된 혈당 정보 데이터는 센서 트랜스미터에 저장되고, 저장된 혈당 정보는 송신 패킷으로 생성되어 통신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도 3은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송신 패킷을 생성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3(a)을 참고로 송신 패킷을 생성하는 일 예를 살펴보면 설정된 혈당 정보 생성 주기(TP)마다 순차적으로 혈당 정보(B1, B2, B3, B4, B5, B6,...)를 생성하는데, 혈당 정보가 생성될 때마다 해당 혈당 정보를 구비하는 송신 패킷(P1, P2, P3, P4, P5, P6)을 생성한다. 송신 패킷을 생성시 송신 패킷의 생성 순서에 따라 고유한 일련의 식별자가 할당되어 해당 송신 패킷의 식별자와 혈당 정보를 구비하도록 송신 패킷이 생성된다. 바람직하게 송신 패킷의 생성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시퀀스를 송신 패킷의 식별자로 할당하거나 송신 패킷의 생성 시각을 송신 패킷의 식별자로 할당할 수 있다.
생성된 송신 패킷(P1, P2, P3, P4, P5, P6)은 저장부에 저장되는데, 설정된 통신 주기(TS)가 도래하는 경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송신 패킷(P1, P2, P3, P4, P5)을 각각 통신 단말기로 송신한다.
도 3(b)을 참고로 송신 패킷을 생성하는 다른 예를 살펴보면 설정된 혈당 정보 생성 주기(TP)마다 순차적으로 혈당 정보(B1, B2, B3, B4, B5, B6,...)를 생성하는데, 혈당 정보는 생성될 때마다 저장부에 저장되며 설정된 통신 주기(TS)가 도래하는 경우, 통신 주기까지 저장부에 저장된 혈당 정보(B1, B2, B3, B4, B5)를 모두 포함하는 송신 패킷(P1)을 생성하고 생성한 송신 패킷(P1)을 통신 단말기로 송신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단말기 제어부(110)는 단말기 통신부(130)를 통해 설정한 통신 간격마다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송신된는 광고(advertisement)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단말기 통신부(130)를 통해 센서 트랜스미터와 통신을 연결한다. 단말기 제어부(110)는 센서 트랜스미터와 통신이 연결되는 경우 단말기 통신부(130)를 통해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혈당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혈당 정보를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단말기 제어부(110)는 통신 간격이 경과한 경우 센서 트랜스미터와의 통신을 종료하거나 또는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송신 패킷을 수신 완료하는 경우 통신 간격이 경과하기 전이라도 센서 트랜스미터와의 통신을 종료한다.
한편 생체 정보 관리부(14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혈당 정보에 기초하여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미수신한 혈당 정보의 존재 여부,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위험 영역에 속하는지 아니며 정상 영역에 속하는지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속한 영역에 대한 정보, 미수신한 혈당 정보의 수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해 사용자에 알려준다.
바람직하게, 생체 정보 관리부(140)는 미수신한 혈당 정보의 존재 여부,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속한 영역에 대한 정보, 미수신한 혈당 정보의 수 등의 정보를 구비하는 지시자를 생성하며 생성한 지시자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70)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존재함을 알려준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90)로부터 미수신한 혈당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 명령에 따라 미수신한 혈당 정보를 센서 트랜스미터에 요청하여 수신한다.
통신 단말기는 설정된 주기마다 센서 트랜스미터와 통신 연결되어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혈당 정보를 수신하는데,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생체 정보 관리부(14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혈당 정보의 마지막 수신 시각 또는 마지막 측정 시각에 기초하여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생체 정보 관리부(140)는 단말기 제어부(110)를 통해 센서 트랜스미터와 통신 연결되었음을 확인하는 경우 저장부(150)에 저장된 혈당 정보의 마지막 수신 시각 또는 마지막 측정 시각에 기초하여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정보 관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미수신 판단부(141)는 저장부에 저장된,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수신한 혈당 정보에 기초하여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미수신 판단부(141)에서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일 예는 통신 단말기와 센서 트랜스미터 사이에 통신이 연결되는 경우,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수신한 혈당 정보 식별자와 저장부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혈당 정보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통신 단말기가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 단말기와 센서 트랜스미터 사이에 통신이 연결되는 경우에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통신 단말기와 센서 트랜스미터 사이에서 통신 연결이 불가능하거나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센서 트랜스미터와 통신 단말기 사이의 통신을 차단시킨 경우에 불필요하게 미수신 혈당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거나 불필요하게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존재함을 사용자에 알리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미수신 판단부(141)에서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다른 예는 통신 단말기의 저장부에 혈당 정보가 마지막으로 저장된 시각 이후 설정된 임계 시간이 경과하도록 신규 혈당 정보가 저장부에 저장되지 않는 경우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부에 혈당 정보가 마지막으로 저장된 후 신규 혈당 정보를 임계 시간 동안 계속해서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통신 단말기와 센서 트랜스미터 사이에서 통신 연결이 오랜 시간 동안 불가능한 경우 통신 단말기와 센서 트랜스미터를 통신 연결하도록 유도하여 미수신한 혈당 정보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영역 판단부(143)는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속한 영역을 판단한다. 즉 영역 판단부(143)는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존재하는 영역이 위험 영역인지 아니면 정상 영역인지 판단하는데, 여기서 위험 영역은 사용자가 설정한 고혈당 또는 저혈당 영역을 의미하며 정상 영역은 사용자 설정한 정상 범위의 혈당 영역을 의미한다. 영역 판단부(143)는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속한 영역에 기초하여 미수신한 혈당 정보에 대한 지시자 정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출력 제어한다.
정보 획득부(145)는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속한 영역이 위험 영역인지 아니면 정상 영역인지에 따라 상이하게 관리하는데, 정보 획득부(145)는 정상 영역에 속한 미수신한 혈당 정보의 경우 미수신 혈당 정보의 존재를 1번만 알람하여 빈번한 알람으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함을 줄이거나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지시자를 블라인드 처리하며, 위험 영역에 속한 미수신한 혈당 정보는 정상 영역에 속한 미수신한 혈당 정보보다 빈번하게 알람을 사용자에 제공하여 미수신한 혈당 정보를 수신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정보 획득부(14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미수신한 혈당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미수신한 혈당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혈당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 제어한다.
한편 메시지 생성부(147)는 미수신 혈당 정보가 위험 영역에 속한 것으로 판단되며 사용자 요청에 의해 수신한 해당 미수신 혈당 정보가 실제 위험 영역인 경우 수신한 해당 미수신 혈당 정보가 실제 위험 영역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에 디스플레이 제어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수신한 혈당 정보의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통신 단말기에서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미수신한 혈당 정보의 측정 시각을 예측하여 미수신한 혈당 정보의 측정 시각에 인접하여 수신한 혈당 정보로부터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속한 영역을 판단한다(S130).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속한 영역, 미수신한 혈당 정보의 수 등을 구비하는 지시자를 생성하고 생성한 지시자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다(S150).
디스플레이된 지시자에 기초하여 미수신한 혈당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S170), 미수신한 혈당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미수신한 혈당 정보를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요청하여 수신하고 수신한 미수신한 혈당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다(S190).
바람직하게, 미수신한 혈당 정보의 시퀀스 또는 미수신한 혈당 정보의 측정 시각 등의 식별자를 센서 트랜스미터로 송신하여 미수신한 혈당 정보를 요청하며, 센서 트랜스미터는 식별자에 기초하여 통신 단말기가 미수신한 혈당 정보를 판단하고 미수신한 혈당 정보를 통신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시자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 7(a)와 같이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는 별도의 지시자가 활성화되지 않는다.
그러나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도 7(b) 또는 도 7(c)와 같이 지시자가 활성화되는데, 도 7(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존재하며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정상 영역에 속하며 미수신한 혈당 정보의 수가 5개인 경우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속한 영역과 미수신한 혈당 정보의 수를 포함하는 지시자(I)가 활성화되며, 도 7(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존재하며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고혈당 위험 영역에 속하는 경우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속한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시자(I)가 활성화된다.
바람직하게, 정상 영역에 속한 미수신 혈당 정보와 위험 영역에 속한 미수신 혈당 정보를 알리는 지시자는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지시자를 통해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존재함을 인식할 뿐만 아니라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속한 영역도 용이하고 빠르게 인식할 수 있다.
도 8은 미수신 혈당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사용자가 지시자 아이콘을 터치하는 경우 도 8(a)와 같이 수신한 혈당 정보가 시간축상의 그래프로 표시되며 그래프에서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그래프를 통해 미수신한 혈당 정보의 측정 시각 또는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속한 영역을 시각으로 확인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하며 도 8(b)와 같이 미수신한 혈당 정보를 수신할 것인지 문의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며, 도 8(b)에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수신 버튼을 클릭하여 수신 요청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수신된다. 도 8(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한 혈당 정보를 조회 문의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활성화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미수신 혈당 정보가 속한 영역에 기초하여 미수신 혈당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미수신한 혈당 정보의 측정 시각을 예측 판단한다(S211). 센서 트랜스미터는 설정된 주기로 혈당 정보를 측정하는데, 일 예로 미수신한 혈당 정보의 측정 시각은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된 혈당 정보의 측정 시각에 기초하여 미수신한 혈당 정보의 측정 시각을 예측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미수신한 혈당 정보의 측정 시각은 혈당 정보가 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지 않은 시각으로 예측 판단할 수 있다.
미수신한 혈당 정보의 측정 시각에 기초하여 미수신한 혈당 정보에 인접한 시각의 인접 혈당 정보를 판단하고(S213), 인접 혈당 정보에 기초하여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정상 영역에 속하는지 판단한다(S215).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정상 영역에 속한 경우, 미수신한 혈당 정보에 대한 지시자를 출력하고 지시자에 응답하여 사용자로부터 미수신한 혈당 정보의 수신을 요청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216).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미수신한 혈당 정보를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요청하여 수신한다(S217). 여기서 미수신한 혈당 정보를 요청시 미수신한 혈당 정보의 식별자(예를 들어 미수신한 혈당 정보의 시퀀스, 생성 시각, 측정 시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미수신 혈당 정보가 정상 영역에 속하며 미수신 혈당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명령이 제1 임계 시간 이내에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218). 제1 임계 시간이 경과하도록 미수신 혈당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지시자를 삭제하거나 블라인드 처리한다(S219).
즉, 미수신 혈당 정보가 정상 영역에 속한 경우 제1 임계 시간 이내에 미수신 혈당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미수신 혈당 정보가 존재함을 알리는 지시자를 삭제하거나 블라인드 처리하여 불필요한 미수신 혈당 정보를 처리하는데 사용자의 번거로운 동작이나 개입없이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도 10은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혈당 정보를 미수신하는 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인데,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센서 트랜스미터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생성된 혈당 정보를 통신 단말기로 송신한다. 그러나 센서 트랜스미터와 통신 단말기 사이의 통신이 연결되지 않는 시점(t1)부터 통신이 다시 통신 연결되는 시점(t2)까지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생선된 혈당 정보를 미수신하게 된다.
도 11은 인접 혈당 정보로부터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속한 영역을 판단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인데, 도 11(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는 제1 시점(t1)부터 혈당 정보를 미수신하며 제2 시점(t2)부터 다시 혈당 정보를 수신하기 시작한다. 통신 단말기는 저장부에 저장된 혈당 정보의 측정 시각 또는 수신 시각에 기초하여 미수신한 제1 시점(t1) 이전의 인접 시각의 인접 생체 정보와 제2 시점(t2) 이후의 인접 시각의 인접 생체 정보를 판단한다. 미수신한 제1 시점(t1) 이전의 인접 시각의 인접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이 위험 영역(TH2보다 높음)이고 제2 시점(t2) 이후의 인접 시각의 인접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이 위험 영역(TH2 보다 높음)임에 기초하여 미수신한 혈당 정보도 위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11(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는 제1 시점(t1)부터 혈당 정보를 미수신하며 제2 시점(t2)부터 다시 혈당 정보를 수신하기 시작하는데, 미수신한 제1 시점(t1) 이전의 인접 시각의 인접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이 정상 영역(TH2보다 낮고 TH1보다 높음)이고 제2 시점(t2) 이후의 인접 시각의 인접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이 정상 영역(TH2보다 낮고 TH1보다 높음)임에 기초하여 미수신한 혈당 정보도 정상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도 11에서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속한 영역을 판단하는 일 예는 혈당 정보를 미수신한 시간의 이전과 이후에 수신한 혈당 정보에 기초하여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속한 영역을 판단하게 된다.
도 12는 인접 혈당 정보로부터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속한 영역을 판단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인데, 도 12(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는 제1 시점(t1)부터 혈당 정보를 미수신하며 제2 시점(t2)부터 다시 혈당 정보를 수신하기 시작한다. 통신 단말기는 저장부에 저장된 혈당 정보의 측정 시각 또는 수신 시각에 기초하여 제1 시점(t2) 이전의 인접 시각의 인접 생체 정보를 판단한다. 미수신한 제1 시점(t1) 이전의 인접 시각의 인접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이 위험 영역(TH2보다 높음)임에 기초하여 미수신한 혈당 정보도 위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1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는 제1 시점(t1)부터 혈당 정보를 미수신하며 제2 시점(t2)부터 다시 혈당 정보를 수신하기 시작하는데, 통신 단말기가 제1 시점(t1) 이전의 인접 시간의 인접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이 정상 영역(TH2보다 낮고 TH1보다 높음)이임에 기초하여 미수신한 혈당 정보도 정상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도 12에서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속한 영역을 판단하는 일 예는 혈당 정보를 미수신하기 시작한 시각 이전에 인접한 시간 동안 수신한 혈당 정보에 기초하여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속한 영역을 판단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미수신 혈당 정보가 속한 영역에 기초하여 미수신 혈당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에 연속하여 설명하면, 인접 혈당 정보에 기초하여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속한 영역이 정상 영역이 아닌 위험 영역으로 판단되는 경우, 미수신한 혈당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231). 여기서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위험 영역에 속하는지에 대한 정보는 지시자에 표시될 수 있다.
미수신한 혈당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미수신한 혈당 정보를 센서 트랜스미터에 요청하여 수신한다(S233).
그러나 미수신한 혈당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지시자를 디스플레이 한 후 제2 임계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한다(S234). 제 2 임계 시간이 경과한 경우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존재하며 미수신한 혈당 정보는 위험 영역에 속하므로 수신하여 확인할 필요가 있음을 사용자에 알려주는 문의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한다(S235).
문의 메시지를 출력한 후 다시 미수신한 혈당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하며(S237), 미수신한 혈당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미수신한 혈당 정보를 센서 트랜스미터에 요청하여 수신한다.
그러나 문의 메시지를 출력 후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3 임계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며(S238), 제3 임계 시간이 경과하도록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위험 영역에 속하더라도 사용자가 미수신한 혈당 정보를 수신할 의향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존재함을 알리는 지시자를 삭제 처리한다(S239).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위험 영역을 다시 세분하여 고위험 영역과 저위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인접 혈당 정보에 기초하여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속한 영역이 고위험 영역인 경우 미수신 혈당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었는지에 무관하게 자동으로 미수신한 혈당 정보를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요청하여 수신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문의 메시지를 출력하는 횟수는 인접 혈당 정보에 기초하여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정상 영역을 초과하는 정도에 비례하여 빈도를 증가시킬 수 있거나 고위험 영역에 속하는 경우 빈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서 제1 임계 시간, 제2 임계 시간 또는 제3 임계 시간을 계산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고로 살펴보면, 센서 트랜스미터는 혈당 정보를 측정 후 설정된 시간 동안, 예를 들어 6시간 또는 12시간 동안 측정한 혈당 정보를 센서 트랜스미터에 저장하고 저장 기간이 만료하는 경우 저장된 혈당 정보를 순차적으로 삭제하는데, 통신 단말기는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미수신한 혈당 정보의 측정 시각을 예측하며(S251) 예측한 측정 시각에 기초하여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삭제되는 삭제 시각을 계산한다(S253).
통신 단말기는 삭제 시각이 도래하기 전으로 제1 임계 시간 또는 제2 임계 시간을 계산한다(S255).
한편 제3 임계 시간은 제2 임계 시간 경과 후 삭제 시각이 도래하기 전으로 계산한다(S257). 바람직하게 제2 임계 시간과 제3 임계 시간의 합은 지시자가 출력된 시점부터 삭제 시각까지의 전체 잔존 시간에서 설정된 비율로 할당되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5는 제1 임계 시간 내지 제3 임계 시간을 계산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인데, 도 15(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처음 발생한 시점(T1)에 기초하여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삭제되는 삭제 시각(t5)을 계산한다. 센서 트랜스미터와 통신 단말기가 서로 통신이 연결되어 미수신한 혈당 정보를 수신하기 시작하는 경우, 제1 임계 시간(△t1)은 삭제 시각이 도래하기 전으로 계산된다.
한편 도 15(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처음 발생한 시점(T1)에 기초하여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삭제되는 삭제 시각(t7)을 계산한다. 센서 트랜스미터와 통신 단말기가 서로 통신이 연결되어 미수신한 혈당 정보를 수신하기 시작하는 경우, 제2 임계 시간(△t2)과 제3 임계 시간(△t3)은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센서 트랜스미터에 저장되는 전체 잔존 시간(△t4)에서 일정 비율로 할당되는데, 예를 들어 제2 임계 시간(△t2)은 전제 잔존 시간 중 20%로 할당되며 제3 임계 시간(△t3)은 전체 잔존 시간 중 20%로 할당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임계 시간과 제3 임계 시간은 전제 잔존 시간 중 앞 부분에 할당되어 전제 잔존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기다릴 필요없이 미수신한 혈당 정보를 수신하거나 미수신 처리한다.
한편 도 15(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처음 발생한 시점(T1)에 기초하여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삭제되는 삭제 시각(t7)을 계산한다. 센서 트랜스미터와 통신 단말기가 서로 통신이 연결되어 미수신한 혈당 정보를 수신하기 시작하는 경우, 제2 임계 시간(△t2)과 제3 임계 시간(△t3)은 미수신한 혈당 정보가 센서 트랜스미터에 저장되는 전체 잔존 시간(△t4)에서 일정 비율로 할당되는데, 예를 들어 제2 임계 시간(△t2)은 전제 잔존 시간 중 20%로 할당되며 제3 임계 시간(△t3)은 제2 임계 시간(△t2) 경과 후 나머지 전체 잔존 시간으로 할당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임계 시간(△t3)은 제3 임계 시간(△t3) 이내에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미수신 혈당 정보가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삭제되기 전에 미수신한 혈당 정보를 안전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전체 잔존 시간 동안 센서 트랜스미터와 통신을 연결하여 미수신 혈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설정된 통신 시간을 고려하여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센서 트랜스미터 30: 통신 단말기
110: 단말기 제어부 130: 단말기 통신부
140: 생체 정보 관리부 150: 저장부
170: 디스플레이부 19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41: 미수신 판단부 143: 영역 판단부
145: 정보 획득부 147: 메시지 생성부

Claims (11)

  1. 사용자의 신체 부위 일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 트랜스미터와 상기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단말기 사이에서 생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측정한 생체 정보 중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미수신한 생체 정보를 존재함을 알려주기 위한 지시자를 출력하여 사용자에 알려주는 단계; 및
    미수신한 생체 정보를 상기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은
    상기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이 위험 영역인지 또는 정상 영역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은
    상기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지시자에 포함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은
    상기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미수신한 생체 정보의 측정 시각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미수신한 생체 정보의 측정 시간에 인접하여 수신한 생체 정보로부터 상기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은
    상기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이 정상 영역인 경우, 상기 지시자는 사용자자 시각적으로 인식하지 못하도록 블라인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은
    상기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존재하며 상기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이 정상 영역인 경우, 상기 미수신한 생체 정보의 수신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한해 미수신한 생체 정보를 상기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요청하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은
    상기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존재하며 상기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이 정상 영역인 경우, 상기 미수신한 생체 정보의 수신 명령이 설정된 제1 임계 시간 이내에 입력되면 상기 미수신한 생체 정보를 상기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요청하여 수신하며,
    상기 제1 임계 시간 동안 상기 수신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자동으로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지시자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은
    상기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존재하며 상기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이 위험 영역인 경우, 상기 미수신한 생체 정보의 수신 명령이 설정된 제2 임계 시간 이내에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임계 시간 이내에 상기 수신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미수신한 생체 정보를 수신할 것인지 문의하기 위한 문의 메시지를 사용자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문의 메시지를 출력 후 제3 임계 시간 이내에 수신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임계 시간 이내에 수신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미수신한 생체 정보를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요청하여 수신하며, 상기 제3 임계 시간 이내에 수신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지시자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은
    상기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미수신한 생체 정보의 측정 시각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미수신한 생체 정보의 측정 시각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상기 미수신한 생체 정보를 측정 저장 후 설정된 보관 시간이 경과하여 상기 미수신한 생체 정보를 상기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삭제하는 삭제 시각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임계 시간, 제2 임계 시간 및 상기 제3 임계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삭제 시각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계 시간, 제2 임계 시간 및 상기 제3 임계 시간은 상기 삭제 시각 이전으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은
    상기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이 위험 영역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상기 미수신한 생체 정보를 수신하여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실제 위험 영역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미수신한 생체 정보가 실제 위험 영역으로 판단되는 경우, 위험 영역을 알리는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의 송수신 방법.
KR1020200020123A 2020-02-19 2020-02-19 미수신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에 기초하여 미수신 생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KR102330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123A KR102330512B1 (ko) 2020-02-19 2020-02-19 미수신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에 기초하여 미수신 생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AU2021222845A AU2021222845A1 (en) 2020-02-19 2021-02-19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non-received biometric information on basis of domain to which non-received biometric information belongs
PCT/KR2021/002092 WO2021167384A1 (ko) 2020-02-19 2021-02-19 미수신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에 기초하여 미수신 생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EP21757294.0A EP4085823A4 (en) 2020-02-19 2021-02-19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NON-RECEIVED BIOMETRIC INFORMATION BASED ON A DOMAIN TO WHICH UNRECEIVED BIOMETRIC INFORMATION BELONGS
US17/797,722 US20230337916A1 (en) 2020-02-19 2021-02-19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received biometric information based on area to which unreceived biometric information belongs
JP2022548086A JP2023514165A (ja) 2020-02-19 2021-02-19 未受信生体情報が属した領域に基づいて未受信生体情報を送受信する方法
CN202180012819.8A CN115052517A (zh) 2020-02-19 2021-02-19 基于未接收生物信息所属的区域收发未接收生物信息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123A KR102330512B1 (ko) 2020-02-19 2020-02-19 미수신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에 기초하여 미수신 생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530A true KR20210105530A (ko) 2021-08-27
KR102330512B1 KR102330512B1 (ko) 2021-11-25

Family

ID=77391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123A KR102330512B1 (ko) 2020-02-19 2020-02-19 미수신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에 기초하여 미수신 생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337916A1 (ko)
EP (1) EP4085823A4 (ko)
JP (1) JP2023514165A (ko)
KR (1) KR102330512B1 (ko)
CN (1) CN115052517A (ko)
AU (1) AU2021222845A1 (ko)
WO (1) WO2021167384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1810A (ko) * 2005-09-15 2007-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의 수신 상태를 나타내는상태 보고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2064019A (ja) * 2010-09-16 2012-03-29 Ntt Docomo Inc 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67550A1 (en) * 2004-05-28 2005-12-01 Medtronic Minimed, Inc. System and method for medical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protocol for same
US20100057040A1 (en) * 2008-08-31 2010-03-04 Abbott Diabetes Care, Inc. Robust Closed Loop Control And Methods
KR101169440B1 (ko) * 2010-04-30 2012-08-03 주식회사 엠디웨어 생체 측정 데이터의 처리 방법 및 시스템
US20110313680A1 (en) * 2010-06-22 2011-12-22 Doyle Iii Francis J Health Monitoring System
CN111024955A (zh) * 2013-03-12 2020-04-17 豪夫迈·罗氏有限公司 用于传输葡萄糖测量的方法和手持葡萄糖计
US9901305B2 (en) * 2014-06-13 2018-02-27 Medtronic Minimed, Inc. Physiological sensor history backfill system and method
KR102335739B1 (ko) * 2014-12-19 2021-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비 침습적 혈당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7209803A (zh) * 2015-02-10 2017-09-26 德克斯康公司 用于分布连续葡萄糖数据的系统和方法
CA2977121A1 (en) * 2015-05-12 2016-11-17 Dexcom, Inc. Distributed system architecture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EP3113054B1 (en) * 2015-07-01 2019-09-04 Roche Diabetes Care GmbH A portable device and a method for collecting and processing continuous monitoring data indicative of an analyte in a bodily fluid, a medical system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WO2017108996A1 (en) * 2015-12-22 2017-06-29 Koninklijke Philips N.V. Low-power wireless solution for mban applications with multiple aggregator devices
KR102248614B1 (ko) * 2019-07-22 2021-05-06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에서 생체 정보를 분실없이 송수신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1810A (ko) * 2005-09-15 2007-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의 수신 상태를 나타내는상태 보고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2064019A (ja) * 2010-09-16 2012-03-29 Ntt Docomo Inc 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67384A1 (ko) 2021-08-26
US20230337916A1 (en) 2023-10-26
CN115052517A (zh) 2022-09-13
AU2021222845A1 (en) 2022-08-25
KR102330512B1 (ko) 2021-11-25
EP4085823A1 (en) 2022-11-09
EP4085823A4 (en) 2024-01-03
JP2023514165A (ja) 202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24359B2 (ja) 連続血糖測定システムで生体情報を紛失なしに送受信する方法
EP1703839B1 (en) System for monitoring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EP2471456A1 (en) System for monitoring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EP1381309B1 (en) Adaptive selection of a warning limit in patient monitoring
DK2256494T3 (en) System for monitoring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user's biological condition
KR102475913B1 (ko)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에서 교정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WO2018149872A1 (en) A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a portable device for analyzing glucose monitoring data indicative of a glucose level in a bodily fluid,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2330512B1 (ko) 미수신 생체 정보가 속한 영역에 기초하여 미수신 생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KR102331551B1 (ko) 연속혈당측정시스템에서 생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KR102330791B1 (ko)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에서 송신 패킷 식별자에 기초하여 분실없이 생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JP2022541810A (ja) 生体情報測定データのノイズ処理方法
JP2008206920A (ja) 看護支援システム
KR102470263B1 (ko) Ict기반의 양방향 통신과 사용자 관리가 가능한 혈당측정관리시스템
CN113288089A (zh) 一种基于nbiot技术的隔离人员身体状况监测系统设计方法
KR101862674B1 (ko)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변좌 시스템
JP2022072625A (ja) 看視システム、被看視者端末、及び看視方法
JP2022542679A (ja) 連続血糖測定システムの通信連結方法
López Ruiz et al. IoT-driven Real-Time Glucose Monitoring: Empowering Diabetes Care and Prevention
CN117814765A (zh) 一种生理参数连续监测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